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345A -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 Google Patents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345A
KR20220023345A KR1020217039426A KR20217039426A KR20220023345A KR 20220023345 A KR20220023345 A KR 20220023345A KR 1020217039426 A KR1020217039426 A KR 1020217039426A KR 20217039426 A KR20217039426 A KR 20217039426A KR 20220023345 A KR20220023345 A KR 20220023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antenna
wireless
housing member
lo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323B1 (ko
Inventor
라이언 씨. 퍼킨스
타쯔야 사노
크리스토퍼 제이. 월턴
에릭 엘. 왕
크리스토퍼 엠. 워너
안토니 엠. 애쉬크로프트
에릭 지. 데 종
티르사타흐 에이. 헌터
슬 비 김
저스틴 디. 크로스비
우진 정
사무엘 비. 셰비츠
조한 아벤달
에두아르도 조지 다 코스타 브라스 리마
카를로 디 날로
자예쉬 나스
디미트리오스 파판토니스
크리스토퍼 에스. 그레이엄
폴 제이. 톰슨
데본 케이. 코펠란드
콜린 엠. 엘리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584,805 external-priority patent/US20200333421A1/en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2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2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active tags, i.e. provided with its own power source or in passive tags, i.e. deriving power from RF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2Posture restra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3/00Devices for locking portable objects against unauthorised removal; Miscellaneous locking devices
    • E05B73/0017Anti-theft devices, e.g. tags or monitors, fixed to articles, e.g. clothes, and to be removed at the check-out of sho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36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measured values, i.e. measurement on mobile and position calculation on bas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26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 H01Q5/25Ultra-wideband [UWB] systems, e.g. multiple resonance systems; Puls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04W4/185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by embedding added-value information into content, e.g. geo-ta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003Chain, wire or cable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07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82Time delay steered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상단 표면 및 주변 측부 표면을 한정하는 안테나 프레임 및 주변 측부 표면을 따라 위치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안테나 조립체에 결합되고, 버튼 셀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공동을 한정하는 프레임 부재, 및 안테나 조립체 및 프레임 부재를 인클로징하는 인클로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는, 일체형 중합체 구조물로부터 형성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상단 외부 표면의 전체를 한정하는 상단 벽을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WIRELESSLY LOCATABLE TAG}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특허 협력 조약 특허 출원은 2019년 4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35,469호, 2019년 5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55,768호, 2019년 8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94,640호, 2019년 9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식 출원 제16/584,592호, 2019년 9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식 출원 제16/584,646호, 2019년 9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식 출원 제16/584,678호, 2019년 9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식 출원 제16/584,712호, 2019년 9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식 출원 제16/584,738호, 2019년 9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식 출원 제16/584,762호, 2019년 9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식 출원 제16/584,782호, 2019년 9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식 출원 제16/584,805호, 및 2019년 9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식 출원 제16/584,817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들의 내용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기술분야
설명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폰들 및 휴대용 컴퓨터들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들은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다른 위치식별 시스템 또는 기술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디바이스가 아닌 개인 속성을 위치식별하거나 GPS가 없는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치식별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개인 속성 또는 물체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관한 것이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상단 표면 및 주변 측부 표면을 한정하는 안테나 프레임 및 주변 측부 표면을 따라 위치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안테나 조립체에 결합되고, 버튼 셀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공동을 한정하는 프레임 부재, 및 안테나 조립체 및 프레임 부재를 인클로징하는 인클로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는, 일체형 중합체 구조물로부터 형성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상단 외부 표면의 전체를 한정하는 상단 벽 및 안테나 조립체의 주변 측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외부 주변 측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한정하는 주변 측벽을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는, 프레임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저부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청각적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제1 하우징 부재의 상단 벽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오디오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프레임은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는 중합체 재료 상에 도금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안테나 조립체에 부착된 회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 프레임은 주변 지지 플랜지를 한정할 수 있고, 주변 지지 플랜지는 회로 기판의 외측 주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안테나 조립체에 부착된 회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 프레임은 회로 기판 공동을 한정할 수 있고, 회로 기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로 기판 공동 내에 있을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재는 외부 환경과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내부 용적부를 유동적으로 결합하는 통로를 한정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통로를 덮는 공기 투과성 방수 막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의 상단 벽은 안테나 프레임의 상단 표면과 접촉할 수 있고, 안테나 프레임은 주변 지지 플랜지를 한정할 수 있고, 주변 지지 플랜지는 프레임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상단 표면 및 주변 측부 표면을 한정하는 안테나 프레임 및 주변 측부 표면을 따라 위치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는 안테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되고 안테나 조립체에 부착되고 안테나 조립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클로징하는 일체형 상부 하우징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일체형 상부 하우징 부재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상단 외부 표면의 실질적 전체를 한정한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안테나 조립체에 결합되고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공동을 한정하는 프레임 부재, 및 배터리를 인클로징하기 위해 프레임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저부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한정하는 하부 하우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는 채널을 한정할 수 있고, 하부 하우징 부재는 프레임 부재에 대해 하부 하우징 부재를 보유하기 위해 채널과 맞물리는 래치 부재를 한정할 수 있다. 채널은 채널 표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하부 하우징 부재에 부착되고 래치 부재를 채널 표면과의 맞물림 상태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편향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편향 부재는 배터리를 배터리 공동 내로 편향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프레임은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테나 프레임 내의 개구 내에 있고 가청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일체형 상부 하우징 부재의 상단 외부 표면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 부재는 외부 환경과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내부 용적부를 유동적으로 결합하는 통로를 한정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통로를 덮는 공기 투과성 방수 막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는 제1 안테나일 수 있고, 안테나 조립체는 주변 측부 표면을 따라 위치된 제2 안테나 및 상단 표면을 따라 위치된 제3 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는, 상단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상단 벽 및 제1 공동의 적어도 제1 부분을 한정하는 상부 하우징 부재, 및 주변 측부 표면 및 제1 공동의 적어도 제2 부분을 한정하는 주변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는, 제1 공동 내에 있고, 제2 공동을 한정하는 안테나 프레임 및 안테나 프레임에 부착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공동 내에 있고 안테나 프레임에 결합된 회로 기판, 안테나 조립체에 결합되고,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공동을 한정하는 프레임 부재, 및 배터리 공동을 인클로징하기 위해 프레임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된 하부 하우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는, 하부 하우징 부재에 결합되고 하부 하우징 부재와 상부 하우징 부재 사이에 편향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편향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는 제2 공동 위에서 안테나 프레임에 부착되어, 프레임 부재와 안테나 프레임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클로징된 용적부를 한정할 수 있고, 회로 기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용적부 내에 있을 수 있다.
상단 벽은 상단 외부 표면 반대편의 내부 표면을 추가로 한정할 수 있고, 내부 표면의 제1 부분은 안테나 프레임과 접촉할 수 있고, 내부 표면의 제2 부분은 갭에 의해 안테나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내부 표면의 제2 부분은 상단 벽의 중심 부분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는 상단 벽의 중심 부분 아래에 위치된 오디오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은 가청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상단 벽의 중심 부분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위한 홀더는,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외부 표면의 영역을 한정하는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홀더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리셉터클 부분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리셉터클 부분 내에 위치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1 개구,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도어의 외측 주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제2 개구, 및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외부 표면의 영역과 정렬된 제3 개구를 한정한다. 홀더는, 리셉터클 부분에 결합되고 리셉터클 부분 내에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보유하기 위해 폐쇄 구성으로 제1 개구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체결구, 및 홀더를 물체에 해제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체결 스트랩(fastening strap)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물체는 개구를 한정하는 분할 링일 수 있고, 체결 스트랩은 분할 링의 개구를 통해 루프화될 수 있다. 체결 스트랩은 체결 스트랩의 말단부에서 스트랩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스트랩 개구는 리셉터클 부분이 스트랩 개구를 통과하여 체결 스트랩 내에 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부분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공동을 한정할 수 있다. 공동은 리셉터클 부분의 내측 표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내측 표면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공동 내에 있을 때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와 접촉한다. 제2 및 제3 개구들은 원형일 수 있다. 제2 및 제3 개구들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체결구는 스냅일 수 있고, 스냅은, 돌출부 컴포넌트 주위에서 연장되는 원주방향 홈을 한정하는 돌출부 컴포넌트, 원주방향 홈 내에 위치된 압축 링, 원주방향 홈 내에 위치되고 압축 링 상에 편향력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유연성 부재를 포함하는 수형 조립체, 및 돌출부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한정하는 암형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압축 링은 수형 조립체와 암형 조립체 사이의 맞물림을 보유하기 위해 암형 조립체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위한 홀더는,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외부 표면의 영역을 한정하는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홀더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부분의 제1 부분, 및 체결 스트랩을 한정하는 제1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또한 계면 영역을 따라 제1 층에 인접하고 리셉터클 부분의 제2 부분을 한정하는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층은 계면 영역의 일부분을 따라 제1 층에 부착됨으로써,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개구를 한정한다. 홀더는, 제1 층에 결합된 제1 체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체결구, 및 제2 층에 결합되고 리셉터클 부분 내에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보유하기 위해 폐쇄 구성으로 개구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2 체결구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개구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리셉터클 부분 내에 위치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구는 제1 개구일 수 있고, 제1 층은 제2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제2 층은 제3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제2 개구 또는 제3 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외부 표면의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 스트랩은 홀더를 물체에 해제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클립에 부착될 수 있다. 체결 스트랩의 말단부는 루프를 한정하기 위해 체결 스트랩의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 스트랩의 말단부는 제1 체결구 조립체에 의해 체결 스트랩의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 스트랩은 체결 스트랩의 말단부에서 스트랩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스트랩 개구는 리셉터클 부분이 스트랩 개구를 통과하여 체결 스트랩 내에 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위한 홀더는,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외부 표면의 영역을 한정하는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홀더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부분 - 리셉터클 부분은, 리셉터클 부분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개구,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외부 표면의 영역과 정렬된 제2 개구를 한정함 -, 제1 개구에 근접한 리셉터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탭 - 탭은 제3 개구를 한정함 -, 및 제1 개구에 근접한 리셉터클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개구를 폐쇄 구성으로 보유하기 위해 제3 개구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은 제3 개구로부터 제거되어 제1 개구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수용하기 위해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트랩은 스트랩의 말단부에서 루프를 한정할 수 있고, 홀더는 루프에 부착된 제거가능한 분할 링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거가능한 분할 링의 치수는 제3 개구의 치수보다 커서, 제거가능한 분할 링이 루프에 부착될 때 스트랩의 말단부가 제3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부분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도어의 외측 주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제4 개구를 추가로 한정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1 외부 표면 및 제1 외부 표면 반대편의 내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2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 제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 제1 무선 프로토콜과는 상이한 제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및 오디오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은,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자석 조립체, 및 자기장 내에 위치되고 제1 하우징 부재의 내부 표면에 결합된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코일은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제1 하우징 부재에 힘을 부여함으로써, 가청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제1 하우징 부재의 일부분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코일은 제1 전류가 코일을 통과할 때 자기장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의 일부분은 제1 하우징 부재의 일부분에 적용되는 입력 힘에 응답하여 편향되도록 구성되어, 코일이 자기장 내에서 이동하여 코일 내에 전류를 유도하게 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전류를 검출하고, 전류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것은 무선 비콘 신호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의해 송신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내에서 약 10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500 마이크로미터의 갭만큼 제1 하우징 부재로부터 이격된 이동 제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동 제한 부재는 입력 힘에 응답하여 제1 하우징 부재의 편향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제1 하우징 부재는 주변 벽을 한정하는 주변 부재 및 개구를 한정하는 상단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 내에 있는 중심 부재, 및 중심 부재를 주변 부재에 유연하게 결합하고, 중심 부재가 주변 부재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유연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벽, 중심 부재 및 유연성 부재는 각각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1 외부 표면의 일부분을 한정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비콘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의 상단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 및 제1 하우징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고, 인클로저의 저부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는, 무선 비콘 신호를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위치식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및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위치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가청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은,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자석 조립체, 및 자기장 내에 위치되고 제1 하우징 부재에 결합된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코일은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제1 하우징 부재에 힘을 부여함으로써, 가청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제1 하우징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가청 출력은 제1 주파수를 가질 수 있고, 오디오 시스템은 위치식별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촉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촉각 출력은 제1 주파수와는 상이한 제2 주파수를 갖는다. 제1 주파수는 약 1000 ㎐ 내지 약 4000 ㎐일 수 있고, 제2 주파수는 약 100 ㎐ 내지 약 500 ㎐일 수 있다.
자석 조립체는 공동을 한정하는 금속 요크(yoke),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동 내에 있는 자석, 및 금속 요크의 반대쪽에서 자석을 덮는 금속 상단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의 상단 외부 표면과 금속 상단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는 약 1.0 mm 내지 약 2.0 mm일 수 있다.
코일은 매트릭스 재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전도성 와이어의 복수의 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코일은 제1 하우징 부재의 내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의 상단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단 외부 표면 반대편의 내부 표면을 한정하는 상단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은 내부 표면의 코일 영역에 부착될 수 있고, 상단 벽은 코일 영역에서 약 30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5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을 위해 사용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1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 제거가능한 제2 하우징 부재, 및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자석 조립체 및 자기장 내에 위치되고 제1 하우징 부재의 내부 표면에 결합된 코일을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은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제1 동작 모드에서, 제1 하우징 부재의 일부분을 이동시켜 가청 출력을 생성하고, 제2 동작 모드에서, 제1 하우징 부재의 일부분을 이동시켜 촉각 출력을 생성하고, 제3 동작 모드에서, 제1 하우징 부재의 일부분에 적용된 힘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이동에 응답하여 전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청 출력 및 촉각 출력은 상이한 주파수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의 일부분을 이동시켜 가청 출력 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는 것은 제1 하우징 부재를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내에서 배터리 공동을 한정하는 프레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제거가능한 제2 하우징 부재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2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고, 배터리 공동 내에 배터리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제1 하우징 부재는 주변 벽을 한정하는 주변 부재 및 개구를 한정하는 상단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 내에 있는 중심 부재, 및 중심 부재를 주변 부재에 유연하게 결합하는 유연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의 일부분을 이동시켜 가청 출력 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는 것은 주변 부재에 대해 중심 부재를 병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1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 제1 하우징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2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 및 안테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조립체는, 상단 표면 및 주변 측부 표면을 한정하는 안테나 프레임, 주변 측부 표면을 따라 안테나 프레임 상에 있고 제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 주변 측부 표면을 따라 안테나 프레임 상에 있고 제1 무선 프로토콜과는 상이한 제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위치식별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및 상단 표면을 따라 안테나 프레임 상에 있고 제1 및 제2 무선 프로토콜들과는 상이한 제3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3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일 수 있고, 제2 무선 프로토콜은 초광대역 프로토콜일 수 있고, 제3 무선 프로토콜은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공개 암호화 키를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는, 위치식별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를 결정하고, 공개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위치 보고를 준비하고 - 암호화된 위치 보고는 무선 모듈의 위치를 포함함 -, 암호화된 위치 보고를 원격 서버에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프레임은 상단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저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안테나 프레임의 저부 표면을 따라 안테나 프레임에 결합되고 전도성 트레이스를 갖는 회로 기판, 및 전도성 트레이스에 전도성으로 결합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프레임은 안테나 프레임을 통해 연장되는 절두원추형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절두원추형 개구는 안테나 프레임의 상단 표면에서의 제1 직경으로부터 안테나 프레임의 저부 표면에서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으로 테이퍼 형성된다. 절두원추형 개구를 한정하는 벽의 표면이 전도성 재료로 도금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절두원추형 개구 내에 있고 전도성 재료 및 전도성 트레이스에 접합되는 솔더 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재료는 제1 안테나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고, 솔더 볼은 전도성 트레이스에 제1 안테나를 전도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안테나들은 안테나 프레임 내의 각자의 제1, 제2 및 제3 리세스들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안테나들은 전기도금된 금속일 수 있다. 안테나 프레임은 금속 재료로 도핑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는, 상단 벽 및 측벽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부재 - 상단 벽 및 측벽은 제1 하우징 부재 내의 공동을 한정함 -, 제1 하우징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부재, 및 공동 내의 안테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조립체는, 제1 하우징 부재의 상단 벽과 접촉하는 일부분을 갖는 상단 표면, 및 측벽에 대면하는 주변 측부 표면을 한정하는 안테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조립체는, 주변 측부 표면을 따라 안테나 프레임 상에 있고 제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 주변 측부 표면을 따라 안테나 프레임 상에 있고 제1 무선 프로토콜과는 상이한 제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및 상단 표면을 따라 안테나 프레임 상에 있고 제1 및 제2 무선 프로토콜들과는 상이한 제3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3 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는 높이 치수 및 높이 치수보다 큰 길이 치수를 한정할 수 있고, 높이 치수는 주변 측부 표면의 높이의 적어도 90%일 수 있다. 주변 측부 표면은 만곡된 표면을 한정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안테나들은 만곡된 표면 주위에 정반대로(antipodally) 위치될 수 있다.
제1 안테나는 주변 측부 표면 상의 제1 안테나 요소, 및 주변 측부 표면 상에 있고 제1 안테나 요소로부터 이격된 제2 안테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요소는 피드 라인 및 전기 접지 평면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2 안테나 요소는 전기 접지 평면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고, 피드 라인에 전도성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는 회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 프레임은, 회로 기판에 전도성으로 결합되고 안테나 프레임을 통해 연장되는 제1 테이퍼 형성된 개구에 의한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제1 비아, 및 회로 기판에 전도성으로 결합되고 안테나 프레임을 통해 연장되는 제2 테이퍼 형성된 개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제2 비아를 한정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요소는 제1 비아 및 제2 비아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2 안테나 요소는 제2 비아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1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 제1 하우징 부재에 결합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2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 및 안테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 조립체는, 상단 벽을 한정하는 안테나 프레임, 및 상단 벽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되는 주변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고, 주변 지지 플랜지 및 상단 벽은 회로 기판 공동을 한정한다. 안테나 조립체는 주변 지지 플랜지 상의 제1 안테나, 주변 지지 플랜지 상의 제2 안테나, 및 상단 벽 상의 제3 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로 기판 공동 내에 위치된 회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프레임은 안테나 프레임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를 추가로 한정할 수 있고, 개구의 표면은 전도성 재료로 코팅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개구 내에 있고 전도성 재료 및 회로 기판에 접합되는 솔더 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벽은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오디오 시스템이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안테나는 제1 역 F 안테나일 수 있고, 제2 안테나는 제2 역 F 안테나일 수 있고, 제3 안테나는 루프 안테나일 수 있다. 제1 안테나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안테나는 초광대역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3 안테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역 F 안테나는 제1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제2 역 F 안테나는 제1 길이와는 상이한 제2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 및 프레임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에 부착되고 버튼 셀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공동 및 프레임 부재를 관통하는 개구를 한정한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제1 하우징 부재와 프레임 부재 사이에 위치된 회로 기판, 회로 기판에 결합되고, 프레임 부재 내의 개구를 통해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편향가능한 아암을 포함하는 배터리 커넥터, 프레임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부재, 및 버튼 셀 배터리를 프레임 부재의 배터리 공동 내로 그리고 배터리 커넥터의 편향가능한 아암에 대항하여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편향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편향 부재는 제2 하우징 부재에 결합된 베이스 및 제2 하우징 부재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금속 스프링 아암을 한정하는 일체형 금속 구조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개구는 제1 개구일 수 있고, 편향가능한 아암은 제1 편향가능한 아암일 수 있고, 프레임 부재는 제2 개구 및 제3 개구를 추가로 한정할 수 있다. 배터리 커넥터는 제2 개구를 통해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제2 편향가능한 아암, 및 제3 개구를 통해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제3 편향가능한 아암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커넥터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편향가능한 아암, 제2 편향가능한 아암, 및 제3 편향가능한 아암은 본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지될 수 있다. 제1 편향가능한 아암은 버튼 셀 배터리의 네거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편향가능한 아암 및 제3 편향가능한 아암은 버튼 셀 배터리의 포지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제2 편향가능한 아암과 제3 편향가능한 아암 사이의 연속성 검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버튼 셀 배터리가 배터리 공동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제1 금속 패드 및 제2 금속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편향가능한 아암은 제2 편향가능한 아암이 버튼 셀 배터리에 의해 편향될 때 제1 금속 패드를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3 편향가능한 아암은 제3 편향가능한 아암이 버튼 셀 배터리에 의해 편향될 때 제2 금속 패드를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하우징 부재 및 프레임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 부재는 하우징 부재에 부착되고 버튼 셀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공동, 프레임 부재를 관통하는 제1 개구, 프레임 부재를 관통하는 제2 개구 및 프레임 부재를 관통하는 제3 개구를 한정한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하우징 부재와 프레임 부재 사이에 위치된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에 결합되는 배터리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커넥터는, 제1 개구를 통해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제1 편향가능한 아암, 제2 개구를 통해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제2 편향가능한 아암, 및 제3 개구를 통해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제3 편향가능한 아암을 포함한다.
하우징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일 수 있고, 외부 표면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1 외부 표면일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프레임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2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제2 하우징 부재에 부착되고 버튼 셀 배터리를 프레임 부재의 배터리 공동 내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편향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편향가능한 아암은 버튼 셀 배터리의 평탄한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편향가능한 아암 및 제3 편향가능한 아암은 버튼 셀 배터리의 만곡된 주변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편향가능한 아암들은 버튼 셀 배터리가 배터리 공동 내에 위치될 때 버튼 셀 배터리에 의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커넥터는 본체, 제1 편향가능한 아암에 전도성으로 결합된 제1 솔더 패드, 제2 편향가능한 아암에 전도성으로 결합된 제2 솔더 패드, 및 제3 편향가능한 아암에 전도성으로 결합된 제3 솔더 패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편향가능한 아암들은 각각 제1, 제2 및 제3 솔더 패드들을 통해 회로 기판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편향가능한 아암 및 제1 솔더 패드는 제1 일체형 금속 구조물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제2 편향가능한 아암 및 제2 솔더 패드는 제2 일체형 금속 구조물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제3 편향가능한 아암 및 제3 솔더 패드는 제3 일체형 금속 구조물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 제1 하우징 부재에 부착되고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공동을 한정하는 프레임 부재, 제1 하우징 부재와 프레임 부재 사이에 위치된 회로 기판, 회로 기판에 결합되고 배터리의 단자에 전도성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편향가능한 아암을 포함하는 배터리 커넥터, 프레임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 환경과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의 내부 용적부를 유동적으로 결합하는 통기 개구를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 배터리를 프레임 부재의 배터리 공동 내로 그리고 배터리 커넥터의 편향가능한 아암에 대항하여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편향 부재, 및 통기 개구를 덮고 편향 부재에 의해 한정된 플랜지와 제2 하우징 부재의 내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방수 막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는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는, 개구를 통해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고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전도성 플러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편향가능한 아암은 전도성 플러그와 접촉할 수 있다. 편향가능한 아암은 전도성 플러그를 배터리 공동 내로 편향시킬 수 있다.
프레임 부재는,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제3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배터리 커넥터는, 제1 개구를 통해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제1 편향가능한 아암, 제2 개구를 통해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제2 편향가능한 아암, 및 제3 개구를 통해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제3 편향가능한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편향가능한 아암은 배터리가 배터리 공동 내에 설치될 때 제1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편향가능한 아암은 배터리가 배터리 공동 내에 설치될 때 제2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는 상이하고, 제3 편향가능한 아암은 배터리가 배터리 공동 내에 설치될 때 제3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3 방향은 제1 및 제2 방향들과는 상이하다.
배터리 커넥터는 절연 재료로 형성된 본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회로 기판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편향가능한 아암은 본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지될 수 있고, 제2 편향가능한 아암은 본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지될 수 있고, 제3 편향가능한 아암은 본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지될 수 있다.
장착 베이스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버튼 셀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공동을 한정한다. 장착 베이스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와 맞물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장착 베이스에 해제가능하게 보유하도록 구성된 래칭 부재를 한정하는 베이스 부분,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된 접촉 블록을 포함할 수 있고, 접촉 블록은 상단 측부 및 주변 측부를 한정한다. 장착 베이스는, 접촉 블록의 주변 측부를 따라 위치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공동 내의 제1 배터리 접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1 전도성 부재, 접촉 블록의 상단 측부로부터 외향으로 편향되는 제2 전도성 부재 - 제2 전도성 부재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공동 내의 제2 배터리 접점과 접촉하도록 구성됨 -, 및 베이스 부분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을 통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케이블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도성 부재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장착 베이스에 결합될 때 배터리 공동을 한정하는 표면에 의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부재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장착 베이스에 결합될 때 배터리 공동의 표면 상에 편향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부재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장착 베이스에 결합될 때 제1 배터리 접점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 베이스는, 베이스 부분 내에 한정된 공동 내에 위치되고 전력 케이블에 의해 제공된 입력 전류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전력 변환 회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장착 베이스에 결합될 때 외부 환경과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내부 용적부를 유동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통로를 한정할 수 있다.
장착 베이스는 회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전력 케이블은 회로 기판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1 전도성 부재 및 제2 전도성 부재는 회로 기판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디바이스를 위한 장착 베이스는, 디바이스를 장착 베이스에 보유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보유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칭 부재, 디바이스의 배터리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된 접촉 블록 - 접촉 블록은 상단 측부 및 주변 측부를 한정함 -, 및 접촉 블록의 상단 측부 위로 연장되는 편향가능한 전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편향가능한 전도성 부재는, 디바이스의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배터리 접점과 접촉하여, 편향가능한 전도성 부재 및 배터리 접점을 전도성으로 결합시키고, 디바이스가 장착 베이스에 결합될 때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상에 편향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편향력은 래칭 부재를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보유 특징부에 대항하여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편향가능한 전도성 부재는 접촉 블록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편향가능한 전도성 부재는 제1 편향가능한 전도성 부재일 수 있고, 편향력은 제1 편향력일 수 있고, 장착 베이스는, 디바이스가 장착 베이스에 결합될 때 디바이스 상에 제2 편향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제2 편향가능한 전도성 부재, 및 디바이스가 장착 베이스에 결합될 때 디바이스 상에 제3 편향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제3 편향가능한 전도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및 제3 편향력들은 래칭 부재를 디바이스의 보유 특징부에 대항하여 편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 베이스는 주변 측부에 결합된 제4 전도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4 전도성 부재는 DC 전원 장치의 포지티브 단자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1, 제2 및 제3 편향가능한 전도성 부재들은 DC 전원 장치의 네거티브 단자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장착 베이스는, 제1, 제2 및 제3 편향가능한 전도성 부재들 및 제4 전도성 부재를 통해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 케이블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케이블은 DC 전원 장치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케이블은 AC 전원 장치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장착 베이스는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AC-DC 변환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시스템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버튼 셀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공동,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포지티브 배터리 접점,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네거티브 배터리 접점, 및 배터리 도어의 제1 래칭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보유 특징부를 한정한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시스템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장착 베이스에 보유하기 위해 보유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래칭 부재를 한정하는 베이스 부분, 및 베이스 부분에 부착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된 접촉 블록을 포함하는 장착 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접촉 블록은, 원형 상단 벽 및 원형 상단 벽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되는 주변 측벽을 한정한다. 장착 베이스는 포지티브 배터리 접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1 전도성 부재, 및 네거티브 배터리 접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전도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측벽은 버튼 셀 배터리의 만곡된 외측 표면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만곡된 외측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전도성 부재는 가요성일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장착 베이스에 결합될 때 배터리 공동의 표면에 의해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부재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장착 베이스에 결합될 때 배터리 공동의 표면 상에 편향력을 부여하여, 제2 래칭 부재를 보유 특징부에 대항하여 편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 베이스는 제2 래칭 부재를 보유 특징부에 대항하여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편향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및 무선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회로를 포함하는 시계 본체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는, 시계 본체에 결합되고 시계 본체를 사용자에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밴드, 및 밴드에 결합된 무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무선 모듈은,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 디바이스 및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입력 신호를 제1 무선 회로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회로를 포함한다.
무선 모듈은, 제2 무선 회로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배터리, 및 배터리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충전 코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촉각 돔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촉각 돔 스위치는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무선 입력 신호는 촉각 돔 스위치의 접힘에 응답하여 송신될 수 있다. 밴드는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무선 모듈은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및 충전 코일은 인클로저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밴드는 밴드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외측 층을 포함할 수 있고, 촉각 돔 스위치는 무선 모듈의 인클로저로부터 원격에서 위치식별될 수 있고, 촉각 돔 스위치는 밴드의 외측 층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가요성 회로가 밴드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촉각 돔 스위치를 제2 무선 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킨다.
무선 모듈은 무선 비콘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에 그리고 공개 암호화 키를 외부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무선 비콘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모듈의 위치를 결정하고, 공개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위치 보고를 준비하고 - 암호화된 위치 보고는 무선 모듈의 위치를 포함함 -, 암호화된 위치 보고를 원격 서버에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용량성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입력은 터치 입력일 수 있고, 용량성 터치 센서는 무선 모듈의 외부 표면을 따라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량성 터치 센서는 용량성 노드들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은 제스처 터치 입력일 수 있고, 용량성 노드들의 어레이는 제스처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는 무선 모듈에 제공된 제스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항목들의 목록을 스크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은, 하우징,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및 무선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하우징에 결합되고 액세서리에 결합된 무선 모듈을 포함하는 액세서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듈은,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및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제1 무선 회로에 무선 입력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전자 시계일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는 시계 본체일 수 있고, 액세서리는 시계 본체를 손목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밴드일 수 있다. 밴드는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무선 모듈은 상부 플랜지를 한정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플랜지를 한정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듈의 인클로저는 개구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는 개구를 둘러싸는 밴드의 일부분과 맞물릴 수 있다.
밴드는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무선 모듈은 개구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무선 모듈은 인클로저를 포함할 수 있고, 인클로저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하우징은 밴드를 위한 클래스프(clasp)의 일부분을 한정할 수 있다.
밴드는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무선 모듈은 개구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무선 모듈은, 제2 무선 회로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배터리, 배터리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 충전 디바이스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충전 코일, 및 무선 모듈을 외부 충전 디바이스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자기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듈은 무선 모듈에 근접한 별개의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 통신(NFC) 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NFC 안테나는 무선 충전 코일과 통합될 수 있다.
무선 모듈은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제1 무선 회로는 제2 무선 회로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 출력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무선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모듈은 스피커를 사용하여 가청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태블릿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고, 액세서리는 태블릿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보호 케이스일 수 있다.
무선 모듈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및 제1 무선 회로를 갖는 시계와 통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모듈은, 시계의 시계 밴드의 개구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인클로저, 인클로저 내에 위치된 배터리, 인클로저 내에 위치되고 배터리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무선 충전 코일,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및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시계의 제1 무선 회로에 무선 입력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는 개구를 둘러싸는 시계 밴드의 일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시계는, 시계 배터리를 포함하는 시계 본체 및 시계 배터리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시계 무선 충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무선 회로는 무선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무선 회로는 UWB 비콘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무선 모듈은 UWB 신호의 송신 시간에 기초하여 무선 모듈과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추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모듈은 공개 암호화 키를 외부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외부 디바이스는, UWB 무선 비콘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모듈의 위치를 결정하고, 공개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 항목을 준비하고 - 암호화된 데이터 항목은 무선 모듈의 위치를 포함함 -, 암호화된 데이터 항목을 원격 서버에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홀더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외부 표면의 영역을 한정하는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 홀더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둘러싸기 위한 리세스의 제1 부분을 한정하는 제1 요소, 및 리세스의 제2 부분을 한정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제2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요소는,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외부 표면의 영역과 정렬된 홀더 개구를 한정할 수 있다. 홀더는, 제1 요소를 제2 요소에 결합시킴으로써 리세스 내에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고정하는 스냅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스냅 조립체는, 돌출부 컴포넌트를 갖는 수형 조립체, 돌출부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한정하는 암형 조립체, 수형 조립체 또는 암형 조립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홈, 홈 내에 위치되고 수형 조립체를 암형 조립체에 보유하도록 구성된 압축 링, 및 홈 내에 위치되고 압축 링 상에 편향력을 제공하는 유연성 부재를 포함한다. 홈은 수형 조립체의 돌출부 컴포넌트 내에 한정될 수 있고, 압축 링은 암형 조립체의 램프형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홈은 스냅 조립체의 암형 조립체 내에 한정될 수 있고, 압축 링은 수형 조립체의 돌출부 컴포넌트를 따라 램프형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연성 부재는 홈의 내측 벽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유연성 부재는 돌출부 컴포넌트의 램프형 표면을 향해 압축 링 상에 내향 편향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향 편향력은 스냅 조립체의 중심 축과 압축 링의 중심 축의 정렬을 유지한다. 유연성 부재는 홈의 측벽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편향력은 스냅 조립체의 중심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측방향 편향력일 수 있다. 암형 조립체는 스냅 조립체의 제1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고, 돌출부 컴포넌트는 암형 조립체를 통해 연장되고, 스냅 조립체의 제2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고, 제2 외부 표면은 제1 외부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액세서리는, 액세서리를 물품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 특징부, 전자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개구를 함께 한정하는 제1 요소 및 제2 요소, 및 제1 요소를 제2 요소에 결합시켜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스냅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냅 조립체는, 홈을 한정하는 돌출부 컴포넌트를 갖는 수형 조립체, 돌출부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한정하는 암형 조립체, 및 홈 내에 위치되고 암형 조립체에 대해 수형 조립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압축 링을 포함할 수 있고, 수형 조립체는 압축 링 상에 편향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수형 조립체는 홈 내에 위치되는 유연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유연성 부재는 압축 링 상에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돌출부 컴포넌트는 스탬핑된(stamped) 시트 금속 컴포넌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수형 조립체는 스탬핑된 시트 금속 컴포넌트의 단부 위에 삽입 성형되는 단부 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압축 링은 부분적으로 나선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개방-섹션 와이어 루프일 수 있고, 돌출부 컴포넌트의 홈은 개방-섹션 와이어 루프 상에 편향력을 가하는 한 쌍의 대향 측벽들을 한정할 수 있다. 개방-섹션 와이어 루프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한정할 수 있고, 개방-섹션 와이어 루프는 중심 축을 한정할 수 있다. 개방-섹션 와이어는 와이어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제1 단부는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와이어 직경의 15% 내지 30% 범위의 거리만큼 제2 단부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제1 요소는 제1 내측 리세스 및 제1 외측 리세스를 한정할 수 있고, 수형 조립체는 제1 내측 리세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제1 내측 플랜지 및 제1 외측 리세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제1 외측 플랜지를 한정할 수 있고, 제2 요소는 제2 내측 리세스 및 제2 외측 리세스를 한정할 수 있고, 암형 조립체는 제2 내측 리세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제2 내측 플랜지 및 제2 외측 리세스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제2 외측 플랜지를 한정할 수 있다. 제1 요소의 제1 내측 표면은 수형 조립체가 암형 조립체와 맞물릴 때 제2 요소의 제2 내측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형 조립체의 제1 내측 플랜지는 제1 내측 리세스의 하부 표면 내로 연장되는 맞물림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위한 홀더는, 홀더를 물품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컴포넌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도록 구성되는 포켓 부분 - 포켓 부분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포켓 개구를 한정함 -, 및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스냅 조립체를 포함한다. 스냅 조립체는, 돌출부 컴포넌트를 갖는 수형 조립체, 돌출부 컴포넌트 및 개구 주위에 위치된 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한정하는 암형 조립체, 및 홈 내에 위치되고 암형 조립체에 대해 수형 조립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압축 링을 포함하고, 암형 조립체는 압축 링 상에 편향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암형 조립체는 제1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고, 돌출부 컴포넌트는 제1 외부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제2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압축 링은 부분적으로 나선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개방-섹션 와이어 루프일 수 있고, 암형 조립체의 홈은 개방-섹션 와이어 루프 상에 편향력을 가하는 한 쌍의 대향 측벽들을 한정할 수 있다.
암형 조립체는 홈 내에 위치되고 압축 링 상에 편향력을 제공하는 유연성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유연성 부재는 홈의 내측 벽을 따라 위치될 수 있고, 편향력은 압축 링을 수형 조립체의 돌출부 컴포넌트를 향해 내향으로 편향시킨다. 유연성 부재는 발포체(foam)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자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의 어레이를 포함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의 어레이는, 사용자의 제1 어깨 영역을 따라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제1 위치식별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회로 및 제1 배터리를 갖는 제1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사용자의 제2 어깨 영역을 따라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제2 위치식별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회로 및 제2 배터리를 갖는 제2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및 사용자의 등 영역을 따라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제3 위치식별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무선 회로 및 제3 배터리를 갖는 제3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포함한다.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은, 프로세싱 유닛 및 프로세싱 유닛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제2, 및 제3 위치식별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제1, 제2, 및 제3 위치식별 신호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 자세의 특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체 포지션의 특성은 사용자의 등의 비틀림, 굽힘, 또는 기울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의 어레이 중 제1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각자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상부 표면을 한정하는 상부 하우징 컴포넌트 및 상부 하우징 컴포넌트에 결합된 하부 하우징 컴포넌트를 갖는 인클로저 - 하부 하우징 컴포넌트는 각자의 배터리에의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제거가능함 -, 상부 하우징 컴포넌트 아래에 위치되고 제1 무선 회로의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 프레임, 및 상부 하우징 컴포넌트와 안테나 프레임 사이에 위치된 전자기 코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전자기 코일은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상부 하우징 컴포넌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모바일 폰일 수 있고, 제1 위치식별 신호는 제1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로부터 모바일 폰까지의 제1 거리를 포함하는 제1 위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위치식별 신호는 제2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로부터 모바일 폰까지의 제2 거리를 포함하는 제2 위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위치식별 신호는 제3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로부터 모바일 폰까지의 제3 거리를 포함하는 제3 위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데이터, 제2 위치 데이터, 및 제3 위치 데이터는 일련의 시간 간격들에 걸쳐 모니터링될 수 있고, 모바일 폰의 프로세싱 유닛은, 일련의 시간 간격들에 걸쳐 모니터링된 제1 위치 데이터, 제2 위치 데이터, 또는 제3 위치 데이터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활동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은 운동 이동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싱 유닛은 운동 이동의 반복들의 수를 카운트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은 제1 위치 데이터, 제2 위치 데이터, 및 제3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부 등 기울기, 하부 등 기울기, 또는 하부 등 굽힘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사용자의 중간 등 영역을 따라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3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아래에 있는 사용자의 요추 영역을 따라 위치되도록 구성된 제4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은, 제1, 제2, 제3, 및 제4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을 사용하여 상부 등 비틀림, 하부 등 비틀림, 고관절 비틀림, 또는 하부 등 기울기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포지션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은, 사용자의 등의 제1 영역을 따라 위치되는 제1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1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제1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제1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무선 회로를 가짐 -, 사용자의 등의 제2 영역을 따라 위치되는 제2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2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제2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제2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2 무선 회로를 가짐 -, 사용자의 등의 제3 영역을 따라 위치되는 제3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3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제3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 제3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제3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3 무선 회로를 가짐 -, 및 제1, 제2, 및 제3 무선 신호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 포지션의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제2 및 제3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로부터 각각 제1, 제2 및 제3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1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까지의 제1 거리,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2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까지의 제2 거리, 및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3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까지의 제3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신체 포지션의 특성은 제1, 제2 및 제3 거리들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방법은, 사용자가 이동하고 있는지 또는 정적 포지션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정적 포지션에 있다는 결정에 따라, 신체 포지션의 특성을 기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신체 포지션의 특성은 사용자의 등의 비틀림, 굽힘, 또는 기울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신체 포지션의 특성은 상부 등 기울기, 하부 등 기울기, 또는 하부 등 굽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등의 제1 영역은 사용자의 좌측 어깨 영역에 대응할 수 있고, 사용자의 등의 제2 영역은 사용자의 우측 어깨 영역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제1 배향 출력을 생성하는 제1 자력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제2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제2 배향 출력을 생성하는 제2 자력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방법은 제1 거리, 제2 거리, 제1 배향 출력, 및 제2 배향 출력에 기초하여 어깨 비틀림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무선 신호들은 UWB 펄스 신호들일 수 있고, 컴퓨터 구현 방법은, UWB 펄스 신호들을 사용하여 일련의 시간 간격들에 걸쳐 포지션 측정들의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포지션 측정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활동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포지션 측정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아바타 애니메이션을 컴퓨팅하는 단계, 및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아바타 애니메이션의 디스플레이를 야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아바타 애니메이션은 사용자의 이동에 대응하는 이동을 갖는다.
사용자의 신체 포지션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은, 디바이스 무선 회로를 갖는 호스트 디바이스, 사용자의 신체를 따라 위치되도록 구성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의 세트의 각각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디바이스 무선 회로로 그리고 디바이스 무선 회로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태그 무선 회로, 및 태그 무선 회로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배터리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전자 디바이스와 제1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사이에서 송신되는 제1 무선 신호에 대한 송신 지속기간을 측정함으로써,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의 세트 중 제1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제1 거리를 결정하고, 제1 거리를 사용하여 컴퓨터 생성 아바타의 포지션을 컴퓨팅하고, 컴퓨팅된 포지션에서 컴퓨터 생성 아바타의 디스플레이를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각각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상대적 포지션을 결정하고, 각각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상대적 포지션을 공칭 포지션과 비교하고, 호스트 디바이스 상의 그래픽 출력의 디스플레이를 야기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그래픽 출력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대적 포지션과 공칭 포지션 사이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시스템은 일련의 시간 간격들에 걸쳐 각각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거리들의 세트를 결정하고, 거리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컴퓨터 생성 아바타의 애니메이션을 컴퓨팅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은 호스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애니메이션의 디스플레이를 야기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은 컴퓨터 생성 아바타를 컴퓨팅된 포지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유사한 구조적 요소들을 가리킨다.
도 1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위치식별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위치식별하기 위한 예시적인 공개-개인 키 암호화 방식을 도시한다.
도 2d 내지 도 2f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예시적인 위치식별 프로세스들을 도시한다.
도 3a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의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도 3a의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a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예시적인 안테나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8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안테나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8c는 도 8a의 안테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d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안테나들을 갖는 예시적인 하우징 부재를 도시한다.
도 8e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도시한다.
도 8f는 도 8e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예시적인 하우징 부재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부분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0a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10b 및 도 10c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10d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다른 예시적인 배터리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배터리 커넥터 배열을 도시한다.
도 12a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부분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2b 및 도 12c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래칭 부재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13a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예시적인 유연성 부재를 도시한다.
도 13b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일부분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유연성 부재를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6d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17a 내지 도 19e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20a 내지 도 22d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23a 내지 도 23e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배터리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26a 및 도 26b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예시적인 오디오 시스템의 태양들을 도시한다.
도 27a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자석 조립체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7b는 도 5a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8a 내지 도 28d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오디오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코일 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29a 내지 도 30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오디오 시스템들을 도시한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예시적인 상단 하우징 부재를 도시한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상단 하우징 부재를 도시한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상단 하우징 부재를 도시한다.
도 34a 내지 도 34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상단 하우징 부재를 도시한다.
도 35a 내지 도 35e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36a 및 도 36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37a 내지 도 37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38a 내지 도 38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39a 내지 도 39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0a 내지 도 40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1a 내지 도 41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2a 및 도 42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3a 내지 도 43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4a 내지 도 44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5a 및 도 45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6a 및 도 46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7a 내지 도 47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8a 및 도 48b는 도 47a 내지 도 47c의 태그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9a 및 도 49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0a 및 도 50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1a 내지 도 51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2a 내지 도 52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3a 내지 도 53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4a 및 도 54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5a 및 도 55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6a 및 도 56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7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8a 내지 도 58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9는 재충전가능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도시한다.
도 60은 다른 재충전가능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도시한다.
도 61a 내지 도 65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에 대한 예시적인 장착 베이스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6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장착 베이스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7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장착 베이스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8은 장착 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접촉 블록을 도시한다.
도 69a 내지 도 69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69d 내지 도 69g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70a 내지 도 70d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71a 내지 도 71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72a 내지 도 72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73a 및 도 73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74a 내지 도 74f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75a 내지 도 75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76a 내지 도 76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77a 및 도 77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78a 및 도 78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79a 내지 도 79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80a 내지 도 80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81a 및 도 81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82a 및 도 82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83a 및 도 83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84a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84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85a 및 도 85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를 도시한다.
도 86a 내지 도 86d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를 도시한다.
도 87a 내지 도 87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를 도시한다.
도 88a 및 도 88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를 도시한다.
도 89a 및 도 89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를 도시한다.
도 90a 및 도 90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를 도시한다.
도 91a 및 도 91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를 도시한다.
도 92a 및 도 92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93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94a 및 도 94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95a 및 도 95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96a 및 도 96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97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98a 및 도 98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99a 내지 도 99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예시적인 커버를 도시한다.
도 100a 내지 도 100d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01a 내지 도 101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01d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02a 내지 도 102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03a 및 도 103b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도시한다.
도 104a 내지 도 104d는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되는 도 103a 및 도 103b의 태그를 도시한다.
도 105a 및 도 105b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도시한다.
도 105c 및 도 105d는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되는 도 105a 및 도 105b의 태그를 도시한다.
도 106a 및 도 106b는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되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도시한다.
도 107a 및 도 107b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도시한다.
도 108a 및 도 108b는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되는 도 107a 및 도 107b의 태그를 도시한다.
도 109a 내지 도 109d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및 연관된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10a 및 도 110b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도시한다.
도 111a 및 도 111b는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되는 도 110a 및 도 110b의 태그를 도시한다.
도 112a 및 도 112b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도시한다.
도 113a 및 도 113b는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되는 도 112a 및 도 112b의 태그를 도시한다.
도 114a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14b는 태그에 부착되는 도 114a의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15a 내지 도 115c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및 연관된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15d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및 연관된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16a 및 도 116b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및 연관된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17a 내지 도 117c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및 연관된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18a 내지 도 118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19a 및 도 119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20a 및 도 120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21a 및 도 121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22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한다.
도 123a 내지 도 125b는 태그 홀딩 액세서리들을 위한 예시적인 클립들을 도시한다.
도 126a 내지 도 128은 태그 홀딩 액세서리들을 위한 예시적인 링들을 도시한다.
도 129a 내지 도 129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대한 액세서리를 도시한다.
도 130a 내지 도 130h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액세서리에 대한 예시적인 체결구들을 도시한다.
도 131a 내지 도 131h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액세서리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체결구들을 도시한다.
도 132a 내지 도 132c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액세서리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체결구들을 도시한다.
도 133a 및 도 133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액세서리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체결구를 도시한다.
도 134a 내지 도 134c는 디바이스의 액세서리와 통합된 예시적인 무선 태그 또는 무선 모듈을 도시한다.
도 135a 내지 도 135c는 디바이스의 액세서리와 통합된 다른 예시적인 무선 태그 또는 무선 모듈을 도시한다.
도 136a 내지 도 136c는 무선 태그들의 어레이를 갖는 예시적인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37a 및 도 137b는 사용자의 자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의 어깨를 따라 위치된 무선 태그들을 도시한다.
도 138a 및 도 138b는 무선 태그들의 어레이를 갖는 대안적인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들을 도시한다.
도 139는 무선 태그들의 어레이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40은 예시적인 환경에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을 위치식별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41a 및 도 141b는 다른 예시적인 환경에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을 위치식별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42는 사용자의 신체의 이동 또는 포지션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을 도시한다.
