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904A - 광학부재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광학부재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904A
KR20220030904A KR1020210115525A KR20210115525A KR20220030904A KR 20220030904 A KR20220030904 A KR 20220030904A KR 1020210115525 A KR1020210115525 A KR 1020210115525A KR 20210115525 A KR20210115525 A KR 20210115525A KR 20220030904 A KR20220030904 A KR 20220030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member
slider
spherical surface
camera module
convex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913B1 (ko
Inventor
타츠키 와데
Original Assignee
뉴 시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 시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뉴 시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3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328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2
    • H04N5/2253
    • H04N5/2254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광학부재 전단부의 이동량이 작고, 소형화할 수 있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광학부재 구동 장치(100)는 렌즈체(102)를 갖는 광학부재인 카메라 모듈(101), 밑판(9), 카메라 모듈(101)의 후면에 설치되고 볼록 구면을 갖는 슬라이더(106), 및 밑판(9)의 전면에 설치되고 슬라이더(106)를 적어도 3점으로 받는 받이부(108)를 포함한다. 볼록 구면을 갖는 슬라이더(106)를 적어도 3점으로 받는 받이부(108)를 포함함으로써, 카메라 모듈(101)은 슬라이더(106)와 함께 슬라이더(106)의 볼록 구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한다.

Description

광학부재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OPTICAL MEMBER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에 이용할 수 있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에 이용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에는 렌즈체와 이미지 센서를 갖는 광학부재를 X축이나 Y축의 축 주변에 틸팅(tilting)시켜 손떨림 보정을 하는 것이 있다. 이런 종류의 카메라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이 있다. 당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촬영용 광학장치는 베이스의 중심에 피벗(pivot)부를 설치하고, 이 피벗부에 의해 광학부재의 저면 중심을 지지하며, 광학부재에서 X 및 Y방향에 대향하는 외면에 손떨림 보정용 자석을 마련하는 동시에, 고정 커버의 내면에 손떨림 보정용 코일을 마련한 것이다. 이 장치에서 코일에 전류를 통과시키면 광학부재가 피벗부에 지지를 받는 점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94393A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인 경우, 광학부재가 피벗부에 지지를 받는 후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틸팅하기 때문에 광학부재 전단부의 XY방향 이동량이 커지고, 장치의 크기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광학부재 전단부의 이동량이 작고, 소형화할 수 있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바람직한 양태인 광학부재 구동 장치는 렌즈체를 갖는 광학부재, 밑판, 상기 광학부재의 후면에 설치되고 볼록 구면을 갖는 슬라이더, 및 상기 밑판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적어도 3점으로 받는 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는 오목 구면을 포함하며, 상기 볼록 구면이 상기 오목 구면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볼록 구면과 상기 오목 구면은 그 중심과 반경이 일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받이부는 3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 구면이 상기 3개의 볼록부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3개의 볼록부는 상기 렌즈체의 광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축을 그 내부에 포함하는 삼각형의 정점 위치에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광학부재를 덮고 상기 밑판과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부재의 외면 및 상기 커버의 내면 한쪽에 코일, 다른쪽에 상기 코일에 대향하여 자석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렌즈체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볼록 구면의 중심 위치는 상기 코일 및 상기 자석의 위치와 동일하여도 좋다.
본 발명이 다른 바람직한 양태인 카메라 장치는 상술한 광학부재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다른 바람직한 양태인 전자기기는 상술한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부재 구동 장치는 렌즈체를 갖는 광학부재, 밑판, 상기 광학부재의 후면에 설치되고 볼록 구면을 갖는 슬라이더, 및 상기 밑판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적어도 3점으로 받는 받이부를 포함한다. 볼록 구면을 갖는 슬라이더를 적어도 3점으로 받는 받이부를 포함하으로써, 광학부재은 슬라이더와 함께 슬라이더의 볼록 구면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한다. 따라서 틸팅 중심을 광학부재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고, 광학부재 전단부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화할 수 있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광학부재 구동 장치(100)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200)가 탑재된 스마트폰(20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학부재 구동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광학부재 구동 장치(100)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커버(1), 카메라 모듈(101), 제2 FPC(8), 및 밑판(9)을 제외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제2 FPC(8)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제2 FPC(8)를 전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광학부재 구동 장치(100)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200)는 스마트폰(201)의 케이스 내에 수용된다.
