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632A - 통신 경로를 갖춘 얇은-벽의 튜브 - Google Patents

통신 경로를 갖춘 얇은-벽의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632A
KR20220031632A KR1020227002479A KR20227002479A KR20220031632A KR 20220031632 A KR20220031632 A KR 20220031632A KR 1020227002479 A KR1020227002479 A KR 1020227002479A KR 20227002479 A KR20227002479 A KR 20227002479A KR 20220031632 A KR20220031632 A KR 20220031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olymer tube
conductive
catheter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리차드 캄파넬리
조쉬 포글
Original Assignee
제우스 인더스트리얼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우스 인더스트리얼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우스 인더스트리얼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3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29/085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lubricating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61M25/0012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with embedded structures, e.g. coils, braids, meshes, strands or radiopaque c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8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an electroactive polymer material, e.g. for steering purposes, for control of flexibility, for locking, for opening or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33Conductive materials, e.g. antistatic coatings for spark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 내용은, 카테터 구성 내의 라이너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합체 튜브의 길이 또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를 갖는 수정된 중합체 얇은-벽 튜브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는 전도성 잉크로 형성되고, 중합체 튜브의 표면 상에 위치되고 튜브의 벽 내에 내재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통신 경로를 갖춘 얇은-벽의 튜브
본원은 일반적으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하는 얇은 벽의 카테터 라이너를 포함하는 카테터의 분야 및 그러한 카테터 라이너 및 상응 카테터를 제조 및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특허 및 출원이 전기 신호를 카테터 샤프트를 따라서 전송하기 위해서 전도체를 이용하는 것을 교시하고 있다. 센서가 내재된 카테터에서,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센서 또는 트랜스듀서(예를 들어, 힘(디지털 또는 기계적), 촉각적 센서(용량형, 압전, 및 스트레인), 온도, 화학적, 생물학적)로부터 근위 단부에 위치되는 판독부로 그리고 그 반대로 신호(예를 들어, 전기 신호(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를 중계하기 위해서, 통신 경로(예를 들어, 전도성 경로)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기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와 관련하여, 카테터 내의 루멘(lumen)을 통해서 연장되는 전기 전도체는 효율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그러한 루멘을 통해서 연장되는 그러한 전기 전도체는, 기구를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횡단면 면적을 차지한다. 또한, 그러한 전기 전도체는 카테터의 경직도(stiffness)를 수용할 수 없는 정도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Acker 등의 미국 특허 제5,372,603호는 구리 전도체를 전반적으로 설명한다. '603 특허의 전도체는 전도성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 전도성 재료의 입자를 침착할 때 가요성을 유지하는 것을 교시하고 있지 않고; 그 대신, 그러한 전도체는 비-탄성 재료를 기재로서 이용하여 전도성 재료의 침착된 입자들의 균열을 방지한다.
Beer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8/0125754호는, 전기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슬러리를 포커싱된 에너지 빔에 의해서 생성된 채널 내로 내재시킴으로써 플라스틱 튜브 내에서 전도체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튜브의 압출 후에 축방향 및 회전 이동 모두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변위 가능한 그리고 회전 가능한 장착부 내에 장착하는 단계를 필요로 하여, 전체 제조 프로세스에 비용 및 복잡성을 부가하고 생산 수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채널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포커싱된 에너지 빔은 재료를 반드시 제거하여야 하고, 그러한 제거는 (특히 얇은-벽의 라이너를 갖는 제품(예를 들어, 벽 두께가 약 0.019 mm인 Zeus Streamliner® 제품에서) 복잡하고 위험할 수 있다. 그러한 얇은 벽 두께를 가지는 튜브로부터 재료를 제거하는 것은 카테터의 제조/사용에서 이용하기 위한 허용될 수 있는 튜브의 수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생성된 채널에 대한 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슬러리의 허용될 수 없는 접착이 그러한 프로세스로부터 합리적으로 초래될 수 있다.
Smith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5/0165301호는 MRI-양립 가능 카테터에서 전기 전도성 경로를 설명하나, 그러한 경로가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설명하지 않으며, 전도성 트레이스와 주위 중합체 사이에서 접착을 어떻게 유지하는지도 설명하지 않고 있다.
Bowman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5/0173773호는, 하이포튜브(hypotube)가 추후에 트레이스 위에 배치되는, 내부 카테터 라이너 위에서 연장되는 전도성 트레이스의 이용을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에, 트레이스는 접착제, 예를 들어 에폭시로 제 위치에 고정되고, 이는 전체적인 구조물에 추가적인 경직도를 도입할 수 있다.
Anderson 등의 미국 특허 제9,554,723호는 카테터 샤프트를 생산하기 위해서 전기 전도성 와이어 또는 다른 전도성 매체를 중합체 튜브의 벽 내에(예를 들어, 내부 튜브의 벽 내를 포함) 내재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예를 들어 앞서 주목한 바와 같이 매우 얇은 벽을 가지는 라이너에서,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Salahieh 등의 국제특허출원 공개 제WO2014168987호는, 팽창 가능 멤브레인의 외측부에 고정된 전기-전도성 잉크의 얇은 필름으로 제조된 전극을 갖는 심장 절제 카테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러한 개시 내용은 카테터 라이너를 따라서 직접적으로 전도성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교시하고 있지 않다.
