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823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823A
KR20220026823A KR1020200107827A KR20200107827A KR20220026823A KR 20220026823 A KR20220026823 A KR 20220026823A KR 1020200107827 A KR1020200107827 A KR 1020200107827A KR 20200107827 A KR20200107827 A KR 20200107827A KR 20220026823 A KR20220026823 A KR 20220026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valve
metering
doo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휘
김경래
방종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6823A/ko
Publication of KR20220026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47L15/449Metering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제 공급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식기 세척을 위한 공간이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자동 세제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세제 공급 장치는, 식기 세척을 위한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박스; 및 상기 세제 박스로부터 일정량의 세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정량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 박스는, 박스 본체와, 상기 박스 본체의 일 지점에서 연장되며, 내부에 계량 공간이 형성되는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로부터 연장되는 토출 포트,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상단에 인접하는 지점에 구비되는 투입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량 제어 밸브는, 상기 계량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 1 밸브와, 상기 계량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 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자동 세제 공급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 및 조리 도구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를 포함한 오염 물질을 세척하는 가전 기기로 정의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터브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터브 바닥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와, 섬프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세척 노즐을 포함한다.
식기 세척 과정은, 식기에 말라붙은 음식물 찌꺼기를 불리는 불림 행정, 세제를 투입하는 세척 과정과, 린스를 투입하는 헹굼 과정,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건조하는 건조 과정을 포함한다.
현재의 식기 세척기 구조에 따르면, 식기 세척이 시작되기 전에 사용자가 도어를 전방으로 회동시켜서 도어에 장착된 세제 공급 장치에 분말형 또는 액상형 세제를 투입한다.
그리고, 도어를 닫은 후 세착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세척 과정에서 상기 세제 공급 장치가 개방되어 세제가 터브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식기 세척을 할 때마다 사용자가 직접 세제 공급 장치에 세제를 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아래의 선행 기술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단일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세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 일정한 양의 세제가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한 세제 투입구의 개폐 시간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터브로 공급되는 세제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그 결과, 세제의 정량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세제의 과도한 소모를 야기할 수 있다.
한국용신안공보 제 1989-0000015호(1989년03월02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식기 세척을 위한 공간이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자동 세제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세제 공급 장치는, 식기 세척을 위한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박스; 및 상기 세제 박스로부터 일정량의 세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정량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 박스는, 박스 본체와, 상기 박스 본체의 일 지점에서 연장되며, 내부에 계량 공간이 형성되는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로부터 연장되는 토출 포트,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상단에 인접하는 지점에 구비되는 투입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량 제어 밸브는, 상기 계량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 1 밸브와, 상기 계량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 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량부는 상기 박스 본체의 일 측면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박스 본체의 하단은, 상기 계량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자동 세제 공급 장치는, 상기 세제 박스 내부에 장착되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박스 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 박스는, 상기 계량부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 1 막과, 상기 계량부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 2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밸브는, 제 1 밸브 바디와, 상기 계량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계량 공간에 삽입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 1 밸브 바디로부터 직선 운동하여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1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밸브는, 제 2 밸브 바디와, 상기 계량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계량 공간에 삽입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 2 밸브 바디로부터 직선 운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2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밸브와 상기 제 2 밸브는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계량 공간이 세제로 채워지는 과정과 상기 계량 공간이 비워지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제 1 막의 일부분과,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막의 일부분은 수직하게 연장되거나 수평면으로부터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계량 공간의 최상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계량 공간의 최하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도어 커버; 및 상기 도어 커버의 배면에 결합되며, 내측에 세제 박스 안착부가 함몰 또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도어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세제 공급 장치는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는, 상기 세제 박스가 놓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좌우측 가장자리에 정의되는 좌우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정의되는 하부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박스의 토출 포트는 상기 하부 측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라이너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구 커버는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라이너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구 커버는 상기 세제 박스의 배면에 틸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자동 세제 공급 장치에 의하면, 식기 세척을 할 때마다 사용자가 세제를 세제 공급 장치에 투입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즉, 일정량 이상의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세제 박스에 세제를 충분히 채워놓으면, 자동으로 설정된 양의 세제가 터브 내부로 자동으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세제 박스 내에 남은 세제가 설정량 미만일 때 세제를 충전하면, 다수 회의 식기 세척이 수행 가능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세제 공급 횟수가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제 공급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상기 식기 세척기 도어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식기 세척기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라이너의 전면도.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도어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세제 박스의 부분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제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제 공급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식기 세척기 도어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식기 세척기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라이너의 전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도어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세제 박스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세제 공급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도어(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11)와, 상기 도어 커버(11)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2)와, 상기 도어 커버(11)의 상단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 라이너(12)의 전면에 장착되는 도어 핸들(13), 상기 도어 라이너(14)의 좌우 측면의 하단에 결합되는 도어 힌지(14), 및 상기 도어 라이너(12)에 장착되는 자동 세제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10)는, 상기 도어 힌지(14)에 의하여, 내부에 식기 세척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 본체(미도시)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0)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닫으면, 상기 도어 라이너(12)의 배면 가장자리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밀착된다.
