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980A - 인덕션레인지 - Google Patents

인덕션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980A
KR20180047980A KR1020160144970A KR20160144970A KR20180047980A KR 20180047980 A KR20180047980 A KR 20180047980A KR 1020160144970 A KR1020160144970 A KR 1020160144970A KR 20160144970 A KR20160144970 A KR 20160144970A KR 20180047980 A KR20180047980 A KR 20180047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oil
light
housing
coi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7980A/ko
Publication of KR2018004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980A/ko
Priority to KR1020230067507A priority patent/KR20230079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05B37/022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부를 구비하는 인덕션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레인지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원형의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로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부의 반경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 및 상기 코일부가 작동할 때 상기 광원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덕션레인지 {INDUCTION RANGE}
본 발명은 인덕션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인덕션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인덕션레인지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한 조리용 가열기기로서, 가스레인지와 비교하여 유해가스의 발생이나 화재의 위험이 적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다만 인덕션레인지 자체가 발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그 작동상태를 즉각적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인덕션레인지에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시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사용자의 시인성을 더욱 개선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그 작동상태를 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인덕션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레인지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원형의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로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부의 반경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 및 상기 코일부가 작동할 때 상기 광원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상기 광원의 광중심축에 수직인 평평부 및 상기 평평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광원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광원의 광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부는 상기 광원의 광중심축과 같거나 낮은 지점에서 상기 평평부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확산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빛을 확산하는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색상이 가변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부의 가열세기에 따라 상기 광원의 색상이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부의 가열세기에 따라 상기 광원의 점멸주기가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색상이 가변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부가 작동을 중단하였을 때 상기 코일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광원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코일부가 작동할 때와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부가 작동을 중단하였을 때 상기 코일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광원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코일부가 작동할 때와 다른 점멸주기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색상이 가변적이고, 상기 코일부, 하우징, 광원 및 반사판을 한 세트로 하는 세트가 복수 개로 설치되어, 각 코일부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코일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조작되고 있을 때, 그 조작되고 있는 코일부와 같은 세트의 광원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코일부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와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부, 하우징, 광원 및 반사판를 한 세트로 하는 세트가 복수 개로 설치되어, 각 코일부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코일부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고 있을 때, 그 조작되고 있는 코일부와 같은 세트의 광원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코일부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와 다른 점멸주기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레인지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적절한 형태로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그 빛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의 색상이나 점멸주기가 인덕션레인지의 작동상태에 따라 변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작동상태를 보다 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의 코일부와 발광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의 코일부와 발광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 평면상의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100)의 코일부(110)와 발광부(12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레인지(100)의 코일부(110)와 발광부(120)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A 평면상의 부분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인덕션레인지(100)는 원형의 코일부(110), 발광부(120), 조작부(13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코일부(110)에 교류전류가 흐르면 교류자기장이 생성된다. 교류자기장은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제작된 인덕션레인지용 조리용기에 와전류를 형성하게 되는데, 그 줄열에 의해 조리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단 이를 위한 코일부(110)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4를 더 참조하면 발광부(120)는 하우징(121), 광원(122), 반사판(123), 확산시트(124) 및 렌즈(125)를 포함한다.
하우징(121)은 코일부(11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21)은 코일부(110)의 둘레 전체를 둘러싸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코일부(110)의 둘레 중 일부만 둘러싸도록 호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1)이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우징(121)은 내주면(121a), 외주면(121b) 및 바닥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로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21)의 상부는 투명한 소재, 예컨대 유리로 제작된 판으로 덮여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 내주면(121a)은 하우징(121) 중 코일부(110)에 가까운 측면을 의미하고, 외주면(121b)은 코일부(110)로부터 먼 측면을 의미한다.
광원(122)은 하우징(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광한다. 이때 광원(122)의 광중심축(LC)은 코일부(110)의 반경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광원(122)은 하우징(121)의 외주면(121b) 상에 설치되어, 내주면(121a) 측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하우징(121)의 내주면(121a) 상에 설치되어, 외주면(121b) 측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22)이 하우징(121)의 외주면(121b) 상에 설치되어, 내주면(121a) 측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광원(122)은 복수 개로 설치되어, 하우징(1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122)은 복수 개의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예컨대 RGB LED(Red-Green-Blue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반사판(123)은 고반사도를 갖는 소재로 제작되어, 하우징(121)의 내부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사판(123)은 하우징(121)의 내주면(121a) 상에 설치되어, 광원(122) 측을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단 만약 광원(122)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우징(121)의 내주면(121a) 상에 설치되어, 외주면(121b) 측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된다면, 반사판(123)은 하우징(121)의 외주면(121b) 상에 설치될 것이다.
