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533A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8533A KR20220028533A KR1020200109648A KR20200109648A KR20220028533A KR 20220028533 A KR20220028533 A KR 20220028533A KR 1020200109648 A KR1020200109648 A KR 1020200109648A KR 20200109648 A KR20200109648 A KR 20200109648A KR 20220028533 A KR20220028533 A KR 202200285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diffusion
- light
- knob
- unit
- thickn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05G1/105—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illumin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25—Light-emitting indic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01H2219/0622—Light conductor only an illuminated ring around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는 노브와 광원부 사이에 광 확산부를 포함하며, 광 확산부의 중심과 광 확산부 중 광원이 배치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서의 광 확산부의 두께는, 광원이 배치되지 않은 지점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서의 광 확산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이 광 확산부의 외곽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knob assembly)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 동작에 대한 사용자 인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브 주위로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스나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기기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량을 조절하거나, 조리 모드를 설정하는 등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행특허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79067호) 및 선행특허 2(미국 등록특허 제10345514호) 등에는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브(또는 스위치) 주위로 빛이 발광되는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선행특허 1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선행특허 1의 스위치 어셈블리는 스위치(1), 도광체(2), 스위치 홀더(3), 컨트롤 패널(4), 지지브라켓(5), 및 레귤레이터(6)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체(2)는 도광로(2-1) 및 LED 모듈(2-22)을 포함한다. LED 모듈(2--2)은 도광로(2-1)의 일단에 배치된다. 광원으로서의 LED 모듈(2-2)이 도광로(2-1)의 일단에 배치됨으로 인해, 선행특허 1의 경우 광의 밝기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즉, 도광로(2-1) 중 LED 모듈(2-2)이 배치된 일단은 상대적으로 밝고, 상기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은 상대적으로 어둡게 된다.
도 3은 선행특허 2의 노브 어셈블리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선행특허 2의 노브 어셈블리는 제1 광가이드(7), 제2 광가이드(8), 및 베젤 본체(9)를 포함한다. 제2 광가이드(8)는 광원을 향해 연장되는 레그(8-1)와 확산광을 형성하는 가이드 링(8-2)을 포함한다. 선행특허 2의 경우, 광원은 레그(8-1)의 끝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가이드 링(8-2) 중 레그(8-1)와 닿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밝게 되고, 레그(8-1)와 닿은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어둡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품 동작에 대한 사용자 인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 및 노브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브 주변으로 보다 균일한 광이 발산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노브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심미성이 향상된 조리기기 및 노브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는 노브와 광원부 사이에 광을 확산할 수 있는 광 확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확산부광 확산부는 광원이 위치한 영역은 광원이 위치하지 않은 영역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이 원하는 방향으로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는, 노브와 광원부 사이에 광 확산부를 포함하며, 광 확산부의 중심과 광 확산부 중 광원이 배치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서의 광 확산부의 두께는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이 광 확산부의 외곽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원부가 노브 링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광원부는 노브 링에 끼움 결합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부, 및 컨트롤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어셈블리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 몸체부,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서 광이 확산되는 광 확산부, 및 상기 광 확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광원의 위치에서 전방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광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 확산부 중 상기 광원이 위치하는 부분을 통과하는 제1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광원 대응부를 통과하지 않는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보다 두껍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제1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 확산부의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임의의 반경을 가지는 제1 원의 원주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원과 상기 제1 직선의 교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얇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광 확산부는 평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직선 상에서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을 둘러싸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노브 몸체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링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기 광 확산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고정되며, 상기 노브 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광 확산부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 후크들이 끼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노브 링은 평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을 둘러싸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광 확산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링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노브 링은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광원부가 끼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연결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제1 직선 상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광 확산부 중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의 1.5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광원부는 복수개의 광원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 확산부 중 인접한 두 광원들의 중간점을 통과하는 제2 직선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중간점을 통과하지 않는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제2 직선상에서의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 확산부의 외곽까지 일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제1 직선 상에서 최외곽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제2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의 1.5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복수개의 광원들은 등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 몸체부,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서 광이 확산되는 광 확산부, 및 상기 광 확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광원의 위치에서 전방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광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 대응부를 통과하는 제1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광원 대응부를 통과하지 않는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보다 두껍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상기 제1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 확산부의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임의의 반경을 가지는 제1 원의 원주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원과 상기 제1 직선의 교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얇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상기 광 확산부는 평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직선 상에서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을 둘러싸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링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 몸체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링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상기 노브 어셈블리는 상기 광 확산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와 상기 노브 링은 끼움 결합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는,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을 노브의 둘레 부분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광 확산부를 포함함으로써, 제품 동작에 대한 사용자 인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도 개선될 수 있다.
