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691A - 차량용 밸브 - Google Patents

차량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691A
KR20220028691A KR1020200110019A KR20200110019A KR20220028691A KR 20220028691 A KR20220028691 A KR 20220028691A KR 1020200110019 A KR1020200110019 A KR 1020200110019A KR 20200110019 A KR20200110019 A KR 20200110019A KR 20220028691 A KR20220028691 A KR 20220028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ousing
valve
shaft
reduc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691A/ko
Publication of KR2022002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0Flap valves; Rotary valves; Sliding valves; Resilien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52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 F02M26/53Systems for actuating EGR valves using electric actuators, e.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2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에 구동 모터가 장착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상기 모터축에 결합된 피니언과 연동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되 서로 다른 감속비를 가진 제2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감속기어; 및 상기 제2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타 측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밸브{A valv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차량용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연동 복수의 기어 구조를 통하여 밸브를 개폐할 수 있는 차량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배기가스 재순환(Exhaust Gas Recirculation: EGR)장치는 디젤 엔진에서 연소되어 배출된 배기 가스의 일부가 엔진의 흡기 측을 경유하여 연소실로 다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산소 농도를 감소시켜 최고 연소온도 저하 및 질소산화물(NOx)의 발생을 억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는 디젤 입자상 물질 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 DPF)와 같은 촉매장치를 거친 배기 가스를 공기(신기/흡기)와 함께 디젤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로 재순환시킬 수 있는 저압 배기 가스 순환(Low Pressure Exhaust Gas Recirculation: LP-EGR) 시스템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적용된 밸브의 구조를 살펴보면, 공기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를 이용한 이지알 밸브는 모터의 회전력을 밸브로 전달하는 감속밸브가 큰 힘을 전달하기 때문에 감속밸브와 감속밸브의 회전축 사이에서 마모가 발생함에 따른 밸브 가용 수명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57636호(2006.05.01 등록)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속기어의 회전축을 개선함으로써 감속기어와 회전축 사이에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속기어와 회전축 사이의 간격, 또는 회전축과 회전축이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홈 사이의 간격을 없앨 수 있어, 감속기어가 회전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밸브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측에 구동 모터가 장착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상기 모터축에 결합된 피니언과 연동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되 서로 다른 감속비를 가진 제2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감속기어; 및 상기 제2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타 측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커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다른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감속기어의 중심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감속기어는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심축홀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홀에 상기 중심축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는 상기 중심축홀의 양 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는 상기 제1기어 상부에 상기 제1기어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어 하부에 상기 제2기어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는 상기 제1기어에 비하여 상기 제2기어의 잇수가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밸브에 의하면,
첫째, 커버 내부로부터 연장된 중심축에 감속기어가 결합됨으로써 적어도 중심축이 커버나 하우징에 결합되는 위치에서 발생되는 마찰이나 마모를 줄일 수 있고,
둘째,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 감속기어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중심축을 별도 조립하는 공정에 비해 조립공정이 단순해지며,
셋째, 감속기어의 마찰이나 마모를 줄일 수 있어 가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고,
넷째, 구동 모터를 고정판에 의해 고정함으로 인해 구동 모터의 진동이나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다섯째, 샤프트 단부에 자성체를 구비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밸브부의 회전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여섯째, 샤프트와 자성체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되어 성형 및 조립과정이 단일화됨과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며,
일곱째, 샤프트와 자성체 사이에 걸립턱을 마련하여 이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밸브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밸브의 구동 모터 및 고정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밸브의 감속기어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밸브의 I-I'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밸브의 밸브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밸브부의 샤프트 상측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밸브(이하, '액츄에이터'라고 한다)(1)는 차량 변속기의 측면에 장착되고, 전자식 버튼식으로 마련되는 변속기 조작 장치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버튼 동작에 의하여 변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밸브(1)는 하우징(110)과, 커버(120)와, 감속기어(130) 및 밸브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밸브(1)는 배기가스 순환 시스템(미도시)의 저압측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밸브(1)는 구동 모터(111)의 회전력을 통해 밸브부(140)가 유로를 개폐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10)은 차량용 밸브(1)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구동 모터(111)가 장착되는 설치홈(112)이 형성되어, 구동 모터(111)를 수납할 수 있다. 이때, 배기가스 순환 시스템의 유로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유로(113)와 중첩되며, 이하에서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유로(113)를 지칭한다. 유로(113)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1유로(미도시)와 제2유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로와 제2유로 사이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연결하도록 테이퍼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 모터(111)의 모터축(111a)에는 피니언(111b)이 결합된다. 구동 모터(111)는 설치홈(112)에 수납되면서 모터축(111a) 또는 피니언(111b)만이 하우징(110) 상에서 노출될 수 있다.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일 측에 결합되면서 피니언(111b), 감속기어(130), 밸브부(140) 일부를 커버하게 된다.
