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941A - beverage supply - Google Patents

beverage supp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941A
KR20220024941A KR1020227002522A KR20227002522A KR20220024941A KR 20220024941 A KR20220024941 A KR 20220024941A KR 1020227002522 A KR1020227002522 A KR 1020227002522A KR 20227002522 A KR20227002522 A KR 20227002522A KR 20220024941 A KR20220024941 A KR 20220024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unit
beverage
postur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5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6681B1 (en
Inventor
겐야 나가요시
유키히데 모치다
게이스케 가토
다이치 모우리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4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9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the flow being started or stopped by means actuated by the vessel to be filled, e.g. by switches, weig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공급부(23)에 배치된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C)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한 음료를, 음료 공급부(23)를 구성하는 노즐(232)로부터 토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컵(C)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 상태가 되는 양태로, 컵(C)을 배치하는 배치부(236)와, 배치부(236)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32)와,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제2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컵(C)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부(40a)를 구비하고 있다.With respect to the bottomed cylindrical cup (C) arrang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3), the beverage generated by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11)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constituting the beverage supply unit (23) and supplied. As a supply device, the cup C is dispos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in the first state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while being in the second state when the weight of the cup C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placing unit 236 to be used, the posture detecting unit 32 for detecting that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 any on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the posture detecting unit 32 , the arrangement unit 236 is set to the first When it is detected that it is in the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ce in the cup C, whi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lacing unit 236 is in the second state by the posture detecting unit 32,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C is in the second state. A determination unit 40a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up C is provided by determining that there is ice in the cup.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beverage supply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 등의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supply device such as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종래,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는, 커피 머신 등의 음료 공급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음료 공급 장치는, 이용자에 의해 음료가 선택된 경우에, 예컨대 커피 원두 분쇄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 등을 행하여 음료를 생성하고,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컵에 대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BACKGROUND ART Beverage supply devices such as coffee machines are conventionally installed in stor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The beverage supply device generates a beverage by performing, for example, extraction processing of coffee bean grinding and dripping when a beverage is selected by a user, and supplies the beverage to a cup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그와 같은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음료 공급부에 컵이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컵을 검출한 경우에만 음료의 공급을 행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In such a beverage supply device,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beverage supply unit detects whether a cup is disposed, and supplies the beverage only when the cup is detect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7476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274767

그런데, 최근의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공급하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컵의 종류를 변경하는 것이 있다. 예컨대, 핫 음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종이제의 컵을 이용하도록 하고, 콜드 음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얼음이 든 투명 수지제의 컵을 이용하도록 한 음료 공급 장치가 있다.By the way, in recent beverage supply apparatuses, the type of cup use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to be supplied. For example, there is a beverage supply device in which a paper cup is used when hot beverage is supplied, and a transparent resin cup with ice inside is used when cold beverage is supplied.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컵의 종류와, 공급 지시된 음료의 종류가 적절한 조합이 아닌 경우, 음료의 공급을 실시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잘못해서 종이제의 컵에 대하여, 콜드 음료용으로 추출된 음료가 공급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such a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type of the cup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and the type of beverage instructed to be supplied are not an appropriate combination,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not to supply the beverage. That is, if the beverage supply unit ha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up,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situation in which the beverage extracted for the cold beverage is accidentally supplied to the paper cup.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컵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supply device capable of favorably determining the type of cu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상기 음료 공급부를 구성하는 노즐로부터 토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 상태가 되는 양태로, 상기 컵을 배치하는 배치부와,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2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cup having a bottom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the beverage generated by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by discharging from a nozzle constituting the beverage supply unit to supply As a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it is in a first state, and when the weight of the c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it is in a second state. ,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at the disposition unit is in any on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second stat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up is provid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것이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 자세와,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 사이에서 상기 컵을 요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치부가 경사 자세 및 상기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경사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nozzle discharges the beverage in a vertical direction downward, and the arrangement unit has a central axis of the cup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The cup is oscillating between an inclined posture allowing the beverage ejected from the nozzle to come into contact with an arbitrary location on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and a standing posture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parallel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it becomes the inclined posture, while when the weight of the cu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t becomes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detection unit includes: It is to detect any one of postures, and when the determination uni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in the inclined posture by the detection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ce in the cup, while the arrangement is determined by the detec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the cup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osition is in the standing pos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20°∼45°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arrangement unit is in the inclined posture,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rearward by 20° to 45°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치부를 제3 상태로 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a drive unit that sets the arrangement unit to a third stat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hat there is no ice in the cup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것이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 자세와,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 사이에서 상기 컵을 요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경사 자세와 상기 기립 자세 사이의 대기 자세가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대기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치부가 상기 대기 자세 및 상기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대기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nozzle discharges the beverage in a vertical direction downward, and the arrangement unit has a central axis of the cup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The cup is oscillating between an inclined posture allowing the beverage ejected from the nozzle to come into contact with an arbitrary location on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and a standing posture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parallel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In a normal state, the standing posture is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the stand-by posture is obtained, while the weight of the c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becomes the standing posture,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any one of the standby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determination uni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the stand-by posture by the detection unit to determine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ile determining that the placing unit is in the standing posture by the detection unit,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thereby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up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치부를 상기 경사 자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drive unit sets the placement unit to the inclination postur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hat there is no ice in the cup.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3°∼18°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arrangemen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osition is in the standby position,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backward by 3° to 18°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20°∼60°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arrangement portion is in the inclined posture,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rearward by 20° to 60°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음료의 토출 종료 후에, 상기 배치부를 상기 경사 자세로부터 상기 대기 자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drive unit sets the arrangement unit from the inclined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fter the discharging of the beverage from the nozzle is finished.

본 발명에 따르면, 배치부가,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 상태가 되는 양태로, 상기 컵을 배치하고, 검출부가, 배치부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판정부가, 검출부에 의해 배치부가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검출부에 의해 배치부가 제2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컵의 종류를 판정하기 때문에, 컵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카메라 등의 고가의 촬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컵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osing unit is placed in the first state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while the cup is placed in the second state when the weight of the cu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cup is arranged, and the detection unit , detects that the placing unit is in any on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th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en the detecting unit detects that the placing unit is in the first state, while the detecting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ic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lacement part is in the second state by the method, since the type of the cup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it is not affected by the material or surface state of the cup.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etermine the kind of cup favorably is exhibited without requiring an expensive imaging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음료 공급 장치의 중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배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배치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배치부에 컵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배치부의 중요부에서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배치부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나타낸 배치부에 컵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나타낸 배치부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낸 자세 검출부의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나타낸 자세 검출부의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제어부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컵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의 (a)는 경사 자세의 컵에 음료를 토출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15의 (b)는 기립 자세의 컵에 음료를 토출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의 (a) 및 (b)는 조정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의 (a) 및 (b)는 배치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나타낸 음료 공급 장치의 중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배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배치부가 대기 자세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배치부가 기립 자세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배치부가 경사 자세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19에 나타낸 제어부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있어서의 컵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which is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ystem of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important part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shown in Figure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3;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portion shown in Fig. 3;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is arranged in the arrangement section shown in Fig. 3;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ortant part of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6;
Fig. 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6;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is arranged in the arrangement section shown in Fig. 3;
Fig. 10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3;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detection state of the attitude|position detection part shown in FIG.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detection state of the attitude|position detection part shown in FIG.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contents of a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contents of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13 .
Fig. 15 (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of discharging a beverage to a cup in an inclined position, and Fig. 15 (b)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of discharging a beverage to a cup in a standing position.
16(a) and (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djustment means.
17(a) and (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rrangement part.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ystem of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important part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shown in FIG. 18 .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part shown in Fig. 20;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state in which an arrangement|positioning part is a stand-by attitude|position.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state in which an arrangement|positioning part is a standing posture.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state in which an arrangement|positioning part is an inclination attitude|position.
Fig. 2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9;
FIG. 26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contents of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25 .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and 2 respectively show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ystem.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이며, 예컨대 커피 원두 분쇄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를 행하여, 용기인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C)에, 예컨대 카페라테 등의 유음료를 포함한 커피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The beverage supply device exemplified here is, for example,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and performs extraction processing for, for example, grinding and dripping coffee beans, and pours, for example, a caffe latte or the like into a cylindrical cup C having a bottom as a container. Providing coffee drinks, including milk drinks. Such a beverage supply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apparatus main body (1).