상기 본체의 저면 중앙에는 식기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모이는 섬프(sump)가 장착되며, 상기 섬프 내부에는 세척수를 펌핑하는 세척 펌프,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이물질을 분쇄하는 디스포저, 세척수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탁도 센서,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 펌프 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의 상면으로부터 세척 노즐이 연장되고, 상기 세척 펌프에 의하여 펌핑되는 세척수가 상기 세척 노즐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적재된 식기의 표면에 분사된다.
상기 도어 라이너(12)는, 라이너 에지(121)와, 상기 라이너 에지(121)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라이너 바디(122)와, 상기 라이너 바디(122)의 대략 중앙부에서 함몰 또는 단차지는 세제 박스 안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에지(121)는, 상기 도어 라이너(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도어(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식기 세척기의 본체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너 에지(121)의 외부 측면은 상기 본체의 내부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이라 함은, 상기 라이너 에지(121)의 외부 측면과 상기 본체의 내부 측면이 접촉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아주 가까운 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바디(122)는, 상기 라이너 에지(121)의 돌출 방향과 반대가 되는 상기 도어(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바디(122)의 전면과 상기 도어 커버(11)의 배면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도어 커버(11)와 상기 도어 라이너(1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공간 내에는 단열재나 차음 부재를 비롯한 각종 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123)는, 상기 라이너 에지(121)의 함몰 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상기 도어(10)의 후방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며,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123)에는 자동 세제 공급 장치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세제 공급 장치는, 세제가 채워지는 세제 박스(20)와, 상기 세제 박스(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세제의 정량 토출을 제어하는 정량 제어 밸브(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자동 세제 공급 장치는, 상기 세제 박스(20) 내부에 장착되는 수위 센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123)는 상기 세제 박스(20)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함몰 또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123)는, 상기 세제 박스(20)가 놓이는 바닥부(1231)와, 상기 바닥부(12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는, 좌우 측면부(1232)와 하부 측면부(123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면부의 폭은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123)의 함몰 깊이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123)의 상단은 상기 라이너 바디(122)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상부 측면부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세제 박스(20)는, 박스 본체(21)와, 상기 박스 본체(21)의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계량부(metering portion)(22)와, 상기 계량부(22)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토출 포트(23), 및 상기 박스 본체(21)의 배면, 즉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123)에 접촉하는 면에 구비되는 투입구 커버(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123)의 하부 측면부(1233)에는 포트 관통홀(121a)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 포트(23)는 상기 포트 관통홀(121a)을 관통하여 상기 라이너 바디(122)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토출 포트(23)는, 상기 포트 관통홀(121a)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10)가 닫혔을 때 식기 세척기 본체의 터브 내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 포트(23)를 통하여 토출되는 세제는 식기랙이 수용된 터브의 바닥으로 흘러 내려, 세척수가 저장된 섬프(sump)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계량부(22)는, 일정한 양의 세제가 매회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세제 투입량 결정부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계량부(22)는 상기 박스 본체(21)의 좌측 하단부 또는 우측 하단부에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고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 본체(21)의 하단은 상기 계량부(22)의 초입(또는 시작 부분)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계되어, 상기 박스 본체(21)에 투입된 세제는 전부 상기 계량부(22)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박스 본체(21)에 투입된 세제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박스 본체(21)의 바닥에 고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계량부(22)의 내부에는 제 1 막(221)과 