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058A -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에서 입체 힌더드 방향족 아민 또는 페놀 화합물의 부식방지 첨가제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에서 입체 힌더드 방향족 아민 또는 페놀 화합물의 부식방지 첨가제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058A
KR20220032058A KR1020227001744A KR20227001744A KR20220032058A KR 20220032058 A KR20220032058 A KR 20220032058A KR 1020227001744 A KR1020227001744 A KR 1020227001744A KR 20227001744 A KR20227001744 A KR 20227001744A KR 20220032058 A KR20220032058 A KR 20220032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e
sterically hindered
group
compound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민 장
하킴 엘-바히
줄리엔 게랭
Original Assignee
토탈 마케팅 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탈 마케팅 서비스 filed Critical 토탈 마케팅 서비스
Publication of KR2022003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33/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33/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133/1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10M169/045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the additives being a mixture of compounds of unknown or incompletely defined constitution and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04Hydroxy compounds
    • C10M129/10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68Esters
    • C10M129/76Esters containing free hydroxy or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10M135/32Heterocyclic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 C10M135/36Heterocyclic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 ring containing sulfur and carbon with nitrogen or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07/026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ertiary alk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7Partial esters
    • C10M2207/289Partial esters containing f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6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15/064Di- and triaryl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6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15/064Di- and triaryl amines
    • C10M2215/065Phenyl-Naphthyl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in the ring
    • C10M2219/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in the ring containing sulfur and carbon with nitrogen or oxygen in the ring
    • C10M2219/106Thia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2Inhibition of corrosion, e.g. anti-rust agents or anti-corro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2Bea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14Electric or magnetic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부식 방지 첨가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상기 윤활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마모방지 첨가제로서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의,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을 윤활하기 위한, 특히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 모터 및 파워 일렉트로닉스를 윤활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에서 입체 힌더드 방향족 아민 또는 페놀 화합물의 부식방지 첨가제로서의 용도
본 발명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특히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의 부식방지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CO2 배출 감소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 감소를 위한 국제 표준의 변경으로 인해 자동차 제조업체는 연소 엔진에 대한 대체 방안을 제안하게 되었다.
자동차 제조업체가 확인한 방안 중 하나는 연소 엔진을 전기 모터로 교체하는 것이다. 따라서 CO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는 많은 자동차 회사의 전기 자동차 개발로 이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전기 차량(electric vehicle)"은 연소 엔진 및 전기 모터를 결합된 추진 수단으로서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는 반대로, 유일한 추진 수단으로서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추진 시스템(propulsion system)"은 전기 자동차를 추진하는 데 필요한 기계 부품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추진 시스템은 특히 전기 모터 또는 파워 일렉트로닉스(속도 조절 전용)의 회전자-고정자 어셈블리, 변속기 및 배터리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의 다양한 부분, 특히 모터에서 움직이는 금속 부분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는 주요 목적으로 "윤활제(lubricants)"라고도 하는 윤활제 조성물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이러한 부품, 특히 이들의 표면의 조기 마모 또는 손상을 방지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윤활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베이스 오일의 윤활 성능을 자극하기 위한 여러 첨가제, 예를 들어 마찰 개질 첨가제 뿐만 아니라 추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여러 첨가제와 일반적으로 조합되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오일로 구성된다.
특히, 모터의 기계적 부품의 마모를 줄여 모터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마모방지(antiwear)" 첨가제가 고려된다.
다양한 마모방지 첨가제가 존재하며, 그 중 예를 들어 디머캅토티아디아졸, 폴리설파이드, 특히 황 기반 올레핀, 아민 포스페이트 또는 기타 인-황(phospho-sulfur) 첨가제, 예를 들어 금속 알킬티오포스페이트, 보다 구체적으로 아연 알킬티오포스페이트, 특히 아연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 즉 ZnDTP가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마모방지 첨가제 중에서 특히 선호되는 것은 디머캅토티아디아졸, 아연 디티오포스페이트 또는 폴리설파이드와 같은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 방지제이다.
불행히도, 디머캅토티아디아졸과 같은 이러한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는 부식성이 있다는 결점이 있다. 부식 문제는 전기 추진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하다. 특히, 부식은 고정자 및 회전자 권선, 추진 시스템의 센서, 유압 시스템의 솔레노이드 밸브뿐만 아니라 전기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구름 베어링의 열화 위험을 초래할 수 있고, 이들은 일반적으로 구리를 기반으로 하므로 부식 또는 추진 시스템의 씰 또는 바니시에 특히 취약하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추진 시스템을 냉각할 수 있으려면 전기 부품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제를 절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전도성 윤활제는 고정자 및 회전자 권선에서 누설 전류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진 시스템의 효율이 감소하고 심지어 시스템이 손상될 정도까지 전기 부품이 과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 파워트레인 시스템에 윤활제를 사용하는 맥락에서, 윤활제가 비부식성 특성에 더하여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이러한 특성을 얻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를 포함하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에서 부식방지 첨가제로서의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보유하는 화합물, 특히 단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보유하는 화합물은 본문의 나머지 부분에서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보유하는 화합물(compounds bearing a sterically hindered amine or phenol function)"로 지칭된다.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기능을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힌더드(hindered) 방향족 아민 또는 페놀, 특히 알킬페놀은, 예를 들어 엔진 윤활제에서, 산화방지제로서의 기능에 대해 이미, 예를 들어 특허 출원 WO 제2006/06413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산화방지제는 일반적으로 사용 중인 조성물의 분해를 지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열화는 특히 침전물의 형성, 슬러지의 존재 또는 조성물의 점도 증가에 의해 특히 반영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윤활제 사용 중에 형성된 자유 라디칼을 포착할 수 있으므로 산 축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연쇄 반응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아는 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에 윤활제를 사용하는 맥락에서 부식 방지 첨가제로서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의 사용으로 인한 부식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제안된 적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부식방지 첨가제(anticorrosion additive)"는 금속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첨가제를 의미한다. 따라서, 조성물에 사용되는 부식방지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부식방지" 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사용은, 유리하게는 앞서 언급한 부식 문제를 극복하는 동시에 우수한 마모방지 성능을 갖는 윤활제 조성물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수한 마모방지 특성 및 부식방지 특성을 동시에 갖는다.
