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486A - 다심 케이블 - Google Patents

다심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486A
KR20220026486A KR1020210098910A KR20210098910A KR20220026486A KR 20220026486 A KR20220026486 A KR 20220026486A KR 1020210098910 A KR1020210098910 A KR 1020210098910A KR 20210098910 A KR20210098910 A KR 20210098910A KR 20220026486 A KR20220026486 A KR 20220026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eat detection
conductor
insulato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티안 후앙
요시노리 쓰카모토
마사시 모리야마
다카히로 스기야마
히로시 이시카와
히데키 노넨
Original Assignee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2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he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 H01B7/324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comprising temperature sens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2Mechanical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the breaking of a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01B7/0216Two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75Multi-layer she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8Several wires or the like stranded in the form of a rope
    • H01B5/10Several wires or the like stranded in the form of a rope stranded around a space, insulating material, or dissimilar conduc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과제) 프레임내에 포설되어, 케이블내의 온도상승을 고정밀도로 검출 가능한 다심 케이블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다심 케이블(1)은, 제1도체(211) 및 제1도체(211)의 주위를 덮는 제1절연체(212)를 구비하는 한 쌍의 열검출용 전선(21)을 연선한 쌍연선(22)을 포함하는 열검출선(2)과, 제2도체(31) 및 제2도체(31)의 주위를 덮는 제2절연체(32)를 구비하고 열검출선(2)의 주위에 나선상으로 연선되어 있는 복수개의 전선(3)과, 열검출선(2) 및 복수개의 전선(3)을 일괄해서 덮는 시스(4)를 구비하고, 제1절연체(212)의 융점이 제2절연체(32)의 융점보다 낮고, 제2도체(31)는,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형상이 지름방향 내방으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원주방향을 따른 폭이 서서히 커지게 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심 케이블{MULTI-CORE CABLE}
본 발명은 다심 케이블(多心 cable)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화재의 검출을 위하여 화재검출선(火災檢出線)이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화재검출선은, 피아노선 등의 강선(鋼線)으로 이루어지는 도체와, 도체의 주위를 덮는 저융점의 절연체(絶緣體)를 구비하는 한 쌍의 화재검출용 전선을 연선한 쌍연선(雙撚線)을 구비하고, 쌍연선을 재킷으로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 화재검출선은 케이블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비접촉급전(非接觸給電)에 사용되는 다심 케이블에서는 다심 케이블과 다심 케이블을 수용하는 프레임 사이에 화재검출선이 설치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소58-86695호 공보
프레임내에 포설(布設)되는 다심 케이블에서는, 예를 들면 비접촉으로 급전하는 것에 사용될 경우에, 다심 케이블내에 배치되는 전선에는 대전류(大電流)가 흐른다. 그 때문에 어떠한 이유에서 전선에 과대한 전류가 흐를 때에, 다심 케이블내의 온도가 상승해서 화재에 이르는 것을 억제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프레임내에 포설되어 케이블내의 온도상승을 고정밀도로 검출 가능한 다심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1도체, 및 상기 제1도체의 주위를 덮는 제1절연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열검출용 전선을 연선한 쌍연선을 포함하는 열검출선과, 제2도체 및 상기 제2도체의 주위를 덮는 제2절연체를 구비하고 상기 열검출선의 주위에 나선상으로 연선되어 있는 복수개의 전선과, 상기 열검출선 및 상기 복수개의 전선을 일괄해서 덮는 시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절연체의 융점이 상기 제2절연체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제2도체는,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형상이 지름방향 내방으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원주방향을 따른 폭이 서서히 커지게 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심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내에 포설되어 케이블내의 온도상승을 고정밀도로 검출 가능한 다심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다심 케이블의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b)는 열검출선의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다심 케이블의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3은, 다심 케이블을 프레임의 홈에 수용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4는 열검출선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진으로서, (a)는 동작전, (b)는 동작후의 사진이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도1(a)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심 케이블의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1(b)는 열검출선의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다심 케이블의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3은, 다심 케이블을 프레임의 홈에 수용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2의 사진에서는, 다심 케이블의 단면상태를 확인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다심 케이블의 주위 및 열검출선의 주위에 에폭시 수지를 충전한 상태로 하고 있고, 절단한 끝면(端面)을 연마한 후에 당해 절단면의 촬영을 하였다.
도1 내지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심 케이블(1)은, 열검출선(2)과, 복수개의 전선(3)과, 열검출선(2) 및 복수개의 전선(3)을 일괄해서 덮는 시스(4)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다심 케이블(1)은 비접촉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비접촉급전을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서, 프레임(10)의 홈(11)에 수용되어 사용된다. 이 예에서는, 프레임(10)은,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側壁)(12)과, 측벽(12)의 단부 상호간을 연결하고 측벽(12)과 수직인 저벽(底璧)(13)을 구비하고 있고, 전체로서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12)과 저벽(13)으로 둘러싸이고, 저벽(13)과 반대측으로 개구하고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4각형상의 공간이 홈(11)이다.
(열검출선(2))
열검출선(2)은, 한 쌍의 열검출용 전선(21)을 연선한 쌍연선(22)과, 쌍연선(22)의 주위에 나선상으로 감긴 가압권취 테이프(23)와, 가압권취 테이프(23)의 주위를 덮는 재킷(24)과, 재킷(24)의 주위를 덮는 보강층(25)을 구비하고 있다.
