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984B1 -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 Google Patents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984B1
KR100834984B1 KR1020070036746A KR20070036746A KR100834984B1 KR 100834984 B1 KR100834984 B1 KR 100834984B1 KR 1020070036746 A KR1020070036746 A KR 1020070036746A KR 20070036746 A KR20070036746 A KR 20070036746A KR 100834984 B1 KR100834984 B1 KR 100834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b
main
front cover
r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박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우 filed Critical 박정우
Priority to KR102007003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03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3Supports for desk-type calendars or dia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 B42F5/02Stamp or like filing arrangements in album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속지부(120)의 전후면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바인더(110)에 의하여 바인딩되는 전면커버(130)와 후면커버(140)를 포함한다. 이때 전면커버(130)는, 메인분절라인(13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전면커버(131)와 서브전면커버(132)로 이루어지고; 서브전면커버(13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제1자성체(150)가 설치되며; 후면커버(140)는, 메인분절라인(14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후면커버(141)와 서브후면커버(142)로 이루어지고; 서브후면커버(142)에는 제1자성체(150)에 부착되는 제2자성체(16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A cover capable of supporting diary or calend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시스템다이어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채용된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발췌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다이어리에 있어서 서브전면커버가 메인전면커버에 포개어지고, 서브후면커버가 메인후면커버에 포개어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시스템다이어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시스템다이어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채용된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발췌사시도,
도 7은 도 5의 시스템다이어리에 있어서 서브전면커버가 메인전면커버에 포개어지고, 서브후면커버가 메인후면커버에 포개어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e는 도 5의 시스템다이어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3실시예가 적용된 시스템다이어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채용된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발췌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시스템다이어리에 있어서 서브전면커버가 메인전면커버에 포개어지고, 서브후면커버가 메인후면커버에 포개어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a 내지 도 13e는 도 10의 시스템다이어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바인더 120 ... 속지부
130 ... 전면커버 130a ... 메인분절라인
131 ... 메인전면커버 131a ... 단차부면
132 ... 서브전면커버 140 ... 후면커버
140a ... 메인분절라인 141 ... 메인후면커버
141a ... 단차부면 142 ... 서브후면커버
150 ... 제1자성체 160 ... 제2자성체
210 ... 바인더 220 ... 속지부
230 ... 전면커버 230a ... 메인분절라인
231 ... 메인전면커버 231a ... 단차부면
232 ... 서브전면커버 232a, 232b ... 제1,2서브전면커버
232c ... 서브분절라인 240 ... 후면커버
241 ... 메인후면커버 241a ... 단차부면
242 ... 서브후면커버 242a, 242b ... 제1,2서브후면커버
242c ... 서브분절라인 250 ... 제1자성체
260 ... 제2자성체
310 ... 바인더 320 ... 속지부
330 ... 전면커버 330a ... 메인분절라인
331 ... 메인전면커버 331a ... 단차부면
332 ... 서브전면커버
332a, 332b, 332c, 332d ... 제1,2,3,4서브전면커버
332e, 332f, 332g ... 서브분절라인
340 ... 후면커버 350 ... 제1자성체
360 ... 제2자성체
본 발명은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이어리는, 일정관리, 메모, 주소, 전화번호등를 기재할 수 있는 각종 양식의 메모지와, 각종 유용한 정보를 담은 지도, 지하철 노선등의 정보를 담은 노선도가 인쇄된 속지부를 가지며, 직장인이나 학생들에게 널리 애용되고 있다.
