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518A - 필터압 제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 Google Patents

필터압 제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518A
KR20220025518A KR1020200106347A KR20200106347A KR20220025518A KR 20220025518 A KR20220025518 A KR 20220025518A KR 1020200106347 A KR1020200106347 A KR 1020200106347A KR 20200106347 A KR20200106347 A KR 20200106347A KR 20220025518 A KR20220025518 A KR 20220025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valve
raw water
flow path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911B1 (ko
Inventor
김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Priority to KR102020010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9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압 제거용 밸브는 정수를 위한 필터의 일단에 구비되고, 원수유입구, 원수유출구 및 드레인유출구가 형성된 밸브하우징 및 이동에 따라 상기 드레인유출구와 상기 원수유출구 또는 상기 원수유입구와 상기 원수유출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유로결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압 제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Valve for removing filter pressure and Filter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필터 분리시 압력을 제거하면서 필터 제거과정의 오작동으로 인한 누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압 제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에서 필터는 일정기간 사용 후 교체를 하여야 하는 소모성 부품으로 실제 정수기 사용자는 효과적인 정수를 위하여 일정 시간이 지나면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를 하여야 한다.
필터를 포함하는 전체 정수유로에는 수압이 걸려져 있는 상태이고, 필터 교체시 필터 내부에 축적인 수압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정수유로 상이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를 구비하거나, 필터 내부에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채택하여야 하는 등 전체적으로 유로의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유로에 설치되는 체크밸브 또는 필터 내부의 역류방지구조가 고장이 나는 경우 교체 또는 수리 등이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91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의 밸브를 적용하여 필터 제거시의 수압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면서 밸브의 차폐와 밸브의 이동 및 차폐부재의 개폐를 구조적으로 연동시켜서 오작동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필터압 제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는 정수를 위한 필터의 일단에 구비되고, 원수유입구, 원수유출구 및 드레인유출구가 형성된 밸브하우징 및 이동에 따라 상기 드레인유출구와 상기 원수유출구 또는 상기 원수유입구와 상기 원수유출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유로결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중공 형성되고,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의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상면에는 드레인유출구가 형성되고, 원기둥 형상의 반대편에는 상기 유로결정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둘레에는 원수유출구 및 원수유입구가 원주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결정부재는 회전을 하면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을 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드레인유출구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돌출부, 상기 원수유입구에 대응되는 제1유동홀 및 상기 원수유출구에 대응되고, 상기 제1유동홀과 연통되는 제2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를 포함하는 필터모듈은 상기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결합되는 필터, 상기 필터가 구비되는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에는 상기 유로결정부재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결합되는 필터, 상기 필터가 이동을 하면서 분리가 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필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결정부재는 이동에 따라 필터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필터이동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압 제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은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 또는 밸브 내부의 역류방지구조를 채택하지 않고도 필터 제거시의 수압에 의한 누수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유로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필터의 일단에 밸브가 구비됨에 따라 밸브 고장 등에 의한 교체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필터압 제거용 밸브의 개방을 위한 움직임과 차폐부재 또는 필터의 이동을 기구적으로 연동시켜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적용된 정수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원수유로와 필터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필터와 드레인유로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열려서 필터가 이동 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열려서 차폐부재가 본체에 결합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열린 경우에 내부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닫힌 경우에 내부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적용된 정수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수기 본체의 본체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100)은 필터(10)의 전단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터(10)를 제거하는 경우 필터로 공급되는 원수를 차단하고, 필터(10)와 드레인유로를 연결하여 필터의 압력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정수기 내부에 정수를 위한 다양한 부품들은 정수기 본체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도면상에서는 생략을 하였다.
그리고 정수기 본체에는 필터(10)가 구비되는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재(1)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차폐부재(1)를 정수기 본체에서 분리하여 필터(10)를 교체하고, 필터(10) 교체 후 차폐부재(1)를 다시 정수기 본체에 결합시키게 된다.
차폐부재(1)의 내측면 필터압 제거용 밸브(100)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돌출부(1a)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터(10)의 교체를 위하여 유로결정부재(120)를 이동시키는 경우 차폐부재(1)는 돌출부(21)와 유로결정부재(120)의 간섭에 의하여 정수기 본체에 결합이 되지 않게 된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원수유로와 필터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필터와 드레인유로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의 이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 및 도5을 참조하면, 정수기 본체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필터(1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유로(2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2개의 필터(10)가 필터유로(20)에 회전을 하면서 분리 또는 결합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필터(10)를 회전을 시키면서 필터(10)를 필터유로(20)에서 분리를 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필터(10)의 교체 등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필터유로(20)에 필터(10)가 회전을 하면서 결합 또는 분리가 되는 형태로는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필터(10)는 회전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필터의 교체가 가능한 구조가 채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필터압 제거용 밸브(100)는 필터유로(20)의 전단에 구비되어 원수유로(30) 및 필터유로(20)를 연통시키거나, 드레인유로(40)와 필터유로(20)를 연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상기와 같은 유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의 기계적인 이동에 따라 차폐부재(1)가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필터(10)의 분리를 위한 이동을 막는 기능 역시 수행을 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압 제거용 밸브(100)가 필터유로(20)의 전단에 구비되어 원수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을 하지만, 이는 필터압 제거용 밸브(100)가 필터유로(20)의 후단에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100)는 밸브하우징(110), 유로결정부재(120)를 포함한다.
