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817A - Egfr 키나아제를 억제하기 위한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Egfr 키나아제를 억제하기 위한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817A
KR20220027817A KR1020217036806A KR20217036806A KR20220027817A KR 20220027817 A KR20220027817 A KR 20220027817A KR 1020217036806 A KR1020217036806 A KR 1020217036806A KR 20217036806 A KR20217036806 A KR 20217036806A KR 20220027817 A KR20220027817 A KR 20220027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compound
egfr
esi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리 시에
강 카오
후씽 판
Original Assignee
위겐 바이오메더슨 테크널러지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겐 바이오메더슨 테크널러지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위겐 바이오메더슨 테크널러지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6Peri-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10Spir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10Spir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화합물은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 돌연변이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돌연변이 EGFR에 대한 우수한 억제 효과 및 암세포에 대한 항증식 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는 종양 및 관련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EGFR 키나아제를 억제하기 위한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본 출원은, 2019년 7월 4일에 출원되고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중국 특허 출원 제 201910600229.1호의 이점을 주장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의약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련의 EGFR 억제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는 원형질막에 있는 ErbB 패밀리의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이다. ErbB 패밀리의 다른 구성원에는 ERBB2(HER2), ERBB3(HER3) 및 ERBB4(HER4)가 포함된다. EGFR은 MAPK 및 PI3K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 성장을 촉진한다. 돌연변이, 증폭 또는 과발현을 통한 과활성화된 EGFR은 다중 고형 종양, 특히 폐암에서 확인되었다.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EGFR 돌연변이의 유병률은 동아시아에서 50%, 유럽과 미국에서 15%이다. 대부분의 EGFR 돌연변이는 엑손 18에서 엑손 21까지에서 발생한다. 제피티닙 및 에를로티닙을 포함한 1세대 EGFR 티로신 억제제(TKI)는 주로 엑손 18, 19 및 21의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한다. 그러나, 치료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내성은 발생한다. EGFR-T790M 돌연변이는 1세대 TKI에 대한 획득 내성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2세대 비가역적 EGFR 억제제인 아파티닙은 T790M에 대해 활성이 있지만 야생형 EGFR에 대한 그의 활성으로 인해 발진 및 설사를 비롯한 실질적인 독성과 관련이 있다. 3세대 EGFR TKI인 AZD9291은 T790M에 특화되어서 EGFR T790M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앞서 언급한 고전적인 EGFR 돌연변이에 외에도, 엑손 20 삽입은 모든 EGFR 돌연변이 중에서 4 내지 10%의 빈도로 세 번째로 큰 EGFR 돌연변이 그룹을 구성하며, 여성, 비흡연자, 아시아 인구 및 선암종 환자에서 더욱 흔하고, 고전적 돌연변이와 유사한 임상적 특징과 관련이 있다.
Figure pct00001
엑손 20의 돌연변이는 아미노산 762와 823 사이에 모여 있으며 T790M을 제외한 모든 돌연변이가 삽입이다. EGFR 외에도, NSCLC 환자의 약 2%는 her2 돌연변이를 갖고 있으며, 그 중 90%는 엑손 20 삽입이다. Her2의 Exon 20 삽입 돌연변이는 유사한 분자 특징 및 약물 민감성을 갖는 EGFR의 돌연변이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위치에서 발생한다. 그들은 함께 광범위하게 엑손 20 삽입으로 분류된다. 지금까지 EGFR 엑손 20 삽입의 122개 하위 유형이 확인되었으며 Asp770_Asn771ins가 가장 널리 퍼져 있고 그 다음이 Va1769_Asp770ins, A1a767_Va1769ins 및 Ser768_Asp770ins이다. 반면, Her2에서 exon20 돌연변이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변이체는 A775_G776insYVM으로, 사례의 70%를 나타낸다. EGR 및 Her2의 엑손 20 삽입은 모두 리간드 비의존적 활성화를 촉진한다.
대부분의 EGFR 엑손 20 삽입은 순진하고(naive) 일부는 획득된다. 폐암 외에도, 엑손 20 삽입은 비강 편평 세포 암종으로 알려진 드문 형태의 두경부암에서도 관찰된다. 상당한 수의 환자에서 엑손 20 삽입이 존재한다는 관점에서, 엑손 20 삽입을 보유하는 EGFR을 억제할 수 있는 제제(agent)는 이러한 환자 그룹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 따르면 엑손 20 삽입, 특히 아미노산 764 이후의 삽입은 승인된 TKI에 민감하지 않으며 사용 가능한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다. 엑손 20 삽입에 대한 두 가지 TKI인 포지오티닙 및 모보세르티닙은 현재 임상 연구중에 있다. 이들 중, 포지오티닙은 아마도 야생형 EGFR의 동시 억제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야생형 EGFR에 비해 엑손 20 삽입에 대한 선택성을 갖는 TKI의 개발이 정당화된다. 본 특허에 개시된 차세대 TKI는 야생형 EGFR에 비해 T790M 및 엑손 20 삽입 돌연변이에 대하여 우수한 생화학적 및 세포 활성을 보여준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X는 N 및 C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은 수소, 할로겐, C1-6 알킬, C3-6 시클로알킬, -C(O)OR8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2는 C1-6 알킬, 중수소화 C1-6 알킬, C3-6 시클로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3는 -NR9(CH2)2NR9'R9'',
Figure pct00003
,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4
Figure pct00006
이고;
R5, R6 및 R7는 수소, 할로겐,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8은 수소, C1-6 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9는 수소, C1-6 알킬, 중수소화 C1-6 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9' 및 R9''는 수소, C1-6 알킬, C3-6 시클로알킬, 중수소화 C1-6 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9' 및 R9''는 이에 연결된 질소와 함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할로겐, C1-6 알킬, C1-3 알콕시, 메틸티오, 메탄술포닐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10은 수소, 할로겐, C1-6 알킬 및 -CH2NR12'R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1은 수소, 할로겐 및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2 및 R12'는 수소, C1-6 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2' 및 R12''는 이에 연결된 질소와 함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할로겐, C1-6 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화학식 I에서, R1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할로겐, C1-6 알킬, -C(O)OR8 또는 C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5, R6 및 R7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EGFR-활성화 또는 약물-내성 돌연변이, 예를 들어, T790M 약물 내성 돌연변이, 엑손 20 삽입 활성화 돌연변이를 억제할 수 있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은 EGFR 억제제에 기초한 기존 요법에 대해 약물 내성을 획득한 환자를 위한 암 요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야생형 EGFR 억제와 관련된 감소된 독성으로 인해 야생형 EGFR보다 활성화된 돌연변이 또는 내성 돌연변이에 의해 형성된 EGFR의 더 강력한 억제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이러한 화합물은 특히 암 치료용 치료제로 사용하기에 더욱 적합하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EGFR 활성화 또는 약물 내성 돌연변이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치료, 특히 암 치료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EGFR 활성화 또는 약물 내성 돌연변이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 특히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야생형 EGFR에 비해 EGFR 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약물 내성 돌연변이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악학적 조성물의 생물학적 샘플을 환자에게 접촉시키거나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암은 간세포암종, 폐암, 췌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결장직장암, 위암, 폐암, 비인두암, 난소암, 전립선암, 백혈병,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골수종, 신경교종, 교모세포종, 흑색종, 위장관 기질 종양(GIST), 갑상선암, 담관암종, 신장암,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다발성 골수종 또는 중피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기의 것들을 포함한다:
번호 구조 번호 구조
1
Figure pct00007
2
Figure pct00008
3
Figure pct00009
4
Figure pct00010
5
Figure pct00011
6
Figure pct00012
7
Figure pct00013
8
Figure pct00014
9
Figure pct00015
10
Figure pct00016
11
Figure pct00017
12
Figure pct00018
13
Figure pct00019
14
Figure pct00020
15
Figure pct00021
16
Figure pct00022
17
Figure pct00023
18
Figure pct00024
19
Figure pct00025
20
Figure pct00026
21
Figure pct00027
22
Figure pct00028
23
Figure pct00029
24
Figure pct00030
25
Figure pct00031
26
Figure pct00032
27
Figure pct00033
28
Figure pct00034
29
Figure pct00035
30
Figure pct00036
31
Figure pct00037
32
Figure pct00038
33
Figure pct00039
34
Figure pct00040
35
Figure pct00041
36
Figure pct00042
37
Figure pct00043
38
Figure pct00044
39
Figure pct00045
40
Figure pct00046
41
Figure pct00047
42
Figure pct00048
43
Figure pct00049
44
Figure pct00050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51
또는
Figure pct00052
상기에서, R1, R2, R3, R4, R5, R6 및 R7은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정의를 갖는다.
화합물 (a) 및 화합물 (b)를 출발 물질로 하여, 염기성 조건하에서 치환 반응을 수행하여 중간체 1을 얻고, 중간체 1과 중간체 2를 사용하여 치환 또는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화합물 (c)를 얻는다. 화합물 (c)에 대한 친핵성 치환을 수행하여 화합물(d)를 얻고, 화합물(d)의 니트로기를 환원시켜 화합물(e)을 얻고, 화합물(e)을 추가로 아실화하여 화합물(I)을 얻는다. 또는, 중간체 1 및 중간체 2'를 직접 치환 또는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I)을 얻는다.
한 구현예에서, 중간체 1이 중간체 1a인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된다:
Figure pct00053
한 구현예에서, 중간체 1이 중간체 1b인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된다:
Figure pct00054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중간체 2, 중간체 2'의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55
상기에서, R2, R3 및 R4는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한 정의를 갖는다.