쌍연선(22)을 구성하는 한 쌍의 열검출용 전선(21)은, 제1도체(211)와 제1도체(211)의 주위를 덮는 제1절연체(21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제1도체(211)로서는, 쌍연선(22)로서 연선된 상태에 있어서 제1도체(211) 상호간이 쌍연선(22)의 중심측으로 서로 근접하려고 하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심 케이블(1)은 비접촉급전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공장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30m 이상의 장거리에 걸쳐서 배선된다. 그 때문에 장거리에 걸쳐서 배선해도 제1도체(211) 상호간의 단락(短絡)을 검출할 수 있을 정도로, 제1도체(211)의 도전율을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거리에 걸쳐서 배선해도 단선(斷線)이 발생하지 않는 강도가 요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도체(211)의 외경을 0.5mm 이상 1.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체(211)의 외경을 0.5mm 이상으로 함으로써, 도체저항을 억제해서 도전율을 높게 유지하여 장거리의 배선에서도 제1도체(211) 상호간의 단락의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도체(211)의 외경을 0.5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1도체(211) 상호간이 근접하려고 하는 힘이 저하하여 검출감도가 저하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케이블내의 온도의 검출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도체(211)의 외경을 1.0mm 이하로 함으로써, 다심 케이블(1)이 딱딱해져 구부리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배선하기 쉬운 다심 케이블(1)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도체(211)로서, 비자성체(非磁性體)이며 또한 인장강도(引張强度)가 900MPa 이상인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도체(211)는, 주석을 7mass% 이상 9mass% 이하 포함하고 또한 인(燐)을 0.03mass% 이상 0.35mass% 이하 포함하는 인청동(燐靑銅)을 사용한다. 제1도체(211)로서 비자성체를 이용함으로써, 비접촉급전에 있어서의 손실을 억제하여 비접촉급전의 효율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도체(211)의 인장강도를 900MPa 이상(바람직하게는 930MPa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90MPa 이상)으로 함으로써, 쌍연선(22)의 제1도체(211) 상호간이 연선된 상태에서 제1도체(211) 상호간이 쌍연선(22)의 중심측으로 서로 근접하려고 하는 힘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절연체(212)가 연화/용융했을 때에, 신속하게 제1도체(211) 상호간이 쌍연선(22)의 중심측으로 이동하여 제1도체(211) 상호간이 접촉하게 되고, 당해 접촉에 의하여 케이블내의 온도의 검출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쌍연선(22)의 제1도체(211) 상호간이 쌍연선(22)의 중심으로 상호 근접하려고 하는 힘을 크게 해서 검출감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제1도체(211)의 신장은 10% 이하(더 바람직하게는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름 0.9mm의 인청동으로 이루어지고, 인장강도 998.9MPa, 신장 2.4%의 단선(單線)의 제1도체(211)를 사용하였다. 또한 제1도체(211)의 인장강도를 900MPa 이상으로 함으로써, 장거리에 걸쳐서 배선해도 단선이 발생하지 않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1도체(211)의 인장강도 및 신장은 JISZ2241(2011)에 준거하는 인장시험방법(시험편:9B호)에 의하여 구해진다.
또한, 제1도체(211)에 사용하는 구리합금으로서는 인청동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황동(黃銅)이나 베릴륨동(beryllium copper)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쌍연선(22)의 제1도체(211) 상호간이 쌍연선(22)의 중심으로 서로 근접하려고 하는 힘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단선이 발생하기 어려운, 저렴한 인청동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제1절연체(212)로서는, 케이블내의 온도상승시에 용융시키기 위해서 비교적 저융점의 절연성 수지가 사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블내의 온도가 과전류 등에 의하여 상승했을 때의 열에 의하여 전선(3)의 제2절연체(32)(후술한다)가 용융하기 전에, 제1절연체(212)가 용융하도록(환언하면, 상기한 온도상승시의 열에 의하여 전선(3)의 기능을 잃기 전에, 제1도체(211)가 단락됨으로써 과전류 등의 발생에 의한 케이블내의 온도상승이 검출되도록), 제1절연체(212)의 융점은 전선(3)의 제2절연체(32)의 융점(예를 들면 105도 이상)보다도 낮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80도 이하에서 동작하지 않고 100도에서 수분(5분 이내) 동작시키는 것을 목표라고 하여, 제1절연체(212)의 융점을 80도보다도 높고 100도 미만(더 바람직하게는 90도 정도)으로 설정하였다. 여기에서는, 융점이 약89도인 아이오노머 수지(ionomer 樹脂)로 이루어지는 제1절연체(212)를 사용하였다.
제1절연체(212)의 두께는 0.1mm 이상, 0.3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절연체(212)의 두께를 0.1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1절연체(212)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여, 의도하지 않는 제1절연체(212)의 손상을 억제해서 열검출선(2)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절연체(212)의 두께를 0.3mm 이하로 함으로써 제1절연체(212)가 연화/용융했을 때에 신속하게 제1도체(211) 상호간을 접촉시켜, 케이블내의 온도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1도체(211) 상호간이 접촉하지 않는다 라고 하는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절연체(212)의 두께를 0.15mm로 하고 열검출용 전선(21)의 외경을 1.2mm로 하였다. 2개의 열검출용 전선(21)을 연선한 쌍연선(22)의 외경은 2.4mm가 된다. 또한, 제1절연체(212)는, 쌍연선(22)을 구성하는 한 쌍의 열검출용 전선(21)의 각각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1쌍의 열검출용 전선(21)의 제1절연체(212) 상호간이 접촉하는 부분)의 두께가, 한 쌍의 열검출용 전선(21)의 각각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 있는 부분(1쌍의 열검출용 전선(21)의 제1절연체(212) 상호간이 접촉하지 않고 있는 부분)의 두께보다도 얇은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제1절연체(212)가 연화/용융했을 때에 신속하게 제1도체(211) 상호간을 접촉시켜, 케이블내의 온도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1도체(211) 상호간이 접촉하지 않는다 라고 하는 불량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때에, 쌍연선(22)을 구성하는 한 쌍의 열검출용 전선(21)의 각각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은 면접촉(面接觸)하고 있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말하는 두께라고 함은, 제1절연체(212)의 내면으로부터 제1절연체(212)의 외면까지의 최단거리(최소두께)이다.
