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681B1 - beverage dispenser - Google Patents

beverage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681B1
KR102666681B1 KR1020227002522A KR20227002522A KR102666681B1 KR 102666681 B1 KR102666681 B1 KR 102666681B1 KR 1020227002522 A KR1020227002522 A KR 1020227002522A KR 20227002522 A KR20227002522 A KR 20227002522A KR 102666681 B1 KR102666681 B1 KR 102666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unit
beverage
postur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5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4941A (en
Inventor
겐야 나가요시
유키히데 모치다
게이스케 가토
다이치 모우리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0/042240 external-priority patent/WO2021100599A1/en
Publication of KR20220024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9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the flow being started or stopped by means actuated by the vessel to be filled, e.g. by switches, weig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Abstract

음료 공급부(23)에 배치된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C)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한 음료를, 음료 공급부(23)를 구성하는 노즐(232)로부터 토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컵(C)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 상태가 되는 양태로, 컵(C)을 배치하는 배치부(236)와, 배치부(236)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32)와,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제2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컵(C)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부(40a)를 구비하고 있다.A beverage supplied by discharging the beverage produced in the beverage generating section 11 from the nozzle 232 constituting the beverage supply section 23 to the bottomed cylindrical cup C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section 23. As a supply device, the cup C is placed in a first state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and a second state when the weight of the cup C exceeds a predetermined size. an arrangement unit 236 tha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 on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a posture detection unit 32 tha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 either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If it is detected to be in the second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C does not contain ice, while if the positioning unit 236 is detected by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to be in the second state, the cup C is determined to be in the second state. is provided with a determination unit 40a that determines the type of cup C by determining that it contains ice.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beverage dispenser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 등의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uppl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everage supply device such as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stor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종래,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는, 커피 머신 등의 음료 공급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음료 공급 장치는, 이용자에 의해 음료가 선택된 경우에, 예컨대 커피 원두 분쇄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 등을 행하여 음료를 생성하고,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컵에 대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Conventionally, beverage supply devices such as coffee machines are installed in stor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When a beverage is selected by a user, the beverage supply device generates a beverage by performing, for example, coffee bean grinding and dripping extraction processing, and supplies the beverage to cups plac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그와 같은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음료 공급부에 컵이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컵을 검출한 경우에만 음료의 공급을 행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In such a beverage supply device, it has been proposed that it detects whether a cup is plac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and supplies the beverage only when a cup is detected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7476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9-274767

그런데, 최근의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공급하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컵의 종류를 변경하는 것이 있다. 예컨대, 핫 음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종이제의 컵을 이용하도록 하고, 콜드 음료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얼음이 든 투명 수지제의 컵을 이용하도록 한 음료 공급 장치가 있다.However, in recent beverage supply devices, the type of cup use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beverage being supplied. For example, there is a beverage supply device that uses a paper cup to supply hot drinks, and uses a transparent resin cup with ice inside to supply cold drinks.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컵의 종류와, 공급 지시된 음료의 종류가 적절한 조합이 아닌 경우, 음료의 공급을 실시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잘못해서 종이제의 컵에 대하여, 콜드 음료용으로 추출된 음료가 공급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such a beverage supply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beverage is not supplied when the type of cup plac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and the type of beverage instructed to be supplied are not in an appropriate combination. In other words, if it has a function to determine the type of cup placed in the beverage supply s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a beverage extracted for a cold beverage is mistakenly supplied to a paper cup.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컵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supply device that can favorably determine the type of cu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상기 음료 공급부를 구성하는 노즐로부터 토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 상태가 되는 양태로, 상기 컵을 배치하는 배치부와,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2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the beverage produced in the beverage generator to a cylindrical cup with a bottom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portion by discharging the beverage from a nozzle constituting the beverage supply portion. A beverage supply device that is in a first state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and in a second state when the weight of the cup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comprising: a placement part for placing the cup; ,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on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when the placement unit is detected to be in the first state by the detection uni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cement unit is detected to be in the second state by the detection unit, a determination unit is provided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up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것이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 자세와,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 사이에서 상기 컵을 요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치부가 경사 자세 및 상기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경사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nozzle discharges the beverag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rrangement portion has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The cup is arranged to be able to swing between an inclined posture that allows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to contact any part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and a standing posture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parallel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As such,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the inclined posture is established, and when the weight of the cup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standing posture is established, and the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One of the postures is detected, and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inclined posture,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ile the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en the cup is detected to be in the standing position, the type of the cup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20°∼45°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arrangement portion is in the inclined posture,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backward by 20° to 45°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치부를 제3 상태로 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verage supply device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places the placing unit in a third state when th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것이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 자세와,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 사이에서 상기 컵을 요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경사 자세와 상기 기립 자세 사이의 대기 자세가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대기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치부가 상기 대기 자세 및 상기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대기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nozzle discharges the beverag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rrangement portion has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The cup is arranged to be able to swing between an inclined posture that allows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to contact any part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and a standing posture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parallel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In a normal state, the cup is in the standby position between the inclined position and the standing position, and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the cup is in the standby position, while the cup is in the standby position when the weight of the cup exceeds a predetermined size. is in the standing posture,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part is in one of the waiting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determina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part is in the waiting posture by the detection unit. In this case, the type of the cup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ile when the placement uni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o be in the standing pos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contains ic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치부를 상기 경사 자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driving unit places the placing unit in the inclined posture whe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3°∼18°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arrangement part is in the standby position,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backward by 3° to 18°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20°∼60°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arrangement portion is in the inclined posture,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backward by 20° to 60°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음료의 토출 종료 후에, 상기 배치부를 상기 경사 자세로부터 상기 대기 자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drive unit moves the arrangement unit from the inclined posture to the standby posture after the discharge of the beverage from the nozzle is completed.

본 발명에 따르면, 배치부가,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 상태가 되는 양태로, 상기 컵을 배치하고, 검출부가, 배치부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판정부가, 검출부에 의해 배치부가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검출부에 의해 배치부가 제2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컵의 종류를 판정하기 때문에, 컵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카메라 등의 고가의 촬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컵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is placed in such a way that the placement unit enters the first state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and the cup is placed in the second state when the weight of the cup exceeds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detection unit When the placement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either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and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first state, the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ice in the cup. When the placement unit is detected to be in the second state, the type of cup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so it is not affected by the material or surface condition of the cup, and furthermore, the camera, etc. This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etermine the type of cup well without requiring expensive imaging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음료 공급 장치의 중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배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배치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배치부에 컵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배치부의 중요부에서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배치부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나타낸 배치부에 컵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나타낸 배치부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낸 자세 검출부의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나타낸 자세 검출부의 검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제어부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컵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의 (a)는 경사 자세의 컵에 음료를 토출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15의 (b)는 기립 자세의 컵에 음료를 토출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의 (a) 및 (b)는 조정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의 (a) 및 (b)는 배치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의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나타낸 음료 공급 장치의 중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배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배치부가 대기 자세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배치부가 기립 자세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배치부가 경사 자세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19에 나타낸 제어부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있어서의 컵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important part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hown in Figure 3.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p is placed in the arrangement shown in Figure 3.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ortant part of the arrangement shown in FIG. 6.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rrangement shown in Figure 6.
Figure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p is placed in the arrangement shown in Figure 3.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arrangement shown in Figure 3.
FIG.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ection state of the posture detection unit shown in FIG. 2.
FIG. 1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ection state of the posture detection unit shown in FIG. 2.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 of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13.
Figure 15(a)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a beverage is discharged into a cup in an inclined position, and Figure 15(b)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verage is discharged into a cup in a standing position.
Figures 16 (a) and (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modifications of the adjustment means.
Figures 17 (a) and (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modified examples of the arrangement portion.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important part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shown in Figure 18.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portion shown in FIG. 20.
Fig. 2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cement unit is in a standby position.
Fig. 2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portion in a standing position.
Fig. 2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rrangement part is in an inclined position.
FIG. 2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9.
FIG. 2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 of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25.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ures 1 and 2 each show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an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system.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이며, 예컨대 커피 원두 분쇄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를 행하여, 용기인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C)에, 예컨대 카페라테 등의 유음료를 포함한 커피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The beverage supply device exemplified here is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stor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for example, and performs, for example, coffee bean grinding and dripping extraction processes, and feeds, for example, caffe latte, etc. into a cylindrical cup C with a bottom, which is a container. It supplies coffee drinks, including milk drinks. This beverage supply device is provided with a device main body (1).

