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941A - beverage supply - Google Patents
beverage supp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4941A KR20220024941A KR1020227002522A KR20227002522A KR20220024941A KR 20220024941 A KR20220024941 A KR 20220024941A KR 1020227002522 A KR1020227002522 A KR 1020227002522A KR 20227002522 A KR20227002522 A KR 20227002522A KR 20220024941 A KR20220024941 A KR 202200249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unit
- beverage
- posture
- nozzl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27
- 235000012171 hot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6
- 235000020965 col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5115 caffè lat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5000020124 milk-bas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the flow being started or stopped by means actuated by the vessel to be filled, e.g. by switches, weigh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공급부(23)에 배치된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C)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한 음료를, 음료 공급부(23)를 구성하는 노즐(232)로부터 토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컵(C)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 상태가 되는 양태로, 컵(C)을 배치하는 배치부(236)와, 배치부(236)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32)와,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제2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컵(C)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부(40a)를 구비하고 있다.With respect to the bottomed cylindrical cup (C) arrang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3), the beverage generated by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11)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constituting the beverage supply unit (23) and supplied. As a supply device, the cup C is dispos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in the first state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while being in the second state when the weight of the cup C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placing unit 236 to be used, the posture detecting unit 32 for detecting that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 any on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the posture detecting unit 32 , the arrangement unit 236 is set to the first When it is detected that it is in the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ce in the cup C, whi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lacing unit 236 is in the second state by the posture detecting unit 32,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C is in the second state. A determination unit 40a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up C is provided by determining that there is ice in the cup.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 등의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supply device such as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종래,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는, 커피 머신 등의 음료 공급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음료 공급 장치는, 이용자에 의해 음료가 선택된 경우에, 예컨대 커피 원두 분쇄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 등을 행하여 음료를 생성하고,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컵에 대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BACKGROUND ART Beverage supply devices such as coffee machines are conventionally installed in stor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The beverage supply device generates a beverage by performing, for example, extraction processing of coffee bean grinding and dripping when a beverage is selected by a user, and supplies the beverage to a cup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그와 같은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음료 공급부에 컵이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컵을 검출한 경우에만 음료의 공급을 행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In such a beverage supply device,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beverage supply unit detects whether a cup is disposed, and supplies the beverage only when the cup is detect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그런데, 최근의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공급하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컵의 종류를 변경하는 것이 있다. 예컨대, 핫 음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종이제의 컵을 이용하도록 하고, 콜드 음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얼음이 든 투명 수지제의 컵을 이용하도록 한 음료 공급 장치가 있다.By the way, in recent beverage supply apparatuses, the type of cup use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beverage to be supplied. For example, there is a beverage supply device in which a paper cup is used when hot beverage is supplied, and a transparent resin cup with ice inside is used when cold beverage is supplied.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컵의 종류와, 공급 지시된 음료의 종류가 적절한 조합이 아닌 경우, 음료의 공급을 실시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잘못해서 종이제의 컵에 대하여, 콜드 음료용으로 추출된 음료가 공급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such a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type of the cup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and the type of beverage instructed to be supplied are not an appropriate combination,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not to supply the beverage. That is, if the beverage supply unit ha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up,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situation in which the beverage extracted for the cold beverage is accidentally supplied to the paper cup.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컵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supply device capable of favorably determining the type of cu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상기 음료 공급부를 구성하는 노즐로부터 토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 상태가 되는 양태로, 상기 컵을 배치하는 배치부와,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2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cup having a bottom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the beverage generated by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by discharging from a nozzle constituting the beverage supply unit to supply As a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it is in a first state, and when the weight of the c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it is in a second state. ,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at the disposition unit is in any on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second stat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up is provid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것이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 자세와,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 사이에서 상기 컵을 요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치부가 경사 자세 및 상기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경사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nozzle discharges the beverage in a vertical direction downward, and the arrangement unit has a central axis of the cup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The cup is oscillating between an inclined posture allowing the beverage ejected from the nozzle to come into contact with an arbitrary location on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and a standing posture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parallel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it becomes the inclined posture, while when the weight of the cu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t becomes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detection unit includes: It is to detect any one of postures, and when the determination uni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in the inclined posture by the detection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ce in the cup, while the arrangement is determined by the detec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the cup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osition is in the standing pos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20°∼45°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arrangement unit is in the inclined posture,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rearward by 20° to 45°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치부를 제3 상태로 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a drive unit that sets the arrangement unit to a third stat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hat there is no ice in the cup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것이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 자세와,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 사이에서 상기 컵을 요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경사 자세와 상기 기립 자세 사이의 대기 자세가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대기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치부가 상기 대기 자세 및 상기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대기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nozzle discharges the beverage in a vertical direction downward, and the arrangement unit has a central axis of the cup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The cup is oscillating between an inclined posture allowing the beverage ejected from the nozzle to come into contact with an arbitrary location on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and a standing posture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parallel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In a normal state, the standing posture is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the stand-by posture is obtained, while the weight of the c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becomes the standing posture,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any one of the standby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determination uni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the stand-by posture by the detection unit to determine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ile determining that the placing unit is in the standing posture by the detection unit,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thereby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up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치부를 상기 경사 자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drive unit sets the placement unit to the inclination postur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hat there is no ice in the cup.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3°∼18°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arrangemen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osition is in the standby position,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backward by 3° to 18°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20°∼60°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arrangement portion is in the inclined posture,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rearward by 20° to 60°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음료의 토출 종료 후에, 상기 배치부를 상기 경사 자세로부터 상기 대기 자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drive unit sets the arrangement unit from the inclined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fter the discharging of the beverage from the nozzle is finished.