Lowery 등의 국제특허출원 공개 제WO2018035000호는 의료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세장형 부재의 길이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트레이싱을 도포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러한 참조 문헌은 트레이싱을 관형 멤브레인의 외측 표면 상에 침착시키는 것, 그리고 이어서 멤브레인을 뒤집어 트레이싱을 뒤집힌 내측 표면 내에 배치하는 것으로서, 이는 이어서 얇은 절연/유전체 코팅으로 덮일 수 있는 것을 교시한다.
잉크 및 페이스트와 같은 전도성 경로의 이용은 일반적으로 재료를 튜브 벽 내로 내재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고, 이는 얇은 벽을 갖는 튜브에서 문제가 된다. 많은 유형의 최소 침습적 개입을 위한 더 얇고, 더 가요성이 큰 카테터, 그리고 그러한 카테터를 생산하는 방법이 점점 더 필요해지고 있다.
본 개시 내용은, 재료가 예를 들어 내부 벽(기부 라이너) 도포에서의 이용에 적합할 수 있게 하는,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를 갖는 수정된 중합체 튜브, 및 그러한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 내용의 일 양태에서, 카테터 라이너로서 이용하는데 적합한 수정된 중합체 튜브가 제공되고, 그러한 중합체 튜브는: 평균 벽 두께가 약 0.5 mm 이하인 벽을 갖는 중합체 튜브; 및 중합체 튜브의 길이 또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중합체 튜브의 표면 상에 직접적으로 또는 튜브의 표면과 직접 접촉되는 접착 재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는 전도성 잉크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는 중합체 튜브의 표면 상에 위치되고 중합체 튜브의 벽 내에 내재되지 않는다. 튜브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 300 ℃까지의 온도를 견딜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는 복수의 전도성 경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는 적어도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기 절연부가 복수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가 중합체 튜브의 동일한 반경방향 위치에 그리고 중합체 튜브의 원주 주위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가 중합체 튜브의 상이한 반경방향 위치에 그리고 중합체 튜브의 원주 주위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기 절연부가 복수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 사이에서 중합체 튜브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다.
튜브의 평균 벽 두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평균 벽 두께는 약 0.05 mm 이하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평균 벽 두께는 약 0.02 mm 이하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튜브의 표면은 튜브의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튜브의 조성이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튜브는 PTFE, FEP, PFA, PEEK, UHMWPE, 폴리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튜브가 선택적인 접착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 그러한 재료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폴리이미드이다.
다른 양태에서, 카테터에서 이용하기 위한 자켓-코팅된 라이너가 제공되고, 그러한 라이너는 본원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수정된 중합체 튜브, 및 수정된 중합체 튜브의 표면 상에 위치되고 그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착되는 외부 자켓 층을 포함한다. 그러한 자켓-코팅된 라이너의 전도성 경로는 유리하게 전도도를 나타낸다. 이들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휘어질 때에도 전도도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부 자켓 층은 나일론 재료 또는 폴리(에테르-b-아미드)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수정된 중합체 튜브 또는 자켓-코팅된 라이너를 포함하는 카테터가 제공된다.
부가적인 양태에서, 카테터 라이너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정된 중합체 튜브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그러한 방법은: 평균 벽 두께가 약 0.5 mm 이하인 벽을 갖는 중합체 튜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전도성 잉크가 중합체 튜브의 벽 내에 내재되지 않도록, 전도성 경로를 중합체 튜브 상에 형성하기 위해 중합체 튜브의 길이 또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전도성 잉크를 미리 결정된 기하형태로 직접적으로 중합체 튜브의 표면에 또는 중합체 튜브의 표면과 직접 접촉되는 접착 재료 상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전도성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에 앞서서, 중합체 튜브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처리하는 단계는, 중합체 튜브의 표면과 전도성 잉크 사이의 접착을 개선하기 위해서 중합체 튜브의 표면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포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프린팅, 정전기 도포, 물리적 침착, 화학적 침착, 증착, 금속화, 압출 코팅, 및/또는 전기 도금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양태에서, 카테터에서 이용하기 위한 자켓-코팅된 라이너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그러한 방법은: (본원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카테터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수정된 중합체 튜브를 제공하는 단계; 수정된 중합체 튜브의 외부 표면 상의 중합체 재료를 용융시키는 단계; 및 외부 표면 상에서 외부 자켓 층을 제공하기 위해서 중합체 재료를 냉각시키는 단계로서, 외부 자켓 층이 수정된 중합체 튜브의 외부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부 자켓 층의 중합체 재료는 나일론 재료 또는 폴리(에테르-b-아미드)를 포함한다.
개시 내용은, 부가적인 양태에서, 카테터를 형성하는 방법을 더 제공하고, 그러한 방법은: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에 따라 카테터에서 이용하기 위한 자켓-코팅된 라이너를 제공하는 단계; 및 자켓-코팅된 라이너를 카테터 조립체 내에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 내용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이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의 독해 및 이하에서 간단히 설명되는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 또는 요소가 본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조합되어있는지의 여부와 관계 없이, 전술한 실시형태의 2개, 3개, 4개, 또는 그 초과의 임의의 조합뿐만 아니라, 이러한 개시 내용에서(예를 들어, 이러한 '발명의 내용'에서) 설명된 임의의 2개, 3개, 4개, 또는 그 초과의 특징 또는 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시 내용은, 문맥 상 달리 명백하기 기술하고 있지 않는 한, 개시된 발명의 임의의 분리 가능한 특징 또는 요소가, 그 여러 양태 및 실시형태 중 임의의 것에서,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지도록, 전체론적으로 읽혀지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고, 도면이 반드시 실제 축척으로 도시된 것은 아니고, 도면에서 참조 번호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h는 잉크-기반의 전도 경로를 포함하는 튜브의 특정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잉크-기반의 전도 경로를 포함하는 튜브의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도 2a는 측면도를 제공하고, 도 2b는 횡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3은 하나 이상의 전도 경로를 포함하는 튜브를 구성하기 위한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의 일 실시형태의 전반적인 개략도이다.