광 확산부로 조사된 광은 두께가 보다 두꺼운 부분으로 보다 더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광 확산부의 두께가 광 확산부의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짐으로써, 광 확산부에 조사된 광이 광 확산부의 외곽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광 확산부의 외곽 영역에서 보다 밝은 광이 발산될 수 있으며, 광 확산부의 외곽 영역 전체에서 밝기가 보다 균일해질 수 있다. 따라서,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품 동작을 보다 편안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원부의 비틀림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광원부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는,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을 노브의 둘레 부분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광 확산부를 포함함으로써, 제품 동작에 대한 사용자 인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도 개선될 수 있다.
광 확산부로 조사된 광은 두께가 보다 두꺼운 부분으로 보다 더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광 확산부의 두께가 광 확산부의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짐으로써, 광 확산부에 조사된 광이 광 확산부의 외곽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광 확산부의 외곽 영역에서 보다 밝은 광이 발산될 수 있으며, 광 확산부의 외곽 영역 전체에서 밝기가 보다 균일해질 수 있다. 따라서,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품 동작을 보다 편안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원부의 비틀림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광원부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광 확산부로 조사된 광은 두께가 보다 두꺼운 부분으로 보다 더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광 확산부의 두께가 광 확산부의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짐으로써, 광 확산부에 조사된 광이 광 확산부의 외곽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광 확산부의 외곽 영역에서 보다 밝은 광이 발산될 수 있으며, 광 확산부의 외곽 영역 전체에서 밝기가 보다 균일해질 수 있다. 따라서,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품 동작을 보다 편안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원부의 비틀림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광원부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조리기기는 조작부(10), 및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부는 쿡탑부(20), 오븐부(30), 및 드로워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0)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10)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리기기의 각 부분(즉, 쿡탑부(20), 오븐부(30), 및 드로워부(40))에서 발생되는 화력을 조절하거나, 조리기기의 상기 각 부분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노브 어셈블리(100)가 배치될 수 있다. 노브 어셈블리(100)는 조작부(10)의 컨트롤 패널(11)에 고정될 수 있다.
쿡탑부(20)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쿡탑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 버너(21)를 포함할 수 있다. 쿡탑 버너(21)는 가스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화염으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 또는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오븐부(30)는 조리기기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오븐부(20)는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조리실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븐부(20)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부(40)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조리기기로 인입되거나, 조리기기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 등을 소정의 온도로 보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조리기기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가열부로서 오븐부, 쿡탑부, 및 드로워부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이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조리기기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가열부로서 오븐부, 쿡탑부, 및 드로워부를 포함하는 가스오븐을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개념은 가스가 아니라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쿡탑 또는 오븐 등 다양한 조리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리기기의 쿡탑부는 유도가열방식으로 용기를 가열하는 인덕션 및/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하는 전기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전방은 조리기기의 전면쪽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조리기기의 후면쪽 방향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는 노브 몸체부(110), 광 확산부(120), 노브 링(130), 광원부(140), 및 조절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절부(150)는 점화 스위치(151) 및 밸브(152)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 몸체부(110)는 노브 어셈블리(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노브 몸체부(110)는 단일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부품들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노브 몸체부(110)는 전후 방향으로연장된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노브 몸체부(110)는 광 확산부(120), 노브 링(130), 광원부(140), 및 조절부(150)들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광 확산부(120)는 노브 몸체부(110)와 광원부(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확산부(120)는 전체적으로 높이가 낮고 전면이 완전히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 확산부(120)는 노브 몸체부(110) 주위에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광 확산부(120)는 노브 링(130) 내측에 고정되며, 광원부(14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광 확산부(120)는 광원부(140)로부터 조사된 광을 내부에서 확산시킬 수 있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확산부(120)는 불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노브 몸체부(110) 주위에서 발산되는 광의 밝기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 확산부(120)는 광원부(140)의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두께가 다른 위치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로 인해, 노브 몸체부(110) 주위에서 발산되는 광의 밝기 균일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보다 밝아질 수 있다.