도4는 열검출선(2)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진으로서, (a)는 동작전, (b)는 동작후의 사진이다. 도4(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열검출선(2)에서는, 케이블내의 온도(전선(3)의 주위의 온도)가 제1절연체(212)의 융점(본 실시형태에서는 89도) 이상이고 제2절연체(32)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상승하고, 이 때의 열에 의하여 제1절연체(212)가 연화/용융하면, 연선되어 있었던 제1도체(211) 상호간이 쌍연선(22)의 중심으로 서로 근접하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제1도체(211) 상호간이 쌍연선(22)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도체(211) 상호간이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단락한다. 이 때에 제1절연체(212)는 용융된 상태가 되어 있고, 또한 제1도체(211) 상호간이 서로 근접하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제1도체(211) 상호간에 존재하는 제1절연체(212)가 쌍연선(22)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밀린다. 그 때문에, 제1절연체(212)의 외형은 원형이 안되어, 제1절연체(212) 상호간이 접촉하는 부분을 약간 편평하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제1도체(211)의 단락을 검출함으로써 과전류 등에 의한 다심 케이블(1)내의 온도상승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4(a), (b)의 사진에서는, 열검출선(2)의 단면상체(斷面狀體)를 확인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열검출선(2)의 주위에 에폭시 수지를 충전한 상태로 하고 있고, 절단한 끝면을 연마한 후에 당해 절단면의 촬영을 하였다. 또한 도4(a), (b)에서는 보강층(25)을 생략하고 있다.
그런데 이 열검출선(2)에서는, 열검출선(2)의 주위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2개의 제1도체(211)가 단락하기 전에 제1절연체(212)가 연화되어서 2개의 제1도체(211) 상호간의 거리가 근접하여 2개의 제1도체(211) 사이의 저항값이나 정전용량이 변화된다. 따라서 2개의 제1도체(211) 사이의 저항값이나 정전용량을 측정함으로써, 2개의 제1도체(211)가 단락하기 전에 열검출선(2)의 주위의 온도가 상승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고 있지만, 제1절연체(212)는, 절연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복수 적층한 다층구조(多層構造)로 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제1절연체(212)를 2층구조로 하여 내층의 융점을 외층의 융점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다심 케이블(1)내의 온도상승을 단계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절연체(212)를 다층구조로 하는 경우에, 제1도체(211)에 가장 가까운 층 이외의 적어도 1개 층에, 제1절연체(212)를 구성하는 절연성 수지보다도 융점이 높은 입자상 물질(粒子狀 物質)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제1절연체(212)에 융점이 높은 입자상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열검출선(2)의 주위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 제1도체(211)가 서로 근접하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입자상 물질이 압입(壓入)되어서 제1절연체(212)가 얇게 남아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제1도체(211) 상호간의 단락을 발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입자상 물질이 절연성이면, 제1도체(211) 사이에 입자상 물질이 물려들어가져서 단락이 발생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입자상 물질로서는 도전성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상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카본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쌍연선(22)의 연선피치는, 열검출용 전선(21)의 외경의 20배정도(18배 이상, 22배 이하)로 하면 좋다. 이에 따라 제1도체(211) 상호간이 근접하려고 하는 힘을 유지하면서도, 당해 힘에 의하여 제1절연체(212)가 파괴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쌍연선(22)의 연선피치라 함는, 쌍연선(22)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임의의 열검출용 전선(21)이 같은 둘레방향 위치가 되는 길이방향 위치의 간격이다. 또한, 열검출용 전선(21)의 외경은 예를 들면 1.0mm 이상, 1.6mm 이하이다.
쌍연선(22)의 주위에 감기는 가압권취 테이프(23)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테이프 등의 수지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가압권취 테이프(23)는, 그 폭방향의 일부가 겹치도록 쌍연선(22)의 주위에 나선상으로 감을 수 있다.
재킷(24)은, 쌍연선(22)을 보호하는 보호층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제1절연체(212)가 용융하기 전에 재킷(24)이 용융해버리지 않도록, 재킷(24)의 융점은 제1절연체(212)의 융점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재킷(24)은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중공압출성형(中空壓出成型)(소위 튜브압출성형(tube 壓出成型))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킷(24)은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검출선(2)은 다심 케이블(1)의 케이블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다심 케이블(1)을 홈(11)에 수용하는 때에는, 다심 케이블(1)을 프레임(10)의 홈(11)내로 가압함으로써 다심 케이블(1)을 홈(11)에 수용한다. 그리고 다심 케이블(1)을 가압할 때에, 다심 케이블(1)내의 전선(3)은 케이블 중심에 배치된 열검출선(2)으로 눌려진다. 이 때에 열검출선(2)의 재킷(24)은 전선(3)이 눌려질 때의 힘에 의하여 탄성변형하고, 시스(4)내의 전선(3)은, 열검출선(2)의 둘레방향이나 지름방향(다심 케이블(1)의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열검출선(2)의 주위를 따른 방향이나 열검출선(2)의 외경을 따른 방향)으로 서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다심 케이블(1)의 외형이 홈(11)의 형상이나 치수에 대응하여 변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심 케이블(1)은, 그 외경이 굵어져도 프레임(10)의 홈(11)에 넣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검출선(2)의 재킷(24)은, 탄성변형을 하여 다심 케이블(1)을 홈(11)에 수용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재킷(24)은, 다심 케이블(1)을 홈(11)에 수용한 후에, 전선(3)로부터의 가압하는 힘이 완화됨으로써 그 형상이 복원된다. 이 때의 재킷(24)의 복원력에 의하여 시스(4)내의 전선(3)이 원래의 위치(홈(11)에 수용하기 전의 위치)로 움직이도록 작용한다. 이에 따라 홈(11)에 수용된 다심 케이블(1)은 변형하기 전의 외형으로 복원되어서 홈(11)내에 지지되도록 된다. 이와 같이 열검출선(2)의 재킷(24)은 전선(3)을 통하여 시스(4)를 프레임(10)(홈(11)의 내벽)으로 가압하여, 다심 케이블(1)을 홈(11)내에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재킷(24)으로서는, 외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화되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면 좋아서, 예를 들면 PVC(폴리염화비닐)수지(내열비닐수지)나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킷(24)의 외경을 3.1mm로 하였다.
