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532A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532A
KR20220028532A KR1020200109647A KR20200109647A KR20220028532A KR 20220028532 A KR20220028532 A KR 20220028532A KR 1020200109647 A KR1020200109647 A KR 1020200109647A KR 20200109647 A KR20200109647 A KR 20200109647A KR 20220028532 A KR20220028532 A KR 20220028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light
ring
light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532A/ko
Priority to EP21193426.0A priority patent/EP3961105A1/en
Priority to US17/460,622 priority patent/US11983029B2/en
Publication of KR20220028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05G1/105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가 공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는 노브 몸체부와 노브 링 사이에 배치된 광확산부와, 노브 몸체부와 노브 링 사이의 공간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광 확산부의 전면이 노브 몸체부와 노브 링 사이의 틈으로 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Cook top and knob assembly of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knob assembly)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 동작에 대한 사용자 인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브 주위로 빛을 발산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스나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기기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량을 조절하거나, 조리 모드를 설정하는 등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행특허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79067호) 및 선행특허 2(미국 등록특허 제10345514호) 등에는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브(또는 스위치) 주위로 빛이 발광되는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선행특허 1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선행특허 1의 스위치 어셈블리는 스위치(1), 도광체(2), 스위치 홀더(3), 컨트롤 패널(4), 지지브라켓(5), 및 레귤레이터(6)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체(2)는 도광로(2-1) 및 LED 모듈(2-22)을 포함한다. LED 모듈(2--2)은 도광로(2-1)의 일단에 배치된다. 광원으로서의 LED 모듈(2-2)이 도광로(2-1)의 일단에 배치됨으로 인해, 선행특허 1의 경우 광의 밝기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즉, 도광로(2-1) 중 LED 모듈(2-2)이 배치된 일단은 상대적으로 밝고, 상기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은 상대적으로 어둡게 된다.
도 3은 선행특허 2의 노브 어셈블리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선행특허 2의 노브 어셈블리는 제1 광가이드(7), 제2 광가이드(8), 및 베젤 본체(9)를 포함한다. 제2 광가이드(8)는 광원을 향해 연장되는 레그(8-1)와 확산광을 형성하는 가이드 링(8-2)을 포함한다. 선행특허 2의 경우, 광원은 레그(8-1)의 끝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가이드 링(8-2) 중 레그(8-1)와 닿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밝게 되고, 레그(8-1)와 닿은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어둡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79067호 미국 등록특허 제10345514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브 어셈블리의 노브 몸체부 둘레에서 일정한 밝기의 광이 발산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품 동작에 대한 사용자 인지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또는 노브 어셈블리는 노브 몸체부와 노브 링 사이에 배치된 광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원부는 노브 몸체부와 노브 링 사이로 광을 조사하며, 광 확산부의 전면이 노브 몸체부와 노브 링 사이의 틈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에서 조사된 광이 광확산부를 통해 노브 어셈블리의 전방으로 발산되므로, 영역과 무관하게 균일한 광이 노브 어셈블리의 전방으로 발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또는 노브 어셈블리는 노브 링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광확산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확산부의 끝단은 노브 링의 끝단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또는 노브 어셈블리는 노브 몸체부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와, 노브 링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가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부; 및 컨트롤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어셈블리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 몸체부,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노브 링, 상기 노브 몸체부와 상기 노브 링 사이에 배치되는 광 확산부, 및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확산부의 지름은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노브 링의 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광 확산부의 전면이 상기 노브 몸체부와 상기 노브 링 사이에서 노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은 상기 노브 몸체부와 상기 노브 링 사이의 공간에 광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노브 링은 평판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을 둘러싸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노브 몸체부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링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광 확산부는 도넛 형상이며, 제1면은 상기 플레이트에 접촉되고, 상기 제1면과 상이한 제2면은 상기 링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광 확산부의 전단은 상기 노브 링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광 확산부는 판형의 도넛 형상을 가지는 평판 도넛부 및 상기 평판 도넛부의 외곽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은 상기 평판 도넛부의 후면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원통부의 외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노브 링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광을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노브 몸체부는 상기 노브 어셈블리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고, 후면이 개방되어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노브, 