본 발명에 따르면, 배치부가,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 상태가 되는 양태로, 상기 컵을 배치하고, 검출부가, 배치부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판정부가, 검출부에 의해 배치부가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검출부에 의해 배치부가 제2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컵의 종류를 판정하기 때문에, 컵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카메라 등의 고가의 촬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컵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osing unit is placed in the first state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while the cup is placed in the second state when the weight of the cup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cup is arranged, and the detection unit , detects that the placing unit is in any on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th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en the detecting unit detects that the placing unit is in the first state, while the detecting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ic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lacement part is in the second state by the method, since the type of the cup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it is not affected by the material or surface state of the cup.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etermine the kind of cup favorably is exhibited without requiring an expensive imaging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음료 공급 장치의 중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배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배치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배치부에 컵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배치부의 중요부에서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배치부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나타낸 배치부에 컵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나타낸 배치부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낸 자세 검출부의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나타낸 자세 검출부의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제어부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컵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의 (a)는 경사 자세의 컵에 음료를 토출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15의 (b)는 기립 자세의 컵에 음료를 토출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의 (a) 및 (b)는 조정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의 (a) 및 (b)는 배치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나타낸 음료 공급 장치의 중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배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배치부가 대기 자세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배치부가 기립 자세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배치부가 경사 자세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19에 나타낸 제어부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있어서의 컵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which is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ystem of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important part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shown in Figure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3;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portion shown in Fig. 3;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is arranged in the arrangement section shown in Fig. 3;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ortant part of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6;
Fig. 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6;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is arranged in the arrangement section shown in Fig. 3;
Fig. 10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3;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detection state of the attitude|position detection part shown in FIG.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detection state of the attitude|position detection part shown in FIG.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contents of a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contents of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13 .
Fig. 15 (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of discharging a beverage to a cup in an inclined position, and Fig. 15 (b)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of discharging a beverage to a cup in a standing position.
16(a) and (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djustment means.
17(a) and (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rrangement part.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1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ystem of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important part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shown in FIG. 18 .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part shown in Fig. 20;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state in which an arrangement|positioning part is a stand-by attitude|position.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state in which an arrangement|positioning part is a standing posture.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state in which an arrangement|positioning part is an inclination attitude|position.
Fig. 2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9;
FIG. 26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contents of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25 .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형태 1><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and 2 respectively show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이며, 예컨대 커피 원두 분쇄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를 행하여, 용기인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C)에, 예컨대 카페라테 등의 유음료를 포함한 커피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The beverage supply device exemplified here is, for example,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and performs extraction processing for, for example, grinding and dripping coffee beans, and pours, for example, a caffe latte or the like into a cylindrical cup C having a bottom as a container. Providing coffee drinks, including milk drinks. Such a beverage supply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apparatus main body (1).
여기서 컵(C)으로서는, 콜드 음료 전용의 것과, 핫 음료 전용의 것이 있다. 콜드 음료 전용의 컵(C)은, 무색이며 투명한 투명 수지제의 것이고, 음료가 공급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미리 내부에 얼음(도시하지 않음)이 든 것이다. 이 콜드 음료 전용의 컵(C)은, 내부의 얼음이 융해되지 않도록 냉동고의 내부에서 냉동 보관되고 있다. 핫 음료 전용의 컵(C)은, 백색이며 불투명한 종이제의 것이고, 콜드 음료 전용의 컵(C)과 대략 동일한 형상,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핫 음료 전용의 컵(C)은, 내부가 빈 상태로 상온 보관되고 있다.Here, as the cup C, there are those for cold drinks and those for hot drinks.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cold drink is made of a colorless and transparent transparent resin, and contains ice (not shown) in advance in a state before the drink is supplied.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is cold drink is stored frozen inside the freezer so that the ice inside does not melt.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hot beverage is made of white and opaque paper, and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nd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s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cold beverage.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is hot drink is stored at room temperature in an empty state.