여기서, 도 4를 살펴보면, 구동 모터(111)는 모터축(111a) 또는 모터축(111a)에 결합된 피니언(111b)을 회전시키는데, 이때 구동 모터(111)의 상부에는 구동 모터(111)를 하우징(110)의 설치홈(112)에 고정시키는 고정판(114)을 구비한다.
고정판(114)은 구동 모터(111)의 상단면을 지지하여 하우징(110)으로부터 구동 모터(11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 모터(111)의 회전운동에 따른 소음이나 진동을 적어도 일부 흡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고정판(114)은 전체적으로 얇은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부(114a)를 포함하고,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절단 및 절곡되면서 성형된다. 플레이트부(114a)의 양 단부에는 고정판(114)을 하우징(110) 상에 고정시키는 패스너(114b)가 각각 결합되도록 결합홀(114c)이 형성된다.
플레이트부(114a)의 중심에는 구동 모터(111)의 모터축(111a)이 관통하도록 관통공(114d)이 형성되고, 관통공(114d) 주변에는 구동 모터(111)의 플렌지 영역(111c)을 가압 접촉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114e)가 돌출된다. 지지부재(114e)는 플레이트부(114a)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고, 플렌지 영역(111c)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114a) 또는 지지부재(114e)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이나 형상으로 일체 또는 별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공(114d) 주변에서 각 지지부재들(114e) 사이에는 보조 지지부(114f)가 구비된다. 보조 지지부(114f)는 지지부재(114e)와 함께 구동 모터(111)의 플렌지 영역(111c)을 지지하되, 지지부재(114e)가 플렌지 영역(111c)에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것과 달리, 적어도 일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지지부재(114e)와 보조 지지부(114f)는 플렌지 영역(111c)에 항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부(114a)의 외곽 일 측에는 절곡부(114g)가 구비된다. 절곡부(114g)는 플레이트부(114a)의 일부 영역을 절개하고 절곡하여 형성되며, 구동 모터(111)의 일 측 모서리 부분을 고정한다. 이에 덧붙여, 절곡부(114g)는 구동 모터(111)의 정확한 조립 위치를 결정(또는 정렬)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114a) 상에는 구동 모터(111)에 구비된 단자부(111d)가 관통하도록 단자부 관통홀(114h)이 마련된다. 단자부 관통홀(114h)은 구동 모터(111)의 구조 상 단자부(111d)에 전원 라인(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고정판(114)의 살빼기 구조(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일부 공간을 형성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속기어(130)는 하우징(110)과 커버(12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개재된다.
감속기어(130)는 피니언(111b)과 치합하는 제1기어(131)와, 제1기어(131) 하부에 마련되어 밸브부(140)와 치합하는 제2기어(132)를 포함한다. 제1기어(131)와 제2기어(132)는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감속비를 가진다. 예컨대, 제1기어(131)가 제2기어(132) 보다 지름이 크고, 피니언(111b)에 대해서 제1기어(131)의 기어비가 크고, 제2기어(132)의 기어비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즉, 제1기어(131)의 잇수가 제2기어(132)의 잇수에 비해 많다.
감속기어(130)는 제1기어(131)와 제2기어(132)를 일체로 관통하는 중심축홀(133)을 포함한다. 또한 감속기어(130)는 제1기어(131)와 제2기어(132)가 일체로 형성된다.
감속기어(130)는 별도의 회전축을 구비하지 않고, 커버의 내측에서 연장되는 중심축(121)이 중심축홀(133)에 삽입되면서 회전축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예컨대, 회전축과 기어가 별도로 이루어진 구조에서 기어와 회전축 사이 또는 회전축과 회전축이 결합되는 홈 사이에서 각각 마찰이나 마모가 발생하기 때문에 큰 힘을 전달하는 감속기어의 구조에서 상대적으로 가용 수명이 감소할 수 있는데, 중심축(121)이 커버의 내부로부터 연장됨으로써 기존에 회전축이 커버나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조에서 발생하는 마찰이나 마모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물론, 이에 따른 가용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는 효과도 수반한다.
