KR102124929B1 -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929B1
KR102124929B1 KR1020190039906A KR20190039906A KR102124929B1 KR 102124929 B1 KR102124929 B1 KR 102124929B1 KR 1020190039906 A KR1020190039906 A KR 1020190039906A KR 20190039906 A KR20190039906 A KR 20190039906A KR 102124929 B1 KR102124929 B1 KR 10212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disposed
blade
fa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보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축이 연결되는 허브; 상기 허브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앙에 흡입구가 형성된 쉬라우드; 상기 허브 및 쉬라우드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 쉬라우드 및 블레이드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허브에 사출성형을 위한 사출흔이 형성된다. 상기 사출흔 위치에서 허브는 물론 블레이드 및 쉬라우드 전체에 사출수지가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turbo fan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터보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에 설치되는 터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실내기라 한다.
한국 공개번호 10-2014-0124196(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에는 터보팬을 포함하는 천장형 실내기가 기재되어 있고, 한국 등록특허 10-0563801(이하 선행기술2라 한다)에는 터보팬을 제작하기 위한 구조 및 제작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종래 터보팬은 허브, 쉬라우드 및 블레이드를 각각 제작한 후 초음파용접을 통해 융착해서 조립하였다. 종래와 같이 각 구성을 초음파용접을 통해 제작하는 경우 제작에 필요한 금형을 다수 구비해야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번호 10-2014-0124196 한국 등록특허 10-0563801
본 발명은 허브, 쉬라우드 및 블레이드를 한번의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융착을 통해 제작된 터보팬보다 무게를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융착을 통해 제작된 터보팬보다 재료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허브, 쉬라우드 및 블레이드를 한번에 사출성형하기 위한 최적의 사출흔 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샷 사출성형 시, 블레이드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한번에 형성시키기 위한 최적의 파팅라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허브, 쉬라우드 및 블레이드를 원샷 사출성형하여, 블레이드 및 허브의 연결부위 살두께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허브, 쉬라우드 및 블레이드를 원샷 사출성형하여, 블레이드 및 쉬라우드의 연결부위 살두께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보팬은 허브, 쉬라우드 및 블레이드가 한번의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기 때문에, 초음파융착을 통해 제작된 터보팬보다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융착을 통해 제작된 터보팬보다 재료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융착을 통해 제작된 터보팬에 비해 줄어든 하중만큼 작동에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융착을 통해 제작된 터보팬에 비해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축이 연결되는 허브; 상기 허브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앙에 흡입구가 형성된 쉬라우드; 상기 허브 및 쉬라우드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 쉬라우드 및 블레이드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허브에 사출성형을 위한 사출흔이 형성된다. 상기 사출흔 위치에서 허브는 물론 블레이드 및 쉬라우드 전체에 사출수지가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허브를 기준으로 상기 쉬라우드의 반대편에 상기 사출흔이 배치되기 때문에, 사출수지가 많이 공급되어야 하는 허브 및 블레이드에 사출수지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들의 개수와 상기 사출흔의 개수가 동일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각 블레이드에 사출수지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사출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인접한 2개의 블레이드들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블레이드에 균일한 사출수지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모터축이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부; 상기 곡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흔은 상기 플랫부에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공간(B)이 형성되고, 상기 허브에 상기 공간(B)과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 내부의 빈 공간(B)을 통해 팬의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허브는, 상기 모터축이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부; 상기 곡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플랫부 및 곡면부에 걸쳐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공간(B)을 감싸고, 내측을 향하게 배치된 내측면; 상기 공간(B)을 감싸고, 외측을 향하게 배치된 외측면; 상기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사출성형 시 형성된 이너파팅라인; 및 상기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사출성형 시 형성된 아우터파팅라인;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금형블럭이 맞닿아 블레이드의 내측 및 외측을 감싸기 때문에, 상기 이너파팅라인 및 아우터파팅라인이 형성된다.
