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047A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047A
KR20220028047A KR1020227003238A KR20227003238A KR20220028047A KR 20220028047 A KR20220028047 A KR 20220028047A KR 1020227003238 A KR1020227003238 A KR 1020227003238A KR 20227003238 A KR20227003238 A KR 20227003238A KR 20220028047 A KR20220028047 A KR 20220028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sign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회그룬드
아코스타 제라르도 아그니 메디나
투오마스 티로넨
엠레 야부즈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20028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장치(12)는, 그 업링크 전송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12)에 의해서 사용된 타이밍 어드밴스(TA)의 유효성을 평가함에 따라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 의해서 사전 구성되는 것으로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의 자체 사용을 조정(컨디셔닝)한다. 장치(12)는 타이머(37)를 유지하고 타이머(37)의 만료에 따라서 유효한 것으로 TA 값을 간주한다. 일례에 있어서,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하는 장치(12)는 만료되지 않은 타이머(37)에 의존해서 PUR-기반 전송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노드(16)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장치(12)에서 TA 유효성의 인식을 유지하기 위해서 및, 예를 들어, 장치(12)로부터 PUR-기반 전송을 수신함에 따라서, 장치(12)에 대한 업데이트된 TA를 송신하기 위해서, 유사 타이머(57)를 유지한다. 장치(12) 및 노드(10)는 TA 업데이트와 관련해서 그들 각각의 타이머를 리프레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제시된 설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서 공표된 표준에 따라서, 구성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UE)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s)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은 경쟁-프리 또는 경쟁-기반 액세스에 대해서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또는 장치의 그룹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제어 엔티티에 의해서 사전 구성될 수 있다. PUR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장치 및 NB-IoT(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장치와 같은 소정 종류의 장치에 상당한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비제한하는 예로서, 이러한 장치는 주기적으로 소량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 PUR을 할당하는 것은 레거시 절차를 사용하는 퍼-전송(per-transmission) 기반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것과 관련된 시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PUR undo 구현과 관련된 소정의 측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그널링의 감소가 예상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해서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동작은, 그 업링크 전송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서 사용된 타이밍 어드밴스(TA)의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네트워크에 의해서 사전 구성된 것으로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의 자체 사용을 컨디셔닝(컨디셔닝; conditioning)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장치가 타이머를 유지하고 타이머의 만료에 따라서 TA 값을 무효로 간주하는 TA를 입증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있다. 일례에 있어서,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하는 장치는 만료되지 않은 타이머에 의존해서 PUR-기반 전송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장치에서 TA 유효성의 인식을 유지하기 위해서 및, 예를 들어, 장치로부터 PUR-기반 전송을 수신함에 따라서, 장치에 대한 업데이트된 TA를 송신하기 위해서, 유사 타이머를 유지한다. 장치 및 노드는 TA 업데이트와 관련해서 그들 각각의 타이머를 리프레시(refresh)할 수 있다.
일례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서 수행하는 방법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하지 않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 상에서 조정된, PUR 상에서 UL 전송을 수행(302)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는 타이머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의 또 다른 사용을 억제한다.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가 UL 전송에 응답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 및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TA 업데이트를 표시하는 리턴 시그널링에 응답해서 타이머를 리프레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예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기 회로 및 송신기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더욱이, 무선 통신 장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규정된 제한에 도달하지 않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 상에서 조정된, PUR 상에서, 통신 회로를 통해서, UL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는 타이머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의 또 다른 사용을 억제한다. 처리 회로는, UL 전송에 응답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리턴 시그널링을, 통신 회로를 통해서, 수신하고, 및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TA 업데이트를 표시하는 리턴 시그널링에 응답해서 타이머를 리프쉬하도록 더 구성된다.
또 다른 예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된다.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PUR 상의 UL 전송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UL 전송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더욱이,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UL 전송에 응답해서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해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리턴 시그널링은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TA 업데이트를 표시한다. 더욱이,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TA 업데이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타이머를 리프레시하는 것, 타이머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유지되고 및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서 유지된 유사 타이머와 매칭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콘텍스트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유사 타이머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을 사용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유사 타이머 상에서 PUR의 자체 사용을 조정하고, 및 TA 업데이트에 응답해서 유사 타이머를 리프레시한다.
또 다른 예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수신기 회로 및 송신기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더욱이,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처리 회로는 PUR 상의 UL 전송을, 통신 회로를 통해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UL 전송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더욱이, 처리 회로는, UL 전송에 응답해서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리턴 시그널링을, 통신 회로를 통해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리턴 시그널링은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TA 업데이트를 표시한다. 더욱이, 처리 회로는, TA 업데이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타이머를 리프레시하도록 구성된다. 타이머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유지되고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서 유지된 유사 타이머와 매칭한다. 이 콘텍스트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는, 유사 타이머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을 사용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유사 타이머 상에서 PUR의 자체 사용을 조정하고, 및 TA 업데이트에 응답해서 유사 타이머를 리프레시한다.
물론, 본 설명은 상기 형태 및 장점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 도면을 봄에 따라 부가적인 형태 및 장점을 인식하게 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와 관련해서 나타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예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의 논리 흐름도이다.
도 4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의 하나의 실시예의 논리 흐름도이다.
도 5는 무선 통신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7(QQ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8(QQ2)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블록도이다.
도 9(QQ3)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환경의 블록도이다.
도 10(QQ4)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와의 통신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11(QQ5)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도 12(QQ6)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QQ7)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QQ8)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QQ9)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머신-투-머신(M2M) 및/또는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관련된 사용 케이스를 커버하기 위해서 기술을 특정하는데 대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서의 상당량의 작업이 있어 왔다. 3GPP 릴리스 13, 14 및 15에 대한 가장 최근의 작업은 새로운 UE 카테고리(Cat-M1, Cat-M2)로 머신-타입 통신(MTC)을 지원하는 향상(enhancements)을 포함하는데, 6개 및 24개의 물리적인 자원 블록(PRBs)까지의 감소된 대역폭, 및 새로운 무선 인터페이스(및 UE 카테고리 Cat-NB1 및 Cat-NB2)를 제공하는 협대역 IoT(NB-IoT) UE를 지원한다.
본 개시의 용어 "eMTC"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대역폭 제한된 UE, Cat-M1에 대한 지원, 및 커버리지 향상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는, MTC에 대한 3GPP 릴리스 13, 14, 및 15에서 도입된 LTE 향상으로 언급한다. 이는, 지원된 형태가 일반적인 레벨에서 유사함에도, NB-IoT(소정의 릴리스에 대해서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기)로부터의 논의와 분리되는 것이다.
eMTC 및 NB-IoT 모두에 대해서, 'CIoT EPS UP 최적화' 및 'CIoT EPS CP 최적화' 시그널링 감소가, 또한, Rel-13에서 도입되었다. 전자(여기서, UP-솔루션으로서 언급)는, UE가 이전에 저장된 RRC 접속을 재개하도록 허용한다(따라서, RRC 서스펜드/재개로서도 공지). 후자(CP-솔루션으로서 언급)는 NAS(non-access stratum)에 걸친 사용자-평면 데이터(DoNAS로서도 공지)의 전송을 허용한다.
"레거시" LTE와 eMTC에 대해서 및 NB-IoT에 대해서 규정된 절차 및 채널 사이의 다수의 차이가 있다. 일부 중요한 차이는,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과 같은 새로운 물리적인 채널(eMTC에서 MPDCCH 및 NB-IoT에서 NPDCCH로 불림), 및 NB-IoT에 대한 새로운 물리적인 랜덤 액세스 채널(NPRACH)을 포함한다. 또 다른 중요한 차이는, 이들 기술들이 지원할 수 있는 커버리지 레벨(커버리지 향상 레벨로서도 공지)이다. 전송된 신호 및 채널에 반복을 적용함으로써, eMTC 및 NB-IoT 모두는 UE 동작이 LTE와 비교해서 매우 낮은 SNR 레벨로 다운되게 하는데, 즉, Es/Iot ≥ -15 dB는 "레거시" LTE에 대한 Es/IoT ≥ - 6 dB과 비교할 수 있는 eMTC 및 NB-IoT에 대한 최저 동작 포인트이다.
LTE-M 및 NB-IoT에 대한 Rel-16 작업 아이템 설명은, 사전 구성된 자원에서 전송에 의한 업링크 전송 효율성 및/또는 UE 전력 소비를 개선하는 것에 관한 공통 목표를 포함한다. UL 전송 효율성 및/또는 UE 전력 소비 개선 작업에는, 유효한 타이밍 어드밴스를 갖는 UE에 대한 SC-FDMA 파형에 기반한 아이들 및/또는 접속된 모드에서 사전 구성된 자원에서의 전송을 위한 지원을 특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 작업은 RAN1, RAN2 및 RAN4를 의미한다. 공유된 자원 및 전용 자원 모두가 수반될 수 있지만, 본 방안은 직교(다중) 액세스 방안에 제한될 수 있다.
전용의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은 본 개시에서 D-PUR로서 언급한다. 지금까지, RRC 아이들 모드에서 D-PUR이 지원되는 것, "원-샷(one-shot) D-PUR"로도 공지된, 하나의 D-PUR 전송에 대한 주기적인 구성 및 모두를 지원되는 것에 합의했다.
WI-목표(Objective)에 의해서 위임된 바와 같이, UE는 PUR을 사용하기 위한 유효한 TA(Timing Advance)를 가져야 하고, TA가 여전히 유효한지 체크하기 위한 기준 중 하나가 아이들 모드 타이밍 어드밴스 타이머(TAT)인 것에 RAN1에 의해서 동의했다. TAT는, 이것이 유효한 것으로 자체의 현재 타이밍 어드밴스(TA) 값을 얼마나 오래 고려할지를 제한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UE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접속된 모드 동작 동안, 네트워크는 정규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UE의 TA를 업데이트한다. UE가 아이들 모드로 전이되면, TAT에 의해서 규정된 주기 동안 유효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가장 최근의 TA를 고려하고, TAT는 가장 최근 TA의 UE의 수신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에 대응한다. 물론, UE는 셀 신호 강도, 셀 변경 등에 대한 TA 유효성을 더 컨디셔닝(조정)할 수 있다.
UL 전송 효율 및/또는 UE 전력 소비를 개선하는데 있어서 합의된 개선에 대해서와 같이, 아이들 모드에서, UE는 TA를 입증할 때 다음 속성 중 하나 이상을 적어도 고려할 것에 동의했다(다수의 속성의 조합이 허용됨): (1) 서빙 셀 변경(서빙 셀은 UE가 캠핑을 하고 있는 셀을 언급), (2) 아이들 모드에 대한 TAT, (3) 서빙 셀 RSRP 변경(서빙 셀은 UE가 캠핑하고 있는 셀을 언급 및 예의 측정에 대해서 Rel-15 TS36.214 참조). 고려될 수 있는 다른 속성은, 이웃 셀 RSRP 변경, >=2 eNB의 TDOA, TA 히스토리, 구독(subscription)-기반 UE 차별화, 및 높은 이동성 UE에 대한 관심의 속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UE는, TA 입증 속성을 디스에이블하기 위한 지원과 함께, 적어도 아이들 모드에 대한 TAT 및 서빙 셀 RSRP 변경을 TA 입증 속성으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UE의 TA 입증 구성은 "PUR TAT"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UE는, (현재 시간 - 마지막 TA 업데이트의 시간) > PUR TAT이면 자체의 TA를 무효로 고려한다. PUR TAT를 특정 및 구성하는데 유연성이 있을 수 있다. UE는 주어진 셀 내에서 자체의 TA를 유효로서 항상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UE의 PUR TAT를 무한으로(만료 없음) 설정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그런데, UE는, 유한(non-infinite) 타이머 또는 카운터 메커니즘을 사용해서, 자체의 TA를 PUR 상에서 전송하고 있을 때 유효한 것으로 고려하는 시간을 제한한다. 여기서, 용어 "타이머/카운터"는 타이머 메커니즘 또는 카운터 메커니즘을 표시한다. 일례의 타이머 메커니즘, 또는, 간단히 "타이머"는, 경과된 시간을 추적하기 위해서 소정 레이트로 카운트 업 또는 다운하고 UE의 마지막 TA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는 주기를 규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례의 카운터 메커니즘, 또는, 간단히, "카운터"는, 예를 들어, 규정된 제한까지 카운트 업 또는 다운되고, "PUR 기회"와 같은 이벤트를 카운트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PUR 기회의 하나의 예로서, UE 또는 UE의 그룹에 대한 PUR 할당은 주기적으로 재발생하는 업링크 자원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재발생은 하나의 PUR 기회를 구성한다.
따라서, 타이머/카운터가 만료 또는 자체의 규정된 제한에 도달할 때마다, UE는 자체의 TA를 무효로 간주하고, 대응해서 PUR 상에서 전송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PUR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재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PUR 제공으로 인해 발생한 시그널링 오버헤드에서의 감소를 일정 규모 약화시킨다.
