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964Y1 - 스탠드 노트 - Google Patents

스탠드 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964Y1
KR200274964Y1 KR2020020004180U KR20020004180U KR200274964Y1 KR 200274964 Y1 KR200274964 Y1 KR 200274964Y1 KR 2020020004180 U KR2020020004180 U KR 2020020004180U KR 20020004180 U KR20020004180 U KR 20020004180U KR 200274964 Y1 KR200274964 Y1 KR 200274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and
present
notebook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미스터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스터케이 filed Critical (주)미스터케이
Priority to KR2020020004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9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964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트를 탁상용 달력와 같이 세워 노트에 기록된 내용을 볼 수 있도록 구성한 스탠트 노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 매수의 기록지의 묶음으로 이루어진 노트에 있어서, 소정 매수의 기록지(10)와, 기록지(10)의 앞측면에 배치되는 제 1 커버지(12)와, 기록지(10)의 뒤측면에 배치되는 제 2 커버지(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지(14)는 제 1 내지 제 3 굴곡부(14a, 14b, 14c)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굴곡부(14a, 14c)는 접혀져 제 2 커버지를 삼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노트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스탠드 노트{STAND TYPE NOTE}
본 고안은 스탠드 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트를 탁상용 달력과 같이 세워서 기록된 내용을 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노트를 세우거나 눕혀서 기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탠드 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는 책상위에 펴 놓고 사용한다. 이러한 노트에 필요한 기록을 한 후에 노트의 내용 보기 위해서는 목을 구부려 노트에 기재된 내용을 보거나 노트를 들고 눈높이 시선 전후에서 기재된 내용을 보게 된다.
그러나, 책상위에 펴 놓여진 노트의 기재 내용을 보기 위해 목을 구부린 채로 있는 것은 목에 무리를 주고 사용자의 피곤을 급증시킨다. 또한 노트를 들고 기재된 내용을 보는 것도 팔과 손이 쉽게 피곤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 독서대와 같은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노트를 소정 각도로 세워놓고 사용하지만, 이러한 독서대는 특정 책상 위에 고정적으로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노트를 여러 장소에 옮겨 사용하는 경우에는 독서대를 함께 가지고 다닐 수 없어 역시 노트를 책상위에 펼쳐 놓고 그 기재된 내용을 보거나 노트를 들고 그 기재된 내용을 볼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노트를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노트를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세워놓고 그 기재된 내용을 편안한 자세로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스탠드 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노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탠드 노트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스탠드 노트에 있어서, 스탠드 노트를 세우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스탠드 노트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록지 11 : 안내선
12 : 제 1 커버지 14 : 제 2 커버지
14a, 14b, 14c : 굴곡부 16 : 구멍
18 : 스프링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측면에 따르면, 소정 매수의 기록지의 묶음으로 이루어진 노트에 있어서, 소정 매수의 기록지와, 상기 기록지의 앞측면에 배치되는 제 1 커버지와, 상기 기록지의 뒤측면에 배치되는 제 2 커버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굴곡부는 접혀져 제 2 커버지를 삼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노트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와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지는 그 상부측에 복수개의 구멍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기록지와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지의 구멍에는 제본용 스프링이 끼워진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와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지는 그 상부측에서 소정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스탠드 노트가 세워져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스탠드 노트는 기록지(10)와, 제 1 커버지(12)와, 제 2 커버지(14), 및 제본용 스프링(18)으로 이루어진다.
기록지(10)는 필요한 기록 또는 메모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이로서, 필요에 따라 그 주면에 안내선들(도 2의 11참조)이 인쇄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선(11)은 사용자가 노트에 필기를 하는 경우, 예를 들어 글씨가 바르게 쓰여질 수 있도록안내한다.
제 1 커버지(12)는 기록지(10)의 앞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두꺼운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의 부재로 만들어진다. 또한 제 1 커버지(12)에는 소정의 문양 또는 글씨가 인쇄되어 노트 사용자에게 친밀감을 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커버지(14)는 기록지(10)의 뒤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통상 제 1 커버지(12)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제 2 커버지(14)는 제 1 내지 제 3 절곡부(14a, 14b, 14c)를 구비한다. 즉, 제 2 커버지(14)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절곡부(14a)와 제 3 절곡부(14c)가 소정 각도로 구부려지고 제 2 절곡부(14b)가 펴져 삼각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스탠트 노트는 제 2 커버지(14)를 삼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세우진다.
또한, 제 2 커버지(14)는 제 2 굴곡부(14b)가 접혀지고 제 1 및 제 3 굴곡부(14a, 14c)가 펴진 상태에서 두 장이 접혀져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또 제 2 커버지(14)는 두 장이 접혀져 마주한 상태에서 그 길이가 굴곡부들 간의 거리 즉, 제 1 굴곡부(14a)에서 제 2 굴곡부(14b) 또는 제 2 굴곡부(14b)에서 제 3 굴곡부(14c)까지의 거리만큼 제 1 커버지(12)의 길이보다 더 길도록 구성된다.
제본용 스프링(18)은 철사나 플라스틱(plastic) 재료로 구성되고 상술한 기록지(10)와 기록지(10)의 앞뒤측면에 배치된 제 1 커버지(12) 및 제 2 커버지(14)의 상부측에 형성된 구멍(16)에 끼워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록지(10)와 제 1 및 제 2 커버지(12, 14)는 제본용 스프링(18)에 의해 그 일측면이 결합되고 회전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록지(10)을 사용하기 위해 제 1 커버지(12)를 뒤로 넘기거나 기록지(10)에 필기를 한 후에 다음장 기록지에 필기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편리하게 제 1 커버지(12) 또는 기록지(10)를 넘길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본 고안의 스탠드 노트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제 2 커버지(14)의 굴곡부(14a, 14c)를 접어 스탠드 노트를 세워 놓고 스탠드 노트에 기록을 하거나 기록된 내용을 편한 자세로 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서, 스탠드 노트에는 소정의 필기가 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스탠드 노트를 세워놓은 채로 필기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러한 필기 내용을 편안한 자세로 볼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필기된 내용을 소정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보기 원하는 경우, 탁상용 달력과 같이 책상 위 등의 장소에 세워놓고 필요한 기간동안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노트에 일련의 기록을 남겨 놓고 필요시에 그것을 다시 보는 경우, 스탠드 노트를 세워놓고 순서대로 페이지를 넘기면서 기록된 내용을 볼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스탠트 노트는 특히 사용자가 노트에 기재된 내용을 지속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볼 때에 사용자의 손과 팔 그리고 목 등의 피로감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다음은 본 고안의 스탠드 노트를 세우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위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탠드 노트는 일반 노트와 같이 책상 위에 평탄하게 놓여져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스탠드 노트가 책상에 세워지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 2 커버지(14)의 제 1 및 제 3 굴곡부(14a, 14c)가 180도로 펴지고 제 2 굴곡부(14b)가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노트를 세우지 않고 일반 노트와 같이 책상위에 평평하게 펼쳐 놓고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제본용 스프링(18)이 설치되어 있는 스탠드 노트에서 제 1 커버지(12)나 기록지(10)을 간편히 넘기면서 필요한 기록을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은 제본용 스프링(18) 대신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기록지(10)와 제 1 및 제 2 커버지(12, 14)를 그 일측면에서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즉 이러한 스탠드 노트를 이용하여 필기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 1 커버지(12)의 상단부를 접어 넘기고 기록지(10)에 기록을 할 수 있다. 또한, 계속해서 기록지(1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한 기록지(10)을 뜯어내거나 그 상단부를 접어 넘기고 다음의 기록지(10)에 필요한 사항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노트를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세워놓고그 기재된 내용을 편안한 자세로 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노트에 일련의 기록을 남겨 놓고 필요시에 그것을 다시 보는 경우, 스탠드 노트를 세워놓고 순서대로 페이지를 넘기면서 기록된 내용을 볼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탁상용 달력과 같이 노트에 기재된 특정 내용을 일정 기간동안 책상 위 등의 장소에 세워서 펼쳐 놓고 용이하게 참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특히 사용자가 노트에 기재된 내용을 지속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볼 때에 사용자의 손과 팔 그리고 목 등의 피로감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소정 매수의 기록지의 묶음으로 이루어진 노트에 있어서,
    소정 매수의 기록지(10)와,
    상기 기록지(10)의 앞측면에 배치되는 제 1 커버지(12)와,
    상기 기록지(10)의 뒤측면에 배치되는 제 2 커버지(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지(14)는 제 1 내지 제 3 굴곡부(14a, 14b, 14c)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굴곡부(14a, 14c)는 접혀져 제 2 커버지(14)를 삼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10)와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지(12, 14)는 그 상부측에 복수개의 구멍(16)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구멍(16)에는 제본용 스프링(18)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10)와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지(12, 14)는 그 상부측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노트.
KR2020020004180U 2002-02-08 2002-02-08 스탠드 노트 KR200274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180U KR200274964Y1 (ko) 2002-02-08 2002-02-08 스탠드 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180U KR200274964Y1 (ko) 2002-02-08 2002-02-08 스탠드 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964Y1 true KR200274964Y1 (ko) 2002-05-09

