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645A - 플래너 - Google Patents

플래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645A
KR20220027645A KR1020200108767A KR20200108767A KR20220027645A KR 20220027645 A KR20220027645 A KR 20220027645A KR 1020200108767 A KR1020200108767 A KR 1020200108767A KR 20200108767 A KR20200108767 A KR 20200108767A KR 20220027645 A KR20220027645 A KR 2022002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
planner
monthly
daily
week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수
Original Assignee
홍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현수 filed Critical 홍현수
Priority to KR102020010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7645A/ko
Publication of KR2022002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1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with at least two separate set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2Back of leaves or signatures prepared for b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66Timetables, lists or forms for shooter enlistment, e.g. for use at compe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42F13/0033Covers for loose-leaf binders with two or more filing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자 형태의 플래너를 사용함에 있어서, 월간 계획과 주간 계획과 일간 계획을 각각 작성할 수 있고, 속지를 분리하지 않고도 월간 계획과 주간 계획과 일간 계획을 한번에 보며 작성할 수 있는 플래너이다.
본 발명은, 월간 계획 작성면을 월간 계획지 뒷면의 확장 영역에 인쇄하고 월간 반복 계획 체크 면을 월간 계획지 뒷면의 기본 영역에 인쇄한 상태에서, 월간 계획지의 앞면이 서로 마주하고 뒷면이 서로 등지도록 월간 계획지를 접은 상태로 월간 계획지를 플래너의 앞부분에 제공하고, 주간 계획 작성면을 포함하는 주간 계획지를 플래너의 중간 부분에 제공하며, 일간 계획 작성면을 일간 계획지 앞면의 확장 영역에 인쇄하고 메모 작성 면을 일간 계획지 앞면의 기본 영역에 인쇄한 상태에서, 일간 계획지의 뒷면이 서로 마주하고 앞면이 서로 등지도록 상기 일간 계획지를 접은 상태로 일간 계획지를 플래너의 뒷부분에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래너{Planner}
본 발명은 플래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자 형태의 플래너를 사용함에 있어서, 월간 계획과 주간 계획과 일간 계획을 각각 작성할 수 있고, 속지를 분리하지 않고도 월간 계획과 주간 계획과 일간 계획을 한번에 보며 작성할 수 있는 플래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일정을 기록하기 위해 플래너를 사용한다. 통상 플래너는 책자 형태로 제공되고, 책자의 순서 상 가장 앞부분에는 월간 계획과 관련된 속지들이, 중간부분에는 주간 계획과 관련된 속지들이, 그리고 뒷부분에는 일간 계획과 관련된 속지들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플래너의 사용자들은, 월간 계획과 주간 계획과 일간 계획을 각각 작성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들을 한꺼번에 보고 작성하기가 쉽지 않았다. 즉 월간 계획과 주간 계획과 일간 계획을 한꺼번에 보면서 작성하기 위해서는 링 바인더를 열고 관련 속지들을 빼내야만, 한꺼번에 보는 것이 가능했다. 즉 매번 바인더를 열고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아울러 접착제로 제본된 형태의 플래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예 이러한 행위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책자 형태의 플래너를 사용하면서도, 바인더를 열어 속지를 빼내지 않고서도, 월간 계획과 주간 계획과 일간 계획을 모두 펼쳐 놓고 작성할 수 있는 플래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월간 계획과 주간 계획과 일간 계획을 모두 펼쳐 놓고 작성할 수 있으면서도,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것과 같이 월간 계획과 주간 계획과 일간 계획을 개별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플래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 단부가 바인딩단부를 이루는 책자 형태로 제공되는 플래너를 제공한다.
상기 플래너는 복수 장의 속지를 포함한다.
복수 장의 속지들은 월간 계획지, 주간 계획지 및 일간 계획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장의 속지들 중 일부 속지들은 월간 계획지 묶음을 이루고, 상기 복수 장의 속지들 중 상기 월간 계획지 묶음에 속하지 않는 일부 속지들은 주간 계획지 묶음을 이루고, 상기 복수 장의 속지들 중 상기 월간 계획지 묶음에 속하지 않고 상기 주간 계획지 묶음에 속하지 않는 일부 속지들은 일간 계획지 묶음을 이룬다.
상기 주간 계획지 묶음은 상기 월간 계획지 묶음보다 책자의 뒤쪽에 제공되고, 상기 일간 계획지 묶음은 상기 주간 계획지 묶음보다 책자의 뒤쪽에 제공된다.
이들 중 월간 계획지와 일간 계획지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접고 펴는 것이 가능하다.
주간 계획지는 폴딩 라인이 없을 수 있다. 즉 주간 계획지는 접고 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월간 계획지는 상기 월간 계획지 묶음에 속하는 속지이다.
