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337A -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337A
KR20220078337A KR1020200167778A KR20200167778A KR20220078337A KR 20220078337 A KR20220078337 A KR 20220078337A KR 1020200167778 A KR1020200167778 A KR 1020200167778A KR 20200167778 A KR20200167778 A KR 20200167778A KR 20220078337 A KR20220078337 A KR 20220078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unit
water storage
inle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대선
김주식
박기태
이준호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7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8337A/ko
Priority to PCT/KR2021/017857 priority patent/WO2022119273A1/ko
Publication of KR20220078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337A/ko
Priority to US18/325,272 priority patent/US2023030148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6Arrangements to detect or remove bad smells or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1Water discharge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2Water discharge, e.g. opening or closure of discharge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3Water recirculation, e.g. control of distributing valves for redirection of wate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 세척기는, 터브와, 터브에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섬프, 및 터브의 일측에 마련되는 물탱크를 포함한다. 물탱크는 물 저장부와, 섬프와 연결되며, 물 저장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유로와, 물 저장부의 상단에 마련되며, 급수 유로로 공급되는 물이 물 저장부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일단은 유입구와 연통되며, 타단은 터브와 연통되도록 마련된 과급수 회수 유로, 및 물 저장부에 유입구의 아래에 마련되며, 물 저장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입구를 차단하는 플로팅 캡을 포함하며, 물 저장부의 물이 만수되면 플로팅 캡은 유입구를 차단하여 과급수 회수 유로와 물 저장부를 분리시킨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Dish washer and water tank for dish washer}
본 개시는 물탱크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사용하여 접시, 그릇, 수저 등과 같은 식기에 묻은 음식 찌꺼기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용되는 터브(tub), 터브의 바닥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수용하는 섬프(sump), 터브 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기 바구니, 세척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조립체, 섬프의 세척수를 스프레이 조립체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를 포함한다.
식기 바구니에는 식기가 수용되고, 순환 펌프가 작동하면 섬프에 수용된 세척수가 스프레이 조립체로 공급되며, 스프레이 조립체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식기 세척기로 식기를 세척하는 과정은, 식기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는 세척 행정과 세척 행정에 의해 오물이 제거된 식기를 헹구는 헹굼 행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헹굼 행정을 1회 이상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물 사용량과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재생 물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재생 물탱크는 마지막 헹굼 행정에 사용된 헹굼수를 저장하여 다음 식기 세척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재생 물탱크는 터브와 항상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재생 물탱크에 저장된 물에서 유발되는 냄새는 터브 내측으로 퍼질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열었을 때, 재생 물탱크에 저장된 물에서 나는 냄새를 맡을 수 있다.
재생 물탱크에 저장된 물은 식기를 마지막 헹굼 행정에 사용된 마지막 행굼수이기 때문에, 저장된 물에 식기에 묻은 오물의 냄새가 배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 사용하기 위해 도어를 열었을 때, 헹굼수에 밴 냄새, 즉 악취를 맡게 되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물탱크에 물이 가득찬 경우에 물탱크의 물 저장부와 터브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냄새가 터브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식기 세척기는, 터브;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섬프; 및 상기 터브의 일측에 마련되는 물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는, 물 저장부; 상기 섬프와 연결되며, 상기 물 저장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유로; 상기 물 저장부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급수 유로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물 저장부로 유입되는 유입구; 일단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터브와 연통되도록 마련된 과급수 회수 유로; 상기 물 저장부에 상기 유입구의 아래에 마련되며, 상기 물 저장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플로팅 캡;을 포함하며,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이 만수되면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와 상기 물 저장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물탱크는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상기 섬프로 연결되는 배수 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 유로를 통해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이 상기 섬프로 배출되면, 상기 플로팅 캡이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여 상기 물 저장부와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를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식기 세척기는 상기 배수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팅 캡이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면, 상기 급수 유로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를 통해 상기 터브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의 일단은 상기 유입구의 위에 위치하며,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의 일단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급수 유로의 일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의 일단은 상기 유입구를 향해 굽혀진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와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는 상기 물 저장부의 일측면과 상면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물 저장부의 후면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물 저장부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회팔; 및 상기 선회팔의 일단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유입구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팅 캡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하로 형성되는 안내 홈이 마련되며, 상기 물 저장부의 후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 홈에 삽입되는 안내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안내 리브를 따라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저장부의 후면에는 상기 플로팅 캡과 상기 안내 리브를 둘러싸는 수용벽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벽에는 적어도 한 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저장부의 후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플로팅 캡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벽;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안내벽의 하단에는 상기 플로팅 캡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는, 상기 섬프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탱크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 상기 순환 펌프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 펌프와 상기 물탱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메인 밸브;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물 저장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수 밸브; 및 상기 순환 펌프, 상기 메인 밸브, 및 상기 배수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의 물을 상기 물 저장부로 공급하거나,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을 상기 섬프로 공급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섬프에 수용된 마지막 헹굼 수가 저장되는 재생 물탱크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한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는,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유입구;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에 마련되는 배출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물 저장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급수 유로; 일단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타단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된 과급수 회수 유로; 및 상기 물 저장부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의 아래에 마련되며, 상기 물 저장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플로팅 캡;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이 만수되면,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물 저장부를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와 분리시키고, 상기 급수 유로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저면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에서 물탱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의 상부 물탱크부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의 플로팅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에 물이 공급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에 물이 만수위가 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에서 물이 배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에 사용되는 플로팅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플로팅 캡을 사용하는 물탱크에 물이 만수위가 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도;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에 사용되는 플로팅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도;
도 15는 도 14의 플로팅 캡을 사용하는 물탱크에 물이 만수위가 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1)는 터브(10)와 물탱크(5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의 내부에는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 공간(10a)이 형성된다. 터브(1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어 터브(10)의 내부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터브(10)로부터 식기를 인출할 수 있다. 터브(10)의 전면에는 터브(1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2)가 설치된다. 도어(12)는 터브(10)의 전면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터브(1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터브(10)의 내부에는 식기를 수용하는 식기 바구니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터브(10)의 내부에는 식기 바구니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스프레이 조립체(15)가 설치될 수 있다.
