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6477A -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6477A
KR20220026477A KR1020210091776A KR20210091776A KR20220026477A KR 20220026477 A KR20220026477 A KR 20220026477A KR 1020210091776 A KR1020210091776 A KR 1020210091776A KR 20210091776 A KR20210091776 A KR 20210091776A KR 20220026477 A KR20220026477 A KR 20220026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straight
movable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178B1 (ko
Inventor
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과제) 소형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전기 커넥터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고,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하는 가동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 및 가동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保持)되고,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로서, 전기 커넥터의 단자는, 일체 성형에 의해 고정 하우징에 매설된 제1 고정부와, 일체 성형에 의해 가동 하우징에 매설된 제2 고정부와,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을 변위 가능하게 하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와, 탄성을 갖고 제2 고정부의 끝에 형성되고, 가동 하우징과 끼워맞춤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는 플로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조립·실장 시, 회로 기판이나 케이스체의 위치 어긋남(오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오차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가,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가동인, 소위 플로팅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플로팅 커넥터는, 단자의 일단측을 보유지지(保持)하고, 그 단자가 회로 기판에 납땜 접속됨으로써 회로 기판에 대하여 고정 위치를 이루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과는 별체로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이고 상대 커넥터와 접촉 접속되는 단자의 타단측을 보유지지하는 가동 하우징을 갖고 있다. 단자는,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에 의한 피보유지지부끼리 사이에, 하등 지지되어 있지 않은 탄성부를 갖고, 그 탄성부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가동 하우징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이 되어, 소위 플로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플로팅 커넥터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기술 등을 들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9-067779호
종래의 플로팅 커넥터와 같은 전기 커넥터는,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을 따로 제작하여, 단자의 고정 하우징으로의 압입이나, 가동 하우징의 단자가 압입된 고정 하우징으로의 압입 등의 방법에 의해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가동 하우징의 고정 하우징에 대한 압입의 방향이 커넥터의 높이 방향이라고 하면, 압입 상태에 따라, 높이 방향의 사이즈가 상이하다는 제품 불균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높이 방향에 여유가 있는 설계가 필요해져, 제품이 대형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압입에 의한 조립 방식이 채용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는,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을 단자에 의해 연결하여 구성된다.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을 단자에 의해 연결하기 위해서는, 고정 하우징과 단자의 연결, 가동 하우징과 단자의 연결의 적어도 2공정이 필요하여, 조립하기 위한 제조 공수가 많아지고,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소형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고정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고,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嵌合)하는 가동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 및 상기 가동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단자는, 일체 성형에 의해 상기 고정 하우징에 매설된 제1 고정부와, 상기 일체 성형에 의해 상기 가동 하우징에 매설된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가동 하우징을 변위 가능하게 하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와, 탄성을 갖고 상기 제2 고정부의 끝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 하우징과 끼워맞춤한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형에 삽입된 상기 전기 커넥터의 단자의 상기 제2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금형에 맞닿게 하여 상기 전기 커넥터의 단자를 보유지지한 상태로, 당해 금형 내에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고정 하우징과 상기 가동 하우징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단자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단자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전기 커넥터의 Y 방향의 일부를 빼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단자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변형예에 따른 단자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실시 형태]
