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527A -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527A
KR20220027527A KR1020200108500A KR20200108500A KR20220027527A KR 20220027527 A KR20220027527 A KR 20220027527A KR 1020200108500 A KR1020200108500 A KR 1020200108500A KR 20200108500 A KR20200108500 A KR 20200108500A KR 20220027527 A KR20220027527 A KR 20220027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tegrated
unit
wireless communica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688B1 (ko
Inventor
박혜린
전성열
김지효
이복수
배석모
이용환
정지훈
박근범
정돈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한국아이티오 주식회사
주식회사 파이어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한국아이티오 주식회사, 주식회사 파이어독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지트에너지
Priority to KR1020200108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6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17C13/045Automatic change-over switching assembly for bottled gas systems with two (or more) gas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8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volum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17C7/04Discharging liquefied gases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5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elongated articles in an upright position, e.g. sparking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3Control means
    • F17C2250/034Control means using wireless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절체기와 무선 통신 단말기가 하나의 장치로 통합되고, 가스 절체기와 무선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생략되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는,
제1 가스용기와 제2 가스용기에 결합되어 수용가 내 가스공급을 순차적으로 결정하고 가스공급 절체시 절체신호를 생성하는 절체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절체부; 상기 절체부와 결합 형성되고, 상기 절체 신호라인이 삽입되며, 삽입된 상기 절체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절체 신호라인으로부터 절체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Integrated gas switcher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가스 절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절체기와 무선 통신 단말기가 하나의 장치로 통합되고, 가스 절체기와 무선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생략되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재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뿐,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LPG 가스의 공급방식이 중량 거래방식에서 체적 거래방식으로 전환됨에 따라, 각 수용가마다 2 이상의 가스용기와 이들 가스용기에 의한 가스공급을 자동으로 전환하는 가스 절체기와 가스의 사용량을 계량하는 가스 계량기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LPG 가스의 체적 거래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가스 공급자가 각 수용가 별 가스용기 절체 시점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는데, 수용가별 가스 소비량이 일정하지 않고 또한 단위시간당 사용량도 매우 불특정하기 때문에 판매업자가 정한 스케줄에 따라 모든 수용가의 가스용기 교체시점을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합리하므로, 각 수용가에서 가스용기의 절체가 일어날 때마다 전기적 접점신호가 발생되게 하고 이러한 전기적 접점신호는 가스 절체기(1)와 별도로 마련된 외부의 통신 단말기(2)를 거쳐서 관리 서버(3)로 전송되게 하여, 가스 공급자가 해당 수용가의 빈 LPG 가스용기를 충전된 용기로 즉시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가스 공급 과정에서 가스 절체기(1)와 통신 단말기(2)가 각각 개별 장치로 마련되어 시공시에는 시공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별개의 개별 장치이므로 각각에 대해 별도의 관리를 하여야 하므로 이중으로 비용 및 인력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45084호
본 발명은 가스 절체기와 무선 통신 단말기가 하나의 장치로 통합되고, 가스 절체기와 무선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생략되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는,
제1 가스용기와 제2 가스용기에 결합되어 수용가 내 가스공급을 순차적으로 결정하고 가스공급 절체시 절체신호를 생성하는 절체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절체부; 상기 절체부와 결합 형성되고, 상기 절체 신호라인이 삽입되며, 삽입된 상기 절체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절체 신호라인으로부터 절체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에 있어서, 상기 절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가스용기가 연결되는 구조를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돌출 돌기에 끼워지며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수동 레버와, 상기 제1 및 제2 가스용기를 자동으로 절체하기 위한 유닛들이 형성되고 자동으로 절체한 결과를 표시하는 절체 표시유닛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상기 절체 표시유닛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절체 신호라인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절체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윈도우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인서트를 포함하는 통신부 하우징과, 상기 제2 윈도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3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보드가 고정 배치되는 제2 기판과, 상기 통신부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을 밀폐시키고 상기 제3 윈도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4 윈도우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에 있어서, 상기 절체부와 상기 통신부는 하나의 통합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통합 하우징 내부의 각종 상황 정보를 감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단말부가 추가로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부는, 상기 통합 하우징 내부의 각종 상황을 감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기설정된 정상 상태 범위와 비교하여 정상 상태 범위를 벗어나면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이상판단모듈과, 상기 이상판단모듈로부터 이상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센서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의 감지 주기를 원래의 제1 감지 주기 보다 짧은 제2 감지 주기로 변경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에 있어서, 상기 통합 하우징에는 빗물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상부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에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유입구 