여기서 컵(C)으로서는, 콜드 음료 전용의 것과, 핫 음료 전용의 것이 있다. 콜드 음료 전용의 컵(C)은, 무색이며 투명한 투명 수지제의 것이고, 음료가 공급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미리 내부에 얼음(도시하지 않음)이 든 것이다. 이 콜드 음료 전용의 컵(C)은, 내부의 얼음이 융해되지 않도록 냉동고의 내부에서 냉동 보관되고 있다. 핫 음료 전용의 컵(C)은, 백색이며 불투명한 종이제의 것이고, 콜드 음료 전용의 컵(C)과 대략 동일한 형상,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핫 음료 전용의 컵(C)은, 내부가 빈 상태로 상온 보관되고 있다.Here, as the cup C, there are those for cold drinks and those for hot drinks.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cold drink is made of a colorless and transparent transparent resin, and contains ice (not shown) in advance in a state before the drink is supplied.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is cold drink is stored frozen inside the freezer so that the ice inside does not melt.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hot beverage is made of white and opaque paper, and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nd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s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cold beverage.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is hot drink is stored at room temperature in an empty state.

장치 본체(1)는, 본체 캐비닛(10) 및 전면 도어(20)를 구비한다. 본체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한 대략 직방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료(예컨대 카페라테 등의 커피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11)가 마련되어 있다.The device body 1 includes a body cabinet 10 and a front door 20 . The main cabinet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front. A beverage generating unit 11 for generating a beverage (eg, a coffee beverage such as caffe latte) is provided inside the main cabinet 10 .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폐색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도어체이다. 이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방측의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는 축부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ront door 20 is a door body having a size sufficient to close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body cabinet 10 . The front door 20 is provided so as to be oscillating around the central axis of a shaft (not show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edge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cabinet 10 ,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이러한 전면 도어(20)는, 전면이 접객면을 구성하고, 표시부(21) 및 개폐 도어(22)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1)는, 예컨대 액정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터치 조작 등의 입력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21a)를 갖고 있다.The front door 20 constitutes a customer service surface, and a display unit 21 and an opening/closing door 22 are provided. The display unit 21 is constituted of,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touch panel,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has an input unit 21a capable of input operation such as touch operation.

개폐 도어(22)는, 예컨대 투명한 수지 등의 투광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를 덮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 개폐 도어(22)는, 좌측 단부가 전면 도어(20)에 축 지지되어 있어,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것이다. 즉, 개폐 도어(22)는, 음료 공급부(23)에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3)에 근접하는 양태로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를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3)로부터 이격하는 양태로 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입구(231)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made of, for example,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such as a transparent resin, and has a size sufficient to cover the inlet 23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3 as shown in FIG. 3 .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front door 20 at the left end thereof, and is swing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opening/closing door 22 can sw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manner that is close to and spaced from the beverage supply unit 23, and when it swings backward in a manner close to the beverage supply unit 23, the beverage supply unit 23 of It is possible to close the inlet 231 , and to open the inlet 231 when swinging forward in a manner away from the beverage supply 23 .

음료 공급부(23)는, 표시부(21)의 하방측에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음료 공급부(23)는, 노즐(232), 스테이지(233), 후벽(234), 측벽(235) 및 배치부(236)를 갖고 있다.The beverage supply unit 23 is configured by providing a recess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21 . The beverage supply unit 23 includes a nozzle 232 , a stage 233 , a rear wall 234 , a side wall 235 , and an arrangement unit 236 .

노즐(232)은,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음료를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토출하는 것이다. 스테이지(233)는, 노즐(232)의 하방역에 마련되어 있다. 이 스테이지(233)에는, 노즐(232)로부터 토출되어 컵(C)에 공급되지 않은 음료를 통과시키는 통과 구멍(23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방에는 음료를 저류하기 위한 트레이(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후벽(234)은, 스테이지(233)의 후면을 덮는 것이다. 측벽(235)은, 스테이지(233)의 양 측면을 덮는 것이다.The nozzle 232 is to discharge the beverage generated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11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tage 233 is provided below the nozzle 232 . The stage 233 is provided with a passage hole 233a through which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and not supplied to the cup C passes, and a tray (not shown) for storing the beverage is formed below the stage 233 . is provided. The rear wall 234 covers the rear surface of the stage 233 . The side walls 235 cover both sides of the stage 233 .

배치부(23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수지재에 의해 성형한 것으로서,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로 상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착편(236a)에 형성된 부착 구멍을 관통하는 요동축 부재(2361)가, 측벽(235)에 가설됨으로써, 상기 요동축 부재(2361)의 중심축 둘레로 상기 요동축 부재(2361)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mounting portion 236 is formed of,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and passes through an attachment hole formed in an attachment piece 236a that protrudes upward in a left-right paired manner. 2361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235 so as to be able to swing together with the swing shaft member 2361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wing shaft member 2361 .

이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 및 후벽부(236c, 236d)를 갖고 있다. 바닥부(236b)는, 컵(C)을 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후벽부(236c, 236d)는, 바닥부(236b)에 대하여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이며 서로 이격된 양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 후벽부(236c, 236d)는, 전방을 향하여 상호 간격이 점차 증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This arrangement portion 236 has a bottom portion 236b and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The bottom part 236b is for arranging the cup C. The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are provided in a manner to be a pair of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bottom portion 236b a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se rear wall parts 236c and 236d are provided so that the mutual space|interval may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front.

이러한 배치부(236)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거나, 또는 자기 중량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36b)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 자세(제1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배치부(23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36b)에 핫 음료 전용의 컵(C)이 배치된 경우에도 경사 자세를 유지한다. 즉, 배치부(236)는,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경사 자세가 되는 것이다.In a normal state, the arrangement portion 236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support means (not shown) or by its own weight, as shown in FIG. 5 , gradually upward as the bottom portion 236b faces forward. It becomes an inclination attitude|position (1st state) which inclines. As shown in FIG. 6, this arrangement|positioning part 236 maintains an inclined attitude|position even when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a hot drink is arrange|positioned at the bottom part 236b. That is, when the inside of the arranged cup C is empty, the arrangement|positioning part 236 becomes an inclination attitude|position.

그런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핫 음료 전용의 컵(C)이 배치되는 경우, 바닥부(236b)는 컵(C)의 바닥면에 접한다. 또한 후벽부(236c, 236d)는, 서로 전방을 향하여 상호 간격이 점차 증대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이 컵(C)의 외주벽부의 일부에 접한다. 이에 의해 배치부(236)는, 컵(C)이 경사진 자세에서 전동하는 것을 규제한 상태로, 즉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By the way, as shown in FIG. 6, when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a hot drink is arrange|positioned, the bottom part 236b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C. As shown in FIG. In addition, since the rear wall parts 236c and 236d are provided so that the mutual space|interval may increase mutually toward the front, each contact|connects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part of the cup C, as shown in FIG. Thereby, the placement part 236 can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cup C in the inclined posture is restricted, that is, in a position determined.