화합물의 부식(corrosive) (또는 부식(corroding))력은 비부식성 매질,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베이스 오일에 상기 테스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의, 미리 정해진 직경의 구리 와이어의 침지 시간의 함수로 상기 와이어의 전기 저항 값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는 테스트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이 전기 저항 값의 변화는 테스트 와이어의 직경 변화와 직접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연구된 구리 와이어의 직경 손실이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80시간 동안 침지 후 2μm 이하, 특히 20 시간 동안 침지 후 0.3μm 이하인 경우 화합물을 "비부식성(noncorrosive)"이라고 칭한다.
윤활제의 유전 특성은 특히 전기 비저항과 유전 손실(tan δ)로 표시되며 표준 IEC 60247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전기 비저항은 전류의 순환에 반대하는 물질의 용량을 나타낸다. 이는 옴-미터(Ω.m)로 표시된다. 전기 전도를 방지하려면 비저항이 낮아서는 안 된다.
전기 손실 계수 또는 손실 각 탄젠트는 윤활제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손실각 δ는 인가된 전압과 교류 전류 사이의 위상 변이의 상보적 각도이다. 이 계수는 줄 효과 에너지 손실을 반영한다. 따라서 가열은 δ 값에 직접 연관된다. 변속기 오일은 일반적으로 주변 온도에서 1차수의 tan δ 값을 갖는다. 우수한 절연 윤활제는 낮은 tan δ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방향족 아민, 특히 디아릴아민 화합물, 보다 특히 디페닐아민 화합물; 입체 힌더드 페놀, 특히 알킬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치환된 디페닐아민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는 특히 아민 관능기에 대해 파라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로 치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은 p,p'-부틸옥틸디페닐아민일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페놀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고, 이 중 알코올 관능기를 보유하는 탄소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탄소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10 알킬기 및 하이드록실 관능기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로 치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은 옥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또는 2,6-디-tert-부틸페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으로 의도된 윤활제 조성물로의 도입은 유리하게는 부정적인 부식 효과의 수반 없이 조성물에서 디머캅토티아디아졸과 같은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 방지제의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는 하기 본문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아민 기반 및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로부터 선택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티아(디)아졸 화합물, 특히 디머캅토티아디아졸 유도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은 제형화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우수한 마모방지 및 부식방지 성능 외에도, 이는 특히 산화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전기 절연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을 윤활하기 위한, 특히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 모터 및 파워 일렉트로닉스를 윤활하기 위한, 다음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 부식방지 첨가제(들)로서, 본 발명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아민 관능기 또는 입체 힌더드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 본 발명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을 윤활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기계 부품을, 부식방지 첨가제로서 본 발명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본 발명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과 접촉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을 윤활하는 공정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전기 모터 자체, 특히 전기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위치한 구름 베어링, 및/또는 변속기, 특히 감속기를 윤활하기 위해 사용된다.
놀랍게도, 하기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예를 들어 디아릴아민 타입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첨가제가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에 의해 유도된 부식 효과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특히 방향족 아민 또는 알킬 페놀 타입의 화합물의 첨가는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의 부식방지 특성을 유리하게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부식방지 첨가제(anticorrosion additive)"는 금속 부품의 부식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첨가제를 의미한다. 따라서, 조성물에 사용되는 부식방지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의 "부식방지" 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사용은, 유리하게는 앞서 언급한 부식 문제를 극복하는 동시에 우수한 마모방지 성능을 갖는 윤활제 조성물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수한 마모방지 특성 및 부식방지 특성을 동시에 갖는다.
화합물의 부식(corrosive) (또는 부식(corroding))력은 비부식성 매질,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베이스 오일에 상기 테스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의, 미리 정해진 직경의 구리 와이어의 침지 시간의 함수로 상기 와이어의 전기 저항 값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는 테스트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이 전기 저항 값의 변화는 테스트 와이어의 직경 변화와 직접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연구된 구리 와이어의 직경 손실이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80시간 동안 침지 후 2μm 이하, 특히 20 시간 동안 침지 후 0.3μm 이하인 경우 화합물을 "비부식성(noncorrosive)"이라고 칭한다.
윤활제의 유전 특성은 특히 전기 비저항과 유전 손실(tan δ)로 표시되며 표준 IEC 60247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전기 비저항은 전류의 순환에 반대하는 물질의 용량을 나타낸다. 이는 옴-미터(Ω.m)로 표시된다. 전기 전도를 방지하려면 비저항이 낮아서는 안 된다.
전기 손실 계수 또는 손실 각 탄젠트는 윤활제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손실각 δ는 인가된 전압과 교류 전류 사이의 위상 변이의 상보적 각도이다. 이 계수는 줄 효과 에너지 손실을 반영한다. 따라서 가열은 δ 값에 직접 연관된다. 변속기 오일은 일반적으로 주변 온도에서 1차수의 tan δ 값을 갖는다. 우수한 절연 윤활제는 낮은 tan δ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방향족 아민, 특히 디아릴아민 화합물, 보다 특히 디페닐아민 화합물; 입체 힌더드 페놀, 특히 알킬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치환된 디페닐아민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는 특히 아민 관능기에 대해 파라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로 치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은 p,p'-부틸옥틸디페닐아민일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페놀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고, 이 중 알코올 관능기를 보유하는 탄소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탄소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10 알킬기 및 하이드록실 관능기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로 치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은 옥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또는 2,6-디-tert-부틸페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으로 의도된 윤활제 조성물로의 도입은 유리하게는 부정적인 부식 효과의 수반 없이 조성물에서 디머캅토티아디아졸과 같은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 방지제의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는 하기 본문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아민 기반 및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로부터 선택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티아(디)아졸 화합물, 특히 디머캅토티아디아졸 유도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은 제형화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우수한 마모방지 및 부식방지 성능 외에도, 이는 특히 산화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전기 절연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을 윤활하기 위한, 특히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 모터 및 파워 일렉트로닉스를 윤활하기 위한, 다음을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 부식방지 첨가제(들)로서, 본 발명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아민 관능기 또는 입체 힌더드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 본 발명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을 윤활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기계 부품을, 부식방지 첨가제로서 본 발명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본 발명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과 접촉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을 윤활하는 공정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전기 모터 자체, 특히 전기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위치한 구름 베어링, 및/또는 변속기, 특히 감속기를 윤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방지 첨가제로서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용도의 다른 특징, 변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공되는 설명 및 이어지는 실시예를 읽으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문의 연속에서 "... 및 ... 사이의", "... 내지 ... 범위로" 및 "...에서...로 달라지는"의 표현은 동등하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한계가 포함됨을 의미한다.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부식방지 첨가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에서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제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부식방지제로 사용되는 첨가제는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특히 방향족 아민 및 힌더드 페놀을 포함하는 화합물은 산화방지 작용에 대해 윤활제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라디칼 억제제로 작용할 수 있다.