본 개시에 개시된 기술의 하나의 측면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서 포함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TA 업데이트를 UE가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PUR 상에서 업링크(UL) 전송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해서 자체의 TA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이를 사용하는 타이머/카운터를 UE가 리프레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PUR 상에서 UE에 의한 UL 전송에 응답해서,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된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된 TA 업데이트에 기반해서 유효성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UE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타이머/카운터 "만료"의 결과로서 PUR을 재구성하기 위한 필요성을 회피함으로써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여기서, 용어 "만료(expiration)"는 주기 타이머 또는 카운터의 소진(즉, 카운터가 규정된 카운트 제한에 도달) 또는 모두를 넓게 표시한다.
PUR 상의 UL 전송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해서 자체의 TA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UE에 의해서 사용된 유효성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기 위한 상기된 메커니즘에 의해서 얻어진 일부 장점들을 이해하기 위해서(이하, 간단히, 'UE의 타이머/카운터'라고 함), 레거시 동작에 있어서, Msg2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에서 UE에 제공되는 것을 고려하자. UE가 접속된 모드에 있는 경우, e노드B는 UE에 대한 TA를 계속 추정하고, 교정(즉, 조정)이 요구되면, UE에 TA 커맨드 MAC 제어 엘리먼트를 송신한다.
RAN2에서, 대안적인 페일-세이프(fail-safe) 메커니즘이 논의되었다. 즉, 다수의 n PUR 기회에만 구성된 PUR을 적용한다(그 후 PUR은 다시 구성되어야 함). 하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는, 또한, 이 경우에 적용한다. 즉, n에 대한 카운터(실시예에 따라서 n까지 카운트 업 또는 제로까지 카운트 다운)는 TA 업데이트에 따라서 리셋된다. 이하에 있어서, 카운터는 편의를 위해서 PUR 기회 카운터로 언급될 수 있다.
PUR의 경우, UE가 RRC 아이들 모드인 경우, PUR 전송을 위한 시그널링(예를 들어, L1(ACK) 또는 L2/L3 시그널링) 동안 TA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 있다. 지금까지, DCI를 통해서 또는 레거시 RA 절차, CP(Rel-13 DoNAS)/UP(RRC 서스펜드/재개) 절차 또는 EDT(Early Data Transmission) 절차에 대한 폴백(fallback)을 통해서, TA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한지가 논의되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제안은, PUR을 통한 UL 전송 후 TA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구성된 값 또는 규정된 시작 값으로 UE의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예를 들어, 리셋)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타이머/카운터가 아웃데이트된 TA와 함께 PUR 상의 전송을 회피하기 위한 페일 세이프 메커니즘으로서 자체의 의도한 역할을 계속 서비스하도록 허용하지만 타이머/카운터가 자체의 할당된 PUR 상의 UL 전송을 수행하는 UE와 함께 리프레시되도록 허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UE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포함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의한 PUR-기반 전송과 관련해서 타이밍 TA 유효성을 위한 유사 (매칭) 타이머/카운터를 유지한다. 이러한 접근은, TA가 UE 타임 아웃일 때마다/일 때를(무효로 간주)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추적하도록 허용한다. 대응해서, TA가 UE에 대해서 송신된 DCI에서 업데이트될 때,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타이머/카운터의 자체의 카피를 리프레시하고, UE는 동일한 것을 행한다. 이 조인의 하나의 측면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와 UE 사이에서 타이머/카운터 카피의 재시작 또는 동기화하고, UE는 리프레시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합의된 타이머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리프레시는 DCI 수신 시간과 함께 또는 다음의 제1PUR 기회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고려 중인 시나리오에 있어서, UE는 PUR 상의 UL 전송을 수행하고 포함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UL 전송을 성공적으로 수신한다. (여기서, 포함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UE가 아이들-모드 캠핑 중인 서빙 무선 기지국이 될 수 있다.) UL 전송의 자체의 성공적인 수신에 응답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대한 "L1-ACK"를 전송하고, 전송은 DCI에 TA 업데이트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MTC의 경우 DCI 포맷 6-0A 또는 DCI 포맷 6-0B, NB-IoT의 경우 DCI 포맷 N0). TA 업데이트 수신에 응답해서, UE는 자체의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데, 이는, 다시, PUR TAT 또는 PUR 기회 카운터가 될 수 있다. 리프레시는 합의된 또는 사전 규정된 시간에서 일어난다. 예를 들어, UE는 TA 업데이트 수신에 따라서 또는 다음 PUR 기회에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UE의 타이머/카운터의 자체의 카피를 리프레시하므로, UE에서 TA가 PUR 상에서 UE에 의한 전송에 대해서 부실(stale)하게 되는지/부실하게 될 때의 인식을 유지한 수 있다.
또 다른 고려된 예에 있어서, 성공적이지 않은 PUR 전송의 경우 및 DCI(예를 들어, MTC에 대한 DCI 포맷 6-0A 또는 DCI 포맷 6-0B, 및 NB-IoT에 대한 DCI 포맷 N0) 내에 TA 업데이트를 포함하는 "UL Grant"를 수신함에 따라서, UE는 자체의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예를 들어, 재시작)한다. 다시, 관련된 무선 네트워크 노드도 자체의 유사 타이머를 리프레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UE가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L1-ACK" 또는 "L2-ACK" 또는 "UL Grant"를 수신함에 따라서, UE의 타이머/카운터의 재시작은 규정된 시점에서 유효하게 된다(예를 들어, "ACK" 또는 "UL Grant"의 수신 후 수 밀리초).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규정된 시점 또는 UE를 구성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규정된 시간에 대한 합의를 위해서 핸드셰이크(handshake) 시그널링을 교환하므로, UE 및 무선 네트워크 노드 모두는 타이머/카운터의 그들 각각의 카피의 리프레시를 동기화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의 구현 또는 시나리오에 있어서, PUR이 TA가 셀 내에서 항상 유효한 시나리오에 대해서 구성되면(예를 들어, 작은 셀 시나리오에서), UE가 "L1-ACK" 또는 "L2-ACK" 또는 "UL Grant"를 수신함에 따라서 타이머/카운터는 재시작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의 구현 또는 시나리오에 있어서, PUR가 사용되는 시나리오와 관계없이, UE가 "L1-ACK" 또는 "L2-ACK" 또는 "UL Grant"를 수신함에 따라서 타이머/카운터를 재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이 네트워크에 의해서 구성 가능하다.
또 다른 예의 구현 또는 시나리오에 있어서, RA/EDT 절차를 통해서 TA를 업데이트할 때, TA 타이머/PUR 기회 카운터가 UE 및 무선 네트워크 노드 모두에서 재시작된다. 조인트 재시작 시간, 예를 들어, Msg2에서 RAR(Random Access Response)의 수신 시간, 뒤따르는 제1PUR 기회의 시간이 합의된다. 이 실시예는, 또한, 소정의 트렁케이트된 RA/EDT 절차에 적용되는데, 이는, 새로운 TA를 획득하기 위해서만 사용되고, 이는, 3GPP에서 설명되었다.
또 다른 예의 구현 또는 시나리오에 있어서, TA가 L1 시그널링을 통해서 업데이트되면(예를 들어, DCI를 통해서), UE는 UE의 타이머/카운터가 리프레시된 것을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컨펌(확인)한다. UE로부터의 리프레시 컨포메이션(confirmation)은, 네트워크가 L2/L3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UE에 TA 업데이트를 제공하면(이러한 시그널링이 UE로부터 애크날리지먼트 피드백을 포함하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고, 이는, UE 및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 타이머/카운터 리프레시를 동기화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UE는 다음 PUR 전송 기회 동안 리프레시 컨포메이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컨포메이션 인디케이션은 명시적이거나 또는 암시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UE가 다음 PUR 기회 전에 접속을 수립하면, 이는, 접속을 수립하는 것과 관련해서 컨포메이션 인디케이션(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을 제공한다. 접속 메커니즘의 예는, 레거시 랜덤 액세스(RA) 절차, DoNAS 또는 RRC 서스펜드/재개 또는 EDT(Early Data Transmission)를 포함한다.
도 1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및 무선 통신 장치(12)를 묘사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4)의 랜덤 액세스 네트워크(RAN)와 관련된다. 코어 네트워크(CN)와 함께 RAN(14)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6)를 형성하는데, 이는, 도면에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은 또 다른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는, 예를 들어, 이를 인터넷과 같은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20)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2)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비제한하는 예에 있어서, 네트워크(16)는 와이드 영역 액세스 네트워크(Wide Area Access Network) 또는 WAN, 3GPP 사양에 기반한 셀룰러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예의 구현은, LTE-기반(4G) 구현만 아니라 뉴 라디오(N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5G 구현을 포함한다. 4G 또는 5G 명명법을 사용하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소정 타입의 무선 네트워크 기지국인 "eNB" 또는 "gNB"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12)는, 기본적으로, 제공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네트워크(16)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필요한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 및 대응하는 보안 및 프로토콜 지원을 포함하는 소정 타입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다르게 표시하지 않는 한, 용어 "사용자 장비", "UE" 및 "무선 통신 장치"는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상기 본 개시에서 기술된 네트워크-측면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화된 네트워크 노드 또는 클라우드 구현된 처리 노드와 같은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본 개시에서 기술된 네트워크 측면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한다. 하나 이상의 예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2)는 상기 본 개시에서 기술된 장치 측면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무선 통신 장치(12) 및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대한 또 다른 예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이러한 세부 사항이 소정 시나리오 또는 사용 케이스에서 유리할 수 있지만, 이들은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성에 대해서 제한하지 않는다.
도시된 예의 구현에서 무선 통신 장치(12)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22)를 포함하고,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수신 및/또는 전송을 위한 잠재적으로 많은 수의 안테나(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어 "안테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가, 예를 들어, 빔포밍을 위한 안테나 엘리먼트의 하나 이상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경우와 같이, "안테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예의 세부 사항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12)는 안테나(22)로부터 통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계층 접속성을 제공하는 통신 회로(30)를 포함한다. 일례로서, 통신 회로(30)는, 네트워크(16)에 의해서 사용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 및 관련된 시그널링 프로토콜에 따른, 셀룰러 또는 다른 무선 통신을 위해서 구성된 수신기 회로(32) 및 전송기 회로(34)를 포함한다. 통신 회로(30)는, 예를 들어, BLUETOOTH, WIFI, 또는 다른 로컬 접속성을 지원하는 또 다른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장치(12)는 또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 다른 컴포넌트는 처리 회로(36)를 포함하는데, 이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리지(38)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다. 처리 회로(36)는 고정 회로, 프로그램된 회로, 또는 고정 및 프로그램된 회로의 혼합을 포함한다. 기능적으로, 처리 회로(36)는 통신 회로(30)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것과 관련된 적어도 일부 베이스밴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회로(36)는 전체 통신 및 제어 처리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처리 회로(36)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디지털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3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장치(12)가 본 개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동작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토리지(38)는 무선 통신 장치(12)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40)(도면에서 "CP"로 약칭)에 대한 비-일시적인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타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38)는 구성 데이터(42)(도면에서 "CFG. DATA"로 약칭)의 하나 이상의 아이템과 같은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성 데이터(42)는,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통한 TA 업데이트 수신에 응답해서 UE의 유효성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기 위한 합의 기반 시간을 규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것은 영구적이거나 또는 변경할 수 없는 스토리지를 반드시 의미하지 않고, 적어도 일부 지속적인 커노트 스토리지(connote storage)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해서, 스토리지(38)는, 처음에 비휘발성인 및 나중에 휘발성이 되는, 프로그램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 및 작업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는 FLASH, EEPROM, SRAM, 및 DRAM 회로 및/또는 고체-상태 디스크 스토리지 중 소정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장치(12)와 비교해서 큰 복잡성을 갖고 높은 전력에서 동작할 수 있음에도, 유사한 세부 사항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적용되고, 이는, 네트워크(16) 내의 다른 노드 또는 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12)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넓게,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통신 회로(50)를 포함하는데, 이는, 안테나(24)로부터 통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물리적 계층 접속성을 제공한다. 일례로서, 통신 회로(50)는, 네트워크(16)에 의해서 사용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 및 관련된 시그널링 프로토콜에 따른, 셀룰러 또는 다른 무선 통신을 위해서 구성된 수신기 회로(52) 및 전송기 회로(54)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로는 비교적 큰 수의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접속 및 관련된 처리를 지원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자원 풀(pool) 또는 다른 복수의 구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컴포넌트는 처리 회로(56)를 포함하는데, 이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리지(58)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와 관련된다. 처리 회로(56)는 고정 회로, 프로그램된 회로, 또는 고정 및 프로그램된 회로의 혼합을 포함한다. 기능적으로, 처리 회로(56)는 통신 회로(50)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것과 관련된 적어도 일부 베이스밴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회로(56)는 전체 통신 및 제어 처리 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처리 회로(56)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디지털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5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노드(10)가 본 개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동작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토리지(58)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60)(도면에서 "CP"로 약칭)에 대한 비-일시적인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타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58)는 구성 데이터(62)("CFG. DATA"로 약칭)의 면에서 하나 이상의 아이템과 같은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비일시적인" 것은 영구적이거나 또는 적어도 변경할 수 없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고, 적어도 일부 지속적인 캐노트 스토리지(connote storage)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해서, 스토리지(58)는, 처음에 비휘발성인 및 나중에 휘발성이 되는 프로그램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 및 작업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는 FLASH, EEPROM, SRAM, 및 DRAM 회로 및/또는 고체-상태 디스크 스토리지 중 소정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명세서의 상기 설명 및 다른 설명에 있어서, 아이템, 엔티티 또는 컴포넌트에 대한 참조는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 구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에 대한 참조는, 단일 프로세서 구현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포함된 기능 중 다양한 기능에 대해 협동해서 동작하는 복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구현을 광범위하게 망라한다. 마찬가지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와 같은 "노드"에 대한 참조는 다중 노드 또는 분산된 구현을 제외하지 않는다.
