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631A - 퍼팅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 - Google Patents

퍼팅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631A
KR20220026631A KR1020200106973A KR20200106973A KR20220026631A KR 20220026631 A KR20220026631 A KR 20220026631A KR 1020200106973 A KR1020200106973 A KR 1020200106973A KR 20200106973 A KR20200106973 A KR 20200106973A KR 20220026631 A KR20220026631 A KR 20220026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distance
marker
incl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813B1 (ko
Inventor
조기홍
Original Assignee
조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홍 filed Critical 조기홍
Priority to KR102020010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8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A63B2071/062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 A63B2071/0666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worn on the head or face, e.g. combined with goggles or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1Maps, e.g. yardage maps or electronic m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자체적으로 수집된 주변 지형 정보 및 홀컵까지의 거리를 활용하여 퍼팅을 가이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퍼팅 가이드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퍼팅 가이드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홀컵까지의 거리와 현재 배치된 위치의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부를 구비하는 퍼팅 마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퍼팅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PUTTING-GUIDE APPARATUS AND PUTTING GUIDE METHOD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퍼팅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퍼팅을 가이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중 퍼팅 그린에 놓여진 골프공은 다음 플레이어의 퍼팅을 위해 자신이 사용한 골프공을 집어든 후 골프공이 있던 위치를 볼마커로 표시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는 수 많은 골퍼들이 그린의 경사도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를 고려한 퍼팅 거리 또는 퍼팅 방향 측정이 난해하여 골프 스코어(타수)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0697호는 퍼팅 거리와 퍼팅 방향을 알려주는 볼 마커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6004호는 퍼팅정보 제공기능을 갖춘 디지털 볼 마커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0697호는 퍼팅 거리와 퍼팅 방향을 알려주는 볼 마커로서, 골프의 그린 위의 볼과 홀컵 사이의 m당 거리를 통해 퍼팅 거리와 퍼팅 방향을 환산할 수 있도록 한 볼 마커에 있어서, 퍼팅그린의 경사각(볼과 홀컵 사이의 전후경사각과 볼과 홀컵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축과 수직하는 방향의 좌우경사각)을 측정하는 2축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읽은 퍼팅그린의 경사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컨버터; 상기 경사각에 따라 평지 퍼팅거리와 퍼팅방향을 연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된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볼과 홀컵 사이의 거리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값을 곱하여 가감하는 것과 경사각에 따라 평지 퍼팅 거리와 퍼팅 방향을 알려주도록 한것이며, 볼과 홀컵 사이에 전후 경사각도가 있는 오르막 또는 내리막 퍼팅의 경우 평지상태라면 퍼팅해야 하는 퍼팅 거리를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퍼팅 가이드를 위한 퍼팅방향 및 퍼팅강도는 제시하지만 복잡한 지형에서 필요한 퍼팅방향이나 퍼팅강도를 제시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자체적으로 수집된 주변 지형 정보 및 홀컵까지의 거리를 활용하여 퍼팅을 가이드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퍼팅 가이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퍼팅 가이드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홀컵까지의 거리와 현재 배치된 위치의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부를 구비하는 퍼팅 마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거리측정용 레이져유닛 및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기울기를 측정하는 경사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팅 마커는 카메라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는 안경테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들, 상기 퍼팅 마커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부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안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퍼팅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은 레이저유닛과 경사도센서가 형성된 센서부, 카메라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퍼팅 마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유닛을 통해 퍼팅 마커 위치 및 홀컵 사이의 제1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단계, 상기 경사도센서를 통해 상기 퍼팅 마커 위치의 제1 경사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경사도측정단계, 상기 제1 직선거리 및 제1 경사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퍼팅거리 및 퍼팅방향을 산출하는 분석단계 및 상기 퍼팅거리 및 퍼팅방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퍼팅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은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하는 안경착용단계,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그린의 3차원 영상데이터들을 생성하는 이미지생성단계 및 상기 3차원 영상데이터로 제작된 3차원 지도에서 직선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제1 직선거리를 제2 직선거리로 보정하는 거리보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팅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은 상기 3차원 지도 및 상기 퍼팅 마커에서 측정된 상기 제1 경사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3차원 지도를 보정하는 3D보정단계 및 상기 제2 직선거리 및 상기 3차원 지도를 통해 가상의 골프공을 상기 3차원 지도에서 퍼팅 시뮬레이션 한 후 복수의 퍼팅방향 및 퍼팅강도를 산출하고 예상 골프공 궤적을 표시하는 퍼팅정보표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퍼팅 마커는 자체적으로 그린의 경사도, 골프공이 배치된 위치 및 홀컵 사이의 거리를 측정 및 산출하여 정확한 퍼팅방향 및 퍼팅강도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퍼팅 마커는 무선으로 외부 단말기와 연동되어 3차원 영상데이터를 통한 3차원 지도의 생성이 가능하고, 퍼팅 마커, 외부 단말기, 안경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3차원 지도 상에서 골프공이 이동 가능한 궤적, 퍼팅방향 및 퍼팅강도를 분석한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퍼팅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들.