상기 제1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후면이 개방되어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노브 이너, 및 상기 제2 내부 공간이 삽입되고,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광을 반사하는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노브 이너 중 적어도 일부분은 광을 확산하는 확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인서트는 후방에서 봤을 때 상기 노브 이너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노브 링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노브 링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기 노브 링과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가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광원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 몸체부,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노브 링, 상기 노브 몸체부와 상기 노브 링 사이에 배치되는 광 확산부, 및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확산부의 지름은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노브 링의 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광 확산부의 전면이 상기 노브 몸체부와 상기 노브 링 사이에서 노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은 상기 노브 몸체부와 상기 노브 링 사이의 공간에 광을 조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상기 노브 링은 평판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을 둘러싸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링을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는 도넛 이며, 제1면은 상기 플레이트에 접촉되고, 상기 제1면과 상이한 제2면은 상기 링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상기 광 확산부의 전단은 상기 노브 링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상기 확산부는 판형의 도넛 형상을 가지는 평판 도넛부 및 상기 평판 도넛부의 외곽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은 상기 평판 도넛부의 후면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원통부의 외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광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노브 링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광을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광을 확산하는 확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반사면은 후방에서 봤을 때 상기 확산부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상기 노브 링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노브 링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상기 노브 링과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가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광원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는, 노브 몸체부 둘레에서 일정한 밝기의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품 동작에 대한 사용자 인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도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선행특허 1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선행특허 2의 노브 어셈블리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A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에서 광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노브 몸체부의 실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의 서포터(130)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의 서포터(130)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조리기기는 조작부(10), 및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부는 쿡탑부(20), 오븐부(30), 및 드로워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0)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10)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리기기의 각 부분(즉, 쿡탑부(20), 오븐부(30), 및 드로워부(40))에서 발생되는 화력을 조절하거나, 조리기기의 상기 각 부분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노브 어셈블리(100)가 배치될 수 있다. 노브 어셈블리(100)는 조작부(10)의 컨트롤 패널(11)에 고정될 수 있다.
쿡탑부(20)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쿡탑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 버너(21)를 포함할 수 있다. 쿡탑 버너(21)는 가스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화염으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 또는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오븐부(30)는 조리기기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오븐부(20)는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조리실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븐부(20)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부(40)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조리기기로 인입되거나, 조리기기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 등을 소정의 온도로 보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조리기기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가열부로서 오븐부, 쿡탑부, 및 드로워부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이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조리기기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가열부로서 오븐부, 쿡탑부, 및 드로워부를 포함하는 가스오븐을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개념은 가스가 아니라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쿡탑 또는 오븐 등 다양한 조리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리기기의 쿡탑부는 유도가열방식으로 용기를 가열하는 인덕션 및/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하는 전기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전방은 조리기기의 전면쪽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조리기기의 후면쪽 방향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A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에서 