도 2의 예시를 염두에 두고, 무선 통신 장치(12)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다. 무선 통신 장치(12)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신호를 전송하고 이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구성된 통신 회로(30) 및 통신 회로(30)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는 처리 회로(36)를 포함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의 처리 회로(36)는, (a) 규정된 제한에 도달하지 않은 장치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카운터 상에서 조정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 상에서 업링크(UL) 전송을 수행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는 타이머/카운터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의 또 다른 사용을 억제하고; (b) 수행된 UL 전송에 응답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및 (c) 장치에 대한 TA(Timing Advance) 업데이트를 표시하는 리턴 시그널링에 응답해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쉬하도록 구성된다.
일례에 있어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시작하는 또는 구성된 값으로 타이머/카운터를 리셋하는 것을 포함한다. 동일한 또는 또 다른 예에 있어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규정된 시간에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규정된 시간은 리턴 시그널링의 수신 시간이 될 수 있거나 또는 다음 PUR 기회에 대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의 실시예의 타이머/카운터는, 적어도 PUR 상의 UL 전송을 수행하는 것에 관해서, 장치가 유효한 것으로 마지막 수신된 TA 값을 고려하는 시간의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서 동작의 아이들 모드에서 장치에 의해서 사용된 타이밍 정렬 타이머(TAT)이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타이머/카운터는 PUR 기회를 카운트하는 기회 카운터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장치(12) 내에서 구현 및 동작하는 예의 타이머/카운터(37)를 도시한다. 타이머/카운터(37)는 전용의 하드웨어 유닛이 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의 실행을 통해서 처리 회로(3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 또는 매칭 타이머/카운터(57)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서 유지될 수 있다(이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서 지원된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중 각각의 하나에 대응하는 다수의 타이머/카운터 카피를 유지할 수 있다).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예의 구현 또는 시나리오에 있어서, 노드에 의해서 전송된 계층-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응해서, 방법은, 장치(12)가, 타이머/카운터의 리프레시를 컨펌하기 위해서 컨포메이션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36)는 계층-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대한 Ack로서 컨포메이션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컨포메이션 시그널링은 다음 PUR 기회에서 또는 네트워크에 장치에 의한 다음 접속에 따라서, 특히, 다음 PUR 기회 전에(에 앞서) 다음 접속될 때, 송신될 수 있다. 컨포메이션 인디케이션은 명시적 또는 암시적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타이머/카운터(도 2의 타이머/카운터(57))의 자체의 카피를 리프레시하기 위한 트리거로서 컨포메이션을 사용한다. 네트워크(16)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12)로 송신되는 리턴 시그널링은, 또한, RRC 시그널링과 같은 계층-2 또는 계층-3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장치(10)는 컨포메이션을 송신하기 위해서 관련된 L2/L3 애크날리지먼트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도 2의 예의 콘택스트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노드(1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장치(10)에 신호를 전송하고 이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구성된 통신 회로(30)를 포함하고, 통신 회로(30)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는 처리 회로(56)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a) 통신 회로과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는 처리 회로(56)와 함께, 무선 통신 장치(12)에 신호를 전송하고 이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회로(50)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56)는, (a)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 상에서 UL 전송을 수신하고, UL 전송은 무선 통신 장치(12)로부터 송신되며, (b) UL 전송에 응답해서 장치(12)에 대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리턴 시그널링은 장치(12)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TA)를 표시하며, 및 (c) TA 업데이트에 응답해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노드(10) 내의 일례의 타이머/카운터(57)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타이머/카운터(57)는 순수한 하드웨어-기반 타이머/카운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의 실행을 통해서 처리 회로(56)에 구현된 타이머/카운터를 포함한다. 어느 경우든, 노드에 의해 유지된 타이머/카운터는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해서 유지된 유사 타이머/카운터와 매칭한다. 장치(12)는, 유사 타이머/카운터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을 사용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유사 타이머/카운터 상에서 PUR의 자체 사용을 조정하고, 및 노드(10)로부터 수신하는 TA 업데이트에 응답해서 유사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한다.
노드(10)에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예를 들어, 규정된 시간에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규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리턴 시그널링의 전송에 대응하거나 또는 다음 PUR 기회에 대응한다. 타이머/카운터 리프레시가 고정된(pinne to) 시간에 관계없이, 시간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와 무선 통신 장치(12) 사이에서 상호 공지되어야 하므로, 노드(10) 및 장치(12)는 타이머/카운터의 그들 각각의 카피를 싱크(sync)로 유지한다.
일례의 구현 또는 시나리오에 있어서, 노드(10)로부터 장치(12)로 송신된 리턴 시그널링은 계층-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대응해서, 처리 회로(56)는 장치(12)로부터 컨포메이션을 수신함에 따라서 노드(10) 내에 유지된 타이머/카운터의 리프레시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컨포메이션은 장치(12)가 자체의 유사 타이머/카운터를 갖거나 또는 리프레시할 것을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표시한다.
또 다른 예의 구현 또는 시나리오에 있어서, 처리 회로(56)는 계층-2 또는 계층-3 네트워크 시그널링으로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예에 있어서, 노드(10)는 장치(12)로부터 대응하는 L2/L3 애크날리지먼트 시그널링을 수신함에 따라서 타이머/카운터의 자체의 카피를 리프레시하는 것을 조정한다.
도 3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300)을 도시한다. 방법(300)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지만, 방법(300)의 구현은 도 2에 묘사된 회로의 예의 배열(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방법은, 장치(12)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하지 않은 장치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카운터 상에서 조정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 상에서 UL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블록 302). 이 콘텍스트에 있어서, 장치(12)는 타이머/카운터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의 또 다른 사용을 억제하고, 제한은 구동 타이머의 만료 또는 규정된 카운트 제한에 도달하는 것으로서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카운트는 장치(12) 내에 저장된 가장 최근 TA 값이 장치(12)가 TA 업데이트를 수신하지 않고 유효로 유지하는 PUR 기회의 최대 수를 규정한다.
방법(300)은, 장치(12)가 UL 전송에 응답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블록 304), 및 장치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TA) 업데이트를 표시하는 리턴 시그널링에 응답해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블록 306)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예를 들어, 타이머/카운터를 구성된 값으로 또는 디폴트 값(예를 들어, 타이머/카운터의 규정된 시작 값)으로 리셋하는 것을 포함한다. 타이머/카운터가 증분 구동 카운터이면, 이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이를 시작 카운트 값으로 리셋하는 것을 포함한다. 타이머/카운터가 대응하는 규정된 최대 카운트를 갖는 증분 카운터이면, 이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이를 제로 카운트 또는 다른 시작 값으로 리셋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300)의 성능에 대한 특정 예의 구현 또는 콘텍스트에 있어서, 장치(12)는 아이들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고 노후(aging) TA를 갖는데, 즉, 네트워크(16)에 의해서 장치에 제공되는 마지막 TA는 오래되거나 진부한(stale) 것이 된다. 장치(12)는, TA의 유효성을 시간-제한하기 위해서 장치(12)에 의해서 사용된 타이머/카운터가 소진(만료 또는 자체의 카운트 제한에 도달)되었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적어도 PUR 상의 사용자 데이터의 고려된 전송에 관해서, 자체의 TA를 유지할지를 결정한다.
TA가 여전히 타이머/카운터에 대해 유효하면, 장치(12)는 PUR 상에서 UL 전송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장치(12)의 업링크 전송 버퍼에 유지됨에 따라서, 장치(12)에서 사용 가능한 일부 또는 모든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한다.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PUR 상의 UL 전송을 수신하고 장치(12)에 대한 리턴 시그널링(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장치(12)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다고 상정하고, 다운링크 제어 정보가 장치(12)에 대한 TA 업데이트를 표시하면, 장치는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고, 이에 의해서, 타이머/카운터의 소진 전에 시간을 연장한다.
도 4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예를 들어, eNB 및 다른 기지국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400)을 도시한다. 방법(400)은, 도 2에 도시된 노드(1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지만, 방법(400)의 구현은 도 2에 묘사된 회로의 예의 배열(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방법은, 노드(10)가 PUR 상의 UL 전송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데(블록 402),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2)는 규정된 제한에 도달하지 않은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카운터 상에서 조정된, PUR 상에서 UL 전송을 수행한다. 이 콘텍스트에 있어서, 장치(12)는 자체의 타이머/카운터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의 또 다른 사용을 억제하고, 제한은 구동 타이머의 만료 또는 규정된 카운트 제한에 도달하는 것으로서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카운트는 장치(12) 내에 저장된 가장 최근 TA 값이 장치(12)가 TA 업데이트를 수신하지 않고 유효로 유지하는 PUR 기회의 최대 수를 규정한다.
방법(400)은, 노드(10)가 UL 전송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장치(12)에 대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블록 404). 리턴 시그널링은 장치(12)에 대한 TA 업데이트를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표시한다. 대응해서, 방법(400)은, 노드(10)가, TA 업데이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노드(10) 내에 유지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을 포함한다(블록 406). 여기서, 노드(10) 내의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예를 들어, 타이머/카운터를 구성된 값으로 또는 디폴트 값(예를 들어, 타이머/카운터의 규정된 시작 값)으로 리셋하는 것을 포함한다. 노드(10) 내의 타이머/카운터가 증분 구동 카운터이면, 이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이를 시작 카운트 값으로 리셋하는 것을 포함한다. 노드(10) 내의 타이머/카운터가 대응하는 규정된 최대 카운트를 갖는 증분 카운터이면, 이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이를 제로 카운트 또는 다른 시작 값을 리셋하는 것을 포함한다.
노드(10) 내의 타이머/카운터는 장치(12) 내에 유지되는 타이머/카운터에 대응한다. 장치(12) 내에 유지된 타이머/카운터와 싱크로 노드의 타이머/카운터를 유지하는 것은, 장치(12)가 적어도 PUR 상의 장치에 의한 고려된 UL 전송에 관해서 자체의 TA를 유효 또는 무효로 고려하는지를 노드(10)가 주어진 시간에서 알게 한다.
방법(300)에 도시된 장치-기반 기능은 기능적인 처리 모듈 또는 유닛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2)에 대한 도 2에 나타낸 처리 회로(36)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디지털 처리 회로에 의한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의 실행에 기반한 특별히 적응된 처리 회로로서 실현된다.
도 5에 나타낸 예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2)의 처리 모듈 또는 유닛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하지 않은 장치(12)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카운터 상에서 조정된, PUR 상에서 UL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68)을 포함한다. 장치(12)는 타이머/카운터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의 또 다른 사용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장치(12)는, UL 전송에 응답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로부터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70) 및 장치(12)에 대한 TA 업데이트를 표시하는 리턴 시그널링에 응답해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도록 구성된 리프레시 모듈(72)을 더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방법(400)에 도시된 노드-기반 기능은 기능적인 처리 모듈 또는 유닛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대한 도 2에 나타낸 처리 회로(56)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디지털 처리 회로에 의한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의 실행에 기반한 특별히 적응된 처리 회로로서 실현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의 실시예에 있어서, 노드(10)는 PUR 상의 UL 전송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82)을 포함하고, 여기서, UL 전송은 무선 통신 장치(12)로부터 송신되며, 예를 들어, 장치(12)에 의한 PUR 상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이다. 노드(10)는, UL 전송에 응답해서, 장치(12)에 대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84)을 더 포함한다. 리턴 시그널링은 장치(12)에 대한 TA 업데이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은 장치(12) 내에 저장된 현재 TA에 대한 조정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을 표시한다(현재 TA와 동일한 값의 업데이트된 TA를 수신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더욱이, 노드(10)는 노드(10)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도록 구성되는 리프레시 모듈(86)을 포함하고, 리프레시는 TA 업데이트를 송신하는 노드(10)에 응답한다. 노드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카운터는 장치(12)에 의해서 유지된 유사 타이머/카운터와 매칭하고, 여기서, 장치(12)는 유사 타이머/카운터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을 사용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유사 타이머/카운터 상의 PUR의 자체 사용을 컨디셔닝한다. 장치는 TA 업데이트에 응답해서 유사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한다.