2,6-디클로로-3-니트로피리딘을 출발물질로 하여, 에테르화 반응을 수행하여 화합물 (g)을 얻고, 이를 화합물 (g)의 니트로기를 환원시켜 화합물 (h)를 얻는다. 화합물 (h)를 아실화하여 화합물 (i)을 얻은 다음, 화합물 (i)을 니트로화 반응시켜 화합물 (j)를 얻고, 이를 추가로 탈보호하여 중간체 2를 얻는다.
화합물 (j)는 치환에 의해 R3H와 반응하여 화합물 (k)를 얻고, 화합물 (k)는 Boc에 의해 보호되어 화합물 (l)을 얻고, 화합물 (l)는 탈아세틸화 보호되어 화합물 (m)을 얻는다. 화합물 (m)의 니트로기를 환원시켜 화합물 (n)을 얻고, 화합물 (n)을 추가로 아실화하여 화합물 (o)을 얻고, 마지막으로 화합물 (o)을 탈보호하여 중간체 2'를 얻는다.
중간체 2 및 2'의 제조 방법에서, 에테르화 반응은 강염기의 작용하에 수행되며, 여기서 강염기는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나트륨 에톡사이드 및 나트륨 메톡사이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니트로기를 환원시키는 방법은 철 분말, 아연 분말, 황화나트륨, H2/PtO2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환원제를 사용하고; 상부 보호기 또는 탈보호기는 적절한 산성 또는 염기성 조건하에서 당업계에 잘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할로겐"(또는 "할로")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C1-6 알킬"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의미한다. 분지쇄란 선형 알킬기에 메틸, 에틸, 프로필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가 하나 이상 붙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C1-6 알킬기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등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수소화 알킬"은 알킬기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중수소로 대체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틸기의 3개의 수소 원자는 모두 중수소로 대체되어 중수소화된 메틸기 CD3을 형성한다.
"C1-6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치환기를 함유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1-6 알킬기를 의미한다.
"C1-6헤테로알킬"은 O, S, N, -(S=O)-, -(O=S=O)-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함유하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C1-6 알킬을 의미한다.
"C3-6 시클로알킬"은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방향족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기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모노시클릭 C3-6 시클로알킬기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1-6 알콕시"는 산소에 의해 모 부분에 결합된 C1-6 알킬-O-기를 의미하며, 여기서 C1-6 알킬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다. 바람직한 C1-6알콕시기는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및 n-부톡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작용기들 중 임의의 것은 비치환되거나 본원에 기재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치환된"(또는 치환)이라는 용어는 특정 원자의 정상 원자가 상태를 초과되지 않고 치환이 안정한 화합물을 결과하는 경우의 특정 원자에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를 특정 그룹에서 선택된 기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치환기 및/또는 변수의 조합은 그 조합이 안정한 화합물을 형성하는 경우에만 허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비교적 무독성인 산 부가염 또는 염기 부가염을 의미한다. 산 부가 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적절한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염이며, 그 염은 화합물의 최종 분리 및 정제에서 제조될 수 있거나 유리 염기 형태의 화학식 (I)의 정제된 화합물을 적당한 유기산 또는 무기산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산부가염은 브롬화수소염, 염산염, 황산염, 중황산염, 아황산염, 아세트산염, 옥살산염, 발레르산염, 올레산염, 팔미트산염, 스테아르산염, 라우르산염, 붕산염, 벤조산염, 젖산염, 인산염, 인산수소, 탄산염, 중탄산염, 톨루산염, 시트르산염, 말레산염, 푸마레이트, 숙시네이트, 타르트레이트, 벤조에이트, 메탄술포네이트, p-톨루엔술포네이트, 글루코네이트, 락테이트, 라우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염기 부가염은 적합한 무기 또는 유기 염기와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4차 암모늄 양이온, 예컨대 나트륨, 리튬, 칼륨, 칼슘, 마그네슘, 테트라메틸암모늄, 테트라에틸암모늄 등과의 염; 암모니아(NH3), 1차 암모니아, 2차 암모니아 또는 3차 아민으로 형성된 염을 포함하는 아민 염, 예를 들어 메틸아민 염, 디메틸아민 염, 트리메틸아민 염, 트리에틸아민 염, 에틸아민 염 등이다.
효소 활성 분석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엑손 20 삽입 돌연변이에 대해 우수한 활성을 가짐을 보여주었고; 세포 분석, 즉 활성화된 돌연변이 세포, 즉 엑손 20 삽입형 활성화 돌연변이 세포, 약물 내성 종양 세포 및 야생형 EGFR 인간 피부 세포의 시험관내 항증식 분석은 그 화합물이 활성화된 돌연변이 세포 또는 약물 내성 돌연변이 종양 세포에 대하여 양호한 항증식 활성을 갖지만, 양호한 선택성으로 인해 야생형 EGFR 암 세포에 대해 약한 항증식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EGFR-활성화 동연변이 또는 내성 돌연변이의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상태의 치료, 특히 암의 치료에 유용하다. 이러한 암에는 간세포 암종, 폐암, 두경부암, 췌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결장직장암, 위암, 폐암, 비인두암, 난소암, 전립선암, 백혈병,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골수종, 신경교종, 교모세포종, 흑색종, 위장관 기질 종양(GIST), 갑상선암, 담관암종, 신장암,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다발성 골수종 또는 중피종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790 트레오닌-메티오닌 돌연변이(EGFR T790M) 종양형 및 활성화형 돌연변이의 경우, 엑손 20 삽입형 활성화 돌연변이 종양 유형이 더 잘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추가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고, 이러한 균등물이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PC9 뇌 인-시튜 누드 마우스의 생존율에 대한 화합물 1의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하기에 추가로 예시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이들 화합물이 하기 제조 방법의 조건 및 공정의 알려진 변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특별한 설명 없이 본 발명에 사용된 출발 물질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약어: 실온(RT, rt); 수용액(aq.); 석유 에테르(PE); 에틸 아세테이트(EA); 디클로로메탄(DCM); 메탄올(MeOH); 에탄올(EtOH);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트리에틸아민(T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탄소 상의 팔라듐(Pd/C); 당량(eq.); 그램/밀리그램(g/mg); 몰/밀리몰(mol/mmol); 리터/밀리리터(L/mL); 분(초)); 시간(h, hr, hrs); 질소(N2); 핵자기공명(NMR);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일반적인 합성 방법: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반응은 추가 수행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시약 및 무수 용매를 사용하여 불활성 기체(예를 들어, 아르곤 또는 질소) 하에서 수행된다.
질량 스펙트럼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기(LC-MS)(Agilent 6120B 단일 및 4단계 LC-MS)를 사용하여 기록되었다. 핵 자기 공명 스펙트럼(예를 들어, 수소(1H), 탄소(13C), 인(31P) 및 불소(19F))은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중수소화 메탄올, 중수소 수 또는 중수소화 디메틸설폭사이드와 같은 중수소화 용매(중수소화 용매 피크를 참조 표준으로 함)에서 BrukerAMX-400, Gemini-300 또는 AMX-600 NMR 분광기를 사용하여 기록되었다. 화학적 이동 d는 ppm으로 나타내고, 커플링 상수(j)는 헤르츠(Hz)로 나타낸다. NMR 스펙트럼에서 커플링 분할 피크는 넓은 단일 피크(brs), 단일 피크(s), 이중 피크(d), 이중 이중 이중 피크(dd), 삼중 피크(t), 사중 피크(q) 및 다중 피크(m)로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1. 본 발명의 중간체의 제조예
중간체(intermediate) 1a: 1-(2-클로로피리미딘-4-일)-8-플루오로-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의 합성
Figure pct00056
단계 1: 3-클로로-N-(4-플루오로페닐)프로펜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57
3-클로로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653 g, 1 eq)를 6.5 L의 디클로로메탄에 녹이고, 출발물질인 4-플루오로아닐린(783.6 g, 1.05 당량)을, 내부 온도를 0.5℃ 내지 10℃로 유지하면서 드라이아이스/에탄올 중탕하에서 적가하여, 다량의 고체를 침전시켰다. 적가 후, 혼합물을 0.5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고 이미다졸(405 g, 1.01 당량)을 회분식(분명한 온도 상승과 함께)으로 첨가하여 내부 온도를 0 내지 10℃ 사이로 유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을 완료하고, 반응 용액을 묽은 염산에 붓고, 분리하고, 다량의 고체가 침전될 때까지 유기상을 농축하고, 800 mL의 PE/EA(5/1)를 첨가하고, 밤새 교반하고, 여과하고, PE/EA(5/1)로 세척하여 950 g의 3-클로로-N-(4-플루오로페닐)프로펜아미드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MS(ESI): m/z = 202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16 (s, 1H), 7.71-7.60 (m, 2H), 7.23-7.13 (m, 2H), 3.91 (t, J = 6.3 Hz, 2H), 2.84 (t, J = 6.3 Hz, 2H).
단계 2: 6-플루오로-3,4-디히드로퀴놀린-2(1H)-온의 합성
Figure pct00058
5L 3구 플라스크에 3-클로로-N-(4-플루오로페닐)프로피온아미드(820 g, 1 당량)를 첨가한 후, 무수삼염화알루미늄(1640 g, 3 당량)을 교반하면서 첨가한 후, 3번 질소 치환하였다. 외부 온도를 60℃로 설정하고, 플라스크를 용융 상태가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내부 온도는 70℃로 상승함). 내부 온도를 낮춘 후, 플라스크를 100℃(내부 온도는 97℃)로 가열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에 의해 반응 전환율이 약 58%인 것이 확인된 때, 삼염화알루미늄 500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고, LCMS는 반응 전환율이 약 73%임을 나타내었고 추가로 삼염화알루미늄 200 g을 첨가하고 4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LCMS는 미전환 출발 물질이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혼합물이 40℃로 냉각되었을 때, DCM(2 L)을 그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강한 발열과 함께 THF(6L)를 그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EA(3L)를 첨가하고 물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다량의 침전물을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그 유기상을 농축하고, 수성상을 여과하였다. 합한 생성물을 각각 EA 및 물로 슬러리화하여 백색 고체로서 600 g의 습윤 생성물을 얻었다. MS(ESI): m/z = 166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16 (s, 1H), 7.71-7.61 (m, 2H), 7.23-7.13 (m, 2H), 3.92 (t, J = 6.3 Hz, 2H), 2.85 (t, J = 6.3 Hz, 2H).
