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235A - Hanger type extraction device for cargo loaded in container - Google Patents

Hanger type extraction device for cargo loaded in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235A
KR20220031235A KR1020200112917A KR20200112917A KR20220031235A KR 20220031235 A KR20220031235 A KR 20220031235A KR 1020200112917 A KR1020200112917 A KR 1020200112917A KR 20200112917 A KR20200112917 A KR 20200112917A KR 20220031235 A KR20220031235 A KR 20220031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anger
fork
fram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0233B1 (en
Inventor
홍승빈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에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에스비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에스비
Priority to KR1020200112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233B1/en
Publication of KR2022003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2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2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A hanger type container cargo extraction apparatus is disclosed. The disclosed hanger type container cargo extraction apparatus includes: a pair of fork insertion parts into which a pair of forks provided in a forklift are inserted; a pair of extension frames extended forward from the pair of fork insertion parts respectively to be inserted into and withdrawn from the container;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part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pair of fork insertion parts to prevent the pair of fork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ir of fork insertion parts; a hanger part formed in the bottom of each of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nect both upper ends of a transport strap; and at least two transport straps surrounding a lower side and left and right sides of cargo loaded in a container and having both upper ends connected and fixed to a pair of hanger parts plac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in a lateral direction to enable the loaded cargo to be suspended from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nabling safer and more efficient unloading work.

Description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Hanger type extraction device for cargo loaded in container}Hanger type extraction device for cargo loaded in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내부의 적재화물을 외부로 운반하여 하차시키기 위한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 포크에 결합시켜 컨테이너 내부에 인입 및 인출되면서 적재화물을 매달아 하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행거형 컨테이버 적재화물 적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loading cargo extraction device for transporting and unloading cargo inside a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coupled to a fork of a forklift so that loading and unloading are performed by hanging the loaded cargo while drawing in and withdrawing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t relates to a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일반적으로, 각종 화물을 안전하고 대량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컨테이너는 그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대개 길쭉하게 연장된 육면체의 형태를 이루어진다. In general, containers used to safely and in large quantities transport various kinds of cargoes are of a wide variety according to their use, and usually have a shape of an elongated hexahedron.

이러한 컨테이너는, 취급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냉동이나 항온항습 또는 보온이나 진공유지 등의 특수 기능을 가진 것에서부터, 공산품이나 농산품 또는 각종 골재나 고철 또는 석탄 등과 같은 일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것에 이르기까지 물류 산업 전반에 걸쳐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These containers, depending on the type of cargo handled, have special functions such as refrigeratio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heat preservation, vacuum maintenance, etc. It is very importantly used throughout the logistics industry.

한편, 목적지에 도달한 컨테이너에서 적재화물을 하차시키기 방식에는 적재화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unloading the loaded cargo from the container that has reached the destin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loaded cargo.

컨테이너의 적재화물이 석탄, 고철, 골재 등일 경우, 등록특허 10-0911758, 20-0453327호에서와 같이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일측을 들어올려 컨테이너를 회전시킴으로써 컨테이너의 적재화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인출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When the cargo of the container is coal, scrap iron, aggregate, etc., as in Patent Registration Nos. 10-0911758 and 20-0453327, by lifting one side of the container using equipment such as a crane and rotating the container, the cargo of the container is poured out at once. There is a way to get it pulled out.

또한, 컨테이너의 적재화물이 파레트 상에 올려진 형태로 적재되어 있는 경우, 지게차의 포크를 팔레트에 삽입하여 지게차로 직접 하차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argo of the container is loaded in the form of being placed on a pallet, the fork of the forklift is inserted into the pallet and unloading is performed directly with the forklift.

하지만, 파레트 상에 올려진 적재화물이 묶음처리된 대리석 패키지인 경우, 중량이 매우 크고 사이즈가 커서 지게차 포크로 들어올려 하차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즉, 지게차 포크로 대리석 패키지가 올려진 파레트를 들어올려 하차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파레트가 대리석 중량을 이기지 못하고 깨지면서 대리석이 바닥에 떨어져 손상되거나, 파레트가 부셔지지 않더라도 운반과정에서 대리석 패키지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워 대리석 패키지가 파레트 상에서 넘어져 바닥에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marble package in which the load on the pallet was bundled, it was impossible to lift it up with a forklift fork and proceed with the unloading operation because the weight was very large and the size was large. That is, if the pallet on which the marble package is placed is lifted with a forklift fork and unloaded, the pallet cannot withstand the weight of the marble and is broken and the marble falls to the floor and is damaged. It was difficult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rble package fell on the pallet and fell to the floor.

또한, 기존에는 컨테이너에 적재된 대리석패키지를 크레인 등에 매달아서 컨테이너에서 하차하기도 하나, 이 경우 크레인 사용비용이 매우 비싸고, 크레인이 매우 커서 장소에 제한을 많아 소규모 공장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고가의 크레인을 사용할 때마다 크레인업체에 예약하고 스케줄을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 등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a marble package loaded in a container is hung from a crane to get off the container, but in this case, the cost of using a crane is very high, and it is difficult to use in a small factory because the crane is very large and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place, and it is difficult to use the expensive crane. It had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chedule a reservation with a crane company every time it was used.

