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108A -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108A
KR20220027108A KR1020220016044A KR20220016044A KR20220027108A KR 20220027108 A KR20220027108 A KR 20220027108A KR 1020220016044 A KR1020220016044 A KR 1020220016044A KR 20220016044 A KR20220016044 A KR 20220016044A KR 20220027108 A KR20220027108 A KR 20220027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bot
cable
vehicle trunk
robo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2341B1 (ko
Inventor
홍태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6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3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91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 B60P1/542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attached to the loading platform or similar
    • B60P1/543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with a fixed base attached to the loading platform or similar and having the first pivot on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non-adjustable and non-inclinable jibs mounted solely for slewing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는: 차량 트렁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차량 트렁크의 내외측으로 회동가능한 작동부와, 작동부에 탈부착가능하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차량 트렁크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지면에 착지되는 로봇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TRANSPORTION ROBOT DEVICE OF VEHICLE TRUNK LOADING TYPE}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성이 향상되어 휴대하기가 편리한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송로봇은 노약자 및 근로자 등 사용자의 짐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로봇으로, 일정한 장소에 배치되어 사용되며 휴대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원거리 지역까지 휴대하여 사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6701호(발명의 명칭: 김종화, 공개일: 2015.06.17.)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성이 향상되어 휴대하기가 편리한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는: 차량 트렁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에 탈부착가능하며,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차량 트렁크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지면에 착지되는 로봇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차량 트렁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차량 트렁크의 내외측으로 회동되는 회동프레임부; 및 상기 회동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케이블플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회동프레임부가 상기 차량 트렁크의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봇부는, 상기 케이블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로봇몸체와, 상기 제1로봇몸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로봇몸체를 구비하는 로봇몸체부;상기 제1로봇몸체의 일측면과 상기 제2로봇몸체의 일측면을 결합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2로봇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봇부는 상기 힌지부를 회동시키는 힌지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동프레임부가 외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힌지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제1로봇몸체와 상기 제2로봇몸체 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봇부는 상기 제1로봇몸체와 상기 제2로봇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봇몸체와 상기 제2로봇몸체 간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플러부는, 상기 회동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케이블구동부; 및 상기 케이블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케이블플러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구동부는 상기 로봇부가 상기 회동프레임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차량 트렁크의 외측에 배치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케이블플러본체는 상기 케이블구동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케이블을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플러본체에 감긴 케이블와이어; 및 상기 케이블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로봇몸체에는 상기 케이블추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봇부는 상기 제1로봇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여 상기 케이블추를 탈부착시키는 조리개형상의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퀴부가 지면에 닿으면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고, 상기 케이블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케이블플러본체에 상기 케이블와이어를 감아져 상기 케이블추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는 로봇부가 접힌 상태로 차량 트렁크의 내부에 보관되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된 후 접힌 상태가 펼쳐지면서 지면에 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휴대성이 향상되어 휴대하기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힌지부가 작동되어 제1로봇몸체와 제2로봇몸체간의 간격을 넓어지므로, 로봇부가 서서히 지면에 닿아 착지될 수 있어, 로봇부가 지면에 착지하면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봇부에는 제1로봇몸체와 제2로봇몸체 사이에 완충부가 설치되므로, 로봇부가 지면에 착지될 때 제1로봇몸체와 제2로봇몸체 간의 충격을 완충하여 제1로봇몸체와 제2로봇몸체가 서로 접촉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봇부에는 조리개형상으로 삽입부를 개폐하여 케이블추를 탈부착시킴으로써, 로봇부가 케이블부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동프레임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케이블플러부의 작동으로 케이블이 풀리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힌지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힌지부가 회동되어 제1로봇몸체와 제2로봇몸체 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로봇부가 지면에 착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케이블플러부의 작동으로 케이블이 풀리는 동시에 힌지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힌지부가 회동되어 제1로봇몸체와 제2로봇몸체 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로봇부가 착지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로봇부의 착지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동프레임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케이블플러부의 작동으로 케이블이 풀리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힌지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힌지부가 회동되어 제1로봇몸체와 제2로봇몸체 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로봇부가 지면에 착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케이블플러부의 작동으로 케이블이 풀리는 동시에 힌지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힌지부가 회동되어 제1로봇몸체와 제2로봇몸체 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로봇부가 착지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로봇부의 착지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1)는 작동부(100)와 로봇부(200)를 포함한다. 작동부(100)는 차량 트렁크(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주변에 설치된 작동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제어부(300)에 의해 차량 트렁크(10)가 개방되고, 작동부(100)가 작동된다. 작동부(100)는 차량 트렁크(10)의 외측으로 회동되어 로봇부(200)가 지면에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로봇부(200)는 작동부(100)에 탈부착가능하며, 작동부(100)의 작동에 의해 차량 트렁크(1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지면에 착지된다. 로봇부(200)는 접힌 상태로 차량 트렁크(10)의 내부에 보관되며, 작동부(100)의 작동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된 후 접힌 상태가 펼쳐지면서 지면에 착지된다. 이때, 로봇부(200)는 추종 운송로봇일 수 있다.
