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697A -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 Google Patents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697A
KR20220027697A KR1020200108897A KR20200108897A KR20220027697A KR 20220027697 A KR20220027697 A KR 20220027697A KR 1020200108897 A KR1020200108897 A KR 1020200108897A KR 20200108897 A KR20200108897 A KR 20200108897A KR 20220027697 A KR20220027697 A KR 20220027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ear
refrigeration
screw threa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5173B1 (ko
Inventor
안종일
Original Assignee
에이스유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유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유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1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5/00Preserving finished, partly finished or par-baked bakery products; Improving
    • A21D15/02Preserving finished, partly finished or par-baked bakery products; Improving by cooling, e.g. refrigeration,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 또는 냉장보관을 요하는 제과제빵류를 제조공장에서 매장으로 출하하는 과정 중, 운반 및 임시 보관시 식품이 외부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선도 등 식품의 품질을 최적 상태로 장시간 보존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각 평판 형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4 개의 변 각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제과제빵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4 개의 벽체를 형성하는 4 개의 측면부; 및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냉장 및 냉동을 위한 냉매가 수용되어 있는 냉매 파우치가 내측에 다수 개 안착되며, 상기 4 개의 측면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4 개의 측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의 상측을 덮어 밀폐시키며,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냉매 파우치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상기 4 개의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으로 공급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REFRIGERATION AND FREEZING DEVICE FOR TRANSPORT AND STORAGE OF CONFECTIONERY AND BAKERY}
본 발명은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 또는 냉장보관을 요하는 제과제빵류를 제조공장에서 매장으로 출하하는 과정 중, 운반 및 임시 보관시 식품이 외부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선도 등 식품의 품질을 최적 상태로 장시간 보존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의 패턴이 변화됨에 따라 빵의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이른바 '프랜차이즈' 형태의 제과점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빵이 공급 및 유통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랜차이즈 형태의 제과점은 소비자에게 보다 신선하고 저렴한 상품을 공급하기 위해 제조공장에서 양산된 반제품 형태의 냉동 생지를 납품받아 도우컨디셔너 등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생지를 해동 및 발효시킨 후, 이를 제과제빵용 오븐에 직접 구워서 판매하거나 제조공장에서 양산되어 케이크 상자에 포장된 상태로 배송 공급된 케이크를 바로 판매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케이크, 생크림, 제빵용 생지 등의 식품을 단순히 포장박스에 담아서 제조공장에서 매장으로 운송 배달하였다. 따라서 온도에 민감한 제과제빵 식품의 특성상 그 운반 및 보관과정에서 상온의 외부 공기와 접촉되면서 신선도 및 품질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5570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4511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냉장 또는 냉장보관을 요하는 제과제빵류를 제조공장에서 매장으로 출하하는 과정 중, 운반 및 임시 보관시 식품이 외부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선도 등 식품의 품질을 최적 상태로 장시간 보존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는, 사각 평판 형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4 개의 변 각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제과제빵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4 개의 벽체를 형성하는 4 개의 측면부; 및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냉장 및 냉동을 위한 냉매가 수용되어 있는 냉매 파우치가 내측에 다수 개 안착되며, 상기 4 개의 측면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4 개의 측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의 상측을 덮어 밀폐시키며,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냉매 파우치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상기 4 개의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으로 공급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부는 일측에 힌지핀 삽입구멍을 갖는 제1힌지돌기를 다수 형성하고, 타측에 힌지핀 삽입홈을 갖는 제2힌지돌기를 다수 형성하되, 상기 제2힌지돌기는 측면부의 한쪽면 두께만큼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한 전/후측면판; 및 일측에 상기 전/후측면판의 제1힌지돌기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하되, 힌지핀 삽입홈을 갖는 다수의 제3힌지돌기와, 타측에 상기 전/후측면판의 제2힌지돌기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하되, 힌지핀 삽입구멍을 갖는 다수의 제4힌지돌기로 각각 이루어진 좌/우측면판;을 포함하며, 다수의 힌지핀으로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의 하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4 개의 변 각 상부를 따라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는 측면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 결합 플레이트의 하부가 안착되는 완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결합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측에 상기 측면 결합 플레이트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측벽; 상기 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측면 결합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홈에 안착되는 지지 선반; 및 상기 지지 선반의 상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선반을 하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완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지지부는, 상기 지지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지지 선반의 상측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중간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중간 지지대;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V" 형 지지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상기 제1 직립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아;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바아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다른 "V" 형 지지대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부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하는 추가 중간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의 상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4 개의 변 각 하부를 따라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 파우치가 안착되기 위한 냉매 안착홈이 다수 개가 형성되는 덮개 프레임; 상기 덮개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냉매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냉매 파우치의 상측을 덮고 안착되는 제1 덮개; 상기 제1 덮개의 하측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덮개 지지부; 및 상기 다수 개의 덮개 지지부에 의해 상기 제1 덮개의 하측에서 거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냉매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냉매 파우치의 상측과 밀착되어 상기 냉매 파우치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제2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 지지부는, 상기 제1 덮개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을 형성하는 승하강 슬라이더; 상기 제2 덮개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 바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상기 안착홈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 하강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지지 기어; 상기 지지 기어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어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 스프링;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어의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어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나사산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상기 제2 나사산으로 공급하는 수직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나사산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제동부는,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렉 기어; 및 상기 수평 렉 기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기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사산; 및 상기 수평 제동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플런저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나사산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어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본체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회전홈의 바닥면까지 하강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블록은,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하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상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제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나사산 상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팽창 파우치; 및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 상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제동부는, 상기 지지 바디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는 수직 바아; 상기 수직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바아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으로 전달하는 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냉장 또는 냉장보관을 요하는 제과제빵류를 제조공장에서 매장으로 출하하는 과정 중, 운반 및 임시 보관시 식품이 외부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선도 등 식품의 품질을 최적 상태로 장시간 보존 및 유지시킴은 물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함과 아울러 적재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부의 접철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바닥부, 4 개의 측면부 및 덮개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덮개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의 덮개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지지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제2 나사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기어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바닥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완충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V" 형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1)는, 바닥부(10), 4 개의 측면부(20-1 내지 20-4) 및 덮개부(30)를 포함한다.
바닥부(10)는, 사각 평판 형태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측에 네 변에 측면부(20-1 내지 20-4)가 체결된다.
측면부(20-1 내지 20-4)는, 바닥부(10)의 4 개의 변 각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바닥부(10)의 상측에 제과제빵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4 개의 벽체를 형성하며, 상부가 덮개부(30)가 체결된다.
즉, 측면부(20-1 내지 20-4)는, 바닥부(10)와 덮개부(30) 사이에 체결되어 육면체의 4 측면들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덮개부(3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냉장 및 냉동을 위한 냉매가 수용되어 있는 냉매 파우치(Q)가 내측에 다수 개 안착되며, 4 개의 측면부(2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4 개의 측면부(20-1 내지 20-4)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의 상측을 덮어 밀폐시키며,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냉매 파우치(Q)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4 개의 측면부(20-1 내지 20-4)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측면부(20)는, 일측에 힌지핀 삽입구멍(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제1힌지돌기(20-2a)(20-4a)를 다수 형성하고, 타측에 힌지핀 삽입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제2힌지돌기(20-2b)(20-4b)를 다수 형성하되, 제2힌지돌기(20-2b)(20-4b)는 측면부(20)의 한쪽면 두께만큼 내측(즉, 좌/우측면판(20-1, 20-3) 방향으로)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한 전/후측면판(20-2, 20-4)과, 일측에 전/후측면판(20-2, 20-4)의 제1힌지돌기(20-2a)(20-4a)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하되, 힌지핀 삽입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다수의 제3힌지돌기(20-1b)(20-3b)와, 타측에 전/후측면판(20-2, 20-4)의 제2힌지돌기(20-2b)(20-4b)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하되, 힌지핀 삽입구멍(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다수의 제4힌지돌기(20-1a)(20-3a)로 각각 이루어진 좌/우측면판(20-1, 2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후측면판(20-2, 20-4) 및 좌/우측면판(20-1, 20-3)은, 서로 다수의 힌지핀(P1 내지 P4)으로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면부(20)는, 