광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5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는 노브 몸체부(110), 광 확산부(120), 노브 링(130), 서포터(140), 광원부(150), 및 조절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 링(130)은 플레이트(131) 및 링(132)을 포함할 수 있고, 조절부(160)는 점화 스위치(161) 및 밸브(162)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 몸체부(110)는 노브 어셈블리(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노브 몸체부(110)는 단일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부품들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노브 몸체부(1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노브 몸체부(110)는 광 확산부(120), 노브 링(130), 서포터(140), 광원부(150), 및 조절부(160)들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노브 몸체부(110)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브 몸체부(110)는 광을 확산할 수 있는 광 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브 몸체부(110)는 노브(111), 노브 이너(112), 및 인서트(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서트(113)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제1 반사면(1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브 이너(112)의 적어도 일부분은 광을 확산하는 광 확산부(115)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노브 이너(112) 중 인서트(113)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노브 링(120)과 마주하는 부분이 광 확산부(115)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노브 이너(112) 전체가 내부에서 광이 확산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노브 몸체부(1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도 10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광 확산부(120)는 노브 몸체부(110)와 노브 링(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확산부(120)의 지름은 노브 몸체부(110)의 지름보다 크고, 노브 링(130)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광 확산부(120)는 노브 링(130)의 플레이트(131)와 링(1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광 확산부(120)의 전면은 노브 몸체부(110)와 노브 링(130) 사이 틈(101)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 확산부(120)는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 확산부(120)는 복수개의 면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중 제1면은 노브 링(130)의 플레이트(131)에 접촉될 수 있고, 제1면과 상이한 제2면은 노브 링(130)의 링(132)과 접촉될 수 있다. 광 확산부(120)는 도넛 형상을 가지면서 평판 형태인 평판 도넛부(121)와, 평판 도넛부의 외곽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원통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평판 도넛부(121)의 후면이 노브 링(130)의 플레이트(131)와 접촉되는 제1면이 될 수 있고, 원통부(122)의 외면이 노브 링(130)의 링(132)과 접촉되는 제2면이 될 수 있다. 즉, 광 확산부(120)는 도넛 형상에서 단면의 일측이 도넛 전방으로 돌출되어 돌출되지 않은 부분보다 두께가 두꺼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광 확산부(120)의 단면은 "ㄴ"자 형태일 수 있다. 광확산부(120)의 외측 일면(즉, 광 확산부(120)의 후면)은 노브 링(130)의 플레이트(131)와 전체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광확산부(120)의 또다른 외측 일면(즉, 광 확산부(120)의 측면)은 노브 링(130)의 링(132)과 전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노브 링(130)의 링(132)과 접촉된 면에 인접한 광 확산부(120)의 전면이 노브 몸체부(110)와 노브 링(130) 사이의 틈(101)으로 노출될 수 있다. 광 확산부(120)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후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광 확산부(120)의 전단(L1)은 노브 링(130)의 전단(L2)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이 노브 어셈블리(100)의 측면 방향(A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노브 링(130)은 노브 몸체부(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노브 어셈블리(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노브 링(130)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컨트롤 패널(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노브 링(130)은 서포터(14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노브 링(130)는 전체적으로 높이가 낮고 전면이 완전히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노브 링(130)은 평판 형태의 플레이트(131)와, 플레이트(131)의 외곽을 둘러싸고, 플레이트(13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링(132)을 포함할 수 있다. 링(132)의 지름은 노브 몸체부(110)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31)에는 광이 통과하기 위한 개구부(135) 및/또는 광 확산부(12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136)이 형성될 수 있다. 광 확산부(120)의 결합 후크(123)와 노브 링(130)의 결합홀(136)은 끼움 결합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노브 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는 플레이트(131)와 링(1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노브 몸체부(110)와 노브 링(130) 사이에 광 확산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노브 링(130) 중 노브 몸체부(110)가 위치하는 면들(즉, 플레이트(131)의 전면과 링(132)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제2 반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반사면은 플레이트(131)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제2-1 반사면(133)과, 링(132)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 제2-2 반사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반사면(123) 및/또는 제2-2 반사면(124)은 노브 링(120) 중 노브 몸체부(110)와 마주하는 면들 중 일부를 도금 또는 코팅 처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노브 링(130)(보다 구체적으로, 제2-1 반사면(133) 및 제2-2 반사면(134))이 광을 반사함으로써, 노브 어셈블리(100)에서 발산되는 광의 밝기가 더 밝아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노브 링(130)은 서포터(140)와 결합하기 위해 노브 링(130)의 후방으로 돌출된 결합 후크(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후크(137)는 서포터(140)의 결합 홀(142)과 끼움 결합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후크(137)는 패널(11)의 패널 홀(11-2)를 관통하여 결합 홀(142)과 결합할 수 있다.