여기서 컵(C)으로서는, 콜드 음료 전용의 것과, 핫 음료 전용의 것이 있다. 콜드 음료 전용의 컵(C)은, 무색이며 투명한 투명 수지제의 것이고, 음료가 공급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미리 내부에 얼음(도시하지 않음)이 든 것이다. 이 콜드 음료 전용의 컵(C)은, 내부의 얼음이 융해되지 않도록 냉동고의 내부에서 냉동 보관되고 있다. 핫 음료 전용의 컵(C)은, 백색이며 불투명한 종이제의 것이고, 콜드 음료 전용의 컵(C)과 대략 동일한 형상,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핫 음료 전용의 컵(C)은, 내부가 빈 상태로 상온 보관되고 있다.Here, the cup C includes one for cold drinks and one for hot drinks. The cup C exclusively for cold drinks is made of a colorless and transparent resin, and has ice (not shown) inside it before the drink is supplied. This cup C exclusively for cold drinks is stored frozen inside the freezer so that the ice inside does not melt. The cup C exclusively for hot beverages is made of white, opaque paper, and is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nd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s the cup C exclusively for cold beverages. This cup C exclusively for hot drinks is stored at room temperature with an empty interior.

장치 본체(1)는, 본체 캐비닛(10) 및 전면 도어(20)를 구비한다. 본체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한 대략 직방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료(예컨대 카페라테 등의 커피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11)가 마련되어 있다.The device main body 1 includes a main body cabinet 10 and a front door 20. The main body cabinet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the front open. Inside this main cabinet 10, a beverage producing unit 11 is provided to produce a beverage (e.g., a coffee beverage such as caffe latte).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폐색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도어체이다. 이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방측의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는 축부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ront door 20 is a door body with a size sufficient to close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cabinet 10. This front door 20 is provided at one edg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cabinet 10 so as to be swingable around the central axis of an axial part (not shown)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cabinet 10.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이러한 전면 도어(20)는, 전면이 접객면을 구성하고, 표시부(21) 및 개폐 도어(22)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1)는, 예컨대 액정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터치 조작 등의 입력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21a)를 갖고 있다.The front of this front door 20 constitutes a customer service surface and is provided with a display portion 21 and an opening/closing door 22. The display unit 21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touch panel,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and has an input unit 21a that allows input operations such as touch operations.

개폐 도어(22)는, 예컨대 투명한 수지 등의 투광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를 덮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 개폐 도어(22)는, 좌측 단부가 전면 도어(20)에 축 지지되어 있어,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것이다. 즉, 개폐 도어(22)는, 음료 공급부(23)에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3)에 근접하는 양태로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를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3)로부터 이격하는 양태로 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입구(231)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resin, and has a size sufficient to cover the inlet 23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3, as shown in FIG. 3 . The left end of this opening/closing door 22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front door 20, and can swing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That is,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capable of swinging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in a manner that is close to and away from the beverage supply unit 23, and when it swings backwards in a manner that is close to the beverage supply unit 23, the beverage supply unit 23 It is possible to close the inlet 231, and to open the inlet 231 when it swings forward in a manner away from the beverage supply unit 23.

음료 공급부(23)는, 표시부(21)의 하방측에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음료 공급부(23)는, 노즐(232), 스테이지(233), 후벽(234), 측벽(235) 및 배치부(236)를 갖고 있다.The beverage supply section 23 is configured by providing a concave por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section 21. This beverage supply unit 23 has a nozzle 232, a stage 233, a rear wall 234, a side wall 235, and a placement portion 236.

노즐(232)은,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음료를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토출하는 것이다. 스테이지(233)는, 노즐(232)의 하방역에 마련되어 있다. 이 스테이지(233)에는, 노즐(232)로부터 토출되어 컵(C)에 공급되지 않은 음료를 통과시키는 통과 구멍(23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방에는 음료를 저류하기 위한 트레이(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후벽(234)은, 스테이지(233)의 후면을 덮는 것이다. 측벽(235)은, 스테이지(233)의 양 측면을 덮는 것이다.The nozzle 232 discharges the beverage produced by the beverage producing unit 11 in a vertical direction downward. The stage 233 is provided in the area below the nozzle 232. This stage 233 is formed with a passage hole 233a through which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and not supplied to the cup C passes through, and below it is a tray (not shown) for storing the beverage. is provided. The rear wall 234 covers the rear of the stage 233. The side walls 235 cover both sides of the stage 233.

배치부(23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수지재에 의해 성형한 것으로서,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로 상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착편(236a)에 형성된 부착 구멍을 관통하는 요동축 부재(2361)가, 측벽(235)에 가설됨으로써, 상기 요동축 부재(2361)의 중심축 둘레로 상기 요동축 부재(2361)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mounting portion 236 is molded, for example, from a resin material, and the oscillating shaft member ( 2361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235 so as to be able to rock together with the rocking shaft member 2361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rocking shaft member 2361.

이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 및 후벽부(236c, 236d)를 갖고 있다. 바닥부(236b)는, 컵(C)을 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후벽부(236c, 236d)는, 바닥부(236b)에 대하여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이며 서로 이격된 양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 후벽부(236c, 236d)는, 전방을 향하여 상호 간격이 점차 증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This arrangement portion 236 has a bottom portion 236b and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The bottom portion 236b is for placing the cup C. The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form a left and right pair with respect to the bottom portion 236b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se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are provid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front.

이러한 배치부(236)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거나, 또는 자기 중량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36b)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 자세(제1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배치부(23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36b)에 핫 음료 전용의 컵(C)이 배치된 경우에도 경사 자세를 유지한다. 즉, 배치부(236)는,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경사 자세가 되는 것이다.In a normal state, this arrangement portion 236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support means (not shown), or is gradually moved upward by its own weight as the bottom portion 236b faces forward, as shown in FIG. 5. The inclined position becomes the inclined posture (first state). As shown in FIG. 6 , this arrangement portion 236 maintains the inclined posture even when a cup C exclusively for hot beverages is disposed on the bottom portion 236b. In other words, the placement unit 236 is in an inclined posture when the inside of the placed cup C is empty.

그런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핫 음료 전용의 컵(C)이 배치되는 경우, 바닥부(236b)는 컵(C)의 바닥면에 접한다. 또한 후벽부(236c, 236d)는, 서로 전방을 향하여 상호 간격이 점차 증대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이 컵(C)의 외주벽부의 일부에 접한다. 이에 의해 배치부(236)는, 컵(C)이 경사진 자세에서 전동하는 것을 규제한 상태로, 즉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6, when a cup C exclusively for hot drinks is placed, the bottom portion 236b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C. Additionally, since the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are provid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front of each other, each contacts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cup C, as shown in FIG. 7 . Thereby, the arrangement part 236 can maintain the cup C in a state in which rolling in an inclined posture is restricted, that is, in a positioned state.

그와 같은 배치부(236)는, 경사 자세인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면(G)에 대하여 경사각(α)으로 바닥부(236b)가 경사진다. 즉, 노즐(232)이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음료를 토출하기 때문에, 배치부(236)는,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중심축(C1)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연직 방향)(H)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각(α)(20°∼45°)으로 경사진다. 그리고, 그와 같은 경사각(α)으로 경사 자세인 경우,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가 컵(C)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접촉하는 것을 허용한다.When such an arrangement portion 236 is in an inclined posture, the bottom portion 236b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G, as shown in FIG. 8 . That is, since the nozzle 232 discharges the beverag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rrangement unit 236 is configured so that the central axis C1 of the cup C exclusively for hot beverages is aligned in the discharge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nozzle 232. ) It is inclined backwards at an inclination angle (α) (20°∼45°) with respect to (H). And, in the case of an inclined posture at such an inclination angle α,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is allowed to contact any part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C.