[개략 구성]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전기 커넥터(1)의 긴 쪽 방향(단자의 배열 방향)을 X(X1X2) 방향으로 하고, 짧은 쪽 방향(단자의 대향 방향)을 Y(Y1Y2) 방향으로 하고, 높이 방향(끼워맞춤·발거 방향)을 Z(Z1Z2) 방향으로 한다. 또한, 각 방향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절대적인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높이 방향 중, 상대적으로 Z1측을 상방 또는 상측, 위, 상대적으로 Z2측을 하방, 하측 또는 아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는, 회로 기판(101)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이고, 회로 기판(101)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10)과, 고정 하우징(10)의 내측에 배치되고,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고, 상대 커넥터(100)가 끼워맞춤되는 가동 하우징(20)과, 고정 하우징(10) 및 가동 하우징(20)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상대 커넥터(100)의 단자(130)와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30)와, 고정 하우징(10)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한 쌍의 보강 금구(40)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1)는, 회로 기판(101)에 대한 고정 하우징(10)이나 전기 커넥터(1)가 수용되는 케이스체의 위치 어긋남(오차)이 생긴 경우라도, 그 위치 어긋남을 XYZ 방향에 있어서 흡수할 수 있는, 소위 플로팅 커넥터이다. 즉, 복수의 단자(30)가 탄성 변형하여, 가동 하우징(20)이 XYZ 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커넥터끼리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난 경우라도, 일정한 허용 범위 내에서, 커넥터끼리의 정상적인 끼워맞춤이 가능해진다. 한 쌍의 보강 금구(40)는, 가동 하우징(20)의 Z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100)는, 회로 기판(102)에 실장되는 플러그 커넥터이고, 하우징(110)과, 복수의 단자(130)와, 하우징(110)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한 쌍의 보강 금구(140)를 구비한다. 전기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100)가 끼워맞춤으로써, 각각 대응하는 단자(30) 및 단자(130)가 접촉하여, 양 커넥터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커넥터(1) 및 상대 커넥터(100)는, X 방향 및 Y 방향의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대칭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1) 및 상대 커넥터(100)의 복수의 단자(30, 130)는, 각각, 3개 배열한 단자(30, 130)가 대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합계 6개의 단자를 갖는다. 단, 단자(30, 1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고정 하우징(10), 가동 하우징(20) 및 하우징(110)은, 수지나 플라스틱재, 탄소 섬유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10) 및 가동 하우징(20)은, 복수의 단자(30)를 인서트품으로서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즉, 고정 하우징(10)과 가동 하우징(20)은, 복수의 단자(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30, 130)는, 금속 등의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강 금구(40, 140)는, 금속 등의 절곡 가공이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단, 전기 커넥터(1) 및 상대 커넥터(100)의 구성 부재 및 각 구성 부재의 재료는, 반드시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보강 금구(40)는, 고정 하우징(10)의 일부로서 형성해도 좋다.
[상세 구성]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상대 커넥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10)은, Y 방향에 있어서 대향한 한 쌍의 측벽부(11)를 갖고, 한 쌍의 측벽부(11)는 X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의 양 단부는 한 쌍의 보강 금구(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각 측벽부(11)는, Z 방향을 따라 평면으로부터 보아 U자 형상이고, 한쪽의 측벽부(11)의 U자의 양각을 다른 한쪽의 측벽부(11)의 U자의 양각에 간격을 두고 대향시켜 배치됨으로써 고정 하우징(10)이 형성된다. 한 쌍의 보강 금구(40)가 한쪽의 측벽부(11)의 U자의 양각과 다른 한쪽의 측벽부(11)의 U자의 양단을 연결함으로써, 고정 하우징(10)은, 가동 하우징(20)을 둘러싼다. 보강 금구(40)는, Y 방향으로 긴 장판이 X 방향으로부터 측면으로부터 보아 볼록 형상이 되도록 되꺾여 이루어진다. 보강 금구(4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측벽부(11) 사이에서 노출되어, 양 단부인 기판 접속부(41)가 고정 하우징(10)(측벽부(11))의 저부로부터 노출된다.
측벽부(11)의 X 방향 중앙 부분에는, 노치부(11a)와, 보유지지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11a)는, 단자(30)가 배치되는 스페이스이다. 보유지지부(11b)는, 단자(30)의 일부(여기에서는 후술의 제1 고정부(32))를 보유지지한다.