이제,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 완전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원에서 기술된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이러한 개시 내용이 전체적이고 완전한 것이 되도록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가 당업자에게 완전히 전달되도록, 이러한 실시형태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 상 달리 명백하게 기술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a", "an", 및 "the")가 복수의 대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원에서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로도 지칭되는) 전도성 잉크를 포함하는 전도성 경로를 갖는 튜브(예를 들어, 얇은-벽의 튜브), 및 그러한 튜브를 제공 및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 일부 실시형태에서,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를 갖는 본원에서 제공된 튜브는, 관련된 층의 층 분리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예를 들어 카테터 내에서의 사용에 적합하게 하는, 가요성을 유지한다. 특히, 전도성 잉크는 유리하게 튜브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프린트되어, 개시된 원리가 예를 들어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전도성 트레이스를 내재시킬 수 없는) 매우 얇은 튜브/라이너 상에서 (또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접착을 촉진하기 위한 얇은 접착 재료 상에서) 전도성 경로를 제공하는데 적합하게 하는, 전도성 경로(들)를 제공한다.
본 개시 내용에 따라, 튜브의 표면에 (예를 들어, 그 외부 및/또는 표면에) 도포되어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를 제공하는 전도성 잉크를 포함하는 튜브가 제공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전도성 경로"는, 전류를 운반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영역을 지칭한다. 전도성 잉크는 신호 전송을 위한 경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전도성 잉크 자체는 감지 매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센서 및/또는 신호 수신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는, 신호가 (예를 들어, 경로의 일 단부에서) 진입할 수 있게 허용하도록 그리고 통과하여 (예를 들어, 경로의 대향 단부에 위치되는) 예를 들어 센서/모니터링 장치에 전달될 수 있게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전도성 경로는, 신호가 전도성 경로 내로, 외부로, 및/또는 통해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수 및 유형의 부가적인 요소(예를 들어, 리드, 전기 포트 등)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튜브"는 그 일반적인 의미에서, 외부 표면 및 루멘을 형성하는 내부 표면을 가지는,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의) 주어진 길이(L)의 세장형의, 원통형-형상의 구성으로 이해된다. 루멘의 직경은 튜브의 "내경" 또는 "ID"로 지칭되는 한편, 루멘에 걸쳐, 튜브의 횡단면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표면까지의 전체 직경은 튜브의 "외경" 또는 "OD"로 지칭된다.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는, 비제한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튜브를 완전히 코팅하는 것 및/또는 원심적으로 또는 나선형 방식으로 길이에 걸쳐 하나의 또는 많은 수의 트레이서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여, 많은 수의 기하형태적 패턴의 튜브의 내부 및/또는 외부 표면일 수 있다. 튜브의 외부 표면 상의 특정의 비-제한적인 패턴이 도 1a 내지 도 1f에 제공되어 있다(리드 및 다른 연관된 센서 등은 미도시됨). 여러 실시형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는 튜브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또는 튜브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제공된다. 이러한 설계의 단순화된, 비-제한적인 예가 도 1a 및 도 1b의 튜브에서 각각 제공되고, 여기에서 10은 튜브를 나타내고, 12 및 14는 하나 이상의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c는, 튜브의 원주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위의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12) 및 튜브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른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14) 모두를 포함하는 튜브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길이방향 경로(14)가 튜브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들은 하나의 원주방향 경로(12)로부터 다른 원주방향 경로(12)까지만 연장될 수 있다. 원주방향 경로는 튜브 주위에서 완전한 원/밴드를 형성하도록 튜브(10) 주위를 랩핑할 수 있거나, (나선형의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16)를 포함하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 주위에서 코일 방식으로 나선형-형상으로 랩핑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튜브는 둘 이상의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 1e(이격된 경로(12a) 및 경로(12b)), 도 1f(이격된 경로(14a) 및 경로(14b)), 및 도 1g(이격된 경로(12a) 및 경로(12b) 그리고 경로(14a) 및 경로(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가 서로 이격된다. 예로서, 그러한 임의의 2개의 전도성 경로들 사이의 튜브의 재료 또는 공간이 그러한 2개의 전도성 경로들 사이에서 절연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도 1f 및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의 원주를 따라 상이한 위치들에서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가 서로 이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는, 사이에 배치된 절연 층에 의해서, 이격된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도성 경로(18)(검은색으로 도시됨)가 제1 반경방향 위치에서 튜브(10)의 외부 길이를 따라서 생성될 수 있고, 절연 층(20)(백색 상의 검은색 점으로 도시됨)이 그러한 제1 반경방향 위치에서 튜브의 외부 길이를 따라서 제1 전도성 경로(18) 위에 생성될 수 있고(예를 들어, 배치될 수 있고), 제2 전도성 경로(22)(검은색으로 도시됨)가 그러한 제1 반경방향 위치에서 튜브의 외부 길이를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절연 층 위에서) 생성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도성 경로(22) 만이 튜브의 표면에서 확인될 수 있다. 절연 층은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의 전체를 덮을 수 있거나, 튜브의 일부만을, 예를 들어 제1 전도성 경로(18)를 덮는데 적합한 부분만을 덮을 수 있다. 도 2b는 전도성 경로가 없는 튜브의 부분의 수정된 부분을 포함하고, 튜브(10)의 (평균 두께("T")로 도시된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부 표면까지의 거리를 가지고) 내부 및 외부 표면, 그리고 그 위의 절연 코팅(20)을 도시한다(층들이 반드시 실제 축척으로 도시된 것은 아니다).
