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703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703A
KR20220027703A KR1020200136976A KR20200136976A KR20220027703A KR 20220027703 A KR20220027703 A KR 20220027703A KR 1020200136976 A KR1020200136976 A KR 1020200136976A KR 20200136976 A KR20200136976 A KR 20200136976A KR 20220027703 A KR20220027703 A KR 20220027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ppy
flow path
cleaner
vacuum cleaner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무현
우남일
류경호
박해림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US18/023,46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09768A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11112 priority patent/WO2022045680A1/ko
Priority to CN202180052597.2A priority patent/CN115884703A/zh
Priority to AU2021334888A priority patent/AU2021334888A1/en
Priority to EP21861977.3A priority patent/EP4205616A1/en
Publication of KR2022002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diode-array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진공청소기는, 흡입구 앞에 위치하는 회전클리너를 포함하는 흡입노즐 및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청소기본체를 포한한다. 회전클리너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제1 유로가 형성되고, 회전클리너의 외주면은 제1 유로를 제외하고 플러피에 의해 덮혀지며, 회전클리너에서 제1 유로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흡입노즐이 벽면에 닿아 앞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 흡입노즐의 앞쪽 공간은 제1 유로를 통하여 흡입구와 연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벽면 모서리에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흡입구가 구비된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청소기본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먼지 등이 진공청소기 내부로 빨려 들어오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진공청소기는, 청소기본체 및 흡입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본체 내부에는 모터가 구비되고, 이러한 모터가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청소기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이 흡입노즐로 전달되고, 흡입노즐을 통하여 외부의 먼지 등이 진공청소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 업라이트 타입, 핸디/스틱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는, 바퀴가 달린 청소기본체가 흡입노즐과 별도로 구비되고, 청소기본체와 흡입노즐이 호스를 통하여 연결된다.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는, 밀대에 청소기본체 및 흡입노즐이 함께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핸디/스틱 타입의 청소기는, 청소기본체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청소기본체 부분을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핸디 타입의 청소기는 청소기본체와 흡입노즐이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고, 스틱 타입의 청소기는 청소기본체의 흡입노즐이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다.
또한, 진공청소기에는 로봇청소기가 있으며, 로봇청소기는 여러 센서를 통하여 스스로 이동하면서 먼지 등을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에는, 바닥을 닦거나 쓸수 있도록 이루어진 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248733호(이하, '선행문헌 1')는 흡입노즐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선행문헌 1의 흡입노즐에는 회전하는 아지테이터(agitator)가 결합되고, 아지테이터의 외주면에는 브러쉬가 결합된다. 아지테이터가 회전하면 브러쉬는 바닥면의 이물질을 털어올리고, 이물질은 흡입노즐의 흡입구로 유입된다.
다른 선행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903238호(이하, '선행문헌 2')는 회전 청소부를 갖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선행문헌 2의 회전 청소부의 외주면은 융(絨)과 같은 직물 또는 펠트(felt)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회전 청소부의 회전 시 바닥면에 쌓인 먼지 등의 이물질이 회전 청소부의 외주면에 끼임으로써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처럼, 진공청소기에서 선행문헌 1의 아지테이터 또는 선행문헌 2의 회전 청소부와 같은 수단이 구비되는 경우, 흡입 노즐의 이동시 바닥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만, 흡입 노즐이 벽면에 닿아 전진하지 못하는 경우, 선행문헌 1의 아지테이터 또는 선행문헌 2의 회전 청소부가 벽면 모서리에 있는 이물질과 직접 접촉하지 못하므로, 청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문헌 2의 경우, 회전 청소부의 하단이 바닥면과 닿게 되는데, 이때, 벽면 모서리 부분의 공간(회전 청소부의 앞쪽 공간)과 회전 청소부의 뒤쪽 공간 사이에 회전 청소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벽면 모서리 부분의 이물질이 흡입구로 제대로 흡입되지 못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의 경우, 아지테이터의 외주면의 일부에만 브러쉬가 형성되어 있어 아지테이터의 앞쪽 공간과 아지테이터의 뒤쪽 공간이 서로 연통되지만, 흡입력의 집중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모든 이물질이 흡입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선행문헌 2의 회전 청소부의 외주면은 융(絨)과 같은 직물 또는 펠트(felt)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회전 청소부가 물에 젖는 경우, 물이 증발된 후 회전 청소부를 이루는 모(毛)가 원래의 형상되로 복귀되지 못하고 구부러져 변형될 수 있다. 회전 청소부가 변형되면 바닥면과의 밀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진공청소기의 청소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청소부에 묻은 물 또는 이물질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 경우, 회전 청소부가 오염되거나 세균이 증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KR 10-1248733 B1 (등록일: 2013.03.22.) 한국등록특허 KR 10-1903238 B1 (등록일: 2018.09.20.)
본 개시는, 흡입구의 앞에서 회전하는 회전클리너를 포함하는 흡입노즐이 벽면에 닿아 앞으로 전진하지 못하는 경우에, 흡입구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이 회전클리너의 앞쪽 공간의 특정 지점으로 집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유로를 갖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회전클리너의 회전시 흡입구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이 회전클리너의 앞쪽 공간으로 끊기지 않고 전달될 수 있는 유로를 갖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회전클리너의 회전시 이물질이 이동할 수 있는 유로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전환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벽면의 감지 및 이에 따른 흡입력의 제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흡입노즐이 전방의 벽면에 닿기 전에 흡입노즐의 흡입구에서의 흡입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회전클리너에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회전클리너에 물이 묻는 경우, 물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회전클리너의 세균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진공청소기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청소기본체에 연결되는 흡입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노즐은 연결파이프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노즐은 노즐헤드부 및 회전클리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헤드부의 저면에는 흡입구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클리너는, 좌우방향과 평행한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클리너는 상기 흡입구의 앞에 위치한다.
상기 청소기본체에는 제1 모터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청소기본체 내부에서 회전한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클리너는, 코어, 플러피 및 제1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피는, 브러쉬(brush)와 텍스타일(textil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피는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플러피를 가로지르며, 상기 제1 회전축과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고 오목한 골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클리너의 외주면은, 상기 제1 유로를 제외하고 상기 플러피에 의해 덮혀진다.
상기 회전클리너에서 상기 제1 유로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유로는, 제1 경계면 및 제2 경계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경계면은,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플러피의 경계를 이룬다. 상기 제1 경계면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경계면은, 상기 제1 경계면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플러피의 경계를 이룬다. 상기 제2 경계면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경계면은, 상기 회전클리너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계면의 뒤에 위치한다.
상기 회전클리너의 횡단면에서, 상기 제1 경계면 및 상기 제2 경계면은 상기 코어의 외주면과 수직하게 이루어진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경계면의 내측단과 상기 제2 경계면의 내측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경계면의 높이의 3배보다 크고 4배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코어는, 외경이 35~40mm 이고 길이가 210~230mm로 이루어진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유로는, 폭이 15~25mm이고 깊이가 3~7mm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유로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폭 및 깊이가 일정하게 이루어진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회전클리너의 외주면의 법평면(normal plane) 중 상기 제1 경계면의 전단과 만나는 제1 법평면과, 상기 회전클리너의 외주면의 법평면 중 상기 제2 경계면의 후단과 만나는 제2 법평면 사이의 각도는 0~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경계면은, 상기 회전클리너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을 이루는 제1 전방단부 및 후단을 이루는 제1 후방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경계면은, 상기 회전클리너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을 이루는 제2 전방단부 및 후단을 이루는 제2 후방단부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전방단부와 상기 제2 후방단부를 연결하는 기준선은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헤드부는, 제1 유도유로 및 제2 유도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유도유로는,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간을 이룬다.
상기 제2 유도유로는,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제1 유도유로의 반대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간을 이룬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회전클리너의 뒤쪽은, 상기 제1 회전축보다 낮은 영역에서, 상기 흡입구, 상기 제1 유도유로 및 상기 제2 유도유로 쪽으로 노출된다.
상기 노즐헤드부는, 상부하우징, 하부하우징, 제1 측벽, 제2 측벽 및 내부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회전클리너의 상측을 덮는 상부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상부하우징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구가 좌우방향의 중앙 전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회전클리너의 한쪽 옆면을 차폐하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1 측벽의 반대쪽에서 상기 회전클리너의 옆면을 차폐하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된다.
상기 내부벽은,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회전클리너를 뒤에서 접촉한다. 상기 내부벽은, 상단이 상기 상부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단 모서리가 상기 회전클리너보다 높게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벽의 하단은 상기 제1 회전축보다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의 전단 모서리는, 상기 회전클리너보다 더 앞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전방의 하측 모서리가 경사지거나 경사진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단차진 제2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외측면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단차진 제3 유로가 형성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회전클리너는, 상기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외주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주면층은, 상기 플러피를 이루는 플러피영역; 및 상기 제1 유로를 이루는 제1 유로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주면층이 평평하게 펼쳐질 때, 상기 플러피영역은 평행사변형을 이루고, 상기 제1 유로영역은 상기 플러피영역의 한 변을 따라 형성된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진공청소기는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상기 흡입노즐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에 위치하는 벽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속도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증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광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입노즐의 좌우방향 중앙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노즐은, 연결네크 및 노즐네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네크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청소기본체와 연결된다.
상기 노즐네크부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헤드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노즐네크부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네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상기 노즐헤드부의 상단보다 더 높은 지점에서 상기 노즐네크부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흡입노즐의 전단에서 상기 거리감지센서까지의 거리는 50~70mm이고, 상기 기준값은 120~14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진공청소기는 제2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흡입노즐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클리너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속도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러피는, 방수성, 발수성 또는 항균성을 갖는 섬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는 털(bristle)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러피는 브러쉬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는 발수제 또는 방수제가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플러피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아크릴 섬유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나일론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는 항균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플러피는 내부층과 외부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내부층은 상기 플러피에서 상대적으로 안쪽에 위치하는 층이다. 상기 내부층은 상기 코어와 결합되는 층이다.