제 2 막(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막(221)은 상기 계량부(22)의 상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막(222)은 상기 제 1 막(22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막(221)과 제 2 막(222) 사이의 공간은 계량 공간(metering space)(223)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계량 공간(223)의 부피에 해당하는 세제가 항상 일정하게 터브로 공급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막(221,222)의 전면과 후면은 상기 계량부(22)의 전면과 후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막(221,222)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는 상기 계량부(22)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량 공간(223)은, 상기 계량부(22)의 전후면, 좌우 측면, 및 상기 제 1 및 제 2 막(221,222)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막(221,222) 각각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막(221,222) 각각은, 상기 계량부(22)의 일 측면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후 다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계량부(22)의 타 측면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막(221,222) 각각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에서 다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은 가로 방향일 수 있고, 상기 제 2 방향은 가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방향은, 수평면으로부터 9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막(221,222)은, 상기 계량부(22)의 일 측면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단부에서 90도 미만의 각도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상기 계량부(22)의 타 측면에 닿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부분에는 세제가 배출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는, 상기 제 1 막(221)의 제 2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개구(221a)와, 상기 제 2 막(222)의 제 2 부분에 형성되는 제 2 개구(22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221a)는 상기 계량 공간(223)으로 세제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개구(222a)는 상기 계량 공간(223)으로부터 세제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221a)는 상기 제 2 부분의 최상단에 인접하는 지점, 즉 상기 계량 공간(223)의 최상단에 인접하는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2 개구(222a)는, 상기 제 2 부분의 최하단, 즉 상기 계량 공간(223)의 최하단에 근접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221a,222a)는 소정의 단면적을 가지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량부(22)의 측면에는 정량 제어 밸브(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박스 본체(21)의 하단부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123)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의 공간에 상기 정량 제어 밸브(3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정량 제어 밸브(30)는, 상기 제 1 개구(221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1 밸브(31)와, 상기 제 2 개구(221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2 밸브(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량 제어 밸브(30)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밸브(31) 및 상기 제 2 밸브(32) 각각은, 밸브 바디(311,321)와,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밸브 바디(311,321)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런저(31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221a)를 개폐하는 플런저를 제 1 플런저(312)로, 상기 제 2 개구(222a)를 개폐하는 플런저를 제 2 플런저(322)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런저(312)를 작동시키는 밸브 바디를 제 1 밸브 바디(311)로, 제 2 플런저(322)를 작동시키는 밸브 바디를 제 2 밸브 바디(321)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계량부(22)의 측면에는 상기 플런저(312,322)가 통과하기 위한 플런저 관통홀(22a,22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312,322)는 상기 플런저 관통홀(22a,22b)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개구(221a)와 제 2 개구(222a) 각각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 관통홀(22a,22b)은, 제 1 플런저(312)가 관통하는 제 1 플런저 관통홀(22a)과, 제 2 플런저(322)가 관통하는 제 2 플런저 관통홀(2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막(221,222)을 구성하는 제 2 부분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플런저(312,322)는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상기 개구들(221a,222a)을 개폐할 것이다.
반면, 상기 제 2 부분이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되는 경우, 상기 플런저(312,322)는 상기 제 2 부분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직선 왕복 운동하여 상기 개구들(221a,222a)을 개폐할 것이다.
