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650A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650A
KR20220026650A KR1020200107213A KR20200107213A KR20220026650A KR 20220026650 A KR20220026650 A KR 20220026650A KR 1020200107213 A KR1020200107213 A KR 1020200107213A KR 20200107213 A KR20200107213 A KR 20200107213A KR 20220026650 A KR20220026650 A KR 20220026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posed
display
notch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기호
김은혜
정은애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7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6650A/ko
Priority to US17/352,112 priority patent/US11818927B2/en
Priority to CN202110967015.5A priority patent/CN114122069A/zh
Publication of KR2022002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650A/ko
Priority to US18/508,964 priority patent/US2024009028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76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H01L27/3211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개시된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들,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는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 및 상기 모서리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주변 영역의 일변으로부터 함입되어 노치를 형성하는 노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영역의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 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노치 영역의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 영역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Description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치 형상을 갖는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디자인을 개선하고 유효 표시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을 축소할 수 있는 표시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목적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들,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는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 및 상기 모서리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주변 영역의 일변으로부터 함입되어 노치를 형성하는 노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영역의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 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노치 영역의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 영역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치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폭은 50㎛ 내지 15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치의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폭은 50㎛ 내지 500㎛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주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표시 영역 아래에 배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벤딩부와 연결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치 영역은 상기 모서리 영역과 상기 연결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은 모따임되거나 라운드 형상의 모서리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모서리 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곡선 또는 사선을 따라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노치 영역을 지나며 상기 스캔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캔 구동 배선, 상기 노치 영역을 지나며 상기 화소들에 제1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전원 전달 배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원 라인들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원 전달 배선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은 상기 노치 영역을 지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원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쉬 전원 배선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은 상기 노치 영역에 배치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모서리 영역에 인접한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배선의 일부는 인접하는 데이터 라인을 교차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 및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 배선층과 하부 배선층을 포함하는 이중 배선 구조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치 영역에서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은 상기 스캔 구동 배선과 중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 및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노치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폭보다 상기 모서리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폭이 더 크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 변으로부터 함입된 노치를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결합되는 윈도우 커버,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방수 부재, 상기 윈도우 커버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방수 부재 및 상기 제1 방수 부재와 상기 제2 방수 부재 사이를 충진하며 상기 노치와 중첩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방수 부재들 사이의 간극을 충진하는 밀봉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노치를 가지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노치를 통해 윈도우 커버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봉 부재의 위치가 표시 영역쪽으로 시프트 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벤딩부의 위치가 표시 영역쪽으로 시프트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노치 영역(NA)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전원 전달 배선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노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노치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일부는 벤딩되어 벤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펼쳐진 상태의 표시 패널을 도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PN), 상기 표시 패널(PN)의 전면에 결합된 윈도우 커버(WC) 및 상기 표시 패널(PN)의 후면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RC)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 커버(RC)는 하우징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패널(PN)은 상기 윈도우 커버(WC)와 