고정 하우징(10)은, 그의 저부(低部)로부터, 단자(30)의 후술하는 기판 접속부(31)와, 보강 금구(40)의 기판 접속부(41)를 노출시키고 있고, 기판 접속부(31) 및 기판 접속부(41)가 회로 기판(101)에 납땜됨으로써, 고정 하우징(10)이 회로 기판(101)에 고정된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20)은, 고정 하우징(10)의 상방으로 돌출된 끼워맞춤 오목부(21)를 갖고, 커넥터 끼워맞춤 시에, 상대 커넥터(100)(보다 구체적으로는, 끼워맞춤 볼록부(121))가 끼워맞춤 오목부(21)에 끼워맞춤한다. 구체적으로는, 끼워맞춤 오목부(21)는, Y 방향에 있어서 대향한 한 쌍의 측벽부(21a)와, 한 쌍의 측벽부(21a)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벽부(21b)와, 한 쌍의 측벽부(21a) 및 한 쌍의 연결 벽부(21b)를 연결하는 저부(21c)와, 한 쌍의 연결 벽부(21b)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규제부(21d)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측벽부(21a)는 X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한 쌍의 연결 벽부(21b)는 Y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저부(21c)는, 측벽부(21a) 및 연결 벽부(21b)의 저부에 있어서 XY 방향으로 펼쳐져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부(21a), 한 쌍의 연결 벽부(21b) 및 저부(21c)에 의해 획성되는 공간이, 끼워맞춤 볼록부(121)가 삽입되는 끼워맞춤 오목부(21) 내의 공간이다. 한 쌍의 측벽부(21a)에는, 고정 하우징(10)과 대향하는 외면에 내측으로 패인 오목부(211)와, 다른 한쪽의 측벽부(21a)와 대향하는 내면에 단자(30)의 자유 단부가 되는 선단측을 수용하는 수용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1)는, 단자(30)(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탄성부(33))가 탄성 변형해도 측벽부(21a)와 물리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단자(30)가 변위 가능하도록 형성된 스페이스를 형성한다. 수용부(212)는, 단자(30)를 수용하는 부위이고, 측벽부(21a)의 내면에, 외측으로 패여 형성되어 있고, 단자(30)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12) 내의 공간은, 끼워맞춤 오목부(21)의 공간과 연통하고 있다. 저부(21c)에는, Z 방향으로 관통한 구멍(216)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16)은, 후술의 만곡부(35b)의 하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 오목부(21)의 내부 공간과 가동 하우징(20)의 외부를 연통한다. 가동 하우징(20)은, 복수의 단자(30)의 일부(여기에서는, 후술의 제2 고정부(34))를 보유지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벽부(21a)(수용부(212)의 저부)에서 단자(30)의 제2 고정부(34)를 보유지지한다.
한 쌍의 규제부(21d)는, 고정 하우징(10)에 대한 가동 하우징(20)의 이동 범위를 규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부(21d)는, 연결 벽부(21b)로부터 X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규제부(21d)의 일부가 한 쌍의 측벽부(11)의 사이 또한 보강 금구(40)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당해 일부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부(21d)의 상면(213)이 보강 금구(40)의 하면(42)과 맞닿음으로써 Z1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규제부(21d)의 하면(214)과 회로 기판(101)의 표면인 실장면이 맞닿음으로써 Z2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벽부(21b)의 외측면(215)이 보강 금구(40)의 측면(43)과 맞닿음으로써 X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부(21d)의 측면(215)이 측벽부(11)의 단면(111)과 맞닿음으로써 Y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규제부(21d)의 측면(215)은, XZ 방향으로 펼쳐지고, 1개의 규제부(21d)에 대하여 Y 방향으로 떨어져 2면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측면(215)이 한쪽의 측벽부(11)의 단면(111)과 대면하고, 다른 한쪽의 측면(215)이 다른 한쪽의 측벽부(11)의 단면(111)과 대면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30)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고, 가동 하우징(20)의 측벽부(21a) 및 고정 하우징(10)의 측벽부(11)를 따라, X 방향으로 2열로 배열되고, 각 열의 대향하는 단자(30)는 Y 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단자(30)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단자(30)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전기 커넥터(1)의 Y 방향의 일부를 빼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단자(30)는, 금속 등의 절곡 가능한 도전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30)는, 기판 접속부(31)와, 제1 고정부(32)와, 탄성부(33)와, 제2 고정부(34)와, 접촉부(35)를 갖는다.
기판 접속부(31)는, Y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 하우징(10)(보유지지부(11b))의 저부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회로 기판(101)에 납땜되는 부위이다. 제1 고정부(32)는, 일체 성형에 의해 가동 하우징(20)(여기에서는 보유지지부(11b))에 매설되어 있다. 일체 성형은, 복수의 단자(30)를 수반하는, 고정 하우징(10)과 가동 하우징(20)의 일체 성형이다. 제1 고정부(32)는, 기판 접속부(31)로부터 대략 S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방(Z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탄성부(33)는, 제1 고정부(32)와 제2 고정부(3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33)는,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20)을 변위 가능하게 하는 탄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탄성부(33)는, 제1 고정부(3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33a)와, 제1 직선부(33a)로부터 하방으로 되꺾인 제1 되꺾임부(33b)와, 제1 되꺾임부(33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33c)와, 제2 직선부(33c)로부터 상방으로 되꺾인 제2 되꺾임부(33d)와, 제2 되꺾임부(33d)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제2 고정부(34)와 연결되는 제3 직선부(33e)를 갖는다. 탄성부(33)는, 제1 고정부(32)의 일단에서 제2 고정부(34)의 일단까지, 제1 직선부(33a), 제1 되꺾임부(33b), 제2 직선부(33c), 제2 되꺾임부(33d), 제3 직선부(33e)의 순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2 직선부(33c)는, 제1 되꺾임부(33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 되꺾임부(33d)에 연결되어 있으면 좋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되꺾임부(33b)로부터 하방 또한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2 되꺾임부(33d)에 연결되어 있다. 탄성부(33)는, 고정 하우징(10) 및 가동 하우징(20)에 보유지지 또는 지지되어 있지 않고, 공간 중에 위치하고 있고, 제1 고정부(32)와 제2 고정부(34)를 고정단으로서 탄성 변형한다. 탄성부(33)는, 제1 고정부(32) 및 제2 고정부(34)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부(33)의 폭에 의해, 탄성부(33)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폭이란, 단자(30)의 X 방향의 길이이다.
