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830A -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830A
KR20220029830A KR1020200109432A KR20200109432A KR20220029830A KR 20220029830 A KR20220029830 A KR 20220029830A KR 1020200109432 A KR1020200109432 A KR 1020200109432A KR 20200109432 A KR20200109432 A KR 20200109432A KR 20220029830 A KR20220029830 A KR 20220029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support
alignment
materials
reference lin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825B1 (ko
Inventor
윤 박
윤 박
전병완
Original Assignee
동화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화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화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9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8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830A/ko
Priority to KR1020220075277A priority patent/KR20220090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0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32B38/1833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2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2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재료를 상기 제1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2 재료를 적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3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3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3 재료를 상기 제2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MATERIALS}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층으로 구성된 패널을 제조할 때, 패널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가공성을 높이기 위해서 재료들을 정렬 기준선에 일정하게 정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패널은 마루바닥재나 벽장재, 천정재 등과 같은 다양한 인테리어 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과거에는 인테리어 제품을 제조할 때, 합판이나 섬유판 혹은 삭편판과 같은 단일재료를 사용했으며, 단일 재료에 여러 가지 치장 마감재로 마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요즘에는 다양한 재료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과거보다 재료들을 얇고 물성이 좋게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재료들을 다층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재료를 다층으로 구성하게 되면, 재료들이 갖고 있는 장점을 살릴 수가 있어서 단일재료로 구성하는 것보다 물성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인테리어 제품의 경우, 목질 판상재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보통은 섬유판이나 합판에 PVC나 HPL, LPL, 무늬목 등을 붙여서 생산하는 것이 보통이나, 요즘은 합판이나 섬유판 단일 구성에서 합판과 섬유판, 혹은 섬유판과 삭편판과 같이 복합으로 구성하는 제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단일 구성에서 다층으로 제품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층용 재료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는데, 얇은 재료들을 적층할 때 재료들끼리 어긋나게 적층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가지 재료를 적층할 때, 재료들끼리 어긋나게 되면 어긋난 부위는 재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하여 제품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사용하는 재료의 가짓수가 늘어날수록 손실 발생률은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또한 재료가 어긋나게 되면 손실이 커질 뿐 아니라, 제품을 가공할 때도 균일한 규격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한쪽면을 기준으로 가공하게 되는데, 기준면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완제품의 규격이 달라져서 불량률이 증가하고 작업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74921호의 경우도 제품이 합판과 HDF, HPL로 구성되어 있는데 적층과정에서 재료들끼리 어긋나서 제품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7492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인테리어 제품의 구성을 다층으로 구성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구성재료들의 어긋남으로 인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 구성재료들을 정렬 기준선으로 정렬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재료들을 정렬 기준선으로 정렬시킨 다음 프레스 작업을 하게 되면, 단일층으로 구성된 기존 방식과 유사하게 손실을 최소할 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2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2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재료를 상기 제1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2 재료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3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3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3 재료를 상기 제2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2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2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3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3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3 재료를 상기 제2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제1 적층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c) 별도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별도 제1 정렬 지지대 및 별도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별도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적층재료의 상기 제2 재료를 상기 제1 재료 쪽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상기 제1 적층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별도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1 적층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1 적층재료를 밀어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1 적층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1 적층재료를 상기 제1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1 적층재료의 상기 제2 재료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3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2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2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재료를 상기 제1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2 재료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제1 적층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c) 별도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별도 제1 정렬 지지대 및 별도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별도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1 