결합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부(UP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PN)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UPA)를 연결하는 벤딩부(B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는 화소(PX)들이 배열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커버(WC)는 상기 표시 영역(DA)과 중첩하는 투과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PN)과 상기 윈도우 커버(WC)는 투명 점착 필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PN)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화소들(PX)은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에 인접하며 이미지를 생성하지 않는 영역은 주변 영역(PA)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변 영역(PA)은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PN)의 후면부(UPA)는 구동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면부(UPA)의 일 영역에는 구동칩(DD)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칩(DD)은 상기 표시 패널(PN)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부(UPA)의 일 영역에는 패드부(P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PD)는 복수의 연결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PD)는 제어 장치(CN)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CN)는 상기 구동칩(DD)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CN)는 상기 표시 패널(PN)에 전원 전압, 스캔 구동 신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CN)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부(UPA)는, 상기 패드부(PD)로부터 상기 구동칩(DD)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구동칩(DD)으로부터 생성된 구동 신호를 상기 표시 영역(DA)에 전달하고, 상기 패드부(PD)로부터 상기 표시 영역(DA)에 전원 전압, 스캔 구동 신호 등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는 방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표시 장치(10)의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수 부재는 접착 기능과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장치(10)는 제1 방수 부재(PT1)와 제2 방수 부재(PT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수 부재(PT1)는 적어도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PN)과 상기 리어 커버(R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수 부재(PT2)는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윈도우 커버(WC)와 상기 리어 커버(R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방수 부재(PT2)는, 상기 표시 패널(PN)의 벤딩부(BA)에 인접한 일 변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수 부재(PT1)는 나머지 세 변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10)는 셋 이상의 방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리어 커버(RC)는 상기 윈도우 커버(WC)와 상기 제2 방수 부재(PT2)를 수용할 수 있는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방수 부재(PT1)와 상기 제2 방수 부재(PT2)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됨에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10)의 방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방수 부재(PT1)와 상기 제2 방수 부재(PT2) 사이에는 밀봉 부재(GK)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GK)는 상기 제1 방수 부재(PT1)와 상기 제2 방수 부재(PT2) 사이의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밀봉 부재(GK)는 고점도의 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화성 수지는 열 경화성 수지 또는 광 경화성 수지일 수 있으며,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엘라스토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밀봉 부재(GK)는 상기 윈도우 커버(WC) 및 상기 리어 커버(RC)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봉 부재(GK)와 상기 윈도우 커버(WC)의 접촉 영역(CT)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PN)은 상기 밀봉 부재(GK)와 중첩하는 노치(NC)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 패널(PN)의 전면부는 평면도 상에서 모서리가 라운드지거나 모따임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노치(NC)는 상기 전면부의 일변으로부터 함입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밀봉 부재(GK)는 상기 노치(NC) 및 상기 노치(NC)에 인접하는 주변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방수 부재들 사이의 간극을 충진하는 밀봉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노치를 가지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노치를 통해 윈도우 커버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봉 부재의 위치가 표시 영역쪽으로 시프트 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벤딩부의 위치가 표시 영역쪽으로 시프트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110) 위에는 버퍼층(1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2) 위에는 액티브 패턴(AP)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기판(110)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판(1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이미드, 폴리벤조옥사졸, 폴리벤조비스옥사졸, 폴리벤조이미다졸, 폴리벤조티아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기판(110)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과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배리어층를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기판(110)의 하부에는 지지 필름(SF)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SF)은 상기 베이스 기판(110)을 지지하는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SF)은 상기 벤딩부(BA)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거나, 상기 밴딩부(BA)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2)은, 상기 베이스 기판(110)의 하부로부터 이물, 수분 또는 외기의 침투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112)은 상기 베이스 기판(110)의 상면의 조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퍼층(112)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과 같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패턴(AP)은, 채널 영역(C1), 소스 영역(S1) 및 드레인 영역(D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S1) 및 상기 드레인 영역(D1)은 각각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패턴 위에는 제1 게이트 금속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게이트 금속 패턴은 상기 채널 영역(C1)과 중첩하는 게이트 전극(G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패턴과 상기 제1 게이트 금속 패턴 사이에는 제1 절연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 금속 패턴 위에는 커패시터 전극 패턴(CP)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금속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패시터 전극 패턴(CP)은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 금속 패턴과 상기 제2 게이트 금속 패턴 사이에는 제2 