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616A - 자가과립화 기법을 이용한 딜티아젬 서방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가과립화 기법을 이용한 딜티아젬 서방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616A
KR20220023616A KR1020200105563A KR20200105563A KR20220023616A KR 20220023616 A KR20220023616 A KR 20220023616A KR 1020200105563 A KR1020200105563 A KR 1020200105563A KR 20200105563 A KR20200105563 A KR 20200105563A KR 20220023616 A KR20220023616 A KR 20220023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vegetable oil
hydrogenated vegetable
diltiazem
sus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612B1 (ko
Inventor
김용수
권민성
양윤아
이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휴텍스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휴텍스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휴텍스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5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612B1/ko
Priority to PCT/KR2021/010917 priority patent/WO2022039478A1/ko
Publication of KR20220023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ring hetero atoms, e.g. clothiapine, diltiaz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95Tabletting processes; Dosage units made by direct compression of powders or specially processed granules, by eliminating solvents, by melt-extrusion, by injection molding, by 3D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딜타아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서방성 제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딜티아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경화식물유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2)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60~90℃에서 3~18시간 동안 건조한 후 실온 방치하는 단계;
(3) 상기 (2)의 결과물을 분쇄하고 정립하는 단계; 및
(4) 상기 (3)의 결과물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활택제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제조방법에 의하면, 의약품 생산공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일반적인 트레이 건조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 설비와 관련한 비용이 비약적으로 절감된다. 또한, 습식이나 건식 과립법 공정을 거치지 않은 채 온도 및 건조시간만을 통제하여 서방 과립화 공정이 수행되므로 공정 효율이 극단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나아가, 핫멜트법으로 제조를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제조수율 문제가 해결된다.

Description

자가과립화 기법을 이용한 딜티아젬 서방정 조성물의 제조방법{THE PREPARATION METHOD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DILTIAZEM AS AN ACTIVE INGREDIENT USING SELF-GRANULATION TECHNIQUE}
본 발명은 습식과립, 건식과립 또는 용융과립을 거치지 않고서도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스스로 과립화되는 방식(HTSSG, High Tech Solid Self Granulation)을 채택하여 딜티아젬 서방성 제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딜티아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서방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딜타아젬, 경화식물유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특정 온도 및 시간에서 건조공정만을 행한 후 이를 분쇄하여 후혼합하여 서방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서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딜티아젬(diltiazem)은 아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약물로서,
Figure pat00001
벤조티아제핀 계열의 칼슘 채널 차단제이고, 고혈압 또는 협심증 치료 등에 이용된다. 딜티아젬은 1982년에 FDA 허가를 받은 전통적 혈압 강하제로서 심장, 혈관 평활근으로의 칼슘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약리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딜티아젬은 BCS Class I에 속하는 약물로서 용해도 및 투과도가 좋은 약물로 분류되고, 염산염 등과 같은 제제분야에서 허용되는 통상적인 염의 형태로 의약품의 주성분으로 이용된다.
현재 국내에서 허가받은 딜티아젬 성분의 서방성 제제로서는 딜티아젬염산염 90mg를 주성분으로 하는 헤르벤서방정(Herben SR Tab.) 또는 딜티아젬염산염 180mg를 주성분으로 하는 헤르벤서방캡슐(Herben SR Cap.) 등이 존재한다.
딜티아젬의 서방성 제제 또는 조성물에 관하여 아래와 같은 문헌이 있다.