그와 같은 배치부(236)는, 경사 자세인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면(G)에 대하여 경사각(α)으로 바닥부(236b)가 경사진다. 즉, 노즐(232)이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음료를 토출하기 때문에, 배치부(236)는,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중심축(C1)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연직 방향)(H)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각(α)(20°∼45°)으로 경사진다. 그리고, 그와 같은 경사각(α)으로 경사 자세인 경우,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가 컵(C)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접촉하는 것을 허용한다.As for such an arrangement|positioning part 236, in the case of an inclination attitude|position, the bottom part 236b inclin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G at the inclination angle (alpha) with respect to FIG. 8 as shown. That is, since the nozzle 232 discharges the beverag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arrangement unit 236 , the central axis C1 of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hot beverage is positioned in the discharge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nozzle 232 . ) (H) at a rearward inclination angle α (20° to 45°). And, in the case of an inclined posture at such an inclination angle α,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is allowed to contact any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cup C. As shown in FIG.

그와 같은 배치부(236)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36b)에 콜드 음료 전용의 컵(C), 즉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예컨대 100 g 정도; 이하, 소정값이라고도 함) 이상이 되는 컵(C)이 배치된 경우, 컵(C)의 중심축(C1)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연직 방향)과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제2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배치부(236)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내부에 노즐(232)로부터 음료가 투입되는 결과, 투입량의 증대에 따라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컵(C)의 중심축(C1)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과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다.9, as shown in FIG. 9,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cold beverages, that is, the weight of the cup C at the bottom portion 236b, is a predetermined size (eg, about 100 g;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predetermined value). ) When the cup C that is an abnormality is disposed, the central axis C1 of the cup C becomes a standing posture (second state) in which the central axis C1 of the nozzle 232 is parallel to the discharge direction H (vertical direction) will b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in the arrangement part 236, as a result of injecting the beverage from the nozzle 232 into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hot beverage, the weight of the cup C i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input amount. When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alue, the central axis C1 of the cup C becomes in a standing posture parallel to the discharge direction H of the nozzle 232 .

즉, 배치부(236)는,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경사 자세가 되는 한편,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축 부재(2361)의 좌단 부분에는 댐퍼 부재(2362)가 연계되어 있어, 경사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의 요동에 있어서는 그 요동 속도가 감속되도록 한다.That is, the placement unit 236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wing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is inclined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while the weight of the cup C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this case, it becomes a standing posture. Further, as shown in Fig. 4 or the like, a damper member 2362 is linked to the left end of the swing shaft member 2361, so that the swing speed is reduced when swinging from the inclined posture to the standing posture.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는, 컵 검출부(31)와, 자세 검출부(32)와, 도어 개폐 검지부(33)와,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와, 제어부(4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includes a cup detection unit 31 , a posture detection unit 32 ,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 a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 and a control unit 40 . .

컵 검출부(31)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음료 공급부(23)에 있어서의 컵(C)의 배치의 유무, 즉 배치부(236)에 컵(C)이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컵 검출부(31)는, 컵(C)의 유무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40)에 부여하는 것이다.The cup detection unit 31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cup C is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3 , that is, whether the cup C is disposed in the arrangement unit 236 . is to detect Such a cup detection unit 31 provides the control unit 40 with a detection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up C.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인지, 기립 자세인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세 검출부(32)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236)의 후방역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인 경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요소(321)와 수광 요소(322) 사이에 상기 배치부(236)의 피검출부(236e)가 개재되지 않고 온 상태가 되어, 제어부(40)에 자세 검출 신호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 한편,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기립 자세인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요소(321)와 수광 요소(322) 사이에 피검출부(236e)가 개재됨으로써 오프 상태가 되어, 제어부(40)에 대한 자세 검출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이다.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detects whether the arrangement unit 236 is an inclined posture or a standing posture. When it demonstrates in more detail, the attitude|position detection part 32 is comprised, for example by an optical sensor etc., and is provided in the area behind the arrangement|positioning part 236 as shown in FIG. 5 etc. FIG. Then,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22 , as shown in FIG. 11 , when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 the inclined posture, the detected portion 236e of the arrangement unit 236 . ) is turned on without intervening, and a posture detec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4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sitioning unit 236 is in the standing posture, the posture detecting unit 32 is turned off by interposing the detected unit 236e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22 as shown in FIG. 12 . becomes, and the output of the attitud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part 40 is stopped.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고, 예컨대 광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개폐 도어(22)에 의한 입구(231)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231)가 폐쇄, 즉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었는지의 여부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0)에 부여하는 것이다.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23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3 , and is constituted of,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or the like. This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detec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ntrance 231 by the opening/closing door 22, and more specifically, whether the entrance 231 is closed, that is,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closed. to detect whether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provides the control unit 40 with a detection result of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closed.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는,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는, 입구(231)를 폐쇄하는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는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개폐 도어(22)가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도어(22)가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의 전환은, 제어부(4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행해진다.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inlet 23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3 .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door 22 that closes the inlet 231 is closed, thereby regulating the forward swing of the opening/closing door 22; It is alternatively switchable between the unlocked states which allow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2 to swing forward. This switching of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is performed according to a command given from the control unit 40 .

제어부(40)는, 전술한 음료 생성부(11), 표시부(21), 컵 검출부(31), 자세 검출부(32), 도어 개폐 검지부(33),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억부(41)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 이들 각 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특징적인 것으로서 판정부(40a)를 갖고 있다.The control unit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11 , the display unit 21 , the cup detection unit 31 ,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 and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described above.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 electrically connected similarly, the operation of each of these units is collectively controlled, and a determining unit 40a is provided as a characteristic feature.

또한, 제어부(40)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IC(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병용하여 실현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may, for example, cause a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o execute a program, that is, may be realized by software, or may be realized by hardware such as an IC (Integrated Circuit). Alternatively, it may be realized by using software and hardware together.

판정부(40a)는, 후술하는 컵 판정 처리에 있어서, 자세 검출부(32)로부터의 자세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컵(C)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다.The determination unit 40a determines the type of the cup C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osture detection signal from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in a cup determinat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제어부(40)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면서 음료 공급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13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40 shown in FIG. 2 .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while explain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such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ing.

이 음료 공급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0)는, 컵 검출부(31)에 의해 컵(C)이 배치부(236)에 배치되었다고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1). 즉, 컵(C)이 음료 공급부(23)에 있다고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this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has been detected by the cup detection unit 31 that the cup C has been placed on the placement unit 236 (step S101).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detected that the cup C is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3 .

컵(C)이 있다고 검출된 경우(단계 S101: Yes), 제어부(40)는, 도어 개폐 검지부(33)의 검지 결과를 바탕으로, 개폐 도어(22)가 폐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2).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아닌 경우(단계 S102: No)에는, 단계 S102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up C is present (step S101: Yes),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clos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step S101). S102).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not closed (step S102: No), the judgment processing of step S102 is repeated.

한편, 제어부(40)는, 개폐 도어(22)가 폐쇄인 경우(단계 S102: Yes)에는, 컵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103).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closed (step S102: Yes), the control part 40 performs a cup determination process (step S103).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컵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컵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0)는, 자세 검출부(32)로부터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3a).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contents of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13 . In this cup determination processing,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ttitud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attitude detection unit 32 (step S103a).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단계 S103a: Yes), 제어부(40)는, 판정부(40a)를 통하여 배치된 컵(C)이 핫 음료 전용의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103b),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When there is input of the posture detection signal (step S103a: Yes),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40a that the disposed cup C is dedicated to hot drinks (step S103b), and thereafter the procedure is returned to end this process.

한편,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없었던 경우(단계 S103a: No), 제어부(40)는, 판정부(40a)를 통하여 배치된 컵(C)이 콜드 음료 전용의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103c),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posture detection signal (step S103a: No),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40a that the disposed cup C is dedicated to cold drinks (step S103c), and the After that, the order is returned to end this process.

그와 같이 하여 컵 판정 처리를 행한 제어부(40)는, 표시부(21)에 대하여, 상기 컵 판정 처리에서 판정한 종류의 컵(C)에 대응한 음료, 즉 공급해야 할 음료(핫 카페라테 음료 또는 아이스 카페라테 음료)의 표시와, 확인 등의 의미를 이루는 문언 또는 무늬가 표시된 입력부(21a)의 터치를 안내하는 안내 표시를 행한다(단계 S104).In this way, the control unit 40, which has performed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ing, sends to the display unit 21 a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up C determined in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ing, that is, a beverage to be supplied (hot caffe latte beverage). Alternatively, the display of the ice caffe latte beverage) and the guidance display for guiding the touch of the input unit 21a on which words or patterns constituting the meaning of confirmation or the like are displayed (step S104).