상기 월간 계획지는, 상기 일측 단부에 마련된 바인딩단부,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마련된 자유단부 및 상기 바인딩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에 마련된 폴딩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월간 계획지에서, 상기 바인딩단부와 폴딩 라인 사이의 폭은 상기 폴딩 라인과 자유단부 사이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월간 계획지에서, 상기 바인딩단부와 폴딩 라인 사이에는, 속지들을 바인딩 단부에서 결속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인 바인딩 영역과, 소정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거나 소정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기본 영역이 마련된다.
상기 월간 계획지에서, 상기 폴딩 라인과 자유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거나 소정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확장 영역이 마련된다.
상기 월간 계획지에서, 상기 기본 영역의 폭과 확장 영역의 폭은 서로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월간 계획지를 펼치면, 바인딩단부로부터 자유단부를 향해, 바인딩 영역, 기본 영역, 폴딩 라인 및 확장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월간 계획지는, 상기 폴딩 라인에 의해, 상기 월간 계획지의 앞면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월간 계획지의 뒷면이 서로 등지도록 접힐 수 있다.
월간의 계획을 작성하는 월간 계획 작성면은, 상기 월간 계획지의 뒷면에서 상기 자유단부와 상기 폴딩 라인 사이, 즉 확장 영역에 마련된다.
상기 월간 계획지의 뒷면에서 상기 바인딩단부와 상기 폴딩 라인 사이, 즉 기본 영역에는, 월간 반복 계획 체크 면이 마련될 수 있다.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월간 계획지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월간 계획지 묶음 부분을 펼치면, 월간 반복 계획 체크 면이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보여지고, 월간 계획 작성면이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타측에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주간 계획지는 상기 주간 계획지 묶음에 속하는 속지이다.
상기 주간 계획지는, 상기 일측 단부에 마련된 바인딩단부 및 타측 단부에 마련된 자유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간 계획지는 바인딩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에는, 속지들을 바인딩 단부에서 결속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인 바인딩 영역과, 소정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거나 소정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기본 영역이 마련된다.
상기 주간 계획지는 폴딩 라인과 확장 영역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주간 계획지의 바인딩 영역의 폭 및 기본 영역의 폭은, 상기 월간 계획지의 바인딩 영역의 폭 및 기본 영역의 폭과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주간 계획지의 자유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월간 계획지의 폴딩 라인과 포개어질 수 있다.
폴딩 라인을 보호하기 위해, 바인딩단부를 기준으로 월간 계획지와 주간 계획지를 포갠 상태에서, 월간 계획지의 폴딩 라인은 주간 계획지의 자유단부보다 아주 조금, 가령 0.1mm 내지 3mm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월간 계획지의 바인딩단부와 폴딩 라인 사이의 폭은, 주간 계획지의 바인딩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의 폭보다 아주 약간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정도는 상기 주간 계획지의 자유단부가 상기 월간 계획지의 폴딩 라인과 실질적으로 포개어지는 정도라 이해할 수 있다.
주간의 계획 중 주초를 포함하는 요일의 계획 작성면, 즉 주초 계획 작성면은, 상기 주간 계획지의 뒷면에 마련될 수 있다.
주간의 계획 중 주말을 포함하는 요일의 계획 작성면, 즉 주말 계획 작성면은, 상기 주간 계획지의 앞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주간 계획지 묶음 부분을 펼치면, 주초 계획 작성면이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보여지고, 주말 계획 작성면이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타측에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주간 계획지에는 반복 일정기재란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반복 일정기재란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0657호의 반복 일정기재란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주간 계획지에는 사회관계 기재란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주간 계획지에는 독서 계획실행 기재란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회관계 기재란 및 독서 계획실행 기재란은 등록특허공보 제10-2124635호의 사회관계 기재란 및 독서 계획실행 기재란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주초 계획 및 주말 계획을 포함하는 주간 계획 작성면이 주간 계획지의 앞면 또는 뒷면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반복 일정기재란, 사회관계 기재란, 독서 계획실행 기재란은 상기 주간 계획 작성면의 이면(뒷면 또는 앞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주초 계획 및 주말 계획을 포함하는 주간 계획 작성면이 앞면과 뒷면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면,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주간 계획지 묶음 부분을 펼쳤을 때, 2주간의 주간 계획 작성면이 펼쳐질 수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달리, 상기 주간 계획지는 폴딩 라인과 확장 영역을 구비하는 형태, 즉 상기 월간 계획지와 같은 형태 또는 후술할 일간 계획지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일 예로서, 주초와 주말을 모두 포함하는 주간 계획 작성면이, 주간 계획지의 앞면의 기본 영역, 앞면의 확장 영역, 뒷면의 기본 영역, 뒷면의 확장 영역 중 어느 한 곳이나, 선택된 두 곳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주초 계획 작성면과 주말 계획 작성면이, 각각 주간 계획지의 앞면의 확장 영역과 기본 영역에 마련되거나, 각각 주간 계획지의 뒷면의 기본 영역과 확장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일간 계획지는 상기 일간 계획지 묶음에 속하는 속지이다.