상기 외부층은 상기 플러피에서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층이다. 상기 외부층은, 상기 내부층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러피의 표면을 이룬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내부층이 방수성, 발수성 또는 항균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는 첨단을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회전클리너는 탈수유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탈수유로는,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플러피에서 오목한 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탈수유로는 상기 회전클리너에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수유로의 폭은 상기 프러피를 이루는 섬유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1 유로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회전클리너는의 외주면에는 오목한 골 형태인 제1 유로가 형성되고, 제1 유로는 플러피를 가로지르며 제1 회전축과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이루어진다. 회전클리너의 외주면은, 제1 유로를 제외하고 플러피에 의해 덮혀지며, 회전클리너에서 제1 유로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회전클리너의 회전시 회전클리너의 앞쪽 공간은 제1 유로를 통하여 흡입구와 연통되고, 흡입구의 흡입력이 제1 유로를 통하여 회전클리너의 앞쪽 공간의 특정 지점으로 집중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흡입노즐이 벽면 모서리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이물질의 흡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유로는 제1 경계면 및 제2 경계면을 포함하고, 제1 경계면의 제1 전방단부와 제2 경계면의 제2 후방단부를 연결하는 기준선은 회전클리너의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회전클리너의 회전시 흡입구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이 회전클리너의 앞쪽 공간으로 끊기지 않고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흡입노즐에는 거리감지센서가 형성되고, 청소기본체의 제1 모터의 회전속도는,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증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벽면의 감지시 순간적으로 흡입력을 증가시켜 벽면 모서리에서 이물질의 흡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배터리의 효율적 이용이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거리감지센서는 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노즐의 전단에서 거리감지센서까지의 거리는 기준값보다 짧게 이루어지고, 이때, 기준값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의 일반적인 이동속도, 및 흡입력의 변화가 청소기본체에서 흡입노즐로 전달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정하여진다. 이에 따라, 흡입노즐이 전방벽에 닿기 직전에 흡입노즐에서의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소모되는 에너지(배터리 양)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인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는 방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는 발수제 또는 방수제가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는 방수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나일론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클리너의 플러피에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러피에 물이 묻는 경우 물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는 항균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피는 항균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피에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플러피는 내부층과 외부층으로 구분되고, 내부층이 방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피에 물이 흡수된 경우, 물은 내부층쪽보다 외부층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진공청소기의 작동시 회전클리너의 회전에 의하여 플러피에 원심력이 작용하고, 상기 원심력에 의하여 외부층에 묻은 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피의 섬유는 첨단을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피에 물이 묻는 경우 물은 플러피의 외주면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플러피에 원심력이 작용할 때 플러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클리너는 탈수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탈수유로는 제1 유로와 연결되지 않도록, 플러피에서 오목한 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탈수유로를 통하여 플러피에 묻은 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이때, 제1 유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흡입력이 탈수유로로 분산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청소기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는 청소기본체에 구비되는 구성들의 위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진공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흡입노즐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흡입노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a의 A-A'에서의 흡입노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는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이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7은 흡입노즐을 앞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흡입노즐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회전클리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회전클리너의 코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 및 도 10c 각각은, 회전클리너를 이루는 외주면층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d는 도 10c의 외주면층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도 9의 B-B'에서의 단면이고, 도 11b는 도 9의 C-C'에서의 단면이고, 도 11c는 도 9의 D-D'에서의 단면이다.
도 1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클리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는 도 13a의 회전클리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의 (a), (b), (c), (d), (e), (f), (g) 및 (h)는 각각, 회전클리너가 바닥면 및 전방벽면에 닿은 상태에서 회전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a), (b), (c) 및 (d)는 각각, 전방벽면에 닿은 흡입노즐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 및 경로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a), (b), (c) 및 (d)는 각각, 전방벽면 및 좌측벽면에 닿은 흡입노즐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 및 경로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a), (b), (c) 및 (d)는 각각, 전방벽면 및 우측벽면에 닿은 흡입노즐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 및 경로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흡입노즐의 측면도로서,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전방벽면이 감지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도 18b 및 도 18c는 각각 흡입노즐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전방벽면이 감지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2 각각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클리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클리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b는 도 23a의 회전클리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청소기본체(3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는 청소기본체(30)에 구비되는 구성들의 위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진공청소기(1)는, 외부의 공기 및/또는 먼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본체(30) 및 흡입노즐(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진공청소기(1)는 연결파이프(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청소기본체(30)와 흡입노즐(10)은 연결파이프(2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흡입노즐(10)은, 외부의 공기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구멍(입구)인 흡입구(101)를 구비한다.(도 6 참조) 외부의 공기 및 이물질은 흡입노즐(10)의 흡입구(101)를 통하여 먼저 유입된 후, 연결파이프(20)를 거쳐 청소기본체(30)로 이동한다.
흡입노즐(1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청소기본체(3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청소기본체(30)는 제1 모터를 포함한다. 제1 모터(31)는, 흡입구(101)에 흡입력이 형성되도록 청소기본체(30) 내부에서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터(31)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설명되는 모터들은, BLDC모터 또는 스텝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본체(30)의 제1 모터(31)의 회전축(31a)에는 팬(fan)이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 모터(31)의 회전시 공기의 유동을 발생된다.
청소기본체(30) 내부에서 제1 모터(31) 및 제1 모터(31)에 결합되는 팬이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청소기본체(30)의 내부와 외부 간에 압력차가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소기본체(30)에서 흡입력이 발생될 수 있다.
연결파이프(20)는 청소기본체(30)와 흡입노즐(10)을 연결한다. 연결파이프(20)는 관(pipe or tube) 형태로 이루어지고, 흡입구(101)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가 청소기본체(30) 쪽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이룬다.
연결파이프(20)는, 의도하지 않게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비교적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파이프(2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파이프(20)는 제1 연결부(21)와 제2 연결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연결부(21)는 외부의 공기가 연결파이프(20)로 유입되는 연결파이프(20)의 입구를 이룰 수 있고, 제2 연결부(22)는 연결파이프(20) 내부의 공기가 청소기본체(30) 쪽으로 빠져나가는 연결파이프(2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
제1 연결부(21)와 제2 연결부(22)는 연결파이프(20)의 양쪽 단부를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본체(30)는 연결파이프(20)의 제2 연결부(22)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청소기본체(30)와 연결파이프(20)가 서로 따로 움직이지 않고 서로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진공청소기(1)는 '스틱 타입의 청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청소기본체(30)는 별도의 수단을 매개로 하여 연결파이프(20)의 제2 연결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파이프(20)와 청소기본체(30) 사이에 유연하게 휘어지는 별도의 호스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본체(30)와 연결파이프(20)가 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진공청소기(1)는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30)가 연결파이프(20)의 제2 연결부(22)에 고정되고, 흡입노즐(10)이 연결파이프(20)의 제1 연결부에 고정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본체(30)는 손잡이(32), 먼지통(33), 본체흡입구(34) 및 배터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본체(30)에는 제어부(38)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32)는 청소기본체(30)의 일측에 형성된다. 손잡이(32)는,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그 형태가 이루어진다. 손잡이(32)는 본체흡입구(34)와 대향되는 쪽(본체흡입구(34)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흡입구(34)가 청소기본체(30)의 앞쪽에 형성된다면, 손잡이(32)는 청소기본체(30)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본체(30)에는, 손잡이(32)와 인접한 위치에서, 진공청소기(1)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36)이 마련될 수 있다.