스프레이 조립체(15)는 터브(10)의 세척 공간(10a)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스프레이 조립체(15-1), 세척 공간(10a)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스프레이 조립체(15-2), 및 세척 공간(10a)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스프레이 조립체(1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의 바닥에는 섬프(sump)(20)가 마련될 수 있다(도 5 참조). 섬프(20)는 터브(10)의 바닥 중앙에 마련되어 세척수, 즉 물을 모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섬프(20)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탁도 센서(2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탁도 센서(21)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세척수의 오염도에 따라 식기 세척기(1)의 세척 행정과 헹굼 행정의 수행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90)는 세척수의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는 세척 행정 또는 헹굼 행정의 수행 횟수를 증가시키고, 세척수의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세척 행정 또는 헹굼 행정의 수행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섬프(20)의 일측에는 섬프(20)에 모인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30)가 마련될 수 있다.
순환 펌프(30)는 섬프(20)에 모인 세척수를 스프레이 조립체(15)로 공급하여 터브(10)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스프레이 조립체(15)에 의해 분사된 세척수는 섬프(20)로 모이고, 다시 순환 펌프(30)에 의해 스프레이 조립체(15)로 공급되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순환 펌프(30)는 섬프(20)에 모인 세척수를 물탱크(50)로 공급하여 물탱크(50)에 저장할 수 있다. 물탱크(50)에 저장된 세척수는 섬프(20)로 공급되어 식기 세척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 펌프(30)는 터브(10)의 하면(13)에 설치될 수 있다. 순환 펌프(3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50)는 터브(10)의 일측면(11)에 마련된다. 도 1에서는 터브(10)와 물탱크(50)가 노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브(10)와 물탱크(50)는 식기 세척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수용될 수 있다.
물탱크(50)는 섬프(20)에 수용된 물을 저장하고, 필요시 저장된 물을 섬프(20)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50)는 마지막 행굼 행정에 사용된 세척수, 즉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물탱크(50)에 저장된 마지막 행굼 행정에 사용된 세척수는 다음 번의 식기 세척을 할 때 세척 행정에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물탱크(50)는 이전 식기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다음번의 식기 세척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물탱크(50)는 재생 물탱크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탱크(50)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52)와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5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52)는 물탱크(5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고, 배출구(53)는 물탱크(5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물탱크(50)의 유입구(52)는 급수 유로(60)를 통해 공통 유로(45)와 연결될 수 있다. 물탱크(50)의 배출구(53)는 배수 유로(54)를 통해 공통 유로(45)와 연결될 수 있다.
공통 유로(45)는 순환 펌프(30)와 연결되며, 공통 유로(45)에는 메인 밸브(41)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 밸브(41)는 순환 펌프(30)와 물탱크(50)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 밸브(41)는 공통 유로(45)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밸브(41)가 개방되면, 공통 유로(45)를 통해 세척수가 흐를 수 있고, 메인 밸브(41)가 닫히면, 공통 유로(45)를 통해 세척수가 흐를 수 없게 된다.
배수 유로(54)에는 배수 밸브(4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 밸브(42)는 물탱크(50)와 공통 유로(45)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수 밸브(42)는 배수 유로(54)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밸브(42)가 개방되면 물탱크(50)와 공통 유로(45)가 연통되므로, 물탱크(50)의 물이 배수 유로(54)를 통해 공통 유로(45)로 흐를 수 있다(화살표 D). 배수 유로(54)는 물탱크(50)의 하단에 마련되므로, 물탱크(50)의 물은 중력에 의해 공통 유로(45)로 공급된다.
이때, 공통 유로(45)에 설치된 메인 밸브(41)가 개방되면, 물탱크(50)의 물은 공통 유로(45)와 메인 밸브(41)를 통해 섬프(2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배수 밸브(42)와 메인 밸브(41)가 개방되면, 물탱크(50)의 물은 배수 유로(54)와 공통 유로(45)를 따라 섬프(20)로 흐를 수 있다.
한편, 스프레이 조립체(15)는 세척 유로(17)를 통해 순환 펌프(3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 펌프(30)가 작동하면, 섬프(20)의 세척수는 세척 유로(17)를 통해 스프레이 조립체(15)로 공급될 수 있다.
