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137A -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137A
KR20220033137A KR1020200115136A KR20200115136A KR20220033137A KR 20220033137 A KR20220033137 A KR 20220033137A KR 1020200115136 A KR1020200115136 A KR 1020200115136A KR 20200115136 A KR20200115136 A KR 20200115136A KR 20220033137 A KR20220033137 A KR 2022003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tag
mass
absorbed energy
mass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266B1 (ko
Inventor
김종문
이학봉
박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이학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이학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1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2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01N3/303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generated only by free-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9Hammer or pendul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낙하 프레임 하부에 위치되며 시편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를 갖는 시편 지지대와, 낙하 프레임 내에서 자유 낙하하며 시편 지지대에 지지된 시편을 타격하는 타격부를 갖는 질량체와, 질량체가 시편에 충돌 직전 질량체의 제1 속도와 질량체의 충돌에 의한 시편의 파괴 직후의 질량체의 제2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 및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속도정보에 기초하여 시편의 흡수에너지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ABSORPTION ENERGY OF SPECIMEN}
본 발명은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시편이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최대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격시험기는 충격시험대상 및 시험조건에 따라 샤르피 충격시험기, 홈킨슨봉 충격시험기, 자유낙하형 충격시험기 및 레인건 등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충격시험기들은 재료의 변형속도를 기준으로 저속충격시험과 고속충격시험으로 구분되며 충격시험의 목적은 재료의 충격물성 획득 및 제품의 충격안전성 평가를 위해 사용된다.
특히 자유낙하형 충격시험기의 경우 비교적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고, 낙하물의 무게를 달리할 수 있으며, 또한 낙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제품에 가할 수 있는 충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강점이 있고, 또한 낮은 가격으로도 구현 가능하여 많이 적용되고 있는 충격시험기 중 하나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58810호(2006.06.01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정확하고 정량적인 흡수 에너지 측정이 가능하면서 반복 재현성을 높여 신뢰성이 우수한 측정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낙하 프레임과, 상기 낙하 프레임 하부에 위치되며, 시편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를 갖는 시편 지지대와, 상기 낙하 프레임 내에서 자유 낙하하며, 상기 시편 지지대에 지지된 시편을 타격하는 타격부를 갖는 질량체와, 상기 질량체가 상기 시편에 충돌 직전 상기 질량체의 제1 속도와 상기 질량체의 충돌에 의한 상기 시편의 파괴 직후의 상기 질량체의 제2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속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편의 흡수에너지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질량체에 연결되며 태그를 갖는 감응부재와, 상기 태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는 상기 질량체가 상기 시편 충돌 직전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제1 태그와, 상기 시편의 파괴 직후에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제2 태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태그는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태그는 제2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의 두께정보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상기 태그의 감지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편의 흡수에너지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태그와 상기 제2 태그는 높이차이를 두고 상호 이격되되, 상기 제2 태그는 상기 제1 태그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와 상기 타격부는 수직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태그와 상기 제2 태그의 높이차이(H)는 아래 수학식을 만족한다.