단계 3: 6-플루오로-8-니트로-3,4-디히드로퀴놀린-2(1H)-온의 합성
Figure pct00059
6-플루오로-3,4-디히드로퀴놀린-2(1H)-온(700 g, 1 당량)을 5L 3구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아세트산 무수물 3.5L를 첨가하여 내부 온도를 15℃ 내지 20℃로 조절하였다. 진한 질산(485 g, 1.2 당량)을 천천히 적가하고, 첨가 후 용액이 투명해졌고, 25℃에서 30분 동안 더 교반한 다음, 다량의 고체가 침전되었고, 반응 용액을 물(20 L)에 넣고 가수분해가 완료될 때까지 교반하고, 여과한 후 필터 케이크를 세척액이 무색이 될 때까지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원하는 중간체 700 g을 황색 고체로 얻었다. MS(ESI): m/z = 211 [M+H]+,HNMR: 1H NMR (400 MHz, DMSO-d 6) δ 9.84 (s, 1H), 7.91 (dd, J = 8.9, 2.9 Hz, 1H), 7.70 (dd, J = 8.2, 2.8 Hz, 1H), 3.15-3.04 (m, 2H), 2.63 (dd, J = 8.3, 6.7 Hz, 2H).
단계 4: 6-플루오로-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8-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60
LiAlH4(48 g, 1.27 mol)를 THF(1 L)에 용해시키고 THF( 100 mL)를 내부 온도를 5 내지 10℃로 유지하면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적가가 완료된 후, 그 혼합물을 12℃로 자연적으로 회복시키고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그 혼합물을 0℃ 아래로 냉각하고, 내부 온도를 5℃ 아래로 유지하면서 물(48 mL), 15% NaOH(48 mL) 및 물(144 mL)로 연속적으로 ??칭하고, 규조토(90 g)를 첨가하였다. 5℃ 미만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그 혼합물을 규조토로 여과하고, THF로 세척하고, 필터 케이크를 다시 THF로 슬러리화하고, 여과하고, 유기상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 PE/EA 비율은 1/10, 1/4 및 2/3이고 0.1% TEA를 함유함)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 57 g을 포도주색 유성 액체로 얻었다. MS (ESI): m/z = 167 [M+H]+.
단계 5: 8-플루오로-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의 합성
Figure pct00061
6-플루오로-8-아미노-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린(166 g, 1 mol)을 THF(1L)에 용해시키고 THF(300 mL)에 용해된 트리포스겐(118 g, 0.4 mol)의 현탁액을 내부 온도를 5 내지 10℃로 유지하면서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 후 0.5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고 이미다졸(160 g, 20 mol)을 적가하고, 내부 온도를 10 내지 20℃로 유지하고, 온도를 실온으로 회복시킨 후 15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LCMS의 감시 하에, 출발물질이 완료된 후, 13% NaCl 용액 1 L를 첨가한 후 THF(1L)를 첨가하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THF(2L*2)로 추출한 후 건조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EA로 밤새 슬러리화하고, 여과하여 원하는 중간체 168 g을 밝은 갈색 고체로 얻었다. MS(ESI): m/z = 193 [M+H].
단계 6: 1-(2-클로로피리미딘-4-일)-8-플루오로-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의 합성
Figure pct00062
8-플루오로-5,6-디히드로-4H-이미다졸[4,5,1-ij]퀴놀린-2(1H)-온(36 g, 0.19 mol) 및 2,4-디클로로피리미딘(34 g, 0.23 mol)을 DMF(400 mL)에 녹이고, 탄산세슘(122 g, 0.37 mol)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에 의해 반응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혼합물을 물(250 mL)로 희석하고, 고체를 여과하고, 미정제 샘플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EA, 100/1)로 추가 정제하고, 약 50 mL로 농축하고, PE(200 mL)로 슬러리화하고, 여과하여 원하는 중간체 45 g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MS (ESI): m/z = 305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8.81 (d, J = 5.7 Hz, 1H), 8.42 (d, J = 5.8 Hz, 1H), 7.75 (d, J = 9.7 Hz, 1H), 7.00 (d, J = 9.6 Hz, 1H), 3.82 (t, J = 5.5 Hz, 2H), 2.85 (t, J = 5.6 Hz, 2H), 2.15-2.01 (m, 2H).
중간체 1b: 1-(2-클로로피리미딘-4-일)-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의 합성
Figure pct00063
단계 1: N-메톡시-3,4-디히드로퀴놀린-1(2H)-카르복사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64
트리포스겐(335 g, 1.13 mol)을 DCM(3 L)에 녹이고, DCM(2 L)에 용해된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300 g, 2.26 mol) 및 트리에틸아민(390 g, 3.86 mmol)의 용액을 0 내지 5℃에서 1.5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PE:EA = 5:1)는 대부분의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이 소모되었음을 나타냈다. 트리에틸아민(800 g, 7.92 mol) 및 메톡시아민 염산염(375 g, 4.52 mol)을 가하고 실온(15℃)에서 16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TLC(PE:EA = 5:1)를 통해 소량(약 20%)의 출발 물질이 소모되지 않은 것을 확인한 다음, 반응물을 추가 3시간 동안 30℃(물중탕)로 가온하였다. 반응은 TLC(PE:EA = 5:1)에 의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반응 용액을 염산(2 M, 3 L)으로 세척하고, 수상은 DCM(1 L)으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여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3 L) 및 포화 염 용액(2 L)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건조하여 원하는 중간체(580 g)를 황색 고체로 얻었다.
단계 2: 1-메톡시-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의 합성
Figure pct00065
N-메톡시-3,4-디히드로퀴놀린-1(2H)-카르복사미드(미정제, 580 g, 1.13 mol)를 DCM(500 mL)에 녹이고, DCM(1.2 L)에 용해된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요오도벤젠(1250 g, 2.91 mol)의 용액을 -3℃ 내지 2℃에서 적가하고, 첨가 후, 자연적으로 실온(15℃)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TLC(PE:EA = 1:1)에 의해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8 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 = 5:1 에서 1:1)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205 g, 44.5% 수율)를 황색 고체로 얻었다.
단계 3: 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의 합성
Figure pct00066
1-메톡시-5,6-디히드로-4H-이미다졸[4,5,1-ij]퀴놀린-2(1H)-온(51.25 g, 251.22 mol)을 에탄올(500 mL)에 녹이고, 라니 니켈(20 g)를 실온(15℃)에서 첨가한 후, 온도를 50℃로 승온시키고 그 혼합물을 수소 벌룬(hydrogen balloon) 하에서 16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TLC(PE:EA = 1:1)를 통해 출발 물질의 약 30%가 소모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혼합물을 새로운 수소 풍선하에서 4시간 동안 50℃에서 추가로 교반하였고, TLC(PE:EA = 1:1)는 출발 물질의 약 20%가 아직 소모되지 않은 것을 나타났다. 추가의 라니니켈(8 g)을 상온에서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새로운 수소 벌룬하에서 5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PE:EA = 1:1)에 의해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였다.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메탄올(150 mL)로 3회 세척하고, 여액을 농축하였다. 미정제 생성물(4개 로트 조합)을 PE/EA(1:1, 800 mL)로 슬러리화하고, 여과하여 원하는 중간체(155 g, 88.6% 수율)를 회백색 고체로 얻었다.
단계 4: 1-(2-클로로피리미딘-4-일)-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2(1H)-온의 합성
Figure pct00067
5,6-디히드로-4H-이미다졸[4,5,1-ij]퀴놀린-2(1H)-온(155 g, 890.80 mol)을 DMF(1.5 L)에 녹이고, 2,4-디클로로피리미딘(158 g, 1.06 mol) 및 탄산세슘(580 g, 1.78 mol)을 실온(10℃)에서 첨가한 후, 30℃로 가열하고 16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TLC(DCM:MeOH = 20:1)에 의해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고, 물(3 L)을 반응물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물(1 L)로 세척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PE:EA(1:1, 1.5 L)로 슬러리화하고, 여과하고, 건조하여 원하는 중간체(230 g, 90.2% 수율)를 회백색 고체로 얻었다.
중간체 2a: N-(5-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68
단계 1: N1-(2-(디메틸아미노)에틸)-5-메톡시-N1-메틸-2-니트로벤젠-1,4-디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69
4-플루오로-2-메톡시-5-니트로아닐린(3 g, 16 mmol) 및 N1,N1,N2-트리메틸에탄-1,2-디아민(2.47 g, 24 mmol)을 DMF(30 mL)에 녹이고, 탄산칼륨(4.5 g, 32 mmol)을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에 의해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고, 실온으로 냉각하고, 그 혼합물을 물(60 mL)로 희석하고,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EtOH/H2O(1/1)로 슬러리화하고, 여과하고 건조하여 원하는 중간체(3.1 g)를 황색 고체로 얻었다. MS(ESI): m/z = 269 [M+H]+.
단계 2: tert-부틸 (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2-메톡시-5-니트로페닐)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ct00070
N1-(2-(디메틸아미노)에틸)-5-메톡시-N1-메틸-2-니트로벤젠-1,4-디아민(3.1 g, 12 mmol)을 THF(40 mL)에 녹이고,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3.8 g, 17 mmol)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7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그런 다음, 농축하고 그 잔류물을 EA/PE(1/5)로 슬러리화하여 원하는 중간체(3.8 g)를 담황색 고체로 얻었다. MS(ESI): m/z = 369 [M+H]+.