재킷(24)은 단층(單層) 또는 복수층(複數層)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층의 경우에, 예를 들면 재킷(24)은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진다. 내층은, 그 내면이 쌍연선(22)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층은, 그 내면이 내층과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층의 외면은 보강층(25)과 접촉한다. 내층의 두께는 외층의 두께보다도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내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0.2mm 이상 0.4mm 이하이다. 외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0.2mm 이상 0.4mm 이하이다. 이 두께의 범위에 있어서, 외층의 두께를 내층의 두께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재킷(24)의 전체의 두께는, 예를 들면 0.4mm 이상 0.8mm 이하인 것이 좋다. 다심 케이블(1)에서는, 열검출선(2)의 재킷(24)을 상기한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구조로 함으로써, 재킷(24) 전체의 두께를, 열검출선(2)의 주위에 배치된 복수개의 전선(3)이 케이블 중심으로 삽입되기 어려워지는 두께로 조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전선(3)이 케이블 중심으로 삽입되기 어려워지면, 복수개의 전선(3)을 열검출선(2)의 주위에 균형 있게(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시킬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전선(3)의 단면형상(제2도체(31)의 단면형상)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열검출선(2)에 있어서의 열검출의 정밀도 향상이나 전선(3)의 비접촉급전의 효율향상에 유효하다.
또한 외층은 단단함이나 융점 등의 성질이 내층과 다르게 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내층 및 외층은,모두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질 경우이더라도, 외층과 내층의 각각이 서로 다른 단단함(경도)을 구비한다. 이 때에, 외층의 단단함은 내층의 단단함보다도 더 큰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외층을 내층으로부터 박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층의 단단함은, 전선(3)을 구성하는 제2절연체(32)의 단단함보다도 큰 것이 좋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전선(3)을 케이블 중심으로 삽입하기 어렵게 하여, 후술하는 전선(3)의 단면형상(제2도체(31)의 단면형상)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보강층(25)은, 열검출선(2)의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형상이 대략 원형이 되도록 하고 또한 열검출선(2)을 케이블 중심에 배치시켰을 때에 열검출선(2)의 상기 단면형상을 변형하기 어렵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층(25)을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전선(3)이 케이블 중심으로 삽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검출선(2)의 주위에 배치한 복수개의 전선(3)을 케이블 둘레방향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열검출선(2)으로부터 복수개의 전선(3)의 각각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개의 전선(3)이 열검출선(2)에 눌려져 비원형으로 변형되지만, 보강층(25)을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전선(3) 각각의 단면형상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보강층(25)으로서는, 예를 들면 재킷(24)의 외주에 수지 테이프를 나선상으로 감아서 이루어지는 테이프층, 절연성 수지를 튜브압출에 의하여 압출해서 이루어지는 압출수지층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강층(25)을 테이프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다층으로 하여도 좋다.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프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재킷(24)의 외주에 수지 테이프를 나선상으로 감아서 이루어지는 내층 테이프층과, 내층 테이프층의 외주에 수지 테이프를 나선상으로 감아서 이루어지는 외층 테이프층의 적층구조로 구성된다. 내층 테이프층과 외층 테이프층을 구성하는 각 수지 테이프의 권취방향은 다른 방향인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상기한 보강층(25)의 역할이 발현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보강층(25)은, 전선(3)을 구성하는 제2절연체(32)보다도 단단함이 큰 것이 좋다. 보강층(25)을 구성하는 수지 테이프나 절연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불소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층 테이프층과 외층 테이프층으로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테이프를 사용하고,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테이프를 2겹으로 감음으로써 보강층(25)을 형성하였다.
보강층(25)의 외면 즉 열검출선(2)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전선(3)이 직접 접촉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전선(3)이 열검출선(2)의 외면에 대하여 면접촉하고 있다. 전선(3)은, 열검출선(2)에 눌려져 밀착한 상태가 되어 있어, 전선(3)의 외면의 일부(지름방향 내방의 부분)은 열검출선(2)의 외면을 따른 원호모양으로 변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열검출선(2)과 전선(3)이 밀착해서 전선(3)으로부터 열검출선(2)에 열이 전달되기 쉬워져, 전선(3)의 온도상승을 열검출선(2)으로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전선(3)이 열검출선(2)에 눌려진 상태가 됨으로써, 케이블내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 제1도체(211) 상호간이 접촉하기 쉬워지므로 검출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1(a)에서는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모든 전선(3)이 열검출선(2)의 외면에 면접촉하고 있는 구조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2의 사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의 전선(3)이 열검출선(2)의 외면에 면접촉하고 있는 구조이면 좋다. 다만 복수개의 전선(3)을 열검출선(2)의 주위에 균형 있게(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시키는 관점 및 전선(3)의 온도상승을 신속하게 검출하는 관점으로부터는, 열검출선(2)의 외면이 되도록이면 많은 전선(3)(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전선(3))과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전선(3))
전선(3)은, 복수의 소선을 연선한 연선도체로 이루어지는 제2도체(31)와 제2도체(31)를 덮는 제2절연체(3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6개의 전선(3)으로서는 같은 구조의 것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도체(31)로 사용하는 소선으로서 주석도금 연동선(朱錫鍍金 軟銅線)을 사용하였다. 제2도체(31)에 사용하는 소선의 외경은 0.15mm 이상 0.32mm 이하로 하면 좋다. 이것은, 소선의 외경이 0.15mm 미만이면 단선이 발생하기 쉽고, 0.32mm을 넘으면 제2절연체(32)을 얇게 했을 때에 제2절연체(32)을 뚫고나가서 튀어나가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소선의 연선방법으로서 동심연선(同心撚線)이라고 불리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이 방법으로 제2도체(31)를 형성했을 경우에, 소선이 안정된 상태에서 연선되어버려 다심 케이블(1)을 홈(11)내에 수용할 때의 외력에 의하여 제2도체(31)의 형상이 변화되기 어려워져버린다. 그 때문에 다심 케이블(1)을 홈(11)내에 수용할 때의 외력에 의하여 제2도체(31)의 형상이 변화되기 쉬워지도록, 제2도체(31)로서는 집합연선(集合撚線)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0.26mm의 소선을 134개 연선함으로써 도체 단면적이 7mm2 이상 8mm2 이하의 제2도체(31)를 형성하였다.