도 5 및 6 및 그 밖의 콘택스트에 있어서, 용어 유닛은 전자, 전기 장치 및/또는 전자 장치의 분야에서 "통상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은 이슈가 통상적인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대신 포함된 유닛을 인스턴스화하거나 또는 실현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통상적임을 의미한다. 유닛 구현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전기 및/또는 전자 회로, 장치(device), 모듈, 프로세서, 메모리, 로직 고체 상태 및/또는 이산 장치, 본 개시에 기술된 것들과 같은 각각의 태스크, 절차, 계산,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및/또는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상세한 설명
본 개시에 기술된 주제가 소정의 적합한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소정의 적합한 타입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개시에 기술된 실시예는, 도 QQ1(도 7)에 도시된 예의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관련해서 기술된다. 단순화를 위해서, 도 QQ1(도 7)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네트워크(QQ106), 네트워크 노드(QQ160 및 QQ160b) 및 WD(QQ110, QQ110b, 및 QQ110c)만을 묘사한다. 실제로,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장치들 사이의 또는 무선 장치와 랜드라인 전화기, 서비스 제공자, 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엔드 장치와 같은 또 다른 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적합한 소정의 추가적인 엘리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포넌트의, 네트워크 노드(QQ160) 및 무선 장치(WD)(QQ110)는 추가적인 세부 사항으로 묘사된다.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장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또는 이를 통해서 제공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무선 장치에 통신 및 다른 타입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소정 타입의 통신, 원격 통신, 데이터, 셀룰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또 다른 유사한 타입의 시스템을 포함 및/또는 이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는 특정 표준 또는 다른 타입의 사전 규정된 규칙 또는 절차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실시예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유니버셜 이동 원격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Long Term Evolution) 및/또는 다른 적합한 2G, 3G, 4G, 또는 5G 표준과 같은 통신 표준, IEEE 802.11 표준과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표준, 및/또는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블루투스 Z-웨이브(Wave) 및/또는 지그비(ZigBee) 표준과 같은 소정의 다른 적합한 무선 통신 표준을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QQ106)는 하나 이상의 백홀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IP 네트워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광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W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및 장치들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QQQ160) 및 WD(QQ110)는 이하 더 상세히 기술된 다양한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및 무선 통신 장치(12)에 대응할 수 있다. 노드 및 장치 컴포넌트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무선 장치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함께 작업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는 소정 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제어기, 무선 장치, 중계국 및/또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한 데이터 및/또는 신호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이에 참가할 수 있는 소정의 다른 컴포넌트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용어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장치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할 수 있는 및/또는 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능(예를 들어, 관리)을 수행하기 위해서, 무선 장치와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장비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하도록 구성된, 배열된 및/또는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장비를 언급한다. 네트워크 노드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액세스 포인트(AP)(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BS)(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 노드 B, 진화된 노드 B(eNB) 및 NR 노드B(gNB))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이들이 제공하는 커버리지의 양(또는, 달리 말하면, 그들의 전송 전력 레벨)에 기반해서 분류될 수 있고, 그러면 펨토 기지국, 피코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또는 매크로 기지국으로서 언급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릴레이 노드 또는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도너 노드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화된 디지털 유닛 및/또는 때때로 RRH(Remote Radio Head)로도 언급되는 RRU(Remote Radio Unit)와 같은 분배된 무선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또는 모든)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격 무선 유닛은, 안테나 통합된 무선(antenna integrated radio)으로서 안테나와 통합되거나 또는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
분배된 무선 기지국의 부분은 분배된 안테나 시스템(DAS; distributed antenna system)에서 노드로서 언급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또 다른 예는, MSR BS와 같은 다중 표준 무선(MSR) 장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또는 기지국 제어기(BSC)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 기지국 송수신기(BTS), 전송 포인트, 전송 노드, 다중-셀/멀티캐스트 코디네이션 엔티티(MCE),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MSC, MME), O&M 노드, OSS 노드, SON 노드, 포지셔닝 노드(예를 들어, E-SMLC) 및/또는 MDT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노드는, 아래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가상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그런데,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할 수 있는 및/또는 액세스를 갖는 무선 장치를 제공하거나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무선 장치에 일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제공하도록 구성된, 배열된 및/또는 동작 가능한 소정의 적합한 장치(또는 장치의 그룹)를 나타낼 수 있다.
도 QQ1(도 7)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QQ160)는 처리 회로(QQ170),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80), 인터페이스(QQ190), 보조 장비(QQ184), 전력 소스(QQ186), 전력 회로(QQ187), 및 안테나(QQ162)를 포함한다. 도 QQ1(도 7)의 예의 무선 네트워크 내에 도시된 네트워크 노드(QQ160)가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도시된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낼 수 있음에도, 다른 실시예는 다른 조합의 컴포넌트를 갖는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본 개시에 개시된 태스크, 형태, 기능 및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소정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네트워크 노드(QQ160)의 컴포넌트가 더 큰 박스 내에 위치된, 또는 다수의 박스 내에 안착된 단일 박스로서 묘사되지만, 실재로, 네트워크 노드는 단일 도시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다른 물리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80)는 다수의 분리의 하드 드라이브만 아니라 다수의 RA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QQ160)는, 각각이 그들 자체의 각각의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는, 다수의 물리적인 분리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노드B 컴포넌트 및 RNC 컴포넌트, 또는 BTS 컴포넌트 및 BSC 컴포넌트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QQ160)가 다수의 분리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BTS 및 BSC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소정의 시나리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분리의 컴포넌트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 중에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RNC가 다수의 노드B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 있어서, 각각의 고유한 노드B 및 RNC 쌍은, 일부 예에 있어서, 단일의 분리의 네트워크 노드로 고려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QQ160)는 다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컴포넌트는 듀플리케이트될 수 있고(예를 들어, 다른 RAT에 대해서 분리의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80)), 일부 컴포넌트는 재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동일한 안테나(QQ162)가 RAT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QQ160)는, 또한, 예를 들어, GSM, WCDMA, LTE, NR, WiFi,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QQ160) 내에 통합된 다른 무선 기술에 대한 다수의 세트의 다양한 도시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무선 기술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칩 또는 칩의 세트 및 네트워크 노드(QQ160) 내에서 다른 컴포넌트에 통합될 수 있다.
처리 회로(QQ1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결정하는, 계산하는, 또는 유사한 동작(예를 들어, 소정의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QQ170)에 의해 수행된 이들 동작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 내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며, 및/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에 기반해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처리 회로(QQ170)에 의해서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는 것 및, 상기 처리의 결과로서 결정을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QQ17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중앙 처리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컴퓨팅 장치, 자원의 조합, 또는 단독으로 또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8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QQ160) 컴포넌트와 함께 네트워크 노드(QQ160)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QQ170)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80) 또는 처리 회로(QQ170) 내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은, 본 개시에 논의된 소정의 다양한 무선 형태, 기능, 또는 이익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QQ170)는 시스템 온 어 칩(SOC: system on a chip)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QQ17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회로(QQ17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QQ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회로(QQ17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QQ174)는 분리의 칩(또는 칩의 세트), 보드(boards), 또는 무선 유닛 및 디지털 유닛과 같은 유닛 상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RF 송수신기 회로(QQ17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QQ174)는 동일한 칩 또는 칩의 세트, 보드, 또는 유닛 상에 있을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eNB 또는 다른 이러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서 제공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80) 또는 처리 회로(QQ170) 내의 메모리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처리 회로(QQ17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하드-와이어드 방식에서와 같은 분리의 또는 이산된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처리 회로(QQ170)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던지 안하던지, 처리 회로(QQ170)는 상기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에 의해서 제공된 이익은 처리 회로(QQ170) 단독 또는 네트워크 노드(QQ160)의 다른 컴포넌트에 제한되지 않지만, 전체로서 네트워크 노드(QQ160)에 의해서 및/또는 일반적으로 엔드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향유된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80)는, 제한 없이, 영구 스토리지, 고체 상태 메모리, 원격 탑재된 메모리,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제거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플래시 드라이브, CD(Compact Disk)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소정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인 장치 판독 가능한 및/또는 처리 회로(QQ17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소정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80)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하나 이상의 로직, 규칙, 코드,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처리 회로(QQ170)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및, 네트워크 노드(QQ160)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80)는 처리 회로(QQ170)에 의해 이루어진 소정의 계산 및/또는 인터페이스(QQ190)를 통해서 수신된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QQ170) 및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80)는 통합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QQ190)는, 네트워크 노드(QQ160), 네트워크(QQ106) 및/또는 WD(QQ110) 사이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서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QQ190)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예를 들어, 유선 접속을 통해서 네트워크(QQ106)에 송신 및 이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포트(들)/단말(들)(194)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QQ190)는, 또한, 안테나(QQ162)에 결합될 수 있는, 또는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그 부분이 될 수 있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92)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92)는 필터(QQ198) 및 증폭기(QQ196)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92)는 안테나(QQ162) 및 처리 회로(QQ170)에 접속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는 안테나(QQ162)와 처리 회로(QQ170) 사이에서 통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92)는 무선 접속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WD로 송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92)는 필터(QQ198) 및/또는 증폭기(QQ196)의 조합을 사용해서 디지털 데이터를 적합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를 갖는 무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그 다음, 안테나(QQ162)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안테나(QQ162)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데, 이는, 그 다음,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92)에 의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처리 회로(QQ170)로 패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QQ160)는 분리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9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대신, 처리 회로(QQ170)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리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92) 없이 안테나(QQ162)에 접속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또는 일부 RF 송수신기 회로(QQ172)는 인터페이스(QQ190)의 부분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QQ190)는 무선 유닛(도시 생략)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포트 또는 단말(QQ194),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92), 및 RF 송수신기 회로(QQ172)를 포함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QQ190)는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QQ174)와 통신할 수 있는데, 이는, 디지털 유닛(도시 생략)의 부분이다.
안테나(QQ162)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QQ162)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90)에 결합될 수 있고,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소정 타입의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QQ162)는, 예를 들어 2GHz와 66GHz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전방향성, 섹터 또는 패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향성의 안테나는 소정의 방향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섹터 안테나는 특별한 영역 내에서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패널 안테나는 비교적 직선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가시선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일부 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사용은 MIMO로서 언급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QQ162)는 네트워크 노드(QQ16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서 네트워크 노드(QQ160)에 접속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안테나(QQ162), 인터페이스(QQ190), 및/또는 처리 회로(QQ1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수신 동작 및/또는 소정의 획득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무선 장치,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안테나(QQ162), 인터페이스(QQ190), 및/또는 처리 회로(QQ1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전송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무선 장치,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로 전송될 수 있다.
전력 회로(QQ187)는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 또는 이에 결합될 수 있고,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을 네트워크 노드(QQ160)의 컴포넌트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회로(QQ187)는 전력 소스(QQ186)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소스(QQ186) 및/또는 전력 회로(QQ187)는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해서 적합한 형태로(예를 들어,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해서 필요한 전압 및 전류 레벨에서) 네트워크 노드(QQ160)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소스(QQ186)는 전력 회로(QQ187)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QQ160)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QQ160)는 입력 회로 또는 전기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외부 전력 소스(예를 들어, 전기 출구)에 접속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외부 전력 소스는 전력을 전력 회로(QQ187)에 공급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전력 소스(QQ186)는 전력 회로(QQ187)에 접속된 또는 이것 내에 통합된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 형태의 전력의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외부 전력 소스 실패(고장)의 경우 백업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광전지의 장치와 같은 다른 타입의 전력 소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QQ16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기능성 및/또는 본 개시에 기술된 주제를 지원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정의 기능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성의 소정의 측면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는 도 QQ1(도 7)에 나타낸 것들 이외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QQ160)는, 네트워크 노드(QQ160)에 대한 정보의 입력을 허용하고 네트워크 노드(QQ160)로부터 정보의 출력을 허용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네트워크 노드(QQ160)에 대한 진단, 메인터넌스, 수리, 및 다른 관리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QQ160)는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 내에 구현된다: LLS-CU와 같은 중앙 유닛(CU); 및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RU). DL(즉, CU로부터 RU로)에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전송을 위해서 또는 UL(즉, RU로부터 CU로)에서 네트워크 노드(QQ160)에 의해서 수신된 전송을 위해서, CU 및 RU는 프론티홀 네트워크 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서로 통신하며, 특히, 프론트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서로 사용자 데이터 메시지 또는 패킷을 서로 전송한다.