세척 유로(17)에는 분배기(43)가 설치될 수 있다. 분배기(43)는 순환 펌프(30)를 상부 스프레이 조립체(15-1), 중간 스프레이 조립체(15-2), 및 하부 스프레이 조립체(15-3)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 펌프(30)에 의해 섬프(20)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는 상부 스프레이 조립체(15-1), 중간 스프레이 조립체(15-2), 및 하부 스프레이 조립체(15-3) 중 하나를 통해 터브(10)로 분사될 수 있다.
섬프(20)의 세척수가 세척 유로(17)를 통해 스프레이 조립체(15)로 공급될 때, 공통 유로(45)에 설치된 메인 밸브(41)를 닫힌 상태로 하면, 순환 펌프(30)가 작동하여도 세척수가 물탱크(50)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물탱크(50)로 세척수를 공급할 경우에는, 메인 밸브(41)를 개방한다. 이 경우, 순환 펌프(30)가 작동하면, 섬프(20)의 세척수는 공통 유로(45)와 급수 유로(60)를 통해 물탱크(50)로 공급될 수 있다(화살표 A).
프로세서(90)는 식기 세척기(1)를 제어하여 터브(10)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는 프로세서(90), 순환 펌프(30), 분배기(43), 메인 밸브(41), 및 배수 밸브(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순환 펌프(30), 분배기(43), 메인 밸브(41), 및 배수 밸브(42)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브(10)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하는 경우에, 프로세서(90)는 메인 밸브(41)는 차단한다. 그 후, 프로세서(90)가 순환 펌프(30)를 작동시키면, 섬프(20)의 세척수가 세척 유로(17)와 분배기(43)를 통해 스프레이 조립체(15)로 공급되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섬프(20)에 수용된 세척수를 물탱크(50)에 저장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90)는 메인 밸브(41)를 개방한다. 그 후, 프로세서(90)가 순환 펌프(30)를 작동시키면, 섬프(20)의 세척수가 메인 밸브(41)를 통과하여 공통 유로(45)와 급수 유로(60)를 통해 물탱크(50)로 공급될 수 있다.
물탱크(50)에 저장된 세척수를 섬프(20)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90)는 배수 밸브(42)와 메인 밸브(41)를 개방한다. 그러면, 물탱크(50)에 저장된 세척수가 중력에 의해 섬프(20)로 공급된다. 즉, 물탱크(50)에 저장된 세척수가 물탱크(50) 하단의 배출구(53)로 배출되어, 배수 유로(54)를 통해 공통 유로(45)로 유입되고, 공통 유로(45)와 메인 밸브(41)를 통해 섬프(20)로 공급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GPU(graphics-processing unit)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90)는 메모리(91)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91)는 프로세서(9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식기 세척기(1)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91)는 식기 세척기(1)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과, 식기 세척기(1)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90)가 물탱크(50)에 물을 공급하고 물탱크(50)의 물을 배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프로세서(9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90)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식기 세척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순환 펌프(30)는 섬프(20)의 세척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순환 펌프(30)는 프로세서(90)에 의해 제어되며, 순환 펌프(30)가 작동하면, 섬프(20)의 세척수는 스프레이 조립체(15)와 물탱크(50)로 공급될 수 있다.
분배기(43)는 세척 유로(17)에 설치되며, 프로세서(9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90)는 분배기(43)를 제어하여 섬프(20)의 세척수를 상부 스프레이 조립체(15-1), 중간 스프레이 조립체(15-2), 및 하부 스프레이 조립체(15-3) 중 하나로 공급할 수 있다.
메인 밸브(41)는 공통 유로(45)에 설치되며, 프로세서(9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메인 밸브(41)가 개방되면, 공통 유로(45)를 통해 세척수가 흐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 밸브(42)가 닫힌 상태에서 메인 밸브(41)가 개방되면, 섬프(20)의 세척수는 물탱크(50)로 공급될 수 있다. 메인 밸브(41)가 닫히면, 섬프(20)의 세척수는 물탱크(50)로 공급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밸브(41)와 공통 유로(45)는 순환 펌프(30)의 일측으로 터브(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공통 유로(45)는 파이프 또는 호스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 밸브(42)는 배수 유로(54)에 설치되며, 프로세서(9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배수 밸브(42)가 개방되면, 배수 유로(54)와 공통 유로(45)를 통해 물탱크(50)에 저장된 세척수가 섬프(20)로 공급될 수 있다.
물탱크(50)의 세척수를 섬프(20)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공통 유로(45)의 메인 밸브(41)는 개방된다. 메인 밸브(41)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배수 밸브(42)를 개방하여도 물탱크(50)의 세척수는 섬프(20)로 공급되지 않는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1)에 사용되는 물탱크(5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에서 물탱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의 제2하우징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물탱크에 사용된 플로팅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물탱크(50)는 터브(10)의 일 측면(1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터브(10)의 일 측면에는 물탱크(50)와 연결되는 개구(11a)가 마련될 수 있다.
물탱크(50)의 하단에는 배수 밸브(4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 밸브(42)가 개방되면, 물탱크(50)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다.
물탱크(50)는 물 저장부(51), 급수 유로(60), 과급수 회수 유로(70), 플로팅 캡(8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물탱크(50)의 내부에는 물 저장부(51), 급수 유로(60), 과급수 회수 유로(70)가 형성될 수 있다.