반사판(123)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하우징(121)의 상부를 바라보되, 광원(122)의 광중심축(LC)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판(123)은 광원(12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최종적으로 하우징(121)의 상부에 도달하게 되도록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반사판(123)은 광원(122)의 광중심축(LC)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평부(123a)와 그 평평부(123a)의 하단으로부터 광원(122) 측으로 절곡되어, 광원(122)의 광중심축(LC)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12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경사부(123b)는 광원(122)의 광중심축(LC)과 같은 높이에서, 또는 그보다 낮은 지점에서 평평부(123a)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단 이러한 형상은 광원(12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하우징(121)의 상부의 더 넓은 면적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반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광원(122)과 반사판(123) 사이의 거리나 광원(122)과 하우징(121)의 상측 사이의 거리 등이 달라지면, 반사판(123)의 구체적인 형상도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반사판(123)은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21)에 결합될 수도 있고, 하우징(12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하우징(121)의 내면 자체가 고반사도를 가질 수도 있다.
확산시트(124)는 하우징(121)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광원(122)이 위치한 지점만 집중적으로 발광하는 것이 아니라, 확산시트(124)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발광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시트(124)는 예컨대 면발광필름일 수 있다.
또한 렌즈(125)는 확산시트(124) 위에 배치되어 빛을 확산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인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렌즈(125)는 볼록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코일부(110)와 발광부(120)를 한 세트로 하는 세트가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각각의 코일부(110)를 개별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버튼, 예컨대 코일부(110)를 작동하기 위한 버튼, 코일부(110)의 가열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 또는 코일부(110)가 작동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발광부(120)의 작동을 제어한다.
먼저 제어부(미도시)는 코일부(110)가 작동할 때 광원(122)이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코일부(110)의 가열세기에 따라 광원(122)의 색상이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부(110)의 가열세기를 강, 중 그리고 약으로 구분할 수 있다면, 광원(122)은 코일부(110)의 가열세기가 강일 때는 빨간색으로, 중일 때는 주황색으로, 그리고 약일 때는 노란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각 색상은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코일부(110)의 가열세기에 따라 광원(122)의 점멸주기나 듀티비가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부(110)의 가열세기를 강, 중 그리고 약으로 구분할 수 있다면, 광원(122)은 코일부(110)의 가열세기가 강일 때는 듀티비가 100%로, 중일 때는 70%로, 그리고 약일 때는 30%로 작동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듀티비의 구체적인 값도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코일부(110)의 가열세기에 따라 광원(122)의 색상과 듀티비를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표 1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가열세기
광원의 색상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광원의 듀티비 100% 70% 30%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발광부(120)의 작동상태만 보고도 코일부(110)의 가열세기를 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코일부(110)가 작동을 중단하였을 때 코일부(1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광원(122)이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조리 후에도 조리용기와 함께 온도가 높아진 코일부의 잔열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따라서 여기서 기설정된 온도란 사용자가 코일부(110)에 접촉하더라도 화상을 입을 위험이 적은 온도를 의미한다. 다만 그 온도는 개별적인 설계조건이나 사용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값을 구체적으로 특정하지는 않기로 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미도시)는 광원(122)이 특정한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 이때의 색상은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부(110)가 작동할 때의 색상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광원(122)이 특정한 듀티비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단 이때의 듀티비도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부(110)가 작동할 때의 듀티비와 다를 수 있다.