도 2는 도 1의 퍼팅 가이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퍼팅 가이드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안경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도 1의 퍼팅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퍼팅 가이드 장치는 퍼팅 마커(100) 및 안경(150)을 포함하고, 퍼팅 마커(100)는 본체(200), 디스플레이부(300), 센서부(400), 통신부(500), 카메라부(51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퍼팅 마커(100)는 골프공이 놓여 있던 퍼팅 마커 위치(20)에 배치되면 자동으로 레이저를 통해 홀컵(50) 및 상기 퍼팅 마커 위치(20) 사이의 제1 직선거리(30)를 측정하고, 퍼팅 마커(100)가 배치된 그린의 제1 방향(1)쪽 경사도 및 제1 방향(1)과 수직한 방향에 대한 경사도를 측정한다.
퍼팅 마커(100)는 측정된 제1 직선거리(30) 및 경사도를 통해 퍼팅 마커 위치(20)에 놓여지는 골프공의 퍼팅방향을 디스플레이로 표시하고, 표시된 퍼팅방향을 따라 골퍼가 골프공을 타격할때 필요한 퍼팅강도를 색 또는 숫자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본체(20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은 반원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링 형태로 외측을 향해 돌출되며, 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배터리커버(220)가 형성된다.
본체(200)의 저면에는 그린(11) 감지센서가 부착되고, 본체(200)의 저면이 그린(11) 상에 배치되면, 자동으로 센서부(400)가 작동하여 퍼팅 마커 위치(20) 및 홀컵(50) 사이의 제1 직선거리(30)를 측정한다.
배터리커버(220)의 분리를 통해 본체(200)의 내부에 배터리의 장착하거나 배터리의 분리가 가능하고, 본체(200)는 배터리커버(220) 없이 내장형 배터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제1 디스플레이(310) 및 제2 디스플레이(3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본체(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골퍼에게 퍼팅거리(322), 퍼팅방향표시(315) 및 배터리 충전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감지센서가 그린(11)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작동되어 정보를 골퍼에게 제공한다.
제1 디스플레이(310)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20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홀컵위치표시(311), 퍼팅방향표시(315) 또는 숫자로 이루어진 퍼팅강도 중 어느 하나를 골퍼에게 표시한다.
제2 디스플레이(320)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디스플레이(310)의 후방에서 본체(200)와 결합되며, 숫자 또는 색의 변화를 통해 퍼팅 마커 위치(20) 및 홀컵(50) 사이의 제1 직선거리(30)가 아닌 골프공을 타격하여 홀컵(50)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퍼팅강도로 평면 상부에 위치한 골프공을 타격했을 경우의 퍼팅거리(322)를 표시한다.
따라서, 골퍼는 제2 디스플레이(320)에 표시된 퍼팅거리(322)를 참조하여 평지에서 골프공을 퍼팅거리(322)만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퍼팅강도만큼 퍼팅방향표시(315)를 향해 골프공을 타격하면 편리하고 정확하게 골프공을 홀컵(5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그린(11)의 경사도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증가하는 지형에서 퍼팅 마커 위치(20) 및 홀컵(50) 사이의 연장선인 일직선라인(16)을 따라 동일한 제1 직선거리(30) 만큼 골프공을 타격하는 경우 동일한 제1 직선거리(30)만큼 평면에서 골프공을 이동시키는 퍼팅강도보다 높은 퍼팅강도를 요구한다.