일본국 특개 제2005-97126호에서는 방출이 제어된 경구투여용 딜티아젬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a) 염산딜티아젬, 유기산 및 물에 가용성인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합성폴리머를 포함하는 코어, (b) 코어를 둘러싸고, 수불용성 또는 수팽윤성 폴리머 및 탈크를 포함하는 코팅층, 그리고, (c) 염산딜티아젬, 유기산 및 물에 가용성인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폴리머를 포함하고 코팅을 피복하는 외층으로 이루어지는 경구투여용 딜티아젬 제제를 개시한다. 이 문헌에서는 코어를 제조함에 있어서 습식압출조립법, 전동조립법, 유동층조립법 등을 개시하면서 통상의 코팅법으로 코어를 코팅한다고 기재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128855호는 딜티아젬의 서방출성 펠렛제형의 제조방법으로서 특정 조성을 갖는 수계 멤브레인 코팅으로 일반적인 유기용매 코팅과 유사한 방출조절능을 갖는 딜티아젬 서방형펠 렛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문헌에서는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하여 딜티아젬 펠렛을 제조하고 여기에 수계 멤브레인 코팅을 실시하여 서방성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고 특1996-0011232호에서는 단일의 일일 투여를 위한 딜티아젬을 포함하는 서방화 제제로서 경질 젤라틴 캡슐에 포함된 펠렛 제형을 개시한다. 이 문헌 역시 딜티아젬 펠렛을 제조한 후 특정 고분자막을 여러 차례 코팅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고 특1997-0001656호에서는 경구투여용 조절흡수 딜티아젬 펠렛 제제를 개시한다. 이 문헌에서는 딜티아젬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이 유기산과 결합된 중심부(이때 상기 딜티아젬 성분과 유기산은 50 : 1-1 : 1의 비율로 존재), 및 상기 중심부를 둘러싸는 비수용성 합성 폴리머 필름과 수용성인 합성 폴리며를 임의로 소량 함유하는 다층막으로 이루어지는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244010호에는 2종의 다른 용해 프로파일을 갖는 딜티아젬 비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1일 1회 투여에 적합한 딜티아젬 제제가 개시된다. 이 문헌에서는 딜티아젬을 포함하는 중심코어를 제조하고, 이를 고분자로 코팅함으로서 딜티아젬 비드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09279호에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과 왁스를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제형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이 문헌에서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으로서 딜티아젬을 예시하고 있는데, 서방성 물질로서 왁스를 채택하였기 때문에 핫 멜트 과립화법을 바람직한 과립화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왁스를 혼합 탱크에 넣고 80℃ 내지 165℃로 가열하여 녹인 후 다른 성분을 혼합하여 용해한 후, 용융 압출하는 방식을 개시한다.
일본국 특개 제2005-9712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09279호
Various ways of modulating the release of diltiazem hydrochloride from hot-melt extruded sustained release pellets prepared using polymeric materials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Volume 36, Issue 3, October 1995, Pages 243-250)
경화식물유를 서방성 물질로 채택하여 딜티아젬 서방성 제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핫멜트 과립화 제조법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특수한 설비가 필요 없으며,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는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유효성분으로서 딜티아젬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경화식물유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단순 혼합한 후 특정 시간 및 온도에서 건조 공정을 거치는 동안 스스로 과립화되는 자가과립화 기법을 통하여 상기 과제가 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딜티아젬 서방화 제제의 제조공정이 극단적으로 단순화된다. 따라서, 핫 멜트법을 비롯한 다른 방식의 과립화법에 사용되는 설비 및 이에 관련된 공정이 생략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제조된 딜타아젬 정제의 용출의 서방출 패턴은 기허가 받은 대조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과립화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서방성 제제와 대조약, 그리고, 비교예의 용출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서방성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약물 방출을 서방화하는 물질(이하 '서방성 물질'이라 한다)을 사용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에 사용되는 서방성 물질로서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 고분자로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왁스류, 나트륨 알지네이트, 포비돈, 폴리비닐알콜, 소디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잔탄검, 알긴산염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이 알려져 있고, 특정 약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서방성 물질을 채택하여 서방화 제제를 설계한다.
본 발명은 딜티아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서방성 제제를 구현하기 위하여 경화식물유(hydrogenated vegetable oil)를 서방성 물질로 사용한다. 경화식물유는 상표 아코파인(Akofine), 루브리탭(Lubritab), 스테로텍스(Sterotex), 소프티잔(Softisan 154), 리포볼(Lipovol HS-K), 스테로텍스(Sterotex HM)등으로 시중에서 구입 가능하다.
경화식물유는 정제나 캡슐의 제조과정에서 탤크와 함께 사용되어 활택제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제어방출 제제에 있어서의 매트릭스 형성물질로 사용됨으로써 약물 방출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경화식물유는 지용성 물질로서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경화식물유를 이용하여 서방성 제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유기용매를 사용해서 이를 녹이거나 또는 용융 압출 과립화법(이하 "핫멜트법"이라 함)을 사용해야 한다. 즉, 경화식물유를 고온에서 녹인 후 여기에 주성분 및 기타 부형제를 혼합한 후 이를 압출하고 냉각하여 과립을 형성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유기용매를 제제화 공정중에 사용하는 것은 인체에 해롭고 또한 엄격한 잔류용매 기준을 맞추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경화식물유를 녹여서 이를 코팅한다거나 또는 핫멜트법을 이용하여 과립을 제조하는 것은 특수한 장치와 설비 및 복잡한 공정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핫멜트법의 경우, 가열성 자켓 유닛(heatable jacket unit)을 구비한 집중 혼합기(intensive mixer)등의 설비가 있어야 하고, 서방성 물질과 부형제 및 약물을 함께 혼합하여 이를 완전히 용해시켜야 한다. 그리고, 용해된 후에는 스크루 압출기 등을 이용해서 압출하면서 냉각하는 공정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고 이와 같은 냉각 과정에서 경화식물유와 첨가제 및 약물이 균일하게 혼합된 서방성 매트릭스가 과립의 형태로 생성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핫멜트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딜티아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경화식물유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단순 혼합한 후, 특정 온도 및 시간 동안 건조공정 만을 행함으로써 딜티아젬의 서방화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해 진다는 지견을 얻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개시되는 제조방법은 국내외 그 어떤 문헌에서도 제시된 바 없는 신규하고도 간단한 제조공정으로서, 실제 산업현장에서 극히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이 혼합공정, 자가과립화 공정, 분쇄공정, 후혼합 공정을 포함한다.