전도성 경로의 크기 및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도성 경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호가 전도성 경로에 걸쳐 통신되거나 측정되는 것을 기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불순물(절연체)가 전도성 경로에 도입될 수 있고, 이는 희망하는 곳에서 전도성 경로를 따라서 임피던스 또는 저항을 제공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도성 경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호가 전도성 경로에 걸쳐 통신되는 것을 기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도성 경로의 재료 또는 크기 또는 형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호가 통신되는 것을 기초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도성 경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호가 전도성 경로에 걸쳐 측정되는 것을 기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도성 경로의 재료 또는 크기 또는 형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호가 측정되는 것을 기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도성 경로는 튜브의 인접 환경과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신호를 생성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호 작용은, 예를 들어, 본질적으로 화학적, 물리적 또는 생물학적일 수 있고, 경로의 길이를 따라서 임의의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도성 경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호가 전도성 경로 및 튜브의 길이방향 경직도에 걸쳐 생성/측정되는 것을 기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도성 경로의 재료 또는 크기 또는 형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희망 경직도를 기초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평균 거리/높이로 설명되는)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의 전형적인 두께는, 튜브 표면 상에 존재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얇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의 튜브 표면에 대한 평균 두께는 약 10 미크론 이하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의 두께를 전술한 범위 내의 값으로 최소화하는 것이 유리하고, 예를 들어 층이 두꺼울수록, 튜브의 중심선 주위의 굴곡의 I-빔 효과가 더 현저해질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I-빔 효과는, 중심선에 가까운 위치보다 중심선에서 더 멀리 공간적으로 위치되는 경직성 구성요소로 인한, 중심선 주위의 카테터 조립체의 전체적인 경직도 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체 카테터 조립체의 가요성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전기 전도성 층과 같은 더 경직적인 구성요소를 가능한 한 카테터의 중심선에 근접하여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유리하게, 현재 개시된 튜브는, I-빔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카테터 조립체에서 사용되도록,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를 최내측 튜브/라이너의 외부 표면 상에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의 두께를 얇게 유지함으로써, 그러한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를 갖는 튜브의 가요성이, 예를 들어 그 원래의 가요성에 가깝게, 유지될 수 있다. 유리하게,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를 포함하는 그러한 튜브는, 예를 들어 카테터 구성에서 특히 유용하게 하는데 적합한 가요성을 나타낸다.
본 개시 내용의 맥락에서 관련된 튜브는 크기, 형상, 및 조성과 관련하여 상당히 변경될 수 있다. 유사하게,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잉크 재료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개시된 튜브의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튜브는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들)를 포함하는 결과적인 튜브가 그러한 용도에 적합해 질 수 있게 하는) 카테터 라이너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튜브는 플루오로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탄성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또한 공중합체 및 중합체 블렌드(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폴리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 에테르-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튜브 조성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비제한적으로, Pebax®(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일반적으로 폴리(에테르-b-아미드)로 지칭됨), 폴리이미드(PI),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FEP), 퍼플루오로알콕시알칸(PFA),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유도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튜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비-제한적 PTFE 튜브는 Zeus Inc.의 Streamliner® 제품이다. 튜브는 균질하거나 불균질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튜브는 그 내부 및/또는 외부 표면 상에서 코팅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록, 원리가 더 두꺼운-벽의 튜브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본원에서 제공된 튜브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비교적 얇은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의 튜브는 약 0.5 mm 이하, 약 0.4 mm 이하, 약 0.3 mm 이하, 약 0.2 mm 이하, 약 0.1 mm 이하, 약 0.09 mm 이하, 약 0.08 mm 이하, 약 0.07 mm 이하, 약 0.06 mm 이하, 또는 약 0.05 mm 이하의 평균 벽 두께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원에서 제공된 튜브는, 약 0.001" 이하, 약 0.0009" 이하, 약 또는 약 0.0008"이하를 포함하는(구체적으로, 약 0.00075"의 평균 두께를 가지는 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약 0.002" 이하의 즉, 약 0.025 mm 이하, 약 0.023 mm 이하, 또는 약 0.020 mm 이하를 포함하는(구체적으로, 약 0.019 mm의 평균 두께를 가지는 벽을 갖는 튜브를 포함하는), 약 0.051 mm 이하의 "초박형"으로 간주되는 평균 벽 두께를 갖는다.
잉크 화학물질은 튜브 조성과 관련하여 전술한 유형의 중합체 분류 중 임의의 것에 일치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잉크는 전도성 은-함유 잉크이다. 일부 그러한 잉크는 은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잉크는 전도성 탄소-함유 잉크이다. 다른 중합체-기반의 잉크 및 (예를 들어, 탄탈륨, 텅스텐, 금, 백금, 팔라듐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기반의 잉크가 공지되어 있고 본 개시 내용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요건을 충족하고 개시된 제품 및 방법에 적합한 특정의 비-제한적 잉크는, 예를 들어 펜실베니아주 요크에 소재하는 Conductive Technologies Incorporated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의 결합제와 튜브의 조성물 사이의 친수성/소수성 양립 가능성을 기초로, 주어진 유형의 튜브에 적합한 잉크를 선택할 수 있다.