이때, 퍼팅 마커(100)는 퍼팅 마커 위치(20)에서의 경사도 및 제1 직선거리(30)를 자체적으로 측정한 후 퍼팅 마커 위치(20)에 놓이는 골프공이 홀컵(5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퍼팅거리(322), 퍼팅방향(12) 및 퍼팅강도를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골퍼에게 알려준다.
디스플레이부(300)가 표시하는 퍼팅거리(322)는 그린(11)에 경사도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1 직선거리(30)보다 높게 표시되고, 골퍼는 퍼팅방향(12)을 따라 평지에서 퍼팅거리(322)만큼 골프공을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퍼팅강도로 골프공을 타격하면 골프공이 홀컵(50)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퍼팅거리(322)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골프공에 평지보다 높은 퍼팅강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해 제1 직선거리(30)보다 높게 표시되고, 골퍼는 평지에서 훈련한것처럼 익숙하게 퍼팅거리(322)를 확인하면서 골프공을 타격하여 정확한 퍼팅강도로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레이저유닛(410) 및 경사도센서(420)를 포함하고, 레이저유닛(410)은 제1 레이저(412) 및 제2 레이저(414)를 포함한다.
센서부(400)는 본체(200)에 부착되고,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레이저 및 센서를 통해 퍼팅 마커 위치(20) 및 홀컵(50) 사이의 제1 직선거리 및 본체(200) 하부에 위치한 그린(11)의 경사도를 측정한다.
레이저유닛(410)은 본체(200)의 전방 양측에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본체(200)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레이저(412, 414)들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레이저(412, 414)들은 홀컵(50)에 삽입된 깃대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며, 깃대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는 레이저유닛(410)에서 수신된다.
상기 제어부는 레이저유닛(410)에서 수신되는 레이저를 통해 퍼팅 마커 위치(20) 및 홀컵(5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경사도센서(420)는 2축 센서로서 퍼팅 마커 위치(20) 및 홀컵(50) 사이의 전후경사각과 퍼팅 마커 위치(20)의 일측 및 타측에 해당되는 좌우경사각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공개특허 10-2011-0046805호에 개시된 방식으로 산출되는 퍼팅거리(322) 및 퍼팅방향(12)에 대응되는 퍼팅방향표시(315)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 산출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500)는 본체(200)의 내부에 내장되고, 구동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전후경사각, 좌우경사각, 퍼팅거리(322), 퍼팅방향표시(315), 퍼팅강도, 영상정보에 관한 데이터들을 외부 단말기, 스마트폰 또는 안경(150)과 무선으로 공유한다.
카메라부(510)는 제1 및 제2 레이저(412, 414)들의 사이에서 본체(200)에 설치되고, 티오에프 카메라(ToF 카메라)가 설치되어 전방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3차원 영상데이터를 수집한다.
따라서, 퍼팅 마커(100)에서 수집된 3차원 영상데이터는 후술될 안경(150)에서 수집된 3차원 영상데이터와 함께 무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에서 취합되고, 그린(11)에서 이동하면서 퍼팅 마커 위치(20) 및 홀컵(50) 사이의 지형을 주시하는 골퍼에 의해 다양한 위치에서 취합된 3차원 영상데이터들은 외부 단말기, 스마트폰, 퍼팅 마커(100) 또는 안경(150) 중 어느 하나에서 취합되어 3차원 지도로 생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을 다양한 퍼팅방향으로 홀컵(50)을 향해 이동시키는 시뮬레이션이 상기 3차원 지도에서 물리 엔진을 통해 구동되고, 홀컵(50)으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퍼팅강도(164), 퍼팅거리정보(160), 퍼팅방향(162) 및 골프공 궤적(163)들이 안경(150)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안경(150)은 제3 디스플레이(151), 제4 디스플레이(152), 카메라(153) 및 통신부(154)를 포함한다.