장치 본체(1)는, 본체 캐비닛(10) 및 전면 도어(20)를 구비한다. 본체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한 대략 직방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료(예컨대 카페라테 등의 커피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11)가 마련되어 있다.The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폐색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도어체이다. 이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방측의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는 축부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이러한 전면 도어(20)는, 전면이 접객면을 구성하고, 표시부(21) 및 개폐 도어(22)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1)는, 예컨대 액정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터치 조작 등의 입력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21a)를 갖고 있다.The
개폐 도어(22)는, 예컨대 투명한 수지 등의 투광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를 덮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 개폐 도어(22)는, 좌측 단부가 전면 도어(20)에 축 지지되어 있어,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것이다. 즉, 개폐 도어(22)는, 음료 공급부(23)에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3)에 근접하는 양태로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를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3)로부터 이격하는 양태로 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입구(231)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opening/closing
음료 공급부(23)는, 표시부(21)의 하방측에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음료 공급부(23)는, 노즐(232), 스테이지(233), 후벽(234), 측벽(235) 및 배치부(236)를 갖고 있다.The beverage supply unit 23 is configured by providing a recess on the lower side of the
노즐(232)은,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음료를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토출하는 것이다. 스테이지(233)는, 노즐(232)의 하방역에 마련되어 있다. 이 스테이지(233)에는, 노즐(232)로부터 토출되어 컵(C)에 공급되지 않은 음료를 통과시키는 통과 구멍(23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방에는 음료를 저류하기 위한 트레이(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후벽(234)은, 스테이지(233)의 후면을 덮는 것이다. 측벽(235)은, 스테이지(233)의 양 측면을 덮는 것이다.The
배치부(23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수지재에 의해 성형한 것으로서,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로 상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착편(236a)에 형성된 부착 구멍을 관통하는 요동축 부재(2361)가, 측벽(235)에 가설됨으로써, 상기 요동축 부재(2361)의 중심축 둘레로 상기 요동축 부재(2361)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mounting
이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 및 후벽부(236c, 236d)를 갖고 있다. 바닥부(236b)는, 컵(C)을 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후벽부(236c, 236d)는, 바닥부(236b)에 대하여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이며 서로 이격된 양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 후벽부(236c, 236d)는, 전방을 향하여 상호 간격이 점차 증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This
이러한 배치부(236)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거나, 또는 자기 중량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36b)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 자세(제1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배치부(23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36b)에 핫 음료 전용의 컵(C)이 배치된 경우에도 경사 자세를 유지한다. 즉, 배치부(236)는,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경사 자세가 되는 것이다.In a normal state, the
그런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핫 음료 전용의 컵(C)이 배치되는 경우, 바닥부(236b)는 컵(C)의 바닥면에 접한다. 또한 후벽부(236c, 236d)는, 서로 전방을 향하여 상호 간격이 점차 증대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이 컵(C)의 외주벽부의 일부에 접한다. 이에 의해 배치부(236)는, 컵(C)이 경사진 자세에서 전동하는 것을 규제한 상태로, 즉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By the way, as shown in FIG. 6, when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a hot drink is arrange|positioned, the
그와 같은 배치부(236)는, 경사 자세인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면(G)에 대하여 경사각(α)으로 바닥부(236b)가 경사진다. 즉, 노즐(232)이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음료를 토출하기 때문에, 배치부(236)는,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중심축(C1)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연직 방향)(H)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각(α)(20°∼45°)으로 경사진다. 그리고, 그와 같은 경사각(α)으로 경사 자세인 경우,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가 컵(C)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접촉하는 것을 허용한다.As for such an arrangement|positioning
그와 같은 배치부(236)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36b)에 콜드 음료 전용의 컵(C), 즉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예컨대 100 g 정도; 이하, 소정값이라고도 함) 이상이 되는 컵(C)이 배치된 경우, 컵(C)의 중심축(C1)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연직 방향)과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제2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배치부(236)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내부에 노즐(232)로부터 음료가 투입되는 결과, 투입량의 증대에 따라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컵(C)의 중심축(C1)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과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다.9, as shown in FIG. 9,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cold beverages, that is, the weight of the cup C at the
즉, 배치부(236)는,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경사 자세가 되는 한편,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축 부재(2361)의 좌단 부분에는 댐퍼 부재(2362)가 연계되어 있어, 경사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의 요동에 있어서는 그 요동 속도가 감속되도록 한다.That is, the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는, 컵 검출부(31)와, 자세 검출부(32)와, 도어 개폐 검지부(33)와,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와, 제어부(4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includes a cup detection unit 31 , a
컵 검출부(31)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음료 공급부(23)에 있어서의 컵(C)의 배치의 유무, 즉 배치부(236)에 컵(C)이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컵 검출부(31)는, 컵(C)의 유무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40)에 부여하는 것이다.The cup detection unit 31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cup C is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3 , that is, whether the cup C is disposed in the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인지, 기립 자세인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세 검출부(32)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236)의 후방역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인 경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요소(321)와 수광 요소(322) 사이에 상기 배치부(236)의 피검출부(236e)가 개재되지 않고 온 상태가 되어, 제어부(40)에 자세 검출 신호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 한편,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기립 자세인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요소(321)와 수광 요소(322) 사이에 피검출부(236e)가 개재됨으로써 오프 상태가 되어, 제어부(40)에 대한 자세 검출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이다.The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고, 예컨대 광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개폐 도어(22)에 의한 입구(231)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231)가 폐쇄, 즉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었는지의 여부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0)에 부여하는 것이다.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는,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는, 입구(231)를 폐쇄하는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는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개폐 도어(22)가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도어(22)가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의 전환은, 제어부(4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행해진다.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제어부(40)는, 전술한 음료 생성부(11), 표시부(21), 컵 검출부(31), 자세 검출부(32), 도어 개폐 검지부(33),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억부(41)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 이들 각 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특징적인 것으로서 판정부(40a)를 갖고 있다.The
또한, 제어부(40)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IC(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병용하여 실현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판정부(40a)는, 후술하는 컵 판정 처리에 있어서, 자세 검출부(32)로부터의 자세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컵(C)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다.The determination unit 40a determines the type of the cup C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osture detection signal from the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제어부(40)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면서 음료 공급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13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이 음료 공급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0)는, 컵 검출부(31)에 의해 컵(C)이 배치부(236)에 배치되었다고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1). 즉, 컵(C)이 음료 공급부(23)에 있다고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this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the