그 후, 제어부(40)는, 입력부(21a)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5). 입력부(21a)가 터치되지 않은 경우(단계 S105: No), 제어부(40)는, 단계 S105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입력부(21a)가 터치된 경우(단계 S105: Yes), 제어부(40)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를 이용하여 개폐 도어(22)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고(단계 S106), 음료 생성부(11)에 대하여, 공급하는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107).Then,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unit 21a has been touched (step S105). When the input unit 21a is not touched (step S105: No), the control unit 40 repeats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of step S105.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unit 21a is touched (step S105: Yes), the control unit 40 locks the opening/closing door 22 in a closed state using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step S106), and the beverage The production unit 11 is made to process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the beverage to be supplied (step S107).

그 후, 제어부(40)는, 음료 생성부(11)에 의한 음료 공급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8). 음료 공급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108: No)에는, 제어부(40)는, 단계 S107로 되돌아가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속행한다.After that,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everage supply by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11 has ended (step S108). If the beverage supply has not ended (step S108: No), the control unit 40 returns to step S107 and continues the processing of beverage production and supply.

한편, 음료 공급이 종료된 경우(단계 S108: Yes)에는, 제어부(40)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에 의한 개폐 도어(22)의 폐쇄 상태의 로크를 해제하고(단계 S109),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everage supply is finished (step S108: Yes), the control unit 40 unlocks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closing door 22 by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step S109), and the After that, the order is returned to end this proces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비는 경우에는,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자세가 되어 상기 컵(C)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노즐(232)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낙하 거리(토출 거리)(L1)를 저감시킬 수 있다. 더구나, 컵(C)에 투입되는 음료의 투입량의 증대에 의해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 자세가 되기 때문에, 이미 컵(C)에 투입된 음료에 의해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낙하 거리(L2)가 증대하여 과대한 것이 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토출 거리(L1, L2)를 저감시키면서 필요 이상으로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음료에 유음료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컵(C)의 음료의 액면에 큰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컵(C)의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cement unit 236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wing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when the placed cup C is empty, , as shown in Fig. 15 (a), in an inclined posture to allow the beverage ejected from the nozzle 232 to contact any loca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cup C, so that the beverage ejected from the nozzle 232 is The drop distance (discharge distance) L1 of the beverage can be reduced. Moreover, when the weight of the cup C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beverage injected into the cup C, the cup (C) is already in a standing posture as shown in Fig. 15 (b). The falling distance L2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by the beverage injected into C) increases and does not become excessive. Thereby, while reducing the discharge distances L1 and L2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it can be suppressed from increasing more than necessary, and even if the beverage contains milk beverage, the beverage in the cup C Generation of large bubbles on the liquid level can be suppressed. Thereby, according to the said drink supply apparatus, the fall of the quality of the drink of the cup C can be suppressed.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 경사 자세가 됨으로써, 컵(C)의 중심축(C1)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에 대하여 경사지는 양태로 상기 컵(C)을 경사지게 한 자세로 하는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가 컵(C)의 바닥면에 접하고, 각각의 후벽부(236c, 236d)가 컵(C)의 외주벽부의 일부에 접하기 때문에, 상기 컵(C)을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컵 검출부(31)에 의한 컵(C)의 검출 영역을 협소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it is inclined in an inclined posture, so that the central axis (C1) of the cup (C)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H) of the nozzle (232). As for the arrangement part 236 for setting the cup C in an inclined position, the bottom part 236b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C, and each of the rear wall parts 236c and 236d is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C. Since it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part, the said cup C can be maintained in a positioned state. Thereby, the detection area|region of the cup C by the cup detection part 31 can be made narrow, and reduction of manufacturing cost can be aimed at.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비는 경우에는 경사 자세가 되는 한편, 배치된 컵(C)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기립 자세가 되고, 자세 검출부(32)가,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 및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판정부(40a)가,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기립 자세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C)의 종류를 판정하기 때문에, 컵(C)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카메라 등의 고가의 촬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컵(C)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arrangement portion 236 is provided so as to be oscillating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when the inside of the placed cup C is empty, it becomes an inclined posture while the placed cup C is in an inclined posture. ) becomes a standing posture when the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the posture detecting unit 32 detects that the placing unit 236 is any one of an inclined posture and a standing posture, and the determining unit 40a, When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236 is an inclined postur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C does not contain ice, while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raises the placement unit 236 . When a posture is detected, since the type of the cup C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 contains ice, it is not affected by the material or surface state of the cup C. , moreover, expensive imaging means, such as a camera, is not required, and the kind of cup C can be judged favorably.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 1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일없이, 여러 가지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Various changes can be made.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배치부(236)가 컵(C)의 중량에 따라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함으로써 조정 수단을 구성하였었지만, 이러한 조정 수단은, 노즐의 자세를 변위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즉, 음료 공급 장치에 배치된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양태로 노즐의 자세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음료가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컵의 내부에 음료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음료의 투입량의 증대에 따라 상기 컵의 중심축이 노즐의 토출 방향과 평행해지는 양태로 노즐의 자세를 변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서도, 음료의 토출 거리가 과대한 것이 되지 않아, 상기 음료에 유음료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컵의 음료의 액면에 큰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컵의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1, the adjusting means was constituted by the disposing portion 236 swinging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up C. However, such adjusting means is for displacing the posture of the nozzle. good night. That is, when the inside of the cup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is empty,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by displacing the posture of the nozzle in such a way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is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On the other hand, when a beverage is poured into the cup, the position of the nozzle is displaced in such a way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cup becomes parallel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as the amount of the beverage increases. You can also make it happen. Even by this, the ejection distance of the beverage is not excessive, and even if the beverage contains milk beverag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large bubbles on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n the cup, thereby suppressing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beverage in the cup. can do.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배치부(236)가 컵(C)의 중량에 따라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함으로써 조정 수단을 구성하였었지만, 이러한 조정 수단은, 도 16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24) 및 노즐(232) 중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변위하는 것이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 the adjusting means was constituted by the placing portion 236 swinging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up C, but these adjusting means are shown in Figs. As shown in b), one of the arrangement part 24 and the nozzle 232 may be displac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relatively close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즉,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되는 기립 자세의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배치부(236)를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변위시켜 컵(C)과 노즐(232)을 근접 상태로 하고, 컵(C)의 내부에 음료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음료의 투입량의 증대에 따라 배치부(236)를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변위시켜 상기 컵(C)과 상기 노즐(232)을 상대적으로 이격시킨 이격 상태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서도, 음료의 토출 거리(L3, L4)가 과대한 것이 되지 않고, 상기 음료에 유음료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컵(C)의 음료의 액면에 큰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컵(C)의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6(a),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n the standing posture to be placed is empty, the placement part 236 is relatively displaced upward, and the cup C and the nozzle 232 are disposed. When a beverage is introduced into the cup (C), the placement unit 236 is relatively displaced downward as the amount of the beverage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16 (b). The cup C and the nozzle 232 may be relativ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ven by this, the discharge distances L3 and L4 of the beverage are not excessive, and even if the beverage contains milk beverag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large bubbles on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n the cup C,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the beverage of (C).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배치부(236)가 컵(C)의 중량에 따라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하는 것이었지만, 배치부(25)는, 도 17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232)에 대하여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변위하는 것이어도 좋다.In Embodiment 1 described above, the placement unit 236 swings between an inclined posture and a standing postur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up C, but the placement unit 25 is shown in Figs. 17 (a) and (b). As shown in , it may be displac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closely spaced with respect to the nozzle 232 .