도 143은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44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제, 첨부 도면들에 예시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하기의 설명이 실시예들을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반대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기술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대안예들, 변형예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기술들을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및/또는 지리적으로 위치식별될 수 있는, 편리한 크기 및 형상의 작은 배터리-전력공급되는 태그, 퍽, 또는 다른 물체와 같은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태그는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가능한 무선 신호 또는 비콘을 방출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된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그리고 비행 시간, 수신 신호 강도 표시, 삼각측량 등과 같은 위치식별 기술들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에 대한 태그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고, GPS로부터의 스마트폰의 절대적 위치를 사용하여, 태그의 절대적 위치를 또한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또한 태그들, 스마트폰들, 컴퓨터들 및 다른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또는 그에 의해 한정되고) 태그들의 위치식별 뿐만 아니라 다수의 다른 특징부들 및 기능들을 용이하게 하는 전체 네트워크 환경에 관한 것이다.
태그의 위치를 아는 것은 광범위한 위치 기반 사용 사례들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태그는 물리적 키들의 세트, 지갑, 백팩, 의류 물품, 또는 다른 적절한 물체 또는 개인 속성의 아이템과 같은 휴대용 물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물체가 소실되거나 잘못 배치된 경우, 사용자는 그의 또는 그녀의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물체를 찾을 수 있다. 태그는 또한 디바이스가 태그에 대한 소정 근접성 및/또는 배향 내에 있을 때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상의 일부 액션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가 건물의 로비에 위치되어, 개인들이 로비에 들어갈 때, 그들의 스마트폰이 자신이 그 태그의 임계 거리 내에 있음을 검출할 수 있고, 이는 이어서 건물의 맵이 자동으로 스마트폰 상에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들 및 기술들은 높은 정확도로 거리, 포지션, 위치 및/또는 배향 결정들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3 피트 내의 정확도로, 그리고 심지어 1 피트 이하의 정확도로 태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물리적 물체들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되는 태그는, 소유자가 소실되거나, 잘못 배치되거나, 도난당한 물체들을 찾는 것을 돕기 위해, 키들, 지갑들, 또는 월렛들과 같은 물체들에 부착될 수 있는 작고 편리하게 형상화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태그는 다양한 조건들 및 환경들을 통한 신뢰성 있는 사용을 보장하는 강건한 구조적 설계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방수 또는 적어도 물튀김 방지(splash-proof)일 수 있고, 태그의 정상적인 사용으로부터 초래되는 충격들, 낙하 이벤트들(drop events), 또는 다른 일반적인 외상들을 견딜 수 있다. 부분적으로, 태그의 내구성(ruggedness)은 유리 커버들, 디스플레이들, 하우징 내의 개구들, 외부 이동 부품들 등과 같은 일부 유형들의 컴포넌트들의 부존재에 의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태그는 배터리, 센서들,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가청 및/또는 햅틱 출력들을 생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식별 기능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그리고 특히, 높은 정확도로 태그의 거리, 포지션, 위치 및/또는 배향을 결정하기 위해 무선 신호들을 분석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스마트폰들, 태블릿 컴퓨터들 등)에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는 태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위치식별은 태그 또는 다른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공간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을 지칭한다. 공간 파라미터들은 그의 거리, 포지션, 위치, 및/또는 배향의 태양을 절대 공간 내에서 또는 다른 물체에 대해 한정하는 물체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공간 파라미터들은 물체들 사이의 거리, 특정 지오그래피(geography) 내의 위치(예컨대, 위도 및 경도 좌표), 하나의 물체로부터 다른 물체로 향하는 단위 벡터, 3차원 공간 내의 물체의 배향(또한 각도 포지션 또는 자세로 지칭됨) 등과 같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의 출력 디바이스들은 또한 사용자가 사운드들 및/또는 햅틱 출력들을 방출함으로써 분실된 태그를 찾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태그는 또한 사용자가 태그의 동작들을 제어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태그는 태그가 사용자의 속성(또는 태그 리테이너 또는 액세서리)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하는 형상 및 폼 팩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는 다수의 모드들 중 임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정상 동작 모드에서, 예를 들어, 태그는 전력을 보존하고 (예를 들어, 무선 비콘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순간적인 또는 간헐적인 통신들을 확립할 수 있다. 통신들은 위치를 확인하도록 기능할 수 있고 태그의 상태 또는 위치에 관한 일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그는 본질적으로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자신의 위치 및/또는 상태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로부터의 간헐적 통신들은, 다른 디바이스들이 수신할 무선 신호를 전송하지만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어떠한 정보도 수신하지 않는 것과 같은 단방향 통신들일 수 있다.
태그는 또한 분실된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분실된 모드는 태그와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이의 통신의 예상치 못한 분실에 응답하여 트리거될 수 있으며, 이는 태그가 더 이상 사용자의 개인 소유 또는 바로 근처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분실된 모드는 또한, 사용자가 태그를 분실된 것으로 호스트 시스템 또는 서비스에 보고함으로써 트리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가 분실된 모드에 있을 때, 태그는 정보를 다시 사용자에게 중계하기 위해 제3자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태그의 소유자 이외의 개인들의 디바이스들)을 사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태그와 사용자 사이에서 정보를 중계하기 위해 제3자 디바이스들이 사용될 때, 통신들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및 보안을 보장하는 것을 돕기 위해 보안 및/또는 암호화된 통신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일시적으로 태그에 근접하게 위치식별된 제3자 디바이스들은 정보를 다시 사용자에게 중계하기 위해 메시 네트워크 또는 애드-혹 네트워크로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전송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용가능하게 된 정보는 태그 및/또는 제3자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의 추정된 위치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통신들은, 다양한 제3자 디바이스들의 익명성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암호해독될 수 있는 한편, 또한 사용자가 제3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태그를 위치식별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예들은 스마트폰이 태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태그를 주로 설명하지만,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사용 사례일 뿐이다. 보다 광범위하게, 태그의 포지션, 위치, 배향, 또는 다른 공간 파라미터는 태그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은 스마트폰들, 태블릿들, 랩톱 컴퓨터들, 무선 라우터들, 데스크톱 컴퓨팅 디바이스들, 홈 자동화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의 집과 같은 환경은 이러한 디바이스들 중 다수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디바이스는 태그와 통신하고 태그의 위치를 결정하고/하거나 태그의 위치(또는 배향과 같은 다른 공간 파라미터)의 기록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들 디바이스들은 태그의 위치로 서버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태그의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사용자가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함으로써 태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분실된 태그를 찾는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에 자신의 키들을 남겨 두었다면, 사용자의 집에 있는 데스크톱 컴퓨터는 키들에 부착된 태그와 주기적으로 통신하고(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태그의 위치로 서버를 업데이트했을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비록 자신이 수 마일 떨어져 있고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태그와 직접 통신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단순히 태그의 현재 위치를 서버로부터 요청할 수 있다. 추가의 예시적인 사용 사례들 및 디바이스 세부 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사용자의 홈 환경 외부에서, 사용자와 연관되지 않은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다른 사람들의 스마트폰들)은 태그의 위치로 서버를 안전하고 익명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태그와 통신할 수 있다(또는 그렇지 않으면 태그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홈 환경 외부에, 태그들의 위치들을 안전하고 익명으로 보고할 수 있는 수십만 또는 심지어 수백만 개의 디바이스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태그와 통신하기에 충분히 태그에 가까운 이들 다수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이 태그의 위치로 서버를 안전하고 익명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그와 통신하거나 태그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은 다수의 개별 태그들의 위치들을 연속적으로(그리고 비공개적으로) 모니터링 및 업데이트할 수 있는 강건한 다중-중복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도 1은 태그(100)를 물리적으로 및/또는 지리적으로 위치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시스템은,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시스템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관한 위치 정보를 보고 및 수신하기 위해 통신하는 클라우드-기반 서비스 또는 다른 호스트 서비스에 의해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 폰들, 랩톱들, 태블릿들, 무선 헤드폰들 등)과 클라우드-기반 서비스 사이의 동작 링크들은 시스템이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들의 강건한 위치식별을 제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들은 클라우드-기반 서비스에 등록되어, 디바이스들이 시스템 내의 태그들 및 다른 디바이스들의 위치 데이터의 보고 및 수신 둘 모두를 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기반 서비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태그들 및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도 1의 다양한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 및 협력으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로 정의 및/또는 지칭될 수 있다.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가 사용자의 디바이스들의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 및 다른 정보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암호화 및 익명화 방식들은 데이터를 보호하고, 그렇게 하도록 인가되지 않은 개인들 또는 디바이스들에 의한 위치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치 정보는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위치 데이터 또는 다른 잠재적으로 민감한 또는 사적인 데이터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에 의해 안전하게 취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들과 같은 디바이스들은, 클라우드-기반 서비스로의 그리고 클라우드-기반 서비스로부터의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의 전송 및 수신을 용이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그들이 그렇게 하도록 인가된 경우)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의 위치들을 볼 수 있게 한다. 클라우드-기반 서비스는 또한, 미인가된 사용자들(클라우드-서비스 자체를 포함함)이 사용자의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액세스할 위험 없이, 이들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이 그들의(또는 그들의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다양한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암호화 키들(예를 들어, 공개 키들)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로 돌아가면, 태그가 그러한 디바이스들(102)에 물리적으로 근접할 때(예를 들어, 초광대역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 범위 내에 있을 때), 태그(100)는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모바일 폰들, 랩톱 컴퓨터들, 데스크톱 컴퓨터들,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디지털 어시스턴트들)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2)는 태그(100)의 위치(및/또는 다른 공간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원격 서비스에 태그의 위치(및/또는 다른 공간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 및/또는 보고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102) 중 하나 이상은 태그의 소유자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102) 중 하나 이상은 태그 소유자의 전화, 디지털 어시스턴트, 랩톱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태그(100)와 동일한 사용자 또는 소유자와 연관된 디바이스들(102)은 태그(100)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직접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태그(100)(또는 태그가 부착된 물체)가 사용자의 집 외부에서 분실되거나 잘못 배치된 경우와 같은 다른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들(102)은 사용자에 의해 소유되거나 제어되지 않는 다른 디바이스들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태그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태그와의 일부 형태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태그의 위치를 포함하는 암호화되고 익명화된 보고를 보고하기 위해 서버(104)(또는 네트워크-액세스가능 서비스와 연관된 임의의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태그의 소유자와 관계가 없는 개인들의 폰들, 태블릿 컴퓨터들, 시계들, 또는 랩톱 컴퓨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태그의 "소유자"는 태그에 대한 권한을 제어, 관리, 감독, 운영, 임대, 소유 또는 달리 행사하는 개인 또는 엔티티를 지칭하며, 반드시 태그의 법적 소유권을 갖는 개인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태그 자체는 자신의 위치를 보고하기 위해 서버(104)에 직접 통신할 수 없을 수 있으며, 실제로 태그는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자기 자신의 절대적 위치를 독립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GPS 또는 다른 시스템이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태그(100)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은 태그(100)의 위치를 보고하기 위해 서버(104)에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폰들, 컴퓨터들, 및 태블릿들과 같은 디바이스들은 태그와 통신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태그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고,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태그의 위치(및 선택적으로 태그의 식별자 및 시간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정보)를 익명으로 서버(104)에 (예를 들어, 네트워크(101)를 통해) 보고할 수 있다. 태그들의 위치들을 보고하는 디바이스들(102)에 추가로, 디바이스들(102) 자체가 태그들로서 작용하고 그들 자신의 위치들을 서버(104)에 보고할 수 있고, 또한 다른 디바이스들(102)의 위치들을 서버(104)에 보고할 수 있다.
도 1은 몇몇 디바이스들(102) 및 단일 태그(100)를 도시하지만, 이 도면은 태그들 및 디바이스들의 상당히 더 큰 네트워크의 작은 세그먼트만을 나타낼 수 있다. 실제로, 모바일 폰들, 태블릿 컴퓨터들 등의 보편화로 인해, 전체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많은 태그들 및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조밀한 애드-혹 또는 메시-스타일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환경에서, 태그들의 포지션들 및/또는 위치들을 안전하고 익명으로 보고할 수 있는 수십만 또는 심지어 수백만 개의 디바이스들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들 및 태그들은, 매우 많은 디바이스들의 위치들을 연속적으로(그리고 비공개적으로) 모니터링 및 업데이트할 수 있는 강건한 다중-중복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들은 태그의 추정된 위치들로서 그들 자신의 위치들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블루투스를 통해 태그에 연결될 수 있다면, 태그가 디바이스로부터 약 30 피트(또는 블루투스 통신의 파라미터들에 따라 다른 거리) 내에 있다고 가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태그에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의 추정된 범위에 대응하는 반경을 갖고 사용자의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하는 영역으로서 태그의 위치를 보고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는 더 큰 정확도로 태그의 위치를 결정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비행 시간(TOF), 도달 각도(AOA), 도달 시간 차이(TDOA) 수신 신호 강도 표시(RSSI), 삼각측량, 합성 애퍼처,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대한 태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식별 기술들은 태그로부터의 초광대역 신호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가 높은 정확도로(예를 들어, 태그의 실제 위치의 1 피트 내에서) 태그를 위치식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태그의 공간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태그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태그의 포지션, 태그의 위치, 및 태그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들이 도 2d 및 도 2e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된다.
태그의 소유자만이 궁극적으로 태그의 위치를 볼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태그의 존재를 검출하는 디바이스들로부터 전송된 위치 보고들이 공개-개인 키 암호화 방식(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됨)을 사용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가 분실되면, 디바이스들이 태그의 소유자와 연관되지 않더라도, 태그 근처에 있는 디바이스들은 태그를 검출하고 태그로부터 공개 키를 수신할 수 있다(도 2b). 태그를 검출하는 디바이스는 그 특정 태그가 분실된 것으로 보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104)에 질의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또는 디바이스가 분실된 것으로 보고되지 않더라도 태그 및/또는 디바이스가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디바이스는 태그의 위치를 결정하고, 공개 키를 사용하여 태그의 위치(및 선택적으로 다른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위치 보고를 서버(104)에 제출할 수 있다(도 2b). 디바이스는 또한 태그가 분실된 것으로 보고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같은 정보를 태그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태그가 자신의 동작의 하나 이상의 태양들을 변경하게 하거나 다수의 동작 모드들 중 하나를 트리거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가 분실된 것으로 보고되었음을 검출할 때, 태그는 비콘(아래에서 설명됨)을 전송하는 주파수를 변경하거나, 자신의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와 연관된 메시지를 변경하거나, 절전 모드에 진입하거나, 또는 태그의 일부 다른 기능 또는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분실된 태그의 소유자는, 공개 키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네트워크(101)와 동일한 네트워크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일 수 있는 네트워크(103)를 통해) 암호화된 임의의 위치 보고들에 대해, 그 공개 키를 사용하여 서버(104)에 질의할 수 있다. 공개 키와 연관된 위치 보고들이 존재하면, 소유자는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을 수신하고, 태그의 위치(또는 추정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개인 키를 사용하여 위치 보고들을 암호해독할 수 있다(도 2c). 그 다음, 소유자는 그 위치로 이동하여 태그 및 태그가 부착되거나 연관되는 임의의 물체(예를 들어, 백팩, 랩톱 컴퓨터, 코트, 지갑 등)를 위치식별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태그는 주기적 무선 비콘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인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 초광대역 통신 프로토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는 무선 비콘 신호는 그 프로토콜을 모니터링하는(예를 들어, 그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들을 수신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간단히 "비콘 신호" 또는 "비콘"으로 또한 지칭되는 무선 비콘 신호는 임의의 적합한 주파수로 송신될 수 있고, 특정 주파수는 태그의 모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가 초기화 모드 또는 페어링 모드에 있을 때, 비콘은 제1 주파수에서 송신될 수 있고; 태그가 분실된 모드에 있을 때(예를 들어, 분실된 것으로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에 보고되었고, 그 상태가 태그에 제공되었을 때), 비콘은 제2 주파수에서 송신될 수 있고; 태그가 정상 또는 비-분실된 모드에 있을 때, 비콘은 제3 주파수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1 주파수는 제2 주파수보다 크고, 제2 주파수는 제3 주파수보다 크다. 다른 경우들에서, 제1 및 제2 주파수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제3 주파수보다 크다. 하나의 특정 예로서, 제1 주파수는 초당 하나의 비콘 신호(또는 더 빈번함)일 수 있고, 제2 주파수는 분당 하나의 비콘 신호 내지 초당 하나의 비콘 신호일 수 있고, 제3 주파수는 분당 하나(또는 덜 빈번함)의 비콘 신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비콘 신호는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의 광고 패킷,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무선 데이터 송신 패킷 또는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비콘은 태그의 공개 키 및 선택적으로 다른 정보, 예를 들어, 태그 식별자, 마지막으로 보고된 위치,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마지막 직접 연결 이후의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비콘 및 선택적인 추가 정보는 별개의 통신 채널들, 프로토콜들 등을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에 전송된다. 예를 들어, 태그는 초광대역 라디오를 사용하여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블루투스를 통해 공개 키와 같은 다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이한 통신 채널들 또는 프로토콜들에 대한 정보 유형들의 다른 할당들이 또한 가능하다.
무선 비콘 신호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위치 보고를 원격 서버에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모바일 폰, 태블릿 또는 랩톱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무선 비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태그는 또한 공개 암호화 키를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공개 암호화 키는 비콘 신호에 포함되거나, 상이한 메시지 또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태그로부터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들과 같은 위치식별 기술들을 사용하여) 무선 비콘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모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공개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위치 보고를 준비할 수 있고, 여기서 암호화된 위치 보고는 무선 모듈의 위치를 포함하고, 암호화된 위치 보고를 원격 서버(예를 들어, 서버(104))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그는 위치 보고들이 지속적으로 생성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태그의 정확한 최신 위치가 태그의 소유자에게 이용가능하다.
공개-개인 키 암호화 방식은 태그를 익명화하는 것을 돕고 개인들 또는 물체들을 추적하려는 노력들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쌍들은 알고리즘에 따라 반복될 수 있어서, 태그는 항상 동일한 공개 키를 갖는 것은 아니다(그에 따라, 그 공개 키에 의해 태그를 추적하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태그는 동일한 개인 키에 의해 모두 암호해독될 수 있는 다수의 공개 키들을 저장할 수 있고, 이는 다수의 공개 키들 중 새로운 것으로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태그는 또한, 일단 소유자가 근처에(예를 들어, 태그 및 다른 디바이스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무선 통신 범위, 예를 들어, 300 피트, 100 피트, 30 피트 내에) 있으면 더 쉽게 위치식별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스피커 또는 다른 가청 출력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의 소유자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및/또는 초광대역 프로토콜들을 통해) 태그를 무선으로 명령하여 가청 출력을 생성할 수 있고, 이어서, 소유자는 태그를 찾기 위해 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태그는 초광대역(UWB) 라디오를 포함할 수 있고, 소유자의 디바이스는 또한 하나 이상의 UWB 라디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유자의 디바이스는 태그의 포지션 및/또는 위치를 추정하고/하거나 소유자를 태그에 안내하기 위해 태그에 의해 방출된 UWB 위치식별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유자의 디바이스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태그의 위치를 향해 사용자를 가리키는 화살표 또는 다른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살표 또는 다른 표시자는 디바이스에 대한 태그의 포지션뿐만 아니라 태그에 대한 디바이스의 배향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라이브 뷰일 수 있다. 아래의 도 140 내지 도 141b는 사용자를 태그로 시각적으로 지향시키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태그가 분실되지 않더라도,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다른 위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에 대한 위치 보고들은 태그가 분실되지 않은 경우에도 태그에 근접한 디바이스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집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컴퓨터, 폰, 디지털 어시스턴트,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는 사용자의 태그(들)의 위치 보고들을 서버(104)에 주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보고들은 사용자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신의 물체들의 위치들을 추적하는 것, 패턴들 또는 습관들을 식별하는 것 등을 허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사용자의 랩톱 컴퓨터, 폰 등)에 대해 유사한 위치 정보 및/또는 위치 보고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디바이스들 중 많은 것의 위치들이 사용자에게 액세스가능할 수 있다.
폰들, 랩톱들 등과 같은 사용자의 디바이스들의 위치식별은 다양한 방식들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단순히 그러한 디바이스들에 부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태그가 부착되는 디바이스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태그의 위치식별 기능을 레버리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디바이스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태그들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내장형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된 외부 태그가 없더라도, 예를 들어, 분실된 랩톱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고, 랩톱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태그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위치식별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를 레버리지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태그들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그러나 태그들과 동일한 물리적 구조물을 갖지 않는)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은, 제한 없이, 랩톱 컴퓨터들, 데스크톱 컴퓨터들, 폰들(예컨대, 모바일 폰들, 종래의 무선 폰들), 태블릿 컴퓨터들, 시계들, 헤드폰들,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들, 컴퓨터 저장 디바이스들(예컨대, USB 드라이브들, 휴대용 하드 드라이브들, 메모리 카드들 등), 카메라들, 원격 제어부들, 장난감들, 무선 자동차 키들/키 포브(fob)들, 시계들, 플래시들, 제1 보조 장비(예를 들어, 자동 전자 제세동기들), 자동차들, 오토바이들, 스마트 홈 디바이스들,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들, 및 컴퓨터 주변장치들(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패드들, 키보드들)을 포함한다.
태그들은 또한, 모바일 폰들과 같은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하여, 그러한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특정 액션들을 취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디바이스에 명령어, 요청 또는 다른 적합한 통신을 전송할 수 있고, 명령어, 요청 또는 통신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연관된 디스플레이 상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암호화된 위치 보고를 전송하는 것 등과 같은 액션을 취할 수 있다.
태그들은 원격 디바이스들이 다양한 유형들의 액션들을 취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고, 다양한 유형들의 조건들 또는 이벤트들은 액션들이 트리거되게 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가 디바이스의 임계 거리 내에 있다는 결정은 디바이스로 하여금 특정 액션을 취하게 한다. 예를 들어, 태그 및/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와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다. 거리가 임계치를 충족하면(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태그의 임계 거리 내에 있으면), 태그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액션을 취하게 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 의해 취해질 특정 액션은 태그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임계치가 만족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태그는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 그래픽 물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바이스에 명령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거리 임계치가 만족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태그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에 메시지를 전송 또는 중계하도록 디바이스에 명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그는, 위치 보고를 서버(예를 들어, 서버(104))에 전송하도록, 또는 태그의 소유자에게 메시지(예를 들어, 태그가 발견되었음을 표시하고/하거나 태그의 위치를 제공하는 메시지)가 전송되게 하도록 디바이스에 명령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는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또한 다른 종류들의 액션들을 취하게 할 수 있다.
태그에 의해 디바이스에 전송된 명령어들은 디바이스에 의해 작용될 수 있거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무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소유자는 태그들로부터 비롯된 일부 또는 모든 명령어들을 옵트 인(opt-in) 또는 옵트 아웃(opt-out)할 수 있다. 다른 설정들, 사용자 선호도들, 또는 다른 기준들은 또한, 디바이스가 태그로부터 수신된 명령어들에 기초하여 임의의 액션들을 취할 것인지 또는 응답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들은 그들의 디바이스들이 다양한 태그들로부터의 명령어들에 응답하는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는 모든 태그 관련 통신들을 옵트 아웃할 수 있다.
태그가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그래픽 물체를 트리거하는 경우들에서, 태그는 태그의 이용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 중 하나를 통해 그래픽 물체의 콘텐츠를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태그는 자신의 온보드 메모리에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고, 조건 또는 이벤트가 만족될 때(예를 들어, 태그 및 디바이스가 임계 거리 내에 있을 때), 태그는 메시지를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태그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때,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여행 가방과 같은 물체와 연관된 태그의 경우, 태그는 "You are near my suitcase - please return it to the airport lost-and-found for a reward"라는 요청을 갖는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태그는 또한, 분실된 아이템(또는 태그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의 사진을 찍도록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촉구하고, (예를 들어,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를 통해) 사진을 태그의 소유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허가를 요청하도록 디바이스에 명령할 수 있다. 태그는 또한, 디바이스가 아이템의 위치를 보여주게 하거나 또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분실된 아이템을 위치식별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증강 현실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옵션을 디스플레이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더 정적인 유형의 물체, 예를 들어, 박물관 내의 그림과 연관된 태그의 경우, 태그는 "You are near the Mona Lisa - click here for directions to the world's most famous painting"이라는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그리고 적절한 경우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의 특정 콘텐츠는 태그의 소유자 또는 조작자에 의해 맞춤화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메시지들의 콘텐츠는 디바이스 상에 저장될 수 있고, 태그는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메시지의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You are near a lost item - please report to the nearest lost and found"를 알려주는 "분실된 아이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고, 태그는, 디바이스가 "분실된 아이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해야 함을 나타내는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다수의 메시지들을 저장할 수 있고, 태그로부터의 명령어들은 디스플레이될 메시지의 고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들은 다양한 상이한 조건들 또는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원격 디바이스들 상의 액션들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의 예들에서, 태그들은 디바이스들이 태그의 특정 근접도 내에 있는 것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들이 액션들을 취하게 한다(예를 들어, 그래픽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위치 보고들을 전송함). 다른 예시적인 조건들 또는 이벤트들은, 예를 들어, 태그로부터 특정 거리를 넘어서는 디바이스, 정지된 포지션으로부터 이동되는 태그, 태그의 배터리 레벨 등을 포함한다.
추가로, 태그가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서 트리거하는 특정 액션들 또는 이벤트들뿐만 아니라, 그러한 액션들이 트리거되게 하는 조건들은 태그의 상태 또는 동작 모드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실되지 않은" 상태 또는 조건에 있는 태그는 근처의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어떠한 정보도 디스플레이하게 하지 않을 수 있다(그러나, 이들은 인근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을 전송하게 할 수 있음). 따라서, 태그가 제1 모드(예를 들어, "분실되지 않음" 모드)에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태그는 외부 디바이스로 하여금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게 하지 않을 수 있다(그리고 그것이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을 전송하게 할 수 있음). 그러나, 그 태그가 "분실된" 상태 또는 모드로 전환되면, 태그는 태그가 복귀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태그에 의해 전송된) 특정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근처의 디바이스들을 트리거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태그가 제2 모드(예를 들어, "분실된" 모드)에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태그는, 전술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로 하여금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게 하고/하거나 다른 가능한 액션들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태그가 분실된 모드에 있을 때, 태그는 위치 보고들을 전송하도록 원격 디바이스들에 더 빈번하게 명령할 수 있다.
태그는 또한 그의 무선 범위 내의 디바이스들의 서브세트에 대해서만 액션들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태그의 무선 범위보다 작을 수 있는 특정 거리 임계치 내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액션들만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그는, 도움이 될 정도로 태그에 충분히 근접하게 되는 선택된 소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액션들만을 명령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태그는 주어진 시간 윈도우에 대한 소정 수의 액션들로 제한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태그는 "분실된" 메시지가 분당 하나의 디바이스 상에 나타나게 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태그는 특정 유형들의 디바이스들 또는 특정 권한을 갖는 디바이스들 상에서만 이벤트들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태그는 신뢰할 수 있는 소스(예를 들어, 경찰, 공항 직원들, 태그 소유자의 친구들 또는 친척들 등)에 의해 검증가능하게 제어되는 디바이스들 상에만 나타나도록 "분실된" 메시지들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동작 모드들에서, 태그는 자신이 통신할 수 있는 모든 디바이스에 대한 특정 액션들(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그의 소유자 또는 조작자는 태그가 근처의 디바이스들에 대해 어떤 액션들을 트리거할지뿐만 아니라 태그로 하여금 그러한 액션들을 트리거하게 할 특정 조건들을 정확히 선택할 수 있다. 소유자 또는 조작자는 또한 특정 액션들 및 조건들을 태그의 특정 모드들(예를 들어, "분실된" 모드, "분실되지 않은" 모드, "분실되지만 위치 또는 상태를 브로드캐스트하지 않는" 모드, "낮은 배터리" 모드)에 묶을 수 있다. 따라서, 태그는 태그의 소유자에 의해 고도로 맞춤화가능할 수 있어서, 태그가 다양한 가능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다양한 사용자-선택가능한 방식들로 다른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의 소유물들의 위치 정보의 민감한 특성으로 인해, 인스턴트 시스템은 미인가된 개인들이 다른 개인의 속성의 위치를 추적할 수 없도록 보장하기 위해 정교한 암호화 및 프라이버시 방식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의 맥락에서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공개-개인 키 암호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100) 및 사용자의 스마트 폰(106)은 공개-개인 키 쌍이 생성되거나 또는 달리 액세스되거나 획득되는 초기화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공개 키(200)(자물쇠로서 표현됨)는 태그(100)와 공유될 수 있고, 사용자의 스마트 폰(106)은 개인 키(202)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태그(100)가 물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키들)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배치될 때, 태그(100)는 다른 디바이스들(102)이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을 서버(104)에 전송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다른 디바이스들(102)과 통신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태그(100) 및 다른 디바이스(102)가 (예를 들어, 블루투스 및/또는 UWB를 통해) 무선 통신들을 위해 충분히 근접할 때, 태그(100)는 근처의 디바이스(102)에 공개 키(200)를 통신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디바이스들(102-1, 102-2, 및 102-3)은 (예를 들어, 이들을 운반하는 개인이 태그(100) 근처에서 걸었거나 이동했기 때문에) 태그(100)와 통신하기에 충분히 가까울 수 있다. 디바이스(102-1)가 태그(100)와 통신할 때, 태그(100)는 디바이스(102-1)에 공개 키(200)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2-1)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2-1)에 탑재된 GPS로부터) 디바이스 자신의 위치, 및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02-1)에 대한 태그(100)의 포지션(예를 들어, 디바이스(102-1)로부터 태그(100)까지의 거리, 방위각, 및 고도)를 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식별 기술들을 사용하여 태그(100)의 위치를 결정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이어서, 디바이스(102-1)는 공개 키(200)를 사용하여 태그(10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다른 정보(예컨대, 태그 식별자, 시간 등)와 함께 암호화된 위치 보고(204-1) 내로 암호화한다. 이어서, 암호화된 위치 보고(204-1)는 네트워크(101)를 통해 서버(104)에 제공된다. 디바이스들(102-2 및 102-3)(뿐만 아니라 이제 도 2b에 도시된 추가 디바이스들)은 마찬가지로, 태그(100)로부터 수신된 공개 키(200)를 사용하여 위치 보고들(204-2, 204-3)을 암호화하고, 이들을 서버(104)에 전송할 수 있다. (태그(100)가 무선 통신 서비스들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위치에 있다면, 디바이스(102)는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을 저장하고, 일단 서비스가 이용가능하게 되면 이들을 서버(104)에 업로드할 수 있다.)
위치 보고들(204)이 공개-개인 키 쌍의 공개 키(200)를 사용하여 암호화되기 때문에, 개인 또는 개인 키(202)를 소유한 디바이스 만이 위치 보고들(204)을 암호해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속성의 위치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추가로, 디바이스들(102)은 디바이스들(102)의 사용자에게 보고 기능 수행이 발생하고 있음을 경고하지 않으면서 보고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실된 물체를 지나가는 개인의 디바이스(102)는, 분실된 물체가 근처에 있다는 것을 그 소유자가 알지 못해도 분실된 물체에 대한 위치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들(102)이 태그(100)의 소유자와 연관되지 않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수 있지만, 디바이스들(102)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태그(100)의 소유자에 의해 소유되거나 제어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암호화 및 위치 보고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는 사용자의 홈 환경을 표현할 수 있고, 디바이스들(102)은 사용자의 홈 내의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2-1)는 사용자의 데스크톱 컴퓨터일 수 있고, 디바이스(102-2)는 홈 자동화 시스템일 수 있고, 디바이스(102-3)는 랩톱 컴퓨터일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204)을 서버(104)에 송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보고들에 액세스하여 자신의 집에서 분실된 물체를 발견할 수 있다(또는 다른 위치-기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c는 인가된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106))가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204)로부터 태그(100)의 위치에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한다. 특히, 디바이스(106)는 사용자의 커맨드에서 또는 트리거 이벤트 또는 주기적인 업데이트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서버(104)에 태그(100)에 대한 위치 보고들을 질의할 수 있다. 이러한 질의는 디바이스(106)로부터 서버(104)로 공개 키(200)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공개 키(200)는 위치 보고들을 암호해독할 수 없을 수 있지만, 공개 키(200)를 사용하여 어느 위치 보고들이 암호화되었는지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6)로부터의 질의에 응답하여, 그리고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06)가 위치 보고들을 수신하도록 인가된 것을 인증한 후에, 서버(104)는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204)을 디바이스(106)에 제공한다. 이어서, 디바이스는 개인 키(202)를 사용하여 위치 보고들(204)을 암호해독하고 태그(100)의 보고된 위치들(예를 들어, 위치 A, 위치 B, 위치 C)을 판독할 수 있다. 디바이스(106)는 지도 상에 보고된 위치들을 보여줄 수 있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보고된 위치들로의 방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디바이스(106)가 UWB와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디바이스(106)는 사용자를 태그(100)로 직접 이끄는 방향 표시 인터페이스를 (예를 들어, 실세계 환경의 이미지 상에 중첩된 화살표를 나타내는 방향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향 표시 인터페이스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사용자가 서버(104)로부터의 위치 보고들에 액세스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기술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106)는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204)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다른 태그들의) 다른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 또는 다른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암호화된 정보를 서버(104)로부터 요청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사용자의 공개 키를 사용하여 원래 암호화되지 않은 위치 보고들 또는 정보를 암호해독할 수 없을 것이며, 따라서 사용자의 개인 키에 의해 암호해독 가능하지 않은 임의의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은 암호화된 상태로 남아있고 디바이스(106)에 의해 폐기될 수 있다. 디바이스(106)가 단지 자신의 위치 보고들(204)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들에서, 디바이스(106) 및/또는 서버(104)는 다양한 방식들로 디바이스(106)에 전송되는 특정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4)는 서버(104) 상에 저장된 모든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을 전송할 수 있고, 공개 키(200)를 사용하여 암호화되지 않은 임의의 것은 디바이스(106)에 의해 폐기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서버(104)는 디바이스(106)에 전송할 자신의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서브세트는 특정 시간 윈도우에서 생성된 위치 보고들에 대응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서버(104)는 태그(100)가 디바이스(106)와의 직접 피어-투-피어 통신들에서 지속되었던 1 시간 내에 전송된 모든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을 전송할 수 있음), 또는 서브세트는 위치 보고들과 연관된 특정 지리적 영역들에서 생성된 위치 보고들에 대응할 수 있다(예를 들어, 서버(104)는 태그(100)가 디바이스(106)와의 직접 피어-투-피어 통신들에서 지속되었던 주 또는 도시에서 생성된 모든 암호화된 위치 보고들을 전송할 수 있음). 다른 기준들 또는 기준들의 조합들이 또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은 태그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에 신호를 전송하여, 다른 디바이스가 태그의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 파라미터들은 거리들, 배향들, 위치들 및/또는 포지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거리"는 2개의 포인트들(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들, 다른 물체들, 기준 포인트들 등)이 서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의 측정을 지칭할 수 있고, 2개의 포인트들 사이의 공간을 통한 가능한 최단 경로의 길이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배향"이라는 용어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다른 태그 또는 스마트 폰), 다른 관심 포인트, 또는 기준 프레임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태그)의 자세 또는 각도 포지션을 지칭할 수 있다. 배향은 현재 배치로부터 기준 배치로 회전하는 데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축들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의 관점에서 지정될 수 있다. 배향의 예시적인 측정들은 오일러 각도(Euler angle)들, 타이트-브라이언 각도(Tait-Bryan angle)들(예를 들어, 요, 피치 및 롤), 배향 벡터들, 배향 행렬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포지션" 또는 "상대적 포지션"은 다른 디바이스, 물체 또는 기준 포인트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의 포지션 관계를 지칭할 수 있고, 하나의 물체로부터 다른 물체로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벡터와 조합하여 2개의 물체들 사이의 거리로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위치"는 전자 디바이스, 다른 물체 또는 관심 포인트가 위치된 지리적 포인트, 예를 들어, 지구 표면 상의 포인트 또는 다른 곳을 지칭할 수 있고, 지리적 좌표계(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의 관점에서 또는 다른 지리적 포인트 또는 관심 포인트에 대한 포지션의 관점에서 지정될 수 있다.
광범위하게, 2개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들(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신호들)은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분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공간 파라미터들"은 전자 디바이스가 점유하는 공간에서의 전자 디바이스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공간 파라미터들은 전자 디바이스와 관심 포인트(예를 들어, 다른 디바이스, 물체, 기준 포인트 등) 사이의 거리의 임의의 조합, 전자 디바이스의 배향 및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위치식별"은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공간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들의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신호들은 초광대역(UWB)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UWB 신호들"은 무선 스펙트럼의 큰 부분(예를 들어, 500 ㎒ 초과 또는 중심 캐리어 주파수의 20% 초과의 대역폭을 가짐)에 걸쳐 송신되는 신호들을 지칭할 수 있다. 위치식별을 수행하기 위해 UWB 신호들을 사용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UWB 위치식별"로 지칭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들(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태그들의 기능을 통합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은 UWB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디바이스들, UWB 신호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수신 디바이스들, 또는 둘 모두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는 UWB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UWB 신호는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모든 방향들로 또는 하나 이상의 방향들로 전파되고, 송신된 신호는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들의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UWB 신호들은 펄스들로서 전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펄스"는, 기준선 값으로부터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값으로의 신호의 진폭의 급속한, 일시적인 변화, 이어서 기준선 값으로의 신속한 복귀를 지칭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UWB 신호들(본 명세서에서 비콘 신호들로 또한 지칭될 수 있음)은 2개의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거리(D)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UWB 신호들은 수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와 송신 디바이스(210)(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태그(10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수신 디바이스와 송신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는 수신 디바이스와 송신 디바이스가 서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의 측정을 지칭할 수 있고, 수신 디바이스와 송신 디바이스 사이의 공간을 통한 가능한 최단 경로의 길이를 지칭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206a)(또는 수신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디바이스)는 UWB 신호 펄스를 송신한 송신 디바이스(210)와 수신 디바이스(206a) 사이의 거리(D)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 디바이스(206a)의 안테나(208)에 의해 검출된 UWB 신호 펄스를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수신 디바이스(206a)는 UWB 신호 펄스의 비행 시간(TOF)을 결정하고, TOF에 신호 펄스의 전파 속도(예를 들어, 광의 속도)를 곱하여, 송신 디바이스(210)와 수신 디바이스(206a) 사이의 거리(D)를 결정 또는 추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UWB 신호 펄스는 비콘 신호 또는 비콘 신호의 일부분일 수 있다.
TOF는 송신 시간(즉, 신호가 송신된 시간)과 신호가 검출된 시간(도달 시간(TOA)으로 또한 지칭됨) 사이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송신 시간은 검출된 UWB 신호 펄스에 포함되거나, 별개의 송신의 일부로서 전송되거나, 송신 디바이스(210)와 수신 디바이스(206a) 사이의 이전에 수행된 동기화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알려질 수 있다.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UWB 신호들을 사용하는 것은 TOA 및/또는 TOF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증가된 정밀도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UWB 신호들은 다른 신호들보다 더 짧은 파장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신호들이 검출될 수 있는 시간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TOA 및 TOF를 결정할 때 에러들을 감소시키며, 이는 더 정확한 거리 추정을 초래한다.
단일 신호는 다수의 수신 디바이스들 및/또는 단일 수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다수의 안테나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신호는 송신 디바이스(210)와 각각의 수신 디바이스 또는 안테나들 사이의 거리들을 결정하기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이한 송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태그들)로부터의 다수의 신호들이 단일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신호들은 수신 디바이스와 각각의 송신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들을 결정하기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UWB 신호들은 관심 포인트(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물체, 기준 포인트 등)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의 배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UWB 신호들은 송신 디바이스(210)(예를 들어, 태그들(100))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206b)(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배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배향"이라는 용어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 다른 관심 포인트, 또는 기준 프레임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각도 포지션을 지칭할 수 있다. 배향은 현재 배치로부터 기준 배치로 회전하는 데 요구되는 하나 이상의 축들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의 관점에서 지정될 수 있다. 배향의 예시적인 측정들은 오일러 각도들, 타이트-브라이언 각도들(예를 들어, 요, 피치 및 롤), 배향 벡터들, 배향 행렬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심 포인트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의 배향은 또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 포인트에 대한 방향으로서 생각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206b)(또는 수신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디바이스)는 UWB 신호 펄스를 송신한 송신 디바이스(210)(예를 들어, 태그(100))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206b)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해 수신 디바이스(206b)의 다수의 안테나들에 의해 검출된 UWB 신호 펄스를 분석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수신 디바이스들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디바이스(206b)는 3개 이상의 안테나들,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206b) 상에 또는 그 내에 위치된 안테나들(208a, 208b, 208c)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206b)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안테나와 송신 디바이스(210) 사이의 거리들(d1, d2, d3)을 결정할 수 있다. 거리들(d1, d2, d3) 사이의 차이들은 송신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206b)의 배향을 나타낼 수 있다. 결정된 거리들(d1, d2, d3) 및 안테나들 사이의 알려진 분리 거리들(s1, s2, s3)을 사용하여, 수신 디바이스(206b)로부터 송신 디바이스(210)로 연장되는 벡터(V)가 결정될 수 있다. 벡터(V)는 수신 디바이스(206)와 송신 디바이스(210) 사이의 거리, 및 수신 디바이스(206b)의 기준 벡터(예를 들어, 3개의 안테나들 또는 3개의 안테나들에 대해 고정된 임의의 다른 벡터에 의해 공유되는 평면에 수직인 벡터)에 대한 벡터(V)의 방향의 관점에서 표현될 수 있다. 벡터(V)의 방향은 송신 디바이스(210)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206a)의 배향을 설명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송신 디바이스(210)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206b)의 배향(또는 그 반대도 성립함)은 거리들(d1, d2, d3)을 결정하는 것과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206b)는 수신 디바이스(206b)의 3개의 별개의 안테나들(208a, 208b, 208c)에 대한 동일한 UWB 신호 펄스의 도달 시간 차이(TDOA)를 결정함으로써 수신 디바이스(206b)로부터 송신 디바이스(210)로의(또는 송신 디바이스(210)로부터 수신 디바이스(206b)로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UWB 신호 펄스에 대한 TDOA는 제1 안테나(예를 들어, 안테나(208a))에서의 신호의 도달 시간과 제2 안테나(예를 들어, 안테나(208b))에서의 신호의 도달 시간 사이의 쌍별 시간 차이로서 결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쌍별 시간 차이들이 결정될 수 있고, 수신 디바이스(206b)로부터 송신 디바이스(210)로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송신 디바이스(210)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206b)의 배향을 설명할 수 있다. 삼각 측량, 도달 위상 차이(PDOA) 및 하이브리드 TDOA/PDOA 방법들을 포함하여, 방향 및 배향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206b)와 송신 디바이스(210) 사이의 거리 및 수신 디바이스(206b)의 상대적인 배향은 송신 디바이스(210)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206b)의 포지션을 한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포지션" 또는 "상대적 포지션"은 다른 디바이스, 물체 또는 기준 포인트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의 포지션 관계를 지칭할 수 있고, 하나의 물체로부터 다른 물체로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벡터(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206b)와 송신 디바이스(210) 사이의 거리 및 수신 디바이스(206b)로부터 송신 디바이스(210)로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벡터)와 조합하여 2개의 물체들 사이의 거리로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e의 벡터(V)는 송신 디바이스(210) 및 수신 디바이스(206b)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UWB 위치식별을 사용하여 결정된 전자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위에서 논의된 공간 파라미터들)에 관한 정보는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소스들로부터의 다른 정보와 조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또는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 또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그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센서들 및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자력계들, 자이로스코프들, 가속도계들, 광학 센서들, 카메라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들 등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는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GPS 수신기를 포함하거나 그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위치"는 전자 디바이스가 위치된 지리적 포인트, 예를 들어, 지구 표면 상의 포인트 또는 다른 곳을 지칭할 수 있고, 지리적 좌표계(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의 관점에서 또는 다른 지리적 포인트 또는 관심 포인트에 대한 포지션의 관점에서 지정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송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태그)의 포지션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UWB 위치식별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의 위치는 GPS를 사용하여 결정된 수신 디바이스의 위치 및 UWB 위치식별을 사용하여 결정된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송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 디바이스는 지구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의 배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자력계 또는 가속도계를 포함하거나 그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북 또는 다른 알려진 자속 소스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해 자력계가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가속도계는 중력 가속도의 (예를 들어, 지구 표면에 대하여 안쪽으로의) 방향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의 배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 디바이스로의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방향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UWB 위치식별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지구 또는 다른 알려진 관심 포인트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 디바이스로의 방향은, 자력계 또는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결정된 지구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의 배향을, UWB 위치식별을 사용하여 결정된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송신 디바이스로의 방향과 조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동일한 안테나(들)이 UWB 신호들을 송신 및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UWB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들)는 UWB 신호들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들)와 상이하다. 안테나(들)는 송신된 신호들을 생성하고/하거나 검출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 수신기들, 프로세싱 유닛들 등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210)의 위치는 또한, 수신 디바이스(206c)가 다수의 상이한 위치들에 있을 때, 수신 디바이스(206c)와 송신 디바이스(21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수신 디바이스(206c)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송신 디바이스(210)로부터의 펄스의 TDOA 분석 및 다수의 온보드 안테나들을 사용하지 않고 송신 디바이스(210)의 위치를 삼각측량한다. 도 2f는 이 기술(합성 애퍼처로 지칭될 수 있음)을 사용하여 송신 디바이스(210)의 위치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예시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송신 디바이스(210)는 안테나(208d)에 의해 검출가능한 펄스(예를 들어, UWB 신호 펄스)를 방출할 수 있고, 수신 디바이스(206c)는 수신 디바이스(206c)로부터 송신 디바이스(210)까지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TOF를 사용하여) 펄스를 분석할 수 있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 디바이스(206c)가 다수의 위치들(예를 들어, L1, L2 및 L3)에 있을 때, 수신 디바이스(206c)는 송신 디바이스(210)에 대한 다수의 거리들(예를 들어, 거리들 d4, d5 및 d6)을 결정할 수 있다. 위치들(L1, L2, 및 L3)에서의 수신 디바이스(206c)의 위치는 (온보드 GPS, 가속도계(들) 및/또는 다른 위치결정 시스템들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알려져 있고, 수신 디바이스(206c)와 송신 디바이스(210) 사이의 거리들이 또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수신 디바이스(206c)는 삼각측량을 사용하여 송신 디바이스(210)의 위치(L4)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온보드 자력계, 가속도계 및/또는 다른 시스템들을 사용하여, 수신 디바이스(206c)는 송신 디바이스(210)의 결정된 위치에 대한 자신의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210)의 위치와 함께 송신 디바이스(210)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206c)의 배향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송신 디바이스(210)의 공간 파라미터들의 완전한 보완을 제공한다.