카메라 장치(200)는 광학부재로서의 카메라 모듈(101)과, 카메라 모듈(101)을 유지하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100)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01)은 렌즈체(102), 이미지 센서(103), 렌즈 구동장치(104), 및 이들을 덮는 직육면체 모양의 케이스(105)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103)는 렌즈체(102)를 경유하여 입사하는 빛을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렌즈 구동장치(104)는 렌즈체(102)를 그 광축과 평행한 방향에 따라 구동하지만, 없어도 상관없다.
여기에서는 XYZ 직교 좌표계가 사용되며, X축과 Y축과 Z축은 서로 직교한다. 렌즈체(102)의 광축방향은 비가동 상태에서 Z방향과 평행이다. 또한, 렌즈체(102)로부터 보아서 피사체 측이 +Z측이며, 앞쪽이라고 칭하고, 그 반대측(이미지 센서(103) 측)이 -Z측이며, 뒤쪽이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앞쪽을 향한 면을 전면, 뒤쪽을 향한 면을 후면이라고 한다. 또한, Z축에 평행한 면에 있어서, 광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향한 면을 내면, 광축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향한 면을 외면이라고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부재 구동 장치(100)는 커버(1), 제1 FPC(2), 2개의 홀 소자(3), 4개의 코일(4), 4개의 자석(5), 프레임(6), 4개의 리프 스프링(leaf spring)(7), 슬라이더(106), 제2 FPC(8), 및 밑판(9)을 포함한다.
커버(1)는 사각형 앞판(17)과, 앞판(17)의 네 변에서 -Z측으로 연장하는 4개의 측판(18)을 포함한다. 커버(1)의 앞판(17)에는 사각형의 관통 구멍(19)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1)와 사각형의 밑판(9)은 외부 케이스로서 결합되어 있다. 이 외부 케이스 내에 제1 FPC(2), 홀 소자(3), 코일(4), 자석(5), 프레임(6), 리프 스프링(7), 카메라 모듈(101), 슬라이더(106), 및 제2 FPC(8)이 유지된다. 카메라 모듈(101)은 커버(1)의 관통 구멍(19)으로부터 +Z측에 노출한다.
프레임(6)은 그 내부에 카메라 모듈(101)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Z방향으로 연장하는 4개의 벽으로 구성되는 테두리 상체이다. 카메라 모듈(101)이 장착되면 그 케이스(105)의 4개의 측면은 프레임(6)에 둘러싸여 접착제를 통해 프레임(6)에 고정된다. 프레임(6)의 외면에는 카메라 모듈(101)을 구동하는 구동부로서 자석(5)이 고정되어 있다. 자석(5)은 직육면체 모양의 2개의 자석 조각이 Z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하여 구성된다. 2개의 자석 조각은 판면방향의 자극이 서로 반대인 자극으로 되도록 착자되고 있다. 각 자석(5)은 상기와 같은 자극배치가 되도록 1개의 자석 조각이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각 자석(5)은 프레임(6)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 모듈(101)에 직접 고정해도 좋고, 또한, 카메라 모듈(101) 내의 렌즈 구동용 자석이 겸해도 좋다.
커버(1)의 4개의 측판(18) 안쪽에는 제1 FPC(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FPC(2)는 -X측, +Y측, +X측, 및 -Y측의 측판(18)에 각각 고정되는 제1 판부(21a), 제2 판부(21b), 제3 판부(21c), 및 제4 판부(21d)를 포함한다.
제1 판부(21a)와 제2 판부(21b), 제2 판부(21b)와 제3 판부(21c), 및 제3 판부(21c)와 제4 판부(21d)는 커버(1)의 -X+Y측의 모서리부, +X+Y측의 모서리부, 및 +X-Y측의 모서리부 안쪽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며 연결된다. 제4 판부(21d)의 -X측의 단부는 커버(1)의 -X-Y측 모서리부에 도달하기 전에 뒤쪽으로 방향을 바꾸고 연장된다.