노브 링(130)는 광 확산부(1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노브 링(130)는 광 확산부(120)와 광원부(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노브 링(130)는 전체적으로 높이가 낮고 전면이 완전히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노브 링(130)는 광원부(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노브 링(130)는 컨트롤 패널(11)의 전면에 배치되어 노브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노브 링(130)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노브 링(130)는 표면이 도금 및/또는 코팅 처리될 수 있으며, 광원부(140)를 고정할 수 있다.
광 확산부(120)와 노브 링(13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컨트롤 패널(11)에 고정될 수 있다.
광원부(140)는 광 확산부(120)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140)는 광 확산부(120)의 후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141)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41)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원(141)이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광원들(141)은 서로 등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
광원부(140)는 광 확산부(120)의 후방에 배치된 노브 링(13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광 확산부(120)는 노브 링(130)의 전면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고, 광원부(140)는 노브 링(13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부(150)는 노브 몸체부(110)의 회전에 따라 조리기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력을 조절하거나, 조리기기의 모드를 조정하는 등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조리기기가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조절부(150)는 점화 스위치(151) 및 밸브(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점화 스위치(151)는 노브 몸체부(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점화 스위치(151)는 노브 몸체부(110)의 회전각도에 의하여 온/오프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점화 스위치(151)는 노브 몸체부(110)가 일정각도 회전하면 온 상태가 되어 버너(도 4의 21)의 화구에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밸브(152)는 노브 몸체부(1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밸브(152)는 노브 몸체부(110)의 회전 정도에 따라 개방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밸브(152)는 노브 몸체부(110)를 누른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에만 노브 몸체부(1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점화 스위치(151) 및 밸브(152)는 밸브축을 통해 노브 몸체부(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은 노브 링(1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 확산부(120)와 노브 링(13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컨트롤 패널(11)에 고정될 수 있다. 패널(11)은 조리기기의 일부분(예를 들면, 조리기기의 쿡탑부(도 4의 10)의 전면)일 수도 있고, 노브 어셈블리(100)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컨트롤 패널(11)에는 광원부(140)가 위치할 수 있는 개구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1)에는 노브 링(130)가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 홀(11-1, 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의 노브 몸체부(110)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노브 몸체부(110)는 노브(111), 인서트(112), 스크류 볼트(113-1, 113-2), 및 스프링(114)을 포함할 수 있다.
노브(111)는 노브 어셈블리(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노브(111)는 원통형의 몸통과, 몸통에서 전면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112)는 노브(111)의 후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인서트(112)는 노브(111)의 강성을 보완하여 노브(1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인서트(112)는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크류 볼드(113-1, 113-2)는 인서트(112)와 노브(111)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프링(114)은 노브 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노브(111)와 밸브축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의 광 확산부(120)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의 광 확산부(120)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의 B-B'을 따라 절단한 경우의 광 확산부(120)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C-C'을 따라 절단한 경우의 광 확산부(120)의 단면도이다.