[수학식] 높이차이(H) = 시편의 높이(h) + 받침부 원둘레 길이(πR2)의 10~15%
상기 시편 지지대는 병렬 배치되는 한 쌍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가시광선, 적외선,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방출하여 상기 태그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태그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자기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정량적 흡수 에너지 측정이 가능하면서 반복 재현성과 측정 데이터의 신뢰도가 우수한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응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질량체가 자력발생부재로부터 분리 후 자유낙하하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질량체가 시편에 충돌 직전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질량체가 시편을 파괴한 직후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응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금속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10)는 낙하 프레임(20)과, 낙하 프레임(20)의 하부에 배치된 시편 지지대(30)와, 시편 지지대(30) 위에 얹힌 시편(11)을 타격하기 위한 질량체(40)와, 질량체(40)를 소정 높이로 들어 올린 후 낙하시키기 위한 리프팅 장치(50)와, 자유 낙하하는 질량체(40)가 시편(11)에 충돌 직전의 질량체(40)의 제1 속도 및 질량체(40)가 시편(11)에 충돌하여 시편(11)을 파괴한 직후의 질량체(40)의 제2 속도를 계측하기 위한 감지부(60)와, 감지부(60)에 의해 감지된 속도정보에 기초하여 시편의 흡수에너지를 연산하여 표시부(90)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
낙하 프레임(2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원통 형상 또는 중공의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낙하 프레임(20)의 내면에는 질량체(40)의 낙하 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낙하 프레임(20)은 질량체(40)가 박스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네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낙하 프레임(20)은 질량체(40)의 안정적 낙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질량체(40)는 낙하 프레임(20)의 상부에서 자유 낙하하여 시편(11)에 충격을 가하는 부재이다. 질량체(40)는 원통형상 또는 박스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질량체(40)는 낙하 프레임(20)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몸체부(41)와, 몸체부(41)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시편(11)을 타격하는 타격부(42)를 포함한다. 타격부(42)는 몸체부(41)의 하단 중앙에서 소정두께를 가지는 사각패널 형태로 연장된 몸체부(43)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타격부(42)는 시편(11)을 타격 시 질량체(40)가 가지는 에너지를 시편(11)에 온전히 가하도록 수직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타격부(42)가 시편(11)과 접촉될 때 타격부(42)는 시편(11)과 선 접촉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게 된다.
리프팅 장치(50)는 낙하 프레임(20) 내에서 질량체(40)를 낙하 위치까지 들어 올린 후 낙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리프팅 장치(50)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질량체(40)를 부착시키기 위한 자력발생부재(51)와, 자력발생부재(51)를 들어 올리는 권취유닛(52)을 포함한다.
자력발생부재(51)는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력을 발생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자기력을 발생하지 않는 전자석을 포함한다. 자력발생부재(51)의 자기력에 의해 질량체(40)는 자력발생부재(51)에 부착되고, 전원이 차단됨에 의해 질량체(40)는 자력발생부재(5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권취유닛(52)은 자력발생부재(51)를 들어 올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와이어(53)를 권취하는 윈치(54)를 포함할 수 있다.
윈치(54)는 전동모터, 유압모터, 유압실린더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와이어(53)는 윈치(54)를 구성하는 드럼에 감기거나 이로부터 풀리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윈치(54)와 자력발생부재(51) 사이에는 와이어(53)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풀리(55)가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리프팅 장치(50)는 윈치(54)로 구성된 권취유닛(52)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자력발생부재(51)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로서, 리프팅 장치(50)는 권상용 로프 끝에 후크를 이용하여 자력발생부재(51)를 들어 올리는 크레인, 호이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편 지지대(30)는 시편(11)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란히 병렬 배치되는 한 쌍을 구비할 수 있다. 시편 지지대(30)는 소정두께와 높이를 갖는 사각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편 지지대(30)의 상부에는 시편(11)의 하단이 접촉 지지되는 받침부(31)가 마련될 수 있다. 받침부(31)는 질량체(40)가 시편(11) 타격 시 질량체(40)가 가지는 에너지가 시편(11)에 온전히 가해지도록 하면서 시편(11)이 파괴된 후 시편(11)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수직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시편 지지대(30) 사이의 간격(D)은 타격부(42) 반경(R1)의 10배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타격부(42)가 시편(11)을 파괴한 후 파괴된 시편(11)에 의한 타격부(42)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시편(11)의 너비(L)는 타격부(42) 반경(R1)의 13배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감지부(60)는 질량체(40)가 시편(11)에 충돌 전,후의 질량체(40)의 속도를 각각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질량체(40)와 연결되어 질량체(40)와 함께 이동하는 감응부재(70)와, 감응부재(70)에 마련된 태그(74,75)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1)를 포함한다.
감응부재(70)는 질량체(40)의 몸체부(41)에 연결되는 연결부(71)와, 연결부(71)의 단부에서 높이차이(H)를 두고 마주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태그부재(72,73)를 포함한다.