작동부(100)는 구동부(110), 회동프레임부(120) 및 케이블플러부(130)를 포함한다. 구동부(110)는 차량 트렁크(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구동부(110)는 전기를 이용한 모터로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차량 트렁크(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회동프레임부(120)는 구동부(110)의 작동에 의해 차량 트렁크(10)의 내외측으로 회동된다. 회동프레임부(120)는 구동부(110)의 축부에 설치되며, 구동부(110)의 회동에 의해 연동되어 수평방햐응로 회동될 수 있다(도 3 참조).
케이블플러부(130)는 회동프레임부(120)에 설치되며, 케이블(140)을 감거나 푼다. 케이블플러부(130)는 케이블구동부(131)와 케이블플러본체(132)를 포함한다. 케이블구동부(131)는 모터로 회동프레임부(120)에 설치된다. 케이블플러본체(132)는 케이블구동부(131)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어 케이블(140)을 감거나 푼다.
케이블구동부(131)는 로봇부(200)가 차량 트렁크(10)의 외측에 배치되면, 제어부(300)에 의해 설정방향으로 회동되고, 케이블플러본체(132)는 케이블구동부(1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어 케이블(140)을 푼다. 예를 들어, 케이블구동부(131)가 시계방향으로(도 4 기준) 회동되면, 케이블플러본체(132)는 케이블구동부(1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케이블(140)이 풀어진다. 반대로, 케이블구동부(131)가 반시계방향으로(도 4 기준) 회동되면, 케이블플러본체(132)는 케이블구동부(1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케이블(140)이 감아진다.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1)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구동부(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구동부(110)를 작동시켜 회동프레임부(120)가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10)가 제어부(300)에 의해 설정방향으로 회동되면, 회동프레임부(120)는 차량 트렁크(10)의 외측으로 회동된다. 구동부(110)가 제어부(300)에 의해 설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 회동프레임부(120)는 차량 트렁크(10)의 내측으로 회동된다. 예를 들어, 구동부(110)가 시계방향으로(도 3 기준) 회동되면, 회동프레임부(120)는 차량 트렁크(10)의 외측으로 회동된다. 반대로, 구동부(110)가 반시계방향으로(도 3 기준) 회동되면, 회동프레임부(120)는 차량 트렁크(10)의 내측으로 회동된다(도 3 참조).
로봇부(200)는 로봇몸체부(210), 힌지부(220) 및 바퀴부(230)를 포함한다. 로봇몸체부(210)는 제1로봇몸체(211)와 제2로봇몸체(212)를 구비한다. 제1로봇몸체(211)는 판 형상으로 케이블(140)에 탈부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로봇몸체(212)는 제1로봇몸체(2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로봇몸체(212)는 상자 형상으로 내부에 바퀴부(23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힌지부(220)는 제1로봇몸체(211)의 일측면과 제2로봇몸체(212)의 일측면을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제1로봇몸체(211)의 일측면과 제2로봇몸체(212)의 일측면이 힌지부(22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황에 따라 로봇몸체부(210)가 용이하게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바퀴부(230)는 제2로봇몸체(2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바퀴부(230)는 복수개가 제2로봇몸체(212)의 양측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로봇부(200)가 지면에 착지되면 로봇부(200)가 지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1)는 힌지구동부(240)를 더 포함한다. 힌지구동부(240)는 힌지부(220)를 회동시킨다. 힌지구동부(240)는 힌지부(220)와 연결되어 힌지부(220)를 회동시켜 제1로봇몸체(211)와 제2로봇몸체(212) 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아지도록 한다. 즉, 로봇몸체부(210)가 힌지구동부(240)의 작동에 회동되는 힌지부(220)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진다.
제어부(300)는 회동프레임부(120)가 외측으로 회동되면, 힌지구동부(240)를 작동시킨다. 힌지부(220)는 힌지구동부(240)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어 제1로봇몸체(211)와 제2로봇몸체(212) 간의 간격을 넓힌다(도 5 참조). 또한, 제어부(300)는 로봇부(200)가 착지되는 것, 즉 랜딩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봇부(200)가 지면에 착지될 때 로봇부(200)가 서서히 지면에 닿아 착지될 수 있어, 로봇부(200)가 지면에 착지하면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로봇부(200)는 완충부(250)를 더 포함한다. 완충부(250)는 제1로봇몸체(211)와 제2로봇몸체(212) 사이에 설치되어 제1로봇몸체(211)와 제2로봇몸체(212) 간의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로 인해, 로봇부(200)가 지면에 착지될 때 제1로봇몸체(211)와 제2로봇몸체(212) 간의 충격을 완충하여 제1로봇몸체(211)와 제2로봇몸체(212)가 서로 접촉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케이블(140)은 케이블와이어(141)와 케이블추(142)를 포함한다. 케이블와이어(141)는 케이블플러본체(132)에 감긴다. 케이블추(142)는 원형추로 케이블와이어(141)의 단부에 설치된다.