블레이드의 외측보다 내측에 더 많은 금형블럭이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아우터파팅라인보다 상기 이너파팅라인의 개수가 더 많이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쉬라우드와 접하게 형성된 내측면 상측 가장자리; 상기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허브와 접하게 형성된 내측면 하측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파팅라인은, 상기 내측면 상측 가장자리 및 내측면 하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 1 이너파팅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내측을 향하게 배치된 안쪽 가장자리; 외측을 향하게 배치된 바깥쪽 가장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너파팅라인은, 상기 제 1 이너파팅라인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안쪽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 2 이너파팅라인; 상기 제 1 이너파팅라인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 3 이너파팅라인;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터보팬은 허브, 쉬라우드 및 블레이드가 한번의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기 때문에, 초음파융착을 통해 제작된 터보팬보다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초음파융착을 통해 제작된 터보팬보다 재료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초음파융착을 통해 제작된 터보팬에 비해 줄어든 하중만큼 작동에 소모되는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초음파융착을 통해 제작된 터보팬에 비해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상기 허브를 기준으로 상기 쉬라우드의 반대편에 상기 사출흔이 배치되기 때문에, 사출수지가 많이 공급되어야 하는 허브 및 블레이드에 사출수지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상기 블레이드들의 개수와 상기 사출흔의 개수가 동일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각 블레이드에 사출수지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상기 사출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인접한 2개의 블레이드들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블레이드에 균일한 사출수지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 공간(B)이 형성되고, 상기 허브에 상기 공간(B)과 연통된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 내부의 빈 공간(B)을 통해 팬의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블레이드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이너파팅라인 및 아우터파팅라인이 형성되기 때문에, 원샷 사출성형을 통해 블레이드를 쉬라우드 및 허브와 일체로 사출성형할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허브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 절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아우터파팅라인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이너파팅라인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축결합부재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 팬과 원샷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된 팬의 회전수 및 풍량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13은 종래 팬과 원샷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된 팬의 풍량 및 소비전력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14는 종래 팬과 원샷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된 팬의 풍량 및 소음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팬을 사출성형하기 위한 금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 1 금형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제 2 금형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실내기의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3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송풍팬(14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게 배치된 흡입그릴(320)을 더 포함한다.
<케이스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케이스하우징(110)과, 프론트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하우징(100)은 행거(미도시)를 통해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의 개구된 면을 커버하고, 실내의 바닥을 향해 배치되고, 실내에 노출되며,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작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의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흡입구(101)가 프론트패널(300)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의 개수 또는 토출구(10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무관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1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각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4개가 배치된다.
<실내열교환기의 구성>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를 내측 및 외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내측에 실내송풍팬(140)이 위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전체적인 형상이 "□"로 형성되고, 일부구간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실내송풍팬(140)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직하게 진입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드레인팬(132)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드레인팬(132)에 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132)으로 유동된 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32)에는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팬(132)은 실내열교환기(130)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패널의 구성>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케이스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의 저면을 커버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프론트바디(310)와,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는 흡입그릴(320)과, 상기 흡입그릴(32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리필터(330)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의 공기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베인모듈(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그릴(320)는 격자형태를 통해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된다. 상기 그릴홀(321)과 상기 흡입구(101)는 연통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에 프리필터(330)가 배치된다. 상기 프리필터(3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프리필터(330)는 상기 그릴홀(32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토출구(102) 상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된다.
<실내송풍팬의 구성>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 송풍기(cenrifugal boower)이고, 상기 팬(400)은 터보팬이 사용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벨마우스(142), 팬(400) 및 팬모터(146)를 포함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흡입그릴(320) 상측에 배치되고, 팬(4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상기 흡입그릴(32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팬(400)으로 안내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되고,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팬(400)으로 안내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오리피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흡입유로(103)의 일부를 제공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팬(400)의 하측에 배치되어 팬(400)의 축중심으로 공기를 안내한다.
흡입그릴(320)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벨마우스(142)의 개구부를 통해 팬(400)의 중심이 노출되고, 팬(400)이 외측 가장자리는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팬(400) 및 팬모터(146)를 교체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는 벨마우스(142)를 분리해야만 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400)을 회전시킨다. 상기 팬모터(146)는 케이스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4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14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400)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팬모터(146)의 모터축은 하측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상기 팬(400)이 결합된다.
상기 팬(400)의 가장자리 외측에 실내열교환기(130)가 위치된다. 상기 팬(400)과 실내열교환기(130)의 적어도 일부분은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벨마우스(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4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하방향에 대해 상기 벨마우스(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400)과 오버랩된다.
<유로의 구성>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케이스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내측 및 외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을 흡입유로(103)로 정의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외측 공간을 토출유로(104)로 정의한다.