한편, 캘린더는 일반적으로 주단위 또는 달단위로 이루어진 페이지를 사이에 두고 두장의 두꺼운 판지를 앞커버와 뒷커버로 제본하여 사용되는데, 앞커버와 뒷커버를 펼치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받침대 형상이 되어 탁상위에 세워놓고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다이어리나 캘린더는 실생활이나 업무를 진행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므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다이어리나 캘린더는 각자 별개의 물품으로 판매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면,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캘린더에 중요한 일정이나 기념일, 약속 등을 메모해 놓는 경우가 많은데, 캘린더 자체는 휴대가 불편하기 때문에 외출이나 이동중에는 캘린더에 메모해 놓은 약속이나 일정을 체크하기 어려웠고, 이에 따라 다이어리에 별도로 약속이나 일정을 이중으로 메모하여 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다이어리의 경우 달력이 인쇄된 면이 있다고 하더라도 사무실등에서 탁상위에 세워놓고 사용할 수 없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이어리나 캘린더의 역할을 겸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킨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모장이나 노트, 명함첩이나 주소록, 책이나 사진첩에도 적용함으로써, 그들의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일실시예는,
속지부(120)의 전후면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바인더(110)에 의하여 바인딩되는 전면커버(130)와 후면커버(140)를 포함하는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130)는, 메인분절라인(13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전면커버(131)와 서브전면커버(1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전면커버(13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제1자성체(150)가 설치되며; 상기 후면커버(140)는, 메인분절라인(14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후면커버(141)와 서브후면커버(1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후면커버(142)에는 상기 제1자성체(150)에 부착되는 제2자성체(1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면커버(131)는 중간 상부 또는 하부측에 수평 방향으로 단차가 짐으로써 그 메인전면커버(131)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131a)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전면커버(132)는 상기 메인분절라인(130a)을 중심으로 접혀질 때 상기 단차부면(131a)에 포개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후면커버(141)의 중간 상부 또는 하부측에 수평 방향으로 단차가 짐으로써 그 메인후면커버(141)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게 되는 단차부면(141a)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후면커버(142)가 상기 메인분절라인(140a)을 중심으로 접혀질 때 때 상기 단차부면(141a)에 포개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브전면커버는 서브분절라인에 의하여 복수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서브전면커버(232)는 서브분절라인(232c)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서브전면커버(232a)와 제2서브전면커버(232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브후면커버는 서브분절라인에 의하여 복수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서브후면커버(242)는 서브분절라인(242c)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서브후면커버(242a)와 제2서브후면커버(242b)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는,
속지부(320)의 전후면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바인더(310)에 의하여 바인딩되는 전면커버(330)와 후면커버(340)를 포함하는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330)는, 메인분절라인(33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전면커버(331)와 서브전면커버(3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전면커버(332)는 2 개 이상의 서브분절라인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서브전면커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제1자성체가 설치되고; 상기 후면커버(340)의 단부에는 상기 제1자성체에 부착되는 제2자성체(3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면커버(331)에는 중간 상부 또는 하부측에 수평 방향으로 단차가 짐으로써 그 메인전면커버(331)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331a)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전면커버(332)는 상기 메인분절라인(330a)을 중심으로 접혀질 때 상기 단차부면(331a)에 포개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시스템다이어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채용된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발췌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시스템다이어리에 있어서 서브전면커버가 메인전면커버에 포개어지고, 서브후면커버가 메인후면커버에 포개어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의 시스템다이어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1실시예는. 속지부(120)의 전후면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바인더(110)에 의하여 바인딩되는 전면커버(130)와 후면커버(140)를 포함한다.
바인더(110)는 속지부(120)의 전후면에 전면커버(130)과 후면커버(140)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그 전면커버(130), 속지부(120) 및 후면커버(140)의 상부에 형성 된 체결공들을 관통함으로써 상호 바인딩된다.
속지부(120)는, 그림이 인쇄된 앞부분 표지 속지면이나. 달력이 달 단위 또는 주 단위로 인쇄된 달력 속지면이나, 특정한 안내문구 예를 들면 회사나 직장의 사무공간에서 흔히 발생하는 전형적인 상황들에 적합한 상황별 안내문구들로 '지금은 회의중입니다', 또는 '외출중입니다' 또는 '출장중입니다'등과 같은 안내문구들이 인쇄된 안내문구 속지면이나, 메모를 적을 수 있는 메모 속지면이나, 필기를 하기 위한 노트 속지면이나, 전화번호등을 기재할 수 있는 전화번호 속지면이나, 주소를 기재할 수 있는 주소 속지면이나, 기념으로 간직하거나 전시하고 싶은 사진, 그림등을 삽입할 수 있는 앨범 속지면이나, 지도등이 인쇄된 지도속지면등이 포함된다. 더 나아가 속지부(120)는 시나 명상록등이 인쇄된 책이 될 수도 있다.