단계 3: tert-부틸 (5-아미노-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2-메톡시페닐)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ct00071
tert-부틸 (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2-메톡시-5-니트로페닐)카바메이트(3.8 g, 10.3 mmol)를 MeOH(40 mL)에 녹이고, 3회 질소 치환한 다음, Pd/C(0.4 g)를 첨가하고 3회 수소 치환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여과 및 농축하고, 미정제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MS (ESI): m/z = 339 [M+H]+.
단계 4: tert-부틸 (5-아크릴아미도-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2-메톡시페닐)카르바메이트의 합성
Figure pct00072
tert-부틸 (5-아미노-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2-메톡시페닐)-카바메이트(10.3 mmol)를 DCM(50 mL)에 녹이고,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1.36 g, 15 mmol)을 얼음 중탕하에서 순차적으로 적가한 후, 상온으로 자연 회복시키면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8로 조정하고, 수성상을 분리하고 DCM(50 mL)으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 = 1 /70 에서 1/20)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1.4 g)를 회색 고체로서 얻었다. MS (ESI): m/z = 393 [M+H]+.
단계 5: N-(5-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73
tert-부틸 (5-아크릴아미도-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2-메톡시-페닐)-카르바메이트(392 mg, 1 mmol)를 DCM(5 mL)에 녹이고, TFA(1 mL)을 적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얼음 중탕하에서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8로 조정하였다. 수성상을 분리하고, DCM(50 mL)으로 추출하고, 건조 및 농축하고,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 = 1/20에서 1/10)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200 mg)를 갈색의 시럽같은 고체로서 얻었다. MS (ESI): m/z = 293 [M+H]+.
중간체 2b: N-(5-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6-메톡시피리딘-3-일)아크릴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74
단계 1: 6-클로로-3-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의 합성
Figure pct00075
2,6-디클로로-3-니트로피리딘(500 g, 2.6 mol)을 THF(1L)에 녹이고, -10℃ 미만으로 냉각하고, 수소 나트륨(104 g, 2.6 mol)을 첨가하고, 트리플루오로에탄올(260 g, 2.6 mol)을 -15℃에서 적가하고, 첨가 후 온도를 실온으로 회복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TLC(PE/EA = 5/1)에 의해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고, 빙수(1 L)에 붓고, 교반하고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작은 체적으로 농축하고, EA로 2회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물 및 포화 염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및 농축하여 원하는 중간체(720 g)를 황색 오일-고체로서 얻었다. MS (ESI): m/z = 257 [M+H]+.
단계 2: 6-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76
6-클로로-3-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150 g, 0.58 mol)을 에탄올/물(1.2 L/0.3 L)에 녹이고, 염화암모늄(160 g, 2.9 mol)을 첨가했다. 온도를 50℃(내부온도)까지 올린 후, 철 분말(166 g, 2.9 mol)을 회분식으로 천천히 첨가한 후, 8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PE/EA = 5/1)에 의해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고, 온도를 40℃(내부온도)로 낮추고 탄산나트륨(160 g)과 규조토(160 g)를 가한 후, 20분간 교반한 후 규조토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 케이크 DCM으로 슬러리화하고, 에탄올-물 모액을 건조상태까지 농축시키고, 이를 필터 케이크가 슬러리화된 DCM으로 2회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포화 염 용액을 갖는 물로 세척하고, 건조 및 농축하여 원하는 중간체(122 g)를 흑색 오일로서 얻었다. MS (ESI): m/z = 227 [M+H]+.
단계 3: N-(6-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아세트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77
6-클로로-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아민(570 g, 2.5 mol)을 DCM(4.5L)에 녹이고, DIPEA(540 mL, 3.8 mol)를 첨가하였다. 온도를 0℃로 낮춘 후, 아세틸 클로라이드(200 mL, 3 mol)를 약 1시간 동안 적가하여 온도를 약 10℃로 유지한 다음, 30분 동안 교반하고 TLC(PE/EA = 5/1)에 의해 반응 완료를 확인하였다. 물(2 L)을 어름 중탕하에 첨가하고, 유기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DCM으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1M 염산 및 포화 염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및 농축하고,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 = 5/1)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480 g)를 노란색 고체-액체 혼합물로 얻었다. MS (ESI): m/z = 269 [M+H]+.
단계 4: N-(6-클로로-5-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아세트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78
N-(6-클로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아세트아미드(300 g, 1.1 mo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1.5 L)에 현탁시키고 -5℃ 미만으로 냉각하였다. 진한 질산(125 g, 1.2 mol)을 1시간 동안 적가한 후 -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PE/EA = 2/1)에 의해 반응 완료를 확인한 후, 교반하에서 얼음물에 첨가한 후, 잠시 교반하고,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물 및 PE로 순차적으로 침출하고 습윤 생성물(185 g)을 PE/EA(400 mL)로 밤새 슬러리화하고 여과하고 그리고 필터 케이크를 PE/EA(5/1)로 다시 슬러리화하고, 여과하고 건조하여 원하는 중간체(220 g)를 황색 고체로 얻었다. MS (ESI): m/z = 314 [M+H]+.
단계 5: 6-클로로-5-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79
N-(6-클로로-5-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아세트아미드(220 g, 0.7 mol)를 메탄올/진한 염산의 혼합 용매(900/220 mL)에 현탁시켰다. 약 4시간 동안 반응을 위해 50℃로 가열하고, 반응물이 맑아지면, TLC에 의해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교반 하에 반응 용액을 물에 첨가하고,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물로 세척한 다음,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슬러리화하고,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물 및 PE로 차례로 침출하고 건조하여 원하는 중간체(175 g)를 황색 고체로 얻었다. MS (ESI): m/z = 272 [M+H]+.
단계 6: N2-(2-(디메틸아미노)에틸)-N2-메틸-3-니트로-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2,5-디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80
6-클로로-5-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아민(950 mg, 3.5 mmol)을 아세토니트릴(15 mL)에 녹이고, K2CO3(967 mg, 7 mmol) 및 N,N,N'-트리메틸에틸렌디아민(643 mg, 6.3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한 후, 반응물을 8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1.16 g)를 적색 오일로 얻었다. MS (ESI): m/z = 338.2 [M+H]+.
단계 7: N2-(2-(디메틸아미노)에틸)-N2-메틸-3-니트로-5-디-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2-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81
N2-(2-(디메틸아미노)에틸)-N2-메틸-3-니트로-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2,5-디아민(1.01 g, 3.5 mmol) 및 DMAP(110 mg, 0.9 mmol)을 1,4-디옥산(30 mL)에 녹이고,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1.96 g, 10.5 mmol)를 첨가한 다음, 100℃의 오일 중탕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680 mg)를 황색 오일로 얻었다. MS (ESI): m/z = 538 [M+H]+.
단계 8: N2-(2-(디메틸아미노)에틸)-N2-메틸-5-디-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2,3-디아민의 합성
Figure pct00082
N2-(2-(디메틸아미노)에틸)-N2-메틸-3-니트로-5-디-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2-아민 (680 mg, 1.3 mmol)을 MeOH(30 mL)에 녹이고, 10% Pd-C(136 mg)를 첨가하고, 플라스크 내의 공기를 수소로 3회 치환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415 mg)를 갈색 오일로 얻었다. MS (ESI): m/z = 508.3 [M+H]+.
단계 9: N-(5-디-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아크릴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83
N2-(2-(디메틸아미노)에틸)-N2-메틸-5-디-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2,3-디아민(415 mg, 0.8 mmol)을 DCM(15 mL)에 녹이고, 트리에틸아민(248 mg, 2.4 mmol)을 첨가하고, 얼음물 중탕하에 교반하고,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148 mg, 1.6 mmol)를 적가한 다음, 온도를 실온으로 회복시키고, 교반을 10분간 계속한 후, 물로 ??칭하고, DCM(15mL*3)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상을 건조 및 농축하고,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318 mg)를 갈색 오일로 얻었다. MS (ESI): m/z = 562.3 [M+H]+.
단계 10: N-(5-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6-메톡시피리딘-3-일)아크릴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84
N-(5-디-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아크릴아미드(318 mg, 0.57 mmol)을 DCM(20 mL)에 녹이고, 얼음물 중탕하에서 메탄설폰산(1.63 g, 5.7 mmol)을 적가한 후, 자연적으로 실온으로 온도를 회복시킨 후 2.5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얼음물 중탕하에서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을 적가하여 pH를 8로 점진적으로 조정하고, DCM(25mL*3)으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합하고, 건조 및 농축하고,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옅은 갈색-녹색 고체로서 원하는 중간체(176 mg)를 얻었다. MS (ESI): m/z = 362.2 [M+H]+.
실시예 1: N-(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의 합성
Figure pct00085
중간체 1a(152 mg, 0.2 mmol), 중간체 2a(200 mg, 0.68 mmol), 팔라듐 아세테이트(45 mg, 0.2 mmol), Xanphos(116 mg, 0.2 mmol) 및 탄산세슘(130 mg, 0.4 mmol)을 90℃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1,4-디옥산(5 mL)에 첨가하였다. 반응 종료 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하고,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eOH/DCM = 1/10)로 정제하여 원하는 목적 화합물(41 mg)을 옅은 갈색 고체로 얻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한 화합물은 하기 표에 기재되어 있다.