서포터(140)는 노브 링(1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140)는 광원부(140)를 고정시키며, 광원부(14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포터(140)에서 광원부(150)의 광원(151)이 위치하는 부분의 전면에는 서포터(130)의 표면에서 돌출된 볼록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포터(130)에는 컨트롤 패널(11) 및 노브 링(13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부(150)는 서포터(1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150)는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151)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51)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원부(150)는 서포터(14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부(160)는 노브 몸체부(110)의 회전에 따라 조리기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력을 조절하거나, 조리기기의 모드를 조정하는 등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조리기기가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조절부(160)는 점화 스위치(161) 및 밸브(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점화 스위치(161)는 노브 몸체부(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점화 스위치(161)는 노브 몸체부(110)의 회전각도에 의하여 온/오프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점화 스위치(161)는 노브 몸체부(110)가 일정각도 회전하면 온 상태가 되어 버너(도 4의 21)의 화구에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밸브(162)는 노브 몸체부(1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밸브(162)는 노브 몸체부(110)의 회전 정도에 따라 개방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밸브(162)는 노브 몸체부(110)를 누른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에만 노브 몸체부(1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점화 스위치(161) 및 밸브(162)는 밸브축을 통해 노브 몸체부(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은 노브 링(130)과 서포터(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노브 링(130) 및/또는 서포터(140)는 컨트롤 패널(11)에 결합될 수 있다. 패널(11)은 조리기기의 일부분(예를 들면, 조리기기의 쿡탑부(도 4의 10)의 전면)일 수도 있고, 노브 어셈블리(100)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컨트롤 패널(11)에는 광원부(140)의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140)의 볼록부(141)가 개구부(11-1)를 관통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1)에는 노브 링(120) 및/또는 서포터(130)가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에서 광이 진행하는 경로를 설명한다. 도 8에서 점선 화살표는 광이 진행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부(150)는 서포터(140)에 고정될 수 있고, 광원(151)의 위치에 대응하는 서포터(140)의 전면에는 볼록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브 링(130)에는 개구부(1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볼록부(141)는 투광홀(135)을 관통할 수 있다.
광원부(150)의 광원(151)로부터 조사된 광은 서포터(140)의 볼록부(141)를 통과하여 노브 링(130)과 노브 몸체부(110) 사이 공간으로 진행한다.
볼록부(141)를 통과한 광 중 일부는 광 확산부(120)로 입사된다. 또한, 볼록부(141)를 통과한 광 중 다른 일부는 인서트(113)와 노브 링(120)에 의해 난반사되고, 난반사된 광 중 일부는 광 확산부(120)로 입사된다. 볼록부(141)가 노브 링(130)의 플레이트(131)의 전면보다 돌출되도록 구성할 경우, 볼록부(141)를 통과한 광 중 광 확산부(120)로 직접 입사되는 광량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광 확산부(120)로 입사된 광은 광 확산부(120)의 전면을 통해 노브 어셈블리의 외부로 발산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 확산부(120)의 전단은 노브 링(130)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 확산부(120)와 노브 몸체부(110) 및 노브 이너(112)는 약간 이격될 수 있다.
볼록부(141)를 통과한 광 중 일부 및 난반사된 광 중 일부는 노브 이너(112)(보다 구체적으로는 노브 이너(112)의 확산부(도 6의 115))의 내부에서 확산되고, 확산된 광은 노브 이너(112)의 외곽 끝단을 통해 노브(111)와 노브 링(130) 사이의 틈(보다 구체적으로는, 노브(111)와 광 확산부(120) 사이의 틈)으로 진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브(111)와 광 확산부(120) 사이의 틈을 통해 노브 몸체부(110)와 노브 링(130) 등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이 발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브 몸체부(110)와 노브 링(130) 사이에 배치된 광 확산부(120)를 통해 노브 어셈블리(100)의 전방으로 광이 발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브 어셈블리(100)의 노브 몸체부(110) 주변의 전체에 있어서 일정한 밝기를 가지는 광을 볼 수 있다.