컵(C)이 있다고 검출된 경우(단계 S101: Yes), 제어부(40)는, 도어 개폐 검지부(33)의 검지 결과를 바탕으로, 개폐 도어(22)가 폐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2).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아닌 경우(단계 S102: No)에는, 단계 S102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up C is present (step S101: Yes), the
한편, 제어부(40)는, 개폐 도어(22)가 폐쇄인 경우(단계 S102: Yes)에는, 컵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103).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closing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컵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컵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0)는, 자세 검출부(32)로부터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3a).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contents of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13 . In this cup determination processing, the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단계 S103a: Yes), 제어부(40)는, 판정부(40a)를 통하여 배치된 컵(C)이 핫 음료 전용의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103b),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When there is input of the posture detection signal (step S103a: Yes), the
한편,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없었던 경우(단계 S103a: No), 제어부(40)는, 판정부(40a)를 통하여 배치된 컵(C)이 콜드 음료 전용의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103c),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posture detection signal (step S103a: No), the
그와 같이 하여 컵 판정 처리를 행한 제어부(40)는, 표시부(21)에 대하여, 상기 컵 판정 처리에서 판정한 종류의 컵(C)에 대응한 음료, 즉 공급해야 할 음료(핫 카페라테 음료 또는 아이스 카페라테 음료)의 표시와, 확인 등의 의미를 이루는 문언 또는 무늬가 표시된 입력부(21a)의 터치를 안내하는 안내 표시를 행한다(단계 S104).In this way, the
그 후, 제어부(40)는, 입력부(21a)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5). 입력부(21a)가 터치되지 않은 경우(단계 S105: No), 제어부(40)는, 단계 S105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입력부(21a)가 터치된 경우(단계 S105: Yes), 제어부(40)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를 이용하여 개폐 도어(22)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고(단계 S106), 음료 생성부(11)에 대하여, 공급하는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107).Then, the
그 후, 제어부(40)는, 음료 생성부(11)에 의한 음료 공급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8). 음료 공급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108: No)에는, 제어부(40)는, 단계 S107로 되돌아가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속행한다.After that, the
한편, 음료 공급이 종료된 경우(단계 S108: Yes)에는, 제어부(40)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에 의한 개폐 도어(22)의 폐쇄 상태의 로크를 해제하고(단계 S109),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everage supply is finished (step S108: Yes),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비는 경우에는,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자세가 되어 상기 컵(C)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노즐(232)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낙하 거리(토출 거리)(L1)를 저감시킬 수 있다. 더구나, 컵(C)에 투입되는 음료의 투입량의 증대에 의해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 자세가 되기 때문에, 이미 컵(C)에 투입된 음료에 의해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낙하 거리(L2)가 증대하여 과대한 것이 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토출 거리(L1, L2)를 저감시키면서 필요 이상으로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음료에 유음료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컵(C)의 음료의 액면에 큰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컵(C)의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 경사 자세가 됨으로써, 컵(C)의 중심축(C1)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에 대하여 경사지는 양태로 상기 컵(C)을 경사지게 한 자세로 하는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가 컵(C)의 바닥면에 접하고, 각각의 후벽부(236c, 236d)가 컵(C)의 외주벽부의 일부에 접하기 때문에, 상기 컵(C)을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컵 검출부(31)에 의한 컵(C)의 검출 영역을 협소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it is inclined in an inclined posture, so that the central axis (C1) of the cup (C)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H) of the nozzle (232). As for the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비는 경우에는 경사 자세가 되는 한편, 배치된 컵(C)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기립 자세가 되고, 자세 검출부(32)가,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 및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판정부(40a)가,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기립 자세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C)의 종류를 판정하기 때문에, 컵(C)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카메라 등의 고가의 촬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컵(C)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 1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일없이, 여러 가지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배치부(236)가 컵(C)의 중량에 따라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함으로써 조정 수단을 구성하였었지만, 이러한 조정 수단은, 노즐의 자세를 변위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즉, 음료 공급 장치에 배치된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양태로 노즐의 자세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음료가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컵의 내부에 음료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음료의 투입량의 증대에 따라 상기 컵의 중심축이 노즐의 토출 방향과 평행해지는 양태로 노즐의 자세를 변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서도, 음료의 토출 거리가 과대한 것이 되지 않아, 상기 음료에 유음료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컵의 음료의 액면에 큰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컵의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above-mentioned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배치부(236)가 컵(C)의 중량에 따라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함으로써 조정 수단을 구성하였었지만, 이러한 조정 수단은, 도 16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24) 및 노즐(232) 중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변위하는 것이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즉,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되는 기립 자세의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배치부(236)를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변위시켜 컵(C)과 노즐(232)을 근접 상태로 하고, 컵(C)의 내부에 음료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음료의 투입량의 증대에 따라 배치부(236)를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변위시켜 상기 컵(C)과 상기 노즐(232)을 상대적으로 이격시킨 이격 상태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서도, 음료의 토출 거리(L3, L4)가 과대한 것이 되지 않고, 상기 음료에 유음료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컵(C)의 음료의 액면에 큰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컵(C)의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6(a),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n the standing posture to be placed is empty, the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배치부(236)가 컵(C)의 중량에 따라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하는 것이었지만, 배치부(25)는, 도 17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232)에 대하여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변위하는 것이어도 좋다.In
즉,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되는 기립 자세의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배치부(25)를 상방으로 변위시킨 제1 상태로 하고, 컵(C)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25)를 하방으로 변위시킨 제2 상태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검출부(자세 검출부)(35)가, 배치부(25)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판정부가, 검출부(35)에 의해 배치부(25)가 제1 상태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검출부(35)에 의해 배치부(25)가 제2 상태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C)의 종류를 판정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7(a) ,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n the standing posture to be placed is empty, the
이에 의해서도, 컵(C)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카메라 등의 고가의 촬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컵(C)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Also by this, it is not affected by the material or surface state of the cup C, and the kind of cup C can be judged favorably without requiring expensive imaging means, such as a camera.