CU 및 RU는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네트워크-측면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회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무선 장치" 또는 "WD"로서도 언급)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구성된, 배열된 및/또는 동작 가능한 장치를 언급한다.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WD는 사용자 장비(UE)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은, 전자기파, 무선파, 적외선의 파, 및/또는 에어를 통해서 정보를 운반하기 적합한 다른 타입의 신호를 사용해서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WD는, 직접적인 휴먼 상호 작용 없이,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D는,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의해서,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해서, 트리거될 때, 사전 결정된 스케줄 상에서 네트워크에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WD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스마트 폰, 모바일 폰, 셀 폰, VoIP(Voice over IP) 폰, 무선 로컬 루프 폰, 데스크탑 컴퓨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스(PDA), 무선 카메라, 게이밍 콘솔 또는 장치, 뮤직 스토리지 장치, 재생 기기, 웨어러블 단말 장치, 무선 엔드포인트, 이동국, 태블릿, 랩탑, 랩탑 매립된 장비(LEE), 랩탑 탑재된 장비(LME), 스마트 장치, 무선 고객 구내 장비(CPE), 차량-탑재된 무선 단말 장치 등을 포함한다.
WD는,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3GPP 표준을 구현함으로써 D2D(device-to-device) 통신, V2V(vehicle-to-vehicle), V2I(vehicle-to-infrastructure), V2X(vehicle-to-everything)을 지원할 수 있고, 이 경우, D2D 통신 장치로서 언급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예로서, IoT(internet of Things) 시나리오에 있어서, WD는, 감시 및/또는 측정을 수행하는 머신 또는 다른 장치를 나타내고, 이러한 감시 및/또는 측정의 결과를 또 다른 WD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의 경우, WD는 머신-투-머신(M2M) 장치가 될 수 있고, 이는 3GPP 콘텍스트에서 머신-타입 통신(MTC) 장치로서 언급될 수 있다. 하나의 특별한 예로서, WD는 3GPP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표준을 구현하는 UE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머신 또는 장치의 특별한 예는, 센서, 전력 미터와 같은 미터링 장치, 산업 기계, 또는, 가정용 또는 개인용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텔레비전 등의), 퍼스널 웨어러블(예를 들어, 시계, 피트니스 트래커(fitness tracker) 등)이다.
다른 시나리오에 있어서, WD는 그 동작 상태 또는 그 동작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감시 및/또는 보고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다른 장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WD는 무선 접속의 엔드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고, 이 경우, 장치는 무선 단말로서 언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된 바와 같은 WD는, 이동(mobile; 모바일)일 수 있고, 이 경우, 이는 또한 무선 장치 또는 이동 단말로서 언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장치(QQ110)는 안테나(QQ111), 인터페이스(QQ114), 처리 회로(QQ120),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QQ132), 보조 장비(QQ134), 전력 소스(QQ136) 및 전력 회로(QQ137)를 포함한다. WD(QQ110)는, 소수만을 언급해서, 예를 들어, GSM, WCDMA, LTE, NR, WiFi, WiMAX,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같은, WD(QQ110)에 의해서 지원된 다른 무선 기술에 대한 하나 이상의 도시된 컴포넌트의 다수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무선 기술은 WD(QQ110) 내의 다른 컴포넌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칩 또는 칩의 세트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안테나(QQ111)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인터페이스(QQ114)에 접속된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QQ111)는 WD(QQ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서 WD(QQ110)에 접속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안테나(QQ111), 인터페이스(QQ114), 및/또는 처리 회로(QQ120)는 WD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수신 또는 전송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또 다른 WD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 및/또는 안테나(QQ111)는 인터페이스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QQ114)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12) 및 안테나(QQ111)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12)는 하나 이상의 필터(QQ118) 및 증폭기(QQ116)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14)는 안테나(QQ111) 및 처리 회로(QQ120)에 접속되고, 안테나(QQ111)와 처리 회로(QQ120) 사이에서 통신되는 신호를 컨디셔닝(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12)는 안테나(QQ111) 또는 그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WD(QQ110)는 분리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1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처리 회로(QQ120)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QQ111)에 접속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RF 송수신기 회로(QQ122)는 인터페이스(QQ114)의 부분으로 고려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12)는 무선 접속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WD로 송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12)는 필터(QQ118) 및/또는 증폭기(QQ116)의 조합을 사용해서 디지털 데이터를 적합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를 갖는 무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그 다음, 안테나(QQ111)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안테나(QQ111)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데, 이는, 그 다음,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QQ112)에 의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처리 회로(QQ120)로 통과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QQ1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중앙 처리 유닛,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컴퓨팅 장치, 자원의 조합 또는 단독으로 또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30)와 같은 다른 WD(QQ110) 컴포넌트와 함께 WD(QQ110)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은, 본 개시에 개시된 소정의 다양한 무선 형태 또는 이익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QQ120)는, 본 개시에 개시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30) 또는 처리 회로(QQ120) 내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회로(QQ120)는 하나 이상의 RF 송수신기 회로(QQ122),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QQ1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QQ126)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WD(QQ110)의 처리 회로(QQ120)는 SO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QQ122),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QQ1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QQ126)는 분리의 칩 또는 칩의 세트가 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QQ1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QQ126)는 하나의 칩 또는 칩의 세트 내에 조합될 수 있고, RF 송수신기 회로(QQ122)는 분리의 칩 또는 칩의 세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RF 송수신기 회로(QQ12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QQ124)는 동일한 칩 또는 칩의 세트 상에 있을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QQ126)는 분리의 칩 또는 칩의 세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RF 송수신기 회로(QQ122),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QQ1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QQ126)는 동일한 칩 또는 칩의 세트 내에 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QQ122)는 인터페이스(QQ114)의 부분이 될 수 있다. RF 송수신기 회로(QQ122)는 처리 회로(QQ120)에 대한 RF 신호를 컨디셔닝(조정)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WD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가 될 수 있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30)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처리 회로(QQ1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하드-와이어드 방식에서와 같이 분리의 또는 이산된 장치 스토리지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처리 회로(QQ120)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이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던지 안하던지, 처리 회로(QQ120)는 기술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에 의해서 제공된 이익은 처리 회로(QQ120) 단독 또는 WD(QQ110)의 다른 컴포넌트에 제한되지 않지만, 전체로서 WD(QQ110)에 의해서 및/또는 일반적으로 엔드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향유된다.
처리 회로(QQ120)는, WD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결정, 계산, 또는 유사한 동작(예를 들어, 소정의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QQ120)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서 이들 동작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WD(QQ110)에 의해서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며, 및/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에 기반해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처리 회로(QQ120)에 의해서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는 것, 및 상기 처리의 결과로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30)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하나 이상의 로직, 규칙, 알고리즘, 코드,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처리 회로(QQ120)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30)는,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대용량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제거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CD(Compact Disk) 또는 DVD), 및/또는 소정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인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 및/또는 처리 회로(QQ1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QQ120) 및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QQ130)는 통합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QQ132)는 휴먼 사용자가 WD(QQ110)와 상호 작용하도록 허용하는 컴포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같은 많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QQ132)는 사용자에 대한 출력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WD(QQ110)에 대한 입력을 제공하게 허용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호 작용의 타입은 WD(QQ110) 내에 인스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QQ132)의 타입에 의존해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D(QQ110)가 스마트 폰이면, 상호 작용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될 수 있고; WD(QQ110)가 스마트 미터이면, 상호 작용은 사용량(예를 들어, 사용된 갤론(gallons)의 수)을 제공하는 스크린 또는 가청 경보(예를 들어, 스모크(smoke)가 검출되면)를 제공하는 스피커를 통해서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QQ132)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회로, 및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QQ132)는 WD(QQ110) 내로의 정보의 입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회로(QQ120)가 입력 정보를 처리하게 허용하도록 처리 회로(QQ120)에 접속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QQ13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근접 센서 또는 다른 센서, 키/버튼, 터치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카메라, USB 포트 또는 다른 입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QQ132)는, 또한, WD(QQ110)로부터의 정보의 출력을 허용하고 처리 회로(QQ120)가 WD(QQ110)로부터의 정보를 출력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QQ132)는, 예를 들어, 스피커, 디스플레이, 바이브레이팅 회로, USB 포트, 헤드폰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출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QQ132)의 하나 이상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회로를 사용해서, WD(QQ110)는 엔드 사용자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이들이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성으로부터 이익을 갖도록 허용한다.
보조 장비(QQ134)는, 일반적으로, WD에 의해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는 더 특정된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이는, 다양한 목적을 위한 측정을 행하기 위한 특화된 센서, 유선 통신과 같은 추가적인 타입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장비(QQ134)의 컴포넌트의 포함 및 타입은 실시예 및/또는 시나리오에 의존해서 변화할 수 있다.
전력 소스(QQ136)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외부 전력 소스(예를 들어, 전기 출구), 광전지의 장치 또는 전력 셀와 같은 다른 타입의 전력 소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WD(QQ110)는, 본 개시에 기술된 또는 표시된 소정의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력 소스(QQ136)로부터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WD(QQ110)의 다양한 부분에 전력 소스(QQ136)로부터의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력 회로(QQ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QQ137)는,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QQ137)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외부 전력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WD(QQ110)는 입력 회로 또는 전력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외부 전력 소스(전기 출구와 같은)에 접속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전력 회로(QQ137)는,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전력 소스로부터 전력 소스(QQ136)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배열체는, 예를 들어, 전력 소스(QQ136)의 차징을 위한 것이 될 수 있다.
전력 회로(QQ137)는, 전력이 공급되는 WD(QQ110)의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해서 적합한 전력을 만들기 위해서, 전력 소스(QQ136)로부터의 전력에 대한 소정의 포맷팅, 변환, 또는 다른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QQ2(도 8)는,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측면에 따른 사용자 장비(UE)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 사용됨에 따라서, UE는, 관련 장치를 소유 및/또는 동작하는 휴먼 사용자의 의미에서 사용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대신, UE는, 특정 휴먼 사용자(예를 들어, 스마트 스프링클러 제어기)와 관련되지 않을 수 있지만, 또는 초기에 관련되지 않을 수 있지만, 휴먼 사용자에 대한 판매 또는 이에 의한 동작을 의도하는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는, 사용자의 이익과 관련될 수 있거나 또는 이를 위해서 동작될 수 있지만, 엔드 사용자에 대한 판매 또는 이에 의한 동작을 의도하지 않는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전력 미터)를 나타낼 수 있다. UE(QQ2200)는, NB-IoT UE, 머신 타입 통신(MTC) UE, 및/또는 향상된 MTCeMTC(eMTC) UE를 포함하여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서 식별한 소정의 UE가 될 수 있다. 도 QQ2(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QQ200)는, 3GPP의 GSM, UMTS, LTE, 및/또는 5G 표준과 같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서 공표된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에 따라서 통신을 위해서 구성된 하나의 예의 WD이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용어 WD 및 UE는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QQ2(도 8)가 UE임에도, 본 개시에 기술된 컴포넌트는 WD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고 반대도 가능하다.
도 QQ2(도 8)에 있어서, UE(QQ2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QQ205), RF 인터페이스(QQ209),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QQ211), RAM(QQ217), ROM(QQ219), 및 스토리지 매체(QQ221)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QQ215), 통신 서브시스템(QQ231), 전력 소스(QQ233), 및/또는 소정의 다른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소정의 조합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회로(701)를 포함한다. 스토리지 매체(QQ22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QQ22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QQ225), 및 데이터(QQ227)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리지 매체(QQ221)는 다른 유사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UE는 도 QQ2(도 8)에 나타낸 모든 컴포넌트를 활용할 수 있거나, 또는 서브세트의 컴포넌트만을 활용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합의 레벨은 하나의 UE로부터 또 다른 UE로 변화할 수 있다. 더욱이, 소정의 UE는 다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기, 전송기, 수신기 등과 같은 다수의 예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QQ2(도 8)에 있어서, 처리 회로(QQ201)는 컴퓨터 명령 및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QQ201)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구현된 상태 머신과 같은 메모리 내의 머신 판독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저장된 머신 명령을 실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소정의 순차적인 상태 머신(예를 들어, 이산 로직, FPGA, ASIC 등의 내부의); 적합한 펌웨어와 함께의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적합한 소프트웨어와 함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일반 목적 프로세서; 또는 상기 소정의 조합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QQ201)는 2개의 중앙 처리 유닛(CPU)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는, 컴퓨터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적합한 형태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묘사된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QQ205)는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또는 입력 및 출력 장치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QQ2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QQ205)를 통해서 출력 장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입력 장치와 동일한 타입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포트는 UE(QQ200)에 대한 입력 및 이로부터의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스피커, 사운드 카드, 비디오 카드, 디스플레이, 모니터, 프린터, 액추에이터, 에미터, 스마트카드, 또 다른 출력 장치,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이 될 수 있다.
