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492A - 제어장치,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장치,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492A
KR20220031492A KR1020210100030A KR20210100030A KR20220031492A KR 20220031492 A KR20220031492 A KR 20220031492A KR 1020210100030 A KR1020210100030 A KR 1020210100030A KR 20210100030 A KR20210100030 A KR 20210100030A KR 20220031492 A KR20220031492 A KR 20220031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ervice
vehicle
situation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타로 오카베
도모 사사키
고이치 스즈키
겐시 구노
고이치 히라노
마코토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2003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제어장치(20)는, 제 1 시설(11)의 상황을 나타내는 상황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황 데이터에서 나타내지는 상황에 따라, 상기 제 1 시설(11)과는 다른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제 1 시설(11)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상기 제 2 시설(12)로부터 상기 제 1 시설(11)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2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제어장치,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지원 방법{CONTROL DEVICE, SYSTEM, VEHICLE, AND SERVICE SUPPORT METHOD}
본 개시는, 제어장치,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15-149089에는, 점포에 있어서, 회계 작업의 응원을 지시하는 통지를 행하여, 레지스터 장치를 조작하는 점원을 보조하는 보조 작업에 다른 점원을 종사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있어서, 동일 점포 내에서의 응원에 한정되어 있다.
본 개시는, 각각의 시설 사이에서의 응원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장치,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 1 양태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1 시설의 상황을 나타내는 상황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황 데이터에서 나타내지는 상황에 따라, 상기 제 1 시설과는 다른 제 2 시설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상기 제 1 시설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상기 제 2 시설로부터 상기 제 1 시설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상황 데이터는, 상기 상황으로서, 상기 제 1 시설에서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리소스가 충분히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상황 데이터는, 상기 상황으로서, 상기 제 1 시설의 혼잡 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상황 데이터는, 상기 상황으로서, 상기 제 1 시설의 내방자가, 상기 제 1 시설에서 제공되는 제 1 서비스를 희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에 따라, 상기 제 2 시설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상기 제 1 서비스와는 다른 제 2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요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에 따라, 상기 제 2 시설이 보유하는 식재(食材)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에 따라, 상기 제 2 시설이 보유하는 인재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에 따라, 상기 제 2 시설이 상기 제 1 시설에서 제공되는 제 1 서비스와는 다른 제 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인재를, 상기 제 1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인재를 보내는 것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경우에, 상기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상기 인재에게 가르치기 위한 컨텐츠를, 상기 인재를 상기 제 2 시설로부터 상기 제 1 시설로 보내도록 구성된 차량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 및 상기 제 2 서비스는, 서로 다른 요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요리를 만드는 방법을 포함하여도 된다.
본 개시의 제 2 양태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양태에 있어서의 제어장치와, 상기 제 2 시설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보내는 것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경우에, 당해 리소스를 상기 제 2 시설로부터 상기 제 1 시설로 보내도록 구성된 차량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 3 양태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양태에 있어서의 제어장치와, 상기 양태에 있어서의 차량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 4 양태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량은, 제 1 시설의 상황에 따라, 상기 제 1 시설과는 다른 제 2 시설이 상기 제 1 시설에서 제공되는 제 1 서비스와는 다른 제 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인재를, 상기 제 1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상기 제 2 시설로부터 상기 제 1 시설로 보내는 것이 제어장치에 의해 결정된 경우에, 상기 인재를 상기 제 2 시설로부터 상기 제 1 시설로 보내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인재를 보내는 것이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결정된 경우에, 상기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상기 인재에게 가르치기 위한 컨텐츠를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 및 상기 제 2 서비스는, 서로 다른 요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요리를 만드는 방법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인재가 상기 제 1 시설의 제복으로 갈아입기 위한 스페이스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설로부터 상기 제 1 시설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차량의 외관이 변화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차량의 노출면에 장착되어도 된다. 상기 외관의 변화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 2 시설의 상표를 표시하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시설의 상표를 표시하는 상태로 변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본 개시의 제 5 양태는, 서비스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서비스 지원 방법은, 제 1 시설의 상황에 따라, 상기 제 1 시설과는 다른 제 2 시설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상기 제 1 시설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상기 제 2 시설로부터 상기 제 1 시설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제어장치에 의해 결정하는 것과, 상기 제 2 시설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보내는 것이 결정된 경우에, 당해 리소스를 차량에 의해 상기 제 2 시설로부터 상기 제 1 시설로 보내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 5 양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요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상황에 따라, 상기 제 2 시설이 보유하는 식재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5 양태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상황에 따라, 상기 제 2 시설이 보유하는 인재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본 개시의 각 양태에 의하면, 각각의 시설 사이에서의 응원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記述)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차량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개요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시설(11)의 상황에 따라, 제 1 시설(11)과는 다른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제 1 시설(11)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보낼 것인지 아닌지가 제어장치(20)에 의해 결정된다.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보내는 것이 결정된 경우에, 당해 리소스가 차량(30)에 의해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보내진다. 따라서, 각각의 시설 사이에서의 응원이 가능하게 된다.