전도성 경로가 튜브 벽에 내재되지 않기 때문에, 튜브/라이너의 표면(예를 들어, 외부 표면)에 대한 그리고 경로-포함 튜브에 걸쳐 도포된 임의의 재료(예를 들어, 외부 자켓 재료)에 대한 전도성 잉크의 접착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테이프 테스트"를 포함하여, 튜브에 대한 잉크의 적합한 접착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있다. 테이프 테스트는 예를 들어 ASTM D3359-17에 기재된 것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방법이 테이프 제거 후에 어느 정도의 잉크의 제거를 허용하지만, 본 개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테이프 제거 후에 잉크 제거가 관찰되지 않으며, 이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적합한 접착"을 입증한다.
개시된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는 유리하게 다양한 기재에 대한 충분한 접착을 나타내고, 놀랍게도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나일론 및/또는 폴리에테르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예를 들어 Pebax®, 즉, 폴리(에테르-b-아미드)를 포함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자켓 재료의 꼬임(braiding) 및 리플로우(reflow)를 포함하는, 카테터 구성 절차를 견딜 수 있다. 유리하게, (외부 자켓 재료가 위에서 리플로우되기 전의) 형성된 그대로의 전도성 경로의 전도도는 상승된 온도에서의 외부 자켓 재료의 리플로우 후에도 유지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를 포함하는 튜브는 유리하게 이러한 리플로우에 대해서 충분한 온도까지 안정적이다(예를 들어, 전도도 특성을 유지한다). 튜브가 바람직하게 안정적인 그러한 온도는 외부 자켓 재료의 유동에 필요한 온도에 따라 달라지고, 비제한적으로, 약 300 ℃이하, 약 290 ℃이하, 약 280 ℃이하, 약 270 ℃이하, 약 260 ℃이하의 온도를 포함한다. 따라서, 개시된 코팅된 튜브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그러한 온도(즉, 약 300 ℃ 이하, 약 290 ℃ 이하, 약 280 ℃ 이하, 약 270 ℃ 이하, 약 260 ℃ 이하의 온도)의 적용을 견딜 수 있고, 열에 대한 그러한 노출 후에 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된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수정 튜브는 고도의 굴곡까지 안정적이며, 상당한 굽힘/굴곡에도 전도도 특성을 유지하고, 및/또는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수정 튜브와 연관된 층의 층 분리를 거의 또는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 잉크 기반 전도성 경로를 포함하는 개시된 튜브가 카테터 내에 통합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전도성 잉크 경로와 튜브 사이, 그리고 튜브/전도성 잉크 경로와 그 위의 외부 자켓 재료 사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카테터 층들 사이에서 양호한 접착이 존재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유리하게, 그러한 층들 사이의 접착은 카테터의 이용 중에 유지되어, (예를 들어, 구불구불한 신체 루멘을 통과하기 위해서) 카테터 조립체가 굴곡된 경우에도, 특히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를 튜브와 임의의 다른 인접 층 사이에서, 층 분리는 관찰되지 않는다. 유리하게, 튜브 표면 상의 본원에서 설명된 전도성 경로(들)의 존재는, 튜브 표면이 다른 인접 층(예를 들어, 전술한 자켓 층)에 적절하게 접착되는 능력에, 어떠한 상당한 정도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적합한 접착은, 예를 들어 층 분리가 관찰되지 않는 것에 관한, 육안 관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튜브 상에서 전도성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의 전반적인 개략도가 도 3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튜브를 제공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튜브를 처리하는 단계, 튜브 조성을 기초로 적절한 잉크를 선택하는 단계; 및 잉크를 튜브의 희망 영역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튜브를 제공하는 단계는 잉크-기반의 전도성 경로의 도포를 통해서 프로세스될 수 있도록 튜브를 단순히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방법은 소정 범위의 튜브 크기, 형상, 벽 두께, 및 조성에 적용될 수 있다. 튜브의 선택은, 전도성 잉크의 도포 전에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튜브가 플루오로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적합한 접착을 보장하기 위해서, 전도성 잉크를 도포하기 전에, 처리가 일반적으로 실행된다. 튜브가 플루오로중합체 이외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충분한 접착을 보장하기 위한 그러한 처리는 전형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튜브는 "그대로(as-is)" 사용될 수 있고, 즉 잉크 도포 전에 추가적인 프로세싱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개시된 방법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그러한 튜브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도성 잉크의 도포 전에 여전히 처리될 수 있다.