UE(QQ200)는, 사용자가 UE(QQ200) 내에 정보를 캡처하도록 허용하기 위해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QQ205)를 통해서 입력 장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터치 민감한 또는 존재 감지형 디스플레이, 카메라(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웹 카메라 등), 마이크로폰, 센서, 마우스, 트랙볼, 방향 패드, 트랙패드, 스크롤 휠, 스마트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존재 민감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서 용량성 또는 저항성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틸트(tilt) 센서, 포스(force) 센서, 자력계, 광학 센서, 근접 센서, 다른 유사 센서,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가속도계, 자력계, 디지털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광학 센서가 될 수 있다.
도 QQ2(도 8)에 있어서, RF 인터페이스(QQ209)는 전송기(송신기), 수신기, 및 안테나와 같은 RF 컴포넌트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QQ211)는 네트워크(QQ243a)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QQ243a)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원격 통신 네트워크, 또 다른 유사 네트워크 또는 그 소정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QQ243a)는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QQ211)는, 이더넷(Ethernet), TCP/IP, SONET, ATM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 수신기 및 전송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QQ211)는 통신 네트워크 링크(예를 들어, 광학, 전기적 등)에 적합한 수신기 및 전송기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전송기 및 수신기 기능은, 회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분리해서 구현될 수 있다.
RAM(QQ217)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장치 드라이버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실행 동안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의 스토리지 또는 캐싱을 제공하기 위해서 처리 회로(QQ201)에 버스(QQ202)를 통해서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OM(QQ219)은 컴퓨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 회로(QQ201)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OM(QQ219)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 저장된 키보드로부터의 키스트로크의 기본 입력 및 출력(I/O), 스타트업, 또는 수신과 같은 기본 시스템 기능에 대한 불변의 낮은-레벨 시스템 코드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QQ221)는 RAM, ROM, 프로그램 가능한 리드-온리 메모리(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리드-온리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리드-온리 메모리(EEPROM), 마그네틱 디스크, 광학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제거 가능한 카트리지, 또는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메모리 내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스토리지 매체(QQ22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QQ223),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위젯 또는 가젯 엔진 또는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QQ225), 및 데이터 파일(QQ22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QQ221)는, UE(QQ200)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소정의 다양한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QQ221)는,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USB 플래시 드라이브, 외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썸(thumb) 드라이브, 펜 드라이브, 키 드라이브, HD-DVD(high-density digital versatile disc) 광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Blu-Ray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스토리지(HDDS) 광 디스크 드라이브, 외부 DIMM(mini-dual in-line memory module), 동기의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외부 마이크로-DIMM SDRAM, 구독자 아이덴티티 모듈 또는 제거 가능한 사용자 아이덴티티(SIM/RUIM) 모듈과 같은 스마트카드 메모리, 다른 메모리, 또는 그 소정의 조합과 같은 다수의 물리적인 드라이브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QQ221)는, UE(QQ200)가 데이터를 오프-로드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해서 일시적인 또는 비일시적인 메모리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액세스하게 허용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과 같은 제조 물품은 스토리지 매체(QQ221) 내에 유형으로(tangibly)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QQ2(도 8)에 있어서, 처리 회로(QQ201)는 통신 서브시스템(QQ231)을 사용해서 네트워크(QQ243b)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QQ243a) 및 네트워크(QQ243b)는 동일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이 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QQ231)은 네트워크(QQ243b)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QQ231)은, IEEE 802.11, CDMA, WCDMA, GSM, LTE, UTRAN, WiMax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또 다른 WD, UE,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치의 하나 이상의 원격 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송수신기는 RAN 링크(예를 들어, 주파수 할당 등)에 적합한 전송기 및 수신기 기능성 각각을 구현하기 위해서 전송기(QQ233) 및/또는 수신기(QQ235)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송수신기의 전송기(QQ233) 및 수신기(QQ235)는 회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분리해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서브시스템(QQ231)의 통신 기능은, 데이터 통신, 보이스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니어-필드 통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의 사용과 같은 위치-기반 통신, 또 다른 유사 통신 기능,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QQ231)은 셀룰러 통신,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및 GPS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QQ243b)는, 로컬-영역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원격 통신 네트워크, 또 다른 유사 네트워크 또는 그 소정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QQ243b)는 셀룰러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및/또는 니어-필드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전력 소스(QQ213)는 UE(QQ200)의 컴포넌트에 교류(AC) 또는 직류(DC)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장치(12)에 대한 본 개시에 기술된 형태, 이익 및/또는 기능은 UE(QQ200) 컴포넌트 중 하나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UE(QQ200)의 다수의 컴포넌트를 가로질러 파티션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개시에 기술된 형태, 이익 및/또는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소정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통신 서브시스템(QQ231)은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처리 회로(QQ201)는 버스(QQ202)에 걸쳐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는, 처리 회로(QQ201)에 의해서 실행될 때, 본 개시에 기술된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의 기능성은 처리 회로(QQ201)와 통신 서브시스템(QQ231) 사이에서 파티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의 비계산 집중적 기능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계산 집중적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QQ3(도 9)은 일부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 기능이 가상화되는 가상화 환경(QQ300)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콘텍스트에 있어서, 가상화는, 가상화 하드웨어 플랫폼, 스토리지 장치 및 네트워크 자원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apparatuse) 또는 장치(device)의 가상화 버전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가상화는 노드(예를 들어, 가상화 기지국 또는 가상화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장치(예를 들어, UE, 무선 장치 또는 소정의 다른 타입의 통신 장치) 또는 그 컴포넌트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처리 노드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기능, 가상의 머신 또는 컨테이너를 통해서) 기능성의 적어도 부분이 하나 이상의 가상의 컴포넌트로서 구현되는 구현과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노드(QQ330)에 의해서 호스팅된 하나 이상의 가상의 환경(QQ300)에서 구현된 하나 이상의 가상의 머신에 의해서 실행된 가상의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가상의 노드가 무선 액세스 노드가 아니거나 또는 무선 접속성을 요구하지 않는 실시예에 있어서(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네트워크 노드는 전적으로 가상화될 수 있다.
기능은,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실시예의 일부 형태, 기능, 및/또는 이익을 구현하기 위해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QQ320)(이는,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인스턴스, 가상의 기기, 네트워크 기능, 가상의 노드, 가상의 네트워크 기능 등으로 불릴 수 있다.)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QQ320)은 처리 회로(QQ360) 및 메모리(QQ39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QQ330)를 제공하는 가상화 환경(QQ300)에서 구동한다. 메모리(QQ390)는, 이에 의해서 애플리케이션(QQ320)이 본 개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형태, 이익, 및/또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동작하는 처리 회로(QQ36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QQ395)을 포함한다.
가상화 환경(QQ300)은, 세트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처리 회로(QQ360)를 포함하는 일반 목적 또는 특별한 목적의 네트워크 하드웨어 장치(QQ330)를 포함하는데, 이 장치는, COTS(commercial off-the-shelf) 프로세서, 전용의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ASIC), 또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소정의 다른 타입의 처리 회로가 될 수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는, 처리 회로(QQ360)에 의해서 실행된 명령(QQ395) 또는 소프트웨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비-지속적인 메모리가 될 수 있는 메모리 QQ390-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QQ38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서도 공지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NIC)(QQ37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는, 또한, 처리 회로(QQ36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내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QQ395) 및/또는 명령을 갖는 비일시적인, 지속적인, 머신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QQ390-2)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QQ395)는, 하나 이상의 가상화 계층(QQ350)(또한,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로서 언급)을 인스턴스화기 위한 소프트웨어, 가상의 머신(QQ340)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만 아니라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실시예와 관련해서 기술된 기능, 형태 및/또는 이익을 실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소정 타입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머신(QQ340)은, 가상의 처리, 가상의 메모리, 가상의 네트워킹 또는 인터페이스 및 가상의 스토리지를 포함하고, 대응하는 가상화 계층(QQ350) 또는 하이퍼바이저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가상의 기기(QQ320)의 인스턴스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가상의 머신(QQ340) 상에서 구현될 수 있고, 구현은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동작 동안, 처리 회로(QQ360)는 하이퍼바이저 또는 가상화 계층(QQ350)을 예시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QQ395)를 실행하는데, 가상화 계층은, 때때로, 가상의 머신 모니터(VMM: virtual machine monitor)로서 언급될 수 있다. 가상화 계층(QQ350)은 가상의 머신(QQ340)에 네트워킹 하드웨어 같이 보이는 가상의 오퍼레이팅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QQ3(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웨어(QQ330)는 일반적인 또는 특정 컴포넌트를 갖는 독립형의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하드웨어(QQ330)는 안테나(QQ3225)를 포함할 수 있고, 가상화를 통해서 일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드웨어(QQ330)는 하드웨어의 더 큰 클러스터의 부분이 될 수 있는데(예를 들어, 데이터 센터 또는 고객 구내 장비(CPE)에서와 같이), 여기서 많은 하드웨어 노드는 함께 작업하고, 관리 및 오케스트레션(MANO)(QQ3100)을 통해서 관리되고, 이는, 다른 것 중에서, 애플리케이션(QQ320)의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감독한다.
하드웨어의 가상화는, 일부 콘텍스트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로서 언급된다. NFV는, 데이터 센터 내에 위치될 수 있는, 및 고객 구내 장비가 될 수 있는, 산업 표준 대용량 서버 하드웨어, 물리적인 스위치, 및 물리적인 스토리지 상에 많은 네트워크 장비 타입을 통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NFV의 콘텍스트에 있어서, 가상의 머신(QQ340)은, 이들이 물리적인, 비가상화 머신 상에서 실행되었던 것 같이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물리적인 머신의 소프트웨어 구현이 될 수 있다. 각각의 가상의 머신(QQ340), 및 가상 머신을 실행하는 하드웨어(QQ330)의 부분은, 이것이 그 가상의 머신에 전용인 하드웨어 및/또는 그 가상 머신에 의해서 다른 가상의 머신(QQ340)과 공유된 하드웨어이면, 분리의 가상의 네트워크 엘리먼트(VNE)를 형성한다.
여전히 NFV의 콘텍스트에 있어서, 가상의 네트워크 기능(VNF)은 하드웨어 네트워킹 인프라스트럭처(QQ330)의 상단에서 하나 이상의 가상의 머신(QQ340)에서 구동하는 특정 네트워크 기능을 핸들링하는 것을 담당하고, 도 QQ3(도 9)의 애플리케이션(QQ320)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전송기(QQ3220)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QQ3210)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QQ32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QQ3225)에 결합될 수 있다. 무선 유닛(QQ3200)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드웨어 노드(QQ330)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고,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능력을 갖는 가상의 노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가상의 컴포넌트와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시그널링은 하드웨어 노드(QQ330)와 무선 유닛(QQ3200)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어 시스템(QQ3230)의 사용에 영향받을 수 있다.
도 QQ4(도 10)을 참조해서,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QQ411) 및 코어 네트워크(QQ414)를 포함하는, 3GPP-타입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원격 통신 네트워크(QQ410)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QQ411)는 NB, eNB, gNB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복수의 기지국(QQ412a, QQ412b, QQ412c)을 포함하고, 각각은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QQ413a, QQ413b, QQ413c)을 규정한다. 각각의 기지국(QQ412a, QQ412b, QQ412c)은 유선 또는 무선 접속(QQ415)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QQ414)에 접속 가능하다. 커버리지 영역(QQ413c)에 위치된 제1사용자 장비(UE, QQ491)는 대응하는 기지국(QQ412c)에 무선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페이징되도록 구성된다. 커버리지 영역(QQ413a) 내의 제2UE(QQ492)는 대응하는 기지국(QQ412a)에 무선으로 접속 가능하다. 복수의 UE(QQ491, QQ492)가 이 예에서 도시되지만, 개시된 실시예는 유일한 UE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거나 또는 유일한 UE가 대응하는 기지국(QQ412)에 접속 중인 상황에 동동하게 적용 가능하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QQ410)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구현된 서버, 분산형 서버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서버 팜(server farm) 내의 처리 자원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QQ430)에 자체 접속된다. 호스트 컴퓨터(QQ430)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권 또는 제어하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또는 서비스 제공자 대신 동작될 수 있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QQ410)와 호스트 컴퓨터(QQ430) 사이의 접속(QQ421, QQ422)은 코어 네트워크(QQ414)로부터 호스트 컴퓨터(QQ430)로 직접 연장하거나 또는 옵션의 중간 네트워크(QQ420)를 통해서 진행할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QQ420)는 공공, 사설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고; 있다면, 중간 네트워크(QQ420)는 백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중간 네트워크(QQ420)는 2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로서 도 QQ4(도 10)의 통신 시스템은, 접속된 UE(QQ991, QQ992)와 호스트 컴퓨터(QQ930) 사이의 접속성을 가능하게 한다. 접속성은 OTT(over-the-top) 접속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QQ430) 및 접속된 UE(QQ491, QQ492)는, 액세스 네트워크(QQ411), 코어 네트워크(QQ414), 소정의 중간 네트워크(QQ420) 및 가능한 또 다른 인프라스트럭처(도시 생략)를 중간자로서 사용해서, OTT 접속(QQ450)을 통해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OTT 접속(QQ450)은 OTT 접속(QQ450)이 통과하는 참가하는 통신 장치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의 라우팅을 인식하지 못하는 의미에서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QQ412)은 접속된 UE(QQ491)에 포워딩(예를 들어, 핸드오버)되는 호스트 컴퓨터(QQ430)로부터 기원하는 데이터를 갖는 인입 다운링크 통신의 과거 라우팅에 관해서 통지받지 않거나 통지받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QQ412)은 호스트 컴퓨터(QQ430)를 향해서 UE(QQ491)로부터 기원하는 인출 업링크 통신의 미래의 라우팅을 인식할 필요는 없다.