"입체 힌더드 관능기(sterically hindered function)"이라는 용어는 관능기가 입체 효과 또는 제약에 의해 장애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장애의 효과는 장애되지 않은(unhindered)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보다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훨씬 덜 친핵성으로 만들고, 따라서 친핵성 부가 반응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특허 출원 WO 제2006/064 138호, WO 제2011/073 960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의 사용에 의해 유발되는 부식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 시스템용 윤활제에서 부식방지 첨가제로 제안된 적이 없다.
힌더드 아민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특히 하기 본문에 정의된 바와 같이 방향족 아민으로부터 더욱 특히 선택될 수 있다.
힌더드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입체 힌더드 페놀, 특히 알킬페놀, 특히 하기 에 정의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따라서,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상기 화합물(들)은 방향족 아민, 입체 힌더드 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방향족 아민 타입의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을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20, 바람직하게는 C4-16 지방족 기, 또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된 폴리시클릭,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기를 나타내고; R5는 비치환 또는 적어도 하나의 C1-20 알킬 치환기를 갖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된 폴리시클릭 기이고; 또는
R3 및 R5는 함께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된 폴리시클릭 기를 형성한다.
방향족 아민은 보다 특히 치환 또는 비치환 디페닐아민,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나프틸아민, 치환 또는 비치환 페노티아진, 치환 또는 비치환 이미도디벤질, 치환 또는 비치환 N,N'-디페닐(페닐렌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힌더드 아민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질소 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아릴 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페닐기에 연결된 2차 아민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힌더드 아민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디아릴아민 화합물, 특히 아릴 기 중 적어도 하나가 페닐인 디아릴아민 화합물, 보다 특히 디페닐아민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힌더드 아민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에 상응하는 디아릴아민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아민 타입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상기에서 R6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다음 중에서 선택된다:
-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기, 바람직하게는 아민 관능기에 파라(para)로, 특히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된, 탄화수소계 기로 치환된 페닐기;
- 선택적으로 치환된 나프틸기, 바람직하게는 아민 관능기에 파라로, 특히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된, 탄화수소계 기로 치환된 나프틸기.
유리하게는,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치환된, 디페닐아민 화합물, 특히 아민 관능기에 대해 파라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1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로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힌더드 아민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하기 화학식 (I)의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I)
상기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기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힌더드 아민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상기 언급된 화학식 (I)의 것이고, 상기에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가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기,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상기 언급된 화학식 (I)의 것이고, 상기에서 R1 및 R2가, 서로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기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R1 및 R2는 아민 관능기에 대해 파라 위치에 있다.
즉, 힌더드 아민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하기 화학식 (I')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I')
상기에서 R1 및 R2는 이전에 정의된 바와 같다.
유리하게는,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선형 또는 분지형 옥틸 및 부틸 기로부터 선택된, 선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12, 바람직하게는 C3 내지 C10 알킬 기를 나타낸다.
힌더드 아민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로서, p,p'-부틸옥틸디페닐아민이 언급될 수 있다.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또한 입체 힌더드 페놀 타입의 화합물일 수 있다.
입체 힌더드 페놀 타입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페놀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며, 그 중 히드록실 관능기를 갖고 페닐 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탄소 원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탄소 원자는 히드록실 라디칼, 선형 또는 분지형 C1-10알킬, 디알킬아미노알킬기 또는 스티릴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입체 힌더드 페놀은 페놀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알코올 관능기를 갖는 탄소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탄소는 C1-C10 알킬 기 및 히드록실 관능기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로 치환된다.
즉, 힌더드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의 것일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II)
상기에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C1-C10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C6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4 알킬기, 예를 들어 tert-부틸; 또는 히드록실기를 나타내고;
벤젠 고리의, R1, R2 및 OH 기를 보유하는 탄소 원자와 다른, 탄소 원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특히, 힌더드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의 것일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II')
상기에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C1-C10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C6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4 알킬기, 예를 들어 tert-부틸; 또는 히드록실기를 나타내고;
n은 0과 3 사이의 정수이고;
R은, 서로 독립적으로, 옥틸옥시카보닐 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C2 내지 C10 알콕시카보닐 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아릴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10 알킬 기, 아릴 기(들) 자체는 하나 이상의 알킬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것이고; 및 수산기로부터 선택된다.
입체 힌더드 페놀 타입의 화합물의 예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BHT), t-부틸히드로퀴논(TBHQ), 2,6- 및 2,4-디-t-부틸페놀, 2,4-디메틸-6-t-부틸페놀, 피로갈롤 및 옥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입체 힌더드 페놀 타입의 화합물은, 히드록실 관능기에 대해 오르토(ortho) 위치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오르토 위치 둘 모두에 있는 페놀 기를 포함하는 "알킬페놀(alkylphenol)" 화합물, 입체 힌더드 알킬 기,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10, 특히 C1-C6, 특히 C4 알킬 기, 바람직하게는 tert-부틸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이는 상기 언급된 화학식 (II)의 화합물, 특히 상기 언급된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것일 수 있고, 상기에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심지어 R1 및 R2 기들 둘 모두가 C1-C10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C6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4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tert-부틸로부터 선택된다.
힌더드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입체 힌더드 페놀 타입의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로서, 옥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또는 2,6-디-tert-부틸페놀이 언급될 수 있다. 언급될 수 있는 입체 힌더드 페놀 타입의 훨씬 더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는 옥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입체 힌더드 방향족 아민 또는 페놀 타입의 화합물은 p,p'-부틸옥틸디페닐아민, 옥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6-디-tert-부틸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입체 힌더드 방향족 아민 또는 페놀 타입의 화합물은 p,p'-부틸옥틸디페닐아민, 옥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힌더드 방향족 아민 또는 페놀 타입의 화합물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산화방지제로 알려진,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다른 화합물이 본 발명에 따른 부식방지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다음 정의가 적용된다:
- "알킬(alkyl)":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지방족 기; 예를 들어, Cx 내지 Cy 알킬은 x 내지 y 탄소 원자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계 사슬을 나타낸다;
- "알케닐(alkenyl)": 선형 또는 분지형 불포화 지방족 기; 예를 들어, Cx 내지 Cy 알케닐 기는 x 내지 y 탄소 원자의 선형 또는 분지형 불포화 탄소계 사슬을 나타낸다;
- "알콕시(alkoxy)": 라디칼 -O-알킬, 상기에서 알킬기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다;
- "아릴(aryl)": 특히 5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방향족 기. 언급될 수 있는 아릴 기의 예는 페닐, 톨릴 및 나프틸 기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상기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들)은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 특히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방향족 아민, 특히 디아릴방향족 아민, 보다 특히 디페닐아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C1-C12 알킬 기로, 유리하게는 아민 관능기에 대해 파라 위치에서, 치환된, 디페닐아민;
- 특히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입체 힌더드 페놀,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관능기를 갖는 탄소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탄소가 적어도 하나의 C1-C10, 바람직하게는 C1-C6 및 특히 C4 알킬기, 특히 tert-부틸로 치환된, 페놀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 이들의 혼합물.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보유하는 화합물은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보유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들)은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3 중량%, 보다 특히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비율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이외의 어떠한 부식방지 첨가제도 포함하지 않는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트리아졸 타입 또는 숙신이미드 타입의 부식방지 첨가제가 없다.