다심 케이블(1)내의 도체 부분의 단면적을 늘리기 위해서, 각 전선(3)의 제2절연체(32)는 두께가 가능한 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절연체(32)의 두께는 제2도체(31)에 사용하는 소선의 외경의 1/2배 이상 1배 이하인 것이 좋다. 제2절연체(32)의 두께를 소선 외경의 1/2 미만으로 하였을 경우에, 다심 케이블(1)을 홈(11)내에 수용할 때의 외력에 의하여 소선이 제2절연체(32)를 찢을 우려가 있고, 소선 외경의 1배를 넘으면, 전선(3)이 대경(大徑)이 되어 다심 케이블(1) 전체의 대경화로 이어져버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절연체(32)의 두께를 약0.2mm(소선의 외경의 약0.77배)로 하였다. 또, 각 전선(3)의 제2절연체(32)는, 두께를 가능한 한 얇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또한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접촉에 의하여 대용량의 전력공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복수의 전선(3)에서는 각각의 제2도체(31)에 같은 크기의 전류를 공급하면 좋다.
제2절연체(32)로서는, 박육성형(薄肉成型)이 가능하고 열검출선(2)의 재킷(24)을 탄성변형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재킷(24)보다도 딱딱하고 외압에 강한(다심 케이블(1)을 홈(11)내에 수용할 때의 외력에 의하여 변형하기 어렵다) 재질의 것을 사용하면 좋아서, 예를 들면 ETFE(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FEP(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VDF(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의 불소수지나, 폴리이미드,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를 사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절연체(32)로서 표면의 미끄러짐이 좋은 불소수지를 사용하면 좋아서, 이에 따라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시스(4)내에서 전선(3)이 보다 움직이기 쉬워져서 다심 케이블(1)이 홈(11)으로 삽입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제2절연체(32)는, 중공압출성형(소위 튜브압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절연체(32)가 소선에 밀착되지 않고 제2절연체(32)내에서 소선이 서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전선(3)의 단면형상이 변형하기 쉬어진다. 따라서 다심 케이블(1)이 홈(11)으로 삽입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심 케이블(1)에서는, 제2도체(31)는,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형상이 비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2도체(31)는, 지름방향 내방으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원주방향을 따른 폭이 서서히 커지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대략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스(4)내가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제2도체(31)의 단면적을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도체(31)에 흐르는 전류는, 주로 케이블 지름방향에 있어서의 제2도체(31)의 외방의 부분(외주 부분, 즉 후술하는 외주부(3c)의 주변)에 흐르지만, 제2도체(31)를 지름방향 내방으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원주방향을 따른 폭이 서서히 커지게 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전류가 집중하는 외주 부분에 있어서의 제2도체(31)(단면적 및 표면적)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심 케이블(1)에서는, 제2도체(31)에 있어서의 전류의 손실을 억제하여 비접촉급전의 효율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전선(3)은, 후술하는 시스(4)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제2도체(31)를 포함하는 그 전체의 단면형상이 비원형으로 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전선(3)의 외면의 일부는, 열검출선(2)의 외면에 대하여 면접촉하는 열검출선 접촉부(3a)가 된다. 열검출선 접촉부(3a)는, 열검출선(2)의 외면을 따른 대략 원호모양의 면이 된다. 또한 다심 케이블(1)에서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전선(3) 상호간도 면접촉하고 있어, 이 면접촉하는 부분은 대략 평탄한 전선 접촉부(3b)가 된다. 전선 접촉부(3b)는,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대략 케이블 지름방향을 따른 평탄면이 된다. 또한 전선(3)의 외면의 일부는,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시스(4)의 내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된 외주부(3c)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부(3c)는 시스(4)의 내면에 직접 접촉하고 있어, 시스(4)의 내면을 따른 대략 원호모양의 면이 된다. 다만 외주부(3c)는 직접 시스(4)에 접촉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전선(3)의 주위에 나선상으로 감긴 가압권취 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시스(4)의 내면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시스(4)의 압력에 의하여 모든 전선(3)이 균등하게 변형되도록, 열검출선(2)의 외형(단면형상)은 되도록이면 원형에 가까울 것이 요망된다. 이것은, 케이블 중심에 배치된 열검출선(2)의 외형이 예를 들면 타원형상이거나 요철(凹凸)이거나 하면, 그것에 대응하여 열검출선(2)의 주위에 배치된 전선(3)의 외형의 불균일이 커져버려, 전선(3)별로 전류의 손실(흐르기 어려움)이 다르게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전선(3)별에 전류의 손실이 다르게 되면, 비접촉급전의 효율이 저하해버릴 우려가 있다. 거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중심에 배치된 열검출선(2)의 외형을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하기 때문에, 재킷(24)의 주위에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2매의 수지 테이프를 각각의 권취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도록 감아서 이루어지는 보강층(25)을 형성하고 있다. 열검출선(2)의 최외주에 비교적 딱딱한(예를 들면 재킷(24)보다도 딱딱한) 보강층(25)을 형성함으로써, 열검출선(2)의 외형을 가능한 한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유지하여, 복수의 전선(3)의 단면형상의 균일화를 도모(복수의 전선(3)의 외형의 불균일을 적게 한다)할 수 있다. 즉 케이블 중심에 배치된 열검출선(2)의 외형은, 당해 열검출선(2)의 주위에 배치된 전선(3)의 각각과 열검출선(2) 사이에 발생하는 가압력이 거의 균일해지는 것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 케이블 중심에 배치된 열검출선(2)의 주위에 전선(3)을 배치하고 또한 시스(4)를 형성한 상태에 있어서는, 열검출선(2)이 전선(3)에 의하여 눌려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열검출선(2)과 복수의 전선(3)의 각각의 사이에 발생하는 가압력의 영향에 의하여 열검출선(2)의 외형은 비원형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전선(3)에 의하여 열검출선(2)을 누름으로써 열검출선(2)의 외형은 대략 육각형상이 된다(도2 참조).