제2 고정부(34)는, 일체 성형에 의해 가동 하우징(20)(여기에서는 측벽부(21a))에 매설되어 있다. 제2 고정부(34)는, 제3 직선부(33e)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제1 절곡부(34a)와, 제1 절곡부(34a)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4 직선부(34b)와, 제4 직선부(34b)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제2 절곡부(34c)를 갖는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고정부(34)는, 제4 직선부(34b)의 하면(341) 또는 제1 절곡부(34a)의 하면(343) 및, 제4 직선부(34b)의 상면(342) 또는 제2 절곡부(34c)의 상면(344)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4 직선부(34b)의 하면(341), 제1 절곡부(34a)의 하면(343), 제4 직선부(34b)의 상면(342) 및, 제2 절곡부(34c)의 상면(344)이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제2 고정부(34)의 Y 방향의 길이는, 접촉부(35)가 Y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최대 변위량보다도 길다.
접촉부(35)는, 탄성을 갖고 제2 고정부(34)의 끝에 형성되어, 끼워맞춤 오목부(21)의 내부에 있어서 가동 하우징(20)(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부(212))으로부터 노출된다. 접촉부(35)는, 그의 일부가 끼워맞춤 오목부(21)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돌출되어 있고, 가동 하우징(20)(보다 구체적으로는, 끼워맞춤 오목부(21))에 끼워맞춤된 상대 커넥터(100)의 단자(130)와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접촉부(35)는, Y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35)는, 제2 절곡부(34c)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5 직선부(35a)와, 제5 직선부(35a)로부터 내측으로 만곡하여, 상대 커넥터(100)의 단자(130)와 접촉하는 만곡부(35b)를 갖는다.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직선부(35a)는, 그의 내면(352), 외면(353)을 포함하는 둘레면이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단부(351)를 갖고 있다. 단부(351)는, 만곡부(35b)의 폭보다도 폭이 넓고, 제2 고정부(34)의 폭보다 폭이 좁다. 단부(351)는, 끼워맞춤 오목부(21)의 내부에 있어서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만곡부(35b)는, C자형을 갖고, Y 방향에 대향하는 단자(30)의 만곡부(35b)에 가까워지도록 만곡하고, 당해 대향하는 단자(30)의 만곡부(35b)에 가장 가까워지는 개소 및 그의 근방을 상대 커넥터(100)의 단자(130)와의 접점으로 할 수 있다. 만곡부(35b)는, 당해 대향하는 단자(30)의 만곡부(35b)에 가장 가까워지는 개소로부터 멀어지도록 외측으로 만곡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만곡부(35b)의 선단은, 가동 하우징(20)의 Z1 방향의 선단보다 낮게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제1 되꺾임부(33b)와 동(同)정도의 높이이거나 그보다 낮게 위치하고 있다. 만곡부(35b) 및 그의 선단은, 무부하 상태, 즉 상대 커넥터(100)가 끼워맞춤 오목부(21)에 끼워맞춤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가동 하우징(20)(측벽부(21a))으로부터는 이간하고 있다. 접촉부(35)는, 제2 고정부(34)를 고정단으로 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X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접촉부(35)는, X 방향으로 최대 변위량으로 변위해도 가동 하우징(20)(측벽부(21a))과 물리적으로 간섭하지 않는다. 접촉부(35)는, 제1 고정부(32) 및 제2 고정부(34)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 탄성 변형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1)는, 복수의 단자(30)를 인서트품으로 하는 금형을 이용한 일체 성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1)의 제조 방법은, 금형에 복수의 단자(30)를 삽입하는 삽입 공정과, 금형에 삽입된 복수의 단자(30)의 제2 고정부(34)의 적어도 일부를 금형에 맞닿게 하여 복수의 단자(30)를 보유지지한 상태로, 당해 금형 내에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고정 하우징(10)과 가동 하우징(20)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과, 성형 공정에 의해 제작된 전기 커넥터(1)를 금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이형(離型) 공정을 갖는다.