먼지통(33)은 청소기본체(30) 내부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이루어진 용기이다. 여기서, 청소기본체(30) 내부로 유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사이클론 방식에 의하여 공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본체(30) 내부에서 먼지 등과 분리된 공기는 별도의 배출구(37)를 통하여 청소기본체(3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먼지통(33)은 청소기본체(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먼지통(33)은, 그 내부에 포집된 먼지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35)는, 진공청소기(1)를 이루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배터리(35)는 청소기본체(30)의 제1 모터(3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또한 흡입노즐(10)의 제2 모터(4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체흡입구(34)는, 공기, 먼지 등이 청소기본체(30)로 유입되는 청소기본체(30)의 입구를 이룬다. 본체흡입구(34)는 청소기본체(3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파이프(20)의 제2 연결부(22)는 본체흡입구(34)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제어부(38)는, 진공청소기(1)의 작동을 제어하고, 진공청소기(1)를 이루는 각 부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부(38)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8)에 의한 제어를 위하여 진공청소기(1)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38)는, 진공청소기(1)로 입력되는 정보, 진공청소기(1)에서 출력되는 정보, 진공청소기(1)에서 획득되는 정보 등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진공청소기(1)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진공청소기(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노즐(1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흡입노즐(10)을 반대쪽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흡입노즐(10)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a의 흡입노즐(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방향인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1 방향(X)은 진공청소기(1)의 앞쪽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Y)은 진공청소기(1)의 좌측방향일 수 있고, 제3 방향(Z)은 진공청소기(1)의 상측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은 바닥면(B)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제3 방향(Z)은 바닥면(B)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전후방향은 제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이고, 좌우방향은 제2 방향(Y)과 평행한 방향이고, 상하방향은 제3 방향(Z)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사용자(U)는, 청소기본체(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1)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연결파이프(20)는 사용자(U)의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놓이고, 흡입노즐(10)은 사용자(U)의 앞쪽의 바닥면(B)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1)의 사용이 진공청소기(1)의 자연스러운 사용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노즐(10)은 사용자(U)의 앞쪽 바닥면(B)에 놓인 상태에서 먼지 등을 흡입하는데 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흡입노즐(10)은 그 자체로 전후방향이 서로 구분되고, 또한 상하방향이 서로 구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노즐(10)이 수평방향을 따라 평평한 바닥면(B)에 놓인 경우를 가정하면, 흡입노즐(10)의 앞쪽 방향(제1 방향(X))과 좌측 방향(제2 방향(Y))은 각각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흡입노즐(10)의 상측방향(제3 방향(Z))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흡입노즐(10)은 좌우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노즐(10)은 흡입구(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흡입구(101)는, 먼지 등이 진공청소기(1) 내부로 유입되는 최초의 입구일 수 있으며, 흡입노즐(10)은 이러한 흡입구(101)를 구비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노즐(10)은 노즐하우징(11)과 연결네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입노즐(10)은 회전클리너(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노즐하우징(11)은 바닥에 놓여 바닥면(B)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흡입구(101)는 노즐하우징(11)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에 놓인 노즐하우징(11)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노즐하우징(11)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바퀴(캐스터(180))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하우징(11)은 노즐헤드부(100)와 노즐네크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헤드부(100)는 노즐하우징(11)에서 앞쪽 부분을 이루고, 노즐네크부(200)는 노즐헤드부(100)에서 뒤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흡입구(101)는 노즐헤드부(10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네크부(200)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노즐헤드부(100)의 뒤쪽에서 뒤쪽방향으로 연장된다. 노즐하우징(11)에서 노즐네크부(200)는 연결네크(300)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노즐네크부(200)는 연결네크(300)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노즐(10)에는 회전클리너(400)가 구비된다. 회전클리너(400)는, 대체로 롤러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축(제1 회전축(R1))을 기준으로 노즐하우징(11)(노즐헤드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클리너(400)는 흡입구(101)보다 앞쪽에서 노즐하우징(11)(노즐헤드부(10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도 1 등 참조)
회전클리너(400)의 회전을 위하여 흡입노즐(10)의 내부에는 모터(제2 모터(47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클리너(400)의 외주면에는 브러쉬 및/또는 융(絨)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러피(420)가 형성된다. 회전클리너(400)의 플러피(420)는 바닥면(B)과 접촉하거나 바닥면(B)과 매우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회전클리너(400)가 회전하면서 바닥의 먼지 등을 흡입구(101) 쪽으로 쓸거나 흡착할 수 있다.
회전클리너(400)의 외주면에는 오목한 골 형태의 제1 유로(430)가 형성된다. 제1 유로(430)는 공기 및/또는 이물질이 이동하는 통로를 이룬다. 특히, 제1 유로(430)는 회전클리너(400)의 앞쪽 바닥면(B)에 위치한 이물질이 회전클리너(400)의 뒤쪽에 위치하는 흡입구(101)로 이동하는 통로를 이룬다.
연결네크(300)는, 흡입노즐(10)에서 연결파이프(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연결네크(300)는 제1 연결부(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네크(300)는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내부가 흡입구(101)와 연통되고, 또한 연결파이프(20)의 내부와 연통된다.
연결네크(300)에는, 이와 결합된 연결파이프(20)와의 분리를 위한 버튼(310)이 구비될 수 있다.
흡입노즐(10)에서 흡입구(101)로 유입된 먼지 등은 노즐네크부(200)의 내부와 연결네크(300)의 내부를 통하여 연결파이프(2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노즐하우징(11)(특히, 노즐네크부(200)) 및 연결네크(300) 내부에는 별도의 주름관(17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주름관(170)이 구비되는 경우, 흡입구(101)로 유입된 먼지는 주름관(170)의 내부를 통하여 연결파이프(20) 쪽으로 이동한다.
연결네크(300)는, 흡입노즐(10)의 뒤쪽 부분을 이루며, 노즐하우징(11)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노즐하우징(11)(노즐네크부(200))과 연결네크(300)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노즐하우징(11)(노즐네크부(200))과 연결네크(300)는 제2 회전축(R2)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회전축(R2)은 바닥면(B)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흡입노즐(10)을 앞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흡입노즐(10)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노즐헤드부(100)는, 상부하우징(110), 하부하우징(120), 제1 측벽(130), 제2 측벽(140) 및 내부벽(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노즐헤드부(100)는 좌우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하우징(110)은 상부커버(111)를 포함한다.
상부커버(111)는 제2 방향(Y)을 따라 길게 이루어진다. 제2 방향(Y)에서 상부커버(111)의 길이는 회전클리너(400)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이루어진다.
상부커버(111)는 제2 방향(Y)을 따라 그 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커버(111)는 그 내측면이 오목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클리너(400)의 외측면의 곡률에 상응하는(동일하거나 유사한) 곡률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커버(111)는 회전클리너(400)의 상측에 위치한다. 상부커버(111)의 내측면은 회전클리너(400)의 외측면에 닿을 수 있고, 또는 상부커버(111)의 내측면은 회전클리너(400)의 외측면과 좁은 틈을 이루며 이격될 수 있다.
상부커버(111)의 전단 모서리(111a)는, 제2 방향(Y)을 따라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부커버(111)의 전단 모서리(111a)는 제2 방향(Y)(또는 제1 회전축(R1))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후방향(제1 방향(X))을 기준으로, 상부커버(111)의 전단모서리(111a)는 회전클리너(400)의 전단과 같은 위상을 이룰 수 있고, 또는 회전클리너(400)의 전단보다 뒤에 위치하거나, 회전클리너(400)의 전단보다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110)은 후방커버(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하우징(110)에서, 상부커버(111)가 앞쪽 부분을 이룰 때, 후방커버(112)는 뒤쪽 부분을 이룬다.
후방커버(112)는 상부커버(111)의 뒤쪽에 결합된다. 후방커버(112)는 제2 방향(Y)을 따라 길게 이루어지고, 제2 방향(Y)에서 후방커버(112)의 길이는 상부커버(111)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후방커버(112)는, 상부하우징(110)에서 노즐네크부(200)와 고정되게 연결되는 부분을 이룬다.
하부하우징(120)은 대체로 제2 방향(Y)을 따라 길게 이루어진다. 제2 방향(Y)에서 하부하우징(120)의 길이는 회전클리너(400)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이루어진다.
하부하우징(120)은 노즐헤드부(100)의 저면을 이루고, 또한 노즐하우징(11)의 저면을 이룬다.
하부하우징(120)은 상부하우징(110)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부하우징(110)에 고정된다.
하부하우징(120)은 회전클리너(400)의 뒤쪽에 위치한다. 하부하우징(120)이 상부하우징(110)에 고정되면서, 하부하우징(120)과 회전클리너(400) 사이에서 흡입구(101)가 구비된다. 즉, 흡입구(101)는 하부하우징(120)의 앞쪽 부분에 구비된다. 특히, 흡입구(101)는 하부하우징(120)의 좌우방향의 중앙에 구비된다.
제1 측벽(130)은, 회전클리너(400)의 한쪽 옆면을 차폐하도록 이루어지고,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2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제2 측벽(140)은, 제1 측벽(130)의 반대쪽에서 회전클리너(400)의 옆면을 차폐하고,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2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제1 측벽(130)이 노즐헤드부(100)의 좌측면을 이룰 때, 제2 측벽(140)은 노즐헤드부(100)의 우측면을 이룬다.
제1 측벽(130)은 제1 경사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경사부(132)는, 제1 측벽(130)의 앞쪽의 아래쪽 모서리를 이루고, 경사지게 이루어지거나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경사부(132)는 하측을 향할수록 뒤쪽을 향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측벽(140)은 제2 경사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경사부(142)는, 제2 측벽(140)의 앞쪽의 아래쪽 모서리를 이루고, 경사지게 이루어지거나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경사부(142)는 하측을 향할수록 뒤쪽을 향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벽(130)에는 제2 유로(131)가 형성되고, 제2 측벽(140)에는 제3 유로(141)가 형성된다.
제2 유로(131)는, 제1 측벽(130)의 외측면에서 일 부분이 내측으로 단차지면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유로(131)가 형성된 부분에서 제1 측벽(130)의 외측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이룬다.
제2 유로(131)는 제1 측벽(130)에서 전후방향(제1 방향(X))의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131)는 제1 경사부(132)까지 이어진다.
이에 따라, 제1 측벽(130)이 실내의 벽면에 밀착되는 경우, 적어도 제2 유로(131)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제1 측벽(130)은 실내의 벽면에서 이격되며, 제2 유로(131)를 통하여 흡입노즐의 외부와 내부의 공기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유로(430)는 제1 측벽(13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1 측벽(130)의 하단 부분이 내측으로 단차진 형태를 이룬다.
제3 유로(141)는, 제2 측벽(140)의 외측면에서 일 부분이 내측으로 단차지면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3 유로(141)가 형성된 부분에서 제2 측벽(140)의 외측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이룬다.
제3 유로(141)는 제2 측벽(140)에서 전후방향(제1 방향(X))의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로(141)는 제2 경사부(142)까지 이어진다.
이에 따라, 제2 측벽(140)이 실내의 벽면에 밀착되는 경우, 적어도 제3 유로(141)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제2 측벽(140)은 실내의 벽면에서 이격되며, 제3 유로(141)를 통하여 흡입노즐의 외부와 내부의 공기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유로(141)는 제2 측벽(14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2 측벽(140)의 하단 부분이 내측으로 단차진 형태를 이룬다.
내부벽(150)은 대체로 노즐헤드부(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내부벽(150)은, 제1 회전축(R1)과 평행한 방향인 제2 방향(Y)을 따라 길게 이루어진다. 내부벽(150)은 그 앞쪽 면이 평면 또는 곡면을 이룬다. 내부벽(150)의 앞쪽 면은 회전클리너(400)의 뒤쪽에서 회전클리너(400)의 외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내부벽(150)의 상단 모서리(152)는 상부하우징(110)의 저면에 결합되고 고정된다.