적층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및 d) 제3 재료를 상기 제1 적층재료의 상기 제2 재료 쪽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상기 제3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별도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3 재료를 밀어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3 재료를 상기 제1 적층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적층재료의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4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 정렬 지지대 및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제2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2 재료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정렬 지지대 및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제3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5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 정렬 지지대 및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제2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2 재료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3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3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3 재료를 상기 제2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6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2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2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재료를 상기 제1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2 재료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정렬 지지대 및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제3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 1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전에 상기 제1 재료와 상기 제2 재료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 전에 상기 제2 재료와 상기 제3 재료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접착제의 도포량은 70~150 g/m2으로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전에 상기 제2 재료와 상기 제3 재료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 전에 상기 제1 재료와 상기 제2 재료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접착제의 도포량은 70~150 g/m2으로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전에 상기 제1 재료와 상기 제2 재료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 전에 상기 제2 재료와 상기 제3 재료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접착제의 도포량은 70~150 g/m2으로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EVA 계열의 수용성 에멀젼을 주제로 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EVA 계열의 수용성 에멀젼의 5~20 중량% 혼합하여 제조되며, 고형분 55~65 중량%, pH 6.5~7.5, 점도 10,000~15,000 cps의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는 합판이고, 상기 제2 재료는 섬유판이고, 상기 제3 재료는 치장마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는 섬유판이고, 상기 제2 재료는 합판이고, 상기 제3 재료는 치장마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치장마감재는 HPL, 코팅지, 올레핀 시트, PET 시트, 원목단판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재를 복수 개로 쌓아 상온에서 5~15 kgf/cm2의 압력으로 30~60분 동안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 및 상온에서 3~7일 양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재를 35~110℃에서 5~15 kgf/cm2의 압력으로 10~30분 동안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 및 상온에서 3~7일 양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는 판재, 원기둥 및 사각기둥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는 판재, 원기둥 및 사각기둥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는 판재, 원기둥 및 사각기둥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는 판재, 원기둥 및 사각기둥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별도 제1 정렬 지지대는 판재, 원기둥 및 사각기둥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는 판재, 원기둥 및 사각기둥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료들이 정렬 기준선에 정렬되지 않고 제조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재료들을 정렬 기준선으로 정렬시켜 다층 패널을 제조함으로써, 패널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가공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1 재료(10), 제2 재료(20), 제3 재료(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정렬 기준선(60)에 의한 a)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정렬 기준선(60)에 의한 b)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정렬 기준선(60)에 의한 c)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정렬 지지대(61)에 의한 a)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정렬 지지대(61)에 의한 b)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 정렬 지지대(61)에 의한 c)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의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의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지지대(8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 a)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 b)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 c)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1 실시예에서 a)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2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1 실시예에서 b)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1 실시예에서 c)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2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1 실시예에서 d)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2 실시예에서 a)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내지 2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2 실시예에서 b)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2 실시예에서 c)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내지 3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2-2 실시예에서 d)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3 실시예에서 a)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 및 3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3 실시예에서 b)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3 실시예에서 c)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지지대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4-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4-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4-3 실시예 및 제4-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4-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의 제4-6 실시예 및 제4-7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중 평면도에는 접착제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제1 실시예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서 재료들의 정렬방법의 제1 실시예는 정렬 기준선(60)에 맞추어 제1 재료(10)를 위치시킨 다음, 정렬 기준선(60)에 맞추어 제2 재료(20)를 정렬시키면서 제1 재료(10)의 위에 제2 재료(20)를 적층한다. 만약 제2 재료(20)를 정렬 기준선(60)에 정렬하지 못하면 제2 재료(20)는 제1 재료(10)와 어긋나게 된다.