도 2f에 설명된 프로세스를 참조하면, 수신 디바이스(206c)가 수신 디바이스(206c)와 송신 디바이스(210) 사이의 적어도 3개의 거리 측정들을 결정하면, 송신 디바이스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송신 디바이스(210)의 위치가 적어도 3개의 거리 측정들을 사용하여 확립되면, 수신 디바이스(206c)는 수신 디바이스(206c)의 추가적인 위치들에서 더 많은 거리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후속 측정들은 송신 디바이스(210)의 결정된 위치를 개선 및/또는 업데이트하기 위해, 또는 그렇지 않으면 위치 결정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키들, 백팩들, 지갑들 등과 같은 물체들에 쉽게 부착될 수 있는 소형 디바이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광범위하게, 태그는, 견고하고 내수성이고(예를 들어, 국제 침입 보호 표준에 따라 IP66, IP67, 또는 IP68) 휴대용인 작은 크기(예를 들어, 약 3 인치 미만, 약 2 인치 미만, 약 1 인치 미만의 직경을 가짐)를 가질 수 있다. 태그는 또한 음향 및 햅틱 출력 시스템들, 및 선택적으로 입력 시스템(예를 들어, 버튼형 입력)을 가질 수 있다. 태그는 또한, 용이하고 편리하게 교체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물, 먼지, 및 다른 오염물들로부터 밀봉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아이디어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300)를 도시한다. 태그(300)는 태그(100)의 실시예일 수 있고,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태그(100)(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다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또는 디바이스)의 기능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그러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a는 태그(30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의 태그(300)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c는 태그(300)의 측면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300)는 본체 부분(302), 제거가능한 저부 하우징 부재(304), 및 제거가능 및/또는 교체가능한 배터리(306)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도어 또는 배터리 커버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저부 하우징 부재(304)는 저부 하우징 부재(304)를 가압하고 이를 본체 부분(302)에 대해 비틀어서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저부 하우징 부재(304)를 본체 부분(302)에 홀딩하는 하나 이상의 래치들, 클립들, 아암들 또는 다른 메커니즘들을 맞물림해제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들 및 맞물림 메커니즘들의 다양한 구성들은, 배터리가 제거 및 교체될 수 있도록 태그(300)의 배터리 공동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한편, 배터리 공동이 안전하게 고정되고 부스러기, 물 또는 다른 오염물들의 침입에 대해 밀봉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들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예시적인 구성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함께, 상단 및 저부 하우징 부재들은 태그의 하우징(이는 또한 인클로저로 지칭될 수 있음)을 한정할 수 있다(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태그(300)는 또한, 태그(300)를 다른 물체들, 예를 들어, 백팩들, 월렛들, 및 지갑들에 그리고/또는 태그(300)를 수용하도록 적응된 전용 액세서리들에 직접 부착 및 보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하우징 갭(301)을 한정할 수 있다. 하우징 갭(301)은 본체 부분(302)과 저부 하우징 부재(배터리 도어)(304) 사이에 한정된 갭 또는 채널일 수 있다. 하우징 갭(301)은 태그(300)의 완전한 원주 주위로 연장될 수 있거나, 태그(300) 주위에서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태그가 원형 형상 이외의 형상, 예를 들어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 이러한 태그들은, 액세서리들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 갭(301)과 유사한 외관 및/또는 기능의 하우징 갭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갭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체 부분과 저부 하우징 부재 이외의 하우징 부재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하우징 갭은 단일 하우징 부재(예를 들어, 본체 부분에 형성된 홈 또는 리세스)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그리고 태그를 다른 물체들에 부착하기 위한 액세서리들은, 예를 들어, 스트랩들, 키 포브들, 랜야드들, 벨트들, 수하물 태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액세서리들은 도 69a 내지 도 128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도 4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4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태그(400)는 태그(100) 또는 태그(300)의 실시예일 수 있고,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태그(100)(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다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또는 디바이스)의 기능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 태그(4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들의 일례가 도 144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간결성을 위해, 그러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태그(400)는 상단 하우징 부재(402), 오디오 시스템(404), 안테나 조립체(406), 회로 기판(408), 프레임 부재(410), 배터리(416), 및 저부 하우징 부재(412)(이는 또한 배터리 도어로 지칭될 수 있음)를 포함한다. 상단 하우징 부재(402), 오디오 시스템(404), 안테나 조립체(406), 회로 기판(408), 및 프레임 부재(410)는 모두, 본체 부분, 예를 들어 본체 부분(302)(도 3a 내지 도 3c)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한정할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402)는 태그(400)의 상단 외부 표면 및 상단 외부 표면 반대편의 내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402)는 또한 태그(400)의 측부 외부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한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측부 외부 표면은 (도 3a 및 도 3b에 대해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외부 표면의 주변부 주위로 연장된다. 배터리 도어로 또한 동작하고 배터리 도어로 지칭될 수 있는 저부 하우징 부재(412)는 태그(400)의 저부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412)는 또한 외부 측부 표면의 일부를 한정한다. 상단 및 저부 하우징 부재들(402, 412)은 태그(400)의 실질적으로 전체 외부 표면을 한정하도록 서로 맞물릴 수 있고, 상단 및 저부 하우징 부재들(402, 412) 사이에 실질적으로 방수 밀봉을 한정할 수 있다. 상단 및 저부 하우징 부재들(402, 412)은 또한 태그(400)의 내부 용적부를 한정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404)은 사용자가 태그(400)를 위치식별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오디오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분실된 태그(400)를 위치식별(및 이에 따라 분실된 태그에 부착되거나 그와 연관된 임의의 물체를 위치식별)하려고 시도할 때,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가청 사운드, 예를 들어, 비프 음 또는 다른 가청 톤(예를 들어, 일정한 톤, 노래 등)을 생성하도록 태그(400)에 무선으로 명령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가청 사운드를 청취함으로써 태그(400)를 찾으려고 시도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404)은 음성 코일 스피커, 압전 스피커 등과 같은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컴포넌트 또는 시스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오디오 시스템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디오 시스템(404)은 스피커의 다이어프램 또는 원뿔과 같이 상단 하우징 부재(402)의 일부분을 이동시킴으로써 오디오 출력들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시스템(404) 또는 그 일부분은 상단 하우징 부재(402)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어 상단 하우징 부재(402)가 구부러지거나, 변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동하여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게 하는 힘을 상단 하우징 부재(402)에 직접 적용할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40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단 하우징 부재(402)는 태그(4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고정되지 않거나 달리 고정화되지 않는 이동가능 영역 또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동가능 영역은 약 100 ㎐ 내지 약 10000 ㎐의 범위의 오디오 출력을 허용하거나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404)은 또한 상단 하우징 부재(402)의 이동가능 영역을 이동시킴으로써 햅틱 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오디오 시스템(404)은 오디오를 생성하기 위해 상단 하우징 부재(402)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오디오 시스템(404)은 사용자가 자신의 손 또는 다른 신체 부위로 느낄 수 있는 햅틱 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햅틱 또는 촉각 응답들은 가청 출력들과 상이할 수 있지만, 햅틱 출력들은 또한 가청적일 수 있고, 가청 출력들은 촉각적으로 검출가능한 진동들을 수반할 수 있다.
태그(400)의 안테나 조립체(406)는 안테나 조립체(406)의 안테나 프레임에 부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와 통합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조립체(406)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ISO/IEC 14443, ISO/IEC 18092, ISO/IEC 21481), UWB 프로토콜들, 블루투스(예를 들어, IEEE 802.15), WiFi(예를 들어, IEEE 802.11), 셀룰러 프로토콜들 등을 위한 별개의(및/또는 공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안테나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안테나 조립체(406)의 안테나 프레임(예를 들어, 단일의 모놀리식 안테나 프레임 컴포넌트)와 일체형이다. 예를 들어, 안테나들은 안테나들이 안테나 프레임의 재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도록 안테나 조립체(406)의 안테나 프레임의 재료로 삽입 성형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안테나 재료(예를 들어, 금속)는 레이저 직접 구조화를 사용하여 형성 및/또는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레이저 빔이 안테나 프레임의 재료 상에 지향되고, 그 영역은 도금(예를 들어, 전기도금) 또는 다른 침착 동작을 사용하여 금속화된다. 안테나 조립체(406) 상에 안테나들을 부착 또는 형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 조립체(406)의 안테나 프레임은 유리 섬유 강화 중합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408)은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태그(400)의 전기적 및/또는 계산 기능들을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다른 회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408)은 또한, 태그(400)의 다양한 전기 컴포넌트들을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도체들 및/또는 전기적 상호연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408)은 또한 태그(400)를 위한 배터리 또는 다른 전원과 접촉하는 배터리 커넥터를 포함하거나 그에 결합될 수 있다. 회로 기판(408)은 태그(400)의 프레임 부재(410) 및/또는 안테나 조립체(406)에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410)는 태그(400)의 다른 컴포넌트들이 부착되는 지지 구조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하우징 부재(402), 안테나 조립체(406), 오디오 시스템(404), 회로 기판(408), 및 저부 하우징 부재(412)는 모두 프레임 부재(4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컴포넌트들을 통해 디바이스에 부여되는 부하들은 프레임 부재(410)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410)는 또한 태그(400)의 하우징 내부에 배터리(416)를 수용, 지지 및 정렬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리세스를 한정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410)는 중합체, 섬유 강화 중합체, 금속, 세라믹 등과 같은 강인한 강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컴포넌트들의 특정 구성들, 위치들, 형상들 및 통합 세부 사항들은 태그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태그들의 다른 실시예들은 태그(40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들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구성들, 위치들, 형상들 및 통합 세부 사항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5a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500)를 도시하고, 도 5b는 도 5a의 라인 A-A를 따라 본 태그(5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태그(500)는 태그(100)의 실시예일 수 있고,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태그(100)(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다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또는 디바이스)의 기능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 태그(5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들의 일례가 도 144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간결성을 위해, 그러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500)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우징 부재로 또한 지칭됨) 및 저부 하우징 부재(516)(본 명세서에서 하부 하우징 부재로 또한 지칭됨)를 포함하며, 이들은 함께 태그의 인클로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단 및 저부 하우징 부재들(502, 51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500)의 컴포넌트들을 인클로징하거나 하우징할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502)는 태그(500)의 상단 외부 표면(501)을 한정할 수 있다. 태그(500)의 상단 외부 표면(501)은 파손되지 않은 이음매없는 표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500)의 전체 상단 외부 표면(501)은 단일의 일체형 재료 조각(디스플레이들, 버튼들, 개구들, 추가적인 하우징 컴포넌트들 등에 의해 중단되지 않음)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단 하우징 부재(502)는 태그(500)의 상단 외부 표면 전체를 한정할 수 있고, 일체형 구조물(예를 들어, 일체형 또는 단일 피스 중합체 구조물)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502)는 또한 태그(500)의 주변 측부 표면을 한정하는 주변 측벽(519)을 한정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단 외부 표면(501)을 한정하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일부분은 가청 및/또는 햅틱 출력들을 생성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시스템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이동된 부분이 가청 출력에 대응하는 압력파들을 생성하도록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일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모션은 또한 햅틱 출력들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500)의 실질적으로 전체 외부는 2개의 컴포넌트들, 즉, 상단 하우징 부재(502) 및 저부 하우징 부재(516)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태그(500)는 디스플레이들(및 투명 커버들과 같은 연관된 하우징 컴포넌트들), 스피커/마이크 개구들, 버튼들, 렌즈들, 광원들 등과 같은 특징부들이 없을 수 있다. 일부 태그 실시예들은 그러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컴포넌트들이 없는 실시예들은 더 양호한 환경적 밀봉 및 에너지 효율을 가질 수 있고, 제조하기에 더 저렴할 수 있고, 그러한 특징부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들과 비교하여 사용하기에 더 간단할 수 있다.
상단 외부 표면(501)은 또한, 상단 외부 표면(501)의 주변부 주위로 연장되는 측부 외부 표면(503)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한정할 수 있다. 측부 외부 표면(503)은 임의의 적합한 형상 또는 프로파일, 예를 들어, (단면에서) 연속적으로 만곡된 프로파일 또는 만곡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상단 외부 표면(501)의 적어도 일부분이 만곡된 실시예를 예시한다(예를 들어, 상단 외부 표면(501)이 측부 외부 표면(503)과 만나는 에지에 근접한 부분). 도 5a 및 도 5b는 측부 외부 표면(503)이 평평한 측부를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태그(500)의 저부 외부 표면(505)을 한정할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배터리(514)의 제거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태그(500)의 나머지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또한 배터리 도어로 지칭될 수 있다. 배터리(514)는 버튼 셀 배터리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배터리일 수 있다.
태그(500)는 또한 안테나 조립체(508)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조립체(508)는 그에 부착되거나 달리 통합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조립체(508)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UWB 프로토콜들, 블루투스, WiFi, 셀룰러 프로토콜들 등을 위한 별개의(및/또는 공유된)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안테나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안테나 조립체의 안테나 프레임과 일체형이다. 안테나 조립체들 및 연관된 안테나들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안테나 조립체(508)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구조적 지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지지 플랜지(523)의 일부분 또는 표면으로 간주될 수 있는) 안테나 조립체(508)의 지지 부분(511)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내부 표면의 일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안테나 조립체(508)의 지지 부분(511)은 접착제, 체결구들, 기계적 특징부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저부 또는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지지 부분(511)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와 접촉하지만 그에 접합되지 않는다. 지지 부분(511)은 안테나 조립체(508) 주위로 완전히 연장되어, 안테나 조립체(508)의 최상부(예를 들어, 상단) 표면을 한정하는 연속적인 링-형상 지지 부분(511)을 한정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지지 부분(511)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와 접촉하도록 안테나 조립체(508)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비-연속적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적어도 일부는 갭(509)과 같은 갭에 의해 안테나 조립체(508)로부터 떨어져 설정될 수 있다. 갭(509)은 지지 부분(511)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갭(509)은 지지 부분(511)의 상단 표면에 대해 리세스된 안테나 조립체(508)의 일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갭(509)은, 안테나 조립체(508)가 가청 또는 햅틱 출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햅틱 및 오디오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일부분이 이동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갭의 크기는 가청 및/또는 햅틱 출력들 동안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최대 타겟 편향보다 크다. 따라서, 예를 들어, 태그(500)가 특정 특성(예를 들어, 최대 또는 타겟 진폭, 볼륨, 주파수, 또는 다른 특성)을 갖는 오디오 및/또는 햅틱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면, 갭(509)의 크기는 이들 가청 및/또는 햅틱 출력들로부터 기인하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편향보다 크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갭(509)의 최대 크기(예컨대, 안테나 조립체(508)의 최상부 표면과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저부 표면 사이의 거리)는 약 500 마이크로미터, 400 마이크로미터, 300 마이크로미터, 200 마이크로미터, 100 마이크로미터, 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안테나 조립체(508)는 또한 태그(500) 및 태그(500) 내의 컴포넌트들에 대한 구조적 지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안테나 조립체(508)는 재료들로 형성되고, 특정 형상을 갖고, 태그(500)의 주 하중-지지 구조물을 한정하기 위한 다른 구조적 컴포넌트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500)는 부하들, 편향, 이동, 충격 등에 민감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회로 기판(510), 회로 기판(510)과 다른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안테나들, 배터리 접점들, 스피커들 및/또는 오디오 시스템들, 센서들, 햅틱 액추에이터들 등) 사이의 솔더 조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컴포넌트들은 비교적 섬세할 수 있고, 태그(500)의 정상적인 사용으로부터의 직접적인 힘의 적용들(예를 들어, 정상 사용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낙하들, 충격들 등을 포함함)을 구조적으로 견딜 수 없을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을 보호하기 위해,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함께 안테나 조립체(508)에 결합되고/되거나 그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510)은 안테나 조립체(508)에 장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와 접촉할 수 있고, 상단 또는 저부 하우징 부재들(502, 516)과 접촉하지 않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회로 기반(510)을 상단 또는 저부 하우징 부재들(502, 516)을 통한 직접적인 힘 적용으로부터(예를 들어, 태그(500)가 낙하, 압착, 충격 등을 받는 것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 회로 기판(510)은 접착제(예를 들어, 온도 민감성 접착제, 열 감응성 접착제), 체결구들, 클립들, 열 스테이크(stake)들, 리벳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메커니즘 또는 기술을 사용하여 안테나 조립체(508)에 장착될 수 있다.
안테나 조립체(508)(예를 들어, 안테나 조립체(508)의 주변 지지 플랜지(523))는 계면(521)에서 프레임 부재(512)와 접촉하고, 회로 기판(510)이 위치될 수 있는 안테나 조립체(508)의 일 측부 상의 리세스된 영역 또는 공동을 한정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지지 플랜지(523)는 회로 기판(510)의 외측 주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안테나 조립체(508)의 리세스된 영역 또는 공동(이는 주변 지지 플랜지(52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거나 한정될 수 있음)은 본 명세서에서 회로 기판 공동으로 지칭될 수 있다.
계면(521)을 통한 주변 지지 플랜지(523)는 안테나 조립체(508)로부터 프레임 부재(512)로의 부하 경로를 한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그(500)에 적용되는 힘들은 안테나 조립체(508) 및 프레임 부재(512)를 통해 지향될 수 있고 회로 기판(510)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더 넓게는, 안테나 조립체(508)(및 특히 안테나 조립체(508)의 상단 벽 및 주변 지지 플랜지(523))는 회로 기판(510) 주위에 보호 지지부 및/또는 부분적인 셸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로서, (예를 들어, 바닥 외부 표면(505)이 테이블 또는 다른 표면 상에 있는 동안) 태그(500)의 상단 외부 표면(501)에 힘이 적용되는 경우, 힘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를 통해, 안테나 조립체(508)(예를 들어, 주변 지지 플랜지(523))를 통해, 프레임 부재(512)를 통해, 저부 하우징 부재(516) 내로 지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힘은 회로 기판(510) 또는 그의 컴포넌트들 또는 연결부들의 임의의 편향 또는 변형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회로 기판(510) 주위로 지향될 수 있다. 추가로, 주변 지지 플랜지(523)는 계면(521)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계면들에서) 프레임 부재(512)에 부착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다른 가능한 컴포넌트들 중에서) 회로 기판(510)이 위치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클로징된 용적부를 한정할 수 있다. 그러한 계면들은 밀봉 부재들, 접착제들, 아교(glue), O-링들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로 밀봉될 수 있고, 그에 의해, 그러한 계면들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클로징된 용적부를 밀봉할 수 있다.
도 5b는 또한, 상단 하우징 부재(502)에 결합된 코일(504)을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도시한다. 코일(504)은 자석 조립체(506)에 근접할 수 있다. (자석 조립체(506)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있는) 코일(504)에 신호가 적용될 때, 로렌츠 힘들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어서, 상단 하우징 부재(502)로 하여금 이동하거나, 발진하거나, 진동하여,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가청 및 선택적으로 촉각 출력을 생성하게 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단 하우징 부재(502)는 국부적으로 편향되거나 변형되어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타겟 오디오 및/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방식으로 그리고 충분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단 하우징 부재(502)와 안테나 조립체(508) 사이에 적절한 간극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오디오 시스템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압전 요소들, 포트된(ported) 스피커 모듈 등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오디오 시스템들이 사용될 수 있다.
태그(500)는 또한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편향을 제한하는 하드-스톱(520) 또는 이동 제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스톱(520)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때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가요성의 지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이동은 가청 및 햅틱 출력들을 생성하고 선택적으로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지만, 이러한 출력들 및 입력들을 용이하게 하는 데 필요한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가요성은 전체적으로 태그(500)의 품질 및 구조적 완전성의 물리적 감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안테나 조립체(508)를 향해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임계치 아래로 제한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그렇게 제한되지 않았다면 자신들이 지각했을 정도로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가요성을 촉각적으로 지각할 수 없다. 따라서, 하드-스톱(520)의 최상부 표면과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저부 표면 사이의 갭의 최대 거리는 약 500 마이크로미터, 400 마이크로미터, 300 마이크로미터, 200 마이크로미터, 100 마이크로미터, 또는 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이 거리는 오디오 시스템(코일(504) 및 자석 조립체(506)를 포함하고/하거나 그에 의해 한정됨)이 가청 및/또는 햅틱 출력들을 생성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입력들의 검출을 허용하기에 충분할 수 있는 한편, 또한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강성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이동가능하지 않다는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디오 시스템은 가청 및 햅틱 출력 시스템으로서 작용하는 것에 추가하여 입력 시스템(예를 들어, 버튼)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504) 및 자석 조립체(506) 위의)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편향들은 자석 조립체(506)의 자기장에서 코일(504)의 이동을 초래할 수 있고, 이로써 검출가능한 전류가 코일에 흐르게 할 수 있다. 이는 태그(500)가 일부 액션(예를 들어, 초기화 모드 진입, 오디오 출력 중단, "발견된" 모드 진입 등)을 취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별개의 센서 또는 스위치(예를 들어, 힘 센서, 돔 스위치)가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들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또는 스위치는 사용자가 태그를 누르거나 압착한 결과로서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편향 또는 변형을 검출할 수 있다. 하드-스톱(520)과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저부 표면 사이의 갭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에 적용되는 입력 힘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입력 시스템으로서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하는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돔 스위치 또는 다른 유형의 기계적 또는 전기기계적 스위치 컴포넌트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와 하부 프레임 부재 사이에 또는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크기가 감소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임의의 2개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갭에 위치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은 또한 사용자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해 다른 유형들의 입력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들은 가속도계들 또는 다른 모션-감지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사용자들은 태그들에 입력들을 제공하기 위해, 태그들을 흔들거나, 태그를 탭하거나, 태그를 활주시키는 것 등과 같은 특정 방식들로 태그들을 이동시키거나 조작할 수 있다. 태그는 그러한 모션들의 개별 인스턴스들(예를 들어, 단일 탭 또는 단일 흔들림), 또는 모션들의 특정 패턴들(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시간 윈도우 내의 다수의 탭들, 탭에 이어서 흔드는 것에 이어서 다른 탭)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태그는,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예를 들어, 누름, 압착, 가압)될 수 있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변형가능한 상단 하우징 부재 이외의 또는 그에 추가하여) 이동가능한 컴포넌트들 또는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가압될 수 있는 기계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배터리 도어는 사용자가 버튼과 같은 배터리 도어를 누를 수 있도록 이동가능할 수 있다. 배터리 도어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눌리지 않은 포지션으로 편향될 수 있고, 센서는 배터리 도어가 눌려지는 때를 결정할 수 있다. 편향 및 감지 기능들은 임의의 적합한 메커니즘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돔 스위치들(예를 들어, 촉각 돔 스위치들)은 배터리 도어에 편향 및 감지 기능들 둘 모두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스프링은 편향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고, 감지 기능들은 광학 센서들, 용량성 센서들, 홀 효과 센서들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눌리지 않은 포지션으로 배터리 도어를 유지하는 편향력은, 배터리를 태그의 배터리 공동 내로 또한 편향시키는 유연성 부재, 예를 들어, 유연성 부재(518)(본 명세서에서 설명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태그들은 또한, 임계력을 만족하는, 태그의 외부 표면에 적용되는 힘을 검출할 때 입력을 검출하는 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 센서는 2개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상단 하우징 부재 및 프레임 부재, 저부 하우징 부재 및 배터리 등)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태그에 적용되는 압착 또는 가압력은 태그 및 그에 따른 힘 센서를 변형시킬 수 있다. 태그가 임계 레벨의 힘을 검출할 때, 태그에 대한 입력으로서 힘을 등록할 수 있다.
태그에 대한 입력을 검출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입력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입력 메커니즘을 통해, 태그는 일부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을 검출할 때, 태그는 초기화 모드에 진입하거나 초기화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입력을 검출할 때, 태그는 "분실된" 동작 모드로부터 "발견된" 동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콘 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여, 태그의 상태를 "발견된" 등으로 업데이트하는 메시지가 호스트 서비스에 전송되게 할 수 있음). 또 다른 예로서, 입력을 검출할 때, 태그는 디바이스에 관한 일부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 충전 상태와 같은 정보를 나타내는 가청 톤 또는 시각적 출력)를 제공하는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입력을 검출할 때, 태그는 오디오 출력을(또는 태그가 디스플레이를 갖는 경우, 그래픽 출력) 생성하여, 태그가 발견된 경우 어떻게 취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명령어들을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please call owner at this number" 또는 "please contact police").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유형들의 동작들이 또한 고려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태그(500)는 회로 기판(510)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510)은 전기 컴포넌트들이 결합된 기판(예를 들어, 인쇄 회로 보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전기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메모리, 센서들(예를 들어, 온도 센서들, 가속도계들, 자력계들, 자이로스코프들, 광학 센서들, 마이크로폰들, 압력 센서들, 기압 센서들 등), 전도성 요소들(예를 들어, 전도성 트레이스들) 등을 포함한다. 배터리 커넥터는 회로 기판(510)에 전도성으로 결합되고, 태그(500)의 전자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태그(500)의 배터리에 전도성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배터리(514)의 제거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단 하우징 부재(502)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의도하지 않은 제거를 방지 또는 억제하는 래칭 또는 다른 맞물림 시스템을 통해 태그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514)가 의도치 않게 태그(500)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어린이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음을 보장하기 위해,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가압 및 비틀림 모션을 요구할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516)(배터리 도어로 또한 지칭됨)를 태그(500)에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적인 메커니즘들이 도 12a 내지 도 12c 및 도 14a 내지 도 25c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 프레임 부재(512), 또는 태그(500)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들)의 래칭 특징부들과 맞물림으로써 태그(500)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태그(500)는 또한, 배터리(514)를 태그(500)의 전기 컴포넌트들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배터리 커넥터에 대항하여 배터리(514)를 태그(500)의 배터리 공동 내로 편향시키기 위해 저부 하우징 부재(516)와 배터리(514) 사이에 유연성 부재(518)를 포함할 수 있다. 유연성 부재(518)는 스프링(예를 들어, 리프 스프링, 코일 스프링), 중합체(예를 들어, 발포체 또는 엘라스토머 패드), 또는 태그(500)를 향해 배터리를 편향시키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연성 부재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연성 부재(518)는 또한, (예를 들어, 래치 부재를 맞물림 특징부에 대항하여 또는 다른 방식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잠금 또는 맞물림 상태에서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래칭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편향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516) 및 프레임 부재(512)는 상보적인 맞물림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유연성 부재(518)는 (적어도, 특정 방식으로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조작하지 않고서)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제거를 방지하거나 제한하는 방식으로 맞물림 특징부들을 서로에 대항하여 및/또는 서로 맞물리게 편향시킬 수 있다.
도 6은 태그(500)의 컴포넌트들 및 이들의 배열의 다른 뷰를 도시하는 태그(50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512)는 안테나 조립체(508)에 프레임 부재(512)를 보유하기 위해 안테나 조립체(508)와 맞물리는 래치 부재들(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래치 부재들(600)은 안테나 조립체(508) 상에 위치되고 프레임 부재(512)와 맞물린다.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또한,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프레임 부재(512)에 제거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프레임 부재(512)와 맞물리는 래치 부재들(6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래치 부재들(600 및 602)의 구성들 및 위치들은 단지 예들이며, 다른 구성들 및 위치들이 또한 고려된다.
도 7은 도 5b의 세부 사항 A-A에 대응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500)의 일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 저부 하우징 부재(516) 및 프레임 부재(512) 사이의 계면들을 도시한다. 제1 밀봉 부재(702)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와 프레임 부재(512) 사이의 조인트 또는 계면을 밀봉할 수 있다. 제2 밀봉 부재(708)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와 프레임 부재(512) 사이의 조인트 또는 계면을 밀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밀봉 부재들(702, 708)은 프레임 부재(512) 상에 동시 성형되거나 삽입 성형되는 단일 피스의 재료의 상이한 세그먼트들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제1 및 제2 밀봉 부재들(702, 708)은 제1 밀봉 부재(702)로부터 제2 밀봉 부재(708)로 연장되는 브리지 세그먼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브리지 세그먼트는 브리지 세그먼트가 태그(500)의 외부를 따라 노출되지 않도록 프레임 부재(512)의 내부 측부를 따라 채널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제1 및 제2 밀봉 부재들(702, 708)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예를 들어, 브리지 세그먼트에 의해 결합되지 않음).
제1 및 제2 밀봉 부재들(702, 708)은 이들이 인터페이싱하는 컴포넌트들 사이에 실질적인 방수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밀봉 부재들(702, 708)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유연성 중합체 재료(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또는 발포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밀봉 부재들(702, 708)은, 제1 및 제2 밀봉 부재들(702, 708) 둘 모두가 프레임 부재(512)에 접합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에 부착되도록 프레임 부재(512)에 대항하여 성형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제1 및 제2 밀봉 부재들(702, 708)은 프레임 부재(512)와 별개로 성형되거나 형성되고, 이어서 접착제, 초음파 용접,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프레임 부재(512)에 부착된다.
상단 하우징 부재(502) 및 프레임 부재(512)는 정상 동작들 동안 서로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이들은 제거가능하게 결합되지 않을 수 있고, 이들을 서로 탈착시키는 것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 프레임 부재(512) 또는 둘 모두를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밀봉 부재(702)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와 프레임 부재(512) 사이의 모션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없다. 대조적으로,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예를 들어,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배터리 공동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프레임 부재(512)로부터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밀봉 부재(708)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가 프레임 부재(512)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탈착될 때,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표면을 따라 접촉 및 활주하도록 구성된 돌출 부분(706)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분(706)은 돌출 부분(706)의 길이를 따라 자유 단부를 향해 테이퍼 형성되거나 좁아지는 삼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원형 단면 형상들과 같은 다른 형상들과 비교하여) 제2 밀봉 부재(708)를 압축하는 데 필요한 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방수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한편, 부착 및 탈착 동안 상이한 형상의 밀봉 부재(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갖는 것)보다 저부 하우징 부재(516) 상에 더 적은 힘을 생성한다.
태그(500)는 또한, 공기가 태그(500) 내로 및 밖으로 통과하도록 허용하여, 주변 환경과 태그(500) 내의 내부 용적부 사이의 압력 균등화를 허용하는(그리고 태그(500) 내의 선택적인 기압 센서 또는 압력 센서가 태그(500) 외부의 주변 압력 조건들에 노출되게 하는) 기압 통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압 통기구는 태그(500) 주위의 외부 또는 주변 환경을 태그(500)의 내부 용적부에 유동적으로 결합시키는 통로(704)(또는 개구)뿐만 아니라, 물이 기압 통기구를 통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가 여전히 통과할 수 있게 하여 압력 균등화를 허용하는 방수 통기성 막(712)을 포함하거나 그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통기성 막(712)은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표면과 유연성 부재(518)의 플랜지 부분(71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플랜지 부분(714)은 막(712)을 제 위치에 홀딩하고, 공기 또는 수압이 막(712)에 적용될 때 막(712)이 이동 또는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플랜지 부분(714)은 통로(704)와 정렬되는 개구(710)를 한정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압력 균등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부분(714)은 (일체형 금속 부재일 수 있는) 유연성 부재(518)의 일체형 부분이지만, 다른 구현들에서 플랜지 부분(714)은 다른 브래킷, 배킹, 플레이트, 또는 다른 컴포넌트로 대체될 수 있다. 기압 통기구는 또한, 스크린들, 추가적인 막들, 체결구들, 접착제들 등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압 통기구는 태그(500)의 주변 환경을 태그(500)의 배터리 공동과 유동적으로 결합시킨다. 배터리 공동은, 기압 통기구가 주변 환경과 태그(500)의 전체(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내부 용적부 사이의 압력 균등화를 허용하기에 충분하도록, 태그(500)의 내부 용적부의 나머지에 유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프레임 부재(512)는 내부 용적부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배터리 커넥터의 접점들을 위한 개구들을 한정하고, 이러한 개구들은 또한 배터리 공동과 태그(500)의 다른 내부 영역들 사이의 공기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태그(500)에 대한 압력 균등화를 허용하기 위해 단지 하나의 기압 통기구만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 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우징 갭(718)의 일 측부를 한정하는 플랜지 또는 립(lip)(716)을 한정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512)는 하우징 갭(718)의 반대쪽 측부를 한정할 수 있다). 플랜지 또는 립(716), 및 하우징 갭(718)은 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도 69a 내지 도 128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500)를 액세서리에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a는 태그(500)의 안테나 조립체(508)를 도시한다. 안테나 조립체(508)는 안테나 프레임(802)에 매립되거나 달리 부착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804, 806, 808)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프레임(802)은 중합체(예를 들어, 액정 중합체, 섬유 강화 중합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일 수 있고, 안테나들(804, 806, 808)은 금속(또는 다른 적합한 전도성 재료)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안테나 조립체(508)는 삽입 성형 기술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들이 형성되고 이어서 몰드 내에 삽입될 수 있고, 그 후에, 안테나 프레임(802)을 위한 중합체가 몰드에 주입되어 안테나들을 안테나 프레임(80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지하고 그와 연동(또는 다른 방식으로 보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안테나들은 안테나 프레임(802)에 접착되거나 달리 부착되는 전도성 테이프들 또는 필름들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안테나들은 레이저 직접 구조화(LDS)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LDS 프로세스에서, 안테나 프레임(802)의 중합체 재료는 금속성 재료(또는 다른 적합한 도펀트)로 도핑될 수 있고, 레이저는 금속성 재료 또는 도펀트가 노출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활성화되는 영역들을 형성하기 위해 컴포넌트에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이들 영역들은, 도금 금속이 레이저-처리된 영역들에 부착되고/되거나 레이저-처리된 영역들 상에서 성장하는 도금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금속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테나들의 형상들은 레이저 프로세스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결과적인 안테나들은 타겟 형상 및 구성으로 안테나 프레임(802) 상에 용이하게 도금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안테나들은 다른 방식들로 안테나 프레임(802)과 형성 및/또는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들은 안테나 프레임(802) 상에 도금되거나, 접착제, 체결구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착 기술을 사용하여 안테나 프레임(802)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로, 레이저 프로세스는 안테나 프레임(802)의 재료의 일부를 제거하여, 안테나 재료가 침착되거나 성장되는 리세스들(크기가 미시적일 수 있음)을 형성할 수 있다. 리세스들 내에 안테나들의 재료를 침착 또는 성장시키는 것은 안테나들이 안테나 프레임(802)의 재료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게 할 수 있다.
안테나 조립체(508)는 임의의 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조립체(508)는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804), UWB 안테나(806) 및 블루투스 안테나(808)를 포함한다. 각각의 안테나는 특정 주파수들에서 통신하도록 그리고/또는 적용가능한 통신 프로토콜들 및/또는 표준들을 달리 준수하도록 튜닝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안테나 조립체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안테나는 상이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는 제1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통신할 수 있고, 제2 안테나는 제2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통신할 수 있고, 제3 안테나는 제3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통신할 수 있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안테나들이 또한, 안테나 프레임에 매립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804)는 근거리 통신(NFC) 프로토콜들,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프로토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 또는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 또는 프로토콜의 근거리 무선 통신들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804)는 루프 안테나일 수 있고, 전도성 재료의 평평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은 4개의 턴들의 코일,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의 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804)는 근처의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개인은 (의도적으로 또는 의도하지 않게) 전화, 시계, 태블릿 컴퓨터 또는 태그(500) 근처의 다른 디바이스를 가져 와서, 태그(500)와 사람의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 있다. 통신 링크는 개인의 디바이스로 하여금 다양한 유형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하거나 다른 액션들을 취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의 디바이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804)를 통해, 태그(500)가 분실되었다고 보고되었는지 여부를 언급하는 정보, 태그(500)(또는 태그가 부착된 물체)를 취급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 태그(500)의 소유자와 어떻게 접촉하는지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804)는 또한 태그(500)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초기화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804)를 통해 다른 정보가 통신될 수 있거나, 액션들이 트리거될 수 있다.
UWB 안테나(806)는 초광대역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태그(500)의 UWB 라디오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UWB 안테나(806)는 약 6.25 ㎓ 내지 약 8.25 ㎓의 주파수 범위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WB 안테나(806)는 역 F 안테나로서 구성될 수 있다. 태그(500)는 UWB 안테나(806)와 연관된 무선 회로가 UWB 안테나(806)를 통해 전자기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해 UWB 안테나(806)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접지 라인(810) 및 피드 라인(812)을 포함할 수 있다. 접지 라인(810)은 태그의 전기 접지 평면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UWB 안테나(806)의 치수들 및 피드 및 접지 라인들(812, 810)의 위치들은 안테나의 튜닝, 예를 들어, 안테나가 통신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다. 피드 및 접지 라인들(812, 810)은 안테나 조립체(508)의 안테나 프레임(802)을 통해 연장되고 회로 기판(510)에 전도성으로 결합되어 UWB 안테나(806)를 회로 기판(510) 상의 무선 회로에 전도성으로 결합시키는 비아들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UWB 안테나(806)의 높이가 클수록 더 큰 대역폭에 대응한다. 따라서, UWB 안테나(806)는 안테나 조립체(508)의 주변 측부 표면의 높이의 90% 이상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높이는 안테나 조립체(508)의 주변 측부 표면의 높이의 95% 이상, 98% 이상, 또는 100%일 수 있다. 다른 높이들이 또한 고려된다.
블루투스 안테나(808)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블루투스 프로토콜 또는 표준과 같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루투스 안테나(808)는 역 F 안테나로서 구성될 수 있고, UWB 안테나(806)에 대해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피드 및 접지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안테나(808)의 피드 및 접지 라인들은 UWB 안테나(806)에 대해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비아들을 사용하여 회로 기판(510)에 연결될 수 있다. 블루투스 안테나(808) 및 UWB 안테나(806)는 상이한 기능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안테나(808)는 주로 태그와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사이의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UWB 안테나(806)는 주로 다른 디바이스로 위치식별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위치식별 신호들은 태그의 공간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안테나들(806, 808)은 상이한 기능들 또는 기능들의 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WB 안테나(806)는 블루투스 안테나(808)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로 데이터 또는 다른 정보 또는 신호들을 다른 디바이스들에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UWB 안테나(806) 및 블루투스 안테나(808)는 안테나 조립체(508)의 외측 주변부 측부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안테나들의 이러한 위치결정은 안테나들의 방사 구조물들과 태그(500) 내의 다른 전도성 컴포넌트들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안테나들과 회로 기판(510) 상의 전도성 컴포넌트들, 배터리(514), 또는 다른 금속 또는 전도성 물체들 사이의 용량성 결합은 안테나들의 동작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조립체(508)(원형일 수 있음)의 외측 주변부 측부 표면 상에 안테나들을 위치시키는 것은 안테나들과 다른 전도성 컴포넌트들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함으로써, 우수한 안테나 성능을 제공한다. 외측 주변부 측부 표면 상에 안테나들을 위치시키는 것은 또한, 배터리(514)의 외측 주변부를 지나서 안테나들을 위치시킴으로써, 배터리(514)의 차폐 및/또는 차단 효과들을 완화시킬 수 있다.
추가로, UWB 안테나(806) 및 블루투스 안테나(808)는 안테나 프레임(802)의 대향 측부들 상에 위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실질적인 원형 또는 원통형 외측 주변부 측부 주위에 정반대로 위치됨). 이러한 구성은 안테나들 사이의 가능한 최대 거리를 제공하며, 안테나들 둘 모두는 동일한 캐리어 상에 있다. 이러한 배열은 안테나들이 서로 근접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간섭 또는 다른 유해한 영향들을 완화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추가로, UWB 안테나(806) 및 블루투스 안테나(808)는 상이한 길이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안테나는 상이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의 세트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안테나들의 길이는 안테나들이 통신하는 주파수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UWB 안테나(806)는 블루투스 안테나(808)와 상이한 길이(예를 들어, 더 길거나 더 짧음)를 가질 수 있다.
UWB 안테나(806) 및 블루투스 안테나(808)는 안테나 프레임(802)의 대향 측부들 상에 위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실질적인 원형 또는 원통형 외측 주변부 측부 주위에 정반대로 위치됨). 이러한 구성은 안테나들 사이의 가능한 최대 거리를 제공하며, 안테나들 둘 모두는 동일한 캐리어 상에 있다. 이러한 배열은 안테나들이 서로 근접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간섭 또는 다른 유해한 영향들을 완화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안테나들(804, 806, 808)은 각각, 안테나들(804, 806, 808)을 통한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회로 기판(510) 상의 회로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안테나 및 그 안테나와 연관된 통신 회로는 라디오로 지칭될 수 있다.
도 8b는 전술된 안테나 조립체(508)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안테나 조립체(820)를 도시한다. 안테나 조립체(820)는, UWB 안테나 및 블루투스 안테나들이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안테나 조립체(508)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조립체(820)는 안테나 조립체(508)의 대응하는 컴포넌트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안테나 프레임(822)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824)를 포함할 수 있다.
UWB 안테나(806)는 단일 방사 요소를 포함하는 반면, UWB 안테나(826)는 제1 안테나 요소(828) 및 제1 안테나 요소(828)로부터 이격된 제2 안테나 요소(83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 라인(834) 및 접지 라인(832)은 제1 안테나 요소(828)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접지 라인(8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프레임(82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도체를 통해 또는 다른 도체를 통해) 제2 안테나 요소(830)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요소(830)는 피드 라인(834)에 직접 전도성으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안테나 요소(830)는 제1 안테나 요소(828)의 유효성을 증폭시키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기생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고, 단일-안테나-요소 구성보다 큰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다.
블루투스 안테나(833)는 UWB 안테나(826)의 2-요소 구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블루투스 안테나(808)의 동일한 단일-라디에이터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안테나들 및 안테나 프레임의 조성, 및 안테나들을 형성하고 이들을 안테나 프레임과 통합하기 위한 기술들을 포함하는 모든 다른 방식들에서, 안테나 조립체(820)는 도 8a와 관련하여 전술된 안테나 조립체(508)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가 2개의 예시적인 안테나 조립체들을 예시하지만, 안테나들은 도 8a 및 도 8b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다른 방식들로 태그들과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c는 안테나들(842, 844, 및 846)이 상단 하우징 부재(840)의 내부 벽들에 부착된 예시적인 상단 하우징 부재(840)(이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실시예일 수 있음)를 예시한다. 안테나들(842, 844)은 각각 UWB 및 블루투스 안테나들일 수 있고, 상단 하우징 부재(840)의 외측 주변 벽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안테나(846)는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일 수 있고, 상단 하우징 부재(840)의 상단 벽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안테나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안테나 조립체들(예를 들어, 레이저 직접 소결, 삽입 성형, 하우징 부재에 대한 도체들의 접착 등)에 대해 설명된 동일한 기술들 및 재료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들(842, 844, 및 846)은 와이어들, 솔더 조인트들, 비아들 등을 사용하여 회로 기판(510) 상의 회로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d 및 도 8e는 태그(850)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안테나 구성을 예시한다. 특히,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850)는 중합체와 같은 비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중심 부재(854) 및 태그(850)의 외측 주변 벽의 부분들을 한정하는 전도성 요소들(856)을 포함하는 상단 하우징 부재(852)를 포함한다. 태그(850)의 외측 주변 벽은 또한 전도성 요소들(856) 사이에 위치되는 비전도성 요소들(85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전도성 요소들(856)은 갭들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비전도성 요소들(858)은 갭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비전도성 요소들(858)은 또한 전도성 요소들(856)과 맞물림(예를 들어, 연동)함으로써 전도성 요소들(856)을 함께 기계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e는, 전도성 요소들(856) 및 비전도성 요소들(858) 둘 모두가 어떻게 상단 하우징 부재(852)의 내부 표면들의 일부를 한정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상단 하우징 부재(852)의 내부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전도성 요소들(858)의 폭은 외부에서보다 상단 하우징 부재(852)의 내부에서 더 클 수 있다. 증가된 내부 크기는 전도성 요소들(856)의 보유 특징부들, 언더컷들, 개구들, 홈들, 나사산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과 맞물리는 비전도성 요소들(858)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전도성 요소들(856)은 태그(850)에 대한 안테나 요소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도성 요소들(856) 사이의 비전도성 요소들(858)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 격리는 전도성 요소들(856)의 크기 및 방사 특성들의 튜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도성 요소들(856)은, 전도성 요소들(856)이 안테나들로서 동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와이어들, 솔더 조인트들, 비아들 등을 사용하여 회로 기판(510) 상의 회로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안테나 조립체의 안테나들은 비아들을 사용하여 회로 기판 또는 다른 전자 컴포넌트에 전도성으로(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접지 라인(810) 및 피드 라인(812)은 부분적으로, 안테나 프레임을 통해 연장되고 회로 기판에 전도성으로 결합되는 비아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프레임들 내의 비아들은 안테나 프레임이 회로 기판에 표면 장착되게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안테나 프레임의 비아들은 회로 기판에 직접 납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회로 기판 상의 회로 요소들(예를 들어, 라디오 회로)과 안테나 프레임 상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안테나들) 사이의 전도성 결합 둘 모두를 제공하고, 또한 안테나 프레임과 회로 기판 사이의 기계적 부착을 제공한다.
도 8f는 도 8a의 라인 8F-8F를 따라 본, 도 8a의 안테나 조립체(508)의 부분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8f는 회로 기판(510)을 안테나 조립체(508)에 전도성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아의 예시적인 구성을 예시한다.
안테나 프레임(822)은 안테나 프레임(822)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안테나 프레임(822)의 저부 표면으로 연장되는 개구(861)를 한정한다. 개구(861)는 상단 표면(865)에서의 더 큰 개구 크기(예를 들어, 직경)로부터 안테나 프레임(822)의 저부 표면(863)에서의 더 작은 개구 크기(예를 들어, 직경)로 테이퍼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개구(861)는 절두원추형 개구(예를 들어, 절두원추형 벽에 의해 한정된 개구)일 수 있으며, 절두원추형 개구의 더 작은 단부는 안테나 프레임(822)의 저부 표면(863)을 따른다.
절두 원추형 개구의 표면(867)(예를 들어, 절두원추형 벽의 표면)은 전도성 재료(862)로 코팅된다. 전도성 재료(862)는 금속 또는 다른 전도성 재료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된 바와 같이 LDS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비아들의 전도성 재료들, 안테나들, 및 비아들의 전도성 재료들에 안테나들을 결합하는 전도성 트레이스들(예를 들어, 전도성 트레이스(860))은 모두 동일한 LDS 동작들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금속화될 안테나 프레임(822)의 표면들(예를 들어, 안테나(806), 트레이스(860), 개구(861)의 표면(862))은 안테나 프레임(822) 내의 도펀트를 노출시키기 위해 그리고/또는 금속화가 발생할 위치들에서 안테나 프레임(822) 상에 별개의 표면 텍스처를 형성하기 위해 레이저로 처리될 수 있다. 이어서, 안테나 프레임(822)은, 안테나 프레임(822)의 레이저-처리된 영역들이 전도성 재료(예를 들어, 금속 층)로 코팅되도록 도금(예를 들어, 전기도금)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프로세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속적인 금속 층은 안테나(806), 트레이스(860), 및 개구(861)의 표면 상의 전도성 코팅 또는 재료를 한정할 수 있다.
안테나를 회로 기판에 전도성으로 결합하기 위해, 비아는 회로 기판(510)의 전도성 트레이스(866)에 납땜될 수 있다. 이는, 전도성 재료(862)로부터 전도성 트레이스(866)로의 신뢰할 수 있는 전도성 경로를 한정하는, 비아의 절두원추형 개구(861)에 솔더 볼(864)을 납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솔더 볼(864)과 전도성 트레이스(866) 및 솔더 볼(864)과 전도성 재료(862) 사이의 기계적 접합뿐만 아니라 개구(861)의 테이퍼 형성된 구성은 솔더 볼(864)이 회로 기판(510)을 안테나 프레임(822)과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는 것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솔더 볼(864)을 전도성 트레이스(866)에 그리고 전도성 재료(862)에 납땜하는 프로세스는 이들 재료들 사이에 접합(예를 들어, 금속 융합 접합)을 형성하고, 솔더 볼(864)의 결과적인 테이퍼 형성된 형상은 본질적으로 솔더 볼(864)과 회로 기판(510)의 표면 사이의 개구(861)의 더 좁은 단부를 캡처하거나 또는 트랩핑하는 언더컷을 한정한다. 이러한 연동 구조물은 금속-금속 결합들과 함께, 안테나 프레임(822)과 회로 기판 사이에 구조적 부착을 형성한다. 또한, 개구(861)의 테이퍼 형성된 구성은 전도성 재료(862) 상에 유리한 응력 프로파일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태그가 안테나 프레임-회로 기판 계면에 응력을 가하는 힘을 경험하면, 전도성 재료(862)에 부여되는 힘들은 주로, 인장력들(인장력들은 전도성 재료를 안테나 프레임(822)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들어올리는 힘에 대응함)보다는 압축력 및/또는 전단력들일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510)을 안테나 프레임(822)으로부터 멀어지게(예를 들어, 하향으로) 당기는 경향이 있는 힘은, 전도성 재료(862)가 솔더 볼(864)과 안테나 프레임(822)의 하부 표면 사이에서 압축되게 한다(이는 전도성 재료(862)를 안테나 프레임(822)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당기기보다는 안테나 프레임(822)의 하부 표면에 대항하여 가압하는 경향이 있다).