내부벽(150)의 하단 모서리(151)는 회전클리너(400)의 하단보다 높게 이루어진다. 즉, 흡입노즐(10)이 바닥면(B)에 놓인 상태에서, 내부벽(150)은, 회전클리너(400)와 흡입구(101)의 사이를 차폐하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내부벽(150)의 하단을 통하여 회전클리너(400)가 위치한 공간과 흡입구(101) 간의 연통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벽(150)의 하단 모서리(151)는 제1 회전축(R1)보다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헤드부(100)에는 제1 유도유로(102) 및 제2 유도유로(103)가 구비된다.
제1 유도유로(102)는, 흡입구(101)에서 제1 회전축(R1)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간을 이룬다. 제2 유도유로(103)는, 흡입구(101)에서 제1 유도유로(102)의 반대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간을 이룬다. 즉, 흡입구(101)를 중심으로 제1 유도유로(102)와 제2 유도유로(103)는 서로 반대쪽에 형성된다. 제1 유도유로(102)가 흡입구(101)의 좌측에 구비될 때 제2 유도유로(103)는 흡입구(101)의 우측에 구비된다.
제1 유도유로(102)와 제2 유도유로(103)는, 이물질이 흡입구(101) 쪽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로를 이룬다.
제1 유도유로(102) 및 제2 유도유로(103)는, 하부하우징(120)과 내부벽(15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하우징(120)의 앞쪽면은, 제1 유도유로(102) 및 제2 유도유로(103)의 뒤쪽 벽면을 이루고, 내부벽(150)의 뒤쪽 부분의 저면은 제1 유도유로(102) 및 제2 유도유로(103)의 위쪽 벽면을 이룰 수 있다.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제1 유도유로(102) 및 제2 유도유로(103)의 길이는 흡입구(101)로 이물질을 유도하는데 충분한 길이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제1 유도유로(102)의 길이는 회전클리너(400)의 길이의 1/4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1/3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제2 유도유로(103)의 길이는 회전클리너(400)의 길이의 1/4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1/3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클리너(400)의 뒤쪽은, 제1 회전축(R1)보다 낮은 영역에서, 흡입구(101), 제1 유도유로(102) 및 제2 유도유로(103) 쪽으로 노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제1 유도유로(102), 흡입구(101) 및 제2 유도유로(103)의 전체 길이는, 회전클리너(400)의 길이와 같거나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제1 유도유로(102), 흡입구(101) 및 제2 유도유로(103)의 전체 길이는, 회전클리너(400)의 길이보다 약간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회전클리너(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회전클리너(400)의 코어(4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 및 도 10c 각각은, 회전클리너(400)를 이루는 외주면층(415)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d는 도 10c의 외주면층(415)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도 9의 B-B'에서의 단면이고, 도 11b는 도 9의 C-C'에서의 단면이고, 도 11c는 도 9의 D-D'에서의 단면이다.
도 1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클리너(4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b는 도 12a의 회전클리너(4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회전클리너(400)는, 좌우방향과 평행한 제1 회전축(R1)을 기준으로 노즐헤드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클리너(400)는 흡입구(101)의 앞에 위치한다.
회전클리너(400)는, 코어(410), 플러피(420) 및 제1 유로(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코어(410)는, 제1 회전축(R1)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코어(410)는 제2 방향(Y)을 따라 단면(외주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410)는 비교적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코어(410)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피(420)는 코어(4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플러피(420)는, 코어(410)와 비교할 때 충분히 부드럽고 푹신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클리너(400)가 바닥면에 닿아 회전할 때, 코어(410)는 그 형태가 유지되고, 플러피(420)는 바닥면과 접촉하면서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플러피(420)는, 브러쉬(brush)와 텍스타일(textil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텍스타일'은 섬유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제품을 의미한다. 텍스타일에는, 실종류, 직물, 편물, 레이스, 망지, 펠트, 솜, 종이 등의 재료 및 이것들의 재료로 만든 제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브러쉬는 통상의 브러쉬와 같은 형태 및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쉬는, 털의 조합, 짧은 실의 조합, 섬유의 조합, 가는 줄(cord)의 조합, 필라멘트의 조합 또는 가는 핀의 조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섬유'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털, 실, 줄, 필라멘트 및/또는 핀으로 대체될 수 있다.
플러피(420)는, 브러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텍스타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브러쉬와 텍스타일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피(420)는 융(flanne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피(420)가 브러쉬로 이루어질 때, 플러피(420)(브러쉬)를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421)는 코어(4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플러피(420)에서 각각의 섬유(421)는 빼곡하게 식모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섬유(421)는 그의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다른 섬유(421)와 닿을 수 있을 정도로, 빼곡하게 식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섬유(421) 간의 간격이, 각 섬유(421)의 직경과 같거나 작을 정도로, 빼곡하게 식모될 수 있다.
플러피(420)(브러쉬)를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421)의 직경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플러피(420)를 구성하는 섬유(421)의 직경은 수㎛에서 수백㎛의 크기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피(420)는 소정의 두께(회전클리너(400)의 반경방향의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플러피(420)는 그 전체 영역에 걸쳐 소정의 두께 범위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유로(430)는 회전클리너(400)의 외측면에서 오목한 홈(골)으로서 공간을 이룬다.
제1 유로(430)는 플러피(420)를 가로지르는 공간을 이룬다.
제1 유로(430)는 플러피(420)를 이루는 섬유(421)가 배제된 공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클리너(400)의 외주면은, 제1 유로(430)를 제외하고 모두 플러피(420)로 덮혀질 수 있다. 즉, 회전클리너(400)의 외주면을 이루는 구성에는, 제1 유로(430)와 플러피(420)만 존재할 수 있다.
제1 유로(430)는, 회전클리너(400)의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까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430)는 그 길이방향이 제1 회전축(R1)과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유로(430)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유로(430)는 제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회전클리너(400)에서, 제1 유로(430)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즉, 회전클리너(4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모든 제1 유로(430)는, 부분들이 서로 분리됨이 없이, 하나의 선과 같은 형태로 이어진다.
제1 유로(430)는, 제1 경계면(431) 및 제2 경계면(432)을 포함한다.
제1 경계면(431)은, 제1 유로(430)와 플러피(420)의 경계를 이루는 면이다. 제1 경계면(431)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제2 경계면(432)은, 제1 경계면(431)의 반대쪽에서, 제1 유로(430)와 플러피(420)의 경계를 이루는 면이다. 제2 경계면(432) 또한 나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제2 경계면(432)은, 회전클리너(4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계면(431)의 뒤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클리너(400)는, 흡입노즐(10)의 앞쪽을 향하여 굴러가는 형태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노즐(10)의 왼쪽에서 볼 때 회전클리너(4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흡입노즐(10)의 오늘쪽에서 볼 때 회전클리너(4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회전클리너(400)의 회전은, 회전클리너(400)의 앞쪽 바닥면에 위치한 이물질을 회전클리너(400)의 뒤쪽 공간(특히, 흡입구(101))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클리너(400)의 횡단면에서 볼 때, 제1 경계면(431) 및 제2 경계면(432)은 코어(410)의 외주면과 수직하게 이루어진다. 즉, 회전클리너(400)의 횡단면상에서, 제1 경계면(431) 및 제2 경계면(432)은 회전클리너(400)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경계면(431)과 제2 경계면(432)이 이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 유로(430)를 따라 흡입력(또는 음압(negative pressure))이 작용할 때, 흡입력(또는 음압)이 제1 유로(430)를 벗어나지 않고, 제1 유로(430) 상에서만 집중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또한, 제1 유로(430)를 통하여 이동하는 이물질이 제1 유로(430)가 이루는 경로를 따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의 회전클리너(400)는, 이물질의 흡착 및 이송에 가장 적합한 크기, 형태 등을 갖도록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또한, 회전클리너(400)의 제1 유로(430)는, 흡입력(또는 음압)이 작용하고 이물질이 이동하는 통로로서 가장 적합한 크기, 형태 등을 갖도록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경계면(431)의 내측단(코어(410)와 가장 가까운 부분)과 제2 경계면(432)의 내측단(코어(410)와 가장 가까운 부분) 사이의 간격은, 제1 경계면(431)의 높이의 3배보다 크고 4배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코어(410)는, 그 외경이 35~40mm의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그 길이가 210~230mm의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어(410)는 외경이 약 38mm이고, 길이가 약 222mm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430)는, 그 폭(내측폭, d3)이 15~25mm의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그 깊이(d4)가 3~7mm의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유로(430)는 폭(내측폭,d3)이 약 21mm이고, 깊이(d4)가 약 6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유로(430)의 폭(d3) 및 깊이(d4)가 너무 큰 경우, 플러피(420)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플러피(420)에 의한 먼지 등의 흡착 및 이송이 저하될 수 있고 제1 유로(430) 상에서 흡입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430)의 폭 및 깊이가 너무 작은 경우, 제1 유로(430)를 통한 이물질의 이송이 곤란하거나 청소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1 유로(43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제1 유로(43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폭 및 깊이가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로(430), 및 제1 유로(430)의 양쪽 면인 제1 경계면(431)과 제2 경계면(432)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유로(430)는 회전클리너(400)를 약 1 회전하는 형태의 나선형으로 이루어지거나, 1회전에 약간 못미치는 형태의 나선형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클리너(400)의 외주면의 법평면(normal plane) 중 제1 경계면(431)의 전단과 만나는 제1 법평면(S1)과, 회전클리너(400)의 외주면의 법평면 중 제2 경계면(432)의 후단과 만나는 제2 법평면(S2) 사이의 각도는 0~45°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2a, 도 12b 참조)
제1 경계면(431)은, 양쪽 단부를 이루는 제1 전방단부(431a)와 제1 후방단부(431b)를 포함한다. 제1 전방단부(431a)는, 회전클리너(4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1 경계면(431)의 전단을 이루는 부분이다. 제1 후방단부(431b)는, 회전클리너(4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1 경계면(431)의 후단을 이루는 부분이다.