그와 같은 배치부(236)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36b)에 콜드 음료 전용의 컵(C), 즉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예컨대 100 g 정도; 이하, 소정값이라고도 함) 이상이 되는 컵(C)이 배치된 경우, 컵(C)의 중심축(C1)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연직 방향)과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제2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배치부(236)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내부에 노즐(232)로부터 음료가 투입되는 결과, 투입량의 증대에 따라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컵(C)의 중심축(C1)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과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9, such an arrangement portion 236 is provided with a cup C exclusively for cold beverages at the bottom 236b, that is, a cup C with a weight of a predetermined size (e.g., about 100 g;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predetermined value). ) or more, when the cup C is arranged, the central axis C1 of the cup C is in a standing posture (second state) in which the central axis C1 of the cup C is parallel to the discharge direction H (vertical direction) of the nozzle 232. will b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placement unit 236 allows the beverage to be injected from the nozzle 232 into the cup C exclusively for hot beverages, so that the weight of the cup C increases by a predetermined amount as the amount of input increases. When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alue, the central axis C1 of the cup C is in an upright posture in which the central axis C1 is parallel to the discharge direction H of the nozzle 232.

즉, 배치부(236)는,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경사 자세가 되는 한편,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축 부재(2361)의 좌단 부분에는 댐퍼 부재(2362)가 연계되어 있어, 경사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의 요동에 있어서는 그 요동 속도가 감속되도록 한다.That is, the arrangement portion 236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wing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so that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it is in the inclined posture while the weight of the cup C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is case, it is in a standing posi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and the like, a damper member 2362 is connected to the left end portion of the rocking shaft member 2361, so that the rocking speed is slowed when swinging from the inclined posture to the standing posture.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는, 컵 검출부(31)와, 자세 검출부(32)와, 도어 개폐 검지부(33)와,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와, 제어부(4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the beverage supply device includes a cup detection unit 31, a posture detection unit 32,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a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and a control unit 40. .

컵 검출부(31)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음료 공급부(23)에 있어서의 컵(C)의 배치의 유무, 즉 배치부(236)에 컵(C)이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컵 검출부(31)는, 컵(C)의 유무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40)에 부여하는 것이다.The cup detection unit 31 is configured by,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or the like,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 cup C is plac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3, that is, whether the cup C is placed in the placement unit 236. It is to detect. This cup detection unit 31 provides the control unit 40 with a detection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up C.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인지, 기립 자세인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세 검출부(32)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236)의 후방역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인 경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요소(321)와 수광 요소(322) 사이에 상기 배치부(236)의 피검출부(236e)가 개재되지 않고 온 상태가 되어, 제어부(40)에 자세 검출 신호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 한편,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기립 자세인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요소(321)와 수광 요소(322) 사이에 피검출부(236e)가 개재됨으로써 오프 상태가 되어, 제어부(40)에 대한 자세 검출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이다.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detects whether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 an inclined posture or a standing posture. 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is comprised of,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and the like, and is provided at a rear area of the placement unit 236 as shown in FIG. 5 or the like. And, when the placement unit 236 is in an inclined posture,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detects the detected portion 236e of the placement unit 236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22, as shown in FIG. 11. ) is turned on without intervention, and an attitude detection signal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40. On the other hand, when the arrangement part 236 is in the standing posture,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is in an off state due to the detection unit 236e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22, as shown in FIG. 12. , stopping the output of the postur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고, 예컨대 광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개폐 도어(22)에 의한 입구(231)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231)가 폐쇄, 즉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었는지의 여부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0)에 부여하는 것이다.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is provided near the entrance 23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3 and is comprised of,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This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detects the opening/closing of the entrance 231 by the opening/closing door 22. More specifically, it detects whether the entrance 231 is closed, that is,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closed. It is to detect whether or not. This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provides the control unit 40 with a detection result of whether the open/closed door 22 is closed.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는,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는, 입구(231)를 폐쇄하는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는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개폐 도어(22)가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도어(22)가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의 전환은, 제어부(40)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행해진다.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is provided near the inlet 23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3. This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maintains the opening/closing door 22 closing the entrance 231 in a closed state and regulates the opening/closing door 22 from swinging forward; It is possible to alternatively switch between an unlocked state that allows the open/closed door 22 to swing forward. This switching of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commands given from the control unit 40.

제어부(40)는, 전술한 음료 생성부(11), 표시부(21), 컵 검출부(31), 자세 검출부(32), 도어 개폐 검지부(33),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억부(41)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 이들 각 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특징적인 것으로서 판정부(40a)를 갖고 있다.The control unit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beverage generating unit 11, display unit 21, cup detection unit 31, posture detection unit 32,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33, and door open/close lock mechanism 34. The operation of each unit is comprehens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ogram or data stored in the electrically connected storage unit 41, and as a characteristic feature, it has a determination unit 40a.

또한, 제어부(40)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IC(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병용하여 실현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may be realized by, for example, software that causes a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o execute a program, or it may be realized by hardware such as an IC (Integrated Circuit). Alternatively, it may be realized by using both software and hardware.

판정부(40a)는, 후술하는 컵 판정 처리에 있어서, 자세 검출부(32)로부터의 자세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컵(C)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다.The determination unit 40a determines the type of cup C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osture detection signal from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in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described later.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제어부(40)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면서 음료 공급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40 shown in FIG. 2. While explaining the processing content of this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will be explained.

이 음료 공급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0)는, 컵 검출부(31)에 의해 컵(C)이 배치부(236)에 배치되었다고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1). 즉, 컵(C)이 음료 공급부(23)에 있다고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this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up detection unit 31 detects that the cup C has been placed in the placement unit 236 (step S101).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p C is detected to be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3.

컵(C)이 있다고 검출된 경우(단계 S101: Yes), 제어부(40)는, 도어 개폐 검지부(33)의 검지 결과를 바탕으로, 개폐 도어(22)가 폐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2).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아닌 경우(단계 S102: No)에는, 단계 S102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up C is present (step S101: Yes),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open/close door 22 is clos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33 (step S101: Yes). S102). If the open/close door 22 is not closed (step S102: No), the judgment process of step S102 is repeated.

한편, 제어부(40)는, 개폐 도어(22)가 폐쇄인 경우(단계 S102: Yes)에는, 컵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103).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 performs cup determination processing when the open/close door 22 is closed (step S102: Yes) (step S103).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컵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컵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0)는, 자세 검출부(32)로부터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3a).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 of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13. In this cup determination process,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n input of a posture detection signal from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step S103a).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단계 S103a: Yes), 제어부(40)는, 판정부(40a)를 통하여 배치된 컵(C)이 핫 음료 전용의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103b),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When there is an input of a posture detection signal (step S103a: Yes),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40a that the placed cup C is for hot drinks only (step S103b), and then proceeds to the following steps: Returns to end this processing.

한편,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없었던 경우(단계 S103a: No), 제어부(40)는, 판정부(40a)를 통하여 배치된 컵(C)이 콜드 음료 전용의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103c),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posture detection signal (step S103a: No),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40a that the placed cup C is for cold drinks only (step S103c), and Later, the sequence is returned to end this processing.

그와 같이 하여 컵 판정 처리를 행한 제어부(40)는, 표시부(21)에 대하여, 상기 컵 판정 처리에서 판정한 종류의 컵(C)에 대응한 음료, 즉 공급해야 할 음료(핫 카페라테 음료 또는 아이스 카페라테 음료)의 표시와, 확인 등의 의미를 이루는 문언 또는 무늬가 표시된 입력부(21a)의 터치를 안내하는 안내 표시를 행한다(단계 S104).The control unit 40, which has performed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this way, displays the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cup C of the type determined in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that is, the drink to be supplied (hot caffe latte drink) to the display unit 21. or an iced caffe latte drink) and a guide display for guiding the touch of the input unit 21a with words or patterns meaning confirmation, etc. are displayed (step S104).