<실시형태 2><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8은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18 and 19 respectively show a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이며, 예컨대 커피 원두 분쇄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를 행하여, 용기인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C)에, 예컨대 카페라테 등의 유음료를 포함한 커피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2)를 구비한다.The beverage supply device exemplified here is, for example,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and performs extraction processing for, for example, grinding and dripping coffee beans, and pours, for example, a caffe latte or the like into a cylindrical cup C having a bottom as a container. Providing coffee drinks, including milk drinks. Such a beverage supply device has a
장치 본체(2)는, 본체 캐비닛(10) 및 전면 도어(20)를 구비한다. 본체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한 대략 직방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료(예컨대 카페라테 등의 커피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11)가 마련되어 있다.The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폐색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도어체이다. 이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방측의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는 축부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이러한 전면 도어(20)는, 전면이 접객면을 구성하고, 표시부(21) 및 개폐 도어(22)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1)는, 예컨대 액정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터치 조작 등의 입력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21a)를 갖고 있다.The
개폐 도어(22)는, 예컨대 투명한 수지 등의 투광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를 덮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 개폐 도어(22)는, 좌측 단부가 전면 도어(20)에 축 지지되어 있어,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것이다. 즉, 개폐 도어(22)는, 음료 공급부(23)에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3)에 근접하는 양태로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를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3)로부터 이격하는 양태로 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입구(231)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opening/closing
음료 공급부(23)는, 표시부(21)의 하방측에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음료 공급부(23)는, 노즐(232), 스테이지(233), 후벽(234), 측벽(235) 및 배치부(236)를 갖고 있다.The beverage supply unit 23 is configured by providing a recess on the lower side of the
노즐(232)은,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음료를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토출하는 것이다. 스테이지(233)는, 노즐(232)의 하방역에 마련되어 있다. 이 스테이지(233)에는, 노즐(232)로부터 토출되어 컵(C)에 공급되지 않은 음료를 통과시키는 통과 구멍(23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방에는 음료를 저류하기 위한 트레이(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후벽(234)은, 스테이지(233)의 후면을 덮는 것이다. 측벽(235)은, 스테이지(233)의 양 측면을 덮는 것이다.The
배치부(236)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수지재에 의해 성형한 것으로서,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착편(236a)에 형성된 부착 구멍을 관통하는 요동축 부재(2361)가, 측벽(235)에 가설됨으로써, 상기 요동축 부재(2361)의 중심축 둘레로 상기 요동축 부재(2361)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1, the mounting
이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 및 후벽부(236c, 236d)를 갖고 있다. 바닥부(236b)는, 컵(C)을 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후벽부(236c, 236d)는, 바닥부(236b)에 대하여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이며 서로 이격한 양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 후벽부(236c, 236d)는, 전방을 향하여 상호 간격이 점차 증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This
이러한 배치부(236)는,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는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거나, 또는 자기 중량에 의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36b)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으로 경사지는 대기 자세(제1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에 핫 음료 전용의 컵(C)이 배치된 경우에도 대기 자세를 유지한다. 즉, 배치부(236)는,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대기 자세가 되는 것이다.In a normal state, such an
그런데, 핫 음료 전용의 컵(C)이 배치되는 경우, 바닥부(236b)는 컵(C)의 바닥면에 접한다. 또한 후벽부(236c, 236d)는, 서로 전방을 향하여 상호 간격이 점차 증대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이 컵(C)의 외주벽부의 일부에 접한다. 이에 의해 배치부(236)는, 컵(C)이 경사진 자세에서 전동하는 것을 규제한 상태로, 즉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up (C) for exclusive use of the hot beverage is disposed, the
그와 같은 배치부(236)는, 대기 자세인 경우, 수평면(G)에 대하여 경사각(β1)으로 바닥부(236b)가 경사진다. 즉, 노즐(232)이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음료를 토출하기 때문에, 배치부(236)는,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중심축(C2)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연직 방향)(H)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각(β1)(3°∼18°)으로 경사진다.As for such an arrangement|positioning
그와 같은 배치부(236)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대기 자세로 배치되는 것이지만, 도 23에 나타내는 것 같은 기립 자세(제2 상태)와, 도 24에 나타내는 것 같은 경사 자세(제3 상태)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Although such an
기립 자세는, 바닥부(236b)에 배치된 컵(C)의 중심축(C2)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연직 방향)과 평행해지는 자세이다.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에 콜드 음료 전용의 컵(C), 즉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예컨대 100 g 정도: 이하, 소정값이라고도 함) 이상이 되는 컵(C)이 배치된 경우나,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내부에 노즐(232)로부터 음료가 투입되는 결과, 투입량의 증대에 따라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다.The standing posture is a posture in which the central axis C2 of the cup C disposed on the
경사 자세는, 대기 자세보다 크게 경사진 자세이며, 수평면(G)에 대하여 경사각(β2)으로 바닥부(236b)가 경사진다. 즉, 노즐(232)이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음료를 토출하기 때문에, 배치부(236)는,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중심축(C2)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연직 방향)(H)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각(β2)(20°∼60°)으로 경사진다. 그와 같은 경사각(β2)으로 경사 자세인 경우,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가 컵(C)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접촉하는 것을 허용한다.The inclined posture is a posture that is more inclined than the standby posture, and the