제1로봇몸체(211)에는 케이블추(142)가 삽입되는 삽입부(211a)가 형성된다. 삽입부(211a)는 홀부 또는 홈부 형상으로 제1로봇몸체(211)의 상측면(도 5, 도 6 기준)에 형성되며, 케이블추(142)가 삽입된다.
로봇부(200)는 개폐부(260)를 더 포함한다. 개폐부(260)는 조리개형상으로 제1로봇몸체(211)에 설치되며, 삽입부(211a)를 개폐하여 케이블추(142)를 탈부착시킨다(도 6 참조). 구체적으로, 개폐부(260)가 폐쇄되면 삽입부(211a)에 삽입된 케이블추(142)가 삽입부(211a)에 고정된다. 이로써, 로봇부(200)가 케이블(140)에 부착될 수 있다. 반대로, 개폐부(260)가 개방되면 삽입부(211a)에 삽입된 케이블추(142)가 삽입부(211a)로 이탈된다. 이로써, 로봇부(200)가 케이블(140)에 탈착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바퀴부(230)가 지면에 닿으면 개폐부(260)를 개방하고, 케이블플러부(130)를 작동시켜 케이블플러본체(132)에 케이블와이어(141)를 감아져 케이블추(142)가 삽입부(211a)로부터 탈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로봇부(200)는 지면 상에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는 차량의 운전석 주변에 설치된 작동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제어부(300)에 의해 차량 트렁크(10)가 개방되고, 작동부(100)가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10)가 작동되고, 구동부(110)의 작동에 의해 회동프레임부(120)가 차량 트렁크(10)의 외측으로 회동된다.
회동프레임부(120)가 차량 트렁크(10)의 외측으로 회동되면, 제어부(300)는 케이블플러부(130)를 작동시킨다. 케이블구동부(131)가 설정방향으로 회동되고, 케이블플러본체(132)가 케이블구동부(1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케이블플러본체(132)에 감긴 케이블(140)이 풀린다.
제어부(300)는 케이블플러부(13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힌지구동부(240)를 작동시킨다. 도 8, 도 9와 같이, 힌지부(220)는 힌지구동부(240)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어 제1로봇몸체(211)와 제2로봇몸체(212) 간의 간격을 넓힌다(도 5 참조). 또한, 제어부(300)는 로봇부(200)가 착지되는 것, 즉 랜딩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로봇부(200)가 지면에 착지될 때 로봇부(200)가 서서히 지면에 닿아 착지될 수 있어, 로봇부(200)가 지면에 착지하면서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로봇부(200)가 지면에 착지되면, 제어부(300)는 개폐부(260)를 개방하고, 케이블플러부(130)를 작동시킨다. 케이블구동부(131)가 작동되고, 케이블플러본체(132)에 케이블와이어(141)를 감아져 케이블추(142)가 삽입부(211a)로부터 탈착된다. 그 후, 로봇부(200)는 제어부(300)에 의해 추종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로봇부(200)가 차량 트렁크(10)에 싣는 과정은 로봇부(200)가 지면에 착지되는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므로 이 과정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1)에서는 로봇부(200)가 접힌 상태로 차량 트렁크(10)의 내부에 보관되었다가 작동부(100)의 작동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된 후 접힌 상태가 펼쳐지면서 지면에 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휴대성이 향상되어 휴대하기가 편리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10 : 차량 트렁크
100 : 작동부 110 : 구동부
120 : 회동프레임부 130 : 케이블플러부
131 : 케이블구동부 132 : 케이블플러본체
140 : 케이블 141 : 케이블와이어
142 : 케이블추 200 : 로봇부
210 : 로봇몸체부 211 : 제1로봇몸체
211a : 삽입부 212 : 제2로봇몸체
220 : 힌지부 230 : 바퀴부
240 : 힌지구동부 250 : 완충부
260 : 개폐부 300 : 제어부

Claims (13)

  1. 차량 트렁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차량 트렁크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로봇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로봇부가 탈부착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로봇부와 지면과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동작되어 상기 로봇부를 상기 지면에 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차량 트렁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차량 트렁크의 내외측으로 회동되는 회동프레임부; 및
    상기 회동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을 감거나푸는 케이블플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회동프레임부가 상기 차량 트렁크의 외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플러부는,
    상기 회동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케이블구동부; 및
    상기 케이블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케이블플러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구동부는 상기 로봇부가 상기 회동프레임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차량 트렁크의 외측에 배치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케이블플러본체는 상기 케이블구동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케이블을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플러본체에 감긴 케이블와이어; 및
    상기 케이블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부에는 상기 케이블추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봇부는 상기 삽입부를 개폐하여 상기 케이블추를 탈부착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조리개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부가 지면에 닿으면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고, 상기 케이블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케이블플러본체에 상기 케이블와이어를 감아져 상기 케이블추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탈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부는,