그 후, 제어부(40)는, 입력부(21a)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5). 입력부(21a)가 터치되지 않은 경우(단계 S105: No), 제어부(40)는, 단계 S105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입력부(21a)가 터치된 경우(단계 S105: Yes), 제어부(40)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를 이용하여 개폐 도어(22)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고(단계 S106), 음료 생성부(11)에 대하여, 공급하는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107).After that,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unit 21a has been touched (step S105). If the input unit 21a is not touched (step S105: No), the control unit 40 repeats the judgment process in step S105.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unit 21a is touched (step S105: Yes), the control unit 40 locks the open/close door 22 in a closed state using the door open/close lock mechanism 34 (step S106), and the beverage The production unit 11 is made to process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the beverage to be supplied (step S107).

그 후, 제어부(40)는, 음료 생성부(11)에 의한 음료 공급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8). 음료 공급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108: No)에는, 제어부(40)는, 단계 S107로 되돌아가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속행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beverage supply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11 has ended (step S108). If the beverage supply has not ended (step S108: No), the control unit 40 returns to step S107 and continues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supplying the beverage.

한편, 음료 공급이 종료된 경우(단계 S108: Yes)에는, 제어부(40)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에 의한 개폐 도어(22)의 폐쇄 상태의 로크를 해제하고(단계 S109),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beverage supply is completed (step S108: Yes), the control unit 40 unlocks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22 by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step S109), and Later, the sequence is returned to end this process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비는 경우에는,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자세가 되어 상기 컵(C)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노즐(232)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낙하 거리(토출 거리)(L1)를 저감시킬 수 있다. 더구나, 컵(C)에 투입되는 음료의 투입량의 증대에 의해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 자세가 되기 때문에, 이미 컵(C)에 투입된 음료에 의해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낙하 거리(L2)가 증대하여 과대한 것이 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토출 거리(L1, L2)를 저감시키면서 필요 이상으로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음료에 유음료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컵(C)의 음료의 액면에 큰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컵(C)의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of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portion 236 is provided to be swingable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when the inside of the disposed cup C is empty, , As shown in (a) of FIG. 15, the inclined posture is allowed to allow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to contact any loca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C, so that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The falling distance (discharge distance) (L1) of the beverage can be reduced. Moreover, when the weight of the cup C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beverage poured into the cup C, the cup C is already in a standing posture as shown in (b) of FIG. 15. Due to the beverage injected into C), the falling distance L2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increases and does not become excessiv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scharge distance L1 and L2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while suppressing it from increasing more than necessary, so that even if the beverage contains a milk beverage, the beverage in the cup C It can suppress the formation of large bubbles on the liquid surface. Thereby,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the beverage in the cup C can be suppressed.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 경사 자세가 됨으로써, 컵(C)의 중심축(C1)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에 대하여 경사지는 양태로 상기 컵(C)을 경사지게 한 자세로 하는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가 컵(C)의 바닥면에 접하고, 각각의 후벽부(236c, 236d)가 컵(C)의 외주벽부의 일부에 접하기 때문에, 상기 컵(C)을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컵 검출부(31)에 의한 컵(C)의 검출 영역을 협소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the cup C is in an inclined posture, so that the central axis C1 of the cup C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H of the nozzle 232. In the arrangement portion 236 that puts the cup C in an inclined position, the bottom portion 236b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C, and each of the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C. Because it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portion, the cup C can be maintained in a positioned state. As a result, the detection area of the cup C by the cup detection unit 31 can be narrowed,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비는 경우에는 경사 자세가 되는 한편, 배치된 컵(C)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기립 자세가 되고, 자세 검출부(32)가,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 및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판정부(40a)가,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기립 자세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C)의 종류를 판정하기 때문에, 컵(C)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카메라 등의 고가의 촬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컵(C)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arrangement portion 236 is provided to be able to swing between an inclined posture and a standing posture, and when the inside of the disposed cup C is empty, it enters the inclined posture, while the disposed cup C ) When the weight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standing posture is established,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 one of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determination unit 40a: When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236 is in an inclined pos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C does not contain ice, while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determines that the placement unit 236 is in an upright position. When the posture is detected, the type of the cup C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 contains ice, so it is not affected by the material or surface condition of the cup C. , Moreover, the type of cup C can be satisfactorily determined without the need for expensive imaging means such as a camera.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 1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일없이, 여러 가지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배치부(236)가 컵(C)의 중량에 따라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함으로써 조정 수단을 구성하였었지만, 이러한 조정 수단은, 노즐의 자세를 변위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즉, 음료 공급 장치에 배치된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양태로 노즐의 자세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음료가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컵의 내부에 음료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음료의 투입량의 증대에 따라 상기 컵의 중심축이 노즐의 토출 방향과 평행해지는 양태로 노즐의 자세를 변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서도, 음료의 토출 거리가 과대한 것이 되지 않아, 상기 음료에 유음료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컵의 음료의 액면에 큰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컵의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 the adjustment means was configured by swinging the arrangement portion 236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up C. However, this adjustment means may be used to displace the posture of the nozzle. good night. That is, when the inside of the cup placed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is empty, the posture of the nozzle is shifted in such a way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so that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flows to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While allowing contact with any part of the cup, when a beverage is injected into the cup, the posture of the nozzle is shifted in such a way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cup becomes parallel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as the amount of the beverage injected increases. You can let them do it. In this way, the discharge distance of the beverage does not become excessive, and even if the beverage contains a milk beverage, the generation of large bubbles on the liquid surface of the beverage in the cup can be suppressed, thereby suppressing the decline in the quality of the beverage in the cup. can do.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배치부(236)가 컵(C)의 중량에 따라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함으로써 조정 수단을 구성하였었지만, 이러한 조정 수단은, 도 16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24) 및 노즐(232) 중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변위하는 것이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 the adjustment means was constituted by swinging the arrangement portion 236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up C. However, this adjustment means is as shown in Figures 16 (a) and ( As shown in b), one of the arrangement portion 24 and the nozzle 232 may be displaced in such a way that it is relatively close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즉,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되는 기립 자세의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배치부(236)를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변위시켜 컵(C)과 노즐(232)을 근접 상태로 하고, 컵(C)의 내부에 음료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음료의 투입량의 증대에 따라 배치부(236)를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변위시켜 상기 컵(C)과 상기 노즐(232)을 상대적으로 이격시킨 이격 상태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서도, 음료의 토출 거리(L3, L4)가 과대한 것이 되지 않고, 상기 음료에 유음료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컵(C)의 음료의 액면에 큰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컵(C)의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16,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n the standing position is empty, the placement portion 236 is moved relatively upward to separate the cup C and the nozzle 232. When the beverage is injected into the cup C in a close state, as shown in FIG. 16(b), the placement portion 236 is relatively displaced downward as the amount of the beverage added increases. The cup C and the nozzle 232 may be spaced relatively apart. In this way, the discharge distance L3, L4 of the beverage does not become excessive, and even if the beverage contains a milk beverage, the generation of large bubbles on the liquid surface of the beverage in the cup C can be suppressed. (C)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the beverage can be suppressed.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배치부(236)가 컵(C)의 중량에 따라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하는 것이었지만, 배치부(25)는, 도 17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232)에 대하여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변위하는 것이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 the placement portion 236 was oscillated between an inclined posture and a standing posture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cup C, but the placement portion 25 was positioned in the position in Figures 17(a) and 17(b). As shown, the displacement may be performed in a manner that is close to or away from the nozzle 232.

