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552A -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552A
KR20220027552A KR1020200108541A KR20200108541A KR20220027552A KR 20220027552 A KR20220027552 A KR 20220027552A KR 1020200108541 A KR1020200108541 A KR 1020200108541A KR 20200108541 A KR20200108541 A KR 20200108541A KR 20220027552 A KR20220027552 A KR 20220027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transistor
reset
signal
floating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희성
김상윤
문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8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7552A/ko
Priority to US17/396,320 priority patent/US11509851B2/en
Priority to JP2021137814A priority patent/JP2022040074A/ja
Publication of KR20220027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3Control of the integration time
    • H04N25/531Control of the integration time by controlling rolling shutters in CMOS S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3Control of the integration time
    • H04N5/353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3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lines or gate-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01L27/14612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involving a tran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6Interconnec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31Area CCD ima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 H04N25/59Control of the dynamic rang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storable in the pixel, e.g. modification of the charge conversion ratio of the floating node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16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involving a correlated sampling function, e.g. 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 or triple sam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02SSIS architectures characterised by non-identical, non-equidistant or non-planar pixel layo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25/771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comprising storage means other than floating diffu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25/772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comprising A/D, V/T, V/F, I/T or I/F converters
    • H04N5/3696
    • H04N5/37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이미지 센서가 개시된다. 복수의 픽셀들이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포토 다이오드, 포토 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축적하는 플로팅 디퓨젼 노드,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 제1 노드에 연결되고, 리셋된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저장하는 제1 커패시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 제2 노드에 연결되고, 광전하가 축적된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저장하는 제2 커패시터, 및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노드 및 제2 노드 각각에서의 등가 커패시턴스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로벌 셔터(global shutter) 방식의 구동을 지원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전화용 카메라 및 휴대용 캠코더와 같은 일반 소비자용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보안장치 및 로봇에 장착되는 카메라에도 사용된다.
이미지 센서는 노출 시간(exposure time)을 조절하여 전기적 신호의 기초가 되는 광전하(photocharge)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롤링 셔터(rolling shutter) 방식과 글로벌 셔터(global shutter) 방식을 이용하여 노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롤링 셔터 방식은 광전하의 축적 시간을 픽셀 어레이의 로우(row) 별로 다르게 제어하는 방식이고, 글로벌 셔터 방식은 픽셀 어레이의 서로 다른 로우들에 대해 광전하의 축적 시간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픽셀들의 광전하 축적 시간을 제어하여 왜곡 없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복수의 픽셀들이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포토 다이오드, 포토 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축적하는 플로팅 디퓨젼 노드,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 제1 노드에 연결되고, 리셋된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저장하는 제1 커패시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 제2 노드에 연결되고, 광전하가 축적된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저장하는 제2 커패시터, 및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노드 및 제2 노드 각각에서의 등가 커패시턴스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복수의 픽셀들이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포토 다이오드, 포토 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저장하는 플로팅 디퓨젼 노드, 플로팅 디퓨젼 노드를 픽셀 전압으로 리셋시키는 제1 리셋 트랜지스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위 변화를 증폭하여 출력 노드로 출력하는 제1 소스 팔로워, 출력 노드 및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 출력 노드 및 제1 노드와 상이한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 제1 노드 및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제2 노드 및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모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커패시터의 일단 및 제2 커패시터의 일단에 픽셀 전압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복수의 픽셀들이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포토 다이오드, 포토 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플로팅 디퓨젼 노드로 전달하는 전송 트랜지스터, 플로팅 디퓨젼 노드를 픽셀 전압으로 리셋시키는 리셋 트랜지스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위 변화를 증폭하여 출력 노드로 출력하는 제1 소스 팔로워, 출력 노드를 프리자지하는 프리차지 트랜지스터, 출력 노드 및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 출력 노드 및 제1 노드와 상이한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 제1 노드 및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제2 노드 및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3 노드에 픽셀 전압을 인가하는 모드 트랜지스터, 제1 노드의 전위 변화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소스 팔로워, 제2 소스 팔로워에 연결되고, 제1 픽셀 신호를 제1 컬럼 라인으로 출력하는 제1 선택 트랜지스터, 제2 노드의 전위 변화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3 소스 팔로워, 및 제3 소스 팔로워에 연결되고, 제2 픽셀 신호를 제2 컬럼 라인으로 출력하는 제2 선택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글로벌 셔터 동작을 통해 서로 다른 로우에 배치된 픽셀들의 광전하 축적 시간을 동일하게 하여 광전하 축적 시간의 차이에 의한 이미지의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리셋 동작에 대응하는 전하가 저장되는 제1 커패시터 및 포토 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전하에 대응하는 전하가 저장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연결되는 제1 노드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와 연결되는 제2 노드에서의 등가 커패시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의 전압 세틀링(settling) 타임이 감소될 수 있고, 이미지 센서의 동작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글로벌 셔터 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에 포함된 픽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1 컬럼 라인 및 제2 컬럼 라인에 연결되는 리드아웃 회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픽셀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 및 램프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픽셀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 및 램프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에 포함된 픽셀의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픽셀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 및 램프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에 포함된 픽셀의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픽셀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 및 램프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미지 센서(100)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은 이미지 센서(100)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0)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각각 칩(chip)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미지 센서(100)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가 하나의 이미지 센서 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이미지 데이터(ID)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처리, 보간 처리, 화이트밸런스 처리, 감마 처리, 에지 강조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00)는 픽셀 어레이(110), 컨트롤러(120), 램프 신호 생성기(130), 로우 드라이버(140) 및 리드아웃 회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아웃 회로(150)는 상관 이중 샘플링(Correlated-Double Sampling) 회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 및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어레이(110)는 복수의 픽셀(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픽셀(PX)들 각각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광전 변환 소자에 의해 감지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객체에 대응하는 픽셀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픽셀(PX)들 각각은 대응하는 제1 내지 제n 컬럼 라인(CL0~CLn-1)을 통해 픽셀 신호들을 리드아웃 회로(150)로 출력할 수 있다.
픽셀 어레이(110)에서 복수의 픽셀(PX)들은 복수의 로우들 및 복수의 컬럼들으로 배치되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PX)들은 APS(active pixel sensor)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픽셀(PX)들 각각은 레드(red) 파장 영역의 빛을 통과시키는 레드 필터, 그린(green) 파장 영역의 빛을 통과시키는 그린 필터, 및 블루(blue) 파장 영역의 빛을 통과시키는 블루 필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픽셀(PX)들 각각은 다른 색상의 파장 영역의 빛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 도는 투명하니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픽셀(PX)들 각각은 화이트(white) 컬러 필터, 사이언(cyan) 컬러 필터, 마젠타(magenta) 컬러 필터, 및 옐로우(yellow) 컬러 필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로우 드라이버(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램프 신호 생성기(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리드아웃 회로(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제어 레지스터 블록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 레지스터 블록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로우 드라이버(140), 램프 신호 생성기(130), 및 리드아웃 회로(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120)는 이미지 센서(100)가 글로벌 셔터 모드로 동작하도록 로우 드라이버(140), 램프 신호 생성기(130), 및 리드아웃 회로(150)를 제어할 수 있다.