전면커버(130)는, 메인분절라인(13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전면커버(131)와 서브전면커버(132)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전면커버(131)는 중간 상부 또는 하부측에 수평 방향으로 단차가 짐으로써 그 메인전면커버(131)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131a)이 형성되고, 서브전면커버(132)는 메인분절라인(130a)을 중심으로 접혀질 때 단차부면(131a)에 포개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커버(140)는, 메인분절라인(14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후면커버(141)와 서브후면커버(142)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후면커버(141)의 중간 상부 또는 하부측에 수평 방향으로 단차가 짐으로써 그 메인후면커버(141)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게 되는 단차부면(141a)이 형성되고, 서브후면커버(142)가 메인분절라인(140a)을 중심으로 접혀질 때 단차부면(141a)에 포개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전면커버(13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제1자성체(150)가 설치되고, 서브후면커버(142)에는 제1자성체(150)에 부착되는 제2자성체(160)가 설치된다. 이때 제2자성체(160)는 제1자성체(150)와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복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자성체(150)와 제2자성체(160)는 자력에 의하여 상호 밀착되는 것으로서, 전면커버(130)와 후면커버(140) 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외부로 노출되는 다양한 장식과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자성체(150)와 제2자성체(160)는 한쪽이 자석이면 다른쪽은 철편으로 구현되거나 상호 반대극을 가지는 자석으로 구현되며, 단추모양이나 기다란 바아모양등 다양한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2자성체(150)(160)는 전,후면 커버의 크기에 따라 일열 또는 다수열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자성체(150)는 5개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며, 설명을 위하여 차례대로 150a, 150b, 150c, 150d, 150e 로 구분한다. 또한 제2자성체(160)도 5개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며, 설명을 위하여 차례대로 160a, 160b, 160c, 160d, 160e 로 구분한다. 이때, 서브전면커버(132) 및 서브후면커버(142)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2자성체(150a)(160a)는 클립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커버지지대의 미관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전후면커버(132)(142)는 메인전후면커버(131)(141)와 동일 폭으로 된 것을 예로써 설명하고 있으나, 서브전후면커버의 폭은 메인전후면커버(131)(141)의 폭보다 작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분절라인(130a)을 중심으로 서브전면커버(132)를 메인전면커버(131)의 단차부면(131a)에 포개고, 메인분절라인(140a)을 중심으로 서브후면커버(142)를 메인후면커버(141)의 단차부면(141a)에 포갠다. 이때 단차부면(131a)(141a)의 두께는 각각의 메인전면커버(131) 및 메인후면커버(141)의 두께보다 얇으므로, 서브전면커버(132) 및 서브후면커버(142)가 각각의 단차부면(131a)(141a)에 포개어질 때 메인전면커버(131) 및 메인후면커버(141)의 두께와 동일해지고 이에 따라 휴대성이 좋아진다.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다양한 형태로 탁상에 세워놓을 수 있으며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설명을 함에 있어서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주요 기능을 하는 구성에만 주요 도면부호를 기재하였다.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전면커버(130)와 후면커버(140) 사이를 적절히 벌리고자 할 경우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후면커버(142)를 메인후면커버(141)의 단차부면(141a)에 포갠 후, 메인분절라인(130a)을 중심으로 비스듬하게 접혀진 서브전면커버(132)의 제1자성체(150a)를 서브후면커버(142)의 제2자성체(160e)에 부착한다. 그러면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측부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형태를 이루며 세워진다.