또한, 인서트(113)와 노브 링(130)에 의한 반사광도 광 확산부(120)로 입사됨으로써, 밝기가 더 밝아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의 노브 몸체부(110)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노브 몸체부(110)는 노브(111), 노브 이너(112), 인서트(113), 스프링(114), 및 스크류 볼트(115-1, 115-2)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111)는 노브 어셈블리(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노브(111)는 원통형의 몸통과, 몸통에서 전면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111)의 후면은 개방될 수 있고, 개방면 안쪽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성형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노브 이너(112)는 노브(111)의 후면을 통해 노브(11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노브 이너(112)의 후면은 개방될 수 있고, 개방면 안쪽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브 이너(112)는 광이 확산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 이너(112)는 불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브(111)와 광원부(150) 사이에 광을 확산할 수 있는 노브 이너(112)가 배치될 수 있다. 노브 이너(112)가 광을 확산함으로써, 광 확산부(120)에 의한 확산광에 더하여, 노브 이너(112)에 의한 확산광도 노브 어셈블리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인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브 이너(112) 중 일부만 광을 확산하도록 노브 이너(112)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인서트(113)는 노브 이너(112)의 후면을 통해 노브 이너(112)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인서트(113)는 금속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노브 이너(112)와 함께 노브(111)에 삽입됨으로써, 강성을 보완하여 노브(11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인서트(113)의 후면은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서트(113)의 후면은 도금 처리되거나, 코팅 처리 될 수 있다. 도금 처리되거나 코팅 처리된 부분이 제1 반사면(114)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114)은 노브 몸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노브(111)와 밸브축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스크류 볼드(115-1, 115-2)는 노브 이너(112) 및 인서트(113)를 노브(111)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의 서포터(140)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의 서포터(140)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서포터(140)는 광원부(15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광원부(15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포터(140)는 광을 투과 및/또는 확산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포터(140)는 불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서포터(140)는 전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록부(1411, 1412, 14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볼록부(1411, 1412, 1413)는 광원부(150)의 광원(15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원부(150)가 서포터(140)의 후면에 고정되었을 때, 광원부(150)의 광원(151)이 배치되는 위치의 전면에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들(1411, 1412, 1413)는 렌즈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포터(140)에는 노브 링(130)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1421, 142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421, 1422)은 노브 링(130)의 결합 후크(도 9의 137)와 끼움 결합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서포터(140)의 후면에는 광원 고정부(1431, 1432, 1433, 1434)가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150)는 광원 고정부(1431, 1432, 1433, 1434)에 끼움 결합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서포터(14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브 어셈블리(100-1)의 분해 사시도로서, 노브 어셈블리(100-1)는 노브 몸체부(110-1), 광 확산부(120-1), 노브 링(130-1), 서포터(140-1), 광원부(150-1), 및 조절부(160-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160-1)는 로타리 스위치일 수 있다. 도 13에서, 식별번호 11은 컨트롤 패널을 나타낸다.
노브 몸체부(110-1), 광 확산부(120-1), 노브 링(130-1), 서포터(140-1), 및 광원부(150-1) 각각은 도 7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노브 몸체부(110), 광 확산부(120), 노브 링(130), 서포터(140), 및 광원부(150)와 동일할 수 있다. 조절부(160-1)의 기능은 상술한 조절부(160)의 기능과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낸 노브 어셈블리(100-1)는 조절부(160-1)가 로터리 스위치인 점을 제외하면 도 7 등에서 설명한 노브 어셈블리(100)와 동일하다. 조리기기가 유도가열방식으로 용기를 가열하거나,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하는 전기히터 등을 이용하는 경우, 점화 스위치 및 밸브로 구성된 조절부 대신 로터리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 조작부 11 : 컨트롤 패널
20 : 쿡탑부 30 : 오븐부
40 : 드로워부 100, 100-1 : 노브 어셈블리
110, 110-1 : 노브 몸체부 120, 120-1 : 광 확산부
130, 130-1 : 노브 링 140, 140-1 : 서포터
150, 150-1 : 광원부 160, 160-1 : 조절부

Claims (20)

  1.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부; 및
    컨트롤 패널과 상기 컨트롤 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어셈블리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 몸체부;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노브 링;
    상기 노브 몸체부와 상기 노브 링 사이에 배치되는 광 확산부; 및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확산부의 지름은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노브 링의 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광 확산부의 전면이 상기 노브 몸체부와 상기 노브 링 사이에서 노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상기 노브 몸체부와 상기 노브 링 사이의 공간에 광을 조사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은
    평판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을 둘러싸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링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몸체부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링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조리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도넛 형상이며, 제1면은 상기 플레이트에 접촉되고, 상기 제1면과 상이한 제2면은 상기 링에 접촉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의 전단은 상기 노브 링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조리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판형의 도넛 형상을 가지는 평판 도넛부; 및
    상기 평판 도넛부의 외곽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은 상기 평판 도넛부의 후면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원통부의 외측면인 조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노브 링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광을 반사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몸체부는
    상기 노브 어셈블리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고, 후면이 개방되어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노브;
    상기 제1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후면이 개방되어 제2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노브 이너; 및