정렬 기준선(60)은 적층할 재료의 형상에 따라 직선일 수도 있고, 곡선 등 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는 a) 정렬 기준선(60)에 맞추어 제1 재료(10)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b) 정렬 기준선(60)에 맞추어 제2 재료(20)를 정렬시키면서 제1 재료(10)의 윗면(11)과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이 마주 보도록 제1 재료(10)에 제2 재료(20)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재료(10)를 위치시킨 후 제1 재료(10)에 맞추어 정렬 기준선(60)을 설정할 수도 있고 이 경우 a) 단계는 제1 재료(10)를 위치시키고 제1 재료(10)에 맞추어 정렬 기준선(60)을 설정하는 단계가 된다.
재료들끼리 정렬 기준선(60)에 쉽고 정확하게 정렬시키기 위해서 제1 재료(10)의 정렬 기준선(60)에 튼튼한 정렬 지지대(61)를 제공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 지지대(61)에 의해서 a) 단계는 정렬 기준선(60)에 대응되는 정렬 지지대(61)의 우측면에 제1 재료(10)의 좌측면(14)을 접촉시키고, b) 단계는 정렬 지지대(61)의 우측면 쪽으로 제2 재료(20)의 우측면(23)이 위를 향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제2 재료(20)를 밀어 정렬 지지대(61)의 우측면에 제2 재료(20)의 윗면(21)과 좌측면(24)의 경계인 모서리를 접촉시키고 제2 재료(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적층하면 제2 재료(20)와 제1 재료(10)는 어긋나지 않고 적층되게 된다.
제2 재료(20)를 적층할 때는 윗면(21)과 좌측면(24)의 경계인 모서리를 정렬 지지대(61)에 맞닿게 붙인 상태에서 회전적층을 해야 되는데, 만약 적층한 다음 기준선을 맞추게 되면 도포된 접착제의 저항으로 인해 제2 재료(20)가 쉽게 움직이지 않게 되어 기준선 맞추는 것이 어려워진다. 만약 억지로 제2 재료(20)를 밀게되면 큰 힘이 필요하고, 또한 얇은 재료가 큰 힘으로 파손될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제3 재료(30)도 제2 재료(20)를 적층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면 최종적으로 재료 3개는 정렬 기준선(60)에 맞춰서 적층이 가능하다. 즉, 제1 실시예는 c) 정렬 기준선(60)에 맞추어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의 반대면인 제2 재료(20)의 윗면(21)과 제3 재료(30)의 아랫면(32)이 마주 보도록 제2 재료(20)에 제3 재료(30)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정렬 지지대(61)에 의해서 c) 단계는 정렬 지지대(61)의 우측면 쪽으로 제3 재료(30)의 우측면(33)이 위를 향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제3 재료(30)를 밀어 정렬 지지대(61)의 우측면에 제3 재료(30)의 윗면(31)과 좌측면(34)의 경계인 모서리를 접촉시키고 제3 재료(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적층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b) 단계 전에 제1 재료(10)와 제2 재료(2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1 접착제(1)가 도포되고, c) 단계 전에 제2 재료(20)와 제3 재료(3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2 접착제(2)가 도포된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다음 중 하나의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ⅰ. b) 단계 전에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에 제1 접착제(1)를 도포하고,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제2 재료(20)의 윗면(21)에 제2 접착제(2)를 도포
ⅱ. b) 단계 전에 제1 재료(10)의 윗면(11)에 제1 접착제(1)를 도포하고,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제2 재료(20)의 윗면(21)에 제2 접착제(2)를 도포
ⅲ. b) 단계 전에 제1 재료(10)의 윗면(11)에 제1 접착제(1)를 도포하고 제2 재료(20)의 윗면(21)에 제2 접착제(2)를 도포
ⅳ. b) 단계 전에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에 제1 접착제(1)를 도포하고 제2 재료(20)의 윗면(21)에 제2 접착제(2)를 도포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면 한쪽면은 정렬을 시켜줄 수 있으나 인접한 면은 정렬이 안될 수 있는데, 이는 2개의 정렬 기준선을 사용하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서 재료들의 정렬방법의 제2 실시예는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맞추어 제1 재료(10)를 위치시킨 다음,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맞추어 제2 재료(20)를 정렬시키면서 제1 재료(10)의 위에 제2 재료(20)를 적층한다.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은 적층할 재료의 형상에 따라 직선일 수도 있고, 곡선 등 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이 이루는 각도는 적층되는 재료들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적층되는 재료들이 직사각형 판재인 경우에는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이 이루는 각도는 90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는 a)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맞추어 제1 재료(10)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b)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맞추어 제2 재료(20)를 정렬시키면서 제1 재료(10)의 윗면(11)과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이 마주 보도록 제1 재료(10)에 제2 재료(20)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재료들끼리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쉽고 정확하게 정렬시키기 위해서 제1 정렬 기준선(81)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84)를 제공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지지대(84)에 의해서 a) 단계는 제1 정렬 기준선(81)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1 재료(10)를 접촉시키고(도 12), b) 단계는 제2 재료(20)의 우측면(23)이 위를 향하게 경사지고 제2 정렬 지지대(84)로부터 제2 재료(20)가 이격된 상태에서 제1 정렬 지지대(83)의 우측면에 제2 재료(20)의 윗면(21)과 좌측면(24)의 경계인 모서리를 접촉시키고(도 13), 제2 정렬 지지대(84) 쪽으로 제2 재료(20)를 밀어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2 재료(20)의 배면(26)을 접촉시키고(도 14) 제2 재료(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15).
제3 재료(30)도 제2 재료(20)를 적층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면 최종적으로 재료 3개는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맞춰서 적층이 가능하다. 즉, 제2 실시예는 c)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맞추어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의 반대면인 제2 재료(20)의 윗면(21)과 제3 재료(30)의 아랫면(32)이 마주 보도록 제2 재료(20)에 제3 재료(30)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지지대(84)에 의해서 c) 단계는 제2 정렬 지지대(84)로부터 제3 재료(30)가 이격된 상태에서 제1 정렬 지지대(83)에 제3 재료(30)를 접촉시키고, 제2 정렬 지지대(84) 쪽으로 제3 재료(30)를 밀어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3 재료(30)를 접촉시키고 제3 재료(30)를 회전시키면서 적층한다.