밸브하우징(110)은 정수를 위한 필터(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원수유입구(111), 원수유출구(112) 및 드레인유출구(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원수유입구(111)에는 원수유로(30)가 연결되고, 원수유출구(112)에는 필터유로(20)가 연결되며, 드레인유출구(113)에는 드레인유로(40)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하우징(110)의 내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중공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하우징(110) 내부의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상면에는 드레인유출구(113)가 형성되고, 원기둥 형상의 반대편에는 후술하는 유로결정부재(12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114)가 형성된다.
원수유입구(111) 및 원수유출구(112)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하우징(110)에는 후술하는 유로결정부재(120)의 회전 및 병진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110a)이 밸브하우징(110)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유로결정부재(120)는 이동을 하면서 밸브하우징(110)의 드레인유출구(113)과 원수유출구(112) 또는 원수유입구(111) 및 원수유출구(112)를 연통시킨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용상태에서는 원수유입구(111)를 통과한 물이 원수유출구(112)로 유동을 하고, 필터(10)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필터 내부의 압력에 의한 물이 원수유입구(111)를 통하여 드레인유출구(113)으로 유동하게 된다.
유로결정부재(120)는 드레인유출구(113)과 원수유출구(112) 또는 원수유입구(111) 및 원수유출구(112)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이에 따른 이동방식이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유로결정부재(120)은 밸브하우징(110) 내부의 중공된 원기둥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나선방향을 따라 회전을 하면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드레인유출구(113)과 원수유출구(112) 또는 원수유입구(111) 및 원수유출구(112)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유로결정부재(120)의 전단에는 드레인유출구(113)에 삽입되는 돌출부(121)가 형성된다. 따라서 밸브하우징(110)의 삽입홀(114)를 통하여 밸브하우징(110)에 끼워진 다음 이동에 따라 돌출부(121)가 드레인유로부(113)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한편, 돌출부(121)에는 오링(O) 등 돌출부(121)가 드레인유로부(113)에 끼워졌을 때 밀폐를 위한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로결정부재(120)에는 원수유입구(111)에 대응되는 제1유동홀(123) 및 원수유출구(112)에 대응되고, 상기 제1유동홀(123)과 연통되는 제2유동홀(122)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로결정부재(120)가 드레인유출구(113) 방향으로 이동하여 돌출부(121)가 드레인유출구(113)에 삽입되는 경우 제1유동홀(123)는 원수유입구(111)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제2유동홀(122)는 원수유출구(112)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원수유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은 원수유출구(112)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유로결정부재(120)는 밸브하우징(110)의 나선홈(110a)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유도결정부재(120)가 드레인유출구(11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돌출부(121)는 드레인유출부(113)에서 빠지면서 드레인유출부(113)를 개방시키고, 원수유출구(112)는 유로결정부재(120) 전방으로 노출이 된다. 따라서 필터(10)의 압력에 의한 물이 드레인유출구(113)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유로결정부재(120)의 나선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제1유동홀(123)및 제2유동홀(122)는 원수유출구(112) 및 원수유입구(111)와 대향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특히 원수유입구(112)는 유로결정부재(120)의 외주면에 의하여 막히게 되고, 유로결정부재(120)의 외주면에는 원수유입구(111)의 효과적인 차폐를 위한 다양한 실링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필터(10)를 교체하는 경우 유로결정부재(120)는 후방으로 이동을 한 상태가 되고, 상기 설명한 차폐부재(1)의 돌출부(1a)와 접촉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터(10)의 교체가 완료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차폐부재(1)가 정수기 본체(1)에 결합되지 않게 된다(도7 참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유로결정부재는 필터이동방지부(130)를 포함한다.