상기 일간 계획지는, 상기 일측 단부에 마련된 바인딩단부, 타측 단부에 마련된 자유단부 및 상기 바인딩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에 마련된 폴딩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간 계획지에서, 상기 바인딩단부와 폴딩 라인 사이의 폭은 상기 폴딩 라인과 자유단부 사이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일간 계획지에서, 상기 바인딩단부와 폴딩 라인 사이에는, 속지들을 바인딩 단부에서 결속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인 바인딩 영역과, 소정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거나 소정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기본 영역이 마련된다.
상기 일간 계획지에서, 상기 폴딩 라인과 자유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거나 소정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확장 영역이 마련된다.
상기 일간 계획지에서, 상기 기본 영역의 폭과 확장 영역의 폭은 서로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일간 계획지를 펼치면, 바인딩단부로부터 자유단부를 향해, 바인딩 영역, 기본 영역, 폴딩 라인 및 확장 영역이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간 계획지의 바인딩 영역의 폭 및 기본 영역의 폭은, 상기 주간 계획지의 바인딩 영역의 폭 및 기본 영역의 폭과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일간 계획지의 폴딩 라인은 실질적으로 상기 주간 계획지의 자유단부와 포개어질 수 있다.
폴딩 라인을 보호하기 위해, 바인딩단부를 기준으로 주간 계획지와 일간 계획지를 포갠 상태에서, 일간 계획지의 폴딩 라인은 주간 계획지의 자유단부보다 아주 조금, 가령 0.1mm 내지 3mm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일간 계획지의 바인딩단부와 폴딩 라인 사이의 폭은, 주간 계획지의 바인딩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의 폭보다 아주 약간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정도는 상기 주간 계획지의 자유단부가 상기 일간 계획지의 폴딩 라인과 실질적으로 포개어지는 정도라 이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간 계획지의 형상 자체는 월간 계획지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간 계획지가 접히는 방향은, 상기 월간 계획지가 접히는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즉 상기 일간 계획지는, 상기 폴딩 라인에 의해, 상기 일간 계획지의 앞면이 서로 등지고 상기 일간 계획지의 뒷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힐 수 있다.
그리고 일간의 계획을 작성하는 일간 계획 작성면은, 상기 일간 계획지의 앞면에서 상기 자유단부와 상기 폴딩 라인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일간 계획지의 앞면에서 상기 바인딩단부와 상기 폴딩 라인 사이에는 메모 작성 면이 마련될 수 있다.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일간 계획지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일간 계획지 묶음 부분을 펼치면, 일간 계획 작성면이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보여지고, 메모 작성 면이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타측에 보여질 수 있다.
상기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주간 계획지 묶음 부분을 펼친 상태에서, 상기 월간 계획지를 그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펼쳐 놓고 상기 일간 계획지를 그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펼쳐 놓으면, 펼쳐진 주간 계획지의 일측에 월간 계획 작성면이 노출되고, 펼쳐진 주간 계획지의 타측에 일간 계획 작성면이 노출된다. 만약 앞서 설명한 변형 예처럼, 주간 계획지가 폴딩 라인과 확장 영역을 포함할 경우에는, 주간 계획지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펼치지 않은 상태에서, 위와 같이 월간 계획지와 일간 계획지를 펼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속지들의 바인딩단부들에는 천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천공부들을 관통하여 바인더 링을 끼워, 상기 속지들을 바인딩할 수 있다. 그러면, 필요에 따라 월간 계획지, 주간 계획지 및/또는 일간 계획지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래너에 따르면, 폴딩 라인을 통해 속지를 특정 방향으로 접을 수 있어, 속지가 접힌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책자의 형태로 월간 계획과 일간 계획의 작성이 가능하면서도, 폴딩 라인을 펼치면 책자의 영역보다 더 외측으로 펼쳐지는 확장 영역의 특정 면을 각각 월간 계획 작성면과 일간 계획 작성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책자를 분해하지 않고도 월간 계획 작성면과 주간 계획 작성면과 일간 계획 작성면을 한꺼번에 펼쳐 놓고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플래너의 분해 사시도이다(종이 표면의 표시들은 생략되어 있음).
도 2는 실시예의 플래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플래너의 월간 계획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종이 표면의 표시들은 생략되어 있음).
도 4는 도 3의 월간 계획지를 펼친 상태에서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월간 계획지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의 플래너에 있어서 월간 계획지가 접혀 있는 상태에서 월간 계획지 묶음 부분을 열어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의 플래너의 주간 계획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종이 표면의 표시들은 생략되어 있음).