제2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b) 단계 전에 제1 재료(10)와 제2 재료(2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1 접착제(1)가 도포되고, c) 단계 전에 제2 재료(20)와 제3 재료(3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2 접착제(2)가 도포된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 ⅰ 내지 ⅳ 중 하나의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제2-1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인 제2-1 실시예에서는 3개의 재료를 적층함에 있어서, 제2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2개의 재료를 적층한 후, 2개의 재료가 적층된 적층재료를 나머지 1개의 재료의 위에 제2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적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1 실시예에서는 제1 정렬 기준선(81)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별도 제1 정렬 기준선(9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별도 제2 정렬 기준선(92)을 추가로 사용한다. 별도 정렬 기준선을 사용하는 것은 적층작업에 필요한 재료들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재료들끼리 별도 제1 정렬 기준선(91) 및 별도 제2 정렬 기준선(92)에 쉽고 정확하게 정렬시키기 위해서 별도 제1 정렬 기준선(91)에 대응되는 별도 제1 정렬 지지대(93) 및 별도 제2 정렬 기준선(92)에 대응되는 별도 제2 정렬 지지대(94)를 제공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1 실시예는 a) 제1 정렬 기준선(81)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2 재료(20)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제2 정렬 지지대(84)로부터 제3 재료(30)가 이격된 상태에서 제1 정렬 지지대(83)에 제3 재료(30)를 접촉시키고, 제2 정렬 지지대(84) 쪽으로 제3 재료(30)를 밀어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3 재료(30)를 접촉시키고 제3 재료(30)를 제2 재료(20) 쪽으로 회전시켜 제2 재료(20)에 제3 재료(30)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제1 적층재료(50)를 형성하는 단계; c) 별도 제1 정렬 기준선(91)에 대응되는 별도 제1 정렬 지지대(93) 및 별도 제2 정렬 기준선(92)에 대응되는 별도 제2 정렬 지지대(94)에 제1 재료(10)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및 d) 제1 적층재료(50)의 제2 재료(20)를 제1 재료(10) 쪽으로 위치시키고 별도 제2 정렬 지지대(94)로부터 제1 적층재료(50)가 이격된 상태에서 별도 제1 정렬 지지대(93)에 제1 적층재료(50)를 접촉시키고, 별도 제2 정렬 지지대(94) 쪽으로 제1 적층재료(50)를 밀어 별도 제2 정렬 지지대(94)에 제1 적층재료(50)를 접촉시키고 제1 적층재료(50)를 제1 재료(10) 쪽으로 회전시켜 제1 재료(10)에 제1 적층재료(50)의 제2 재료(20)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1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ⅴ. b) 단계 전에 제2 재료(20)와 제3 재료(3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2 접착제(2)를 도포하고, d) 단계 전에 제1 재료(10)와 제2 재료(2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1 접착제(1)를 도포
제2-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대한 변형된 또다른 실시예인 제2-2 실시예에서는 3개의 재료를 적층함에 있어서, 제2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2개의 재료를 적층한 후 2개의 재료가 적층된 적층재료를 별도 정렬 기준선에 위치시킨 후 적층재료의 위에 나머지 1개의 재료를 제2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적층한다. 따라서, 제2-2 실시예에서는 제2-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정렬 기준선(81)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별도 제1 정렬 기준선(91)에 대응되는 별도 제1 정렬 지지대(93) 및 제2 정렬 기준선(82)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별도 제2 정렬 기준선(92)에 대응되는 별도 제2 정렬 지지대(94)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제2-2 실시예는 a) 제1 정렬 기준선(81)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1 재료(10)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제2 정렬 지지대(84)로부터 제2 재료(20)가 이격된 상태에서 제1 정렬 지지대(83)에 제2 재료(20)를 접촉시키고, 제2 정렬 지지대(84) 쪽으로 제2 재료(20)를 밀어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2 재료(20)를 접촉시키고 제2 재료(20)를 제1 재료(10) 쪽으로 회전시켜 제1 재료(10)에 제2 재료(20)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제1 적층재료(50)를 형성하는 단계; c) 별도 제1 정렬 기준선(91)에 대응되는 별도 제1 정렬 지지대(93) 및 별도 제2 정렬 기준선(92)에 대응되는 별도 제2 정렬 지지대(94)에 제1 적층재료(50)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및 d) 제3 재료(30)를 제1 적층재료(50)의 제2 재료(20) 쪽으로 위치시키고 별도 제2 정렬 지지대(94)로부터 제3 재료(30)가 이격된 상태에서 별도 제1 정렬 지지대(93)에 제3 재료(30)를 접촉시키고, 별도 제2 정렬 지지대(94) 쪽으로 제3 재료(30)를 밀어 별도 제2 정렬 지지대(94)에 제3 재료(30)를 접촉시키고 제3 재료(30)를 제1 적층재료(50) 쪽으로 회전시켜 제1 적층재료(50)의 제2 재료(20)에 제3 재료(30)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2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ⅵ. b) 단계 전에 제1 재료(10)와 제2 재료(2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1 접착제(1)를 도포하고, d) 단계 전에 제2 재료(20)와 제3 재료(3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2 접착제(2)를 도포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a)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맞추어 제1 재료(10)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b)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맞추어 제2 재료(20)를 정렬시키면서 제1 재료(10)의 윗면(11)과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이 마주 보도록 제2 재료(20)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재료 3개를 적층하기 위해 c) 제1 정렬 기준선(81)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맞추어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의 반대면인 제2 재료(20)의 윗면(21)과 제3 재료(30)의 아랫면(32)이 마주 보도록 제3 재료(30)를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정렬 기준선(81)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84)를 사용하는데, 구체적인 정렬 방법에 있어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3 실시예는 재료를 사선으로 놓는 것이 아니고, 정렬 지지대에 맞춰서 한꺼번에 내려서 적층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a) 단계는 제1 정렬 기준선(81)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1 재료(10)를 접촉시키고, b) 단계는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2 재료(20)를 접촉시키고, c) 단계는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3 재료(30)를 접촉시키면서 적층한다.
제3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b) 단계 전에 제1 재료(10)와 제2 재료(2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1 접착제(1)가 도포되고, c) 단계 전에 제2 재료(20)와 제3 재료(3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2 접착제(2)가 도포된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 ⅰ 내지 ⅳ 중 하나의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제3-1 실시예
3개의 재료를 적층함에 있어서, 제2 실시예의 방법과 제3 실시예의 방법을 단계 별로 혼용할 수 있다.