제2 경계면(432)은, 양쪽 단부를 이루는 제2 전방단부(432a)와 제2 후방단부(432b)를 포함한다. 제2 전방단부(432a)는, 회전클리너(4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2 경계면(432)의 전단을 이루는 부분이다. 제2 후방단부(432b)는, 회전클리너(400)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2 경계면(432)의 후단을 이루는 부분이다.
제1 전방단부(431a)와 제2 후방단부(432b)를 연결하는 기준선(RL)은 제1 회전축(R1)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 9 참조)
회전클리너(400)는, 코어(410)의 외주면에 외주면층(415)이 결합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410)에 결합되기 전에 외주면층(415)은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외주면층(415)은, 베이스영역(417)과 베이스영역(417)에 고정되게 결합된 플러피영역(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영역(417)은 얇은 천(cloth), 망(net) 또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영역(417)의 면적은 코어(410)의 외주면의 면적에 상응(동일 또는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피영역(420')은 플러피(420)를 형성한다.
플러피영역(420')은 섬유(421)로 이루어지고 베이스영역(417)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플러피영역(420')은, 베이스영역(417)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별도로 이루어진 후 베이스영역(417)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외주면층(415)은, 제1 유로(430)를 형성하는 제1 유로영역(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유로영역(430')은, 베이스영역(417)의 외측에서, 플러피영역(42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공간)일 수 있다.
베이스영역(417)의 내측면이 코어(410)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면서, 외주면층(415)은 플러피(420)와 제1 유로(430)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외주면층(415)은, 상기 제1 유로영역(430')은 구비하지 않고, 상기 플러피영역(420') 만을 구비하거나, 상기 베이스영역(417)과 상기 플러피영역(420')만을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평하게 펼쳐진 외주면층(415)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주면층(415)의 가로변의 길이는 회전클리너(400)의 길이(d2)와 동일하고, 외주면층(415)의 세로변의 길이는 코어(410)의 외주면의 둘레 길이(원주 길이, d1)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외주면층(415)이 코어(410)의 외주면에 결합될 때, 외주면층(415)의 하단의 가로변(E1)과 상단의 가로변(E2)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면서, 외주면층(415)은 플러피(420)와 제1 유로(43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주면층(415)에서 제1 유로영역(430')이 하나의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때, 제1 유로영역(430')은 외주면층(415)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 유로영역(430')을 중심으로 플러피영역(420')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플러피영역(420')은, 삼각형 형태의 제1 플러피영역(420a)과 또 다른 삼각형 형태의 제2 플러피영역(420b)으로 구분된다.(도 10b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평평하게 펼쳐진 외주면층(415)은 평행사변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주면층(415)의 상대적으로 긴 한 변의 길이는 제1 유로(430)의 길이(제1 유로영역(430')의 길이)와 동일하고, 외주면층(415)의 상대적으로 짧은 다른 한 변의 길이는 코어(410)의 외주면의 둘레의 길이(d1)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외주면층(415)이 코어(410)의 외주면에 결합될 때, 상대적으로 긴 두 변(E3, E4)이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면서, 외주면층(415)은 플러피(420)와 제1 유로(43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1 유로영역(430')은 플러피영역(420')의 한 쪽 모서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러피영역(420')은 하나의 평행사변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유로영역(430') 또한 하나의 긴 평행사변형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플러피영역(420')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주면층(415)이 평행사변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플러피영역(420')은 하나의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외주면층(415)의 제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외주면층(415)이 코어(410)에 결합될 때, 플러피(420)가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의 (a), (b), (c), (d), (e), (f), (g) 및 (h)는 각각, 회전클리너(400)가 바닥면(B) 및 전방벽면(W1)에 닿은 상태에서 회전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a), (b), (c) 및 (d)는 각각, 전방벽면에 닿은 흡입노즐(10)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 및 경로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제2 방향(Y)에서 회전클리너(400)를 바라볼 때, 제1 경계면(431)은 제2 방향(Y)으로 투영된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이때 제1 경계면(431)은 대체로 원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제1 경계면(431)은 완전한 원을 이루는 것은 아니고, 제1 경계면(431)의 양 단부인 제1 전방단부(431a)와 제1 후방단부(431b)는 서로 약간 이격된 형태의 원을 이룬다.
또한, 제2 방향(Y)에서 회전클리너(400)를 바라볼 때, 제2 경계면(432)은 제2 방향(Y)으로 투영된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이때 제2 경계면(432)은 대체로 원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제2 경계면(432)은 완전한 원을 이루는 것은 아니고, 제2 경계면(432)의 양 단부인 제2 전방단부(432a)와 제2 후방단부(432b)는 서로 약간 이격된 형태의 원을 이룬다.
다만, 제2 방향(Y)에서 회전클리너(400)를 바라볼 때, 제1 전방단부(431a)와 제2 후방단부(432b)는 서로 일치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클리너(400)는 제2 방향(Y)을 따라 그 하단이 바닥면에 접촉하며, 회전클리너(400)의 바로 앞쪽 바닥 위 부분의 공간인 제1 공간(A1)과, 회전클리너(400)의 바로 뒤쪽 바닥 위 부분의 공간인 제2 공간(A2)은, 회전클리너(400)에 의하여 가로막히는 형태에 있게 된다. 제2 공간(A2)은 흡입구(101), 제1 유도유로(102) 및 제2 유도유로(103)가 위치하는 공간에 해당된다.
흡입노즐(10)이 앞으로 전진할 때 회전클리너(400)는 앞으로 굴러 회전하면서 흡입노즐(10)과 함께 전진하며, 이에 따라 제1 공간(A1)의 이물질은 회전클리너(400)의 외주면에 흡착되거나 쓸려 제2 공간(A2) 쪽으로 이동하고, 흡입구(101) 내부로 빨려들어갈 수 있다.
진공청소기(1)는, 벽면의 하단 모서리에 쌓여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의 흡입도 잘 되도록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흡입노즐(10)이 전방의 벽면에 닿아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제1 공간(A1)의 이물질이 제2 공간(A2)쪽으로 이동한 후 흡입구(101)로 흡입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클리너(400)는 그 외주면에 제1 유로(4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유로(430)를 통하여 제1 공간(A1)과 제2 공간(A2)의 연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2 공간(A2)의 흡입력(또는 음압)이 제1 공간(A1) 쪽으로 잘 전달되고, 제1 공간(A1)에 위치하는 이물질이 제2 공간(A2) 쪽으로 잘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를 설명한다.
흡입노즐(10)이 전방의 벽면(W1)에 밀착될 때, 흡입구(101)에서 작용하는 흡입력(또는 음압)은 주로 제1 유로(430)를 통하여 제1 공간(A1)쪽으로 전달되고, 이때, 제1 공간(A1) 상에서 형성되는 음압에 의하여, 제1 공간(A1)의 좌우 양쪽(제1 경사부(132) 및 제2 경사부(142))에서 중앙쪽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외부의 공기의 제1 공간(A1) 쪽으로의 원활히 유입은, 제1 유로(430) 상에서의 흡입력(음압)의 작용을 돕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벽(150)은 회전클리너(400)의 뒤쪽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후방단부(432b)가 회전클리너(400)의 가장 뒤쪽에 위치할 때, 제1 회전축(R1)에서 제2 후방단부(432b)를 연결하는 선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제2 전방단부(432a)는 제2 후방단부(432b)보다 낮은 지점에서 회전클리너(400)의 뒤쪽에 위치한다.(도 13의 (a) 참조) 제2 후방단부(432b)는 내부벽(150)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고 제 전방단부(432a)는 내부벽(150)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흡입구(101)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은 아래쪽 부분의 제1 유로(430) 쪽으로 전달되고, 제1 유로(430)를 통하여 제1 공간(A1)의 이물질은 제2 공간(A2)으로 이동하여 흡입구(101)로 흡입될 수 있다. 즉, 제1 유로(430)에서 흡입력의 작용방향이 회전클리너(400)의 회전방향과 일치한다.
회전클리너(400)가 회전(반시계방향 회전)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제2 후방단부(432b)가 45°회전한 경우(도 13의 (b) 참조), 제2 후방단부(432b)가 90°회전한 경우(도 13의 (c) 참조), 제2 후방단부(432b)가 135°회전한 경우(도 13의 (d) 참조), 및 제2 후방단부(432b)가 180°회전한 경우(도 13의 (e) 참조)에도, 모두 흡입구(101)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은 아래쪽 부분의 제1 유로(430) 쪽으로 전달되고, 제1 유로(430)를 통하여 제1 공간(A1)의 이물질은 제2 공간(A2)으로 이동하여 흡입구(101)로 흡입될 수 있다. 즉, 제1 유로(430)에서 흡입력의 작용방향이 회전클리너(400)의 회전방향과 일치한다.
회전클리너(400)가 더욱 회전(반시계방향 회전)하여 제2 후방단부(432b)가 225°회전한 경우(도 13의 (f) 참조), 흡입구(101)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의 일부는 아래쪽 부분의 제1 유로(430) 쪽으로 전달되고 또한 흡입구(101)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의 다른 일부는 위쪽 부분의 제1 유로(430) 쪽으로 전달된다.