도 8은 도 7의 주간 계획지의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주간 계획지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의 플래너에 있어서 주간 계획지 묶음 부분을 열어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다.
도 11은 실시예의 플래너의 일간 계획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종이 표면의 표시들은 생략되어 있음).
도 12는 도 11의 일간 계획지를 펼친 상태에서 앞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월간 계획지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의 플래너에 있어서 일간 계획지가 접혀 있는 상태에서 일간 계획지 묶음 부분을 열어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의 플래너에 있어서 주간 계획지 묶음 부분을 연 상태에서, 월간 계획지와 일간 계획지를 함께 펼쳐 놓은 상태를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플래너의 전체적인 구성]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플래너(10)는 책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플래너(10)는, 앞쪽 겉표지(11)를 바라본 상태에서, 일측(좌측) 단부가 바인딩단부(B)를 이루는 책자일 수 있다. 즉 실시예의 플래너(10)는, 바인딩단부(B)가 좌측을 향하도록 책자를 두고 페이지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넘길수록 뒤로 가는 책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책자 형태의 플래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바인딩단부가 우측에 마련되고, 책자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넘길수록 뒤로 가는 책자 형태의 플래너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침은 자명하다.
상기 플래너(10)는 앞쪽 겉표지(11)와 뒤쪽 겉표지(12), 그리고 그들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 장의 속지(19)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장의 속지(19)의 바인딩단부(B)에는 천공홀(911)이 마련된다. 상기 천공홀(911)들을 관통하여 링 유닛(21)을 끼워 넣고 프레임 유닛(22)을 고정하면, 복수 장의 속지(19)들은 바인딩단부(B)에서 묶여 책자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천공홀(911)과 바인더 링 조립체(20)를 이용하여 책자 형태의 플래너(10)를 구성함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개별 속지(19)들을 책자로부터 분리해낼 수 없는 경우에도, 후술할 월간 계획 작성면(33)과 주간 계획 작성면(55)과 일간 계획 작성면(77)을 한꺼번에 펼쳐 놓고 작성할 수 있는바, 바인더 링 방식 외에도 스프링 제본, 접착제 제본 등의 형태로 책자 형태의 플래너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상기 바인더 링 조립체(20)는, 발명자가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9-0160622호의 바인더 링 조립체(20)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겉표지는,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 받은 디자인 등록 제30-1057334-0001호의 다이어리 커버가 사용되거나, 발명자가 출원한 디자인출원 제30-2020-0000480호의 컴퓨터 마우스 패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장의 속지(19)들은 월간 계획지(30), 주간 계획지(50) 및 일간 계획지(70)를 포함한다. 물론 속지(19)들이 반드시 이들 계획지들로만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내용이 포함된 속지들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복수 장의 속지(19)들 중 일부 속지들은 상기 월간 계획지(30)들을 함께 모은 월간 계획지 묶음(13)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복수 장의 속지(19)들 중 일부 속지들은 상기 주간 계획지(50)들을 함께 모은 주간 계획지 묶음(15)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복수 장의 속지(19)들 중 일부 속지들은 상기 일간 계획지(70)들을 함께 모은 일간 계획지 묶음(17)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주간 계획지 묶음(15)은 상기 월간 계획지 묶음(13)보다 책자의 뒤쪽에 제공되고, 상기 일간 계획지 묶음(17)은 상기 주간 계획지 묶음(15)보다 책자의 뒤쪽에 제공된다. 즉 상기 플래너(10)는 앞에서부터 뒤로, 월간 계획지 묶음(13), 주간 계획지 묶음(15), 일간 계획지 묶음(17)의 순으로 속지(19)들을 배열할 수 있다.
상기 속지(19)들 중 월간 계획지(30)와 일간 계획지(70)는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접고 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월간 계획지(30)와 일간 계획지(70)가 플래너(10)에 제공될 때에는 접힌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월간 계획지(30)와 일간 계획지(70)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플래너(10)는 통상적인 책자 형태일 수 있다. 반면, 월간 계획지(30)와 일간 계획지(70)가 펼쳐진 상태에서, 펼쳐짐으로써 확장된 확장 영역(95)은 통상적인 책자의 범위에서 더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주간 계획지(50)는 폴딩 라인이 없는 일반적인 속지일 수 있다.
[월간 계획지]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월간 계획지(30)와 그 묶음(13)에 관하여 설명한다.
월간 계획지 묶음(13)에 포함되는 월간 계획지(30)는, 속지의 앞면을 바라보았을 때 일측(좌측) 단부에 마련된 바인딩단부(B) 및 속지의 앞면을 바라보았을 때 타측(우측) 단부에 마련된 자유단부(E)를 포함한다.