제3-1 실시예는 2개의 재료를 적층하는데 제3 실시예의 방법을 사용하고, 적층된 2개의 재료에 나머지 1개의 재료를 적층하는데 제3 실시예의 방법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제3-1 실시예는 a) 제1 정렬 기준선(81)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1 재료(10)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2 재료(20)를 접촉시킨 상태로 제1 재료(10)에 제2 재료(20)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는 단계; 및 c) 제2 정렬 지지대(84)로부터 제3 재료(30)가 이격된 상태에서 제1 정렬 지지대(83)에 제3 재료(30)를 접촉시키고, 제2 정렬 지지대(84) 쪽으로 제3 재료(30)를 밀어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3 재료(30)를 접촉시키고 제3 재료(30)를 제2 재료(20) 쪽으로 회전시켜 제2 재료(20)에 제3 재료(30)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1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b) 단계 전에 제1 재료(10)와 제2 재료(2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1 접착제(1)가 도포되고, c) 단계 전에 제2 재료(20)와 제3 재료(3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2 접착제(2)가 도포된다. 구체적으로, 제3-1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 ⅰ 내지 ⅳ 중 하나의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제3-2 실시예
제3-2 실시예는 2개의 재료를 적층하는데 제2 실시예의 방법을 사용하고, 적층된 2개의 재료에 나머지 1개의 재료를 적층하는데 제3 실시예의 방법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제3-2 실시예는 a) 제1 정렬 기준선(81)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기준선(82)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1 재료(10)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제2 정렬 지지대(84)로부터 제2 재료(20)가 이격된 상태에서 제1 정렬 지지대(83)에 제2 재료(20)를 접촉시키고, 제2 정렬 지지대(84) 쪽으로 제2 재료(20)를 밀어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2 재료(20)를 접촉시키고 제2 재료(20)를 제1 재료(10) 쪽으로 회전시켜 제1 재료(10)에 제2 재료(20)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는 단계; 및 c) 제1 정렬 지지대(83) 및 제2 정렬 지지대(84)에 제3 재료(30)를 접촉시킨 상태로 제2 재료(20)에 제3 재료(30)를 서로 어긋남 없이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2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b) 단계 전에 제1 재료(10)와 제2 재료(2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1 접착제(1)가 도포되고, c) 단계 전에 제2 재료(20)와 제3 재료(30)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제2 접착제(2)가 도포된다. 구체적으로, 제3-2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 ⅰ 내지 ⅳ 중 하나의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제1-1 실시예, 제1-2 실시예, 제2 실시예, 제2-1 실시예, 제2-2 실시예, 제3 실시예, 제3-1 실시예, 제3-2 실시예에 공통되는 기술적 특징
이들 각각의 실시예는 적층재(40)를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 및 적층재(40)를 양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정렬 지지대(83), 제2 정렬 지지대(84), 별도 제1 정렬 지지대(93), 별도 제2 정렬 지지대(94)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정렬 지지대, 제2 정렬 지지대는 각 재료의 일면과 맞닿을 수 있게 긴 면을 가지는 사각 판재의 형태로 되어 있거나 혹은 재료의 일부만 맞닿을 수 있는 원기둥이나 사각기둥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정렬 지지대와 제2 정렬 지지대는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여러 형태가 조합될 수도 있다. 원기둥이나 사각기둥은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정렬 지지대와 제2 정렬 지지대 모두가 사각 판재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 제1 정렬 지지대와 제2 정렬 지지대는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정렬 지지대, 제2 정렬 지지대에 대한 설명은 별도 제1 정렬 지지대, 별도 제2 정렬 지지대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제4-1 실시예 내지 제4-7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제4-1 실시예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1 실시예는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에 제1 접착제(1)를 도포하는 단계; 제1 재료(10)의 윗면(11)과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이 마주 보도록 제1 재료(10)의 위에 제2 재료(20)를 적층하는 단계;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의 반대면인 제2 재료(20)의 윗면(21)에 제2 접착제(2)를 도포하는 단계; 제2 재료(20)의 윗면(21)과 제3 재료(30)의 아랫면(32)이 마주 보도록 제2 재료(20)의 위에 제3 재료(30)를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 적층재(40)를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 및 적층재(40)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2 실시예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2 실시예는 제1 재료(10)의 윗면(11)에 제1 접착제(1)를 도포하는 단계; 제1 재료(10)의 윗면(11)과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이 마주 보도록 제1 재료(10)의 위에 제2 재료(20)를 적층하는 단계;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의 반대면인 제2 재료(20)의 윗면(21)에 제2 접착제(2)를 도포하는 단계; 제2 재료(20)의 윗면(21)과 제3 재료(30)의 아랫면(32)이 마주 보도록 제2 재료(20)의 위에 제3 재료(30)를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 적층재(40)를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 및 적층재(40)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3 실시예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3 실시예는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의 반대면인 제2 재료(20)의 윗면(21)에 제2 접착제(2)를 도포하는 단계; 제1 재료(10)의 윗면(11)에 제1 접착제(1)를 도포하는 단계; 제1 재료(10)의 윗면(11)과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이 마주 보도록 제1 재료(10)의 위에 제2 재료(20)를 적층하는 단계; 제2 재료(20)의 윗면(21)과 제3 재료(30)의 아랫면(32)이 마주 보도록 제2 재료(20)의 위에 제3 재료(30)를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 적층재(40)를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 및 적층재(40)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4 실시예