번호 구조 명칭 1 HNMR 및 MS
1
Figure pct00086
N-(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62.3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9.82 (s, 1H), 8.95 (s, 1H), 8.39 (d, J = 5.6 Hz, 1H), 8.10 (s, 1H), 7.72 (d, J = 5.6 Hz, 2H), 6.85 (d, J = 9.8 Hz, 1H), 6.44 (dd, J = 17.0, 10.2 Hz, 1H), 6.19 (d, J = 17.5 Hz, 1H), 5.80-5.65 (m, 1H), 3.94-3.66 (m, 5H), 3.18 (t, J = 6.3 Hz, 2H), 2.87 (s, 3H), 2.79 (t, J = 5.2 Hz, 2H), 2.50 (s, 2H), 2.20 (s, 6H), 2.08-1.95 (m, 2H).
2
Figure pct00087
N-(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5-((4-(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43.3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8 (s, 1H), 8.70 (s, 1H), 8.46-8.35 (m, 2H), 7.77 (m, 1H), 7.71 (d, J = 5.6 Hz, 1H), 7.04 (s, 1H), 6.92 (d, J = 7.6 Hz, 1H), 6.77 (t, J = 7.9 Hz, 1H), 6.38 (dd, J = 16.9, 10.1 Hz, 1H), 6.17 (dd, J = 16.9, 1.9 Hz, 1H), 5.71 (dd, J = 10.1, 1.9 Hz, 1H), 3.77 (t, J = 5.6 Hz, 2H), 3.73 (s, 3H), 2.90 (t, J = 5.7 Hz, 2H), 2.78 t, J = 5.6 Hz, 2H), 2.74 (s, 3H), 2.33 (t, J = 5.6 Hz, 2H), 2.20 (s, 6H), 2.05-1.97 (m, 2H).
3
Figure pct00088
N-(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6-메톡시피리딘-3-일)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62.3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9.82 (s, 1H), 8.95 (s, 1H), 8.39 (d, J = 5.6 Hz, 1H), 8.10 (s, 1H), 7.72 (d, J = 5.6 Hz, 2H), 6.85 (d, J = 9.8 Hz, 1H), 6.44 (dd, J = 17.0, 10.2 Hz, 1H), 6.19 (d, J = 17.5 Hz, 1H), 5.80-5.65 (m, 1H), 3.94-3.66 (m, 5H), 3.18 (t, J = 6.3 Hz, 2H), 2.87 (s, 3H), 2.79 (t, J = 5.2 Hz, 2H), 2.50 (s, 2H), 2.20 (s, 6H), 2.08-1.95 (m, 2H).
4
Figure pct00089
N-(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6-메톡시-5-((4-(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피리딘-3-일)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44.3 [M+H]+, 1H NMR (400 MHz, CDCl3) δ 10.06 (s, 1H), 9.55 (s, 1H), 8.51 (d, J = 5.7 Hz, 1H), 8.06 (d, J = 7.9 Hz, 1H), 7.86 (d, J = 5.7 Hz, 1H), 7.26 (s, 1H), 7.00 (t, J = 7.8 Hz, 1H), 6.94 (d, J = 7.3 Hz, 1H), 6.43-6.27 (m, 2H), 5.72-5.62 (m, 1H), 3.99 (s, 3H), 3.93-3.86 (m, 2H), 3.03 (s, 2H), 2.88 (t, J = 6.0 Hz, 2H), 2.77 (s, 3H), 2.45 (s, 2H), 2.37 (s, 6H), 2.14 (dt, J = 11.7, 6.0 Hz, 2H).
5
Figure pct00090
N-(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630.3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9.90 (s, 1H), 9.04 (s, 1H), 8.39 (d, J = 5.6 Hz, 1H), 8.06 (s, 1H), 7.73 (d, J = 5.7 Hz, 1H), 7.56 (s, 1H), 6.85 (d, J = 9.2 Hz, 1H), 6.44 (dd, J = 16.9, 10.2 Hz, 1H), 6.21 (d, J = 16.7 Hz, 1H), 5.74 (d, J = 11.1 Hz, 1H), 4.90 (q, J = 8.9 Hz, 2H), 3.77 (t, J = 5.5 Hz, 2H), 3.20 (t, J = 6.4 Hz, 2H), 2.88 (s, 3H), 2.79 (t, J = 5.3 Hz, 2H), 2.47 (s, 2H), 2.20 (s, 6H), 2.09-1.96 (m, 2H).
6
Figure pct00091
N-(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5-((4-(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6-(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피리딘-3-일)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612.3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9.83 (s, 1H), 9.13 (s, 1H), 9.01 (s, 1H), 8.38 (d, J = 5.7 Hz, 1H), 7.88 (s, 1H), 7.75 (d, J = 5.8 Hz, 2H), 6.95 (d, J = 7.4 Hz, 1H), 6.84 (s, 1H), 6.52 (dd, J = 17.0, 10.2 Hz, 1H), 6.28 (d, J = 17.1 Hz, 1H), 5.79 (d, J = 11.9 Hz, 1H), 4.91 (q, J = 9.0 Hz, 2H), 3.81-3.75 (m, 2H), 3.68 (t, J = 6.5 Hz, 2H), 3.30 (d, J = 5.5 Hz, 2H), 2.85-2.77 (m, 11H), 2.31 (s, 3H), 2.01 (s, 2H).
7
Figure pct00092
N-(5-((5-클로로-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95.4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11 (s, 1H), 8.89 (s, 1H), 8.38 (s, 1H), 7.62 (s, 1H), 7.42 (s, 1H), 7.00 (s, 1H), 6.79 (d, J = 10.0 Hz, 1H), 6.46-6.06 (m, 3H), 5.70 (d, J = 10.2 Hz, 1H), 3.74 (s, 5H), 2.87 (s, 2H), 2.73 (s, 5H), 2.31 (s, 2H), 2.17 (s, 6H), 1.99 (s, 2H).
8
Figure pct00093
N-(5-((5-클로로-4-(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77.3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8 (s, 1H), 8.71 (s, 1H), 8.46-8.36 (m, 2H), 7.79 (m, 1H), 7.4 (s, 1H), 7.04 (s, 1H), 6.78 (t, J = 7.9 Hz, 1H), 6.38 (dd, J = 16.9, 10.1 Hz, 1H), 6.17 (dd, J = 16.9, 1.9 Hz, 1H), 5.71 (dd, J = 10.1, 1.9 Hz, 1H), 3.78 (t, J = 5.6 Hz, 2H), 3.75 (s, 3H), 2.91 (t, J = 5.7 Hz, 2H), 2.79 (t, J = 5.6 Hz, 2H), 2.72 (s, 3H), 2.31 (t, J = 5.6 Hz, 2H), 2.21 (s, 6H), 2.05-1.99 (m, 2H).
9
Figure pct00094
N-(5-((5-시아노-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86.3 [M+H]+, 1H NMR (400 MHz,DMSO-d 6) δ 10.04 (s, 1H), 8.89 (s, 1H), 8.40 (s, 2H), 7.61 (s, 1H), 7.40 (s, 1H), 7.01 (s, 1H), 6.77 (d, J = 10.0 Hz, 1H), 6.46-6.05 (m, 3H), 5.71 (d, J = 10.2 Hz, 1H), 3.78 (s, 5H), 2.88 (s, 2H), 2.72 (s, 5H), 2.30 (s, 2H), 2.18 (s, 6H), 1.98 (s, 2H).
10
Figure pct00095
N-(5-((5-시아노-4-(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68.3 [M+H]+, 1H NMR (400 MHz, CDCl3) δ 10.05 (s, 1H), 8.40 (s, 1H), 7.39 (dd, J = 14.8, 3.1 Hz, 1H), 7.12 (s, 1H), 6.85 (t, J = 14.8 Hz, 1H), 6.71 (dd, J = 14.8, 3.2 Hz, 1H), 6.43 (s, 1H), 6.22 (dd, J = 32.8, 20.0 Hz, 1H), 6.05 (dd, J = 20.0, 5.1 Hz, 1H), 5.69 (dd, J = 32.8, 5.1 Hz, 1H), 5.05 (s, 1H), 3.86 (s, 3H), 3.65-3.55 (m, 3H), 3.50 (t, J = 14.4 Hz, 1H), 2.79 (t, J = 12.0 Hz, 2H), 2.75 (s, 3H), 2.50 (t, J = 14.4 Hz, 2H), 2.21 (s, 6H), 1.62 (p, J = 11.4 Hz, 2H).
11
Figure pct00096
에틸 2-((5-아크릴아미도-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2-메톡시페닐)아미노)-4-(8-플루오로-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5-카르복실레이트 MS (ESI): m/z = 633.4 [M+H]+, 1H NMR (400 MHz, CDCl3) δ 10.01 (s, 1H), 7.55 (s, 1H), 7.44 (dd, J = 15.8, 3.0 Hz, 1H), 7.08 (s, 1H), 6.75 (dd, J = 15.8, 3.0 Hz, 1H), 6.39 (s, 1H), 6.15 (dd, J = 32.3, 19.8 Hz, 1H), 6.01 (dd, J = 20.0, 5.5 Hz, 1H), 5.65 (dd, J = 32.4, 5.4 Hz, 1H), 5.06 (s, 1H), 4.21 (q, J = 11.8 Hz, 2H), 3.84 (s, 3H), 3.54 (dt, J = 29.8, 13.0 Hz, 4H), 2.87-2.68 (m, 5H), 2.48 (t, J = 14.4 Hz, 2H), 2.20 (s, 6H), 1.61 (p, J = 11.4 Hz, 2H), 1.29 (t, J = 11.8 Hz, 3H).