안경(150)은 안경테에 투명한 디스플레이들이 안경알로 결합되며 제작되고, 골퍼의 안면에 착용된 상태에서 무선으로 퍼팅 마커(100), 외부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과 연결되며 내부의 배터리 및 카메라를 통해 선택적으로 영상을 촬영한다.
제3 디스플레이(151) 및 제4 디스플레이(152)는 안경(150)의 양쪽에 결합되고, 투명한 디스플레이로 제작되며, 안경테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및 제어부와 연결되어 퍼팅거리(322)와 동일한 개념인 퍼팅거리정보(160), 퍼팅방향(162), 골프공 궤적(163) 및 퍼팅강도(164)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표시한다.
따라서, 골퍼는 안경(150)을 착용한 상태에서 증강현실 형태의 퍼팅정보들을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받은 퍼팅정보들을 통해 정확하고 신속한 퍼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카메라(153)는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151, 152)들 사이에 해당되는 안경테에 부착되고, 티오에프 카메라(ToF 카메라)가 설치되어 전방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3차원 영상데이터를 수집한다.
통신부(154)는 안경(150)의 내부에 배치되고, 무선으로 퍼팅 마커(100), 외부 단말기 및 스마트폰과 연결되며, 카메라(153)에서 수집되는 3차원 영상데이터를 퍼팅 마커(100), 외부 단말기 및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한다.
카메라(153)에서 수집되는 퍼팅 마커(100) 또는 골프공의 위치, 홀컵(50)의 위치 및 지형에 관한 3차원 영상데이터는 통신부(154)를 통해 퍼팅 마커(100), 스마트폰 또는 단말기로 전송된다.
스마트폰 또는 단말기는 퍼팅 마커(100)에서 수집된 3차원 영상데이터, 전후경사각 및 좌우경사각에 대한 데이터들과 안경(150)에서 무선으로 공유되는 3차원 영상데이터를 취합하여 3차원 지도를 제작한다.
제작된 3차원 지도에서 골프공은 골프공 주위에 해당되는 방향으로 타격되며 이동하는 과정이 퍼팅 마커(100), 안경(150), 외부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서 물리 엔진을 통해 시뮬레이션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골프공이 홀컵(50)을 지나가는데 필요한 퍼팅거리정보(160), 퍼팅방향(162), 복수의 퍼팅방향(162)에 대응되는 골프공 궤적(163)들 및 퍼팅강도(164)에 관한 퍼팅정보가 무선으로 안경(150)으로 전송되고, 상기 퍼팅정보는 제3 또는 제4 디스플레이(151, 15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표시된다.
3차원 영상데이터를 통해 제작되는 3차원 지도는 퍼팅 마커(100) 또는 안경(150)에서도 단독으로 진행될 수 있고, 제작된 3차원 지도에서 골프공의 퍼팅 시뮬레이션 구동 역시 퍼팅 마커(100) 또는 안경(150) 중 어느 하나에서 구동이 가능하므로 골퍼는 퍼팅 마커(100) 또는 안경(150)만으로도 퍼팅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퍼팅 마커(100) 및 안경(150)을 동시에 지참하면서 퍼팅하는 경우, 지형의 경사도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는 퍼팅 마커(100)에서 수집되는 전후경사각 및 좌우경사각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확한 3차원 지도의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안경(150)을 착용하며 퍼팅 마커 위치(20) 및 홀컵(50) 주위의 그린(11)을 이동하는 골퍼에 의해 정확한 3차원 영상데이터들이 수집되므로 퍼팅 마커(100)를 다양한 위치에 배치시키면서 지형의 경사도를 측정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퍼팅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에서 퍼팅 마커 제공단계(S50)의 경우 레이저유닛(410)과 경사도센서(420)가 형성된 센서부(400), 카메라부(510) 및 디스플레이부(300)를 구비한 퍼팅 마커(100)를 제공한다.