삽입 공정은, 복수의 단자(30)를 고정 하우징(10) 및 가동 하우징(20)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삽입하는 공정이다. 본 실시 형태의 성형 공정에서는, 금형에 삽입된 복수의 단자(30)의 복수 개소를 금형을 맞닿게 하여 복수의 단자(30)를 금형 내에서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고정부(34)의 하면(341, 343) 및 상면(342, 344)을 상하로부터 금형 내벽에서 사이에 끼움과 함께, 제5 직선부(35a)를 그의 주위로부터 금형 내벽을 맞닿게 한다. 특히, 금형 내벽에서 X 방향으로부터 단부(351)를 사이에 둔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자(30)의 금형 내에서의 고정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이 상태로 금형 내에 수지를 주입하고, 당해 수지를 고화시킴으로써, 고정 하우징(10) 및 가동 하우징(20)을 성형한다.
이형 공정에서는, 금형으로부터 전기 커넥터(1)를 떨어트려 당해 전기 커넥터(1)를 취출한다. 이 때, 단부(351)가 사이에 끼워져 있었던 것에 의해, 금형 내벽과 접촉부(35)의 사이에는 극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형 시에 금형과 스치는 것에 의한 접촉부(3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작용·효과]
(1)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1)는, 고정 하우징(10)과, 고정 하우징(10)의 내측에 배치되고,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고, 상대 커넥터(100)와 끼워맞춤하는 가동 하우징(20)과, 고정 하우징(10) 및 가동 하우징(20)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상대 커넥터(100)의 단자(130)와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30)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로서, 전기 커넥터(1)의 단자(30)는, 일체 성형에 의해 고정 하우징(10)에 매설된 제1 고정부(32)와, 일체 성형에 의해 가동 하우징(20)에 매설된 제2 고정부(34)와, 제1 고정부(32)와 제2 고정부(34)의 사이에 형성되고,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20)을 변위 가능하게 하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33)와, 탄성을 갖고 제2 고정부(34)의 끝에 형성되고, 가동 하우징(20)과 끼워맞춤한 상대 커넥터(100)의 단자(130)와 접촉하는 접촉부(35)를 갖도록 했다.
이에 따라, 소형화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전기 커넥터는,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을 따로 제작하고, 압입 등의 방법에 의해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압입의 방향이 높이 방향이라고 하면, 압입 상태에 따라, 높이 방향의 사이즈가 상이한 제품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높이 방향에 여유가 있는 설계가 필요해져 제품이 대형화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체 성형에 의해 제1 고정부(32)가 고정 하우징(10)에 매설되고, 제2 고정부(34)가 가동 하우징(20)에 매설된 구성이기 때문에, 고정 하우징(10), 단자(30) 및, 가동 하우징(20)의 위치 관계를 획일적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압입 상태에 따른 불균일을 고려한 설계가 불필요하여, 결과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일체 성형에 의해 제1 고정부(32)가 고정 하우징(10)에 매설되고, 제2 고정부(34)가 가동 하우징(20)에 매설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 하우징(10)과 가동 하우징(20)을 따로 제작하고, 그 후 압입 등에 의해 조립하여 작성하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보다도 제조 공수를 삭감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탄성부(33)는, 제1 고정부(3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33a)와, 제1 직선부(33a)로부터 하방으로 되꺾인 제1 되꺾임부(33b)와, 제1 되꺾임부(33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33c)와, 제2 직선부(33c)로부터 상방으로 되꺾인 제2 되꺾임부(33d)와, 제2 되꺾임부(33d)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2 고정부(34)와 연결되는 제3 직선부(33e)를 갖고, 제2 고정부(34)는, 제3 직선부(33e)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제1 절곡부(34a)와, 제1 절곡부(34a)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4 직선부(34b)와, 제4 직선부(34b)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제2 절곡부(34c)를 갖고, 접촉부(35)는, 제2 절곡부(34c)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5 직선부(35a)와, 제5 직선부(35a)로부터 내측으로 만곡하고, 상대 커넥터(100)의 단자(130)와 접촉하는 만곡부(35b)를 갖고, 제2 고정부(34)는, 제4 직선부(34b) 또는 제1 절곡부(34a)의 하면 및, 제4 직선부(34b) 또는 제2 절곡부(34c)의 상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제4 직선부(34b) 또는 제1 절곡부(34a)의 하면 및, 제4 직선부(34b) 또는 제2 절곡부(34c)의 상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일체 성형 시에 금형으로 맞닿을 수 있어, 금형 내에서 단자를 고정할 수 있다.