Family

ID=7311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180U KR200274964Y1 (ko) 2002-02-08 2002-02-08 스탠드 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9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07676A (ja) 携帯性および使用性を向上させた多用途カバー支持台
CA2541113C (en) Dual notebook
US5836614A (en) Book with various sections
US5375885A (en) Combination bookmark and page prop device
KR200274964Y1 (ko) 스탠드 노트
US20070120360A1 (en) Bound component with sticker sheets
KR200410630Y1 (ko) 스탠드 겸용 표지를 구비한 제본물
US6315484B1 (en) Information handler and project manager
KR200349481Y1 (ko) 홀딩 기능을 포함하는 서적
KR20070000293U (ko) 스프링책자용 색인기능을 갖는 필기구
US5060979A (en) Information pad for checkbooks
US5427413A (en) Information pad
KR200274945Y1 (ko) 포스트잇이 부착된 노트
CN220785279U (zh) 一种多功能笔记本
KR200494801Y1 (ko) 필기구 꽂이를 구비한 서책
JP3025489U (ja) クリップ付き拡大鏡
JP2004025827A (ja)
KR102410741B1 (ko) 포스트잇이 내장되는 필기장
KR200203719Y1 (ko) 독서대 겸용 다이어리
KR200195930Y1 (ko) 독서대 겸용 다이어리
KR200210739Y1 (ko) 광고 책갈피
KR200164092Y1 (ko) 독서대를구비한노트
KR200242472Y1 (ko) 투명형 착탈 메모지
JP3103582U (ja) メモ用紙セット
KR200326658Y1 (ko) 투명 포켓이 구비된 탁상용 캘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