즉,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되는 기립 자세의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배치부(25)를 상방으로 변위시킨 제1 상태로 하고, 컵(C)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25)를 하방으로 변위시킨 제2 상태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검출부(자세 검출부)(35)가, 배치부(25)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판정부가, 검출부(35)에 의해 배치부(25)가 제1 상태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검출부(35)에 의해 배치부(25)가 제2 상태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C)의 종류를 판정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7(a) ,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n the standing posture to be placed is empty, the placement part 25 is set to the first state displaced upward, and the cup C is When the weigh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as shown in FIG. 17B ,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placing portion 25 is displaced downward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detection unit (posture detection unit) 35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25 is in any on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placement unit 25 is removed by the detection unit 35 . When it is detected that it is in the 1st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ce in the cup C.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ion unit 35 detects that the placing unit 25 is in the second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C is in the second state. By determining that ice is contained, the type of the cup C is determined.

이에 의해서도, 컵(C)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카메라 등의 고가의 촬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컵(C)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Also by this, it is not affected by the material or surface state of the cup C, and the kind of cup C can be judged favorably without requiring expensive imaging means, such as a camera.

<실시형태 2><Embodiment 2>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8은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18 and 19 respectively show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and FIG. 1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ystem. In addition,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wha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of Embodiment 1 mentioned above, and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suitably.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이며, 예컨대 커피 원두 분쇄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를 행하여, 용기인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C)에, 예컨대 카페라테 등의 유음료를 포함한 커피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2)를 구비한다.The beverage supply device exemplified here is, for example,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and performs extraction processing for, for example, grinding and dripping coffee beans, and pours, for example, a caffe latte or the like into a cylindrical cup C having a bottom as a container. Providing coffee drinks, including milk drinks. Such a beverage supply device has a device body 2 .

장치 본체(2)는, 본체 캐비닛(10) 및 전면 도어(20)를 구비한다. 본체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한 대략 직방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료(예컨대 카페라테 등의 커피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11)가 마련되어 있다.The device body 2 includes a body cabinet 10 and a front door 20 . The main cabinet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front. A beverage generating unit 11 for generating a beverage (eg, a coffee beverage such as caffe latte) is provided inside the main cabinet 10 .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폐색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도어체이다. 이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방측의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는 축부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ront door 20 is a door body having a size sufficient to close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body cabinet 10 . The front door 20 is provided so as to be oscillating around the central axis of a shaft (not show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one edge of the front side of the body cabinet 10 ,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이러한 전면 도어(20)는, 전면이 접객면을 구성하고, 표시부(21) 및 개폐 도어(22)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1)는, 예컨대 액정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터치 조작 등의 입력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21a)를 갖고 있다.The front door 20 constitutes a customer service surface, and a display unit 21 and an opening/closing door 22 are provided. The display unit 21 is constituted of,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touch panel,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has an input unit 21a capable of input operation such as touch operation.

개폐 도어(22)는, 예컨대 투명한 수지 등의 투광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를 덮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 개폐 도어(22)는, 좌측 단부가 전면 도어(20)에 축 지지되어 있어,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것이다. 즉, 개폐 도어(22)는, 음료 공급부(23)에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3)에 근접하는 양태로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를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3)로부터 이격하는 양태로 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입구(231)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made of, for example,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resin, and has a size sufficient to cover the inlet 23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3 as shown in FIG. 20 .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front door 20 at the left end thereof, and is swing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the opening/closing door 22 can sw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manner that is close to and spaced from the beverage supply unit 23, and when it swings backward in a manner close to the beverage supply unit 23, the beverage supply unit 23 of It is possible to close the inlet 231 , and to open the inlet 231 when swinging forward in a manner away from the beverage supply 23 .

음료 공급부(23)는, 표시부(21)의 하방측에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음료 공급부(23)는, 노즐(232), 스테이지(233), 후벽(234), 측벽(235) 및 배치부(236)를 갖고 있다.The beverage supply unit 23 is configured by providing a recess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21 . The beverage supply unit 23 includes a nozzle 232 , a stage 233 , a rear wall 234 , a side wall 235 , and an arrangement unit 236 .

노즐(232)은,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음료를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토출하는 것이다. 스테이지(233)는, 노즐(232)의 하방역에 마련되어 있다. 이 스테이지(233)에는, 노즐(232)로부터 토출되어 컵(C)에 공급되지 않은 음료를 통과시키는 통과 구멍(23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방에는 음료를 저류하기 위한 트레이(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후벽(234)은, 스테이지(233)의 후면을 덮는 것이다. 측벽(235)은, 스테이지(233)의 양 측면을 덮는 것이다.The nozzle 232 is to discharge the beverage generated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11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tage 233 is provided below the nozzle 232 . The stage 233 is provided with a passage hole 233a through which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and not supplied to the cup C passes, and a tray (not shown) for storing the beverage is formed below the stage 233 . is provided. The rear wall 234 covers the rear surface of the stage 233 . The side walls 235 cover both sides of the stage 233 .

배치부(236)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수지재에 의해 성형한 것으로서,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착편(236a)에 형성된 부착 구멍을 관통하는 요동축 부재(2361)가, 측벽(235)에 가설됨으로써, 상기 요동축 부재(2361)의 중심축 둘레로 상기 요동축 부재(2361)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1, the mounting portion 236 is formed of,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and is a swing shaft member ( 2361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235 so as to be able to swing together with the swing shaft member 2361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swing shaft member 2361 .

이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 및 후벽부(236c, 236d)를 갖고 있다. 바닥부(236b)는, 컵(C)을 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후벽부(236c, 236d)는, 바닥부(236b)에 대하여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이며 서로 이격한 양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 후벽부(236c, 236d)는, 전방을 향하여 상호 간격이 점차 증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This arrangement portion 236 has a bottom portion 236b and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The bottom part 236b is for arranging the cup C. The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are provided in an aspect to be a pair of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bottom portion 236b a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se rear wall parts 236c and 236d are provided so that the mutual space|interval may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front.

이러한 배치부(236)는,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는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거나, 또는 자기 중량에 의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36b)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으로 경사지는 대기 자세(제1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에 핫 음료 전용의 컵(C)이 배치된 경우에도 대기 자세를 유지한다. 즉, 배치부(236)는,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대기 자세가 되는 것이다.In a normal state, such an arrangement part 236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support means (not shown) or by its own weight, as shown in FIG. 22, gradually upward as the bottom part 236b faces forward. It becomes a standby posture (first state) inclined to . This arrangement unit 236 maintains the standby posture even when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hot drink is placed on the bottom portion 236b. That is, when the inside of the arrange|positioned cup C is empty, the arrangement|positioning part 236 becomes a stand-by attitude|position.

그런데, 핫 음료 전용의 컵(C)이 배치되는 경우, 바닥부(236b)는 컵(C)의 바닥면에 접한다. 또한 후벽부(236c, 236d)는, 서로 전방을 향하여 상호 간격이 점차 증대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이 컵(C)의 외주벽부의 일부에 접한다. 이에 의해 배치부(236)는, 컵(C)이 경사진 자세에서 전동하는 것을 규제한 상태로, 즉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hot beverage is disposed, the bottom portion 236b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C). Moreover, since the rear wall parts 236c and 236d are provided so that mutual spacing may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mutual forward direction, each contact|connects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part of the cup C. As shown in FIG. Thereby, the placement part 236 can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cup C in the inclined posture is restricted, that is, in a position determined.

그와 같은 배치부(236)는, 대기 자세인 경우, 수평면(G)에 대하여 경사각(β1)으로 바닥부(236b)가 경사진다. 즉, 노즐(232)이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음료를 토출하기 때문에, 배치부(236)는,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중심축(C2)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연직 방향)(H)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각(β1)(3°∼18°)으로 경사진다.As for such an arrangement|positioning part 236, when it is a stand-by attitude|position, the bottom part 236b inclin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G at the inclination angle (beta)1. That is, since the nozzle 232 discharges the beverag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arrangement unit 236 , the central axis C2 of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hot beverage is positioned in the discharge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nozzle 232 . ) (H) at a rearward inclination angle β1 (3° to 18°).