광 확산부(120)는 평판 형태의 제1 플레이트(121)와, 제1 플레이트(121)의 외곽을 둘러싸고, 제1 플레이트(12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1 링(1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광 확산부(120)는 제1 플레이트(121)와 제1 링(122)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링(122)의 지름은 노브 몸체부(도 7의 110)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노브 몸체부(도 7 및 도 8의 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플레이트(121)와 제1 링(122)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링(122)은 노브 어셈블리(100)를 전면에서 봤을 때, 제1 링(122)의 전면 테두리가 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 확산부(120)를 통해 확산된 광을 직접적으로 볼 수 있고, 이로 인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에서, 식별번호 123-1, 123-2, 및 123-3은 광원부(도 6 및 도 7의 140)가 노브 링(도 6 및 도 7의 130)에 고정되었을 때, 광 확산부(120)에서 광원들(141)의 위치에 대응하는 광원 대응부를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광원 대응부들(123-1, 123-2, 123-3)은 광 확산부(120)에서 광원들(141)의 전방 방향에 대응하는 지점들이다.
제1 플레이트(121) 중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O)으로부터 광원 대응부들(123-1, 123-2, 및 123-3)을 지나는 직선들(도 9의 L1, L2, L3) 상에서의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의 평균값은 다른 부분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들(도 8의 L1, L2, L3) 상에서,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는 중심(O)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O)은 회전축(도 7의 ax)과 일치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가 광이 확산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1 플레이트(121)의 어느 한 지점에 광이 조사되면, 광은 두께가 얇아지는 방향보다 두께가 두꺼워지는 방향으로 확산하는 성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121)는 중심(O)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선들(L1, L2, L3) 상에서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는 중심(O)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으며, 직선들(L1, L2, L3) 상의 일 지점에 광이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121)에 조사된 광은 제1 플레이트(121)의 외곽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확산되므로, 제1 플레이트(121)에 조사된 광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1 플레이트(121)의 외곽 영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의 외곽 영역으로 확산된 광은 제1 링(122)의 전면 모서리까지 확산되며, 결과적으로 제1 링(122)의 전면에서 보다 밝아질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121)와 제1 링(122)을 통해 확산된 광이 노브 어셈블리(100)의 전면에서 보여지게 되므로, 제1 링(122)의 전면에서 보다 균일한 밝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O)으로부터 광원들(141) 사이의 중간점들을 지나는 직선들(도 9의 L4, L5, L6) 상에서,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는 균일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에는 제1 플레이트 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플레이트 홀(125)을 통해 밸브축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축을 통하여 노브 몸체(도 7의 110)의 회전력이 조절부(도 7의 15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1 플레이트(121)의 후면에는 제1 플레이트(12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 결합 후크들(124-1, 124-2, 124-3, 124-4)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결합 후크들(124-1, 124-2, 124-3, 124-4)은 노브 링(도 7의 130)에 형성된 제1 결합 홀들(도 13의 134-1, 134-2, 134-3, 134-4)에 끼움결합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광 확산부(120)와 노브 링(130)는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 보다 용이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 LP은 광원(141)이 배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9의 광원 대응부(123-1)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고하면, 광 확산부(120)의 중심(O)(보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으로부터 광원 대응부(123-1, 123-2, 123-3)를 통과하는 직선(즉, 도 9의 L1, L2, L3)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120)의 두께는, 상기 광원 대응부(123-1, 123-2, 123-3)를 통과하지 않는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12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광원 확산부(120) 중 광원 대응부(123-1, 123-2, 123-3)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광이 보다 많이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원(141)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보다 정확히는, 광원이 복수개인 경우에 인접한 광원들 사이의 중간점)와 광 확산부(120)의 중심(O)(보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을 잇는 직선(즉, 도 9의 L4, L5, L6) 상에서의 광 확산부(120)의 두께는 상기 중간점을 통과하지 않는 직선 상에서의 광 확산부(120)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을 원하는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원 대응부(LP에 대응하는 광 확산부(120)의 지점, 도 9의 123-1)와 광 확산부(120)의 중심(O)(보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을 잇는 직선(즉, 도 9의 L1, L2, L3) 상에서, 광 확산부(1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는 중심(O)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광원(141)에서 조사된 광은 광 확산부(1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플레이트(121))의 외곽으로 확산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광 확산부(1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링(122))의 끝단을 통해 광이 보다 균일하게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 확산부(120)의 중심으로부터 광 확산부(120)의 외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들 중, 광 확산부(120)의 중심(O)과 인접한 광원들 사이의 중간점을 잇는 직선들(도 9의 L4, L5, L6)을 제외한 직선들 상에서, 광 확산부의 두께는 중심(O)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이때, 광 확산부(120)의 중심(O)으로부터 광원 대응부(123-1, 123-2, 123-3)를 통과하는 직선(즉, 도 9의 L1, L2, L3)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120)의 평균 두께는, 상기 광원 대응부(123-1, 123-2, 123-3)를 통과하지 않는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120)의 평균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 확산부(120)의 중심(O)과 광원들 사이의 중간점을 잇는 직선들(도 9의 L4, L5, L6) 상에서, 광 확산부(1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는 일정할 수 있다. 이때, 광 확산부(120)의 직선(도 9의 L4, L5, L6) 상에서의 광 확산부(120)의 두께는 광 확산부(120)의 두께 중 가장 얇을 수 있다.