이때, 제1 유로(430)에서 흡입력의 작용방향 중 일부는 회전클리너(400)의 회전방향과 일치하고, 다른 일부는 회전클리너(400)의 회전방향과 반대가 된다. 즉, 흡입력이 작용하는 방향에서 일부 전환이 이루어진다.
회전클리너(400)가 더욱 회전(반시계방향 회전)하여 제2 후방단부(432b)가 270°회전한 경우(도 13의 (g) 참조), 제2 후방단부(432b)는 바닥면에 닿게 되며, 흡입구(101)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은 아래쪽 부분의 제1 유로(430) 쪽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고 위쪽 부분의 제1 유로(430) 쪽으로 전달된다. 즉, 제1 유로(430)에서 흡입력의 작용방향은 회전클리너(400)의 회전방향과 반대가 된다.
회전클리너(400)가 더욱 회전(반시계방향 회전)하여 제2 후방단부(432b)가 315°회전한 경우(도 13의 (h) 참조), 흡입구(101)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의 일부는 아래쪽 부분의 제1 유로(430) 쪽으로 전달되고 또한 흡입구(101)에서 형성되는 흡입력의 다른 일부는 위쪽 부분의 제1 유로(430) 쪽으로 전달된다.
즉, 제1 유로(430)에서 흡입력의 작용방향 중 일부는 회전클리너(400)의 회전방향과 일치하고, 다른 일부는 회전클리너(400)의 회전방향과 반대가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 및 회전클리너(400)에 의하면, 회전클리너(400)의 모든 회전각도에서 제1 유로(430)를 통하여 제1 공간(A1)과 제2 공간(A2) 간의 연통이 이루어지므로, 제1 공간(A1)의 이물질이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흡입구(101)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회전클리너(400)의 일부 회전구간에서, 제1 유로(430)에서 흡입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전환된다. 이에 따라, 제1 공간(A1)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흡입력이 작용할 수 있고, 제1 공간(A1)에서 난류(Tubulence)가 잘 발생될 수 있고, 제1 공간(A1)에서의 먼지의 운동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여, 제1 공간(A1)의 이물질이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1 유로(430)를 통하여 흡입구(101)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5의 (a), (b), (c) 및 (d)는 각각, 전방벽면(W1) 및 좌측벽면(W2)에 닿은 흡입노즐(10)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 및 경로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a), (b), (c) 및 (d)는 각각, 전방벽면(W1) 및 우측벽면(W3)에 닿은 흡입노즐(10)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 및 경로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흡입노즐(10)이 전방의 벽면(W1) 및 좌측의 벽면(W2)에 밀착될 때, 흡입구(101)에서 작용하는 흡입력(또는 음압)은 주로 제1 유로(430)를 통하여 제1 공간(A1)쪽으로 전달되고, 이때, 제1 공간(A1) 상에서 형성되는 음압에 의하여, 제1 공간(A1)의 좌우 양쪽에서 중앙쪽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흡입노즐(10)의 좌측에서는 제2 유로(131) 및 제1 경사부(132)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제1 공간(A1)쪽으로 유입되고, 흡입노즐(10)의 우측에서는 제2 경사부(142)를 통하여 외부의 공가기 제1 공간(A1)쪽으로 유입된다.
특히, 흡입노즐(10)의 좌측에서 제2 유로(131) 및 제1 경사부(132)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제1 공간(A1)의 좌측 구석(전방의 벽면, 좌측의 벽면 및 바닥면이 이루는 코너)에 위치하는 이물질의 유동성(운동성)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이물질이 제1 유로(430)를 통하여 흡입되는 것을 돕는다.
흡입노즐(10)이 전방의 벽면(W1) 및 우측의 벽면(W3)에 밀착될 때, 흡입구(101)에서 작용하는 흡입력(또는 음압)은 주로 제1 유로(430)를 통하여 제1 공간(A1)쪽으로 전달되고, 이때, 제1 공간(A1) 상에서 형성되는 음압에 의하여, 제1 공간(A1)의 좌우 양쪽에서 중앙쪽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흡입노즐(10)의 우측에서는 제3 유로(141) 및 제2 경사부(142)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제1 공간(A1)쪽으로 유입되고, 흡입노즐(10)의 좌측에서는 제1 경사부(132)를 통하여 외부의 공가기 제1 공간(A1)쪽으로 유입된다.
특히, 흡입노즐(10)의 우측에서 제3 유로(141) 및 제2 경사부(142)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제1 공간(A1)의 우측 구석(전방의 벽면, 우측의 벽면 및 바닥면이 이루는 코너)에 위치하는 이물질의 유동성(운동성)을 증가시키며, 이러한 이물질이 제1 유로(430)를 통하여 흡입되는 것을 돕는다.
외부의 공기의 제1 공간(A1) 쪽으로의 원활히 유입은, 제1 유로(430) 상에서의 흡입력(음압)의 작용을 돕는다.
도 17은 흡입노즐(10)의 측면도로서, 거리감지센서(500)에 의해 전방벽면이 감지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 도 18b 및 도 18c는 각각 흡입노즐(10)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거리감지센서(500)에 의해 전방벽면이 감지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진공청소기(1)는 거리감지센서(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거리감지센서(500)는, 흡입노즐(10)에 결합되어, 흡입노즐(10)의 전방에 위치하는 벽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거리감지센서(500)는 흡입노즐(10)에 형성되어, 흡입노즐(10)의 앞쪽에 위치하는 물체(예컨대, 벽면)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거리감지센서(500)는, 거리감지센서(500)가 형성된 지점과 벽면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500)는, 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LIDAR 센서와 같은 거리 센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감지센서(500)는, 전자기 에너지(예를 들어, 가시 광선, 적외선 또는 무선파)를 방출하고 방출된 에너지의 반사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500)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반사된 빛이 입사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500)는 ToF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500)는, 거리감지센서(500)로부터 벽면(W1)까지의 거리(d5, 벽면에서 수평방향의 거리일 수 있고, 또는 벽면에서 경사방향의 거리일 수 있음)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터(31)의 회전속도는, 거리감지센서(500)에 의해 감지된 거리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증가하도록 이루어진다.
거리감지센서(500)에 의해 감지된 거리값은 제어부(38)로 전송되고, 제어부(38)는 이러한 거리값 및 기준값에 따라 제1 모터(31)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제어부(38)는, 거리감지센서(500)에 의해 감지된 거리값이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제1 모터(31)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도록 제1 모터(31)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8)는, 상기 거리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즉시 제1 모터(31)의 회전속도가 50%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는 2배로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값이 기준값보다 큰 경우, 즉, 진공청소기(1)의 일반적인 사용상태에서 전력(W)이 40W일 때, 상기 거리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1 모터(31)의 회전속도 증가에 의하여 진공청소기의 전력이 60W가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거리감지센서(500)는 전방벽면(W1)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고, 또한 거리감지센서(500)에 의한 전방벽면(W1)의 감지 후 흡입노즐(10)이 전방벽에 닿아 이동이 저지될 때까지 흡입노즐(10)의 이동시간 및 이동거리를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그 형성위치가 정하여진다.
제1 회전축(R1)이 전방벽면(W1)과 평행할 때, 거리감지센서(500)에 의해 감지되는 전방벽과의 거리는 제2 방향(Y)을 따라 흡입노즐(10)의 전체 구간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된다.
제1 회전축(R1)이 전방벽면(W1)과 평행하지 않고, 예컨대, 제2 측벽(140)보다 제1 측벽(130)이 전방벽과 가까이 위치한 경우, 거리감지센서(500)에 의해 감지되는 전방벽면(W1)과의 거리는 제1 측벽(130)과 전방벽면(W1) 간의 거리보다는 길고 제2 측벽(140)과 전방벽면(W1) 간의 거리보다는 짧게 된다. 다만, 흡입노즐(10)이 전방벽면(W1)에 닿아 전방으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기 위해서는 흡입노즐(10)의 앞쪽 부분이 모두 전방벽에 닿아야 한다.
제1 회전축(R1)이 전방벽면(W1)과 평행하지 않고, 예컨대, 제1 측벽(130)보다 제2 측벽(140)이 전방벽면(W1)과 가까이 위치한 경우, 거리감지센서(500)에 의해 감지되는 전방벽면(W1)과의 거리는 제1 측벽(130)과 전방벽면(W1) 간의 거리보다는 짧고 제2 측벽(140)과 전방벽면(W1) 간의 거리보다는 길게 된다. 다만, 이 경우에도, 흡입노즐(10)이 전방벽면(W1)에 닿아 전방으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기 위해서는 흡입노즐(10)의 앞쪽 부분이 모두 전방벽에 닿아야 한다.
흡입노즐(10)이 향하는 모든 방향에서, 전방벽면(W1)에 의한 흡입노즐(10)의 전진이 저지되기까지 흡입노즐(10)의 이동시간 및 이동거리를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거리감지센서(500)는, 흡입노즐(10)의 좌우방향 정중앙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를 고려하여, 거리감지센서(500)는, 노즐헤드부(100)의 상단보다 더 높은 지점에서 노즐네크부(2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노즐(10)에 거리감지센서(500)의 설치를 위하여, 흡입노즐(10)에는 거리감지센서(500)가 고정되는 케이스(520) 및 PCB기판(510)이 구비될 수 있고, 거리감지센서(500)의 전자기 에너지(가시 광선, 적외선 또는 무선파 등)가 통과하는 작은 구멍(221)이 흡입노즐(1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값은, 흡입노즐(10)의 전단에서 거리감지센서(500)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이루어진다. 즉, 흡입노즐(10)의 전단이 전방의 벽면(W1)에 닿기 전에 거리감지센서(500)가 전방의 벽면(W1)을 감지하고, 또한 제어부(38)에 의한 제1 모터(31)의 회전속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흡입노즐(10)의 전단에서 거리감지센서(500)까지의 거리는 50~70mm의 범위의 거리일 수 있고, 기준값은 120~140mm의 범위의 거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노즐(10)의 전단에서 거리감지센서(500)까지의 거리는 약 65mm일 수 있고, 기준값은 130mm일 수 있다.