퍼팅 마커 제공단계 이후 거리측정단계(S100)에서 퍼팅 마커 위치(20)에 배치되는 퍼팅 마커(100)는 레이저를 통해 퍼팅 마커 위치(20) 및 홀컵(50) 사이의 제1 직선거리(30)를 측정한다.
경사도측정단계(S110)에서 센서부(400)는 퍼팅 마커 위치(20)에 해당되는 그린(11)의 전후경사각 및 좌우경사각을 포함하는 제1 경사도 데이터를 측정한다.
분석단계(S120)에서는 제1 직선거리(30) 및 상기 제1 경사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퍼팅거리(322) 및 퍼팅방향(12)을 산출하고, 퍼팅거리(322) 데이터는 통신부(500)를 통해 외부단말기, 스마트폰 또는 안경(150)에 전송된다.
퍼팅방향(12)은 제1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퍼팅방향표시(315)로서 표시하고, 퍼팅거리(322)는 제2 디스플레이(320)를 통해 골퍼에게 표시하며, 골퍼는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퍼팅방향표시(315) 및 퍼팅거리(322)를 통해 퍼팅이 가능하다.
안경제공단계(S140)에서는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151, 152)들, 카메라(153) 및 통신부(154)를 포함하는 안경(150)을 제공한다.
이미지생성단계(S150)에서 퍼팅 마커(100)에 부착된 카메라부(510) 및 안경(150)에 부착된 카메라(153)로부터 그린(11)의 3차원 영상데이터들을 수집 및 생성한다.
거리보정단계(S160)에서는 생성된 3차원 영상데이터들이 퍼팅 마커(100), 스마트폰 또는 외부 단말기에 전송되고 취합되어 그린(11)의 3차원 지도로 제작되며, 제작된 3차원 지도에서 직선거리를 산출하여 제1 직선거리(30)와 비교하며 제2 직선거리로 보정한다.
3D보정단계(S170)에서는 3차원 지도와 퍼팅 마커(100)에서 측정된 제1 경사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3차원 지도에 위치한 지형의 경사도를 보정한다
퍼팅정보표시단계(S180)에서는 상기 제2 직선거리 및 보정된 3차원 지도를 통해 골프공을 3차원 지도에서 시뮬레이션 한 후 복수의 퍼팅방향(12, 162) 및 퍼팅강도(322, 164)를 산출하고, 예상되는 퍼팅방향(12, 162)들 각각에 해당되는 골프공 궤적(163)들을 제3 또는 제4 디스플레이(151, 152)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퍼팅 마커 200: 본체
300: 디스플레이부 400: 센서부
500: 통신부 510 카메라부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홀컵까지의 거리와 현재 배치된 위치의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부를 구비하는 퍼팅 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가이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거리측정용 레이져유닛; 및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기울기를 측정하는 경사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가이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 마커는 카메라부를 더 구비하고,
    안경테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들, 상기 퍼팅 마커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부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안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가이드 장치.
  4. 레이저유닛과 경사도센서가 형성된 센서부, 카메라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퍼팅 마커를 제공하는 퍼팅 마커 제공단계;
    상기 레이저유닛을 통해 퍼팅 마커 위치 및 홀컵 사이의 제1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단계;
    상기 경사도센서를 통해 상기 퍼팅 마커 위치의 제1 경사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경사도측정단계;
    상기 제1 직선거리 및 제1 경사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퍼팅거리 및 퍼팅방향을 산출하는 분석단계; 및
    상기 퍼팅거리 및 퍼팅방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가이드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안경을 제공하는 안경제공단계;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그린의 3차원 영상데이터들을 생성하는 이미지생성단계; 및
    상기 3차원 영상데이터로 제작된 3차원 지도에서 직선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제1 직선거리를 제2 직선거리로 보정하는 거리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가이드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지도 및 상기 경사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제1 경사도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3차원 지도를 보정하는 3D보정단계; 및
    상기 제2 직선거리 및 상기 3차원 지도를 통해 가상의 골프공을 상기 3차원 지도에서 퍼팅 시뮬레이션 한 후 복수의 퍼팅방향 및 퍼팅강도를 산출하고 예상 골프공 궤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퍼팅정보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가이드 방법.