제4 판부(21d)의 뒤쪽에 연장한 선단은 커버(1)의 -Y측 측판(18)의 뒤쪽 가장자리 위치에서 -Y측에 절곡되고, 측판(18)의 노치에 의해 형성된 커버(1)와 밑판(9) 사이의 틈새로부터 -Y측에 돌출되어 있다. 제4 판부(21d)에서 -Y측에 돌출된 선단부는 외부의 기판에 전기연결된다.
제1 FPC(2)의 제1 판부(21a), 제2 판부(21b), 제3 판부(21c), 및 제4 판부(21d)의 각 내면에는 자석(5)과 대향하는 구동부로서 코일(4)이 하나씩 고정되어 있다. 제1 판부(21a) 및 제3 판부(21c)에 고정된 코일(4)은 X축을 감김축으로 감겨 있고, 제2 판부(21b) 및 제4 판부(21d)에 고정된 코일(4)은 Y축을 감김축으로 감겨 있다. 코일(4)은 자석(5)과 함께 카메라 모듈(101)을 X방향 및 Y방향의 축주변에 틸팅시키는 구동부를 구성한다.
+X측 코일(4)의 공심부와 -Y측 코일(4)의 공심부에는 홀 소자(3)가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홀 소자(3)는 제3 판부(21c) 및 제4 판부(21d)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홀 소자(3)는 당해 홀 소자(3)와 상대하는 자석(5)으로부터의 자기장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리프 스프링(7)은 커버(1)에 장착되는 외측부, 프레임(6)에 장착는 내측부, 및 외측부와 내측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팔부를 포함한다. 외측부는 커버(1)의 앞판(17) 네 모서리 뒤쪽에 우그러져 있는 장소의 내면에 고정된다. 내측부는 프레임(6)의 네 모서리 앞쪽에서 뒤쪽으로 우그러져 있는 장소에 고정된다. 리프 스프링(7)은 프레임(6)을 뒤쪽으로 누르고 있다.
카메라 모듈(101)의 후면 중앙에는 슬라이더(106)가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106)의 후면은 볼록 구면으로 뒤쪽에 부풀어 있다. XY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더(106)의 볼록 구면의 중심(O)은 광축 및 이미지 센서(103)의 중심과 일치한다. 또한, Z방향에 있어서, 볼록 구면의 중심(O) 위치는 슬라이더(106)를 포함한 카메라 모듈(101)의 거의 중심이며, 또한, 코일(4) 및 자석(5)의 위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106)를 카메라 모듈(101)의 케이스(105) 후면 중심에 배치함으로써,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다. 슬라이더(106)는 카메라 모듈(101)의 후면 자체를 볼록 구면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상관없고, 프레임(6)을 저면을 갖도록 형성하고, 이 저면을 볼록 구면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밑판(9)의 전면 중앙에는 받이부(108)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06)와 받이부(108)는 카메라 모듈(101)의 중앙과 밑판(9) 사이에 배치되어 카메라 모듈(101)을 틸팅이 자유롭게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받이부(108)의 전면은 슬라이더(106)의 볼록 구면과 대응하는 오목 구면이 되고 있다. 즉, 볼록 구면과 오목 구면은 그 중심(O)과 반경이 일치하여 면접촉하고 있다. 받이부(108)는 전반적으로 밑판(9)의 전면에서 앞쪽으로 돌출하게 형성되고, 오목 구면의 최후부가 받이부(108) 이외의 밑판(9)보다도 뒤쪽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별체로 형성한 받이부(108)를 밑판(9)의 전면에 고정해도 좋다.
슬라이더(106)의 중심(O) 위치가 슬라이더(106)를 포함한 카메라 모듈(101)의 거의 중심에 있는 것으로, 카메라 모듈(101)이 틸팅했을 경우, 카메라 모듈(101)의 후단부와 전단부의 XY방향 이동량은 거의 동일하다. 틸팅의 중심이 피벗(pivot)과 같은 후단에 있을 경우에 비해 그 이동량은 거의 절반이다. 또한, 중심(O)과 같은 높이에 있는 것은 XY방향 이동량이 거의 0이다. 자석(5)과 코일(6)의 위치는 중심(O)의 위치와 거의 같기 때문에 자석(5)과 코일(6) 사이의 거리는 틸팅에 의해도 거의 변함없으므로, 안정된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때 자석(5)과 코일(6)에 의한 구동력은 거의 Z방향이며, 자석(5)의 틸팅시 이동도 거의 Z방향이고, 구동력의 방향과 이동 방향이 일치하므로 구동 효율도 좋다. 이와 같이 중심(O)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에 구동력이 발생하도록 자석(5) 및 코일(6)과 같은 구동부를 배치하면, 구동 효율이 좋다.