상기 흡입유로(103)에 상기 실내송풍팬(140)이 배치된다. 상기 토출유로(104)는 실내열교환기(130)의 바깥쪽 및 케이스하우징(110)의 측벽 사이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때, 상기 흡입유로(103)는 실내열교환기의 "□"로 둘러싸인 내측이고, 토출유로(104)는 실내열교환기의 "□"로 둘러싸인 바깥쪽이다.
상기 흡입유로(103)는 흡입구(101)과 연통되고, 상기 토출유로(104)는 토출구(103)와 연통된다.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고, 토출유로(10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를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180도 전환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프론트패널(300)의 같은 면에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토출구(102)가 약간의 측면경사를 갖게 형성될 수 있지만, 토출유로(104)와 연결된 토출구(102)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허브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 절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아우터파팅라인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이너파팅라인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축결합부재의 단면사시도이다.
<팬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용 팬(400)은 허브(410), 쉬라우드(430), 복수의 블레이드(420) 및 축결합부재(440)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410), 쉬라우드(430), 복수의 블레이드(420) 및 축결합부재(440)는 사출성형을 통해 한번에 일체로 제작되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한번의 사출성형을 통해 팬(400)이 제작되는 것을 원샷 사출성형으로 정의한다.
저면에서 볼 때, 상기 허브(410)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허브(41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한 곡면부(417)가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허브(410)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허브(410)의 중심에 축결합부재(440)가 배치되고, 상기 축결합부재(440)에 상기 팬모터(146)의 모터축이 조립된다.
상기 허브(410)는 상기 블레이드(420)들의 일측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허브바디(415)와, 상기 허브바디(415)의 회전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축결합부재(440)가 인서트사출을 통해 결합되는 고정부(411)를 포함한다.
상기 축결합부재(440)는 상기 팬(400)의 원샷 사출성형 시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팬(400)에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허브(410)의 중심에는 상기 축결합부재(440)가 관통되고, 상기 축결합부재(440)가 고정되는 고정부(41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11)의 내측은 상기 허브(410)를 관통하고, 상기 팬(400)의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고정부(411)의 내측에 상기 축결합부재(440)가 삽입되는 관통홀(4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11)는 상기 허브바디(415)에서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4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11)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리브(413)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브(413)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11)는 상기 허브바디(411)의 일측면(411a, 블레이드가 배치된 면) 및 타측면(411b)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재(440)는 상기 허브(410)에 결합되는 제 1 하우징(442)과, 상기 제 1 하우징(442)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 1 하주이(44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하우징(444)와, 상기 제 1 하우징(442) 및 제 2 하우징(444)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446)을 포함한다.
상기 허브바디(415)는 상기 고정부(411)가 형성되고, 하측에서 상측(블레이드가 배치된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부(417)와, 상기 곡면부(417)의 외측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플랫부(416)를 포함한다.
상기 플랫부(416)는 회전축(C)에 대해 직교될 수 있다. 상기 플랫부(416)는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곡면부(417)는 상기 쉬라우드(430) 또는 블레이드(420)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곡면부(417)의 직경을 H2라 정의하고, 상기 허브(410)의 직경은 H1이라 정의한다. 상기 허브(410)의 직경 H1은 곡면부(417) 및 플랫부(416)를 포함한다.
상기 축결합부재(440)는 상기 곡면부(417)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곡면부(417)를 관통한다. 상기 곡면부(417)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축결합부재(440)를 둘러싸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430)는 허브(410)의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흡입구(43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432)는 상기 쉬라우드(430)를 관통하고, 상기 흡입구(432)를 통해 상기 허브(410)가 노출된다. 상기 흡입구(432)의 직경을 H3이라 정의한다. 상기
상기 흡입구의 직경(H3)은 곡면부(417)의 직경(H2)보다 크고, 허브(410)의 직경(H1)보다 작다. 상기 흡입구의 직경(H3)이 허브(410)의 직경(H1)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곡면부(417)를 형성시키기 위한 금형은 상기 흡입구(432)를 통해 진입되어야만 한다.
상기 허브(410) 및 쉬라우드(430)는 회전축(C)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흡입구(432)는 탑뷰로 볼 때 전체적인 형상이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쉬라우드(430)의 측단면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쉬라우드(430)의 일측단(433)은 상측(회전축(C)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고, 타측단(434)은 측방향(회전축(C)과 교차되는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420)는 허브(410) 및 쉬라우드(430) 사이에 배치되고, 원샷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허브(410) 및 쉬라우드(430)와 일체로 제작된다.