로우 드라이버(140)는 픽셀 어레이(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CSs)을 생성하고, 복수의 픽셀(PX)들 각각에 제어 신호들(CSs)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로우 드라이버(140)는 글로벌 셔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하여, 복수의 픽셀(PX)들 각각에 제어 신호들(CSs)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픽셀 어레이(110)가 로우 별로 제어되도록 제어 신호들(CSs)은 픽셀 어레이(110)의 로우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픽셀 어레이(110)는 로우 드라이버(140)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들(CSs)에 응답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로우로부터 리셋 신호 및 이미지 신호를 포함하는 픽셀 신호들을 리드아웃 회로(150)로 출력할 수 있다.
램프 신호 생성기(130)는 램프 신호(RAMP)를 생성할 수 있다. 램프 신호(RAMP)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로서, 삼각파의 형태를 갖도록 생성될 수 있다. 램프 신호 생성기(130)는 램프 신호(RAMP)를 리드아웃 회로(150), 예를 들어,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로 제공할 수 있다.
리드아웃 회로(150)는 픽셀 어레이(110)에서 제공한 픽셀 신호를 샘플링 및 홀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아웃 회로(150)는 램프 신호 생성기(130)에서 생성된 램프 신호(RAMP)를 수신할 수 있고, 리셋 신호, 제1 기준 신호, 제2 기준 신호, 및 이미지 신호 각각을 램프 신호(RAMP)와 비교한 결과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ID)를 생성할 수 있다. 리드아웃 회로(15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겠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글로벌 셔터 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00)는 글로벌 셔터(Global Shutter)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0)는 글로벌 셔터 모드에서, 글로벌 신호 덤핑(Global Signal Dumping) 구간(GSDP) 동안 수행되는 글로벌 신호 덤핑 동작 및 리드아웃 구간(ROP) 동안 수행되는 리드아웃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글로벌 신호 덤핑 동작은, 플로팅 디퓨젼 노드에 축적된 전하를 리셋 시간동안 리셋하는 리셋 동작 및 광전 변환 소자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축적 시간 동안 축적하는 축적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아웃 구간(ROP)에서는, 리드아웃 시간 동안 수행되는 리드아웃 동작이 로우 별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롤링 리드아웃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센서(100)는 글로벌 셔터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서로 다른 로우에 배치된 픽셀들(PX)의 광전하 축적 시점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고, 광전하 축적 시간의 차이에 의한 이미지의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센서(100)는 동작 모드가 전환됨에 따라 롤링 셔터(Rolling Shutter) 모드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100)는 롤링 셔터 모드로 구동될 때, 포토 다이오드(PD)의 광전하 축적 시간이 픽셀 어레이(110)의 로우 별로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축적 시간은 모든 로우에 대해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일정 그룹의 로우들 별로 동일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100)의 동작 모드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에 포함된 픽셀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픽셀(PX)은 포토 다이오드(PD), 및 픽셀 신호들(PXS1, PXS2)를 생성하는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들(TS, RS, PC, SAMPS1, SAMPS2, EN, SELS1, SELS2)은 로우 드라이버(14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들(CSs) 중 일부일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PD)는 광의 세기에 따라 가변되는 광 전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PD)는 입사된 광량에 비례하여 전하, 즉, 음의 전하인 전자와 양의 전하인 정공을 생성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PD)는 광전 변환 소자의 예로서,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포토 게이트(photo gate), 핀드 포토 다이오드(pinned photo diode(PPD))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TX, RX, SF1, PCX, SAMP1, SAMP2, MX, SF2, SF3, SX1, SX2),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에는 각각 리셋 동작에 따른 전하가 축적되거나, 광전하 축적 동작에 따른 전하가 축적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는 전송 트랜지스터(TX)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트랜지스터(TX)는 포토 다이오드(PD)와 플로팅 디퓨젼 노드(FD)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전송 트랜지스터(TX)의 제1 단자는 포토 다이오드(PD)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제2 단자는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연결될 수 있다. 전송 트랜지스터(TX)는 로우 드라이버(140)로부터 수신된 전송 제어 신호(TS)에 응답하여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고, 포토 다이오드(PD)에서 생성된 광 전하를 플로팅 디퓨젼 노드(FD)로 전송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는 리셋 트랜지스터(RX)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셋 트랜지스터(RX)는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축적된 전하를 리셋시킬 수 있다. 리셋 트랜지스터(RX)의 제1 단자는 픽셀 전압(VPIX, 예를 들어, 전원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제2 단자는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연결될 수 있다. 리셋 트랜지스터(RX)는 로우 드라이버(140)로부터 수신된 리셋 제어 신호(RS)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 있고,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축적된 전하가 배출되어 플로팅 디퓨젼 노드(FD)가 리셋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는 제1 소스 팔로워(SF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스 팔로워(SF1)의 제1 단자에는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될 수 있고, 제2 단자는 출력 노드(NO)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소스 팔로워(SF1)는 버퍼 증폭기(buffer amplifier)로서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충전된 전하량에 따른 신호를 버퍼링할 수 있다.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축적된 전하량에 따라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의 전위가 변하고, 제1 소스 팔로워(SF1)는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서의 전위 변화를 증폭하여 이를 출력 노드(NO)로 출력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는 프리차지 트랜지스터(PCX)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차지 트랜지스터(PCX)의 제1 단자는 출력 노드(NO)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단자는 그라운드 전압(GND)이 인가될 수 있다. 프리차지 트랜지스터(PCX)는 로우 드라이버(140)로부터 수신된 프리차지 제어 신호(PC)에 따라 전류원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소스 팔로워(SF1) 및 프리차지 트랜지스터(PCX) 사이에는 추가 트랜지스터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출력 노드(NO)에 잔존하는 전하를 제거하는 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는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SPX1) 및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SPX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SPX1)는 출력 노드(NO)와 제1 노드(N1)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SPX2)는 출력 노드(NO)와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SPX1)는 로우 드라이버(140)로부터 수신된 제1 샘플링 제어 신호(SAMPS1)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SPX2)는 로우 드라이버(140)로부터 수신된 제2 샘플링 제어 신호(SAMPS2)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는 제1 노드(N1)와 제3 노드(N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SAMP1)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1 커패시터(C1)에 전하가 축적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2)는 제2 노드(N2)와 제3 노드(N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SAMP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2 커패시터(C2)에 전하가 축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패시터(C1)에는 리셋 동작에 따른 전하가 축적될 수 있고, 제2 커패시터(C2)에는 광전하 축적 동작에 따른 전하가 축적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는 모드 트랜지스터(MX)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트랜지스터(MX)의 제1 단자에는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될 수 있고, 모드 트랜지스터(MX)의 제2 단자는 제3 노드(N3)에 연결될 수 있다. 