이루어지는 처리의 유형은 변경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 튜브의 표면과 도포되는 전도성 잉크 사이에서 더 큰 접착을 제공한다. 일부 비-제한적인 실시형태에서, 처리는 튜브의 표면을 더 소수적이 되게 한다. 그러한 처리는 전형적으로 표면을 임의의 상당한 범위까지 물리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예를 들어, 전도성 경로의 형성을 위한 채널을 형성하지 않거나 튜브의 벽 내에 어떠한 것도 내재시키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처리는 표면 조도를 변경(예를 들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처리는 물리적 처리(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플라즈마 처리 또는 전기 방전과 같은 방법)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처리는 화학적 처리를 포함한다. 화학적 처리는, 예를 들어,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은 화학적 에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TFE 튜브 표면의 맥락에서, 화학적 처리는, PTFE로부터 불소를 제거하는 반응제를 이용한 처리(이들을 반응기와 대체하는 것)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처리는 전도성 잉크가 도포될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 층을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합한 접착제는 하부 튜브의 가요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접착제는 에폭시-기반이 아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접착제는 폴리이미드이다.
방법은 (예를 들어, 튜브 자체의 재료, 화학적으로 처리된 튜브의 표면의 재료, 또는 튜브의 표면 상의 접착 재료일 수 있는, 전도성 잉크가 도포될 표면에 대한 적합한 접착을 나타내는) 주어진 유형의 중합체 튜브에 대한 접착에 적합한 전도성 잉크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전도성 잉크의 유형은 본원에서 전술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과 잉크 사이의 예상되는 양립 가능성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전도성 잉크가 튜브 표면(들)의 희망 부분(들)에 도포된다. 전도성 잉크는, 구체적으로 전술된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코팅 기하형태/패턴을 제공하도록 도포된다. 따라서, 도포는 전형적으로 제어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튜브의 표면(들) 상에서 특정 전도성 경로를 제공한다. 유리하게,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은 튜브 내에서 채널, 요홈부,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기계적 요홈부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잉크를 도포하는 방법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예시적인 방법은, 비제한적으로, 도포하는 단계는, 프린팅, 정전기 도포 물리적 침착, 화학적 침착, 증착, 금속화, 압출 코팅, 및/또는 전기 도금 기술을 포함한다. 전도성 잉크는 작은 저항을 가질 것이고, 그에 따라 신호 전송 및 신호 측정의 임피던스 또는 저항을 낮춘다. 대안적으로, 전도성 잉크는 전도성 층을 튜브 상으로 직접적으로 압출 코팅하는 것에 의해서 도포될 수 있다. 절연 접착 층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후속 동작에서 도포될 수 있고(예를 들어, 공동-압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수의 전도성 채널이 생성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필요에 따라 반복하여 희망 기하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튜브의 크기, 예를 들어 길이가 카테터를 위해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크기/길이로 제한될 필요가 없고, 원격 통신, 우주항공, 자동차, 및 에너지 탐사 분야와 같이 (얇은-벽의 튜브를 포함하는) 튜브를 필요로 하는 많은 수의 다른 적용예에 적합한 크기/길이로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실험
본 발명의 양태는, 본 발명의 특정 양태를 예시하기 위해서 기술되나 그 제한으로서 간주되지 않는, 이하의 예에 의해서 보다 완전히 설명된다.
실시예 1:
폭이 0.35 mm인 Conductive Technologies Inc.로부터의 은-기반 전도성 잉크를, 1.5 mm의 OD 및 0.125 mm의 벽 두께를 가지는 0.5 m 길이의 긴 폴리이미드 튜브에 도포하였다. 피트 당 저항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00 μΩ를 측정할 수 있는 Keithley 2100 6 ½ 디지트 디지털 멀티미터(Digit Digital Multimeter)를 이용하여 폴리이미드 샘플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잉크 코팅의 전도체 저항을 측정하였다. 유니케이블 탐침 스타일 테스트 리드를 사용하여 저항 측정을 수집하였다. 코팅된 샘플을 테스팅하기 전에, 리드 저항이 먼저 측정되었다. 이어서, 전도성 경로의 저항을 610 mm 길이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이어서, 리드 저항을 고려하고 전도성 경로 측정으로부터 차감하여 29 Ω의 판독 값을 얻었다.
코팅된 튜빙을 25 mm 직경의 굴대 주위로 5 차례 완전히 랩핑하는 것에 의해서, 굴대 굽힘 저항(mandrel bend resistance)을 전술한 동일 샘플에서 측정하였다. 코팅된 튜브의 코일 저항이 37 Ω로 측정되었다.
강에 대한 7 N/25 mm의 알려진 접착력을 갖는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폴리이미드 기재에 대한 잉크의 접착을 체크하였다. 76 mm 길이의 접착 테이프를 프린트된 잉크 위의 중앙에 배치하였고 평활화하였다. 90 ± 30 초 동안 "경화"하였고, 그 후에 테이프를 빨리 제거하였다. 제거된 접착 테이프는 기재로부터의 잉크 제거의 흔적을 나타내지 않았고, 그에 따라 잉크와 기재 사이의 우수한 접착을 보여 주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튜브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된 조건 하에서, Pebax 자켓 및 FEP의 열 수축으로 리플로우하였다.
속도(rate): 305 mm/분
온도: 260 ℃
리플로우 후에, 305 mm 샘플의 저항이 12 Ω으로 측정되었고, 이는 전도성 경로의 무결성이 리플로우 프로세스 중에 유지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폭이 0.25 mm인 Conductive Technologies Inc.로부터의 은-기반 전도성 잉크를, 1.6 mm의 OD 및 0.145 mm의 벽 두께를 가지는 0.5 m 길이의 긴 Pebax 튜브에 도포하였다.
