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967A -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967A
KR20220025967A KR1020200105931A KR20200105931A KR20220025967A KR 20220025967 A KR20220025967 A KR 20220025967A KR 1020200105931 A KR1020200105931 A KR 1020200105931A KR 20200105931 A KR20200105931 A KR 20200105931A KR 20220025967 A KR20220025967 A KR 20220025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unit
drone
detachable
insp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046B1 (ko
Inventor
이래철
Original Assignee
에스큐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큐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에스큐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0010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0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25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vibrating st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6
    • B64C2201/127
    • B64C2201/1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은, 복수의 프로펠러를 구비하는 드론 바디; 및 상기 드론 바디에 마련되며, 검사 대상 구조물에 대한 외형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거나 상기 구조물의 파손 없이 상기 구조물의 내부 성질을 검사하는 다목적 검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Device for insp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순 외형 외에도 필요에 따라 구조물의 내부 성질 등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어 검사 범위를 종래보다 넓힐 수 있는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드론은 주로 표적용, 정찰용, 감시용 등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민간분야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교량의 안전점검을 위한 촬영에 드론이 사용되는데, 차량이나 사람이 통과하는 교량은 교각과, 상기 교각의 상단에 올려진 교량상판과, 교각과 교량상판 사이에 교좌장치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일정주기로 안전점검을 하여야 한다.
이처럼 주기적으로 안전점검을 할 때는 작업자가 교량상판의 하부로 내려가서 육안으로 교각이나 교량상판에 크랙이 발생되거나 교좌장치에 이상 유무 등이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한 후, 이상이 발견되면 정밀진단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점검의 경우 당연히 안전문제가 대두된다.
이에 교좌장치 등 교량하부의 점검을 위해 드론을 이용한 촬용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28857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는 교각과, 상기 교각의 상단에 올려진 상판으로 구성된 교량의 안전진단을 하기 위한 교량 안전진단시스템으로서, 카메라가 구비된 비행체와, 상기 비행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무선조정장치와, 상기 카메라와 무선통신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비행체는, 둘레부에 복수개의 아암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아암에 상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과 카메라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를 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1 및 제2 회동모터와, 상기 비행체에 구비되어 비행체를 상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무선조정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구동모터와 제1 및 제2 회동모터 및 고정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교량 안전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대와, 상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하측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부착판과,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결합공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전자식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안전진단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문헌의 기술에서 제시하는 드론의 경우 교좌장치 등 교량하부를 촬영함에 있어서, 교량상판과 충분한 이격거리의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아 촬영 중에 교량상판의 하면과 충돌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도 1처럼 보호캡(42) 등에 보호되게 촬영부(4)를 구현한 드론(1)이 개시된 바 있다.
도 1의 드론(1)은 촬영부(4) 보호에 큰 의미가 있기는 하지만, 단지 카메라를 이용해서 대상물, 예컨대 교량의 각 구조물의 외형을 그대로 촬영하여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 외에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01091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7-000609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8-010535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8-010960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 외형 외에도 필요에 따라 구조물의 내부 성질 등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어 검사 범위를 종래보다 넓힐 수 있는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프로펠러를 구비하는 드론 바디; 및 상기 드론 바디에 마련되며, 검사 대상 구조물에 대한 외형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거나 상기 구조물의 파손 없이 상기 구조물의 내부 성질을 검사하는 다목적 검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다목적 검사유닛은 상기 드론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다목적 검사유닛일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다목적 검사유닛은,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구조물의 외형 검사를 위해 상기 구조물의 외형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전 카메라; 및 소정의 타음을 이용해서 상기 구조물의 내부 성질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을 타격하는 전동식 타격부와, 상기 전동식 타격부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타음을 수신하는 타음 수신부를 구비하는 타음 검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다목적 검사유닛은 상기 소정의 초음파를 이용해서 상기 구조물의 내부 성질을 검사하는 초음파 검사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검사기는, 상기 구조물을 향해 상기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조사부; 및 상기 구조물로 조사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를 구비하며, 무선으로 조정하는 원격 리모컨; 및 상기 원격 리모컨에 의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전 카메라, 상기 타음 검사기 또는 상기 초음파 검사기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 외형 외에도 필요에 따라 구조물의 내부 성질 등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어 검사 범위를 종래보다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론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동작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2의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100)은 단순 외형 외에도 필요에 따라 구조물(110)의 내부 성질 등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어 검사 범위를 종래보다 넓힐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100)은 드론 바디(120)와, 드론 바디(120)에 탑재되는 다목적 검사유닛(130)을 포함한다.