필터이동방지부(130)는 유로결정부재(120)의 이동에 따라 필터(10)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 필터(10)의 이동을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필터이동방지부(130)는 필터(1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유로결정부재(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결정부재(120)가 원수유입구(111) 및 원수유출구(112)를 연통시키는 경우(유로결정부재(120)가 드레인유출구(113)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는 필터(10)의 회전경로상에 배치가 되어 필터(10)의 이동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유로결정부재(120)가 드레인유출구(11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 나선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필터(10)의 이동경로상에서 벗어나게 되고, 사용자는 필터(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도6 참조). 이러한 동작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시 후술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필터이동방지부(130)는 유로결정부재(120)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고, 양자의 결합을 위한 홈(124)이 유로결정부재(120)에 형성되고, 돌기(132)가 필터이동방지부(130)에 형성되나, 반대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필터이동방지부(130)에는 밸브하우징(110)의 나선형으로 형성된 유도홈(110a)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 필터이동방지부(130) 및 유로결정부재(120)가 나선방향을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하는 돌기(133)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필터(10) 교체시 유로결정부재(120)의 이동에 따른 필터(10) 및 차폐부재(1a)의 이동제한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열려서 필터가 이동 가능하게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도3 및 도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필터(10)의 분리를 위하여 본체에서 차폐부재(1)를 분리한다. 그리고 필터(10)의 회전을 위하여 필터압 제거용 밸브를 개방시킨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필터압 제거용 밸브(100)의 필터이동방지부(130)를 회전시킴에 따라 필터압 제거용 밸브(100)를 개방하게 된다.
즉, 회전 전의 필터이동방지부(130)는 필터(10)의 회전경로상에 배치되어, 사용자는 필터(10)를 회전시킬 수 없다(도2 참조). 그러나 필터이동방지부(130)가 회전을 하는 경우 필터이동방지부(130)는 필터(10)의 이동 경로상에서 벗어난다(도3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10)를 회전시켜 필터유로(20)에서 분리하게 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열린 경우에 내부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8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필터이동방지부(130)를 회전시키면, 필터이동방지부(130) 및 이와 결합되어 있는 유로결정부재(120)는 필터이동방지부(130)의 돌기(133)가 밸브하우징(110)의 유도홈(110a)에 끼워짐에 따라 유도홈(110a)의 형상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밸브하우징(110)에서 빠지게 된다.
유로결정부재(120)는 회전을 하면서 드레인유출구(113) 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돌출부(121)는 드레인유출구(113)에서 빠지면서 드레인유출구(113)를 개방한다. 그리고 유로결정부재(130)의 나선 방향으로의 회전을 따라 제1유동홀(123)는 원수유입구(111)과 더 이상 대향하지 않게 되고, 유로결정부재(130)의 외주면에 의하여 차폐가 된다. 그리고 제2유동홀(122) 역시 원수유출구(112)와 더 이상 대향하지 않게 되고, 원수유출구(112)는 유로결정부재(120)의 전방으로 노출이 됨에 따라 필터(10)의 압력에 의한 물은 원수유출구(112) 및 드레인유출구(113)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열려서 차폐부재가 본체에 결합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필터이동방지부(130) 및 유로결정부재(120)는 나선방향을 따라 회전을 하면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원수유출구(112) 및 드레인유출구(113)가 연통된 상태에서 필터이동방지부(130) 및 유로결정부재(120)는 일정거리(d)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고, 차폐부재(1)의 돌출부(1a)에 간섭이 되어 차폐부재(1) 역시 본체와 일정거리(d) 이격되어 차폐부재(1)가 닫히지 않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필터(10)의 교체가 끝난 경우 필터압 제거 밸브(100)의 필터이동방지부(130)를 다시 회전을 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이동방지부(130) 및 유로결정부재(120)는 나선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필터이동방지부(130)는 회전을 하면서 다시 필터(10)의 이동경로상에 배치가 되고, 필터(10)의 이동을 막게 된다(도2 참조).
그리고 필터이동방지부(130) 및 유로결정부재(120)는 후방으로 이동을 함에 따라 차폐부재(1)의 돌출부(1a)의 간섭없이 차폐부재(1)는 본체에 결합이 될 수 있게 된다(도7(a) 참조).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닫힌 경우에 내부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필터이동방지부(130)의 회전에 따라 유로결정부재(120)는 회전을 하면서 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유로결정부재(120)의 돌출부(121)는 드레인유출구(113)에 삽입되면서 드레인유출구(113)를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유로결정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제1유동홀(123)는 다시 원수유입구(111)과 대향되게 되고, 제2유동홀(122)는 원수유출구(112)와 대향되게 된다. 따라서 원수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원수유출구(112)를 통하여 필터로 공급이 되게 된다.
따라서 발명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100)를 사용하게 되면, 필터(10) 교체시의 필터 내부의 압력에 의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체크밸브를 구비하거나, 필터 내부에 역류방지구조를 채택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의 밸브를 채택함에 따라 전체적인 제품의 구성을 간단하게 가져갈 수 있다. 나아가 필터(10)의 교체를 위한 이동 및 차폐부재(1)의 이동 등을 필터압 제거용 밸브(100)의 움직임과 연동을 시킨다.