마개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하부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마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마개 및 배출구 마개는 상기 절체부에서 생성된 절체신호와 연계하여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으로 낙하하지 않은 빗물이 상기 통합 하우징 상면 표면을 타고 상기 수용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부위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빗물유입 차단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신부는 절체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절체부와 통신부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생략될 수 있므로, 시공시에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비로 관리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가스 절체기에 의한 가스 공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 및 이에 의한 가스 공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의 절체부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의 통신부 하우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의 하우징 형상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이하, 일체형 가스 절체기라 함) 및 이에 의한 가스 공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10)는 가스공급 절체시 절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절체신호를 외부의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일체형 가스 절체기(10)는 절체부(100)와 통신부(200)를 포함하며, 절체부(100)와 통신부(200)는 물리적으로는 분리 제조되나 서로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절체부(100)와 통신부(200)의 하우징 형상이 상호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결합 가능하며, 본 명세서에서 이를 “일체형”으로 정의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일체형은 반드시 하나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체형 가스 절체기(10)는 하나의 장치로 가스 절체 기능을 수행하면서, 절체 신호를 외부의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절체부(100)는 2개의 가스용기 중 하나의 가스용기에서 다른 가스용기로 가스공급이 전환될 때마다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중인 가스용기(G1)에서 가스를 공급하고 있다가 가스용기(G1)의 가스가 모두 사용되었을 때 절체부(100)는 가스용기(G2)에서 가스가 공급되도록 가스공급 경로를 바꾸게 된다.
이 때, 가스용기(G1)에서 가스가 공급되고 있을 때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가 가스공급 경로가 가스용기(G1)에서 가스용기(G2)로 바뀌면 절체부(100)에서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가스 공급자가 이 신호를 수신하여 가스용기(G1)를 교체시킨 다음 절체부를 초기화시키면 다시 "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우"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전환되는 신호를 절체신호라 한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통신부(200)는 절체부(100)에서 생성된 절체신호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20)는 가스 공급자 측에 마련된 단말 장치로서, 관리 서버(20)에 절체신호가 수신되면, 가스 공급자는 만충된 새로운 가스용기를 수용가로 수송하여 가스용기(G1)를 교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200)는 절체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절체부(100)와 통신부(200)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시공시에는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비로 관리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의 절체부가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의 통신부 하우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10)는, 절체부(100)와 통신부(200)를 포함한다.
절체부(100)는 베이스(110), 수동 레버(120), 제1 기판(130), 절체부 하우징(140)을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절체부(100)와 가스용기(G1, G2)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일체형 가스 절체기(10)와 가스용기(G1, G2)가 연결되도록 한다.
수동 레버(120)는 베이스(110)에 형성된 돌출 돌기(111)에 끼워지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수동 레버(120)는 가스공급 경로를 수동으로 전환할 때 사용된다. 즉, 가스 공급자가 사용이 완료된 가스용기를 만충된 새로운 가스용기로 교체한 후, 수동 레버(120)를 새로운 가스용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용가에는 새로운 가스용기의 가스가 공급된다.
제1 기판(130)에는 가스용기를 자동으로 절체하기 위한 유닛들이 형성된다. 자동 절체 유닛은 두 가스용기 내의 가스의 압력을 입력 받아서 압력이 높은 가스용기 쪽으로 자동으로 절체한다. 자동 절체 유닛이 자동으로 절체하면, 그 결과는 절체 표시유닛(131)을 통해 표시된다. 절체 표시유닛(131)은 2가지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가스용기(G1)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가스용기(G1)의 압력이 가스용기(G2)의 압력 보다 높아서 절체가 되지 않은 경우, 절체 표시유닛(131)은 흰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스용기(G1)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가스용기(G1)의 압력이 가스용기(G2)의 압력 보다 낮아서 절체된 경우, 절체 표시유닛(131)은 빨간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자동 절체된 경우라도, 수동 레버(120)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동 레버(120)가 가스용기(G1) 쪽인 상태에서 절체 표시유닛(131)이 흰색을 표시하면, 가스 공급자는 현재 가스용기(G1)가 계속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동 레버(120)가 가스용기(G1) 쪽인 상태에서 절체 표시유닛(131)이 빨간색을 표시하면, 가스 공급자는 가스용기(G1)에서 절체되어 가스용기(G2)가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가스용기(G1)는 교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30)에는 절체 신호라인(132)이 형성된다. 절체 신호라인(132)은 가스용기(G1, G2)의 절체에 대한 정보, 즉, "로우" 또는 "하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절체 신호라인(132)은 커넥터(14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절체부 하우징(140)은 절체부(100)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수용된 부품들을 보호한다. 절체부 하우징(140)은 절체 표시유닛(13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윈도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윈도우(141)는 뚫려 있는 관통홀이거나, 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윈도우(141)는 절체 표시유닛(131)의 표시 내용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절체부 하우징(140)은 절체 신호라인(13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커넥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42)에는 절체 신호라인(132)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통신부(200)는 통신부 하우징(210), 통신보드(220), 제2 기판(230), 커버(240)를 포함한다.