전/후측면판(20-2, 20-4) 및 좌/우측면판(20-1, 20-3) 간의 힌지 결합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 짐에 따라 보관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면부(20)는, 하부 체결홈(B1) 및 상부 체결홈(B2)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를 따라 하부 체결 돌기(21)가 형성되고, 상부를 따라 상부 체결 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체결 돌기(21)는 하부 체결홈(B1)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홈에 체결되기 위한 하부 보조 돌기(A1)이 형성되고, 상부 체결 돌기(22)는 상부 체결홈(B2)의 일측 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 보조 돌기(A2)가 체결되기 위한 상부 체결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1)는, 냉장 또는 냉장보관을 요하는 제과제빵류를 제조공장에서 매장으로 출하하는 과정 중, 운반 및 임시 보관시 식품이 외부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선도 등 식품의 품질을 최적 상태로 장시간 보존 및 유지시킴은 물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함과 아울러 적재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덮개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덮개부(30)는, 덮개 프레임(100), 제1 덮개(200), 제2 덮개(300) 및 다수 개의 덮개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덮개 프레임(100)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부(20)의 상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4 개의 변 각 하부를 따라 상부 체결홈(B2)이 형성되며, 냉매 파우치(Q)가 안착되기 위한 냉매 안착홈(130)이 다수 개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덮개 프레임(100)은, 내측에 안착된 제1 덮개(2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 덮개(200)의 상부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공간에 안착되는 스프링(120)에 의해 지지되는 체결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덮개(200)의 상부가 체결구(110)의 전단을 따라 하강되면, 체결구(110)가 스프링(120)에 의해 노출되어 제1 덮개(200)의 후단을 체결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냉매 안착홈(130)은, 냉매 파우치(Q)의 냉기가 하측으로 하강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덮개(200)는, 덮개 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냉매 안착홈(130)에 안착되어 있는 냉매 파우치(Q)의 상측을 덮고 안착되며, 하측면에 덮개 지지부(400)가 설치된다.
덮개 지지부(400)는, 제1 덮개(200)의 하측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2 덮개(300)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2 덮개(300)는, 다수 개의 덮개 지지부(400)에 의해 제1 덮개(200)의 하측에서 거치되어 설치되며, 냉매 안착홈(130)에 안착되어 있는 냉매 파우치(Q)의 상측과 밀착되어 냉매 파우치(Q)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덮개부(30)는, 측면부(2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안정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음은 물론,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매 파우치(Q)를 안정적으로 밀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이동 간에 냉매 파우치(Q)가 냉매 안착홈(130)에서 움직임에 따라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덮개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 지지부(400)는, 받침대(410), 승하강 슬라이더(420), 지지 바디(430), 지지 기어(440), 기어 지지 스프링(450), 수평 제동부(460) 및 수직 제동부(470)를 포함한다.
받침대(410)는, 제1 덮개(200)의 하측에 설치하며, 하측에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410)는, 원판 또는 사각 평판으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11), 지지 플레이트(411)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412) 및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상측에 형성되는 회전홈(4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장 바아(412)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바아(413)을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슬라이더(42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대(4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S1)을 형성하여 지지 바디(430)의 안착홈(431)에 안착되며, 제1 덮개(200)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안착홈(431)에서 하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나사산(S1)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R)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바디(430)는, 제2 덮개(3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431)이 상부에 형성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S1)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S2)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 기어(440)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S3)을 형성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안착홈(431)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즉,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의 바닥면까지 하강하기까지의 깊이에 대응하는 거리) 하강할 경우 승하강 슬라이더(420)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며, 기어 지지 스프링(450)에 의하여 지지된다.
기어 지지 스프링(450)은, 지지 기어(44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안착홈(431)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기어(44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지지 스프링(450)은, 지지 기어(4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회전 안착대(452) 및 회전 안착대(452)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 안착대(452)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451)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제동부(460)는, 안착홈(431)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 기어(440)의 제3 기어산(S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지지 기어(440)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제동부(460)는, 수평 렉 기어(461) 및 수평 스프링(46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렉 기어(461)는, 안착홈(431)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3 기어산(S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제3 기어산(S3)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수평 스프링(462)은, 수평 렉 기어(46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한다.
수직 제동부(470)는, 지지 바디(430)에 설치되며, 제2 나사산(S2)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제1 나사산(S1)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제2 나사산(S2)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제동부(470)는, 수직 바아(471), 유체 탱크(472) 및 공급 라인(473)을 포함한다.