절연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게이트 금속 패턴 위에는 제3 절연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티브 패턴은, 실리콘 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티브 패턴은 다결정 실리콘(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에 의해 도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트랜지스터에서 액티브 패턴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티브 패턴은, 인듐(In), 아연(Zn), 갈륨(Ga), 주석(Sn), 티타늄(Ti), 알루미늄(Al), 하프늄(Hf), 지르코늄(Zr), 마그네슘(Mg) 등을 함유하는 이성분계 화합물(ABx), 삼성분계 화합물(ABxCy), 사성분계 화합물(ABxCyDz)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액티브 패턴(AP2)은 아연 산화물(ZnOx), 갈륨 산화물(GaOx), 티타늄 산화물(TiOx), 주석 산화물(SnOx), 인듐 산화물(InOx), 인듐-갈륨 산화물(IGO), 인듐-아연 산화물(IZO), 인듐-주석 산화물(ITO), 갈륨-아연 산화물(GZO), 아연-마그네슘 산화물(ZMO), 아연-주석 산화물(ZTO), 아연-지르코늄 산화물(ZnZrxOy),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인듐-아연-주석 산화물(IZTO), 인듐-갈륨-하프늄 산화물(IGHO), 주석-알루미늄-아연 산화물(TAZO) 및 인듐-갈륨-주석 산화물(IGT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120), 상기 제2 절연층(130) 및 상기 제3 절연층(140)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등과 같은 절연성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층(120), 상기 제2 절연층(130) 및 상기 제3 절연층(140) 각각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의 단일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게이트 금속 패턴 및 상기 제2 게이트 금속 패턴은 각각, 금(Au),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백금(Pt), 마그네슘(Mg), 크롬(Cr), 텅스텐(W), 몰리브덴(Mo), 티타늄(Ti), 탄탈륨(Ta)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서로 다른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층(140) 위에는 제1 소스 금속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소스 금속 패턴은 하부의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액티브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소스 패턴(SP) 및 드레인 패턴(DP)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스 금속 패턴은, 연결 배선 및 메쉬 전원 배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스 금속 패턴 위에는 제4 절연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절연층(150)은 하부의 구조물에 의한 높이 차이를 보상하여 기판을 평탄화할 수 있다. 상기 제4 절연층(150)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절연층(150)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실록산 수지,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절연층(150)은 제1 비아 절연층 또는 제1 유기 절연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4 절연층(150) 위에는 제2 소스 금속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소스 금속 패턴은 상기 제4 절연층(150)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패턴(DP)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연결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소스 금속 패턴은 데이터 라인과 전원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소스 금속 패턴 및 상기 제2 소스 금속 패턴은, 각각 금(Au),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백금(Pt), 마그네슘(Mg), 크롬(Cr), 텅스텐(W), 몰리브덴(Mo), 티타늄(Ti), 탄탈륨(Ta)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서로 다른 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스 금속 금속 패턴 및 상기 제2 소스 금속 패턴은, 각각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소스 금속 패턴 위에는 제5 절연층(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 절연층(160)은 상기 제4 절연층(15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비아 절연층 또는 제2 유기 절연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5 절연층(160) 위에는 발광 소자(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200)는 제1 전극(EL1), 상기 제1 전극(EL1) 위에 배치되는 유기층(OL), 상기 유기층(OL) 위에 배치되는 제2 전극(EL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200)의 제1 전극(EL1)은 상기 연결 전극(C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 절연층(160) 위에 배치되는 화소 정의층(PDL)은, 상기 제1 전극(EL1)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층(OL)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될수 있다. 상기 유기층(OL)은 복수의 화소 영역들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공통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층(OL)은 복수의 제1 전극들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층(PDL)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EL1)은 애노드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EL1)은, 상기 표시 장치의 발광 타입에 따라 투과 전극으로 형성되거나, 반사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EL1)이 투과 전극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EL1)은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아연 주석 산화물, 인듐 산화물, 아연 산화물, 주석 산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EL1)이 반사 전극으로 형성되는 경우, 금(Au),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백금(Pt), 마그네슘(Mg), 크롬(Cr), 텅스텐(W), 몰리브덴(Mo), 티타늄(Ti)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투과 전극에 사용된 물질과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유기층(OL)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의 기능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을 단층 또는 다층의 구조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층(OL)은, 저분자 유기 화합물 또는 고분자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층(OL)은 적색, 녹색 또는 청색광을 발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층(OL)이 백색을 발광하는 경우, 상기 유기층(OL)은 적색발광층, 녹색발광층, 청색발광층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포함할 수 있거나, 적색, 녹색, 청색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단층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EL2)은 캐소드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EL2)은 상기 표시 장치의 발광 타입에 따라 투과 전극으로 형성되거나, 반사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EL2)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금속 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EL2)은 복수의 화소 영역들에 걸쳐, 표시 영역 상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공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EL2) 위에는 봉지층(2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210)은 유기 박막과 무기 박막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봉지층(210)은 제1 무기 박막(212), 상기 제1 무기 