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278A - 엔진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278A
KR20220025278A KR1020227005221A KR20227005221A KR20220025278A KR 20220025278 A KR20220025278 A KR 20220025278A KR 1020227005221 A KR1020227005221 A KR 1020227005221A KR 20227005221 A KR20227005221 A KR 20227005221A KR 20220025278 A KR20220025278 A KR 20220025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ressure stage
cylinder head
pressure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타카 우치보리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14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2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5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013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with exhaust-driven pump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1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charging or scaveng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004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with exhaust drive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upercharger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엔진 장치 (1) 는, 실린더 헤드 (2) 의 일 측면인 배기 측면에 형성되는 배기 매니폴드 (4) 와, 배기 매니폴드 (4) 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구동하는 2 단 과급기 (30) 를 구비한다. 2 단 과급기 (30) 는, 배기 매니폴드 (4) 에 연결하는 고압단 과급기 (51) 와, 고압단 과급기 (51) 에 연결하는 저압단 과급기 (52) 로 구성된다. 고압단 과급기 (51) 는 배기 매니폴드 (4) 의 측방에 배치된다. 저압단 과급기 (52) 는 배기 매니폴드 (4) 의 상방에 배치된다. 고압단 과급기 (51) 의 배기 출구 (58) 와 저압단 과급기 (52) 의 배기 입구 (60) 는, 가요성을 갖는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엔진 장치 {ENGINE DEVICE}
본원 발명은, 과급기를 구비한 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엔진 출력의 향상이나 연비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엔진의 실린더 내의 공기 밀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배기 에너지에 의해 신기 (新氣) 를 압축시키는 과급기가 엔진 장치에 탑재된다 (특허문헌 1 참조). 디젤 엔진에 있어서는, 고밀도의 공기를 대량으로 실린더 내에 공급함으로써 다량의 연료를 연소시켜, 엔진 출력이나 엔진 토크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연료와 공기의 혼합을 촉진시킴으로써 예혼합 연소를 억제하여, NOx 배출량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다.
또, 1 대의 과급기에 의한 단단 (單段) 과급기에서는, 고출력 엔진에 있어서의 요구에 대하여 한계가 있기 때문에, 2 대의 과급기를 고압단과 저압단으로 직렬로 연결시킨 2 단 과급기를 탑재시킨 엔진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공보 제4517550호 일본 특허공보 제5237785호
그런데, 엔진의 탑재 스페이스는 탑재 대상의 작업 차량 (건설 기계나 농작업기 등) 에 따라 여러 가지이지만, 최근에는, 경량화나 컴팩트화의 요청으로, 탑재 스페이스에 제약이 있는 (협소한)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엔진의 구성 부품을 컴팩트하게 레이아웃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상황을 검토하여 개선을 실시한 엔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의 엔진 장치는, 실린더 헤드의 일 측면인 배기 측면에 형성되는 배기 매니폴드와, 그 배기 매니폴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구동하는 과급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과급기는, 상기 배기 매니폴드에 연결하는 고압단 과급기와, 상기 고압단 과급기에 연결하는 저압단 과급기에 의한 2 단 과급기로 구성되고, 상기 고압단 과급기는 상기 배기 매니폴드에 고정되어 상기 배기 매니폴드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저압단 과급기는 상기 실린더 헤드의 상기 배기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배기 매니폴드의 상방에 배치되는 한편으로, 상기 고압단 과급기의 배기 출구와 상기 저압단 과급기의 배기 입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는, 그 내부에, 상기 배기 측면에 있어서의 상기 저압단 과급기의 장착부로부터, 상기 배기 측면에 대향하는 흡기 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리브를 구비하고 있도록 해도 된다.
또, 본원 발명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 매니폴드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 입구는, 상기 배기 측면에 교차하는 상기 실린더 헤드의 2 측면 중 일방의 측면과 상기 배기 측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저압단 과급기는, 상기 배기 측면측으로부터 보아, 상기 일방의 측면 근처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저압단 과급기의 배기 출구가 상기 일방의 측면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헤드의 상방에서,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의 블로바이 가스 출구가 상기 실린더 헤드의 상기 일방의 측면과는 반대측의 타방의 측면 근처의 위치에서 상기 배기 측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저압단 과급기의 신기 입구가 상기 타방의 측면측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블로바이 가스 출구가 상기 저압단 과급기의 신기 입구에 연결하는 급기관에 환원 호스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본원 발명의 엔진 장치는, 소용량의 고압단 과급기가 배기 매니폴드의 측방에 배치되고, 고용량의 저압단 과급기가 배기 매니폴드의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배기 매니폴드와 2 단 과급기를 대략 사각 프레임 내에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엔진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압단 과급기의 배기 출구와 저압단 과급기의 배기 입구가, 가요성을 갖는 배관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도록 하면, 열 신장에 의한 당해 배관의 저사이클 피로 파괴의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저압단 과급기는 실린더 헤드의 배기 측면에 고정되고, 고압단 과급기는 배기 매니폴드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2 단 과급기를 구성하는 고압단 과급기와 저압단 과급기를 견뢰한 실린더 헤드 및 배기 매니폴드에 배분하여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압단 과급기의 배기 출구와 저압단 과급기의 배기 입구는, 가요성을 갖는 배관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도록 하면, 당해 배관의 열 신장에서 기인하여 2 단 과급기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고압단 과급기와 배기 매니폴드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응력과, 저압단 과급기와 실린더 헤드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이들 연결부에 있어서의 연결 불량이나 연결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는, 그 내부에, 배기 측면에 있어서의 저압단 과급기의 장착부로부터, 배기 측면에 대향하는 흡기 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리브를 구비하고 있도록 하면, 실린더 헤드에 있어서 저압단 과급기의 장착부 주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실린더 헤드에 대한 저압단 과급기의 장착에서 기인하는 실린더 헤드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의 엔진 장치에 있어서, 배기 매니폴드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 입구는, 상기 배기 측면에 교차하는 실린더 헤드의 2 측면 중 일방의 측면과 상기 배기 측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의 근방에 배치되고, 저압단 과급기는, 배기 측면측으로부터 보아, 일방의 측면 근처에 배치됨과 함께, 저압단 과급기의 배기 출구가 일방의 측면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도록 하면, 저압단 과급기의 배기 출구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 입구를 연결하는 배관을 짧게 또한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배기 가스 정화 장치에 공급되는 배기 가스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헤드의 상방에서,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의 블로바이 가스 출구가 실린더 헤드의 일방의 측면과는 반대측의 타방의 측면 근처의 위치에서 배기 측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저압단 과급기의 신기 입구가 타방의 측면측을 향하여 형성되고, 블로바이 가스 출구가 저압단 과급기의 신기 입구에 연결하는 급기관에 환원 호스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도록 하면,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의 블로바이 가스 출구와, 저압단 과급기의 신기 입구에 연결하는 급기관의 양방을 실린더 헤드의 상기 타방의 측면 근처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환원 호스를 짧게 할 수 있고, 환원 호스 내부의 동결 대책이 불필요해진다.
도 1 은, 엔진 장치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 는, 동 실시형태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 3 은, 동 실시형태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4 는, 동 실시형태의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5 는, 동 실시형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 은, 2 단 과급기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7 은, 동 2 단 과급기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 은, 동 2 단 과급기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이다.
도 9 는, 실린더 헤드 커버를 일부 절결하고 저압단 과급기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동 저압단 과급기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 은,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2 는, 동 지지대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13 은, 동 지지대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우측면도이다.
도 14 는, 동 지지대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5 는, 동 지지대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동 지지대와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도 14 의 A-A 위치 단면으로 나타내는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17 은, 실린더 헤드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8 은, 동 실린더 헤드의 전부 (前部)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9 는, 동 실린더 헤드의 전부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20 은, 동 실린더 헤드의 전부 및 EGR 쿨러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1 은, 실린더 헤드에 있어서의 배기 유로 및 흡기 유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2 는, 실린더 헤드 전부 주변의 와이어 하니스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3 은, 실린더 헤드 전부 주변의 와이어 하니스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 도 5 를 참조하면서, 엔진 장치의 일례로서의 엔진 (1) 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엔진 (1) 은 디젤 엔진으로 구성된다. 엔진 (1)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크랭크축 (5) 과 평행인 양측부 (크랭크축 (5) 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측부) 를 좌우, 플라이 휠 하우징 (7) 설치측을 전측, 냉각 팬 (9) 설치측을 후측이라고 칭하고, 이들을 편의적으로, 엔진 (1) 에 있어서의 사방 및 상하의 위치 관계의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1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 에 있어서의 크랭크축 (5) 과 평행인 일측부에 흡기 매니폴드 (3) 를, 타측부에 배기 매니폴드 (4) 를 배치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 헤드 (2) 의 우측면에 흡기 매니폴드 (3) 가 실린더 헤드 (2) 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면에 배기 매니폴드 (4) 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2) 는, 크랭크축 (5) 과 피스톤 (도시 생략) 이 내장된 실린더 블록 (6) 상에 탑재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 (6) 의 전후 양측면으로부터, 크랭크축 (5) 의 전후 선단측을 돌출시키고 있다. 엔진 (1) 에 있어서의 크랭크축 (5) 과 교차하는 일측부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 블록 (6) 의 전측면측) 에, 플라이 휠 하우징 (7) 이 고착되어 있다. 플라이 휠 하우징 (7) 내에 플라이 휠 (8) 이 배치되어 있다. 