드론 바디(12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100)의 외관 구조물이다. 다목적 검사유닛(130)이 드론 바디(120)의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드론 바디(120)에는 복수의 암(121)이 연결된다. 복수의 암(121)은 드론 바디(120)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암(121)의 단부에는 프로펠러(122)가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다.
드론 바디(120)에는 복수의 다리(123)가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100)이 도 4처럼 검사 대상의 구조물(110) 등에 안정적으로 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드론(100)은 도 2와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도 2의 형태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반드시 도 2와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드론 바디(120), 암(121), 프로펠러(122) 및 다리(123)가 마련된다면 도 2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다목적 검사유닛(130)은 드론 바디(120)에 마련되며, 검사 대상 구조물(110)에 대한 외형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거나 구조물(110)의 파손 없이 구조물(110)의 내부 성질을 검사하는 유닛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목적 검사유닛(130)은 드론 바디(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다목적 검사유닛(130)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다목적 검사유닛(130)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가 편리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다목적 검사유닛(130)은 유닛 바디(131), 비전 카메라(140), 타음 검사기(150) 및 초음파 검사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 바디(131)는 다목적 검사유닛(130)의 외관을 이루며, 비전 카메라(140), 타음 검사기(150) 및 초음파 검사기(160)를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물론, 도면과 달리, 비전 카메라(140), 타음 검사기(150) 및 초음파 검사기(160) 중 일부는 드론 바디(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비전 카메라(140)는 유닛 바디(131)에 마련되며, 구조물(110)의 외형 검사를 위해 구조물(110)의 외형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비전 카메라(14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나 비전 카메라(140)는 자동초점조절(auto focusing)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비전 카메라(140)는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100)이 정지 비행을 하는 상태에서도 그 둘레에 위치하는 구조물(110)의 외형 이미지 또는 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타음 검사기(150)는 소정의 타음을 이용해서 구조물(110)의 내부 성질을 검사하기 위한 수단이다. 수신되는 타음의 정도, 파장 등을 이용해서 구조물(110)의 내부 성질을 파악해낼 수 있다.
이러한 타음 검사기(150)는 소정의 타음을 이용해서 구조물(110)의 내부 성질을 검사하기 위해 구조물(110)을 타격하는 전동식 타격부(151)와, 전동식 타격부(151)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타음을 수신하는 타음 수신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식 타격부(151)는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처럼 유닛 바디(131) 측에서 돌출되면서 대상물인 구조물(110)을 타격하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전동식 타격부(151)는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초음파 검사기(160)는 소정의 초음파를 이용해서 구조물(110)의 내부 성질을 검사하는 수단이다. 초음파를 구조물(110) 내로 조사한 후, 구조물(110) 내부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를 수신해서 구조물(110)의 내부 성질을 파악해낼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검사기(160)는 구조물(110)을 향해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조사부(161)와, 구조물(110)로 조사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100)은 장비의 컨트롤을 위해 원격 리모컨(170)과 컨트롤러(180)를 더 포함한다.
원격 리모컨(17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100)을 무선으로 조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원격 리모컨(170)에는 여러 입력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71)가 마련된다. 입력부(171)는 터치형일 수도 있고, 아니면 버튼이나 레버 방식일 수도 있는데, 어떠한 형태일지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컨트롤러(180)는 원격 리모컨(170)에 의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비전 카메라(140), 타음 검사기(150) 또는 초음파 검사기(16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한다.