도 9는, 배터리 커넥터(900)가 (예를 들어, 회로 기판(510)을 통해) 디바이스의 회로에 배터리(514)를 어떻게 전도성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500)의 일부분의 부분 분해도를 도시한다. 배터리 커넥터(900)는 다수의 편향가능한 아암들(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부분들은 배터리(514)의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단자들과 접촉하도록 프레임 부재(512)의 개구들(902, 904, 및 906)을 통해 연장된다. 편향가능한 아암들은 태그의 배터리 접점들(예를 들어, 배터리의 포지티브 및/또는 네거티브 단자들에 전도성으로 결합되는 전도성 부재들)을 한정할 수 있다. 배터리 커넥터(900)는 배터리(514)로부터 태그(500)의 전자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로 기판(510) 상에 장착되고 그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3개의 편향가능한 아암들 중 2개의 편향가능한 아암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배터리의 단자들 중 하나(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터리의 만곡된 또는 원통형 표면일 수 있거나 그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 포지티브 단자(910))와 접촉하도록 개구들(902, 904)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제3 편향가능한 아암은 배터리의 다른 단자(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터리의 평면형 표면일 수 있거나 그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 네거티브 단자(908))와 접촉하도록 개구(906)를 통해 연장된다. 배터리 단자들 중 하나를 2개의 편향가능한 아암들과 접촉시킴으로써, 태그(500)는, 그러한 2개의 편향가능한 아암들 사이에 연속성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배터리가 배터리 공동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배터리가 존재하지 않을 때, 디바이스는 셧다운될 수 있고, 커패시터들 또는 다른 회로 요소들에 저장된 임의의 잔류 전압이 방전될 수 있어서, 태그(500)는 태그(500)에서 더 이상 배터리가 검출되지 않으면 즉시 기능을 중단한다. 개구들(902, 904, 및 906)은 또한 태그(500)의 내부 용적부의 다른 부분들, 예를 들어 프레임 부재(512) 위에 있는 부분들(도 9에 도시된 배향에 기초함)에 배터리 공동을 유동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0a는 회로 기판(510)에 부착된 배터리 커넥터(900)를 도시하는, (도 9와 비교하여) 회로 기판(510)의 반대편을 예시한다. 또한, 회로 기판(510)에 결합될 수 있는 프로세서들, 메모리, 센서들, 및/또는 다른 전기 컴포넌트들 및/또는 회로 요소들을 나타내는 전기 컴포넌트들(1000)이 도시된다.
도 10b는 배터리 커넥터(900) 및 그의 컴포넌트들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들을 도시하는, 도 10a의 영역(10B-10B)의 상세도이다. 배터리 커넥터(900)는 본체(1002), 본체(1002)로부터 연장되고 배터리(514)의 포지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 및 배터리(514)의 네거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3 편향가능한 아암(1008)을 포함한다. 편향가능한 아암들은 본체(1002)에 매립되고 회로 기판(510)에 납땜되거나 달리 전도성으로 결합되는 도체들을 통해 회로 기판(510)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편향가능한 아암들은, 배터리(514)가 태그(500)의 배터리 공동 내에 있을 때, 이들이 배터리(514)와 접촉하게 하는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편향은, 편향가능한 아암들이 배터리(514)와의 포지티브 전도성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배터리(514)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편향가능한 아암들이 이동 그리고/또는 편향되는 방향은 배터리에 대한 편향가능한 아암들의 배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예를 들어, 개구(906)(도 9)의 위치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3 편향가능한 아암(1008)은 (도 9에 도시된 배향에 대해) 배터리(514) 위로부터 배터리(514)와 접촉한다. 따라서, 제3 편향가능한 아암(1008)은 도 10b에서 화살표(1016)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예를 들어, 회로 기판(510)을 향해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게) 편향되도록 구성된다. 회로 기판(510)의 컷-아웃(1001)은 제3 편향가능한 아암(1008)이 회로 기판(510)에 의한 간섭 없이 편향될 수 있도록 간극을 제공한다. 대조적으로,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은 배터리(514)의 측부를 따라 또는 적어도 회로 기판(510)에 평행하지 않은 표면을 따라 배터리(514)와 접촉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은 화살표들(1014)에 의해 표시된 방향들을 따라 편향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배터리(514)가 태그(500)의 배터리 공동 내로 삽입됨에 따라, 배터리(514)는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에 힘을 적용하여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을 회로 기판(510)을 향해 밀어 내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회로 기판(510)은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의 부분들 아래에 각각 위치되는 마찰 패드들(1010 및 101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찰 패드들(1010, 1012)은 금속(예를 들어, 구리, 금), 또는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이 회로 기판(510)과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 사이에 비교적 낮은 마찰 계수를 제공하면서 회로 기판(510)을 따라 활주하도록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 패드들(1010, 1012)은 또한, 표면을 따른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의 활주로 인한 마모로부터 회로 기판의 기판 및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을 보호할 수 있다. 배터리(514)의 설치 동안, 배터리는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을 회로 기판(510) 쪽으로 밀어 내는 방식으로 접촉할 수 있다. 회로 기판(510) 상에 마찰 패드들(1010, 1012)을 제공하고,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이 마찰 패드들(1010, 1012)에 근접하도록 이들을 구성함으로써(그리고 또한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의 단부들이 둥근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회로 기판(510)을 향한 방향으로의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의 편향은 아암들과 마찰 패드들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이 방향으로의 편향을 제한하는 것은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이 방향들(1014, 1016)을 따라 편향되기 시작하게 하고, 그에 의해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이 배터리(514)의 경로 밖으로 이동하게 하고 배터리(514)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방향으로 편향력을 제공한다.
도 10c는 배터리 커넥터(900)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배터리 커넥터(900)는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 1008)을 회로 기판 상의 전도성 트레이스들에 전도성으로 결합하기 위해 회로 기판(510)에 납땜되는 솔더 패드들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배터리 커넥터(900)는 제1 편향가능한 아암(1004)에 전도성으로 결합되는 제1 솔더 패드(1018), 제2 편향가능한 아암(1006)에 전도성으로 결합되는 제2 솔더 패드(1020), 및 제3 편향가능한 아암(1008)에 전도성으로 결합되는 제3 솔더 패드(1022)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솔더 패드들 및 이들 각각의 편향가능한 아암들은 일체형 금속 구조물들이다(예를 들어, 솔더 패드 및 편향가능한 아암은 스탬핑된 금속과 같은 단일 피스 금속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솔더 패드들 및 이들 각각의 편향가능한 아암들은 용접, 납땜 또는 다른 동작을 통해 부착되는 별개의 컴포넌트들이다.
배터리 커넥터(900)는 삽입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 1008) 및 솔더 패드들(1018, 1020, 1022)(또는 편향가능한 아암들 및 솔더 패드들을 한정하는 일체형 금속 구조물들)은 몰드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절연성 중합체 재료는 이로써,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 1008) 및 솔더 패드들(1018, 1020, 102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지할 수 있다. 배터리 커넥터(900)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들이 또한 고려된다.
도 10d는 배터리 커넥터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구성의 부분 단면도를 예시한다. 특히, 배터리 커넥터(900)의 편향가능한 아암들은 (편향가능한 아암들이 배터리(514)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배터리(514)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 부재(512)의 개구들을 통해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지만, 다른 구성에서, 전도성 플러그들은 메인 프레임 부재 내의 개구들에 위치될 수 있고, 편향가능한 아암들은 전도성 플러그들에 전도성으로 접촉하여 궁극적으로 편향가능한 아암들을 배터리에 전도성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10d는 그러한 구성을 예시한다. 특히, 태그는 메인 프레임 부재(512)의 개구(906) 내에 위치되고 메인 프레임 부재(512)에 의해 한정된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전도성 플러그(1026)를 포함한다. 전도성 플러그(1026)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배터리(514)에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전도성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플러그(1026)는 편향가능한 아암(1024)(이는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3 편향가능한 아암(1008)과 유사할 수 있음)에 의해 배터리 공동 내로 편향될 수 있다. 편향가능한 아암(1024)에 의해 적용되는 편향력은 배터리(514)에 의해 전도성 플러그(1026) 상에 적용되는 힘에 대향될 수 있고, 이로써 전도성 플러그(1026)가 (도 10d의 배향에 대해) 상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편향가능한 아암(1024)에 의해 적용되는 편향력은 또한, 배터리(514)와 전도성 플러그(1026) 사이의 밀접한 물리적 연결을 유지한다. 추가로, 편향가능한 아암(1024)에 의해 적용되는 편향력은, 편향가능한 아암(1024)과 메인 프레임 부재(512) 사이에서 전도성 플러그(1026)를 캡처함으로써 전도성 플러그(1026)를 제자리에 보유한다.
전도성 플러그(1026)는 개구(906)에서 자가-정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플러그(1026)는 둥근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개구(906)는 원형 구멍일 수 있어서, 둥근 돌출부는 (원형 구멍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심 포지션으로 자가-정렬된다. 전도성 플러그(1026)의 이러한 자가-정렬 특성은 또한 메인 프레임 부재(512) 내의 개구들(902, 904, 906)과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 1008) 사이의 오정렬들을 수용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향가능한 아암들이 단지 편향력 및 전도성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전도성 플러그들과 접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편향가능한 아암들과 개구들 사이의 오정렬들이 용인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편향가능한 아암이 전도성 플러그에 전도성으로 결합되고 전도성 플러그 상에 충분한 편향력 및/또는 보유력을 제공하는 한, 전도성 플러그들이 편향가능한 아암들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편향가능한 아암과 전도성 플러그 사이의 접촉 포인트는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플러그들이 개구들 내에서 자가-정렬될 수 있고, 편향가능한 아암들과 전도성 플러그들 사이의 오정렬들이 비-고정 아암/플러그 계면에 의해 수용되기 때문에, 배터리 커넥터의 위치결정 및 회로 기판과 메인 프레임 부재의 위치와 관련된 조립체 공차들이 완화될 수 있다.
도 10d는 하나의 편향가능한 아암 및 전도성 플러그를 예시하지만, 동일한 또는 유사한 구성이 임의의 그리고 모든 배터리 접점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플러그들이 개구들(902, 904)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과 유사한 편향가능한 아암들은 그러한 전도성 플러그들을 배터리 공동 내로 접촉 및 편향시킬 수 있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거나 설명된 배터리 접점들 중 임의의 것은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편향가능한 아암들의 부분들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는 전도성 플러그들일 수 있으며, 편향가능한 아암들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전도성 플러그들을 편향시키고 보유한다.
도 9 내지 도 10c는 (편향가능한 아암들이 배터리(514)와 접촉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하나의 예시적인 배터리 커넥터 및 편향가능한 아암들의 배열을 도시하지만,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이며, 다른 구성들이 또한 태그(500)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임의의 다른 태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배터리(514)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편향가능한 아암들 또는 다른 유형들의 배터리 접점들의 대안적인 배열들을 예시한다. 이러한 대안적인 배열들 각각은 배터리 커넥터(900)와 유사한 배터리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각각의 배터리 접점은 배터리 커넥터(900)의 것들과 유사한 편향가능한 아암의 단부에 대응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배터리 커넥터(900)의 경우에서와 같이) 편향가능한 아암들 전부가 동일한 본체에 결합되는 대신에, 도 11a 내지 도 11d의 배터리 접점들을 한정하는 편향가능한 아암들 중 하나 이상이 별개의 본체들에 결합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배터리 접점들의 포지션을 논의하지만, 배터리 접점들은 배터리 커넥터(900)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편향가능한 아암들의 단부들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추가로, 도 9 내지 도 11d에 도시된 것들 이외의 배터리 접촉 구성들이 또한, 태그의 회로에 배터리를 전도성으로 결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1a는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02, 1104)이 배터리 공동(1101)의 측벽을 따라 위치되고, 제3 배터리 접점(1106)이 배터리 공동(1101)의 중심에 위치되는 예시적인 태그(1100)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02, 1104)은 배터리의 포지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제3 배터리 접점(1106)은 배터리의 네거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 11b는 2개의 배터리 접점들이 배터리의 네거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하나는 배터리의 포지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예시적인 태그(1110)를 도시한다(2개의 배터리 접점들이 포지티브 단자와 접촉하고 하나의 배터리 접점이 네거티브 단자와 접촉하는 도 11a의 구성 및 배터리 커넥터(900)와는 반대임). 특히,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12, 1114)은 (도 11b에 도시된 배향에 대해) 배터리 공동(1111)의 저부 표면 상에 위치되고, 제3 배터리 접점(1116)은 배터리 공동(1111)의 측벽을 따라 위치된다.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12, 1114)은 세장형 아치형 형상들을 가지며, 이는 원형 배터리 공동(1111)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12, 1114)은 배터리의 네거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제3 배터리 접점(1116)은 배터리의 포지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태그(1110)는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12, 1114) 사이의 연속성을 검출함으로써 배터리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12, 1114) 사이에 연속성이 존재하면, 이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상관없이) 배터리가 배터리 공동(1111)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c는 2개의 배터리 접점들이 배터리의 네거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하나는 배터리의 포지티브 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1120)를 도시한다. 특히,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22, 1124)은 (도 11c에 도시된 배향에 대해) 배터리 공동(1121)의 저부 표면 상에 위치되고, 제3 배터리 접점(1126)은 배터리 공동(1121)의 측벽을 따라 위치된다.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22, 1124)은 도 11b의 접점들의 아치형 형상들과 대조적으로 둥근(예를 들어, 원형) 형상들을 갖는다.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22, 1124)은 배터리의 네거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제3 배터리 접점(1126)은 배터리의 포지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태그(1120)는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22, 1124) 사이의 연속성을 검출함으로써 배터리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d는 2개의 배터리 접점들이 배터리의 네거티브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하나는 배터리의 포지티브 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1130)를 도시한다. 특히,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32, 1134)은 (도 11d에 도시된 배향에 대해) 배터리 공동(1131)의 저부 표면 상에 위치되고, 제3 배터리 접점(1136)은 배터리 공동(1131)의 측벽을 따라 위치된다. 제1 및 제2 배터리 접점들(1132, 1134)은 세장형 아치형 형상들을 가지며, 이는 원형 배터리 공동(1131)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일 수 있다. 이 예에서, 제3 배터리 접점(1136)은 또한 배터리 공동(1131)의 측벽의 원형 형상에 정합하는 세장형 아치형 형상을 갖는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의 배터리 도어는 또한 배터리 접점들 중 하나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도어(예를 들어,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금속 또는 다른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는 배터리 도어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배터리 도어는 회로 기판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터리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예를 들어, 포지티브 단자)는 배터리 도어를 포함하는 전도성 경로를 통해 회로 기판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2a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또는 배터리 도어(516))의 특징부들, 및 배터리 도어(516)가 태그(500)의 나머지와 어떻게 맞물리는지, 그리고 배터리(514)가 태그(500)에서 어떻게 보유되고 태그(500)의 배터리 접점들을 향해 편향되는지를 예시하는 태그(500)의 부분 분해도이다.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래칭 부재들(1200)을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 부재(512)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태그(500)에 고정시키기 위해 래칭 부재들(1200)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칭 채널들(1202)을 한정할 수 있다. 래칭 부재들(1200) 및 채널들(1202)은,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예를 들어,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가압하는 것과 회전시키는 것 둘 모두에 의해) 다수의 상이한 방향들로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조작해야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공동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아이들이 버튼 셀 배터리를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이는 태그(500)로부터 제거되면 질식 또는 다른 위험들을 초래할 수 있음).
도 12b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가 태그(500)에 부착될 때 래칭 부재(1200)가 래칭 채널(1202)과 어떻게 맞물리는지의 상세도를 예시한다. 특히,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래칭 부재들(1200)이 래칭 채널들(1202)의 개구들(1203)과 정렬되도록 태그(500)와(예를 들어, 태그의 프레임 부재(512)와) 정렬된다. (단순화를 위해, 다음의 설명은 단일 래칭 부재 및 채널만을 지칭하지만, 태그(500)는 2개, 3개, 4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쌍들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수의 래칭 부재/채널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래칭 부재(1200)가 보유 돌출부(1204)를 통과할 때까지 경로(1208)를 따라 하향으로 밀린다. 보유 돌출부(1204)를 지나서 래칭 부재(1200)를 밀어 내는 동작은 도 12b에 도시된 배향에 대해 상향 방향으로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편향시키는 경향이 있는, 유연성 부재(518)에 의해 제공되는 스프링력을 극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보유 돌출부(1204)를 통과한 후에, 그리고 편향력을 극복하기 위해 저부 하우징 부재(516) 상에 하향력을 유지하면서, 사용자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비틀거나 회전시켜 래칭 부재(1200)가 경로(1208)를 따라 계속되고 리세스(1206)를 향해 이동하게 하게 할 수 있다. 래칭 부재(1200)가 리세스(1206)와 정렬되면, 예를 들어, 래칭 부재(1200)가 래칭 채널(1202)의 단부에 도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 상의 하향력을 해제하여, 유연성 부재(518)가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상향으로 편향시키고 래칭 부재(1200)를 리세스(1206) 내로 가압할 수 있다. 보유 돌출부(1204) 및 래칭 채널(1202)의 블라인드 단부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회전 또는 비틀림에 대응하는) 수평 방향으로의 래칭 부재(1200)의 이동을 차단하기 때문에, 래칭 부재(1200)를 리세스(1206) 내로 가압하는 경향이 있는 유연성 부재(518)로부터의 편향력과(또는 래칭 채널(1202)의 다른 표면과) 조합되어,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태그(500)에 견고하게 보유될 수 있고, 의도하지 않은 또는 우발적인 개방에 저항할 수 있다.
태그로부터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탈착시키기 위해, 도 12c의 경로(121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도 12b와 관련하여 설명된 동작이 반전될 수 있다. 초기에, 사용자는 래칭 부재(1200)를 리세스(1206) 밖으로 그리고 보유 돌출부(1204)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저부 하우징 부재(516)에 하향력을 적용한다. 일단 래칭 부재(1200)가 보유 돌출부(1204)로부터 제거되면, 그리고 저부 하우징 부재(516) 상의 하향력을 유지하는 동안,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래칭 채널(1202)의 개구(1203)와 정렬될 때까지 래칭 부재(120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되거나 비틀리고, 이 때,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유연성 부재(518)의 편향력에 의해 그리고/또는 사용자가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태그(500)로부터 멀어지게 당김으로써 상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태그(500)는 또한,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부착 및/또는 탈착 동안 사용자에게 햅틱 또는 촉각 감각들을 제공하기 위한 멈춤쇠들 또는 다른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500)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가 부착 및/또는 탈착 동안 회전되거나 비틀릴 때, 저부 하우징 부재(516) 내의 리세스와 맞물리는 볼 멈춤쇠를 포함할 수 있다. 볼 멈춤쇠가 리세스와 맞물림에 따라, 사용자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가 이동하고 있거나 특정 포지션(예를 들어, 완전 폐쇄 포지션)에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클릭 또는 다른 촉감을 느낄 수 있다. 멈춤쇠(또는 다른 메커니즘)는 메인 프레임 부재(512) 내의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저부 하우징 부재(516)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메인 프레임 부재(512)에 부착되어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리세스와 맞물릴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이 또한 가능하다. 추가로, 멈춤쇠들 또는 다른 메커니즘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태그들의 임의의 이동 또는 탈착가능한 컴포넌트들에 대해 제공될 수 있고, 컴포넌트들의 조작 동안 그들이 제공하는 촉각 표시만을 위해, 또는 (예를 들어, 배터리 도어, 하우징 부재, 또는 특정 포지션의 다른 컴포넌트를 제거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한) 다른 추가적인 기능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유연성 부재(518)는 (도 12a 내지 도 12c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맞물림 또는 잠금 구성으로 편향시키고, 배터리 커넥터(900)의 배터리 접점들을 향해 배터리(514)를 편향시키는 것 둘 모두 돕는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a는 유연성 부재(518)를 예시한다. 유연성 부재(518)는 (예를 들어, 접착제, 용접, 납땜, 체결구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착 기술을 통해)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베이스(1301)를 한정한다. 유연성 부재(518)는 또한, 베이스(1301)로부터 연장되고 배터리(514)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아암들(1300)을 한정할 수 있다. 베이스(1301) 및 스프링 아암들(1300)은 일체형 단일 피스의 재료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재료는 금속(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중합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유연성 부재(518)는 또한, 베이스(1301) 및 스프링 아암들(1300)을 한정하는 동일한 단일 피스의 재료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 플랜지 부분(714)을 한정한다. 플랜지 부분(714)은 압력 균등화를 허용하는 개구 근처에 막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보유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부분(714)은 또한 압력 균등화 개구와 정렬되는 개구(710)를 한정할 수 있다.
도 13b는 유연성 부재(518)의 동작을 예시하는 태그(5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516)는 프레임 부재(512)에 부착되며, 그 상태는 유연성 부재(518)가 압축되게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편향력을 생성하는 상태가 되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스프링 아암들(1300)은 배터리(514)에 대항하여 가압되어, 유연성 부재(518)가 프레임 부재(512)를 향해 배터리(514)를 밀어 내고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프레임 부재(512)로부터 멀어지게 밀어 내는 경향이 있는 힘(화살표(1302)로 표시됨)을 생성하게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배터리(514)가 배터리 커넥터(900)의 편향가능한 아암들과 접촉하게 하고, 래칭 채널들(1202)(도 12a-12c)과 래칭 부재들(1200)의 단단한 맞물림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유연성 부재(518)의 존재는 또한 편향되지 않는 배터리 커넥터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에 전도성으로 결합하기 위한 전술된 배터리 접점들 및/또는 편향가능한 아암들 중 임의의 것은 배터리가 배터리 공동에 삽입될 때 편향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유연성 부재(518)의 유연성 둘 모두는 전도성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비-편향 배터리 접점들에 대항하여 배터리(514)를 편향시키고, 또한 비-편향으로 배터리 접점들로 인한 배터리의 임의의 경사 또는 오정렬을 수용하기 위해 배터리에 대한 간극을 제공한다.
도 13a가 저부 하우징 부재(516) 및 배터리(514)를 편향시키기 위한 유연성 부재의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지만, 다른 유형들의 유연성 부재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13c는 하나의 그러한 대안적인 예시적인 유연성 부재(1310)를 예시한다. 단일 피스의 금속, 중합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유연성 부재(1310)는 베이스(1312) 및 3개의 만곡된 스프링 아암들(1314)을 한정하며, 이들 각각은 베이스(1312)의 주변부 내부의 원형 경로를 따라 연장되고 베이스(1312)로부터 연장된다. 일체형 금속 유연성 부재들의 다른 구성들이 또한 고려된다. 추가로, 코일 스프링들, 엘라스토머들, 발포체들, 리프 스프링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일체형 금속 유연성 부재들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다른 컴포넌트들, 메커니즘들, 또는 시스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버튼 셀 또는 다른 소형 폼 팩터 배터리들은 이들의 작은 크기 및 섭취 가능성으로 인해 사람들 또는 애완 동물들에게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다. 배터리들이 우발적으로 태그들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태그들은, 이들을 제거하기 위해 이들의 배터리 도어들이 단순한 단일 모션(예를 들어, 비틀림) 이상을 요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 내지 도 12c는 배터리 도어(예를 들어, 저부 하우징 부재(516))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누르는 것 및 비트는 것 둘 모두를 요구하는 하나의 구성을 예시한다. 우발적인 개방을 방지 또는 제한하고 디바이스 안전을 위한 적용가능한 법들 또는 규정들을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배터리 도어를 태그에 안전하게 보유하기 위해 다른 메커니즘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25c는 그러한 보유 메커니즘들의 몇몇 예시적인 구성들을 예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6d는 배터리 도어(예를 들어, 저부 하우징 부재)를 태그에 단단히 보유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커니즘의 다양한 태양들을 예시한다. 도 14a는 채널(1402)을 한정하는 프레임 부재(1400) 및 채널(1402) 내로 연장되고/되거나 채널의 일부를 한정하는 스프링 부재(1404)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프레임 부재(1400)는 프레임 부재(512)의 실시예일 수 있고,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 부재(512)의 기능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그리고 태그(500)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태그와 통합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그러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4b는 도 14a의 프레임 부재(1400)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저부 하우징 부재(1406)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저부 하우징 부재(1406)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실시예일 수 있고,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기능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그러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1406)는, 저부 하우징 부재(1406)를 프레임 부재(1400)에 보유하기 위해 채널(1402) 및/또는 스프링 부재(1404)를 통해 프레임 부재(140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핀(1408)을 포함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저부 하우징 부재(1406)가 프레임 부재(1400)에 부착될 때 핀(1408)이 채널(1402) 및 스프링 부재(1404)와 어떻게 맞물리는지를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1400) 및 저부 하우징 부재(1406)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1406)는 핀(1408)이 경로(1502)를 따라 채널(1402)에 진입하도록 프레임 부재(1400)에 대해 위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저부 하우징 부재(1406)는 채널(1402) 내에 핀(1408)을 위치시키기 위해 (도 15a의 배향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스프링 또는 다른 메커니즘(예를 들어, 도 5b의 유연성 부재(518))에 의해 저부 하우징 부재(1406)에 부여되는 편향력(상향 방향으로 작용함)을 극복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402) 내에 핀(1408)을 위치시킨 후에, 저부 하우징 부재(1406)를 회전시키거나 비트는 것은 핀(1408)이 경로(1506)를 따라 채널(1402)을 통해 채널(1402)의 블라인드 단부(1504)(도 15a)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조작은 핀(1408)이 스프링 부재(1404)의 보유 특징부(1508)와 접촉하게 하여, 스프링 부재(1404)가 핀(1408)을 수용하기 위해 하향으로 편향되게 한다. 보유 특징부(1508)는 또한 핀(1408)과 접촉하여 채널(1402)의 블라인드 단부(1504) 내에 핀(1408)을 보유할 수 있다. 보유 특징부(1508) 위로 핀(1408)을 활주시키는 액션은 또한, 저부 하우징 부재(1406)를 폐쇄 구성으로 비틀 때 사용자에 의해 검출가능한 촉각 클릭-유사 느낌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촉감은, 저부 하우징 부재(1406)가 완전히 폐쇄되고 고정된 포지션에 도달했음을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고, 사용자가 저부 하우징 부재(1406)를 회전시키는 것을 중단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저부 하우징 부재(1406)가 프레임 부재(1400)로부터 탈착될 때 핀(1408)이 채널(1402) 및 스프링 부재(1404)로부터 어떻게 맞물림해제되는지를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1400) 및 저부 하우징 부재(1406)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1406)는 핀(1408)이 채널(1402)의 블라인드 단부(1504) 내에 단단히 유지되도록 프레임 부재(1400)에 대해 위치된다. 저부 하우징 부재(1406)를 탈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저부 하우징 부재(1406)를 비틀거나 회전시켜, 핀(1408)이 도 16b의 경로(1600)를 따라 활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은 핀(1408)이 보유 특징부(1508)와 접촉하게 하고, 이는 결국 스프링 부재(1404)가 하향으로 편향되게 한다. 스프링 부재(1404)가 상향으로 편향되기 때문에, 핀(1408)과 보유 특징부(1508) 사이의 접촉은 저부 하우징 부재(1406)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생성하며, 이는, 극복될 때, 스프링 부재(1404)를 하향으로 밀어 낸다. 핀(1408)과 보유 특징부(1508) 사이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저부 하우징 부재(1406)를 탈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극복해야 하는 증가된 저항을 생성하는 것, 및 또한 저부 하우징 부재(1406)가 단단히 잠긴 상태로부터 이동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촉각 클릭 또는 멈춤쇠 감각을 잠재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몇몇 이점들을 제공한다.
핀(1408)이 채널(1402)의 블라인드 단부(1504) 밖으로 이동되면, 저부 하우징 부재(1406)가 계속 회전됨에 따라, 프레임 부재(1400)와 저부 하우징 부재(1406) 사이의 편향력(화살표(1604)로 표시됨)은 저부 하우징 부재(1406) 및 그에 따른 핀(1408)을 상향으로 리세스(1602) 내로 가압한다. 편향력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배터리와 저부 하우징 부재(1406) 사이의 유연성 부재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리세스(1602)는 저부 하우징 부재(1406)의 추가의 회전을 방지하거나 억제하는 립을 한정한다. 저부 하우징 부재(1406)를 계속 탈착시키기 위해, (도 16c에서 경로(1608)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저부 하우징 부재(1406)를 가압하여, 저부 하우징 부재(1406) 및 그에 따른 핀(1408)을 하향으로 그리고 리세스(1602) 밖으로 밀어 내는 편향력을 극복하는 하향력(1606)을 제공해야 한다.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408)이 리세스(1602)의 립으로부터 제거되면, 사용자는 핀(1408)이 채널의 상단 벽을 제거하고 도 16d의 경로(1610)로 표시된 바와 같이 채널로부터 제거될 수 있을 때까지 저부 하우징 부재(1406)를 계속 회전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핀(1408)이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되면, 배터리에 액세스하기 위해 저부 하우징 부재(1406)는 프레임 부재(1400)로부터 간단히 들어올려질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9e는 배터리 도어(예를 들어, 저부 하우징 부재)를 태그에 단단히 보유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메커니즘의 다양한 태양들을 예시한다. 도 17a는 채널(1702)을 한정하는 프레임 부재(1700) 및 채널(1702) 내로 연장되고/되거나 채널의 일부를 한정하는 스프링 부재(1704)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프레임 부재(1700)는 프레임 부재(512)의 실시예일 수 있고,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 부재(512)의 기능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그리고 태그(500)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태그와 통합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그러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7b는 도 17a의 프레임 부재(1700)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저부 하우징 부재(1706)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저부 하우징 부재(1706)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실시예일 수 있고,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기능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그러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1706)는, 저부 하우징 부재(1706)를 프레임 부재(1700)에 보유하기 위해 채널(1702) 및/또는 스프링 부재(1704)를 통해 프레임 부재(170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핀(1708)을 포함한다.
도 17c는 프레임 부재(1700)로부터 제거된 스프링 부재(1704)를 도시한다. 스프링 부재(1704)는 2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보유 특징부들(1712, 1714)을 한정한다. 제1 보유 특징부(171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1710)의 개구 내에 있을 수 있고, 제2 보유 특징부(1714)는 베이스(171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1704)는 금속, 중합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일체형 컴포넌트일 수 있다. 따라서, 보유 특징부들 및 베이스는 동일한 재료 조각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저부 하우징 부재(1706)가 프레임 부재(1700)에 부착될 때 핀(1708)이 채널(1702) 및 스프링 부재(1704)와 어떻게 맞물리는지를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1700) 및 저부 하우징 부재(1706)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1706)는 핀(1708)이 경로(1800)를 따라 채널(1702)에 진입하도록 프레임 부재(1700)에 대해 위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저부 하우징 부재(1706)는 채널(1702) 내에 핀(1708)을 위치시키기 위해 (도 18a의 배향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스프링 또는 다른 메커니즘(예를 들어, 도 5b의 유연성 부재(518))에 의해 저부 하우징 부재(1706)에 부여되는 편향력(상향 방향으로 작용함)을 극복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702) 내에 핀(1708)을 위치시킨 후에, 저부 하우징 부재(1706)를 회전시키거나 비트는 것은 핀(1708)이 경로(1802)를 따라 채널(1702)을 통해 채널(1702)의 블라인드 단부(1803)(도 18a)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조작은 핀(1708)이 스프링 부재(1704)의 제1 및 제2 보유 특징부들(1712, 1714) 둘 모두와 접촉하게 하여, (화살표들(1804, 1806)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핀(1708)이 이들과 접촉하고 이들을 통과할 때 제1 및 제2 보유 특징부들(1712, 1714) 둘 모두가 하향으로 편향되게 한다. 제2 보유 특징부(1714)는 또한 핀(1708)과 접촉하여 채널(1702)의 블라인드 단부(1803) 내에 핀(1708)을 보유할 수 있다. 보유 특징부들(1712, 1714) 위로 핀(1708)을 활주시키는 동작은 또한, 저부 하우징 부재(1706)를 폐쇄 구성으로 비틀 때 사용자에 의해 검출가능한 촉각 클릭-유사 느낌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d는 저부 하우징 부재(1706)가 프레임 부재(1700)로부터 탈착될 때 핀(1708)이 채널(1702) 및 스프링 부재(1704)로부터 어떻게 맞물림해제되는지를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1700) 및 저부 하우징 부재(1706)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1706)는 핀(1708)이 채널(1702)의 블라인드 단부(1803) 내에 단단히 유지되도록 프레임 부재(1700)에 대해 위치된다. 저부 하우징 부재(1706)를 탈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저부 하우징 부재(1706)를 비틀거나 회전시켜, 핀(1708)이 도 19b의 경로(1900)를 따라 활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은 핀(1708)이 제2 보유 특징부(1714)와 접촉하게 하고, 이는 결국 제2 보유 특징부(1714)가 하향으로 편향되게 한다. 제2 보유 특징부(1714)가 상향으로 편향되기 때문에, 핀(1708)과 제2 보유 특징부(1714) 사이의 접촉은 저부 하우징 부재(1706)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생성하며, 이는, 극복될 때, 제2 보유 특징부(1714)를 하향으로 밀어 낸다. 핀(1708)과 제2 보유 특징부(1714) 사이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저부 하우징 부재(1706)를 탈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극복해야 하는 증가된 저항을 생성하는 것, 및 또한 저부 하우징 부재(1706)가 단단히 잠긴 상태로부터 이동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촉각 클릭 또는 멈춤쇠 감각을 잠재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몇몇 이점들을 제공한다.
핀(1708)이 제2 보유 특징부(1714)를 지나 이동되면, 핀(1708)은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1706)의 추가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1 보유 특징부(1712)의 표면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700)와 저부 하우징 부재(1706) 사이의 편향력(화살표(1906)으로 표시됨)으로 인해, 저부 하우징 부재(1706) 및 그에 따른 핀(1708)은 경로(1902)를 따라 상방으로 그리고 리세스(1904) 내로 가압될 수 있다. 편향력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배터리와 저부 하우징 부재(1706) 사이의 유연성 부재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핀(1708)이 도 19c에 도시된 포지션에 있을 때, 제1 보유 특징부(1712)는 여전히 핀(1708)과 중첩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추가의 회전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경로(1908)(도 19d)를 따라 핀을 이동시키기 위해 저부 하우징 부재(1706)를 계속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핀(1708)(예를 들어, 핀(1708)의 챔퍼링된 또는 각진 표면)이 제1 보유 특징부(1712)와 접촉하고 제1 보유 특징부(1712)를 하향으로 가압하게 한다. 핀과 스프링 부재 사이의 상호작용을 초래하는 다른 조작들과 마찬가지로, 이는 특정 조작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촉각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1706) 및 그에 따른 핀(1708)이 회전되어 제2 보유 특징부(1712)를 지나도록 핀(1708)을 이동시킨 후에, 핀(1708)의 추가의 회전은 리세스(1904)의 립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1706)를 계속 탈착시키기 위해, (도 19e에서 경로(1910)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저부 하우징 부재(1706)를 가압하여, 저부 하우징 부재(1706) 및 그에 따른 핀(1708)을 하향으로 그리고 리세스(1904) 밖으로 밀어 내는 편향력을 극복하는 하향력(1912)을 제공해야 한다.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708)이 리세스(1904)의 립으로부터 제거되면, 사용자는 핀(1708)이 채널의 상단 벽을 제거하고 경로(1910)로 표시된 바와 같이 채널로부터 제거될 수 있을 때까지 저부 하우징 부재(1706)를 계속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2d는 배터리 도어(예를 들어, 저부 하우징 부재)를 태그에 단단히 보유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메커니즘의 다양한 태양들을 예시한다. 도 20a는 래칭 영역(2002)을 한정하는 프레임 부재(2000) 및 래칭 영역(2002) 내로 연장되고/되거나 래칭 영역의 일부를 한정하는 스프링 부재(2004)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프레임 부재(2000)는 프레임 부재(512)의 실시예일 수 있고,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 부재(512)의 기능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그리고 태그(500)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태그와 통합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그러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0b는 도 20a의 프레임 부재(2000)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저부 하우징 부재(2006)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저부 하우징 부재(2006)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실시예일 수 있고,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기능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그러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2006)는, 저부 하우징 부재(2006)를 프레임 부재(2000)에 보유하기 위해 래칭 영역(2002) 및/또는 스프링 부재(2004)를 통해 프레임 부재(200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치(2008)를 포함한다.
도 20c는 프레임 부재(2000)로부터 제거된 스프링 부재(2004)를 도시한다. 스프링 부재(2004)는 제1 보유 특징부(2012) 및 제2 보유 특징부(2014)를 한정한다. 스프링 부재(2004)는 또한 프레임 부재(2000)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분(2010)을 한정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2004)는 저부 하우징 부재(2006)의 부착 및 탈착 동안 다수의 방향들로 편향되거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2006)의 부착 동안 래치(2008)와 제2 보유 특징부(2014) 사이의 상호작용은 스프링 부재(2004)가 화살표(2018)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편향되게 할 수 있는 한편, 저부 하우징 부재(2006)의 탈착 동안 래치(2008)와 제2 보유 특징부(2014) 사이의 상호작용은 스프링 부재(2004)가 화살표(2016)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편향되게 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2004)는 금속, 중합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일체형 컴포넌트일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저부 하우징 부재(2006)가 프레임 부재(2000)에 부착될 때 래치(2008)가 프레임 부재(2000) 및 스프링 부재(2004)와 어떻게 맞물리는지를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2000) 및 저부 하우징 부재(2006)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2006)는 래치(2008)가 경로(2100)를 따라 래칭 영역(2002)에 진입하도록 프레임 부재(2000)에 대해 위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저부 하우징 부재(2006)는 래치(2008)를 래칭 영역(2002)에 그리고 스프링 부재(2004)와 맞물리게 위치시키기 위해 (도 21a의 배향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스프링 또는 다른 메커니즘(예를 들어, 도 5b의 유연성 부재(518))에 의해 저부 하우징 부재(2006)에 부여되는 편향력(상향 방향으로 작용함)을 극복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도 21b는 저부 하우징 부재(2006)가 프레임 부재(2000)에 부착될 때 래치(2008) 및 스프링 부재(2004)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도시하는, 래치(2008) 및 스프링 부재(2004)의 부분 단면도를 예시한다. 특히, 저부 하우징 부재(2006)가 수직으로 하향(도 21b의 화살표(2101))으로 이동됨에 따라, 래치(2008)(예를 들어, 래치(2008)의 챔퍼링된 또는 다른 방식의 윤곽을 갖는 표면)는 스프링 부재(2004)의 제2 보유 특징부(2014)의 상단에 대항하여 밀어 넣어진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스프링 부재(2004)가 화살표(2102)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래치(2008)로부터 멀어지게 편향되게 한다. 래치(2008)의 단부가 제2 보유 특징부(2014)를 통과하면, 스프링 부재(2004)의 편향력은, 래치(2008)가 제2 보유 특징부(2014)와 중첩되어 래치(2008)를 제2 보유 특징부(2014) 아래에 보유하도록 스프링 부재(2004)를 래치(2008)를 향해 다시 가압한다. 보유 특징부들과의 다른 상호작용들과 유사하게, 제2 보유 특징부(2014)를 지나서 래치(2008)를 밀어 내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증가된 힘을 필요로 하고, 클릭 또는 다른 촉감을 초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저부 하우징 부재(2006)가 맞물리게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2008) 및 제2 보유 특징부(2014)를 맞물린 후에, (화살표(2104)로 표시된) 저부 하우징 부재(2006)의 추가의 회전 또는 비틀림은 래치(2008)가 제2 보유 특징부(2014)와의 맞물림으로부터 이동하게 하고, 제1 보유 특징부(2012) 위에서 활주하게 하고(도 21b의 방향(2102)을 따라 스프링 부재(2004)의 다른 편향을 초래함), 래칭 영역(2002)의 블라인드 단부에 그리고 제3 보유 특징부(2106) 아래에 위치되게 한다. 제3 보유 특징부(2106)는 래치(2008)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한편, 제1 보유 특징부(2012)는 래치(2008)를 도 21c에 도시된 포지션에 보유하기 위해 래치(2008)와 접촉하여 남아있을 수 있다. 제1 보유 특징부(2012) 위로 래치(2008)를 활주시키는 액션은 또한, 저부 하우징 부재(2006)를 폐쇄 구성으로 비틀 때 사용자에 의해 검출가능한 촉각 클릭-유사 느낌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저부 하우징 부재(2006)가 프레임 부재(2000)로부터 탈착될 때 래치(2008)가 래칭 영역(2002) 및 스프링 부재(2004)로부터 어떻게 맞물림해제되는지를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2000) 및 저부 하우징 부재(2006)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2006)는 래치(2008)가 래칭 영역(2002)의 블라인드 단부 내에 그리고 제3 보유 특징부(2106) 아래에 단단히 유지되도록 프레임 부재(2000)에 대해 위치된다. 저부 하우징 부재(2006)를 탈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저부 하우징 부재(2006)를 비틀거나 회전시켜, 래치(2008)가 도 22b의 경로(2200)를 따라 활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은 래치(2008)가 제1 보유 특징부(2012)와 접촉하게 하고, 이는 결국 스프링 부재(2004)가 외측으로(예를 들어, 도 21b의 방향(2102)을 따라) 편향되게 한다. 제1 보유 특징부(2012)가 래치(2008)를 향해 편향되기 때문에, 래치(2008)와 제1 보유 특징부(2012) 사이의 접촉은 저부 하우징 부재(2006)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생성하고, 잠재적으로 저부 하우징 부재(2006)가 안전하게 잠금된 상태로부터 이동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촉각 클릭 또는 멈춤쇠 감각을 생성한다.
래치(2008)가 제1 보유 특징부(2012)를 지나 이동되면, 래치(2008)는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포지션으로 복귀할 수 있으며, 여기서 래치(2008)는 제2 보유 특징부(2014) 아래에 있고 그와 중첩한다. 저부 하우징 부재(2006)를 계속 탈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저부 하우징 부재(2006)를 방향(2202)을 따라 상향으로 당기며, 이는 래치(2008)로 하여금 제2 보유 특징부(2014)를 상향으로 당김으로써, 스프링 부재(2004)를 방향(2016)을 따라 편향시킨다(도 20c). 스프링 부재(2004)가 편향되면, 저부 하우징 부재(2006)를 방향(2204)을 따라(예를 들어, 도 22b에 표시된 것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래치(2008)가 제1 보유 특징부(2012) 위로 다시 한번 활주하게 함으로써 래치(2008)를 스프링 부재(2004)로부터 맞물림해제하고 저부 하우징 부재(2006)가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래치(2008)와 제1 보유 특징부(2012) 사이의 최종 맞물림은 저부 하우징 부재(2006)가 탈착되었다는 최종 촉각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2d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메커니즘은 부착 및 탈착 동작을 통해 사용자를 안내하는 것을 돕기 위해 프레임 부재(2000) 및/또는 스프링 부재(2004)에 형성된 하드-스톱(hard-stop)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부 하우징 부재(2006)의 각각의 포지션에서, 저부 하우징 부재(2006)가 이동될 수 있는 하나의 방향만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몇 번의 간단한 모션들로 저부 하우징 부재(2006)를 부착 및 탈착시키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부착 동작은 밀기 및 비틀기를 포함할 수 있고, 탈착 동작은 (제1 방향으로의) 비틀기, 그에 후속하는 당기기, 그에 후속하는 (제2의 반대 방향으로의) 다른 비틀기, 그에 후속하는 최종 당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e는 배터리 도어(예를 들어, 저부 하우징 부재)를 태그에 단단히 보유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메커니즘의 다양한 태양들을 예시한다. 도 23a는 래칭 영역(2302)을 한정하는 프레임 부재(2300) 및 래칭 영역(2302) 내로 연장되는 스프링 부재(2304)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스프링 부재(2304)는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영역(2302) 내로 돌출되도록 편향될 수 있고, 방향(2305)을 따라 래칭 영역(2302)으로부터 멀어지게 후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2300)는 프레임 부재(512)의 실시예일 수 있고,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 부재(512)의 기능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그리고 태그(500)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태그와 통합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그러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3b는 도 23a의 프레임 부재(2300)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저부 하우징 부재(2306)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저부 하우징 부재(2306)는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실시예일 수 있고,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저부 하우징 부재(516)의 기능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그러한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2306)는, 저부 하우징 부재(2306)를 프레임 부재(2300)에 보유하기 위해 래칭 영역(2302) 및/또는 스프링 부재(2304)를 통해 프레임 부재(230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캠 래치(2308)를 포함한다. 캠 래치(2308)는 저부 하우징 부재(2306)의 부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 부재(2304)와 맞물리거나 달리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표면들 및/또는 특징부들을 한정할 수 있다.
도 23c는 프레임 부재(2300)로부터 제거된 스프링 부재(2304)를 도시한다. 스프링 부재(2304)는 래칭 영역(2302) 내로 돌출되는 부분뿐만 아니라 프레임 부재(2300)에 고정되는 베이스(2310)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2304)는 금속, 중합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일체형 컴포넌트일 수 있다.
도 23d는 캠 래치(2308)를 예시하고, 이는, 저부 하우징 부재(2306)가 프레임 부재(2300)에 부착될 때 스프링 부재(2304)(예를 들어, 래칭 영역 내로 돌출되는 스프링 부재(2304)의 부분)가 캠 래치(2308)를 따를 경로를 도시한다. 특히, 저부 하우징 부재(2306)가 초기에 프레임 부재(2300)와 맞물릴 때, 스프링 부재(2304)는 경로(2312)를 따라 이동하고 제1 캠 표면(2314) 위로 활주한다. 제1 캠 표면(2314)을 클리어한 후에, 저부 하우징 부재(2306)는, 스프링 부재(2304)가 경로(2316)를 따라 이동하여, 제1 보유 특징부(2318) 위에서 그리고 캠 래치(2308)의 블라인드 단부(2320) 내로 활주하도록 회전된다. 이 스테이지에서, 제1 보유 특징부(2318) 및 스프링 부재(2304)의 편향력은 블라인드 단부(2320)에서 스프링 부재(2304)를 보유하고, 그에 의해, 저부 하우징 부재(2306)를 폐쇄 구성으로 보유한다.