모드 트랜지스터(MX)는 모드 제어 신호(EN)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될 수 있으며, 스위칭됨에 따라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와 연결되는 제3 노드(N3)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는 제2 소스 팔로워(SF2) 및 제1 선택 트랜지스터(SX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스 팔로워(SF2)의 제1 단자는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될 수 있고, 제2 소스 팔로워(SF2)의 제2 단자는 제1 선택 트랜지스터(SX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소스 팔로워(SF2)는 제1 노드(N1)에 충전된 전하량에 따른 신호를 버퍼링할 수 있다. 제2 소스 팔로워(SF2)는 제1 노드(N1)에서의 전위 변화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선택 트랜지스터(SX1)의 제1 단자는 제2 소스 팔로워(SF2)와 연결되고, 제1 선택 트랜지스터(SX1)의 제2 단자는 제1 컬럼 라인(CL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선택 트랜지스터(SX1)는 로우 드라이버(140)로부터 수신된 제1 선택 제어 신호(SELS1)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제1 선택 트랜지스터(SX1)가 온될 때, 제1 컬럼 라인(CL0)으로 리셋 동작에 대응하는 리셋 신호(RST)를 포함하는 제1 픽셀 신호(PXS1)가 출력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는 제3 소스 팔로워(SF3) 및 제2 선택 트랜지스터(SX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소스 팔로워(SF3)의 제1 단자는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될 수 있고, 제3 소스 팔로워(SF3)의 제2 단자는 제2 선택 트랜지스터(SX2)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소스 팔로워(SF3)는 제2 노드(N2)에 충전된 전하량에 따른 신호를 버퍼링할 수 있다. 제3 소스 팔로워(SF3)는 제2 노드(N2)에서의 전위 변화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2 선택 트랜지스터(SX2)의 제1 단자는 제3 소스 팔로워(SF3)와 연결되고, 제2 선택 트랜지스터(SX2)의 제2 단자는 제2 컬럼 라인(CL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선택 트랜지스터(SX2)는 로우 드라이버(140)로부터 수신된 제2 선택 제어 신호(SELS2)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제2 선택 트랜지스터(SX2)가 온될 때 제2 컬럼 라인(CL1)으로 전하 축적 동작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SIG)를 포함하는 제2 픽셀 신호(PXS2)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 신호(PXS1)는 리셋 동작에 대응하는 리셋 신호(RST) 및 오프셋 제거를 위해 생성되는 제1 기준 신호(REF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픽셀 신호(PXS2)는 전하 축적 동작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SIG) 및 오프셋 제거를 위해 생성되는 제2 기준 신호(REF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픽셀 신호(PXS1)는 제2 소스 팔로워(SF2)를 통해 출력되고, 제2 픽셀 신호(PXS2)는 제3 소스 팔로워(SF3)를 통해 출력되므로, 제2 소스 팔로워(SF2)의 문턱 전압 및 제3 소스 팔로워(SF3)의 문턱 전압 차이로 인하여, 리셋 신호(RST)와 이미지 신호(SIG) 사이에 오프셋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는 제1 기준 신호(REF1) 및 제2 기준 신호(REF2)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리셋 신호(RST) 및 이미지 신호(SIG)의 오프셋을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센서(100)의 픽셀(PX)은 리셋 동작에 따른 전하가 저장되는 제1 커패시터(C1), 전하 축적 동작에 따른 전하가 저장되는 제2 커패시터(C2), 및 제1 커패시터(C1)와 제2 커패시터(C2) 사이에 연결되는 모드 트랜지스터(MX)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트랜지스터(MX)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의 연결 관계가 변경될 수 있고,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에서의 등가 커패시턴스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리드아웃 구간(ROP)에서, 제1 기준 신호(REF1) 및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될 때의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를, 이미지 신호(SIG) 및 리셋 신호(RST)가 출력될 때의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보다 작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의 전압 세틀링(settling) 타임이 감소될 수 있고, 제1 컬럼 라인(CL0) 및 제2 컬럼 라인(CL1)으로 제1 기준 신호(REF1) 및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1 컬럼 라인 및 제2 컬럼 라인에 연결되는 리드아웃 회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드아웃 회로(150)는 상관 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 회로들(15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Analog-Digital Converters, 153), 감산 회로(155) 및 버퍼(1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들(151)은 제1 컬럼 라인(CL0)에 연결되는 제1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1) 및 제2 컬럼 라인(CL1)에 연결되는 제2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2)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153)은 제1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1)에 연결되는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3_1) 및 제2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2)에 연결되는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3_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컬럼 라인(CL0)및 제2 컬럼 라인(CL2)에 연결되는, 2개의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들(151_1, 151_2) 및 2개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153_1, 153_2)이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컬럼 라인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들 및 컬럼 라인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1)는 제1 컬럼 라인(CL0)을 통해 제공된 제1 픽셀 신호(PXS1)를 샘플링 및 홀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컬럼 라인(CL0)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 픽셀 신호(PXS1)는 리셋 신호(RST) 및 제1 기준 신호(REF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1)는 리셋 신호(RST)와 제1 기준 신호(REF1)를 이중으로 샘플링 할 수 있다.
제1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1)는 램프 신호(RAMP)와 제1 픽셀 신호(PXS1)를 비교할 수 있다. 제1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1)는 램프 신호(RAMP)와 리셋 신호(RST)를 비교하고, 램프 신호(RAMP)와 제1 기준 신호(REF1)를 비교한 제1 비교 신호(CMP1)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2)는 제2 컬럼 라인(CL1)을 통해 제공된 제2 픽셀 신호(PXS2)를 샘플링 및 홀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컬럼 라인(CL1)으로 제공되는 제2 픽셀 신호(PXS2)는 이미지 신호(SIG) 및 제2 기준 신호(REF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2)는 이미지 신호(SIG)와 제2 기준 신호(REF2)를 이중으로 샘플링 할 수 있다.
제2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2)는 램프 신호(RAMP)와 제2 픽셀 신호(PXS2)를 비교할 수 있다. 제2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2)는 램프 신호(RAMP)와 이미지 신호(SIG)를 비교하고, 램프 신호(RAMP)와 제2 기준 신호(REF2)를 비교한 제2 비교 신호(CMP1)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3_1)는 제1 비교 신호(CMP1) 및 클락 신호(CLK)를 수신하여, 제1 디지털 신호(DS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3_1)는, 리셋 신호(RST)에 대응하는 제1 비교 신호(CMP1)의 특정 로직 레벨인 구간에서 클락 신호(CLK)에 동기되어 카운팅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카운트 값을 생성하고, 제1 기준 신호(REF1)에 대응하는 제1 비교 신호(CMP1)의 특정 로직 레벨인 구간에서 클락 신호(CLK)에 동기되어 카운팅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 카운트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3_1)는 상기 제2 카운트 값에서 상기 제1 카운트 값을 감산하여 제1 디지털 신호(DS1)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3_2)는 제2 비교 신호(CMP2) 및 클락 신호(CLK)를 수신하여, 제2 디지털 신호(DS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3_2)는, 이미지 신호(SIG)에 대응하는 제2 비교 신호(CMP2)의 특정 로직 레벨인 구간에서 클락 신호(CLK)에 동기되어 카운팅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카운트 값을 생성하고, 제2 기준 신호(REF2)에 대응하는 제2 비교 신호(CMP2)의 특정 로직 레벨인 구간에서 클락 신호(CLK)에 동기되어 카운팅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 카운트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3_2)는 상기 제2 카운트 값에서 상기 제1 카운트 값을 감산하여 제2 디지털 신호(DS2)를 생성할 수 있다.