물 저장부(51)는 일정량의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 저장부(51)의 상단에는 순환 펌프(30)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52)가 마련된다. 물 저장부(51)의 하단에는 물 저장부(51)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53)와 배수 유로(54)가 마련된다.
물 저장부(51)는 격벽(55)에 의해 급수 유로(60) 및 과급수 회수 유로(70)와 구획될 수 있다. 격벽(55)은 물탱크(50)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 저장부(51)의 내부에는 복수의 보강 리브(57)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보강 리브(57)는 물탱크(50)의 후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수 유로(54)는 물 저장부(51)의 하단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수 유로(54)에는 배수 밸브(42)가 설치된다. 따라서, 배수 밸브(42)가 개방되면, 물 저장부(51)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 유로(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 밸브(42)가 닫히면, 물 저장부(51)의 세척수는 외부로 배출될 수 없다.
급수 유로(60)는 물탱크(5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 유로(60)는 물탱크(50)의 내부에 물 저장부(51)의 측면을 따라 물 저장부(51)의 상단에 마련된 유입구(52)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 유로(60)의 입구(60a)는 물탱크(50)의 하단에 배수 유로(54)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급수 유로(60)의 출구(60b)는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의 위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유로(60)의 출구(60b)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로 유입될 수 있다. 급수 유로(6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급수 유로(60)의 일단, 즉 급수 유로(60)의 출구(60b)는 유입구(52)를 향해 굽혀진 만곡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수 유로(60)는 배수 유로(54)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1급수 유로, 제1급수 유로와 연결되며 물탱크(50)의 저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2급수 유로, 제2급수 유로와 연결되며 물탱크(50)의 측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3급수 유로, 제3급수 유로에 연결되며 물탱크(50)의 상면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4급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유로(60)의 입구(60a), 즉 제1급수 유로의 입구는 공통 유로(45)와 연결된다. 제4급수 유로의 일단, 즉 급수 유로(60)의 출구(60b)는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4급수 유로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유입구(5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4급수 유로의 일단에는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향해 굽혀진 만곡부(63)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유로(45)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급수 유로(60)를 따라 흘러 유입구(52)를 통해 물 저장부(51)에 저장된다.
급수 유로(60)와 물 저장부(51) 사이에는 과급수 회수 유로(70)가 마련될 수 있다. 과급수 회수 유로(70)는 급수 유로(60)의 하측에 물 저장부(51)의 상면과 일측면을 따라 급수 유로(60)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급수 회수 유로(70)는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의 상부와 물탱크(50)의 중간에 마련된 회수 구멍(56)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과급수 회수 유로(70)의 일단은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와 급수 유로(60)의 일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과급수 회수 유로(70)의 입구(70a)는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 위쪽으로 급수 유로(60)의 출구(60b)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과급수 회수 유로(70)의 출구(70b)는 물탱크(50)의 회수 구멍(56)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급수 회수 유로(70)는 급수 유로(60)의 제4급수 유로와 물 저장부(51)의 상면 사이에 마련되는 제1회수 유로, 제1회수 유로와 연결되며 제3급수 유로와 물 저장부(51)의 측면 사이에 마련되는 제2회수 유로, 및 제2회수 유로와 회수 구멍(56)을 연결하는 제3회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 구멍(56)은 터브(10)의 측벽(11)에 형성된 개구(11a)에 대응하도록 물탱크(50)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회수 구멍(56)으로 배출되는 세척수는 터브(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과급수 회수 유로(70)의 일단은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와 연통되며, 타단은 터브(1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가 차단되면, 급수 유로(60)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과급수 회수 유로(70)를 따라 흘러 회수 구멍(56)을 통해 터브(10)로 배출될 수 있다.
과급수 회수 유로(70)의 폭은 급수 유로(6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과급수 회수 유로(70)의 단면적은 터부(10) 내부의 기압(부압)에 의해 오버 플로우되는 세척수가 역류하거나 섬프(20)로 들어가지 못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유로(60)는 물탱크(50)의 내부에 마련된 채널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 유로(60)는 물탱크(50)의 측면과 급수벽(61)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벽(61)은 물탱크(50)의 후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물탱크(50)의 측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다.
급수벽(61)은 배수 유로(54)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1급수벽(61-1), 제1급수벽(61-1)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물탱크(50)의 하면과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2급수벽(61-2), 제2급수벽(61-2)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물탱크(50)의 측면과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3급수벽(61-3), 제3급수벽(61-3)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물탱크(50)의 상면과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4급수벽(6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급수벽(61-4)은 물 저장부(51)의 상측으로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마주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급수벽(61-4)의 일단은 대략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의 중앙에 위치하여, 제4급수벽(61-4)으로 배출되는 세척수가 유입구(5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4급수벽(61-4)의 일단은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향하여 굽혀진 만곡부(63)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급수벽(61-1)은 물 저장부(51)의 격벽(55)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급수벽(61)과 물탱크(50)의 하면 및 측면 사이에는 서브 급수벽(6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급수벽(61)과 서브 급수벽(62)이 급수 유로(60)를 형성할 수 있다. 서브 급수벽(62)은 물탱크(50)의 하면과 측면의 내면이 매끄럽지 않을 때, 또는 급수 유로(60)의 폭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급수벽(61)과 물탱크(50)의 하면과 측면 사이에 서브 급수벽(62)이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과급수 회수 유로(70)는 회수벽(71)과 급수벽(61)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수벽(71)은 물탱크(50)의 후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급수벽(61)과 일정 거리 이격된다.