제 1 시설(11) 및 제 2 시설(12)에서는, 원래부터 같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서비스, 및 제 1 서비스와는 다른 제 2 서비스가 각각 제공되고 있다. 제 1 시설(11)에서는, 제 2 시설(12)로부터의 응원이 얻어진 때에는 제 2 시설(12)과 같은 서비스, 즉, 제 2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서비스 및 제 2 서비스는, 서로 다른 요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서비스는, 햄버거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제 2 서비스는, 프라이드 치킨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 1 시설(11)은, 햄버거 체인점이다. 제 2 시설(12)은, 프라이드 치킨 체인점이다. 제 2 시설(12)은, 제 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 등의 인재(13), 및 닭가슴살 및 닭다리살 등의 식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리소스를 보유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시설(11)의 상황으로서, 제 1 시설(11)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리소스가 충분히 있는지 아닌지가 고려된다. 혹은, 제 1 시설(11)의 상황으로서, 제 1 시설(11)의 혼잡 상황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제 1 시설(11)에서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가 충분하지 않거나, 또는 제 1 시설(11)이 혼잡하고 있다고 한다. 그 경우, 제 2 시설(12)에서 손이 비어 있는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를, 제 1 시설(11)에서 햄버거 등의 요리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내는 것이 결정된다. 조리 스태프는,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보내져, 제 1 시설(11)에서 요리를 만든다. 접객 스태프는,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보내져, 제 1 시설(11)에서 요리의 주문을 받는다. 그 결과, 제 1 시설(11)의 일손 부족이 해소되는 것이 기대된다. 혹은, 제 1 시설(11)의 맨파워가 증강되어, 고객의 대기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 기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30)에는, 인재(13)가 제 1 시설(11)의 제복으로 갈아입기 위한 스페이스(37)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는,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의 이동중에, 차량(30) 내의 스페이스(37)를 이용하여 제 2 시설(12)의 제복에서 제 1 시설(11)의 제복으로 갈아입는다. 조리 스태프는, 제 1 시설(11)의 제복으로 갈아입으면서 또는 갈아입은 후에, 제 1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요리를 만드는 방법을 포함하는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대하여 차량(30) 내에서 연수를 받아도 된다. 접객 스태프는, 제 1 시설(11)의 제복으로 갈아입으면서 또는 갈아입은 후에, 제 1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요리의 주문을 받는 방법을 포함하는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대하여 차량(30) 내에서 연수를 받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30)이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차량(30)의 외관이 변화된다. 외관의 변화는, 차량(30)의 노출면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38)가 제 2 시설(12)의 상표(16)를 표시하는 상태로부터 제 1 시설(11)의 상표(15)를 표시하는 상태로 변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차량(30)이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를 태우고 제 2 시설(12)을 출발할 때에는, 제 2 시설(12)의 상표(16)가 디스플레이(38)에 표시되고 있다.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가 제 1 시설(11)의 제복으로 마저 갈아입었을 때,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대하여 연수를 마저 받았을 때, 또는 그 외의 임의의 시점에서, 제 2 시설(12)의 상표(16)가 제 1 시설(11)의 상표(15)로 전환된다. 그리고, 차량(30)이 제 1 시설(11)에 도착할 때에는, 제 1 시설(11)의 상표(15)가 디스플레이(38)에 표시되고 있다. 그 결과,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가 차량(30)으로부터 내려올 때에, 제 1 시설(11)에 대한 귀속감이 생겨, 제 1 시설(11)을 응원하는 것에 대한 모티베이션이 향상하는 것이 기대된다. 또한, 고객이 제 1 시설(11)에서 차량(30), 또는 차량(30)으로부터 내리는 조리 스태프 혹은 접객 스태프를 보아도, 불안 및 의념이 생기기 어렵다.
차량(30)의 외관의 변화는, 디스플레이(38)에 표시되는 상표의 교체에 한하지 않고, 디스플레이(38)에 표시되는 임의의 문자, 도형, 혹은 화상의 교체, 또는 차량(30)의 차체의 변형 등, 임의의 변화여도 된다.
제 1 시설(11)의 상황으로서, 제 1 시설(11)의 내방자가 제 1 서비스를 희망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고려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시설(11)을 방문한 고객이, 햄버거 등, 제 1 시설(11)의 메뉴에 있는 요리를 먹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 경우, 제 2 시설(12)에서 손이 비어 있는 조리 스태프와, 제 2 시설(12)에서 남아 있는 식재를, 제 1 시설(11)로, 프라이드 치킨 등, 제 1 시설(11)의 메뉴에 없는 요리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내는 것이 결정된다. 조리 스태프는, 식재와 함께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보내져, 제 1 시설(11)에서, 그 식재를 사용하여 메뉴에 없는 요리를 만든다. 그 결과, 고객은, 제 1 시설(11)에서 메뉴에 없는 요리를 먹을 수 있다.
