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780A - 낚시 도구 식별 장치 및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낚시 도구 식별 장치 및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780A
KR20220027780A KR1020210111564A KR20210111564A KR20220027780A KR 20220027780 A KR20220027780 A KR 20220027780A KR 1020210111564 A KR1020210111564 A KR 1020210111564A KR 20210111564 A KR20210111564 A KR 20210111564A KR 20220027780 A KR20220027780 A KR 20220027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tackle
fishing
identification
tag
ta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키 후루카와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712Fixed beam scanning
    • G06K7/10722Photodetector array or CCD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낚시 도구의 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낚시 도구를 식별 가능한 낚시 도구 식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는, 낚시 도구에 설치 가능하게 되어, 해당 낚시 도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태그를 판독 가능한 태그 식별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낚시 도구 식별 장치 및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FISHING TOOL IDENTIFICATION DEVICE AND FISHING TOOL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낚시 도구의 관리를 위한, 낚시 도구를 식별 가능한 낚시 도구 식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낚시할 때, 낚시용 릴, 낚싯대, 루어나 추 등의 다양한 낚시 도구로부터 어종이나 낚시 방법 등에 기초하여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선택을 행한 다음, 낚시에 휴대·사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각 회마다 선택된 낚시 도구의 조합은 방대한 수가 되고, 이러한 조합은, 필요에 따라, 낚시꾼이 기억하거나, 물리적으로 기재해 두는 것이 행해져 왔다.
그런데, 근년, 점포에 있어서의 회계를 원활하게 행하기 위한 회계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회계 시스템은, 각 상품에 붙여진 RF 태그와, RF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리더라이터와, 리더라이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물품에 붙여진 RF 태그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이며, 상기 RF 태그와 교신하기 위한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수용하고, 상기 물품보다 넓은 개구가 형성된 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드부가 개구한 상태에서 상기 RF 태그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 및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8-190255호 공보
각 낚시 도구에는 여러 종류가 있고, 차회의 낚시 시에, 전회까지의 경험으로부터 특정한 조합의 낚시 도구를 선택해서 휴대·사용하려고 해도, 낚시꾼의 기억에 의지하거나 물리적으로 기재한 것을 수시로 참조하는 수 밖에 방법이 없었다. 또한, 지금까지, 특허문헌 1에 관한 시스템을 낚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지의 시도 자체도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실제로 응용한다 하더라도, 다양한 낚시 도구 각각에 부여하고 싶은 정보는 다방면에 걸쳐 있기 때문에, 단순하게 응용하면 되는 것도 아니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낚시 도구의 관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낚시 도구를 식별 가능한 낚시 도구 식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들 이외의 목적은, 본 명세서 전체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는, 낚시 도구에 설치 가능하게 되어, 해당 낚시 도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태그를 판독 가능한 태그 식별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해당 표시부는, 상기 낚시 도구의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를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해당 송신부는, 상기 낚시 도구의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에 있어서, 해당 낚시 도구는, 낚시용 릴, 낚싯대, 낚싯줄, 또는 리그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에 있어서, 해당 리그는, 루어, 의사 미끼, 낚싯 바늘, 찌, 추, 밑밥 용기, 미끼, 집어판 또는 천칭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에 있어서, 해당 식별 태그는, 바코드, QR 코드(등록상표) 또는 RFID 태그 중 어느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에 있어서, 해당 태그 식별부는, 바코드, QR 코드(등록상표) 또는 RFID 태그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판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에 있어서, 낚시 도구의 화상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낚시 도구 화상 식별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에 있어서, 해당 태그 식별부는, 카메라이며, 해당 카메라에 의해 상기 식별 태그를 화상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어느 것의 낚시 도구 식별 장치와, 해당 낚시 도구 식별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 낚시 도구 관리 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낚시 도구 관리 장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해당 기억부에 해당 식별 태그의 정보 상세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낚시 도구 관리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해당 식별 태그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낚시 도구 관리 장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해당 식별 태그의 정보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외부는, 외부에 있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해당 낚시 도구 관리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해당 식별 태그의 정보와 해당 상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양한 낚시 도구의 관리를 적확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낚시 도구를 식별 가능한 낚시 도구 식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의한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의한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의한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의한 검색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당해 복수의 도면을 통해서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붙여져 있다.