플라이 휠 (8) 은 크랭크축 (5) 의 전단측에 고착되어 있고, 크랭크축 (5) 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 기계 (예를 들어 유압 셔블이나 포크리프트 등) 의 작동부에, 플라이 휠 (8) 을 개재하여 엔진 (1) 의 동력을 취출 (取出)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 (1) 에 있어서의 크랭크축 (5) 과 교차하는 타측부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 블록 (6) 의 후측면측) 에, 냉각 팬 (9) 이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축 (5) 의 후단측으로부터 벨트 (10) 를 통하여 냉각 팬 (9) 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 (6) 의 하면에, 오일 팬 (11) 이 배치되어 있다. 오일 팬 (11) 내에는 윤활유가 저류되어 있다. 오일 팬 (11) 내의 윤활유는, 실린더 블록 (6) 의 플라이 휠 하우징 (7) 과의 연결 부분으로서 실린더 블록 (6) 의 우측면측에 배치된 윤활유 펌프 (도시 생략) 에 의해 흡인되고, 실린더 블록 (6) 의 우측면에 배치된 오일 쿨러 (13) 및 오일 필터 (14) 를 통하여, 엔진 (1) 의 각 윤활부에 공급된다. 각 윤활부에 공급된 윤활유는, 그 후 오일 팬 (11) 으로 복귀된다. 윤활유 펌프는 크랭크축 (5) 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 의 우측부에는, 실린더 블록 (6) 의 플라이 휠 하우징 (7) 과의 연결 부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펌프 (15) 가 장착된다. 연료 공급 펌프 (15) 는, EGR 장치 (24) 의 하방에 배치된다. 또, 실린더 헤드 (2) 의 흡기 매니폴드 (3) 와 연료 공급 펌프 (15) 사이에는, 커먼 레일 (16) 이 배치된다. 커먼 레일 (16) 은, 실린더 블록 (6) 의 우측면의 상부 앞 근처 부위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커버 (18) 로 덮여 있는 실린더 헤드 (2) 상면부에, 전자 개폐 제어형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갖는 4 기통분의 각 인젝터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인젝터가, 연료 공급 펌프 (15) 및 원통상의 커먼 레일 (16) 을 개재하여,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 (도시 생략) 가 접속되어 있다. 연료 탱크의 연료가 연료 공급 펌프 (15) 로부터 커먼 레일 (16) 에 압송되고, 고압의 연료가 커먼 레일 (16) 에 축적된다. 각 인젝터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각각 개폐 제어함으로써, 커먼 레일 (16) 내의 고압의 연료가 각 인젝터로부터 엔진 (1) 의 각 기통에 분사된다.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2) 상면부에 형성하는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 (도시 생략) 등을 덮는 실린더 헤드 커버 (18) 상면에, 엔진 (1) 의 연소실 등으로부터 실린더 헤드 (2) 상면측으로 누출된 블로바이 가스를 받아들이는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 (19) 가 형성되어 있다.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 (19) 의 블로바이 가스 출구가, 환원 호스 (68) 를 통하여, 2 단 과급기 (30) 의 흡기부에 연통된다.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 (19) 내에서 윤활유 성분이 제거된 블로바이 가스는, 2 단 과급기 (30) 등을 통하여, 흡기 매니폴드 (3) 로 복귀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 의 좌측부에서는, 플라이 휠 하우징 (7) 에 엔진 시동용 스타터 (20) 가 장착되어 있다. 엔진 시동용 스타터 (20) 는 배기 매니폴드 (4) 의 하방에 배치된다. 엔진 시동용 스타터 (20) 는, 실린더 블록 (6) 과 플라이 휠 하우징 (7) 의 연결부의 하방이 되는 위치에서, 플라이 휠 하우징 (7) 의 후측면의 좌측 부위에 장착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 (6) 의 후측면의 왼쪽 근처 부위에는, 냉각수 윤활용의 냉각수 펌프 (21) 가 배치되어 있다. 또, 냉각수 펌프 (21) 의 좌측방에, 엔진 (1) 의 동력으로 발전하는 발전기로서의 얼터네이터 (12) 가 형성되어 있다. 크랭크축 (5) 의 전단측으로부터 벨트 (10) 를 통하여, 냉각 팬 (9) 과 얼터네이터 (12) 와 냉각수 펌프 (21) 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라디에이터 (도시 생략)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펌프 (21) 의 구동으로, 냉각수 펌프 (21) 에 공급된다. 그리고, 실린더 헤드 (2) 내 및 실린더 블록 (6) 내에 냉각수가 공급되고, 엔진 (1) 이 냉각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수 펌프 (21) 는, 배기 매니폴드 (4) 보다 낮은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출구와 연통되는 냉각수 입구관 (22) 이, 실린더 블록 (6) 의 좌측면으로서 냉각수 펌프 (21) 와 대략 동일 높이 위치에 고정 형성된다. 한편,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입구와 연통되는 냉각수 출구관 (23) 은,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2) 의 상면의 후부 오른쪽 근처 부위에 고정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2) 는, 그 우후 (右後) 모서리부에 냉각수 배수부 (35) 를 가지고 있고, 냉각수 배수부 (35) 의 상면에 냉각수 출구관 (23) 이 설치된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GR 장치 (24) 는, 실린더 헤드 (2) 의 우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EGR 장치 (24) 는, 엔진 (1) 의 재순환 배기 가스 (배기 매니폴드 (4) 로부터의 EGR 가스) 와 신기 (에어 클리너로부터의 외부 공기)를 혼합시켜 흡기 매니폴드 (3) 에 공급하는 중계 관로로서의 콜렉터 (25) 와, 에어 클리너에 콜렉터 (25) 를 연통시키는 흡기 스로틀 부재 (26) 와, 배기 매니폴드 (4) 에 EGR 쿨러 (27) 를 개재하여 접속하는 환류 관로의 일부가 되는 재순환 배기 가스 배관 (28) 과, 재순환 배기 가스 배관 (28) 에 콜렉터 (25) 를 연통시키는 EGR 밸브 부재 (29) 를 가지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EGR 장치 (24) 의 콜렉터 (25) 는, 실린더 헤드 (2) 와 일체 성형되어 실린더 헤드 (2) 의 우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흡기 매니폴드 (3) 의 우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즉, 실린더 헤드 (2) 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흡기 매니폴드 (3) 의 입구 개구부에, 콜렉터 (25) 의 출구 개구부가 연결된다. 또, 재순환 배기 가스 배관 (28) 의 EGR 가스 입구는, 실린더 헤드 (2) 의 우측면의 앞 근처 부위에서, 실린더 헤드 (2) 내에 형성되는 EGR 가스 통로의 EGR 가스 출구에 연결된다. 콜렉터 (25) 가 흡기 매니폴드 (3) 에 장착되고, 재순환 배기 가스 배관 (28) 이 실린더 헤드 (2) 에 장착됨으로써, EGR 장치 (24) 는 실린더 헤드 (2) 에 고정된다.
EGR 장치 (24) 에서는, 흡기 매니폴드 (3) 와 신기 도입용의 흡기 스로틀 부재 (26) 가 콜렉터 (25) 를 개재하여 연통 접속되어 있다. 콜렉터 (25) 에는, 재순환 배기 가스 배관 (28) 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EGR 밸브 부재 (29) 가 연통 접속되어 있다. 콜렉터 (25) 는, 전후로 긴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콜렉터 (25) 의 급기 도입측 (길이 방향의 전부측) 에 흡기 스로틀 부재 (26) 가 볼트 체결되어 있다. 콜렉터 (25) 의 급기 배출측은 흡기 매니폴드 (3) 의 입구측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또한, EGR 밸브 부재 (29) 는, 그 내부에 있는 EGR 밸브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콜렉터 (25) 에 대한 EGR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콜렉터 (25) 내에는 신기가 공급됨과 함께, 배기 매니폴드 (4) 로부터 EGR 밸브 부재 (29) 를 통하여 콜렉터 (25) 내에 EGR 가스 (배기 매니폴드 (4) 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일부) 가 공급된다. 신기와 배기 매니폴드 (4) 로부터의 EGR 가스가 콜렉터 (25) 내에서 혼합된 후, 콜렉터 (25) 내의 혼합 가스가 흡기 매니폴드 (3) 에 공급된다. 즉, 엔진 (1) 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 (4) 로 배출된 배기 가스의 일부가, 흡기 매니폴드 (3) 로부터 엔진 (1) 으로 복귀됨으로써, 고부하 운전시의 최고 연소 온도가 내려가고, 엔진 (1) 으로부터의 NOx (질소 산화물) 의 배출량이 저감되게 된다.
도 1 및 도 3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GR 쿨러 (27) 는,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2) 내를 흐르는 냉각수와 EGR 가스가 EGR 쿨러 (27) 에 유출입되고, EGR 쿨러 (27) 내에서 EGR 가스가 냉각된다.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에는, EGR 쿨러 (27) 를 연결하는 좌우 1 쌍의 EGR 쿨러 연결부 (33, 34)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EGR 쿨러 연결부 (33, 34) 의 전측면에 EGR 쿨러 (27) 가 연결되어 있다. 즉, EGR 쿨러 (27) 는, EGR 쿨러 (27) 의 후측면과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이 이간되도록 하여, 플라이 휠 하우징 (7) 의 상방 위치로서 실린더 헤드 (2) 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방에는, 2 단 과급기 (30) 가 배치되어 있다. 2 단 과급기 (30) 는, 고압단 과급기 (51) 와 저압단 과급기 (52) 를 구비한다. 고압단 과급기 (51) 는, 터빈 휠 (도시 생략) 을 내장한 고압단 터빈 케이스 (53) 와 블로어 휠 (도시 생략) 을 내장한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를 갖는다. 저압단 과급기 (52) 는, 터빈 휠 (도시 생략) 을 내장한 저압단 터빈 케이스 (55) 와 블로어 휠 (도시 생략) 을 내장한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를 갖는다.
2 단 과급기 (30) 의 배기 경로에서는, 배기 매니폴드 (4) 에 고압단 터빈 케이스 (53) 를 연결시키고, 고압단 터빈 케이스 (53) 에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을 개재하여 저압단 터빈 케이스 (55) 를 연결시키고, 저압단 터빈 케이스 (55) 에 배기 연결관 (119) 을 연결시키고 있다.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은, 가요성을 갖는 배관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의 일부분이 주름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 연결관 (119) 에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를 개재하여 테일 파이프 (도시 생략) 가 접속된다. 엔진 (1) 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 (4) 로 배출된 배기 가스는, 2 단 과급기 (30) 및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등을 경유하여, 테일 파이프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2 단 과급기 (30) 의 흡기 경로에서는, 에어 클리너에 급기관 (62) 을 통하여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를 접속시키고,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에 저압 신기 통로관 (65) 을 통하여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를 연결시키고,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에 인터 쿨러 (도시 생략) 를 개재하여 EGR 장치 (24) 의 흡기 스로틀 부재 (26) 를 접속시킨다. 에어 클리너에 흡입된 신기 (외부 공기) 는, 에어 클리너에서 제진 및 정화된 후, 2 단 과급기 (30) 나 인터 쿨러, 흡기 스로틀 부재 (26), 콜렉터 (25) 등을 통하여 흡기 매니폴드 (3) 로 보내지고, 그리고, 엔진 (1) 의 각 기통에 공급된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 (PM) 등을 포집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는, 평면에서 보아 크랭크축 (5) 과 교차하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는,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는, 좌 지지 브래킷 (117) 및 우 지지 브래킷 (118) 과 지지대 (121) 를 개재하여, 실린더 헤드 (2) 의 전부에 지지되어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좌우 양측 (길이 방향 일단측과 길이 방향 타단측) 에는, 배기 가스 도입측과 배기 가스 배출측이 좌우 배분하여 형성되어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배기 가스 도입측의 배기 가스 입구관 (116) 은, 측방에서 보아 대략 L 자형의 배기 가스 통로를 갖는 배기 연결 부재 (120) 와, 직선상의 배기 연결관 (119) 을 통하여, 2 단 과급기 (30) 의 저압단 터빈 케이스 (55) 의 배기 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배기 연결 부재 (120) 는, 지지대 (121) 의 좌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배기 가스 배출측은, 테일 파이프 (도시 생략) 의 배기 가스 도입측에 접속된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는, 예를 들어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 (102) 와 허니콤 구조의 수트 필터 (103) 를 직렬로 배열하여 내부에 수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디젤 산화 촉매 (102) 의 산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질소 (NO2) 가 수트 필터 (103) 내에 도입된다. 엔진 (1) 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은 수트 필터 (103) 에 포집되고, 이산화질소에 의해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된다. 따라서, 엔진 (1) 의 배기 가스 중의 입상 물질 (PM) 의 제거에 더하여, 엔진 (1) 의 배기 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CO) 나 탄화수소 (HC) 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는, 배기 가스 입구관 (116) 을 외주면에 구비한 상류측 케이스 (105) 와, 상류측 케이스 (105) 와 연결하는 중간 케이스 (106) 와, 중간 케이스 (106) 와 연결하는 하류측 케이스 (107) 를 구비한다. 상류측 케이스 (105) 와 중간 케이스 (106) 를 직렬로 배열하여 연결하고, 내열 금속 재료제의 가스 정화 하우징 (104) 을 구성하고 있다. 가스 정화 하우징 (104) 내에, 원통의 내측 케이스 (도시 생략) 를 개재하여, 디젤 산화 촉매 (102) 와 수트 필터 (103) 를 수용하고 있다. 또, 하류측 케이스 (107) 는, 다수의 소음 구멍이 뚫려 형성된 내측 케이스 (도시 생략) 를 내장함과 함께, 내측 케이스와의 사이에 세라믹 파이버제 소음재가 충전됨으로써, 소음기를 구성하고 있다.