밑판(9)의 전면과 카메라 모듈(101)의 후면 사이에는 제2 FPC(8)가 배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FPC(8)는 본체부(81)와 2개의 연결부(82)를 포함한다. 본체부(81)는 정사각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부(81)의 중앙에는 슬라이더(106)에 대응한 관통 구멍(80)이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더(106)는 이 관통 구멍(8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81)는 카메라 모듈(101)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101) 내의 이미지 센서(103) 및 렌즈 구동장치(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2개의 연결부(82)는 본체부(81)의 중심을 끼운 +X측과 -X측의 점대칭이 되는 2개의 가장자리부에서 점대칭이 되게 연장되고 있으며, 복수회 절곡되어 카메라 모듈(101)의 후면과 밑판(9)의 전면 사이 공간에 수용되고 있다. 2개의 연결부(82)는 겹치지 않도록, +X측의 가장자리부에서 연장하는 연결부(82)는 반으로부터 +Y측의 영역을 사용하고, 슬라이더(106) 및 받이부(108)의 +Y측을 통하고, 복수회 절곡된 후, -X측 측판(18)의 노치에 의해 형성된 커버(1)와 밑판(9) 사이 틈새부터 외부에 돌출되고 있다. -X측의 가장자리부에서 연장하는 연결부(82)는 반으로부터 -Y측의 영역을 사용하고, 슬라이더(106) 및 받이부(108)의 -Y측을 통하고, 복수회 절곡된 후, +X측 측판(18)의 노치에 의해 형성된 커버(1)와 밑판(9) 사이 틈새부터 외부에 돌출되고 있다.
연결부(82)에서 +X측과 -X측에 돌출된 2개의 선단부는 각각 외부의 기판에 전기연결된다. 2개의 연결부(82)는 노치 위치에서 커버(1)와 밑판(9)에 고정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하면, 제2 FPC(8)의 2개의 연결부(82)는 본체부(81)와 연결된 기단(基端)에 있는 능선(821), 능선(821)에 대하여 본체부(8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능선(822), 및 능선(822)에 대하여 본체부(8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능선(823)을 포함하고 있다. 2개의 연결부(82)는 이들 능선(821, 822, 823)에서 뒤집어 접어져 주름진 모양으로 되어 있다. 뒤집어 접어진 하나의 연결부(82)의 능선(821), 능선(823) 및 다른 하나의 연결부(82)의 능선(822)의 X방향 위치가 대략 같고, 다른 하나의 연결부(82)의 능선(821), 능선(823) 및 하나의 연결부(82)의 능선(822)의 X방향 위치가 대략 같다.
2개의 연결부(82)에서 능선(821, 822, 및 823)에 의해 구분된 부분은 만곡부(881, 882, 및 883)로서 외측에 만곡하고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2개의 연결부(82)의 만곡부(881, 882, 및 883) 안쪽 가장자리는 Z방향에서 보아서 거의 겹치고 있으며, 슬라이더(106) 및 받이부(108)를 +Y측 또는 -Y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결부(82)의 만곡부(881, 882, 및 883) 바깥쪽 가장자리는 Z방향에서 보아서 거의 겹치고 있으며, 연결부(82)가 연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Y방향에 있어서, 본체부(81)의 가장자리부보다도 외측에 비어져 나오고 있지만, 자석(5)을 넘도록 비어진 것이 아니다. 자석(5)쪽이 만곡부(881, 882, 및 883)보다도 외측에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6)의 외면 위의 4개의 자석(5) 뒤쪽 가장자리는 만곡부(881, 882, 및 883)보다도 앞쪽에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1)이 틸팅해도 자석(5)과 만곡부(881, 882, 및 883)는 간섭하지 않는다.