통신부 하우징(210)은 통신부(200)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수용된 부품들을 보호한다. 통신부 하우징(210)은 제1 윈도우(14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윈도우(211)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 하우징(210)은 커넥터(14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인서트(2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42)는 인서트(2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인서트(212)의 전방에는 통신보드(220)가 배치된다. 통신보드(220)는 제2 기판(230)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절체 신호라인(132)은 커넥터(142) 및 인서트(212)를 관통하여 통신보드(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보드(22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보드(220)는 무선 통신칩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근거리 원거리 여부는 불문한다. 무선 통신칩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와이파이일 수 있으며,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3G, LTE와 같은 이동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게이트 웨이와 같은 통신 중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체 신호라인(132)의 신호는 무선 통신칩을 통해 외부의 관리 서버(2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기판(230)은 제2 윈도우(21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3 윈도우(23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40)는 통신부 하우징(210)의 개방된 전면을 밀폐시켜서 내부의 부품들을 보호한다. 커버(240)는 제3 윈도우(23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4 윈도우(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윈도우 ~ 제4 윈도우는 모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이거나, 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체 표시유닛(131)의 표시 내용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 하우징(210)과 커버(240) 사이에는 방수링(R)이 형성되어,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가스 절체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B는 배터리이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가스 절체기의 하우징 형상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일체형 가스 절체기(10a)는 하나의 통합 하우징(H) 내부에 절체부(100)와 통신부(200)와 모니터링 단말부(300)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절체부(100)와 통신부(200)는 하나의 통합 하우징(H) 내에 수용되는 점을 제외하고, 그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200)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00)는 절체부(100), 모니터링 단말부(300), 및 외부의 관리 서버(20)와 통신 연결되어 절체부(100)에서 생성된 절체신호와 모니터링 단말부(300)에서 생성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모니터링 단말부(300)는 통합 하우징(H) 내부의 각종 상황 정보를 감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모니터링 단말부(300)는 통합 하우징(H) 내부의 각종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일체형 가스 절체기(1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단말부(300)는 센서모듈(310)과, 이상판단모듈(320)과, 저장모듈(330)과, 제어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310)은 통합 하우징 내부의 각종 상황을 감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한다. 센서모듈(310)은 온도 센서(311), 연기 센서(312), 가스 센서(313), 수위 센서(314)를 포함한다. 상기의 센서들은 모니터링 단말부(3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통합 하우징(H) 내부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311)는 밀폐된 통합 하우징(H)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일체형 가스 절체기(10a)의 이상 고온 여부 판단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즉, 온도 센서(311)는 일체형 가스 절체기(10a)의 화재 발생 가능성 판단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연기 센서(312)는 화재 발생에 의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의 발생 이전에 보다 빨리 사고를 발견하는 화재 감지기의 일종으로, 이온식과 광식(光式)이 있으며, 이온식은 연소 생성 입자를 이온 전류의 변화로 포착하는 방식이고, 광식은 연기에 의한 광속의 변화로 감지하는 방식이다. 연기 센서(312)는 통합 하우징(H) 내부에 배치되어 일체형 가스 절체기(10a)의 화재 발생 여부 판단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연기 센서(312)는 통합 하우징(H) 외부에 배치되어 수용가의 화재 발생 여부 판단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가스 센서(313)는 가스용기(G1, G2)에서의 가스 누설 여부 판단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가스 센서(313)는, 반도체식, 접촉 연소식, 열전도 도식 등 다양한 방식의 LPG 센서일 수 있다.
수위 센서(314)는 통합 하우징(H)으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을 측정하여 수용가의 정확한 강수량 정보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하우징(H)에는 빗물이 수용되는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수용홈(11)에 수용된 빗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314)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1)은 통합 하우징(H) 상면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통합 하우징(H) 상면에서 수용홈(11)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빗물유입 차단돌기(12)가 형성될 수 있다. 빗물유입 차단돌기(12)는 수용홈(11)으로 낙하하지 않은 빗물이 통합 하우징(H) 상면 표면을 타고 수용홈(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강수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수용홈(11)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 형상의 수용홈(11) 상부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유입구에는 유입구 마개(13)가 형성된다. 수용홈(11) 하부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배출구에는 배출구 마개(14)가 형성된다.
