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719A - 예초기 핸들링 장치 - Google Patents

예초기 핸들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719A
KR20220028719A KR1020200110104A KR20200110104A KR20220028719A KR 20220028719 A KR20220028719 A KR 20220028719A KR 1020200110104 A KR1020200110104 A KR 1020200110104A KR 20200110104 A KR20200110104 A KR 20200110104A KR 20220028719 A KR20220028719 A KR 20220028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wer
frame
engine
vertical
back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217B1 (ko
Inventor
김재희
Original Assignee
김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희 filed Critical 김재희
Priority to KR1020200110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2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를 메고 보다 쉽게 작업할 수 있는 보조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예초기 핸들링 장치는, 어깨에 메기 위한 멜빵(118)을 구비하고, 예초기의 구동을 위한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배낭형 프레임(100)과; 배낭형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세로고정프레임(130); 세로고정프레임(130)의 상단부의 수평방향의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사용자의 어깨를 넘을 수 있도록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162)를 포함한다. 긔ㄹ고 좌우회전바아(160)가 연결부재(162)의 전방하단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연결줄(170)이 좌우회전바아(160)와 예초기의 바아 형상 예초부와 연결한다. 한 쌍의 상부링크(144) 및 하부링크(142)를 통하여, 상하이동프레임(150)에 설치된 엔진(21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무게 균형을 잡고 있다.