제4-4 실시예는 제4-3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접착제(2)를 도포하는 단계와 제1 접착제(1)를 도포하는 단계의 순서가 다르다. 즉, 제4-4 실시예는 제1 재료(10)의 윗면(11)에 제1 접착제(1)를 도포하는 단계;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의 반대면인 제2 재료(20)의 윗면(21)에 제2 접착제(2)를 도포하는 단계; 제1 재료(10)의 윗면(11)과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이 마주 보도록 제1 재료(10)의 위에 제2 재료(20)를 적층하는 단계; 제2 재료(20)의 윗면(21)과 제3 재료(30)의 아랫면(32)이 마주 보도록 제2 재료(20)의 위에 제3 재료(30)를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 적층재(40)를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 및 적층재(40)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5 실시예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5 실시예는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에 제1 접착제(1)를 도포하고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의 반대면인 제2 재료(20)의 윗면(21)에 제2 접착제(2)를 도포하는 단계; 제2 재료(20)의 아랫면(22)과 제1 재료(10)의 윗면(11)이 마주 보도록 제2 재료(20)의 아래에 제1 재료(10)를 적층하고, 제2 재료(20)의 윗면(21)과 제3 재료(30)의 아랫면(32)이 마주 보도록 제2 재료(20)의 위에 제3 재료(30)를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 적층재(40)를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 및 적층재(40)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6 실시예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6 실시예는 제2 재료(20)의 윗면(21)에 제2 접착제(2)를 도포하는 단계; 제1 재료(10)의 윗면(11)에 제1 접착제(1)를 도포하는 단계; 제2 재료(20)의 윗면(21)과 제3 재료(30)의 아랫면(32)이 마주 보도록 제2 재료(20)의 위에 제3 재료(30)를 적층하여 제1 적층재료(50)를 형성하는 단계; 제1 재료(10)의 윗면(11)과 제1 적층재료(50)의 제2 재료(20)의 윗면(21)의 반대면인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이 마주 보도록 제1 재료(10)의 위에 제1 적층재료(50)를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 적층재(40)를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 및 적층재(40)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7 실시예
제4-7 실시예는 제4-6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접착제(2)를 도포하는 단계와 제1 접착제(1)를 도포하는 단계의 순서가 다르다. 즉, 제4-7 실시예는 제1 재료(10)의 윗면(11)에 제1 접착제(1)를 도포하는 단계; 제2 재료(20)의 윗면(21)에 제2 접착제(2)를 도포하는 단계; 제2 재료(20)의 윗면(21)과 제3 재료(30)의 아랫면(32)이 마주 보도록 제2 재료(20)의 위에 제3 재료(30)를 적층하여 제1 적층재료(50)를 형성하는 단계; 제1 재료(10)의 윗면(11)과 제1 적층재료(50)의 제2 재료(20)의 윗면(21)의 반대면인 제2 재료(20)의 아랫면(22)이 마주 보도록 제1 재료(10)의 위에 제1 적층재료(50)를 적층하여 적층재(40)를 형성하는 단계; 적층재(40)를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 및 적층재(40)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모든 실시예(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2-1 실시예, 제2-2 실시예, 제3 실시예, 제3-1 실시예, 제3-2 실시예, 제4-1 실시예 내지 제4-7 실시예)에 공통되는 기술적 특징
도 3에는 제1 재료(10), 제2 재료(20) 및 제3 재료(30)가 사각 판재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적층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위의 모든 실시예에서 제1 재료(10)는 합판, 제2 재료(20)는 섬유판이거나, 제1 재료(10)는 섬유판, 제2 재료(20)는 합판이다. 제3 재료(30)는 치장마감재이다. 섬유판의 두께는 2.5~5mm 정도이다. 섬유판으로는 중밀도 섬유판(MDF)나 고밀도섬유판(HDF)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밀도 750 kg/m3 이상의 MDF나 HDF를 사용할 수 있다. 치장마감재로서는 HPL, 코팅지, 올레핀 시트, PET 시트, 원목단판 등이 사용되는데, 치장마감재는 전사인쇄, 도료 등의 재료나 방법으로 인쇄된 인쇄면과 인쇄면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층을 갖는다.
제1 접착제(1) 및 제2 접착제(2)는 서로 다른 종류이거나 동일한 종류일 수 있다. 제1 접착제(1) 및 제2 접착제(2)가 동일한 종류인 경우에 이들은 EVA 계열의 수용성 에멀젼 타입을 주제(主劑)로 사용하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EVA 계열의 수용성 에멀젼의 5~20 중량% 정도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주제로 사용되는 EVA계 수용성 에멀젼은 고형분 55~65 중량%, pH 6.5~7.5, 점도 10,000~15,000 cps의 조건을 갖는다. 여기서 고형분은 끓임에도 증발되지 않고 불휘발 되는 성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여기서 점도는 25℃에서의 값이다. 제1 접착제(1)의 도포량은 70~150 g/m2으로 제1 재료(10) 또는 제2 재료(20)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해야 된다. 제2 접착제(2)의 도포량은 70~150 g/m2으로 제2 재료(20) 또는 제3 재료(30)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해야 된다.
적층재(40)를 50~100매 정도로 쌓은 다음 프레스에 투입하여 가압하여 준다. 이때 프레스 작업은 상온에서 진행되며, 압력은 5~15kgf/cm2, 가압시간은 30~60분에서 진행된다. 여기서 프레스 작업이 진행되는 상온은 5~35℃에 속하는 온도값이나 온도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작업이 진행되는 온도는 35~110℃로 설정하여 열을 가하면서 진행할 수도 있다. 즉, 프레스 작업은 35~110℃에서 5~15 kgf/cm2의 압력으로 10~30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프레스 후에는 상온조건에서 60분 양생을 시켜 접착제의 양호한 경화를 진행시켜준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온조건에서 3~7일 양생할 수 있다. 여기서, 양생이 진행되는 상온은 5~35℃에 속하는 온도값이나 온도범위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양생이 진행되는 상온은 프레스 작업이 진행되는 상온과 동일하게 선택될 수도 있고, 다르게 선택될 수도 있다.