연결부(71)는 낙하 프레임(20)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개구된 슬롯(21)을 관통하여 슬롯(2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고, 한 쌍의 태그부재(72,73)는 낙하 프레임(2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태그부재(72,73)는 각각 소정두께(Th1,Th2)를 갖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태그부재(72,73)의 각 자유단부에는 감지센서(61)에 의해 감지되기 위한 태그(74,75)가 마련될 수 있다.
태그(74,75)는 질량체(40)가 시편(11) 충돌 직전 감지센서(61)에 의해 감지되는 제1 태그(74)와, 제1 태그(74)의 상부에 위치되어 시편(11)의 파괴 직후 감지센서(61)에 의해 감지되는 제2 태그(75)를 포함한다.
제1 태그(74)의 두께(Th1)와 제2 태그(75)의 두께(Th2)는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각 태그(74,75)의 두께정보는 제어부(80)에 저장된다. 또한, 제1 태그(74)와 제2 태그(75)는 감지센서(61)에 의한 검출이 가능한 표식이 마킹될 수 있다. 한편, 제1 태그(74)와 제2 태그(75)의 두께는 설계조건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감지센서(61)는 낙하 프레임(20)의 외측에 배치되고, 질량체(40)와 함께 이동하는 태그(74,75)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센서는 가시광선, 적외선, 초음파 등의 신호를 방출하여 태그(74,75)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센서는 속도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 신호를 방출하는 것이 좋다.
감지센서(61)는 질량체(40)가 시편(11)에 충돌 직전에 제1 태그(74)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8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감지센서(61)가 제1 태그(74)를 감지한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고, 타이머는 감지센서(61)가 제1 태그(74)를 수신한 시작시간(T1)과 제1 태그(74)의 수신을 종료한 종료시간(T2)을 카운팅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감지센서(61)가 제1 태그(74)를 감지한 감지시간 정보와 제1 태그(74)의 두께정보로부터 [수학식 1]에 의해 질량체(40)가 시편(11)에 충돌 직전의 제1 속도(V1)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V1= Th1/(T2-T1)
제어부(80)는 질량체(40)가 시편(11)에 충돌하는 순간의 운동에너지(E1)를 [수학식2]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E1 = mV1 2/2 , (여기서, m은 질량체의 질량)
한편, 감지센서(61)는 질량체(40)가 시편(11)에 충돌하여 시편이 파괴된 직후에 위치하는 제2 태그(75)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8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태그(75)는 제1 태그(74)보다 높이차이(H)만큼 높은 위치에 위치되게 되므로 감지센서(61)는 제1 태그(74)를 감지한 후 제2 태그(75)를 감지하게 된다.
제1 태그(74)와 제2 태그(75)의 높이차이(H)는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3]
높이차이(H) = 시편의 높이(h) + 받침부 원둘레 길이(πR2)의 10~15%
여기서, 받침부(31) 원둘레 길이의 10~15%를 반영하는 이유는 질량체(40)의 타격부(42)가 시편(11)을 타격하게 되면 시편(11)은 받침부(31)의 곡률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성변형 후 파괴되게 되는데, 받침부(31) 원둘레 길이의 10%까지는 시편(11)이 마찰하면서 떨어지게 되고, 받침부(31) 원둘레 길이의 15% 이상에서는 타격부(42)가 파괴된 시편(11)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시편(11)의 소성변형에 의한 측정불량을 제거하고 측정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제1 태그(74)와 제2 태그(75)의 높이차이(H)는 [수학식 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타이머는 감지센서(61)가 제2 태그(75)를 수신한 시작시간(T3)과 제2 태그(75)의 수신을 종료한 종료시간(T4)을 카운팅하고, 제어부(8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감지센서(61)가 제2 태그(75)를 감지한 감지시간 정보와 제2 태그(75)의 두께정보로부터 [수학식 4]에 의해 질량체(40)가 시편(11)에 충돌하여 시편(11)을 파괴한 직후의 제2 속도(V2)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4]