도 23e는 캠 래치(2308)를 예시하고, 이는, 저부 하우징 부재(2306)가 프레임 부재(2300)로부터 탈착될 때, 스프링 부재(2304)가 캠 래치(2308)를 따를 경로를 도시한다. 특히, 저부 하우징 부재(2306)는, 스프링 부재(2304)가 경로(2322)를 따라 제1 보유 특징부(2318) 위로 활주하도록 회전된다. 일단 제1 보유 특징부(2318)가 제거되면, 저부 하우징 부재(2306)는 프레임 부재(2300)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게 당겨져서, 스프링 부재(2304)를 경로(2324)를 따라 그리고 제1 캠 표면(2314)의 밑면에 의해 한정된 하드-스톱에 대항하여 이동시킨다. 이어서, 저부 하우징 부재(2306)는 경로(2326)를 따라 스프링 부재(2304)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되고, 이어서, 마지막으로, 경로(2328)를 따라 그리고 제2 캠 표면(2330) 위에서 스프링 부재를 활주시키기 위해 축방향으로 당겨져서, 저부 하우징 부재(2306)를 프레임 부재(2300)로부터 탈착시킨다.
캠 래치(2308)의 특징부들(예를 들어, 캠 표면들 및 보유 특징부)과 스프링 부재(2304) 사이의 상호작용들 및 맞물림들은 각각, 저부 하우징 부재(2306)에 적용되는 극복력을 요구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검출가능한 촉각 감각들 또는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힘들 및 피드백들은 원하는 포지션들에 저부 하우징 부재(2306)를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유용한 물리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전술된 프레임 부재(2300) 및 저부 하우징 부재(2306)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 및 캠 래치를 예시한다. 도 24a는 래칭 영역(2302)(도 23a) 내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프링 부재(2404)뿐만 아니라 프레임 부재(23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2405)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2404)는 금속, 중합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일체형 컴포넌트일 수 있다.
도 24b는, 캠 래치(2308) 대신에 사용될 수 있고 스프링 부재(2404)(또는 스프링 부재(2304)와 같은 다른 스프링 부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캠 래치(2408)를 예시한다. 도 24b는 저부 하우징 부재(2306)가 프레임 부재(2300)에 부착될 때 스프링 부재(2404)(예를 들어, 래칭 영역 내로 돌출되는 스프링 부재(2404)의 부분)가 캠 래치(2408)를 따를 경로를 도시한다. 특히, 저부 하우징 부재(2306)가 초기에 프레임 부재(2300)와 맞물릴 때, 스프링 부재(2404)는 경로(2412)를 따라 이동하고 제1 캠 표면(2410) 위로 활주한다. 제1 캠 표면(2410)을 클리어한 후에, 저부 하우징 부재(2306)는, 스프링 부재(2404)가 경로(2414)를 따라 이동하여, 제1 보유 특징부(2416) 위에서 그리고 캠 래치(2408)의 블라인드 단부(2418) 내로 활주하도록 회전된다. 이 스테이지에서, 제1 보유 특징부(2416) 및 스프링 부재(2404)의 편향력은 블라인드 단부(2418)에서 스프링 부재(2404)를 보유하고, 그에 의해, 저부 하우징 부재(2306)를 폐쇄 구성으로 보유한다.
도 24c는 캠 래치(2408)를 예시하고, 이는, 저부 하우징 부재(2306)가 프레임 부재(2300)로부터 탈착될 때, 스프링 부재(2404)가 캠 래치(2408)를 따를 경로를 도시한다. 특히, 저부 하우징 부재(2306)는, 스프링 부재(2404)가 경로(2420)를 따라 제1 보유 특징부(2416) 위로 활주하도록 회전된다. 일단 제1 보유 특징부(2416)가 제거되면, 저부 하우징 부재(2306)는 프레임 부재(2300)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게 당겨져서, 스프링 부재(2404)를 경로(2422)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어서, 저부 하우징 부재(2306)는 경로(2424)를 따라 스프링 부재(2404)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되고, 이어서, 마지막으로 경로(2426)를 따라 제2 캠 표면(2425)을 따라 스프링 부재를 활주시키도록 축방향으로 당겨져서, 저부 하우징 부재(2306)를 프레임 부재(2300)로부터 탈착시킨다.
캠 래치(2408)의 특징부들(예를 들어, 캠 표면들 및 보유 특징부)과 스프링 부재(2404) 사이의 상호작용들 및 맞물림들은 각각, 저부 하우징 부재(2306)에 적용되는 극복력을 요구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검출가능한 촉각 감각들 또는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힘들 및 피드백들은 원하는 포지션들에 저부 하우징 부재(2306)를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유용한 물리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전술된 프레임 부재(2300) 및 저부 하우징 부재(2306)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 및 캠 래치를 예시한다. 도 25a는 래칭 영역(2302)(도 23a) 내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스프링 부재(2504)뿐만 아니라 프레임 부재(23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2505)를 예시한다. 스프링 부재(2504)는 금속, 중합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된 일체형 컴포넌트일 수 있다.
도 25b는, 캠 래치(2308) 또는 캠 래치(2408) 대신에 사용될 수 있고 스프링 부재(2504)(또는 스프링 부재(2304)와 같은 다른 스프링 부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캠 래치(2508)를 예시한다. 도 25b는 저부 하우징 부재(2306)가 프레임 부재(2300)에 부착될 때 스프링 부재(2504)(예를 들어, 래칭 영역 내로 돌출되는 스프링 부재(2504)의 부분)가 캠 래치(2508)를 따를 경로를 도시한다. 특히, 저부 하우징 부재(2306)가 초기에 프레임 부재(2300)와 맞물릴 때, 스프링 부재(2504)는 경로(2512)를 따라 이동하고 제1 캠 표면(2510) 위로 활주한다. 제1 캠 표면(2510)을 제거한 후에, 스프링 부재(2504)는 캠 래치(2508)의 보유 영역(2514) 내에 보유된다. 이 스테이지에서, 제1 캠 표면(2510)의 돌출 부분 및 스프링 부재(2504)(뿐만 아니라 제2 캠 표면(2516))의 편향력은 스프링 부재(2504)를 보유 영역(2514)에 보유함으로써, 저부 하우징 부재(2306)를 폐쇄 구성으로 보유한다.
도 25c는 캠 래치(2508)를 예시하고, 이는, 저부 하우징 부재(2306)가 프레임 부재(2300)로부터 탈착될 때, 스프링 부재(2504)가 캠 래치(2508)를 따를 경로를 도시한다. 특히, 저부 하우징 부재(2306)는 스프링 부재(2504)가 경로(2518)를 따라 제2 캠 표면(2516)을 따라 활주하도록 회전된다. 이어서, 저부 하우징 부재(2306)는 프레임 부재(2300)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게 당겨져서, 경로(2520)를 따라 스프링 부재(2504)를 이동시킴으로써, 프레임 부재(2300)로부터 저부 하우징 부재(2306)를 탈착시킨다.
캠 래치(2508)의 특징부들(예를 들어, 캠 표면들 및 보유 특징부)과 스프링 부재(2504) 사이의 상호작용들 및 맞물림들은 각각, 저부 하우징 부재(2306)에 적용되는 극복력을 요구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검출가능한 촉각 감각들 또는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힘들 및 피드백들은 원하는 포지션들에 저부 하우징 부재(2306)를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게 유용한 물리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은 오디오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로부터의 오디오 출력들은 사용자가 태그를 위치식별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분실된 태그를 위치식별하려고 시도할 때,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가청 사운드, 예를 들어, 비프 음 또는 다른 가청 톤(예를 들어, 일정한 톤, 노래 등)을 생성하도록 태그에 무선으로 명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은 오디오 요청 신호를 태그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이어서 태그가 오디오 시스템을 갖는 가청 출력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도 26a 및 도 26b는 오디오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할 뿐만 아니라 오디오 시스템의 다양한 동작 모드들을 예시하는 태그(500)의 부분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500)의 오디오 시스템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에 결합된 코일(504)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504)은 매트릭스 또는 포팅 재료,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도체(예를 들어, 금속 와이어)의 다수의 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504)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 예를 들어 접착제(2600)(도시된 바와 같음), 초음파 용접 등을 사용하여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코일(504)을 위한 보빈 또는 다른 베이스 구조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와 일체형 구조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피스 성형된 또는 3D-인쇄된 상단 하우징 부재(502)는 코일(504)을 생성하기 위해 도체가 그 주위에 권취되는 일체형 보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코일을 형성하는 도체들은 (예를 들어, 레이저 직접 구조화 또는 다른 적합한 도금 또는 금속화 기술을 사용하여) 상단 하우징 부재(502)와 일체로 형성된 보빈 상에 도금될 수 있다. 코일을 형성하고/하거나 코일을 상단 하우징 부재(502)와 통합하기 위한 다른 기술들이 또한 고려된다.
코일(504)은 자석 조립체(506)에 근접할 수 있다. 자석 조립체(506)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고, 단일 피스의 자기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도 27a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부착된 다수의 컴포넌트들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500)는 또한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편향을 제한하는 하드-스톱(5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하드-스톱(520)의 상단과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내측 표면 사이의 갭은 약 500 마이크로미터, 400 마이크로미터, 300 마이크로미터, 200 마이크로미터, 100 마이크로미터, 또는 50 마이크로미터와 같은 임계 거리 이하일 수 있다.
태그(500)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가청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하게 하기 위해, 코일(504)을 사용하여,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일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이 요구될 때, (마그넷 조립체(506)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있는) 코일(504)에 적합한 신호가 적용되고, 이로써 코일(504)에 작용하는 로렌츠 힘들(화살표들(2602)로 표시됨)을 생성한다. 코일(504) 상의 로렌츠 힘들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이동하거나, 발진하거나, 진동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동(화살표들(2604)로 표시됨)하게 하여 가청 및 선택적으로 촉각 출력을 생성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단 하우징 부재(502)는 국부적으로 편향되거나 변형되어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중심 부분은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편향 또는 변형될 수 있는 한편,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다른 부분들(예를 들어, 안테나 조립체(508)에 결합된 주변 부분)은 실질적으로 정지된 상태로 남아있고/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음파들의 생성에 기여하지 않는다.
오디오 시스템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해 편향 또는 변형되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부분은 타겟 주파수 범위 내에서 오디오의 생성을 허용하거나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시스템은 약 1 ㎑ 내지 4 ㎑, 1 ㎑ 내지 3 ㎑,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범위 내에서 사운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범위는 상이한 주파수들에 대한 인간의 청력의 상대적인 감도뿐만 아니라 사운드의 위치를 인지하는 능력으로 인해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의 귀들은 약 1 ㎑ 내지 4 ㎑의 사운드들에 더 민감하다. 또한, 인간의 귀들 사이의 거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인간들은 (머리 이동을 요구하지 않고 위치가 인지될 수 있기 때문에) 3 ㎑ 이하인 사운드의 위치를 더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약 1 ㎑ 내지 3 ㎑의 범위는 피크 청력 감도의 전형적인 범위 내에 있고, (예를 들어, 사운드의 위치를 인지하기 위해 머리 이동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태그의 간단한 청각적 위치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가청 출력들(또는 가청 출력들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초음파 출력들)은 또한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폰, 이어 버드들 등) 상의 하나 또는 다수의 마이크로폰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그 디바이스는 검출된 가청 사운드들에 기초하여 태그의 포지션을 결정 또는 추정하기 위해 빔형성 또는 다른 방향-찾기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각각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갖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그들 자신의 포지션 추정들을 비교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하나의 포지션 추정을 생성하기 위해 협력함으로써) 태그의 포지션을 추정하기 위해 협력한다.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재료들 및 치수들은 또한, 오디오-생성 다이어프램으로서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충분히 가요성이 되어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코일(504)에 의해 생성된 힘에 의해 편향 및/또는 변형될 수 있게 하도록 재료들 및 치수들이 선택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단 하우징 부재(502)는 중합체, 강화 중합체, 탄소 섬유 등과 같은 중합체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502)는 약 300 마이크로미터, 400 마이크로미터, 450 마이크로미터, 500 마이크로미터, 5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변형되거나 구부러지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일부분은 약 300 내지 5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반면,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다른 부분들은 상이한 두께들을 갖는다(예를 들어, 더 두껍거나 더 얇다). 다른 두께들 및 치수들이 또한 가능하다.
태그(500)의 오디오 시스템이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해 다이어프램으로서 상단 하우징 부재(502)를 사용하는 실시예들에서, 태그(500)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에 적용된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해 오디오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6b는 핑거(2606)가 상단 하우징 부재(502)에 입력 힘을 적용할 때의 태그(500)를 예시한다. 이러한 입력은 태그(500)의 누름 또는 압착에 대응할 수 있고,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내측 또는 저부 표면이 화살표(260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 조립체(506)를 향해 하향 이동하도록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변형되게 할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이동은, 화살표(2610)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504)이 또한 하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코일(504)이 자석 조립체(506)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 내에 있는 동안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자속의 존재 시에 이동하는 도체 사이의 전자기 상호작용으로 인해 코일(504)에서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류는 태그(500)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입력이 검출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태그(500)가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모션의 임계량을 나타내는 전류를 검출할 때, 태그(500)는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500)는 페어링 모드(선택적으로,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태그의 하나 이상의 라디오들의 동작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함)를 개시하고, 태그(500)를 턴 온 또는 오프시키고, 태그(5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 정보가 태그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예를 들어, 원격 서비스, 모바일 폰 등에) 전송되게 하고, 오디오 또는 촉각 출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편향의 결과로서 코일(504)에서 생성된 전류는 또한, 태그 동작들을 위해 태그(500)에 전력을 제공하고/하거나 배터리(514)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력은 입력이 제공될 때마다 하베스팅될(harvested) 수 있거나, 또는 특정 조건들이 만족될 때(예를 들어, 특정 수 또는 빈도의 편향들이 검출될 때, 배터리가 임계 충전 레벨 미만일 때 등) 하베스팅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배터리가 없는(또는 완전히 방전된 또는 데드 배터리를 갖는) 태그는 사용자가 상단 하우징 부재를 한 번 이상 편향시킴으로써(예를 들어, 태그에 적어도 순간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수 및 빈도의 편향들을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특정 조건들이 만족되면, 태그는 반복되는 편향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액션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가 작동하지 않거나 누락되고 상단 하우징 부재의 반복된 편향들로부터 충분한 전력 임계치에 도달하면, 태그는, 태그가 전력이 부족하다는 표시와 함께 (도 2a 내지 도 2c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위치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태그들은 다른 유형들의 입력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오디오 시스템의 코일에서 생성된 전류를 검출하는 것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태그에 대한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돔 스위치, 촉각 돔 스위치, 또는 다른 전기기계 스위칭 시스템이 상단 하우징 부재(502)와 자석 조립체(506)(또는 임의의 다른 하부 컴포넌트)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사용자에 의해 편향될 때, 돔 스위치 또는 전기기계 스위칭 컴포넌트가 작동되고 대응하는 입력이 검출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자석 조립체(506)는 개구를 한정할 수 있고, 돔 스위치 또는 다른 전기기계 스위칭 시스템이 개구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돔 스위치 또는 다른 전기기계 스위칭 시스템은 회로 기판(510), 메인 프레임 부재(512), 또는 다른 하부 컴포넌트에 부착될 수 있다.
태그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스위칭 메커니즘은 상부 하우징 부재(502)에 부착된 전도성 접점들 및 하부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금속 시트, 포일(foil), 또는 다른 컴포넌트와 같은 제1 전도성 접점이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내부 표면에(예를 들어, 하드-스톱(520)의 중심 개구와 정렬된 예를 들어,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중심에) 부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2 전도성 접점들이 제1 전도성 접점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편향될 때, 제1 전도성 접점은 하나 이상의 제2 전도성 접점들과 접촉할 수 있고, 태그는, 예를 들어 전도성 접점들 사이의 전도도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결과적인 접점을 검출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태그는 2개의 제2 전도성 접점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전도성 접점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가 눌려질 때 2개의 제2 전도성 접점들을 전도성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그는 2개의 제2 전도성 접점들 사이의 연속성을 검출함으로써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전도성 접점들의 다른 배열들이 또한 고려된다.
용량성 센서들, 힘 센서들, 초음파 센서들 및 광학 센서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편향을 검출하기 위한 다른 기술들이 또한 고려된다. 추가로,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편향을 검출하는 입력 시스템들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다른 유형들의 입력 시스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버튼들, 스위치들, (예를 들어, 흔들림 또는 탭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계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a는 태그(500)의 일부분의 분해도이다. 특히,도 27a는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에 따른 자석 조립체(506)의 분해도 및 코일(504)을 도시한다. 자석 조립체(506)는 상단 플레이트(2700), 하부 요크(2702)(예를 들어, 금속 요크) 및 자석(2704)을 포함한다. 상단 플레이트(2700) 및 언더 요크(2702)는 강철과 같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플레이트(2700) 및 하부 요크(2702)는 원하는 영역을 따라 자석(2704)에 의해 생성된 자속을 지향시키고 태그(500) 외부의 누설 자속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협력할 수 있다. 누설 플럭스(예를 들어, 태그(500)의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는 자석(2704)으로부터의 자속)의 양 및/또는 강도를 최소화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감소시키는 것은 자속이 신용 카드들, 다른 디바이스들의 자력계들 등과 같은 다른 물체들 또는 디바이스들과 간섭하거나 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27b는, 자석 조립체(506) 및 상단 하우징 부재(502)와 관련하여 예시적인 자속 라인들을 도시하는, 태그(500)의 일부분의 부분 단면도를 예시한다. 자석(2704)은 자속을 생성할 수 있는 한편, 상단 플레이트(2700) 및 하부 요크(2702)는 자속을 안내하거나 포커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플레이트(2700) 및 하부 요크(2702)는 코일(504)이 위치되는 갭(2708)에 플럭스를 집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갭(2708)에 플럭스를 집중시킴으로써, 태그(500)의 외부를 넘어 누설되는 플럭스(2706)의 양은 허용가능한 레벨(예를 들어, 신용 카드들을 탈자화하기 위한 임계 레벨 미만)로 유지될 수 있다.
태그(500)의 물리적 설계는 또한 누설 플럭스의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하우징 부재(502) 및 자석 조립체(506)는, 자석 조립체(506)(예를 들어, 자석 조립체의 상단)로부터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외부 표면(예를 들어, 자석 조립체(506)에 가장 가까이 있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까지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임계 거리는 약 1.0 mm, 1.5 mm, 2.0 mm,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거리이다.
도 26a 내지 도 27b는 도체들(예를 들어, 와이어들)이 포팅 재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고, 포팅된 도체가 상단 하우징 부재(502)에 부착되는 예시적인 코일(504)을 예시한다. 도 28a 내지 도 28d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코일 구성들을 예시한다. 도 28a는 보빈(2802) 및 전도성 코일(2804)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코일(2800)을 예시한다. 보빈(2802)은 전도성 코일(2804)이 그 주위에 권취되는 링형 구조물일 수 있다. 보빈(2802)은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다른 금속 시트 또는 포일), 중합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코일(2804)은 와이어(예를 들어, 구리 와이어)와 같은 도체의 복수의 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8b는 코일(2800)이 태그의 컴포넌트들과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태그의 부분 단면도이다. 특히, 코일의 보빈(2802)은 상단 하우징 부재(2806)(이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실시예일 수 있음)의 내부 또는 저부 표면에 부착된다. 보빈(2802)은 접착제(2810), 예를 들어 에폭시, 또는 다른 적합한 접착제 또는 부착 메커니즘 또는 기술을 사용하여 상단 하우징 부재(2806)에 부착될 수 있다. 코일(2800)은, 전도성 코일(2804)이 자석 조립체(2808)(자석 조립체(506)의 실시예일 수 있음)에 의해 생성된 자속 필드에 있도록 상단 하우징 부재(2806) 상에 위치된다.
도 28c는 코일(2800)이 태그의 컴포넌트들과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태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c에서, 보빈(2802)은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2810)를 사용하여 상단 하우징 부재(2806)에 부착되지만, 또한 상단 하우징 부재(2806)로부터 자석 조립체(2808)로(또는 태그 내부의 다른 컴포넌트로) 연장되는 슈라우드(shroud)(2812)를 포함한다. 슈라우드(2812)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다른 중합체 필름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고, 코일(2800)과 함께 상단 하우징 부재(2806)를 이동시킴으로써 태그가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할 때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슈라우드(2812)는 코일(2800)의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편 또는 다른 오염물들로부터 코일(2800)을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8d는 다른 코일(2814)이 태그의 컴포넌트들과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태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d의 코일(2814)은 보빈(2816) 및 전도성 코일(2817)을 포함하며, 이는, 보빈(2816)이 전도성 코일(2817)에 부착되는 보빈의 일부분에 대해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장착 플랜지 부분(2818)을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보빈(2802) 및 전도성 코일(2804)과 유사하다. 장착 플랜지 부분(2818)은 보빈(2802)에 비해, 보빈(2816)과 상단 하우징 부재(2806) 사이에 더 큰 접촉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장착 플랜지 부분(2818)은 에폭시, 접착 필름, 압력, 열 또는 온도 민감성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접착제일 수 있는 접착제(2820)를 통해 상단 하우징 부재(2806)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슈라우드(2812)와 같은 슈라우드가 도 28d에 도시된 구현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태그로부터의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은 전자기 코일 및 자석(음성 코일 모터와 유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태그의 상단 하우징 부재를 편향시키거나 변형시키는 오디오 시스템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그러한 출력들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오디오 시스템이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코일 및 자석 배열들 대신에 또는 그 자리에 다른 오디오 시스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30은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오디오 시스템들을 예시한다.
도 29a 및 29b는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상단 하우징 부재의 일부분을 사용하여,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해 태그의 상단 하우징 부재를 편향 및/또는 변형시키기 위해 압전 요소들이 사용되는 예들을 예시한다. 도 29a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실시예일 수 있는 예시적인 상단 하우징 부재(2900)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압전 요소(2902)는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체결 기술을 사용하여) 상단 하우징 부재(2900)의 내측 또는 저부 표면에 부착된다. 압전 요소(2902)는 압전 유니모르프(unimorph) 또는 바이모르프(bimorph)일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2900)가 변형 또는 편향되게 하기 위해, 태그는 압전 요소(2902)에 전기 신호 또는 전류를 적용함으로써, 압전 요소(2902)가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화살표(2904)로 표시됨). 압전 요소(2902)와 상단 하우징 부재(2900) 사이의 안전한 부착으로 인해, 압전 요소(2902)의 굽힘은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상단 하우징 부재(2900)가 편향 또는 변형되게 할 수 있다(화살표(2906)로 표시됨).
도 29a는 단일 압전 요소(2902)가 상단 하우징 부재(2900)의 중심에 부착되는 예를 예시하지만, 이는 압전 요소를 사용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일 뿐이다. 도 29b는 다수의 별개의 압전 요소들(2910)이 상단 하우징 부재(2900)의 내측 또는 저부 표면에 부착되는 예를 예시한다. 특히, 압전 요소들(2910)은 상단 하우징 부재(2900)의 상단 벽이 상단 하우징 부재(2900)의 측벽과 결합하는 코너에 위치된다. 이러한 배열을 사용하는 태그는 상단 하우징 부재(2900)의 주변부 주위로 이격된 2개 더 많은 압전 요소들(2910)을 사용할 수 있다. 2개의 압전 요소들(2910)이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2개의 압전 요소들은 상단 하우징 부재(2900)에 의해 한정된 형상의 중심을 통과하는 라인을 한정함). 압전 요소들(2910)은 유니모르프 또는 바이모르프 압전 요소들일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2900)가 변형 또는 편향되게 하기 위해, 태그는 압전 요소들(2910)에 전기 신호 또는 전류를 적용함으로써, 압전 요소들(2910)이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화살표(2912)로 표시됨). 압전 요소들(2910)과 상단 하우징 부재(2900) 사이의 안전한 부착으로 인해, 압전 요소들(2910)의 굽힘은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상단 하우징 부재(2900)가 편향 또는 변형되게 할 수 있다(화살표(2914)로 표시됨).
압전 요소들(2910)은 가청 또는 촉각 출력 동안 가장 많이 이동하는 상단 하우징 부재의 부분으로부터 원격으로 장착될 수 있고, 압전 요소들(2910)의 편향량을 증폭시키기 위해 상단 하우징 부재(2900)의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하우징 부재(2900)의 코너들에 압전 요소들(2910)을 위치시킴으로써, 압전 요소들(2910)의 작은 편향들은 상단 하우징 부재(2900)의 중심에서 더 큰 편향들을 생성할 수 있다.
압전 요소들(2902, 2910)은 하나 이상의 전자 컴포넌트들 및/또는 회로 요소들에 전도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컴포넌트들 및/또는 회로 요소들은 회로 기판(예를 들어, 회로 기판(510))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압전 요소들이 상단 하우징 부재(2900)로부터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변형되게 하는 전기 신호들을 압전 요소들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0은 태그를 위한 오디오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예시한다. 특히, 도 30은 상단 하우징 부재(3000) 아래에 위치된 오디오 시스템(3001)을 갖는 예시적인 상단 하우징 부재(3000)(이는 상단 하우징 부재(502)의 실시예일 수 있음)를 예시한다. 오디오 시스템(3001)은 상단 하우징 부재(3000)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3006)을 통해 사운드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3001)은 내부 용적부(3008)를 한정하는 인클로저(300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3004)는 인클로저(3002)에 결합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내부 용적부(3008) 내로 사운드를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용적부(3008)는 상단 하우징 부재(3000)의 개구들(3006)과 정렬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와 연통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3004)로부터의 사운드는 (화살표(3010)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용적부(3008)를 통해 그리고 개구들(3006) 밖으로 지향될 수 있다. 인클로저(3002)는 (예를 들어, 접착제, 체결구들, 초음파 용접 등을 통해) 상단 하우징 부재(3000)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태그의 다른 컴포넌트(예를 들어, 안테나 조립체)에 부착되고 상단 하우징 부재의 개구들을 통해 오디오를 통신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 내에 스피커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하는 태그들에서, 태그는 오디오 시스템 및/또는 태그 전체 내로의 물, 먼지 또는 다른 오염물들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들, 막들, 물 배출 시스템들, 또는 다른 시스템들 또는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해 상단 하우징 부재가 편향 및/또는 변형되는 태그들의 경우, 상단 하우징 부재는 음성 코일 모터, 압전 요소 또는 다른 액추에이터에 의해 편향 및/또는 변형될 수 있도록 충분히 가요성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단 하우징 부재는 단일 피스의 재료로 형성된 일체형 구조물일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이는 상단 하우징 부재를 함께 한정하는 다수의 컴포넌트들 또는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1a 내지 도 34c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몇몇 상이한 예시적인 상단 하우징 부재들을 예시한다. 도 31a 내지 도 34c의 상단 하우징 부재들은 상단 하우징 부재(502)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임의의 다른 상단 하우징 부재의 실시예들일 수 있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단일 피스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상단 하우징 부재(3100)를 예시한다. 상단 하우징 부재(3100)는 중합체 재료,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아미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중합체 재료(섬유 강화 중합체 재료들을 포함함)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상단 하우징 부재(310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1a는 태그의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는 상단 하우징 부재(3100)의 외측 표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하우징 부재(3100)의 외측 표면은 실질적으로 특징부가 없다(예를 들어, 이음매들, 갭들, 홈들, 불연속부들, 디스플레이들, 버튼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이 없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외측 표면은 그러한 특징부들을 한정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도 31b는 상단 하우징 부재(3100)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상단 하우징 부재(3100)는 상단 하우징 부재(3100)의 나머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보강 리브들(3102)을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하우징 부재(3100)는 보강 리브들(3102)과 함께 단일 피스로 성형될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3100)는 또한, 오디오 시스템의 코일(예를 들어, 코일(504))이 상단 하우징 부재(3100)에 부착될 수 있는 코일 부착 영역(3104)을 한정할 수 있다. 코일 부착 영역(3104)은 실질적으로 특징부가 없는 표면일 수 있거나, 또는 홈들, 공동들, 부착 요소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1c는 도 31a의 라인 31C-31C를 따라 본 상단 하우징 부재(31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하우징 부재(3100)는 균일한 두께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상단 하우징 부재(3100)의 중심 부분(예를 들어, 코일 부착 영역(3104)에서 그리고/또는 그 주위)은 상단 하우징 부재(3100)의 측벽 부분보다 더 얇을 수 있다. 이는,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해 편향되고/되거나 변형될 필요가 있는 상단 하우징 부재(3100)의 영역에서 증가된 가요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2a 내지 도 32c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상단 하우징 부재(3200)를 예시한다. 도 32a는 태그의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는 상단 하우징 부재(3200)의 외측 표면을 도시한다. 상단 하우징 부재(3200)는 주변 부재(3202), 중심 부재(3204) 및 유연성 부재(3206)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부재(3202)는 주변 벽 및 상단 벽을 한정할 수 있으며, 상단 벽은 중심 부재(320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개구를 한정한다. 주변 부재(3202)의 주변 벽은 태그의 주변 측벽(및 그에 따라 외부 주변 측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유연성 부재(3206)는 주변 부재(3202) 및 중심 부재(3204)보다 더 가요성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부재(3202)(상단 하우징 부재(3200)의 측벽을 한정할 수 있음) 및 중심 부재(3204)(상단 하우징 부재(3200)의 상단 외측 표면을 한정할 수 있음)는 ABS, PMMA와 같은 제1 중합체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유연성 부재(3206)는 제1 중합체 재료보다 더 가요성인 제2 중합체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연성 부재(3206)는, 중심 및 주변 부재들이 일체형 구조(예를 들어, 상단 하우징 부재(3100))인 경우에 발생하는 것보다 중심 부재(3204)가 주변 부재(3202)에 대해 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2b는 상단 하우징 부재(3200)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상단 하우징 부재(3200)는 주변 부재(320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보강 리브들(3208)을 한정할 수 있다. 중심 부재(3204)는 전술된 코일 부착 영역(3104)과 유사할 수 있는 코일 부착 영역(3210)을 한정할 수 있다.
도 32c는 도 32a의 라인 32C-32C를 따라 본 상단 하우징 부재(32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하우징 부재(3200)의 외측 표면 상에서 가시적인 유연성 부재(3206)의 일부분은 단지 유연성 부재(3206)의 일부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유연성 부재(3206)는 중심 부재(3204)의 내측 또는 저부 표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중심 부재(3204)를 주변 부재(3202)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유연성 부재(3206)는, 코일이 중심 부재(3204)에 직접 부착되어, 중심 부재(3204)에 힘을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코일 부착 영역(3210)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한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도 3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심 및 주변 부재들의 외측 표면들에 인접하게 노출되는 유연성 부재(3206)의 부분은 중심 및 주변 부재들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노출되는 유연성 부재(3206)의 부분은 주변 부재 및 중심 부재들에 비해 리세스되거나 튀어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c는 유연성 부재가 중심 및 주변 부재들에 대해 리세스되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상단 하우징 부재(3200)는 공동-사출 성형 또는 삽입 성형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심 및 주변 부재들이 먼저 형성되고(그리고 선택적으로, 이들이 형성된 후에 제2 몰드에 삽입되고), 이어서 유연성 부재(3206)의 재료가 몰드 내로 그리고 중심 및 주변 부재들에 대해 대항하여 삽입된다. 이는, 유연성 부재가 타겟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재료들 사이의 화학적 및/또는 접착제 접착을 통해, 그리고/또는 컴포넌트들 사이의 기계적 연동을 통해) 유연성 부재의 재료를 중심 및 주변 부재들에 고정하게 할 수 있다.
중심 및 주변 부재들에 대한 유연성 부재(3206)의 감소된 강성은 단일 피스 상단 하우징 부재와 비교하여, 주어진 코일 힘에 대해 달성되는 중심 부재의 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이어서 청각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는 것에 관하여 태그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추가로, 더 낮은 힘 요건은 더 작은 코일들, 자석들, 압전 요소들, 또는 오디오 시스템의 다른 힘-생성 요소들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별개의 중심 및 주변 부재들을 사용하는 상단 하우징 부재들의 실시예들은 단일 피스 하우징 부재들과 상이한 변형 또는 편향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중심 부재(3204) 자체는 단일 피스 상단 하우징 부재의 중심 영역보다 덜 변형되고, 대신에(예를 들어, 수직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플레이트와 같이) 더 수직으로 이동한다. 다른 방식으로 말하면, 단일 피스 상단 하우징 부재는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해 벌지형(bulge-like)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반면, 상단 하우징 부재(3200)의 중심 부재(3204)는 이러한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해 수직으로 상하로(예컨대, 대체로 또는 전체적으로 병진 이동으로) 이동되는 동안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의 중심 부재가 주변 부재와 별개인 경우들에서, 중심 부재는 단일 피스 상단 하우징 부재의 중심 부재보다 더 두껍고/두껍거나 더 강성일 수 있다.
도 33a 내지 도 33c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상단 하우징 부재(3300)를 예시한다. 도 33a는 태그의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는 상단 하우징 부재(3300)의 외측 표면을 도시한다. 상단 하우징 부재(3300)는 주변 부재(3302), 중심 부재(3304) 및 유연성 부재(3306)를 한정할 수 있다. 주변 부재(3302)는 주변 벽 및 상단 벽을 한정할 수 있으며, 상단 벽은 중심 부재(330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개구를 한정한다. 주변 부재(3302)의 주변 벽은 태그의 주변 측벽(및 그에 따라 외부 주변 측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유연성 부재(3306)는 주변 부재(3302) 및 중심 부재(3304)보다 더 가요성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부재(3302)(상단 하우징 부재(3300)의 측벽을 한정할 수 있음) 및 중심 부재(3304)(상단 하우징 부재(3300)의 상단 외측 표면을 한정할 수 있음)는 ABS, PMMA와 같은 제1 중합체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유연성 부재(3306)는 제1 중합체 재료보다 더 가요성인 제2 중합체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연성 부재(3306)는, 중심 및 주변 부재들이 일체형 구조(예를 들어, 상단 하우징 부재(3100))인 경우에 발생하는 것보다 중심 부재(3304)가 주변 부재(3302)에 대해 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3b는 상단 하우징 부재(3300)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상단 하우징 부재(3300)는 주변 부재(330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보강 리브들(3308)을 한정할 수 있다. 중심 부재(3304)는 전술된 코일 부착 영역(3104)과 유사할 수 있는 코일 부착 영역(3310)을 한정할 수 있다.
도 33c는 도 33a의 라인 33C-33C를 따라 본 상단 하우징 부재(33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하우징 부재(3300)의 외측 표면 상에서 가시적인 유연성 부재(3306)의 일부분은 단지 유연성 부재(3306)의 일부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유연성 부재(3306)는 중심 부재(3304)의 내측 또는 저부 표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중심 부재(3304)를 주변 부재(3302)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유연성 부재(3306)는, 코일이 중심 부재(3304)에 직접 부착되어, 중심 부재(3304)에 힘을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코일 부착 영역(3310)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한정할 수 있다. 노출되는 유연성 부재(3306)의 부분은 주변 부재 및 중심 부재들에 비해 리세스될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3300)는, 상단 하우징 부재(3200)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공동-사출 성형 또는 삽입 성형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상단 하우징 부재(3200)와 같이, 상단 하우징 부재(3300)는, (일체형 상단 하우징 부재(3100)의 경우와 같이) 굽힘 또는 변형 모드보다는, 중심 부재(3304)의 실질적인 선형 이동(공칭 변형 없이 또는 공칭 변형만을 가짐)을 사용하여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심 부재(3304)는 주변 부재(3302)에 대해 병진하여 가청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4a 내지 도 34c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상단 하우징 부재(3400)를 예시한다. 도 34a는 태그의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는 상단 하우징 부재(3400)의 외측 표면을 도시한다. 상단 하우징 부재(3400)는 주변 부재(3402) 및 유연성 부재(3406)를 한정할 수 있다. 유연성 부재(3406)는, 상단 하우징 부재(3400)의 외부 표면의 일부이고 그에 따라 상단 하우징 부재(3400)를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외부 표면의 일부인, 상단 하우징 부재(3400)의 중심 영역을 한정한다. 유연성 부재(3406)는 유연성 부재들(3206, 3306)과 유사한 재료들(예를 들어, 실리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4b는 상단 하우징 부재(3400)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상단 하우징 부재(3400)는 주변 부재(340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보강 리브들(3408)을 한정할 수 있다. 상단 하우징 부재(3400)는 또한 유연성 부재(3406) 아래에 있는 중심 부재(3404)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 부재(3404)는 유연성 부재보다 더 강성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그리고 주변 부재(3402)와 동일한 재료일 수 있음). 중심 부재(3404)는 전술된 코일 부착 영역(3104)과 유사할 수 있는 코일 부착 영역(3410)을 한정할 수 있다. 유연성 부재(3406) 아래에 중심 부재(3404)를 제공하고, 중심 부재(3404)를 상단 하우징 부재(3400)의 내부 측에 노출된 채로 남겨 둠으로써, 코일은 비교적 중심 부재(3404)에 직접 부착되고 중심 부재(3404)의 강성을 사용하여, 코일의 이동을 (예를 들어, 중심 부재가 없는 상단 하우징 부재(3400)와 비교하여) 상단 하우징 부재(3400)의 중심 부재의 수직 운동으로 더 효율적으로 병진시킬 수 있다. 수직 운동은 주변 부재(3402)에 대한 중심 부재(3404)의 병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4c는 도 34a의 라인 34C-34C를 따라 본 상단 하우징 부재(34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부재(3406)는 상단 하우징 부재(3400)의 상단 외부 표면 전부를 실질적으로 한정하고, 중심 부재(3404)는 상단 하우징 부재(3400)의 외부의 어떠한 부분도 한정하지 않는다.
상단 하우징 부재(3400)는, 상단 하우징 부재(3200)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공동-사출 성형 또는 삽입 성형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상단 하우징 부재(3200)와 같이, 상단 하우징 부재(3400)는, (일체형 상단 하우징 부재(3100)의 경우와 같이) 굽힘 또는 변형 모드보다는, 중심 부재(3404)(및 유연성 부재(3406)의 중첩 부분)의 실질적인 선형 이동(공칭 변형 없이 또는 공칭 변형만을 가짐)을 사용하여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은 하나의 예시적인 폼 팩터 및 구성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4c는, 배터리가 스와핑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태그의 나머지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배터리 도어(예를 들어, 저부 하우징 부재)를 갖는, 일반적으로 둥근 퍽-형상 설계를 갖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을 예시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퍽-형상 구성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동일하거나 유사한 시스템들 및 기능들은 다른 폼 팩터들을 갖는 태그들에 통합될 수 있다. 도 35a 내지 도 58c는 다양한 상이한 폼 팩터들, 배터리 공동 액세스 시스템들, 하우징 컴포넌트들 등을 갖는 몇몇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을 예시한다.
도 35a는 배터리 공동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거가능한 배터리 도어 대신 배터리 액세스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태그(3500)를 예시한다. 태그(3500)는 본체 부분(3502) 및 주변 부분(3504)을 포함한다. 본체 부분(3502)은 일반적으로 둥근 퍽-형상 구성을 가지며, 주변 부분(3504)은 본체 부분(3502)의 주변 주위로 연장된다. 본체 부분(3502)은 태그(3500)의 상단 및 저부 표면들을 한정할 수 있는 한편, 주변 부분(3504)은 태그(3500)의 주변 측부 표면(들)을 한정한다.
주변 부분(3504)은 배터리 공동이 노출되게 하도록 본체 부분(3502)에 대해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살표(3506)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3502)을 고정된 상태로 홀딩하면서 본체 부분(3502)을 중심으로 주변 부분(3504)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작은 본체 부분(3502)으로 하여금 (화살표(3508)로 표시된 바와 같이) 주변 부분(3504)의 내측 영역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밖으로 이동하게 하여, 배터리(3510)가 제거 및/또는 교체될 수 있도록 배터리 공동(3512)을 노출시킬 수 있다. 도 35c는 배터리 공동(3512)으로부터 제거되는 배터리(3510)를 도시한다. 태그(3500)는, 태그(3500)를 개방하는 데 사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본체 부분(3502)을 정지 상태로 홀딩하면서) 본체 부분(3502)을 중심으로 주변 부분(3504)을 회전시킴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태그(3500)가 폐쇄될 때, 주변 부분(3504)은 배터리 공동(3512)에 배터리(3510)를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35d 및 도 35e는 도 35a의 라인 35D-35D를 따라 본 태그(3500)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이들 단면들은 명확성을 위해 단순화되고, 태그(3500)의 모든 컴포넌트들을 도시하지는 않는다. 도 35d는 폐쇄 구성의 태그(3500)를 도시하는 반면, 도 35e는 (도 35c에 도시된 구성에 대응하는) 개방 구성의 태그(3500)를 도시한다. 도 3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3502)이 연장될 때, 본체 부분(3502)의 상단 및 저부 표면들은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체 부분(3502)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배터리 공동(3512)을 노출시키도록 주변 부분(3504)이 비틀릴 때, 본체 부분(3502)의 이동으로 인해 리세스(3514)가 형성된다.
도 36a는 도 35a 내지 도 35e에 도시된 태그(3500)의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태그(3609)의 개방 및 폐쇄를 용이하게 하는 메커니즘의 세부 사항들을 예시하는, 태그(3609)의 일부분의 분해도이다. 도 36a 및 도 36b에 도시된 메커니즘은, 본체 부분의 저부 표면이 주변 부분에 대해 제자리에 남아있도록, 본체 부분이 팽창 또는 연장되게 하고, 상단 표면만이 상향으로 이동하여 배터리 공동을 노출시킨다.
태그(3609)는 배터리 공동(3607)을 한정하는 상부 본체 부분(3603) 및 하부 본체 부분(3604)을 포함한다. 이와 함께, 상부 및 하부 본체 부분들(3603, 3604)은 태그(3609)의 본체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한정할 수 있다. 상부 본체 부분(3603)은 태그(3609)의 상단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는 한편, 하부 본체 부분(3604)은 태그(3609)의 저부 외부 표면을 한정한다. 하부 본체 부분(3604)은 디바이스 컴포넌트들(3610)을 포함하고/하거나 지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 컴포넌트들(3610)은 회로 기판들, 회로 요소들, 프로세서들, 메모리, 센서들, 다양한 무선 통신들(예를 들어, UWB, WiFi, 블루투스 등)을 위한 무선 회로(안테나들을 포함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디바이스 컴포넌트들(361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태그의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본체 부분(3603)은 상부 본체 부분(3603)의 주변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안내 핀들(3601)을 포함한다. 안내 핀들(3601)은 안내 링(3600)의 제1 안내 슬롯들(3602)과 맞물릴 수 있다. 제1 안내 슬롯들(36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링(3600)을 통해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블라인드 채널들일 수 있다.
안내 링(3600)은 주변 부분(3605) 및 안내 링(3600)이 (본체 부분이 정지 상태로 홀딩되는 동안) 주변 부분(3605)에 회전력이 적용될 때 함께 회전하도록 주변 부분(3605)에 부착될 수 있다. 안내 링(3600)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접착제들, 클립들, 체결구들, 스프링들, 기계적 연동들 등을 이용하여 주변 부분(3605)에 부착될 수 있다.
하부 본체 부분(3604)은 상부 본체 부분(3603)의 안내 핀들(3601)과 또한 맞물리는 제2 안내 슬롯들(3606)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안내 슬롯들(3602)이 태그(3609)의 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향되는 반면, 제2 안내 슬롯들(3606)은 축에 평행하다. 조립될 때, 안내 핀들(3601), 제1 안내 슬롯들(3602), 및 제2 안내 슬롯들(3606) 사이의 상호작용은, 주변 부분(3605)이 본체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부 본체 부분(3603)이 주변 부분(3605) 및 하부 본체 부분(3604)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예를 들어, (주변 부분(3605)의 회전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안내 링(3600)의 회전 이동은 안내 핀들(3601)이 제1 안내 슬롯들(3602) 내에서 활주하게 하는 한편, 제2 안내 슬롯들(3606)은 상부 본체 부분(3603)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안내 핀들(3601)과 제1 및 제2 안내 슬롯들(3602, 3606) 사이의 상호작용들의 조합된 효과는 상부 본체 부분(3603)이 (도 36a의 배향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향 이동하게 하여, 배터리 공동(3607)을 노출시킨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1 및/또는 제2 안내 슬롯들(3602, 3606)은 태그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완전히 폐쇄되었다는 촉각 표시를 제공하는 범프들, 캐치들, 돌출부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들은 또한 태그를 완전히 개방 또는 폐쇄 포지션으로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36b는 배터리 공동(3607)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부 본체 부분(3603)이 축방향 상향으로 연장될 때 하부 본체 부분(3604)이 주변 부분(3605)의 저부 에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남아있는(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에 대해 이동하지 않는) 방법을 예시하는, 태그(3609)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태그(3609)는 (배터리의 배터리 단자들에 연결되는) 배터리 접점을 디바이스 컴포넌트들(3610)에 전도성으로 결합시키는 도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체들은 상부 본체 부분(3603)과 태그(3609)의 나머지 사이의 모션을 수용하도록 가요성일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슬립 링들과 유사할 수 있는 활주 전기 접점들은 태그(3609)의 상이한 구조물 상의 디바이스 컴포넌트들에 배터리 커넥터를 전도성으로 결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태그(3500)에 대해서도 유사한 배터리 커넥터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7a 내지 도 37c는 배터리 공동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거가능한 배터리 도어 대신 배터리 액세스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3700)를 예시한다. 태그(3700)는 본체 부분(3702) 및 주변 부분(3704)을 포함한다. 본체 부분(3702)은 일반적으로 둥근 퍽-형상 구성을 가지며, 주변 부분(3704)은 본체 부분(3702)의 주변 주위로 연장된다. 본체 부분(3702)은 태그(3700)의 상단 및 저부 표면들을 한정할 수 있는 한편, 주변 부분(3704)은 태그(3700)의 주변 측부 표면(들)을 한정한다.
주변 부분(3704)은 배터리 공동이 노출되게 하도록 본체 부분(3702)에 대해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살표들(3706)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체 부분(3702)을 주변 부분(3704)에 대해 상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주변 부분(3704)을 아래로 당기면서 저부로부터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으로) 본체 부분(3702)을 밀어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작은 본체 부분(3702)으로 하여금 주변 부분(3704)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배터리 공동(3710)을 드러낼 수 있다. 도 37c는 배터리 공동으로부터 제거되는 배터리(3712)를 도시한다. 태그(3500)와 같이, 주변 부분(3704)은 태그(3700)가 폐쇄될 때 배터리 공동(3710)에 배터리(3712)를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태그(3700)는 주변 부분(3704)에 대한 본체 부분(370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안내 메커니즘들 또는 특징부들(예를 들어, 안내 핀들 및 안내 핀들과 맞물리는 안내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메커니즘들 또는 특징부들은 본체 부분(3702)이 주변 부분(3704)에 대해 선형으로 이동하고 주변 부분(3704)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안내할 수 있다. 안내 메커니즘들 또는 특징부들은 또한, 주변 부분(3704)에 대한 본체 부분(3702)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이들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안내 메커니즘들 또는 특징부들은, 본체 부분(3702)이 완전히 개방된 또는 완전히 폐쇄된 포지션에 있을 때를 촉각적으로 표시하고, 또한, 완전히 개방된 또는 완전히 폐쇄된 포지션으로 본체 부분(3702)을 보유하는 멈춤쇠들, 래치들, 캐치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8a 내지 도 38c는 배터리 공동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거가능한 배터리 도어 대신 배터리 액세스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3800)를 예시한다. 태그(3800)는 본체 부분(3802) 및 주변 부분(3804)을 포함한다. 본체 부분(3802)은 일반적으로 둥근 퍽-형상 구성을 가지며, 주변 부분(3804)은 본체 부분(3802)의 주변 주위로 연장된다. 본체 부분(3802)은 태그(3800)의 상단 및 저부 표면들을 한정할 수 있는 한편, 주변 부분(3804)은 태그(3800)의 주변 측부 표면(들)을 한정한다.