그와 같은 배치부(236)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대기 자세로 배치되는 것이지만, 도 23에 나타내는 것 같은 기립 자세(제2 상태)와, 도 24에 나타내는 것 같은 경사 자세(제3 상태)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Although such an arrangement part 236 is arrange|positioned in a stand-by attitude|position in a normal state, it is between the standing posture (2nd state) shown in FIG. 23, and the inclined posture (third state)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oscillate.

기립 자세는, 바닥부(236b)에 배치된 컵(C)의 중심축(C2)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연직 방향)과 평행해지는 자세이다.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에 콜드 음료 전용의 컵(C), 즉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예컨대 100 g 정도: 이하, 소정값이라고도 함) 이상이 되는 컵(C)이 배치된 경우나,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내부에 노즐(232)로부터 음료가 투입되는 결과, 투입량의 증대에 따라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다.The standing posture is a posture in which the central axis C2 of the cup C disposed on the bottom portion 236b is parallel to the discharge direction H (vertical direction) of the nozzle 232 . In the arranging unit 236, a cup C for exclusive use of cold beverages, that is, a cup C having a w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about 100 g: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predetermined value) is disposed on the bottom portion 236b. When the weight of the cup (C)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s a result of the injection of the beverage from the nozzle 232 into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hot beverages, the standing posture becomes will be.

경사 자세는, 대기 자세보다 크게 경사진 자세이며, 수평면(G)에 대하여 경사각(β2)으로 바닥부(236b)가 경사진다. 즉, 노즐(232)이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음료를 토출하기 때문에, 배치부(236)는,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중심축(C2)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연직 방향)(H)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각(β2)(20°∼60°)으로 경사진다. 그와 같은 경사각(β2)으로 경사 자세인 경우,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가 컵(C)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접촉하는 것을 허용한다.The inclined posture is a posture that is more inclined than the standby posture, and the bottom portion 236b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β2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G. That is, since the nozzle 232 discharges the beverag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arrangement unit 236 , the central axis C2 of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hot beverage is positioned in the discharge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nozzle 232 . ) (H) at a rearward inclination angle β2 (20° to 60°). In the case of an inclined posture at such an inclination angle β2,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is allowed to contact any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cup C. As shown in FIG.

그와 같이 배치부(236)는, 기립 자세와 경사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대기 자세가 된다. 그리고, 배치부(236)는,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대기 자세가 되는 한편,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축 부재(2361)의 좌단 부분에는 댐퍼 부재(2362)가 연계되어 있어, 대기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의 요동에 있어서는 그 요동 속도가 감속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placement unit 236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wing between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inclined posture, and in a normal state, it is a standby posture. In addition, the placement part 236 becomes a stand-by posture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while it becomes a standing posture when the weight of the cup C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Further, as shown in Fig. 21 or the like, a damper member 2362 is linked to the left end of the swing shaft member 2361, so that the swing speed is reduced when swinging from the standby posture to the standing posture.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는, 컵 검출부(31)와, 자세 검출부(32)와, 도어 개폐 검지부(33)와,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와, 구동부(36)와, 제어부(42)를 구비한다. 컵 검출부(31)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음료 공급부(23)에 있어서의 컵(C)의 배치의 유무, 즉 배치부(236)에 컵(C)이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컵 검출부(31)는, 컵(C)의 유무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42)에 부여하는 것이다.19 , the beverage supply device includes a cup detection unit 31 , a posture detection unit 32 ,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 a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 a driving unit 36 , and a control unit. (42) is provided. The cup detection unit 31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cup C is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3 , that is, whether the cup C is disposed in the arrangement unit 236 . is to detect Such a cup detection unit 31 provides the control unit 42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up C.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인지, 기립 자세인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세 검출부(32)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2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236)의 후방역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나 경사 자세인 경우, 발광 요소(321)와 수광 요소(322) 사이에 상기 배치부(236)의 피검출부(236e)가 개재되지 않고 온 상태가 되어, 제어부(42)에 자세 검출 신호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 한편,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기립 자세인 경우, 발광 요소(321)와 수광 요소(322) 사이에 피검출부(236e)가 개재됨으로써 오프 상태가 되어, 제어부(42)에 대한 자세 검출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이다.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detects whether the arrangement unit 236 is a standby posture or a standing posture. When it demonstrates in more detail, the attitude|position detection part 32 is comprised, for example by an optical sensor etc., and is provided in the rear area of the arrangement|positioning part 236 as shown in FIG. 22 etc. FIG. Further, in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 when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 the standby posture or the inclined posture, the detected portion 236e of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22 . It becomes an ON state without not being able to do so, and gives an attitude|position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part 42.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sitioning unit 236 is in the standing posture,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is turned off when the detected unit 236e is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22 , and the control unit 42 . ) to stop the output of the attitude detection signal.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고, 예컨대 광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개폐 도어(22)에 의한 입구(231)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231)가 폐쇄, 즉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었는지의 여부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2)에 부여하는 것이다.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23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3 , and is constituted of,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or the like. This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detec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ntrance 231 by the opening/closing door 22, and more specifically, whether the entrance 231 is closed, that is,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closed. to detect whether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provides the control unit 42 with a detection result of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closed.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는,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는, 입구(231)를 폐쇄하는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는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개폐 도어(22)가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도어(22)가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의 전환은, 제어부(42)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행해진다.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inlet 23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3 .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door 22 that closes the inlet 231 is closed, thereby regulating the forward swing of the opening/closing door 22; It is alternatively switchable between the unlocked states which allow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2 to swing forward. This switching of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is performed according to a command given from the control unit 42 .

구동부(36)는, 모터나 출력 기어 등을 구비한 구동 유닛이며,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축 부재(2361)에 대하여, 자신의 구동력이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부(36)는, 제어부(42)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정역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서, 정회전 구동하는 경우에, 배치부(236)를 대기 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 요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구동부(36)는, 역회전 구동하는 경우에, 배치부(236)를 경사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요동시키는 것이다.The drive part 36 is a drive unit provided with a motor, an output gear, etc., and is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rocking|fluctuation shaft member 2361 so that transmission of its own drive force is possible, as shown in FIG. This drive unit 36 drives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ccording to a command given from the control unit 42 , and causes the mounting unit 236 to swing from the standby posture to the inclination posture when performing the forward rotation driving.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36 causes the mounting unit 236 to swing from the inclination posture to the standby posture when performing reverse rotation driving.

제어부(42)는, 전술한 음료 생성부(11), 표시부(21), 컵 검출부(31), 자세 검출부(32), 도어 개폐 검지부(33),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 구동부(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억부(43)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 이들 각 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특징적인 것으로서 판정부(42a)를 갖고 있다.The control unit 42 includes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11 , the display unit 21 , the cup detection unit 31 ,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 and the driving unit 36 described above.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and data stored in the similarly electrically connected storage unit 43, the operation of each of these units is collectively controlled, and a determination unit 42a is provided as a characteristic feature. .

또한, 제어부(42)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이며,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IC(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병용하여 실현하여도 좋다.Further, the control unit 42, for example, causes a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o execute a program, that is, may be realized by software or may be realized by hardware such as an IC (Integrated Circuit). Alternatively, it may be realized by using software and hardware together.

판정부(42a)는, 후술하는 컵 판정 처리에 있어서, 자세 검출부(32)로부터의 자세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컵(C)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다.The determination unit 42a determines the type of the cup C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ttitude detection signal from the attitude detection unit 32 in a cup determinat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도 25는 도 19에 나타낸 제어부(42)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면서 음료 공급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Fig. 2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42 shown in Fig. 19 .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while explain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such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ing.