이렇게 컨트롤러(180)가 비전 카메라(140), 타음 검사기(150) 또는 초음파 검사기(16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함으로써 단순 외형 외에도 필요에 따라 구조물(110)의 내부 성질 등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어 검사 범위를 종래보다 넓힐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원격 리모컨(170)에 의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비전 카메라(140), 타음 검사기(150) 또는 초음파 검사기(16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원격 리모컨(170)에 의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비전 카메라(140), 타음 검사기(150) 또는 초음파 검사기(16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 외형 외에도 필요에 따라 구조물(110)의 내부 성질 등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어 검사 범위를 종래보다 넓힐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200) 역시, 드론 바디(220)와, 드론 바디(220)에 탑재되는 다목적 검사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목적 검사유닛(230)은 유닛 바디(231), 비전 카메라(140), 타음 검사기(150, 도 3 참조) 및 초음파 검사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유닛 바디(231)가 드론 바디(220) 상의 바디 수용부(225)에 은닉되거나 돌출되게 마련된다.
다시 말해, 유닛 바디(231)는 바디 수용부(225)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유닛 바디(231)에는 전동식 승하강 장치, 예컨대, 모터나 실린더 장치가 부속될 수 있다.
이럴 경우, 평상시는 도 6처럼 비전 카메라(140)만 외부로 노출된 형태이고 타음 검사기(150) 및 초음파 검사기(160)는 은닉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비사용 상태인 타음 검사기(150) 및 초음파 검사기(160)를 보호할 수 있다.
만약, 비전 카메라(140)에 의한 구조물(110)의 외형 검사 외에, 구조물(110)의 내부 성질을 검사하고자 할 때는 도 8처럼 유닛 바디(231)를 부상시켜 초음파 검사기(160)에 의한 초음파 검사를 수행하거나, 도 4처럼 타음 검사기(150)를 구동시켜 타음 검사를 수행하면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단순 외형 외에도 필요에 따라 구조물(110)의 내부 성질 등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어 검사 범위를 종래보다 넓힐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110 : 구조물
120 : 드론 바디 121 : 암
122 : 프로펠러 123 : 다리
130 : 다목적 검사유닛 131 : 유닛 바디
140 : 비전 카메라 150 : 타음 검사기
151 : 전동식 타격부 152 : 타음 수신부
160 : 초음파 검사기 161 : 초음파 조사부
162 : 초음파 수신부 170 : 원격 리모컨
171 : 입력부 180 : 컨트롤러

Claims (5)

  1. 복수의 프로펠러를 구비하는 드론 바디; 및
    상기 드론 바디에 마련되며, 검사 대상 구조물에 대한 외형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거나 상기 구조물의 파손 없이 상기 구조물의 내부 성질을 검사하는 다목적 검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검사유닛은 상기 드론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식 다목적 검사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다목적 검사유닛은,
    유닛 바디;
    상기 유닛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구조물의 외형 검사를 위해 상기 구조물의 외형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전 카메라; 및
    소정의 타음을 이용해서 상기 구조물의 내부 성질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을 타격하는 전동식 타격부와, 상기 전동식 타격부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타음을 수신하는 타음 수신부를 구비하는 타음 검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다목적 검사유닛은 상기 소정의 초음파를 이용해서 상기 구조물의 내부 성질을 검사하는 초음파 검사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검사기는,
    상기 구조물을 향해 상기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조사부; 및
    상기 구조물로 조사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구비하며, 무선으로 조정하는 원격 리모컨; 및
    상기 원격 리모컨에 의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비전 카메라, 상기 타음 검사기 또는 상기 초음파 검사기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KR1020200105931A 2020-08-24 2020-08-24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KR102385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931A KR102385046B1 (ko) 2020-08-24 2020-08-24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931A KR102385046B1 (ko) 2020-08-24 2020-08-24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967A true KR20220025967A (ko) 2022-03-04
KR102385046B1 KR102385046B1 (ko) 2022-04-13

Family