(1) 주성분으로서 딜티아젬 또는 딜티아젬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경화식물유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혼합하는 공정;
(2) 상기 혼합물을 60~90℃에서 3~18시간 동안 건조하는 공정 및 실온 방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자가 과립화 공정;
(3) 분쇄공정; 및
(4) 경화식물유를 비롯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활택제를 후혼합하는 공정
본 발명의 혼합공정은 딜티아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경화식물유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를 혼합하는 공정이다.
딜티아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본 발명의 서방성 제제의 주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라 함은 양이온과 음이온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하고 있는 물질인 염 중에서도 약제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염을 의미하는데, 통상적으로 금속염, 유기 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알루미늄염 등이 될 수 있고; 유기 염기와의 염으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무기산과의 염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유기산과의 염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으며;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르기닌, 라이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이 될 수 있고;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으로는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염산염이 바람직하지만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주성분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공정에서 사용하는 경화식물유는 융점이 70℃ 이하인 경화식물유를 사용하는데, 이는 루브리탭 등의 상표명으로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물질이다. 경화식물유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50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공정에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는 주성분 및 경화식물유와 문제 없이 혼합될 수 있는 희석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유당, 무수유당, 유당수화물, 옥수수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감자전분, 덱스트린, 밀전분, 알긴산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만니톨, 솔비톨, 규산알루미늄,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인산일수소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등이 있고, 유당 수화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부형제는 조성물 본 제제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주성분, 경화식물유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혼합한 후에는 이를 60~90℃에서 3~18시간 동안 건조하는 공정 및 실온 방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자가 과립화 공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자들은, 딜티아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경화식물유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가 균일하게 잘 혼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를 60~90℃에서 3~18시간 동안 건조한 후 실온에 방치하는 것만으로 스스로 과립화가 된다는 지견을 얻었고 이를 자가 과립화 공정이라고 명명하였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경화식물유를 이용하여 서방성 제제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주로 용융 압출법에 의한 과립화를 수행해 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와 같은 자가 과립화 방식에 의한 과립공정은 기존의 통상적인 인식을 넘는 놀라운 것이다. 왜냐하면, 이와 같은 자가 과립화는 트레이 건조기와 같은 기존의 건조공정 설비를 그대로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주성분과 경화식물유 및 기타 부형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기 온도 및 시간 조건에서 건조하는 경우, 경화식물유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는 반고체 상태(유동적 상태)에서 주성분 및 부형제 입자에 불연속적으로 부착하다가 부분적인 액체 가교가 형성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 상태에서 실온에 방치함으로서 마치 고체분산체와 유사한 내부 구조적 형상을 취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를 분쇄함으로써 서방성 과립이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실온 방치는 실온에서 5분 ~ 2시간 동안 방치할 수 있다. 실온에서 방치한 후 매우 짧은 시간 동안(예를 들면 10분) 단단하게 굳어지게 되므로 이를 재차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나 공정은 필요하지 않다. 즉, 실온 방치를 통하여 충분히 건조되어 굳어지게 된다. 분쇄공정은 상기 자가 과립화 공정을 마친 후 정립기를 통해 체과하여 정립물로 제조하는 공정이다. 도 1에는 혼합 직후의 혼합물, 건조기에 투입한 모습, 건조 직후의 모습, 실온 방치 후 모습 및 이를 손으로 분쇄한 모습을 보였다.
이후, 상기 정립물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활택제를 후혼합한다. 후혼합되는 활택제는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경화식물유, 탈크, 라우릴황산나트륨, 합성규산알루미늄, 무수규산, 경질무수규산,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경화식물유를 후혼합하는 경우에는, 자가 과립화 공정에 사용되었던 경화식물유 보다 융점이 높은(예를 들면, 융점 86℃의 경화식물유 등) 경화식물유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후혼합된 조성물을 타정하여 정제로 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약품 생산공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일반적인 트레이 건조기를 사용하므로 장치, 설비와 관련한 비용이 비약적으로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습식이나 건식 과립법 공정을 거치지 않고 단순히 온도 및 건조시간만을 통제하여 서방 과립화 공정이 수행되므로 공정 효율이 극단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나아가, 핫멜트법으로 제조를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제조수율 문제가 해결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닌 단순 구현 예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것임을 유념해야 한다.