유입구 마개(13)는 절체부(100)에서 절체신호가 생성되면 제어모듈(340)의 제어에 의해 오픈되어 유입구를 오픈시킨다. 예를 들어, 가스용기(G1)에서 가스가 공급되는 "로우" 신호 출력시에는 유입구 마개(13)는 유입구를 밀폐시키고, 가스공급 경로가 가스용기(G1)에서 가스용기(G2)로 바뀌는 "하이" 신호 출력시에는 유입구 마개(13)는 유입구를 개방시켜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가스 공급자가 가스용기(G1)를 교체시킨 다음 절체부를 초기화시켜서 "로우"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모듈(340)의 제어에 의해 유입구 마개(13)는 유입구를 밀폐시키도록 동작한다.
또한, 배출구 마개(14)는 가스용기(G1)에서 가스가 공급되는 "로우" 신호 출력시에는 배출구를 밀폐시키고, 가스 공급자가 가스용기(G1)를 교체시킨 다음 절체부를 초기화시켜서 "로우"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모듈(340)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시간 동안 배출구를 오픈시켜서 수용홈(11)에 수용된 빗물이 제거되도록 동작한다. 배출구 마개(14)에 의한 배출구 밀폐 시기는 수위 센서(314)에 의해 측정된 수위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유입구 마개(13) 및 배출구 마개(14)는 평상시에는 수용홈(11)을 밀폐시키도록 수용홈(11)의 상하부를 닫는 상태이나, 가스용기 교체시에 각각의 개방 동작이 제어되어 수용가의 정확한 강수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위 센서(314)는 가스용기 절체시의 수용가의 정확한 강수량 정보를 관리 서버(20)로 제공하여 가스 공급자로 하여금 정확한 날씨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가스용기 교환시 발생할 수 있는 불측의 상황을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날씨 정보를 참조할 수 있으나, 기상청 날씨 정보는 국소적으로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자체적으로 정확한 날씨 정보를 제공하여 가스 공급자의 작업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판단모듈(320)는 정상 상태의 온도 범위, 연기 농도 또는 밀도, 가스 농도 또는 밀도와 온도 센서(311)에서 감지된 온도, 연기 센서(312)에서 감지된 연기 농도 또는 밀도, 가스 센서(313)에서 감지된 가스 농도 또는 밀도를 비교하여 정상 상태의 범위를 벗어나면 이상 상태로 판단한다. 이상 상태로 판단되면, 이상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20)로 제공하여 가스 공급자로 하여금 일체형 가스 절체기(10a)의 이상 여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상판단모듈(320)는 이상 상태 정보를 제어모듈(340)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제어모듈(340)는 각종 센서들(311 ~ 314)의 감지 주기를 원래의 제1 감지 주기 보다 짧은 제2 감지 주기로 변경하여 일체형 가스 절체기(10a)의 이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311)의 평상시 감지 주기가 1분인 경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정상 상태 범위를 벗어나면 감지 주기를 5초로 변경하여 실시간으로 온도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저장모듈(33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모니터링 단말부(3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모듈(33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330)는 센서모듈(310)에서 감지 생성된 하우징 내부의 각종 상황 정보를 감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모듈(340)는 모니터링 단말부(3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모듈(340)은 센서모듈(310), 이상판단모듈(320), 저장모듈(33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340)는 이상판단모듈(320)로부터 이상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각종 센서들(311 ~ 314)의 감지 주기를 원래의 제1 감지 주기 보다 짧은 제2 감지 주기로 변경한다. 또한, 제어모듈(340)는 절체부(100)에서 생성된 절체신호와 연계하여 수용홈(11)의 유입구 마개(13) 및 배출구 마개(14)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10a : 일체형 가스 절체기 20 : 관리 서버
100 : 절체부 200 : 통신부
300 : 모니터링 단말부

Claims (7)

  1. 제1 가스용기와 제2 가스용기에 결합되어 수용가 내 가스공급을 순차적으로 결정하고 가스공급 절체시 절체신호를 생성하는 절체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절체부;
    상기 절체부와 결합 형성되고, 상기 절체 신호라인이 삽입되며, 삽입된 상기 절체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신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절체 신호라인으로부터 절체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가스용기가 연결되는 구조를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돌출 돌기에 끼워지며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수동 레버와,
    상기 제1 및 제2 가스용기를 자동으로 절체하기 위한 유닛들이 형성되고 자동으로 절체한 결과를 표시하는 절체 표시유닛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상기 절체 표시유닛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절체 신호라인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절체부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윈도우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인서트를 포함하는 통신부 하우징과,
    상기 제2 윈도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3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보드가 고정 배치되는 제2 기판과,
    상기 통신부 하우징의 개방된 전면을 밀폐시키고 상기 제3 윈도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4 윈도우를 포함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부와 상기 통신부는 하나의 통합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통합 하우징 내부의 각종 상황 정보를 감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니터링 단말부가 추가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부는,