Description

예초기 핸들링 장치{A device for handling a trimmer}
본 발명은 예초기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팔로 들어야 하는 예초기의 전방 부분 무게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예초기의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초기는 농촌 환경하에서 잡초를 비롯한 다양한 대상물을 커팅하여 제거하는 기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초기는 전기 배터리 구동방식과 소형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엔진 구동방식으로 대별될 수 있고, 이 중에서 엔진 구동방식은 토크가 크기 때문에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어서 험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엔진 구동방식에 대한 선행 특허 문헌으로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4-0065387호를 들 수 있고, 도 1은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에서 종래의 기술로 언급하고 있는 예초기를 보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예초기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엔진(11)을 구비하는 본체부(A)와, 엔진(1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면서 절단력을 발생하는 회전날(30)을 구비하는 예초부(B)로 구성된다.
본체부(A)에서 상당한 무게를 가지는 엔진(11) 및 연료탱크(12)는 배낭형프레임(10)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배낭형프레임(10)의 전방에는 멜빵(13)이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멜빵(13)을 이용하여 배낭형 프레임(10)을 어께에 멘 상태에서 엔진(11) 등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체부(A)를 메고, 양손으로는 예초부(B)를 들어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시동스위치(14)가 장작된 부분과 손잡이(21)를 양손으로 들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예초기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에는, 배낭형 프레임(10)을 어께에 멘 상태에서, 양손이 예초부(B)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면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예초부(B) 전체는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예초부(B) 전체를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면서 예초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실질적으로 매우 힘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잡고 들어여 하는 예초부의 하중의 많은 부분을 사용자의 어께에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피로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예초기 핸들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초기 핸들링 장치는, 어깨에 메기 위한 멜빵을 구비하고, 예초기의 구동을 위한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배낭형 프레임과; 배낭형 프레임에 고정되는 세로고정프레임; 그리고 세로고정프레임의 상단부의 수평방향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사용자의 어깨를 넘을 수 있도록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부재의 전방하단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좌우회전바아가 설치되고, 좌우회전바아의 단부에는 예초기의 바아 형상 예초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줄이 설치된다.
그리고 일단부가 세로고정프레임에 각각 핀연결되는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의 타단부에 핀연결되는 상하이동프레임, 하단부가 상부링크의 중간부분에 핀연결되는 연동부재, 그리고 연결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함에 따라서 연동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한 키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엔진은 상하이동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된다.
연동부재와 키이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엔진은 상하이동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범용성 또는 호환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예초기 핸들링 장치에 의하면,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예초기의 예초부 무게를 일부 어깨에서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손 및 팔의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장시간 작업에도 피로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은 선행 특허 문헌의 예초기 구성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핸들링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핸들링 장치의 펼친 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핸들링 장치의 예초부 지지부의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핸들링 장치가 접힌 상태(미사용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도 3은 핸들링 장치가 펼쳐진 상태(사용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예초기 핸들링 장치는, 멜빵(118)을 구비하는 배낭형 프레임(100)을 포함하 있다. 배낭형 프레임(100)은 등판(110)과 짐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멜빵(118)은 당연히 등판(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고, 등판(110) 자체의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등판(110)의 바로 뒤에는 고정세로프레임(130)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세로프레임(130) 뒤에는 상하이동프레임(150)이 설치되는데, 상하이동프레임(150)은 예를 들면 상부링크(144)와 하부링크(142)에 의하여 고정세로프레임(130)과 각각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되어 있다. 상부링크(144)는, 핀(Pa)에 의하여 고정세로프레임(13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핀(Pc)에 의하여 상하이동프레임(15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링크(144) 및 하부링크(142)는 각각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것이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하이동프레임(150)의 하단위치는, 지지부(152)가 짐판(112) 상에 부딪혀서 그 위치가 규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어느 일측의 링크, 예를 들면 하부링크(142)가 고정세로프레임(130)의 측면을 돌출한 스토퍼(142)에 걸려서 그 하부 위치가 규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하이동프레임(150)의 하부위치는 실질적으로 엔진(210)이 가장 낮음과 동시에 배낭형 프레임(100) 쪽으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하부링크(142)는, 핀(Pe)에 의하여 고정세로프레임(1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핀(Pf)에 의하여 상하이동프레임(15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고정세로프레임(130)의 상단부에 성형되는 지지축(132)에는, 회전축(138)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축(132)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어서, 회전축(138)은 수평 상태의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축(138)은 사용자의 어깨를 넘어갈 수 있는 곡선형의 연결부재(162)와 연결된다.
즉, 상방으로 볼록하게 성형되어, 오목한 하부가 어께를 건너 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162)의 후단부는 고정세로프레임(13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62)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62)는 세로고정프레임(130)의 우측 또는 좌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138)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키이(136)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키이(136)는 스프링(S)을 통하여 하부의 연동부재(140)와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례에서, 스프링(S)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진동의 감쇄 및 연결부재(162)의 하방 회전에 의한 신장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상단부가 스프링(S)에 연결된 연동부재(140)의 하단부는 상부링크(144)의 중앙부분과 핀(Pb)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138)의 회전에 의하여 키이(13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프링을 경유하여 연동부재(140)가 상승하게 된다. 연동부재(140)의 하단부가 핀(Pb) 연결되어 있는 상부링크(144)는 핀(P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하이동프레임(150)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고정세로프레임(130)에서 멀어지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하이동프레임(150)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부(152)에 올려져 있는 엔진(210) 및 연료탱크(220)가 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결과가 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실질적으로 상하이동프레임(150)이 더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62)와의 무게 중심의 폭을 더 넓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술한 곡선형의 연결부재(162) 및 그 전방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곡선형의 연결부재(162)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성형되어, 멜빵(118)을 이용하여 배낭형 프레임(100)을 사용자가 어께에 메게 되면, 연결부재(162)는 사용자의 어께를 넘어서 전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즉 연결부재(162)는 사용자의 어께를 감싸면서 앞으로 넘어가고,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하단부(162a)에서 좌우회전바아(160)와 연결되어 있다. 좌우회전바아(160)는 연결부재(162)의 전방 하단부(162a)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부재(162)는 회전축(13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좌우회전바아(160)은 연결부재(162)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형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초기를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 및 좌우 방향의 위치 조절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좌우회전바아(160)에는 연결줄(17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연결줄(170)은 도 1에 도시한 예초기의 예초부(B)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연결줄(170)의 단부에 고리 또는 카라비너 등을 설치하여, 바아 형상의 예초부(B)와 쉽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연결줄(170)의 길이 조절을 위하여, 연결줄(170)의 상단부를 고정블럭(172)의 구멍을 통과시킨 후, 나사(174)를 고정블럭(172)에 결합함으로써 구멍을 관통하고 있는 연결줄(17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고정블럭(172)은 좌우회전바아(16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고, 좌우회전바아(160)의 선단에는 링(176)을 설치하여 연결줄(170)을 관통시키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좌우회전바아(160)의 선단부 연결줄(170)을 직접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줄의 길이 조절을 위한 고정블럭(172)를 좌우 회전바아(160)의 선단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예초기 핸들링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멜빵(118)을 이용하여 배낭형 프레임(100)을 어께에 메는데, 이때 엔진(210) 및 연료탱크(220)는 배낭형 프레임(100)에서 가장 낮고 배낭형 프레임(100)에 가장 가까운 상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엔진(210)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예초부(B)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줄(170)의 하단부 고리(170a)를 예초부(B)의 중간 정도의 부분에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배낭형 프레임(100)을 어깨에 메는 것에 의하여 엔진(210) 등의 하중은 어께를 이용하여 받고, 손으로 예초기의 손잡이를 잡음으로써 실질적으로 손과 팔에는 예초기의 예초부(B)의 하중을 일부를 받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162)를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도 3의 상태가 되는데, 이때 회전축(132)의 키이(136)이 연동부재(140)를 상방으로 당기게 된다. 연동부재(140)의 상방 이동에 의하여 상부링크(144)는 핀(P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링크(142)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되면 상하이동프레임(150)이 도면상 우측 및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하이동프레임(150) 상에 설치된 엔진(210)이 더욱 후방으로 밀리는 결과로 되고, 전방의 예초부와의 밸런스를 최대한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예초부(B) 전체 하중을 받는 것이 아니라, 예초부(B)의 일부 하중을 배낭형 프레임(110)을 통하여 어깨로 받게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과 팔을, 예초부(B)의 하중에 대하여 최대한 가볍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키이(136)과 연동부재(140)를 연결하는 스프링(S)은, 엔진(2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과 연결부재(162)를 하방으로 조작할 때 늘어남으로써 원활한 조작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엔진(210)은 상하이동프레임(150)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부(152)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여기서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엔진(210)은 지지부(152) 상에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할 것으로 생각된다.
100 ..... 배낭형 프레임
130 ..... 고정세로프레임
132 ..... 지지축
138 ..... 회전축
140 ..... 연동부재
142 ..... 하부링크
144 ..... 상부링크
150 ..... 상하이동프레임
152 ..... 지지부
162 ..... 연결부재
210 ..... 엔진
220 ..... 연료탱크