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반드시 정확한 축척으로 기재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1)은,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와, 해당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와 접속된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를 구비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와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도시의 예에서는 클라우드)(30)과 접속되어 있지만,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30)이 접속되지 않은 양태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이란, 유선 혹은 무선에 의해 직접 혹은 기타 장치나 시스템을 통해 접속되는 것 등을 가리키며, 특정한 접속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와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가 동일한 장치에 의해 실현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낚시 도구(태클이라고도 하지만 용어의 통일을 위해 이하 「낚시 도구」라고 한다)란, 낚시용 릴(2), 낚싯대(3), 리그(4), 또는 낚싯줄(5)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리그(4)란, 루어, 의사 미끼, 낚싯 바늘, 찌, 추, 밑밥 용기, 미끼, 집어판 또는 천칭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도시의 예에서는, 리그(4)는 루어). 통상, 리그(4)는, 낚싯줄(5)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물고기가 물게 하기 위한 낚싯 바늘을 갖는다. 노리는 물고기나 낚시법에 따라 각종 리그가 사용된다. 또한, 각 낚시 도구(도시의 예에서는 루어)에는 식별 태그(도시의 예에서는 RFID 태그)가 설치된다. 또한, 리그(4)가 미끼와 같은 경우, 식별 태그는, 당해 미끼를 수용하는 패키지에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태그로서, 그 외, 바코드, QR 코드(등록상표) 등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 외에 다양한 양태를 생각할 수 있으며, 특정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는, 낚시 도구에 설치 가능하게 되고, 해당 낚시 도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태그(40)를 판독 가능한 태그 식별부(리더부)(11)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는, 낚시용 릴(2)이나 낚싯대(3), 기타 낚시 도구 자체나 루어 박스 자체 등이어도 되지만, 기타 다양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의해, 각 낚시 도구를 식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낚시 도구의 관리를 적확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낚시 도구 중에서도, 특히, 루어나 찌, 낚싯 바늘 등의 리그는, 중량이나 밀도, 형상 등의 약간의 차이가, 낚시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유저는 다종류의 리그 중에서 그들을 선택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다양한 리그를 외견으로 판별하는 것은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의해, 각 낚시 도구의 식별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외견으로는 판별이 곤란한 리그를, 용이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낚시를 하고 있는 동안에는, 유저는 상황 변화에 맞춰서 빈번히 리그를 교환하는 경우가 많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의해, 유저는 교환 후의 리그를 태그 정보 식별부에 근접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리그의 변경을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교환 작업이 빈번하게 되어도 유저의 부담을 증가시키지 않고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D 식별 태그(식별 태그)(40)에는, 각 낚시 도구를 식별하기 위한 ID 정보가 부여되고 있고, 태그 식별부(11)에 의해, ID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서는, ID 식별 태그(40)로서 패시브식의 RF 태그, 식별부(11)로서 RFID용 판독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ID 식별 태그(40)에의 급전이 불필요하여, 비접촉의 ID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기타, 안테나(12), 카메라(13), CPU(16), 기억부(메모리부)(17), 전원(도시 생략), 제어 회로(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안테나(12)는 RFID 태그의 판독 등을 행한다. 또한, 카메라(13)는 QR 코드(등록상표) 등의 판독이나 낚시 도구 자체의 화상의 판독 등을 행한다. 여기서, RFID 등의 패시브식의 태그는, 전원 등의 구성 요소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소형화가 용이하고, 방수 처리를 행하기 쉽고, 전지 교환이 불필요하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작은 루어 등의 리그에 붙이더라도, 수중에서의 침하 스피드나 유체 저항에 영향을 주지 않는 등, 본래의 기능을 최대한 손상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는, 표시부(14)를 구비하고, 해당 표시부(14)는, 도구의 식별 태그(40)의 정보를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는, 송신부(통신부)(15)를 구비하고, 해당 송신부(10)는, 낚시 도구의 식별 태그(40)의 정보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 등)로 송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있어서, 해당 낚시 도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시용 릴, 낚싯대, 낚싯줄, 또는 리그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있어서, 해당 리그(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루어, 의사 미끼, 낚싯 바늘, 찌, 추, 밑밥 용기, 미끼, 집어판 또는 천칭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있어서, 해당 식별 태그(40)는, 바코드, QR 코드(등록상표) 또는 RFID 태그 중 어느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해당 식별 태그(40)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해당 식별 태그(40) 대신에 낚시 도구 자체의 화상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있어서, 해당 태그 식별부(11)는, 바코드, QR 코드(등록상표) 또는 RFID 태그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판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해당 태그 식별부(11)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해당 식별 태그(40) 대신에 낚시 도구 자체의 화상 등을 판독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있어서, 낚시 도구의 화상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낚시 도구 화상 식별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낚시 도구 화상 식별부는, 예를 들어 카메라이며, 해당 카메라에 의해 낚시 도구 자체를 화상 인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당해 낚시 도구 화상 식별부에 의해 낚시 도구를 인식하는 경우, 태그 식별부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휴대 정보 단말기에 카메라가 부속되어 있는 경우, 당해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리그에 태그를 붙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들이지 