(집합체(6))
열검출선(2)의 외주에는 복수의 전선(3)이 나선상으로 연선되어 있다. 이하, 열검출선(2)의 주위에 복수의 전선(3)을 연선한 것을 집합체(6)라고 호칭한다.
집합체(6)에 사용하는 전선(3)의 개수가 1개 내지 3개인 경우에, 외력에 의하여 다심 케이블(1)이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거기에서, 다심 케이블(1)에서는 집합체(6)에 사용하는 전선(3)의 개수를 4개 이상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집합체(6)에 사용하는 전선(3)의 개수를, 외경이 가장 가늘고 또한 모든 전선(3)의 도체저항의 총합계를 가장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한 6개로 하였다. 집합체(6)에 있어서, 케이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전선(3) 상호간은 전선 접촉부(3b)에 있어서 서로 면접촉하고 있다. 또한 전선(3)은, 열검출선 접촉부(3a)에 있어서 열검출선(2)에 면접촉하고 있다.
집합체(6)의 연선방향은, 열검출선(2)에 있어서의 쌍연선(22)의 연선방향과 역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집합체(6)의 연선방향과 쌍연선(22)의 연선방향을 역방향으로 함으로써 전선(3)의 연선이 느슨해지기 어려워져, 전선(3)에 의하여 열검출선(2)을 체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내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 전선(3)의 체결에 의하여 제1도체(211) 상호간이 접촉하기 쉬워져 검출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집합체(6)의 연선방향이라 함은, 집합체(6)를 일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에 걸쳐서 전선(3)이 회전하고 있는 방향이다. 또한 쌍연선(22)의 연선방향이라 함은, 쌍연선(22)을 일단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에 걸쳐서 열검출용 전선(21)이 회전하고 있는 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집합체(6)를 구성하는 각 전선(3)이 외주부(3c)에 있어서 시스(4)의 내주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집합체(6)의 주위에는 가압권취용의 테이프가 감겨지지 않고 있다. 이것은, 테이프를 감으면 당해 테이프가 전선(3)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해버려, 다심 케이블(1)을 홈(11)에 삽입할 때의 작업성이 저하해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조의 형편상, 전선(3)을 연선한 상태로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집합체(6)의 주위에 실(수지제의 실이나 면사(綿絲) 등)을 나선상으로 감아도 좋다.
열검출선(2)과 복수개의 전선(3) 사이 및 전선(3)과 시스(4) 사이에는, 실모양의 삽입재가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케이블내의 온도상승에 의하여 삽입재가 불타버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내열성이 높은(적어도 내열온도가 100도 이상) 것을 사용하면 좋다. 삽입재를 구비함으로써 다심 케이블(1) 전체의 외형을 원형에 가깝게 하여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검출선(2)과 복수개의 전선(3) 사이 및 전선(3)과 시스(4) 사이에는 실모양의 삽입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승온에 의하여 삽입재가 불타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다심 케이블(1)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전선(3)이 열검출선(2)의 둘레방향이나 외경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스페이스(즉 공기층(5))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시스(4))
집합체(6)의 주위에는 시스(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심 케이블(1)에서는, 시스(4)는 중공압출성형(소위 튜브압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시스(4)는, 길이방향을 따른 중공부(41)를 구비하는 중공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중공부(41)내에 열검출선(2) 및 전선(3)(즉 집합체(6))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심 케이블(1)에서는, 각 전선(3)이 시스(4)내에서 서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권취용의 테이프를 생략하고 있어, 전선(3)의 각각이 시스(4)의 내주면에 직접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스(4)는 전선(3)을 지름방향 내방으로 눌러서 전선(3)을 열검출선(2)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전선(3)과 시스(4)의 접촉면적(외주부(3c)의 면적)은, 전선(3)과 열검출선(2)의 접촉면적(열검출선 접촉부(3a)의 면적)보다도 크다.
시스(4)의 두께는 0.6mm 이상 1.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시스(4)의 두께가 0.6mm 미만이면 외상(外傷)에 대한 내력(耐力)이나 절연성능 등이 저하해버리고, 시스(4)의 두께가 1.0mm보다 두꺼워지면 다심 케이블(1)의 대경화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시스(4)를 중공압출성형에 의하여 형성하고 또한 시스(4)의 두께를 1.0mm 이하로 얇게 함으로써, 전선(3)의 위치에서 시스(4)가 볼록이 되도록 시스(4)의 외표면에 요철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0)의 홈(11)내에 다심 케이블(1)을 삽입할 때에, 다심 케이블(1)을 프레임(10)의 홈(11)내로 가압하기 쉬워짐과 아울러 다심 케이블(1)과 프레임(10)(홈(11)의 내면)의 접촉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다심 케이블(1)을 홈(11)에 삽입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스(4)로서 두께 0.8mm의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였다.