그와 같이 배치부(236)는, 기립 자세와 경사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대기 자세가 된다. 그리고, 배치부(236)는,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대기 자세가 되는 한편,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축 부재(2361)의 좌단 부분에는 댐퍼 부재(2362)가 연계되어 있어, 대기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의 요동에 있어서는 그 요동 속도가 감속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는, 컵 검출부(31)와, 자세 검출부(32)와, 도어 개폐 검지부(33)와,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와, 구동부(36)와, 제어부(42)를 구비한다. 컵 검출부(31)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음료 공급부(23)에 있어서의 컵(C)의 배치의 유무, 즉 배치부(236)에 컵(C)이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컵 검출부(31)는, 컵(C)의 유무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42)에 부여하는 것이다.19 , the beverage supply device includes a cup detection unit 31 , a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인지, 기립 자세인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세 검출부(32)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2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236)의 후방역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나 경사 자세인 경우, 발광 요소(321)와 수광 요소(322) 사이에 상기 배치부(236)의 피검출부(236e)가 개재되지 않고 온 상태가 되어, 제어부(42)에 자세 검출 신호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 한편,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기립 자세인 경우, 발광 요소(321)와 수광 요소(322) 사이에 피검출부(236e)가 개재됨으로써 오프 상태가 되어, 제어부(42)에 대한 자세 검출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이다.The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고, 예컨대 광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개폐 도어(22)에 의한 입구(231)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231)가 폐쇄, 즉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었는지의 여부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2)에 부여하는 것이다.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는,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는, 입구(231)를 폐쇄하는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는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개폐 도어(22)가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도어(22)가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의 전환은, 제어부(42)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행해진다.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구동부(36)는, 모터나 출력 기어 등을 구비한 구동 유닛이며,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축 부재(2361)에 대하여, 자신의 구동력이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부(36)는, 제어부(42)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정역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서, 정회전 구동하는 경우에, 배치부(236)를 대기 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 요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구동부(36)는, 역회전 구동하는 경우에, 배치부(236)를 경사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요동시키는 것이다.The drive part 36 is a drive unit provided with a motor, an output gear, etc., and is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rocking|
제어부(42)는, 전술한 음료 생성부(11), 표시부(21), 컵 검출부(31), 자세 검출부(32), 도어 개폐 검지부(33),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 구동부(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억부(43)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 이들 각 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특징적인 것으로서 판정부(42a)를 갖고 있다.The control unit 42 includes the
또한, 제어부(42)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이며,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IC(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병용하여 실현하여도 좋다.Further, the control unit 42, for example, causes a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o execute a program, that is, may be realized by software or may be realized by hardware such as an IC (Integrated Circuit). Alternatively, it may be realized by using software and hardware together.
판정부(42a)는, 후술하는 컵 판정 처리에 있어서, 자세 검출부(32)로부터의 자세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컵(C)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다.The determination unit 42a determines the type of the cup C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ttitude detection signal from the
도 25는 도 19에 나타낸 제어부(42)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면서 음료 공급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Fig. 2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42 shown in Fig. 19 .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will be described while explaining the processing contents of such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ing.
이 음료 공급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2)는, 컵 검출부(31)에 의해 컵(C)이 배치부(236)에 배치되었다고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1). 즉, 컵(C)이 음료 공급부(23)에 있다고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this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up detection unit 31 detects that the cup C has been placed on the placement unit 236 (step S201).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detected that the cup (C) is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3).
컵(C)이 있다고 검출된 경우(단계 S201: Yes), 제어부(42)는, 도어 개폐 검지부(33)의 검지 결과를 바탕으로, 개폐 도어(22)가 폐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2).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아닌 경우(단계 S202: No)에는, 단계 S202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up C is present (step S201: Yes),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the opening/closing
한편, 제어부(42)는, 개폐 도어(22)가 폐쇄인 경우(단계 S202: Yes)에는, 컵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203).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closing
도 26은 도 25에 있어서의 컵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컵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2)는, 자세 검출부(32)로부터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3a).FIG. 26 is a flowchart showing processing contents of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25 . In this cup determination process, the control part 42 judges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n attitude|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attitude|position detection part 32 (step S203a).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단계 S203a: Yes), 제어부(42)는, 판정부(42a)를 통하여 배치된 컵(C)이 핫 음료 전용의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203b),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When there is input of the posture detection signal (step S203a: Yes),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42a that the disposed cup C is dedicated to hot beverages (step S203b), and thereafter the procedure is returned to end this process.
한편,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없었던 경우(단계 S203a: No), 제어부(42)는, 판정부(42a)를 통하여 배치된 컵(C)이 콜드 음료 전용의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203c),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posture detection signal (step S203a: No),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42a that the disposed cup C is dedicated to cold drinks (step S203c), and the After that, the order is returned to end this process.
그와 같이 하여 컵 판정 처리를 행한 제어부(42)는, 표시부(21)에 대하여, 상기 컵 판정 처리에서 판정한 종류의 컵(C)에 대응한 음료, 즉 공급해야 할 음료(핫 카페라테 음료 또는 아이스 카페라테 음료)의 표시와, 확인 등의 의미를 이루는 문언 또는 무늬가 표시된 입력부(21a)의 터치를 안내하는 안내 표시를 행한다(단계 S204).In this way, the control unit 42 that has performed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with respect to the
그 후, 제어부(42)는, 입력부(21a)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5). 입력부(21a)가 터치되지 않은 경우(단계 S205: No), 제어부(42)는, 단계 S205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Then,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unit 21a has been touched (step S205). When the input unit 21a is not touched (step S205: No), the control unit 42 repeats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of step S205.