결국 사용자가 필터(10)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밸브를 닫지 않는 상태에서 작업을 마무리 하거나 차폐부재를 닫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 차폐부재 10: 필터
20: 필터유로 30: 원수유로
40: 드레인유로 100: 필터압 제거용 밸브
110: 밸브하우징 111: 원수유입구
112: 원수유출구 113: 드레인유출구
120: 유로결정부재 121: 돌출부
122: 제2유동홀 123: 제1유동홀
130: 필터이동방지부

Claims (5)

  1. 정수를 위한 필터의 일단에 구비되고, 원수유입구, 원수유출구 및 드레인유출구가 형성된 밸브하우징; 및
    이동에 따라 상기 드레인유출구와 상기 원수유출구 또는 상기 원수유입구와 상기 원수유출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유로결정부재;
    를 포함하는 필터압 제거용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중공 형성되고,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의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상면에는 드레인유출구가 형성되고, 원기둥 형상의 반대편에는 상기 유로결정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둘레에는 원수유출구 및 원수유입구가 원주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필터압 제거용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결정부재는 회전을 하면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을 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드레인유출구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돌출부, 상기 원수유입구에 대응되는 제1유동홀 및 상기 원수유출구에 대응되고, 상기 제1유동홀과 연통되는 제2유동홀이 형성되는 필터압 제거용 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를 포함하는 필터모듈에 있어서,
    상기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결합되는 필터;
    상기 필터가 구비되는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에는 상기 유로결정부재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필터모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필터압 제거용 밸브를 포함하는 필터모듈에 있어서,
    상기 필터압 제거용 밸브가 결합되는 필터;
    상기 필터가 이동을 하면서 분리가 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필터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결정부재는 이동에 따라 필터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필터이동방지부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KR1020200106347A 2020-08-24 2020-08-24 필터압 제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KR102441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347A KR102441911B1 (ko) 2020-08-24 2020-08-24 필터압 제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347A KR102441911B1 (ko) 2020-08-24 2020-08-24 필터압 제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518A true KR20220025518A (ko) 2022-03-03
KR102441911B1 KR102441911B1 (ko) 2022-09-08

Family

ID=8081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347A KR102441911B1 (ko) 2020-08-24 2020-08-24 필터압 제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9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2223A (ja) * 1991-09-27 1993-08-24 Pall Corp フィルターユニット
KR20120133906A (ko) * 2011-06-01 2012-12-11 주식회사 알카메디 수처리기의 드레인장치
KR20160037713A (ko)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피코그램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70079121A (ko)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피코그램 원수차단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출수 밸브
CN110075591A (zh) * 2019-03-18 2019-08-02 厦门倍洁特建材有限公司 隐藏水箱前置过滤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2223A (ja) * 1991-09-27 1993-08-24 Pall Corp フィルターユニット
KR20120133906A (ko) * 2011-06-01 2012-12-11 주식회사 알카메디 수처리기의 드레인장치
KR20160037713A (ko)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피코그램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70079121A (ko)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피코그램 원수차단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출수 밸브
CN110075591A (zh) * 2019-03-18 2019-08-02 厦门倍洁特建材有限公司 隐藏水箱前置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911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1769B2 (ja) コネクターを用いて容易に交替できる浄水用フィルタ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浄水システム
KR200384557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GB2467815A (en) An oscillating sprinkler driven by water to be discharged
KR102542946B1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2441911B1 (ko) 필터압 제거용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TWI745291B (zh) 交換單元及使用其的流動回路系統
KR10114805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CN114962713A (zh) 多路阀及软水机
JP6598877B2 (ja) 雄型継手部材
KR101480993B1 (ko) 정수기 필터용 헤드 조립체
JP6970987B2 (ja) 切換弁および浄水システム
KR200386870Y1 (ko)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정수용 필터, 및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KR102052554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5009231B2 (ja) 浄水器
JP7122870B2 (ja) 間接排水用継手
CN105715813A (zh) 一种无柄过滤闸阀
KR102425745B1 (ko) 물배출장치
KR200426289Y1 (ko) 필터 장착구조
KR20200142609A (ko) 자동출수정지 기능이 구비된 무전원 정수기
CN216236303U (zh) 过滤组件
KR102393328B1 (ko) 정수기
JP7053378B2 (ja) 間接排水用継手
JP4068221B2 (ja) 自動閉止弁付定流量弁装置
CN217843148U (zh) 一种排污结构及采用该排污结构的角式阀门
CN214171393U (zh) 一种龙头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