제어부(38)에 의하여, 거리감지센서(500)의 의해 감지되는 거리값이 기준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8)는 즉시 제1 모터(31)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소기본체(30) 내부의 흡입력은 순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제1 모터(31)는 청소기본체(30)에 구비되고, 청소기본체(30)는 연결파이프(20)를 통하여 흡입노즐(1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청소기본체(30)의 증가된 흡입력이 흡입노즐(10)(흡입노즐(10)의 흡입구(101))까지 전달되는데는 어느정도 시간이 소요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터(31)의 회전속도가 증가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청소기 본체의 증가된 흡입력이 흡입노즐(10)로 전달되어, 흡입노즐(10)의 흡입력이 증가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약 0.23s(sec)(흡입력의 변동시간)가 소요될 수 있다.
한편, 통상의 진공청소기의 사용시, 흡입노즐(10)의 이동속도(사용자에 의해 밀려 이동하는 흡입노즐의 속도)는 약 500mm/s일 수 있다.
따라서, 흡입노즐(10)의 흡입력의 변동시간이 0.23s이고 흡입노즐(10)의 이동속도가 500mm/s인 경우, 흡입노즐(10)에서 흡입력의 변동(증가)이 완료되기까지 흡입노즐(10)의 이동거리는 115mm가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준값이 130mm인 경우, 흡입노즐(10)의 전단이 전방의 벽면에 닿기 직전에 흡입노즐(10)의 흡입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흡입노즐(10)에서는 증가된 흡입력에 의하여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흡입노즐(10)이 후진하여 전방벽면(W1)에서 이격된 경우, 거리감지센서(500)는 흡입노즐(10)의 후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38)는 제1 모터(31)의 회전속도를 다시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모터(470)의 회전속도는, 거리감지센서(500)에 의해 감지된 거리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증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500)에 의하여 전방벽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38)는, 제1 모터(31)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흡입구(101)에서의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제2 모터(47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회전클리너(40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회전클리너(40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제1 유로(430)를 통한 이물질의 이동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방향(Y)을 따라 제1 공간(A1)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청소가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노즐(10)이 후진하여 전방벽면(W1)에서 이격된 경우, 거리감지센서(500)는 흡입노즐(10)의 후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38)는 제2 모터(470)의 회전속도를 다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 각각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클리너(400)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플러피(4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섬유(421)는 코어(4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피(420)는 코어(410)의 외주면을 둘러싼 브러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섬유(421)는, 천연섬유 및/또는 인공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섬유(421)는, 그 직경에 비하여 그 길이가 긴 형태로 이루어진다.
플러피(420)를 이루는 각 섬유(421)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직경 및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에서, 플러피(420)는 물에 젖지 않도록 이루어지거나 물에 잘 젖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러피(420)는, '물이 스며들지 않는(water-resistant)' 성질(내수성)을 가지거나, '물이 스며들지 않고 물을 튕겨내는(water repellent)' 성질(발수성)을 가지거나, '방수가 되는(waterproof)' 성질(방수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플러피(420)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피(420)를 이루는 섬유(421)는 발수제(water-repellent agent) 또는 방수제(water proof agent)를 포함하거나, 발수제 또는 방수제가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러피(420)를 이루는 섬유(421)는 소수성(hydrophobicity)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수제는 불소계 발수제, 비불소계 발수제, 또는 실리콘계 발수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수제는 수성 발수제 또는 유성 발수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수제는 실리콘알콕사이드, 알루미늄알콕사이드, 지르코늄알콕사이드 또는 티타늄알콕사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제는 밀랍, 왁스, 아마인유, 테레빈유 또는 피마자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피(420)가 섬유(421)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때 플러피(420)를 이루는 각각의 섬유(421)가 발수제 또는 방수제로 코팅될 수 있다.
플러피(420)가 털(bristle)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때 플러피(420)를 이루는 각각의 털이 발수제 또는 방수제로 코팅될 수 있고, 또는 플러피(420)가 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때 플러피(420)를 이루는 각각의 실이 발수제 또는 방수제로 코팅될 수 있고, 또는 플러피(420)가 줄(cord)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때 플러피(420)를 이루는 각각의 줄이 발수제 또는 방수제로 코팅될 수 있고, 또는 플러피(420)가 필라멘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때 플러피(420)를 이루는 각각의 필라멘트가 발수제 또는 방수제로 코팅될 수 있고, 또는 플러피(420)가 핀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때 플러피(420)를 이루는 각각의 핀이 발수제 또는 방수제로 코팅될 수 있다.
플러피(420)를 이루는 섬유(421)가 발수제 또는 방수제로 코팅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각 섬유(421)의 외측에 코팅층(422)(발수제 또는 방수제로 이루어지는 코팅층(422))이 형성된다.
섬유(421)의 외측에 형성된 코팅층(422)은, 섬유(421)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섬유(421)들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피(420)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아크릴 섬유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피(420)를 이루는 섬유(421)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나일론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섬유(421)는 털(bristle)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섬유(421)는 코어(41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곧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섬유(421)는 약 0.01~2mm의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섬유(421)는 서로 밀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플러피(420)를 이루는 섬유(421)는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피(420)를 이루는 섬유(421)들이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섬유(421)의 형상이 잘 유지될 수 있고, 플러피(420)로부터 물을 털어 탈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피(420)를 이루는 각 섬유(421)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나일론 소재로 이루어질 때, 각 섬유(421)는 약 0.2~2mm의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피(420)가 이러한 섬유(421)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때, 플러피(420)의 섬유(421)은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플러피(42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섬유(421)들이 휘어지고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섬유(421)들이 원래의 상태로 탄성회복 될 수 있다. 또한, 이때, 플러피(420)의 섬유(421)에는 물이 스며들지 않고 섬유(421)는 방수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플러피(420)에는 물이 잘 묻지 않으며, 회전클리너(400)의 플러피(420)에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플러피(420)에 물이 묻는 경우에도 물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피(420)는 항균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피(420)를 이루는 각각의 섬유(421)가 항균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항균제는 무기계항균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항균제는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금속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항균제는 금, 은, 백금, 구리, 아연, 납, 주석, 비스무트, 카드뮴, 크롬, 수은, 니켈 및/또는 코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항균제는 칼슘분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항균제는,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또는 인산지르코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항균제는 구아니딘계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의 제조과정에서 각 섬유에 항균제가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항균제는 접착성수지를 사용하여 브러쉬에 결합될 수 있다.
플러피(420) 및 플러피(420)를 이루는 섬유(421)가 항균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플러피(420)에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피(420)는 내부층(420c)과 외부층(420d)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부층(420c)은 플러피(420)에서 상대적으로 안쪽에 위치하는 층이다. 내부층(420c)은 코어(410)와 결합되는 층이다.
외부층(420d)은 플러피(420)에서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층이다. 외부층(420d)은, 내부층(420c)에서 연장되어 브러쉬의 표면을 이룬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층(420c)의 두께는 외부층(420d)의 두께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층(420c)의 두께는 외부층(420d)의 두께보다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층(420c)의 두께와 외부층(420d)의 두께의 비는, 1:1, 2:1, 3:1, 4:1 또는 5:1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에서, 플러피(420)의 내부층(420c)이 방수성, 발수성 및/또는 항균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플러피(420)의 내부층(420c)이 발수제 또는 방수제가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플러피(420)의 내부층(420c)이 소수성의 플라스틱 섬유(421)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러피(420)의 내부층(420c)이 항균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피(420)의 내부층(420c)이 발수제 또는 방수제가 코팅되어 이루어질 때, 플러피(420)의 외부층(420d)은 발수제 또는 방수제가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플러피(420)에서 내부층(420c)에서의 섬유(421)만이 발수성 또는 방수성을 갖도록 이루어지거나, 외부층(420d)을 이루는 섬유(421)에 비하여 내부층(420c)을 이루는 섬유(421)가 발수성 또는 방수성이 더 우수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피(420)의 내부층(420c)을 이루는 섬유(421)에 코팅층(422)이 형성되고, 플러피(420)의 외부층(420d)을 이루는 섬유(421)에 코팅층(42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플러피(420)를 물로 세척하거나 청소과정에서 플러피(420)에 물이 묻어 플러피(420)에 물이 흡수된 경우, 물은 내부층(420c)쪽보다 외부층(420d)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플러피(420)에서 외부층(420d)으로 이동한 물은 외부로 쉽게 증발되거나 탈수될 수 있으므로, 플러피(420)에 묻은 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디.
또한, 진공청소기(1)를 작동시키면 회전클리너(400)의 회전에 의하여 플러피(420)에 원심력이 작용하고, 원심력에 의하여 외부층(420d)에 묻은 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플러피(420)를 물이 묻는 경우, 물이 내부층(420c)쪽보다 외부층(420d)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러피(420)의 안쪽(내부층(420c))에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러피(420)가 물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피(420)를 이루는 각 섬유(421)는 첨단을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피(420)에 물이 묻는 경우 물은 플러피(420)의 외주면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플러피(420)에서 외주면 쪽으로 이동한 물은 외부로 쉽게 증발되거나 탈수될 수 있으므로, 플러피(420)에 묻은 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디.
또한, 진공청소기(1)를 작동시키면 회전클리너(400)의 회전에 의하여 플러피(420)에 원심력이 작용하고, 원심력에 의하여 플러피(420)의 외주면 쪽에 묻은 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2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클리너(4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b는 도 23의 회전클리너(400)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클리너(400)는 탈수유로(4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탈수유로(450)는, 플러피(420)의 외주면에서 오목한 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탈수유로(450)는 플러피(420)에 묻은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이룬다.