본원에 있어서 전면커버(130)와 후면커버(140) 사이를 좀더 벌리고자 할 경우에는, 서브전면커버(132)와 서브후면커버(142)가 포개어지도록 한 후, 각각 내장된 제1자성체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2자성체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접근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150a, 150b, 150c로 도시된 제1자성체와 160a, 160b, 160c 로 도 시된 제2자성체가 상호 밀착되어 부착된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가 상호 부착되는 위치에서 전면커버(130)와 후면커버(140)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본원에 있어서 전면커버(130)와 후면커버(140) 사이를 완전히 벌리고자 할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전면커버(132) 단부의 제1자성체(150a)와 서브후면커버(142) 단부의 제2자성체(160a)를 상호 부착시키고, 이에 따라 전면커버(130)와 후면커버(140)가 완전히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따르면, 속지부(120)를 앨범속지면으로 할 경우, 앨범으로 사용할 수 있고, 세워놓으면 탁상용 액자가 된다. 또한 속지부(120)를 책으로 할 경우, 책을 캘린더처럼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미를 강조한 책들의 효용성을 높이거나, 독서시 편리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속지부(120)를 노트로 할 경우, 노우트와 책지지대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어, 책을 읽을때 고개를 숙이거나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어서 편리하다. 이 외에도, 은행이나 보험회사, 금융관련회사 등등에서 손님에게 상품을 소개할?? 마주 앉은 손님과 직원이 서로 같은 내용을 볼수 있게 하고, 명함첩, 주소록, 기타 사무용 용도를 늘릴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시스템다이어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채용된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발췌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시스템다이어리에 있어서 서브전면커버가 메인전면커버에 포개어지고, 서브후면커버가 메인후면커버에 포개 어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e는 도 5의 시스템다이어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2실시예는. 속지부(220)의 전후면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바인더(210)에 의하여 바인딩되는 전면커버(230)와 후면커버(140)를 포함한다.
바인더(210) 및 속지부(220)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면커버(230)는, 메인분절라인(23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전면커버(231)와 서브전면커버(232)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전면커버(231)는 중간 상부 또는 하부측에 수평 방향으로 단차가 짐으로써 그 메인전면커버(231)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231a)이 형성되고, 서브전면커버(232)는 메인분절라인(230a)을 중심으로 접혀질 때 단차부면(231a)에 포개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브전면커버는 서브분절라인에 의하여 복수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전면커버(232)는 서브분절라인(232c)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서브전면커버(232a)와 제2서브전면커버(232b)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후면커버(240)는, 메인분절라인(24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후면커버(241)와 서브후면커버(242)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후면커버(241)의 중간 상부 또는 하부측에 수평 방향으로 단차가 짐으로써 그 메인후면커버(241)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게 되는 단차부면(241a)이 형성되고, 서브후면커버(242)가 메인분절라인(240a)을 중심으로 접혀질 때 단차부면(241a)에 포개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브후면커버는 서브분절라인에 의하여 복수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후면커버(242)는 서브분절라인(242c)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서브후면커버(242a)와 제2서브후면커버(242b)로 이루어진다.
서브전면커버(23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제1자성체(250)가 설치되고, 서브후면커버(242)에는 제1자성체(250)에 부착되는 제2자성체(260)가 설치된다. 이때 제2자성체(260)는 제1자성체(250)와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일열 또는 다수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2자성체(250)(260) 역시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제1,2자성체와 거의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자성체(250)는 3개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며, 설명을 위하여 차례대로 250a, 250b, 250c 로 구분한다. 또한 제2자성체(260)도 3개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며, 설명을 위하여 차례대로 260a, 260b, 260c 로 구분한다. 이때, 서브전면커버(232) 및 서브후면커버(242)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2자성체(250a)(260a)는 클립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커버지지대의 미관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전후면커버(232)(242)는 메인전후면커버(231)(232)와 동일 폭으로 된 것을 예로써 설명하고 있으나, 서브전후면커버의 폭은 메인전후면커버(231)(241)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분절라인(230a)을 중심으로 제1,2서브전면커 버(232a)를 메인전면커버(231)의 단차부면(231a)에 포개고, 메인분절라인(240a)을 중심으로 제1,2서브후면커버(242a)(242b)를 메인후면커버(241)의 단차부면(241a)에 포갠다. 