윤활제 조성물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고려 중인 윤활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를 포함한다.
용어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amine-based and/or sulfur-based antiwear additive)"는 아민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및 아민 기반 및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나타낸다.
용어 "마모방지 첨가제(antiwear additive)"는 윤활제 조성물, 특히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의 마모방지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는, 예를 들어 티아(디)아졸 타입의 첨가제, 특히 디머캅토티아디아졸 유도체; 폴리설파이드 첨가제, 특히 황 기반 올레핀, 아민 포스페이트, 알킬티오포스페이트와 같은 인-황(phospho-sulfur) 첨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티아(디)아졸 첨가제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티아(디)아졸 마모 방지 첨가제를 포함한다.
티아(디)아졸 화합물은 5원자 고리에 황 원자와 적어도 하나의 질소 원자를 모두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벤조티아졸은 특정 타입의 티아(디아졸)이다. 이 용어 "티아(디)아졸(thia(di)azole)"은 5원자 고리당 1개의 황 원자 및 1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고리형 화합물 외에, 이러한 고리에 황 및 2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티아디아졸도 포함한다.
특히, 티아(디)아졸 화합물은 벤조티아졸 유도체, 티아졸 유도체 및 티아디아졸 유도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모방지 첨가제는 티아디아졸 유도체일 수 있다.
티아디아졸은 2개의 질소 원자, 1개의 황 원자, 2개의 탄소 원자 및 2개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일반화학식 C2N2SH2의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이고, 각각 다음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1,2,3-티아디아졸; 1,2,4-티아디아졸; 1,2,5-티아디아졸; 1,3,4-티아디아졸:
[화학식 7]
Figure pct00007
바람직하게는, 티아디아졸 유도체는 디머캅토티아디아졸 유도체이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디머캅토티아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모방지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어 "디머캅토티아디아졸 유도체(dimercaptothiadiazole derivative)"는 하기 4개의 디머캅토티아디아졸 분자로부터 유도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4,5-디머캅토-1,2,3-티아디아졸, 3,5-디머캅토-1,2,4-티아디아졸, 3,4-디머캅토-1,2,5-티아디아졸,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취해짐:
[화학식 8]
Figure pct00008
디머캅토티아디아졸 유도체는 보다 특히 4,5-디머캅토-1,2,3-티아디아졸, 3,5-디머캅토-1,2,4-티아디아졸, 3,4-디머캅토-1,2,5-티아디아졸 또는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기반의 분자 또는 분자의 혼합물이고, 상기에서 티아디아졸 고리의 적어도 하나의 치환 =S, 또는 심지어 두 치환 =S 모두 하기의 치환기로 대체된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상기에서 *는 5-원 고리의 탄소 원자와의 결합을 나타내고; n은 1, 2, 3 또는 4와 동일한 정수를 나타내고; R1은 수소 원자, 1 내지 24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8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6개,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 또는 방향족 치환기이다.
특히,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을 예로 들면,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 유도체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취해진, 하기 화학식들을 갖는 분자이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상기에서 R1 기(들)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1 내지 24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8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6개,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기 또는 방향족 치환체이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1, 2, 3 또는 4의 정수이고, n은 바람직하게는 1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선형 C1 내지 C24, 바람직하게는 C2 내지 C18, 특히 C4 내지 C16, 더욱 특히 C8 내지 C12, 바람직하게는 C12 알킬 기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된 디머캅토티아디아졸 유도체는 예를 들어 판매자Vanderbilt, Rhein Chemie 또는 Afton 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할 수 있다.
폴리설파이드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들)는 또한 폴리설파이드 타입, 특히 황 기반 올레핀의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황 기반 올레핀은 특히 일반 화학식 Ra-Sx-Rb로 표시되는 디알킬 설파이드일 수 있고, 상기에서 Ra 및 Rb는 3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이고, x는 2와 6 사이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설파이드 첨가제는 디알킬 트리설파이드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에 존재하는 마모방지 첨가제는 아민 기반 및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로부터 선택되고, 유리하게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티아(디)아졸 화합물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머캅토티아디아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0.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특히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들), 바람직하게는 티아(디)아졸 타입,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머캅토티아디아졸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첨가제 이외의, 특히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용으로 알려진 다른 마모방지 첨가제의 사용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들) 및 상기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들)의 조합에 의해 부여되는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생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요구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상기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이외의 마모방지 첨가제가 없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다음을 조합한다:
- 하나 이상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특히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방향족 아민, 특히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특히 디아릴 방향족 아민, 보다 특히 디페닐아민, 적어도 하나의 C1-C12 알킬기로, 유리하게는 아민 관능기에 대해 파라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치환된 디페닐아민;
입체 힌더드 페놀, 특히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관능기를 포함하는 탄소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탄소가, 적어도 하나의 C1-C10, 바람직하게는 C1-C6, 특히 C4 알킬기, 특히 tert-부틸로 치환된 페놀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및
-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특히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디머캅토티아졸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은, 특히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첨가제 및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외에, 일반적으로 윤활제 조성물에서 고려되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오일, 및 또한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오일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베이스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오일은 미네랄, 합성 혹은 천연, 동물성 또는 식물성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일반적으로 윤활제 오일 분야에서 사용되는 베이스 오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수개의 베이스 오일의 혼합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 3, 또는 4개의 베이스 오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베이스 오일은 특히 API 분류에 의해 정의되고 아래 표 1에 제시되어 있는 등급에 따라 그룹 I 내지 V (또는 ATIEL 분류에 따른 등가물)에 속하는 미네랄 또는 합성 유래의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포화물 함량 황 함량 점도 지수 (VI)
그룹 I
미네랄 오일
< 90% > 0.03% 80 ≤VI < 120
그룹 II
수소화 분해 오일
≥90% ≤ 0.03% 80 ≤ VI < 120