않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있어서, 해당 태그 식별부(11)는, 카메라이며, 해당 카메라에 의해 상기 식별 태그를 화상 인식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1)은, 상기의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와, 해당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로부터 해당 식별 태그(40)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송신부)(21)를 구비한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1)에 의해, 각 낚시 도구를 식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낚시 도구의 관리를 적확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해당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는, 표시부(23)를 구비하고, 해당 식별 태그(40)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해당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는, 송수신부(통신부)(22)를 구비하고,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도시의 예에서는 클라우드)(30)으로부터 해당 식별 태그의 정보(낚시 도구 자체를 화상 인식하는 경우에는 당해 낚시 도구의 정보도 포함한다(이하 마찬가지))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외부 장치나 시스템으로서, 외부에 있는, 공용 클라우드, 전용 클라우드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기타 다양한 여러가지 양태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해당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는, 기억부(24)를 구비하고, 해당 기억부(24)에 해당 식별 태그의 정보 상세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상세 정보는, 낚시 도구 자체의 화상으로 낚시 도구를 식별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 장치나 시스템(예를 들어, 클라우드)에 보존되어 있는 낚시 도구 특성 정보를 생각할 수 있다. 정보의 취급은, RFID나 QR 코드(등록상표)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와 동일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한, 상기 상세 정보로서, 외부 장치나 시스템(예를 들어, 클라우드)에 보존되고, 관리 장치나 기기에서 낚시 도구의 상세 정보를 표시시키고 싶은 경우에 사용하는 정보(통상, RFID 태그 등에 전부 보존할 수 없는 부가적인 정보를 가리킨다)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세 정보로서, 외부 장치나 시스템(예를 들어, 클라우드)에 보존되고, 관리 장치나 기기에 보존되고 있지만, 그 갱신용 정보인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해당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는, 표시부(23)를 구비하고, 해당 식별 태그(40)의 정보라고 해당 상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는, 기억부(메모리부)(24)를 구비하고, 상기 식별 태그(40)의 정보나 해당 상세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또한,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는, 처리부(CPU)(21)를 구비하고, 해당 식별 태그(40)의 정보와 해당 상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처리 등을 행한다. 여기서,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나 스마트폰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양태를 생각할 수 있다.
이어서, 낚시 도구 식별 방법이, QR 코드(등록상표)의 판독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ID 식별 태그(40)로서, 바코드나 QR 코드(등록상표) 등의 이차원 코드를 사용하고, 식별 장치(식별부)(11)로서 바코드리더나, 카메라 등의 화상 인식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방수나 소형화 등의 이유에 의해, 낚시 도구 자체에 ID 식별 태그(40)를 붙이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별도 낚시 도구의 사진과 바코드를 인쇄한 리스트를 작성해 두도록 해도 상관없다. 이에 의해, 낚시 도구를 인식하는 대신, 그 리스트로부터 대상 낚시 도구와 식별 태그의 조합을 선택하고, 식별부(11)에 의해 ID를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도, 상술한 실시 형태의 예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의 활용 방법(초기 등록)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는 그 태그 정보 식별부(11)에 의해, 각 낚시 도구의 식별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각 낚시 도구를 구입한 후에, 낚시용 릴(2), 낚싯대(3), 리그(4)의 각 식별 태그(40)로부터 각 낚시 도구의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있어서, 각 판독된 낚시 도구의 등록을 행함으로써, 구입한 낚시 도구의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유저가 구입한 낚시 도구를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리스트는,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로부터 상술한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로 송신하고, 해당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 상에서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의 활용 방법(실조 사용 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과 마찬가지로,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는 그 태그 정보 식별부(11)에 의해, 각 낚시 도구의 식별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실제의 낚시에 사용하는 각 낚시 도구, 낚시용 릴(2), 낚싯대(3), 리그(4)의 각 식별 태그(40)로부터 사용하는 낚시 도구의 정보를 판독한다. 그 후,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있어서, 판독된 각 낚시 도구의 정보로부터 사용 이력을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각 낚시 도구의 사용 이력을 관리할 수 있고, 유저가 차회의 실조 시에, 지금까지의 사용 이력으로부터 원하는 낚시 도구의 조합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낚시꾼의 낚시에 대한 만족도를 대폭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사용 이력은,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로부터 상술한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로 송신하고, 해당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 상에서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리그(4)의 사용 이력의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리그(4)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기타 낚시 도구를 사용해도 된다. 도 4는 한창 실조 중일 때, 리그(4)를 변경하는 경우의 관리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의 리그를 변경하는 경우, 새롭게 사용하는 리그를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인식시키고, 당해 인식된 정보를 보존해 둔다(최초의 리그는,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이미 정보로서 보존되고 있다). 그리고, 또한 새로운 리그(4)로 변경하는 경우도, 해당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인식시켜서, 보존해 둔다. 이와 같이 해서, 실조 중인 리그의 사용 이력을 작성하고, 보존해 둘 수 있다.