100 μΩ를 측정할 수 있는 Keithley 2100 6 ½ 디지트 디지털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Pebax 샘플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잉크 코팅의 전도체 저항을 측정하였다. 유니케이블 탐침 스타일 테스트 리드를 사용하여 저항 측정을 수집하였다. 코팅된 샘플을 테스팅하기 전에, 리드 저항이 먼저 측정되었다. 이어서, 전도성 경로의 저항을 610 mm 길이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이어서, 리드 저항을 고려하고 전도성 경로 측정으로부터 차감하여 31 Ω의 판독 값을 얻었다.
코팅된 튜빙을 25 mm 직경의 굴대 주위로 5 차례 완전히 랩핑하는 것에 의해서, 굴대 굽힘 저항을 전술한 동일 샘플에서 측정하였다. 코팅된 튜브의 코일 저항이 31 Ω로 측정되었다.
강에 대한 7 N/25 mm의 알려진 접착력을 갖는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Pebax 기재에 대한 잉크의 접착을 체크하였다. 76 mm 길이의 접착 테이프를 프린트된 잉크 위의 중앙에 배치하였고 평활화하였다. 90 ± 30 초 동안 "경화"하였고, 그 후에 테이프를 빨리 제거하였다. 제거된 접착 테이프는 기재로부터의 잉크 제거의 흔적을 나타내지 않았고, 그에 따라 우수한 접착을 보여 주었다.
Pebax 기재에 대한 잉크의 접착을 결정하기 위한 제2 테스트를, 이전의 접착 테스트에서 언급된 접착 테이프로 방법 A X-컷을 이용하여 수정된 ASTM D3359-17에 따라 측정하였다. 컷들(cuts)은 25 mm 길이로 잉크를 통해서 기재에 대해서 만들어 졌다. 이어서, 76 mm 길이의 접착 테이프를 스코어링된 지역(scored area) 위의 중앙에 배치하였고 평활화하였다. 90 ± 30 초 동안 "경화"하였고, 그 후에 테이프를 빨리 제거하였다. 제거된 접착 테이프는 프린트된 지역의 박리 또는 제거의 흔적을 나타내지 않았고, 그에 따라 우수한 접착을 보여 주었다.
전술한 설명에서 제공된 교시 내용의 이점을 가지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많은 수정 및 다른 실시형태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이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수정 및 다른 실시형태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특정 용어가 본원에서 사용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단지 일반적이고 예시적인 의미로 사용된 것이고, 제한을 위해서 사용된 것은 아니다.

Claims (24)

  1. 카테터 라이너로서 이용하는데 적합한 수정된 중합체 튜브이며:
    평균 벽 두께가 약 0.5 mm 이하인 벽을 갖는 중합체 튜브; 및
    중합체 튜브의 길이 또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중합체 튜브의 표면 상에 직접적으로 또는 튜브의 표면과 직접 접촉되는 접착 재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는 전도성 잉크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는 중합체 튜브의 표면 상에 위치되고 중합체 튜브의 벽 내에 내재되지 않는, 수정된 중합체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도성 경로가 복수의 전도성 경로를 포함하는, 수정된 중합체 튜브.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가 적어도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도록 배치되는, 수정된 중합체 튜브.
  4. 제3항에 있어서,
    전기 절연부가 복수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 사이에 배치되는, 수정된 중합체 튜브.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가 중합체 튜브의 동일한 반경방향 위치에 그리고 중합체 튜브의 원주 주위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수정된 중합체 튜브.
  6.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가 중합체 튜브의 상이한 반경방향 위치에 그리고 중합체 튜브의 원주 주위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수정된 중합체 튜브.
  7. 제3항에 있어서,
    전기 절연부가 복수의 전도성 경로 중 적어도 2개 사이에서 중합체 튜브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되는, 수정된 중합체 튜브.
  8. 제1항에 있어서,
    평균 벽 두께가 약 0.05 mm 이하인, 수정된 중합체 튜브.
  9. 제1항에 있어서,
    평균 벽 두께가 약 0.02 mm 이하인, 수정된 중합체 튜브.
  10. 제1항에 있어서,
    튜브의 표면이 튜브의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수정된 중합체 튜브.
  11. 제1항에 있어서,
    튜브는 PTFE, FEP, PFA, PEEK, UHMWPE, 폴리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정된 중합체 튜브.
  12. 제1항에 있어서,
    선택적인 접착 재료가 폴리이미드인, 수정된 중합체 튜브.
  13. 제1항에 있어서,
    수정된 튜브가 약 300 ℃까지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수정된 중합체 튜브.
  14. 카테터에서 이용하기 위한 자켓-코팅된 라이너이며, 제1항의 수정된 중합체 튜브, 및 수정된 중합체 튜브의 표면 상에 위치되고 그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착되는 외부 자켓 층을 포함하는, 자켓-코팅된 라이너.
  15. 제14항에 있어서,
    전도성 경로가 전도도를 나타내는, 자켓-코팅된 라이너.
  16. 제14항에 있어서,
    외부 자켓 층이 나일론 재료 또는 폴리(에테르-b-아미드)를 포함하는, 자켓-코팅된 라이너.
  17.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정된 중합체 튜브 또는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자켓-코팅된 라이너를 포함하는 카테터.