박막(212) 위에 배치된 유기 박막(214), 및 상기 유기 박막(214) 위에 배치된 제2 무기 박막(2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박막은, 아크릴 수지 경화물, 에폭시 수지 경화물 등과 같은 고분자 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경화물은, 모노머의 가교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박막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노치 영역(NA)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전면부(FA), 상기 전면부(FA)와 연결되는 벤딩부(BA) 및 상기 벤딩부(BA)로부터 연장되는 배면부(UP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상기 표시 영역(DA)과 상기 주변 영역은 표시 영역 경계(DAB)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DA)은 전체적으로 2차원의 표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영역(DA)은 모서리가 라운드지거나 모따임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서리가 라운드지거나 모따임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스캔 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DA1)에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전원 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에는, 스캔 구동부(GD), 스캔 구동 배선(CK), 제1 전원 전달 배선(PB1), 제2 전원 전달 배선(PB2) 및 팬아웃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캔 구동부(GD)는 상기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캔 구동부(GD)는 각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캔 구동 배선(CK)은 상기 스캔 구동부(GD)에 스캔 구동 신호를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캔 구동 신호는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캔 구동 배선(CK)은 복수의 신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PB1)은 제1 전원 전압을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200)의 제2 전극(EL2)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PB1)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영역(DA)이 라운드진 모서리를 갖는 경우,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PB1)은 상기 모서리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PB2)은 제2 전원 전압을 상기 전원 라인들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전압은 상기 전원 라인들을 통해 각 화소의 구동 소자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소자는 상기 제2 전원 전압에 근거하여 구동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전압은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200)의 제1 전극(EL1)에 전달된다.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PB2)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일 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영역(DA)이 라운드진 모서리를 갖는 경우,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PB2)은 상기 모서리 형상을 따라 연장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아웃 배선은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팬아웃 라인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아웃 라인들 중 일부는 연결 배선(BR)에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들 중 일부는 상기 연결 배선(BR)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전달 받는다. 상기 연결 배선(BR)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표시 영역(DA) 내에 배치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팬아웃 라인(FL1)은 제1 데이터 라인(DL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팬아웃 라인(FL2)은 연결 배선(BR)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배선(BR)은 상기 표시 영역(DA) 내에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제1 수직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연장부는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을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연결 배선(BR)은 제2 수직 연장부 및 제2 수평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직 연장부는,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주변 영역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 연장부는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수직 연장부의 단부 및 제2 데이터 라인(DL2)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연결 배선(BR)의 수직 연장부들은 제2 소스 금속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연결 배선(BR)의 수직 연장부들은 상기 연결 전극(CE)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배선(BR)의 수평 연장부들은 상기 제1 소스 금속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배선(BR)의 수평 연장부들은 상기 소스 패턴(SP) 및 상기 드레인 패턴(DP)과 동일한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BA) 및 상기 배면부(UPA)에는 상기 스캔 구동 배선(CK),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PB1),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PB2) 및 상기 팬아웃 배선에 스캔 구동 신호, 전원 전압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 배선(TL)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변 영역(PA)은, 모서리 영역(CNA), 연결 영역(CA) 및 노치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영역(CNA)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모서리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영역(CNA)에는 상기 스캔 구동부(GD)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영역(CAN)에서 상기 스캔 구동부(GD)는 상기 표시 영역(DA)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곡선 또는 사선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영역(CA)은 상기 벤딩부(BA)와 연결되는 영역 또는 상기 표시 영역(DA)과 상기 벤딩부(BA) 사이의 주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노치 영역(NA)은 상기 표시 패널의 노치(NC)에 의해 함입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치 영역(NA)은 상기 모서리 영역(CNA)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치 영역(NA)은 상기 모서리 영역(CNA)과 상기 연결 영역(C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치 영역(NA)의 상기 제1 방향(D1)에 따른 폭은, 상기 모서리 영역(CNA) 및 상기 연결 영역(CA)의 상기 제1 방향(D1)에 따른 폭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노치 영역(NA)의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 영역(DA) 사이의 제1 방향(D1)에 따른 거리는, 상기 모서리 영역(CNA)의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 영역(DA) 사이의 거리 보다 작다. 