제 1 시설(11) 및 제 2 시설(12)의 각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푸드 서비스에 한하지 않고, 의료 서비스, 간호 서비스, 숙박 서비스, 금융 서비스, 레저 서비스, 또는 교육 서비스 등, 임의의 서비스여도 된다. 제 1 시설(11) 및 제 2 시설(12)은, 각각 음식점에 한하지 않고, 클리닉 혹은 병원 등의 의료 시설, 간호 시설, 호텔 등의 숙박 시설, 은행, 레저 시설, 또는 교육 시설 등, 임의의 시설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일 변형예로서, 제 1 서비스는, 성인 의료 서비스를 포함하여도 된다. 제 2 서비스는, 소아 의료 서비스를 포함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시설(11)은, 성인용의 클리닉이어도 된다. 제 2 시설(12)은, 소아용의 클리닉이어도 된다. 제 2 시설(12)은, 제 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소아과의 등의 인재(13)를 포함하는 다양한 리소스를 보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변형예에서도, 제 1 시설(11)의 상황으로서, 제 1 시설(11)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리소스가 충분히 있는지 아닌지가 고려된다. 혹은, 제 1 시설(11)의 상황으로서, 제 1 시설(11)의 혼잡 상황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제 1 시설(11)에서 의사가 충분하지 않거나, 또는 제 1 시설(11)이 혼잡하고 있다고 한다. 그 경우, 제 2 시설(12)에서 손이 비어 있는 소아과의를, 제 1 시설(11)에서 성인 환자의 진료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내는 것이 결정된다. 소아과의는,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보내져, 제 1 시설(11)에서 환자의 진료를 행한다. 그 결과, 제 1 시설(11)의 일손 부족이 해소되는 것이 기대된다. 혹은, 제 1 시설(11)의 맨파워가 증강되어, 환자의 대기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 기대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시스템(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시스템(10)은, 적어도 1대의 제어장치(20)와, 적어도 1대의 차량(30)을 구비한다.
제어장치(20)는, 데이터 센터 등의 시설에 설치된다. 제어장치(20)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그 외의 컴퓨팅 시스템에 속하는 서버 등의 컴퓨터이다.
차량(30)은, 예를 들면, 가솔린차, 디젤차, HV, PHV, EV, 또는 FCV 등의 임의의 종류의 자동차이다. 「HV」는, hybrid vehicle의 약어이다. 「PHV」는, plug-in hybrid vehicle의 약어이다. 「EV」는, electric vehicle의 약어이다. 「FCV」는, fuel cell vehicle의 약어이다. 차량(30)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AV이지만, 운전수에 의해 운전되어도 되고, 또는 임의의 레벨로 운전이 자동화되어 있어도 된다. 「AV」는, autonomous vehicle의 약어이다. 자동화의 레벨은, 예를 들면, SAE의 레벨 분류에 있어서의 레벨 1~레벨 5 중 어느 것이다. 「SAE」는,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의 약어이다. 차량(30)은, MaaS 전용 차량이어도 된다. 「MaaS」는, Mobility as a Service의 약어이다.
차량(30)의 노출면에는, 디스플레이(38)가 장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38)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30)의 측면에 장착되지만, 차량(30)의 상면 등, 임의의 노출면에 장착되어도 된다. 디스플레이(38)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30)의 도어에 내장되지만, 도어의 표면에 장착되어도 되고, 또는 도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장착되어도 된다. 디스플레이(38)는, 예를 들면, LCD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이다. 「LCD」는, liquid crystal display의 약어이다. 「EL」은, electro luminescence의 약어이다.
제어장치(20)는, 네트워크(40)를 개재하여, 차량(30)과 통신 가능하다. 제어장치(20)는, 네트워크(40)를 개재하여, 제 1 시설(11)의 단말 장치, 및 제 2 시설(12)의 단말 장치와도 통신 가능하다.
네트워크(40)는, 인터넷, 적어도 1개의 WAN, 적어도 1개의 MAN,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WAN」은, wide area network의 약어이다. 「MAN」은, metropolitan area network의 약어이다. 네트워크(40)는, 적어도 1개의 무선 네트워크, 적어도 1개의 광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여도 된다.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애드 호크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LAN, 위성 통신 네트워크, 또는 지상 마이크로파 네트워크이다.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어이다.
제 1 시설(11)의 단말 장치는, 제 1 시설(11)에 설치되거나, 또는 제 1 시설(11)의 관리 스태프에 의해 보지(保持)된다. 제 1 시설(11)의 단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스마트 폰, 혹은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 또는 PC이다. 「PC」은, personal computer의 약어이다.
제 2 시설(12)의 단말 장치는, 제 2 시설(12)에 설치되거나, 또는 제 2 시설(12)의 관리 스태프에 의해 보지된다. 제 2 시설(12)의 단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스마트 폰, 혹은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 또는 PC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제어장치(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어장치(20)는, 제어부(21)와, 기억부(22)와, 통신부(23)와, 입력부(24)와, 출력부(25)를 구비한다.