그룹 III
수소화분해 또는 수소화이성질화 오일
≥90% ≤ 0.03% ≥ 120
그룹 IV 폴리-α-올레핀 (PAO)
그룹 V 그룹 I 내지 IV에 속하지 않는 에스터 및 기타 베이스
미네랄 베이스 오일에는 원유를 대기 및 진공 증류, 이어서 용매 추출, 탈포(deasphalting), 용매 탈랍, 수소 처리, 수소화 분해, 수소화 이성질화 및 수소화 최종 처리와 같은 정제 작업에 의해 수득되는 모든 유형의 베이스 오일이 포함된다.바이오 원료로부터 공급될 수 있는 합성 및 미네랄 오일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성, 특히 점도, 점도 지수, 또는 산화 저항성의 특성을 가져야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베이스 오일의 사용에 관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의 베이스 오일은 또한 카르복실산 및 알코올의 특정 에스터와 같은 합성 오일, 폴리-α-올레핀 (PAO) 및 2 개 내지 8 개의 탄소원자, 특히 2 개 내지 4 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의 중합 또는 공중합에 의해 수득된 폴리알킬렌글리콜 (PAG)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베이스 오일로 사용되는 PAO는 예를 들어 4 개 내지 32 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단량체, 예를 들어 옥텐 또는 데센으로부터 수득된다. PAO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AO의 중량평균분자량은 600 Da 미만이다. PAO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또한 100 내지 600 Da, 150 내지 600 Da 또는 200 내지 600 Da 범위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의 베이스 오일(들)은 폴리-α-올레핀 (PAO), 폴리알킬렌 글리콜(PAG) 및 카르복실산 및 알코올의 에스터로부터 선택된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의 베이스 오일(들)은 그룹 II 또는 III 베이스 오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베이스 오일의 함량을 조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달려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그의 총 중량에 대해 적어도 50 중량%의 베이스 오일(들), 특히 그의 총 중량에 대해 60 중량% 내지 99 중량%의 베이스 오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첨가제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정의된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첨가제 및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와 상이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어떤 타입의 첨가제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첨가제의 성질 및 양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상기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들)과 상기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첨가제(들)의 조합에 의해 부여되는 마모방지 및 부식방지 성능의 측면에서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의 윤활 및/또는 냉각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이러한 첨가제는, 마찰 개질제, 세제, 극압 첨가제, 소포제, 유동점 강하 첨가제, 분산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다른 산화방지제, 유동점 강하제, 소포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성물은 마찰 개질제, 세제, 극압 첨가제, 소포제, 유동점 강하 첨가제, 분산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다른 산화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개별적으로 및/또는 ACEA(Association des Constructeurs Europe'ens d'Automobiles) 및/또는 API(American Petroleum Institute)에 의해 정의된 성능 수준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차량 엔진용 상용 윤활제 제형으로 이미 판매되는 것과 같은 혼합물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윤활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마찰 개질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 개질 첨가제는 금속 원소를 공급하는 화합물 및 무회분(ash-free)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금속 원소를 공급하는 화합물 중, 리간드가 산소, 질소, 황 또는 인 원자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화합물일 수 있는, Mo, Sb, Sn, Fe, Cu, Zn과 같은 전이 금속의 착물을 언급할 수 있다. 무회분 마찰 개질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유기 유래의 것이며 지방산 및 폴리올의 지방산 모노 에스터, 알콕실화 아민, 알콕실화 지방 아민, 지방 에폭사이드, 보레이트 지방 에폭사이드, 지방 아민 또는 글리세롤의 지방산 에스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 화합물은 탄소 원자 10 내지 24 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탄화수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윤활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2 중량% 또는 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5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2 중량%의 마찰 개질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산화 방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산화 방지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조성물의 분해를 지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분해는 특히 침전물의 형성, 슬러지의 존재 또는 조성물의 점도 증가로 반영될 수 있다.
산화 방지 첨가제는 특히 자유 라디칼 억제제 또는 과산화수소 파괴제로 작용한다.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상이한 산화 방지 첨가제는, 예를 들어 구리 화합물이고, 예를 들어 구리 티오 또는 디티오 포스페이트, 카르복실산의 구리 염 및 구리 디티오 카르바메이트, 설포네이트, 페네이트 및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이다. 구리 I 및 II 염 및 숙신산 또는 무수물 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타입의 산화 방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중량% 내지 2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산화 방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정의된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상이한 어떠한 산화방지 첨가제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세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는 일반적으로 산화 및 연소 부산물을 용해시켜 금속 부품 표면에 침전물 형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세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세제 첨가제는 긴 친유성 탄화수소 기반 사슬 및 친수성 헤드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화합물일 수 있다. 결합된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금속 양이온일 수 있다.
세제 첨가제는 카르복실산, 설포네이트, 살리실레이트 및 나프테네이트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그리고 또한 페네이트 염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은 우선적으로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또는 바륨이다.
이러한 금속염은 일반적으로 화학양론적 양 또는 초과량, 따라서 화학양론적 양보다 더 많은 양으로 금속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들은 과염기성 세제 첨가제이다; 세제 첨가제에 과염기화된 성질을 부여하는 과량의 금속은 일반적으로 오일에 불용성인 금속염, 예를 들어 카보네이트, 하이드록사이드, 옥살레이트, 아세테이트 또는 글루타메이트, 우선적으로는 카보네이트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윤활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2 중량% 내지 4 중량%의 세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제는 만니히 염기(Mannich bases), 숙신이미드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2 중량% 내지 10 중량%의 분산제(들)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숙신이미드 타입의 분산제 첨가제가 없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소포제는 실리콘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윤활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2 중량% 또는 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5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2 중량%의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윤활제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유동점 강하제(pour-point depressant; PPD)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핀 결정의 형성을 늦춤으로써, 일반적으로 유동점 강하 첨가제는 조성물의 저온 거동을 개선한다. 언급될 수 있는 유동점 강하 첨가제의 예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릴아미드, 폴리알킬페놀, 폴리알킬나프탈렌 및 폴리알킬스티렌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트리아졸 타입의 부식방지 첨가제 및 숙신이미드 타입의 분산제 첨가제가 없을 수 있다.