    상기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가 설치되는 제1로봇몸체와, 상기 제1로봇몸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로봇몸체를 구비하는 로봇몸체부;
    상기 제1로봇몸체의 일측면과 상기 제2로봇몸체의 일측면을 결합하는 힌지부; 및
    상기 제2로봇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부는 상기 힌지부를 회동시키는 힌지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동프레임부가 외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힌지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제1로봇몸체와 상기 제2로봇몸체 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부는 상기 제1로봇몸체와 상기 제2로봇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로봇몸체와 상기 제2로봇몸체 간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KR1020220016044A 2017-11-21 2022-02-08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KR10242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044A KR102422341B1 (ko) 2017-11-21 2022-02-08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709A KR102361970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KR1020220016044A KR102422341B1 (ko) 2017-11-21 2022-02-08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709A Division KR102361970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108A true KR20220027108A (ko) 2022-03-07
KR102422341B1 KR102422341B1 (ko) 2022-07-19

Family

ID=666731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709A KR102361970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KR1020220016044A KR102422341B1 (ko) 2017-11-21 2022-02-08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709A KR102361970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19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4047A (zh) * 2021-10-14 2022-01-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青岛供电公司 一种供电机器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843A (ko) * 2003-09-05 200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JP2009234701A (ja) * 2008-03-26 2009-10-15 Kanto Auto Works Ltd 車椅子収納用クレーン装置
JP3170471U (ja) * 2011-07-07 2011-09-15 株式会社ニッシン自動車工業 車椅子吊り上げ装置
US20130142604A1 (en) * 2011-12-05 2013-06-06 Miguel Esparza Wheelchair Transportation Loading and Storage Apparatus
KR20160023942A (ko) * 2014-08-21 2016-03-0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텔레스코픽형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한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471B2 (ja) 1996-05-20 2001-05-28 株式会社日平トヤマ 工具交換装置
KR101278579B1 (ko) * 2011-05-13 2013-06-25 주식회사 로보테크 지능형 보행 보조 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843A (ko) * 2003-09-05 2005-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JP2009234701A (ja) * 2008-03-26 2009-10-15 Kanto Auto Works Ltd 車椅子収納用クレーン装置
JP3170471U (ja) * 2011-07-07 2011-09-15 株式会社ニッシン自動車工業 車椅子吊り上げ装置
US20130142604A1 (en) * 2011-12-05 2013-06-06 Miguel Esparza Wheelchair Transportation Loading and Storage Apparatus
KR20160023942A (ko) * 2014-08-21 2016-03-0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텔레스코픽형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한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341B1 (ko) 2022-07-19
KR102361970B1 (ko) 2022-02-11
KR20190058070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20132A1 (zh) 移动终端
US20210076517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422341B1 (ko) 차량 트렁크 탑재형 운송 로봇 장치
WO2021077524A1 (zh) 柔性显示装置
KR101470211B1 (ko) 차량 선바이저용 디스플레이 기기 홀더 장치
CN108924311A (zh) 一种移动终端
US20150204130A1 (en) Door Closing Apparatus
WO2015027964A1 (zh) 汽车遮阳篷
KR102125608B1 (ko) 캠핑카
CN212519191U (zh) 电视遥控器
WO2019028708A1 (zh) 一种展开机构
KR101404959B1 (ko) 차량용 커튼 후크 장치
CN105751876A (zh) 一种汽车遮阳装置
US20150195931A1 (en) Case for a portable device with a screen
KR20160009454A (ko) 차량의 빗물 차단장치
CN210259606U (zh) 一种方便伸缩的无人机储放装置
CN210606389U (zh) 柔性显示装置
WO2020095750A1 (ja) 車両の充電部構造
CN203290389U (zh) 一种磁力支架翻盖手机保护套
CN204172623U (zh) 拖车钩容纳装置
CN205632071U (zh) 一种汽车遮阳装置
KR200457055Y1 (ko) 선루프
CN103670254A (zh) 一种可缓冲的遮物帘卷收装置
CN104460674B (zh) 一种牵引车及其驱动控制系统
CN207766301U (zh) 一种带usb充电线的智能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