이 음료 공급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2)는, 컵 검출부(31)에 의해 컵(C)이 배치부(236)에 배치되었다고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1). 즉, 컵(C)이 음료 공급부(23)에 있다고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this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up detection unit 31 detects that the cup C has been placed on the placement unit 236 (step S201).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detected that the cup (C) is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3).

컵(C)이 있다고 검출된 경우(단계 S201: Yes), 제어부(42)는, 도어 개폐 검지부(33)의 검지 결과를 바탕으로, 개폐 도어(22)가 폐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2).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아닌 경우(단계 S202: No)에는, 단계 S202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up C is present (step S201: Yes),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clos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step S201). S202).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not closed (step S202: No), the judgment processing of step S202 is repeated.

한편, 제어부(42)는, 개폐 도어(22)가 폐쇄인 경우(단계 S202: Yes)에는, 컵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203).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closed (step S202: Yes), the control part 42 performs a cup determination process (step S203).

도 26은 도 25에 있어서의 컵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컵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2)는, 자세 검출부(32)로부터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3a).FIG. 26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contents of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25 . In this cup determination process, the control part 42 judge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n attitude|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attitude|position detection part 32 (step S203a).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단계 S203a: Yes), 제어부(42)는, 판정부(42a)를 통하여 배치된 컵(C)이 핫 음료 전용의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203b),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When there is input of the posture detection signal (step S203a: Yes),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42a that the disposed cup C is dedicated to hot beverages (step S203b), and thereafter the procedure is returned to end this process.

한편,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없었던 경우(단계 S203a: No), 제어부(42)는, 판정부(42a)를 통하여 배치된 컵(C)이 콜드 음료 전용의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203c),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posture detection signal (step S203a: No),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42a that the disposed cup C is dedicated to cold drinks (step S203c), and the After that, the order is returned to end this process.

그와 같이 하여 컵 판정 처리를 행한 제어부(42)는, 표시부(21)에 대하여, 상기 컵 판정 처리에서 판정한 종류의 컵(C)에 대응한 음료, 즉 공급해야 할 음료(핫 카페라테 음료 또는 아이스 카페라테 음료)의 표시와, 확인 등의 의미를 이루는 문언 또는 무늬가 표시된 입력부(21a)의 터치를 안내하는 안내 표시를 행한다(단계 S204).In this way, the control unit 42 that has performed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21 , a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up C determined in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ing, that is, a beverage to be supplied (hot caffe latte beverage). Alternatively, the display of the ice caffe latte drink) and the guidance display for guiding the touch of the input unit 21a on which words or patterns constituting the meaning of confirmation or the like are displayed (step S204).

그 후, 제어부(42)는, 입력부(21a)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5). 입력부(21a)가 터치되지 않은 경우(단계 S205: No), 제어부(42)는, 단계 S205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Then,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unit 21a has been touched (step S205). When the input unit 21a is not touched (step S205: No), the control unit 42 repeats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of step S205.

한편, 입력부(21a)가 터치된 경우(단계 S205: Yes), 제어부(42)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를 이용하여 개폐 도어(22)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고(단계 S206), 음료 생성부(11)에 대하여, 공급하는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207).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unit 21a is touched (step S205: Yes), the control unit 42 locks the opening/closing door 22 in a closed state using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step S206), and the beverage The production unit 11 is made to process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the beverage to be supplied (step S207).

이 단계 S207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2)는, 상기 컵 판정 처리에서 핫 음료 전용의 컵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구동부(36)에 지령을 부여하여 정회전 구동시켜 배치부(236)를 대기 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 요동시키고, 그 후에 노즐(232)로부터 핫 카페라테 음료를 토출시킨다. 또한, 상기 컵 판정 처리에서 콜드 음료 전용의 컵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배치부(236)가 컵(C)의 중량에 의해 기립 자세로 요동한다.In the process of this step S207,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that it is a cup for exclusive use of the hot drink, the control unit 42 gives a command to the drive unit 36 to drive forward and wait for the placement unit 236. It is rocked from the posture to the inclined posture, and then the hot caffe latte beverage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that it is a cup for exclusive use of a cold drink, the placement part 236 swings in a standing posture by the weight of the cup C. As shown in FIG.

그 후, 제어부(42)는, 음료 생성부(11)에 의한 음료 공급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8). 음료 공급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208: No)에는, 제어부(42)는, 단계 S207로 되돌아가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속행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everage supply by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11 has ended (step S208). If the beverage supply has not ended (step S208: No), the control unit 42 returns to step S207 and continues the processing of beverage production and supply.

제어부(42)는, 노즐(232)로부터의 핫 카페라테 음료의 토출 종료 후에, 구동부(36)에 지령을 부여하여 역회전 구동시켜, 배치부(236)를 경사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요동시킨다. 이 경우, 컵(C)에는 소정량의 음료가 투입되어 그 중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치부(236)는, 대기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 요동하게 된다.After the discharging of the hot caffe latte beverage from the nozzle 232 is finished, the control unit 42 gives a command to the drive unit 36 to cause the drive unit 36 to rotate in a reverse direction, thereby causing the arrangement unit 236 to swing from the inclined posture to the standby posture. In this case, since a predetermined amount of beverage is poured into the cup C and the weight thereof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placement unit 236 swings from the standby posture to the standing posture.

음료 공급이 종료된 경우(단계 S208: Yes)에는, 제어부(42)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에 의한 개폐 도어(22)의 폐쇄 상태의 로크를 해제하고(단계 S209),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When the beverage supply is finished (step S208: Yes), the control unit 42 unlocks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closing door 22 by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step S209), after which the procedure is returned to end this proces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로 유지되고,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비는 경우에는, 제어부(42)가 구동부(36)를 정회전 구동시켜 배치부(236)를 경사 자세로 하여 상기 컵(C)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노즐(232)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낙하 거리(토출 거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토출 거리를 저감시키면서 필요 이상으로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음료에 유음료가 포함되어 있었다고 해도, 컵(C)의 음료의 액면에 큰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컵(C)의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acement unit 236 is maintained in the standby posture and the placed cup C is empty, the control unit 42 controls the drive unit (36) is driven to rotate forward to set the placing portion 236 in an inclined posture to allow the beverage ejected from the nozzle 232 to contact any loca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cup (C), so that the nozzle 232 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rop distance (discharge distance)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Thereby, while reducing the discharge distance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it can be suppressed from increasing more than necessary.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Thereby, according to the said drink supply apparatus, the fall of the quality of the drink of the cup C can be suppressed.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 경사 자세가 됨으로써, 컵(C)의 중심축(C2)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에 대하여 경사지는 양태로 상기 컵(C)을 경사지게 한 자세로 하는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가 컵(C)의 바닥면에 접하고, 각각의 후벽부(236c, 236d)가 컵(C)의 외주벽부의 일부에 접하기 때문에, 상기 컵(C)을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컵 검출부(31)에 의한 컵(C)의 검출 영역을 협소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it is in an inclined posture, so that the central axis (C2) of the cup (C)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H) of the nozzle (232). As for the arrangement part 236 which makes the cup C in an inclined position, the bottom part 236b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C, and each rear wall part 236c, 236d is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C. Since it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a part, the said cup C can be maintained in a positioned state. Thereby, the detection area|region of the cup C by the cup detection part 31 can be made narrow, and reduction of manufacturing cost can be aimed at.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비는 경우에는 대기 자세가 되는 한편, 배치된 컵(C)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기립 자세가 되고, 자세 검출부(32)가,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 및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판정부(42a)가,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기립 자세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C)의 종류를 판정하기 때문에, 컵(C)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카메라 등의 고가의 촬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컵(C)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placement unit 236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wing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so that when the inside of the placed cup C is empty, it becomes a standby posture, while the placed cup C ) becomes a standing posture when the we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the posture detecting unit 32 detects that the placing unit 236 is any one of a standby posture and a standing posture, and the determining unit 42a, When it is detected by the attitude detection part 32 that the placement part 236 is a stand-by attitud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C does not contain ice, while the positioning part 236 stands by the attitude detection part 32. When a posture is detected, since the type of the cup C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 contains ice, it is not affected by the material or surface state of the cup C. , moreover, expensive imaging means, such as a camera, is not required, and the kind of cup C can be judged favorably.