등록특허 10-0911758호Registered Patent No. 10-0911758 등록실용신안 20-0453327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5332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지게차의 포크에 장착하고 컨테이너 내부로 삽입하여 적재화물을 매달아 컨테이너 외부로 빼낼 수 있어 대리석 패키지와 같이 사이즈가 크고 고중량의 적재화물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하차시킬 수 있는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mounted on a fork of a forklift and inserted into the container to hang the load and take it out of the contain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that can be safely and easily unloaded.

또한, 본 발명은 대리석 패키지의 좌우폭에 맞도록 폭조절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대리석 패키지의 폭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대리석 패키지 등의 적재화물을 안전하게 하차시킬 수 있는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width control function to match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marble package, and provides a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that can safely unload cargoes such as marble packages stably in response to the width of various marble packages. but has a different purpose.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ven if not explicitly mentioned, the object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ution or embodiment of the problem is also included therei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는 지게차에 구비된 한 쌍의 포크가 삽입되는 한 쌍의 포크 끼움부; 상기 한 쌍의 포크 끼움부의 각각에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컨테이너의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한 쌍의 연장프레임; 상기 한 쌍의 포크 끼움부 각각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포크가 상기 한 쌍의 포크 끼움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 각각의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운반스트랩의 양측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행거부; 컨테이너에 적재된 적재화물의 하면과 좌우측면을 감싸고 양측 상단이 좌우 폭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행거부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적재화물을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에 매달리도록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운반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ork fittings into which a pair of forks provided in a forklift are inserted; a pair of extension frames extending forwardly to each of the pair of fork fittings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container;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part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pair of fork fitting parts to prevent the pair of forks from falling out of the pair of fork fitting parts; Hanger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transport strap; At least two pieces that surround the lower surfac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go loaded in the container and are connected and fixed to a pair of hangers with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so that the loaded cargo is hung on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arrying strap of the above.

상기 행거부는 "U"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프레임이 삽입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연장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기 연장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결합핀;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된 한 쌍의 지지편;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을 연결하며, 상기 운반스트랩의 상단을 연결시키는 행거봉;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hanger portion is formed in a "U" shape, the fixing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frame; a coupling pin passing through the fixing bracket and the extension frame to fix the fixing bracket to the extension frame; a pair of support piece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bracke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anger rod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pieces and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transport strap.

상기 연장프레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핀통과홀이 구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기 연장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시켜 상기 결합핀을 통해 상기 연장프레임에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in through holes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ded frame, and the fixing bracket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ded frame to be coupled to the extended frame through the coupling pins. can

상기 행거부는 "U"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프레임이 삽입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연장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기 연장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결합핀;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스트랩의 상단을 걸어 연결하는 후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hanger portion is formed in a "U" shape, the fixing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frame; a coupling pin passing through the fixing bracket and the extension frame to fix the fixing bracket to the extension fram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ok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bracket to hang and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transport strap.

상기 운반스트랩은, 상기 적재화물의 하면과 좌우측면을 감싸는 스트랩부재; 상기 스트랩부재의 양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행거부에 결합하는 한 쌍의 섀클(shackle);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ransport strap includes: a strap member surrounding the lower surface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 A pair of shackles provided on both upper ends of the strap member and coupled to the hang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좌우 폭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행거부는 상기 적재화물의 좌우폭과 동일한 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air of hanger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is preferably arrang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load.

상기 한 쌍의 포크끼움부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연결프레임; 상기 한 쌍의 포크끼움부를 연결하도록 좌우 폭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 각각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슬라이딩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이 상기 한 쌍의 포크끼움부 사이에서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수단; 상기 한 쌍의 포크끼움부를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포크끼움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의 폭방향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폭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connecting frame for connecting the pair of fork fittings to each other and coupling them; A guide rail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to connect the pair of fork fittings, and a sliding member formed a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and sliding along the rail,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guide means, each of which is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between the pair of fork fittings; It connects the pair of fork fittings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fork fittings,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in a screw-fastening manner, so that the pair of connections according to a rotation oper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wid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은 관체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프레임을 더 구성하며, 상기 행거부는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가변프레임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가변프레임의 조절에 따라 상기 행거부의 간격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is made in the form of a tubular body, and is drawn in or drawn out from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to further configure a variable frame for varying the length of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wherein the hanger is formed with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connecting frame. Each of the variable frames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hanger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variable frame.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에 장착결합하여 지게차의 전후진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로 삽입하고 적재화물을 매달아 컨테이너 외부로 빼내는 행거타입으로 대리석 패키지와 같이 사이즈가 크고 고중량의 적재화물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하차시킬 수 있어,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의 크레인 사용에 따른 번거로운 크레인 예약, 크레인 사용비에 대한 부담, 크레인 설치장소 제약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 장소에 제약없이 저비용으로 대리석 패키지와 같은 고중량, 큰사이즈의 컨테이너 적재화물에 대한 하차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해준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ger type that attaches to the fork of a forklift, inserts it into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rklift forward and backward, and hangs the load to take it out of the container. It is very easy to work and can greatly reduce the working time, and it also solves problems such as cumbersome crane reservation, crane usage cost burden, and crane installation location restrictions due to the use of existing cranes. And, it enables the unloading of heavy, large-sized container cargo such as marble packages at low cost without restrictions on location.