광원(141)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보다 정확히는, 광원이 복수개인 경우에 복수개의 광원들의 중간 위치)에서의 광 확산부(1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를 t라고 할 때, 광원 대응부(LP에 대응하는 광 확산부(120)의 지점, 도 9의 123-1)와 광 확산부(120)의 중심(O)(보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을 잇는 직선 상에서, 광 확산부(1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의 최대값은 약 1.4t~1.6t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t일 수 있다.
도 9,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광 확산부(120)의 중심(O)(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O))으로부터 임의의 반경을 갖는 가상의 원(예를 들면, 도 9의 L7)의 원주 상에서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광 확산부(120)의 중심(O)과 광 대응부(123-1, 123-2, 123-3)를 잇는 직선들(도 9의 L1, L2, L3)과 상기 가상의 원(예를 들면, 도 9의 L7)의 교점(X1, X2, X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얇아질 수 있다. 또한, 광 확산부(120)의 중심(O)(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플레이트(121)의 중심(O))으로부터 임의의 반경을 갖는 가상의 원(도 9의 L7)의 원주 상에서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광 확산부(120)의 중심(O)과 인접한 광원들 사이의 중간점을 잇는 직선들(도 9의 L4, L5, L6)의 교점(X4, X5, X6)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 확산부(120)의 중심(O)으로부터 임의의 반경을 갖는 가상의 원(예를 들면, 도 9의 L7)의 원주 상에서 상기 광 확산부(120)의 두께는, 광 확산부(120)의 중심(O)과 광 대응부(123-1, 123-2, 123-3)를 잇는 직선들(도 9의 L1, L2, L3)과 상기 가상의 원(예를 들면, 도 9의 L7)의 교점(X1, X2, X3)으로부터 광 확산부(120)의 중심(O)과 인접한 광원들 사이의 중간점을 잇는 직선들(도 9의 L4, L5, L6)의 교점(X4, X5, X6)으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의 광 확산부(120)는, 광원이 배치된 부분과 광 확산부(120)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들(도 9의 L1, L2, L3) 상의 광 확산부(120)의 두께가 광원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과 광 확산부(120)의 중심(O)을 지나는 직선들(도 9의 L4, L5, L6) 상의 광 확산부(120)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형상은 정면에서 봤을 때 부채꼴 형상을 가진다.