(열검출선(2)의 평가시험)
제1도체(211)로서, 지름 0.9mm, 인장강도 998.9MPa, 신장 2.4%의 단선의 인청동(주석 7mass% 이상 9mass% 이하, 인 0.03mass% 이상 0.35mass% 이하, 잔부(殘部)가 구리와 미량(微量)의 불가피적 불순물(不可避的 不純物))을 사용한 열검출선(2)을 시작(試作)하여 실시예로 하고, 그 동작에 대해서 평가를 하였다. 평가에 있어서는, 열검출선(2)의 길이를 80m, 100m, 400m로 하고, 각각의 열검출선(2)을 항온조(恒溫槽)내로 유입시키고, 제1도체(211) 상호간이 단락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항온조내의 온도는, 80도, 100도, 120도, 140도로 하여 각각 시험을 하였다. 실시예의 열검출선(2)의 측정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표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열검출선(2)에서는, 어느쪽의 길이에 있어서도 80도로 2시간 동작하지 않고, 100도 이상에서 수분(거의 3분 이내) 동작하고 있어, 양호한 동작이 얻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심 케이블(1)에서는 열검출선(2)을 내장하고 있고, 제2도체(31)는,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형상이 지름방향 내방으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원주방향을 따른 폭이 서서히 커지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열검출선(2)을 내장함으로써 프레임(10)내에 포설되는 다심 케이블(1)내의 온도상승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2도체(31)의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형상을, 지름방향 내방으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원주방향을 따른 폭이 서서히 커지게 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한정된 시스(4)내의 스페이스에 있어서 제2도체(31)의 단면적을 크게 확보하고 또한 전류가 집중하는 외주부분에 위치하는 제2도체(31)의 단면적 등을 크게 하여, 비접촉급전의 효율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정리)
다음에,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로부터 파악되는 기술사상에 대해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호 등을 원용해서 기재한다. 다만,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의 각 부호 등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구성요소를 실시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부재 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제1도체(211) 및 상기 제1도체(211)의 주위를 덮는 제1절연체(212)를 구비하는 한 쌍의 열검출용 전선(21)을 연선한 쌍연선(22)을 포함하는 열검출선(2)과, 제2도체(31) 및 상기 제2도체(31)의 주위를 덮는 제2절연체(32)를 구비하고 상기 열검출선(2)의 주위에 나선상으로 연선되어 있는 복수개의 전선(3)과, 상기 열검출선(2) 및 상기 복수개의 전선(3)을 일괄해서 덮는 시스(4)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절연체(212)의 융점이 상기 제2절연체(32)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제2도체(31)는,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형상이 지름방향 내방으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원주방향을 따른 폭이 서서히 커지게 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심 케이블(1).
[2]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전선(3)이 상기 열검출선(2)의 외면에 대하여 면접촉하고 있는, 상기 [1]에 기재되어 있는 다심 케이블(1).
[3]둘레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전선(3) 상호간이 면접촉하고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되어 있는 다심 케이블(1).
[4]상기 복수개의 전선(3)은,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제2절연체(32)의 외면의 일부가 상기 시스(4)의 내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다심 케이블(1).
[5]상기 열검출선(2)은, 상기 쌍연선(22)의 주위를 덮는 재킷(24)과 상기 재킷(24)의 주위를 덮는 보강층(25)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층(25)은, 상기 재킷(24)의 주위에 수지 테이프가 나선상으로 감겨서 이루어지는 테이프층인, 상기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다심 케이블(1).
[6]상기 쌍연선(22)은 그 주위가 재킷(24)으로 덮어져 있고, 상기 재킷(24)이 내층과 외층을 구비하고, 상기 외층의 두께가 상기 내층의 두께보다도 두꺼운, 상기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다심 케이블(1).
[7]상기 제1도체(211)가 비자성체이며 또한 인장강도가 900MPa 이상인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다심 케이블(1).
[8]상기 1쌍의 열검출용 전선(2)은, 소정의 온도에서 상기 제1절연체(212)가 연화 혹은 용융했을 때에, 상기 제1도체(211)가 서로 근접하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제1도체(211) 상호간이 상기 쌍연선(22)의 중심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도체(211) 상호간이 접촉하는, 상기 [1] 내지 [7]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다심 케이블(1).
[9]상기 제1절연체(212)의 융점이 80도보다도 크고 100도 미만이며, 80도의 환경하에서 상기 단락이 발생하지 않고, 100도의 환경하에서 5분 이내에 상기 단락이 발생하는, 상기 [8]에 기재되어 있는 다심 케이블(1).