12
Figure pct00097
에틸 2-((5-아크릴아미도-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2-메톡시페닐)아미노)-4-(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5-카르복실레이트 MS (ESI): m/z = 615.4 [M+H]+, 1H NMR (400 MHz, CDCl3) δ 10.10 (s, 1H), 7.60 (s, 1H), 7.39 (dd, J = 14.8, 3.2 Hz, 1H), 7.12 (s, 1H), 6.85 (t, J = 14.8 Hz, 1H), 6.71 (dd, J = 14.8, 3.2 Hz, 1H), 6.43 (s, 1H), 6.20 (dd, J = 32.6, 19.9 Hz, 1H), 6.05 (dd, J = 20.0, 5.3 Hz, 1H), 5.69 (dd, J = 32.6, 5.3 Hz, 1H), 5.08 (s, 1H), 4.24 (q, J = 11.8 Hz, 2H), 3.86 (s, 3H), 3.67-3.43 (m, 4H), 2.85-2.70 (m, 5H), 2.50 (t, J = 14.6 Hz, 2H), 2.21 (s, 6H), 1.73-1.54 (m, 2H), 1.30 (t, J = 11.8 Hz, 3H).
13
Figure pct00098
이소프로필 2-((5-아크릴아미도-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2-메톡시페닐)아미노)-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 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5-카르복실레이트 MS (ESI): m/z = 647.5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5 (s, 1H), 9.24 (s, 1H), 8.96 (s, 1H), 8.41 (s, 1H), 8.13 (s, 1H), 7.75 (d, J = 5.7 Hz, 2H), 7.02 (s, 1H), 6.85 (d, J = 8.3 Hz, 1H), 6.66 (dd, J = 16.9, 10.3 Hz, 1H), 6.24 (dd, J = 17.0, 1.8 Hz, 1H), , 5.10 (m, 1H) 3.84 - 3.71 (m, 5H), 3.30 (s, 4H), 2.80 (dd, J = 16.5, 5.4 Hz, 8H), 2.63 (s, 3H), 2.33 (s, 3H), 2.07-1.98 (m, 2H), 1.42 (d, 6H).
14
Figure pct00099
이소프로필 2-((5-아크릴아미도-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2-메톡시페닐)아미노)-4-(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 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5-카르복실레이트 MS (ESI): m/z = 629.4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8 (s, 1H), 8.70 (s, 1H), 8.46-8.35 (m, 2H), 7.77 (m, 1H), 7.50 (s, 1H), 7.04 (s, 1H),, 6.77 (t, J = 7.9 Hz, 1H), 6.38 (dd, J = 16.9, 10.1 Hz, 1H), 6.17 (dd, J = 16.9, 1.9 Hz, 1H), 5.71 (dd, J = 10.1, 1.9 Hz, 1H), 5.05 (m, 1H),3.75 (t, J = 5.6 Hz, 2H), 3.71 (s, 3H), 2.91 (t, J = 5.7 Hz, 2H), 2.77 (t, J = 5.6 Hz, 2H), 2.75 (s, 3H), 2.30 (t, J = 5.6 Hz, 2H), 2.19 (s, 6H), 1.40 (d, 6H).
15
Figure pct00100
N-(5-((4-(8-클로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77.4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5 (s, 1H), 9.01 (s, 1H), 8.96 (s, 1H), 8.45 (d, J = 5.7 Hz, 1H), 8.13 (s, 1H), 7.75 (d, J = 5.7 Hz, 1H), 7.30 (s, 1H), 7.05 (s, 1H), 6.66 (dd, J = 16.9, 10.3 Hz, 1H), 6.24 (dd, J = 17.0, 1.8 Hz, 1H), 5.76 (d, J = 11.9 Hz, 1H), 3.84-3.71 (m, 5H), 3.30 (s, 4H), 2.80 (dd, J = 16.5, 5.4 Hz, 8H), 2.63 (s, 3H), 2.33 (s, 3H), 2.07-1.98 (m, 2H).
16
Figure pct00101
N-(5-((4-(8-브로모-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621.3 [M+H]+, 1H NMR (400 MHz, DMSO-d 6) δ10.12 (s, 1H), 9.09 (s, 1H), 8.80 (s, 1H), 8.40 (d, J = 5.7 Hz, 1H), 8.02 (s, 1H), 7.73 (d, J = 5.7 Hz, 1H), 7.30 (s, 1H), 7.08 (s, 1H), 6.38 (dd, J = 16.9, 10.1 Hz, 1H), 6.17 (dd, J = 16.9, 1.9 Hz, 1H), 5.71 (dd, J = 10.1, 1.9 Hz, 1H), 3.78 (t, J = 5.6 Hz, 2H), 3.73 (s, 3H), 2.90 (t, J = 5.7 Hz, 2H), 2.80 (t, J = 5.6 Hz, 2H), 2.74 (s, 3H), 2.33 (t, J = 5.6 Hz, 2H), 2.19 (s, 6H).
17
Figure pct00102
N-(4-메톡시-2-(4-메틸피페라진-1-일)-5-((4-(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41.4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8 (s, 1H), 8.70 (s, 1H), 8.46-8.35 (m, 2H), 7.77 (m, 1H), 7.71 (d, J = 5.6 Hz, 1H), 7.04 (s, 1H), 6.92 (d, J = 7.6 Hz, 1H), 6.77 (t, J = 7.9 Hz, 1H), 6.38 (dd, J = 16.9, 10.1 Hz, 1H), 6.17 (dd, J = 16.9, 1.9 Hz, 1H), 5.71 (dd, J = 10.1, 1.9 Hz, 1H), 3.79 (t, J = 5.6 Hz, 2H), 3.74 (s, 3H), 2.89 (t, J = 5.7 Hz, 2H), 2.78 (t, J = 5.6 Hz, 4H), 2.31 (t, J = 5.6 Hz, 4H), 2.20 (s, 3H).
18
Figure pct00103
N-(5-((4-(7,8-디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79.3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8 (s, 1H), 8.87 (s, 1H), 8.51 (d, J = 5.7 Hz, 1H), 7.90 (m, 1H), 7.86 (d, J = 5.7 Hz, 1H), 7.61 (s, 1H), 7.01 (s, 1H), 6.45-6.06 (m, 2H), 5.69 (d, J = 10.2 Hz, 1H), 3.72 (s, 5H), 2.85 (s, 2H), 2.72 (s, 5H), 2.32 (s, 2H), 2.19 (s, 6H), 1.98 (s, 2H).
19
Figure pct00104
N-(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5-((4-(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2-플루오로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61.3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1 (s, 1H), 8.59 (s, 1H), 8.53-8.31 (m, 2H), 7.87 (m, 1H), 7.74 (d, J = 4.8 Hz, 1H), 7.12 (s, 1H), 6.98 (d, J = 7.6 Hz, 1H), 6.53 (t, J = 7.7 Hz, 1H), 5.88 (d, J = 4.3 Hz, 0.5H), 5.72 (d, J = 4.2 Hz, 0.5H), 5.69 (d, J = 4.2 Hz, 0.5H), 5.4 (d, J = 4.1 Hz, 0.5H), 3.57 (t, J = 5.6 Hz, 2H), 3.43 (s, 3H), 2.93 (t, J = 5.2 Hz, 2H), 2.79 (t, J = 5.2 Hz, 2H), 2.72 (s, 3H), 2.32 (t, J = 5.3 Hz, 2H), 2.20 (s, 6H), 2.10 - 1.95 (m, 2H).
20
Figure pct00105
(E)-4-(디메틸아미노)-N-(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5-((4-(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부트-2-엔아미드 MS (ESI): m/z = 600.4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06 (s, 1H), 8.71 (s, 1H), 8.33 (d, J = 5.4 Hz, 1H), 8.22 (s, 1H), 7.72(s, 1H), 7.66 (d, J = 5.7 Hz, 1H), 7.01 (s, 1H), 6.92 (d, J = 7.3 Hz, 1H), 6.81 (t, J = 7.5 Hz, 1H), 6.35 (d, J = 10.3 Hz, 1H), 5.98-6.12 (m, 1H), 3.87 (t, J = 5.4 Hz, 2H), 3.71 (s, 3H),3.02 (d, J = 5.6 Hz, 2H) 2.91 (t, J = 5.7 Hz, 2H), 2.76 (t, J = 5.4 Hz, 2H), 2.72 (s, 3H), 2.53 (t, J = 5.5 Hz, 2H), 2.12 (s, 6H), 2.16 (s, 6H), 2.07-1.98 (m, 2H).
21
Figure pct00106
N-(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4-메톡시-5-((5-메틸-4-(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 ,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57.3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18 (s, 1H), 8.74 (s, 1H), 8.48-8.31 (m, 2H), 7.87 (m, 1H), 7.02 (s, 1H), 6.90 (d, J = 7.4 Hz, 1H), 6.77 (t, J = 7.7 Hz, 1H), 6.35 (dd, J = 16.1, 10.0 Hz, 1H), 6.15 (dd, J = 16.2, 1.8 Hz, 1H), 5.70 (dd, J = 10.7, 1.7 Hz, 1H), 3.77 (t, J = 5.5 Hz, 2H), 3.75 (s, 3H), 2.92 (t, J = 5.5 Hz, 2H), 2.78 (t, J = 5.2 Hz, 2H), 2.74 (s, 3H), 2.33 (t, J = 5.2 Hz, 2H), 2.24 (s, 6H), 2.01-1.87 (m, 2H).