    상기 통합 하우징 내부의 각종 상황을 감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에서 감지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기설정된 정상 상태 범위와 비교하여 정상 상태 범위를 벗어나면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이상판단모듈과,
    상기 이상판단모듈로부터 이상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센서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의 감지 주기를 원래의 제1 감지 주기 보다 짧은 제2 감지 주기로 변경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합 하우징에는 빗물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상부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에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유입구 마개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하부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마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마개 및 배출구 마개는 상기 절체부에서 생성된 절체신호와 연계하여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으로 낙하하지 않은 빗물이 상기 통합 하우징 상면 표면을 타고 상기 수용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부위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빗물유입 차단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KR1020200108500A 2020-08-27 2020-08-27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KR102380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500A KR102380688B1 (ko) 2020-08-27 2020-08-27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500A KR102380688B1 (ko) 2020-08-27 2020-08-27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527A true KR20220027527A (ko) 2022-03-08
KR102380688B1 KR102380688B1 (ko) 2022-03-31

Family

ID=8081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500A KR102380688B1 (ko) 2020-08-27 2020-08-27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6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588U (ko) * 1997-03-26 1998-11-05 윤충국 가스자동절환장치
KR20010045084A (ko) 1999-11-02 2001-06-05 하명현 가스 원격 검침 절체 경보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304488B1 (ko) * 2013-01-18 2013-09-06 남지현 수위제어식 강수량계
KR102014752B1 (ko) * 2017-11-29 2019-08-27 (주)우진코리센 가스 절체기의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48675B1 (ko) * 2017-10-31 2019-11-26 (주)에어릭스 공정 시스템 부생가스 배관의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588U (ko) * 1997-03-26 1998-11-05 윤충국 가스자동절환장치
KR20010045084A (ko) 1999-11-02 2001-06-05 하명현 가스 원격 검침 절체 경보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304488B1 (ko) * 2013-01-18 2013-09-06 남지현 수위제어식 강수량계
KR102048675B1 (ko) * 2017-10-31 2019-11-26 (주)에어릭스 공정 시스템 부생가스 배관의 가스누출 감시 시스템
KR102014752B1 (ko) * 2017-11-29 2019-08-27 (주)우진코리센 가스 절체기의 원격 검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688B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732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magnetic valve associated to a gas meter
US9859580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indicating undesirable constituents in a fuel cell system
CA2595120C (en) Modular system and apparatus for testing gas detectors
US20050212688A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based supplemental service meter gateway and casing structure thereof,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KR102380688B1 (ko)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가스 절체기
IT201900006012A1 (it) Dispositivo per la lettura ed il controllo dell’erogazione di gas, provvisto di funzioni di sicurezza.
KR102273840B1 (ko)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합형 가스 절체기
CN113110240A (zh) 一种油品运输智能化管理系统
CN206945915U (zh) 一种sf6气体密度继电器校验仪
JPH0817542A (ja) 防水型コネクタの気密検査装置
JPH1114542A (ja) 油種判別装置
GB2613167A (en) A valve sensor for a subterranean water pipe valve operated by a key
KR100922587B1 (ko) 밀폐용기 누설검사장치
JP3421980B2 (ja) ガス漏洩検出装置
JP2001255190A (ja) ガスメータおよび光無線通信装置
KR101962650B1 (ko) 급유장치
JPS61262298A (ja) ガスボンベ給配検知システム
CN110796793A (zh) 一种蒸汽流量监控热网系统以及蒸汽流量的监控方法
CN214586493U (zh) 一种油品运输智能化管理系统
KR100604642B1 (ko) 고장 감지 시스템
CN213204302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消火栓及其物联网系统
KR102581194B1 (ko) 밸브 안전 잠금장치
JPH0829289A (ja) ガス漏洩監視装置
KR102331966B1 (ko) 통합형 제어보드가 구비된 버스정보 안내 단말기
JP2008064549A (ja) マイコンガスメ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