주변 부분(3804)은 배터리 공동이 노출되게 하도록 본체 부분(3802)에 대해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살표(3806)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3802)에 대해 주변 부분(3804)을 피봇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주변 부분(3804)을 잡고 본체 부분(3802)을 고정된 상태로 홀딩하면서(또는 임의의 등가의 조작들) 본체 부분(3802)의 직경 축을 중심으로 주변 부분(3804)을 비트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작은 주변 부분(3804)이 본체 부분(3802)에 대해 피봇하게 함으로써, 배터리 공동(3810)을 드러낼 수 있다. 도 38c는 배터리 공동으로부터 제거되는 배터리(3812)를 도시한다. 태그(3500)와 같이, 주변 부분(3804)은 태그(3800)가 폐쇄될 때 배터리 공동(3810)에 배터리(3812)를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태그(3800)는 본체 부분(3802)에 주변 부분(3804)을 피봇 결합시키는 피봇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피봇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컴포넌트들을 함께 피봇 결합하도록 맞물리는 (주변 부분(3804) 및 본체 부분(3802) 상의) 핀들 및 리셉터클들의 상보적인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3800)는 또한, 주변 부분(3804)이 본체 부분(3802)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는 양 및/또는 방향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특징부들(예를 들어, 립들, 플랜지들, 핀들 및 슬롯들, 래치들, 캐치들, 또는 다른 상호작용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3800)는 또한, 주변 부분(3804)이 본체 부분(3802)에 대해 완전히 개방 또는 완전히 폐쇄된 포지션에 있을 때를 촉각적으로 표시하고, 또한 주변 부분(3804)을 완전히 개방 또는 완전히 폐쇄된 포지션으로 보유하는 멈춤쇠들, 래치들, 캐치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9a 내지 도 39c는 배터리 공동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거가능한 배터리 도어 대신 배터리 액세스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3900)를 예시한다. 태그(3900)는 본체 부분(3902) 및 주변 부분(3904)을 포함한다. 본체 부분(3902)은 일반적으로 둥근 퍽-형상 구성을 가지며, 주변 부분(3904)은 본체 부분(3902)의 주변 주위로 연장된다. 본체 부분(3902)은 태그(3900)의 상단 및 저부 표면들을 한정할 수 있는 한편, 주변 부분(3904)은 태그(3900)의 주변 측부 표면(들)을 한정한다.
주변 부분(3904)은, 도 3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매(3903)를 따라 본체 부분(3902)에 부착되는 유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주변 부분(3904)은 쌍안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안정 위치(도 39a)에서, 주변 부분(3904)은 본체 부분(3902)의 측면들을 덮고 배터리 공동(3910)(도 39b)을 덮으며, 이에 의해 배터리 공동에 배터리(3912)(도 39b)를 보유한다. 제2 안정 구성에서, 주변 부분(3904)은 하향으로 편향되거나 변형되고, 이음매(3903)에서 본체 부분(3902)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는 동안(그리고 제2 안정 구성으로 주변 부분(3904)을 유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힘을 요구하지 않고), 배터리 공동(3910)은 배터리(3912)가 제거 및/또는 교체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노출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쌍안정 대신에, 주변 부분(3904)은 폐쇄 구성(도 39a)을 향해 편향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배터리를 교체하면서 주변 부분(3904)을 개방 구성으로 홀딩해야 한다.
주변 부분(3904)은 사용자가 주변 부분(3904)에 롤링 힘 또는 박리력을 적용함으로써 제2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9a 및 도 39b는 배터리 공동(3910)을 노출시키기 위해 주변 부분(3904)에 적용될 수 있는, 화살표들(3906)로 표시된 예시적인 롤링 힘을 도시한다. 태그(3900)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는 반대 방향으로 주변 부분(3904)에 힘을 적용하거나(주변 부분(3904)이 쌍안정인 경우), 또는 단순히 주변 부분(3904)을 개방 상태로 홀딩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주변 부분(3904)이 폐쇄 구성으로 편향된 경우).
주변 부분(3904)은 엘라스토머 재료와 같은 중합체 재료로부터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부분(3904)의 재료 및 형상은 전술된 쌍안정(또는 비-쌍안정) 구성들을 생성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주변 부분(3904)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이음매(3903)에서) 본체 부분(3902)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부분(3904)은 본체 부분(3902)과 기계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주변 부분(3904) 및 본체 부분(3902)은 본체 부분(3902)에 주변 부분(3904)을 부착하는 기계적 연동(및 선택적으로 화학적 또는 접착제 접합)을 형성하기 위해 삽입 성형 또는 공동 성형될 수 있다.
도 40a 내지 도 40c는 배터리 공동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또 다른 하우징 구성을 사용하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4000)를 예시한다. 태그(4000)는 제1 본체 부분(4002) 및 제2 본체 부분(400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본체 부분들(4002, 4004)은 형상 및 크기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제1 본체 부분(4002)은 태그(4000)의 주변 측부 표면의 약 절반 및 상단 표면을 한정할 수 있는 한편, 제2 본체 부분(4004)은 태그(4000)의 주변 측부 표면의 다른 절반 및 저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본체 부분들(4002, 4004)은 배터리 공동(4010)(도 40c)을 드러내고 배터리(4012)가 스와핑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본체 부분들(4002, 4004) 둘 모두는 배터리 공동(4010)의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본체 부분들(4002, 4004)은 가압 및 비틀림 상호작용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는 비틀림력을 적용하기 전에 그리고/또는 적용하는 동안(화살표(4008)로 표시됨) 축방향 힘을 적용해야 한다(화살표들(4006)로 표시됨). 이어서, 사용자는 도 4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신체 부분들(4002, 4004)을 분리할 수 있다. 태그(4000)는, 도 40a 및 도 4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본체 부분들(4002, 4004)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고 이들이 분리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래치들, 캠 래치들, 스프링들, 채널들, 돌출부들 등과 같은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 및/또는 메커니즘들의 일부 예들은 도 12a 내지 도 12c 및 도 14a 내지 도 25c와 관련하여 전술되어 있다. 따라서, 간결성을 위해, 이들의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은 본 출원의 다양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퍽-형상 태그들 이외의 폼 팩터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폼 팩터들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특징들, 기능들, 메커니즘들 및 시스템들이 태그들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1a 내지 도 41c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원형의 퍽-형상 태그들과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마름모꼴 형상 외관을 갖는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4100)를 예시한다.
태그(4100)는 제1 하우징 부재(4102) 및 제2 하우징 부재(4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재(4104)는 태그(4100)의 나머지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방향(4106)을 따라 제2 하우징 부재(4104)를 당기는 것에 의해) 제거되어 배터리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터리 공동 및 배터리를 노출시킬 수 있다. 도 41b는 제2 하우징 부재(4104)가 태그(4100)로부터 탈착되고 배터리 공동(4110)을 노출시키는 태그(4100)를 예시한다. 태그(4100)는 프레임 부재(41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는 배터리 공동(411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고, 회로 기판, 안테나들, 오디오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태그 컴포넌트들을 지지할 수 있다.
태그(4100)는 또한 제2 하우징 부재(4104)를 프레임 부재(4114)에 해제가능하게 보유하는 래치 메커니즘(4116)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메커니즘(4116)은 제2 하우징 부재(4104)를 프레임 부재(4114)에 보유하도록 제2 하우징 부재(4104) 내의 리세스, 공동 또는 다른 특징부와 맞물리면서 제2 하우징 부재(4104)가 사용자에 의해 제거되도록 허용하는 외향으로 편향된 래칭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메커니즘(4116)은 사용자가 단순히 제2 하우징 부재(4104)를 당기는 것에 의해 이를 탈착시킬 수 없도록 하는 잠금 메커니즘 또는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4100)는 래치 메커니즘(4116)이 제2 하우징 부재(4104)를 해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푸시되어야 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1c는 도 41a의 라인 41C-41C를 따라 본 태그(41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1c는 프레임 부재(4114)에 의해 한정된 배터리 공동(4110) 내의 배터리(4112)를 도시한다. 도 41c는 래치 메커니즘(4116)이 제2 하우징 부재(4104) 내의 리세스 또는 다른 특징부와 어떻게 맞물릴 수 있는지를 추가로 예시한다. 래치 메커니즘(4116) 및 제2 하우징 부재(4104)는 제2 하우징 부재(4104)가 태그에 부착되는 것에 응답하여 래치 메커니즘(4116)이 하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메커니즘(4116)의 상단은 둥글거나, 챔퍼링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2 하우징 부재(4104)에 의해 접촉될 때, 제2 하우징 부재(4104)가 완전히 부착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래치 메커니즘(4116)이 편향되게 하는 계면 표면을 한정할 수 있다.
도 41c는 또한, 제1 하우징 부재(410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인 영역 내의 회로 기판(4122) 및 오디오 시스템(4120)을 예시한다. 회로 기판(4122)은 회로 요소들, 프로세서들, 메모리, 도체들, 센서들, 안테나들, 또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컴포넌트들은 또한 태그(4100) 내의 또는 태그 상의 다른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들은 전술된 안테나 조립체(508)와 유사한 방식으로 프레임 부재(4114)와 통합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412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오디오 시스템들과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은 제1 하우징 부재(4102)의 내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자석은 코일이 스피커로서 동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코일을 통해 신호(예를 들어, 전류)를 전달함으로써, 제1 하우징 부재(4102)의 일부분은 스피커 다이어프램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추가로, 오디오 시스템(4120)은 사용자가 제1 하우징 부재(4102)를 터치할 때 느낄 수 있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오디오 시스템(4120)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다른 유형들의 오디오 시스템들 및/또는 촉각 출력 생성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2a 및 도 42b는 일반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의 폼 팩터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4200)를 예시한다. 태그(4200)는 태그(4200)의 주변 표면의 일부 및 상단 표면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4202)를 포함한다. 태그(4200)는 또한 태그(4200)의 저부 표면의 일부(예를 들어, 대략 절반) 및 태그(4200)의 주변 표면의 일부를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4204)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재(4204)는 태그(4200)의 사용자에 의해 제거되도록 의도되지 않을 수 있다. 태그(4200)는 또한, 태그(4200)의 저부 표면의 일부(예를 들어, 대략 절반) 및 태그(4200)의 주변 표면의 일부를 또한 한정할 수 있는 제3 하우징 부재(42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 부재(4206)는 배터리 공동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거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2a는 태그(4200)의 나머지로부터 제거된 제3 하우징 부재(4206)를 예시한다. 제3 하우징 부재(4206)는 배터리(4212)에 대한 배터리 공동(4210)의 적어도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제3 하우징 부재(4206)의 특징부들은 제3 하우징 부재(4206)를 태그(4200)에 대해 보유하면서 또한 배터리 교체를 위해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들(4202, 4204)의 대응하는 특징부들 또는 태그(4200)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예를 들어, 프레임 부재)와 맞물릴 수 있다. 그러한 특징부들은 클립들, 래치들, 멈춤쇠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 부재(4206)는 제3 하우징 부재(4206)와 태그(4200)의 다른 부분 사이의 갭에 삽입된 손톱, 도구, 또는 다른 기구를 이용하여 프라잉(prying)함으로써 태그(42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컴포넌트 세트 및 그러한 컴포넌트들(회로 기판들, 오디오 시스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함)의 기능 및 배열과 같은 다른 점들에서, 태그(4200)는 태그(4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추가로, 태그(4200)는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태그의 특징부들 중 임의의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3a 내지 도 43c는 일반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의 폼 팩터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4300)를 예시한다. 태그(4300)는 태그(4300)의 주변 표면의 일부 및 상단 표면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4302)를 포함한다. 태그(4300)는 또한 태그(4300)의 저부 표면의 실질적으로 전부 또는 일부 및 태그(4300)의 주변 표면의 일부를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4304)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재(4304)는 제1 하우징 부재(4302)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배터리 공동들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재(4304)는 태그(4300)에 대한 배터리 트레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재(4304)는 태그(4300)와 활주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 부재(4304)는 제1 하우징 부재(4302)의 레일들 또는 슬롯들(또는 태그(4300)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에 의해 한정됨)과 맞물릴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재(4304)는 제2 하우징 부재(4304)를 외향으로(예를 들어, 마름모꼴 형상 태그(4300)의 장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태그(4300)는 사용 동안 폐쇄 구성으로 제2 하우징 부재(4304)를 보유하고, 제2 하우징 부재(4304)의 우발적인 제거를 방지하는 것을 돕는 보유 특징부들(예를 들어, 클립들, 래치들, 잠금 메커니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3b는 제2 하우징 부재(4304)가 태그(4300)로부터 제거된 태그(4300)를 예시한다. 제2 하우징 부재(4304)는 2개의 배터리들(4312)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배터리 공동들(4310)을 한정한다.
도 43c는 도 43a의 라인 43C-43C를 따라 본 태그(43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3c는 제2 하우징 부재(4304)에 의해 한정된 배터리 공동들(4310) 내의 배터리들(4312)을 도시한다. 도 43c는 또한 회로 기판(4316) 및 오디오 시스템(4314)을 예시하며, 이들 둘 모두는 프레임 부재(4315)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 회로 기판, 및 오디오 시스템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른 프레임 부재들, 회로 기판들 및 오디오 시스템들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이들의 세부 사항들은 여기에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컴포넌트 세트 및 그러한 컴포넌트들(회로 기판들, 오디오 시스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함)의 기능 및 배열과 같은 다른 점들에서, 태그(43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44a 내지 도 44c는 일반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의 폼 팩터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4400)를 예시한다. 태그(4400)는 태그(4400)의 상단 표면의 일부, 저부 표면의 일부, 및 주변 표면의 일부를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4402)를 포함한다. 태그(4400)는 또한 태그(4400)의 상단 표면, 저부 표면 및 주변 표면의 나머지 부분들을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4404)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재(4404)는 제1 하우징 부재(4402)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고, 배터리 공동을 한정할 수 있다.
도 44b는 제2 하우징 부재(4404)가 제1 하우징 부재(4402)로부터 탈착된 태그(4400)를 도시한다. 제2 하우징 부재(4404)는 배터리(4412)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공동(4410)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4402)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을 함께 해제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해 제2 하우징 부재(4404)와 맞물리는 레지(4406)를 한정할 수 있다. 레지(4406)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을 함께 홀딩하기 위해 제2 하우징 부재(4404) 상의 대응하는 특징부들과 맞물리면서 또한 배터리를 제거 및/또는 교체하기 위해 배터리 공동(4410)에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해 이들이 분리될 수 있게 하는 래치들, 캐치들, 돌출부들, 채널들, 리세스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들은 레지(4406) 및 제2 하우징 부재(4404)와 일체형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레지(4406)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4404)에 부착된 별개의 컴포넌트들일 수 있다.
도 44c는 도 44a의 라인 44C-44C를 따라 본 태그(44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4c는 제2 하우징 부재(4404)에 의해 한정된 배터리 공동(4410) 내의 배터리(4412)를 도시한다. 도 44c는 레지(4406)에 의해 한정되거나 달리 부착된 돌출부가 제2 하우징 부재(4404)의 내부 표면을 따라 대응하는 리세스와 어떻게 맞물릴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돌출부 및 리세스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4402, 4404)을 함께 보유하면서, 사용자가 돌출부 및 리세스에 의해 생성된 보유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적용하면 (예를 들어, 이들을 당김으로써) 이들이 탈착되게 할 수 있다.
도 44c는 또한, 제1 하우징 부재(4402)에 의해 한정된 내부 공동 내의 회로 기판(4416) 및 오디오 시스템(4414)을 예시한다. 태그(4400)는 또한 배터리의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단자들과 접촉하고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을 회로 기판(4416) 및/또는 태그(4400)의 다른 전기 컴포넌트들에 제공하는 배터리 커넥터들(4418, 4420)(도 44b)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 및 오디오 시스템은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른 회로 기판들 및 오디오 시스템들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이들의 세부 사항들은 여기에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컴포넌트 세트 및 그러한 컴포넌트들(회로 기판들, 오디오 시스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함)의 기능 및 배열과 같은 다른 점들에서, 태그(44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45a 및 도 45b는 일반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의 폼 팩터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4500)를 예시한다. 태그(4500)는 배터리 공동(4510)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태그(4500)의 나머지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제거가능한 하우징 부재(4506)를 포함한다. 태그(4500)는 비-사용자-제거가능 하우징 부재들로서 구성될 수 있는 다른 하우징 부재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 부재(4502), 제2 하우징 부재(4504) 및 제3 하우징 부재(450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보다 많은 또는 보다 적은 하우징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개의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 대신에 단일 하우징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5b는 제2 하우징 부재(4504)가 태그(4500)로부터 탈착된 태그(4500)를 도시한다. 태그(4500)는 프레임 부재(4508)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공동(4512)은 프레임 부재(4508) 내에 한정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하우징 부재들(4502, 4504, 및 4505)은 예를 들어, 클립들, 접착제들, 초음파 용접 등을 통해 프레임 부재(4508)에 부착될 수 있다. 제거가능한 하우징 부재(4506)는, 제거가능한 하우징 부재(4506)를 프레임(또는 태그(4500)의 다른 컴포넌트)에 보유하면서 사용자가 특징부들에 의해 제공되는 보유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적용하면, 그것이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클립들, 래치들, 멈춤쇠들, 채널들, 리세스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보유 특징부를 통해 프레임 부재(4508)에 해제가능하게 보유될 수 있다.
컴포넌트 세트 및 그러한 컴포넌트들(회로 기판들, 오디오 시스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함)의 기능 및 배열과 같은 다른 점들에서, 태그(45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46a 및 도 46b는 일반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의 폼 팩터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4600)를 예시한다. 태그(4600)는 태그(4600)의 주변 표면의 일부 및 상단 표면 및 저부 표면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4602)를 포함한다. 태그(4600)는 또한 태그(4600)의 주변 표면의 나머지 부분들을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4604)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재(4604)는 제1 하우징 부재(4602)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고, 배터리 공동을 한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보다 많은 또는 보다 적은 하우징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별개의 하우징 부재들이 일체형 제1 하우징 부재(4602)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6b는 제2 하우징 부재(4604)가 제1 하우징 부재(4602)로부터 탈착된 태그(4600)를 도시한다. 제2 하우징 부재(4604)는 배터리(4612)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공동(4610)을 한정할 수 있다. 태그(4600)는 또한 제2 하우징 부재(4604)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배터리 커버(4614)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4614)는 클립들, 나사산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특징부들을 통해 제2 하우징 부재(4604)에 보유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4614)는 배터리(4612)의 우발적인 해제를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재(4604)는, 제2 하우징 부재(4604)를 태그(4600)에 보유하면서 사용자가 특징부들에 의해 제공되는 보유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적용하면, 그것이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클립들, 래치들, 멈춤쇠들, 채널들, 리세스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보유 특징부를 통해 제1 하우징 부재(4602)(또는 태그(4600)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에 해제가능하게 보유될 수 있다. 컴포넌트 세트 및 그러한 컴포넌트들(회로 기판들, 오디오 시스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함)의 기능 및 배열과 같은 다른 점들에서, 태그(46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47a 내지 도 47c는 일반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의 폼 팩터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4700)를 예시한다. 태그(4700)는 본체 부분(4702) 및 배터리 홀더(4704)를 포함한다. 배터리 홀더(4704)는 배터리 공동을 드러내도록 본체 부분(4702)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도 47b는 배터리 홀더(4704)가 연장되어 배터리(4712)가 교체될 수 있도록 배터리 공동(4710)를 드러내는 태그(4700)를 예시한다.
본체 부분(4702)은 저부 표면의 일부 및 태그(4700)의 주변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한정할 수 있는 제1 하우징 부재(4705), 및 태그(4700)의 상단 표면의 일부를 한정할 수 있는 제2 하우징 부재(4703)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홀더(4704)는 또한 태그(4700)의 상단 표면의 일부 및 저부 표면의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배터리 홀더(4704)의 상단 및 저부 표면들은 태그(4700) 자체의 외부 상단 및 저부 표면들의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터리 홀더(4704)는 배터리 홀더(4704)의 표면들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배터리 홀더(4704)는 태그(3500)(도 35a 및 도 35b)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터리 홀더를 조작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신체 부분(4702)을 보유하는 동안, 사용자는 (화살표(4701)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홀더(4704)에 비틀림 또는 회전 모션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배터리 홀더(4704)가 본체 부분(4702)에 대해 위로 상승하게 하고, 이로써 배터리 공동(4710)를 노출시킨다.
도 47c는 태그(4700)의 부분 분해도를 예시한다. 제1 하우징 부재(4705)는 제1 공동(4707) 및 제2 공동(4717)을 한정한다. 제1 공동(4707)은 회로 기판들, 오디오 시스템들, 안테나들, 안테나 조립체들, 프로세서들 등과 같은 디바이스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태그들에 대해 언급된 바와 같이, 그러한 컴포넌트들(회로 기판들, 오디오 시스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함)의 기능 및 배열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부재(4703)는 제1 하우징 부재(4705)에 결합되어, 본체 부분(4702)의 외부 표면들을 한정하고 제1 공동(4707)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하우징 부재들과 같은 하우징 부재들의 다른 구성들이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 홀더(4704)는 제2 공동(4717)에 위치된다.
제1 하우징 부재(4705)는 제1 개구(4711)를 한정할 수 있고, 제2 하우징 부재(4703)는 제2 개구(4709)를 한정할 수 있다. 배터리 홀더(4704)는 제1 및 제2 개구들(4711, 4709)을 통해 액세스가능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배터리 홀더(4704)의 외부 표면들은, 사용자가 배터리 홀더(4704)의 표면들을 핀칭하여 배터리 홀더(4704)를 연장 또는 후퇴시키기 위해 필요한 조작을 적용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개구들(4711, 4709) 내에 있을 수 있다.
배터리 홀더(4704) 및 본체 부분(4702)은, 배터리 홀더(4704)가 본체 부분(4702)에 대해 비틀릴 때 상방으로 연장되게 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7c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에서, 배터리 홀더(4704)는 안내 핀들(4714)을 한정하고, 제1 하우징 부재(4705)는 안내 핀들(4714)과 맞물리는 안내 슬롯들(4716)을 한정한다. 안내 슬롯들(4716)은, 안내 핀들(4714)이 안내 슬롯들(4716)을 따라 활주함에 따라 배터리 홀더(4704)에 적용된 비틀림 모션이 배터리 홀더(4704)를 연장 또는 후퇴시키도록 각을 이룬다.
태그(4700)는 배터리 홀더(4704)가 후퇴된 구성에 있을 때 태그(4700) 내로의 액체, 먼지, 또는 다른 오염물들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8a 및 도 48b는 후퇴된 상태(도 48a) 및 연장된 상태(도 48b)에 있는 배터리 홀더(4704)를 도시하는, 도 47a의 라인 48A-48A를 따라 본 태그(4700)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48a는 배터리 홀더(4704)와 태그(4700)의 본체 부분(4702) 사이의 계면을 밀봉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들을 도시한다.
도 48a를 참조하면, (제1 개구(4711)에서) 배터리 홀더(4704)와 제1 하우징 부재(4705) 사이 그리고 (제2 개구(4709)에서) 배터리 홀더(4704)와 제2 하우징 부재(4703) 사이의 계면들은 유연성 밀봉들을 사용하여 밀봉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밀봉 부재(4814)가 배터리 홀더(4704)의 제1 계면 표면(4816)에 부착될 수 있다. 후퇴된 구성에서, 제1 밀봉 부재(4814)는 제1 하우징 부재(4705)의 제1 밀봉 표면(4812)과 접촉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밀봉 부재(4808)가 배터리 홀더(4704)의 제2 계면 표면(4806)에 부착될 수 있다. 후퇴된 구성에서, 제2 밀봉 부재(4808)는 제2 하우징 부재(4703)의 제2 밀봉 표면(4810)(이는 제2 개구(4709)의 벽을 따라 한정된 레지의 표면일 수 있음)과 접촉할 수 있다. 배터리 홀더(4704)가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밀봉 부재들(4808, 4814)은 이들 각자의 밀봉 표면들에 대해 강제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액체들, 먼지 또는 다른 오염물들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밀봉 부재들(4808, 4814)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유연성 중합체 재료(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실리콘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접착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착 기술(예를 들어, 공동 성형, 기계적 연동 등)을 통해 이들 각자의 계면 표면들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밀봉 부재들(4808, 4814)이 배터리 홀더(4704)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들은 그 대신 하우징 부재들의 밀봉 표면들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로, 계면 표면들, 밀봉 표면들 및 밀봉 부재들의 다른 구성들이 또한 고려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안내 슬롯들(4716)은 배터리 홀더(4704)가 완전히 연장되거나 완전히 후퇴되었다는 촉각 표시를 제공하는 범프들, 캐치들, 돌출부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특징부들은 또한, 완전히 연장된 또는 후퇴된 포지션들에서 배터리 홀더(4704)를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배터리 홀더(4704)가 완전히 후퇴된 포지션에 있을 때(그리고 범프들, 캐치들, 돌출부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을 통해 상기 포지션에 보유될 때), 밀봉 부재들은 이들 각자의 밀봉과 계면 표면들 사이에서 압축되어서 오염물들에 대항하여 포지티브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9a 및 도 49b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4900)를 예시한다. 태그(49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들과 유사한 일반적으로 원형의 퍽-형상 폼 팩터를 갖는다. 태그(4900)는 태그(4900)의 실질적으로 모든 외부 표면들을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4902) 및 제2 하우징 부재(49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 부재(4902)는 태그(4900)의 주변 측부 표면의 일부분(예를 들어, 대략 절반) 및 상단 표면 전부를 한정할 수 있는 한편, 제2 하우징 부재(4904)는 태그(4900)의 주변 측부 표면의 일부분(예를 들어, 대략 절반) 및 저부 표면 전부를 한정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4902, 4904)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보일 수 있고, 이로써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한정한다.
도 49b는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4902, 4904)을 도시하는 태그(4900)의 부분 분해도이다. 태그(4900)는 또한, 액체들 또는 다른 오염물들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4902, 4904)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4906)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4900)는 디바이스 컴포넌트들(4908)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컴포넌트들(4908)은 프레임들(예를 들어, 프레임 부재들, 안테나 조립체들) 회로 기판들, 회로 요소들, 프로세서들, 메모리, 센서들, 다양한 무선 통신들(예를 들어, UWB, WiFi, 블루투스 등)을 위한 무선 회로(안테나들을 포함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디바이스 컴포넌트들(4908)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태그의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4900)는 또한 전자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49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4902, 4904)은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4902, 4904)에 의해 한정된 연동 특징부들을 통해 함께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부재(4902)는 제2 하우징 부재(4904)와 정합하는 플랜지 상의 개구들(4909)(또는 리세스들 또는 다른 적합한 특징부들)을 한정할 수 있다. 대응하여, 제2 하우징 부재(4904)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4902, 4904)을 함께 보유하기 위해 개구들(4909)과 맞물리는 클립들(4905)을 한정한다.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4902, 4904)은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4902, 4904)을 (예를 들어, 손톱 또는 다른 도구 또는 기구를 이용하여) 프라잉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당김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분리가능할 수 있다.
개구들 및 클립들은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과 일체형일 수 있거나(예를 들어, 단일 피스로서 형성됨), 또는 이들은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에 부착되는 별개의 컴포넌트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들 및 클립들을 한정하는 링들이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에 부착될 수 있다. 별개의 컴포넌트들이 함께 부착되는 경우, 컴포넌트들은 하우징 부재들과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부재들이 중합체인 경우, 개구들 및 클립들을 한정하는 링들(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은 금속, 상이한 중합체 재료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개구들 및 클립들은 하우징 부재들 상에 상이하게 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하우징 부재는 일부 개구들 및 일부 클립들을 한정할 수 있다. 클립들 및 개구들 이외의 보유 특징부들이 개구들 및 클립들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50a 및 도 50b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5000)를 예시한다. 태그(50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들과 유사한 일반적으로 원형의 퍽-형상 폼 팩터를 갖는다. 태그(5000)는 태그(5000)의 실질적으로 모든 외부 표면들을 한정하는 본체 부분(5002) 및 배터리 트레이(50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부분(5002)은 태그(5000)의 상단 표면 전부, 저부 표면 전부, 및 주변 측부 표면의 일부분을 한정할 수 있는 한편, 배터리 트레이(5004)는 태그(5000)의 주변 측부 표면의 나머지 부분을 한정할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5004)는 배터리 공동을 노출시키고 배터리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체 부분(5002)에 대해 개방가능할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5004) 및 본체 부분(5002)은, 선형 경로를 따라 본체 부분(5002) 내로 배터리 트레이(5004)를 안내하기 위해 서로 맞물리는 상보적인 슬롯들, 슬라이드들, 채널들, 레일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5004)는 본체 부분(500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개방 또는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에도 본체 부분(5002)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도록 본체 부분(5002)에 캡처될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5004)는 사용자가 본체 부분(5002)을 홀딩하면서 배터리 트레이(5004) 상에서 외향으로 당김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도 50b는 본체 부분(5002)으로부터 제거된 배터리 트레이(5004)를 도시하는 태그(5000)의 부분 분해도이다. 배터리 트레이(5004)는 배터리(5012)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공동(5010)을 한정할 수 있다. 본체 부분(5002)은 제1 하우징 부재(5006) 및 제2 하우징 부재(500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함께 배터리 트레이(5004)를 수용하는 개구(5009)를 한정할 수 있다.
태그(5000)는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016)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016)은 프레임들(예를 들어, 프레임 부재들, 안테나 조립체들) 회로 기판들, 회로 요소들, 프로세서들, 메모리, 센서들, 다양한 무선 통신들(예를 들어, UWB, WiFi, 블루투스 등)을 위한 무선 회로(안테나들을 포함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01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태그의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5000)는 또한, 오디오 시스템(50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오디오 시스템(5014)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오디오 시스템들(예를 들어, 가청 출력을 생성하기 위한 다이어프램으로서 제2 하우징 부재(5008)의 일부분을 사용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함)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도 51a 내지 도 51c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5100)를 예시한다. 태그(51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들과 유사한 일반적으로 원형의 퍽-형상 폼 팩터를 갖는다. 다른 퍽-형상 태그들이 퍽의 중심(예를 들어, 축방향) 축을 따라 오디오 시스템, 회로 기판 및 배터리를 적층할 수 있는 반면, 태그(5100)의 오디오 시스템은 다른 디바이스 컴포넌트들 옆에(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평면 배열로) 위치된다.
태그(5100)는 태그(5100)의 상단 표면 및 주변 측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는 상단 하우징 부재(5102), 및 저부 하우징 부재(또는 배터리 도어)(5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5104)는, 도 12a 내지 도 12c 및 도 14a 내지 도 25c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들과 같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부착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상단 하우징 부재(5102) 또는 태그(5100)의 다른 컴포넌트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5100)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5100)는 오디오 출력들을 생성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하우징 내에 포함한다. 스피커로부터의 사운드는 상단 하우징 부재(5102)를 통해 연장되는 스피커 개구들(5106)을 통해 태그(5100)를 빠져 나간다.
도 51b는 배터리(5112)가 제거된 상태로, 저부 하우징 부재(5104)가 상단 하우징 부재(5102)로부터 제거된 태그(5100)를 도시한다. 저부 하우징 부재(5104)는 태그(5100) 상의 상보적인 특징부들과 맞물리는 래치 부재들(5108)을 포함할 수 있다. 저부 하우징 부재(5104)는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배터리(5112)를 태그(5100) 내로 그리고 배터리 커넥터들과 맞물리도록 편향시키는 유연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1c는 태그(5100)의 부분 분해도이다. 태그(5100)는 커버(5120) 및 커버(5120)가 부착되는 주변 부재(51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5120) 및 주변 부재(5122)는 상단 하우징 부재(5102)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한정할 수 있다. 커버(5120)는 상단 하우징 부재(5102)의 스피커 개구들(5106)을 한정할 수 있다.
태그(5100)는 또한, 스피커 개구들(5106)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전술된 바와 같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5124)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디오 시스템(5124)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오디오 시스템들과 유사하게, 다이어프램으로서 상단 하우징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 및 자석을 포함한다.
태그(5100)는, 또한, 회로 기판(5126)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5126)은 회로 요소들, 프로세서들, 메모리, 센서들, 다양한 무선 통신들(예를 들어, UWB, WiFi, 블루투스 등)을 위한 무선 회로(안테나들을 포함함) 등과 같은 디바이스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5126)은 회로 기판이 오디오 시스템(5124) 옆에 위치될 수 있게 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를 허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5126)은 간극 영역(5125)을 한정할 수 있고, 오디오 시스템(5124)은 간극 영역(5125)에 네스팅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태그(5100)는 또한 프레임 부재(512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5128)는 배터리(5112)를 수용하는 배터리 공동(5129)을 한정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5128)는 또한 태그(5100)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5126), 안테나들, 및 오디오 시스템(5124)은 프레임 부재(5128)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로, 상단 및 저부 하우징 부재들(5102, 5104)은 프레임 부재(5128)에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5128)는 (전술된) 태그(500)의 프레임 부재(512) 및/또는 안테나 조립체(508)의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시스템(5124), 배터리(5112) 및 회로 기판(5126)은 모두 대략 동일한 측방향 평면에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컴포넌트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5120)의 상단 표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단일 평면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시스템, 배터리, 및 회로 기판이 축을 따라 적층되는 태그들보다 더 큰 직경을 갖지만 더 작은 축 방향 높이를 갖는 태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2a 내지 52c는 태그에 대한 다른 폼 팩터를 도시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5200)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2a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태그(5200)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태그(5200)는 본체 부분(5202) 및 본체 부분(5202)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배터리 커버(5204)를 포함한다. 본체 부분(5202)은 회로 기판들, 오디오 시스템들, 안테나들, 안테나 조립체들, 프로세서들 등과 같은 디바이스 컴포넌트들을 하우징할 수 있다. 다른 태그들에 대해 언급된 바와 같이, 그러한 컴포넌트들(회로 기판들, 오디오 시스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함)의 기능 및 배열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태그(5200)는 오디오 출력들을 생성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로부터의 사운드는 본체 부분(5202) 내의 스피커 개구들(5206)을 통해 태그(5200)를 빠져 나간다.
도 52b는 본체 부분(5202)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들 및 배터리 커버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예시하는 태그(520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상호교환가능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태그의 외관 및 기능의 태양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 5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배터리(5212)는 도 52a의 전체 외관에 대응하는 배터리 커버(5204)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2개의 배터리들(5212)과 함께 더 큰 배터리 커버(5214)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태그(5200)에 대한 증가된 배터리 수명을 제공한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배터리 커버(5216)는 루프로서 도 52b에 도시된 부착 특징부(5217)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특징부(5217)는 태그(5200)를 키 링 또는 분할 링, 랜야드, 클립, 스트랩 등과 같은 다른 물체들에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배터리 커버(5218)는 충전 포트(5220)를 포함할 수 있고, 재충전가능 배터리(5222)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5218)는 선택적으로 충전 및/또는 다른 배터리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동일한 본체 부분(5202)과 함께 재충전가능 또는 비-재충전가능 배터리들을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52c는 도 52a의 라인 52C-52C를 따라 본 태그(5200)의 부분 단면도를 예시한다. 태그(5200)는 본체 부분(5202) 내에 프레임 부재(5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5230)는 태그(5200)의 다른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회로 기판(5226),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 개구들(5206) 밖으로 사운드를 지향시키는) 오디오 시스템(5224) 등에 대한 장착 구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은 전술된 안테나 조립체(508)와 유사한 방식으로 프레임 부재(5230)에 장착된다. 회로 기판(5226)은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태그(5200)의 전기적 및/또는 계산 기능들을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다른 회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5226)은 또한, 태그(5200)의 다양한 전기 컴포넌트들을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도체들 및/또는 전기적 상호연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5226)은 또한 배터리(5212)를 포함하거나 그에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5204)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메인 본체(5202)에 해제가능하게 보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커버(5204)는 메인 본체(5202) 상에 스레드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마찰 및/또는 간섭 끼워맞춤을 사용하여 보유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5204) 및/또는 본체(5202)는 배터리 커버(5204)의 우발적인 제거를 방지하기 위한 잠금 또는 래칭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배터리 커버(5204)는, 배터리 커버(5204)가 당김 또는 비틀림에 의해 제거될 수 있기 전에, (예를 들어, 압착, 도구 적용 등에 의해) 해제되거나 맞물림해제되어야 하는 래치들, 캐치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5200)는 태그(5200) 내로의 액체, 먼지 또는 다른 오염물들의 침입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5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5200)는 배터리와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체 크기 및 형상, 예를 들어 "AA" 또는 "AAA" 크기 배터리(또는 배터리의 임의의 다른 크기 또는 폼 팩터)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태그(5200)는 많은 상이한 배터리-동작식 디바이스들의 편리한 위치 추적을 허용하게 하기 위해 종래의 배터리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부, 플래시라이트, 카메라 등과 같은 디바이스는, 외부 컴포넌트를 부착하거나, 디바이스를 수정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사용성을 변경할 필요 없이 무선으로 위치식별가능하게 될 수 있다.
태그(5200)가 배터리를 교체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태그(5200)(또는 상이하지만 유사한 형상의 태그)는 (예를 들어, 도 52a의 위치들(5203, 5205)에서) "AA" 또는 다른 크기의 배터리의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단자들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외부 위치들 상의 포지티브 단자 및 네거티브 단자를 한정할 수 있다. 태그(5200)는, 감소된 배터리 용량으로도 태그(5200)가 디바이스의 전력 회로를 방해하지 않고 디바이스가 (디바이스의 다른 배터리들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도록, 태그(5200)의 네거티브 단자(5205)로부터의 전류를 포지티브 단자(5203)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5200)의 배터리(5212)는 태그(5200)의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는 한편, 또한 태그(5200)의 외부 단자들(5203, 5205)을 통해 전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태그(5200)가 설치된 디바이스에 태그(5200)가 전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추적 기능을 또한 제공한다.
도 53a 내지 도 53c는 다른 폼 팩터를 갖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5300)를 예시한다. 특히, 태그(5300)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직사각형 프리즘 형상의 외부 하우징을 갖는다. 태그(5300)는 태그(5300)의 주변 표면의 일부 및 상단 표면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5302)를 포함한다. 태그(5300)는 또한 태그(5300)의 저부 표면의 일부(예를 들어, 대략 절반) 및 태그(5300)의 주변 표면의 일부를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5304)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재(5304)는 태그(5300)의 사용자에 의해 제거되도록 의도되지 않을 수 있다. 태그(5300)는 또한, 태그(5300)의 저부 표면의 일부(예를 들어, 대략 절반) 및 태그(5300)의 주변 표면의 일부를 또한 한정할 수 있는 제3 하우징 부재(53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3b는 태그(5300) 내의 컴포넌트들의 예시적인 배열을 도시하는, 도 53a의 라인 53B-53B를 따라 본 태그(5300)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태그(5300)는 배터리(5312), 오디오 시스템(5314) 및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3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310)은 회로 기판들, 회로 요소들, 프로세서들, 메모리, 센서들, 다양한 무선 통신들(예를 들어, UWB, WiFi, 블루투스 등)을 위한 무선 회로(안테나들을 포함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31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태그의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5314)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오디오 시스템들과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은 제1 하우징 부재(5302)의 내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자석은 코일이 스피커로서 동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코일을 통해 신호(예를 들어, 전류)를 전달함으로써, 제1 하우징 부재(5302)의 일부분은 스피커 다이어프램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추가로, 오디오 시스템은 사용자가 제1 하우징 부재(5302)를 터치할 때 느낄 수 있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오디오 시스템(5314)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다른 유형들의 오디오 시스템들 및/또는 촉각 출력 생성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3 하우징 부재(5306)는 배터리 공동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거가능할 수 있다. 도 53c는 태그(5300)의 나머지로부터 제거된 제3 하우징 부재(5306)를 갖는 태그(5300)의 부분 단면도를 예시한다. 제3 하우징 부재(5306)는 배터리(5312)에 대한 배터리 공동의 적어도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제3 하우징 부재(5306)의 특징부들은 제3 하우징 부재(5306)를 태그(5300)에 대해 보유하면서 또한 배터리 교체를 위해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들(5302, 5304)의 대응하는 특징부들 또는 태그(5300)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예를 들어, 프레임 부재)와 맞물릴 수 있다. 그러한 특징부들은 클립들, 래치들, 멈춤쇠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 부재(5306)는 제3 하우징 부재(5306)와 태그(5300)의 다른 부분 사이의 갭에 삽입된 손톱, 도구, 또는 다른 기구를 이용하여 프라잉함으로써 태그(53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컴포넌트 세트 및 그러한 컴포넌트들(회로 기판들, 오디오 시스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함)의 기능 및 배열과 같은 다른 점들에서, 태그(53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태그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고, 태그(5300)는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태그의 특징부들 중 임의의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4a 및 도 54b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직사각형 프리즘 형상의 외부 하우징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5400)를 예시한다. 태그(5400)는 제1 하우징 부재(5402) 및 제2 하우징 부재(5404)를 포함하며, 이들은 제1 하우징 부재(5402)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태그(5400)는 태그(5300)와 유사하지만, 하우징 내에 컴포넌트들의 상이한 배열을 갖는다. 도 54b는 제1 하우징 부재(5402)가 제2 하우징 부재(5404)로부터 탈착된 태그(5400)를 예시한다. 태그(5400)는 2개의 배터리들(5412), 오디오 시스템(5414) 및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410)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410) 및 오디오 시스템(5414)은 태그(5300) 내의 대응하는 컴포넌트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이들의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여분의 배터리로 인해, 태그(5400)는 단일 배터리 태그들과 비교하여 증가된 배터리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도 55a 및 도 55b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직사각형 프리즘 형상의 외부 하우징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5500)를 예시한다. 태그(5500)는 제1 하우징 부재(5502) 및 제2 하우징 부재(5504)를 포함하며, 이들은 제1 하우징 부재(5502)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태그(5500)는 종래의 스피커 또는 다른 오디오-생성 컴포넌트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제1 하우징 부재(5502)를 통해 연장되는 스피커 개구들(55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5b는 도 55a의 라인 55B-55B를 따라 본 태그(5500)의 부분 단면도이다. 태그(55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른 태그들의 대응하는 컴포넌트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배터리(5512) 및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510)을 포함하며, 간결성을 위해 이들의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태그(5500)는 또한 오디오 출력들을 생성하는 스피커(5508)(또는 다른 적합한 오디오 생성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이는 결국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도록 스피커 개구들(5506)을 통과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기능은 다른 유형들의 디바이스들에 통합될 수 있고/있거나 다른 컴포넌트들, 액세서리들, 특징부들 등과 통합될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예에서, 도 56a 및 도 5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형 부착 코드 또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가 통합될 수 있다.
태그(5600)는 본체 부분(5602) 및 코드 부분(560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분(5602)은, 다양한 무선 통신들(예를 들어, UWB, WiFi, 블루투스 등)을 위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기능을 제공하는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회로 기판들, 회로 요소들, 프로세서들, 메모리, 센서들, 라디오 회로(안테나들을 포함함),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무선 태그의 기능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 부분(5604)은 가요성 로프, 케이블, 또는 다른 물체에 부착될 수 있는 다른 부재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5600)의 전자 컴포넌트들은 코드 부분(5604)에 수용되거나 그에 통합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예를 들어, 와이어 또는 금속화된 나사산과 같은 가요성 도체)가 코드 부분(5605)에 통합될 수 있다. 코드 부분에 통합된 가요성 도체들은 또한, 신호들을 전달하는 것, 다른 물체들 또는 사람들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것 등과 같은 다른 동작들 또는 특징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체 부분(5602)은 루프가 개방되고 태그(5600)가 다른 물체에 부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제1 부분(5606) 및 제2 부분(5608)을 한정할 수 있다. 도 56b는 제1 부분(5606)이 제2 부분(5608)으로부터 분리된 개방 구성의 태그(5600)를 도시한다. 제1 및/또는 제2 부분들(5606, 5608)은 제1 및 제2 부분들을 함께 해제가능하게 보유하는 보유 특징부들(5616)을 포함할 수 있다. 보유 특징부들(5616)은, 예를 들어, 클립들, 래치들, 자석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분(5602)은 제1 및 제2 부분들(5606, 5608)을 단순히 따로 당김으로써 분리가능할 수 있지만, 다른 경우들에서, 사용자는 보유 특징부를 잠금해제 또는 언래칭하는 것, 비틀기, 프라잉, 도구를 사용하는 것 등과 같은 다른 조작들을 수행해야 한다.
태그(5600)는 태그(5600)가 개방(도 56b) 구성인지 또는 폐쇄(도 56a) 구성인지를 검출하는 센서들 또는 다른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센서들은, 예를 들어 홀 효과 센서들, 가속도계들(태그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특성 모션을 검출함), 마이크로폰들(태그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특성 사운드를 검출함), 광학 센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5600)는 태그(5600)가 개방되었는지 또는 폐쇄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상이한 액션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5600)는, 태그(5600)가 개방될 때 전력을 차단하거나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고(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시스템들 또는 프로세스들을 비활성화시킴), 태그(5600)가 폐쇄될 때 전력을 공급하거나 정상 동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태그(5600)가 개방 또는 폐쇄되었음을 검출할 시에, 태그(5600)는 클라우드-기반 서비스를 통해, 태그의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소유자 또는 다른 인가된 개인은 태그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태그의 위치, 태그가 언제 개방되었는지, 태그가 개방되었을 때 어디에 있었는지, 태그가 개방된 시간 등을 제공하는 클라우드-기반 서비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태그(5600)는 태그(5600)의 외부에서 액세스가능한 입력 및/또는 출력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5600)는 사용자가 태그(5600)의 태양들을 제어하기 위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선택적인 버튼들(561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버튼들(5612)은 태그(5600)를 턴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 태그로 하여금 페어링 모드에 진입하게 하는 것, 태그로 하여금 "분실된"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것 등과 같은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버튼들(5612)은 이동 부분들 및 기계적 작동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돔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버튼들(5612)은 터치-감응 입력 영역들(예를 들어, 용량성 터치 감지 영역들)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태그(5600)는 또한, LED, LCD, OLED, E 잉크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포함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5614)와 같은 출력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614)는 다양한 유형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614)는 배터리 충전 레벨, 소유자의 이름, 태그의 상태(예를 들어, 태그가 분실된 것으로 보고된 경우) 등을 포함하여 태그(5600)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디스플레이(5614)는 태그가 분실된 것으로 보고되면 상이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가 분실된 것으로 보고되었다는 표시를 수신할 때, 디스플레이(5614)는, 태그가 분실된 것으로 보고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분실된 아이템이 어떻게 취급되기를 원하는지(예를 들어, 이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고, 소유자에게 돌아가거나, 소유자에게 전화하는 것 등)에 관한 명령어들을 제공하기 시작할 수 있다.