즉,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되는 기립 자세의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배치부(25)를 상방으로 변위시킨 제1 상태로 하고, 컵(C)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25)를 하방으로 변위시킨 제2 상태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검출부(자세 검출부)(35)가, 배치부(25)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판정부가, 검출부(35)에 의해 배치부(25)가 제1 상태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검출부(35)에 의해 배치부(25)가 제2 상태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C)의 종류를 판정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7 (a),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n the standing position is empty, the placement portion 25 is placed in the first state displaced upward, and the cup C is placed in the first state. When the weight exceeds a predetermined amount,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arrangement portion 25 is displaced downward may be used, as shown in FIG. 17(b). In this case, the detection unit (posture detection unit) 35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25 is in either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and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placement unit 25 is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When the first state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C does not contain ice, while when the detection unit 35 detects the placement unit 25 as the second state, the cup C is determined to contain no ice. The type of the cup C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it contains ice.

이에 의해서도, 컵(C)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카메라 등의 고가의 촬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컵(C)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not affected by the material or surface condition of the cup C, and furthermore, the type of the cup C can be well determined without the need for expensive imaging means such as a camera.

<실시형태 2><Embodiment 2>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8은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제어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1인 음료 공급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Figures 18 and 19 each show a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and Figure 1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system. In addition, those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beverage supply device of Embodiment 1 described above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are appropriately omitted.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공급 장치는, 예컨대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는 커피 머신이며, 예컨대 커피 원두 분쇄 및 드리핑의 추출 처리를 행하여, 용기인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C)에, 예컨대 카페라테 등의 유음료를 포함한 커피 음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장치는, 장치 본체(2)를 구비한다.The beverage supply device exemplified here is a coffee machine installed in stor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for example, and performs, for example, coffee bean grinding and dripping extraction processes, and feeds, for example, caffe latte, etc. into a cylindrical cup C with a bottom, which is a container. It supplies coffee drinks, including milk drinks. This beverage supply device has a device main body (2).

장치 본체(2)는, 본체 캐비닛(10) 및 전면 도어(20)를 구비한다. 본체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한 대략 직방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 본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료(예컨대 카페라테 등의 커피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생성부(11)가 마련되어 있다.The device main body 2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cabinet 10 and a front door 20. The main body cabinet 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the front open. Inside this main cabinet 10, a beverage producing unit 11 is provided to produce a beverage (e.g., a coffee beverage such as caffe latte).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폐색하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도어체이다. 이 전면 도어(20)는, 본체 캐비닛(10)의 전방측의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는 축부의 중심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본체 캐비닛(10)의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ront door 20 is a door body with a size sufficient to close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cabinet 10. This front door 20 is provided at one edg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cabinet 10 so as to be swingable around the central axis of an axial part (not shown)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cabinet 10.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이러한 전면 도어(20)는, 전면이 접객면을 구성하고, 표시부(21) 및 개폐 도어(22)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21)는, 예컨대 액정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터치 조작 등의 입력 조작이 가능한 입력부(21a)를 갖고 있다.The front of this front door 20 constitutes a customer service surface and is provided with a display portion 21 and an opening/closing door 22. The display unit 21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touch panel,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and has an input unit 21a that allows input operations such as touch operations.

개폐 도어(22)는, 예컨대 투명한 수지 등의 투광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를 덮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다. 이 개폐 도어(22)는, 좌측 단부가 전면 도어(20)에 축 지지되어 있어,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한 것이다. 즉, 개폐 도어(22)는, 음료 공급부(23)에 근접 이격하는 양태로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3)에 근접하는 양태로 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를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음료 공급부(23)로부터 이격하는 양태로 전방으로 요동하는 경우에 입구(231)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resin, and has a size sufficient to cover the inlet 23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3, as shown in FIG. 20 . The left end of this opening/closing door 22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front door 20, and can swing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That is,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capable of swinging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in a manner that is close to and away from the beverage supply unit 23, and when it swings backwards in a manner that is close to the beverage supply unit 23, the beverage supply unit 23 It is possible to close the inlet 231, and to open the inlet 231 when it swings forward in a manner away from the beverage supply unit 23.

음료 공급부(23)는, 표시부(21)의 하방측에 오목부를 마련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음료 공급부(23)는, 노즐(232), 스테이지(233), 후벽(234), 측벽(235) 및 배치부(236)를 갖고 있다.The beverage supply section 23 is configured by providing a concave por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section 21. This beverage supply unit 23 has a nozzle 232, a stage 233, a rear wall 234, a side wall 235, and an arrangement portion 236.

노즐(232)은, 음료 생성부(11)에서 생성된 음료를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토출하는 것이다. 스테이지(233)는, 노즐(232)의 하방역에 마련되어 있다. 이 스테이지(233)에는, 노즐(232)로부터 토출되어 컵(C)에 공급되지 않은 음료를 통과시키는 통과 구멍(23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방에는 음료를 저류하기 위한 트레이(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후벽(234)은, 스테이지(233)의 후면을 덮는 것이다. 측벽(235)은, 스테이지(233)의 양 측면을 덮는 것이다.The nozzle 232 discharges the beverage produced by the beverage producing unit 11 in a vertical direction downward. The stage 233 is provided in the area below the nozzle 232. This stage 233 is formed with a passage hole 233a through which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and not supplied to the cup C passes through, and below it is a tray (not shown) for storing the beverage. is provided. The rear wall 234 covers the rear of the stage 233. The side walls 235 cover both sides of the stage 233.

배치부(236)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수지재에 의해 성형한 것으로서,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착편(236a)에 형성된 부착 구멍을 관통하는 요동축 부재(2361)가, 측벽(235)에 가설됨으로써, 상기 요동축 부재(2361)의 중심축 둘레로 상기 요동축 부재(2361)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1, the placement portion 236 is molded, for example, from a resin material, and the oscillating shaft member ( 2361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235 so as to be able to rock together with the rocking shaft member 2361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rocking shaft member 2361.

이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 및 후벽부(236c, 236d)를 갖고 있다. 바닥부(236b)는, 컵(C)을 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후벽부(236c, 236d)는, 바닥부(236b)에 대하여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이며 서로 이격한 양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 후벽부(236c, 236d)는, 전방을 향하여 상호 간격이 점차 증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This arrangement portion 236 has a bottom portion 236b and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The bottom portion 236b is for placing the cup C. The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form a left and right pair with respect to the bottom portion 236b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se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are provid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front.

이러한 배치부(236)는,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는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거나, 또는 자기 중량에 의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236b)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으로 경사지는 대기 자세(제1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에 핫 음료 전용의 컵(C)이 배치된 경우에도 대기 자세를 유지한다. 즉, 배치부(236)는,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대기 자세가 되는 것이다.In a normal state, this arrangement portion 236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support means (not shown), or its own weight gradually moves upward as the bottom portion 236b faces forward, as shown in FIG. 22. It becomes a standby attitude (first state) inclined to . This arrangement portion 236 maintains the standby posture even when the cup C exclusively for hot beverages is disposed on the bottom portion 236b. In other words, the placement unit 236 is in a standby position when the inside of the placed cup C is empty.

그런데, 핫 음료 전용의 컵(C)이 배치되는 경우, 바닥부(236b)는 컵(C)의 바닥면에 접한다. 또한 후벽부(236c, 236d)는, 서로 전방을 향하여 상호 간격이 점차 증대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이 컵(C)의 외주벽부의 일부에 접한다. 이에 의해 배치부(236)는, 컵(C)이 경사진 자세에서 전동하는 것을 규제한 상태로, 즉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up C exclusively for hot beverages is disposed, the bottom portion 236b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C. Additionally, since the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are provid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m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front, each comes into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cup C. Thereby, the arrangement part 236 can maintain the cup C in a state in which rolling in an inclined posture is restricted, that is, in a positioned state.