한편, 상기 투입구 커버(24)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123)의 바닥부(1231)에는 관통홀(12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제 박스(20)가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123)에 안착되면, 상기 투입구 커버(24)는 상기 관통홀(1231a)을 통과하여 상기 도어(10)가 닫히면 터브 내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세제 박스(20)에 세제를 채우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10)를 열고, 상기 투입구 커버(24)를 조작하여야 한다. 상기 투입구 커버(24)는 상기 박스 본체(21)의 배면에 틸팅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21)의 배면에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231a)의 가장자리에는 실러가 장착되어, 터브 내부의 습기가 상기 도어 라이너(12)와 도어 커버(1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토출 포트(23)가 관통하는 상기 포트 관통홀(121a)의 가장자리에도 실러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토출 포트(23)의 횡단면적은 상기 계량부(22)의 횡단면적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고, 상기 계량부(22)는 실린더 형상 또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세제의 자동 정량 공급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도어(10) 또는 식기 세척기의 본체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미도시)을 통하여 세척 조건을 입력하면, 상기 식기 세척기의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세척 과정에 필요한 세제의 양을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한 세제의 양이 산출되면, 상기 계량 공간(223)의 부피와 비교하여 상기 정량 제어 밸브(30)의 작동 회수가 산출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계량 공간(223)의 부피가 a
Figure pat00001
이고, 필요한 세제량이 3a
Figure pat00002
라고 가정하면, 상기 계량 공간(223)의 비움 회수가 3회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계량 공간(223)이 세번 비워질 때까지, 상기 제 1 밸브(31) 및 제 2 밸브(32)가 순차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세척이 시작되기 전의 기본 상태는 상기 계량 공간(223)이 완전히 채워진 상태이고, 세제 투입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정량 제어 밸브(30)로 전송되면, 상기 제 2 밸브(32)가 먼저 작동한다. 즉, 상기 제 2 플런저(322)가 일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제 2 개구(222a)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계량 공간(223)에 채워진 a
Figure pat00003
의 세제가 상기 토출 포트(23)를 통하여 터브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계량 공간(223)이 완전히 비워지면, 상기 제 2 플런저(322)가 타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제 2 개구(222a)를 폐쇄한다. 상기 제 2 개구(222a)가 폐쇄되면 상기 제 1 플런저(312)가 일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제 1 개구(221a)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박스 본체(21)에 저장되어 있던 세제의 일부가 상기 제 1 개구(221a)를 통하여 상기 계량 공간(223)으로 유입된다.
상기 계량 공간(223)이 채워지면, 상기 제 1 플런저(312)가 타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제 1 개구(221a)를 폐쇄한다.
여기서, 상기 계량 공간(223)에 세제가 채워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제 1 개구(221a)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과, 상기 계량 공간(223)의 최 상단에 해당하는 지점에 수위 센서를 설치하는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계량 공간(223)의 부피가 크지 않을 뿐 아니라, 상기 계량 공간(223)이 완전히 채워진 이후에 상기 제 1 개구(221a)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상기 계량 공간(223)의 부피보다 더 많은 양의 세제가 상기 계량 공간(223)에 채워지지는 않기 때문에, 별도의 수위 센서를 장착할 필요는 없다. 즉,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제 1 개구(221a)가 개방된 후 폐쇄되도록 하는 방법으로도 충분히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계량 공간(223)의 비움과 채움 과정이 설정된 회수만큼 반복되어, 설정된 양의 세제가 터브 내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개구들(221a,222a)의 개폐 동작이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상기 계량 공간(223)에는 항상 일정량의 세제가 채워지므로,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장착되는 구조와 달리, 설정량의 세제가 항상 일정하게 터브로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세제 박스(20) 내부에는 세제의 소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위 센서(40)는 상기 박스 본체(21)의 내부 하단에 장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계량부(22)의 상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는, 상기 수위 센서(40)는, 상기 박스 본체(21)의 하단보다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세제 박스(20) 내부의 세제가 완전히 소진되기 전에 이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위 센서(40)로부터 제어부로 전송되는 소위 저수위 알림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는 세제가 거의 다 소진되었다고 판단하면, 식기 세척기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 등을 통하여 경고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세제가 완전히 소진되기 전에 세제를 다시 채워넣을 수 있기 때문에, 세제 부족으로 인한 세척 행정의 중단 사태 또는 세척 행정의 진행 불가능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 센서(40)는, 정전 용량 센서, 플로트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정전 용량 센서가 장착되는 경우, 양전극, 음전극, 그라운드 전극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된다. 그리고, 세제의 수위가 저수위에 도달하기 전에는 센서의 모든 전극이 통전 상태를 유지하고, 저수위에 도달하면 최상위에 위치한 전극의 통전 상태가 해제되면서 경고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3)

  1. 내부에 식기 세척을 위한 공간이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자동 세제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세제 공급 장치는,
    식기 세척을 위한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박스; 및