복수의 블레이드(420)는 허브(410)의 회전축(C)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블레이드(420)는 일단(본 실시예에서 상측단)이 허브(410)와 일체화되고, 타단(본 실시예에서 하측단)이 쉬라우드(430)와 일체화된다. 복수의 블레이드(420)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팬(400)의 회전 시, 각 블레이드(420)들 사이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블레이드(420)는 허브(410)의 곡면부(417) 측을 향하게 배치된 안쪽 가장자리(420a)와, 허브(410)의 플랫부(416) 측을 향하게 배치된 바깥쪽 가장자리(420b)와, 상기 쉬라우드(430)와 접하게 형성된 상측 가장자리(420c)(420e)와, 허브(410)와 접하게 형성된 하측 가장자리(420d)(420f)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가장자리(420c)(420e)는 블레이드(420)의 내측면 상측 가장자리(420c) 및 외측면 상측 가장자리(420e)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420)는 내측면(421) 및 외측면(422)를 포함하고, 평단면으로 볼 때,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B)이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420)의 안쪽 가장자리(420a)는 곡면부(417)에 배치되고, 바깥쪽 가장자리(420b)는 플랫부(416)에 배치된다. 상기 안쪽 가장자리(420a)는 회전축(C)과 가깝게 배치되고, 바깥쪽 가장자리(420b)는 상기 안쪽 가장자리(420a)보다 상기 회전축(C)과 멀리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C)에서 안쪽 가장자리(420a)까지의 거리를 K1이라 정의하고, 상기 회전축(C)에서 바깥쪽 가장자리(420b)까지의 거리를 K2라 정의한다.
상기 바깥쪽 가장자리(420b)에서 상기 안쪽 가장자리(420a)를 향하는 가상의 선(K3)은 인접한 블레이드(420)의 내측면(421)을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K3 선상에 인접한 블레이드(420)의 내측면(421)이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2개의 블레이드(420)에서 각 안쪽 가장자리(420a) 사이의 길이를 F1이라 정의하고, 각 바깥쪽 가장자리(420b) 사이의 길이를 F2라 정의한다. 그리고 안쪽 가장자리(420a)에서 K3 방향에 위치한 블레이드(420)와의 최단거리를 F3이라 정의한다. 인접한 2개의 블레이드(420)는 F2 > F1 > F3를 형성한다.
상기 F1 및 F2 보다 F3가 짧기 때문에, 블레이드(420)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블럭은 상기 K3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F3을 통과하여 진입해야하고, 성형 후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퇴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F3의 두께가 상기 F1 및 F2 보다 짧기 때문에, 상기 F3를 통과하는 금형블럭의 두께는 상기 F3의 길이와 같거나 짧아야 한다.
상기 블레이드(420)의 일단은 쉬라우드(430)의 내면(431)과 일체화되고, 상기 공간(B)의 일단은 상기 쉬라우드(430)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공간(B)은 상기 내측면(421) 및 외측면(422)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420)의 내부에 공간(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420)의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420)의 타단은 상기 허브(410)와 일체화되고, 상기 공간(B)의 타단은 개방된다. 상기 허브(410)를 관통하는 개구부(418)가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420)는 플랫부(416) 및 곡면부(417)에 걸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개구부(418) 역시 플랫부(416) 및 곡면부(417)에 걸쳐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418)는 상기 허브바디(415)의 저면을 따라 형성되고, 일부는 상기 플랜부(416)에 위치되고, 나머지는 상기 곡면부(417)에 위치된다.
상기 개구부(418)를 통해 블레이드(420)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 삽입된다.
상기 허브(410)에는 상기 팬(400)의 사출성형을 위한 복수개의 게이트(미도시)가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를 통해 사출수지가 주입되고, 주입된 사출수지를 통해 상기 팬(400)이 성형된다.
상기 팬(400)을 형성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게이트에서 동시에 사출수지를 주입해야한다. 상기 게이트는 팬(400)을 성형하는 금형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허브(410)의 저면(410a)에 사출흔(401)을 형성한다. 상기 사출흔(401)은 게이트와 연결된 흔적이다.