제어부(21)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 적어도 1개의 프로그래머블 회로, 적어도 1개의 전용 회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CPU 혹은 GPU 등의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정한 처리에 특화된 전용 프로세서이다.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어이다. 「GPU」는, graphics processing unit의 약어이다. 프로그래머블 회로는, 예를 들면, FPGA이다. 「FPGA」는, field-progra㎜able gate array의 약어이다. 전용 회로는, 예를 들면, ASIC이다. 「ASIC」는,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약어이다. 제어부(21)는, 제어장치(20)의 각 부를 제어하면서, 제어장치(20)의 동작에 관련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기억부(22)는, 적어도 1개의 반도체 메모리, 적어도 1개의 자기 메모리, 적어도 1개의 광 메모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반도체 메모리는, 예를 들면, RAM 또는 ROM이다. 「RAM」은, random access memory의 약어이다. 「ROM」은, read only memory의 약어이다. RAM은, 예를 들면, SRAM 또는 DRAM이다. 「SRAM」은, static random access memory의 약어이다. 「DRAM」은,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약어이다. ROM은, 예를 들면, EEPROM이다. 「EEPROM」은, electrically erasable progra㎜able read only memory의 약어이다. 기억부(22)는, 예를 들면, 주기억장치, 보조 기억장치, 또는 캐시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기억부(22)에는, 제어장치(20)의 동작에 이용되는 데이터와, 제어장치(20)의 동작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가 기억된다.
통신부(23)는, 적어도 1개의 통신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통신용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LAN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23)는, 제어장치(20)의 동작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제어장치(20)의 동작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입력부(24)는, 적어도 1개의 입력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입력용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물리 키, 정전 용량 키, 포인팅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와 일체적으로 마련된 터치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이다. 입력부(24)는, 제어장치(20)의 동작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조작을 접수한다. 입력부(24)는, 제어장치(20)에 구비되는 대신에, 외부의 입력 기기로서 제어장치(20)에 접속되어도 된다. 접속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USB, HDM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임의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USB」은, Universal Serial Bus의 약어이다. 「HDMI(등록상표)」는,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의 약어이다.
출력부(25)는, 적어도 1개의 출력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출력용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이다.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LCD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이다. 출력부(25)는, 제어장치(20)의 동작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부(25)는, 제어장치(20)에 구비되는 대신에, 외부의 출력 기기로서 제어장치(20)에 접속되어도 된다. 접속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USB, HDM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임의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장치(20)의 기능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제 1 제어 프로그램을, 제어부(21)로서의 프로세서에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즉, 제어장치(20)의 기능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제 1 제어 프로그램은, 제어장치(20)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킴으로써, 컴퓨터를 제어장치(20)로서 기능시킨다. 즉, 컴퓨터는, 제 1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장치(20)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제어장치(20)로서 기능한다.
프로그램은, 비일시적인 컴퓨터 독해 가능한 매체에 기억해 둘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독해 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자기 기록 장치, 광디스크, 광 자기 기록 매체, 또는 ROM이다. 프로그램의 유통은, 예를 들면, 프로그램을 기억한 SD 카드, DVD, 또는 CD-ROM 등의 가반형(可搬型) 매체를 판매, 양도, 또는 대여함으로써 행한다. 「SD」는, Secure Digital의 약어이다. 「DVD」는, digital versatile disc의 약어이다. 「CD-ROM」은,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의 약어이다. 프로그램을 서버의 스토리지에 저장해 두고, 서버로부터 다른 컴퓨터로 프로그램을 전송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유통시켜도 된다.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프로덕트로서 제공하여도 된다.
컴퓨터는, 예를 들면, 가반형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또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을, 일단, 주기억장치에 저장한다. 그리고, 컴퓨터는,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서 판독하여, 판독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프로세서에서 실행한다. 컴퓨터는, 가반형 매체로부터 직접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여도 된다. 컴퓨터는, 컴퓨터에 서버로부터 프로그램이 전송될 때마다, 축차, 수취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여도 된다. 서버로부터 컴퓨터로의 프로그램의 전송은 행하지 않고, 실행 지시 및 결과 취득만에 의해 기능을 실현한다, 소위 ASP형의 서비스에 의해 처리를 실행하여도 된다. 「ASP」는, application service provider의 약어이다. 프로그램은, 전자 계산기에 의한 처리용으로 제공하는 정보이며 프로그램에 준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컴퓨터에 대한 직접적인 지령은 아니지만 컴퓨터의 처리를 규정하는 성질을 가지는 데이터는, 「프로그램에 준하는 것」에 해당한다.
제어장치(20)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이, 제어부(21)로서의 프로그래머블 회로 또는 전용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즉, 제어장치(20)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차량(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차량(30)은, 제어부(31)와, 기억부(32)와, 통신부(33)와, 입력부(34)와, 출력부(35)와, 측위부(36)를 구비한다.
제어부(31)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 적어도 1개의 프로그래머블 회로, 적어도 1개의 전용 회로, 적어도 1개의 ECU,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ECU」는, electronic control unit의 약어이다. 프로세서는, CPU 혹은 GPU 등의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정한 처리에 특화된 전용 프로세서이다. 프로그래머블 회로는, 예를 들면, FPGA이다. 전용 회로는, 예를 들면, ASIC이다. 제어부(31)는, 차량(30)의 각 부를 제어하면서, 차량(30)의 동작에 관련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기억부(32)는, 적어도 1개의 반도체 메모리, 적어도 1개의 자기 메모리, 적어도 1개의 광 메모리,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반도체 메모리는, 예를 들면, RAM 또는 ROM이다. RAM은, 예를 들면, SRAM 또는 DRAM이다. ROM은, 예를 들면, EEPROM이다. 기억부(32)는, 예를 들면, 주기억장치, 보조 기억장치, 또는 캐시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기억부(32)에는, 차량(30)의 동작에 이용되는 데이터와, 차량(30)의 동작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가 기억된다.