상기 월간 계획지(30)는 좌우로 길게 연장된 종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인딩단부(B)와 자유단부(E) 사이에는 상기 바인딩단부(B) 및 자유단부(E)와 나란히 연장된 폴딩 라인(F)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월간 계획지(30)에서, 상기 바인딩단부(B)와 폴딩 라인(F) 사이에는, 속지들을 바인딩단부(B)에서 결속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인 바인딩 영역(91)과, 소정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거나 소정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기본 영역(93)이 마련된다.
바인딩 영역(91)에는 링 유닛(21)이 관통할 수 있는 천공홀(911)이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3개, 하부에 3개, 총 6개의 천공홀(911)이 마련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바인딩 영역(91)이 이러한 형태에 한정될 필요가 없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월간 계획지(30)에서, 상기 폴딩 라인(F)과 자유단부(E) 사이에는, 소정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거나 소정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확장 영역(95)이 마련된다.
폴딩 라인(F)을 기준으로 상기 월간 계획지(30)를 펼치면, 바인딩단부(B)로부터 자유단부(E)를 향해, 바인딩 영역(91), 기본 영역(93), 폴딩 라인(F) 및 확장 영역(95)이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월간 계획지(30)에서, 상기 바인딩단부(B)와 폴딩 라인(F) 사이의 폭은, 상기 폴딩 라인(F)과 자유단부(E) 사이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월간 계획지(30)에서, 상기 기본 영역(93)의 폭과 확장 영역(95)의 폭은 서로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월간 계획지(30)는, 상기 폴딩 라인(F)에 의해, 상기 월간 계획지(30)의 앞면(FP)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월간 계획지(30)의 뒷면(RP)이 서로 등지도록 접힐 수 있다. 도면 상 앞면(FP)의 폴딩 라인(F)은 점선으로, 뒷면(RP)의 폴딩 라인(F)은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은 가상의 선일 수 있으며, 점선은 접었을 때 안쪽으로 숨는 선, 일점쇄선은 접었을 때 바깥으로 노출되는 선일 수 있다.
월간의 계획을 작성하는 월간 계획 작성면(33)은, 상기 월간 계획지(30)의 뒷면(RP)에서 상기 자유단부(E)와 상기 폴딩 라인(F) 사이, 즉 확장 영역(95)에 마련된다.
상기 월간 계획지(30)의 뒷면(RP)에서 상기 바인딩단부(B)와 상기 폴딩 라인(F) 사이, 즉 기본 영역(93)에는, 월간 반복 계획 체크 면(34)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월간 계획지(30)의 앞면(FP)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가령 도 4에는, 월간 계획지(30)의 앞면(FP)이 독서 목록표(80)로서 활용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6에는 폴딩 라인(F)을 기준으로 상기 월간 계획지(30)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바인딩단부(B)를 중심으로 월간 계획지 묶음(13) 부분을 펼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앞장의 뒷면(RP)의 기본 영역(93)에 마련된 월간 반복 계획 체크 면(34)이 바인딩단부(B)를 중심으로 일측(좌측)에 보여지고, 뒷장의 뒷면(RP)의 확장 영역(95)에 월간 계획 작성면이 바인딩단부(B)를 중심으로 타측(우측)에 보여질 수 있다.
즉, 월간 계획 작성면(33)을 뒷면(RP)의 확장 영역(95)에 인쇄하고, 월간 반복 계획 체크 면(34)을 뒷면(RP)의 기본 영역(93)에 인쇄한 상태에서, 상기 월간 계획지(30)의 앞면(FP)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월간 계획지(30)의 뒷면(RP)이 서로 등지도록 상기 월간 계획지(30)를 접은 상태로 플래너(10)를 제공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책자를 연 상태에서 월간 계획 작성면(33)과 월간 반복 계획 체크 면(34)이 함께 펼쳐져 있는 상태로 월간 계획을 작성할 수 있다.
[주간 계획지]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주간 계획지(50)와 그 묶음(15)에 관하여 설명한다.
주간 계획지 묶음(15)에 속하는 주간 계획지(50)는, 속지의 앞면을 바라보았을 때 일측(좌측) 단부에 마련된 바인딩단부(B) 및 타측(좌측) 단부에 마련된 자유단부(E)를 포함한다.
상기 주간 계획지(50)는 통상적인 규격의 책자 속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주간 계획지(50)의 바인딩단부(B)와 자유단부(E) 사이에는, 속지들을 바인딩단부(B)에서 결속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인 바인딩 영역(91)과, 소정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거나 소정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기본 영역(93)이 마련된다.