    상기 제2 내부 공간이 삽입되고,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광을 반사하는 인서트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이너 중 적어도 일부분은 광을 확산하는 확산부를 형성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후방에서 봤을 때 상기 노브 이너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노브 링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과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가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광원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3.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 몸체부;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노브 링;
    상기 노브 몸체부와 상기 노브 링 사이에 배치되는 광 확산부; 및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확산부의 지름은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노브 링의 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광 확산부의 전면이 상기 노브 몸체부와 상기 노브 링 사이에서 노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은 상기 노브 몸체부와 상기 노브 링 사이의 공간에 광을 조사하는 노브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은
    평판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곽을 둘러싸고,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노브 몸체부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링을 포함하고,
    상기 광 확산부는
    도넛 형상이며, 제1면은 상기 플레이트에 접촉되고, 상기 제1면과 상이한 제2면은 상기 링에 접촉되는 노브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의 전단은 상기 노브 링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노브 어셈블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판형의 도넛 형상을 가지는 평판 도넛부; 및
    상기 평판 도넛부의 외곽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은 상기 평판 도넛부의 후면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원통부의 외측면인 노브 어셈블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광을 반사하는 제1 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노브 링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광을 반사하는 제2 반사면이 형성된 노브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몸체부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광을 확산하는 확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반사면은 후방에서 봤을 때 상기 확산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노브 어셈블리.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노브 링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노브 어셈블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과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가 후면에 고정되며, 상기 광원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전면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노브 어셈블리.
KR1020200109647A 2020-08-28 2020-08-28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KR20220028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647A KR20220028532A (ko) 2020-08-28 2020-08-28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EP21193426.0A EP3961105A1 (en) 2020-08-28 2021-08-27 Knob assembly and cooktop
US17/460,622 US11983029B2 (en) 2020-08-28 2021-08-30 Cooktop and knob assembl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647A KR20220028532A (ko) 2020-08-28 2020-08-28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532A true KR20220028532A (ko) 2022-03-08

Family

ID=7752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647A KR20220028532A (ko) 2020-08-28 2020-08-28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83029B2 (ko)
EP (1) EP3961105A1 (ko)
KR (1) KR2022002853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514B1 (ko) 1999-12-23 2002-07-24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플라스마 전하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웨이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9067A (ko) 2015-12-30 201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2428U (ko) * 1987-05-19 1988-11-24
US5694916A (en) * 1994-08-12 1997-12-09 Whirlpool Corporation One button gas shutoff apparatus
US7399098B2 (en) * 2003-04-18 2008-07-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lluminating apparatus for operating section
CN201112218Y (zh) * 2007-05-17 2008-09-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一种旋钮组件以及带有该组件的微波炉
KR101686668B1 (ko) * 2009-11-04 201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이얼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10345514B2 (en) 2017-02-22 2019-07-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ppliance and illuminated knob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514B1 (ko) 1999-12-23 2002-07-24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플라스마 전하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웨이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9067A (ko) 2015-12-30 201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83029B2 (en) 2024-05-14
EP3961105A1 (en) 2022-03-02
US20220066495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8531A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US11608978B2 (en) Cooktop and knob assembly thereof
EP3290567B1 (en) Home appliance having light emitting module
KR102101415B1 (ko)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US20210095856A1 (en) Knob assembly with display device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knob assembly
KR101949581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JP6602107B2 (ja) 加熱調理器
KR20090035010A (ko) 회전식 조절 장치
KR20220028532A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노브 어셈블리
EP3421890B1 (en) Light emitting device in door for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applicance including the same
JP7228230B2 (ja) ガスコンロ
KR100586400B1 (ko) 가스제어장치
KR101971765B1 (ko) 광원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JP4363992B2 (ja) 操作つまみ装置
JP6635715B2 (ja) 加熱調理器
JP7214473B2 (ja) 加熱調理器における操作装置
US10782724B1 (en) Sliding ring for knob on home appliance
US20210141410A1 (en) Backlit knob
JP2022126074A (ja) コンロ
JP2022119268A (ja) コンロ
JP2022134719A (ja) コンロ
JP2012233603A (ja) 操作部及びその操作部を備えた加熱調理器
JP2020106197A (ja) 加熱調理器における操作装置
KR20190001911A (ko) 도어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