슬라이더(106) 및 받이부(108)는 2개의 연결부(82)의 만곡부(881, 882, 및 883) 안쪽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더(106)는 카메라 모듈(101)의 후면에 장착되어 그 볼록 구면은 본체부(81)의 관통 구멍(80)부터 뒤쪽을 향해 노출하고 있다. 슬라이더(106)의 볼록 구면은 받이부(108)의 오목 구면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광학부재 구동 장치(100)의 외부에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부는 검출 제어와 구동 제어를 한다. 제어부는 검출 제어에서 2개의 홀 소자(3)의 출력 신호를 바탕으로 홀 소자(3)에 대향하는 자석(5)의 Z방향 위치를 도출하고, 카메라 모듈(101) 즉 렌즈체(102) 광축의 Z축에 대한 기울기를 특정한다. 제어부는 구동 제어에서 코일(4)에 전류를 공급하으로써 받이부(108)의 오목 구면 위에서 슬라이더(106)의 볼록 구면을 슬라이딩시켜 카메라 모듈(101)을 X축 및 Y축의 축주변에 틸팅시킨다. 그것은 필요한 광축의 기울기와 실제 광축의 기울기를 대비시키면서 이루어진다.
이상이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한 상세이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부재 구동 장치(100)는 렌즈체(102)를 갖는 광학부재인 카메라 모듈(101), 밑판(9), 카메라 모듈(101)의 후면에 설치되고 볼록 구면을 갖는 슬라이더(106), 및 밑판(9)의 전면에 설치되고 슬라이더(106)를 적어도 3점으로 받는 받이부(108)를 포함한다. 볼록 구면을 갖는 슬라이더(106)를 적어도 3점으로 받는 받이부(108)를 포함함으로써, 카메라 모듈(101)은 슬라이더(106)와 함께 슬라이더(106)의 볼록 구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한다. 따라서 틸팅 중심을 카메라 모듈(101)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101) 전단부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화할 수 있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06)를 이미지 센서(103)의 중심 부근에 배치함으로써, 슬라이더(106)가 카메라 모듈(101)의 슬라이딩과 그 이미지 센서(103)의 방열을 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받이부(108)는 렌즈체(102)의 광축을 그 내부에 포함하는 삼각형의 정점 위치에 3개의 볼록부를 설치하고, 슬라이더(106)의 볼록 구면이 받이부(108)의 3개의 볼록부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도 좋다. 이러한 3점 지지 구성에 의해 볼록 구면과 받이부(108) 사이의 마찰을 보다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받이부(108)로서 적어도 3개의 볼을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배치하고, 이들 볼을 통해 슬라이더(106)의 볼록 구면이 지지되어도 좋다.
또한, 슬라이더(106)와 받이부(108) 사이에는 윤활제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자성체를 밑판(9)의 전면에 배치하고, 자석(5)과의 사이에 흡인력을 일 시켜도 좋다. 이 경우, 리프 스프링(7)을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자석(5)과 자성체 사이에 Z방향을 축으로 감긴 코일을 더 설치하여도 좋다. 따라서 Z방향을 축으로 카메라 모듈을 더 회전할 수 있다.