22
Figure pct00107
N-(4-시클로프로폭시-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5-((4-(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69.5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10 (s, 1H), 8.72 (s, 1H), 8.48-8.38 (m, 2H), 7.79 (m, 1H), 7.72 (d, J = 5.6 Hz, 1H), 7.05 (s, 1H), 6.94 (d, J = 7.6 Hz, 1H), 6.78 (t, J = 7.9 Hz, 1H), 6.40 (dd, J = 16.9, 10.1 Hz, 1H), 6.18 (dd, J = 16.9, 1.9 Hz, 1H), 5.71 (dd, J = 10.1, 1.9 Hz, 1H), 3.74 (t, J = 5.6 Hz, 2H), 3.68 (m, 1H), 2.89 (t, J = 5.7 Hz, 2H), 2.78 (t, J = 5.6 Hz, 2H), 2.74 (s, 3H), 2.33 (t, J = 5.6 Hz, 2H), 2.20 (s, 6H), 2.07-1.97 (m, 2H), 0.92-0.56 (m, 2H), 0.49-0.13 (m, 2H)
23
Figure pct00108
N-(4-메톡시-2-(메틸(2-(피롤리딘-1-일)에틸)아미노)-5-((4-(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69.4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10.11 (s, 1H), 8.75 (s, 1H), 8.45-8.31 (m, 2H), 7.77 (m, 1H), 7.71 (d, J = 5.6 Hz, 1H), 7.04 (s, 1H), 6.92 (d, J = 7.6 Hz, 1H), 6.77 (t, J = 7.9 Hz, 1H), 6.38 (dd, J = 16.9, 10.1 Hz, 1H), 6.17 (dd, J = 16.9, 1.9 Hz, 1H), 5.71 (dd, J = 10.1, 1.9 Hz, 1H), 3.77 (t, J = 5.6 Hz, 2H), 3.73 (s, 3H), 2.90 (t, J = 5.7 Hz, 2H), 2.79 (t, J = 5.6 Hz, 2H), 2.75 (s, 3H), 2.32 (t, J = 5.6 Hz, 2H), 2.29-2.15 (m, 4H), 2.05-1.99 (m, 2H), 1.72-1.52 (m, 4H).
화합물 1의 합성을 참조하여, 하기 표에 나타낸 화합물을 얻었다:
번호 구조 명칭 MS
24
Figure pct00109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2-(3-(피롤리딘-1-일)아제티딘-1-일)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85.3 [M+H]+
25
Figure pct00110
N-(2-((2-(아제티딘-1-일)에틸)(메틸)아미노)-5-((4-(8-플루오로-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73.3 [M+H]+
26
Figure pct00111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2-(메틸(2-(피롤리딘-1-일)에틸)아미노)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87.3 [M+H]+
27
Figure pct00112
N-(2-([1,3'-비아제티딘]-1'-일)-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71.3 [M+H]+
28
Figure pct00113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2-(메틸(2-(메틸(메틸-d3)아미노)에틸)아미노)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64.3 [M+H]+
29
Figure pct00114
N-(2-((2-(비스(메틸-d3)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 [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67.3 [M+H]+
30
Figure pct00115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2-(2,5-디아자스피로[3.4]옥탄-2-일)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71.3 [M+H]+
31
Figure pct00116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2-(5-메틸-2,5-디아자스피로[3.4]옥탄-2-일)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85.3 [M+H]+
32
Figure pct00117
N-(2-(5-에틸-2,5-디아자스피로[3.4]옥탄-2-일)-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99.3 [M+H]+
33
Figure pct00118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2-(5-이소프로필-2,5-디아자스피로[3.4]옥탄-2-일)-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613.3 [M+H]+
34
Figure pct00119
N-(2-(5-시클로프로필-2,5-디아자스피로[3.4]옥탄-2-일)-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 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611.3 [M+H]+
35
Figure pct00120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2-(1-메틸-1,6-디아자스피로[3.3]헵탄-6-일)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71.3 [M+H]+
36
Figure pct00121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2-(5-메틸-2,5-디아자스피로[3.5]노난-2-일)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99.3 [M+H]+
37
Figure pct00122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2-(3-(3-메톡시피롤리딘-1-일)아제티딘-1-일)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615.3 [M+H]+
38
Figure pct00123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2-(3-(3-(메틸티오)피롤리딘-1-일)아제티딘-1-일)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631.3 [M+H]+
39
Figure pct00124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2-(3-(3-(메틸술포닐)피롤리딘-1-일)아제티딘-1-일)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663.2 [M+H]+
40
Figure pct00125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2-(3-(3-플루오로피롤리딘-1-일)아제티딘-1-일)-4-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603.3 [M+H]+
41
Figure pct00126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2-(3-메톡시-[1,3'-비아제티딘]-1'-일)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601.3 [M+H]+
42
Figure pct00127
N-(2-((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d3)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64.3 [M+H]+
43
Figure pct00128
N-(5-((4-(8-플루오로-2-옥소-5,6-디하이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d3)-2-(메틸(2-(메틸(메틸-d3)아미노)에틸)아미노)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67.3 [M+H]+
44
Figure pct00129
N-(2-((2-(비스(메틸-d3)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5-((4-(8-플루오로-2-옥소-5,6-디히드로-4H-이미다조)[4,5,1-ij]퀴놀린-1(2H)-일)피리미딘-2-일)아미노)-4-(메톡시-d3)페닐)아크릴아미드 MS (ESI): m/z = 570.3 [M+H]+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생물학적 분석의 예
분석 1: 야생형 EGFR, HER2 및 HER4, 돌연변이 EGFR 생화학적 활성 분석
10 n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labcyte Echo 550을 사용하여 분석 플레이트로 옮긴 후. 분석 완충액 내의 5 uL의 2X 효소를 분배했다. 분석 플레이트를 접착 플레이트 씰(seal)로 덮고 1000 g에서 30초 동안 짧게 회전시켰다. 분석 완충액에 혼합된 5 uL의 2X TK-기질-비오틴 및 ATP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4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HTRF 분석 완충액에 혼합된 10 uL의 Sa-XL 665 및 TK-항체-크립테이트를 첨가하여 항체 결합을 시작하였다.
실온에서 추가로 60분 인큐베이션한 후 Envision 2104를 사용하여 615 nm(crypate) 및 665 nm(XL665)의 파장에서 신호를 측정했다. 665 nm 내지 615 nm에서의 신호들의 비율을 계산하고, 음성 대조군 값을 억제율을 계산하기 위해 정규화에 사용했다. IC50은 4 매개변수 로지스틱 모델(parametric logistic model)을 사용하여 계산 및 분석하였다.
화합물 1
IC50 (nM)
화합물 2
IC50 (nM)
화합물 4
IC50 (nM)
화합물 6
IC50 (nM)
AZD9291
IC50 (nM)
EGFR-WT 1.559 1.232 0.5516 0.4512 2.903
EGFR T790M/L858R 0.0639 0.0724 0.0841 0.0865 0.1754
EGFR Del19 0.1747 0.1069 0.2325 0.1399 1.160
EGFR A763_Y764insFHEA 0.2642 0.2993 0.1426 0.1495 0.7831
EGFR L792F 1.256 1.649 0.415 4.095 10.14
EGFR L792H 27.64 46.89 15.56 >100 >100
EGFR D770GY 0.0649 0.2759 0.1298 0.0489 2.5760
EGFR T790M 0.0526 0.0509 0.0573 0.0656 0.1196
EGFR D770_N771insNPG T790M 0.0490 0.0567 0.0514 0.0834 0.1339
EGFRD770-N771insNPG 0.0630 0.0815 0.0554 0.0688 0.4003
HER2 35.11 47.01 34.64 25.11 83.19
HER4 0.7693 1.3470 0.6935 0.7251 4.0080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특허에 개시된 화합물은 AZD9291보다 엑손 20 삽입 및 점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EGFR 돌연변이에 대해 더 큰 활성을 나타낸다. 상기 표에 나타내지 않은 화합물의 경우에도 우수한 활성이 관찰되었다.
분석 2: A431(야생형 EGFR, 피부암), H1975(EGFR L858R/T790M, NSCLC) 및 Ba/F3(EGFR D770_N771insSVD 또는 EGFR V769_D770insASV, pro-B) 세포 증식 분석
다양한 돌연변이 EGFR을 발현하는 A431 세포, H1975 및 Ba/F3 세포를 지수기 배양물로부터 수확하고 A431 및 H1975의 경우 웰당 3000개 세포, Ba/F3 세포의 경우 웰당 10000개 세포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시딩했다. 밤새 부착한 후, 화합물을 3배 연속 희석하고 30 μM, 10 μM, 3 μM, 1 μM, 0.3 μM, 0.1 μM, 0.03 μM 및 0.01 μM에서 3중으로 세포에 적용하고 3일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다음에, 20 μL의 5 mg/mL MTT를 첨가한 다음, 0.01 mol/L HCl 중 5% 이소부틸 알코올과 함께 50 μL 10% SDS를 추가로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57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A)를 정량하였다. 억제율은 bliss 방법에 기초한 IC50의 계산에 사용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Ba/F3_EGFR
D770_N771insSVD
IC50 (nM)
Ba/F3_EGFR
V769_D770insASV
IC50 (nM)
H1975
IC50 (nM)
A431
IC50 (nM)
화합물 1 7.064 20.19 52.93 157.33
화합물 2 9.146 23.8 22.99 71.09
화합물 3 3.182 13.93 16.01 389.33
화합물 4 5.077 15.68 12.43 153.50
화합물 5 5.068 14.95 15.8 154.05
화합물 6 3.469 13.33 14.85 139.72
화합물 25 12.352 23.37 25.41 386.27
화합물 28 5.133 14.35 32.18 256.32
화합물 29 9.032 23.43 21.03 187.54
화합물 42 5.609 13.86 14.63 301.22
화합물 43 6.652 16.57 19.78 254.13
AZD9291 61.11 179.2 14.61 419.37
AZD9291과 비교하여, 표 5의 화합물은 EGFR D770_N771insSVD 또는 EGFR V769_D770insAS를 보유하는 BaF3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 더 큰 활성을 나타내고, H1975 및 A431에 대하여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므로, 본 개시의 화합물이 EGFR 엑손 20 삽입에 대해 크게 개선된 활성을 나타내면서, 야생형 EGFR와 비교하여 높은 선택성으로 EGFR L858R/T790M에 대한 강력한 활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에 나열되지 않은 본 출원의 다른 예도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활성 프로필을 보여주었다.