Claims (4)

  1. 어깨에 메기 위한 멜빵(118)을 구비하고, 예초기의 구동을 위한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배낭형 프레임(100)과;
    배낭형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세로고정프레임(130);
    세로고정프레임(130)의 상단부의 수평방향의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사용자의 어깨를 넘을 수 있도록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162);
    연결부재(162)의 전방하단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좌우회전바아(160); 그리고
    좌우회전바아(160)에 설치되고, 예초기의 바아 형상 예초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줄(170)로 구성되는 예초기 핸들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세로고정프레임(130)에 각각 핀연결되는 상부링크(144) 및 하부링크(142), 상부링크(144) 및 하부링크(142)의 타단부에 핀연결되는 상하이동프레임(150), 하단부가 상부링크(144)의 중간부분에 핀연결되는 연동부재(140), 그리고 연결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함에 따라서 연동부재(140)를 상승시키기 위한 키이(1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엔진은 상하이동프레임(150)에 의하여 지지되는 예초기 핸들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연동부재(140)와 키이(136)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예초기 핸들링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엔진(210)은 상하이동프레임(15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예초기 핸들링 장치.
KR1020200110104A 2020-08-31 2020-08-31 예초기 핸들링 장치 KR10250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04A KR102502217B1 (ko) 2020-08-31 2020-08-31 예초기 핸들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04A KR102502217B1 (ko) 2020-08-31 2020-08-31 예초기 핸들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19A true KR20220028719A (ko) 2022-03-08
KR102502217B1 KR102502217B1 (ko) 2023-02-20

Family

ID=8081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104A KR102502217B1 (ko) 2020-08-31 2020-08-31 예초기 핸들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6704A (zh) * 2023-09-08 2023-12-01 武义豪远五金制品有限公司 背负式割草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301A (ko) * 2006-07-12 2008-01-16 박해룡 예취기용 보조 장치
KR20150126511A (ko) * 2014-05-02 2015-11-12 소종수 예초기용 지지장치
KR20160030791A (ko) * 2014-09-11 2016-03-2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예초기의 작업봉 걸이장치
JP2019122354A (ja) * 2018-01-11 2019-07-25 義治 井坂 刈払機のハンドル防振装置
KR20200054509A (ko) * 2018-11-12 2020-05-20 이영삼 예초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301A (ko) * 2006-07-12 2008-01-16 박해룡 예취기용 보조 장치
KR20150126511A (ko) * 2014-05-02 2015-11-12 소종수 예초기용 지지장치
KR20160030791A (ko) * 2014-09-11 2016-03-2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예초기의 작업봉 걸이장치
JP2019122354A (ja) * 2018-01-11 2019-07-25 義治 井坂 刈払機のハンドル防振装置
KR20200054509A (ko) * 2018-11-12 2020-05-20 이영삼 예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6704A (zh) * 2023-09-08 2023-12-01 武义豪远五金制品有限公司 背负式割草机
CN117136704B (zh) * 2023-09-08 2024-04-23 武义豪远五金制品有限公司 背负式割草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217B1 (ko)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715B1 (ko) 예취기
EP2380427B1 (fr) Harnais pour le portage d'appareils de coupe portatifs, et appareils de coupe équipés d'un tel harnais
KR20220028719A (ko) 예초기 핸들링 장치
JP2012055195A (ja) 携帯式作業機
KR20200054509A (ko) 예초기
KR101939980B1 (ko) 굴삭기용 예초기
JP2012191864A (ja) 草刈作業機
GB1501689A (en) Mowing machines
KR200460767Y1 (ko) 주행가능한 농작물 예초기
JP2020536558A (ja) 電動式草木カッター
CN212728065U (zh) 一种便携式割灌割草机
KR20050028231A (ko)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
KR20080006301A (ko) 예취기용 보조 장치
JPH119051A (ja) 背負い式刈払機
KR102491754B1 (ko) 예초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CN113939184B (zh) 往复移动割刀式手持作业机
JP2802321B2 (ja) 肩掛式草刈機
JP4082538B2 (ja) バリカン式草刈機
KR101427326B1 (ko) 예취날의 좌우기울기 조절가능한 가변형 농산물 수확기
KR20190101083A (ko) 회전식 예초기
CN218604017U (zh) 一种打草机
KR200336992Y1 (ko)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
JP2008142072A (ja) 傾斜地用肩掛式刈払機
KR200411457Y1 (ko) 예초기용 칼날회전체 받침구
KR200461182Y1 (ko) 예초기용 농작물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