또한, 본 발명은 포크의 폭조절기능이 없는 포크폭 고정형 지게차에 적용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연장프레임의 폭 간격을 조절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하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ork-width fixed forklift that does not have a fork width control func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width interval of the extension frame to achieve a safer and more efficient unloading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의 사용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포크끼움부와 연장프레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탈방지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대리석 패키지가 운반스트랩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연장프레임에 매달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연장프레임과 행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형태의 행거부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또 다른 형태의 행거부에 대한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가이드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폭조절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의 연결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k fitting portion and the extension frame of Figure 1,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escape prevention part of Figure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rble package is hung on a pair of left and right extension frames by a transport strap in FIG. 2;
6 is a view showing an extension frame and a hanger part of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nother type of hanger of FIG. 6,
8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nother form of the hanger of FIG. 6,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guide means in Figure 9,
11 is a connection state diagram of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width adjusting means shown in FIG. 9 .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ched region shown at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shapes of regions of the device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describe the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However, a reader having enough knowledge in this fiel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gnize that it may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in describing the invention,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and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for no reason in explaining the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10)는 포크끼움부(120), 연장프레임(120), 이탈방지부(130), 행거부(!40), 운반스트랩(1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rk fitting part 120 , an extension frame 120 , a departure prevention part 130 , a hanger part ( !40 ), and a transport strap 150 .

포크끼움부(120)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지게차에 구비된 한 쌍의 포크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포크끼움부(120)는 단면이 납작한 사각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다만, 포크끼움부(120)는 강화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t consists of a pair of fork fitting parts 120, and is configured to insert a pair of forks provided in the forklift. The fork fitting part 1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tube body with a flat cross se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owever, the fork fitting 12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reinforced plastic.

연장프레임(120)은 포크끼움부(12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구성되어, 후단부가 포크끼움부(120)의 상단에 용접 등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연장프레임(120)은 I형 빔(122)과, 이 I형 빔(122)의 양측부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판(1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extension frame 12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ork fitting part 120 , and is configured as a pair so that the rea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ork fitting part 120 by welding or the like. The extension frame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beam 122 and a pair of side plates 124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I-beam 122 by welding.

연장프레임(120)는 포크끼움부(1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것으로 지게차의 전후진에 따라 컨테이너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컨테이너에서 빠져나올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extension frame 120 is formed to extend forward from the fork fitting part 12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or out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rward/backward movement of the forklift.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탈방지부(130)는 각각의 포크끼움부(120) 후단에 구성되어, 포크끼움부(120)에 삽입된 지게차 포크(f)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1 and 4 ,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30 is configured at the rear end of each fork fitting unit 120 to prevent the forklift fork f inserted into the fork fitting unit 120 from falling out. .

이탈방지부(130)는 포크끼움부(120)의 양측 후단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포크(f)의 후단(fa) 양측을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판(132)과, 한 쌍의 커버판(132) 각각의 후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핀삽입홀(133)을 관통하여 한 쌍의 커버판(132)을 서로 연결해 상기 포크(f)의 후단(fa)의 후퇴하는 것을 막는 잠금핀(13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30 is formed to extend rearwardly from each of the rear ends of both sides of the fork fitting part 120, and a pair of cover plates 132 covering both sides of the rear end fa of the fork f, and a pair of A lock for preventing the rear end fa of the fork f from retreating by connecting a pair of cover plates 132 to each other through a pair of pin insertion holes 133 formed on the rear side of each cover plate 132 . configured to include a pin 135 .

행거부(140)는 각각의 연장프레임(120) 하단에 구성되어, 컨테이너의 적재화물로서 대리석패키지(k)를 감싸는 운반스트랩(150)의 상단을 결합함으로써 대리석패키지(k)를 연장프레임(120)에 매달리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hanger unit 140 is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each extension frame 120, and by combining the upper end of the transport strap 150 surrounding the marble package k as the cargo of the container, the marble package k is extended to the frame 120. ) to hang on to.

좌우 이웃하는 한 쌍의 연장프레임(120)에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행거부(140)가 배치되며, 이 한 쌍의 행거부(140)에 대리석 패키지(k)의 하면과 양측면을 감싼 운반스트랩(150)의 양측 상단을 각각 결합시켜 대리석 패키지(k)가 연장프레임(120)에 매달리도록 할 수 있다(도 5참조). A pair of hanger parts 140 facing each other are disposed on a pair of left and right extension frames 120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transport strap that wraps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marble package k on the pair of hanger parts 140 . By combining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150, respectively, the marble package k can be hung on the extension frame 120 (see FIG. 5).