  18. 카테터 라이너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정된 중합체 튜브를 제공하는 방법이며:
    평균 벽 두께가 약 0.5 mm 이하인 벽을 갖는 중합체 튜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전도성 잉크가 중합체 튜브의 벽 내에 내재되지 않도록, 전도성 경로를 중합체 튜브 상에 형성하기 위해 중합체 튜브의 길이 또는 원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전도성 잉크를 미리 결정된 기하형태로 직접적으로 중합체 튜브의 표면에 또는 중합체 튜브의 표면과 직접 접촉되는 접착 재료 상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전도성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에 앞서서, 중합체 튜브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처리하는 단계는, 중합체 튜브의 표면과 전도성 잉크 사이의 접착을 개선하기 위해서 중합체 튜브의 표면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도포하는 단계가 프린팅, 정전기 도포, 물리적 침착, 화학적 침착, 증착, 금속화, 압출 코팅, 및/또는 전기 도금 기술을 포함하는, 방법.
  22. 카테터에서 이용하기 위한 자켓-코팅된 라이너를 제공하는 방법이며:
    제18항의 방법에 따라 카테터 라이너로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수정된 중합체 튜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수정된 중합체 튜브의 외부 표면 상의 중합체 재료를 용융시키고, 외부 표면 상에서 외부 자켓 층을 제공하기 위해서 중합체 재료를 냉각시키는 단계로서, 외부 자켓 층이 수정된 중합체 튜브의 외부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외부 자켓 층의 중합체 재료가 나일론 또는 폴리(에테르-b-아미드)를 포함하는, 방법.
  24. 카테터를 형성하는 방법이며:
    제22항의 방법에 따라 카테터에서 이용하기 위한 자켓-코팅된 라이너를 제공하는 단계; 및
    자켓-코팅된 라이너를 카테터 조립체 내에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02479A 2019-06-28 2020-06-26 통신 경로를 갖춘 얇은-벽의 튜브 KR202200316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68426P 2019-06-28 2019-06-28
US62/868,426 2019-06-28
PCT/US2020/039829 WO2020264302A1 (en) 2019-06-28 2020-06-26 Thin-walled tubes with communication pathway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632A true KR20220031632A (ko) 2022-03-11

Family

ID=7406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479A KR20220031632A (ko) 2019-06-28 2020-06-26 통신 경로를 갖춘 얇은-벽의 튜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111174A1 (ko)
EP (1) EP3990088A4 (ko)
JP (1) JP2022542644A (ko)
KR (1) KR20220031632A (ko)
CA (1) CA3142285A1 (ko)
CR (1) CR20220039A (ko)
MX (1) MX2021015699A (ko)
WO (1) WO20202643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7486B2 (en) * 2003-09-22 2012-04-03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Medical devic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US7766896B2 (en) * 2006-04-25 2010-08-0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Variable stiffness catheter assembly
US7559137B2 (en) * 2006-07-17 2009-07-14 Potomac Phot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ally conductive paths in polymer tubing
US8734437B2 (en) 2008-07-23 2014-05-2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atheter having electrically conductive pathways
US20100318019A1 (en) * 2009-06-15 2010-12-16 Pacesetter, Inc. Electrophysiology devices employ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 conduc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uch devices
KR101791827B1 (ko) * 2009-10-02 2017-10-30 메드트로닉 좀드 인코퍼레이티드 기관내관 장치
AU2014251039B2 (en) 2013-04-08 2018-12-06 Apama Medical, Inc. Cardiac ablation cathet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082931A4 (en) * 2013-12-20 2017-08-30 Microvention, Inc. Catheter system
US20160270732A1 (en) * 2015-03-17 2016-09-22 Cathprint Ab Low profile medical device with bonded base for electrical components
US10413272B2 (en) * 2016-03-08 2019-09-17 Covidien Lp Surgical tool with flex circuit ultrasound sensor
WO2018035000A1 (en) 2016-08-13 2018-02-22 Ecom Medical, Inc. Medical devices with layered conductive elemen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2644A (ja) 2022-10-06
US20220111174A1 (en) 2022-04-14
CA3142285A1 (en) 2020-12-30
EP3990088A1 (en) 2022-05-04
MX2021015699A (es) 2022-02-03
WO2020264302A1 (en) 2020-12-30
EP3990088A4 (en) 2023-07-19
CR20220039A (es)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37922A1 (en) Elongate medical devices incorporating a flexible substrate, a sensor, and electrically-conductive traces
TWI679036B (zh) 可轉向醫療裝置及其製備方法
US10892067B2 (en) Devices and systems for obtaining conductance data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WO2008051122A1 (en) A medical implantable lead
JP2009268696A (ja) 電極カテーテル
EP2763580B1 (en) Multiconductor or multipolar guidewire
JP2020078570A5 (ko)
KR20010021661A (ko) 전기 신호선 케이블 어셈블리
KR20220031632A (ko) 통신 경로를 갖춘 얇은-벽의 튜브
US11373780B2 (en) Methods to generate elongated wires having a metallic substrate thereon and devices comprising the same
JP4137255B2 (ja) 同軸ケーブル
EP1897582A1 (en) Male connector for a guide wire mounted sensor
EP3532118B1 (en) Application of polymer-based materials to hydrophobic and adhesion-resistant surfaces
US20220181827A1 (en) Guidewire with conductive element
US11201001B2 (en) Isolated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272455A (ja) 被覆電線の表面処理方法及び被覆電線の製造方法
JPH11304565A (ja) センサ
JP2016136502A (ja) 複合ケーブル及び該複合ケーブルの製造方法
WO2020077388A1 (en) Electrophysiology catheter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WO1994016624A1 (en)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m
JP2005149818A (ja) 同軸ケーブ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