(3) 탄성부(33) 및 접촉부(35)는, 제1 고정부(32) 및 제2 고정부(34)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되도록 했다.
이에 따라, 탄성부(33)와 접촉부(35)가 변형하기 쉬워져, 탄성을 높일 수 있다. 즉, 탄성부(33)에 의해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20)을 변위하기 쉽게 할 수 있어, 접촉부(35)에 의해 상대 커넥터(100)의 단자와 접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4) 제5 직선부(35a)는, 만곡부(35b)의 폭보다 폭이 넓고, 제2 고정부(34)의 폭보다 폭이 좁은 단부(351)를 갖고, 단부(351)는,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일체 성형 시에 금형이 단부(351)에 맞닿아도 당해 단부(351)가 만곡부(35b)보다도 폭이 넓기 때문에 금형과 만곡부(35b)의 사이에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금형과 만곡부(35b)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일체 성형 시의 금형에 의한 단자 보유지지나, 일체 성형 후의 금형으로부터의 전기 커넥터의 이형 시에 생길 수 있는 금형과 접촉부(35)의 스침 및, 일체 성형 시의 금형과 단자의 세트 때에 금형이 단자와 접촉하는 것에 의한 접촉부(3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부(351)를 금형으로 맞닿게 하여, 금형 내에서 단자(30)를 고정하는 인서트 성형의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5) 가동 하우징(20)은, 상대 커넥터(100)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 오목부(21)를 갖고, 접촉부(35)는, 끼워맞춤 오목부(21)의 내부에 있어서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고, 만곡부(35b)는, 제5 직선부(35a)로부터 내측으로 만곡하고, 가동 하우징(20)은, 끼워맞춤 오목부(21)의 만곡부(35b)의 하방의 위치에 끼워맞춤 오목부(21)의 내부와 가동 하우징(20)의 외부를 연통하는 구멍(216)을 형성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단자(30)를 하방으로부터 금형으로 눌러 금형 내에서 단자를 고정하는 인서트 성형의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6) 제5 직선부(35a)는, 내면(352) 또는 외면(353)이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제5 직선부(35a)의 만곡부(35b)가 만곡하는 측의 면을 일체 성형 시에 금형으로 맞닿게 하여 금형 내에서 단자(30)를 고정하는 인서트 성형의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내면(352) 및 외면(353)이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면(352) 및 외면(353)에 금형을 맞닿게 함으로써, 금형 내에서 단자(30)를 고정하는 인서트 성형의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하기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 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및 하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이들 실시 형태를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이나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고, 그 변형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4 직선부(34b)의 하면(341) 및 제1 절곡부(34a)의 하면(343)과, 제4 직선부(34b)의 상면(342) 및 제2 절곡부(34c)의 상면(344)을 노출시키도록 했지만,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341∼344)이 노출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제4 직선부(34b)의 하면(341) 또는 제1 절곡부(34a)의 하면(343)과, 제4 직선부(34b)의 상면(342) 또는 제2 절곡부(34c)의 상면(344)을 노출시켜도 좋고, 제4 직선부(34b)의 하면(341)과 단부(351)를 상하로부터 금형으로 사이에 끼워 이를 노출시켜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고정부(34)가 제4 직선부(34b)를 갖도록 했지만, 제4 직선부(34b)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제1 절곡부(34a)와 제2 절곡부(34c)가 직접 연결되고, 제2 고정부(34)는, S자 형상을 이루도록 해도 좋다. 이 때, 제1 절곡부(34a)의 하면(343) 및/또는 제2 절곡부(34c)의 상면(344)이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변형예에 따른 단자(30)에 대해서, 도 10∼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변형예에 따른 단자(30)는, 기본 구성이 상기 실시 형태의 단자(30)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의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단자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변형예에 따른 단자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단자(30)는, 제1 되꺾임부(33b) 및 제2 되꺾임부(33d)의 형상이 U자 형상인 점 및, 제2 직선부(33c)가 하방으로만 연장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30)와 상이하다. 즉, 상기 실시 형태의 단자(30)의 제1 되꺾임부(33b)는 위로 볼록해지는 C자 형상, 제2 되꺾임부(33d)는 아래로 볼록해지는 C자 형상이었던 것에 대하여, 변형예의 단자(30)의 제1 되꺾임부(33b)는 위로 볼록해지는 U자 형상, 제2 되꺾임부(33d)는 아래로 볼록해지는 U자 형상이다. 각 되꺾임부(33b, 33d)의 형상 변경에 수반하여, 변형예에 따른 단자(30)의 제2 직선부(33c)는, 제1 되꺾임부(33b)로부터 하방(바로 아래)으로 연장되어 제2 되꺾임부(33d)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에 이용되는 단자(30)는, 실시 형태의 단자(30)도 변형예의 단자(30)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에 이용되는 단자(30)를 변형예의 단자(30)로 해도, 탄성부(33)는 Y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상대 커넥터(100)에 대해서, 도 13∼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 및 상대 커넥터(100)는, 기본 구성은 위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의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단자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100)의 끼워맞춤 관계는, 상기 실시 형태와 역이라도 좋다. 