상기 허브(410)의 상면에 블레이드(420)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게이트는 상기 허브(410)의 저면(410a)에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사출흔(401)은 쉬라우드(43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출흔(401)의 개수와 상기 블레이드(420)의 개수는 같다. 상기 사출흔(401)은 2개의 블레이드(420)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게이트에서 균일한 압력 및 양으로 사출수지를 공급해야만 팬(400)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각 사출흔(401)은 회전축(C)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각 사출흔(401)들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는 각 블레이드(420)들 사이 사이에 각각 게이트가 위치되어 사출수지를 공급하기 때문에, 각 블레이드(420)들 사이 사이에 사출흘(40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4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사출흔(40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출흔(401)은 플랫부(416)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출흔(401)은 상기 회전축(C)을 기준으로 하는 K1 및 K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사출흔(401)이 상기 블레이드(420)의 안쪽 가장자리(420a) 및 바깥쪽 가장자리(420b) 사이에 위치되어야 블레이드(420)가 형성되는 금형공간으로 사출수지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420)의 내측면(421) 및 외측면(422)에는 각각 파팅라인(450)(460)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면(421)에 형성된 파팅라인(450)을 이너파팅라인(450)이라 정의하고, 상기 외측면(422)에 형성된 파팅라인(460)을 아우터파팅라인(460)이라 정의한다.
파팅라인은 사출성형 시, 금형블럭들이 맞닿은 경계에 사출수지가 침투하여 형성된다. 종래 터보팬의 블레이드들은 별도로 제작된 후 초음파융착되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표면에 파팅라인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420)는 팬(400)의 원샷 사출성형 시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표면에 파팅라인들이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420) 표면에 형성된 파팅라인을 통해 원샷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었는지 또는 초음파융착을 통해 접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출성형을 통해 블레이드만을 제작할 경우, 금형틀 안에 사출수지를 주입하기 때문에, 별도로 제작된 블레이드의 표면은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원샷 사출성형을 통해 팬(400)을 제작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420)의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금형블럭으로 제작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420)의 외측면(422)을 형성시키기 위해 2개의 금형블럭이 맞닿고, 상기 블레이드(420)의 내측면(421)을 형성시키기 위해 4개의 금형블럭이 맞닿는다.
상기 이너파팅라인(450)은, 허브(410) 및 쉬라우드(430)를 연결하는 제 1 이너파팅라인(451)과, 상기 제 1 이너파팅라인(451)에서 상기 블레이드(420)의 안쪽 가장자리(420a)를 연결하는 제 2 이너파팅라인(452)과, 상기 제 1 이너파팅라인(451)에서 상기 블레이드(420)의 바깥쪽 가장자리(420b)를 연결하는 제 3 이너파팅라인(45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이너파팅라인(451)은 블레이드(420)의 상측 가장자리(420c) 및 하측 가장자리(420d)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너파팅라인(452)은 내측면(421) 및 외측면(422)의 안쪽 경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이너파팅라인(453)은 내측면(421) 및 외측면(422)의 바깥쪽 경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너파팅라인(45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금형블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이너파팅라인453)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금형블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너파팅라인(452) 및 제 3 이너파팅라인(453)의 높이는 다르게 배치된다. 이는 금형블럭이 블레이드(420)들 사이로 진입된 후 후퇴하는 방향 및 공간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420)의 상측에 상기 쉬라우드(430)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420)를 성형하는 금형블럭이 상측으로 후퇴할 수 없고, 측방향으로 진입 또는 후퇴되어야 한다. 상기 블레이드(420)를 성형하는 금형블럭이 쉬라우드(430)의 하측면 및 허브(410)의 상측면도 동시에 성형해야 한다.
상기 아우터파팅라인(460)은 상기 블레이드(420)의 상측 가장자리(420e) 및 안쪽 가장자리(420a)를 연결한다. 상기 아우터파팅라인(460)은 2개의 금형블럭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파팅라인(460)은 상기 블레이드(420)의 상측 가장자리(420e)에서 하측 가장자리(420f)를 향해 형성된 제 1 아우터파팅라인(461)과, 상기 제 1 아우터파팅라인(461)과 90도 이상 180도 이내의 사이각(A)을 형성하고, 상기 안쪽 가장자리(420a)에서 상기 제 1 아우터파팅라인(461)과 연결된 제 2 아우터파팅라인(46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아우터파팅라인(461) 및 제 2 아우터파팅라인(462)의 교차점은 상기 블레이드(420)의 중간 이상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쉬라우드(430)와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아우터파팅라인(461) 및 제 2 아우터파팅라인(462)에 의한 사이각(A)은 안쪽 가장자리(420a)를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은 원샷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된 팬이다. 종래 팬은 쉬라우드, 블레이드 및 허브가 각각 제작된 후 초음파 융착을 통해 제작된 팬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원샷 사출성형된 팬은 종래 팬보다 살빼기를 적용할 수 있고, 중량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살빼기 위치는 블레이드(420)의 상측 가장자리(420c)(420e) 또는 하측 가장자리(420d)(40f)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420)의 상측 가장자리(420c)(420e) 및 하측 가장자리(420d)(40f)에서 모두 살빼기를 적용한다.