이러한 윤활제 조성물의 제형화의 관점에서, 상기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들)은 베이스 오일 또는 베이스 오일의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으며,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들)를 포함하는 다른 추가 첨가제는 그 다음에 추가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들)은 기존에 존재하던 일반적인 윤활제 조성물, 특히 하나 이상의 베이스 오일,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및 선택적으로 추가 첨가제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첨가제(들)는 하나 이상의 추가 첨가제와 조합될 수 있고, 이렇게 형성된 첨가제 "팩"은 베이스 오일 또는 베이스 오일의 혼합물에 첨가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표준 ASTM D445에 따라 100℃에서 측정된 1 내지 15 mm2/s 범위, 특히 3 내지 10 mm2/s 범위의 동점도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표준 ASTM D445에 따라 40℃에서 측정된 3 내지 80 mm2/s, 특히 15 내지 70 mm2/s 범위의 동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에 대해 90℃에서 측정된 전기 비저항 값은 5 내지 10,000 Mohm.m,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5000 Mohm.m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에 대해 90℃에서 측정된 유전 손실 값은 0.01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0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화학식 (X)W(Y)에 의해 정의된 SAEJ300 분류에 따른 등급일 수 있으며, 상기에서 X는 0 또는 5를 나타내고 Y는 4 내지 20 범위, 특히 4 내지 16 또는 4 내지 12 범위의 정수를 나타낸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하거나 심지어 하기로 이루어진다:
- 베이스 오일 또는 베이스 오일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폴리-α-올레핀(PAO), 폴리알킬렌 글리콜(PAG) 및 카르복실산 및 알코올의 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베이스 오일 또는 베이스 오일의 혼합물;
-하나 이상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특히 다음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방향족 아민, 특히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특히 디아릴 방향족 아민, 보다 특히 디페닐아민, 적어도 하나의 C1-C12 알킬기로, 유리하게는 아민 관능기에 대해 파라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치환된 디페닐아민;
입체 힌더드 페놀, 특히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관능기를 포함하는 탄소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탄소가, 적어도 하나의 C1-C10, 바람직하게는 C1-C6, 특히 C4 알킬기, 특히 tert-부틸로 치환된 페놀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티아(디)아졸 타입의 화합물, 특히 상기 정의된 디머캅토티아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아민 기반 및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 선택적으로 마찰 개질제, 세제, 극압 첨가제, 소포제, 유동점 강하 첨가제, 분산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다른 산화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첨가제.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하거나 심지어 하기로 이루어진다:
- 0.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3 중량%, 보다 특히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하나 이상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특히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하나 이상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특히 다음으로 선택되는 화합물:
방향족 아민, 특히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특히 디아릴 방향족 아민, 보다 특히 디페닐아민, 적어도 하나의 C1-C12 알킬기로, 유리하게는 아민 관능기에 대해 파라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치환된 디페닐아민;
입체 힌더드 페놀, 특히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관능기를 포함하는 탄소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탄소가, 적어도 하나의 C1-C10, 바람직하게는 C1-C6, 특히 C4 알킬기, 특히 tert-부틸로 치환된 페놀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 0.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3 중량%, 보다 특히 0.1 내지 1 중량%의,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티아(디)아졸 타입의 화합물, 특히 디머캅토티아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아민 기반 및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 60 중량% 내지 99.9 중량%의 베이스 오일(들), 바람직하게는 폴리-α-올레핀(PAO), 폴리알킬렌 글리콜(PAG) 및 카르복실산 및 알코올의 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베이스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
- 선택적으로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마찰 개질제, 세제, 극압 첨가제, 소포제, 유동점 강하 첨가제, 분산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다른 산화방지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
상기 함량은 상기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표현된다.
활용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윤활제 조성물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 보다 특히 모터 및 파워 일렉트로닉스용 윤활제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이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디머캅토티아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의,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을 윤활하기 위한, 특히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 모터 및 파워 일렉트로닉스를 윤활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은 특히 전기 모터 부품(1), 전기 배터리(2) 및 변속기, 특히 감속기(3) 를 포함한다.
전기 모터는 일반적으로 고정자(13) 및 회전자(14)에 연결된 파워 일렉트로닉스(11)를 포함한다. 고정자는 코일, 특히 교류 전류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구리 코일을 포함한다. 이것은 회전 자기장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자는 코일, 영구 자석 또는 기타 자성 재료로 구성되며 회전하는 자기장에 의해 회전한다.
구름 베어링(12)은 일반적으로 고정자(13)와 회전자(14) 사이에 삽입된다. 변속기, 특히 감속기(3)는 전기 모터의 출구에서 회전 속도를 줄일 수 있고, 바퀴에 전달되는 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동시에 차량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구름 베어링(12)은 특히 높은 기계적 응력을 받고 작동에 의한 마모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서비스 수명을 늘리려면 구름 베어링을 윤활해야 한다. 또한 감속기는 높은 마찰 응력을 받기 때문에 너무 빨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하게 윤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 모터를 윤활하기 위한, 특히 전기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위치한 롤링 베어링을 윤활하기 위한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변속기, 특히 감속기를 윤활하기 위한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따라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의 다양한 부분, 특히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전기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위치한 구름 베어링, 및/또는 변속기, 특히 감속기를 윤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조성물은 우수한 마모방지 및 부식방지 성능을 갖는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 특히 전기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위치된 구름 베어링; 및/또는 변속기, 특히 감속기를 윤활하기 위한, 적어도 상기 부품을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과 접촉하게 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부품, 특히 전기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위치한 구름 베어링, 및/또는 변속기, 특히 감속기의 마모 및 부식을 동시에 감소시키는 공정을 제안하고, 상기 공정은 적어도 상기 부품을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대해 설명된 모든 특징 및 선호도가 이 공정에도 적용된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윤활 특성 외에 우수한 전기 절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부품을 윤활하기 위해, 특히 모터, 구름 베어링의 센서 및 솔레노이드 밸브뿐만 아니라 전기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에 위치한 권선을 윤활하기 위해, 또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발견되는 변속기, 특히 기어, 센서,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감속기를 윤활하기 위해, 동시에 추진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부품, 특히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 변형의 맥락에서,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윤활제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표준 ASTM D445에 따라 100℃에서 측정된 2 내지 8 mm²/s,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mm²/s의 동점도를 갖는다
전술한 용도는 조합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은 윤활제 및 전기 절연체 둘 다뿐만 아니라,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배터리 및 변속기용 냉각제 유체로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특정한, 유리하거나 바람직한 특징은 또한 특정한, 유리한 또는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용도를 정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제 말할 필요도 없이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주어진 하기 실시예의 도움으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다양한 조성이 평가되었다:
-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첨가제가 없는, 디머캅토티아디아졸 타입의 아민 기반 및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C1; 및
- 상기 디머캅토티아디아졸 타입의 마모방지 첨가제 및 입체 힌더드 아민 관능기를 갖는 첨가제(p,p'-부틸옥틸디페닐아민)를 포함하는 조성물 C2;
- 상기 디머캅토티아디아졸 타입의 마모방지 첨가제 및 입체 힌더드 페놀 관능기를 갖는 첨가제(옥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C3;
조성물 C1 내지 C3은 상기 언급된 화합물 외에, 그룹 V 베이스 오일을 포함한다.