감산 회로(155)는 제1 디지털 신호(DS1)에서 제2 디지털 신호(DS2)를 감산하여, 이미지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에서 리셋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이 제거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감산 회로(155)는 버퍼(157)로 감산 동작 결과에 따른 디지털 신호를 버퍼(157)로 전송할 수 있고, 버퍼(157)는 이미지 데이터(ID)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컬럼 라인(CL0)으로는 리셋 신호(RST)가 출력된 후, 제1 기준 신호(REF1)가 출력될 수 있고, 제2 컬럼 라인(CL1)으로는 이미지 신호(SIG)가 출력된 후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제1 소스 팔로워(SF1)와 다른 제2 소스 팔로워(SF2)로부터 출력됨에 따라, 제1 픽셀 신호(PXS1)와 비교하여 제2 픽셀 신호(PXS2)에 발생하는 오프셋을 제거할 수 있다. 리셋 신호(RST)와 비교하여 이미지 신호(SIG)에는 특정 오프셋이 발생할 수 있고, 제1 기준 신호(REF1)와 비교하여 제2 기준 신호(REF2)에도 동일한 특정 오프셋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2) 및 제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53_2)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제2 기준 신호(REF2)로부터 이미지 신호(SIG)가 감산된 제2 디지털 신호(DS2)가 생성되므로, 제2 기준 신호(REF2) 및 이미지 신호(SIG) 각각에 발생되는 상기 오프셋이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픽셀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 및 램프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동일한 로우에 배치되는 픽셀들은 동일한 제어 신호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에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리셋 제어 신호(RS)는 제2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에서 제1 레벨(예를 들어, 하이 레벨)으로 천이되어 제1 리셋 시간(RT1)동안 제1 레벨을 유지할 수 있고, 이후에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하이 레벨의 리셋 제어 신호(RS)에 의해 리셋 트랜지스터(RX)가 턴-온 됨에 따라, 플로팅 디퓨젼 노드(FD)는 리셋(리셋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의 전압은 픽셀 전압(VPIX)으로 리셋될 수 있다.
리셋 제어 신호(RS)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된 후, 리셋 세틀링(Reset Settling) 시간(RCS)동안 제1 샘플링 제어 신호(SAMP1)는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하이 레벨의 제1 샘플링 제어 신호(SAMP1)에 의해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SPX1)가 턴-온됨에 따라, 리셋된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의 전압이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C1)에 샘플링될 수 있다.
제1 샘플링 제어 신호(SAMP1)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된 이후, 전송 제어 신호(TS)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될 수 있고 축적 시간(TT)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하이 레벨의 전송 제어 신호(TS)에 의해 전송 트랜지스터(TX)가 턴-온됨에 따라,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포토 다이오드(PD)에서 생성된 광전하가 축적(축적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의 전압은, 축적되는 전하량에 따라 픽셀 전압(VPIX)에서부터 감소할 수 있다.
전송 제어 신호(TS)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된 후, 신호 세틀링(Signal Settling) 시간(SCS)동안 제2 샘플링 제어 신호(SAMP2)는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하이 레벨의 제2 샘플링 제어 신호(SAMP2)에 의해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SPX2)가 턴-온됨에 따라,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의 전압이 제2 노드(N2)에 연결된 제2 커패시터(C2)에 샘플링될 수 있다.
제1 샘플링 제어 신호(SAMP1)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하기 이전에 프리차지 제어 신호(PC)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되고, 제2 샘플링 제어 신호(SAMP2)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된 후까지 프리차지 제어 신호(PC)는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하이 레벨의 프리차지 제어 신호(PC)에 의해 프리차지 트랜지스터(PCX)는 턴-온되고 출력 노드(NO)가 프리차지될 수 있다. 즉,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SPX1) 및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SPX2)가 연결된 출력 노드(NO)가 프리차지될 수 있다.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에서 제1 선택 제어 신호(SELS1) 및 제2 선택 제어 신호(SELS2)는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모드 제어 신호(EN)는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에서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리드-아웃 구간(ROP)에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선택 제어 신호(SEL1) 및 제2 선택 제어 신호(SEL2)는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에서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 있고, 리드-아웃 구간(ROP)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할 수 있다. 제1 선택 제어 신호(SEL1) 및 제2 선택 제어 신호(SEL2)가 하이 레벨로 천이됨에 따라 제1 선택 트랜지스터(SX1) 및 제2 선택 트랜지스터(SX2)가 턴-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패시터(C1)에 샘플링된 리셋 동작에 따른 전하에 대응하는 리셋 신호(RST)가 제1 컬럼 라인(CL0)에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제2 커패시터(C2)에 샘플링된 축적 동작에 따른 전하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SIG)가 제2 컬럼 라인(CL1)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리드-아웃 구간(ROP)에서 프리차지 제어 신호(PC)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할 수 있고, 이후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프리차지 제어 신호(PC)는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 및 리드-아웃 구간(ROP)에 서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도 있다.
제1 선택 트랜지스터(SX1) 및 제2 선택 트랜지스터(SX2)가 턴-온된 후, 램프 신호(RAMP)는 제1 시간(SRT)동안 일정한 기울기로 증가(또는 감소)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램프 신호(RAMP)의 전압 레벨이 일정하게 변하는 제1 시간(SRT)동안 제1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1)는 램프 신호(RAMP)와 리셋 신호(RST)를 비교할 수 있고, 제2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2)는 램프 신호(RAMP)와 이미지 신호(SIG)를 비교할 수 있다.
리셋 신호(RST) 및 이미지 신호(SIG)가 출력된 이후, 리셋 제어 신호(RS)는 제2 리셋 시간(RT2)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하이 레벨의 리셋 제어 신호(RS)에 의해 리셋 트랜지스터(RX)가 턴-온 됨에 따라, 플로팅 디퓨젼 노드(FD)는 리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의 전압은 픽셀 전압(VPIX)으로 리셋될 수 있다.