상기 바인딩 영역(91)은 월간 계획지(30)와 마찬가지인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주간 계획지(50)는, 월간 계획지(30)와 달리, 폴딩 라인과 확장 영역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주간 계획지(50)의 바인딩 영역(91)의 폭 및 기본 영역(93)의 폭은, 상기 월간 계획지(30)의 바인딩 영역의 폭 및 기본 영역의 폭과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상기 주간 계획지(50)의 자유단부(E)는 실질적으로 상기 월간 계획지(30)의 폴딩 라인과 포개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주간 계획지(50)의 바인딩단부(B)와 자유단부(E) 사이의 거리는, 상기 월간 계획지(30)의 바인딩단부와 폴딩 라인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월간 계획지(30)의 폴딩 라인을 보호하기 위해, 바인딩단부를 기준으로 월간 계획지(30)와 주간 계획지(50)를 포갠 상태에서, 월간 계획지(30)의 폴딩 라인은 주간 계획지(50)의 자유단부(E)보다 아주 조금, 가령 0.2mm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월간 계획지(30)의 바인딩단부와 폴딩 라인 사이의 폭은, 주간 계획지(50)의 바인딩단부(B)와 자유단부(E) 사이의 폭보다 아주 약간 작을 수 있다. 그러면, 월간 계획지(30)를 접은 상태로 플래너(10)를 덮은 상태에서, 월간 계획지(30)의 폴딩 라인이 책 측면 바깥 쪽으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주간 계획지(50)에는 주간 계획 작성면(55), 반복 일정기재란(57), 사회관계 기재란(58) 및 독서 계획실행 기재란(59)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주간 계획 작성면(55)은, 주초 계획 작성면(551)과 주말 계획 작성면(552)을 포함할 수 있다. 주초 계획 작성면(551)은 월, 화, 수를 포함하는 요일의 계획을 작성하는 란을 포함할 수 있다. 주말 계획 작성면(552)은 목, 금, 토일을 포함하는 요일의 계획을 작성하는 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말 계획 작성면(552)이 상기 주간 계획지(50)의 앞면(FP)에 마련되고, 상기 주초 계획 작성면(551)이 상기 주간 계획지(50)의 뒷면(RP)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인딩단부(B)를 중심으로 주간 계획지 묶음(15) 부분을 펼치면, 주초 계획 작성면(551)이 바인딩단부(B)를 중심으로 일측(좌측)에 보여지고, 주말 계획 작성면(552)이 바인딩단부(B)를 중심으로 타측(우측)에 보여질 수 있다.
반복 일정기재란(57)은 삼각형, 오각형을 포함하는 도형들일 수 있다. 반복 일정기재란(57)의 세부사항은 발명자가 출원하여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0657호에 공개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회관계 기재란(58) 및 독서 계획실행 기재란(59)의 세부사항은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0-2124635호에 공개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변형 예로서, 상기 주초 계획 및 주말 계획을 포함하는 주간 계획 작성면(55)이 주간 계획지의 앞면 또는 뒷면 중 어느 한 면에 모두 마련되고, 상기 반복 일정기재란, 사회관계 기재란, 독서 계획실행 기재란은 상기 주간 계획지의 앞면 또는 뒷면 중 나머지 한 면에 마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간 계획지]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일간 계획지(70)와 그 묶음(17)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일간 계획지 묶음(17)에 속하는 상기 일간 계획지(70)의 형상은 월간 계획지(30)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일간 계획지(70)는 폴딩 라인(F)을 포함하는 속지일 수 있고, 바인딩 영역(91), 기본 영역(93) 및 확장 영역(9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들 영역의 폭 역시 월간 계획지(30)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간 계획지(70)의 바인딩 영역(91)의 폭 및 기본 영역(93)의 폭은, 상기 주간 계획지(50)의 바인딩 영역의 폭 및 기본 영역의 폭과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일간 계획지(70)의 바인딩단부(B)와 폴딩 라인(F) 사이의 폭은, 주간 계획지(50)의 바인딩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아주 약간 작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일간 계획지(70)가 접히는 방향은, 상기 월간 계획지(30)가 접히는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즉 상기 일간 계획지(70)는, 상기 폴딩 라인(F)에 의해, 상기 일간 계획지(70)의 앞면(FP)이 서로 등지고 상기 일간 계획지(70)의 뒷면(RP)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 상 앞면(FP)의 폴딩 라인(F)은 일섬쇄선으로, 뒷면(RP)의 폴딩 라인(F)은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일간의 계획을 작성하는 일간 계획 작성면(77)은, 상기 일간 계획지(70)의 앞면(FP)에서 상기 자유단부(E)와 상기 폴딩 라인(F) 사이, 즉 확장 영역(95)에 마련된다.