통신부(33)는, 적어도 1개의 통신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통신용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LTE, 4G 규격, 혹은 5G 규격 등의 이동 통신 규격에 대응한 인터페이스,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대응한 인터페이스, 또는 LAN 인터페이스이다. 「LTE」는, Long Term Evolution의 약어이다. 「4G」는, 4th generation의 약어이다. 「5G」는, 5th generation의 약어이다. 통신부(33)는, 차량(30)의 동작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또한 차량(30)의 동작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입력부(34)는, 적어도 1개의 입력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입력용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물리 키, 정전 용량 키, 포인팅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와 일체적으로 마련된 터치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이다. 입력부(34)는, 차량(30)의 동작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조작을 접수한다. 입력부(34)는, 차량(30)에 구비되는 대신에, 외부의 입력 기기로서 차량(30)에 접속되어도 된다. 접속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USB, HDM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임의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출력부(35)는, 적어도 1개의 출력용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출력용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이다.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LCD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이다. 출력부(35)는, 차량(30)의 동작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부(35)는, 차량(30)에 구비되는 대신에, 외부의 출력 기기로서 차량(30)에 접속되어도 된다. 접속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USB, HDM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임의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측위부(36)는, 적어도 1개의 GNSS 수신기를 포함한다. 「GNSS」는,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약어이다. GNSS는, 예를 들면, GPS, QZSS, BDS, GLONASS, 또는 Galileo이다. 「GPS」는,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어이다. 「QZSS」는, Quasi-Zenith Satellite System의 약어이다. QZSS의 위성은, 준천정위성이라고 불린다. 「BDS」는,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약어이다. 「GLONASS」는,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약어이다. 측위부(36)는, 차량(30)의 위치를 측정한다.
제어부(31), 기억부(32), 통신부(33), 입력부(34), 출력부(35), 및 측위부(36)는, 개별적으로 차량(30)에 조립됨으로써 차량(30)에 구비되어도 되고, 또는 적어도 1대의 차량 탑재 장치에 조립되어, 차량 탑재 장치마다 차량(30)에 구비되어도 된다.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제 2 제어 프로그램을, 제어부(31)로서의 프로세서에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즉,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제 2 제어 프로그램은, 차량 탑재 장치의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킴으로써, 컴퓨터를 차량 탑재 장치로서 기능시킨다. 즉, 컴퓨터는, 제 2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차량 탑재 장치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차량 탑재 장치로서 기능한다.
차량 탑재 장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이, 제어부(31)로서의 프로그래머블 회로 또는 전용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즉, 차량 탑재 장치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시스템(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동작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서비스 지원 방법에 상당한다. 도 4는, 제어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차량(30)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단계 S101에 있어서,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상황 데이터를 취득한다. 상황 데이터는, 제 1 시설(11)의 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황 데이터는, 제 1 시설(11)의 상황으로서, 제 1 시설(11)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리소스가 충분히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혹은, 상황 데이터는, 제 1 시설(11)의 상황으로서, 제 1 시설(11)의 혼잡 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황 데이터는, 임의의 순서로 취득되어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순서로 취득된다.
제어장치(20)의 통신부(23)는, 제 1 시설(11)의 단말 장치로부터, 제 1 시설(11)의 관리 스태프에 의해 입력된 상황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통신부(23)에 의해 수신된 상황 데이터를 취득한다.
상황 데이터가 제 1 시설(11)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대신에, 제어장치(20)에 의해 생성되어도 된다. 그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제어장치(20)의 통신부(23)는, 제 1 시설(11)의 단말 장치로부터, 제 1 시설(11)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수신한다.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통신부(23)에 의해 수신된 화상을 해석하고, 제 1 시설(11)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리소스가 충분히 있는지 아닌지, 또는 제 1 시설(11)의 혼잡 상황을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상황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도 4의 단계 S102에 있어서,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단계 S101에서 취득한 상황 데이터에서 나타내지는 상황에 따라,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제 1 시설(11)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21)는, 제 1 시설(11)의 상황에 따라, 제 1 시설(11)을 응원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보내는 것, 즉, 제 1 시설(11)을 응원하는 것이 결정된 경우에는, 단계 S103의 처리가 행해진다.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보내지 않는 것, 즉, 제 1 시설(11)을 응원하지 않는 것이 결정된 경우에는, 도 4의 플로우가 종료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상황 데이터에서 나타내지는 상황에 따라,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인재(13)를,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21)는, 상황 데이터에서 나타내지는 상황에 따라, 제 2 시설(12)이 제 1 시설(11)에서 제공되는 제 1 서비스와는 다른 제 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인재(13)를, 제 1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시설(11)에서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가 충분하지 않거나, 또는 제 1 시설(11)이 혼잡하고 있다고 한다. 그 경우,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제 2 시설(12)에서 손이 비어 있는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를, 제 1 시설(11)에서 햄버거 등의 요리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내는 것을 결정한다. 제 2 시설(12)에서 손이 비어 있는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는, 임의의 방법으로 인식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1)는, 제 2 시설(12)의 관리 스태프에 의해 입력된,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에 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 2 시설(12)에서 손이 비어 있는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를 인식한다. 혹은, 제어부(21)는, 제 2 시설(12)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해석하여, 제 2 시설(12)에서 손이 비어 있는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를 인식한다.