배기 가스가 디젤 산화 촉매 (102) 및 수트 필터 (103) 를 통과할 때에, 배기 가스 온도가 재생 가능 온도 (예를 들어 약 300 ℃) 를 초과하고 있으면, 디젤 산화 촉매 (102) 의 작용으로, 배기 가스 중의 일산화질소가 불안정한 이산화질소로 산화된다. 그리고, 이산화질소가 일산화질소로 복귀할 때에 방출하는 산소로, 수트 필터 (103) 에 퇴적한 입자상 물질이 산화 제거됨으로써, 수트 필터 (103) 의 입자상 물질 포집 능력이 회복되고, 수트 필터 (103) 가 재생하게 된다.
이어서, 도 6 ∼ 도 10 등을 참조하면서, 2 단 과급기 (30) 의 구성 및 장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2 단 과급기 (30) 는, 배기 매니폴드 (4) 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유체 에너지에 의해 실린더 헤드 (2) 의 흡기 매니폴드 (3) 에 유입시키는 신기를 압축시킨다. 2 단 과급기 (30) 는, 배기 매니폴드 (4) 와 연결한 고압단 과급기 (51) 와, 고압단 과급기 (51) 와 연결한 저압단 과급기 (52) 로 구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압단 과급기 (51) 는, 배기 매니폴드 (4) 의 좌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저압단 과급기 (52) 는, 배기 매니폴드 (4)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소용량의 고압단 과급기 (51) 를 배기 매니폴드 (4) 의 좌측면에 대치하여 배치하는 한편으로, 대용량의 저압단 과급기 (52) 를 실린더 헤드 (2) 및 실린더 헤드 커버 (18) 의 좌측면에 대치하여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방의 공간에, 배기 매니폴드 (4) 와 2 단 과급기 (30) 를 정면에서 및 배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 프레임 내에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 단 과급기 (30) 의 최상부 위치를 엔진 (1) 의 최상부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엔진 (1) 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 도 3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 을 좌측으로부터 보아, 저압단 과급기 (52) 는,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방에 배치되며, 또한 고압단 과급기 (51)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저압단 과급기 (52) 의 하방에서, 실린더 블록 (6) 의 좌측면 전부의 주변에, 다른 어플리케이션 부품을 배치하는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압단 과급기 (52) 와 엔진 시동용 스타터 (20) 사이에, 크랭크축 (5) 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펌프 등의 외부 보조기를 배치할 수 있다.
도 6 ∼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압단 과급기 (51) 는, 고압단 터빈 케이스 (53) 와, 고압단 터빈 케이스 (53) 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와, 양케이스 (53, 54) 를 연결하는 고압단 센터 하우징 (72) 을 구비한다. 고압단 터빈 케이스 (53) 는, 배기 매니폴드 (4) 의 배기 매니폴드 배기 출구 (49) 와 연통하는 고압단 배기 입구 (57) 와,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의 상류측 단부와 연통하는 고압단 배기 출구 (58) 를 구비한다.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는, 저압 신기 통로관 (65) 의 하류측 단부와 연통하는 고압단 신기 입구 (66) 와, 인터 쿨러 (도시 생략) 에 접속되는 고압단 신기 공급구 (67) 를 구비한다. 또한, 관의 상류측 단부란, 가스 흐름의 상류측의 단부를 의미하고, 하류측 단부란, 가스 흐름의 하류측의 단부를 의미한다.
한편, 저압단 과급기 (52) 는, 저압단 터빈 케이스 (55) 와, 저압단 터빈 케이스 (55) 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와, 양케이스 (55, 56) 를 연결하는 저압단 센터 하우징 (75) 을 구비한다. 저압단 터빈 케이스 (55) 는,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의 하류측 단부와 연통하는 저압단 배기 입구 (60) 와, 배기 연결관 (119) 의 상류측 단부와 연통하는 저압단 배기 출구 (61) 를 구비한다.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는, 급기관 (62) 의 하류측 단부와 연통하는 저압단 신기 입구 (63) 와, 저압 신기 통로관 (65) 의 상류측 단부와 연통하는 저압단 신기 공급구 (64) 를 구비한다.
배기 매니폴드 (4) 는,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매니폴드 배기 출구 (49) 를 좌방을 향하여 개구시키고 있다. 그리고, 고압단 터빈 케이스 (53) 는, 고압단 배기 입구 (57) 를 배기 매니폴드 (4) 를 향하여 개구시키는 한편으로, 고압단 배기 출구 (58) 를 전방을 향하여 개구시키고 있다. 또, 저압단 터빈 케이스 (55) 는, 저압단 배기 입구 (60) 를 하방을 향하여 개구시키는 한편으로, 저압단 배기 출구 (61) 를 전방을 향하여 개구시키고 있다.
도 6 ∼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단 과급기 (30) 에 있어서,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는, 후방을 향하여 고압단 신기 입구 (66) 를 개구시키는 한편으로, 고압단 신기 공급구 (67) 를 하방을 향하여 개구시키고 있다. 또,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는, 저압단 신기 입구 (63) 를 후방을 향하여 개구시키는 한편으로, 저압단 신기 공급구 (64) 를 좌측방으로부터 돌출시킨 후에 후방을 향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고압단 신기 입구 (66) 에 U 자상의 저압 신기 통로관 (65) 의 하류측 단부가 연결되는 한편으로, 저압단 신기 공급구 (64) 가 저압 신기 통로관 (65) 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된다.
도 6 ∼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 (4) 의 배기 매니폴드 배기 출구 (49) 와 고압단 터빈 케이스 (53) 의 고압단 배기 입구 (57) 를 플랜지부에서 볼트 연결한다. 이로써, 고압단 과급기 (51) 는, 견뢰한 배기 매니폴드 (4) 에 고정된다. 또, 고압단 터빈 케이스 (53) 의 고압단 배기 출구 (58) 가 대략 L 자상의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의 하류측 단부 (후단) 에 플랜지부에서 볼트 연결되는 한편, 저압단 터빈 케이스 (55) 의 저압단 배기 입구 (60) 가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의 상류측 단부 (상단) 에 플랜지부에서 볼트 연결되어 있다. 대략 L 자상의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은, 가요성을 갖는 배관으로 구성되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에 주름상자 관부 (59a) 를 구비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압단 과급기 (52) 는,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면 (배기 측면) 에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면의 중앙부 앞 근처 부위에 저압단 과급기 장착부 (131) 가 형성된다 (도 12, 도 16, 도 19 도 참조). 저압단 과급기 장착부 (131) 는, 배기 매니폴드 (4) 의 상방, 또한 저압단 터빈 케이스 (55) 에 대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저압단 과급기 (52) 는, 대략 L 자형의 장착 브래킷 (132) 을 개재하여, 저압단 과급기 장착부 (131) 에 장착된다. 장착 브래킷 (132) 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 형성되는 과급기측 평면부 (132a) 와, 과급기측 평면부 (132a) 의 우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헤드측 평면부 (132b) 를 구비한다.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의 전측면 우측 가장자리 부위에, 장착 브래킷 (132) 의 과급기측 평면부 (132b) 가 볼트 (133) 에 의해 고착된다. 저압단 과급기 장착부 (131) 에, 장착 브래킷 (132) 의 헤드측 평면부 (132a) 가 전후 1 쌍의 볼트 (133) 에 의해 고착된다. 이로써, 저압단 과급기 (52) 는, 견뢰한 실린더 헤드 (2) 에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저압단 과급기 (52) 는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면 (배기 측면) 에 고정되고, 고압단 과급기 (51) 는 배기 매니폴드 (4) 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2 단 과급기 (30) 를 구성하는 고압단 과급기 (51) 와 저압단 과급기 (52) 를 견뢰한 실린더 헤드 (2) 및 배기 매니폴드 (4) 에 배분하여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저압단 과급기 (52) 는, 실린더 헤드 (2) 의 전부에 고정되는 지지대 (121) 에, 배기 연결관 (119) 과 배기 연결 부재 (120) 를 통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저압단 과급기 (52) 를 엔진 (1) 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2 단 과급기 (30) 를 엔진 (1) 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고압단 과급기 (51) 의 고압단 배기 출구 (58) 와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배기 입구 (60) 는, 가요성을 갖는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열 신장에 의한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의 저사이클 피로 파괴의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의 열 신장에서 기인하여 2 단 과급기 (30) 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고압단 과급기 (51) 와 배기 매니폴드 (4) 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응력과, 저압단 과급기 (52) 와 실린더 헤드 (2) 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이들 연결부에 있어서의 연결 불량이나 연결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2) 는, 그 내부에, 저압단 과급기 장착부 (131) 로부터 실린더 헤드 (2) 의 우측면 (흡기 측면) 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리브 (135) 를 구비하고 있다. 리브 (135) 는, 실린더 헤드 저면 (136) 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실린더 헤드 (2) 에 있어서 저압단 과급기 장착부 (131) 의 주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실린더 헤드 (2) 에 대한 저압단 과급기 (52) 의 장착에서 기인하는 실린더 헤드 (2) 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린더 헤드 저면 (136) 에는, 리브 (135) 의 우단부에 연속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밸브 아암 기구 설치 시트 (137) 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리브 (135) 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저압단 과급기 장착부 (131) 의 주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엔진 (1) 은 OHV 식의 것이고, 실린더 헤드 (2) 와 실린더 헤드 커버 (18) 로 둘러싸인 공간을 밸브 아암실로서 구성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밸브 아암실 내에 인젝터 (138) 및 동(動) 밸브 기구가 수용된다.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밸브 아암 기구 설치 시트 (137) 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밸브 아암 기구 설치 시트 (137) 상에 밸브 아암축 (도시 생략) 을 지지하는 밸브 아암축 지지부 (139) 가 배치되고, 밸브 아암축에 복수의 밸브 아암 (140) 이 요동할 수 있도록 축지지된다. 각 밸브 아암 (189) 이 밸브 아암축 둘레로 요동함으로써, 각 기통의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 (도시 생략) 가 개폐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압단 과급기 (52) 는, 좌측으로부터 보아,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 (일방의 측면) 근처에 배치되는 한편으로, 저압단 터빈 케이스 (55) 의 저압단 배기 출구 (61) 가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배기 입구를 구성하는 배기 가스 입구관 (116) 은,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과 우측면 (배기 측면) 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배기 출구 (61) 와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배기 가스 입구관 (116) 을 연결하는 배관으로서의 배기 연결관 (119) 과 배기 연결 부재 (120) 를 짧게 또한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에 공급되는 배기 가스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재생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배기 입구가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 (일방의 측면) 과 우측면 (배기 측면) 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의 근방에 배치되는 구성이면,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탑재 위치나 배치 방향에 관계없이, 이 실시형태와 동일한 상기 효과가 얻어진다. 예를 들어,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는, 실린더 헤드 (2) 의 전방에서 플라이 휠 하우징 (7) 의 상방에 좌우 가로로 길게 배치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12598호 참조), 실린더 헤드 (2) 의 상방에서 전후 가로로 길게 (크랭크축 (5) 을 따른 방향)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79870호 참조).