1: 커버
2: 제1 FPC
3: 홀 소자
4: 코일
5: 자석
6: 프레임
7: 리프 스프링
8: 제2 FPC
9: 밑판
17: 앞판
18: 측판
19: 관통 구멍
21a: 제1 판부
2lb: 제2 판부
21c: 제3 판부
21d: 제4 판부
80: 관통 구멍
81: 본체부
82: 연결부
100: 광학부재 구동 장치
101: 카메라 모듈
102: 렌즈체
103: 이미지 센서
104: 렌즈 구동장치
105: 케이스
106: 슬라이더
108: 받이부
200: 카메라 장치
201: 스마트폰
821, 822, 823: 능선
881, 882, 883: 만곡부

Claims (9)

  1. 렌즈체를 갖는 광학부재,
    밑판,
    상기 광학부재의 후면에 설치되고 볼록 구면을 갖는 슬라이더, 및
    상기 밑판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적어도 3점으로 받는 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는 오목 구면을 포함하며, 상기 볼록 구면이 상기 오목 구면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구면과 상기 오목 구면은 그 중심과 반경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는 3개의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 구면이 상기 3개의 볼록부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볼록부는 상기 렌즈체의 광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광축을 그 내부에 포함하는 삼각형의 정점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를 덮고 상기 밑판과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부재의 외면 및 상기 커버의 내면 한쪽에 코일, 다른쪽에 상기 코일에 대향하여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체의 광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볼록 구면의 중심 위치는 상기 코일 및 상기 자석의 위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재 구동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광학부재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9. 제 8항에 기재된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210115525A 2020-09-03 2021-08-31 광학부재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KR102517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916822.X 2020-09-03
CN202010916822.XA CN114217402A (zh) 2020-09-03 2020-09-03 光学部件驱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904A true KR20220030904A (ko) 2022-03-11
KR102517913B1 KR102517913B1 (ko) 2023-04-03

Family

ID=8035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525A KR102517913B1 (ko) 2020-09-03 2021-08-31 광학부재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70379A1 (ko)
JP (1) JP2022042985A (ko)
KR (1) KR102517913B1 (ko)
CN (1) CN114217402A (ko)
TW (1) TW20221092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4230A (ja) * 2006-03-30 2007-10-18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9294393A (ja) 2008-06-04 2009-12-17 Nidec Sankyo Corp 撮影用光学装置
JP2011221506A (ja) * 2010-03-26 2011-11-04 Panasonic Corp 撮像装置
JP2019015846A (ja) * 2017-07-06 2019-01-3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1758A (ja) * 2004-04-22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モジュ−ル及びカメラ付き電子機器
CN101604063B (zh) * 2008-06-13 2011-11-09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结构
US8254046B2 (en) * 2009-11-19 2012-08-28 Mcnex Co., Ltd. Camera module with autofocus function
JP5593118B2 (ja) * 2010-04-30 2014-09-1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US8767120B2 (en) * 2010-07-07 2014-07-01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drive device
JP5771373B2 (ja) * 2010-08-06 2015-08-2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KR102128502B1 (ko) * 2013-07-04 2020-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429750B2 (en) * 2013-09-12 2016-08-30 Sunming Technologies (Hk) Limited Dust-free lens driving apparatus
JP6938540B2 (ja) * 2016-04-29 2021-09-22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体レンズ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光学機器、及び液体レンズ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11057564B2 (en) * 2019-03-28 2021-07-06 Apple Inc. Multiple layer flexure for supporting a moving image sen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4230A (ja) * 2006-03-30 2007-10-18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9294393A (ja) 2008-06-04 2009-12-17 Nidec Sankyo Corp 撮影用光学装置
JP2011221506A (ja) * 2010-03-26 2011-11-04 Panasonic Corp 撮像装置
JP2019015846A (ja) * 2017-07-06 2019-01-3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70379A1 (en) 2022-03-03
CN114217402A (zh) 2022-03-22
JP2022042985A (ja) 2022-03-15
TW202210923A (zh) 2022-03-16
KR102517913B1 (ko) 202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1854B2 (ja) 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
CN112578608B (zh) 光学防抖模块及包括该光学防抖模块的相机模块
JP6449201B2 (ja) レンズ駆動装置
US9910291B2 (en) Camera lens module having auto-focus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ing functions
US8279289B2 (en) Optical unit with shake correcting function
US20220342276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CN210864286U (zh) 光学部件驱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JP7237686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US20220210299A1 (en) Reflective module assembl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212364683U (zh) 光学部件驱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CN212410938U (zh) 光学部件驱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KR20220030904A (ko) 광학부재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CN213423564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US11375093B2 (en) Optical member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20066232A1 (en) Optical Member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210376827U (zh) 光学部件驱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CN210518583U (zh) 光学部件倾斜活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JP7486647B1 (ja) 撮像装置及びカメラ
EP4047404A1 (en) Prism drive device
CN219202100U (zh) 光学单元
CN210864285U (zh) 光学部件驱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KR20240002426A (ko)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JP2024515011A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
CN113093449A (zh) 光学部件驱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JP2024052151A (ja)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