도 4의 단계 S103에 있어서,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차량(30)의 배차 처리를 실행한다.
배차 처리는, 임의의 순서로 실행되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순서로 실행된다.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배차 요구를 통신부(23)에 송신시킨다. 통신부(23)는, 배차 요구를 차량(30)으로 송신한다. 차량(30)의 통신부(33)는, 제어장치(20)로부터, 송신된 배차 요구를 수신한다. 차량(30)의 제어부(31)는, 통신부(33)에 의해 수신된 배차 요구에 따라, 단계 S102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내지는 것이 결정된 인재(13)를 제 2 시설(12)에서 발탁하는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차량(30)의 제어부(31)는, 발탁한 인재(13)를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보내는 제어를 행한다. 차량(30)은, 이 일련의 제어에 따라, 인재(13)를 제 2 시설(12)에서 발탁하여,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보낸다.
도 4의 단계 S104에 있어서,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인재(13)에게 가르치기 위한 컨텐츠를 통신부(23)로 송신시킨다. 컨텐츠는, 제어장치(20)의 기억부(22), 또는 외부의 스토리지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통신부(23)는, 컨텐츠를 차량(30)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단계 S102에서, 제 2 시설(12)에서 손이 비어 있는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를, 제 1 시설(11)에서 햄버거 등의 요리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내는 것이 결정되었다고 한다. 그 경우,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제 1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요리를 만드는 방법, 및 주문을 받는 방법을 포함하는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대한 연수 비디오를 통신부(23)로 송신시킨다.
도 5의 단계 S111에 있어서, 차량(30)의 제어부(31)는, 제 2 시설(12)의 상표(16)를 표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디스플레이(38)는, 이 제어에 따라, 제 2 시설(12)의 상표(16)를 표시한다. 단계 S111의 처리는, 늦어도 차량(30)이 인재(13)를 제 2 시설(12)에서 발탁하는 시점에 개시되고, 적어도 차량(30)이 인재(13)를 태워서 제 2 시설(12)을 출발하는 시점까지는 계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의 단계 S103에서 송신되는 배차 요구는, 제 2 시설(12)의 상표(16)를 표시하는 요구를 포함한다. 차량(30)의 제어부(31)는, 이 요구에 따라, 제 2 시설(12)의 상표(16)를 표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도 5의 단계 S112에 있어서, 차량(30)의 통신부(33)는, 제어장치(20)로부터, 도 4의 단계 S104에서 송신된 컨텐츠를 수신한다.
도 5의 단계 S113에 있어서, 차량(30)의 제어부(31)는, 단계 S112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를 행한다. 차량(30)의 출력부(35)는, 이 제어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한다. 단계 S113의 처리는, 차량(30)이 인재(13)를 태워서 제 2 시설(12)을 출발하는 시점과, 차량(30)이 제 1 시설(11)에 도착하는 시점의 사이에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 4의 단계 S104에서,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대한 연수 비디오가 송신되었다고 한다. 그 경우, 차량(30)의 출력부(35)로서의 디스플레이는, 차량(30) 내의 스페이스(37)에 있는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를 향해서, 연수 비디오에 포함되는 화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출력부(35)로서의 스피커는, 조리 스태프 및 접객 스태프를 향해서, 연수 비디오에 포함되는 음성을 출력한다.
도 5의 단계 S114에 있어서, 차량(30)의 제어부(31)는, 제 1 시설(11)의 상표(15)를 표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디스플레이(38)는, 이 제어에 따라, 제 1 시설(11)의 상표(15)를 표시한다. 단계 S114의 처리는, 차량(30)이 인재(13)를 태워서 제 1 시설(11)에 도착하는 시점보다도 전에 개시되어, 적어도 차량(30)이 제 1 시설(11)에 도착하는 시점까지는 계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의 단계 S103에서 송신되는 배차 요구는, 차량(30)이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제 2 시설(12)의 상표(16)의 표시를 제 1 시설(11)의 상표(15)의 표시로 전환하는 요구를 포함한다. 차량(30)의 제어부(31)는, 이 요구에 따라, 제 1 시설(11)의 상표(15)를 표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제 1 시설(11)의 상황을 나타내는 상황 데이터를 취득한다. 제어부(21)는, 취득한 상황 데이터에서 나타내지는 상황에 따라, 제 1 시설(11)과는 다른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제 1 시설(11)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제 1 시설(11)에 대여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시설 사이에서의 응원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30)의 제어부(31)는, 제 2 시설(12)이 제 1 시설(11)에서 제공되는 제 1 서비스와는 다른 제 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인재(13)를, 제 1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보내는 것이 제어장치(20)에 의해 결정된 경우에, 인재(13)를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보내는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시설(12)로부터의 응원에 의해 제 1 시설(11)의 맨파워를 증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리가 많은데도, 주문이 많아, 요리가 좀처럼 나오지 않는 음식점이 있다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그러한 음식점에 다른 음식점으로부터 응원을 보냄으로써, 요리를 빨리 내놓을 수 있다. 또한, 음식점에 따라 혼잡하는 시간대가 다른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혼잡하고 있는 음식점으로, 혼잡하고 있지 않은 음식점으로부터 응원을 보냄으로써, 빈 리소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다.