회수벽(71)은 제4급수벽(61-4)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회수벽(71-1), 제1회수벽(71-1)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제3급수벽(61-3)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2회수벽(71-2), 제2회수벽(71-2)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회수 구멍(56)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3회수벽(71-3), 및 회수 구멍(56)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3회수벽(71-3)의 일단과 제3급수벽(61-3)을 연결하는 제4회수벽(7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수벽(71-1)의 일단(73)은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의 일 측면을 형성하며, 급수벽(61)의 일단보다 유입구(52)의 타 측면을 향해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급수벽(61)의 일단에서 유입구(52)를 형성하는 평면에 가상의 수직선을 그렸을 때, 제1회수벽(71-1)의 일단(73)이 수직선을 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회수벽(71-1)의 일단(73)을 형성하면, 세척수가 급수 유로(60)를 통해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로 유입될 때, 세척수가 과급수 회수 유로(7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제1회수벽(71-1)은 물 저장부(51)의 격벽(55)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물탱크(50)는 상부 물탱크부(50a)와 하부 물탱크부(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물탱크부(50a)와 하부 물탱크부(50b)를 일체로 결합하면, 물탱크(50)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물탱크부(50a)와 하부 물탱크부(50b)는 접착제, 초음파 용접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
물 저장부(51)를 형성하는 격벽(55), 급수 유로(60)를 형성하는 급수벽(61), 과급수 회수 유로(70)를 형성하는 회수벽(71), 및 복수의 보강 리브(57)는 하부 물탱크부(50b)의 후면의 내면과 상부 물탱크부(50a)의 전면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물탱크부(50b)의 후면의 내면에는 격벽(55)의 하부, 급수벽(61)의 하부, 회수벽(71)의 하부, 복수의 보강 리브(57)의 하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물탱크부(50a)의 전면의 내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물탱크부(50b)의 후면의 내면에 형성된 격벽(55)의 하부, 급수벽(61)의 하부, 회수벽(71)의 하부, 복수의 보강 리브(57)의 하부에 대응하는 격벽(55)의 상부, 급수벽(61)의 상부, 회수벽(71)의 상부, 복수의 보강 리브(57)의 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물탱크부(50b)와 상부 물탱크부(50a)가 결합되면, 하부 물탱크부(50b)의 격벽(55)의 하부, 급수벽(61)의 하부, 회수벽(71)의 하부, 및 복수의 보강 리브(57)의 하부가 상부 물탱크부(50a)의 격벽(55)의 상부, 급수벽(61)의 상부, 회수벽(71)의 상부, 및 복수의 보강 리브(57)의 상부와 각각 결합되어 격벽(55), 급수벽(61), 회수벽(71), 복수의 보강 리브(57)를 형성할 수 있다.
플로팅 캡(80)은 물 저장부(51)에 유입구(52)의 아래에 마련되며, 물 저장부(51)에 수용되는 세척수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입구(52)를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물 저장부(51)에 세척수가 만수되면, 플로팅 캡(80)이 유입구(52)를 막아 급수 유로(60)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물 저장부(5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플로팅 캡(80)이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막으면, 급수 유로(60)와 과급수 회수 유로(70)가 연통된다. 따라서, 급수 유로(60)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과급수 회수 유로(70)를 통해 회수 구멍(56)으로 배출된다.
또한, 플로팅 캡(80)이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막으면, 물 저장부(51)가 과급수 회수 유로(70)와 분리된다. 따라서, 물 저장부(51)에 저장된 세척수 또는 이물질의 냄새가 과급수 회수 유로(70)와 회수 구멍(56)을 통해 터브(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개시와 같이 플로팅 캡(80)으로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막으면,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1)를 사용하기 위해 도어(12)를 열었을 때, 물탱크(50)에 저장된 세척수에 기인하는 냄새를 맡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막는 플로팅 캡(80)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물탱크(50)의 경우에는, 플로팅 캡(80)은 물탱크(50)의 후면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캡(80)은 선회팔(81)과 실링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회팔(81)은 물 저장부(51)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선회팔(81)의 일단에는 축 구멍(83)이 마련되며, 축 구멍(83)에는 고정축(84)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축(84)의 양단은 물 저장부(51)의 전면과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선회팔(81)은 고정축(84)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실링부(82)는 선회팔(81)의 타단에 마련되며,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유입구(52)가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므로, 실링부(82)는 직사각형의 유입구(52)를 차단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82)의 상면은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82)의 상면이 유입구(52)의 하면에 접촉하여 유입구(52)를 막으면, 급수 유로(6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물 저장부(51)로 유입되지 않는다.
실링부(82)는 물 저장부(51)에 수용된 세척수에 의해 떠오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실링부(82)는 물에 뜨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저장부(51)에 세척수가 채워지는 경우에는, 세척수에 의해 플로팅 캡(80)이 고정축(8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승할 수 있다.