그와 같은 배치부(236)는, 대기 자세인 경우, 수평면(G)에 대하여 경사각(β1)으로 바닥부(236b)가 경사진다. 즉, 노즐(232)이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음료를 토출하기 때문에, 배치부(236)는,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중심축(C2)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연직 방향)(H)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각(β1)(3°∼18°)으로 경사진다.When such an arrangement portion 236 is in a standby position, the bottom portion 236b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β1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G. That is, since the nozzle 232 discharges the beverag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acement portion 236 is configured so that the central axis C2 of the cup C exclusively for hot beverages is aligned with the discharge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nozzle 232. ) It is inclined backwards with respect to (H) at an inclination angle (β1) (3° to 18°).

그와 같은 배치부(236)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대기 자세로 배치되는 것이지만, 도 23에 나타내는 것 같은 기립 자세(제2 상태)와, 도 24에 나타내는 것 같은 경사 자세(제3 상태)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Such an arrangement part 236 is arranged in a standby position in a normal state, but between the standing posture (second state) shown in FIG. 23 and the inclined posture (third state) shown in FIG. 24 It is possible to shake.

기립 자세는, 바닥부(236b)에 배치된 컵(C)의 중심축(C2)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연직 방향)과 평행해지는 자세이다.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에 콜드 음료 전용의 컵(C), 즉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예컨대 100 g 정도: 이하, 소정값이라고도 함) 이상이 되는 컵(C)이 배치된 경우나,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내부에 노즐(232)로부터 음료가 투입되는 결과, 투입량의 증대에 따라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다.The standing posture is a posture in which the central axis C2 of the cup C disposed on the bottom 236b is parallel to the discharge direction H (vertical direction) of the nozzle 232. In the placement portion 236, a cup C exclusively for cold drinks, that is, a cup C having a weight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e.g., about 100 g;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predetermined value) is disposed on the bottom portion 236b. In the case where the beverage is injected from the nozzle 232 into the cup C exclusively for hot beverages, and the weight of the cup C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injected, the standing posture occurs. will be.

경사 자세는, 대기 자세보다 크게 경사진 자세이며, 수평면(G)에 대하여 경사각(β2)으로 바닥부(236b)가 경사진다. 즉, 노즐(232)이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음료를 토출하기 때문에, 배치부(236)는, 핫 음료 전용의 컵(C)의 중심축(C2)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연직 방향)(H)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각(β2)(20°∼60°)으로 경사진다. 그와 같은 경사각(β2)으로 경사 자세인 경우,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가 컵(C)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접촉하는 것을 허용한다.The inclined posture is a posture more inclined than the standby posture, and the floor portion 236b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β2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G. That is, since the nozzle 232 discharges the beverage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lacement portion 236 is configured so that the central axis C2 of the cup C exclusively for hot beverages is aligned with the discharge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nozzle 232. ) It is inclined backwards with respect to (H) at an inclination angle (β2) (20° to 60°). In the case of the inclined posture at such an inclination angle β2,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is allowed to contact any loca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cup C.

그와 같이 배치부(236)는, 기립 자세와 경사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대기 자세가 된다. 그리고, 배치부(236)는,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대기 자세가 되는 한편, 컵(C)의 중량이 소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축 부재(2361)의 좌단 부분에는 댐퍼 부재(2362)가 연계되어 있어, 대기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의 요동에 있어서는 그 요동 속도가 감속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arrangement portion 236 is provided to be able to swing between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inclined posture, and is in the waiting posture in a normal state. Then,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 a waiting posture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while it is in a standing posture when the weight of the cup C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21 and the like, a damper member 2362 is linked to the left end portion of the swing shaft member 2361, so that the swing speed is reduced when swinging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standing position.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는, 컵 검출부(31)와, 자세 검출부(32)와, 도어 개폐 검지부(33)와,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와, 구동부(36)와, 제어부(42)를 구비한다. 컵 검출부(31)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음료 공급부(23)에 있어서의 컵(C)의 배치의 유무, 즉 배치부(236)에 컵(C)이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컵 검출부(31)는, 컵(C)의 유무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42)에 부여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9, the beverage supply device includes a cup detection unit 31, a posture detection unit 32,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a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a driving unit 36, and a control unit. (42) is provided. The cup detection unit 31 is configured by,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or the like, and detects whether or not the cup C is placed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3, that is, whether the cup C is placed in the placement unit 236. It is to detect. This cup detection unit 31 provides the control unit 42 with a detection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up C.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인지, 기립 자세인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세 검출부(32)는, 예컨대 광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2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부(236)의 후방역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나 경사 자세인 경우, 발광 요소(321)와 수광 요소(322) 사이에 상기 배치부(236)의 피검출부(236e)가 개재되지 않고 온 상태가 되어, 제어부(42)에 자세 검출 신호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 한편, 자세 검출부(32)는, 배치부(236)가 기립 자세인 경우, 발광 요소(321)와 수광 요소(322) 사이에 피검출부(236e)가 개재됨으로써 오프 상태가 되어, 제어부(42)에 대한 자세 검출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이다.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detects whether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 a waiting posture or a standing posture. 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is comprised of,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and the like, and is provided at a rear area of the placement unit 236 as shown in FIG. 22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positioning part 236 is in a standby position or an inclined position, the position detecting part 32 has a detected part 236e of the positioning part 236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22. Instead, it becomes on, and an attitude detection signal is given to the control unit 42. On the other hand, when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 the standing posture,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is turned off due to the detection unit 236e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321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322, and the control unit 42 ) to stop the output of the posture detection signal.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고, 예컨대 광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개폐 도어(22)에 의한 입구(231)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231)가 폐쇄, 즉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검지부(33)는,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었는지의 여부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2)에 부여하는 것이다.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is provided near the entrance 23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3 and is comprised of,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This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detects the opening/closing of the entrance 231 by the opening/closing door 22. More specifically, it detects whether the entrance 231 is closed, that is, whether the opening/closing door 22 is closed. It is to detect whether or not. This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3 provides the control unit 42 with a detection result of whether the open/closed door 22 is closed.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는, 음료 공급부(23)의 입구(231)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는, 입구(231)를 폐쇄하는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되는 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개폐 도어(22)가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개폐 도어(22)가 전방을 향하여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의 전환은, 제어부(42)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행해진다.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is provided near the inlet 231 of the beverage supply unit 23. This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maintains the opening/closing door 22 closing the entrance 231 in a closed state and regulates the opening/closing door 22 from swinging forward; It is possible to alternatively switch between an unlocked state that allows the open/closed door 22 to swing forward. This switching of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commands given from the control unit 42.

구동부(36)는, 모터나 출력 기어 등을 구비한 구동 유닛이며,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축 부재(2361)에 대하여, 자신의 구동력이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부(36)는, 제어부(42)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정역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서, 정회전 구동하는 경우에, 배치부(236)를 대기 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 요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구동부(36)는, 역회전 구동하는 경우에, 배치부(236)를 경사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요동시키는 것이다.The drive unit 36 is a drive unit equipped with a motor, an output gear, etc., and as shown in FIG. 21, is connected to the swing shaft member 2361 so that its driving force can be transmitted. This drive unit 36 drives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n accordance with a command given from the control unit 42, and when driving in forward rotation, swings the arrangement unit 236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clined position. Additionally, the drive unit 36 swings the arrangement unit 236 from the inclined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when driving in reverse rotation.

제어부(42)는, 전술한 음료 생성부(11), 표시부(21), 컵 검출부(31), 자세 검출부(32), 도어 개폐 검지부(33),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 구동부(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억부(43)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에 따라, 이들 각 부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며, 특징적인 것으로서 판정부(42a)를 갖고 있다.The control unit 42 includes the above-described beverage generating unit 11, display unit 21, cup detection unit 31, posture detection unit 32,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33, door open/close lock mechanism 34, and drive unit 36.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unit 43, and the operation of each unit is comprehens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ogram or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43, which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and as a characteristic feature, it has a decision unit 42a. .

또한, 제어부(42)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처리 장치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이며, 즉,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IC(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여도 좋고,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병용하여 실현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2 causes a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o execute a program, that is, it may be realized by software or by hardware such as an IC (Integrated Circuit). Alternatively, it may be realized by using both software and hardware.