행거부(140)는 각각의 연장프레임(120)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개씩 구성되어, 대리석 패키지(k)의 전후 길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운반스트랩(150)의 양측상단을 연결하여 안정적으로 대리석 패키지(k)가 매달리도록 할 수 있다. The hanger unit 140 is configured in pluralit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each extension frame 120, and connects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transport strap 150 at appropriate positions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marble package (k). It is possible to stably hang the marble package (k).

본 발명에서 행거부(140)는 한 쌍의 봉지지편(141)과 이 한 쌍의 봉지지편(141)을 연결하며 운반스트랩(150)의 상단을 걸어고정하는 행거봉(143)으로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er unit 140 includes a pair of encapsulation pieces 141 and a hanger bar 143 that connects the pair of encapsulation pieces 141 and hangs and fixes the upper end of the transport strap 150 .

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봉지지편(141)은 용접 등에 의해 연장프레임(120)의 하단에 위치고정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행거봉(143)은 한 쌍의 봉지지편(143)에 형성된 끼움홀에 관통시켜 행거봉(143)의 말단에 구비된 수나사에 너트(n)를 체결하여 봉지지편(143)에 분리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encapsulation pieces 141 are configured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frame 120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hanger bar 143 is a fitting hole formed in the pair of encapsulation pieces 143 . The nut (n) is fastened to the male screw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hanger rod (143) by penetrating through it, and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sealing piece (143).

운반스트랩(150)은 한 쌍의 구성되며, 대리석 패키지(k)의 전단부, 후단부를 각각 감싸고, 각각의 양측 상단을 연장프레임(120)에 형성된 좌우측의 행거부(140)에 각각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대리석패키지(k)가 연장프레임(120)에 균형있게 매달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운반스트랩(150)은 한 쌍 즉 2개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로 구성되어, 대리석 패키지(k)의 전단부, 후단부는 물론 길이방향을 중간부분을 감싸 행거부(140)에 매달아 보다 안정적인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transport strap 150 is configured as a pair, and each wraps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rble package (k), and couples the upper ends of each side to the left and right hangers 140 formed in the extension frame 120, respectively, so as to be stable As a result, the marble package (k) can be suspended in a balanced manner on the extension frame (120). On the other hand, the transport strap 150 is not limited to being composed of a pair, that is, two, and is composed of three, as well as the front end and rear end of the marble package (k), and wraps around the middle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anger unit 140 It is of course possible that more stable transport can be achieved by hanging on the

각각의 운반스트랩(150)은 섬유재질의 띠형태로 이루어져 대리석패키지(k)의 하면과 양측면을 감싸는 스트랩부재(152)와, 이 U자형태로 대리석패키지(k)를 감싼 스트랩부재(152)의 양측 상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섀클(shackle,15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한 쌍의 섀클(154)은 도 5와 같이 좌우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행거봉(143)에 걸리도록 결합시켜 운반스트랩(150)에 의해 대리석패키지(k)가 좌우 한 쌍의 연장프레임(120)에 매달리게 할 수 있다. Each transport strap 150 is made in the form of a fibrous band and a strap member 152 surrounding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marble package k, and a strap member 152 that wraps the marble package k in the U-shap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shackles (shackle, 154)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respectively. The pair of shackles 154 are coupled to be caught on a pair of hanger rods 143 arranged side by side as shown in FIG. 120) can be hung.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적출장치(10)는 지게차에 구비된 한 쌍의 포크(f) 각각을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에 끼우고, 잠금핀(135)을 커버판(132)의 핀통과홀(133)에 끼워, 각각의 연장프레임(120)을 한 쌍의 포크(f)에 각각 결합장착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지게차를 전진시켜 한 상의 연장프레임(120)을 컨테이너(c)의 내부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운반스트랩(150)으로 컨테이너(c)에 적재된 대리석패키지(k)를 감싸고 각각의 양측 상단(섀클,154)을 한 쌍의 연장프레임(120)의 전후 각각에 구비된 좌우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행거부(140)에 각각 결합고정한다. The extrac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serts each of the pair of forks f provided in the forklift into the pair of fork fittings 110, and inserts the locking pin 135 into the cover plate 132 ), each extension frame 120 is coupled and mounted to a pair of forks f. c), in the state drawn into the interior, the marble package (k) loaded in the container (c) is wrapped with a pair of transport straps 150 ) is coupled and fixed to a pair of hanger units 140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left and right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and back sides.

이렇게 운반스트랩(150)의 연결작업이 끝난 후, 지게차의 포크(f)를 상승구동시키면, 도 2와 같이 대리석패키지(k)가 운반스트랩(150)에 의해 연장프레임(120)에 매달린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지게차를 후진하여 줌으로써 대리석패지키(k)가 행거식으로 컨테이너(c)에서 인출되어 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fork (f) of the forklift is driven upward after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transport strap 150 is completed, the marble package (k) is suspended from the extension frame 120 by the transport strap 150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by reversing the forklift, the marble package key (k) is drawn out from the container (c) in a hanger type, and unloading can be perform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장프레임(120) 선단에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지며 컨테이너의 깊숙한 내측에 적재된 대리석패키지(k)를 끌어당기기 위한 견인줄(미도시)을 걸어주는 견인줄 고정부(128)가 더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extension fram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a ring shape at the front e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ow line fixing part 128 for hanging a tow line (not shown) for pulling the marble package (k) loaded deep inside the container. ) may be further configured.