한편, 입력부(21a)가 터치된 경우(단계 S205: Yes), 제어부(42)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를 이용하여 개폐 도어(22)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고(단계 S206), 음료 생성부(11)에 대하여, 공급하는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207).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unit 21a is touched (step S205: Yes), the control unit 42 locks the opening/closing
이 단계 S207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2)는, 상기 컵 판정 처리에서 핫 음료 전용의 컵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구동부(36)에 지령을 부여하여 정회전 구동시켜 배치부(236)를 대기 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 요동시키고, 그 후에 노즐(232)로부터 핫 카페라테 음료를 토출시킨다. 또한, 상기 컵 판정 처리에서 콜드 음료 전용의 컵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배치부(236)가 컵(C)의 중량에 의해 기립 자세로 요동한다.In the process of this step S207,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that it is a cup for exclusive use of the hot drink, the control unit 42 gives a command to the drive unit 36 to drive forward and wait for the
그 후, 제어부(42)는, 음료 생성부(11)에 의한 음료 공급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8). 음료 공급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208: No)에는, 제어부(42)는, 단계 S207로 되돌아가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속행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everage supply by the
제어부(42)는, 노즐(232)로부터의 핫 카페라테 음료의 토출 종료 후에, 구동부(36)에 지령을 부여하여 역회전 구동시켜, 배치부(236)를 경사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요동시킨다. 이 경우, 컵(C)에는 소정량의 음료가 투입되어 그 중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치부(236)는, 대기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 요동하게 된다.After the discharging of the hot caffe latte beverage from the
음료 공급이 종료된 경우(단계 S208: Yes)에는, 제어부(42)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에 의한 개폐 도어(22)의 폐쇄 상태의 로크를 해제하고(단계 S209),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When the beverage supply is finished (step S208: Yes), the control unit 42 unlocks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clos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로 유지되고,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비는 경우에는, 제어부(42)가 구동부(36)를 정회전 구동시켜 배치부(236)를 경사 자세로 하여 상기 컵(C)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노즐(232)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낙하 거리(토출 거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토출 거리를 저감시키면서 필요 이상으로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음료에 유음료가 포함되어 있었다고 해도, 컵(C)의 음료의 액면에 큰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컵(C)의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 경사 자세가 됨으로써, 컵(C)의 중심축(C2)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에 대하여 경사지는 양태로 상기 컵(C)을 경사지게 한 자세로 하는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가 컵(C)의 바닥면에 접하고, 각각의 후벽부(236c, 236d)가 컵(C)의 외주벽부의 일부에 접하기 때문에, 상기 컵(C)을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컵 검출부(31)에 의한 컵(C)의 검출 영역을 협소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it is in an inclined posture, so that the central axis (C2) of the cup (C)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H) of the nozzle (232). As for the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비는 경우에는 대기 자세가 되는 한편, 배치된 컵(C)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기립 자세가 되고, 자세 검출부(32)가,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 및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판정부(42a)가,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기립 자세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C)의 종류를 판정하기 때문에, 컵(C)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카메라 등의 고가의 촬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컵(C)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1 : 장치 본체 10 : 본체 캐비닛
11 : 음료 생성부 20 : 전면 도어
21 : 표시부 22 : 개폐 도어
23 : 음료 공급부 231 : 입구
232: 노즐 233 : 스테이지
234 : 후벽 235 : 측벽
236 : 배치부 236b : 바닥부
236c, 236d : 후벽부 236e : 피검출부
31 : 컵 검출부 32 : 자세 검출부
33 : 도어 개폐 검지부 34 : 도어 개폐 로크 기구
40 : 제어부 40a : 판정부
41 : 기억부 C : 컵1: device body 10: body cabinet
11: beverage generating unit 20: front door
21: display unit 22: open/close door
23: beverage supply 231: entrance
232: nozzle 233: stage
234: rear wall 235: side wall
236:
236c, 236d:
31: cup detection unit 32: posture detection unit
33: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34: door open/close lock mechanism
40: control unit 40a: determination unit
41: memory C: cup
Claims (9)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 상태가 되는 양태로, 상기 컵을 배치하는 배치부와,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 그리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2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A beverage supply device for discharging and supplying a beverage generated by the beverage generation unit to a bottomed cylindrical cup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from a nozzle constituting the beverage supply unit,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the cup is in the first state, and when the weight of the c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the cup is in the second state.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in any on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When i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hat the disposition part is in the first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ile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disposition part is in the second state, the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type of the cup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Beverag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상기 배치부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 자세와,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 사이에서 상기 컵을 요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치부가 경사 자세 및 상기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경사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zzle is to discharge the beverag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rrangement unit includes an inclined posture that allows the beverage ejected from the nozzle to contact any loca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cup by inclining the central axis of the cup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and the center of the cup. The cup is oscillating between a standing posture in which an axis is parallel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and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the cup is in the inclined posture, while the weight of the cup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If it becomes the standing posture,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any one of an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inclined posture, while determining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standing posture by the detection unit , The beverag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the type of the cup is determined.