도 3,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바이 가스를 받아들이는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 (19) 가 실린더 헤드 (2) 상에 설치된다.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 (19) 는, 실린더 헤드 (2) 의 상면을 덮는 실린더 헤드 커버 (18) 의 상면에 재치 (載置)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2) 의 상방에서,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 (19) 의 블로바이 가스 출구 (70) 가 실린더 헤드 (2) 의 후측면 (타방의 측면) 근처의 위치에서, 좌측면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의 저압단 신기 입구 (63) 가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저압단 신기 입구 (63) 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급기관 (62) 이 연결된다. 이로써, 블로바이 가스 출구 (70) 의 근방에 급기관 (62) 을 배치할 수 있고, 블로바이 가스 출구 (70) 와 급기관 (62) 을 연결하는 환원 호스 (68) 를 단척화하고, 저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환원 호스 (68) 내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와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는, 저압단 신기 입구 (63), 저압단 신기 공급구 (64) 및 고압단 신기 입구 (66) 를 동일 방향 (후방) 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에어 클리너와 연통하는 급기관 (62) 을 저압단 신기 입구 (63) 에 연결하기 쉽고, 또, 저압 신기 통로관 (65) 을 저압단 신기 공급구 (64) 및 고압단 신기 입구 (66) 에 연결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저압 신기 통로관 (65) 은, 일단이 플랜지 연결에 의해 고압단 신기 입구 (66) 에 볼트 체결되는 대략 U 자형의 금속관 (65a) 과, 금속관 (65a) 의 타단과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의 저압단 신기 공급구 (64) 를 연통시키는 수지관 (65b) 에 의해 구성된다. 이로써, 저압 신기 통로관 (65) 은, 금속관 (65a) 이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에 고강성으로 고정되는 한편, 수지관 (65b) 에 의해,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와 금속관 (65a) 의 조립 오차를 완화시켜 연통시킬 수 있다.
또,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의 저압단 신기 공급구 (64) 는,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의 외주면의 좌하 부위로부터 좌방 경사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후방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저압 신기 통로관 (65) (금속관 (65a)) 의 굴곡 부분의 곡률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저압 신기 통로관 (65) 내에서의 난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로부터 배출되는 압축 공기가, 원활하게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에 공급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압단 과급기 (51) 는,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의 외주면 하부의 오른쪽 근처 부위에,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저압단 신기 공급구 (64) 를 구비한다.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는, 인터 쿨러와 연통되는 고압 신기 통로관 (71) 과 연결되어 있고, 고압 신기 통로관 (71) 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인터 쿨러에 공급한다. 또,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의 하방에는, 좌측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냉각수 입구관 (22) 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수 입구관 (22) 에는, 라디에이터에 연결되는 냉각수 배관 (150) 이 접속된다. 이 때문에, 고압 신기 통로관 (71) 과 냉각수 배관 (150) 의 처리를 집약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 (1) 을 탑재하는 본기측에 있어서의 배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이나 메인터넌스 작업을 하기 쉬운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도 2,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 은, 그 후부 (냉각 팬 (9) 측) 에, 냉각수 출구관 (23), 급기관 (62) 및 흡기 스로틀 부재 (26) 를 배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엔진 (1) 을 탑재하는 본기측에 있어서, 냉각 팬 (9) 의 냉각풍을 이용하는 라디에이터, 에어 클리너 및 인터 쿨러가 냉각 팬 (9)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라디에이터와 접속하는 냉각수 배관이나, 에어 클리너 및 인터 쿨러와 연통하는 신기용 배관을 단척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배관 접속 작업을 통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기측에 있어서의 조립 작업성이나 메인터넌스 작업성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본기측에 있어서, 엔진 (1) 과 연결시키는 각 부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6 ∼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압단 과급기 (51) 에서는, 고압단 터빈 케이스 (53) 와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의 연결 부분인 고압단 센터 하우징 (72) 의 외주면의 상부 및 하부에, 고압용 윤활유 공급관 (73) 및 고압용 윤활유 복귀관 (74) 이 연결되어 있다. 저압단 과급기 (52) 에서는, 저압단 터빈 케이스 (55) 와 저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6) 의 연결 부분인 저압단 센터 하우징 (75) 의 외주면의 상부 및 하부에, 저압용 윤활유 공급관 (76) 및 저압용 윤활유 복귀관 (77) 이 연결되어 있다.
고압용 윤활유 공급관 (73) 은, 실린더 블록 (6) 의 좌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접속 부재 (78a) 에 하단이 접속되는 한편, 상단이 고압단 과급기 (51) 의 고압단 센터 하우징 (72) 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고압단 센터 하우징 (72) 의 상부에는, 고압용 윤활유 공급관 (73) 의 상단과 저압용 윤활유 공급관 (76) 의 하단을 연통시키는 연결 조인트 (78b) 가 설치되어 있다. 저압용 윤활유 공급관 (76) 의 상단은,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센터 하우징 (75) 의 상부에 형성되는 접속 부재 (78c) 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실린더 블록 (6) 내의 유로를 흐르는 윤활유가, 고압용 윤활유 공급관 (73) 을 통하여 고압단 과급기 (51) 의 고압단 센터 하우징 (72) 에 공급됨과 함께, 고압용 윤활유 공급관 (73) 및 저압용 윤활유 공급관 (76) 을 통하여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센터 하우징 (75) 에 공급된다.
고압용 윤활유 공급관 (73) 은, 실린더 블록 (6) 의 좌측면의 접속 부재 (78a) 로부터 후방 경사 상방향으로 유도되고, 고압단 컴프레서 케이스 (54) 와 실린더 블록 (6) 사이를 통과하여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면과 대치하는 위치로 유도된다. 또한, 고압용 윤활유 공급관 (73) 은, 배기 매니폴드 (4) 의 후단부를 우회하면서, 고압단 센터 하우징 (72) 의 우측방을 통과하여, 연결 조인트 (78b) 로 유도되어 있다. 또, 저압용 윤활유 공급관 (76) 은, 측면에서 보아 대략 L 자 형상을 갖고, 연결 조인트 (78b) 로부터, 고압단 과급기 (51) 와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을 따르도록 하여, 접속 부재 (78c) 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윤활유 공급관 (73, 76) 을 단척화함과 함께, 고강성 부품인 2 단 과급기 (30) 로 둘러싸도록 배관함으로써, 윤활유를 효율적으로 2 단 과급기 (30) 에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력에 의한 윤활유 공급관 (73, 76) 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또, 고압용 윤활유 복귀관 (74) 은, 접속 부재 (78a) 의 상방에서, 실린더 블록 (6) 의 좌측면의 중앙부에 설치된 연결 조인트 (80) 의 선단면에 일단 (하단) 이 연결된다. 고압용 윤활유 복귀관 (74) 의 타단 (상단) 은, 고압단 과급기 (51) 의 고압단 센터 하우징 (72) 의 외주면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저압용 윤활유 복귀관 (77) 은, 연결 조인트 (80) 의 중도부로부터 전방 경사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속 부위에 일단 (하단) 이 연결된다. 한편, 저압용 윤활유 복귀관 (77) 의 타단 (상단) 은,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센터 하우징 (75) 의 외주면 하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압단 과급기 (51) 및 저압단 과급기 (52) 를 흐르는 윤활유는, 센터 하우징 (72, 75) 의 하부로부터 윤활유 복귀관 (74, 77) 을 통하여, 연결 조인트 (80) 에서 합류되어, 실린더 블록 (6) 내의 유로로 복귀된다.
고압용 윤활유 복귀관 (74) 은, 고압단 터빈 케이스 (53) 의 하방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 (4) 의 배기 매니폴드 배기 출구 (49) 의 하방을 통과하여 연결 조인트 (80) 로 유도되어 있다. 또, 저압용 윤활유 복귀관 (77) 은,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과 배기 매니폴드 (4) 사이를 통과하여, 연결 조인트 (80) 로 유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윤활유 복귀관 (74, 77) 을 단척화함과 함께, 고강성 부품인 2 단 과급기 (30) 로 덮도록 배관함으로써, 윤활유를 효율적으로 2 단 과급기 (30) 에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력에 의한 윤활유 복귀관 (74, 77) 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이어서, 도 11 ∼ 도 16 등을 참조하면서,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장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는, 상류측 케이스 (105) 와 중간 케이스 (106) 와 하류측 케이스 (107) 가 그 순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실린더 헤드 (2) 의 전부 상방에서 좌우 가로로 길게 배치된다.