이때 단차부면(231a)(241a)의 두께는 각각의 제1,2메인전면커버(231a)(231b) 및 제1,2메인후면커버(241a)(241b)의 두께보다 얇으므로, 서브전면커버(232) 및 서브후면커버(242)가 단차부면(231a)(241a)에 포개어질 때 메인전면커버(231) 및 메인후면커버(241)의 두께와 동일해지고 이에 따라 휴대성이 좋아진다.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다양한 형태로 탁상에 세워놓을 수 있으며 이를 도 8a 내지 도 8g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설명을 위하여, 주요 기능을 하는 구성에만 주요 도면부호를 기재하였고, 또한 도면에서 서브분절라인은 ● 로 표시하고 자성체들은 ○ 내부에 ×가 도시된 것으로 표시하였다.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전면커버(230)와 후면커버(240) 사이를 좁히고자 할 경우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서브후면커버(242a)(242b)를 메인후면커버(241)의 단차부면(241a)에 포개고, 또한 제1서브전면커버(232a)와 제2서브전면커버(232b)를 포갠 상태에서 제1자성체(250b)를 제2브후면커버(242b)의 제2자성체(260c)에 부착한다. 그러면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측부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형태를 이루며 세워진다.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전면커버(230)와 후면커버(240) 사이를 좀더 벌리고자 할 경우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서브후면커버(242a)(242b)를 메인후면커버(241)의 단차부면(241a)에 포갠 후, 메인분절라 인(230a)을 중심으로 비스듬하게 접혀진 제1서브전면커버(232a)의 제1자성체(250a)를 제2서브후면커버(242b)의 제2자성체(260c)에 부착한다.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전면커버(230)와 후면커버(240) 사이를 좀더 벌리고자 할 경우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브후면커버(242a)와 제2서브후면커버(242b)를 포개고, 메인분절라인(230a)을 중심으로 비스듬하게 접혀진 제1서브전면커버(232a)의 제1자성체(250a)를 제2서후면커버(242b)의 제2자성체(260b)에 부착한다.
이때, 제1서브전면커버(232a)와 제1서브후면커버(242a)가 포개어지도록 한 후, 각각 내장된 제1자성체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2자성체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접근시킴으로써 벌어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50a, 250b 로 도시된 제1자성체와 260a, 260b 로 도시된 제2자성체가 상호 밀착된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가 상호 부착되는 위치에서 전면커버(230)와 후면커버(120)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전면커버(230)와 후면커버(240) 사이를 완전히 벌리고자 할 경우에는,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브전면커버(232a) 단부의 제1자성체(250a)와 제1서브후면커버(242a) 단부의 제2자성체(260a)를 상호 부착시키고, 이에 따라 전면커버(230)와 후면커버(240)가 완전히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3실시예가 적용된 시스템다이어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채용된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발췌사시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시스템다이어리에 있어서 서브전면커버가 메인전면커버에 포개어지고, 서브후면커버가 메인후면커버에 포개어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a 내지 도 13f는 도 10의 시스템다이어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3실시예는. 속지부(320)의 전후면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바인더(310)에 의하여 바인딩되는 전면커버(330)와 후면커버(340)를 포함한다.
바인더(310) 및 속지부(320)는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면커버(330)는, 메인분절라인(33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전면커버(331)와 서브전면커버(332)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전면커버(331)에는 중간 상부 또는 하부측에 수평 방향으로 단차가 짐으로써 그 메인전면커버(331)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331a)이 형성되고, 서브전면커버(332)는 메인분절라인(330a)을 중심으로 접혀질 때 단차부면(331a)에 포개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전면커버(332)는 2개 이상의 서브분절라인에 의하여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 서브전면커버(332a)는, 3 개의 서브분절라인(332e)(332f)(332g)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2,3,4서브전면커버(332a)(332b)(332c)(332d)를 가지는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이러한 서브전면커버(332a)(332b)(332c)(332d)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제1자성체(35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서브전면커버(332a)의 단부 및 서 브분절라인(332e)(332f)(332g)에 근접되게 4 개의 제1자성체(350a)(350b)(350c)(350d)가 설치된 것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후면커버(340)의 단부에는 제1자성체(350a)(350b)(350c)(350d)에 부착되는 제2자성체(3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1,2자성체(350)(360) 역시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의 