    상기 세제 박스로부터 일정량의 세제가 배출되도록 하는 정량 제어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박스는,
    박스 본체와,
    상기 박스 본체의 일 지점에서 연장되며, 내부에 계량 공간이 형성되는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로부터 연장되는 토출 포트, 및
    상기 박스 본체의 상단에 인접하는 지점에 구비되는 투입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정량 제어 밸브는,
    상기 계량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 1 밸브와,
    상기 계량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 2 밸브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부는 상기 박스 본체의 일 측면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박스 본체의 바닥은, 상기 계량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박스 내부에 장착되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박스 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박스는,
    상기 계량부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 1 막과,
    상기 계량부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 2 막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밸브는,
    제 1 밸브 바디와,
    상기 계량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계량 공간에 삽입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 1 밸브 바디로부터 직선 운동하여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1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밸브는,
    제 2 밸브 바디와,
    상기 계량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계량 공간에 삽입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 2 밸브 바디로부터 직선 운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 2 플런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와 상기 제 2 밸브는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계량 공간이 세제로 채워지는 과정과 상기 계량 공간이 비워지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제 1 막의 일부분과,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막의 일부분은, 수직하게 연장되거나 수평면으로부터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계량 공간의 최상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계량 공간의 최하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도어 커버; 및
    상기 도어 커버의 배면에 결합되며, 내측에 세제 박스 안착부가 함몰 또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도어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세제 공급 장치는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박스 안착부는,
    상기 세제 박스가 놓이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좌우 좌우측 가장자리에 정의되는 좌우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정의되는 하부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포트는 상기 하부 측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라이너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커버는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라이너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커버는 상기 세제 박스의 배면에 틸팅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200107827A 2020-08-26 2020-08-26 식기 세척기 KR20220026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827A KR20220026823A (ko) 2020-08-26 2020-08-26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827A KR20220026823A (ko) 2020-08-26 2020-08-26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823A true KR20220026823A (ko) 2022-03-07

Family

ID=8081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827A KR20220026823A (ko) 2020-08-26 2020-08-26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68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015A (ko) 1987-06-22 1989-03-11 원본미기재 육(肉)가공품의 조직가공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015A (ko) 1987-06-22 1989-03-11 원본미기재 육(肉)가공품의 조직가공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9588B2 (en) Household cleaning appliance with a dispensing system operable between a single use dispensing system and a bulk dispensing system
US8246756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flushing a bulk dispensing system in a cleaning appliance
KR101287745B1 (ko) 자동 계량공급 시스템을 구비한 물 사용 가전 기기 및 자동 계량공급 방법
KR100773645B1 (ko) 식기 세척기
US8992694B2 (en) Flow rate sensor and related dishwasher
RU2748747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яемого дозированного введения обрабатывающих композиций в моечных машинах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220026823A (ko) 식기 세척기
KR101132906B1 (ko) 식기 세척기
JP4688784B2 (ja) 食器洗浄機
KR20220026822A (ko) 식기 세척기
WO2022028065A1 (zh) 洗衣机
KR20190024466A (ko) 식기세척기
KR101307590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CN113317745A (zh) 清洗装置
JP2669705B2 (ja) 物品洗浄機
KR20220026821A (ko) 식기 세척기 및 그제어 방법
JP5669702B2 (ja) 食器洗浄機
JP2004357797A (ja) 食器洗浄機
JPH1085168A (ja) 食器洗浄機
KR101344462B1 (ko) 세척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078337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KR20230109417A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CN113317736A (zh) 清洗装置、控制装置和控制方法
EP3433408A1 (en) Laundry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ter softening device
JPH05329089A (ja) 食器洗い乾燥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