태그(5600)는 또한 표시등들(561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등들(5610)은 LED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광원들일 수 있다. 표시등들(5610)은 전력 상태, 배터리 충전 레벨, 동작 모드, 분실/분실되지 않은 상태 등과 같은 디바이스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표시등들(5610)은 태그(5600)가 분실된 것으로 보고된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등들은 태그의 존재 및 태그가 분실된 상태를 인근 사람들에게 경고하기 위해 플래시할 수 있다(또는 계속해서 조명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표시등들(5610)은 또한 다른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7은 태그(5600)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코드의 루프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에 대한 상이한 접근법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5700)를 도시한다. 특히, 태그(5700)는, 본체 부분(5702)이 분리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체 부분(5602)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는 본체 부분(5702)을 포함한다. 대신에, 코드 부분(5704)은 코드 부분(5704)의 적어도 일 단부에서 본체 부분(5702)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고, 그에 의해, 코드 부분(5704)과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태그(5700)가 다른 물체들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코드 부분(5704)은 본체 부분(5702)의 커넥터(5706)와 정합하는 커넥터(570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들(5708, 5706)은 클립들, 래치들, 자석들 등과 같은 보유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57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코드 부분(5704)이 본체 부분(5702)에 부착되었는지 또는 탈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태그(5700)로 하여금 결정에 기초하여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태그(5700)는 코드 부분이 부착 또는 탈착될 때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센서들은, 예를 들어 홀 효과 센서들, 가속도계들(코드 부분이 부착 또는 탈착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특성 모션을 검출함), 마이크로폰들(코드 부분이 부착 또는 탈착되는 것에 의해 야기되는 특성 사운드를 검출함), 광학 센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8a 내지 도 58c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태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태그에 대한 또 다른 폼 팩터를 도시하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5800)를 예시한다. 특히, 태그(5800)는 일반적으로 작은 두께 치수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져서, 태그(5800)가 지갑 내의 신용 카드 슬롯, 또는 지갑의 측부 포켓 등과 같은 작은 위치들에 들어맞게 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5800)는 약 5.0 mm, 약 4.0 mm, 약 3.0 mm, 약 2.0 mm, 또는 약 1.0 mm 미만인 두께 치수(예를 들어, 도 58b에서 볼 때 태그(5800)의 높이)를 갖는다.
도 58a는 태그(58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태그(5800)의 일부 내부 컴포넌트들은 가상 라인들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태그(5800)는 배터리(5812), 무선 충전 코일(5810) 및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814)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814)은, 다양한 무선 통신들(예를 들어, UWB, WiFi, 블루투스 등)을 위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기능을 제공하는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회로 기판들, 회로 요소들, 프로세서들, 메모리, 센서들, 라디오 회로(안테나들을 포함함),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무선 태그의 기능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8b는 도 58a의 라인 58B-58B를 따라 본 태그(5800)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8b는 태그(5800)의 컴포넌트들의 예시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태그(5800)는 태그(5800)의 외부 표면들을 한정하고 태그의 내부 용적부를 한정하는 하우징(5801)(도 58a)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801)은 저부 표면 및 태그(5800)의 주변 측부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한정할 수 있는 저부 하우징 부재(5802), 및 태그(5800)의 상단 표면을 한정할 수 있는 상단 하우징 부재(580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들의 다른 구성들이 또한 고려된다.
배터리(5812)는 무선 충전 코일(5810) 위에 적층될 수 있다. 배터리(5812)는 태그(5800)를 적합한 무선 충전기 상에 배치함으로써 충전될 수 있고, 무선 충전기는 충전 코일(5810)에 유도성으로 결합하고 이어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전력을 코일(58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송신 코일을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814)은 충전 코일(5810)로부터 배터리(5812)에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8c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5820)를 예시한다. 태그(5820)는, 무선 충전 코일(5810) 대신에, 태그(5820)가 배터리(5832) 및/또는 태그(5820)의 다른 전자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 접점들(583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태그(58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충전 접점들(5830)은 태그(5820)의 저부 외부 표면의 일부를 따라 노출되거나 이를 다른 방식으로 한정하는 노출된 전기 전도성 부재들(예를 들어, 구리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5820)는 충전 접점들(5830)을 배터리 충전기의 대응하는 접점들과 접촉하게 배치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태그(5820)는 또한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들(5824, 5822), 및 디바이스 컴포넌트들(583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태그(5800)의 대응하는 컴포넌트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추가로, 태그들(5800, 5820)은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들은 도 58a 내지 도 58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저-프로파일 하우징에서 구현될 수 있는 압전 요소들 또는 다른 재료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태그들의 하우징 부재들(예를 들어, 태그들의 외부 표면들 및/또는 태그들의 본체 부분들을 한정하는 태그들의 컴포넌트들)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부재들은 중합체들, 금속들, 복합재들(예를 들어, 섬유 강화 중합체들) 등으로부터 형성되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태그들의 프레임들, 프레임 부재들, 안테나 조립체들 중 임의의 것은 중합체들, 복합재들(예를 들어, 섬유 강화 중합체들) 등과 같은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태그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프레임들, 하우징 부재들, 회로 기판들 등은 초음파 용접부들, 접착제들, 열 스테이크들, 리벳들, 기계적으로 연동된 특징부들, 레이저 용접부들, 용융 접합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방식들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태그들은 컴포넌트들 및 특징부들의 특정 세트에 초점을 맞출 수 있지만, 태그들은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들 및 특징부들을 포함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태그들은 텍스트, 이미지들 등을 포함하는 그래픽 출력들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디스플레이들은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태그들에 통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들은 LED, LCD, OLED, E 잉크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들은 또한 디스플레이에 적용된 터치 및/또는 힘-기반 입력들을 검출하는 터치 및/또는 힘 감지 시스템들을 통합할 수 있다. 터치 및/또는 힘 감지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입력들은, 예를 들어, 동작 모드들을 변경하고, 설정들을 변경하고,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태그의 동작 태양들을 제어할 수 있다. 태그들은 또한 사용자에게 시각적 출력(예를 들어, 태그의 동작 모드, 전력 상태, 태그가 분실된 것으로 보고되었는지 여부 등을 나타냄)을 제공하는 다른 시각적 출력 시스템들, 예를 들어 표시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유형들의 오디오 시스템들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유형의 오디오 시스템은 사운드 생성 요소 또는 다이어프램으로서 태그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하우징 부재의 벽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오디오 시스템은 사운드를 생성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운드는 이어서 하우징의 개구들을 통과한다. 또 다른 유형의 오디오 시스템은 (다이어프램으로서) 하우징 부재의 일부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해 별개의 다이어프램 또는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압전 요소이다. 하나의 유형의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된 태그들이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다른 유형의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태그들을 사용하기 시작하기 위해, 태그가 스마트폰, 랩톱, 데스크톱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초기화 또는 페어링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초기화 프로세스는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에서 특정 태그를 특정 사용자 또는 사용자 계정과 연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초기화 프로세스는 또한 태그와 특정 디바이스 사이에 신뢰된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신뢰된 통신 링크는 디바이스가 다른(예를 들어, 신뢰되지 않는) 디바이스들에 액세스가능하지 않은 방식들로 태그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페어링된 태그는 그 스마트폰이 태그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태그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것 등을 허용할 수 있는 한편,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태그가 페어링되지 않은 디바이스들)은 이러한 액션들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에 대한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초기화 모드에 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버튼, 스위치, 또는 사용자가 태그를 초기화 모드에 진입시키도록 조작(예를 들어, 푸시)할 수 있는 다른 입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이 태그에 의해 검출될 때, 태그는 태그가 특정 액션들을 수행할 수 있는 초기화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태그는 비콘 신호를 전송하기 시작하거나 태그가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주파수를 변경할(예를 들어, 증가시킬) 수 있다. 비콘 신호는 블루투스 프로토콜, UWB 프로토콜 등을 통한 무선 통신일 수 있고,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가능할 수 있다. 일단 초기화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태그는 자신의 비콘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는(예를 들어,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정상" 동작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들은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지 않을 수 있거나, 태그들은, 태그들의 입력 디바이스들이 초기화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기능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디바이스로 하여금 초기화 모드에 진입하게 하기 위해 다른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배터리 또는 다른 전원으로부터 태그에 제공되는 전력의 개시에 응답하여 초기화 모드에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전력이 태그에 제공될 때, 태그는 1 분, 5 분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지속기간과 같은 지속기간 동안 초기화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지속기간이 만료된 후에, 사용자는, 필요하다면, 배터리를 제거하고 재삽입(또는 그렇지 않으면 태그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초기화 모드를 재활성화시킬 수 있다. 태그들이 전술된 태그들의 배터리 공동들 중 하나에서와 같이 제자리에 배터리들과 함께 제공되거나 판매되는 경우, 태그는 배터리와 배터리 커넥터의 접점 사이에 절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공된 풀-탭 또는 손잡이를 사용하여 태그로부터 간단히 당길 수 있는) 절연 재료의 제거시에, 전력이 태그에 공급되고, 초기화 모드가 활성화된다.
태그들로 하여금 초기화 모드를 활성화시키게 하기 위한 다른 기술들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태그는 2개의 포지션들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배터리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지션에서, 배터리 도어는 태그에 단단히 보유될 수 있지만, 전력이 배터리로부터 태그의 회로로 흐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포지션에서, 배터리 도어는 또한 태그에 단단히 보유될 수 있지만 전력이 태그의 회로에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순히 배터리 도어를 제1 포지션으로부터 제2 포지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태그의 회로에 전력이 제공되게 하고 그에 따라 초기화 모드를 활성화시킬 것이다.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의 흐름은, 내부 스위칭 메커니즘에 의해, 배터리를 배터리 접점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는 배터리 도어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홀 효과 센서, 광학 센서, 용량성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도어가 제2 포지션으로 이동된 것을 감지할 시에, 태그는 초기화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태그의 나머지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탈착된 배터리 트레이 또는 도어가 태그에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 또는 도어를 부착하거나 삽입하는 것은 태그가 전력을 수신하기 시작하게 하고, 그에 따라 초기화 모드에 진입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태그는 가속도계를 포함할 수 있고, 특정 유형의 입력의 가속도 또는 모션 특성(예를 들어, 탭, 탭들의 특정 패턴, 흔들림 등)을 검출할 때, 태그는 초기화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태그가 하우징의 변형들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예를 들어, 도 26b와 관련하여 설명된 오디오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경우, 태그는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특정 입력(예를 들어, 단일 누르기, 특정 지속기간을 갖는 단일 누르기, 특정 패턴의 누르기들)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기화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태그는, 태그가 패키징으로부터 제거된 때를 결정하고, 태그가 패키징으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출할 때 초기화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불투명한 패키징으로부터 제거될 때를 검출하는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는 밀봉된 패키징으로부터 제거될 때를 검출하는 산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는 홀 효과 센서, 용량성 센서, 자기 센서, 또는 패키징의 전도성 또는 자기 컴포넌트(예를 들어, 박스 뚜껑에 부착된 금속 스트립)가 태그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를 검출하는 다른 적합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태그 패키징은 패키징이 개방될 때 태그에 특징적인 모션을 부여하는 스프링 로딩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 내의 가속도계는 특성 모션을 검출하고, 모션을 검출할 때 초기화 모드를 트리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태그 패키징은 패러데이 케이지(Faraday cage)를 포함하거나 한정할 수 있고, 태그는 (태그가 패러데이 케이지로부터 제거되면 발생할 수 있는) 무선 신호들을 검출할 때 초기화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태그를 초기화할 때, 전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은 태그와 통신한다. 태그는 스마트폰 상에서 초기화 모드를 활성화시키거나 트리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은 NFC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그것이 태그의 NFC 안테나의 특정 거리(예를 들어, 3인치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거리) 내에 있을 때를 검출할 수 있는 NFC 판독기를 포함할 수 있고, 그 거리 내에 있다는 것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초기화 모드 또는 초기화 프로세스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것 또는 초기화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를 안내하는 그래픽 물체들(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 자체는 다른 디바이스의 NFC 판독기가 NFC를 통해 태그와 통신할 때를 검출할 수 있고,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검출할 때, 태그는 그의 초기화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태그의 초기화 모드는 태그 및 다른 디바이스를 근접하게 (예를 들어, 약 3 인치 이하와 같은 NFC 통신 범위 내로) 가져오는 액션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스마트폰을 태그의 NFC 범위 내로 가져오기 전에,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하여금 전화의 NFC 판독기가 태그와 통신할 모드에 진입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그의 초기화는 단순화되고 간소화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단순히 전화 상에서 초기화 모드를 요청하고, 태그 상에서 전화를 탭핑할 수 있고, 초기화 프로세스가 시작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태그들은 전기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배터리들을 사용한다. 배터리들은, 그들이 소진되었을 때 교체될 수 있는 비-재충전가능 배터리들일 수 있거나, 또는 재충전될 수 있고 여러 번 재사용될 수 있는 재충전가능 배터리들일 수 있다. 재충전가능 또는 비-재충전가능 배터리들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 교체는, 배터리들이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배터리 공동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우징 설계들에 의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재충전가능 배터리들이 사용되는 구현들에서, 태그들에는 제거불가능한 배터리들이 제공될 수 있고, 태그들은 배터리들이 태그들에 하우징된 상태로 남아있는 동안 배터리들이 재충전될 수 있게 하는 충전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재충전가능 배터리들의 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들의 충전 컴포넌트들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에 통합될 수 있다. 도 59 및 도 60은 상이한 충전 컴포넌트들을 사용하는 2개의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을 예시한다. 도 59는 무선 충전을 위해 구성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5900)를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태그(5900)는 무선 충전기(5902) 상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기(5902)는 태그(5900) 내의 충전 코일에 유도성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출력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코일과의 전자기 상호작용을 통해, 태그의 충전 코일은 태그(5900)의 배터리 충전 회로에 (무선)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배터리를 충전한다(그리고 선택적으로, 태그(5900)의 회로에 직접 전력을 제공함). 특히, 출력 코일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고, 이는 결국 태그의 충전 코일에 전류를 유도하고, 유도된 전류는 태그의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태그(5900) 및 충전기(5902)의 하우징들은, 충전과 출력 코일 사이의 유도성 결합의 차폐 또는 그에 대한 간섭을 제한하거나 또는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5900) 및 충전기(5902)는, 출력 코일들과 충전 코일들 사이에 있는 하우징의 부분들이 중합체 재료와 같이 실질적으로 비-전도성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기(5902) 및 태그(5900)는 또한, 무선 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태그(5900)를 충전기(5902)에 대해 적절하게 정렬시키는 것을 돕기 위한 정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정렬 시스템들은 자석들, 상보적인 돌출부들/리세스들(또는 다른 상보적인 물리적 특징부들), 시각적 정렬 표시자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5902)가 원형 퍽-스타일 충전기로서 도시되지만, 이는 단지 외부 충전 디바이스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이며,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개념들은 충전 매트들, 도크들, 내장형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예컨대, 알람 클록들, 모바일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다른 전자 디바이스), 상이한 형상의 충전기들 등을 포함하는 다른 외부 충전 디바이스들에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0은 전력 케이블(6004)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충전 포트(6002)를 갖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6000)를 도시한다. 전력 케이블(6004)은 태그(6000)에 전력을 공급하며, 이는 배터리를 충전하고 선택적으로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안 태그(6000)에 전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들은 충전 포트 및 무선 충전 시스템들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가 유선 또는 무선 충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재충전할 필요 없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무기한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들이 특정 액션들을 취하도록 사용자들의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트리거하기 위해(예를 들어, 사용자가 페인팅, 소매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위치에 접근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물체가 사용자의 전화 상에 나타나도록 트리거함), 특정 물체들(예를 들어, 소화기들, 제세동기들)을 위치식별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정적 설비들에서 태그들이 사용되는 경우들, 또는 태그들이 정적이고/이거나 연속적인 전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예를 들어, 차량 내의) 배터리들을 교체하기 위한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임의의 다른 인스턴스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사용 사례들을 수용하기 위해, 배터리들 대신에 (그리고 선택적으로 배터리 도어 대신에) 태그들에 부착되는 장착 베이스들이 제공될 수 있다. 장착 베이스들은 태그들을 단단히 지지할 수 있고, 또한 배터리 대신에 태그들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1a 내지 도 65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을 홀딩하고 그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장착 베이스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61a는 전술된 태그(500)의 실시예일 수 있는 예시적인 태그(6102)를 예시한다. 태그(6102)는 저부 하우징 부재(또는 배터리 도어)(6104) 및 배터리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된다. 저부 하우징 부재(6104)는, 저부 하우징 부재(6104)를 태그(6102)에 해제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해 태그(6102)의 대응하는 특징부들(예를 들어, 채널들 또는 리세스들)과 맞물리는 래치 부재들(6106)을 포함한다.
도 61a는 또한, 저부 하우징 부재(6104) 및 배터리 대신에 태그(6102)가 결합될 수 있는 장착 베이스(6108)를 도시한다. 도 61b는 장착 베이스(6108)에 결합된 태그(6102)를 도시한다.
장착 베이스(6108)는 저부 하우징 부재(6104)의 래치 부재들(6106)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래치 부재들(611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래치 부재들(6110)은 태그(6102)에 대해 저부 하우징 부재(6104)를 보유하기 위해 래치 부재들(6106)이 맞물리는 태그(6102)의 동일한 특징부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그(6102)는, 저부 하우징 부재(610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그리고 저부 하우징 부재 및 장착 베이스 각각에 대해 태그(6102) 내의 부착 특징부들의 상이한 세트를 요구하지 않고서 장착 베이스(6108)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장착베이스(6108)는 또한, 태그(6102)가 장착 베이스(6108)에 부착될 때 태그(6102)의 배터리 공동 내에 배치되는 접촉 블록(6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블록(6112)은 태그(6102)에 맞도록 설계된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블록(6112)은 태그(6102)의 배터리 공동 내로 연장되고, 태그(6102)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유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태그(6102)의 배터리 커넥터와 맞물릴 수 있다.
장착 베이스(6108)는 장착 베이스(6108)를 통해,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접촉 블록과 통합되고 태그(6102)의 배터리 커넥터와 맞물리는 전도성 부재들을 통해 태그(6102)에 전력(예를 들어, 입력 전류)을 제공할 수 있는 케이블(6109)을 포함하거나 그에 부착될 수 있다. 접촉 블록(6112)은 중합체 또는 다른 절연 또는 실질적으로 비전도성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비전도성 재료는 전도성 부재들을 함께 단락시키지 않으면서 장착 베이스(6108)가 태그(6102)에 전류를 제공하는 전도성 부재들(도 62에 대해 설명됨)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도 62는 장착 베이스(6108)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들을 도시한다. 장착 베이스(6108)는 접촉 블록(6112)을 포함한다. 장착 베이스(6108)는 또한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도성 부재들(6202)은 일반적으로 버튼 셀 배터리의 네거티브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도성 부재들(6202)의 포지션으로 인해, 태그(6102)가 장착 베이스(6108) 상에 장착될 때, 제1 전도성 부재들(6202)은 버튼 셀 배터리의 네거티브 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커넥터의 편향가능한 아암(예를 들어, 도 10b의 제3 편향가능한 아암(1008))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전도성 부재들(6204)은 일반적으로 버튼 셀 배터리의 포지티브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접촉 블록(6112)의 주변부를 향해 더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도성 부재들(6204)은 버튼 셀 배터리의 포지티브 단자(예를 들어, 도 10b의 제1 및 제2 편향가능한 아암들(1004, 1006))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커넥터의 편향가능한 아암들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은 배터리의 부재시에 태그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태그(6102)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전력은 배터리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을 모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베이스(6108)는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을 통해 1.5 볼트 직류를 태그(6102)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케이블(6109)을 통해 전달되는 전력은 1.5 볼트 직류이며, 이 경우, 전류는 케이블(6109)로부터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케이블(6109)을 통해 전달되는 전력은 달리 태그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또는 배터리들에 의해 제공될 동일한 또는 유사한 DC 전력을 제공하는 DC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케이블(6109)은 장착 베이스(6108)(예컨대, 120 볼트 교류, 5 볼트 직류 등)와 상이한 특성들을 갖는 전력을 전달한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장착 베이스(6108)는 입력 전력을 태그(6102)를 동작시키는 데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력 변환 시스템들(예를 들어, ac-dc 변환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공기 코어 또는 자기 코어 변압기들, 스위칭 모드 전력 장치들(예를 들어, 부스트 변환기들, 벅 변환기들, 부스트-벅 변환기들, 또는 다른 초퍼 회로들), 아날로그 전압 조절 회로들(예를 들어, 전압 조절기들, 전압 감소기들, 클램프 회로들, 전압 분배기 회로들, 전압 증배기 회로들, 보상 네트워크들, 정류기 회로들, 인버터 회로들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610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베이스(6108)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제거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베이스(6108)는 USB 케이블 또는 다른 적합한 전력 케이블의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케이블(6109)은 전원 장치 내로 플러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6109)은 주택용 AC 전원 장치 내로 플러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전력 케이블(6109)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로, 플러그(예컨대, 2- 또는 3-프롱 플러그)가 장착 베이스와 통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장착 베이스(6108)가 출구 내로 플러그될 때, 장착 베이스는 물리적 플러그/출구 연결부에 의해 제자리에 기계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은, 이들이 부착될 때 장착 베이스(6108)에 대한 태그(6102)의 반경방향 포지션에 관계없이 제1 전도성 부재들(6202) 중 적어도 하나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4) 중 적어도 하나가 태그(6102)의 배터리 커넥터와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도시된 예에서, 태그(6102)는 태그(6102)의 3개의 래치 부재들 및 3개의 대응하는 맞물림 특징부들로 인해 3개의 상이한 배향들로 장착 베이스(6108)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은 태그(6102)가 어느 배향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배터리 커넥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3개의 쌍들로 배열된다. 태그 배향에 관계없이 전력이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의 다른 구성들이 또한 고려된다. 추가로,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의 배향, 포지션, 형상, 또는 다른 양상은 태그(6102)의 특정 배터리 커넥터 구성과 함께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의 배열이 배터리 커넥터(900)(도 9)와 정합하도록 구성되지만, 상이한 배터리 커넥터들(예를 들어,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것들)과 정합하기 위해 상이한 배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3은 장착 베이스(6108)의 분해도이다. 장착 베이스는 접촉 블록(6112) 및 그의 연관된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베이스(6108)는 장착 베이스(6108)의 다른 컴포넌트들이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63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312)은 래치 부재들(6110)을 한정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래치 부재들(6110) 및 하우징(6312)은 단일의 일체형 재료 피스일 수 있음), 또는 이들은 하우징(6312)에 부착된 별개의 부재들일 수 있다.
하우징(6312)은 케이블(6309)의 단부가 연장될 수 있는 개구(6311)를 한정할 수 있다. 케이블(6109)은, 하우징(6312)에 대한 굽힘 또는 비틀림으로 인한 케이블(6109)(및/또는 하우징(6312) 내부의 와이어들의 종단점들)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 스트레인 완화 구조물(6309)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6109)은, 전력을 탑재 베이스(6108)에 전달하고 회로 기판(6306) 상에서 종단되는 도체들(63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6109)이 장착 베이스(6108)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다른 도체들(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도체들은 회로 기판에 종단될 수 있지만 사용되지 않을 수 있거나(예를 들어, 이들은 접지될 수 있음), 또는 이들은 장착 베이스(6108)와 다른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들을 허용하게 하기 위해 통신 회로에 종단될 수 있다. 케이블(6109)은 초크들, 필터들 등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6109)은 USB 커넥터, 벽 플러그 등과 같은 자유 단부에서 플러그 또는 커넥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케이블(6109)과 같은 가요성 케이블 대신에, 전력 커넥터(예를 들어, 벽 출구를 위한 플러그)가 장착 베이스(6108)의 하우징(6312)의 하우징과 직접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 출구를 위한 플러그가 하우징(6312)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장착 베이스들을 벽 출구들에 직접 플러그하고 태그들을 그 베이스들에 직접 부착함으로써, 태그들에 대한 편리한 전력 및 장착 위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는 케이블(6109)을 통해 장착 베이스(6108)를 통해 프로그래밍되거나, 제어되거나, 또는 통신될 수 있다. 추가로, 장착 베이스들은 부착된 태그의 것을 보충하는 추가적인 컴포넌트들 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베이스(6108)는 태그에 없는 통신 시스템들(유선 또는 무선), 또는 태그 자체보다 더 긴 무선 범위를 갖는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태그는 장착 베이스의 통신 회로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전화들, 컴퓨터들, 다른 태그들)과 통신할 수 있다.
회로 기판(6306)는 프로세서들, 메모리, 전력 제어 회로, 통신 회로, 또는 장착 베이스(6108) 및/또는 부착된 태그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같은 다른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312)은 또한 기압 통기구(6313)를 한정할 수 있다. 기압 통기구(6313)는 장착 베이스(6108)의 내부 용적부를 외부 환경에 유동적으로 결합시키는 개구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압 통기구(6313)는 장착 베이스의 내부 용적부를 개구(6311)에 유동적으로 결합시킨다. 케이블(6109)이 개구(6311)를 통해 연장되는 경우에도, 개구(6311)는 외부 환경과 유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기압 통기구(6313)는 장착 베이스(6108)의 내부 용적부뿐만 아니라 부착된 태그의 내부 용적부와 외부 환경 사이의 압력의 균등화를 용이하게 한다. 기압 통기구(6313)는 스크린들, 방수 및 통기성 막들 등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압 통기구(6313)는 하우징(6312) 상의 다른 곳에, 예를 들어, 하우징(6312)의 측벽 또는 저부 벽을 통해 위치될 수 있다.
접촉 블록(6112)은 각각 접착제 층들(6302, 6304)을 통해 하우징(6312) 및 회로 기판(6306)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 층들(뿐만 아니라 회로 기판(6306))은 개구들, 갭들, 또는 불연속부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공기가 하우징(6312)의 내부 용적부와 부착된 태그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조립체 전체에 걸쳐 압력 균등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4는, 접촉 블록(6112) 및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을 도시하는, 장착 베이스(6108)의 일부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은 접촉 블록(6112) 내의 개구들, 리세스들, 공동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을 통해 부착된 태그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회로 기판(6306)(도 63)에 전도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은 접착제들, 체결구들 등을 통해 접촉 블록(6112)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은 접촉 블록(6112)으로 삽입 성형됨으로써,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을 접촉 블록(6112)에 고정시키고 통합된 조립체를 형성한다.
제1 및/또는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은 편향가능하고/하거나 변형가능할 수 있고, 편향가능한 아암들과 전도성 부재들 사이의 전기 전도성을 보장하도록 제1 및/또는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과 배터리 커넥터 사이의 밀접한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태그의 배터리 커넥터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도 65a 및 도 65b는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이 배터리 커넥터의 편향가능한 아암들과 접촉하도록 장착 베이스(6108)에 결합된 태그(6102)를 갖는 장착 베이스(6108)의 부분 단면도들을 예시한다. 예시 및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장착 베이스(6108) 및 태그(6102)의 일부 컴포넌트들은 생략되거나 수정된다. 또한, 태그(6102)는 태그(500)의 실시예일 수 있지만,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배터리 커넥터, 제1 및 제2 전도성 부재들(6202, 6204)) 중 일부는 명확성을 위해 그리고/또는 예시 및 설명을 돕기 위해 수정될 수 있다. 도 65a 및 도 65b의 태그(6102)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특징들, 기능들 및/또는 원리들은 태그(500) 및 그의 특정 컴포넌트들 및 구성들에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65a는 제1 전도성 부재(6202)가 태그(6102)의 배터리 커넥터(6506)의 제1 편향가능한 아암(6508)과 접촉하는, 장착 베이스(6108) 및 태그(6102)의 일부분을 통한 부분 단면도를 예시한다. 배터리 커넥터(6506)는 배터리 커넥터(900)(도 9)의 실시예일 수 있으며, 회로 기판(510)(도 5b)의 실시예일 수 있는 회로 기판(6504)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편향가능한 아암(6508)의 적어도 일부분은 태그의 프레임 부재(6502)의 개구를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편향가능한 아암(6508)이 제1 전도성 부재(6202)와 접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512)(도 5b)의 실시예일 수 있다.
제1 편향가능한 아암(6508)은 하향으로 편향될 수 있는 한편, 제1 전도성 부재(6202)는 상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태그(6102)가 장착 베이스(6108)에 결합될 때, 제1 편향가능한 아암(6508)은 제1 전도성 부재(6202)에 의해 상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1 전도성 부재(6202)는 제1 편향가능한 아암(6508)에 의해 하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그리고/또는 제1 전도성 부재(6202)는 프레임 부재(6502)의 표면과 같은 태그의 표면에 의해 하향으로 편향될 수 있음). 따라서, 제1 편향가능한 아암(6508) 및 제1 전도성 부재(6202)의 편향력들은 제1 편향가능한 아암(6508) 및 제1 전도성 부재(6202)를 서로 접촉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제1 전도성 부재(6202)는 프레임 부재(6502)의 저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태그(6102)를 일반적으로 장착 베이스(6108)에 대해 상향으로 강제할 수 있다. 태그(6102)에 대한 이러한 상향력은 태그(6102)를 장착 베이스(6108)에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저부 하우징 부재와 태그의 메인 본체 부분 사이의 편향력은 저부 하우징 부재의 래치 부재들을 태그의 맞물림 특징부들(예를 들어, 리세스들)과 단단히 맞물리도록 유지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 도어가 태그에 부착될 때, 이러한 편향력은 유연성 부재(518)(도 5b)와 같은 유연성 부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도성 부재(6202)는 래치 부재들(6110)과 태그(6102)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하기 위해 태그(6102)에 대해 유사한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5b는 제2 전도성 부재(6204)가 태그(6102)의 배터리 커넥터(6506)의 제2 편향가능한 아암(6510)과 접촉하는, 장착 베이스(6108) 및 태그(6102)의 일부분을 통한 부분 단면도를 예시한다. 제2 편향가능한 아암(65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편향가능한 아암(6510)이 제2 전도성 부재(6204)와 접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태그의 프레임 부재(6502)의 개구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편향가능한 아암(6510)은 배터리 공동을 향해(예를 들어, 도 65b에서 우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부재(6204)는 정적일 수 있거나(예를 들어, 편향가능하지 않고/않거나 임의의 특정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음), 또는 제2 편향가능한 아암(6510)을 향해(예를 들어, 도 65b에서 좌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제2 편향가능한 아암(6510)의 편향력은 제2 편향가능한 아암(6510)과 제2 전도성 부재(6204) 사이의 전기 전도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2 편향가능한 아암(6510)과 제2 전도성 부재(6204) 사이의 밀접한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장착 베이스(6108)는 래치 부재들(6110)을 사용하여 태그(6102)에 결합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래치 부재들(6110)은 태그(6102)에 사용되는 배터리 도어의 래치 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태그(6102)를 장착 베이스(6108)에 결합시키는 동작은 배터리 도어를 태그(6102)에 결합시키는 동작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태그(6102)가 태그(500)의 실시예인 경우, 이는, 태그(6102) 및 장착 베이스(6108)를 축방향으로 함께 가압하는 것, 그리고 이어서, 태그(6102)를 장착 베이스(6108)에 대해 비틀어서, 태그(6102)를 장착 베이스(6108)에 대해 보유하기 위해 래치 부재들(6110)을 트랩핑하는 리세스 또는 언더컷 영역과 래치 부재들(6110)을 맞물리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부재들(6110)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다른 유형들의 체결 메커니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6 및 도 67은 태그에 결합하기 위해 상이한 기술들을 사용하는 장착 베이스들의 몇몇 다른 예들을 예시한다.
도 66은 태그(6102)와 같은 태그에 반영구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장착 베이스(6600)를 예시한다. 특히, 태그의 배터리 도어의 래치 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동작하도록 구성된 래치 부재들 대신에, 장착 베이스(6600)는 태그 및/또는 장착 베이스(6600)를 파손시키거나 또는 파손시킬 위험 없이 태그가 탈착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장착 베이스(6600)는 래치 부재들(6604) 및 래치 부재들(6604)에 근접한 차단 특징부들(6602)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부재들(6604)은 태그가 장착 베이스(6600)에 축방향으로 보유되도록 태그의 채널, 레지, 리세스, 또는 다른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단 특징부들(6602)은 또한 태그의 회전 이동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기 위해 태그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그로부터 래치 부재들(6604)을 비파괴적으로 맞물림해제할 방식으로 장착 베이스(6600)에 대해 태그를 회전시키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추가로, 래치 부재들(6604)은 사용자가 태그로부터 래치 부재들(6604)을 맞물림해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액세스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태그는 장착 베이스(6600)에 단단히 보유될 수 있다. 이는, 태그들이 장착 베이스(6600)와 함께 무기한으로 사용될 그리고/또는 정적 위치들 또는 디스플레이들에 설치되는 경우들에서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베이스(6600)는 소화기, 비상구, (예를 들어, 박물관의) 전시관, 소매 디스플레이 등에 또는 근처에 태그를 고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장착 베이스(66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장착 베이스들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접촉 블록을 사용하여 배터리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7은 나사형 부착 시스템을 사용하여 태그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장착 베이스(6710)를 예시한다. 특히, 다른 방식으로 태그(6102)와 유사한 태그는, 대응하는 나사형 특징부를 갖는 배터리 도어를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나사형 계면(예를 들어, 나사형 리세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베이스(6710)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대응하는 나사형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나사형 특징부(6714)(예를 들어, 나사형 실린더)를 포함하거나 한정할 수 있다. 장착 베이스(6710)는 태그를 장착 베이스에 반영구적으로 보유하는 래칭 특징부들, 예를 들어 멈춤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베이스(6710)의 하나 이상의 멈춤쇠들은 태그가 장착 베이스(6710) 상에 스레딩될 때 태그와 맞물릴 수 있고, 이로써 (태그 및/또는 장착 베이스에 대한 손상의 위험 없이) 태그가 장착 베이스(6710)로부터 스레딩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한 특징부들은, 태그가 건물들, 박물관들, 소매 디스플레이들 등의 영구 설비들과 같이 장착 베이스(6710)로부터 제거되도록 의도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구현될 수 있다. 장착 베이스(671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장착 베이스들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접촉 블록을 사용하여 배터리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장착 베이스들이 태그에 배터리 도어를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특징부들과 맞물리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것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일부 경우들에서, 배터리 도어 및 장착 베이스는 상이한 장착 특징부들 또는 기술들을 사용하여 태그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도어는 래치 부재와 리세스 사이의 맞물림을 사용하여 태그에 부착될 수 있는 한편, 장착 베이스는 태그의 나사형 특징부를 사용하여 동일한 태그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8은 배터리 커넥터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태그의 배터리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접촉 블록(6800)을 예시한다. 접촉 블록(6800)은 접촉 블록(6112)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장착 베이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장착 베이스들에 통합될 수 있다. 접촉 블록(6800)은 접촉 블록(6800)의 상단 표면 상에 위치되고 배터리 커넥터의 편향가능한 아암(예를 들어, 도 65a의 편향가능한 아암(6508))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전도성 부재(6802)를 포함한다. 제1 전도성 부재(6802)는 디스크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접촉 블록(6800)의 상단 표면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한정할 수 있다. 제1 전도성 부재(6802)가 접촉 블록(6800)의 상단 주위에 연속적인 표면을 갖기 때문에, 제1 전도성 부재(6802)는 접촉 블록(6800)에 대한 태그의 회전 포지션에 관계없이 배터리 커넥터와 접촉할 것이다. 접촉 블록(6800)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제2 전도성 부재들(예를 들어, 제2 전도성 부재들(6204))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 제2 전도성 부재들(680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다수의 불연속적인 제2 전도성 부재들(6804) 대신에, 단일 제2 전도성 부재(6804)가 접촉 블록(6800)의 주변부 주위에서 환형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로써 제2 전도성 부재(6804)의 일부분이 접촉 블록(6800)에 대한 태그의 회전 포지션에 관계없이 태그의 배터리 커넥터와 접촉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접촉 블록(6800)은 또한, 태그 상에 편향력을 적용하도록 구성된 편향 부재(680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접촉 블록으로부터의 편향력은 접촉 블록의 래치 부재들을 태그의 대응하는 특징부들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편향 부재(6806)는 스프링, 폼, 엘라스토머, 또는 태그에 필요한 편향력을 적용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 또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장착 베이스들은 태그들에 부착하기 위한 일부 예시적인 특징부들 및/또는 메커니즘들을 설명한다. 물론, 다른 구성들이 또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장착 베이스 상에 있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특징부들 또는 부재들은 대신에 태그 상에 제공될 수 있고, 태그의 특징부들은 대신에 대응하는 장착 베이스 상에 있을 수 있다. 추가로, 태그들이 배터리 도어 또는 다른 하우징 부재를 보유하기 위해 다른 유형들의 메커니즘들을 사용하는 경우, 장착 베이스는 그 태그에 부착하기 위해 동일한 유형의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태그들의 크기 및 폼 팩터의 하나의 장점은, 태그들이 다수의 부착 기술들 및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유형들의 액세서리들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가 키 링(본 명세서에서 분할 링으로 또한 지칭됨), 월렛, 서류 가방, 지갑, 의류, 수하물, 노트북 또는 태블릿 컴퓨터, 애완동물의 칼라 또는 사용자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로 추적하기를 원하는 임의의 다른 물품에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액세서리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9a 내지 도 128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태그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예시적인 액세서리들 및 부착 기술들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도 69a 내지 도 69c는 태그(300)(도 3)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태그 실시예와 같은 태그를 홀딩하기 위한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69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6900)는 또한 홀더, 태그 홀더, 태그 액세서리, 또는 간단히 액세서리로 지칭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6900)는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 및 부착 부분(6904)(스트랩일 수 있거나 또는 스트랩과 유사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스트랩 또는 체결 스트랩으로 지칭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은 태그(300)를 단단히 수용하고 홀딩하도록 구성되고, 부착 부분(6904)은 태그 리테이너(6900)를 다른 물체에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은 또한 포켓, 리세스, 또는 태그 보유 특징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69a 및 도 6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부분(6904)은 분할 링(6906)에 부착되지만, 이는 단지 그것이 부착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물체일 뿐이다. 예를 들어, 부착 부분(6904)은 수하물 또는 지갑 손잡이, 애완동물 칼라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물체에 부착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6900)는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의 완전한 원주 미만을 따라 한정된 개구(6910)를 한정할 수 있으며, 이는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6900) 내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한다. 태그 리테이너(6900)는 또한, 폐쇄 포지션에서 개구(6910)를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체결구(6908)를 포함한다. 체결구(6908)는 또한, 부착 부분(6904)(체결 스트랩)을 분할 링(6906)과 같은 다른 물체에 결합시키기 위해 (도 69a 내지 도 6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또는 루프 포지션에 부착 부분(6904)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구(6908)는 부착 부분(6904)의 단부를 부착 부분(6904)의 베이스에 영구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거나(이에 의해 부착 부분(6904)에 루프를 영구적으로 형성할 수 있음) 또는 부착 부분(6904)의 단부를 부착 부분(6904)의 베이스에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서, 루프는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이에 따라, 부착 부분(6904)은 분할 링(6906), 여행 가방 또는 서류 가방 등과 같은 물체에 용이하게 부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음).
체결구(6908)는 스냅, 클립, 버튼,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체결구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체결구(6908)는,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 내의 개구(6910)가 부착 부분(6904)에 형성된 루프와 독립적으로 체결 및 해제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스냅 요소들을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부착 부분(6904)의 루프는, 개구(6910)가 폐쇄된 상태로 체결되어 있는 동안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6900)가 다른 물체들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탈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고정 및 해제될 수 있다.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은 태그(300)가 내부에 배치되는 원형 공동을 한정할 수 있다. 원형 공동은, 태그(300)가 공동에 있을 때 공동(예를 들어, 리셉터클 부분의 내측 표면)을 한정하는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의 표면이 태그(300)의 외부 표면들에 터치하고/하거나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태그(300)의 크기 및 형상에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공동 내에서의 태그(300)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공동에 태그(300)를 고정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공동의 크기 및 형상은 태그(300)의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은, 사용자가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을 보고 태그(300)가 현재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 내에 있는지 여부를 쉽게 결정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6912)을 가질 수 있다. 개구들(6912)은 또한, 스피커들, 마이크로폰들, 환경 센서들 및/또는 태그(300)의 다른 입력들 및/또는 출력들이 외부 환경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들(6912)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하는 태그 하우징의 일부분과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이동하는 하우징의 표면은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이 억제되지 않도록 노출되고/되거나 비-폐색될 수 있다. 개구들(6912)은 태그(300)(또는 리테이너(6900)가 설계된 임의의 태그)를 고려하여, 태그(300)가 개구들(6912)을 통해 태그 리테이너(690) 밖으로 떨어질 수 없도록 태그(300)보다 작은 크기들 및/또는 형상들을 갖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들(6912)은 원형 태그의 가장 큰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 개구들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개구들(6912)의 직경들(또는 가장 큰 치수)은 약 3 인치 미만, 약 2 인치 미만, 또는 약 1 인치 미만이다. 다른 실시예들은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의 내부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에 대한 시각적인 액세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6900)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들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6900)는 가죽, 중합체(예를 들어, 실리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직물 또는 천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6900)가 중합체로 형성되면, 태그 리테이너(6900)는 (체결구(6908)를 제외하고) 단일의 일체형 중합체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6900)는 또한, 다수의 상이한 층들, 재료들, 및/또는 부분들을 함께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은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의 제1 부분(그리고 선택적으로 부착 부분(6904)을 포함함)을 한정하는 제1 층, 및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의 제2 부분을 한정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은 도 69a 및 도 69b에 도시된 수직 이음매(예를 들어, 개구(6910)를 한정하고/하거나 이에 대응하는 이음매)의 좌측 상의 재료에 대응할 수 있는 한편, 제2 층은 수직 이음매의 우측 상의 재료에 대응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6900)의 제1 및 제2 층들은 각각 재료의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각각 재료들의 다수의 서브층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브층들은 접착제들,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스티칭, 삽입 성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을 사용하여 서로 부착된다(예를 들어, 라미네이트됨).
제1 및 제2 층들은,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의 원주의 일부 주위에서 재봉되거나, 스티칭되거나, 접착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함께 결합되어, 제1 및 제2 층들을 함께 결합하면서 또한 태그(300)가 태그 리셉터클 부분(6902)에 삽입되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는 개구(6910)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은 계면 구역(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6900)가 조립 및 폐쇄될 때 서로 대면하고/하거나 맞닿는 제1 및 제2 층들의 표면들)을 따라 제2 층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층은 계면 영역의 제1 세그먼트를 따라(예를 들어, 도 69b 및 도 69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 부분들 사이의 이음매 또는 라인의 부재에 의해 태그 리테이너의 저부 부분 주위에서) 제1 층에 부착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영역의 제2 세그먼트를 따라 제1 층에 부착되지 않아서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개구(6910)를 한정할 수 있다.
도 69d 내지 도 69g는 태그 리테이너(6900)와 유사하지만, 스냅과 같은 체결구 대신에 탭과 인터레이스된 스트랩을 사용하여 폐쇄된 구성으로 태그 리테이너를 고정하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6920)를 예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태그 리테이너(6920)는 태그 리테이너(69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6900)의 세부 사항들은 태그 리테이너(6920)와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적용되며, 중복성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6920)는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 및 부착 부분 또는 스트랩(6926)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은 태그(300)를 단단히 수용하고 홀딩하도록 구성되고, 스트랩(6926)은 태그 리테이너(6920)를 다른 물체에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도 69d 및 도 6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6926)은 분할 링(6934)(스트랩(6926)의 말단부에서 루프(6932)를 통과함)에 부착되지만, 이는 스트랩(6926)이 부착될 수 있는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물체일 뿐이다. 예를 들어, 스트랩(6926)은 수하물 또는 지갑 손잡이, 애완동물 칼라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물체에 부착될 수 있다. 스트랩(6926)은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으로부터 제1 개구(6929)에 근접하게 연장된다.
태그 리테이너(6920)는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의 완전한 원주 미만을 따라 한정된 개구(6929)를 한정할 수 있으며, 이는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6920) 내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한다. 태그 리테이너(6920)는 또한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으로부터 제1 개구(6929)에 근접하게 연장되는 탭(6928)을 포함한다. 탭(6928)은, 폐쇄된 구성으로 제1 개구(6929)를 보유하기 위해, 스트랩(6926)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예를 들어, 스트랩(6926)은 개구(6930)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됨) 스트랩 개구(6930)를 한정한다. 스트랩(6926)은 또한, 제1 개구(6929)가 태그(300)를 수용하도록 확장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스트랩 개구(6930)로부터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스트랩(6926)을 개구(6930)를 통해 통과시키고 그리고/또는 스트랩(6926)을 개구(6930)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할 링(6934)은 스트랩(6926)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스트랩(6926)에 부착될 때, 분할 링(6934)의 크기는 스트랩(6926)이 개구(693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개구(6929)를 폐쇄된 구성으로 유지한다. 예를 들어, 분할 링(6934)의 치수(예를 들어, 직경)는 개구(6930)의 치수(예를 들어, 개구의 가장 큰 선형 치수)보다 크고, 이로써 분할 링(6934)이 스트랩(6926)의 루프(6932)에 부착될 때 스트랩(6926)의 말단부가 개구(693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9e는 태그(300)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 구성의 개구(6929)를 갖는 태그 리테이너(6920)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트랩(6926)은 개구(6930)를 통해 연장되지 않는다. 도 69f는 스트랩(6926)이 개구(6930)를 통과한 후에, 폐쇄된 구성인 개구(6929)를 갖는 태그 리테이너(6920)를 도시한다. 도 69g는 분할 링(6934)이 (루프(6932)를 통해) 스트랩(6926)에 부착된 후의 태그 리테이너(6920)를 도시한다. 도 69g의 구성에서, 개구(6929)는, 개구(6930)와의 분할 링(6934)의 간섭에 의해 폐쇄된 구성으로 보유될 수 있다. 개구(6929)를 폐쇄된 상태로 보유함으로써,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의 부주의한 개방 및 태그(300)의 해제가 방지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은 태그(300)가 내부에 배치되는 원형 공동을 한정할 수 있다. 원형 공동은, 태그(300)가 공동에 있을 때 공동(예를 들어,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의 내측 표면)을 한정하는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의 표면이 태그(300)의 외부 표면들에 터치하고/하거나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태그(300)의 크기 및 형상에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공동 내에서의 태그(300)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공동에 태그(300)를 고정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공동의 크기 및 형상은 태그(300)의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은, 사용자가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을 보고 태그(300)가 현재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 내에 있는지 여부를 쉽게 결정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6924)을 가질 수 있다. 개구들(6924)은 또한, 스피커들, 마이크로폰들, 환경 센서들 및/또는 태그(300)의 다른 입력들 및/또는 출력들이 외부 환경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들(6924)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하는 태그 하우징의 일부분과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을 생성하도록 이동하는 하우징의 표면은 가청 및/또는 촉각 출력들이 억제되지 않도록 노출되고/되거나 비-폐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태그 리셉터클 부분(6922)의 내부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거나 그에 대한 시각적인 액세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0a 내지 도 70d는 태그 리테이너(6900)와 유사하지만 상이한 부착 부분을 갖는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7000)를 예시한다. 특히, 태그 리테이너(6900)의 부착 부분(6904)은 기계적 체결구(6908)에 의해 루프에서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지만, 태그 리테이너(7000)는 부착 부분(7004)이 그 차제로 루프를 한정할 수 있게 하는 개구(7006)를 한정하는 부착 부분(700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70d는 태그 리셉터클 부분(7002)을 개구(7006)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개구(7006)를 사용하여 부착 부분(7004)이 루프 내로 형성될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한다. 부착 부분(7004)은 태그 리테이너(7000)를 키 링, 지갑, 수하물 손잡이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물체에 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태그 리테이너(7000)는 태그 리테이너(6900)와 구성 및 사용이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0c는 태그(300)가 태그 리셉터클 부분(7002) 내에 배치되고/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태그 리테이너(7000)가 (개구(7010)에서) 어떻게 개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추가로, 태그 리테이너(7000)는 스피커들, 마이크로폰들, 환경 센서들 및/또는 태그(300)의 다른 입력들 및/또는 출력들이 외부 환경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개구들(예를 들어, 원형 개구들)을 한정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7000)는 (도 70b 및 도 7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포지션에서 개구(7010)를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체결구(7008)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7008)는 스냅, 버튼,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체결 메커니즘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 리테이너(7000)는 도 69d 내지 도 69g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열(예를 들어, 스트랩 또는 부착 부분(700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갖는 탭)을 사용하여 폐쇄된 구성으로 자신의 개구(7010)를 선택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7000)의 다른 세부 사항들은 태그 리테이너(6900)의 세부 사항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1a 내지 도 71c는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7100)를 예시한다. 도 71a는 태그 리테이너(7100)의 상부 사시도를 예시하고, 도 71b는 태그 리테이너(7100)의 저면도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7100)는 태그를 위한 보호 쉘로서 작용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컴포넌트들에 대한 태그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7100)는,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7100) 내로 삽입되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태그 리테이너(7100)가 신장되거나 달리 변형될 수 있도록 가요성 및/또는 유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7100)는 실리콘, TPU, 또는 다른 적합한 중합체 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7100)는 단일 재료의 일체형 피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7100)는 태그 리셉터클 부분(7102) 및 파지 부분(7104)(태그 리테이너를 파지하고/하거나 태그 리테이너를 다른 물체에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 리셉터클 부분(7102)은 태그 리셉터클 부분(7102)의 제1 측부를 따른 제1 개구(7106) 및 태그 리셉터클 부분(7102)의 제2 측부를 따른 제2 개구(7108)를 한정할 수 있다. 제1 개구(7106)는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7100)에 위치될 때 태그(300)의 배터리 도어가 제1 개구(7106) 내로 연장되도록 크기설정되고 구성될 수 있고, 제2 개구(7108)보다 작을 수 있다. 도 71a의 라인 71C-71C를 따라 본 태그 리테이너(7100)의 부분 단면도인 도 7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리셉터클 부분(7102)의 주변부를 한정하는 재료의 두께는 배터리 도어가 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의 표면 위로 연장되는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구(7106)에 근접한 태그 리셉터클 부분(7102)의 외부 표면은 배터리 도어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제2 개구(7108)는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7100) 내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도록 크기설정되고 구성될 수 있다. 제2 개구(7108)는 태그(300)와 접촉하고 태그 리테이너(7100)에서 태그(300)를 보유하는 태그 보유 특징부(7110)에 의해 또는 그에 근접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태그 보유 특징부(7110)는 립, 플랜지, 돌출부, 또는 다른 특징부일 수 있거나 또는 이와 유사할 수 있다. 태그 보유 특징부(7110)는 제2 개구(7108)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태그(300)는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7100) 내에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제2 개구(7108)를 변형시키거나 신장시킴으로써 태그 리테이너(7100) 내로 삽입되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구들(7106, 7108)은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7100) 내에 배치될 때, 태그(300)의 스피커들, 마이크로폰들, 환경 센서들 및/또는 다른 입력들 및/또는 출력들이 외부 환경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7100)는 또한 태그 리테이너(7100)의 외측 주변부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완전히) 연장되는 플랜지(7103)를 한정할 수 있다. 플랜지(7103)는 태그 리테이너(7100)가 다른 물체들에 부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7103)는 의류, 지갑, 월렛 등과 같은 다른 물체에 재봉, 접착, 접합 또는 달리 부착될 수 있다. 파지 부분(7104)은 플랜지(7103)의 연장부 또는 확대된 부분으로 고려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7100)는 또한, 태그(300)의 하우징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는 음파들이 태그(300)와 태그(300)가 부착된 표면 사이의 공간 사이에 한정된 용적부를 빠져나갈 수 있게 하기 위해 통기구(7204)(도 72a 내지 도 72c)와 유사한 통기구를 한정할 수 있다.