리그(4)의 변경을 각각 인식·보존시키도록 하고, 각 낚시 도구의 사용 이력을 관리할 수 있고, 유저가 차회의 실조 시에, 지금까지의 사용 이력으로부터 원하는 낚시 도구의 조합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낚시꾼의 낚시에 대한 만족도를 대폭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사용 이력은,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로부터 상술한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로 송신하고, 해당 낚시 도구 관리 장치(20) 상에서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실조 시에 동일한 날의 지금까지의 리그(4)의 사용 이력을 참조할 수도 있다. 또한, 실조 이외에 있어서,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리그(4)를 인식·보존시킴으로써, 보유하고 있는 리그(4)가 언제, 어느 장소에서, 어떤 낚시 결과가 있었는지와 같은 정보와 아울러서 보존해 둠으로써,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리그(4)의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리그(4)의 검색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시의 예에서는, 리그(4)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기타 낚시 도구를 사용해도 된다. 도 5는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리그의 리스트 중의 특정한 리그를, 리그가 수용되어 있는 리그 수용 박스로부터 찾아낸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는, 보유하는 리그가 등록·보존된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에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대상이 되는 리그를 선택한다. 그러면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는 검색 모드로 이행하고, 해당 낚시 도구 식별 장치(10)를 해당 리그 수용 박스에 대는 것으로, 해당 리그 수용 박스 안에 수용된, 식별 태그가 설치된 복수의 리그 중에서, 선택된 리그를 간이하게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낚시 도구 식별 장치로서,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 웨어러블 단말기, 또는 어군 탐지기를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낚시 도구 식별 장치는, 낚시용 릴(2) 또는 낚싯대(3)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기타 장치여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구성 요소의 치수, 재료 및 배치는, 실시 형태 중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각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치수, 재료 및 배치를 갖도록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구성 요소를, 설명한 실시 형태에 부가할 수도 있고,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 요소의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1 :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
2 : 낚시용 릴
3 : 낚싯대
4 : 리그
5 : 낚싯줄
10 : 낚시 도구 식별 장치
11 : 식별 장치(식별부)
12 : 안테나
13 : 카메라
14 : 표시부
15 : 송신부(통신부)
20 : 낚시 도구 관리 장치
21 : 처리부(CPU)
22 : 송수신부(통신부)
23 : 표시부
24 : 기억부(메모리부)
30 :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클라우드)

Claims (15)

  1. 낚시 도구에 설치 가능하게 되고, 해당 낚시 도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태그를 판독 가능한 태그 식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도구 식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구비하고, 해당 표시부는, 상기 낚시 도구의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를 표시 가능한, 낚시 도구 식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송신부를 구비하고, 해당 송신부는, 상기 낚시 도구의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 가능한, 낚시 도구 식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 도구는, 낚시용 릴, 낚싯대, 낚싯줄, 또는 리그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낚시 도구 식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그는, 루어, 의사 미끼, 낚싯 바늘, 찌, 추, 밑밥 용기, 미끼, 집어판 또는 천칭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낚시 도구 식별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태그는, 바코드, QR 코드(등록상표) 또는 RFID 태그 중 어느 것인, 낚시 도구 식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식별부는, 바코드, QR 코드(등록상표) 또는 RFID 태그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판독 가능한, 낚시 도구 식별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식별부는, 카메라이며, 해당 카메라에 의해 상기 식별 태그를 화상 인식하는, 낚시 도구 식별 장치.