같은 계열의 음식점끼리에서, 서로 응원할 수 있도록, 종업원의 수 등, 리소스에 관한 정보, 및 공석 상황 및 주문 상황 등, 혼잡 상황에 관한 정보가 공유되어도 된다. 혹은, 다른 계열의 음식점끼리에서, 서로 응원할 수 있도록, 리소스에 관한 정보, 및 혼잡 상황에 관한 정보가 공유되어도 된다. 음식점 사이에서 공통의 근태 관리 시스템이 도입되어도 된다. 리소스로서 사람이 파견된 경우, 그 사람이 파견처 음식점에서 일한 시간만큼 파견처의 음식점이 임금을 지불하여도 된다. 그 경우, 파견한 음식점은 인건비를 삭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일 변형예로서, 상황 데이터는, 제 1 시설(11)의 상황으로서, 제 1 시설(11)의 내방자가 제 1 서비스를 희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여도 된다. 그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상황 데이터에서 나타내지는 상황에 따라,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제 2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시설(11)을 방문한 고객이, 햄버거 등, 제 1 시설(11)의 메뉴에 있는 요리를 먹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 경우,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제 2 시설(12)에서 손이 비어 있는 조리 스태프를, 제 1 시설(11)로, 프라이드 치킨 등, 제 1 시설(11)의 메뉴에 없는 요리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내는 것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가게의 분위기는 좋은데도, 고객에 있어서 메뉴를 선호하지는 않는 음식점이 있다고 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그러한 음식점으로 다른 음식점으로부터 응원을 보냄으로써, 메뉴에 없는 요리를 내놓을 수 있다.
메뉴에 대기 시간이 표시되어도 된다. 고객이 다른 음식점의 요리를 부탁한 경우에는 장소의 이용 요금을 다른 음식점으로부터 징수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일 변형예로서,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상황 데이터에서 나타내지는 상황에 따라,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식재를,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시설(11)을 방문한 고객이, 햄버거 등, 제 1 시설(11)의 메뉴에 있는 요리를 먹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 경우, 제어장치(20)의 제어부(21)는, 제 2 시설(12)에서 남아 있는 식재를, 제 1 시설(11)로, 프라이드 치킨 등, 제 1 시설(11)의 메뉴에 없는 요리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내는 것을 결정한다.
식재가 그대로 보내지는 대신에, 식재를 포함하는 요리가 보내져도 된다. 요리의 준비는, 차량(30)이 제 2 시설(12)로부터 제 1 시설(11)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행해져도 된다.
본 개시는 상기 서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블록도에 기재된 복수의 블록을 통합하여도 되고, 또는 1개의 블록을 분할하여도 된다. 플로우 차트에 기재된 복수의 단계를 기술에 따라 시계열로 실행하는 대신에, 각 단계를 실행하는 장치의 처리 능력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병렬적으로 또는 다른 순서로 실행하여도 된다. 그 외, 본 개시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20)는, 제 1 시설(11)에 설치되어도 된다. 그 경우, 제 1 시설(11)의 단말 장치는, 제어장치(20)에 통합되어도 된다.
또는, 제어장치(20)는, 제 2 시설(12)에 설치되어도 된다. 그 경우, 제 2 시설(12)의 단말 장치는, 제어장치(20)에 통합되어도 된다.
또는, 제어장치(20)는, 차량(30)에 탑재 또는 설치되어도 된다. 그 경우, 차량(30)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는, 제어장치(20)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차량(30)의 제어부(31), 기억부(32), 통신부(33), 입력부(34), 출력부(35), 및 측위부(36)가 차량 탑재 장치에 조립된 경우, 차량 탑재 장치는, 제어장치(20)에 통합되어도 된다.

Claims (20)

  1. 제어장치(20)에 있어서,
    제 1 시설(11)의 상황을 나타내는 상황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황 데이터에서 나타내지는 상황에 따라, 상기 제 1 시설(11)과는 다른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상기 제 1 시설(11)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상기 제 2 시설(12)로부터 상기 제 1 시설(11)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21)를 포함하는 제어장치(2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데이터는, 상기 상황으로서, 상기 제 1 시설(11)에서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리소스가 충분히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장치(2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데이터는, 상기 상황으로서, 상기 제 1 시설(11)의 혼잡 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장치(2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데이터는, 상기 상황으로서, 상기 제 1 시설(11)의 내방자가, 상기 제 1 시설(11)에서 제공되는 제 1 서비스를 희망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상황에 따라, 상기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상기 제 1 서비스와는 다른 제 2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장치(2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요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상황에 따라, 상기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식재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장치(20).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상황에 따라, 상기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인재(13)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장치(20).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상황에 따라, 상기 제 2 시설(12)이 상기 제 1 시설(11)에서 제공되는 제 1 서비스와는 다른 제 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인재(13)를, 상기 제 1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장치(2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재(13)를 보내는 것이 상기 제어부(21)에 의해 결정된 경우에, 상기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상기 인재(13)에게 가르치기 위한 컨텐츠를, 상기 인재(13)를 상기 제 2 시설(12)로부터 상기 제 1 시설(11)로 보내도록 구성된 차량(30)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제어장치(2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 및 상기 제 2 서비스는, 서로 다른 요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요리를 만드는 방법을 포함하는 제어장치(20).