V2= Th2/(T4-T3)
제어부(80)는 질량체(40)가 시편(11)을 파괴한 직후의 속도(V2)를 이용하여 운동에너지(E2)를 [수학식5]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5]
E2 = mV2 2/2 , (여기서, m은 질량체의 질량)
그리고, 제어부(80)는 질량체(40)가 시편(11)과 충돌 직전의 운동에너지(E1)와 시편(11)를 파괴한 직후의 운동에너지(E2) 차이를 이용하여 시편(11)의 흡수에너지(E)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표시부(9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감지센서(61)가 태그(74,75)를 감지하는 광센서로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나, 태그(74,75)는 자기장 발생장치 또는 자성 물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감지센서(61)는 자기 센서(magnetic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90)는 제어부(80)에서 연산된 시편(11)의 흡수에너지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부(9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80)는 측정장치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명령을 수행하는 CPU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질량체가 자력발생부재로부터 분리 후 자유낙하하는 동작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질량체가 시편에 충돌 직전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의 질량체가 시편을 파괴한 직후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먼저, 시편(11)을 시편 지지대(30)에 정위치시켜 올려 놓은 후 질량체(40)를 리프팅 장치(50)를 이용하여 끌어 당기면서 질량체(40)를 시편(11)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질량체(40)는 자유 낙하에 의한 속도가 충분히 안정화될 수 있도록 낙하 높이가 최소 1m 이상이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낙하 시험준비를 마친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발생부재(5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에 의해 질량체(40)를 자력발생부재(51)로부터 분리시키고, 분리된 질량체(40)는 시편(11)을 향해 자유 낙하되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량체(40)와 연결된 감응부재(70)도 질량체(40)와 함께 낙하되게 되고, 질량체(40)의 타격부(42)가 시편(11)에 충돌하기 직전에 감지센서(61)는 제1 태그(74)를 감지하게 되면서 제1 태그(74)로부터 얻어지는 감지정보를 통해 제어부(80)는 질량체(40)가 시편(11)에 충돌하기 직전의 운동에너지(E1)를 산출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량체(40)가 시편(11)에 충돌하여 시편(11)이 파괴된 직후에 감지센서(61)는 제2 태그(75)를 감지하게 되고, 제2 태그(75)로부터 얻어지는 감지정보를 통해 제어부(80)는 시편(11)이 파괴된 직후의 운동에너지(E2)를 산출한다.
그 후, 제어부(80)는 연산된 운동에너지의 차이(E1 -E2)를 산출하여 표시부(90)를 통해 출력함에 의해 작업자에게 시편(11)이 갖는 흡수에너지 정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11: 시편,
20: 낙하 프레임, 21: 슬롯,
30: 시편 지지대, 31: 받침부,
40: 질량체, 42: 타격부,
50: 리프팅 장치, 51: 자력발생부재,
52: 권취유닛, 60: 감지부,
61: 감지센서, 70: 감응부재,
74: 제1 태그, 75: 제2 태그,
80: 제어부, 90: 표시부.