상기 표 1의 예시를 더 확장하여 예를 들면 아래 표 2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코일부의 상태 작동 중단
가열세기 -
광원의 색상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빨간색
광원의 듀티비 100% 70% 30% 70%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복수 개의 코일부(110) 중 어느 하나의 코일부(110)가 조작부(130)에 의해 조작되고 있을 때, 그 조작되고 있는 코일부(110)와 같은 세트의 광원(122)이 특정한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현재 어떤 코일부(110)를 조작하고 있는지 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어,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이때의 색상은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부(110)의 가열세기를 구분하여 표시할 때나 코일부(110)의 잔열을 표시할 때의 색상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복수 개의 코일부(110) 중 어느 하나의 코일부(110)가 조작부(130)에 의해 조작되고 있을 때, 그 조작되고 있는 코일부(110)와 같은 세트의 광원(122)이 특정한 듀티비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단 이때의 듀티비도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부(110)의 가열세기를 구분하여 표시할 때나 코일부(110)의 잔열을 표시할 때의 듀티비와 다를 수 있다.
상기 표 2의 예시를 더 확장하여 예를 들면 아래 표 3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코일부의 상태 작동 중단 조작 중
가열세기 - -
광원의 색상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빨간색 흰색
광원의 듀티비 100% 70% 30% 70% 50%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자기장을 생성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원형의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로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부의 반경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 및
    상기 코일부가 작동할 때 상기 광원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덕션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광원의 광중심축에 수직인 평평부 및
    상기 평평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광원 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광원의 광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부는 상기 광원의 광중심축과 같거나 낮은 지점에서 상기 평평부로부터 절곡되는 인덕션레인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확산시트를 더 포함하는 인덕션레인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빛을 확산하는 렌즈를 더 포함하는 인덕션레인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색상이 가변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부의 가열세기에 따라 상기 광원의 색상이 변하도록 제어하는 인덕션레인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부의 가열세기에 따라 상기 광원의 점멸주기가 변하도록 제어하는 인덕션레인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색상이 가변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부가 작동을 중단하였을 때 상기 코일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광원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코일부가 작동할 때와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인덕션레인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부가 작동을 중단하였을 때 상기 코일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광원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코일부가 작동할 때와 다른 점멸주기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인덕션레인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색상이 가변적이고,
    상기 코일부, 하우징, 광원 및 반사판을 한 세트로 하는 세트가 복수 개로 설치되어,
    각 코일부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코일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조작되고 있을 때, 그 조작되고 있는 코일부와 같은 세트의 광원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코일부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와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인덕션레인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 하우징, 광원 및 반사판를 한 세트로 하는 세트가 복수 개로 설치되어,
    각 코일부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코일부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고 있을 때, 그 조작되고 있는 코일부와 같은 세트의 광원이 발광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코일부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와 다른 점멸주기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인덕션레인지.
KR1020160144970A 2016-11-02 2016-11-02 인덕션레인지 KR20180047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70A KR20180047980A (ko) 2016-11-02 2016-11-02 인덕션레인지
KR1020230067507A KR20230079337A (ko) 2016-11-02 2023-05-25 인덕션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70A KR20180047980A (ko) 2016-11-02 2016-11-02 인덕션레인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507A Division KR20230079337A (ko) 2016-11-02 2023-05-25 인덕션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980A true KR20180047980A (ko) 2018-05-10

Family

ID=621850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970A KR20180047980A (ko) 2016-11-02 2016-11-02 인덕션레인지
KR1020230067507A KR20230079337A (ko) 2016-11-02 2023-05-25 인덕션레인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507A KR20230079337A (ko) 2016-11-02 2023-05-25 인덕션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0479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19B1 (ko) 2018-10-23 2019-06-12 코박스 주식회사 상하 가열 방식의 인덕션레인지 및 그의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19B1 (ko) 2018-10-23 2019-06-12 코박스 주식회사 상하 가열 방식의 인덕션레인지 및 그의 구동방법
US11665789B2 (en) 2018-10-23 2023-05-30 Kovax Co., Ltd. Induction range of upper and lower heating typ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337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1945B2 (en) Induction heater for cooking
US7554060B2 (en) Displaying cooking-related information
EP3151634B1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KR20030004086A (ko) 선형상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 가열 조리기
CN107690833B (zh) 包括加热区照明装置的灶具
US11191130B2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KR20230079337A (ko) 인덕션레인지
JP3736477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170019958A1 (en) Method for illuminating knobs of a cooking appliance
JP388836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40531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3077633A (ja) 電熱装置
JP6937917B2 (ja) 加熱調理器
KR102636344B1 (ko) 유도 가열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