즉, 지게차의 전진에 의해 연장프레임(120)이 컨테이너(c) 내부로 인입되는 길이에 한계가 있으며, 연장프레임(120)이 인입된 위치보다 더 깊숙한 내부에 적재되어 있는 대리석 패키지(k)는 컨테이너(c)의 입구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운반스트랩(150)으로 대리석패키지(k)를 연장프레임(120)에 매달리게 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이 경우, 컨테이너의 깊숙한 곳에 적재된 대리석패키지(k)에 고정된 견인줄을 연장프레임(120)의 선단에 구비된 견인줄고정부(128)에 고정시키고, 지게차를 후진시켜 대리석 패키지(k)를 컨테이너(c) 입구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at is, there is a limit to the length at which the extension frame 120 is drawn into the container c due to the advance of the forklift, and the marble package k is loaded deep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extension frame 120 is drawn in. After moving to the entrance side of the container (c), the operation of hanging the marble package (k) on the extension frame 120 with the transport strap 150 should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marble package (k) loaded deep in the container ) is fixed to the tow line fixing part 128 provided at the tip of the extension frame 120, and the forklift is reversed to move the marble package (k) toward the entrance side of the container (c).

상기에서 본 발명은 행거부(140)는 용접에 의해 연장프레임(120)에 위치고정된 형태로 결합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행거부(140-1)는 연장프레임(120)에 위치이동시켜 결합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at the hanger unit 140 is coupled and installed in a fixed position to the extension frame 120 by weld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hanger portion 140-1 of the form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and mounted by moving the position to the extension frame 120 .

행거부(140-1)는 하단에 한 쌍의 봉지지편(141)이 형성되고, "U"형태, 자세히는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연장프레임120)이 삽입되며 연장프레임(12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좌우측면에 핀삽입홀(144a)이 구비된 고정브라켓(144)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hanger portion 140-1 is formed with a pair of sealing pieces 141 at the bottom, and is formed in a “U” shape, more specifically, a U-shape with an open top, into which the extension frame 120 is inserted and the extension frame 120 is inserted. 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ccordance with and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xing bracket 144 having pin insertion holes 144a on the left and right sides.

이 경우, 연장프레임(120)의 좌우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핀통과홀(126)을 복수개 구성하고, 고정브라켓(140)을 연장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이동시켜 배치시킨 상태에서 결합핀(145)을 서로 일치하는 핀삽입홀(144a)과 핀통과홀(126)에 관통시키고 결합핀(145)의 말단에 형성된 수나사에 너트 등의 체결부재(n2)를 체결함으로써, 행거부(140-1)를 연장프레임(120)에 위치조정하여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pin through holes 126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xtension frame 120 , and the fixing bracket 140 is positioned a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frame 120 . By passing the coupling pin 145 through the matching pin insertion hole 144a and the pin through hole 126 in the state, and fastening the coupling member n2 such as a nut to the male screw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in 145, The hanger unit 140-1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extension frame 120 by adjusting the position.

아울러,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형태의 행거부(140-2)는 고정브라켓(140)의 하단에 행거봉(143)이 구성되지 않고, 후크(146)가 설치되어 후크(146)에 운반스트랩(150)의 섀클(154)을 용이하게 걸고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6 and 8 , in another type of hanger unit 140-2, the hanger rod 143 is not configur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bracket 140, and the hook 146 is installed so that the hook ( The shackle 154 of the transport strap 150 may be easily hung on and detached from the 146).

본 발명에서 좌우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행거부는 적재화물의 좌우폭과 동일한 폭으로 배치되어 도 5와 같이 스트랩부재(153)가 대리석 패키지(k)의 좌우측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대리석 패키지(k)가 매달리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좌우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행거부(140,140-1, 140-2)의 간격조절은 지게차의 한 쌍의 포크(f)의 좌우폭을 조작하여 한 쌍의 연장프레임(120)의 좌우폭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hanger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re arrang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load, so that the strap member 15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rble package k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package k is hung, and for this purpose, the spacing of the pair of hanger parts 140, 140-1, 140-2 arranged side by side is adjusted by manipulating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air of forks f of the forklift. This can be done 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xtended frame 120 of the .

다만, 지게차가 포크의 폭조절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는 포크폭 고정형 지게차일 경우, 본 발명의 적출장치 자체에 한 쌍의 연장프레임의 좌우폭을 조절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forklift is a fork-width fixed forklift that does not have a fork width control function, a function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a pair of extension frames may be added to th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20)에 대해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 a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2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 2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연장프레임이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대리석 패키지(k)의 폭에 따라 한 쌍의 연장프레임의 폭을 조절해 좌우 배치된 한 쌍의 행거부(140)의 사이간격을 대리석 패키지(k)의 폭과 동일하게 조정하여 대리석 적출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are configured to be position adjustabl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ir of fork fittings 110, and the width of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marble package (k).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hangers 140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to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marble package (k),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marble extraction operation.