실시예 1
염산딜티아젬 90mg, 경화식물유(Lubritab, 융점 61~66℃) 60mg, 유당 수화물 108mg을 혼합기(ERWEKA GmbH사제)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트레이 건조기에 넣어, 60℃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 후 실온에서 30분 방치하였다. 충분히 건조 및 굳은 것을 확인 한 후 정립기를 통해 체과하였다. 여기에 식물경화유(Lubriwax 101, 융점 86℃) 10mg, 스테아린산 4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4mg 및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4mg을 후혼합하고 타정하였다.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되, 자가 과립화 공정에서의 온도 및 시간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였다.
건조 온도 건조 시간
실시예 2 60℃ 6시간
실시예 3 60℃ 18시간
실시예 4 70℃ 3시간
실실예 5 70℃ 6시간
실시예 6 70℃ 18시간
실시예 7 90℃ 3시간
비교예 1 50℃ 3시간
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공정으로 진행하되, 아래와 같이 경화식물유의 함량을 변경하면서 그 영향을 조사하였다.
Figure pat00002
비교예 3(직타법)
염산딜티아젬 90mg, 경화식물유(Lubritab, 융점 61~66℃) 60mg, 유당 수화물 121mg을 혼합기(ERWEKA GmbH)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여기에 스테아린산 3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mg 및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3mg을 후혼합하고 타정하였다.
실험예 1 건조공정에 따른 용출율 확인
대조약으로서 헤르벤 서방정을 이용하여 아래 조건에서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용출시험을 실시하였고, 분석은 대한약전의 딜티아젬 서방정 용출 시험 방법에 따라 진행 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내지 도 4 및 도 7에 기재하였다.
용출시험조건
용출액 : 물(정제수) / 제법 : 패들법 (2법) / 회전 rpm : 50 rpm
도2 내지 도4 및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은 대조약과 유사한 용출률을 나타냈으나, 건조 온도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온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의 경우 충분한 서방화를 달성할 수 없었다.
실험예 2 경화식물유의 함량에 따른 용출률 확인
대조약으로서 헤르벤 서방정을 이용하여 아래 조건에서 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예 2에 대하여 용출시험을 실시하였고, 분석은 대한약전의 딜티아젬 서방정 용출 시험 방법에 따라 진행 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기재하였다.
용출시험조건
용출액 : 물(정제수) / 제법 : 패들법 (2법) / 회전 rpm : 50 rpm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화식물유의 양이 15% 이하인 경우(비교예 2) 서방화가 불충분하였고, 그 이상이 되어야 대조약과 동등한 수준의 서방화가 달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 제조 방법 변경(직타) 따른 용출률 확인
대조약으로서 헤르벤 서방정을 이용하여 아래 조건에서 비교예 3에 대하여 용출시험을 실시하였고, 분석은 대한약전의 딜티아젬 서방정 용출 시험 방법에 따라 진행 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기재하였다.
용출시험조건
용출액 : 물(정제수) / 제법 : 패들법 (2법) / 회전 rpm : 50 rpm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순혼합을 진행한 직타의 경우(비교예 3) 서방화가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약품 생산공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일반적인 트레이 건조기를 사용하므로 장치, 설비와 관련한 비용이 비약적으로 절감된다. 또한, 습식이나 건식 과립법 공정을 거치지 않고 단순히 온도 및 건조시간만을 통제하여 서방 과립화 공정이 수행되므로 공정 효율이 극단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나아가, 핫멜트법으로 제조를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제조수율 문제가 해결된다.

Claims (7)

  1. 딜타아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서방성 제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딜티아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경화식물유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2)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60~90℃에서 3~18시간 동안 건조한 후 실온 방치하는 단계;
    (3) 상기 (2)의 결과물을 분쇄하고 정립하는 단계; 및
    (4) 상기 (3)의 결과물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활택제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무수유당, 유당수화물,솔비톨 및 만니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부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활택제는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경화식물유, 탈크, 라우릴황산나트륨, 합성규산알루미늄, 무수규산, 경질무수규산, 콜로이드성 이산화 규소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가 (1) 단계의 경화식물유는 융점이 70℃ 이하인 경화식물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경화식물유는 상기 (1) 단계에서 사용되는 경화식물유 보다 용점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경화식물유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15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1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딜티아젬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서방성 제제 조성물로서, 아래와 같은 조성을 갖는 서방성 제제 조성물.