분석 3. 세포주 유래(CDX) 및 환자 유래 이종이식(PDX) 마우스 모델의 생체 내 연구
세포(H1975) 또는 조직 조각(LU0493 및 LU0426)을 누드 마우스의 왼쪽 겨드랑이에 피하 이식했다. 평균 종양 부피가 100-150 mm3에 도달했을 때, 마우스를 종양 부피에 따라 무작위화하고 각각 비히클, 화합물 1 또는 포지오티닙으로 처리하였다. 종양 부피 및 체중을 주당 2회 측정하였다. 21일 또는 28일에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종양 부피 및 최종 체중을 기록하였다. 상대적 종양 부피, 치료/대조군 값의 백분율 및 종양 성장 억제를 계산하고 통계를 수행했다.
TGI (%) / 최종 체중 변화(%)
LU-01-0493 LU-01-0426 LU-0387 H1975
비히클 NA/3.2 NA/2.9 NA/-9.43 NA/8.5
15 mg/kg (화합물 1) 55.4/3.2 47/5.7 NA/NA 98/3.9
30 mg/kg (화합물 1) 72.3/-6.1 84/1.8 42/-7.75 106/5.1
60 mg/kg (화합물 1) 88.9/-6.5 106.3/-2 95/1.26 108/-4.1
0.5 mg/kg (포지오티닙) 56.8/-12.4 91.3/-7.4 74.49/0 NA
NA: 해당없음
* : P < 0.05 대 비히클 군; D1: 약물 처리 첫날; RTV: 상대적 종양 부피; RTV = Vt / V0; T/C(%) = TRTV / CRTV X 100; TRTV: 처리군의 RTV; CRTV : 비히클 군의 RTV; TGI(%): 종양 성장 억제(%); T/C(%) > 60: 비효과적; T/C(%) >60 및 P < 0.05: 효과적. 최종 체중 변화는 1일부터 21일까지의 신체 변화 백분율로 계산되었다.
위의 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1은 포지오티닙과 비교하여 EGFR 엑손 20 삽입 및 T790M 돌연변이를 갖는 종양 성장을 차단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면서 체중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면서, 증가된 안전성을 갖는다.
분석 4. 생체 내 동소성 뇌 PC9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3x105 PC9 세포를 마우스 뇌에 주입하였다. 마우스를 뇌 형광 강도 및 체중을 기준으로 무작위화하고 비히클 또는 화합물 1을 경구 투여하였다. 생존 및 체중을 매일 모니터링하고 체중 감소가 20% 이상인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하기 표 7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히클 군의 모든 마우스는 투여 후 28일 이내에 사망한 반면, 화합물 1을 투여받은 모든 마우스는 생존하여, 화합물 1이 뇌에 들어갈 수 있고 종양 성장을 억제하여 생존을 촉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소성 뇌 PC9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생존에 대한 화합물 1의 효과
마우스 생존률(%)
화합물 16일 17일 18일 22일 24일 26일 28일
비히클 87.5% 75% 50% 37.5 12.5% 0% 0%
30 mg/kg QD 100% 100% 100% 100% 100% 100% 100%
60 mg/kg QD 100% 100% 100% 100% 100% 100% 100%
60 mg/kg BID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상기 분석 1 내지 4의 결과는 본 개시의 화합물이 엑손 20 삽입 및 점 돌연변이를 갖는 돌연변이 EGFR의 활성, 및 야생형 EGFR에 비해 우수한 선택성으로 상이한 EGFR 돌연변이들을 보유하는 Ba/F3 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포지오티닙과 비교하여, 화합물 1은 개선된 안전성을 가지면서 마우스 PDX 모델에서 더 큰 생체내 효능을 나타냈다. 또한, 이는 좋은 뇌 침투를 나타내는 PC9 동소성 뇌 모델에서 활성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화합물도 생체내에서 종양 성장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이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단지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원리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구체예에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Claims (3)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130

    상기 식에서,
    X는 N 및 C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은 수소, 할로겐, C1-6 알킬, C3-6 시클로알킬, -C(O)OR8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2는 C1-6 알킬, 중수소화 C1-6 알킬, C3-6 시클로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3는 -NR9(CH2)2NR9'R9'',
    Figure pct00131
    ,
    Figure pct00132
    Figure pct00133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4
    Figure pct00134
    이고;
    R5, R6 및 R7는 수소, 할로겐,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8은 수소, C1-6 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9는 수소, C1-6 알킬, 중수소화 C1-6 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9' 및 R9''는 수소, C1-6 알킬, C3-6 시클로알킬, 중수소화 C1-6 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9' 및 R9''는 이에 연결된 질소와 함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할로겐, C1-6 알킬, C1-3 알콕시, 메틸티오, 메탄술포닐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10은 수소, 할로겐, C1-6 알킬 및 -CH2NR12'R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1은 수소, 할로겐 및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2 및 R12'는 수소, C1-6 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2' 및 R12''는 이에 연결된 질소와 함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은 할로겐, C1-6 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수소, 할로겐, C1-6 알킬, -C(O)OR8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5, R6 및 R7은 수소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Figure pct00135

    Figure pct00136

    Figure pct00137

    Figure pct00138

    Figure pct00139

    Figure pct00140
    또는
    Figure pct00141
    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KR1020217036806A 2019-07-04 2020-07-02 Egfr 키나아제를 억제하기 위한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220027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00229.1 2019-07-04
CN201910600229.1A CN112174961A (zh) 2019-07-04 2019-07-04 一类抑制egfr激酶的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PCT/CN2020/099916 WO2021000912A1 (zh) 2019-07-04 2020-07-02 一类抑制egfr激酶的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817A true KR20220027817A (ko) 2022-03-08

Family

ID=7391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806A KR20220027817A (ko) 2019-07-04 2020-07-02 Egfr 키나아제를 억제하기 위한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993598B2 (ko)
EP (1) EP3998268A4 (ko)
JP (1) JP2022539224A (ko)
KR (1) KR20220027817A (ko)
CN (2) CN112174961A (ko)
AU (1) AU2020299659A1 (ko)
BR (1) BR112021024139A2 (ko)
CA (1) CA3142071A1 (ko)
MX (1) MX2021013982A (ko)
WO (1) WO20210009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8747A1 (zh) * 2014-06-12 2015-12-17 南京圣和药业股份有限公司 作为egfr抑制剂的苯基取代的三嗪类化合物及其应用
US10329277B2 (en) * 2015-07-16 2019-06-25 Chia Tai Tianqing Pharmaceutical Group Co., Ltd. N-(2-((2-(dimethylamino)ethyl)(methyl)amino)-4-methoxy-5-((4-(3-methyl-2-OXO-2,3-dihydro-1h-benzo[d]imidazol-1-yl)pyrimidin-2-yl)amino)phenyl)acrylamide hydrochloride as an inhibitor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ctivity
JP2019501222A (ja) * 2016-01-07 2019-01-17 シーエス ファーマテック リミテッド Egfrチロシンキナーゼの臨床的に重要な変異体の選択的阻害薬
CN108602802B (zh) * 2016-07-26 2020-01-21 深圳市塔吉瑞生物医药有限公司 用于抑制蛋白酪氨酸激酶活性的氨基嘧啶类化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98268A1 (en) 2022-05-18
CA3142071A1 (en) 2021-01-07
AU2020299659A1 (en) 2022-01-27
BR112021024139A2 (pt) 2022-01-11
CN112174961A (zh) 2021-01-05
MX2021013982A (es) 2022-01-04
WO2021000912A1 (zh) 2021-01-07
CN114026090B (zh) 2023-01-06
US20210230161A1 (en) 2021-07-29
CN114026090A (zh) 2022-02-08
JP2022539224A (ja) 2022-09-07
US11993598B2 (en) 2024-05-28
EP3998268A4 (en)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7260C2 (ru) Ингибитор рфрф4,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ег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е применение
KR101883125B1 (ko) 피리딘 아미도피리미딘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JP6709786B2 (ja) Egfr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置換2−アミノピリミジン誘導体
US10414754B2 (en) Indolizine compound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2021518395A (ja) Shp2阻害剤およびその使用
TWI601718B (zh) 2-arylaminopyridines, pyrimidine or triazine derivativ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EP3173412B1 (en) 2,4-disubstituted 7h-pyrrolo[2,3-d]pyrimidine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and medicinal use thereof
KR101812390B1 (ko) 키나제 억제제로서의 치환된 트리시클릭 벤즈이미다졸
WO2022037568A1 (en) Bicyclic compounds,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USRE48974E1 (en) (5,6-dihydro)pyrimido[4,5-E]indolizines
TR201816480T4 (tr) İkame edi̇lmi̇ş pi̇ri̇dopi̇ri̇mi̇di̇n bi̇leşi̇kleri̇ ve flt3 i̇nhi̇bi̇törleri̇ olarak kullanimlari.
WO2013118817A1 (ja) キノリルピロロピリミジン化合物又はその塩
JP2022543250A (ja) オキソ-ピリジン縮合環誘導体、およびそれを含む医薬組成物
IL311024A (en) Modified tricyclic compounds as PARP inhibitors and their use
CN110078730B (zh) 作为pi3k/mtor抑制剂的喹啉取代的稠合喹啉化合物
KR20220027817A (ko) Egfr 키나아제를 억제하기 위한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EP3466948B1 (en) Fused pyrimidinopiperidine derivativ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EP3842435A1 (en) Novel sulfonamide derivative with fused pyrimidine skeleton, having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mutation inhibitory effect
WO2023134582A1 (zh) 一种嘧啶-2,4-二胺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4342895A1 (en) Heteroaryl derivative compound and use thereof
TW202246261A (zh) 作為抗癌劑的化合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