  9. 낚시 도구의 화상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낚시 도구 화상 식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도구 식별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낚시 도구 식별 장치와, 해당 낚시 도구 식별 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 낚시 도구 관리 장치를 구비한,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 도구 관리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를 표시하는,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 도구 관리 장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해당 기억부에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의 상세 정보를 기억하는,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 도구 관리 장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 상세 정보를 수신하는,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는, 외부에 있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 도구 관리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식별 태그의 정보와 상기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
KR1020210111564A 2020-08-27 2021-08-24 낚시 도구 식별 장치 및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 KR202200277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43243 2020-08-27
JP2020143243A JP7464479B2 (ja) 2020-08-27 2020-08-27 釣具識別装置及び釣具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780A true KR20220027780A (ko) 2022-03-08

Family

ID=8035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564A KR20220027780A (ko) 2020-08-27 2021-08-24 낚시 도구 식별 장치 및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61295A1 (ko)
JP (1) JP7464479B2 (ko)
KR (1) KR20220027780A (ko)
CN (1) CN1141183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658A1 (ko) 2021-03-04 2022-09-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리보-2-헥술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코페니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0255A (ja) 2017-05-09 2018-11-29 株式会社アスタリスク 読取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3001A (ja) * 2007-01-31 2008-08-14 Kanazawa Marutomi:Kk 釣り餌ケース
US7921592B2 (en) * 2008-07-10 2011-04-12 Glenn Carelock Strike indicator for automatic fishing device
JP4876161B2 (ja) * 2009-12-22 2012-02-15 楽天株式会社 広告表示サーバ装置、広告表示方法、および、広告表示サーバ装置用のプログラム
KR20130043867A (ko) * 2011-10-21 2013-05-02 우영호 낚시 체험 시스템
US20160278360A1 (en) * 2012-06-18 2016-09-29 Spfm, L.P.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mmunicating fishing data
US20150264904A1 (en) * 2012-06-18 2015-09-24 Spfm, L.P. Multiple mode artificial fishing lure
EP2929499A4 (en) * 2012-12-06 2016-06-22 Fishbrain AB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AND PROCESSING DATA RELATING TO AN ACTIVITY
US20150113853A1 (en) * 2013-10-24 2015-04-30 Echelon Solutions Group, LLC Fish strike de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20150282469A1 (en) * 2014-04-02 2015-10-08 Jerry Fizer Fishing apparatus
JP2017097820A (ja) * 2015-11-25 2017-06-01 有限会社セルフ 作業支援システム
JP2017163886A (ja) * 2016-03-15 2017-09-21 山田電器工業株式会社 釣り糸情報設定方法、および、釣り糸情報設定プログラム
WO2018073969A1 (ja) * 2016-10-21 2018-04-26 サン電子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CN111279326A (zh) * 2017-10-25 2020-06-12 斯玛特路亚株式会社 钓鱼辅助系统
US20190294625A1 (en) * 2018-03-23 2019-09-26 Chatbooks, Inc. Media-connecting device to connect printed media to non-static digital medi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0255A (ja) 2017-05-09 2018-11-29 株式会社アスタリスク 読取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658A1 (ko) 2021-03-04 2022-09-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리보-2-헥술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코페니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38637A (ja) 2022-03-10
CN114118329A (zh) 2022-03-01
US20220061295A1 (en) 2022-03-03
JP7464479B2 (ja) 202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48580B1 (en) A tag for attachment to an animal
JP5510833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20161964A1 (en) Computer Implemented Animal Management System
US20100079249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information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JP2022159377A5 (ko)
KR20220027780A (ko) 낚시 도구 식별 장치 및 낚시 도구 관리 시스템
CN101587628A (zh) 手持行动电子装置的告警监控系统及方法
CN107368867A (zh) 图像信息反馈系统及服务器
JP5954460B2 (ja) 観測装置及び観測管理システム
JP2013162800A (ja) 通信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5621880B2 (ja) 観測管理システム並びに観測装置
NL2020658B1 (en) Improved Die Cutting System and Too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erefore
CN108460302A (zh) 一种rfid标签响应识别方法及其控制装置
KR20100101528A (ko) 가상 액세스 제어 장치
CN103226718B (zh) 用于管理rfid标签的系统和方法
KR1005493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태그 판독시스템
EP1729241B1 (fr) Procédé et système de paramétrage d'une station de terrain dans un réseau de communication.
NL2025886B1 (nl) Werkwijze voor het uitlezen van een labelidentificatiekenteken uit een label, alsmede label.
Balogh et al. Complex design of monitoring system for small animals by the use of micro PC and RFID technology
CN109993242A (zh) 养殖场的管理系统、养殖场的管理方法和终端
CN216135052U (zh) 一种钓鱼浮漂
KR20140100776A (ko) 복합 리더기
US10595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 tracking system into a cattle management system
KR100930245B1 (ko) 온오프라인연계 사육우 객체정보추적시스템의 방법
WO2011034448A1 (en) A monitoring device,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