판정부(42a)는, 후술하는 컵 판정 처리에 있어서, 자세 검출부(32)로부터의 자세 검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컵(C)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이다.The determination unit 42a determines the type of cup C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osture detection signal from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in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described later.

도 25는 도 19에 나타낸 제어부(42)가 실시하는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음료 공급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설명하면서 음료 공급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FIG. 2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 of the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42 shown in FIG. 19. While explaining the processing content of this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supply device will be explained.

이 음료 공급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2)는, 컵 검출부(31)에 의해 컵(C)이 배치부(236)에 배치되었다고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1). 즉, 컵(C)이 음료 공급부(23)에 있다고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this beverage supply control process,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up detection unit 31 detects that the cup C has been placed in the placement unit 236 (step S201).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p C is detected to be in the beverage supply unit 23.

컵(C)이 있다고 검출된 경우(단계 S201: Yes), 제어부(42)는, 도어 개폐 검지부(33)의 검지 결과를 바탕으로, 개폐 도어(22)가 폐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2). 개폐 도어(22)가 폐쇄가 아닌 경우(단계 S202: No)에는, 단계 S202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up C is present (step S201: Yes),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the open/close door 22 is clos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33 (step S201: Yes). S202). If the open/close door 22 is not closed (step S202: No), the judgment process of step S202 is repeated.

한편, 제어부(42)는, 개폐 도어(22)가 폐쇄인 경우(단계 S202: Yes)에는, 컵 판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203).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2 performs cup determination processing when the door 22 is closed (step S202: Yes) (step S203).

도 26은 도 25에 있어서의 컵 판정 처리의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컵 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2)는, 자세 검출부(32)로부터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3a).FIG. 26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ing content of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FIG. 25. In this cup determination process,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n input of a posture detection signal from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step S203a).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단계 S203a: Yes), 제어부(42)는, 판정부(42a)를 통하여 배치된 컵(C)이 핫 음료 전용의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203b),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When there is an input of a posture detection signal (step S203a: Yes),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42a that the placed cup C is for hot drinks only (step S203b), and then proceeds to the following steps: Returns to end this processing.

한편, 자세 검출 신호의 입력이 없었던 경우(단계 S203a: No), 제어부(42)는, 판정부(42a)를 통하여 배치된 컵(C)이 콜드 음료 전용의 것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203c),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input of the posture detection signal (step S203a: No),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42a that the placed cup C is for cold drinks only (step S203c), and Later, the sequence is returned to end this processing.

그와 같이 하여 컵 판정 처리를 행한 제어부(42)는, 표시부(21)에 대하여, 상기 컵 판정 처리에서 판정한 종류의 컵(C)에 대응한 음료, 즉 공급해야 할 음료(핫 카페라테 음료 또는 아이스 카페라테 음료)의 표시와, 확인 등의 의미를 이루는 문언 또는 무늬가 표시된 입력부(21a)의 터치를 안내하는 안내 표시를 행한다(단계 S204).The control unit 42, which has performed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in this way, displays the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cup C of the type determined in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that is, the drink to be supplied (hot caffe latte drink) to the display unit 21. or an iced caffe latte drink), and a guidance display for guiding the touch of the input unit 21a, which displays words or patterns meaning confirmation, etc., is performed (step S204).

그 후, 제어부(42)는, 입력부(21a)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5). 입력부(21a)가 터치되지 않은 경우(단계 S205: No), 제어부(42)는, 단계 S205의 판단 처리를 반복한다.After that,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unit 21a has been touched (step S205). If the input unit 21a is not touched (step S205: No), the control unit 42 repeats the judgment processing of step S205.

한편, 입력부(21a)가 터치된 경우(단계 S205: Yes), 제어부(42)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를 이용하여 개폐 도어(22)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고(단계 S206), 음료 생성부(11)에 대하여, 공급하는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S207).On the other hand, when the input unit 21a is touched (step S205: Yes), the control unit 42 locks the open/close door 22 in the closed state using the door open/close lock mechanism 34 (step S206), and the beverage The production unit 11 is made to process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the beverage to be supplied (step S207).

이 단계 S207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42)는, 상기 컵 판정 처리에서 핫 음료 전용의 컵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구동부(36)에 지령을 부여하여 정회전 구동시켜 배치부(236)를 대기 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 요동시키고, 그 후에 노즐(232)로부터 핫 카페라테 음료를 토출시킨다. 또한, 상기 컵 판정 처리에서 콜드 음료 전용의 컵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배치부(236)가 컵(C)의 중량에 의해 기립 자세로 요동한다.In the processing of this step S207, when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that the cup is a cup exclusively for hot beverages in the above-mentioned cup determination process, it gives a command to the drive unit 36 to drive it in a forward rotation and waits for the placement unit 236. It is rocked from the posture to the inclined posture, and then the hot caffe latte beverage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In addition, when the cup determination process determines that the cup is exclusively for cold beverages, the placement unit 236 is rocked to a standing position by the weight of the cup C.

그 후, 제어부(42)는, 음료 생성부(11)에 의한 음료 공급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8). 음료 공급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208: No)에는, 제어부(42)는, 단계 S207로 되돌아가서 음료의 생성 및 공급의 처리를 속행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42 determines whether the beverage supply by the beverage generating unit 11 has ended (step S208). If the beverage supply has not ended (step S208: No), the control unit 42 returns to step S207 and continues the process of creating and supplying the beverage.

제어부(42)는, 노즐(232)로부터의 핫 카페라테 음료의 토출 종료 후에, 구동부(36)에 지령을 부여하여 역회전 구동시켜, 배치부(236)를 경사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요동시킨다. 이 경우, 컵(C)에는 소정량의 음료가 투입되어 그 중량이 소정값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치부(236)는, 대기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 요동하게 된다.After the discharge of the hot caffe latte beverage from the nozzle 232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42 gives a command to the drive unit 36 to drive it to reverse rotation and swing the placement unit 236 from the inclined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In this case, since a predetermined amount of beverage is put into the cup C and its weight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placement unit 236 swings from the waiting position to the standing position.

음료 공급이 종료된 경우(단계 S208: Yes)에는, 제어부(42)는, 도어 개폐 로크 기구(34)에 의한 개폐 도어(22)의 폐쇄 상태의 로크를 해제하고(단계 S209), 그 후에 순서를 리턴하여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When beverage supply is completed (step S208: Yes), the control unit 42 unlocks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22 by the door opening/closing lock mechanism 34 (step S209), and then proceeds to the following steps: Returns to end this process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로 유지되고,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비는 경우에는, 제어부(42)가 구동부(36)를 정회전 구동시켜 배치부(236)를 경사 자세로 하여 상기 컵(C)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노즐(232)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낙하 거리(토출 거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노즐(232)로부터 토출되는 음료의 토출 거리를 저감시키면서 필요 이상으로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음료에 유음료가 포함되어 있었다고 해도, 컵(C)의 음료의 액면에 큰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컵(C)의 음료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everage supply device of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cing unit 236 is maintained in the standby position, and when the inside of the placed cup C is empty, the control unit 42 is operated by the driving unit. Since (36) is driven in a forward rotation to place the placing portion 236 in an inclined position and allow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to contact any loca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C, the nozzle 232 The falling distance (discharge distance)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can be reduc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scharge distance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232 and prevent it from increasing more than necessary, so that even if the beverage contains a milk beverage, large bubbles do not form on the liquid surface of the beverage in the cup C. occurrence can be prevented. Thereby, 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the beverage in the cup C can be suppressed.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컵(C)의 내부가 빈 경우에 경사 자세가 됨으로써, 컵(C)의 중심축(C2)이 노즐(232)의 토출 방향(H)에 대하여 경사지는 양태로 상기 컵(C)을 경사지게 한 자세로 하는 배치부(236)는, 바닥부(236b)가 컵(C)의 바닥면에 접하고, 각각의 후벽부(236c, 236d)가 컵(C)의 외주벽부의 일부에 접하기 때문에, 상기 컵(C)을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컵 검출부(31)에 의한 컵(C)의 검출 영역을 협소한 것으로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when the inside of the cup C is empty, the cup C is in an inclined posture, so that the central axis C2 of the cup C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H of the nozzle 232. In the arrangement portion 236 that puts the cup C in an inclined position, the bottom portion 236b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C, and each of the rear wall portions 236c and 236d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C. Because it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portion, the cup C can be maintained in a positioned state. As a result, the detection area of the cup C by the cup detection unit 31 can be narrowed,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배치부(236)가 경사 자세와 기립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배치된 컵(C)의 내부가 비는 경우에는 대기 자세가 되는 한편, 배치된 컵(C)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기립 자세가 되고, 자세 검출부(32)가,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 및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판정부(42a)가,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대기 자세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자세 검출부(32)에 의해 배치부(236)가 기립 자세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C)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C)의 종류를 판정하기 때문에, 컵(C)의 재질이나 표면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카메라 등의 고가의 촬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컵(C)의 종류를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everage supply device, the arrangement portion 236 is provided to be able to swing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so that when the inside of the disposed cup C is empty, it enters the standby posture, while the disposed cup C ) When the weight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posture is in a standing posture,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236 is in one of the waiting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determination portion 42a: When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236 is in the standby pos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C does not contain ice, while the posture detection unit 32 determines that the placement unit 236 is in the standing position. When the posture is detected, the type of the cup C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 contains ice, so it is not affected by the material or surface condition of the cup C. , Moreover, the type of cup C can be satisfactorily determined without the need for expensive imaging means such as a camera.