상류측 케이스 (105) 와 중간 케이스 (106) 의 연결 부분은, 1 쌍의 후판상의 협지 플랜지 (108, 109) 로 배기 가스 이동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 연결하고 있다. 즉, 상류측 케이스 (105) 의 하류측 개구 가장자리에 형성한 접합 플랜지와, 중간 케이스 (106) 의 상류측 개구 가장자리에 형성한 접합 플랜지를, 협지 플랜지 (108, 109) 로 협지시켜, 상류측 케이스 (105) 의 하류측과 중간 케이스 (106) 의 상류측을 연결하고, 가스 정화 하우징 (104) 을 구성한다. 이 때, 협지 플랜지 (108, 109) 를 볼트 체결함으로써, 상류측 케이스 (105) 와 중간 케이스 (106) 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중간 케이스 (106) 와 하류측 케이스 (107) 의 연결 부분은, 1 쌍의 후판상의 협지 플랜지 (110, 111) 로 배기 가스 이동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 연결하고 있다. 즉, 중간 케이스 (106) 의 하류측 개구 가장자리에 형성한 접합 플랜지와, 하류측 케이스 (107) 의 상류측 개구 가장자리에 형성한 접합 플랜지를, 협지 플랜지 (108, 109) 로 협지시켜, 중간 케이스 (106) 의 하류측과 하류측 케이스 (107) 의 상류측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류측 케이스 (105) 의 배기 입구측의 외주부에 배기 가스 입구관 (116) 을 형성하고 있고, 배기 가스 입구관 (116) 의 배기 도입측은, 배기 중계로로서의 배기 연결 부재 (120) 및 배기 연결관 (119) 을 개재하여, 2 단 과급기 (30) 의 저압단 배기 출구 (61) (도 6 등 참조) 와 연통되어 있다. 배기 연결 부재 (120) 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L 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고, 배기 도입측을 후방에 구비하여 배기 연결관 (119) 과 연결하는 한편, 배기 배출측을 상방에 구비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배기 가스 입구관 (116) 과 연결한다. 도 11, 도 12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연결 부재 (120) 는, 지지대 (121) 의 좌측면의 전부에, 상하 1 쌍의 볼트 (122, 122) 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1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는, 좌우의 지지 브래킷 (117, 118) 과 지지대 (121) 를 개재하여, 실린더 헤드 (2) 의 전부에 장착된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는, 상류측 케이스 (105) 의 외주면 하부에 용접 고정된 좌 브래킷 체결 다리 (112) 와, 협지 플랜지 (110) 의 하부에 형성한 우 브래킷 체결 다리 (113) 를 구비한다.
좌우의 지지 브래킷 (117, 118) 은, 수평부와, 그 수평부의 좌우 외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립부를 구비하는 대략 L 자형을 갖는다. 좌 지지 브래킷 (117) 의 수평부는, 지지대 (121) 의 평면부 (121a) 의 상면 왼쪽 근처 부위에, 전후 1 쌍의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우 지지 브래킷 (118) 의 수평부는, 지지대 (121) 의 평면부 (121a) 의 상면 우측 가장자리 부위에, 전후 1 쌍의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좌우의 브래킷 체결 다리 (112, 113) 는, 좌우의 지지 브래킷 (117, 118) 에, 각각 전후 1 쌍의 볼트 및 너트로 장착된다.
우 지지 브래킷 (118) 의 기립부의 상면에는, 협지 플랜지 (110, 111) 의 하부를 체결하는 볼트의 머리부를 임시 재치 가능한 절결부 (118a) 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를 엔진 (1) 에 조립할 때에는, 지지대 (121) 에 좌우의 지지 브래킷 (117, 118) 및 배기 연결 부재 (120) 가 장착된 상태에서, 협지 플랜지 (110, 111) 의 하부를 체결하는 볼트의 머리부를 우 지지 브래킷 (118) 의 절결부 (118a) 에 위치 맞춤한다. 이로써,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를 엔진 장치 (1) 에 대하여 위치 맞춤할 수 있음과 함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를 엔진 (1) 에 조립할 때의 볼트 체결 작업이 하기 쉬워져,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1 ∼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 (121) 의 평면부 (121a) 는, 평면에서 보아, 우측 부위가 좌측 부위보다 긴 대략 L 자형을 갖는다. 평면부 (121a) 는, 평면에서 보아,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 및 우측면을 따라, 실린더 헤드 (2) 의 전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평면부 (121a) 상에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가 탑재된다.
또, 지지대 (121) 는, 평면부 (121a) 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실린더 헤드 (2) 에 고정되는 복수의 다리부 (121b, 121c, 121d, 121e) 를 구비한다. 다리부 (121b, 121c, 121d, 121e) 의 사이는, 상측으로 볼록형인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2) 에는, 좌측면의 앞 부위에 배기측 장착부 (123b) 가 형성되고, 전측면의 중앙부 위 근처 부위에 제 1 중앙 장착부 (123c) 가 형성되고, 전측면의 우측 가장자리 부위에 제 2 중앙 장착부 (123d) 가 형성되고, 우측면에 일체 성형되는 흡기 매니폴드 (3) 의 상면의 전단 부위에 흡기측 장착부 (123e) 가 형성된다.
배기측 다리부 (121b) 의 하단부는, 전후 1 쌍의 볼트로 배기측 장착부 (123b) 에 고정된다. 제 1 중앙 다리부 (121c) 의 하단부는, 1 개의 볼트로 제 1 중앙 장착부 (123c) 에 고정된다. 제 2 중앙 다리부 (121d) 의 하부는, 상하 1 쌍의 볼트로 제 2 중앙 장착부 (123d) 에 고정된다. 흡기측 다리부 (121e) 는, 상하 방향으로 천공 형성된 전후 1 쌍의 볼트 삽입 통과공을 구비하고, 그들 볼트 삽입 통과공에 삽입 통과되는 전후 1 쌍의 볼트로, 흡기측 장착부 (123e) 에 장착된다.
도 11, 도 13 ∼ 도 15 및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2) 의 우측면에 흡기 매니폴드 (3) 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측 다리부 (121e) 는, 흡기 매니폴드 (3) 에 형성되는 흡기측 장착부 (123e) 에 고정되기 때문에, 견뢰한 흡기 매니폴드 (3) 상에 흡기측 다리부 (121e) 를 재치하여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흡기측 다리부 (121e) 를 흡기 매니폴드 (3) 에 고정시키기 위한 전후 1 쌍의 볼트의 체완 (締緩) 작업을 실린더 헤드 (2) 의 상방측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실린더 헤드 (2) 의 우측방에 배치되는 EGR 장치 (24) (도 5 등 참조) 를 흡기 매니폴드 (3) 에 장착한 상태에서, 지지대 (121) 의 장착 작업 및 탈착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엔진 (1) 의 조립 작업성 및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도 11, 도 13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측 장착부 (123e) 의 하방에 있어서, 흡기 매니폴드 (3) 의 우측면 및 하면에, 전후 1 쌍의 보강 리브 (124, 124)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보강 리브 (124, 124)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흡기측 장착부 (123e) 주변의 흡기 매니폴드 (3) 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흡기 매니폴드 (3) 에 대한 지지대 (121) 의 장착에서 기인하는 흡기 매니폴드 (3) 및 실린더 헤드 (2)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 (121) 는, 평면부 (121a) 와 다리부 (121b, 121c, 121d, 121e) 가 일체 성형되어 있는 한편으로, 다리부 (121b, 121c, 121d, 121e) 의 사이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대 (121) 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지지대 (121) 를 일체 성형 부품으로 함으로써,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다리부 (121b, 121c, 121d, 121e) 의 사이에 아치 형상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다리부 (121b, 121c, 121d, 121e) 의 주변에서 열 고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배기 압력 센서 (151) 등의 다리부 주변에 탑재되는 전자 부품에 대한 열해나, EGR 쿨러 (27) 등의 냉각 부품의 냉각 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지지대 (121) 는,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면에 고정되는 배기측 다리부 (121b) 와, 실린더 헤드 (2) 의 우측면에 고정되는 흡기측 다리부 (121e) 와,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에 고정되는 중앙 다리부 (121c, 121d) 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실린더 헤드 (2) 의 우측면과 좌측면과 전측면의 합계 3 면에 지지대 (121) 를 고정시킬 수 있어,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도 13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측 다리부 (121e) 와 제 2 중앙 다리부 (121d) 사이의 아치 형상과, 중앙 다리부 (121c, 121d) 사이의 아치 형상과, 배기측 다리부 (121b) 와 제 1 중앙 다리부 (121c) 사이의 아치 형상은, 아치 형상의 높이와 크기 (폭) 가 서로 상이하다. 또, 배기측 다리부 (121b) 와 흡기측 다리부 (121e) 는, 서로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이하다. 이들 아치 형상이나 다리부의 길이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흡기측과 배기측의 진동을 지지대 (121) 에서 상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 (121) 의 평면부 (121a) 및 다리부 (121b, 121c, 121d, 121e) 는, 실린더 헤드 커버 (18) 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대 (121) 와 실린더 헤드 커버 (18) 사이에, 엔진 (1) 의 후부에 배치되는 냉각 팬 (9) (도 3 등 참조) 으로부터의 냉각풍 (149) 이 흐르는 냉각풍 통로 (148) 가 형성된다. 따라서, 냉각 팬 (9) 으로부터의 냉각풍 (149) 을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측으로 냉각풍 통로 (148) 를 통하여 안내할 수 있고,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 주변을 적절히 냉각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에, EGR 쿨러 (27) 와 후술하는 배기 압력 센서 (151) 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 팬 (9) 으로부터 냉각풍 통로 (148) 를 통하여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으로 유도되는 냉각풍 (149) 에 의해, EGR 쿨러 (27) 의 냉각 촉진과, 배기 압력 센서 (151) 의 열해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7 ∼ 도 21 등을 참조하면서,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 주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2) 는, 복수의 흡기 포트 (도시 생략) 에 신기를 도입시키는 복수의 흡기 유로 (36) 와 복수의 배기 포트로부터 배기 가스를 도출시키는 복수의 배기 유로 (37)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흡기 유로 (36) 를 집합하는 흡기 매니폴드 (3) 가, 실린더 헤드 (2) 의 우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2) 와 흡기 매니폴드 (3) 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흡기 매니폴드 (3) 로부터 흡기 유로 (36) 에 대한 기체 시일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실린더 헤드 (2) 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면에 연결되는 배기 매니폴드 (4) 의 우측면에는, 실린더 헤드 (2) 내의 상류측 EGR 가스 통로 (31) 와 연통하는 EGR 가스 출구 (41) 와, 복수의 배기 유로 (37) 와 연통하는 배기 입구 (42) 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개구되어 있다. 배기 매니폴드 (4) 내에, EGR 가스 출구 (41) 및 배기 입구 (42) 와 연통하는 배기 집합부 (43) 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 매니폴드 (4) 의 좌측면 후부에, 배기 집합부 (43) 와 연통하는 배기 매니폴드 배기 출구 (49) 가 개구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2) 의 배기 유로 (37) 로부터의 배기 가스가 배기 입구 (42) 를 통하여 배기 집합부 (43) 에 유입되면, 배기 가스의 일부가 EGR 가스로서 EGR 가스 출구 (41) 로부터 실린더 헤드 (2) 내의 상류측 EGR 가스 통로 (31) 로 유입되고, 배기 가스의 나머지가 배기 매니폴드 배기 출구 (49) 로부터 2 단 과급기 (30) (도 7 등 참조) 로 유입된다.