리셋 제어 신호(RS)가 하이 레벨로 천이된 후, 제1 샘플링 제어 신호(SAMP1)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되고 제1 세틀링 시간(ST1) 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리셋 제어 신호(RS)가 하이 레벨로 천이된 후, 제2 샘플링 제어 신호(SAMP2)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될 수 있고, 제2 세틀링 시간(ST2) 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세틀링 시간(ST1), 및 제2 세틀링 시간(ST2)은 서로 오버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SPX1) 및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SPX2)가 동시에 턴-온되므로 제1 노드(N1)의 전압 및 제2 노드(N2)의 전압이 동일해질 수 있다. 제1 선택 제어 신호(SEL1) 및 제2 선택 제어 신호(SEL2)가 하이 레벨을 유지하므로, 제1 컬럼 라인(CL0)을 통해 제1 노드(N1)의 전압에 대응하는 제1 기준 신호(REF1)가 출력될 수 있고, 제2 컬럼 라인(CL1)을 통해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될 수 있다. 제1 노드(N1)의 전압 및 제2 노드(N2)의 전압이 동일하더라도 제2 소스 팔로워(SF2) 및 제3 소스 팔로워(SF3)의 문턱 전압 차이로 인해, 제2 기준 신호(REF2)는 제1 기준 신호(REF1)와 비교하여 오프셋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SPX1) 및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SPX2)가 턴-온된 이후에, 램프 신호(RAMP)는 제2 시간(RRT)동안 일정한 기울기로 증가(또는 감소)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램프 신호(RAMP)의 전압 레벨이 일정하게 변하는 제2 시간(RRT)동안 제1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1)는 램프 신호(RAMP)와 제1 기준 신호(REF1)를 비교할 수 있고, 제2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151_2)는 램프 신호(RAMP)와 제2 기준 신호(REF2)를 비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에서 전송 제어 신호(TS)는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픽셀(PX)은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에 연결되는 모드 트랜지스터(MX)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모드 제어 신호(EN)는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에서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에서 모드 제어 신호(EN)에 따라 모드 트랜지스터(MX)는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3 노드(N3)에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될 수 있다.
리드-아웃 구간(ROP) 중 리셋 신호(SIG) 및 이미지 신호(SIG)가 출력되는 동안에, 모드 제어 신호(EN)는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제3 노드(N3)에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될 수 있다.
반면, 제1 샘플링 제어 신호(SAMP1)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되고, 제2 샘플링 제어 신호(SAMP2)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되면, 모드 제어 신호(EN)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셋 제어 신호(RS)가 하이 레벨로 천이된 후, 모드 제어 신호(EN)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고, 모드 전환 시간(ET) 동안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세틀링 시간(ST1), 제2 세틀링 시간(ST2) 및 모드 전환 시간(ET)은 서로 오버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로우 레벨의 모드 제어 신호(EN)에 의해 모드 트랜지스터(MX)는 턴-오프될 수 있고, 제3 노드(N3)를 플로팅시킬 수 있다.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에서의 등가 커패시턴스는 제1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보다 작아질 수 있고, 제2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보다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 각각의 전압이 세틀링되는 속도가 증가할 수 있고, 제1 컬럼 라인(CL0)으로 제1 기준 신호(REF1)가 출력되는 속도가 증가할 수 있고, 제2 컬럼 라인(CL1)으로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되는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모드 트랜지스터(MX)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리셋 신호(SIG) 및 이미지 신호(SIG)가 출력되는 속도보다 제1 기준 신호(REF1) 및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되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기준 신호(REF1) 및 제2 기준 신호(REF2)는 제2 소스 팔로워(SF2) 및 제3 소스 팔로워(SF3)의 문턱 전압 차이로 인해 발생된 오프 셋을 제거하기 위해 생성하는 신호이므로, 이전에 출력되는 이미지 신호(SIG) 및 리셋 신호(RST)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1 기준 신호(REF1) 및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되는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이미지 데이터(ID)를 출력하는 속도도 빨라질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픽셀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 및 램프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동일한 로우에 배치되는 픽셀들은 동일한 제어 신호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5에 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설명에 대해 중복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에서, 제1 샘플링 제어 신호(SAMP1)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된 이후, 제1 축적 시간(TT1)동안 전송 제어 신호(TS)는 하이 레벨일 수 있다. 하이 레벨의 전송 제어 신호(TS)에 의해 전송 트랜지스터(TX)가 턴-온됨에 따라,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포토 다이오드(PD)에서 생성된 광전하가 축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의 전압은, 축적되는 전하량에 따라 픽셀 전압(VPIX)에서부터 감소할 수 있다.
리드-아웃 구간(ROP)에서, 제2 축적 시간(TT2)동안 전송 제어 신호(TS)는 하이 레벨일 수 있다. 이 때, 제2 축적 시간(TT2)은 리셋 제어 신호(RS)가 하이 레벨을 갖는 제2 리셋 시간(RT2)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제어 신호(TS)가 하이 레벨이더라도 플로팅 디퓨젼 노드(FD)는 리셋될 수 있고, 픽셀 전압(VPIX)일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된 제어 신호들이 제공되는 로우는 리드-아웃 구간(ROP)에서도 글로벌 셔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에 포함된 픽셀의 회로도이다. 동일한 로우에 배치되는 픽셀들은 동일한 제어 신호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도 3에서와 동일한 부호에 대해 중복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7을 참조하면, 픽셀(PXa)은 포토 다이오드(PD), 및 픽셀 신호들(PXS1, PXS2)를 생성하는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a)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a)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TX, RX, SF1, PCX, SAMP1, SAMP2, MX1, MX2, SF2, SF3, SX1, SX2), 제1 커패시터(C1a) 및 제2 커패시터(C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a) 및 제2 커패시터(C2a)에는 각각 리셋 동작에 따른 전하가 축적되거나, 광전하 축적 동작에 따른 전하가 축적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a)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들(TS, RS, PC, SAMPS1, SAMPS2, EN1, EN2, SELS1, SELS2)은 로우 드라이버(14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들(CSs) 중 일부일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a)는 제1 노드(N1)와 제3 노드(N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SAMP1)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1 커패시터(C1a)에 전하가 축적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a)의 제1 단자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고, 제1 커패시터(C1a)의 제2 단자는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에 연결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a)는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의 제1 단자에는 제1 커패시터(C1a)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의 제2 단자에는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는 제1 모드 제어 신호(EN1)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될 수 있으며, 제1 커패시터(C1a)의 제2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1 커패시터(C1a)의 제2 단자에는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되거나, 제1 커패시터(C1a)의 제2 단자가 플로팅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2a)는 제2 노드(N2)와 제3 노드(N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SAMP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2 커패시터(C2a)에 전하가 축적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2a)의 제1 단자는 제2 노드(N2)에 연결되고, 제2 커패시터(C2a)의 제2 단자는 제3 노드(N3)에 연결되는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에 연결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a)는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의 제1 단자에는 제2 커패시터(C2a)가 연결될 수 있고,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의 제2 단자에는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될 수 있다.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는 제2 모드 제어 신호(EN2)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될 수 있으며, 제2 커패시터(C2a)의 제2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2 커패시터(C2a)의 제2 단자에는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되거나, 제2 커패시터(C2a)의 제2 단자가 플로팅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픽셀(PXa)은 리셋 동작에 따른 전하가 저장되는 제1 커패시터(C1a), 전하 축적 동작에 따른 전하가 저장되는 제2 커패시터(C2a), 제1 커패시터(C1a)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 및 제2 커패시터(C2a)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 및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에서의 등가 커패시턴스가 변경될 수 있다. 