  10. 시스템(10)에 있어서,
    제 1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장치(20); 및
    상기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보내는 것이 상기 제어부(21)에 의해 결정된 경우에, 당해 리소스를 상기 제 2 시설(12)로부터 상기 제 1 시설(11)로 보내도록 구성된 차량을 포함하는 시스템(10).
  11. 시스템(10)에 있어서,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기재된 제어장치(20); 및
    상기 차량(30)을 포함하는 시스템(10).
  12. 차량(30)에 있어서,
    제 1 시설(11)의 상황에 따라, 상기 제 1 시설(11)과는 다른 제 2 시설(12)이 상기 제 1 시설(11)에서 제공되는 제 1 서비스와는 다른 제 2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인재(13)를, 상기 제 1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상기 제 2 시설(12)로부터 상기 제 1 시설(11)로 보내는 것이 제어장치(20)에 의해 결정된 경우에, 상기 인재(13)를 상기 제 2 시설(12)로부터 상기 제 1 시설(11)로 보내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31)를 구비하는 차량(30).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재(13)를 보내는 것이 상기 제어장치(20)에 의해 결정된 경우에, 상기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상기 인재(13)에게 가르치기 위한 컨텐츠를 상기 제어장치(20)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33); 및
    상기 통신부(33)에 의해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35)를 더 포함하는 차량(3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비스 및 상기 제 2 서비스는, 서로 다른 요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상기 제 1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요리를 만드는 방법을 포함하는 차량(30).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재(13)가 상기 제 1 시설(11)의 제복으로 갈아입기 위한 스페이스(37)가 마련되어 있는 차량(30).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설(12)로부터 상기 제 1 시설(11)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차량(30)의 외관이 변화되는 차량(30).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30)의 디스플레이(38)가 상기 차량(30)의 노출면에 장착되며,
    상기 외관의 변화는, 상기 디스플레이(38)가 상기 제 2 시설(12)의 상표(16)를 표시하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시설(11)의 상표(15)를 표시하는 상태로 변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30).
  18. 서비스 지원 방법에 있어서,
    제 1 시설(11)의 상황에 따라, 상기 제 1 시설(11)과는 다른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상기 제 1 시설(11)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상기 제 2 시설(12)로부터 상기 제 1 시설(11)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제어장치에 의해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리소스를 보내는 것이 결정된 경우에, 당해 리소스를 차량(30)에 의해 상기 제 2 시설(12)로부터 상기 제 1 시설(11)로 보내는 것을 포함하는 서비스 지원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요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상황에 따라, 상기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식재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비스 지원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것은, 상기 상황에 따라, 상기 제 2 시설(12)이 보유하는 인재(13)를,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되는 리소스로서 보낼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비스 지원 방법.
KR1020210100030A 2020-09-04 2021-07-29 제어장치,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지원 방법 KR202200314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49364 2020-09-04
JP2020149364A JP2022043870A (ja) 2020-09-04 2020-09-04 制御装置、システム、車両、及びサービス支援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492A true KR20220031492A (ko) 2022-03-11

Family

ID=8039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030A KR20220031492A (ko) 2020-09-04 2021-07-29 제어장치,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76179A1 (ko)
JP (1) JP2022043870A (ko)
KR (1) KR20220031492A (ko)
CN (1) CN114140039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8517B1 (en) * 2001-07-24 2005-05-24 Trimble Navigation Limited Vehicle-based dynamic advertising
US20190035104A1 (en) * 2017-07-25 2019-01-31 Motionloft, Inc.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40039A (zh) 2022-03-04
US20220076179A1 (en) 2022-03-10
JP2022043870A (ja)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042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recommended service location
AU20202004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target vehicle/provider
CN109923373B (zh) 用于确定车辆参考方向的系统和方法
WO201922374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forming a user of carpooling information
AU20212180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navigation route
JP2019505032A (ja) サービスの順序列を更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2262557B (zh) 用于为线上到线下服务提供信息的系统和方法
CN110301132A (zh) 用于按需服务的系统和方法
JP7405057B2 (ja) 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US202100497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0888947B (zh) 服务请求处理方法和系统
KR20220031492A (ko) 제어장치, 시스템, 차량, 및 서비스 지원 방법
US20210312583A1 (en) Control device, program for control device, and program for terminal device
JP2019090765A (ja) 情報処理装置
US20220067615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15083196B (zh) 同乘支援装置、同乘支援系统、同乘支援方法以及存储介质
JP7392631B2 (ja) 制御装置、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7334631B2 (ja) 制御装置、システム、及びユーザ支援方法
US20210158230A1 (en) Control apparatus, system,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erminal apparatus, and announcement method
JP7424326B2 (ja) 制御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マッチング方法
JP2023124726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60464B2 (ja) 制御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7247870B2 (ja) 制御装置、システム、及び支払い割当て方法
CN114331251A (zh) 控制装置、非临时计算机可读取介质及控制方法
JP2024031664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