실린더 헤드 (2) 는, 흡기 매니폴드 (3) 가 일체 성형되는 우측면 (흡기 측면) 과 반대측이 되는 좌측면 (배기 측면) 에 배기 매니폴드 (4) 가 연결되고, 전측면 (배기 측면에 교차하는 2 측면 중 일방의 측면) 에 EGR 쿨러 (27) 가 연결된다.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의 좌우 양가장자리부 (실린더 헤드 (2) 의 좌전 모서리부 및 우전 모서리부) 에는, 좌우의 EGR 쿨러 연결부 (33, 34) 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EGR 쿨러 (27) 는, 좌우의 EGR 쿨러 연결부 (33, 34) 의 전측면에 연결된다. EGR 쿨러 연결부 (33, 34) 내에 EGR 가스 통로 (31, 32) 와 냉각수로 (38, 39) 가 형성되어 있다.
EGR 쿨러 연결부 (33, 34) 에 EGR 가스 통로 (31, 32) 및 냉각수로 (38, 39) 를 구성함으로써, EGR 쿨러 (27) 와 실린더 헤드 (2) 사이에 냉각수용 배관 및 EGR 가스용 배관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EGR 가스나 냉각수에 의한 배관의 신축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EGR 쿨러 (27) 와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이나 진동 등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변동 요소에 대한 내성 (구조 안정성) 이 향상되는 데다가,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7, 도 20 및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 EGR 쿨러 연결부 (33) 내에 상류측 EGR 가스 통로 (31) 가 형성되고, 우 EGR 쿨러 연결부 (34) 내에 하류측 EGR 가스 통로 (32) 가 형성된다. 상류측 EGR 가스 통로 (31) 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L 자형이고, 좌 EGR 쿨러 연결부 (33) 의 전측면과 좌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개구되어 있고, EGR 쿨러 (27) 의 이면 좌하 부위와, 배기 매니폴드 (4) 의 우측면 앞 근처 부위에 형성된 EGR 가스 출구 (41) 를 연결하고 있다. 하류측 EGR 가스 통로 (32) 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L 자형이고, 우 EGR 쿨러 연결부 (34) 의 전측면과 우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개구되어 있고, EGR 쿨러 (27) 의 이면 우상 부위와, 재순환 배기 가스 배관 (28) 의 EGR 가스 입구를 연결하고 있다.
좌 EGR 쿨러 연결부 (33) 내에는, 좌 EGR 쿨러 연결부 (33) 의 전측면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유도되는 하류측 냉각수로 (38) 가 형성된다. 하류측 냉각수로 (38) 는, 상류측 EGR 가스 통로 (31) 보다 상방측에 형성되고, EGR 쿨러 (27) 의 이면 좌상 부위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실린더 헤드 (2) 내의 냉각수 통로로 보낸다. 또, 우 EGR 쿨러 연결부 (34) 내에는, 우 EGR 쿨러 연결부 (34) 의 전측면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유도되는 상류측 냉각수로 (39) 가 형성된다. 상류측 냉각수로 (39) 는, 하류측 EGR 가스 통로 (32) 보다 하방측에 형성되고, 실린더 헤드 (2) 내의 냉각수 통로를 흐르는 냉각수를 EGR 쿨러 (27) 의 이면 우하 부위로 보낸다.
도 17 ∼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에, 배기 매니폴드 (4) 내의 배기 가스 압력을 검출하는 배기 압력 센서 (151) 가 형성된다. 배기 압력 센서 (151) 는,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의 중앙부 위 근처 부위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배기 압력 센서 장착부 (152) 에 장착된다. 배기 압력 센서 장착부 (152) 는, 좌우의 EGR 쿨러 연결부 (33, 34) 사이에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의 엔진 (1) 에서는, 배기 압력 센서 장착부 (152) 의 좌측 가장자리부는, 좌 EGR 쿨러 연결부 (33) 의 우측 가장자리부 위 근처 부위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배기 압력 센서 (151) 는, 실린더 헤드 (2) 내에 형성한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와,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와 배기 매니폴드 (4) 를 연결하는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을 개재하여, 배기 매니폴드 (4) 에 접속된다.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는,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면의 전단 부위로부터 우측방을 향하여 천공 형성되고, 좌 EGR 쿨러 연결부 (33) 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기 압력 센서 장착부 (152) 의 내부로 유도된다. 또,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는, 배기 압력 센서 장착부 (152) 내에서 전방측을 향하여 굴곡되고, 배기 압력 센서 장착부 (152) 의 전측면에 개구되어 있다. 배기 압력 센서 장착부 (152) 의 전측면에는,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의 단부를 막는 구멍 매립 부재 (155) 가 장착되어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압력 센서 장착부 (152) 는, 그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천공 형성되어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에 연결되는 센서 장착 구멍 (152a) 을 구비한다. 배기 압력 센서 (151) 가 센서 장착 구멍 (152a) 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기 압력 센서 (151) 의 하단부가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에 노출된다.
한편,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은,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면 전부의 좌측방에서, 배기 매니폴드 (4) 의 상방에 배치된다. 배기 매니폴드 (4) 의 상면의 앞 근처 부위에, 검출용 배관 장착 대좌 (156) 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검출용 배관 장착 대좌 (156) 의 상면에, 후측 조인트 부재 (157) 가 장착된다. 또,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면의 전단 부위에 개구되는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의 단부에 전측 조인트 부재 (158) 가 장착된다.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전단은, 전측 조인트 부재 (158) 를 개재하여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에 접속된다.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후단은, 후측 조인트 부재 (157) 를 개재하여 배기 매니폴드 (4) 내의 배기 집합부 (43) (도 21 참조) 에 접속된다. 또한, 검출용 배관 장착 대좌 (156) 의 상면에는, 후측 조인트 부재 (157) 보다 전방의 위치에서, 배기 가스 온도 센서 (159) 가 장착되어 있다. 배기 가스 온도 센서 (159) 는, 배기 매니폴드 (4) 내의 배기 집합부 (43) 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고온이 되는 배기 매니폴드 (4) 로부터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에 전달되는 열은, 전측 조인트 부재 (158) 를 개재하여 실린더 헤드 (2) 에서 확산된다. 이로써, 열에 약한 배기 압력 센서 (151) 에, 배기 매니폴드 (4) 의 열 및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열이 직접 전달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 매니폴드 (4) 및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열에서 기인하는 배기 압력 센서 (151) 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하면서,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신뢰성이 향상됨과 함께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배치가 용이해져, 설계 공수의 저감이나 엔진 (1) 의 제조성 및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 EGR 쿨러 연결부 (33) 내에서,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의 근방에 하류측 냉각수로 (38)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내의 가스 온도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내의 가스로부터 배기 압력 센서 (151) 에 전달되는 열을 허용 범위 내에 들어가게 하면서,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를 짧게 할 수 있어, 실린더 헤드 (2) 에 대한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는,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에 돌출 형성된 좌 EGR 쿨러 연결부 (33) 및 배기 압력 센서 장착부 (152) 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내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열에서 기인하는 배기 압력 센서 (151) 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압력 센서 (151) 는, 1 쌍의 EGR 쿨러 연결부 (33, 34) 사이에서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에 돌출 형성된 배기 압력 센서 장착부 (152) 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 압력 센서 (151) 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열에서 기인하는 배기 압력 센서 (151) 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조인트 부재 (158) 의 장착 위치는, 검출용 배관 장착 대좌 (156) 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은, 후측 조인트 부재 (157) 로부터 좌방 경사 전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후, 배기 가스 온도 센서 (159) 를 우회하여 우방향으로 만곡하면서 경사 상방향으로 유도되고, 그 후, 실린더 헤드 (2) 의 좌측면을 따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여 배치 형성되어 전측 조인트 부재 (158) 에 접속된다.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은, 전측 조인트 부재 (158) 측의 단부가 후측 조인트 부재 (157) 측의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유분이나 수분이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내에서 액체가 되어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기 가스 압력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7 ∼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GR 쿨러 연결부 (33, 34) 를 돌출 형성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배기 매니폴드 (4) 와 EGR 쿨러 (27) 와 EGR 장치 (24) 를 연통시키는 EGR 가스용의 배관이 불필요해지고, EGR 가스 통로에 있어서의 연결 지점이 적어진다. 따라서, EGR 가스에 의한 NOx 저감을 도모하는 엔진 (1) 에 있어서, EGR 가스 누출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의 신축에 의한 응력 변화 등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EGR 쿨러 연결부 (33, 34) 내에 EGR 가스 통로 (31, 32) 와 냉각수로 (38, 39) 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린더 헤드 (2) 내에 구성하는 각 통로 (31, 32, 38, 39) 의 형상이 단순화되는 점에서, 복잡한 중자를 사용하지 않고, 실린더 헤드 (2) 를 용이하게 주조할 수 있다.
또, 배기 매니폴드 (4) 측의 좌 EGR 쿨러 연결부 (33) 와, 흡기 매니폴드 (3) 측의 우 EGR 쿨러 연결부 (34) 가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EGR 쿨러 연결부 (33, 34) 각각에 있어서의 열변형에 의한 상호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EGR 쿨러 연결부 (33, 34) 와 EGR 쿨러 (27) 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가스 누출이나 냉각수 누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린더 헤드 (2) 의 강성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에 있어서의 용적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실린더 헤드 (2) 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EGR 쿨러 (27) 를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으로부터 이간시켜 배치할 수 있어, EGR 쿨러 (27) 의 전후에 공간을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EGR 쿨러 (27) 의 주변에 냉각 공기를 흘릴 수 있어, EGR 쿨러 (27) 에 있어서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 EGR 쿨러 연결부 (33) 에는, 하류측 냉각수로 (38) 와 상류측 EGR 가스 통로 (31) 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고, 우 EGR 쿨러 연결부 (34) 에는, 하류측 EGR 가스 통로 (32) 와 상류측 냉각수로 (39) 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류측 냉각수로 (38) 의 냉각수 입구와 하류측 EGR 가스 통로 (32) 의 EGR 가스 입구가 동일 높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류측 냉각수로 (39) 의 냉각수 출구와 하류측 EGR 가스 통로 (32) 의 EGR 가스 출구가 동일 높이에 배치된다.
분리하여 돌출 형성시킨 EGR 쿨러 연결부 (33, 34) 에 EGR 가스 통로 (31, 32) 및 냉각수로 (38, 39) 를 내설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EGR 쿨러 연결부 (33, 34) 쌍방에 있어서의 열변형의 영향이 완화된다. 또, EGR 쿨러 연결부 (33, 34) 내에 있어서, EGR 가스 통로 (31, 32) 를 흐르는 EGR 가스가 냉각수로 (38, 39) 를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고, EGR 쿨러 연결부 (33, 34) 에 있어서의 열변형 자체도 억제된다. 또한, EGR 쿨러 연결부 (33, 34) 각각에 있어서, EGR 가스 통로 (31, 32) 와 냉각수로 (38, 39) 가, 각각의 상하 높이 위치를 치환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EGR 쿨러 연결부 (33, 34) 에 있어서의 열분포가 상하 역방향이 되고, 실린더 헤드 (2) 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의 열변형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22 및 도 23 등을 참조하면서,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 주변에 배치 형성되는 하니스 구조의 일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의 엔진 (1) 에서는, 복수의 하니스를 묶은 하니스 집합체 (171) 가 실린더 헤드 커버 (18) 의 우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배치 형성된다. 하니스 집합체 (171) 는, 엔진 (1) 에 장착되는 외부 접속용 하니스 커넥터 (도시 생략) 로부터 연장되는 주하니스 집합체 (도시 생략) 로부터 분기된 것이다.