리드아웃 구간(ROP)에서, 제1 기준 신호(REF1) 및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될 때의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를, 이미지 신호(SIG) 및 리셋 신호(RST)가 출력될 때의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보다 작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의 전압 세틀링 타임이 감소될 수 있고, 제1 컬럼 라인(CL0) 및 제2 컬럼 라인(CL1)으로 제1 기준 신호(REF1) 및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픽셀(PXb)은 포토 다이오드(PD), 및 픽셀 신호를 생성하는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b)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b)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들(TS, RS, PC, SAMPS1, SAMPS2, EN1b, EN2b, SELS1, SELS2)은 로우 드라이버(14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들(CSs) 중 일부일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b)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TX, RX, SF1, PCX, SAMP1, SAMP2, MX1b, MX2b, SF2, SF3, SX1, SX2), 제1 커패시터(C1b) 및 제2 커패시터(C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b) 및 제2 커패시터(C2b)에는 각각 리셋 동작에 따른 전하가 축적되거나, 광전하 축적 동작에 따른 전하가 축적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b)는 제1 노드(N1)와 제3 노드(N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SAMP1)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1 커패시터(C1b)에 전하가 축적될 수 있다. 제1 커패시터(C1b)의 제1 단자는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b)에 연결되고, 제1 커패시터(C1b)의 제2 단자는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되는 제3 노드(N3)에 연결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b)는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b)의 제1 단자는 제1 노드(N1)에 연결되고,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b)의 제2 단자는 제1 커패시터(C1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b)는 제1 모드 제어 신호(EN1b)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될 수 있으며,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b)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1 커패시터(C1b)와 제1 노드(N1)가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2b)는 제2 노드(N2)와 제3 노드(N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SAMP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2 커패시터(C2b)에 전하가 축적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2b)의 제1 단자는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b)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커패시터(C2b)의 제2 단자는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되는 제3 노드(N3)에 연결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b)는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b)의 제1 단자는 제2 노드(N2)에 연결되고,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b)의 제2 단자는 제2 커패시터(C2b)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b)는 제2 모드 제어 신호(EN2b)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될 수 있으며,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b)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2 커패시터(C2b)와 제2 노드(N2)가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픽셀(PXb)은 리셋 동작에 따른 전하가 저장되는 제1 커패시터(C1b), 전하 축적 동작에 따른 전하가 저장되는 제2 커패시터(C2b), 제1 커패시터(C1b)의 일 단에 연결되는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b) 및 제2 커패시터(C2b)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b) 및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b)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에서의 등가 커패시턴스가 변경될 수 있다. 리드아웃 구간(ROP)에서, 제1 기준 신호(REF1) 및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될 때의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를, 이미지 신호(SIG) 및 리셋 신호(RST)가 출력될 때의 상기 등가 커패시턴스보다 작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의 전압 세틀링 타임이 감소될 수 있고, 제1 컬럼 라인(CL0) 및 제2 컬럼 라인(CL1)으로 제1 기준 신호(REF1) 및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픽셀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 및 램프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9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5에 대한 설명에서와 동일한 설명에 대해 중복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픽셀(PXa, PXb)은 제1 커패시터(C1a, C1b)에 연결되는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 MX1b) 및 제2 커패시터(C2a, C2b)에 연결되는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 MX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 제어 신호(EN1, EN1b) 및 제2 모드 제어 신호(EN2, EN2b)는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에서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에서 제1 모드 제어 신호(EN1, EN1b) 및 제2 모드 제어 신호(EN2, EN2b)에 응답하여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 MX1b) 및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 MX2b)는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리드-아웃 구간(ROP) 중 리셋 신호(RST) 및 이미지 신호(SIG)가 출력되는 동안에, 제1 모드 제어 신호(EN1, EN1b) 및 제2 모드 제어 신호(EN2, EN2b)는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고,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 MX1b) 및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 MX2b)는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제1 샘플링 제어 신호(SAMP1)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되고, 제2 샘플링 제어 신호(SAMP2)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되면, 제1 모드 제어 신호(EN1, EN1b) 및 제2 모드 제어 신호(EN2, EN2b)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셋 제어 신호(RS)가 하이 레벨로 천이된 시점 전후로, 제1 모드 제어 신호(EN1, EN1b)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고, 제1 모드 전환 시간(ET1) 동안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리셋 제어 신호(RS)가 하이 레벨로 천이된 시점 전후로, 제2 모드 제어 신호(EN2, EN2b)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고, 제2 모드 전환 시간(ET2) 동안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세틀링 시간(ST1), 제2 세틀링 시간(ST2), 제1 모드 전환 시간(ET1) 및 제2 모드 전환 시간(ET2)은 서로 오버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로우 레벨의 제1 모드 제어 신호(EN1, EN1b)에 의해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 MX1b)는 턴-오프될 수 있고, 제1 노드(N1) 및 제3 노드(N3) 사이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로우 레벨의 제2 모드 제어 신호(EN2, EN2b)에 의해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 MX2b)는 턴-오프될 수 있고, 제2 노드(N2) 및 제3 노드(N3)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드(N1) 및 제2 노드(N2)에서의 등가 커패시턴스는 제1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보다 작아질 수 있고, 제2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보다 작아질 수 있다. 제1 컬럼 라인(CL0)으로 제1 기준 신호(REF1)가 출력되는 속도가 증가할 수 있고, 제2 컬럼 라인(CL1)으로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되는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제1 모드 트랜지스터(MX1, MX1b) 및 제2 모드 트랜지스터(MX2, MX2b)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리셋 신호(RST) 및 이미지 신호(SIG)가 출력되는 속도보다 제1 기준 신호(REF1) 및 제2 기준 신호(REF2)가 출력되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에 포함된 픽셀의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픽셀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 및 램프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2에서와 동일한 부호에 대해 중복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11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5에서와 동일한 부호에 대해 중복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10을 참조하면, 픽셀(PXc)은 포토 다이오드(PD), 및 픽셀 신호들(PXcS1, PXcS2)를 생성하는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c)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c)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TX, RX1, RX2, SF1, PCX, SAMP1, SAMP2, MX, SF2, SF3, SX1, SX2),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c)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들(TS, RS1, RS2, PC, SAMPS1, SAMPS2, EN, SELS1, SELS2)은 로우 드라이버(14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들(CSs) 중 일부일 수 있다.