경화가 일정 단계까지 진행되면 실제 마루바닥판 규격으로 가공을 해주는데, 가공면은 시공시 쉽게 체결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형태의 끼워맞춤 구조로 이루어진다. 끼워맞춤 구조로 인해 바닥면에 시공시 마루판끼리 단차없이 끼울수 있고, 또한 밀착되어 틈 벌어짐 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패널은 현재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중인 목질 및 비목질 판상재를 그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목질 판상재로는 합판, 섬유판, 삭편판, 스트랜드 보드 등이 있고, 비목질 판상재로는 무기질판, 합성수지판, 발포판, 금속판, 고무판 등이 있다. 여러가지 판상재료 중, 가격이나 가공성, 작업성, 무게, 강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 사용 가능하다.
위의 여러가지 판상재는 모든 조합이 가능하나 목질 판상재끼리 구성하는 것이 작업성이나 가격면에서 유리하다. 특히 바람직한 구성은 합판과 섬유판을 사용하는 것이 조합 후의 발휘 성능을 고려했을 때 우수한 조건이며, 상부면을 기준으로 치장 마감재 아래 섬유판을, 섬유판 밑에 합판을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층 패널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부면을 기준으로 치장 마감재 아래 합판을, 합판 밑에 섬유판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섬유판 대신 삭편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사용하는 장소나 용도 등에 따라서 구성의 순서를 변경하여 최적화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현재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중인 목질 판상재를 사용해서 마루바닥재를 제조하였으며,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3.5mm 합판에 EVA 계열의 접착제를 1면에 도포한 다음 제1 정렬 지지대(83)와 제2 정렬 지지대(84)에 맞닿게 놓는다. 3.5mm 섬유판의 긴 방향쪽을 제1 정렬 지지대(83)와 맞닿게 사선으로 놓은 다음 제2 정렬 지지대(84) 반대면을 밀어서 제2 정렬 지지대(84)와 맞닿게 한다. 섬유판이 제1 정렬 지지대(83)와 제2 정렬 지지대(84)에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정렬 지지대(83)의 맞은면을 시계 방향으로 내려서 합판 위에 적층한다. 합판과 섬유판이 적층된 상태에서 섬유판에 EAV 계열의 접착제를 도포해 준다. 마지막으로 0.4mm HPL을 제1 정렬 지지대(83)와 제2 정렬 지지대(84)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섬유판 위에 적층 시킨다. 동일한 방법으로 합판-섬유판-HPL 적층재를 70~100매를 동일하게 적층하여 한꺼번에 냉압 프레스로 40분간 눌러준다. 프레스 후에 약 3~7일 동안 양생을 시켜준 다음, 시공이 가능하도록 혀와 홈 가공을 진행하여 마루 바닥재를 제작한다. 마루 가공시에 본 발명에 의한 정렬방법과 일반적인 적층 방식으로 접착한 방식의 불량율을 비교한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구분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일반 적층 방식으로 제조
접착 규격 (매. mm) 1220 * 2440 1220 * 2440
생산 마루판 (개/매) 36 36
가공 불량 (개/매) 0 3
불량률 (%) 0 8.33%
1: 제1 접착제
2: 제2 접착제
10: 제1 재료
11: 윗면
12: 아랫면
13: 우측면
14: 좌측면
15: 정면
16: 배면
20: 제2 재료
21: 윗면
22: 아랫면
23: 우측면
24: 좌측면
25: 정면
26: 배면
30: 제3 재료
31: 윗면
32: 아랫면
33: 우측면
34: 좌측면
35: 정면
36: 배면
40: 적층재
50: 제1 적층재료
60: 정렬 기준선
61: 정렬 지지대
70: 기본 정렬 기준선
71: 별도 정렬 기준선
81: 제1 정렬 기준선
82: 제2 정렬 기준선
83: 제1 정렬 지지대
84: 제2 정렬 지지대
91: 별도 제1 정렬 기준선
92: 별도 제2 정렬 기준선
93: 별도 제1 정렬 지지대
94: 별도 제2 정렬 지지대

Claims (17)

  1.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2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2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재료를 상기 제1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2 재료를 적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3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3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3 재료를 상기 제2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2.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2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3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3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3 재료를 상기 제2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적층하여 제1 적층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c) 별도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별도 제1 정렬 지지대 및 별도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별도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적층재료의 상기 제2 재료를 상기 제1 재료 쪽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상기 제1 적층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별도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1 적층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1 적층재료를 밀어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1 적층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1 적층재료를 상기 제1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1 적층재료의 상기 제2 재료를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3.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2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2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재료를 상기 제1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2 재료를 적층하여 제1 적층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c) 별도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별도 제1 정렬 지지대 및 별도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별도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1 적층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및
    d) 제3 재료를 상기 제1 적층재료의 상기 제2 재료 쪽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상기 제3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별도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3 재료를 밀어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3 재료를 상기 제1 적층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적층재료의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4.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 정렬 지지대 및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제2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2 재료를 적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정렬 지지대 및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제3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5.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 정렬 지지대 및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제2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2 재료를 적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3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3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3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3 재료를 상기 제2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6.