커버(120) 내부로부터 돌출된 중심축(121)은 하우징(110) 내부에 형성된 제1홈(115)에 삽입되면서 감속기어(130)의 회전 중심이 된다. 따라서 별도의 구성으로 회전축을 결합하는 공정이 없기 때문에 커버(120)와 하우징(110) 사이에서 감속기어(130)의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감속기어(130)의 중심축홀(133)의 적어도 일 단부는 테이퍼면(135)을 포함하여 중심축의 결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감속기어(130)의 중심축홀(133)에 중심축(121)의 삽입이 시작되는 일 단부에 테이퍼면(135)이 형성된다.
그리고, 감속기어(130)는 제1기어(131) 상부에 제1기어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보강부(136)를 포함하고, 제2기어(132) 하부에 제1기어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보강부(137)를 포함한다.
제1보강부(136)와 제2보강부(137)는 제1기어(131) 또는 제2기어(132)가 각각 커버(120)나 하우징(110)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각의 기어(131, 132)와 중심축(121) 사이 부분에 힘의 전달 과정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밸브(1)는 구동 모터(111)의 회전력을 통해서 피니언(111b)과 감속기어(13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감속기어(130)는 밸브부(140)를 연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밸브부(140)가 유로(10)를 개폐하게 된다.
밸브부(140)의 상세 구조를 살펴보면, 밸브부(140)는 종동기어(141)와, 샤프트(142)와, 밸브 플레이트(143)를 포함한다.
먼저, 종동기어(141)는 감속기어(130)의 제2기어(132)와 치합하여 연동 회전한다. 종동기어(141)는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3기어(141a)와, 내부에 샤프트(142)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샤프트홀(141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기어(141a)는 밸브 플레이트(143)가 완전 폐쇄된 상태에서 완전 개방된 상태의 각도 범위에 대응하여 일부 영역에만 제3기어(141a)의 치형이 형성된다. 즉, 제3기어(141a)는 360° 회전하는 구조가 아니라, 최대 100°를 넘지 않는 범위로 형성되어 종동기어(141)가 0~100°범위에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밸브 플레이트(143)는 0°에서 완전 폐쇄되고, 90°에서 완전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142)는 샤프트홀(141b)에 삽입되어 종동기어(141)와 일체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샤프트(142)와 샤프트홀(141b) 사이에는 이들의 회전에 대한 마찰을 증대시켜주는 간섭부재(142a)가 구비된다. 간섭부재(142a)는 샤프트(142)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샤프트홀(141b) 내주면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샤프트홀(141b) 내주면에 간섭부재(142a)가 구비되고, 샤프트(142)의 외주면과 간섭이 발생하는 구조로 적용할 수도 있다.
샤프트(142)의 상측 단부에는 자성체(144)가 구비된다. 자성체(144)는 샤프트(142)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되며, 자속 또는 자력을 측정하는 센서부(도 2 또는 도 6 참조, 150)와 비접촉 상태, 즉 이격되게 배치된다.
샤프트(142)가 회전하면 자성체(144)의 자속 또는 자력이 변화하고, 센서부(15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측정된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는 자속 또는 자력의 변화에 따라서 샤프트(142)의 회전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샤프트(142)의 일 단부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홈부(142b)와 볼록하게 튀어나온 돌출부(142c)를 포함한다.
자성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부(144a)와, 몸체부의 상면 또는 일 면에 형성되는 리세스부(144e)를 포함한다.
자성체(144)의 몸체부(144a) 하부에는 샤프트의 홈(142b)에 끼워지는 형태의 삽입부(144b)가 마련되고, 삽입부(144b)의 외측에는 샤프트(142)의 돌출부(142c)에 걸리는 형태의 걸림턱(144c)이 형성된다.
걸림턱(144c) 내부에는 돌출부(142c)가 위치할 수 있는 걸림 공간(144d)이 형성된다.
걸림턱(144c)은 자성체(144)의 몸체부(144a)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부(142c)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샤프트(142)와 자성체(144)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리세스부(144e)는 다시 제1리세스부(144e1)와, 제2리세스부(144e2)를 포함하는데, 제1리세스부(144e1)는 제2리세스부(144e2) 보다 깊게 형성되고, 제1, 2리세스부(144e1, 144e2)는 상호 단차가 형성된다.
제1리세스부(144e1)는 제2리세스부(144e2)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그 내경은 제2리세스부(144e2) 보다 좁게 형성된다.