예를 들어, 상기 노치 영역(NA)의 가장자리는 상기 모서리 영역(CNA)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표시 영역(DA)을 향하여 함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치 길이(d1, 노치의 폭)는 5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노치 길이(d1)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 밀봉 부재와 글래스 커버의 접착력이 감소할 수 있으며, 과도하게 큰 경우, 배선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노치 영역(NA) 또는 상기 노치(NC)의 상기 제2 방향의 폭(w1)은 50㎛ 내지 500㎛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노치의 크기 및 디자인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DA)이 모서리가 라운드지거나 모따임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에 인접한 화소 열은 상기 모서리에 인접하지 않은 화소 열보다 작은 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서리에 인접한 화소 행은 상기 모서리에 인접하지 않은 화소 행보다 작은 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변 영역의 모서리 영역(CNA)에 인접하는 제2 데이터 라인(DL2)은, 상기 모서리 영역(CAN)에 인접하지 않은 제1 데이터 라인(DL1)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서리 영역(CNA)에 인접한 제2 게이트 라인(GL2)은 상기 모서리 영역(CNA)에 인접하지 않은 제1 게이트 라인(GL1)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서리 영역(CNA)에 인접한 제2 전원 라인(PL2)은 상기 모서리 영역(CNA)에 인접하지 않은 제1 전원 라인(PL1)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은 상기 제1 팬아웃 배선(FL1)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2)은 상기 연결 배선(BR)을 통해 상기 제2 팬아웃 배선(FL2)과 전기적으로 연결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과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2)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1)과 상기 제2 게이트 라인(GL2)는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전원 라인(PL1)과 상기 제2 전원 라인(PL2)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영역에는 댐 구조물(DM)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 구조물(DM)은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스캔 구동부(GD), 상기 스캔 구동 배선(CK),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PB1),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PB2) 및 상기 팬아웃 배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댐 구조물(DM)과 상기 표시 영역(D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댐 구조물(DM)은 상기 주변 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이 노치(NC)를 가짐에 따라, 상기 댐 구조물(DM)은 상기 주변 영역의 노치 영역(NA)에서 상기 제1 방향(D1)으로 함몰되거나, 상기 주변 영역의 모서리 영역(CNA)에서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노치 영역(NA)에서, 베이스 기판(110) 위에는 버퍼층(112), 제1 절연층(120), 제2 절연층(130), 제3 절연층(140), 제4 절연층(150), 제5 절연층(160) 및 봉지층(2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2), 상기 제1 절연층(120), 상기 제2 절연층(130), 상기 제3 절연층(140), 상기 제4 절연층(150), 상기 제5 절연층(160) 및 상기 봉지층(210)은 표시 영역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치 영역(NA)에는, 스캔 구동 배선(CK), 제1 전원 전달 배선(PB1), 제2 전원 전달 배선(PB2), 팬아웃 배선 및 댐 구조물(DM)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캔 구동 배선(CK)은 제1 스캔 구동 라인(CK1) 및 제2 스캔 구동 라인(CK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캔 구동 라인(CK1) 및 상기 제2 스캔 구동 라인(CK2)은 제1 방향(D1)을 따라 이격되고,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캔 구동 라인(CK1) 및 상기 제2 스캔 구동 라인(CK2)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캔 구동 라인(CK1)은 제1 게이트 금속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스캔 구동 라인(CK1)은 상기 제1 절연층(120) 및 상기 제2 절연층(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캔 구동 라인(CK2)은 제2 게이트 금속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스캔 구동 라인(CK2)은 상기 제2 절연층(130) 및 상기 제3 절연층(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PB1) 및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PB2)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 배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PB1)은 하부 배선층(PB1a) 및 상기 하부 배선층(PB1a) 위에 배치되는 상부 배선층(PB1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영역에서 상기 하부 배선층(PB1a)과 상기 상부 배선층(PB1b) 사이에는 제4 절연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영역에서 상기 하부 배선층(PB1a)과 상기 상부 배선층(PB1b)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배선층(PB1a)은 제1 소스 금속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배선층(PB1a)은 상기 제3 절연층(140)과 상기 제4 절연층(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선층(PB1b)은 제2 소스 금속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배선층(PB1b)은 상기 제4 절연층(150)과 상기 제5 절연층(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PB2)은 하부 배선층(PB2a) 및 상기 하부 배선층(PB2a) 위에 배치되는 상부 배선층(PB2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영역에서 상기 하부 배선층(PB2a)과 상기 상부 배선층(PB2b) 사이에는 제4 절연층(15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영역에서 상기 하부 배선층(PB2a)과 상기 상부 배선층(PB2b)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배선층(PB2a)은 제1 소스 금속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배선층(PB2a)은 상기 제3 절연층(140)과 상기 제4 절연층(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선층(PB2b)은 제2 소스 금속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배선층(PB2b)은 상기 제4 절연층(150)과 상기 제5 절연층(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원 라인(PL1)은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PB2)의 상부 배선층(PB2b)과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팬아웃 배선은 복수의 팬아웃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팬아웃 배선은 제1 데이터 라인(DL1)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팬아웃 라인(FL1) 및 연결 배선(BR)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 팬아웃 라인(FL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팬아웃 라인(FL1) 및 상기 제2 팬아웃 라인(FL2)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팬아웃 라인(FL1)은 상기 제1 게이트 금속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팬아웃 라인(FL1)은 상기 제1 절연층(120) 및 상기 제2 절연층(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팬아웃 라인(FL2)은 상기 제2 게이트 금속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팬아웃 라인(FL2)은 상기 제2 절연층(130) 및 상기 제3 절연층(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아웃 배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원 전달 배선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은 유기막 단절 영역(OR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막 단절 영역(ORA)에서는 댐 구조물(DM)을 제외한 유기막이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막 단절 영역(ORA)에서는 상기 제4 절연층(150) 및 상기 제5 절연층(160)이 배제될 수 있다.