도 9 및 도 12를 참고하면, 광 확산부(120)의 중심(O)과 광 대응부(123-1, 123-2, 123-3)를 지나는 직선(도 9의 L1, L2, L3)과 직교하는 직선(예를 들면, 도 9의 L8) 상에서, 광 확산부(120)의 두께는 직선(도 9의 L1, L2, L3)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얇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선(도 9의 L8)은 광 대응부(도 9의 123-1)를 지나는 직선일 수 있다. 따라서, 광원(141)에서 조사된 광은 광 확산부(120)의 제1 링(122)의 전면으로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의 노브 링(130)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의 노브 링(130)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에서, 광원부(140)가 결합된 노브 링(130)을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먼저, 도 13을 참고하면, 노브 링(130)는 광 확산부(120)와 유사하게 전체적으로 높이가 낮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노브 링(130)는 제2 플레이트(131) 및 제2 플레이트(131)의 외곽을 둘러싸고 제2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2 링(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링(132)는 노브 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링(132)의 지름은 광 확산부(120)의 제1 링(122)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노브 링(130)의 내측에, 즉, 제2 플레이트(131)와 제2 링(1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광 확산부(1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브 링(130)의 제2 플레이트(131)에는 제1 결합 홀들(134-1, 134-2, 134-3, 134-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홀들(134-1, 134-2, 134-3, 134-4) 각각에 광 확산부(120)에 형성된 제1 결합 후크들(124-1, 124-2, 124-3, 124-4) 각각이 끼움 결합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링(121)의 높이는 제2 링(132)보다 낮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광 확산부(120)의 제1 링(121)을 통해 발산되는 광이 전방을 향하는 방향에서 지나치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131)에는 광원부(도 7의 140)의 광원(도 7의 141)이 위치하며, 광원(도 7의 141)에서 조사된 광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투광홀(133-1, 133-2, 133-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131)의 중심부에는 관통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5)로는 밸브(152)의 밸브축이 관통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노브 링(130)의 뒷면에는 광원부(도 7의 14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결합 후크들(137-1, 137-2, 137-3, 137-4)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결합 후크들(137-1, 137-2, 137-3, 137-4)에 광원부(도 7의 140)가 끼움 결합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광원부(도 7의 140)를 노브 링(130)의 후면에 위치시킨 후, 전방으로 적절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광원부(도 7의 140)는 제2 결합 후크들(137-1, 137-2, 137-3, 137-4)에 끼움 결합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광원부(140)가 컨트롤 패널(11)이나 조절부(150)에 결합되지 않고 노브 링(130)에 직접 결합되므로, 노브 몸체부(110)의 회전시에도 광원부(140)의 비틀림이 방지되며,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노브 링(130)의 제2 플레이트(131)에는 복수개의 결합홀들(136)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들(136)을 통해 노브 링(130)는 컨트롤 패널(도 7의 1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홀들(136)은 컨트롤 패널(도 7의11)의 패널 홀(11-1, 11-2)과 정렬될 수 있으며, 정렬된 결합홀(136)과 패널 홀(11-1, 11-2)에 볼트 등을 체결함으로써 노브 링(130)가 컨트롤 패널(도 7의 1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1)의 분해 사시도로서, 노브 어셈블리(100-1)는 노브 몸체부(110-1), 광 확산부(120-1), 노브 링(130-1), 광원부(140-1), 및 조절부(150-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150-1)는 로타리 스위치일 수 있다. 도 15에서, 식별번호 11은 컨트롤 패널을, 식별번호 121-1은 제1 플레이트를, 122-1은 제1 링을, 131-1은 제2 플레이트를, 132-1은 제2 링을 각각 나타낸다.