상기 배치부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 자세와,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 사이에서 상기 컵을 요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경사 자세와 상기 기립 자세 사이의 대기 자세가 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대기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치부가 상기 대기 자세 및 상기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대기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nozzle is to discharge the beverag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rrangement unit includes an inclined posture that allows the beverage ejected from the nozzle to contact any loca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cup by inclining the central axis of the cup with respect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and the center of the cup. The cup is oscillating between a standing posture in which the axis is parallel to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nozzle, and in a normal state, it is a stand-by posture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inside of the cup is If it is empty, it becomes the standing posture, while when the weight of the cup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it becomes the standing posture,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any one of the standby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If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standby posture, while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standing posture, , Beverag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the cup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208482 | 2019-11-19 | ||
JPJP-P-2019-208482 | 2019-11-19 | ||
PCT/JP2020/042240 WO2021100599A1 (en) | 2019-11-19 | 2020-11-12 | Beverage suppl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4941A true KR20220024941A (en) | 2022-03-03 |
KR102666681B1 KR102666681B1 (en) | 2024-05-16 |
Family
ID=7598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2522A KR102666681B1 (en) | 2019-11-19 | 2020-11-12 | beverage dispense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243858B2 (en) |
KR (1) | KR102666681B1 (en) |
CN (1) | CN114222516B (en) |
WO (1) | WO2021100599A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51396A (en) * | 1990-06-20 | 1992-02-19 | Sanyo Electric Co Ltd | Cup-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
JP2002234595A (en) * | 2001-02-06 | 2002-08-20 | Fuji Electric Co Ltd | Beverage dispenser |
JP2009274767A (en) | 2009-07-31 | 2009-11-26 | Sanyo Electric Co Ltd | Beverage dispenser |
JP2017159941A (en) * | 2016-03-10 | 2017-09-1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Beverage dispenser |
JP2019196224A (en) * | 2018-05-07 | 2019-11-14 | 富士電機株式会社 | Beverage suppl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932250A1 (en) * | 1989-09-27 | 1991-04-04 | Computerschankanlagen D Kohlfu | DISPENSING DEVICE |
JP2933369B2 (en) * | 1990-09-27 | 1999-08-09 | 東芝機械株式会社 | Automatic dispensing device for sparkling beverages |
JPH0966997A (en) * | 1995-04-21 | 1997-03-11 | Hayakawa Sanki Kk | Container receiving device of dispenser for liquid drink |
JP4225256B2 (en) * | 2004-08-27 | 2009-02-18 |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Beverage dispenser |
JP2009252216A (en) * | 2008-04-11 | 2009-10-29 |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
CN103549882B (en) * | 2013-11-20 | 2016-03-02 |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 Drinking device and comprise its refrigerator |
CN103948313B (en) * | 2014-04-11 | 2016-08-17 | 福建金源泉科技发展有限公司 | A kind of intelligent drinking machine |
CN107978079B (en) * | 2016-10-25 | 2021-07-13 | 富士电机株式会社 | Beverage supply device |
JP6954171B2 (en) * | 2018-02-16 | 2021-10-27 | 富士電機株式会社 | Beverage supply device |
WO2019216103A1 (en) * | 2018-05-07 | 2019-11-14 | 富士電機株式会社 | Beverage supply device |
-
2020
- 2020-11-12 JP JP2021558332A patent/JP7243858B2/en active Active
- 2020-11-12 WO PCT/JP2020/042240 patent/WO202110059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11-12 CN CN202080054774.6A patent/CN114222516B/en active Active
- 2020-11-12 KR KR1020227002522A patent/KR10266668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51396A (en) * | 1990-06-20 | 1992-02-19 | Sanyo Electric Co Ltd | Cup-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
JP2002234595A (en) * | 2001-02-06 | 2002-08-20 | Fuji Electric Co Ltd | Beverage dispenser |
JP2009274767A (en) | 2009-07-31 | 2009-11-26 | Sanyo Electric Co Ltd | Beverage dispenser |
JP2017159941A (en) * | 2016-03-10 | 2017-09-1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Beverage dispenser |
JP2019196224A (en) * | 2018-05-07 | 2019-11-14 | 富士電機株式会社 | Beverage suppl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21100599A1 (en) | 2021-05-27 |
CN114222516B (en) | 2024-10-01 |
CN114222516A (en) | 2022-03-22 |
WO2021100599A1 (en) | 2021-05-27 |
JP7243858B2 (en) | 2023-03-22 |
KR102666681B1 (en) | 2024-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045572A1 (en) | Beverage server | |
US8935935B2 (en) | Methods for monitoring sensors of refrigerator appliances | |
KR20220024941A (en) | beverage supply | |
JP4261522B2 (en) | Game machine | |
CN107978079B (en) | Beverage supply device | |
JP7192242B2 (en) | beverage dispenser | |
JP7380120B2 (en) | beverage dispensing equipment | |
JP7380122B2 (en) | beverage dispensing equipment | |
WO2021100365A1 (en) | Beverage supply device | |
KR20060082720A (en) | Cup dispensing apparatus for coffee vending machine | |
JP7484128B2 (en) | Beverage supply equipment | |
JP7409123B2 (en) | beverage dispensing equipment | |
KR102543326B1 (en) |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method | |
JP3232065U (en) | Liquor serving device | |
JP7533190B2 (en) | Beverage supply equipment | |
JP4596360B2 (en) | Pachinko machine | |
JP6924521B2 (en) | Pachinko machine | |
JP2022107446A (en) | Beverage supply device | |
JP7268361B2 (en) | beverage dispenser | |
JP2023104273A (en) | Beverage supply device | |
JP4766184B2 (en) | Pachinko machine | |
JPH0464194A (en) | Automatic vending machine | |
JP2021116074A (en) | Beverage supply machine and cup determination method of beverage supply machine | |
JP4270447B2 (en) | Game machine | |
JP2002279520A (en) |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