제1,2실시예에서 설명된 제1,2자성체와 거의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전면커버(330) 및 제1서브후면커버(342a)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2자성체(350a)(360a)는 클립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커버지지대의 미관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2,3,4서브후면커버(332a)(332b)(332c)(332d)는 전면커버(330)와 동일 폭으로 된 것을 예로써 설명하고 있으나, 제1,2,3,4서브후면커버의 폭은 후면커버(340)의 폭보다 작은 것으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를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분절라인(330a)을 중심으로 제1,2,3,4서브전면커버(332a)(332b)(332c)(332d)를 단차부면(331a)에 포갬으로써 휴대성이 좋아진다.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다양한 형태로 탁상에 세워놓을 수 있으며 이를 도 13a 내지 도 13d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설명을 위하여, 주요 기능을 하는 구성에만 주요 도면부호를 기재하였고, 또한 서브분절라인은 ● 로 표시하고 자성체들은 ○ 내부에 × 가 도시된 것으로 표시하였다.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전면커버(330)와 후면커버(340) 사이를 좁히고자 할 경우에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서브전면커버(332a)(332b)를 제3서브전면커버(332c)에 포개고, 후면커버(340)의 제2자성체(360)와 350c 로 표시된 제1자성에 부착한다. 그러면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측부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형태를 이루며 세워진다.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전면커버(330)와 후면커버(340) 사이를 좀더 벌리고자 할 경우에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브전면커버(342a)를 제2서브전면커버(342b)에 포개고, 후면커버(340)의 제2자성체(360)와 350b 로 표시된 제1자성체에 부착한다.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전면커버(330)와 후면커버(340) 사이를 완전히 벌리고자 할 경우에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4서브전면커버(332a)(332b)(332c)(332d)를 펼친 후, 후면커버(340)의 제2자성체(360)와 350a 로 표시된 제1자성체를 부착시키면, 전면커버(330)와 후면커버(340)가 완전히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4서브전면커버(332a)(332b)(332c)(332d)를 펼친 상태에서, 후면커버(340)를 서브전면커버(332a)(332b)(332c)(332d) 상부측에서 제1,2,3,4서브전면커버(332a)(3332b)(332c)(332d)에 설치된 제1자성체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자성체(360)는 350c로 표시된 제1자성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전면커버(342a)를 후면커버(340)에 포갤 수 있다. 이 경우, 후면커버(340)에는 350a 로 표시된 제1자성체에 부착되는 360a 로 표시된 제2자성체가 설치된다. 이때 350a 로 표시된 제1자성체나 360a 로 표시된 제2자성체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에서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원의 다용도 커버지지대는, 도 1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이 경우, 메인전면커버(331)의 대략 중간에는 별도의 350f 자성체가 설치된다. 즉, 제1,2서브전면커버(332a)(332b)를 펼치고, 제3,4서브전면커버(332c)(332d)를 펼친 상태에서, 332e 로 표시된 서브분절라인를 중심으로 접고, 350a로 표시된 제1자성체를 350f 로 표시된 제1자성체에 부착시킨다. 그러면, 속지부(320)를 후면커버(340)와 전면커버(330)에 기대도록 할 수가 있어 상부측 속지부와 하부측 속지부를 동시에 볼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브전면커버의 분절라인 수는 늘리던지 줄임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에 따르면, 서브전면커버가 분절라인에 의하여 복수로 구획되고, 서브분절라인에 복수의 제1,2자성체가 설치됨으로써, 전면커버와 후면커버 사이의 벌림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서브전면커버를 메인전면커버에 그리고 서브후면커버를 메인후면커버에 포갬으로써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속지부(120)의 전후면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바인더(110)에 의하여 바인딩되는 전면커버(130)와 후면커버(140)를 포함하는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130)는, 메인분절라인(13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전면커버(131)와 서브전면커버(1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전면커버(13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제1자성체(150)가 설치되며;
    상기 후면커버(140)는, 메인분절라인(14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후면커버(141)와 서브후면커버(1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후면커버(142)에는 상기 제1자성체(150)에 부착되는 제2자성체(1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성체(160)는 상기 제1자성체(150)와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면커버(131)는 중간 상부 또는 하부측에 수평 방향으로 단차가 짐으로써 그 메인전면커버(131)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131a)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전면커버(132)는 상기 메인분절라인(130a)을 중심으로 접혀질 때 상기 단차부면(131a)에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후면커버(141)의 