블레이드(420)에 살빼기를 적용할 경우, 두꺼운 살두께로 인한 블레이드(420)의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허브, 블레이드 및 쉬라우드가 유사한 두께로 형성될 경우, 사출수지의 냉각속도를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종래와 같이 블레이드의 살두께가 허브 또는 쉬라우드 보다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 원샷 사출성형 후 식는 과정에서 열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2는 종래 팬과 원샷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된 팬의 회전수 및 풍량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팬과 본 실시예에 따른 팬은 회전수의 증가에 따른 풍량이 유사함을 알 수 있다. 특히, 620rpm에서 종래 팬과 본 실시예에 따른 팬은 33.7CMM의 풍량이 토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종래 팬과 원샷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된 팬의 풍량 및 소비전력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팬과 본 실시예에 따른 팬은 풍량 및 소비전력이 유사하게 구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2CMM의 풍량에서,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팬과 본 실시예에 따른 팬은 모두 77.6W의 소비전력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팬은 32CMM 이하에서 종래 팬보다 소비전력이 적게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종래 팬과 원샷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된 팬의 풍량 및 소음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팬과 본 실시예에 따른 팬은 동일 풍량 대비 소음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2CMM 풍량의 경우, 종래 팬은 42.9dBA의 소음을 발생시키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팬은 42.5dBA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약 0.4dBA 만큼의 소음개선 효과가 있다. 살빼기에 따른 소음개선 효과는 전체 풍량구간에서 고르게 구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팬을 사출성형하기 위한 금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 1 금형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제 2 금형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장치(1000)는 제 1 금형모듈(1100), 제 2 금형모듈(1200) 및 복수개의 컬럼(1001)(1002)(1003)(100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의 허브(410) 측에 상기 제 2 금형모듈(1200)이 배치되고, 상기 쉬라우드(430) 측에 상기 제 1 금형모듈(110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금형모듈(1100)은 고정되고, 상기 제 2 금형모듈(1200)은 상기 제 1 금형모듈(1100)을 향해 이동가능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금형모듈(1200)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금형모듈(1100)은 장치에 고정된 베이스블럭(1110)과, 상기 베이스블럭(1110)에 고정되고, 상기 허브(410)의 곡면부(417) 중 일부를 형성하는 코어블럭(1120)과, 상기 베이스블럭(11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코어블럭(1120) 주변에 배치된 이동블럭(113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블럭(1130)은 상기 코어블럭(1120)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코어블럭(1120)의 이동은 상기 제 2 금형모듈(1200)의 이동과 연동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블럭(1130)이 상기 코어블럭(1120)에 밀착된 후 사출수지가 게이트(1210)를 통해 주입됨으로서 블레이드(42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1210)는 상기 제 2 금형모듈(1200)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블럭(1130)은 블레이드(420)의 내측면(421) 및 외측면(422)의 곡면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개의 조각블럭으로 구성되고, 각 조각블럭은 다른 조각블럭과 상대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 이동모듈(1200)의 이동과 이동블럭(1130)의 이동을 연동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기구적인 결합구조 이용한다.