[10]상기 제1도체(211)는, 주석을 7mass% 이상 9mass% 이하 포함하고 또한 인을 0.03mass% 이상 0.35mass% 이하 포함하는 인청동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1] 내지 [9]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되어 있는 다심 케이블(1).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에 기재한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관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중에서 설명한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이지는 않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1…다심 케이블
2…열검출선
21…열검출용 전선
211…제1도체
212…제1절연체
22…쌍연선
23…가압권취 테이프
24…재킷
3…전선
31…제2도체
32…제2절연체
4…시스

Claims (10)

  1. 제1도체 및 상기 제1도체의 주위를 덮는 제1절연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열검출용 전선을 연선(撚線)한 쌍연선(雙撚線)을 포함하는 열검출선과,
    제2도체 및 상기 제2도체의 주위를 덮는 제2절연체를 구비하고, 상기 열검출선의 주위에 나선상(螺旋狀)으로 연선되어 있는 복수개의 전선과,
    상기 열검출선 및 상기 복수개의 전선을 일괄해서 덮는 시스(seath)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절연체의 융점이, 상기 제2절연체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제2도체는,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형상이 지름방향 내방으로부터 외방에 걸쳐서 원주방향을 따른 폭이 서서히 커지게 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심 케이블(多心 cable).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전선이, 상기 열검출선의 외면에 대하여 면접촉(面接觸)하고 있는 다심 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전선 서로가 면접촉하고 있는 다심 케이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선은, 케이블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제2절연체의 외면의 일부가 상기 시스의 내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심 케이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검출선은,
    상기 쌍연선의 주위를 덮는 재킷과,
    상기 재킷의 주위를 덮는 보강층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층은, 상기 재킷의 주위에 수지 테이프가 나선상으로 감겨서 이루어지는 테이프층인 다심 케이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쌍연선은, 그 주위가 재킷으로 덮여지고 있고,
    상기 재킷이 내층과 외층을 구비하고,
    상기 외층의 두께가 상기 내층의 두께보다도 두꺼운 다심 케이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가, 비자성체이며 또한 인장강도가 900MPa 이상인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다심 케이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열검출용 전선은, 소정의 온도에서 상기 제1절연체가 연화(軟化) 혹은 용융(溶融)했을 때에, 상기 제1도체가 서로 근접하려고 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제1도체 서로가 상기 쌍연선의 중심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도체 서로가 접촉하는 다심 케이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체의 융점이 80도보다도 크고 100도 미만이며,
    80도의 환경하에서 단락(短絡)이 발생하지 않고,
    100도의 환경하에서 5분 이내에 단락이 발생하는 다심 케이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는, 주석을 7mass% 이상 9mass% 이하 포함하고 또한 인을 0.03mass% 이상 0.35mass% 이하 포함하는 인청동으로 이루어지는 다심 케이블.
KR1020210098910A 2020-08-25 2021-07-28 다심 케이블 KR202200264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2077A JP7420013B2 (ja) 2020-08-25 2020-08-25 多心ケーブル
JPJP-P-2020-142077 2020-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486A true KR20220026486A (ko) 2022-03-04

Family

ID=8035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910A KR20220026486A (ko) 2020-08-25 2021-07-28 다심 케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56091B2 (ko)
JP (2) JP7420013B2 (ko)
KR (1) KR20220026486A (ko)
TW (1) TW2022112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7519B (zh) * 2022-06-15 2023-06-30 贵阳中安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弹簧电缆
CN117147427A (zh) * 2023-10-26 2023-12-01 鲁东大学 一种适用于深海实验中电化学测试的试样及其封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6695A (ja) 1981-11-17 1983-05-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火災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2017A (en) * 1965-04-15 1968-07-09 Eutectic Welding Alloys Welding consumable products
JPS446911Y1 (ko) * 1965-12-13 1969-03-14
JPS619727U (ja) * 1984-06-25 1986-01-2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温度検知線内蔵型電気ケ−ブル
JP2697960B2 (ja) * 1990-12-28 1998-01-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ハーネス用電線導体
US6359230B1 (en) 1999-12-21 2002-03-19 Champlain Cable Corporation Automotive-wire insulation
US7790981B2 (en) * 2004-09-10 2010-09-07 Amphenol Corporation Shielded parallel cable
US8471149B2 (en) * 2010-03-04 2013-06-25 Technical Services For Electronics, Inc. Shielded electrical cab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14155597A (ja) * 2013-02-15 2014-08-28 Hitachi Metals Ltd カテーテル内電線
US20160005508A1 (en) * 2014-07-03 2016-01-07 Zilift Holdings, Limited Cable for conveying an electrical submersible pump into and out of a well bore
JP2019129005A (ja) * 2018-01-22 2019-08-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被覆電線および多芯ケーブル
CN109979667B (zh) 2019-04-24 2024-08-06 中复碳芯电缆科技有限公司 轻型电力通信防火电缆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6695A (ja) 1981-11-17 1983-05-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火災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20013B2 (ja) 2024-01-23
JP2022037771A (ja) 2022-03-09
JP2024019676A (ja) 2024-02-09
US20220068521A1 (en) 2022-03-03
TW202211262A (zh) 2022-03-16
US11456091B2 (en)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5542B2 (ja) 光電気複合ケーブル
KR20220026486A (ko) 다심 케이블
WO2013108895A1 (ja) ケーブル
JP2010198973A (ja) 同軸ケーブルとその製造方法
US20110147079A1 (en) Tension-Resistant Electrical Conductor
KR20230117660A (ko) 다심 케이블
JP6844739B1 (ja) 熱検知線及び多心ケーブル
JP7265324B2 (ja) 絶縁電線、ケーブル
KR20170006259A (ko) 가동부 배선용 플랫케이블
TWI855254B (zh) 熱檢測線以及多芯纜線
JP6975393B2 (ja) 多心ケーブル
JP5326775B2 (ja) 同軸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5253870B2 (ja) 走水防止ケーブル
JP6747564B1 (ja) 多心ケーブル
KR102579741B1 (ko) 절연전선 및 다심 케이블
JP6841273B2 (ja) 多心ケーブル
JP7331709B2 (ja) 多心ケーブル
US20240274320A1 (en) Multicore cable
US20160086690A1 (en) Cable Bea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899088B2 (ja) 多心ケーブル
US10734137B2 (en) Composite cable
JP2024073178A (ja) 複合ケーブル
JP2024093717A (ja) 高周波給電ケーブル
JP2008112587A (ja) フラット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