노브 몸체부(110-1), 광 확산부(120-1), 및 노브 링(130-1), 광원부(140-1) 각각은 도 7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노브 몸체부(110), 광 확산부(120), 노브 링(130), 및 광원부(140)와 동일할 수 있다. 조절부(150-1)의 기능은 도 7에서 설명한 조절부(150)의 기능과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나타낸 노브 어셈블리(100-1)는 조절부(150-1)가 로터리 스위치인 점을 제외하면 도 7 등에서 설명한 노브 어셈블리(100)와 동일하다. 조리기기가 유도가열방식으로 용기를 가열하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하는 전기히터 등을 이용하는 경우, 점화 스위치 및 밸브로 구성된 조절부 대신 로터리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 조작부
11 : 컨트롤 패널
20 : 쿡탑부 30 : 오븐부
40 : 드로워부 100, 100-1 : 노브 어셈블리
110, 110-1 : 노브 몸체부 120, 120-1 : 광 확산부
130, 130-1 : 노브 링 140, 140-1 : 광원부
150, 150-1 : 조절부
20 : 쿡탑부 30 : 오븐부
40 : 드로워부 100, 100-1 : 노브 어셈블리
110, 110-1 : 노브 몸체부 120, 120-1 : 광 확산부
130, 130-1 : 노브 링 140, 140-1 : 광원부
150, 150-1 : 조절부
Claims (20)
-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부; 및
컨트롤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어셈블리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 몸체부;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서 광이 확산되는 광 확산부; 및
상기 광 확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광원의 위치에서 전방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광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원 대응부를 통과하는 제1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광원 대응부를 통과하지 않는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 확산부의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임의의 반경을 가지는 제1 원의 원주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원과 상기 제1 직선의 교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얇아지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평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직선 상에서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을 둘러싸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링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몸체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링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고정되며, 상기 노브 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 링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 후크들이 끼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홀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은
평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을 둘러싸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광 확산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링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링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조리기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은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광원부가 끼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연결 후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 상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광 확산부 중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의 1.5배인 조리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복수개의 광원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 확산부 중 인접한 두 광원들의 중간점을 통과하는 제2 직선상에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중간점을 통과하지 않는 직선 상에서의 두께보다 얇은 조리기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선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 확산부의 외곽까지 일정한 조리기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 상에서 최외곽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제2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의 1.5배인 조리기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광원들은 등간격으로 위치하는 조리기기.
-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 몸체부;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서 광이 확산되는 광 확산부; 및
상기 광 확산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광원의 위치에서 전방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광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 대응부를 통과하는 제1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광원 대응부를 통과하지 않는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노브 어셈블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광 확산부의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노브 어셈블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의 중심으로부터 임의의 반경을 가지는 제1 원의 원주 상에서의 상기 광 확산부의 두께는, 상기 제1 원과 상기 제1 직선의 교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얇아지는 노브 어셈블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평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직선 상에서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을 둘러싸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링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 몸체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링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노브 어셈블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와 상기 노브 링은 끼움 결합 형태로 결합하는 노브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9648A KR20220028533A (ko) | 2020-08-28 | 2020-08-28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
EP21193424.5A EP3961104A1 (en) | 2020-08-28 | 2021-08-27 | Knob assembly and cooktop |
CN202111003198.5A CN114110670B (zh) | 2020-08-28 | 2021-08-30 | 烹饪设备和烹饪设备的旋钮组件 |
US17/460,642 US11608978B2 (en) | 2020-08-28 | 2021-08-30 | Cooktop and knob assembly thereof |