물 저장부(51)로부터 세척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플로팅 캡(80)은 고정축(8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하강할 수 있다. 물 저장부(51)에는 플로팅 캡(8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저장부(51)에 세척수가 없거나 적은 경우에는 플로팅 캡(80)은 스토퍼에 의해 경사지게 지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물탱크(50)를 터브(10)의 일 측면(1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59)가 스토퍼로서 기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물 저장부(51)에 물이 없는 경우에는 플로팅 캡(80)은 고정축(84)을 중심으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정부(59)에 의해 경사지게 지지된다.
플로팅 캡(80)이 고정부(59)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세척수가 공급되면, 플로팅 캡(80)은 세척수에 의해 고정축(84)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선회하여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막을 수 있다.
즉, 플로팅 캡(80)은 물 저장부(51)의 후면에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물 저장부(51)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에 따라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막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에 세척수가 공급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물탱크(50)에 세척수가 공급되기 전에는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는 개방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플로팅 캡(80)은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부(59)에 의해 경사지게 지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물 저장부(51)는 급수 유로(60) 및 과급수 회수 유로(70)와 연통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급수 유로(60)로 세척수를 공급하면 물 저장부(51)에 세척수를 채울 수 있다. 즉, 순환 펌프(30)에 의해 섬프(20)의 세척수가 급수 유로(60)의 입구(60a)로 유입되면, 세척수는 급수 유로(60)를 따라 이동하여 급수 유로(60)의 출구(60b)로 배출된다(화살표 A). 이때, 급수 유로(60)의 출구(60b)는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므로 급수 유로(6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로 유입되며(화살표 B), 과급수 회수 유로(70)로 유입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0)가 메인 밸브(41)를 개방하고, 순환 펌프(30)를 작동시키면, 섬프(20)에 수용된 세척수가 메인 밸브(41)를 통해 공통 유로(45)로 유입된다.
공통 유로(45)로 유입된 세척수는 급수 유로(60)의 입구(60a)로 유입된다. 이때, 배수 밸브(42)는 닫힌 상태이므로, 공통 유로(45)로 유입된 세척수는 배수 유로(54)로 유입되지 않는다.
급수 유로(60)의 입구(60a)로 유입된 세척수는 급수 유로(60)를 따라 급수 유로(60)의 출구(60b)로 이동한다(화살표 A). 급수 유로(60)의 출구(60b)는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의 상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유입구(52)를 향해 만곡되어 있으므로, 급수 유로(60)의 출구(60b)로 배출되는 세척수는 만곡부(63)를 따라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로 유입된다.
이때, 급수 유로(60)의 만곡부(63)는 과급수 회수 유로(70)의 일단보다 좌측으로 더 연장되고,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향해 만곡되어 있으므로, 급수 유로(6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대부분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로 유입되며, 과급수 회수 유로(70)로는 거의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급수 유로(60)를 통해 계속 세척수(W)가 공급되어 물 저장부(51)에 세척수(W)가 만수가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캡(80)이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막게 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의 물 저장부에 세척수가 만수위가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캡(80)이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막으면, 급수 유로(60)의 출구(60b)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로 유입되지 못하고, 과급수 회수 유로(70)로 유입되게 된다(화살표 C).
즉, 세척수에 의해 플로팅 캡(80)이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막으면, 급수 유로(60)의 출구(60b)와 과급수 회수 유로(70)의 입구(70a)가 연결되어 급수 유로(60)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과급수 회수 유로(70)를 통해 흐르게 된다. 과급수 회수 유로(70)의 출구(70b)는 회수 구멍(56)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급수 유로(60)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회수 구멍(56)을 통해 터브(10)의 내부로 배출된다.
즉, 물 저장부(51)에 공급된 세척수가 설계된 저장량에 도달하면, 플로팅 캡(80)이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막게 되므로, 물 저장부(51)가 닫히게 된다. 물 저장부(51)가 닫힌 후에는, 물 저장부(51)는 급수 유로(60) 및 과급수 회수 유로(70)와 분리되고, 급수 유로(60)와 과급수 회수 유로(70)가 연결된다. 따라서, 순환 펌프(30)가 동작하는 동안 과급수되는 세척수는 과급수 회수 유로(70)를 통해 터부(10) 내부로 배출되어, 섬프(20)로 회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로팅 캡(80)이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막으면, 물 저장부(51)와 과급수 회수 유로(70)가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물 저장부(51)에 저장된 세척수의 냄새가 과급수 회수 유로(70)와 회수 구멍(56)을 통해 터브(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물 저장부(51)에 저장된 세척수를 사용할 때에는, 배수 유로(54)에 마련된 배수 밸브(42)를 개방한다. 그러면, 물 저장부(51)의 세척수가 배수 유로(54)를 통해 배출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에서 세척수가 배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유로(54)에 마련된 배수 밸브(42)를 개방하면, 물 저장부(51)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 유로(54)를 통해 배출되어 공통 유로(45)로 유입된다(화살표 D). 이때, 물 저장부(51)의 세척수는 중력에 의해 공통 유로(45)로 유입될 수 있다.
공통 유로(45)로 유입된 세척수는 메인 밸브(41)를 통과하여 섬프(20)로 공급될 수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프로세서(90)가 배수 밸브(42)를 개방할 때에는 메인 밸브(41)도 함께 개방하여 물 저장부(51)의 물이 메인 밸브(41)를 통해 섬프(20)로 공급되도록 한다.
물 저장부(51)의 세척수가 배출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캡(80)은 고정축(84)을 중심으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여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개방하게 된다.