Claims (9)

  1.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낙하 프레임;
    상기 낙하 프레임 하부에 위치되며, 시편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를 갖는 시편 지지대;
    상기 낙하 프레임 내에서 자유 낙하하며, 상기 시편 지지대에 지지된 시편을 타격하는 타격부를 갖는 질량체;
    상기 질량체가 상기 시편에 충돌 직전 상기 질량체의 제1 속도와 상기 질량체의 충돌에 의한 상기 시편의 파괴 직후의 상기 질량체의 제2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속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편의 흡수에너지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질량체에 연결되며 태그를 갖는 감응부재와, 상기 태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는 상기 질량체가 상기 시편 충돌 직전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제1 태그와, 상기 시편의 파괴 직후에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제2 태그를 포함하는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그는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태그는 제2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그의 두께정보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상기 태그의 감지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편의 흡수에너지를 연산하는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그와 상기 제2 태그는 높이차이를 두고 상호 이격되되, 상기 제2 태그는 상기 제1 태그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타격부는 수직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태그와 상기 제2 태그의 높이차이(H)는 아래 수학식을 만족하는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수학식] 높이차이(H) = 시편의 높이(h) + 받침부 원둘레 길이(πR2)의 10~15%.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지지대는 병렬 배치되는 한 쌍을 구비하는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가시광선, 적외선, 초음파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방출하여 상기 태그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자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KR1020200115136A 2020-09-09 2020-09-09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KR102418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136A KR102418266B1 (ko) 2020-09-09 2020-09-09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136A KR102418266B1 (ko) 2020-09-09 2020-09-09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137A true KR20220033137A (ko) 2022-03-16
KR102418266B1 KR102418266B1 (ko) 2022-07-08

Family

ID=8093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136A KR102418266B1 (ko) 2020-09-09 2020-09-09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2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335A (ja) * 2002-07-15 2004-02-12 Fujitsu Ltd 落下試験装置
KR20040047087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자동 낙하시험장치
JP2005207790A (ja) * 2004-01-20 2005-08-04 Kobe Steel Ltd 落下試験装置
KR20060058810A (ko) 2004-11-26 2006-06-01 대한민국(기술표준원) 유기탄성체의 충격흡수량 측정장치
KR20090070559A (ko) * 2007-12-27 2009-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유낙하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자유낙하 검출장치
JP2011106844A (ja) * 2009-11-13 2011-06-02 Hitachi Technologies & Services Ltd 落下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335A (ja) * 2002-07-15 2004-02-12 Fujitsu Ltd 落下試験装置
KR20040047087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자동 낙하시험장치
JP2005207790A (ja) * 2004-01-20 2005-08-04 Kobe Steel Ltd 落下試験装置
KR20060058810A (ko) 2004-11-26 2006-06-01 대한민국(기술표준원) 유기탄성체의 충격흡수량 측정장치
KR20090070559A (ko) * 2007-12-27 2009-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유낙하 검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자유낙하 검출장치
JP2011106844A (ja) * 2009-11-13 2011-06-02 Hitachi Technologies & Services Ltd 落下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266B1 (ko)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317B1 (ko) 엘레베이터의 로우프 장력 측정장치
JP3934229B2 (ja) エレベータ巻上げロープ、巻上げロープ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RU25168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крюка и кран
EP26359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amining egg shells
US9377386B2 (en) Impact tester having a safety return arm
EP2380838A3 (en) Elevator rope slippage detecting device, and elevator apparatus
JP2008224632A (ja) 落錘式衝撃試験機を用いた衝撃吸収エネルギーの測定方法および落錘式衝撃試験機
EP2272783A3 (en) Elevator rope slippage detecting device, and elevator apparatus
CN110255379A (zh) 吊臂的旁弯检测方法、系统和旁弯监控系统
CN103359622A (zh) 起重机及其吊臂的安全控制系统、吊臂旁弯量的检测方法、控制装置及系统
CN111208022B (zh) 一种横置钢丝绳径向冲击下张力振动检测分析方法及装置
KR102418266B1 (ko) 시편의 흡수에너지 측정장치
CN103792055B (zh) 一种适用于中小桥梁快速诊断的冲击荷载装置
CN102030279A (zh) 起重机及其卷扬钢丝绳防过放保护装置
CN106556346A (zh) 一种安全锁性能参数非接触式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KR20160050909A (ko) 2차 낙하 충격이 방지되는 낙하 충격 시험기
CN110194419A (zh) 甲板起重机系统及甲板起重机的控制方法
CN211927571U (zh) 一种检验撞击时材料性能的检验装置
CN109341805A (zh) 一种新型的重锤料位计探头及其测量方法
CN107188044A (zh) 一种起重机吊重称量与防过载装置
CN203758717U (zh) 一种适用于中小桥梁快速诊断的冲击荷载装置
Kroneberger-Stanton et al. A monitor for indirect measurement of cable vibration frequency and tension
JP3647163B2 (ja) 円筒状スクリーンの壁間距離測定装置
JP2009085955A5 (ko)
KR200438972Y1 (ko) 크레인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