하니스 집합체 (171) 의 전단부는, 실린더 헤드 커버 (18) 와 지지대 (121) 의 흡기측 다리부 (121e) 사이에 배치 형성된다. 하니스 집합체 (171) 는, 실린더 헤드 커버 (18) 의 우전 모서리부의 근방에서, EGR 밸브 하니스 (172) 와 EGR 가스 온도 센서 하니스 (173) 와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4) 로 분기된다. EGR 밸브 하니스 (172) 는, 지지대 (121) 의 제 2 중앙 다리부 (121d) 와 흡기측 다리부 (121e) 사이를 통과하여, EGR 밸브 부재 (29) 에 전기 접속된다. EGR 가스 온도 센서 하니스 (173) 는, 재순환 배기 가스 배관 (28) 내의 배기 가스 온도를 검출하는 EGR 가스 온도 센서 (181) 에, 제 2 중앙 다리부 (121d) 와 흡기측 다리부 (121e) 사이를 통과하여 전기 접속된다.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4) 는, 하니스 집합체 (171) 로부터 좌측방을 향하여 유도되고, 실린더 헤드 커버 (18) 의 전측면 오른쪽 근처 부위의 전방에서, 하방을 향하여 절곡된다.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4) 의 전단부는, 회전각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5) 와 배기 압력 센서 하니스 (176) 로 분기된다. 배기 압력 센서 하니스 (176) 는, 하니스 집합체 (174) 로부터, 실린더 헤드 커버 (18) 와 지지대 (121) 의 제 1 중앙 다리부 (121c) 사이를 통과하여 좌측방으로 유도되고, 배기 압력 센서 (151) 에 전기 접속된다.
회전각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5) 는,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4) 로부터,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 회전각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5) 는, 플라이 휠 하우징 (7) 의 직상 위치에서 좌측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 좌하 모서리부의 전방 위치로 유도된다. 회전각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5) 는, 크랭크축 회전각 센서 하니스 (177) 와 캠축 회전각 센서 하니스 (178) 로 분기된다. 크랭크축 회전각 센서 하니스 (177) 는, 플라이 휠 하우징 (7) 의 전부의 좌상 근처 부위에 장착되는 크랭크축 회전각 센서 (182) (도 1 참조) 에 전기 접속된다. 캠축 회전각 센서 하니스 (178) 는, 플라이 휠 하우징 (7) 의 좌상 가장자리부에 장착되는 캠축 회전각 센서 (183) (도 1 참조) 에 전기 접속된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의 좌우 중앙부에는, 상하로 배열되는 걸림 부재 장착부 (185, 186) 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걸림 부재 장착부 (185) 는,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의 위 근처 부위에서, 우 EGR 쿨러 연결부 (34) 와 제 1 중앙 장착부 (123c)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다. 하측의 걸림 부재 장착부 (186) 는,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의 아래 근처 부위에서, 좌우의 EGR 쿨러 연결부 (33, 34) 사이에서 상측 걸림 부재 장착부 (185) 의 직하의 위치에 배치된다.
도 22 및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에 대치하는 부분의 회전각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5) 는, 상하의 걸림 부재 장착부 (185, 186) 에 장착되는 걸림 부재 (187, 188) 에 의해,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회전각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5) 는, 하니스 집합체 (174) 로부터, 우 EGR 쿨러 연결부 (34) 와 지지대 (121) 의 제 1 중앙 다리부 (121c) 사이와, 실린더 헤드 (2) 와 EGR 쿨러 (27) 사이를 통과하여,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 아래 가장자리 부위에 대치하는 위치로 유도된다.
EGR 쿨러 (27) 는, 실린더 헤드 (2) 의 전측면에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좌우 1 쌍의 EGR 쿨러 연결부 (33, 34) 에 장착된다. 그리고, EGR 쿨러 (27) 의 이면과 실린더 헤드 (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에 회전각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5) 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 형성함으로써, 회전각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5) 를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회전각 센서 하니스 집합체 (175) 의 레이아웃 설계가 용이해진다.
또, 실린더 헤드 커버 (18) 의 측면과 지지대 (12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을 이용하여, 하니스 집합체 (171, 174) 및 하니스 (172, 173, 176) 를 배치함으로써, 이들 하니스 및 하니스 집합체를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하니스의 레이아웃 설계가 용이해진다.
도 1 내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 은, 실린더 헤드 (2) 의 일 측면인 배기 측면 (예를 들어 좌측면) 에 형성되는 배기 매니폴드 (4) 와, 배기 매니폴드 (4) 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구동하는 2 단 과급기 (30) 를 구비한다. 2 단 과급기 (30) 는, 배기 매니폴드 (4) 에 연결하는 고압단 과급기 (51) 와, 고압단 과급기 (51) 에 연결하는 저압단 과급기 (52) 로 구성된다. 고압단 과급기 (51) 는 배기 매니폴드 (4) 의 측방에 배치되고, 저압단 과급기 (52) 는 배기 매니폴드 (4) 의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배기 매니폴드 (4) 와 2 단 과급기 (30) 를 대략 사각 프레임 내에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엔진 (1) 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압단 과급기 (51) 의 고압단 배기 출구 (58) 와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배기 입구 (60) 는, 가요성을 갖는 배관의 일례로서의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열 신장에 의한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의 저사이클 피로 파괴의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엔진 (1) 에 있어서, 저압단 과급기 (52) 는 실린더 헤드 (2) 의 배기 측면에 고정되고, 고압단 과급기 (51) 는 배기 매니폴드 (4) 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2 단 과급기 (30) 를 구성하는 고압단 과급기 (51) 와 저압단 과급기 (52) 를 견뢰한 실린더 헤드 (2) 및 배기 매니폴드 (4) 에 배분하여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압단 과급기 (51) 의 고압단 배기 출구 (58) 와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배기 입구 (60) 는, 가요성을 갖는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 배기 가스 배관 (59) 의 열 신장에서 기인하여 2 단 과급기 (30) 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고압단 과급기 (51) 와 배기 매니폴드 (4) 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응력과, 저압단 과급기 (52) 와 실린더 헤드 (2) 의 연결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이들 연결부에 있어서의 연결 불량이나 연결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헤드 (2) 는, 그 내부에, 배기 측면에 있어서의 저압단 과급기 장착부 (131) 로부터, 배기 측면에 대향하는 흡기 측면 (예를 들어 우측면) 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리브 (135) 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실린더 헤드 (2) 에 있어서 저압단 과급기 장착부 (131) 의 주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린더 헤드 (2) 에 대한 저압단 과급기 (52) 의 장착에서 기인하는 실린더 헤드 (2) 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엔진 (1) 은, 엔진 (1) 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를 구비한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배기 입구로서의 배기 가스 입구관 (116) 은, 상기 배기 측면에 교차하는 실린더 헤드 (2) 의 2 측면 중 일방의 측면과 상기 배기 측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의 근방에 배치되고, 저압단 과급기 (52) 는, 배기 측면측으로부터 보아, 상기 일방의 측면 근처에 배치됨과 함께,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배기 출구 (61) 가 상기 일방의 측면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 (1) 은,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배기 출구 (61) 와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배기 가스 입구관 (116) 을 연결하는 배관의 일례로서의 배기 연결관 (119) 및 배기 연결 부재 (120) 를 짧게 또한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에 공급되는 배기 가스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어,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재생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헤드 (2) 의 상방에서,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 (19) 의 블로바이 가스 출구 (70) 가 실린더 헤드 (2) 의 상기 일방의 측면과는 반대측의 타방의 측면 근처의 위치에서 배기 측면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신기 입구 (63) 가 상기 타방의 측면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또,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신기 입구 (63) 에 연결하는 급기관 (62) 에 블로바이 가스 출구 (70) 가 환원 호스 (68) 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 (1) 은,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 (19) 의 블로바이 가스 출구 (70) 와, 저압단 과급기 (52) 의 저압단 신기 입구 (63) 에 연결하는 급기관 (62) 의 양방을 실린더 헤드 (2) 의 상기 타방의 측면 근처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환원 호스 (68) 를 짧게 할 수 있어, 환원 호스 (68) 내부의 동결 대책이 불필요해진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11 ∼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 은, 실린더 헤드 (2) 의 상방에 지지대 (121) 를 개재하여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를 구비한다. 지지대 (121) 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가 탑재되는 평면부 (121a) 와, 평면부 (121a) 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실린더 헤드 (2) 에 고정되는 복수의 다리부 (121b, 121c, 121d, 121e) 를 구비한다. 평면부 (121a) 와 다리부 (121b, 121c, 121d, 121e) 는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 (121b, 121c, 121d, 121e) 끼리의 사이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일체 성형 구조 및 아치 형상에 의해, 지지대 (121) 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지지대 (121) 를 일체 성형 부품으로 함으로써,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복수의 다리부 (121b, 121c, 121d, 121e) 사이에 아치 형상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지지대 (121) 의 다리부 주변에서 열 고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다리부 주변에 탑재되는 센서의 일례로서의 배기 압력 센서 (151) 등의 전자 부품에 대한 열해나, EGR 쿨러 (27) 등의 냉각 부품의 냉각 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엔진 (1) 은, 서로 대향하는 실린더 헤드 (2) 의 배기 측면과 흡기 측면에 배기 매니폴드 (4) 와 흡기 매니폴드 (3) 가 배분하여 배치되는 구성이다. 지지대 (121) 는, 크랭크축 (5) 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실린더 헤드 (2) 의 2 측면 중 일방의 측면의 상방에 배치됨과 함께, 다리부로서, 배기 측면에 고정되는 배기측 다리부 (121b) 와, 흡기 측면에 고정되는 흡기측 다리부 (121e) 와, 상기 일방의 측면에 고정되는 중앙 다리부 (121c, 121d) 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 (1) 은, 실린더 헤드 (2) 의 배기 측면과 흡기 측면과 상기 일방의 측면의 합계 3 면에 지지대 (121) 를 고정시킬 수 있어,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배기측 다리부 (121b) 와 제 1 중앙 다리부 (121c) 사이와, 흡기측 다리부 (121e) 와 제 2 중앙 다리부 (121d) 사이에서, 양아치 형상의 높이나 크기 등을 서로 상이하게 하거나, 배기측 다리부 (121b) 와 흡기측 다리부 (121e) 의 길이를 상이하게 하거나 함으로써, 흡기측과 배기측의 진동을 지지대 (121) 에서 상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00) 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엔진 (1) 은, 실린더 헤드 (2) 의 상기 2 측면 중 타방의 측면측에 냉각 팬 (9) 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실린더 헤드 (2) 상의 실린더 헤드 커버 (18) 와 지지대 (121) 사이에 냉각 팬 (9) 으로부터의 냉각풍 (149) 이 흐르는 냉각풍 통로 (148)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 (1) 은, 냉각 팬 (9) 으로부터의 냉각풍을 실린더 헤드 (2) 의 상기 일방의 측면측으로 냉각풍 통로 (148) 를 통하여 안내할 수 있어, 실린더 헤드 (2) 의 상기 일방의 측면 주변을 적절히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 (1) 은, 배기 매니폴드 (4) 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일부를 EGR 가스로서 흡기 매니폴드 (3) 로 복귀시키는 EGR 장치 (24) 와, EGR 가스를 냉각시키는 EGR 쿨러 (27) 와, 배기 매니폴드 (4) 내의 배기 가스 압력을 검출하는 배기 압력 센서 (151) 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실린더 헤드 (2) 의 상기 일방의 측면에, EGR 쿨러 (27) 와 배기 압력 센서 (151) 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 팬 (9) 으로부터 냉각풍 통로 (148) 를 통하여 상기 일방의 측면으로 유도되는 냉각풍 (149) 에 의해, EGR 쿨러 (27) 의 냉각 촉진과, 배기 압력 센서 (151) 의 열해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엔진 (1) 에서는, 실린더 헤드 (2) 의 흡기 측면에 흡기 매니폴드 (3) 가 일체 성형되어 있고, 흡기측 다리부 (121e) 는, 흡기 매니폴드 (3) 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견뢰한 흡기 매니폴드 (3) 상에 흡기측 다리부 (121e) 를 재치하여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흡기측 다리부 (121e) 를 흡기 매니폴드 (3) 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의 체완 작업을 실린더 헤드 (2) 의 상방측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실린더 헤드 (2) 의 흡기 측면의 측방에 배치되는 EGR 장치 (24) 를 흡기 매니폴드 (3) 에 장착한 상태에서, 지지대 (121) 의 장착 작업 및 탈착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엔진 (1) 의 조립 작업성 및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17 ∼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 은, 실린더 헤드 (2) 의 배기 측면에 형성되는 배기 매니폴드 (4) 와, 배기 매니폴드 (4) 내의 배기 가스 압력을 검출하는 배기 압력 센서 (151) 를 구비한다. 