1 : 장치 본체 10 : 본체 캐비닛
11 : 음료 생성부 20 : 전면 도어
21 : 표시부 22 : 개폐 도어
23 : 음료 공급부 231 : 입구
232: 노즐 233 : 스테이지
234 : 후벽 235 : 측벽
236 : 배치부 236b : 바닥부
236c, 236d : 후벽부 236e : 피검출부
31 : 컵 검출부 32 : 자세 검출부
33 : 도어 개폐 검지부 34 : 도어 개폐 로크 기구
40 : 제어부 40a : 판정부
41 : 기억부 C : 컵
1: device body 10: body cabinet
11: Beverage generating unit 20: Front door
21: display unit 22: opening/closing door
23: Beverage supply unit 231: Entrance
232: nozzle 233: stage
234: rear wall 235: side wall
236: placement part 236b: bottom part
236c, 236d: rear wall portion 236e: detection target portion
31: cup detection unit 32: posture detection unit
33: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34: Door open/close lock mechanism
40: control unit 40a: decision unit
41: memory unit C: cup

Claims (9)

음료 공급부에 배치된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컵에 대하여, 음료 생성부에서 생성한 음료를, 상기 음료 공급부를 구성하는 노즐로부터 토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제1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2 상태가 되는 양태로, 상기 컵을 배치하는 배치부와,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 그리고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1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제2 상태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A beverage supply device that supplies the beverage produced in the beverage generator to a cylindrical cup with a bottom disposed in the beverage supply portion by discharging it from a nozzle constituting the beverage supply portion,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it is in a first state, and when the cup's weight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it is in a second state;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at the arrangement unit is in on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first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ile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second state, the cup is determined to have no ice. A judgment unit that determines the type of the cup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A beverage supply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것이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 자세와,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 사이에서 상기 컵을 요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치부가 경사 자세 및 상기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경사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zzle discharges the beverage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The arrangement portion has an inclined posture that allows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to contact an arbitrary loca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by tilting the central axis of the cup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and the center of the cup. By arranging the cup so that it can swing between the standing postures in which the axis is parallel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when the inside of the cup is empty, it is in the inclined posture, while the cup has a weight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In this case, it becomes the above-mentioned standing posture,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one of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part is in the inclined posture,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standing posture,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 A beverag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the cup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20°∼45°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n the arrangement part is in the inclined position,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backward by 20° to 45°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치부를 제3 상태로 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unit that places the placing unit in a third state when th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것이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짐으로써, 상기 컵의 내주벽부의 임의 개소에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 자세와,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는 기립 자세 사이에서 상기 컵을 요동 가능하게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정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경사 자세와 상기 기립 자세 사이의 대기 자세가 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컵의 내부가 빈 경우에는 상기 대기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컵의 중량이 미리 결정된 크기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립 자세가 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치부가 상기 대기 자세 및 상기 기립 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판정부가,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대기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상기 검출부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상기 기립 자세인 것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컵의 종류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ozzle discharges the beverage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The arrangement portion has an inclined posture that allows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nozzle to contact an arbitrary location of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cup by tilting the central axis of the cup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and the center of the cup. By arranging the cup so that it can swing between the standing postures whose axes are parallel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in a normal state, the cup is in a waiting posture between the inclined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inside of the cup is When empty, it becomes the waiting posture, while when the weight of the cup exceeds a predetermined size, it becomes the standing posture,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one of the waiting posture and the standing posture,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standing posi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placement unit is in the standing position, th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 A beverage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ype of the cup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cup contains 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컵에는 얼음이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배치부를 상기 경사 자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riving unit places the placing unit in the inclined position when th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cup does not contain ice.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대기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3°∼18°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when the arrangement part is in the standby position,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3° to 18°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경사 자세가 되는 경우, 상기 컵의 중심축이 상기 노즐의 토출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20°∼60°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when the arrangement part is in the inclined position, the central axis of the cup is inclined backward by 20° to 60°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nozzle.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노즐로부터의 상기 음료의 토출 종료 후에, 상기 배치부를 상기 경사 자세로부터 상기 대기 자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The beverage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rive unit moves the arrangement unit from the inclined posture to the standby posture after the discharge of the beverage from the nozzle is completed.
KR1020227002522A 2019-11-19 2020-11-12 beverage dispenser KR1026666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08482 2019-11-19
JP2019208482 2019-11-19
PCT/JP2020/042240 WO2021100599A1 (en) 2019-11-19 2020-11-12 Beverage suppl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941A KR20220024941A (en) 2022-03-03
KR102666681B1 true KR102666681B1 (en) 2024-05-16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595A (en) 2001-02-06 2002-08-20 Fuji Electric Co Ltd Beverage dispenser
JP2017159941A (en)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JP2019196224A (en) 2018-05-07 2019-11-14 富士電機株式会社 Beverage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595A (en) 2001-02-06 2002-08-20 Fuji Electric Co Ltd Beverage dispenser
JP2017159941A (en) 2016-03-1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everage dispenser
JP2019196224A (en) 2018-05-07 2019-11-14 富士電機株式会社 Beverage suppl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1596B2 (en) Sensor system for a refrigerator dispenser
JP5023106B2 (en) Game machine
KR20140116092A (en) Refrigerator with automatic liquid dispenser
KR102666681B1 (en) beverage dispenser
JP7243858B2 (en) beverage dispenser
JP2016222326A (en) Beverage automatic spouting device
JP7380122B2 (en) beverage dispensing equipment
JP7380120B2 (en) beverage dispensing equipment
WO2021100365A1 (en) Beverage supply device
KR102230228B1 (en) Refrigerator
JP7484128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JP7192242B2 (en) beverage dispenser
JP2017083099A (en) refrigerator
KR102124037B1 (en) Refrigerator
KR102533644B1 (en) Refrigerator
JP6564235B2 (en) Beverage automatic dispensing device
US20110061766A1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dispenser for beverages and/or ice
JP3232065U (en) Liquor serving device
KR102375257B1 (en) Refrigerator
JP4596360B2 (en) Pachinko machine
JP6924521B2 (en) Pachinko machine
JP2002279520A (en)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JP6564232B2 (en) Beverage automatic dispensing device
JP7268361B2 (en) beverage dispenser
JP2022107446A (en) Beverage suppl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