픽셀 신호 생성 회로(PSCc)는 제1 리셋 트랜지스터(RX1) 및 제2 리셋 트랜지스터(RX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셋 트랜지스터(RX1) 및 제2 리셋 트랜지스터(RX2)는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축적된 전하를 리셋시킬 수 있다. 리셋 트랜지스터(RX1)의 제1 단자는 픽셀 전압(VPIX)이 인가될 수 있고, 리셋 트랜지스터(RX1)의 제2 단자는 제2 리셋 트랜지스터(RX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리셋 트랜지스터(RX2)의 제1 단자는 제1 리셋 트랜지스터(RX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리셋 트랜지스터(RX2)의 제2 단자는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리셋 트랜지스터(RX1) 및 제2 리셋 트랜지스터(RX2) 각각은 로우 드라이버(140)로부터 수신된 제1 리셋 제어 신호(RS1) 및 제2 리셋 제어 신호(RS2)에 응답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제1 리셋 트랜지스터(RX1) 및 제2 리셋 트랜지스터(RX2)가 모두 턴-온되면,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축적된 전하가 배출되어 플로팅 디퓨젼 노드(FD)가 리셋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에서 제1 리셋 제어 신호(RS1)는 제2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에서 제1 레벨(예를 들어, 하이 레벨)으로 천이되어 제1 리셋 시간(RT11)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글로벌 신호 덤핑 구간(GSDP)에서 제2 리셋 제어 신호(RS2)는 제2 레벨에서 제1 레벨로 천이되어 제1 리셋 시간(RT21)동안 제1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하이 레벨의 제1 리셋 제어 신호(RS1) 및 하이 레벨의 제2 리셋 제어 신호(RS2)에 의해 제1 리셋 트랜지스터(RX1) 및 제2 리셋 트랜지스터(RX2)가 턴-온될 수 있고, 플로팅 디퓨젼 노드(FD)는 리셋(리셋 동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리셋 제어 신호(RS1)의 제1 리셋 시간(RT11)과 제2 리셋 제어 신호(RS2)의 제1 리셋 시간(RT21)은 서로 오버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는 LCG(Low Conversion Gain, LCG) 모드 및 HCG(High Conversion Gain, HCG)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DCG(dual conversion gain, DCG)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LCG 모드에서는, 전송 제어 신호(TS)가 축적 시간(TT) 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할 때, 제2 리셋 제어 신호(RS2)가 하이 레벨일 수 있다. 제2 리셋 제어 신호(RS2)는 LCG 시간(LT) 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고, LCG 시간(LT)과 축적 시간(TT)은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광전하가 축적되는 동안 제2 리셋 트랜지스터(RX2)가 온되므로, 실질적으로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의 등가 커패시턴스가 증가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고, 포토 다이오드(PD)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이미지 신호(SIG)로 변환하는 변환 효율(conversion gain)이 감소될 수 있다. 다만,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의 등가 커패시턴스가 커질수록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상대적으로 많은 광 전하를 축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2 리셋 트랜지스터(RX2)의 제1 단자에는 추가 커패시터가 더 연결될 수 있고, 제2 리셋 트랜지스터(RX2)가 온될 때 상기 추가 커패시터와 플로팅 디퓨젼 노드(FD)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의 등가 커패시턴스가 증가될 수도 있다.
도 10에서는 이미지 센서가 LCG 모드로 동작할 때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나, 본 개시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미지 센서가 HCG 모드로 동작할 때, 전송 제어 신호(TS)가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축적 시간(TT) 동안, 제2 리셋 제어 신호(RS2)는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도 있다. HCG 모드에서는, 포토 다이오드(PD)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이미지 신호(SIG)로 변환하는 변환 효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고,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에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광 전하를 축적할 수 있다.
리드아웃 구간(ROP)에서 제1 리셋 제어 신호(RS1)가 제2 리셋 시간(RT12)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할 때, 제2 리셋 제어 신호(RS2)는 제2 리셋 시간(RT22) 동안 하이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하이 레벨의 제1 리셋 제어 신호(RS1) 및 하이 레벨의 제2 리셋 제어 신호(RS2)에 의해 제1 리셋 트랜지스터(RX1) 및 제2 리셋 트랜지스터(RX2)가 턴-온될 수 있고, 플로팅 디퓨젼 노드(FD)는 리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팅 디퓨젼 노드(FD)의 전압은 픽셀 전압(VPIX)으로 리셋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1 리셋 제어 신호(RS1)의 제2 리셋 시간(RT12)과 제2 리셋 제어 신호(RS2)의 제1 리셋 시간(RT22)은 서로 오버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복수의 픽셀들이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포토 다이오드;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축적하는 플로팅 디퓨젼 노드;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고, 리셋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저장하는 제1 커패시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광전하가 축적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저장하는 제2 커패시터; 및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각각에서의 등가 커패시턴스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노드의 전위 변화에 따른 제1 픽셀 신호를 제1 컬럼 라인으로 출력하는 제1 소스 팔로워; 및
    상기 제2 노드의 전위 변화에 따른 제2 픽셀 신호를 제2 컬럼 라인으로 출력하는 제2 소스 팔로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픽셀 어레이와 연결된 복수의 컬럼 라인들로부터 픽셀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픽셀 신호들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리드아웃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아웃 회로는,
    상기 제1 컬럼 라인에 연결되는 제1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 및 제1 아날로그 디지털 회로;
    상기 제2 컬럼 라인에 연결되는 제2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 및 제2 아날로그 디지털 회로; 및
    상기 제1 아날로그 디지털 회로 및 상기 제2 아날로그 디지털 회로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감산하는 감산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4. 제2 항에 있어서,
    제1 구간에서는, 상기 제1 컬럼 라인으로 리셋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리셋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컬럼 라인으로 상기 광전하가 축적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가 출력되고,
    제1 구간에 이후의 제2 구간에서는, 상기 제1 컬럼 라인으로 리셋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제1 기준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컬럼 라인으로 리셋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제2 기준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에서의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각각의 등가 커패시턴스는, 상기 제2 구간에서의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각각의 커패시턴스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제2 구간에서, 상기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가 턴-온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드 트랜지스터가 오프 되도록 상기 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로우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드 트랜지스터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와 연결되는 제3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드 트랜지스터의 제2 단자에는 픽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드 트랜지스터는 제1 모드 트랜지스터 및 제2 모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 트랜지스터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모드 트랜지스터의 제2 단자에는 픽셀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모드 트랜지스터의 제1 단자는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모드 트랜지스터의 제2 단자에는 상기 픽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드 트랜지스터는 제1 모드 트랜지스터 및 제2 모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 트랜지스터의 제1 단자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모드 트랜지스터의 제2 단자는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모드 트랜지스터의 제1 단자는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모드 트랜지스터의 제2 단자는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를 픽셀 전압으로 리셋시키고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리셋 트랜지스터 및 제2 리셋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하가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에 저장될 때, 상기 제1 리셋 트랜지스터는 오프되고, 상기 제2 리셋 트랜지스터는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12. 복수의 픽셀들이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포토 다이오드;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저장하는 플로팅 디퓨젼 노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를 픽셀 전압으로 리셋시키는 제1 리셋 트랜지스터;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위 변화를 증폭하여 출력 노드로 출력하는 제1 소스 팔로워;
    상기 출력 노드 및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