선행하는 문단에서 논의된 UE, 기지국 및 호스트 컴퓨터의, 실시예에 따른, 예의 구현이, 이제 도 QQ5(도 11)를 참조해서 기술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QQ500)에서, 호스트 컴퓨터(QQ510)는 통신 시스템(QQ500)의 다른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QQ516)를 포함하는 하드웨어(QQ515)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QQ510)는 스토리지 및/또는 처리 능력을 가질 수 있는 처리 회로(QQ518)를 더 포함한다.
특히, 처리 회로(QQ518)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QQ510)는 호스트 컴퓨터(QQ510)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액세스 가능한 및 처리 회로(QQ518)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QQ51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QQ511)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QQ512)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QQ512)은 UE(QQ530) 및 호스트 컴퓨터(QQ510)에서 종료하는 OTT 접속(QQ550)을 통해서 접속하는 UE(QQ530)와 같은 원격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원격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QQ512)은 OTT 접속(QQ550)을 사용해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QQ500)은, 원격 통신 시스템 내에 제공되고 이것이 호스트 컴퓨터(QQ510) 및 UE(QQ53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QQ525)를 포함하는 기지국(QQ520)을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QQ525)는 통신 시스템(QQ500)의 다른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QQ526)만 아니라 기지국(QQ520)에 의해서 서빙되는 커버리지 영역(도 QQ5(도 11)에서 도시 생략)에 위치된 UE(QQ530)와 적어도 무선 접속(QQ570)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QQ52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QQ526)는 호스트 컴퓨터(QQ510)에 대한 접속(QQ560)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QQ560)은 직접적일 수 있거나 또는, 이는 원격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도 QQ5(도 11)에 도시 생략)를 통과 및/또는 원격 통신 시스템 외측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QQ520)의 하드웨어(QQ525)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 적응된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QQ528)를 더 포함한다. 기지국(QQ520)은 내부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 접속을 통해서 액세스 가능한 소프트웨어(QQ521)를 더 갖는다.
통신 시스템(QQ500)은 이미 언급된 UE(QQ530)를 더 포함한다. UE(QQ530)의 하드웨어(QQ535)는 UE(QQ530)가 현재 위치되는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과 무선 접속(QQ570)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QQ537)를 포함할 수 있다. UE(QQ530)의 하드웨어(QQ535)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QQ538)를 더 포함한다. UE(QQ530)는 UE(QQ530)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액세스 가능한 및 처리 회로(QQ538)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QQ53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QQ531)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Q532)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QQ532)은, 호스트 컴퓨터(QQ510)의 지원과 함께, UE(QQ530)를 통해서 휴먼 또는 비휴먼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QQ510)에 있어서, 실행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QQ512)은 UE(QQ530) 및 호스트 컴퓨터(QQ510)에서 종료하는 OTT 접속(QQ550)을 통해서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QQ532)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클라언트 애플리케이션(QQ53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QQ512)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응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접속(QQ550)은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QQ532)은 사용자와 상호 작용해서 이것이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QQ5(도 11)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QQ510), 기지국(QQ520) 및 UE(QQ530)가, 각각 도 QQ4(도 10)의 호스트 컴퓨터(QQ430), 기지국(QQ412a, QQ412b, QQ412c) 중 하나 및 UE(QQ491, QQ492) 중 하나와 유사하게 또는 동일하게 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자. 즉, 이들 엔티티의 내부 작업은 도 QQ5(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QQ4(도 10)의 것이 될 수 있다.
도 QQ5(도 11)에 있어서, OTT 접속(QQ550)은, 소정의 중간 장치에 대한 명시적인 참조 및 이들 장치를 통한 메시지의 정확한 라우팅 없이, 기지국(QQ520)을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QQ510)와 UE(QQ530) 사이의 통신을 도시하기 위해서 추상적으로 그려졌다.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UE(QQ530)로부터 또는 호스트 컴퓨터(QQ510)를 동작시키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또는 모두로부터 숨기도록 구성될 수 있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다. OTT 접속(QQ550)이 활성인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로드 밸런싱 고려 또는 재구성에 기반해서) 이것이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을 더 행할 수 있다.
UE(QQ530)와 기지국(QQ520) 사이의 무선 접속(QQ570)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른다.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접속(QQ570)이 최종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OTT 접속(QQ550)을 사용해서 UE(QQ530)에 제공된 OTT 서비스의 성능을 개선한다. 특히, 본 개시에 개시된 방법 및 장치는 데이터 레이트 및 기지국에 또는 이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의 레이턴시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서 감소된 사용자 대기 시간 및 더 양호한 응답성과 같은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측정 절차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개선하는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 다른 팩터를 감시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의 변동에 응답해서, 호스트 컴퓨터(QQ510)와 UE(QQ530) 사이의 OTT 접속(QQ5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옵션의 네트워크 기능성이 더 있을 수 있다. OTT 접속(QQ5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측정 절차 및/또는 네트워크 기능성은 호스트 컴퓨터(QQ510)의 소프트웨어(QQ511) 및 하드웨어(QQ515)로 또는 UE(QQ530)의 소프트웨어(QQ531) 및 하드웨어(QQ535), 또는 모두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고려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도시 생략)는 OTT 접속(QQ550)이 통과하는 통신 장치 내에 또는 통신 장치와 관련해서 배치될 수 있고, 센서는 상기 예시된 감시된 양의 값을 공급함으로써, 또는 소프트웨어(QQ511, QQ531)가 감시된 양을 계산 또는 추정할 수 있는 다른 물리적인 양의 값을 공급함으로써, 측정 절차에 참가할 수 있다. OTT 접속(QQ550)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전송 세팅, 선호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재구성은 기지국(QQ520)에 영향을 줄 필요가 없으며, 기지국(QQ520)에 알려지지 않거나 또는 감지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 및 기능성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고 실행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은, 처리량, 전파 시간, 레이턴시 등의 호스트 컴퓨터(QQ510)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적인 UE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은, 이것이 전파 시간, 에러 등을 감시하는 동안 OTT 접속(QQ550)을 사용해서 메시지, 특히, 빈(empty) 또는 '더미(dummy)'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소프트웨어(QQ511, QQ531)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QQ6(도 12)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QQ4(도 10) 및 QQ5(도 11)를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QQ6(도 12)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QQ61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QQ610의 서브단계 QQ61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QQ62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한다. 단계 QQ6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가 개시한 전송에서 반송했던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전송한다. 단계 QQ64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QQ7(도 13)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QQ4(도 10) 및 QQ5(도 11)를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QQ7(도 13)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단계 QQ71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옵션의 서브단계(도시 생략)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QQ72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한다. 전송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기지국을 통과할 수 있다. 단계 QQ7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전송으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QQ8(도 14)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QQ4(도 10) 및 QQ5를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QQ8(도 14)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QQ81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QQ820에 있어서, UE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QQ820의 서브단계 QQ82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QQ810의 서브단계 QQ81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된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반응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실행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제공되었던 특정 방식에 관계없이, UE는 서브단계 QQ830(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방법의 단계 QQ84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UE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QQ9(도 15)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QQ4(도 10) 및 QQ5를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QQ9(도 15)를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QQ910(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에서,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기지국은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QQ92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은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단계 QQ9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기지국에 의해서 개시된 전송으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특히, 개시된 실시예의 수정 및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설명 및 연관 도면에 제공된 교시의 이점을 갖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들)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정들 및 다른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특정 용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이고 기술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예의 실시예
그룹 A 실시예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하지 않은 장치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카운터 상에서 조정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 상에서 업링크(UL)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장치는 타이머/카운터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의 또 다른 사용을 억제하는, 수행하는 것;
UL 전송에 응답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 및
장치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TA) 업데이트를 표시하는 리턴 시그널링에 응답해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2. 실시예 1의 방법에 있어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시작하는 또는 구성된 값으로 타이머/카운터를 리셋하는 것을 포함한다.
3. 실시예 1 또는 2의 방법에 있어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규정된 시간에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4. 실시예 3의 방법에 있어서,
규정된 시간은 리턴 시그널링의 수신 시간이거나 또는 다음 PUR 기회에 대응한다.
5. 실시예 1-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타이머/카운터는, 장치가 유효한 것으로 마지막 수신된 TA 값을 고려하는 시간의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서 동작의 아이들 모드에서 장치에 의해서 사용된 타이밍 정렬 타이머(TAT)이다.
6. 실시예 1-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타이머/카운터는 PUR 기회를 카운트하는 기회 카운터이다.
7. 실시예 1-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은 노드에 의해서 전송된 계층-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방법은, 장치가, 타이머/카운터의 리프레시를 컨펌하기 위해서, 컨포메이션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8. 실시예 7의 방법에 있어서,
컨포메이션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것은 네트워크에 장치에 의한 다음 접속에 따라서 컨퍼메이션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9. 실시예 1-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은 계층-2 또는 계층-3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룹 AA 실시예
10. 그룹 A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 및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전송을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룹 B 실시예
1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 상에서 업링크(UL) 전송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UL 전송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수신하는 것;
UL 전송에 응답해서 장치에 대해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것으로서, 리턴 시그널링은 장치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TA) 업데이트를 표시하는, 전송하는 것; 및
TA 업데이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노드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 및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서 유지된 유사 타이머/카운터와 매칭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장치는, 유사 타이머/카운터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을 사용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유사 타이머/카운터 상의 PUR의 자체 사용을 조정하고, 여기서, 장치는 TA 업데이트에 응답해서 유사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한다.
12. 실시예 11의 방법에 있어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은 규정된 시간에서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13. 실시예 12의 방법에 있어서,
규정된 시간은 리턴 시그널링의 전송에 대응하거나 또는 다음 PUR 기회에 대응한다.
14. 실시예 11-1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것은 계층-1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방법은, 장치가 자체의 유사 타이머/카운터를 리프레시한 것을 또는 리프레시할 것을 표시하는, 장치로부터의 컨포메이션을 수신함에 따라서 타이머/카운터의 리프레시를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15. 실시예 11-1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것은 계층-2 또는 계층-3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룹 BB 실시예
16. 그룹 B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 및 호스트 컴퓨터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것, 또는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 및 호스트 컴퓨터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룹 C 실시예
C1. 소정의 그룹 A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
C2. 무선 통신 장치로서:
소정의 그룹 A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 및
무선 통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 회로를 포함한다.
C3. 무선 통신 장치로서:
처리 회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처리 회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무선 통신 장치가 소정의 그룹 A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C4. 무선 통신 장치로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안테나 및 처리 회로에 접속된, 및 안테나와 처리 회로 사이에서 통신된 신호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
소정의 그룹 A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회로;
처리 회로에 접속된 및 처리 회로에 의해서 처리되는 UE 내에 정보의 입력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입력 인터페이스;
처리 회로에 접속된 및 처리 회로에 의해서 처리된 UE로부터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에 접속된 및 UE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를 포함한다.
C5. 무선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무선 통신 장치가 소정의 그룹 A 실시예의 소정의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C6. 실시예가 C5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로서,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중 하나이다.
C7. 소정의 그룹 B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
C8.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서:
소정의 그룹 B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 및
무선 통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공급 회로를 포함한다.
C9.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서:
처리 회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처리 회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소정의 그룹 B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C10.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소정의 그룹 B 실시예의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C11. 실시예가 C10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로서,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중 하나이다.
그룹 D 실시예
D1.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 및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전송을 위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워드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고, 노드의 처리 회로는 소정의 그룹 B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2. 이전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더 포함한다.