플러피(420)에서 탈수유로(45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탈수유로(450)는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탈수유로(450)는 회전클리너(4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구비될 수 있다.
탈수유로(450)는 제1 유로(430)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탈수유로(450)는 제1 회전축(R1)의 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에서, 탈수유로(450)는 제1 유로(430)와 연결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탈수유로(450)의 폭(d11)은 플러피(420)를 이루는 섬유(421)의 직경보다 크고 제1 유로(430)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피(420)에 물이 묻을 때, 탈수유로(450)에서 물의 흡착력은, 플러피(420)의 다른 부분에서 물의 흡착력보다 떨어지므로, 탈수유로(450)에서 물의 탈수 및 증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회전클리너(400) 전체에 걸쳐 물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탈수유로(450)를 통하여 플러피(420)에 묻은 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이때, 제1 유로(430)와 탈수유로(450)는 서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제1 유로(430)를 통하여 전달되는 흡입력이 탈수유로(450)로 분산되지 않는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진공청소기 10: 흡입노즐
11: 노즐하우징 20: 연결파이프
30: 청소기본체 31: 제1 모터
32: 손잡이 33: 먼지통
34: 본체흡입구 35: 배터리
100: 노즐헤드부 101: 흡입구
102: 제1 유도유로 103: 제2 유도유로
110: 상부하우징 111: 상부커버
120: 하부하우징 130: 제1 측벽
131: 제2 유로 132: 제2경사부
140: 제2 측벽 141: 제3 유로
142: 제2경사부 150: 내부벽
200: 노즐네크부 300: 연결네크
500: 거리감지센서 400: 회전클리너
410: 코어 415: 외주면층
420: 플러피 421: 섬유
430: 제1 유로 431: 제1 경계면
432: 제2 경계면 431a: 제1 전방단부
432a: 제2 전방단부 431b: 제1 후방단부
432b: 제2 후방단부 470: 제2 모터
S1: 제1 법평면 S2: 제2 법평면
R1: 제1 회전축 R2: 제2 회전축
RL: 기준선

Claims (28)

  1. 흡입구가 저면에 구비된 노즐헤드부, 및 상기 흡입구의 앞에서 좌우방향과 평행한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클리너를 포함하는 흡입노즐; 및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이 형성되도록 회전하는 제1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노즐에 연결된 청소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클리너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의 코어;
    브러쉬(brush)와 텍스타일(textil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플러피; 및
    상기 플러피를 가로지르며, 상기 제1 회전축과 경사진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오목한 골 형태인 제1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클리너의 외주면은, 상기 제1 유로를 제외하고 상기 플러피에 의해 덮혀지며,
    상기 회전클리너에서 상기 제1 유로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플러피의 경계를 이루는 제1 경계면; 및
    상기 제1 경계면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플러피의 경계를 이루는 제2 경계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클리너의 횡단면에서, 상기 제1 경계면 및 상기 제2 경계면은 상기 코어의 외주면과 수직하게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면의 내측단과 상기 제2 경계면의 내측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경계면의 높이의 3배보다 크고 4배보다 작은,
    진공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외경이 35~40mm 이고 길이가 210~230mm이며,
    상기 제1 유로는, 폭이 15~25mm이고 깊이가 3~7mm인,
    진공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폭 및 깊이가 일정한,
    진공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플러피의 경계를 이루며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경계면; 및
    상기 회전클리너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계면의 뒤에서 상기 제1 경계면과 나란하고,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플러피의 경계를 이루며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 경계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클리너의 외주면의 법평면(normal plane) 중 상기 제1 경계면의 전단과 만나는 제1 법평면과, 상기 회전클리너의 외주면의 법평면 중 상기 제2 경계면의 후단과 만나는 제2 법평면 사이의 각도는 0~45°인,
    진공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플러피의 경계를 이루며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경계면; 및
    상기 회전클리너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경계면의 뒤에서 상기 제1 경계면과 나란하고,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플러피의 경계를 이루며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제2 경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계면은, 상기 회전클리너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을 이루는 제1 전방단부 및 후단을 이루는 제1 후방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계면은, 상기 회전클리너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을 이루는 제2 전방단부 및 후단을 이루는 제2 후방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방단부와 상기 제2 후방단부를 연결하는 기준선은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진공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부는,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간을 이루는 제1 유도유로; 및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제1 유도유로의 반대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간을 이루는 제2 유도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클리너의 뒤쪽은, 상기 제1 회전축보다 낮은 영역에서, 상기 흡입구, 상기 제1 유도유로 및 상기 제2 유도유로 쪽으로 노출되는,
    진공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부는,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회전클리너의 상측을 덮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구가 좌우방향의 중앙 전단에 형성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회전클리너의 한쪽 옆면을 차폐하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반대쪽에서 상기 회전클리너의 옆면을 차폐하고, 상기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측벽;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회전클리너를 뒤에서 접촉하고, 상단이 상기 상부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단 모서리가 상기 회전클리너보다 높은 내부벽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벽의 하단은 상기 제1 회전축보다 낮은,
    진공청소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전단 모서리는, 상기 회전클리너보다 더 앞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진공청소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전방의 하측 모서리가 경사지거나 경사진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단차진 제2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외측면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단차진 제3 유로가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클리너는,
    상기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외주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면층은,
    상기 플러피를 이루는 플러피영역; 및
    상기 제1 유로를 이루는 제1 유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면층이 평평하게 펼쳐질 때, 상기 플러피영역은 평행사변형을 이루고, 상기 제1 유로영역은 상기 플러피영역의 한 변을 따라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에 위치하는 벽면과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속도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증가하도록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광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입노즐의 좌우방향 중앙의 상측에 위치하는,
    진공청소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청소기본체와 연결되는 연결네크; 및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헤드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되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네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네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상기 노즐헤드부의 상단보다 더 높은 지점에서 상기 노즐네크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진공청소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과 상기 청소기본체의 사이에 결합된 연결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노즐의 전단에서 상기 거리감지센서까지의 거리는 50~70mm이고,
    상기 기준값은 120~140mm인,
    진공청소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클리너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 및
    상기 흡입노즐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에 위치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속도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증가하도록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는, 방수성, 발수성 또는 항균성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20. 흡입구가 저면에 구비된 노즐헤드부, 및 상기 흡입구의 앞에서 좌우방향과 평행한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노즐헤드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클리너를 포함하는 흡입노즐; 및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청소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클리너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의 코어;
    방수성, 발수성 또는 항균성을 갖는 섬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플러피; 및
    상기 플러피를 가로지르는 오목한 골 형태인 제1 유로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발수제(water-repellent agent) 또는 방수제(water proof agent)가 코팅되어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피는,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아크릴 섬유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나일론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피는 항균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피는,
    상기 코어와 결합되는 내부층; 및
    상기 내부층에서 연장되어 표면을 이루는 외부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내부층이 방수성, 발수성 또는 항균성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첨단을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클리너는,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플러피에서 오목한 골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탈수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수유로의 폭은 상기 플러피를 이루는 섬유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1 유로의 폭보다 작은,
    진공청소기.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클리너의 외주면은, 상기 제1 유로를 제외하고 상기 플러피에 의해 덮혀지며,
    상기 회전클리너에서 상기 제1 유로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KR1020200136976A 2020-08-27 2020-10-21 진공청소기 KR20220027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23,469 US20230309768A1 (en) 2020-08-27 2020-08-27 Vacuum cleaner
PCT/KR2021/011112 WO2022045680A1 (ko) 2020-08-27 2021-08-20 진공청소기
CN202180052597.2A CN115884703A (zh) 2020-08-27 2021-08-20 真空清洁器
AU2021334888A AU2021334888A1 (en) 2020-08-27 2021-08-20 Vacuum cleaner
EP21861977.3A EP4205616A1 (en) 2020-08-27 2021-08-20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8899 2020-08-27
KR1020200108899 2020-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703A true KR20220027703A (ko) 2022-03-08

Family

ID=80813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976A KR20220027703A (ko) 2020-08-27 2020-10-21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770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733B1 (ko) 2005-12-07 201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아지 테이터
KR101903238B1 (ko) 2016-08-25 201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733B1 (ko) 2005-12-07 201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아지 테이터
KR101903238B1 (ko) 2016-08-25 201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7790B2 (en) Floor cleaning machine
JP6502094B2 (ja) 表面を清掃するための清掃装置
US20060053584A1 (en) Rotary agitator with reverse helix pattern
JP2016511041A (ja) 真空掃除機
CA3063857C (en) Side brush with bristles at different lengths and/or angles for use in a robot cleaner and side brush deflectors
CN211324788U (zh) 自动真空吸尘器
US11638507B2 (en) Vacuum cleaner
CN208002741U (zh) 清洁装置
JP4749263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220027703A (ko) 진공청소기
KR20210018117A (ko) 진공 청소기 액세서리 툴
KR20220027698A (ko) 진공청소기
JP515070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GB2343107A (en) Hand activated turbine powered brush nozzle for vacuum cleaner
CN110448224A (zh) 一种扫地机器人
US20230309768A1 (en) Vacuum cleaner
CN101536891A (zh) 刷子组件和具有该刷子组件的真空吸尘器
KR101851585B1 (ko) 진공 청소기용 브러쉬장치
JP4504163B2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H0556893B2 (ko)
JP6801244B2 (ja) 電気掃除機
KR20230116025A (ko) 흡입 헤드의 교반기의 클리닝 영역의 위치에서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함
JP2004237127A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KR20230138715A (ko) 진공 청소기
JP2009160009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