1 : 장치 본체 10 : 본체 캐비닛
11 : 음료 생성부 20 : 전면 도어
21 : 표시부 22 : 개폐 도어
23 : 음료 공급부 231 : 입구
232: 노즐 233 : 스테이지
234 : 후벽 235 : 측벽
236 : 배치부 236b : 바닥부
236c, 236d : 후벽부 236e : 피검출부
31 : 컵 검출부 32 : 자세 검출부
33 : 도어 개폐 검지부 34 : 도어 개폐 로크 기구
40 : 제어부 40a : 판정부
41 : 기억부 C : 컵
1: device body 10: body cabinet
11: beverage generating unit 20: front door
21: display unit 22: open/close door
23: beverage supply 231: entrance
232: nozzle 233: stage
234: rear wall 235: side wall
236: arrangement part 236b: bottom part
236c, 236d: rear wall part 236e: detected part
31: cup detection unit 32: posture detection unit
33: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34: door open/close lock mechanism
40: control unit 40a: determination unit
41: memory C: cup

Claims (9)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상기 음료 공급부를 구성하는 노즐로부터 토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 상태가 되는 양태로, 상기 컵을 배치하는 배치부와,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 그리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2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A beverage supply device for discharging and supplying a beverage generated by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to a bottomed cylindrical cup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from a nozzle constituting the beverage supply unit,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the cup is in the first state, and when the weight of the c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the cup is in the second state.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in any on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When i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hat the disposition part is in the first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ile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disposition part is in the second state, the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type of the cup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Beverag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것이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 자세와,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 사이에서 상기 컵을 요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치부가 경사 자세 및 상기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경사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zzle is to discharge the beverag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rrangement unit includes an inclined posture that allows the beverage ejected from the nozzle to contact any loca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cup by inclining the central axis of the cup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and the center of the cup. The cup is oscillating between a standing posture in which an axis is parallel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and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the cup is in the inclined posture, while the weight of the c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If it becomes the standing posture,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any one of an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inclined posture, while determining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standing posture by the detection unit , The beverag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the type of the cup is determin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20°∼45°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n the arrangement unit is in the inclined posture,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at a rearward angle of 20° to 45°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치부를 제3 상태로 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ive unit that sets the arrangement unit to a third stat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hat there is no ice in the cu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것이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 자세와,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 사이에서 상기 컵을 요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경사 자세와 상기 기립 자세 사이의 대기 자세가 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대기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치부가 상기 대기 자세 및 상기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대기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nozzle is to discharge the beverag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rrangement unit includes an inclined posture that allows the beverage ejected from the nozzle to contact any loca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cup by inclining the central axis of the cup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and the center of the cup. The cup is oscillating between a standing posture in which the axis is parallel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and in a normal state, it is a stand-by posture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inside of the cup is If it is empty, it becomes the standing posture, while when the weight of the cup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it becomes the standing posture,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any one of the standby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If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standby posture, while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standing posture, , Beverag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the cup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치부를 상기 경사 자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riving unit sets the disposition unit to the inclined postur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hat there is no ice in the cup.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3°∼18°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when the arrangement unit is in the standby posture,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backward by 3° to 18°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20°∼60°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wherein, when the arranging unit is in the inclined posture,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rearward by 20° to 60°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beverage supply device.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음료의 토출 종료 후에, 상기 배치부를 상기 경사 자세로부터 상기 대기 자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wherein the driving unit sets the arrangement unit from the inclined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fter the discharging of the beverage from the nozzle is finished.
KR1020227002522A 2019-11-19 2020-11-12 beverage dispenser KR1026666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08482 2019-11-19
JPJP-P-2019-208482 2019-11-19
PCT/JP2020/042240 WO2021100599A1 (en) 2019-11-19 2020-11-12 Beverage suppl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941A true KR20220024941A (en) 2022-03-03
KR102666681B1 KR102666681B1 (en) 2024-05-16

Family

ID=7598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522A KR102666681B1 (en) 2019-11-19 2020-11-12 beverage dispens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43858B2 (en)
KR (1) KR102666681B1 (en)
CN (1) CN114222516B (en)
WO (1) WO2021100599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396A (en) * 1990-06-20 1992-02-19 Sanyo Electric Co Ltd Cup-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JP2002234595A (en) * 2001-02-06 2002-08-20 Fuji Electric Co Ltd Beverage dispenser
JP2009274767A (en) 2009-07-31 2009-11-26 Sanyo Electric Co Ltd Beverage dispenser
JP2017159941A (en) *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JP2019196224A (en) * 2018-05-07 2019-11-14 富士電機株式会社 Beverage suppl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2250A1 (en) * 1989-09-27 1991-04-04 Computerschankanlagen D Kohlfu DISPENSING DEVICE
JP2933369B2 (en) * 1990-09-27 1999-08-09 東芝機械株式会社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sparkling beverages
JPH0966997A (en) * 1995-04-21 1997-03-11 Hayakawa Sanki Kk Container receiving device of dispenser for liquid drink
JP4225256B2 (en) * 2004-08-27 2009-02-18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JP2009252216A (en) * 2008-04-11 2009-10-29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CN103549882B (en) * 2013-11-20 2016-03-02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Drinking device and comprise its refrigerator
CN103948313B (en) * 2014-04-11 2016-08-17 福建金源泉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drinking machine
CN107978079B (en) * 2016-10-25 2021-07-13 富士电机株式会社 Beverage supply device
JP6954171B2 (en) * 2018-02-16 2021-10-27 富士電機株式会社 Beverage supply device
WO2019216103A1 (en) * 2018-05-07 2019-11-14 富士電機株式会社 Beverage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396A (en) * 1990-06-20 1992-02-19 Sanyo Electric Co Ltd Cup-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JP2002234595A (en) * 2001-02-06 2002-08-20 Fuji Electric Co Ltd Beverage dispenser
JP2009274767A (en) 2009-07-31 2009-11-26 Sanyo Electric Co Ltd Beverage dispenser
JP2017159941A (en) *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JP2019196224A (en) * 2018-05-07 2019-11-14 富士電機株式会社 Beverage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100599A1 (en) 2021-05-27
CN114222516B (en) 2024-10-01
CN114222516A (en) 2022-03-22
WO2021100599A1 (en) 2021-05-27
JP7243858B2 (en) 2023-03-22
KR102666681B1 (en)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5572A1 (en) Beverage server
US8935935B2 (en) Methods for monitoring sensors of refrigerator appliances
KR20220024941A (en) beverage supply
JP4261522B2 (en) Game machine
CN107978079B (en) Beverage supply device
JP7192242B2 (en) beverage dispenser
JP7380120B2 (en) beverage dispensing equipment
JP7380122B2 (en) beverage dispensing equipment
WO2021100365A1 (en) Beverage supply device
KR20060082720A (en) Cup dispensing apparatus for coffee vending machine
JP7484128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JP7409123B2 (en) beverage dispensing equipment
KR102543326B1 (en)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method
JP3232065U (en) Liquor serving device
JP7533190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JP4596360B2 (en) Pachinko machine
JP6924521B2 (en) Pachinko machine
JP2022107446A (en) Beverage supply device
JP7268361B2 (en) beverage dispenser
JP2023104273A (en) Beverage supply device
JP4766184B2 (en) Pachinko machine
JPH0464194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JP2021116074A (en) Beverage supply machine and cup determination method of beverage supply machine
JP4270447B2 (en) Game machine
JP2002279520A (en)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