상기 유기막 단절 영역(ORA)은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습기 등이 외부로부터 유기막을 따라 상기 표시 영역(DA)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댐 구조물(DM)은 상기 유기막 단절 영역(ORA)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 구조물(DM)은 상기 봉지층(210)의 유기 박막(214)을 형성할 때, 액상의 모노머 조성물이 오버플로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박막(214)의 가장자리의 위치는 상기 댐 구조물(DM)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210)의 무기 박막들(212, 216)은 상기 댐 구조물(DM)을 넘어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댐 구조물(DM)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댐 구조물(DM)은 상기 제4 절연층(150), 상기 제5 절연층(160) 또는 화소 정의층(PDL)과 동일한 층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전원 전달 배선을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전원 전달 배선(PB1) 및 제2 전원 전달 배선(PB2)은 모서리 영역(CNA) 및 노치 영역(NA)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PB1) 및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PB2)은 중 적어도 하나는 영역에 따라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PB1)은, 상기 노치 영역(NA)에서의 폭(W2) 보다 상기 모서리 영역(CNA)에서 더 큰 폭(W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PB2)은, 상기 노치 영역(NA)에서의 폭(W3) 보다 상기 모서리 영역(CNA)에서 더 큰 폭(W3')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폭이 좁은 노치 영역(NA)에서 선택적으로 전원 전달 배선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저항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노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노치 영역(NA)에서 제1 전원 전달 배선(PB1)은 스캔 구동 배선(CK)과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치 영역(NA)의 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노치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전원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원 전달 배선(PB2)은 노치 영역(NA)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PB2)는 벤딩부(BA)와 연결되는 연결 영역(CA)에만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PB2)은 상기 연결 영역(CA)에 인접한 제3 전원 라인(PL3)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상기 제3 전원 라인(PL3)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메쉬 전원 배선(MP)이 배치된다. 상기 메쉬 전원 배선(MP)은 상기 노치 영역(NA)에 인접하는 제1 전원 라인(PL1) 및 모서리 영역(CNA)에 인접하는 제2 전원 라인(PL2)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쉬 전원 배선(MP)을 통해 제1 전원 라인(PL1) 및 상기 제2 전원 라인(PL2)에 제2 전원 전압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라인들은 제2 소스 금속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메쉬 전원 배선(MP)은 제1 소스 금속 패턴과 동일한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치 영역(NA)에 상기 전원 전달 배선(PB2)이 배치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노치 영역(NA)에서 제1 전원 전달 배선(PB1) 및 스캔 구동 배선(CK)이 표시 영역(DA) 쪽으로 함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치 영역(NA)의 제1 방향(D1)에 따른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PN)의 표시 영역(DA)은 모따임된 형상의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주변 영역(PA)의 모서리 영역에는 상기 표시 영역(DA)의 모서리를 따라 스캔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영역의 가장자리는 라운드 형상 또는 모따임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노치는 표시 패널 상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PN)은 벤딩부(BA)와 하단 모서리 영역에 인접하는 제1 노치(NC1) 및 상단 모서리 영역에 인접하는 제2 노치(NC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PN)의 전면을 커버하는 윈도우 커버(WC) 및 상기 표시 패널(PN)의 후면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커버(WC)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는 방수 부재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방수 부재들의 단차를 밀봉하기 위하여 밀봉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PN)의 노치들(NC1, NC2)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밀봉 부재(GK1)는 상기 제1 노치(NC1)와 중첩하여, 상기 제1 노치(NC1)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윈도우 커버(WC)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밀봉 부재(GK2)는 상기 제2 노치(NC2)와 중첩하여, 상기 제2 노치(NC2)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윈도우 커버(WC)와 접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성을 예시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정 표시 장치, 무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표시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차량용, 선박용 및 항공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휴대용 통신 장치들, 전시용 또는 정보 전달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의료용 디스플레이 장치들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29)

  1.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들;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는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 및 상기 모서리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주변 영역의 일변으로부터 함입되어 노치를 형성하는 노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영역의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 영역 사이의 거리는, 상기 노치 영역의 가장자리와 상기 표시 영역 사이의 거리보다 큰, 표시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폭은 5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폭은 50㎛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주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표시 영역 아래에 배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벤딩부와 연결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치 영역은 상기 모서리 영역과 상기 연결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모따임되거나 라운드 형상의 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모서리 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곡선 또는 사선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영역을 지나며, 상기 스캔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캔 구동 배선;