제 2 실시 예의 적출장치(20)는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 한 쌍의 이탈방지부(130), 행거부(140), 운반스트랩(150)에 대한 구성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며, 연결프레임(210), 가이드수단(220), 연장프레임(240), 가변프레임(250), 폭조절수단(26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extraction device 2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for a pair of fork fitting parts 110 ,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parts 130 , a hanger part 140 , and a transport strap 150 as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the same, and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frame 210 , a guide means 220 , an extension frame 240 , a variable frame 250 , and a width adjustment means 260 .

연결프레임(210)은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의 사이간격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폭 고정된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의 간격은 포크 폭 고정형 지게차의 포크 폭 간격과 동일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The connection frame 21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opposite sides of the pair of fork fitting parts 110 to each other, and is configured to fix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fork fitting parts 110 . An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fixed width fork fittings 110 should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a fork width interval of a fork width fixed forklift.

가이드수단(220)은 한 쌍의 연장프레임(240)과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한 쌍의 연장프레임(240)이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의 폭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하게 하는 구성이다. The guide means 22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pair of extended frames 240 and the pair of fork fittings 110 , so that the pair of extended frames 240 is the width of the pair of fork fittings 110 . It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left and right sliding movement in the direction.

가이드수단(220)은 한 쌍의 구성되어 전후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각각의 가이드수단(220)은 가이드레일(222)과 슬라이딩부재(2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guide means 220 is configured as a pai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and rea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pecifically, each guide means 2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rail 222 and a sliding member 224 .

가이드레일(222)은 좌우측부가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의 상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부재(224)는 한 쌍의 연장프레임(240)의 하면에 고정설치되고 가이드레일(222)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수단(220)에 의해 각각의 연장프레임(240)이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 상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된다. The guide rail 222 is install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connect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fork fitting parts 110, and the sliding member 224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240 and guide rail 222. 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Accordingly, each extension frame 240 is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pair of fork fittings 110 by the guide means 220 .

한 쌍의 연장프레임(240) 각각은 관체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이드수단(220)에 의해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의 폭방향으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Each of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240 is made in the form of a tubular body,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ir of fork fittings 110 by the guide means 220 .

또한, 한 쌍의 연장프레임(240) 각각은 길이가 가변되기 위하여 선단을 통해 가변프레임(250)가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연장프레임(240)에는 하나의 고정홀(242)이 형성되고, 각각의 가변프레임(25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가변홀(252)이 형성되며, 가변프레임(250)의 길이조절 후, 서로 일치하는 고정홀(242)과 가변홀(252)에 길이고정핀(244)을 삽입하여 가변프레임(250)을 연장프레임(240)에 위치고정시켜, 길이조절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2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variable frame 250 can be drawn in or out through the front end in order to have a variable length. At this time, one fixing hole 242 is formed in each extension frame 240 , and a plurality of variable holes 252 are formed in each variable frame 25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ariable frame ( After adjusting the length of 250), by inserting a length fixing pin 244 into the fixing hole 242 and the variable hole 252 that coincide with each oth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250 to the extension frame 240, the length is adjusted It can be configured to maintain a state.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행거부(140)는 각 연장프레임(240)의 선단부와 각 가변프레임(250)의 선단에 각각 구성되어, 가변프레임(250)의 길이조정에 의해 전후의 행거부(240)의 전후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가변프레임(250)의 길이조정을 통해 전후의 행거부(240)가 간격을 대리석 패키지(k)에 맞게 적절하게 조정하여 대리석 패키지(k)를 운반스트랩(150)으로 안정적으로 매달리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hanger unit 140 is configured at the front end of each extended frame 240 and the front end of each variable frame 250, respectively,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variable frame 250, the front and rear hanger parts ( 240)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al. This is,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variable frame 250, the front and rear hangers 240 adjust the spacing appropriately to match the marble package (k), so that the marble package (k) can be stably suspended with the transport strap (150). there is.

행거부(1140)는 각 연장프레임(240)의 선단에 하나, 가변프레임(250)의 선단에 하나씩마나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행거부는 연장프레임(240)과 가변프레임(250)에 각각 구성되는 것이며, 연장프레임(240)에 복수개가 구성되고 가변프레임(250)에도 복수개가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hanger unit 1140 is illustrated as being configured at the front end of each extension frame 240 and one at the front end of the variable frame 2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anger unit includes the extension frame 240 and the variable frame. It is to be configured in 250 , of course, a plurality of extension frames 240 and a plurality of variable frames 250 may also be configured.

폭조절수단(260)은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와 한 쌍의 연장프레임(240)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한 쌍의 연결프레임(240)의 폭방향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The width adjusting means 26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pair of fork fitting portions 110 and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240,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connecting frames 240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operator. configuration to control

구체적으로 폭조절수단(260)은 회전지지부(261,262), 회전샤프트(264), 안내블록(266,267), 조작노브(26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width adjusting means 26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rotation support parts 261,262, the rotation shaft 264, the guide blocks 266 and 267, and the operation knob 268.