D3. 이전의 2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D4. 이전의 3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고;
무선 통신 장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D5. 호스트 컴퓨터, 무선 네트워크 노드 및, 사용자 장비(UE) 또는 다른 단말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과;
호스트 컴퓨터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무선 통신 장치에 사용자 데이터를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소정의 그룹 B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한다.
D6. 이전의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7. 이전의 2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컴퓨터에서 제공되고, 방법은, 무선 통신 장치에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8. 무선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로서,
무선 통신 장치는 소정의 이전의 3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D9.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 및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전송을 위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사용자 데이터를 포워드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장치의 컴포넌트는 소정의 그룹 A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10. 이전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더 포함한다.
D11. 이전의 2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고;
장치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D12. 호스트 컴퓨터, 무선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 및
호스트 컴퓨터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장치에 사용자 데이터를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장치는 소정의 그룹 A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한다.
D13. 이전의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장치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14.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의 전송으로부터 기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장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장치의 처리 회로는 소정의 그룹 A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15. 이전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장치를 더 포함한다.
D16. 이전의 2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통신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및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의 전송에 의해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에 포워딩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D17. 이전의 3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장치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D18. 이전의 4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요청 데이터를 제공하고;
장치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요청 데이터에 응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D19. 호스트 컴퓨터, 무선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장치는 소정의 그룹 A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한다.
D20. 이전의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21. 이전의 2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에 의해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 및
호스트 컴퓨터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22. 이전의 3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 및
무선 통신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입력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컴퓨터에서 제공되며,
여기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에 응답해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제공된다.
D23.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장비(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의 전송으로부터 기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인터페이스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무선 네트워크 노드의 처리 회로는 소정의 그룹 B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24. 이전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더 포함한다.
D25. 이전의 2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D26. 이전의 3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처리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통신 장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수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D27. 호스트 컴퓨터, 무선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및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또는 U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으로서,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전송으로부터 기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ㅍ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는 소정의 그룹 A 실시예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수행한다.
D28. 이전의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D29. 이전의 2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서,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BI Backoff Indicator
BSR Buffer Status Report
Cat-M1 Category M1
Cat-M2 Category M2
CE Coverage Enhanced / Enhancement or (MAC) Control Element
CRC Cyclic Redundancy Check
DL Downlink
D-PUR Dedicated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s
eMTC enhanced Machine-Type Communications
eNB Evolved NodeB
EDT Early Data Transmission
IoT Internet of Things
LTE Long-Term Evolution
MAC Medium Access Control
NAS Non-Access Stratum
NB-IoT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M2M Machine-to-Machine
MTC Machine-Type Communications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U Protocol Data Unit
PUR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s
(N)PRACH (Narrowband)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B Physical Resource Block
RA Random Access
RAPID 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
RAR Random Access Response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RC Radio Resource Control (protocol)
TBS Transport Block Size
UE User Equipment
UL Uplink
WI Work Item

Claims (34)

  1.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300)으로서, 방법(300)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하지 않은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37) 상에서 조정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 상에서 업링크(UL) 전송을 수행(302)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2)는 타이머(37)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의 또 다른 사용을 억제하는, 수행하는 단계;
    UL 전송에 응답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로부터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304)하는 단계; 및
    무선 통신 장치(12)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TA) 업데이트를 표시하는 리턴 시그널링에 응답해서 타이머(37)를 리프레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있어서,
    타이머(37)를 리프레시(306)하는 단계는 시작하는 또는 구성된 값으로 타이머(37)를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타이머(37)를 리프레시(306)하는 단계는 규정된 시간에서 타이머(37)를 리프레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규정된 시간은 리턴 시그널링의 수신 시간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머(37)는 무선 통신 장치(12)가 유효한 것으로 마지막 수신된 TA 값을 고려하는 시간의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서 아이들 모드 동작에서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해서 사용된 타이밍 정렬 타이머(TAT)인, 방법.
  6. 제1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304)하는 단계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전송된 계층-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법(300)은, 무선 통신 장치(12)가, 타이머(37)의 리프레시를 컨펌하기 위해서 컨포메이션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컨포메이션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한 다음 접속에 따라서 컨퍼메이션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법(300)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해서 TA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타이머(37)를 리프레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CI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로부터의 리턴 시그널링 또는 다른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턴 시그널링은 계층-1 애크날리지먼트(L1-1 ACK) 메시지를 포함하고, 여기서, L1-ACK 메시지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가 TA 업데이트를 표시하는, 방법.
  11. 제1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304)하는 단계는 계층-2 및/또는 계층-3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12)로서, 무선 통신 장치(12)는:
    수신기 회로(32) 및 전송기 회로(34)를 포함하는 통신 회로(30); 및
    처리 회로(36)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규정된 제한에 도달하지 않은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37) 상에서 조정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 상에서, 통신 회로(30)를 통해서, 업링크(UL) 전송을 수행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는 타이머(37)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의 또 다른 사용을 억제하며;
    UL 전송에 응답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로부터 리턴 시그널링을, 통신 회로(30)를 통해서, 수신하며; 및
    무선 통신 장치(12)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TA) 업데이트를 표시하는 리턴 시그널링에 응답해서 타이머(37)를 리프레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36)는, 시작하는 또는 구성된 값으로 타이머(37)를 리셋함으로써 타이머(37)를 리프레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36)는 규정된 시간에서 타이머(37)를 리프레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규정된 시간은 리턴 시그널링의 수신 시간인, 무선 통신 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머(37)는 무선 통신 장치(12)가 유효한 것으로 마지막 수신된 TA 값을 고려하는 시간의 길이를 제한하기 위해서 아이들 모드 동작에서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해서 사용된 타이밍 정렬 타이머(TAT)인, 무선 통신 장치.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턴 시그널링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서 전송된 계층-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36)는 타이머(37)의 리프레시를 컨펌하기 위해서 컨포메이션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36)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한 다음 접속에 따라서 컨퍼메이션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36)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해서 TA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타이머(37)를 리프레시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DCI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로부터의 리턴 시그널링 또는 다른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턴 시그널링은 계층-1 애크날리지먼트(L1-1 ACK) 메시지를 포함하고, 여기서, L1-ACK 메시지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가 TA 업데이트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턴 시그널링은 계층-2 및/또는 계층-3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3.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400)으로서, 방법(400)은: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 상에서 업링크(UL) 전송을 수신(402)하는 단계로서, UL 전송은 무선 통신 장치(12)로부터 송신되는, 수신하는 단계;
    UL 전송에 응답해서 무선 통신 장치(12)에 대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404)하는 단계로서, 리턴 시그널링은 무선 통신 장치(12)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TA) 업데이트를 표시하는, 전송하는 단계; 및
    TA 업데이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57)를 리프레시(406)하는 단계 및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해서 유지된 유사 타이머(37)와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2)는, 유사 타이머(37)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을 사용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유사 타이머(37) 상의 PUR의 자체 사용을 조정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2)는 TA 업데이트에 응답해서 유사 타이머(37)를 리프레시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타이머(57)를 리프레시(406)하는 단계는 규정된 시간에서 타이머(57)를 리프레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규정된 시간은 리턴 시그널링의 전송에 대응하는, 방법.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404)하는 단계는 계층-1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404)하는 단계는 계층-2 및/또는 계층-3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법(400)은, 무선 통신 장치(12)가 유사 타이머(37)를 리프레시한 것을 또는 리프레시할 것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12)로부터의 컨포메이션을 수신함에 따라서 타이머(57)의 리프레시(406)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9.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로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는:
    수신기 회로(52) 및 전송기 회로(54)를 포함하는 통신 회로(50); 및
    처리 회로(56)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통신 회로(50)를 통해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PUR) 상에서 업링크(UL) 전송을 수신하고, UL 전송은 무선 통신 장치(12)로부터 송신되며;
    통신 회로(50)를 통해서, UL 전송에 응답해서 무선 통신 장치(12)에 대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리턴 시그널링은 무선 통신 장치(12)에 대한 타이밍 어드밴스(TA) 업데이트를 표시하며; 및
    TA 업데이트를 송신하는 것에 응답해서, 무선 통신 노드(10)에 의해서 유지된, 타이머(57)를 리프레시하고 무선 통신 장치(12)에 의해서 유지된 유사 타이머(37)와 매칭하며,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2)는, 유사 타이머(37)가 규정된 제한에 도달함에 따라서 PUR을 사용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유사 타이머(57) 상의 PUR의 자체 사용을 조정하고,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12)는 TA 업데이트에 응답해서 유사 타이머(37)를 리프레시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30. 제29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50)는 규정된 시간에서 타이머(57)를 리프레시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31. 제30항에 있어서,
    규정된 시간은 리턴 시그널링의 전송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56)는, 계층-1 시그널링으로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33.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56)는, 계층-2 및/또는 계층-3 시그널링으로서 리턴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34.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56)는, 무선 통신 장치(12)가 유사 타이머(37)를 리프레시한 것을 또는 리프레시할 것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 장치(12)로부터의 컨포메이션을 수신함에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노드(10) 상의 타이머(57)의 리프레시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KR1020227003238A 2019-07-08 2020-07-0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0280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1304P 2019-07-08 2019-07-08
US62/871,304 2019-07-08
PCT/IB2020/056347 WO2021005492A1 (en) 2019-07-08 2020-07-06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ing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047A true KR20220028047A (ko) 2022-03-08

Family

ID=7160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238A KR20220028047A (ko) 2019-07-08 2020-07-0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22264A1 (ko)
EP (1) EP3997923A1 (ko)
KR (1) KR20220028047A (ko)
CN (1) CN114051760A (ko)
WO (1) WO202100549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4476B (zh) * 2009-10-10 2013-09-0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同步方法、系统和设备
US9167547B2 (en) * 2012-09-27 2015-10-20 Blackberry Limited Uplink timing maintenance upon time alignment timer expiry
US9635527B1 (en) * 2014-12-19 2017-04-25 Amazon Technologies, Inc. SMS delivery to prevent duplicate SMS messages on LTE
EP3562247B1 (en) * 2016-04-07 2020-05-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US10708944B2 (en) * 2017-01-06 2020-07-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econfigured grants with a distribution pattern
US11737040B2 (en) * 2017-08-09 2023-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timing advances
JP6701445B2 (ja) * 2017-10-26 2020-05-27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物理アップリンク制御チャネル(pucch)リソース割り当て
WO2020032629A1 (ko) * 2018-08-09 2020-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대역 사물 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TWI704826B (zh) * 2018-09-28 2020-09-1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用於行動通訊系統之使用者裝置及基地台
TWI766190B (zh) * 2018-09-28 2022-06-01 新加坡商聯發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定時提前驗證方法及裝置
US20210410166A1 (en) * 2018-11-01 2021-12-30 Apple Inc. Transmission, retransmission, and harq process for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in idle mode
WO2020140248A1 (en) * 2019-01-04 2020-07-09 Nokia Shanghai Bell Co., Ltd. Communicating between a terminal and a wireless network node
JP7321255B2 (ja) * 2019-03-29 2023-08-04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97923A1 (en) 2022-05-18
WO2021005492A1 (en) 2021-01-14
US20220322264A1 (en) 2022-10-06
CN114051760A (zh)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4681B2 (en) Configuring dual connectivity maximum transmit power
KR102412295B1 (ko) 자원 그랜트를 할당하는 방법
EP3857971B1 (en) Support for transmission in preconfigured ul resources
JP7344986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事前構成されたアップリンクリソース上の送信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US20210360710A1 (en) Mtc rach report extension
JP7360439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プロシージャにおける電力制御のための方法、端末デバイス、基地局
EP3834515A1 (en) Maintaining validity of timing advance
EP4284044A2 (en) Handling of multiple authentication procedures in 5g
JP7307816B2 (ja) 2ステップ競合フリーランダムアクセス
US20240106574A1 (en) HARQ RTT Timer Adjustment for Multi-TB Scheduling
KR20220143734A (ko)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인증 및 키 관리에 대한 키 자료 생성 최적화
US20220078739A1 (en) Method to validate timing advance for preconfigured resource transmission
US20230292271A1 (en) Handling Reference Time Delivery Failure in a Time-Sensitive Network (TSN)
US20220386283A1 (en) Configurable starting position of search space window for uplink transmission on pre-configured resources
KR20220089702A (ko) 휴면 대역폭 부분의 시그널링
WO2019064235A2 (en) METHOD FOR UPDATING SYSTEM INFORMATION
EP3854161B1 (en) Duty cycle aware scheduling for wireless networks
KR20220028047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전 구성된 업링크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7297079B2 (ja) アップリンク送信に関連する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240172155A1 (en) Time difference of arrival and signal strength based timing advance validation for configured grant small data transmission
CN115413425A (zh) 预配置上行链路资源时机起始时间和周期性定时的计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