KR1020200106973A 2020-08-25 2020-08-25 퍼팅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 KR102431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973A KR102431813B1 (ko) 2020-08-25 2020-08-25 퍼팅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973A KR102431813B1 (ko) 2020-08-25 2020-08-25 퍼팅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631A true KR20220026631A (ko) 2022-03-07
KR102431813B1 KR102431813B1 (ko) 2022-08-16

Family

ID=8081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973A KR102431813B1 (ko) 2020-08-25 2020-08-25 퍼팅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8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718A (ko) * 2022-04-13 2023-10-20 (주) 제이에스제이텍 휴대용 골프 퍼팅 가이드장치 및 가이드방법
US11806594B1 (en) * 2023-04-24 2023-11-07 Robert Pitre Golf ball marker
EP4336458A1 (de) * 2022-09-08 2024-03-13 Viewlicity GmbH Verfahren und systeme zum betreiben einer anzeigeeinrichtung einer simul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099A (ko) * 2003-10-17 2005-04-21 이병훈 그린용 측정기
KR20150049823A (ko)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골프존유원홀딩스 골프 정보제공 기능을 갖는 볼 마커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정보제공 방법
KR20180095588A (ko) * 2015-12-17 2018-08-27 뷰리시티 게엠베하 스포츠 기구의 운동분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099A (ko) * 2003-10-17 2005-04-21 이병훈 그린용 측정기
KR20150049823A (ko)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골프존유원홀딩스 골프 정보제공 기능을 갖는 볼 마커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정보제공 방법
KR20180095588A (ko) * 2015-12-17 2018-08-27 뷰리시티 게엠베하 스포츠 기구의 운동분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718A (ko) * 2022-04-13 2023-10-20 (주) 제이에스제이텍 휴대용 골프 퍼팅 가이드장치 및 가이드방법
EP4336458A1 (de) * 2022-09-08 2024-03-13 Viewlicity GmbH Verfahren und systeme zum betreiben einer anzeigeeinrichtung einer simulation
US11806594B1 (en) * 2023-04-24 2023-11-07 Robert Pitre Golf ball mar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813B1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813B1 (ko) 퍼팅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가이드 방법
KR101577764B1 (ko) 모바일 단말기에서 골프 그린의 예상 퍼팅 궤적을 제공하는 방법
CA2862818C (en) Golf club head measurement system
KR101495134B1 (ko) 디지털 볼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퍼팅 거리 측정시스템
US9610489B2 (en) Golf aid including virtual caddy
KR102215037B1 (ko) 골프 거리 측정 시스템 및 장치
TWI732394B (zh) 用於高爾夫測距裝置的整合式磁鐡安裝件
US9573039B2 (en) Golf aid including heads up display
JP5975711B2 (ja) ゴルフスイングの分類方法、分類システム、分類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74089A (ja) カメラ付き練習用ゴルフパターとその製法。
CN105288982A (zh) 高尔夫球的运动状态测定装置
KR102050378B1 (ko) 직사 입체영상 획득에 의한 그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883104B1 (ko) 거리측정이 가능한 볼마커
KR102019760B1 (ko) 골프 퍼팅 연습 장치
KR101654080B1 (ko) 골프장에서의 홀핀방향 및 홀컵까지의 잔여거리 제공장치
KR102202594B1 (ko) 퍼팅 가이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41083A (ko) 이미지매칭에 의한 그린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008430A1 (en) Trajectory assistance systems and methods thereof
KR101974364B1 (ko) 라이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140122560A (ko) 골프 시뮬레이터
KR20120082293A (ko) 디지털 가이드 골프단말기
KR101841172B1 (ko) 라이다를 이용하여 골프 퍼팅 라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
KR20110037010A (ko) 입체 영상을 이용한 골프 티칭 시스템
KR101938639B1 (ko) 사진을 이용한 그린정보 제공방법 및 그 단말
KR102417063B1 (ko) 거리측정기와 퍼팅측정기가 융합된 골프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