일정 이상의 세척수가 배출되면, 플로팅 캡(80)은 고정부(59)에 의해 경사지게 지지된다.
이상에서는 플로팅 캡(80)이 물 저장부(51)에 일정 각도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플로팅 캡(8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플로팅 캡(80)은 상하로 수직 이동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다른 예에 의한 플로팅 캡(8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에 사용되는 플로팅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플로팅 캡을 사용하는 물탱크에 물이 만수위가 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캡(800)은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물 저장부(51)의 후면에는 한 쌍의 안내 리브(801)가 마련된다. 한 쌍의 안내 리브(801)는 플로팅 캡(8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플로팅 캡(8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하로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 홈(802)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안내 홈(802)은 물 저장부(51)에 마련된 한 쌍의 안내 리브(80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로팅 캡(800)의 한 쌍의 안내 홈(802)에 물 저장부(51)의 후면에 마련된 한 쌍의 안내 리브(801)가 삽입되도록 설치하면, 플로팅 캡(800)이 한 쌍의 안내 리브(801)를 따라 상하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물 저장부(51)의 후면에는 플로팅 캡(800)과 한 쌍의 안내 리브(801)를 둘러싸는 수용벽(804)이 마련될 수 있다. 수용벽(804)에는 적어도 한 개의 관통공(80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복수의 관통공(805)을 통해 물 저장부(5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수용벽(804)은 양 측벽(806)과 하단 벽(807)을 포함할 수 있다. 하단 벽(807)은 양 측벽(806)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플로팅 캡(800)의 하강을 제한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물 저장부(51)의 전면에도 플로팅 캡(800)의 전면에 마련된 한 쌍의 안내 홈(802)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안내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저장부(51)에 세척수가 없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캡(800)은 수용벽(804)의 하단 벽(807)에 위치하므로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가 개방된다. 따라서, 순환 펌프(30)가 작동하여 급수 유로(60)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면, 세척수는 유입구(52)와 적어도 한 개의 관통공(805)을 통해 물 저장부(5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물 저장부(51)에 공급된 세척수가 설계된 저장량에 도달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캡(800)이 세척수(W)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차단한다.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가 플로팅 캡(800)에 의해 차단되면, 물 저장부(51)는 급수 유로(60) 및 과급수 회수 유로(70)와 분리되고, 급수 유로(60)가 과급수 회수 유로(70)와 연결된다. 따라서, 급수 유로(60)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과급수 회수 유로(70)를 통해 터브(10)의 내부로 회수된다.
이상에서는 물 저장부(51)에 한 쌍의 안내 리브(801)가 마련되고, 플로팅 캡(80)의 전면과 후면에 한 쌍의 안내 홈(802)이 마련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안내 리브(801)와 안내 홈(802)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물 저장부(51)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한 개의 안내 리브(801)를 형성하고, 플로팅 캡(80)의 전면과 후면에도 이에 대응하는 한 개의 안내 홈(80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다른 예에 의한 플로팅 캡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에 사용되는 플로팅 캡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플로팅 캡을 사용하는 물탱크에 물이 만수위가 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플로팅 캡(810)은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물 저장부(51)의 후면에는 한 쌍의 안내벽(811)이 마련된다. 한 쌍의 안내벽(811)은 물 저장부(51)의 후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플로팅 캡(8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안내벽(811)의 각각의 하단에는 플로팅 캡(810)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812)가 마련될 수 있다.
플로팅 캡(810)은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플로팅 캡(810)의 양 측면은 한 쌍의 안내벽(811)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플로팅 캡(810)은 한 쌍의 안내벽(811)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안내벽(811)에는 적어도 한 개의 관통공(81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적어도 한 개의 관통공(813)을 통해 물 저장부(5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저장부(51)에 세척수가 없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캡(810)은 한 쌍의 안내벽(811)의 하단에 마련된 스토퍼(812)에 위치하므로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가 개방된다. 따라서, 순환 펌프(30)가 작동하여 급수 유로(60)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면, 세척수는 유입구(52)와 적어도 한 개의 관통공(813)을 통해 물 저장부(5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물 저장부(51)에 공급된 세척수(W)가 설계된 저장량에 도달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캡(810)이 세척수(W)에 의해 한 쌍의 안내벽(81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차단한다.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가 플로팅 캡(810)에 의해 차단되면, 물 저장부(51)는 급수 유로(60) 및 과급수 회수 유로(70)와 분리되고, 급수 유로(60)가 과급수 회수 유로(70)와 연결된다. 따라서, 급수 유로(60)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과급수 회수 유로(70)를 통해 터브(10)의 내부로 회수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1)에 의하면, 물탱크(50)에 세척수가 만수위로 채워진 경우에는 플로팅 캡(80, 800, 810)이 물 저장부(51)의 유입구(52)를 차단한다. 따라서, 평소에는 연통되어 있던 물 저장부(51)와 과급수 회수 유로(70)가 플로팅 캡(80, 800, 810)에 의하여 분리되므로, 물 저장부(51)에 저장된 세척수의 냄새가 과급수 회수 유로(70)를 통해 터브(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1)는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1)를 사용하기 위해 도어(12)를 열었을 때, 사용자가 물탱크(50)에 저장된 세척수의 냄새에 기인하는 악취를 맡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식기 세척기 10; 터브
12; 도어 20; 섬프
30; 순환 펌프 41; 메인 밸브
42; 배수 밸브 45; 공통 유로
50; 물탱크 51; 물 저장부
52; 유입구 54; 배수 유로
55; 격벽 56; 회수 구멍
60; 급수 유로 61; 급수벽
70; 과급수 회수 유로 71; 회수벽
80, 800, 810; 플로팅 캡 84; 고정축
90; 프로세서 801; 안내 리브
802; 안내 홈 811; 안내벽

Claims (20)

  1. 터브;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섬프; 및
    상기 터브의 일측에 마련되는 물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는,
    물 저장부;
    상기 섬프와 연결되며, 상기 물 저장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유로;
    상기 물 저장부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급수 유로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물 저장부로 유입되는 유입구;
    일단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터브와 연통되도록 마련된 과급수 회수 유로;