회전지지부(261,262)는 한 쌍의 포크끼움부(11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회전샤프트(264)의 양측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rotation support parts 261,262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fork fitting parts 110 and are configured to rotatably support both sides of the rotation shaft 264 .

회전샤프트(264)는 회전지지부(261,262)에 의해 회전가능하여, 포크끼움부(110)에 대해 회전되게 구성된다. 회전샤프트(264)의 일측부는 일측의 회전지지부(262)로부터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끝단에는 조작노브(268)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The rotation shaft 264 is rotatable by the rotation support parts 261,262, and is configured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ork fitting part 110. One side of the rotary shaft 264 is configured to further protrude outward from the rotary support 262 on one side, and an operation knob 268 is installed at an end thereof.

회전샤프트(264)는 길이의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일측부 외주면에는 시계반대방향의 제1수나사산(264a)이 형성되고, 타측부 외주면에는 제1수나사산(264a)과 반대 즉 시계반대방향의 제2수나사산(264b)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다. The rotating shaft 264 is formed with a first male thread 264a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based on the middle portion of the length, and opposite to the first male thread 264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that i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male thread 264b is configured to be formed.

안내블록(266,267)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각각의 연장프레임(24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며, 각각의 안내블록(266,267)은 회전샤프트(264)가 관통되되, 제1안내블록(266)은 제1수나사산(264a)과 나사체결방식으로 연결되고, 제2안내블록(267)은 제2나사산(264b)과 나사체결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The guide blocks 266 and 267 are made as a pair and each is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each extension frame 240 , and each guide block 266 and 267 is pass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264 , the first guide block 266 . ) is connected to the first male thread 264a in a screw fastening manner, and the second guide block 267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screw thread 264b in a screw fastening manner.

상기한 구성으로, 작업자가 조작노브(268)를 일방향으로 돌려, 회전샤프트(264)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한 쌍의 연장프레임(24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조작노브(268)를 타방향으로 돌려, 회전샤프트(264)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한 쌍의 연장프레임(240)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or turns the operation knob 268 in one direction and the rotary shaft 264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240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nd the operation knob 268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urning in the other direction, when the rotating shaft 264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240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Ra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alteration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포크끼움부
120...연장프레임
130...이탈방지부
132...커버판
133...핀통과홀
135...잠금핀
140...행거부
141...봉지지편
143...행거봉
150...운반스트랩
152...스트랩부재
154...섀클
110...Fork fitting
120...extended frame
130... Departure prevention unit
132...cover plate
133...pin through hole
135...lock pin
140... hanger
141...
143...hangerbong
150... carrying strap
152...Strap member
154...shackle

Claims (8)

지게차에 구비된 한 쌍의 포크가 삽입되는 한 쌍의 포크 끼움부;
상기 한 쌍의 포크 끼움부의 각각에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컨테이너의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한 쌍의 연장프레임;
상기 한 쌍의 포크 끼움부 각각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포크가 상기 한 쌍의 포크 끼움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 각각의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운반스트랩의 양측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행거부;
컨테이너에 적재된 적재화물의 하면과 좌우측면을 감싸고 양측 상단이 좌우 폭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행거부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적재화물을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에 매달리도록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운반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
a pair of fork fittings into which a pair of forks provided in the forklift are inserted;
a pair of extension frames extending forwardly to each of the pair of fork fittings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container;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part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pair of fork fitting parts to prevent the pair of forks from falling out of the pair of fork fitting parts;
Hanger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transport strap;
At least two pieces that surround the lower surfac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go loaded in the container and are connected and fixed to a pair of hangers with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to hang the loaded cargo on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the above transport stra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U"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프레임이 삽입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연장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기 연장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결합핀;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된 한 쌍의 지지편;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을 연결하며, 상기 운반스트랩의 상단을 연결시키는 행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ger part
a fixing bracket formed in a “U” shape into which the extension frame is inserted;
a coupling pin passing through the fixing bracket and the extension frame to fix the fixing bracket to the extension frame;
a pair of support piece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bracket;
A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a hanger rod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pieces and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transport stra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프레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핀통과홀이 구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기 연장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시켜 상기 결합핀을 통해 상기 연장프레임에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pin through holes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extension frame, and the fixing bracket is mo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extension frame to be coupled to the extension frame through the coupling pins. A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by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U"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프레임이 삽입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연장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기 연장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결합핀;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운반스트랩의 상단을 걸어 연결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ger part
a fixing bracket formed in a “U” shape into which the extension frame is inserted;
a coupling pin passing through the fixing bracket and the extension frame to fix the fixing bracket to the extension frame;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a; hook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bracket to hang and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transport stra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스트랩은,
상기 적재화물의 하면과 좌우측면을 감싸는 스트랩부재;
상기 스트랩부재의 양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행거부에 결합하는 한 쌍의 섀클(shack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rying strap is
a strap member surrounding the lower surface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
and a pair of shackles provided on both upper ends of the strap member and coupled to the hanger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폭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행거부는 상기 적재화물의 좌우폭과 동일한 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air of hanger part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is a hanger-type container 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loaded carg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크끼움부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연결프레임;
상기 한 쌍의 포크끼움부를 연결하도록 좌우 폭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 각각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는 슬라이딩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이 상기 한 쌍의 포크끼움부 사이에서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수단;
상기 한 쌍의 포크끼움부를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포크끼움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의 폭방향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폭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ing frame connecting the pair of fork fittings to each other and coupling them;
A guide rail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to connect the pair of fork fittings, and a sliding member formed at the rear end of each of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and sliding along the rail,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guide means, each of which is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between the pair of fork fittings;
It connects the pair of fork fittings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fork fittings,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in a screw-fastening manner, so that the pair of connections according to a rotation operation Hanger-type container-loaded cargo ex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width control means for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 각각은 관체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프레임을 더 구성하며,
상기 행거부는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가변프레임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가변프레임의 조절에 따라 상기 행거부의 간격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형 컨테이너 적재화물 적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Each of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is made in the form of a tubular body,
Further configuring a variable frame that is drawn in or withdrawn from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to vary the length of the pair of connection frames,
The hanger portion is configured in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variable fram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variable frame, hanger-type container loading cargo extra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pacing of the hanger portion.
KR1020200112917A 2020-09-04 2020-09-04 Hanger type extraction device for cargo loaded in container KR1024502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917A KR102450233B1 (en) 2020-09-04 2020-09-04 Hanger type extraction device for cargo loaded in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917A KR102450233B1 (en) 2020-09-04 2020-09-04 Hanger type extraction device for cargo loaded in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235A true KR20220031235A (en) 2022-03-11
KR102450233B1 KR102450233B1 (en) 2022-10-04