중간 상부 또는 하부측에 수평 방향으로 단차가 짐으로써 그 메인후면커버(141)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게 되는 단차부면(141a)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후면커버(142)가 상기 메인분절라인(140a)을 중심으로 접혀질 때 때 상기 단차부면(141a)에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전후면커버(132)(142)의 폭은 상기 메인전후면커버(131)(141)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전면커버는 서브분절라인에 의하여 복수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전면커버(232)는 서브분절라인(232c)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서브전면커버(232a)와 제2서브전면커버(2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8.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후면커버는 서브분절라인에 의하여 복수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후면커버(242)는 서브분절라인(242c)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1서브후면커버(242a)와 제2서브후면커버(24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0. 속지부(320)의 전후면에 포개어지는 것으로서 바인더(310)에 의하여 바인딩되는 전면커버(330)와 후면커버(340)를 포함하는 커버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330)는, 메인분절라인(330a)에 의하여 구획되는 메인전면커버(331)와 서브전면커버(3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전면커버(332)는 2 개 이상의 서브분절라인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서브전면커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제1자성체가 설치되고;
    상기 후면커버(340)의 단부에는 상기 제1자성체에 부착되는 제2자성체(3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면커버(331)에는 중간 상부 또는 하부측에 수평 방향으로 단차가 짐으로써 그 메인전면커버(331)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단차부면(331a)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전면커버(332)는 상기 메인분절라인(330a)을 중심으로 접혀질 때 상기 단차부면(331a)에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후면커버의 폭은 상기 후면커버(340)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1020070036746A 2007-04-16 2007-04-16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100834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746A KR100834984B1 (ko) 2007-04-16 2007-04-16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746A KR100834984B1 (ko) 2007-04-16 2007-04-16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984B1 true KR100834984B1 (ko) 2008-06-03

Family

ID=3976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746A KR100834984B1 (ko) 2007-04-16 2007-04-16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9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4814A (en) 1996-02-26 1998-07-28 Innovative Creations, Inc. Calendar display
JP2001138665A (ja) 1999-11-10 2001-05-22 Nakatsu Shiko Kk 卓上式カレンダ
KR20070029041A (ko) * 2005-09-08 2007-03-13 박정우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4814A (en) 1996-02-26 1998-07-28 Innovative Creations, Inc. Calendar display
JP2001138665A (ja) 1999-11-10 2001-05-22 Nakatsu Shiko Kk 卓上式カレンダ
KR20070029041A (ko) * 2005-09-08 2007-03-13 박정우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150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US20200114678A1 (en) Folder notebooks
US20090121470A1 (en) Wallet Size Bank Card Booklet
KR100834984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US20070120360A1 (en) Bound component with sticker sheets
KR20210000344U (ko) 일정 계획 및 업무 관리가 용이한 시스템 다이어리
KR200439917Y1 (ko) 포스트잇 전용 메모파일
JP2010533028A (ja) 多用途カバー支持台
US8985633B2 (en) Foldable pop-up article
KR20090094998A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20120121142A (ko) 탁상용으로 사용가능하면서 휴대가능한 수첩
KR100883785B1 (ko)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KR102410740B1 (ko) 포스트잇이 내장되는 책
KR20100053810A (ko) 세움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커버지지대
US20080226384A1 (en) Binder With Front Flap
JP3222450U (ja) 携帯用スケジュール記録具
JP3212841U (ja) ダイアリー
KR20220027645A (ko) 플래너
KR20080035075A (ko) 기능성 속지부 및 그를 적용한 스텐드형 시스템 다이어리
KR200467122Y1 (ko) 수첩커버
JP3078073U (ja) 分冊手帳付き手帳
KR200374355Y1 (ko) 탁상용 달력 겸용 일력
KR20090020317A (ko) 탄성고리가 결합된 다기능 책갈피꽂이
KR20090121764A (ko) 다용도 커버지지대
KR200274964Y1 (ko) 스탠드 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