상기 일간 계획지(70)의 앞면에서 상기 바인딩단부(B)와 상기 폴딩 라인(F) 사이, 즉 기본 영역(93)에는, 메모 작성 면(78)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4에는 폴딩 라인(F)을 기준으로 상기 일간 계획지(70)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바인딩단부(B)를 중심으로 일간 계획지 묶음(17) 부분을 펼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앞장의 앞면(FP)의 확장 영역(95)에 마련된 일간 계획 작성면(77)이 바인딩단부(B)를 중심으로 일측(좌측)에 보여지고, 뒷장의 앞면(FP)의 기본 영역(93)에 마련된 메모 작성 면(78)이 바인딩단부(B)를 중심으로 타측(우측)에 보여질 수 있다.
즉, 일간 계획 작성면(77)을 앞면(FP)의 확장 영역(95)에 인쇄하고, 메모 작성 면(78)을 앞면(FP)의 기본 영역(93)에 인쇄한 상태에서, 상기 일간 계획지(70)의 뒷면(RP)이 서로 마주하고 앞면(FP)이 서로 등지도록 상기 일간 계획지(70)를 접은 상태로 플래너(10)를 제공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책자를 연 상태에서 일간 계획 작성면(77)과 메모 작성 면(78)이 함께 펼쳐쳐 있는 상태로 일간 계획을 작성할 수 있다.
[플래너의 활용]
상술한 구조의 월간 계획지(30)와 주간 계획지(50)와 일간 계획지(70)를 포함하는 플래너(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바인딩단부(B)를 중심으로 주간 계획지 묶음(15) 부분을 펼친 상태에서, 상기 월간 계획지(30)를 그 폴딩 라인(F)을 기준으로 펼쳐 놓아 좌측으로 확장되게 하고, 상기 일간 계획지(70)를 그 폴딩 라인(F)을 기준으로 펼쳐 놓아 우측으로 확장되게 하면, 펼쳐진 주간 계획지(50)의 좌측에 해당 주간이 포함되는 월간 계획 작성면(33)을 노출시킬 수 있고, 펼쳐진 주간 계획지(50)의 우측에 해당 주간에 포함된 날의 일간 계획 작성면(77)을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속지를 바인더 링 조립체(20)로부터 분리해내지 않더라도, 월간 계획과 주간 계획과 일간 계획을 입체적으로 한꺼번에 보며 작성을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발명에 따르면, 통상적인 책자 형태로 월간 계획과 주간 계획과 일간 계획을 각각 작성할 수 있으면서도, 속지의 분리 없이, 월간 계획과 주간 계획과 일간 계획을 입체적으로 한꺼번에 보며 작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가령, 실시예에서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책장을 넘기는 형태의 책자를 예시하였으나, 그 반대로 되어 있는 책자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플래너
11: 앞쪽 겉표지
12: 뒤쪽 겉표지
13: 월간 계획지 묶음
15: 주간 계획지 묶음
17: 일간 계획지 묶음
19: 속지
91: 바인딩 영역
911: 천공홀
93: 기본 영역
95: 확장 영역
FP: 앞면
RP: 뒷면
B: 바인딩단부
E: 자유단부
F: 폴딩 라인
20: 바인더 링 조립체
21: 링 유닛
22: 프레임 유닛
30: 월간 계획지
33: 월간 계획 작성면
34: 월간 반복 계획 체크 면
50: 주간 계획지
55: 주간 계획 작성면
551: 주초 계획 작성면
552: 주말 계획 작성면
57: 반복 일정기재란
58: 사회관계 기재란
59: 독서 계획실행 기재란
70: 일간 계획지
77: 일간 계획 작성면
78: 메모 작성 면
80: 독서 목록표

Claims (6)

  1.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 단부가 바인딩단부를 이루는 책자 형태로 제공되는 플래너로서
    상기 플래너는 복수 장의 속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장의 속지들 중 일부 속지들은 제1 계획지 묶음을 이루고,
    상기 복수 장의 속지들 중 상기 제1 계획지 묶음에 속하지 않는 일부 속지들은 제2 계획지 묶음을 이루고,
    상기 복수 장의 속지들 중 상기 제1 계획지 묶음에 속하지 않고 상기 제2 계획지 묶음에 속하지 않는 일부 속지들은 제3 계획지 묶음을 이루고,
    상기 제2 계획지 묶음은 상기 제1 계획지 묶음보다 책자의 뒤쪽에 제공되고, 상기 제3 계획지 묶음은 상기 제2 계획지 묶음보다 책자의 뒤쪽에 제공되고,
    i) 상기 제1 계획지 묶음에 속하는 속지들은, 제1 계획지로서:
    상기 일측 단부에 마련된 바인딩단부 및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마련된 자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딩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에 마련된 폴딩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계획지는, 상기 폴딩 라인에 의해, 상기 제1 계획지의 앞면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제1 계획지의 뒷면이 서로 등지도록 접히고;
    제1의 계획을 작성하는 제1 계획 작성면은, 상기 제1 계획지의 뒷면에서 상기 자유단부와 상기 폴딩 라인 사이에 마련되고,
    ii) 상기 제2 계획지 묶음에 속하는 속지들은, 제2 계획지로서:
    상기 일측 단부에 마련된 바인딩단부 및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마련된 자유단부를 포함하고,
    iii) 상기 제3 계획지 묶음에 속하는 속지들은, 제3 계획지로서:
    상기 일측 단부에 마련된 바인딩단부 및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 마련된 자유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딩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에 마련된 폴딩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계획지는, 상기 폴딩 라인에 의해, 상기 제3 계획지의 앞면이 서로 등지고 상기 제3 계획지의 뒷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히고;