US18/156,698 US11913631B2 (en) | 2020-08-28 | 2023-01-19 | Cooktop and knob assembly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9648A KR20220028533A (ko) | 2020-08-28 | 2020-08-28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8533A true KR20220028533A (ko) | 2022-03-08 |
Family
ID=7752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9648A KR20220028533A (ko) | 2020-08-28 | 2020-08-28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11608978B2 (ko) |
EP (1) | EP3961104A1 (ko) |
KR (1) | KR20220028533A (ko) |
CN (1) | CN11411067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8533A (ko) * | 2020-08-28 | 2022-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
US20220178550A1 (en) * | 2020-12-03 | 2022-06-09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Cooking appliance and knob assembly |
US11982447B2 (en) * | 2021-11-29 | 2024-05-14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Appliance control panel lighting system |
US20230296255A1 (en) * | 2022-03-18 | 2023-09-21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Cooktop appliance with alignment bracke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5514B1 (ko) | 1999-12-23 | 2002-07-24 |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 플라스마 전하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웨이퍼 및 그 제조 방법 |
KR20170079067A (ko) | 2015-12-30 | 2017-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834374B4 (de) * | 1998-07-30 | 2004-03-04 | Preh-Werke Gmbh & Co. Kg | Drehknopf eines Steuergerätes |
JP2000207916A (ja) * | 1999-01-11 | 2000-07-28 | Yamaha Corp | 照明装置および操作装置 |
JP2005050654A (ja) * | 2003-07-28 | 2005-02-24 | Clariant Internatl Ltd | 面光源装置 |
US7222979B1 (en) * | 2005-11-09 | 2007-05-29 | Cfm Corporation | Illuminated dial |
CN201016484Y (zh) * | 2007-02-14 | 2008-02-06 | 美的集团有限公司 | 带发光指示的燃气灶旋钮 |
CN102246253B (zh) * | 2009-02-13 | 2014-01-01 | 三菱电机株式会社 | 按钮开关 |
CN103403829B (zh) * | 2010-12-30 | 2015-11-25 | 阿塞里克股份有限公司 | 用于家用电器的被照明的调节器 |
JP2017092017A (ja) * | 2015-11-09 | 2017-05-25 | 株式会社エンプラス |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
US10401035B2 (en) * | 2016-02-10 | 2019-09-03 | Wolf Appliance, Inc. | Vertically mounted gas cooktop control knob |
KR102513487B1 (ko) * | 2016-08-10 | 2023-03-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조리기기 |
US10345514B2 (en) * | 2017-02-22 | 2019-07-09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Appliance and illuminated knob assembly |
CN207623831U (zh) * | 2018-01-09 | 2018-07-17 | 黄羽婵 | 复合式炉具旋钮 |
CN111061334B (zh) * | 2019-12-31 | 2021-12-10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旋钮模块、控盒组件及其烹饪装置 |
KR20220028533A (ko) * | 2020-08-28 | 2022-03-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
-
2020
- 2020-08-28 KR KR1020200109648A patent/KR2022002853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
- 2021-08-27 EP EP21193424.5A patent/EP3961104A1/en active Pending
- 2021-08-30 US US17/460,642 patent/US11608978B2/en active Active
- 2021-08-30 CN CN202111003198.5A patent/CN114110670B/zh active Active
-
2023
- 2023-01-19 US US18/156,698 patent/US1191363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5514B1 (ko) | 1999-12-23 | 2002-07-24 |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 플라스마 전하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웨이퍼 및 그 제조 방법 |
KR20170079067A (ko) | 2015-12-30 | 2017-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160569A1 (en) | 2023-05-25 |
CN114110670A (zh) | 2022-03-01 |
CN114110670B (zh) | 2023-07-28 |
US20220065439A1 (en) | 2022-03-03 |
US11608978B2 (en) | 2023-03-21 |
EP3961104A1 (en) | 2022-03-02 |
US11913631B2 (en) | 2024-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028533A (ko)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 |
KR20220028531A (ko)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 |
US8106334B2 (en) | Electric oven having convection cover formed with sub-outlets | |
EP3290567A1 (en) | Home appliance having light emitting module | |
US20180238556A1 (en) | Appliance and illuminated knob assembly | |
CN109196281A (zh) | 电火设备和加热系统 | |
JP7228230B2 (ja) | ガスコンロ | |
EP3495738B1 (en) | Cooking device | |
EP2241818A2 (en) | Burner and cooking device | |
KR101824736B1 (ko) |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EP3961106B1 (en) | Knob assembly and cooktop | |
KR20220028532A (ko)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 |
JP7551118B2 (ja) | 加熱調理器 | |
KR20120096355A (ko) | 조리기기 | |
KR100885564B1 (ko) | 조리기기의 조명 장치 | |
JP7555117B2 (ja) | コンロ | |
JP4896638B2 (ja) | ビルトインタイプの加熱調理器 | |
US20210141410A1 (en) | Backlit knob | |
US10782724B1 (en) | Sliding ring for knob on home appliance | |
KR200485183Y1 (ko) | 가스레인지 화력 표시장치 | |
JP5787602B2 (ja) | 操作部及びその操作部を備えた加熱調理器 | |
JP2022119268A (ja) | コンロ | |
KR20180047980A (ko) | 인덕션레인지 | |
KR20090064605A (ko) |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200241363Y1 (ko) |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난방기구의 보조 반사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