    상기 물 저장부에 상기 유입구의 아래에 마련되며, 상기 물 저장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플로팅 캡;을 포함하며,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이 만수되면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와 상기 물 저장부를 분리시키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상기 섬프로 연결되는 배수 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 유로를 통해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이 상기 섬프로 배출되면, 상기 플로팅 캡이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여 상기 물 저장부와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를 연통시키는, 식기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캡이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면, 상기 급수 유로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를 통해 상기 터브로 흐르는,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의 일단은 상기 유입구의 위에 위치하며,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의 일단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급수 유로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의 일단은 상기 유입구를 향해 굽혀진 만곡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와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는 상기 물 저장부의 일측면과 상면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물 저장부의 후면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물 저장부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회팔; 및
    상기 선회팔의 일단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유입구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캡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하로 형성되는 안내 홈이 마련되며,
    상기 물 저장부의 후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 홈에 삽입되는 안내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안내 리브를 따라 상하로 직선 이동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의 후면에는 상기 플로팅 캡과 상기 안내 리브를 둘러싸는 수용벽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벽에는 적어도 한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의 후면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플로팅 캡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벽;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안내벽의 하단에는 상기 플로팅 캡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에 수용된 물을 상기 물탱크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
    상기 순환 펌프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 펌프와 상기 물탱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메인 밸브;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물 저장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수 밸브; 및
    상기 순환 펌프, 상기 메인 밸브, 및 상기 배수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섬프의 물을 상기 물 저장부로 공급하거나,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을 상기 섬프로 공급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섬프에 수용된 마지막 헹굼 수가 저장되는 재생 물탱크인, 식기 세척기.
  16.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유입구;
    상기 물 저장부의 하단에 마련되는 배출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물 저장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급수 유로;
    일단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타단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된 과급수 회수 유로; 및
    상기 물 저장부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의 아래에 마련되며, 상기 물 저장부에 수용되는 물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플로팅 캡;을 포함하며,
    상기 물 저장부의 물이 만수되면,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여 상기 물 저장부를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와 분리시키고, 상기 급수 유로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의 일단은 상기 유입구의 위에 위치하며,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의 일단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급수 유로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는,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와 상기 과급수 회수 유로는 상기 물 저장부의 일 측면과 상면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캡은 상기 물 저장부의 측벽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KR1020200167778A 2020-12-03 2020-12-03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KR20220078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778A KR20220078337A (ko) 2020-12-03 2020-12-03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PCT/KR2021/017857 WO2022119273A1 (ko) 2020-12-03 2021-11-30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US18/325,272 US20230301484A1 (en) 2020-12-03 2023-05-30 Dishwasher and water tank for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778A KR20220078337A (ko) 2020-12-03 2020-12-03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337A true KR20220078337A (ko) 2022-06-10

Family

ID=8185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778A KR20220078337A (ko) 2020-12-03 2020-12-03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01484A1 (ko)
KR (1) KR20220078337A (ko)
WO (1) WO20221192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22385B1 (en) * 2007-08-08 2011-05-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ishwasher
KR100824377B1 (ko) * 2008-01-22 2008-04-23 주식회사 포세이돈 폐 온수 재활용 타입의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1247049B1 (ko) * 2011-08-03 2013-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에어 브레이크
KR102373181B1 (ko) * 2017-05-26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1888418B1 (ko) * 2017-12-11 2018-08-14 김화열 식기세척기에 사용된 세척수 재활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9273A1 (ko) 2022-06-09
US20230301484A1 (en)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8831B2 (en) Detergent container of washing machine
CN108138418B (zh) 洗鞋装置
CN103842577B (zh) 洗衣机
US7481082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102125724B1 (ko) 연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373181B1 (ko) 식기 세척기
KR10124704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에어 브레이크
JP6105683B2 (ja) 食器洗い機
KR101544759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AU2020223652B2 (en) Detergent supply devi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541170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WO2017215422A1 (zh) 洗鞋装置
KR20220078337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물탱크
US20230165429A1 (en) Dishwasher
EP2630905A1 (en) Water softening device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20070027932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 장치
KR20060089443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070117914A (ko)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464781Y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WO2019019731A1 (zh) 洗鞋装置
KR101054113B1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JP5303619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9024749A (ja) 靴洗浄装置
JP7113171B2 (ja) 食器洗い機
JP7009816B2 (ja) 靴洗浄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