수직 바아(471)는, 지지 바디(430)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여 유체 탱크(472)를 압축시켜 준다.
유체 탱크(472)는, 수직 바아(471)의 하측에 설치되며, 수직 바아(471)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 라인(473)를 통해 제2 나사산(S2)을 구성하는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전달한다.
공급 라인(473)은, 유체 탱크(472)로부터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개별적인 공급 파이프들로 이루어지며, 유체 탱크(472)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덮개 지지부(400)는, 제1 덮개(200)와 제2 덮개(30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은 물론, 냉매 파우치(Q)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운반 도중에 냉매 파우치(Q)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지지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 기어(440)는, 플런저(441), 하부 나사산(442) 및 기어 본체(443)를 포함한다.
플런저(44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홈(4431)에사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부 나사산(442)은,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런저(44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 나사산(443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기어 본체(443)는, 수평 제동부(460)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S3)을 형성하며, 기어 지지 스프링(450)에 의하여 지지되며, 플런저(441)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플런저(441)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4431)이 형성되며, 하부 나사산(442)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4432)이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본체(443)는,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의 바닥면까지 하강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즉, 플런저(441)는 처음 안착시에는 회전홈(4431)의 상측에 일부만이 삽입되어 안착되어 플런저(441)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기어 본체(443)는 회전하지 못하며, 플런저(441)이 회전하면서 회전홈(4431)의 바닥면에 안착되어서야 회전력에 의해 기어 본체(443)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6의 제2 나사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나사산(S2)은,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480a, 480b)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된다.
도 8의 경우에는 두 개의 기어 블록(480a, 480b)만을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나사산(S2)은,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됨에 따라 제1 나사산(S1)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기어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어 블록(480)은, 나사산 하부(481), 나사산 상부(482), 팽창 파우치(483) 및 후단 지지대(484)를 포함한다.
나사산 하부(481)는,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기어 블록(480)에 의한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한다.
나사산 상부(482)는, 나사산 하부(481)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기어 블록(480)에 의한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팽창 파우치(483)가 팽창함에 따라 승강되어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팽창 파우치(483)는, 나사산 하부(481)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4811)에 안착되며, 수직 제동부(47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나사산 상부(482)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준다.
후단 지지대(484)는, 안착홈(431)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나사산 상부(482)의 후단을 지지한다.
도 10은 도 1의 바닥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닥부(10)는, 측면 결합 플레이트(11) 및 완충 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측면 결합 플레이트(11)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부(20)의 하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4 개의 변 각 상부를 따라 하부 체결홈(B1)이 형성되며, 완충 플레이트(12)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완충 플레이트(12)는, 측면 결합 플레이트(11)의 하부가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플레이트(12)는, 완충 지지부(500), 플레이트 본체(600), 측벽(700) 및 지지 선반(80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600)는, 측면 결합 플레이트(11)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 측벽(700)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본체(600)는, 바닥면과의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하측 각 모서리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 재질의 범퍼(610)가 구비될 수 있다.
측벽(700)은, 플레이트 본체(600)의 상측에 측면 결합 플레이트(11)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본체(60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지지 선반(800)은, 측벽(70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측면 결합 플레이트(11)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홈(111)에 안착된다.
완충 지지부(500)는, 지지 선반(800)의 상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선반(800)을 하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바닥부(10)는, 측면 결합 플레이트(11)의 하측을 완충 플레이트(12)를 이용하여 감싸면서 설치되며, 측면 결합 플레이트(11)와 완충 플레이트(12) 간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완충 지지부(500)의 완충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바닥면에 놓이는 과정에서 바닥면과의 충격으로 인해 본 발명에 수용되어 있는 제과제빵류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완충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지지부(500)는, 상부 지지대(510), 하부 지지대(520), 제1 중간 지지대(530), 제2 중간 지지대(540), "V" 형 지지대(550), 제1 수평 지지대(560), 제2 수평 지지대(570) 및 간격 지지 탄성체(58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510)는, 지지홈(111)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에 의하여 지지되어 지지홈(111)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로 전달한다.