배기 압력 센서 (151) 는 실린더 헤드 (2) 에 장착되고, 배기 매니폴드 (4) 와 배기 압력 센서 (151) 는, 실린더 헤드 (2) 내에 형성한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와,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와 배기 매니폴드 (4) 를 연결하는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열을 실린더 헤드 (2) 에서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엔진 (1) 은, 배기 매니폴드 (4) 및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열에서 기인하는 배기 압력 센서 (151) 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하면서,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신뢰성이 향상됨과 함께, 배기 압력 검출용 배관 (154) 의 배치가 용이해지고, 설계 공수의 저감이나 엔진 (1) 의 제조성 및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엔진 (1) 에서는, 실린더 헤드 (2) 내에서,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의 근방에 냉각수로 (38)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내의 가스 온도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엔진 (1) 은,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내의 가스로부터 배기 압력 센서 (151) 에 전달되는 열을 허용 범위 내에 들어가게 하면서,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를 짧게 할 수 있어, 실린더 헤드 (2) 에 대한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엔진 (1) 은, 배기 매니폴드 (4) 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일부를 EGR 가스로서 흡기 매니폴드 (3) 로 복귀시키는 EGR 장치 (24) 와, EGR 가스를 냉각시키는 EGR 쿨러 (27) 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실린더 헤드 (2) 는, 상기 배기 측면에 교차하는 실린더 헤드 (2) 의 2 측면 중 일방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1 쌍의 EGR 쿨러 연결부 (33, 34) 를 구비하고, 냉각수로 (38) 는, 일방의 EGR 쿨러 연결부 (33) 내를 통과하여 EGR 쿨러 (27) 에 연결되어 있고,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는, EGR 쿨러 연결부 (33) 내를 통과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 (1) 은, 배기 압력 바이패스 경로 (153) 내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열에서 기인하는 배기 압력 센서 (151) 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압력 센서 (151) 는, 1 쌍의 EGR 쿨러 연결부 (33, 34) 사이에서 실린더 헤드 (2) 의 상기 일방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배기 압력 센서 장착부 (152) 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 (1) 은, 배기 압력 센서 (151) 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열에서 기인하는 배기 압력 센서 (151) 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 엔진 (엔진 장치)
2 : 실린더 헤드
3 : 흡기 매니폴드
4 : 배기 매니폴드
30 : 2 단 과급기
51 : 고압단 과급기
52 : 저압단 과급기
59 : 고압 배기 가스 배관 (가요성을 갖는 배관)
131 : 저압단 과급기 장착부
135 : 리브
100 : 배기 가스 정화 장치
116 : 배기 가스 입구관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 입구)
19 : 블로바이 가스 환원 장치
70 : 블로바이 가스 출구
63 : 저압단 신기 입구 (저압단 과급기의 신기 입구)
62 : 급기관
68 : 환원 호스

Claims (4)

  1. 배기 매니폴드와 과급기를 구비하는 엔진 장치로서,
    상기 과급기는, 고압단 과급기와 저압단 과급기에 의한 2 단 과급기로 구성되고,
    상기 고압단 과급기는, 상기 배기 매니폴드에 장착되고,
    상기 저압단 과급기는, 상기 배기 매니폴드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고압단 과급기와 상기 저압단 과급기가 연결되어 있는, 엔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단 과급기는, 상기 배기 매니폴드의 근방에 배치되는, 엔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단 과급기는, 상기 고압단 과급기보다 상기 고압단 과급기의 배기 출구측에 배치되는, 엔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매니폴드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배기 입구는, 상기 저압단 과급기보다 상기 배기 출구측에 배치되는, 엔진 장치.
KR1020227005221A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KR20220025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4429A KR102651205B1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0185 2017-03-24
JP2017060185A JP6675346B2 (ja) 2017-03-24 2017-03-24 エンジン装置
KR1020217001126A KR20210008168A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PCT/JP2017/044510 WO2018173385A1 (ja) 2017-03-24 2017-12-12 エンジン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126A Division KR20210008168A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429A Division KR102651205B1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278A true KR20220025278A (ko) 2022-03-03

Family

ID=6358633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429A KR102651205B1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KR1020247009207A KR20240042182A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KR1020217001126A KR20210008168A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KR1020227005221A KR20220025278A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KR1020197021911A KR102205821B1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429A KR102651205B1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KR1020247009207A KR20240042182A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KR1020217001126A KR20210008168A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911A KR102205821B1 (ko) 2017-03-24 2017-12-12 엔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408324B2 (ko)
EP (2) EP3604760A4 (ko)
JP (1) JP6675346B2 (ko)
KR (5) KR102651205B1 (ko)
CN (1) CN110402326A (ko)
WO (1) WO2018173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1876B2 (ja) * 2017-03-24 2020-07-29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6619375B2 (ja) * 2017-03-24 2019-12-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7221702B2 (ja) * 2019-01-11 2023-02-14 株式会社クボタ 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US11118541B2 (en) * 2019-11-19 2021-09-14 Transportation Ip Holdings, Llc Turbocharger support system
JP7448755B2 (ja) * 2021-03-18 2024-03-13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の支持構造および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785B2 (ko) 1973-02-16 1977-09-24
JP4517550B2 (ja) 2001-08-13 2010-08-04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用ターボチャージャ付エンジン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785U (ko) 1975-08-06 1977-03-17
KR100198121B1 (ko) * 1994-12-28 1999-06-15 류정열 자동차의 터보차저 지지구조
SE525218C2 (sv) * 2003-05-15 2004-12-28 Volvo Lastvagnar Ab Turboladdarsystem för en förbränningsmotor innefattande två seriellt och väsentligen koncentriskt med rotationsaxlarna placerade turboenheter
JP4265365B2 (ja) * 2003-10-17 2009-05-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
JP2007263033A (ja) * 2006-03-29 2007-10-11 Isuzu Motors Ltd 過給機付エンジン
JP5237785B2 (ja) 2008-12-24 2013-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過給装置付き内燃機関
JP5443027B2 (ja) * 2009-03-16 2014-03-1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GB2470051B (en) * 2009-05-07 2013-08-07 Cummins Turbo Tech Ltd Turbocharger mounting arrangement and method
JP4941512B2 (ja) * 2009-06-12 2012-05-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搭載用のターボ過給機付エンジン
JP5390281B2 (ja) 2009-07-02 2014-01-15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JP5616194B2 (ja) * 2010-01-14 2014-10-29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JP5571408B2 (ja) * 2010-02-19 2014-08-1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多気筒内燃機関
DE102011101506B4 (de) * 2010-05-17 2015-06-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Motor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JP5471899B2 (ja) * 2010-06-30 2014-04-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エンジンのターボ過給機の潤滑装置
US10316741B2 (en) * 2010-10-14 2019-06-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rbocharged combustion system
JP5879685B2 (ja) * 2010-12-28 2016-03-0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多段過給装置
US8991355B2 (en) * 2011-12-01 2015-03-31 Loncin Motor Co., Ltd. Cylinder head of small-sized general-purpose gasoline engine and gasoline engine having the same
DE102012223643A1 (de) * 2012-12-18 2014-06-18 Mahle International Gmbh Abscheideeinrichtung für eine Aerosolströmung
JP6109041B2 (ja) * 2013-10-28 2017-04-05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6226775B2 (ja) * 2014-02-26 2017-11-08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6414412B2 (ja) * 2014-08-07 2018-10-3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システム
JP6322118B2 (ja) 2014-10-15 2018-05-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6522410B2 (ja) * 2015-04-27 2019-05-2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785B2 (ko) 1973-02-16 1977-09-24
JP4517550B2 (ja) 2001-08-13 2010-08-04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用ターボチャージャ付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821B1 (ko) 2021-01-20
US11408324B2 (en) 2022-08-09
EP3604760A1 (en) 2020-02-05
EP4112903A1 (en) 2023-01-04
EP3604760A4 (en) 2020-05-06
KR102651205B1 (ko) 2024-03-25
US20200095918A1 (en) 2020-03-26
KR20210008168A (ko) 2021-01-20
KR20240042182A (ko) 2024-04-01
CN110402326A (zh) 2019-11-01
US20220349332A1 (en) 2022-11-03
KR20230066479A (ko) 2023-05-15
KR20190092591A (ko) 2019-08-07
WO2018173385A1 (ja) 2018-09-27
JP6675346B2 (ja) 2020-04-01
JP2018162713A (ja)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589B1 (ko) 엔진 장치
KR102180861B1 (ko) 엔진 장치
KR102651205B1 (ko) 엔진 장치
JP2023145789A (ja) エンジン装置
JP2023001225A (ja) エンジン装置
JP7491866B2 (ja) 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9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427

Effective date: 202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