    상기 출력 노드 및 상기 제1 노드와 상이한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 및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모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일단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일단에 픽셀 전압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노드의 전위 변화에 따른 제1 픽셀 신호를 제1 컬럼 라인으로 출력하는 제2 소스 팔로워; 및
    상기 제2 노드의 전위 변화에 따른 제2 픽셀 신호를 제2 컬럼 라인으로 출력하는 제2 소스 팔로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14. 제13 항에 있어서,
    제1 구간에서는, 상기 제1 컬럼 라인으로 리셋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리셋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컬럼 라인으로 상기 광전하가 축적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가 출력되고,
    제1 구간에 이후의 제2 구간에서는, 상기 제1 컬럼 라인으로 리셋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제1 기준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2 컬럼 라인으로 리셋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제2 기준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상기 출력 노드를 프리차지하는 프리차지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드 트랜지스터는, 상기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3 노드에 픽셀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드 트랜지스터는 제1 모드 트랜지스터 및 제2 모드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 트랜지스터는 픽셀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3 노드 및 상기 제1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모드 트랜지스터는 픽셀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제3 노드 및 상기 제2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 및 상기 제1 리셋 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리셋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셋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등가 커패시턴스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는, 리셋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광전하가 축적된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압에 대응하는 전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20. 복수의 픽셀들이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포토 다이오드;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서 생성된 광전하를 플로팅 디퓨젼 노드로 전달하는 전송 트랜지스터;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를 픽셀 전압으로 리셋시키는 리셋 트랜지스터;
    상기 플로팅 디퓨젼 노드의 전위 변화를 증폭하여 출력 노드로 출력하는 제1 소스 팔로워;
    상기 출력 노드를 프리자지하는 프리차지 트랜지스터;
    상기 출력 노드 및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샘플링 트랜지스터;
    상기 출력 노드 및 상기 제1 노드와 상이한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샘플링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 및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 및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제3 노드에 픽셀 전압을 인가하는 모드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의 전위 변화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소스 팔로워;
    상기 제2 소스 팔로워에 연결되고, 제1 픽셀 신호를 제1 컬럼 라인으로 출력하는 제1 선택 트랜지스터;
    상기 제2 노드의 전위 변화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3 소스 팔로워; 및
    상기 제3 소스 팔로워에 연결되고, 제2 픽셀 신호를 제2 컬럼 라인으로 출력하는 제2 선택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KR1020200108541A 2020-08-27 2020-08-27 이미지 센서 KR20220027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541A KR20220027552A (ko) 2020-08-27 2020-08-27 이미지 센서
US17/396,320 US11509851B2 (en) 2020-08-27 2021-08-06 Image sensor
JP2021137814A JP2022040074A (ja) 2020-08-27 2021-08-26 イメージセン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541A KR20220027552A (ko) 2020-08-27 2020-08-27 이미지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552A true KR20220027552A (ko) 2022-03-08

Family

ID=8035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541A KR20220027552A (ko) 2020-08-27 2020-08-27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09851B2 (ko)
JP (1) JP2022040074A (ko)
KR (1) KR202200275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2657A (ja) * 2018-08-24 2021-11-25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CN114205543A (zh) * 2020-09-18 2022-03-18 三星电子株式会社 图像传感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7943A (en) * 2011-02-09 2012-08-15 St Microelectronics Res & Dev A CMOS pixel sensor with local analogue storage in each pixel circuit for capturing frames in quick succession
JP6299544B2 (ja) 2014-09-24 2018-03-2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固体撮像装置
US9843757B2 (en) 2015-06-24 2017-12-12 Stmicroelectronics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Optical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nhanced global shutter pixel array and related methods
FR3039319B1 (fr) * 2015-07-24 2018-06-15 Pyxalis Capteur d'image a pixels actifs avec fonctionnement en mode d'obturateur global, soustraction du bruit de reinitialisation et lecture non destructive
JP6655922B2 (ja) 2015-09-15 2020-03-04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固体撮像装置
US9654712B2 (en) 2015-10-07 2017-05-16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Pixels with a global shutter and high dynamic range
WO2017222962A1 (en) * 2016-06-21 2017-12-28 SeeSca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niquely identifying buried utilities in a multi-utility environment
JP6968797B2 (ja) 2016-07-28 2021-11-17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素子
US10021334B2 (en) 2016-08-29 2018-07-10 Stmicroelectronics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Pixel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7888807B (zh) 2016-09-29 2020-07-24 普里露尼库斯股份有限公司 固体摄像装置、固体摄像装置的驱动方法以及电子设备
US10535695B2 (en) * 2018-03-13 2020-01-14 Stmicroelectronics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Stacked wafer arrangement for global shutter pixels utilizing capacitive deep trench isolations
US10250832B1 (en) * 2018-05-02 2019-04-02 Smartsens Technology (Cayman) Co., Ltd. Stacked rolling shutter and global shutter image sensor with knee self point calibration
JP2019213174A (ja) 2018-06-09 2019-12-12 株式会社モザイクデザイン 固体撮像装置
KR20210156467A (ko) * 2020-06-18 2021-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CN114205543A (zh) * 2020-09-18 2022-03-18 三星电子株式会社 图像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70400A1 (en) 2022-03-03
JP2022040074A (ja) 2022-03-10
US11509851B2 (en)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7380B2 (ja) Cmosイメージセンサー
CN108470742B (zh) Hdr图像传感器像素结构及成像系统
EP1271930B1 (en) Image sensing apparatus capable of outputting image with converted resolution, its control method, and image sensing system
KR100574891B1 (ko) 클램프 회로를 갖는 이미지센서
KR102618490B1 (ko) 이미지 센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15664B1 (ko) Led 플리커 완화 기능을 가지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US11792540B2 (en) Image sensor
KR20070047225A (ko) 물리량 검출 장치 및 촬상 장치
KR20100115603A (ko)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방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10574917B2 (en) Pixel output level control device and CMOS image sensor using the same
EP3799422A1 (en) Image senso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27552A (ko) 이미지 센서
US6346696B1 (en) Image sensor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8692918B2 (en) CMOS image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20118348A (ko) 이미지 센서,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들의 제조 방법
TW200822696A (en) Image sens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10979657B2 (en) Image sensor circuit with reduced noise interfer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4043078A1 (en) Digital pixel sensor with anti-blooming control
US20210084245A1 (en) Image sensor
EP3461119B1 (en) Pixel to pixel copier systems and methods
KR20220082566A (ko) 이미지 센서
KR101867344B1 (ko) 픽셀의 구동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cmos 이미지센서
KR20220037930A (ko) 이미지 센서
KR20140126871A (ko) 컬럼 미스매치를 보상하는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20180007716A (ko) 픽셀 신호 리드아웃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