상기 각 이동블럭(1130)에는 가이드홈(1135)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금형모듈(1200)에는 각 가이드홈(1135)에 삽입되는 가이드바(1235)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바(1235)의 일단은 제 2 금형모듈(1200)에 고정되고, 타단(1236)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자유단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바(1235)의 타단(1236)이 상기 가이드홈(1135)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바(1235)의 일단(1234)은 회전축(C)과 가깝게 배치되고, 타단(1236)은 상기 일단(1234)보다 회전축(C)과 멀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가이드바(1235)들은 팬(400)의 회전축(C)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넓게 펼쳐진 형태로 배치된다. 각 가이드바(1235)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회전축(C)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탑뷰로 볼때에서 상기 회전축(C)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바(1235)의 경사진 배치를 통해 상기 이동블럭(1300)을 코어블럭(1120)에 대해 비스듬한 사선 방향으로 진입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금형모듈(1200)의 이동을 통해 상기 가이드바(1235)의 타단(1236)이 상기 가이드홈(1135)에 삽입된 후, 상기 제 2 금형모듈(1200)이 상기 제 1 금형모듈(110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블럭(1130)은 상기 가이드바(1235)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코어블럭(1120) 측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제 2 금형모듈(1200)이 상기 제 1 금형모듈(110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이드바(1235)가 상기 이동블럭(1130)을 코어블럭(1120) 측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반대로 상기 제 2 금형모듈(1200)이 상기 제 1 금형모듈(11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이드바(1235)가 상기 이동블럭(1130)을 코어블럭(1120) 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케이스 110 : 케이스하우징
130 : 실내열교환기 140 : 실내송풍팬
400 : 팬 410 : 허브
420 : 블레이드 430 : 쉬라우드
450 : 이너파팅라인 460 : 아우터파팅라인
401 : 사출흔

Claims (11)

  1. 모터축이 연결되는 허브;
    상기 허브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앙에 흡입구가 형성된 쉬라우드;
    상기 허브 및 쉬라우드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 내부에 형성된 공간;
    상기 허브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 배치되고, 사출수지가 주입된 사출흔이 형성되고, 상기 사출흔은 상기 개구부와 같은 방향에 배치된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들의 개수와 상기 사출흔의 개수가 동일한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출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인접한 2개의 블레이드들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모터축이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부;
    상기 곡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출흔은 상기 플랫부에 배치된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모터축이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부;
    상기 곡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플랫부 및 곡면부에 걸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공간(B)을 감싸고, 내측을 향하게 배치된 내측면;
    상기 공간(B)을 감싸고, 외측을 향하게 배치된 외측면;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쉬라우드와 접하게 형성된 내측면 상측 가장자리; 상기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허브와 접하게 형성된 내측면 하측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내측을 향하게 배치된 안쪽 가장자리; 외측을 향하게 배치된 바깥쪽 가장자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KR1020190039906A 2019-04-05 2019-04-05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KR102124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906A KR102124929B1 (ko) 2019-04-05 2019-04-05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906A KR102124929B1 (ko) 2019-04-05 2019-04-05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929B1 true KR102124929B1 (ko) 2020-06-19

Family

ID=7113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906A KR102124929B1 (ko) 2019-04-05 2019-04-05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9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112A1 (ko) * 2020-09-09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
WO2024043479A1 (ko) * 2022-08-22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361A (ja) * 1999-06-21 2001-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風機羽根車の製造方法
KR100563801B1 (ko) 2005-07-05 2006-03-28 주식회사 유한엔지니어링 조립식 날개를 가진 송풍팬 및 그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KR20140124196A (ko) 2013-04-16 2014-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KR20180130336A (ko) * 2017-05-29 2018-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원심팬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90009574A (ko) * 2017-07-19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및 팬 사출용 금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361A (ja) * 1999-06-21 2001-0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風機羽根車の製造方法
KR100563801B1 (ko) 2005-07-05 2006-03-28 주식회사 유한엔지니어링 조립식 날개를 가진 송풍팬 및 그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KR20140124196A (ko) 2013-04-16 2014-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KR20180130336A (ko) * 2017-05-29 2018-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원심팬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90009574A (ko) * 2017-07-19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및 팬 사출용 금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112A1 (ko) * 2020-09-09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
WO2024043479A1 (ko) * 2022-08-22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4678B2 (ja) 遠心送風機
US20140341748A1 (en) Axial-flow fan
JP669025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2124929B1 (ko) 공기조화기를 위한 터보팬
CN106016453B (zh) 顶棚埋入型空气调节器
KR101285176B1 (ko) 공기조화기
KR200466110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462303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5574841B2 (ja) ターボファ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0806576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CN111442378B (zh) 吊顶式空调室内机
KR102370822B1 (ko) 공기조화기용 원심팬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343464B1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20220033347A (ko) 팬, 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팬의 제조방법
KR200461853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6455225B2 (ja) 空気調和機
US20230175710A1 (en) Fan,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fa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an
KR10035877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217513B1 (ko) 소음 저감 냉각탑
JP2012211576A (ja) 遠心送風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S642860B2 (ko)
JP7467025B2 (ja) 送風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111442375B (zh) 吊顶式空调室内机
KR101419943B1 (ko)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팬 어셈블리
KR102645031B1 (ko) 냉장고용 송풍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