    제3의 계획을 작성하는 제3 계획 작성면은, 상기 제3 계획지의 앞면에서 상기 자유단부와 상기 폴딩 라인 사이에 마련되어서,
    상기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제2 계획지 묶음 부분을 펼친 상태에서, 상기 제1 계획지를 그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펼쳐 놓고 상기 제3 계획지를 그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펼쳐 놓으면, 펼쳐진 제2 계획지의 일측에 제1 계획 작성면이 노출되고, 펼쳐진 제2 계획지의 타측에 제3 계획 작성면이 노출되는,
    플래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계획지의 자유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계획지의 폴딩 라인과 포개어지고,
    상기 제3 계획지의 폴딩 라인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 계획지의 자유단부와 포개어지는,
    플래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획은 월간 계획이고, 상기 제1 계획 작성면은 월간 계획 작성면이고, 상기 제1 계획지는 월간 계획지이고, 상기 제1 계획지 묶음은 월간 계획지 묶음이며,
    상기 제2 계획지는 주간 계획지이고, 상기 제2 계획지 묶음은 주간 계획지 묶음이며,
    상기 제3 계획은 일간 계획이고, 상기 제2 계획 작성면은 일간 계획 작성면이고, 상기 제3 계획지는 일간 계획지이고, 상기 제3 계획지 묶음은 일간 계획지 묶음인,
    플래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주간의 계획 중 주초를 포함하는 요일의 계획 작성면은, 상기 주간 계획지의 뒷면에 마련되고;
    주간의 계획 중 주말을 포함하는 요일의 계획 작성면은, 상기 주간 계획지의 앞면에 마련되는,
    플래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월간 계획지의 뒷면에서 상기 바인딩단부와 상기 폴딩 라인 사이에는 월간 반복 계획 체크 면이 마련되어서,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월간 계획지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월간 계획지 묶음 부분을 펼치면, 월간 반복 계획 체크 면이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보여지고, 월간 계획 작성면이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타측에 보여지는,
    플래너.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간 계획지의 앞면에서 상기 바인딩단부와 상기 폴딩 라인 사이에는 메모 작성 면이 마련되어서,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일간 계획지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일간 계획지 묶음 부분을 펼치면, 일간 계획 작성면이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보여지고, 메모 작성 면이 바인딩단부를 중심으로 타측에 보여지는,
    플래너.
KR1020200108767A 2020-08-27 2020-08-27 플래너 KR20220027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767A KR20220027645A (ko) 2020-08-27 2020-08-27 플래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767A KR20220027645A (ko) 2020-08-27 2020-08-27 플래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645A true KR20220027645A (ko) 2022-03-08

Family

ID=8081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767A KR20220027645A (ko) 2020-08-27 2020-08-27 플래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76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4886B (zh) 一种能够支撑日记或日历的封面
US5407231A (en) Windowing leaf structure
US5222764A (en) Pocket organizer system
CA2541113C (en) Dual notebook
US5405169A (en) Book cover and binding with respositionable loose leaves
WO1994012358A1 (en) A windowing book attachment
JP2009039969A (ja) アコーディオン型のスケジュール帳
US4043063A (en) Appointment calendar book
KR20220027645A (ko) 플래너
KR20210000344U (ko) 일정 계획 및 업무 관리가 용이한 시스템 다이어리
US5143404A (en) Note pad
JPH04173399A (ja) 冊子状カレンダーの作成方法及び冊子状カレンダーを作成することのできるカレンダー紙
JP3212841U (ja) ダイアリー
US20030210948A1 (en) Notebook with supplemental bound component
JP7449072B2 (ja) カレンダー手帳
US5386655A (en) Biographical calendar
JP6267983B2 (ja) カレンダー付き手帳
JP2001039061A (ja) 分割ページ型手帳及び分割ページ型ダイアリー
JP2011046044A (ja) 手帳
JP3113667U (ja) 手帳
JP3089602U (ja) カレンダー
KR100834984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JPS5917666Y2 (ja) 計画表付カレンダ−
JP3190799U (ja) メモ用紙付き手帳
JP2015085517A (ja) ダイアリ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