조성 및 함량(중량%로 표시)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C1 C2 C3
베이스오일 99% 98% 98%
디머캅토티아디아졸
마모방지 첨가제
1% 1% 1%
p,p'-부틸옥틸디페닐아민 - 1% -
옥틸 3,5-디-tert-부틸-4-
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 - 1%
부식방지 특성의 평가
평가 방법
조성물의 부식(corrosive)(또는 부식(corroding))력은 미리 정해진 직경의 구리 와이어의 전기 저항 값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는 테스트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 구성. 이 전기 저항 값의 변화는 테스트 와이어의 직경 변화와 직접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선택된 와이어의 직경은 70㎛이다.
이 경우에는, 구리 와이어를 평가 조성물 20mL를 함유하는 시험관에 침지시켰다(조성물 C2 및 C3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고, 조성물 C1은 비교용 조성물임).
와이어의 저항은 저항계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측정 전류는 1mA이다.
시험 조성물의 온도를 150℃로 했다.
구리 와이어의 저항은 다음 방정식 (1)에 의해 계산된다:
[수식 1]
Figure pct00012
상기에서 R은 저항, ρ는 구리의 비저항, L은 와이어의 길이, S는 단면적이다.
이 식(1)에서 ρ와 L은 상수이다. 따라서 저항 R은 침지된 와이어의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와이어의 단면적은 직경으로부터 계산된다(방정식 (2)).
[수식 2]
Figure pct00013
상기에서 D는 와이어의 직경이다.
방정식 (2)는 저항과 직경 사이의 관계를 얻기 위해 방정식 (1)에 삽입된다(방정식 (3)):
[수식 3]
Figure pct00014
따라서, 평가 조성물에 의해 와이어가 부식되면 와이어의 직경이 감소하여 저항값이 증가하게 된다.
저항을 모니터링하여 침지된 와이어가 겪는 부식 상태를 반영하는 와이어 직경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직경의 손실은 측정된 저항에서 직접 계산된다.
측정된 저항이 무한대일 때 이것은 개방 회로이다. 따라서 와이어가 끊어져 매우 심각한 부식을 정의한다.
결과
결과는 다음 표에 요약되어 있으며 μm(직경 손실)으로 표시된다. 얻은 값이 낮을수록 평가된 조성물의 부식 방지 특성이 더 우수하다.
연구된 구리 와이어의 직경 손실이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의 80시간 침지 후 2 μm 이하, 특히 20시간 침지 후 0.3μm 이하인 경우 조성물은 "비부식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조성물 C1 C2 C3
20시간에서의 직경 손실 (μm) 0.29 0.01 0.30
40시간에서의 직경 손실 (μm) 끊어진 와이어 0.69 0.41
60시간에서의 직경 손실 (μm) 끊어진 와이어 1.28 0.60
80시간에서의 직경 손실 (μm) 끊어진 와이어 1.85 0.76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기능을 갖는 화합물의 첨가가 아민 기반 및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에 의해 유발된 부식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1: 추진 시스템
2: 전기 배터리
3: 감속기
11: 파워 일렉트로닉스 장치
12: 롤링 베어링
13: 고정자
14: 회전자

Claims (10)

  1.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으로 의도되고,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부식방지 첨가제로서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방향족 아민, 특히 디아릴아민 화합물, 보다 특히 디페닐아민 화합물, 입체 힌더드 페놀, 특히 알킬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3.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아민 타입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의, 디아릴아민인 것인 용도:
    Figure pct00015

    상기에서 R6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다음 중에서 선택된다:
    -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기, 바람직하게는 아민 관능기에 파라(para)로, 특히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된, 탄화수소계 기로 치환된 페닐기;
    - 선택적으로 치환된 나프틸기, 바람직하게는 아민 관능기에 파라로, 특히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된, 탄화수소계 기로 치환된 나프틸기;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디아릴아민인 것인 용도:
    Figure pct00016
    (I)
    상기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기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특히 화학식 (I')의 디아릴아민인 것인 용도:
    Figure pct00017
    (I')
    상기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선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12, 바람직하게는 C3 내지 C10 알킬 기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선형 또는 분지형 옥틸 및 부틸 기로부터 선택된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힌더드 페놀 타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의 것인 용도:
    Figure pct00018
    (II')
    상기에서: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C1-C10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C6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4 알킬기, 예를 들어 tert-부틸; 또는 히드록실기를 나타내고;
    n은 0과 3 사이의 정수이고;
    R은, 서로 독립적으로, 옥틸옥시카보닐 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C2 내지 C10 알콕시카보닐 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아릴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10 알킬기, 상기 아릴 기(들) 자체는 하나 이상의 알킬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것이고; 및 히드록실기로부터 선택된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p,p'-부틸옥틸디페닐아민, 옥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6-디-tert-부틸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용도.
  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는 하기의 화학식들을 갖는 디머캅토티아디아졸 유도체들, 특히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 유도체들로부터 선택되고,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취해지는 것인 용도: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상기 화학식에서, R1 기(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1 내지 24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8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6개,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 기 또는 방향족 치환체를 나타내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1, 2, 3 또는 4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1이다.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갖는 상기 화합물(들) 은 상기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3 중량%, 보다 특히 0.1 중량% 내지 1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고/하거나, 상기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들)은 상기 윤활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1 중량% 내지 3 중량%, 보다 특히 0.1 중량% 내지 1 중량%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용도.
  8.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을 윤활하기 위한, 특히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 모터 및 파워 일렉트로닉스를 윤활하기 위한, 부식방지 첨가제(들)로서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를 포함하는 윤활제 조성물의 용도.