즉,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하우징(20)의 끼워맞춤 오목부(21)에 상대 커넥터(100)가 끼워맞춤하여 전기 커넥터(1)(가동 하우징(20))와 상대 커넥터(100)가 끼워맞춤 상태가 되는 것에 대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100)의 끼워맞춤 오목부(122)에 가동 하우징(20)의 끼워맞춤 볼록부(22)가 끼워맞춤하여 전기 커넥터(1)(가동 하우징(20))와 상대 커넥터(100)가 끼워맞춤 상태가 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100)의 하우징(110)에는, 가동 하우징(20)의 끼워맞춤 볼록부(22)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오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100)의 단자(130)는, 끼워맞춤 오목부(122)의 내면 및 테두리를 따라 끼워맞춤 오목부(122)의 내부나 그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20)은, 일체 성형에 의해 제2 고정부(24)를 보유지지하는 베이스(23)와, 베이스(2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끼워맞춤 볼록부(22)를 갖는다. 도 13에서는, 제2 고정부(34) 중, 제4 직선부(34b)의 상면(342), 제2 절곡부(34c)의 상면(344) 및, 제4 직선부(34b)의 하면(341), 제1 절곡부(34a)의 하면(343)이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단,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341∼344)이 노출되어 있으면 좋다. 수용부(212)는, 끼워맞춤 볼록부(22)의 측면에 패여 형성되어 있고, 접촉부(35)가 Y 방향으로 탄성 변형해도 접촉부(35)와 간섭하지 않는다. 접촉부(35)는, 수용부(212) 내에 수용되고,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도 13∼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부(35b)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5 직선부(35a)로부터 내측으로 만곡하고 있던 것에 대하여, 제5 직선부(35a)로부터 외측으로 만곡하고 있다. 즉, 만곡부(35b)는, 그의 일부가 끼워맞춤 볼록부(22)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돌출되어 있고, 끼워맞춤 볼록부(22)와 끼워맞춤한 상대 커넥터(100)의 단자(130)와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접촉부(35)는, Y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351)를 형성했지만, 단부(351)를 형성하지 않는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 전기 커넥터
10 : 고정 하우징
11 : 측벽부
111 : 측벽부의 단면
11a : 노치부
11b : 보유지지부
20 : 가동 하우징
21 : 끼워맞춤 오목부
21a : 측벽부
21b : 연결벽부
21c : 저부
21d : 규제부
211 : 오목부
212 : 수용부
213 : 규제부의 상면
214 : 규제부의 하면
215 : 규제부의 측면
216 : 구멍
22 : 끼워맞춤 볼록부
23 : 베이스
30 : 단자
31 : 기판 접속부
32 : 제1 고정부
33 : 탄성부
33a : 제1 직선부
33b : 제1 되꺾임부
33c : 제2 직선부
33d : 제2 되꺾임부
33e : 제3 직선부
34 : 제2 고정부
34a : 제1 절곡부
34b : 제4 직선부
34c : 제2 절곡부
341 : 제4 직선부의 하면
342 : 제4 직선부의 상면
343 : 제1 절곡부의 하면
344 : 제2 절곡부의 상면
35 : 접촉부
35a : 제5 직선부
35b : 만곡부
351 : 단부
352 : 제5 직선부의 내면
353 : 제5 직선부의 외면
40 : 보강 금구
41 : 기판 접속부
100 : 상대 커넥터
101 : 회로 기판
102 : 회로 기판
110 : 하우징
121 : 끼워맞춤 볼록부
122 : 끼워맞춤 오목부
130 : 단자
140 : 보강 금구

Claims (7)

  1. 고정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고,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嵌合)하는 가동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 및 상기 가동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保持)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
    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단자는,
    일체 성형에 의해 상기 고정 하우징에 매설된 제1 고정부와,
    상기 일체 성형에 의해 상기 가동 하우징에 매설된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가동 하우징을 변위 가능하게 하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와,
    탄성을 갖고 상기 제2 고정부의 끝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 하우징과 끼워맞춤한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
    를 갖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와,
    상기 제1 직선부로부터 하방으로 되꺾인 제1 되꺾임부와,
    상기 제1 되꺾임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로부터 상방으로 되꺾인 제2 되꺾임부와,
    상기 제2 되꺾임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는 제3 직선부
    를 갖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직선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4 직선부와,
    상기 제4 직선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제2 절곡부
    를 갖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5 직선부와,
    상기 제5 직선부로부터 내측 또는 외측으로 만곡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만곡부