하부 지지대(520)는, 지지 선반(800)의 상측을 지지하며,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중간 지지대(530)는, 상부가 상부 지지대(510)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531)과, 상부가 제1 경사 프레임(53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532)으로 이루어진다.
제2 중간 지지대(540)는, 상부가 상부 지지대(510)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541)과, 상부가 제2 경사 프레임(54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542)으로 이루어진다.
"V" 형 지지대(550)는,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부 지지대(510)가 하강하여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즉, 상부 지지대(510)가 지지홈(111)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며, 해당 간격을 지지하고 있는 "V" 형 지지대(550)가 지지홈(11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1 수평 지지대(560)는, 제1 경사 프레임(531)의 하부와 제2 경사 프레임(541)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V" 형 지지대(550)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2 수평 지지대(570)는, 제1 직립 프레임(532)과 제2 직립 프레임(542)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V" 형 지지대(550)의 하측을 지지한다.
간격 지지 탄성체(580)는, 제1 수평 지지대(560)의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70)의 일측 사이, 및 제1 수평 지지대(560)의 다른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7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수평 지지대(560)와 제2 수평 지지대(57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지지부(500)는, 측면 결합 플레이트(11)와 완충 플레이트(12) 간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되어 본 발명이 바닥면에 놓이는 과정에서 바닥면과의 충격으로 인해 본 발명에 수용되어 있는 제과제빵류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V" 형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V" 형 지지대(550)는, 제1 지지바아(551), 제2 지지바아(552), 하부 연결 기어(553) 및 중간 탄성체(554)를 포함한다.
제1 지지바아(551)는, 상부가 제1 경사 프레임(531)과 제1 직립 프레임(532)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V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제2 지지바아(552)의 하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바아(552)는, 하부가 제1 지지바아(551)의 하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의 상부 또는 제2 경사 프레임(541)과 제2 직립 프레임(542)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하부 연결 기어(553)는,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V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수평 지지대(570)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52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하부 렉기어(521)를 따라 이동한다.
중간 탄성체(554)는,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V" 형 지지대(550)는, 상부 연결 기어(555) 및 추가 중간 탄성체(5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연결 기어(555)는, 제2 지지바아(552)의 상부와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V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수평 지지대(560)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56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부 렉기어를(561) 따라 이동한다.
추가 중간 탄성체(556)는, 제2 지지바아(552)와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바아(552)와 다른 "V" 형 지지대(550)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10: 바닥부
20: 측면부
30: 덮개부

Claims (11)

  1. 사각 평판 형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4 개의 변 각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제과제빵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4 개의 벽체를 형성하는 4 개의 측면부; 및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냉장 및 냉동을 위한 냉매가 수용되어 있는 냉매 파우치가 내측에 다수 개 안착되며, 상기 4 개의 측면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4 개의 측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의 상측을 덮어 밀폐시키며, 내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냉매 파우치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상기 4 개의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으로 공급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일측에 힌지핀 삽입구멍을 갖는 제1힌지돌기를 다수 형성하고, 타측에 힌지핀 삽입홈을 갖는 제2힌지돌기를 다수 형성하되, 상기 제2힌지돌기는 측면부의 한쪽면 두께만큼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한 전/후측면판; 및
    일측에 상기 전/후측면판의 제1힌지돌기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하되, 힌지핀 삽입홈을 갖는 다수의 제3힌지돌기와, 타측에 상기 전/후측면판의 제2힌지돌기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하되, 힌지핀 삽입구멍을 갖는 다수의 제4힌지돌기로 각각 이루어진 좌/우측면판;을 포함하며,
    다수의 힌지핀으로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의 하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4 개의 변 각 상부를 따라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는 측면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 결합 플레이트의 하부가 안착되는 완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결합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측에 상기 측면 결합 플레이트의 하부가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측벽;
    상기 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측면 결합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홈에 안착되는 지지 선반; 및
    상기 지지 선반의 상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선반을 하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완충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지지부는,
    상기 지지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지지 선반의 상측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중간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중간 지지대;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V" 형 지지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상기 제1 직립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는,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아;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바아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 탄성체;를 포함하는,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다른 "V" 형 지지대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부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하는 추가 중간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의 상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4 개의 변 각 하부를 따라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 파우치가 안착되기 위한 냉매 안착홈이 다수 개가 형성되는 덮개 프레임;