  9.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체 힌더드 아민 또는 페놀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들)은 제2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거나/같고; 상기 아민 기반 및/또는 황 기반 마모방지 첨가제(들)는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인 용도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기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위치한 구름 베어링, 및/또는 변속기, 특히 감속기를 윤활하기 위한 것인 용도.
KR1020227001744A 2019-06-28 2020-06-25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에서 입체 힌더드 방향족 아민 또는 페놀 화합물의 부식방지 첨가제로서의 용도 KR202200320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07146 2019-06-28
FR1907146A FR3097870B1 (fr) 2019-06-28 2019-06-28 Utilisation d’un composé de type amine aromatique ou phénol stériquement encombré à titre d’additif anticorrosion dans une composition lubrifiante
PCT/EP2020/067822 WO2020260460A1 (fr) 2019-06-28 2020-06-25 Utilisation d'un composé de type amine aromatique ou phénol stériquement encombré à titre d'additif anticorrosion dans une composition lubrifiante destinée à un système de propulsion d'un véhicule électrique ou hybr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058A true KR20220032058A (ko) 2022-03-15

Family

ID=6813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744A KR20220032058A (ko) 2019-06-28 2020-06-25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에서 입체 힌더드 방향족 아민 또는 페놀 화합물의 부식방지 첨가제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72392A1 (ko)
EP (1) EP3990588B1 (ko)
JP (1) JP2022538640A (ko)
KR (1) KR20220032058A (ko)
CN (1) CN114096647A (ko)
FR (1) FR3097870B1 (ko)
MX (1) MX2021015550A (ko)
WO (1) WO2020260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9942B1 (fr) * 2020-05-05 2022-08-19 Total Marketing Services Composition lubrifiante pour vehicules electriqu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6074A (en) * 1942-05-26 1944-12-26 Standard Oil Dev Co Corrosion resistant composition
US20040259743A1 (en) * 2003-06-18 2004-12-23 The Lubrizol Corporation,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Ohio Lubricating oil composition with antiwear performance
US7763574B2 (en) * 2003-10-10 2010-07-27 R.T. Vanderbilt Company, Inc. Lubric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ester base oil, molybdenum compounds and thiadiazole-based compounds
US7704931B2 (en) * 2004-12-10 2010-04-27 Chemtura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multiple antioxidants
FR2879621B1 (fr) 2004-12-16 2007-04-06 Total France Sa Huile pour moteur marin 4-temps
US20080194442A1 (en) * 2007-02-13 2008-08-14 Watts Raymond F Methods for lubricating a transmission
EP2121881A2 (en) * 2007-03-13 2009-11-25 The Lubrizol Corporation Multifunctional driveline fluid
FR2954346B1 (fr) 2009-12-18 2013-02-08 Total Raffinage Marketing Composition additive pour huile moteur
US9068134B2 (en) * 2011-12-02 2015-06-30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Method for improving engine wear and corrosion resistance
FR2986801B1 (fr) * 2012-02-15 2014-09-05 Total Raffinage Marketing Compositions lubrifiantes pour transmissions
US8400030B1 (en) * 2012-06-11 2013-03-19 Afton Chemical Corporation Hybrid electric transmission fluid
FR3009309B1 (fr) * 2013-08-02 2016-10-07 Total Marketing Services Compositions lubrifiantes pour transmissions
JP6404934B2 (ja) * 2013-09-19 2018-10-17 ザ ルブリゾル コーポレイションThe Lubrizol Corporation 直噴エンジン用潤滑剤組成物
CN105087113A (zh) * 2014-05-14 2015-11-25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电动车传动系统用润滑油组合物
CN108473899A (zh) * 2015-11-11 2018-08-31 路博润公司 含硫醚取代苯酚化合物的润滑组合物
FR3058156B1 (fr) * 2016-10-27 2022-09-16 Total Marketing Services Composition pour vehicule electrique
CA3047284C (en) * 2016-12-27 2024-05-14 The Lubrizol Corporation Lubricating composition with alkylated naphthylamine
US20200216774A1 (en) * 2017-08-16 2020-07-09 The Lubrizol Corporation Lubricating composition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transmission
FR3083801B1 (fr) * 2018-07-13 2021-02-12 Total Marketing Services Composition de refroidissement et ignifugeante pour systeme de propulsion d'un vehicule electrique ou hybride
FR3083802B1 (fr) * 2018-07-13 2021-02-12 Total Marketing Services Composition refroidissante et ignifugeante pour systeme de propulsion d'un vehicule electrique ou hybride
FR3083800B1 (fr) * 2018-07-13 2020-12-25 Total Marketing Services Composition refroidissante et ignifugeante pour systeme de propulsion d'un vehicule electrique ou hybride
FR3093729A1 (fr) * 2019-03-13 2020-09-18 Total Marketing Services Utilisation d’un ester dans une composition de refroidiss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90588B1 (fr) 2024-04-17
JP2022538640A (ja) 2022-09-05
WO2020260460A1 (fr) 2020-12-30
EP3990588A1 (fr) 2022-05-04
FR3097870B1 (fr) 2022-01-14
MX2021015550A (es) 2022-02-16
US20220372392A1 (en) 2022-11-24
FR3097870A1 (fr) 2021-01-01
CN114096647A (zh)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5099B2 (en) Composition for cooling and lubricating a propulsion system of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KR20220032057A (ko)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에서 숙신이미드 화합물의 부식방지 첨가제로서의 용도
US20220131205A1 (en) Use of an ester in a cooling composition
KR20120109594A (ko) 윤활유 조성물
KR20200073240A (ko) 차량의 구동 시스템을 냉각 및 윤활하기 위한 조성물
KR102372804B1 (ko) 폴리알킬렌 글리콜계 윤활 조성물
KR20220032058A (ko)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에서 입체 힌더드 방향족 아민 또는 페놀 화합물의 부식방지 첨가제로서의 용도
KR20220032564A (ko)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 조성물의 부식방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트리아졸 화합물의 용도
KR20220047253A (ko)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추진 시스템용 윤활제에서의 비부식성 극압 및 마모방지 첨가제로서 인 화합물의 용도
JP7074502B2 (ja) 潤滑油組成物、潤滑油組成物を備える機械装置および潤滑油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5330328A (ja) オイル性能の改善方法
KR20210102272A (ko) 기어 오일 조성물
US20230167380A1 (en) Lubricating composition for electric vehicles
CN106459807B (zh) 润滑剂组合物用于润滑双离合变速器的用途
EP3645678A1 (en) Low voc lubricant compos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