Family

ID=8081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917A KR102450233B1 (en) 2020-09-04 2020-09-04 Hanger type extraction device for cargo loaded in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23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491A (en) * 1997-12-12 1999-06-29 Sankyu Inc Stacking device
JP2003013428A (en) * 2001-06-29 2003-01-15 Komatsu Forklift Co Ltd Method for executing concrete placing works in dam construction, etc., and attachment for forklift for use in the concrete placing works
KR20030097077A (en) * 2002-06-19 2003-12-31 오후근 Heavyweight article transfer device for pallet
KR100911758B1 (en) 2008-06-25 2009-08-13 연수익스프레스 주식회사 Extracting device of scrap iron container
KR200453327Y1 (en) 2011-02-15 2011-04-22 (주)모아스틸 Container Content Extraction Device
JP2019014499A (en) * 2017-07-05 2019-01-31 山九株式会社 Assisting device for sheet applying
JP2019188009A (en) * 2018-04-27 2019-10-31 藤井電工株式会社 Fall prevention instrum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491A (en) * 1997-12-12 1999-06-29 Sankyu Inc Stacking device
JP2003013428A (en) * 2001-06-29 2003-01-15 Komatsu Forklift Co Ltd Method for executing concrete placing works in dam construction, etc., and attachment for forklift for use in the concrete placing works
KR20030097077A (en) * 2002-06-19 2003-12-31 오후근 Heavyweight article transfer device for pallet
KR100911758B1 (en) 2008-06-25 2009-08-13 연수익스프레스 주식회사 Extracting device of scrap iron container
KR200453327Y1 (en) 2011-02-15 2011-04-22 (주)모아스틸 Container Content Extraction Device
JP2019014499A (en) * 2017-07-05 2019-01-31 山九株式会社 Assisting device for sheet applying
JP2019188009A (en) * 2018-04-27 2019-10-31 藤井電工株式会社 Fall prevention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233B1 (en)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63584A1 (en) Partition system
US7798365B2 (en) Bulk transfer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BRPI0806586A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CONTAINERS AND CONTAINERS
KR102450233B1 (en) Hanger type extraction device for cargo loaded in container
KR200439227Y1 (en) Pallet sling with tensioner
WO2013004770A1 (en) A flexible container for bulk material
KR100801756B1 (en) Coil handling device
JP4663253B2 (en) Hanging tool
CN210028641U (en) Container, especially container for transporting goods
CN110254973A (en) A kind of container
US202000021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elongate construction elements
CN213059869U (en) Special lifting appliance for tray
CN209291152U (en) Top cover is openable to resist container stubbornly
CN206705631U (en) Fork truck fly jib is hung and fork truck
JP3305829B2 (en) How to take in goods by crane
KR102245400B1 (en) Hanger for carrying an object
CN214693125U (en) Forklift truck
CN212268422U (en) Foreign trade packing box convenient to transport
CN215754261U (en) Self-unloading hopper
CN217535144U (en) Auxiliary dismounting tool for steel coil sling and horizontal coil clamp
US11427443B2 (en) Load-moving equipment
JPH0577182U (en) Compatible hanging beam device
CN208249766U (en) A kind of paint line handling apparatus
RU189836U1 (en) Load handling device for soft containers
JPH1135296A (en) Suspension device used by mounted on forklift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