제1리세스부(144e1)는 후술할 버(burr)가 형성되는 지역이며, 사출 금형의 게이트를 마주보는 지역이다.
제2리세스부(144e2)는 후술할 검사 프로브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샤프트(142)의 외주면에는 토션 스프링(145)이 마련된다. 또한, 샤프트(142)의 외주면에는 토션 스프링(145)과, 부싱(146) 및 니들 베어링이 구비되어 샤프트(142)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142)의 단부에는 지지공에 삽입되어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 부시(148)와, 유로(10) 상에서 유동하는 가스나 공기가 샤프트(142)를 따라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149)가 마련된다.
니들 베어링은 샤프트(14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니들 베어링의 외측에 부싱(147)이 마련된다.
토션 스프링(145)에는 두 개의 레그가 마련되며, 하나의 레그(145a)는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레그(145b)는 샤프트(120)가 끼워지는 종동기어(141)와 연결된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145)은 종동기어(141)를 통해서 샤프트(142)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복원력은 밸브 플레이트(143)가 완전 폐쇄되는 방향으로의 전달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143)는 샤프트(142)의 회전에 따라서 유로(10)를 개폐하거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밸브 플레이트(143)는 샤프트(142)의 중심 영역에 절개된 부분에 삽입되어 샤프트(142)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밸브에 의하면, 감속기어와 이의 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기어와 회전축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이나 마모를 줄일 수 있고,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 감속기어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회전축과 별도 조립하는 공정에 비해 조립공정이 단순해지며, 감속기어의 마찰이나 마모를 줄일 수 있어 가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고, 구동 모터를 고정판에 의해 고정함으로 인해 구동 모터의 진동이나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샤프트 단부에 자성체를 구비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밸브부의 회전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샤프트와 자성체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되어 성형 및 조립과정이 단일화됨과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며, 샤프트와 자성체 사이에 걸립턱을 마련하여 이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차량용 밸브
110 : 하우징
120 : 커버
130 : 감속기어
140: 밸브부
150 : 센서부

Claims (5)

  1. 일 측에 구동 모터가 장착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상기 모터축에 결합된 피니언과 연동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되 서로 다른 감속비를 가진 제2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감속기어;
    상기 제2기어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타 측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커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다른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감속기어의 중심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는,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심축홀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홀에 상기 중심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는,
    상기 중심축홀의 양 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는,
    상기 제1기어 상부에 상기 제1기어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어 하부에 상기 제2기어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는,
    상기 제1기어에 비하여 상기 제2기어의 잇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밸브.
KR1020200110019A 2020-08-31 2020-08-31 차량용 밸브 KR20220028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19A KR20220028691A (ko) 2020-08-31 2020-08-31 차량용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19A KR20220028691A (ko) 2020-08-31 2020-08-31 차량용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691A true KR20220028691A (ko) 2022-03-08

Family

ID=8081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019A KR20220028691A (ko) 2020-08-31 2020-08-31 차량용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86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873B1 (ko) * 2024-02-08 2024-04-12 주식회사 지에스엠케이 Egr 밸브하우징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57636호(2006.05.01 등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873B1 (ko) * 2024-02-08 2024-04-12 주식회사 지에스엠케이 Egr 밸브하우징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1668B2 (ja) バルブ開閉制御装置
US7971578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for vehicle
JP4924741B2 (ja) バルブ駆動装置
US20120145134A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US20120056118A1 (en) Valv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2011043218A (ja) 流体制御弁
JP5652505B2 (ja) バルブ駆動装置
JP5673602B2 (ja) バルブ装置
JP2013044309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1058536A (ja) 流体制御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80238409A1 (en) Torsion spring
CN109072826B (zh) 排气回流阀
KR20220028691A (ko) 차량용 밸브
JP5299390B2 (ja) ターボチャージャ
JP2014224497A (ja) 可変ノズルターボチャージャ
CN111051749B (zh) 双偏心阀
KR20220028688A (ko) 차량용 밸브
JP5131317B2 (ja) バルブ開閉制御装置
JP2012122425A (ja) 排気ガス循環装置
KR101604413B1 (ko) Egr 밸브
JP5454358B2 (ja) バルブ駆動装置
JP5734166B2 (ja) スロットル装置
JP2012177314A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JP4793290B2 (ja) 流体制御弁
JP2002317658A (ja) 内燃機関用スロット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