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1 정렬 지지대 및 제2 정렬 기준선에 대응되는 제2 정렬 지지대에 제1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로부터 제2 재료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 쪽으로 상기 제2 재료를 밀어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상기 제2 재료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2 재료를 상기 제1 재료 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재료에 상기 제2 재료를 적층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정렬 지지대 및 상기 제2 정렬 지지대에 제3 재료를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제2 재료에 상기 제3 재료를 적층하여 적층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전에 상기 제1 재료와 상기 제2 재료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 전에 상기 제2 재료와 상기 제3 재료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접착제의 도포량은 70~150 g/m2으로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전에 상기 제2 재료와 상기 제3 재료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 전에 상기 제1 재료와 상기 제2 재료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접착제의 도포량은 70~150 g/m2으로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전에 상기 제1 재료와 상기 제2 재료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 전에 상기 제2 재료와 상기 제3 재료의 서로 마주 보는 2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접착제의 도포량은 70~150 g/m2으로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EVA 계열의 수용성 에멀젼을 주제로 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EVA 계열의 수용성 에멀젼의 5~20 중량% 혼합하여 제조되며, 고형분 55~65 중량%, pH 6.5~7.5, 점도 10,000~15,000 cps의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는 합판이고, 상기 제2 재료는 섬유판이고, 상기 제3 재료는 치장마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는 섬유판이고, 상기 제2 재료는 합판이고, 상기 제3 재료는 치장마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치장마감재는 HPL, 코팅지, 올레핀 시트, PET 시트, 원목단판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재를 상온에서 5~15 kgf/cm2의 압력으로 30~60분 동안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 및
    상온에서 3~7일 양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재를 35~110℃에서 5~15 kgf/cm2의 압력으로 10~30분 동안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 및
    상온에서 3~7일 양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16. 제 1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는 판재, 원기둥 및 사각기둥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는 판재, 원기둥 및 사각기둥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1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지지대는 판재, 원기둥 및 사각기둥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정렬 지지대는 판재, 원기둥 및 사각기둥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별도 제1 정렬 지지대는 판재, 원기둥 및 사각기둥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별도 제2 정렬 지지대는 판재, 원기둥 및 사각기둥의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200109432A 2020-08-28 2020-08-28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KR10241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432A KR102412825B1 (ko) 2020-08-28 2020-08-28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220075277A KR20220090490A (ko) 2020-08-28 2022-06-21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432A KR102412825B1 (ko) 2020-08-28 2020-08-28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277A Division KR20220090490A (ko) 2020-08-28 2022-06-21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830A true KR20220029830A (ko) 2022-03-10
KR102412825B1 KR102412825B1 (ko) 2022-06-28

Family

ID=808162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432A KR102412825B1 (ko) 2020-08-28 2020-08-28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220075277A KR20220090490A (ko) 2020-08-28 2022-06-21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277A KR20220090490A (ko) 2020-08-28 2022-06-21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128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904A (ja) * 1997-12-12 1999-06-29 Eidai Co Ltd 建築用化粧板
JP2000037779A (ja) * 1998-07-21 2000-02-08 Dainippon Ink & Chem Inc 厚物部材の製造方法
KR100253010B1 (ko) * 1998-02-17 2000-04-15 조한형 변성초산 비닐에틸렌-폴리우레탄 에멀젼 접착제
KR20040037927A (ko) * 2002-10-31 2004-05-08 메이난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접착 집성재 제조 방법
KR101974921B1 (ko) 2018-11-20 2019-05-07 주식회사 스타코리아 콤비 합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콤비 합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904A (ja) * 1997-12-12 1999-06-29 Eidai Co Ltd 建築用化粧板
KR100253010B1 (ko) * 1998-02-17 2000-04-15 조한형 변성초산 비닐에틸렌-폴리우레탄 에멀젼 접착제
JP2000037779A (ja) * 1998-07-21 2000-02-08 Dainippon Ink & Chem Inc 厚物部材の製造方法
KR20040037927A (ko) * 2002-10-31 2004-05-08 메이난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접착 집성재 제조 방법
KR101974921B1 (ko) 2018-11-20 2019-05-07 주식회사 스타코리아 콤비 합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콤비 합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490A (ko) 2022-06-29
KR102412825B1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4388B1 (en) Wood flooring laminated with high pressure veneer and impregnated low weight printing paper
EP1494855B1 (en) Wood flooring with laminated wood and plastic layers using symmetric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0608400B1 (en) High pressure laminate structure
AU2017228628B2 (en) Method for finishing a wood board
US20080263985A1 (en) Building slab, floor panels in particul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3806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imber composite, the timber composite obtained and decorative panels comprising such timber composite
US2023030277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imber composite, the timber composite obtained and decorative panels comprising such timber composite
MX2010013470A (es) Metodo para producir tablas y tabla producida de conformidad con el metodo.
AU2020102335A4 (en) Container flooring
KR100530159B1 (ko) 고압 멜라민 화장판, 내수합판 및 방음기능층이 적층된이면 홈가공 강화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152087B1 (ko) 복합코어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CA2618703C (en) Wood panel
KR20080080885A (ko) 모양지가 적층된 성형 마그네슘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412825B1 (ko)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패널의 제조방법
EP0462586A2 (en) Woody board
KR20100027614A (ko) 폭 방향 변형에 강한 합판마루
US3715257A (en) Method for producing a flat particle-faced plywood panel
EP3015282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olzwerkstofflaminats
KR101525918B1 (ko) 고밀도압축목재패널의 제조공법
KR102569708B1 (ko)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마루바닥재
KR100638111B1 (ko) 마루판재의 제조 방법
KR20200049441A (ko) 마루용 복합보드
KR102631047B1 (ko) Hpl 성형 다용도 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114603671B (zh) 高稳定性实木复合地板的制备方法
KR20040001390A (ko) 마루용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