    를 갖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4 직선부 또는 상기 제1 절곡부의 하면 및, 제4 직선부 또는 상기 제2 절곡부의 상면의 적어도 어느 것이 상기 가동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직선부는, 상기 만곡부의 폭보다 폭이 넓고, 상기 제2 고정부의 폭보다 폭이 좁은 단부를 갖고, 상기 단부는, 상기 가동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기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가동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5 직선부로부터 내측으로 만곡하고,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상기 만곡부의 하방의 위치에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내부와 상기 가동 하우징의 외부를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직선부는, 내면 또는 외면이 상기 가동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형에 삽입된 상기 전기 커넥터의 단자의 상기 제2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금형에 맞닿게 하여 상기 전기 커넥터의 단자를 보유지지한 상태로, 당해 금형 내에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고정 하우징과 상기 가동 하우징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갖는,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210091776A 2020-08-25 2021-07-13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674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41460 2020-08-25
JP2020141460A JP7377781B2 (ja) 2020-08-25 2020-08-25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477A true KR20220026477A (ko) 2022-03-04
KR102674178B1 KR102674178B1 (ko) 2024-06-10

Family

ID=8035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776A KR102674178B1 (ko) 2020-08-25 2021-07-13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26676B2 (ko)
JP (1) JP7377781B2 (ko)
KR (1) KR102674178B1 (ko)
CN (1) CN1141227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7781B2 (ja) * 2020-08-25 2023-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7151A (ja) * 2016-08-29 2018-03-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ための規制金具
JP2019067779A (ja) 2017-07-11 2019-04-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6610B2 (ja) * 2006-10-05 2012-08-2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325720B1 (ja) * 2017-06-06 2018-05-1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多接点コネクタ
JP2019192527A (ja) * 2018-04-26 2019-10-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144191B2 (ja) 2018-05-23 2022-09-2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US10998666B2 (en) * 2018-10-23 2021-05-04 Iriso Electronics Co., Ltd. Movable connector
EP3955391A4 (en) * 2019-04-10 2022-06-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JP2021125397A (ja) 2020-02-06 2021-08-3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467234B2 (ja) * 2020-05-28 2024-04-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7377781B2 (ja) * 2020-08-25 2023-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7151A (ja) * 2016-08-29 2018-03-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ための規制金具
JP2019067779A (ja) 2017-07-11 2019-04-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4178B1 (ko) 2024-06-10
JP7377781B2 (ja) 2023-11-10
US11626676B2 (en) 2023-04-11
US20220069493A1 (en) 2022-03-03
JP2022037365A (ja) 2022-03-09
CN114122771A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623B1 (ko) 전기 커넥터
US10777941B2 (en) Connector
US10601182B2 (en) Connector
US1091687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2585117B1 (ko)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JP5603790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11233346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11605911B2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detachably fitting to each other
KR20050013948A (ko) 커넥터 조립체
KR101397768B1 (ko) 전기 부품
KR20220026477A (ko) 전기 커넥터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30246366A1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US20240186732A1 (en)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ies
US20240186736A1 (en) Ground Contact Connection Member,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230238727A1 (en) Connector
JP2018116825A (ja) コネクタ
US20240186740A1 (en) Contacts,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ies
CN110518380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2001135401A (ja) コネクタの端子位置決め構造
KR20230095810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2023091520A (ja) コネクタ及び組立体
CN114976712A (zh) 浮动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