    상기 덮개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냉매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냉매 파우치의 상측을 덮고 안착되는 제1 덮개;
    상기 제1 덮개의 하측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덮개 지지부; 및
    상기 다수 개의 덮개 지지부에 의해 상기 제1 덮개의 하측에서 거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냉매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냉매 파우치의 상측과 밀착되어 상기 냉매 파우치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제2 덮개;를 포함하는,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지지부는,
    상기 제1 덮개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을 형성하는 승하강 슬라이더;
    상기 제2 덮개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 바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상기 안착홈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 하강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지지 기어;
    상기 지지 기어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어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 스프링;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어의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어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나사산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상기 제2 나사산으로 공급하는 수직 제동부;를 포함하는,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사산; 및
    상기 수평 제동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플런저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나사산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어 본체;를 포함하는,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어 블록은,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하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상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제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나사산 상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팽창 파우치; 및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 상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KR1020200108897A 2020-08-27 2020-08-27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KR102445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97A KR102445173B1 (ko) 2020-08-27 2020-08-27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97A KR102445173B1 (ko) 2020-08-27 2020-08-27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697A true KR20220027697A (ko) 2022-03-08
KR102445173B1 KR102445173B1 (ko) 2022-09-22

Family

ID=8081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897A KR102445173B1 (ko) 2020-08-27 2020-08-27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955B1 (ko) * 2022-11-02 2023-07-05 주식회사 에프원소프트 클라우드 기반 임상 데이터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105B1 (ko) * 2007-03-30 2007-11-19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보냉상자
KR101455700B1 (ko) 2013-01-18 2014-11-03 이학렬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KR20160046001A (ko) * 2014-10-17 2016-04-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스박스 겸용 항아리
KR20190110383A (ko) * 2018-03-20 2019-09-30 황석중 식품 냉각 저장장치
KR20200045119A (ko) 2018-10-22 2020-05-04 정향인 아이스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105B1 (ko) * 2007-03-30 2007-11-19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보냉상자
KR101455700B1 (ko) 2013-01-18 2014-11-03 이학렬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
KR20160046001A (ko) * 2014-10-17 2016-04-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스박스 겸용 항아리
KR20190110383A (ko) * 2018-03-20 2019-09-30 황석중 식품 냉각 저장장치
KR20200045119A (ko) 2018-10-22 2020-05-04 정향인 아이스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955B1 (ko) * 2022-11-02 2023-07-05 주식회사 에프원소프트 클라우드 기반 임상 데이터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173B1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1617B1 (en) Refrigerator
CN109805747B (zh) 自动烹饪系统的储料架及自动烹饪系统
CN102365517A (zh) 家用冰箱
KR102445173B1 (ko) 제과제빵류 운반 및 보관용 냉장 및 냉동 장치
WO2014141839A1 (ja) 折り畳み保冷箱
CN104833164B (zh) 冰箱
US20070044502A1 (en) Thermopanel, insulated container with thermopanel, and method of using same
CN110329664A (zh) 一种生鲜产品保鲜包装装置及其保鲜方法
JP2007276817A (ja) 断熱容器
US11085688B2 (en) Modified dry ice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rving perishable items within a single holding volume
CN209973343U (zh) 集装容器及冷藏车集装箱
JP5089496B2 (ja) 冷凍冷蔵庫
US20220411064A1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serving frozen confectionery items
KR200180835Y1 (ko) 냉장고의 계란저장장치
CN209996028U (zh) 自动烹饪系统的储料架及自动烹饪系统
CN212099941U (zh) 物件配送装置
CN220826776U (zh) 一种冷链保温纸箱
CN218086953U (zh) 一种带有防护功能的冷链运输用温控箱
CN220448428U (zh) 一种蓄冷型运输保温箱
CN219566158U (zh) 一种生鲜仓储用保鲜周转箱
US20220411065A1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serving scoopable frozen confectionery
CN216308351U (zh) 便于发泡的夹板结构和制冷设备
CN220431018U (zh) 一种生鲜配送保鲜箱
CN215324514U (zh) 一种用于食品货物运输用冷藏箱
US11519657B1 (en) Dry ice containing shipp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