    Figure pat00003
KR1020200105563A 2020-08-21 2020-08-21 자가과립화 기법을 이용한 딜티아젬 서방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30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563A KR102530612B1 (ko) 2020-08-21 2020-08-21 자가과립화 기법을 이용한 딜티아젬 서방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PCT/KR2021/010917 WO2022039478A1 (ko) 2020-08-21 2021-08-18 자가과립화 기법을 이용한 딜티아젬 서방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563A KR102530612B1 (ko) 2020-08-21 2020-08-21 자가과립화 기법을 이용한 딜티아젬 서방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616A true KR20220023616A (ko) 2022-03-02
KR102530612B1 KR102530612B1 (ko) 2023-05-09

Family

ID=8035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563A KR102530612B1 (ko) 2020-08-21 2020-08-21 자가과립화 기법을 이용한 딜티아젬 서방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0612B1 (ko)
WO (1) WO202203947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9825A (en) * 1992-06-26 1995-07-04 Mcneil-Ppc, Inc. Rotomelt granulation
JP2005097126A (ja) 2003-09-22 2005-04-14 Tanabe Seiyaku Co Ltd 経口投与用ジルチアゼム製剤
KR20110031485A (ko) * 2008-07-03 2011-03-28 노파르티스 아게 용융 과립화 방법
KR101609279B1 (ko) 2008-03-21 2016-04-05 밀란 파마슈티컬즈, 인코포레이티드 왁스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형
CN108524459A (zh) * 2018-06-15 2018-09-14 天津田边制药有限公司 一种盐酸地尔硫卓片剂及其制备方法
CN110464710A (zh) * 2019-09-02 2019-11-19 新华制药(高密)有限公司 一种盐酸地尔硫*片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9825A (en) * 1992-06-26 1995-07-04 Mcneil-Ppc, Inc. Rotomelt granulation
JP2005097126A (ja) 2003-09-22 2005-04-14 Tanabe Seiyaku Co Ltd 経口投与用ジルチアゼム製剤
KR101609279B1 (ko) 2008-03-21 2016-04-05 밀란 파마슈티컬즈, 인코포레이티드 왁스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형
KR20110031485A (ko) * 2008-07-03 2011-03-28 노파르티스 아게 용융 과립화 방법
CN108524459A (zh) * 2018-06-15 2018-09-14 天津田边制药有限公司 一种盐酸地尔硫卓片剂及其制备方法
CN110464710A (zh) * 2019-09-02 2019-11-19 新华制药(高密)有限公司 一种盐酸地尔硫*片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arious ways of modulating the release of diltiazem hydrochloride from hot-melt extruded sustained release pellets prepared using polymeric materials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Volume 36, Issue 3, October 1995, Pages 243-25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612B1 (ko) 2023-05-09
WO2022039478A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49467B2 (en) Coated tablet formulation and method
KR100634953B1 (ko) 에프로사르탄을 포함하는 생물학적으로 강화된 경구 고형투여 형태의 제제
JP5054000B2 (ja) イマチニブおよび放出遅延剤を含む医薬組成物
CA2424001C (en) Oral preparations with favorable disintegration characteristics
CN106232144B (zh) 固体分散体
MX2009001551A (es) Formulaciones de flibanserina y metodo para fabricarlas.
WO2006026504A2 (en) Mucoadhesive oral formulations of high permeability, high solubility drugs
JP2013532651A (ja) シロドシンと塩基性コポリマーとの混合物を含む経口投与用医薬品
US20100278909A1 (en) Process for forming solid oral dosage forms of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s
TW200848056A (en) Solid dispersion of a neurokinin antagonist
WO2014068586A2 (en) Solid oral compositions of tolvaptan
JP2010519200A (ja) シロスタゾールを含む制御放出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500853A (ja) 即時放出マルチユニットペレットシステム
US20130344148A1 (en) Oral Composition
CA2748895C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superior product performance and patient compliance
JP5124286B2 (ja) 徐放性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103490A1 (en) Solid antiviral dosage forms
EP3601277B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
KR102530612B1 (ko) 자가과립화 기법을 이용한 딜티아젬 서방정 조성물의 제조방법
CA2781826A1 (en)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galantamine
EP307967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f rasagiline
KR101428149B1 (ko) 이매티닙메실산염 함유 과립, 이를 포함하는 경구용 속방성 정제 조성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138253B1 (ko) 실로스타졸 서방성 제제
US2023011935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a kinase inhibitor
US20220062183A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tablet of rifaximin and tablet of rifaxim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