    상기 노치 영역을 지나며, 상기 화소들에 제1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전원 전달 배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원 라인들;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원 전달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은 상기 노치 영역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원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쉬 전원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은 상기 노치 영역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모서리 영역에 인접한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선은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선의 일부는 인접하는 데이터 라인을 교차하도록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 및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 배선층과 하부 배선층을 포함하는 이중 배선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영역에서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은 상기 스캔 구동 배선과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 및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노치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폭보다 상기 모서리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17. 일 변으로부터 함입된 노치를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결합되는 윈도우 커버;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방수 부재;
    상기 윈도우 커버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방수 부재; 및
    상기 제1 방수 부재와 상기 제2 방수 부재 사이를 충진하며 상기 노치와 중첩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경화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 부재 및 상기 제2 방수 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들;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는 주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스캔 구동부의 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표시 영역의 모서리에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 및 상기 모서리 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주변 영역의 일변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노치를 형성하는 노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주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표시 영역 아래에 배치되는 후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역은 상기 벤딩부와 연결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치 영역은 상기 모서리 영역과 상기 연결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모따임되거나 라운드 형상의 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구동부는 상기 모서리 영역에서 상기 표시 영역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곡선 또는 사선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노치 영역을 지나며, 상기 스캔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캔 구동 배선;
    상기 노치 영역을 지나며, 상기 화소들에 제1 전원 전압을 전달하는 제1 전원 전달 배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원 라인들;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원 전달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원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쉬 전원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은 상기 노치 영역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며, 상기 모서리 영역에 인접한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영역에서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은 상기 스캔 구동 배선과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전달 배선 및 상기 제2 전원 전달 배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노치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폭보다 상기 모서리 영역에서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107213A 2020-08-25 2020-08-25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26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213A KR20220026650A (ko) 2020-08-25 2020-08-25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7/352,112 US11818927B2 (en) 2020-08-25 2021-06-18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110967015.5A CN114122069A (zh) 2020-08-25 2021-08-23 显示面板和包括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US18/508,964 US20240090288A1 (en) 2020-08-25 2023-11-14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213A KR20220026650A (ko) 2020-08-25 2020-08-25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650A true KR20220026650A (ko) 2022-03-07

Family

ID=8035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213A KR20220026650A (ko) 2020-08-25 2020-08-25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818927B2 (ko)
KR (1) KR20220026650A (ko)
CN (1) CN114122069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709B1 (ko) 2011-07-12 2018-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009657B1 (ko) 2012-10-31 2019-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영상표시 단말기
JP7029894B2 (ja) 2017-07-11 2022-03-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457975B1 (ko) * 2017-11-29 2022-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644863B1 (ko) * 2019-03-19 202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69050A1 (en) 2022-03-03
US20240090288A1 (en) 2024-03-14
US11818927B2 (en) 2023-11-14
CN114122069A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4590B2 (en) Display device
KR102025835B1 (ko)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138544A (ko) 표시 장치
KR2019012803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276840B2 (en) Display device having an optically transparent plate
US20200203442A1 (en) Display panel
KR20210016114A (ko) 표시 장치
US20220293579A1 (en) Display device
CN113130587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00133890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27654A (ko) 표시 장치
KR20210002287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21218A (ko) 표시 장치
CN113314569A (zh) 显示装置
KR20210044362A (ko) 표시 장치
KR102182538B1 (ko)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20026650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62785A (ko) 표시 장치
KR20210157928A (ko) 표시 장치
KR20210009487A (ko) 표시 장치
CN217606819U (zh) 显示装置
KR102269139B1 (ko)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839123B2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20240107830A1 (en) Display subsrate and display device
KR20230167911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