ID=8081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931A KR102385046B1 (ko) 2020-08-24 2020-08-24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04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919A (ko) 2013-05-22 2015-01-29 메타볼랩(주) 항 TNF-α/CXCL10 이중 타겟 항체 및 그의 용도
KR101692781B1 (ko) * 2015-10-05 2017-01-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및 모니터링 센서 연동 기반의 재난 관리 시스템
KR20170006090A (ko) 2015-07-07 2017-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와 주방기기의 연계 시스템
KR20180105353A (ko) 2017-03-15 2018-09-28 박현우 태양광 모듈 생산 설비용 스트링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링 제조방법
KR20180109604A (ko) 2017-03-28 2018-10-08 임미정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장치 및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방법
KR101949291B1 (ko) * 2018-07-20 2019-02-19 효심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비파괴 방식의 콘크리트 강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970012B1 (ko) * 2018-09-20 2019-04-18 주식회사 미래기술 드론을 이용한 구조물 안전 진단 시스템
KR20200067286A (ko) * 2018-12-03 2020-06-12 한국가스안전공사 드론을 이용한 노출배관의 3d 스캔 및 vr 점검 시스템
KR20200090428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드론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919A (ko) 2013-05-22 2015-01-29 메타볼랩(주) 항 TNF-α/CXCL10 이중 타겟 항체 및 그의 용도
KR20170006090A (ko) 2015-07-07 2017-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와 주방기기의 연계 시스템
KR101692781B1 (ko) * 2015-10-05 2017-01-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 및 모니터링 센서 연동 기반의 재난 관리 시스템
KR20180105353A (ko) 2017-03-15 2018-09-28 박현우 태양광 모듈 생산 설비용 스트링거 및 그를 이용한 스트링 제조방법
KR20180109604A (ko) 2017-03-28 2018-10-08 임미정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장치 및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방법
KR101949291B1 (ko) * 2018-07-20 2019-02-19 효심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비파괴 방식의 콘크리트 강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970012B1 (ko) * 2018-09-20 2019-04-18 주식회사 미래기술 드론을 이용한 구조물 안전 진단 시스템
KR20200067286A (ko) * 2018-12-03 2020-06-12 한국가스안전공사 드론을 이용한 노출배관의 3d 스캔 및 vr 점검 시스템
KR20200090428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드론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046B1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7745A1 (en) Aircraft inspection system
JP6541743B2 (ja) 飛翔体を用いた風力発電設備の検査システム及び検査方法
JP6881296B2 (ja) 欠陥検査装置、欠陥検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73388B2 (en) Augmented-reality test method and test bench for a turbine engine
US81156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f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an aircraft
WO2018138942A1 (ja) 送電設備監視装置、送電設備監視ユニット及び送電設備監視システム
JP6745156B2 (ja) 飛行体
KR102363268B1 (ko) 비-침입식 완전한 항공기 검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7060354B2 (ja) 落雷誘因欠陥を有する航空機管理用の移動型処理ツール
KR102385046B1 (ko) 드론에 탈부착 점검장치를 이용한 다목적 구조물 검사장치
JPWO2013137126A1 (ja) アンテナ検査システム、アンテナ検査装置、アンテナ検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83726B1 (ko) 구조물의 크랙 두께 계측을 위한 드론시스템
KR102204738B1 (ko) 항공기용 이동식 비파괴 검사장치
WO2007012781A3 (fr) Procede de mesure d'une anomalie de forme sur un panneau d'une structure d'aeronef et systeme de mise en oeuvre
US20220291139A1 (en) Foreign object debris detection
KR20120051507A (ko) 비파괴검사용 비접촉식 영상화 장치 및 방법
JP2022151763A (ja) 航空機構造体の損傷の自動評価
JP4886564B2 (ja) 超音波探傷方法及び装置
US20230111766A1 (en) Structure inspection method and structure inspection system
WO2011108855A2 (ko) 기형 초음파 전파 영상화 장치
Thome et al. Aircraft corrosion and crack inspection using advanced magneto-optic imaging technology
US20120320383A1 (en) Enclosed Laser-Ultrasonic Inspection System
CN110155369B (zh) 一种飞机蒙皮表面裂纹检查方法
JP3202876U (ja) 診断装置
CN104781663B (zh) 从径向表面的轮轴超声检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