도 72a 내지 도 72c는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7200)를 예시한다. 도 72a는 태그 리테이너(7200)의 상부 사시도를 예시하고, 도 72b는 태그 리테이너(7200)의 저면도를 예시한다. 도 72c는 도 72a의 라인 72C-72C를 따라 본 태그 리테이너(7200)의 부분 단면도이다. 태그 리테이너(7200)는 태그 리테이너(7100)와 크기 및 구성이 유사할 수 있다(그러나 파지 부분이 없음).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7200)는 실리콘, TPU, 또는 다른 적합한 중합체 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7200)는 단일 재료의 일체형 피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7200)는 태그(300)의 배터리 도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1 개구(7202)(태그 리테이너(7100)의 제1 개구(7106)와 유사함) 및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7200)내로 삽입되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제2 개구(7206)를 한정한다. 태그 리테이너(7100)와 유사하게, 제2 개구(7206)는 태그(300)와 접촉하고 태그 리테이너(7200)에서 태그(300)를 보유하는 태그 보유 특징부(7208)(예를 들어, 립, 플랜지, 돌출부)에 의해 또는 그에 근접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7200)는 태그 리테이너(7200)의 저부 표면(7210)을 따라 다른 컴포넌트들에 부착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7200) 내로 삽입된 후에 태그 리테이너(7200)가 다른 물체에 부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접착제 층이 저부 표면(7210)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접착제는, 태그 리테이너(7200)가 접착제가 부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도록 떼어내기 배킹(tear-away back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단순히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7200) 내에 배치하고, 배킹을 제거하고, 태그 리테이너(7200)를 물체(예를 들어, 컴퓨터, 수하물, 모바일 폰 등)에 부착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7200)는 저부 표면(7210)을 따라 통기구(7204)를 한정할 수 있다. 통기구(7204)는 태그 리테이너(7200) 주위의 외부 환경을 태그 리테이너(7200)가 장착된 표면과 태그(300)의 외측 표면(7211) 사이의 한정된 공간에 유동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는 태그(300)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가 외부 환경에 더 효과적으로 송신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태그(300)는, 선택적으로,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태그(300)의 외측 표면(7211)을 사용하여, 가청 출력을 생성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통기구(7204)는 공기압 파들이 태그(300)와 태그(300)가 부착된 표면 사이의 달리 인클로징된 공간을 빠져 나가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운드들이 더 쉽게 들릴 수 있다(예를 들어, 통기구(7204)는 비-통기 태그 리테이너(7200)에 비해 사운드 감쇠를 감소시킨다). 태그 리테이너(7200)의 크기 및 형상은 태그(300)의 외측 표면(7211)과 태그 리테이너(7200)가 부착되는 표면 사이에 한정된 용적부가 헬름홀츠(Helmholtz) 공진기로서 동작하거나, 달리 만족스러운 음향 성능을 제공하도록 튜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태그들의 크기 및 형상은 태그들이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액세서리들에 고정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들(6900 및 7000)은 태그를 부분적으로(또는 완전히) 인클로징하기 위해 다수의 측부들 상에서 태그와 접촉한다. 태그 리테이너들(7100, 7200)은 태그 리테이너들에 태그를 보유하는 원주방향 태그 보유 특징부들(예를 들어, 개구 주위의 원형 립)을 갖는다. 그러나, 태그를 보유하기 위한 다수의 다른 기술들이 또한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태그를 액세서리 또는 다른 물체에 보유하는 데 사용되는 구조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은 "태그 리테이너들"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태그 보유 특징부들(7110 및 7208)은 태그 리테이너들의 예들일 수 있다. 도 73a 내지 도 128은 태그 리테이너들의 다수의 예들을 도시한다. 간략화를 위해, 도 73a 내지 도 128은 하나의 예시적인 액세서리(일례로서, 키 링 주위에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세장형 세그먼트를 갖는 액세서리)의 맥락에서 태그 리테이너들의 예들을 도시하지만, 도 73a 내지 도 128에 도시된 태그 리테이너들 중 임의의 것이 또한 다른 유형들의 액세서리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키 체인 액세서리에 사용되는 태그 리테이너는 대신에 수하물 부착 액세서리와 통합될 수 있다.
도 73a는 본체(7302) 및 본체(7302)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보유 플랜지들(7304)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7300)를 도시하며, 여기서 보유 플랜지들(7304)은 본체(7302)보다 큰 강성을 갖는다. 보유 플랜지들(7304)은 태그를 액세서리에 보유하기 위해 태그의 메인 본체 부분과 배터리 도어 사이의 갭 또는 채널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7302)에 대한 보유 플랜지들(7304)의 증가된 강성은 부착물의 강도 및 보안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배터리 도어와 태그의 메인 본체 부분 사이의 갭은 "하우징 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추가로, 태그의 하우징 갭은 배터리 도어 및 메인 본체 부분에 의해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대신에 태그의 다른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어느 것도 배터리 도어로서 동작하지 않는 2개의 하우징 부재들) 사이에 한정될 수 있다.
태그를 태그 리테이너(7300) 내에 설치할 때, 본체(7302)는, 태그를 수용하기 위해 본체(7302)의 개구가 확대될 수 있도록 신장시키고, 이어서 비-신장된(또는 덜 신장된) 구성으로 복귀하여 보유 플랜지들(7304)을 하우징 갭 내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유 플랜지들(7304)은 태그(300)를 삽입 및 제거할 때 하우징 갭 내의 포지션 안팎으로 스냅체결될 수 있다.
도 73b는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7300) 내에 어떻게 설치되고 보유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도 73a의 라인 73B-73B를 따라 본 도 73a의 태그 리테이너(73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300)는 배터리 도어의 일부와 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 사이의 갭(7306)(예를 들어, 하우징 갭)을 한정한다. 보유 플랜지들(7304)은 보유 플랜지들(7304)의 일부가 하우징 갭(7306) 내로 연장되어 태그 리테이너(7300) 내에 태그(300)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보유 플랜지들(7304)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본체(7302)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유 플랜지들(7304)은 몰드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이어서, 본체(7302)를 위한 재료는 보유 플랜지들(730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캡슐화하고 보유 플랜지들(7304)을 본체(7302)에 보유하도록 몰드에 주입될 수 있다. 보유 플랜지들(7304)은 또한 본체(7302)에 부착되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4a 내지 도 74f는 본체(7402)에 매립된 스프링 부재(7404)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7400)를 예시한다. 본체(7402)는 유연성, 가요성 재료 또는 재료들(예를 들어, 실리콘, TPU, 또는 다른 적합한 중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스프링 부재(7404)는 금속(예를 들어, 스프링 강) 또는 덜 유연한 중합체와 같은 더 높은 강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체(7402) 및 스프링 부재(7404)는 태그의 하우징 갭과 맞물리도록 협력할 수 있다. 특히, 도 7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402)는 스프링 부재(7404)에 의해 태그의 하우징 갭 내로 편향된다. 태그 리테이너(7400)가 태그(300)와 어떻게 맞물리는지를 더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도 74a는 배터리 도어의 상부 부분이 없는 태그(300)를 도시하는 태그(30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태그(300)의 단면 라인(7403)은 도 74c에 도시된다.)
태그 리테이너(7400)로부터 태그(300)를 부착 또는 분리하기 위해, 태그 리테이너(7400)는 스프링 부재(7404) 및 본체(7402)가 확장할 수 있도록 조작된다. 예를 들어, 본체(7402)에 적용되는 힘(화살표(7407)로 표시됨)은 태그(300)에 대항하여 스프링 부재(7404)의 맞물림 단부들(7410)을 강제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맞물림 단부들(7410)이 벌어지게 하여, 궁극적으로 본체(7402) 내의 개구를 확대시켜 태그(300)가 보다 용이하게 개구로부터 제거되거나 그 안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도 74c 내지 도 74f는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7400)로부터 맞물림해제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도 74a의 라인 74C-74C를 따라 본 도 74a의 태그 리테이너(7400) 및 태그(300)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74c에서, 태그(300)는 태그 리테이너(7400)의 본체(7402)의 일부분이 하우징 갭에 위치되고, 이로써 태그 리테이너(7400)에 대해 태그(300)를 보유하도록, 태그 리테이너(7400)의 개구에 위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7404)는 하우징 갭 내로 본체(7402)를 편향시킨다.
도 74d에서, 화살표들(7409)로 표시된 바와 같이, 태그 리테이너(7400)(및/또는 태그(300))에 힘이 적용된다. (이러한 동작은 도 74b에 대응한다.) 힘은 태그(300) 및/또는 태그 리테이너(7400)를 손으로 파지하고 태그(300)를 스프링 부재(7404)의 맞물림 단부들(7410)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적용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개구의 크기를 확장시키고, 본체(7402)의 플랩(7408)과 태그(300) 사이에 갭(7412)을 도입한다. 도 74e에서, 태그 리테이너(7400)는 하우징 갭으로부터 본체(7402)의 플랩(7408)을 맞물림해제하도록 각을 이룬다. 도 7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7408)이 하우징 갭으로부터 제거될 때, 본체(7402)의 나머지는 태그 리테이너(7400)로부터 태그(300)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하우징 갭으로부터 용이하게 맞물림해제될 수 있다. 태그(300)는 이러한 단계들을 반전시킴으로써 태그 리테이너(7400)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7400)로부터 쉽게 분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사용 동안 태그(300)에 부여될 수 있는 우발적인 힘들의 유형들과는 반대 방향이다.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7400)가 스트랩(7411)을 통해 지갑에 결합되는 경우, 태그(300)가 의류와 같은 다른 물체에 걸리면, 힘은 태그(300)를 스트랩으로부터 멀어지게 당기는 경향이 있을 것이며, 이는 태그(300)를 결합해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힘의 반대 방향에 있다. 이러한 방향으로의 힘은 실제로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7400)에 추가로 조이거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그 리테이너(7400)는 태그(300)가 쉽게 부착 및 탈착될 수 있게 하면서, 걸림돌들 등으로 인한 우발적인 탈착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 리테이너(7400)는 보강 요소를 가질 수 있고 (또는 본체(7402)는 충분히 강성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체(7402)에 적용되는 힘은 스프링 요소의 맞물림 단부들(741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7402)의 스트랩 또는 손잡이 부분은, 개구를 한정하고 태그(300)와 맞물리는 본체(7402)의 부분보다 더 강성인 금속, 플라스틱, 또는 다른 재료로부터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7404)의 맞물림 단부들(7410)은 스프링 부재(7404)의 다른 부분들보다 태그(300)에 더 가까운 만곡된 영역들을 한정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된 영역들은 결합 및 결합해제 동작들 동안 위치(7406)(도 74a 및 도 74b)에서 1차 본체/태그 계면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7406)에 힘을 집중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적용된 힘의 충분히 큰 부분이 스프링 부재(7404)에 전달되어 스프링 부재(7404)(및 이에 따라 개구)가 확장되게 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7404)는 본체(740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부재(7404) 및 본체(7402)는 태그 리테이너(7400)를 생성하도록 삽입 성형될 수 있다.
도 75a 내지 도 75c는 태그 리테이너(7400)와 유사하지만 상이한 스프링 부재 구성을 갖는 태그 리테이너(75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7500)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7502), 및 스프링 부재(75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체(예를 들어, 스프링 강, 중합체 등)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7504)는 본체(7502) 내의 개구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선택적으로 본체(7502)의 손잡이 부분(7513) 내로 연장되는 연장 단부들(7506)을 한정할 수 있다. 연장 단부들(7506)은, 태그(300)를 결합 또는 결합해제하기 위해 태그 리테이너(7500) 및/또는 태그(300)에 적용되는 힘이 태그/본체 계면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본체(7502)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75b 및 도 75c는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7500)에 부착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도 75a의 라인 75B-75B를 따라 본 도 75a의 태그 리테이너(7500) 및 태그(300)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7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502)의 제1 측부는 태그(300)와 맞물리고, 본체(7502)를 하우징 갭과의 맞물림 상태로 피봇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화살표(7507)로 표시됨)이 본체(7502)에 적용된다. 힘은 스프링 부재(7504), 및 그에 따라 개구 크기가 확장되게 하여, 본체(7502)가 태그(300)의 배터리 도어 위로 신장되고 하우징 갭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도 75c는 하우징 갭과 완전히 맞물리는 태그 리테이너(7500)를 도시한다.
태그 리테이너들(7400 및 7500)은 각각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지만, 이들의 위치에 대안적인 유형들의 스프링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클립이 사용될 수 있고, c-클립은 개방 툴과 맞물리기 위한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태그는, 도구를 사용하여 c-클립을 강제 개방하고, 태그를 개구 내에 삽입하고, 그리고 c-클립이 태그 리테이너를 태그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구를 제거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도 76a 내지 도 76c는 본체(7602) 내에 매립된 폐쇄 링 스프링 부재(7604)를 갖는 태그 리테이너(7600)를 예시한다. 각각 2개의 자유 단부들을 한정하는, 태그 리테이너들(7400 및 7500) 내의 스프링 부재들과 대조적으로, 폐쇄 링 스프링 부재(7604)는 연속적인 폐쇄 링 형상을 한정한다. 본체(7602), 및 특히, 본체 재료 및 개구(7601)의 크기 및 형상은, 폐쇄 링 스프링 부재(7604)가 상당히 휘어지거나 확장되지 않으면서, 태그가 개구(7601) 내로 삽입되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신에, 개구(7601)는 개구(7601)가 둘러싸는 태그의 부분의 크기보다 약간 더 크다.
도 76b 및 도 76c는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7600)에 부착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도 76a의 라인 76B-76B를 따라 본 도 76a의 태그 리테이너(7600)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7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7602)의 제1 측부는, 본체(7602)가 그 위치에서 태그(300)와 접촉하도록, 또는 그렇지 않으면 태그에 충분히 근접하여 (화살표(7607)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7602)의 다른 단부가 위치(7609)에서 태그(300) 위를 통과하도록 (위치(7606)에서) 태그(300)와 맞물린다. 본체(7602)는 태그(300)가 삽입될 때 약간 신장될 수 있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일단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7600)의 개구 내에 있으면, 본체(7602)의 일부분 및 폐쇄 링 스프링 부재(7604)는 배터리 도어의 오버행 하에서 하우징 갭 내에 위치될 수 있지만, 본체(7602)와 태그(300) 사이에 공간(7608)이 남아있을 수 있고, 이는 폐쇄 링 스프링 부재(7604)로 인한 태그 리테이너(7600)의 더 큰 강성(예를 들어, 더 낮은 변형성)을 수용하기 위해 더 큰 직경의 개구(7601)에 기인한다.
도 77a 및 도 77b는 본체(7702) 내에 매립된 다른 유형의 스프링 부재(7704)를 갖는 태그 리테이너(7700)를 예시한다. 특히, 스프링 부재(7704)의 자유 단부들은 조작 단부들(7705)을 한정하기 위해 서로 교차된다. 태그 리테이너(7700)의 개구가 확장되게 하기 위해, 도 77b에서 화살표들(7707)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 단부들(7705)에 힘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은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7700)로부터 부착 및/또는 탈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체(7702)와 태그(300) 사이에 추가적인 공간(7706)을 생성한다. 힘이 제거될 때, 스프링 부재(7704)는 그의 더 작은 상태로 복귀하고, 그에 의해, 하우징 갭에서 태그 리테이너(7700)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태그 리테이너(7700)에 태그(300)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개구를 확장되지 않은 상태로 편향시킨다.
도 78a 및 도 78b는 본체(7802) 내에 매립된 다른 유형의 스프링 부재(7804)를 갖는 태그 리테이너(7800)를 예시한다. 스프링 부재(7804)는 반경방향 힘이 스프링 부재(7804)에 적용될 때 확장될 수 있는 원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태그(300)를 원형 스프링 부재(7804)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향으로 당기는 경향이 있는 힘이 태그(300)에 적용되어, 태그 리테이너(7800)의 개구가 (도 7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은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7800)로부터 부착 및/또는 탈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체(7802)와 태그(300) 사이에 추가적인 공간(7806)을 생성한다. 힘이 제거될 때, 스프링 부재(7804)는 그의 더 작은 상태로 복귀하고, 그에 의해, 하우징 갭에서 태그 리테이너(7800)를 유지하고 그에 따라 태그 리테이너(7800)에 태그(300)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개구를 확장되지 않은 상태로 편향시킨다. 스프링 부재(7804)는 개구 주위에 감기는 종래의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스프링 부재(7804)는 평탄화된 코일 스프링과 유사하다(예를 들어, 스프링 부재의 높이는 코일 루프들의 직경보다 작음).
도 79a 및 도 79b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79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7900)는, 내부에 태그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7901)를 한정하는 원형 단부 내로 형성된 본체(7902)를 포함한다. 본체(7902)는 소프트-터치 외측 코팅을 갖는 강성 코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7902)는 중합체 외측 코팅, 재킷 또는 층을 갖는 금속 내부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체(7902)는 상이한 강성들을 갖는 2개의 플라스틱들(예를 들어, 더 강성인 내부 코어 및 덜 강성인 외측 코팅)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체(7902)는 단일 피스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코어(또는 플라스틱의 단일 피스)는, (예를 들어, 태그에 부착하기 위해) 개구(7901)가 폐쇄 루프를 한정하는 구성으로 본체(7902)가 강제될 수 있고 스프링력이 본체(7902)를 래칭된 또는 고정된 구성으로 편향시킬 수 있도록 본체(7902)에 스프링-유사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내부 코어는 개구(7901)를 한정하는 본체(7902)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그리고 선택적으로 클립 특징부(7904)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본체(7902)는, 원형 단부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본체(7902)의 보유 부분(7906)과 맞물리고 맞물림해제될 수 있는 클립 특징부(7904)를 포함하거나 한정한다. 예를 들어, 도 79b는 본체(7902)의 보유 부분(7906)으로부터 맞물림해제된 클립 특징부(7904)를 갖는 태그 리테이너(7900)를 도시한다. 이러한 형상은 본체(7902)에 어떠한 힘도 가해지지 않을 때의 본체(7902)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예를 들어, 본체(7902)는 응력이 가해지지 않거나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 있음). 이러한 상태의 개구(7901)는 태그(300)가 개구(7901)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만큼 충분히 클 수 있다. 도 79c는 본체(7902)의 리테이너 부분(7906)과 맞물리는 클립 특징부(7904)를 갖는 태그 리테이너(7900)를 도시하고, 이로써 태그 리테이너(7900)를 태그(300)에 보유하는 폐쇄 루프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개구(7901)는 본체(7902)가 태그(300)의 하우징 갭에 보유되도록 더 작을 수 있다. 추가로, 본체(7902)에 의해 생성된 스프링력은 클립 특징부(7904)를 보유 부분(7906)으로부터 멀어지게 강제하며, 그에 의해, (예를 들어, 클립 특징부(7904)의 후크-유사 형상으로 인해) 클립 특징부(7904)가 보유 부분(7906)과 단단히 맞물리도록 강제하는 경향이 있다.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7900)로부터 탈착시키는 것은, 태그(300)가 보유 부분(7906)으로부터 후크해제될 수 있고, (도 79b에 도시된) 그의 편향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도록 허용될 수 있고 태그(300)가 제거될 수 있도록 클립 특징부(7904)를 당김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80a 내지 도 80c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80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7900)와 유사하게, 태그 리테이너(8000)는 태그를 태그 리테이너(8000)에 고정시키기 위해 본체가 태그의 하우징 갭과 맞물릴 수 있도록 비교적 강성인 본체(8002)에 의존할 수 있다. 특히, 본체(8002)는 개방 루프 형상으로 편향되는 개구(8001)를 한정할 수 있고, 보유 메커니즘을 통해 폐쇄 루프 형상으로 보유될 수 있다.
보유 메커니즘으로서 작용하기 위해, 태그 리테이너(8000)는 클립 단부(8004) 및 포스트(8006)를 포함한다. 클립 단부(8004)는 개구(8001)를 폐쇄 루프 구성으로 보유하기 위해 포스트(8006)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80a는 클립핑되지 않은 개방 루프 상태의 태그 리테이너(8000)를 도시하는 한편, 도 80b는 폐쇄 루프 상태에 있고 태그(300)의 하우징 갭과 맞물리는 태그 리테이너(8000)를 도시한다.
도 80c는, 개구(8001)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태그(300)를 보유하기 위해 포스트(8006)와 맞물리는 클립 단부(8004)를 도시하는, 도 80b의 라인 80C-80C를 따라 본 태그 리테이너(8000)의 부분 단면도이다. 클립 단부(8004)는 언더컷들을 갖는 리세스들(8012)을 포함하거나 한정할 수 있다. 포스트(8006)는, 포스트(8006)의 플랜지(8010) 또는 립 요소가 리세스들(8012)의 언더컷과 맞물리도록 리세스들(801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클립 단부(8004)를 포스트(8006)에 보유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클립 단부(8004) 및 포스트(8006)는 클립 단부(8004)를 포스트(8006)에 보유하는 것을 돕기 위해 자기 인력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트(8006)는 자석으로 형성되거나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클립 단부(8004)는 자기 포스트(8006)에 끌어 당겨지는 강자성 요소들(8008)(예를 들어, 강철 삽입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들, 강자성 재료들 등의 다른 구성들 및 포지션들이 또한 고려된다. 클립 단부(8004)와 포스트(8006) 사이의 자기 인력은 몇몇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클립 단부(8004) 및 포스트(8006)를 맞물림 포지션으로 스냅체결하여, 부착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는 사용 동안 클립 단부(8004) 및 포스트(8006)를 함께 보유할 수 있고, 포스트(8006)의 플랜지와 리세스들(8012)의 언더컷들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이는 자기 인력 단독보다 결합해제에 대해 더 큰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1a 및 도 81b는 본체(8102)가 태그 주위에 루프를 형성하고 포스트 및 구멍 체결 시스템에 의해 고정되는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8100)를 예시한다. 특히, 태그 리테이너(8100)는 포스트(8106)를 포함하고, 본체(8102)는 포스트(810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8104)를 한정한다. 포스트(8106)가 개구(8104) 내로 삽입될 때, 본체(8102)는 태그(300)의 하우징 갭에서 태그(300)(도 81b)를 둘러싸는 루프를 한정한다. 포스트(8106)는 개구(8104)보다 더 큰 자유 단부 및 자유 단부보다 더 작은 샤프트를 한정할 수 있다. 자유 단부는 포스트가 개구(8104) 내로 푸시될 때 개구(8104)를 변형시킬 수 있고, 포스트(8106)가 삽입된 후에 개구(8104)가 변형되어, 개구(8104) 및 포스트(8106)의 샤프트가, 개구(8104) 내에 포스트(8106)를 보유하는(그에 따라 태그(300)를 홀딩하는 루프에 태그 리테이너(8100)를 보유하는) 보유 특징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자유 단부와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도 82a 및 도 82b는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태그 주위에 루프가 고정되는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8200)를 예시한다. 도 82a는 루프(8201) 내로 형성되고 태그(300) 주위에 랩핑되는 코드(8202)를 포함할 수 있는 태그 리테이너(8200)를 도시한다. 태그 리테이너(8200)를 태그(3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태그(300)를 향해 슬라이더(8204)를 활주시킴으로써, 도 8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300) 주위에(그리고 하우징 갭 내에) 루프(8201)를 조일 수 있다. 하우징 갭 내의 조여진 루프(8201)는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8200)에 보유하기 위해 태그(300)와의 충분한 맞물림을 제공한다. 슬라이더(8204)는 슬라이더(8204)의 구멍들과 코드(8202)(구멍들을 통해 연장될 수 있음) 사이의 마찰이 슬라이더(8204)의 우발적인 이동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루프(8201)가 조여진 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경우들에서, 슬라이더(8204)는, 슬라이더(8204)가 의도치 않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캠 로크(cam lock), 클램프, 코드 로크, 해제가능한 래칫팅(ratcheting) 메커니즘(예를 들어, 집 타이(zip tie)와 유사함) 등과 같은 잠금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3a 및 도 83b는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태그 주위에 루프가 고정되는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83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8300)는, 루프를 한정하는 2개의 자유 단부들을 갖는 단일 코드 대신에, 태그 리테이너(8300)가 폐쇄 루프 개구(8306)를 한정하는 본체(8302)를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태그 리테이너(8200)와 유사하다. 슬라이더(8304)는 슬라이더(8204)와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8304)는 개구(8306)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태그(300)가 개구(8306)(도 83a) 내에 위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개구(8306)로부터 멀어지게 활주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개구(8306)를 하우징 갭 내로 조임으로써) 개구(8306)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개구(8306) 내의 태그(300)를 캡처하기 위해, 슬라이더(8304)가 태그(300)를 향해 활주될 수 있다. 슬라이더(8304)는 마찰, 래칫 메커니즘들, 클램프들, 캠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기술들을 사용하여 의도하지 않은 풀림을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도 84a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84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8400)는, 본체(840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2개의 상호연결된 래칫 코드들(8404, 8406)을 갖는 본체(8402)를 포함한다. 상호연결된 래칫 코드들(8404, 8406) 각각은 래칫 메커니즘(8408, 8410)을 각각 포함한다. 따라서, 래칫 코드(8404)는 래칫 메커니즘(8408)을 포함할 수 있고, 래칫 메커니즘(8410)을 통해 연장되어 그와 맞물릴 수 있다. 유사하게, 래칫 코드(8406)는 래칫 메커니즘(8410)을 포함할 수 있고, 래칫 메커니즘(8408)을 통해 연장되어 그와 맞물릴 수 있다. 래칫 메커니즘들(8408, 8410)은 대응하는 래칫 코드가 하나의 방향으로 래칫 코드를 통해 이동할 수 있게 하지만, (집 타이의 동작과 유사하게) 다른 방향으로의 모션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칫 동작은, 화살표들(841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태그 리테이너(8400)의 대향 측부들을 당김으로써 태그 리테이너(8400)가 조여질 수 있게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힘은 래칫 코드들(8404, 8406) 둘 모두가 태그(300) 주위로 조여지게 할 수 있고, 래칫 메커니즘들(8408, 8410)은 코드들을 조여진 상태로 잠금한다.
래칫 코드들(8404, 8406)은 래칫 메커니즘들(8408, 8410), 태그(300) 및/또는 태그 리테이너(8400)의 일부 다른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결합해제될 수 없도록, 래칫 메커니즘들(8408, 8410)에 의해 조여진 포지션에서 반영구적으로 보유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래칫 메커니즘들(8408, 8410)은 선택적으로 해제가능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버튼, 래치, 레버 또는 다른 메커니즘으로 래칫 메커니즘들(8408, 8410)을 해제하고 태그 리테이너(8400)로부터 태그(300)를 탈착시킬 수 있다. 래칫 코드들(8404, 8406)은 중합체, 금속,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본체(8402)의 재료(TPU, 실리콘 등과 같은 중합체일 수 있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도 84b는 태그 리테이너(8420)를 태그(300)에 부착하기 위해 래칫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842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8400)는 2개의 래칫 코드들을 포함하는 반면, 태그 리테이너(8420)는 태그(300)의 일부분 주위에 루프화되는 단일 래칫 코드(842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래칫 코드(8422)는 태그의 하우징 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맞춤되고/되거나 그와 맞물릴 수 있고, 래칫 메커니즘(8424)은 태그(300)에 래칫 코드(8422)를 보유하는 폐쇄적이고 단단히 루프화된 구성으로 래칫 코드(8422)를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래칫 코드(8422)는 태그(300)를 정지 상태로 홀딩하면서 래칫 코드(8422)를 방향(8426)을 따라 당김으로써 조여질 수 있다. 래칫 코드(8422)를 해제하는 것은 버튼, 래치, 레버 또는 래칫 메커니즘(8424)의 다른 메커니즘의 작동에 의해, 도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또는 래칫 코드(8422) 또는 래칫 메커니즘(8424)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조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래칫 코드(8422)는 중합체, 금속,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재료(TPU, 실리콘 등과 같은 중합체일 수 있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도 85a 내지 도 91b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에 부착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들을 예시한다. 이들 스프링 부재들 모두는 유사한 방식으로, 즉, 하우징 갭 내에 태그 리테이너를 유지하는(그리고 이에 따라 하우징 갭에 의해 한정된 언더컷들 및/또는 플랜지들과 맞물리는) 편향력으로 하우징 갭과 맞물림으로써 태그에 부착된다. 도 85a 내지 도 91b의 스프링 부재들은 태그들에 직접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태그들에 직접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때, 스프링 부재들은, 태그가 다른 것(예를 들어, 키들, 지갑, 수하물, 백팩 등)에 부착될 수 있도록, 스트랩들, 코드들, 케이블들, 로프들, 클립들,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5a 내지 도 91b의 스프링 부재들은 또한, 다른 태그 리테이너들의 본체들 내부에서 스프링 부재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7400)(도 74a)의 스프링 부재(7404)는 도 85a 내지 도 91b의 스프링 부재들 중 임의의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85a는 태그(300)와 맞물리는(예를 들어, 하우징 갭에 고정된)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8500)를 도시한다. 스프링 부재(8500)는, 스프링 부재(8500)를 태그(300)에 부착하기 위해 하우징 갭 내로 편향되는 맞물림 영역들(8504) 및 조작 영역들(8502)을 한정한다. 스프링 부재(8500)는 금속(예를 들어, 스프링 강, 스테인리스 강 등), 중합체 재료 등으로부터 형성된 (단면이) 둥근 와이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조작 영역들(8502)(본 명세서에서 조작기들로 또한 지칭됨)은 스프링 부재(8500)의 부분들이며, 이는 가압되거나, 당겨지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조작될 때, 스프링 부재(8500)가 태그(300)로부터 쉽게 결합해제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도 8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 힘들(8506)이 조작기들(8502)에 적용될 때(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프링 부재(8500)를 핀칭하거나 압착할 때), 맞물림 영역들(8504)은 태그(300)와 맞물림 영역들(8504) 사이에 갭(8508)을 한정하거나 증가시키기 위해 펼쳐진다. 이러한 증가된 갭은 태그(300)가 스프링 부재(8500)에 부착되고/되거나 그로부터 탈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태그(300)의 배터리 도어의 플랜지 또는 립이 스프링 부재(8500)에 의해 한정된 개구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클 수 있다.
도 86a는 태그(300)와 맞물리는(예를 들어, 하우징 갭에 고정된)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8600)를 도시한다. 스프링 부재(8600)는, 스프링 부재(8600)를 태그(300)에 부착하기 위해 하우징 갭 내로 편향되는 맞물림 영역들(8604) 및 조작 영역들(8602)을 한정한다. 스프링 부재(8600)는 스프링 부재(8500)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예를 들어, 조작 영역들(8602)에 적용되는 힘들(8606)은 스프링 부재(8600)가 변형되게 하고, 태그(300)가 부착 및/또는 탈착될 수 있게 하는 갭(8608)(도 86b)을 한정한다.
스프링 부재(8500)는 (단면이) 원형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스프링 부재(8600)는 세장형(예를 들어,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와이어 또는 리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원형 단면 형상은 스프링 부재(8600)에 유리한 물리적 및/또는 기계적 특성들을 제공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부재(8600)는, 더 넓은 치수가 스프링 부재(8600)의 반경방향 치수와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향은 조작 영역들(8602)과 비교하여 맞물림 영역들(8604)에서의 변형에 대한 더 큰 강성 또는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조작 영역들(8602)은 약 90 도만큼 회전된 단면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맞물림 영역들(8604)의 변형을 제한하면서 힘들(8606)이 조작 영역들(8602)을 변형시킬 수 있게 한다. 도 86c 및 도 86d는 도 86a의 라인들 86C-86C 및 86D-86D를 따라 각각 본 스프링 부재(8600)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86c 및 도 86d는 각각, 맞물림 영역들(8604) 및 조작 영역들(8602)에서의 스프링 부재(8600)의 단면 형상의 배향들을 예시한다. 스프링 부재(8600)는 금속(예를 들어, 스프링 강, 스테인리스 강 등), 중합체 재료 등으로부터 형성된 (단면에서) 세장형 리본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세장형 리본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87a 내지 도 87c는 태그(300)와 맞물리는(예를 들어, 하우징 갭에 고정된)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8700)를 도시한다. 스프링 부재(8700)는, 스프링 부재(8700)를 태그(300)에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들이 하우징 갭 내로 편향되는 맞물림 영역들(8704) 및 조작 영역들(8702)을 한정한다. 스프링 부재(8700)는 스프링 부재(8500)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예를 들어, 조작 영역들(8702)에 적용되는 힘들(8706)은 스프링 부재(8700)가 변형되게 하고, 태그(300)가 부착 및/또는 탈착될 수 있게 하는 갭(8708)(도 87b)을 한정한다.
도 8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영역들(8702)은 코일형 스프링들을 한정할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들은, 맞물림 영역들(8704)을 확장시키도록 힘들을 효과적으로 지향시키는 조작기들(8702)을 또한 한정하면서, 맞물림 영역들(8704)을 하우징 갭과 맞물리게 유지하기 위해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들은, 코일형 스프링들이 없는 유사한 단면 형상의 스프링 부재보다 비교적 더 적은 작동력을 요구할 수 있다.
도 88a 및 도 88b는 태그(300)와 맞물리는(예를 들어, 하우징 갭에 고정된)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8800)를 도시한다. 스프링 부재(8800)는, 스프링 부재(8800)를 태그(300)에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들이 하우징 갭 내로 편향되는 맞물림 영역들(8804) 및 조작 영역들(8802)을 한정한다. 스프링 부재(8800)는 육각형 형상을 한정하며, 맞물림 영역들(8804) 각각은 2개의 각자의 측부들(및 이들 측부들 사이의 정점)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한정된다. 스프링 부재(8800)는 스프링 부재(8500)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예를 들어, 조작 영역들(8802)에 적용되는 힘들(8806)은 스프링 부재(8800)가 변형되게 하고, 태그(300)가 부착 및/또는 탈착될 수 있게 하는 갭(8808)(도 88b)을 한정한다.
도 89a 및 도 89b는 태그(300)와 맞물리는(예를 들어, 하우징 갭에 고정된)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8900)를 도시한다. 스프링 부재(8900)는, 스프링 부재(8900)를 태그(300)에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들이 하우징 갭 내로 편향되는 맞물림 영역들(8904) 및 조작 영역들(8902)을 한정한다. 스프링 부재(8900)는 장방형 형상을 한정하며, 맞물림 영역들(8904) 각각은 제1 반경을 갖는 각자의 만곡된 영역에 의해 한정되고, 조작 영역들(8902) 각각은 제1 반경보다 더 작은 제2 반경을 갖는 각자의 만곡된 영역에 의해 한정된다. 스프링 부재(8900)는 스프링 부재(8500)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예를 들어, 조작 영역들(8902)에 적용되는 힘들(8906)은 스프링 부재(8900)가 변형되게 하고, 태그(300)가 부착 및/또는 탈착될 수 있게 하는 갭(8908)(도 89b)을 한정한다.
도 90a 및 도 90b는 태그(300)와 맞물리는(예를 들어, 하우징 갭에 고정된)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9000)를 도시한다. 스프링 부재(9000)는, 스프링 부재(9000)를 태그(300)에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들이 하우징 갭 내로 편향되는 맞물림 영역들(9004) 및 제1 및 제2 조작 영역들(9002, 9003)을 한정한다. 조작 영역들(9002, 9003)은 상이한 형상들을 가지며, 스프링 부재(9000)가 태그(300)에 부착될 때 태그(300)에 대해 상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부재(9000)가 태그에 부착될 때, 제1 조작 영역(9002)은 하우징 갭을 넘어서 연장된다(예를 들어, 제1 조작 영역(9002)은 하우징 갭으로부터 튀어나오고, 스프링 부재(9000)를 다른 물체에 결합하기 위해 스트랩들, 코드들, 케이블들, 스트링들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이 부착될 수 있는 루프를 한정한다). 대조적으로, 제2 조작 영역(9003)은 하우징 갭 내에 남아 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제2 조작 영역(9003)은 하우징 갭을 한정하는 플랜지들, 립들, 오버행들 등을 지나 연장되지 않을 수 있음). 일부 경우들에서, 제2 조작 영역(9003)은 다른 맞물림 영역으로서 작용할 수 있고, 스프링 부재(9000)가 태그(300)에 부착 및/또는 그로부터 탈착되지 않을 때, 하우징 갭 내에서 태그(300)와 접촉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9000)는 스프링 부재(8500)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조작 영역들(9002, 9003)에 적용되는 힘들(9006)은 스프링 부재(9000)가 변형되게 하고, 태그(300)가 부착 및/또는 탈착될 수 있게 하는 갭(9008)(도 90b)을 한정한다. 제2 조작 영역(9003)이 하우징 갭 내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들로 대향 힘들(9006)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예로서,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제1 조작 영역(9002)을 푸시하면서 (하우징 갭 내의) 제2 조작 영역(9003)에 대항하여 손톱, 코인, 신용 카드의 에지, 작은 도구, 또는 일부 다른 기구를 누를 수 있다. 이는, 스프링 부재(9000)의 개구를 확장시키고 갭(9008)을 생성하는 대향 힘들(9006)의 적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먼저 제1 조작 영역(9002)에 힘(9006)을 적용할 수 있고, 이는 스프링 부재(9000)를 부분적으로 변형시키고 제2 조작 영역(9003)을 하우징 갭 밖으로 강제할 수 있으며, 이 때, 갭(9008)을 생성하고 태그(300)가 부착 및/또는 탈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스프링 부재(9000)를 더 완전히 변형시키도록 누르기 위해 사용자에 대해 액세스가능할 것이다.
도 91a 및 도 91b는 태그(300)와 맞물리는(예를 들어, 하우징 갭에 고정된) 다른 예시적인 스프링 부재(9100)를 도시한다. 스프링 부재(9100)는, 스프링 부재(9100)를 태그(300)에 부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들이 하우징 갭 내로 편향되는 맞물림 영역들(9104) 및 제1 및 제2 조작 영역들(9102, 9103)을 한정한다. 사용자가 도구 또는 물체를 하우징 갭 내로 연장시킬 필요 없이(그리고 제1 조작 영역(9102)에 힘을 적용함으로써 스프링 부재(9100)를 먼저 변형시킬 필요 없이) 제2 조작 영역(9103)과 접촉할 수 있도록 제2 조작 영역(9103)이 하우징 갭을 넘어 연장되는 탭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스프링 부재(9100)의 전체 형상은 스프링 부재(9000)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제2 조작 영역(9103)의 탭형 돌출부는 스프링 부재(9100)의 나머지와 일체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부재(9100)는 단일(예를 들어, 모놀리식) 금속 구조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탭형 돌출부는 스프링 부재(9100)의 나머지에 부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와 통합되는 별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태그(300)가 부착 및/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스프링 부재(9100)를 변형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조작 영역들(9102, 9103)에 적용되는 힘들(9106)은 스프링 부재(9100)가 변형되게 하고, 태그(300)가 부착 및/또는 탈착될 수 있게 하는 갭(9108)(도 91b)을 한정한다. 제2 조작 영역(9103)의 탭형 돌출부는, 스프링 부재(9100)의 나머지로의 힘의 전달을 방지하거나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방식으로, 파단 또는 달리 굽힘 없이 스프링 부재(9100)의 나머지에 힘(9106)을 전달하기에 충분히 강성일 수 있다.
도 85a 내지 도 91b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스프링 부재들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금속 와이어들 또는 로드(rod)들을 도시된 구성들로 형상화함(예를 들어, 굽힘)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스프링 부재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금속의 자유 단부들은 (예를 들어, 용접, 브레이징, 접착제들, 기계적 체결구들 등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자유 단부들 사이에 이음매 또는 갭이 남아있을 수 있다). 다른 예들로서, 스프링 부재들은 주조 또는 성형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들이 중합체 재료들 및/또는 복합재들로 형성되는 경우, 이들은 성형(예를 들어, 사출 성형)되거나, 적층 제조 프로세스들(예를 들어, 3D 프린팅)을 통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들 및 다른 재료들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들 및/또는 재료들의 조합들이 또한 고려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85a 내지 도 91b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스프링 부재들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을 다른 물체들에 결합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독립형 컴포넌트들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이들은 태그 리테이너들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통합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들에서, 사용자들은, 예를 들어, 스프링 부재들의 루프들 또는 다른 접근가능 영역들을 통해 또는 그 주위에 클립들, 분할 링들(예를 들어, 키 링들), 로프들, 집 타이들,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놓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들에서, 스프링 부재들은 다른 태그 리테이너들의 본체들 내부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그에 부착된 운반 스트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2a 내지 도 93은 도 85a 내지 도 91b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것들과 같은 스프링 부재들을 사용할 수 있는 2개의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들을 도시한다.
도 92a는 태그 리테이너(9200)(도 74a의 태그 리테이너(7400)와 유사할 수 있음)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9200)는 본체(920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스프링 부재(8500)(도 85a)를 포함한다. 본체(9202)는 중합체(예를 들어, TPU, 실리콘), 천 또는 패브릭, 가죽,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일 수 있다. 스프링 부재(8500)는, 태그 리테이너(9200)가 태그에 부착될 때, 하우징 갭에서 개구(9204)를 한정하는 본체(9202)의 부분을 보유하는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9202)는, 전술된 바와 같이, 태그 리테이너(9200)를 다른 물체에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스트랩 또는 부재일 수 있는 스트랩(9206)을 한정하거나 또는 그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2b는 도 92a의 라인 92B-92B를 따라 본 도 92a의 태그 리테이너(92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2b는 스프링 부재(8500)가 본체(9202)의 재료에 어떻게 매립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이 경우, 본체(9202)는 (중합체 재료가 주입되기 전에 몰드에 삽입될 수 있는) 스프링 부재(8500) 주위에 성형되는 중합체 재료일 수 있다.
도 93은 스프링 부재(9000)(도 90a) 및 스프링 부재(9000)의 조작 영역(9002)에 부착된 스트랩 부재(9302)를 포함하는 태그 리테이너(9300)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스트랩 부재(9302)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스프링 부재(9000)에 부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이는, 스트랩 부재(9302)가 스프링 부재(9000)의 일부분을 봉지하는 삽입 성형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는 스티치들(예를 들어, 재봉), 스냅들, 버튼들, 스테이플들, 아교, 후크-앤-루프 체결구들 등을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94a 및 도 94b는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94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9400)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9402), 및 스프링 부재(94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체(예를 들어, 스프링 강, 중합체 등)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9404)는, 다른 스프링 부재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의 하우징 갭 내로 본체(9402)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9404) 및 본체(9402)는 도 94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300)의 부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태그 리테이너(9400)의 개구를 확장시키는 것을 돕는 데 사용되는 당김 탭(9406)을 한정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9404)는 갭(9408)에 의해 분리되는 맞물림 단부들(9405)을 한정할 수 있다.
본체(9402) 및 스프링 부재(9404)는 태그 리테이너(9400)로부터 태그(300)의 우발적인 탈착을 방지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9400)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 힘(9410)이 태그(300)에 적용될 때, 힘은 태그 리테이너를 통해 그에 연결된 물체에 전달될 수 있다(화살표(9412)로 표현됨). 힘(9410)은 태그 리테이너(9400)의 정상적인 일상 사용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태그(300)가 다른 물체에 걸리거나 캐치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힘(9410)이 (계면(9411)에서) 태그(300)를 통해 태그 리테이너(9400)에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체(9402)의 개구는 확장에 저항하고, 따라서 힘에도 불구하고 태그(300)를 제자리에 보유하는 것을 돕는다.
다른 한편으로, 태그(300)는 당김 탭(9406)에 힘을 적용함으로써 태그 리테이너(9400)에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다. 도 94b는 당김 탭(9406)(및 태그 리테이너(9400)의 대향 측부)에 힘(9414)이 적용될 때의 태그 리테이너(9400)를 예시한다. 힘이 당김 탭(9406)에 적용되기 때문에, 태그(300)는 스프링 부재(9404)의 맞물림 단부들(9405)과 맞물려서, 갭(9408)이 확장되고, 당김 탭(9406) 근처에 갭(9416)이 생성된다. 이러한 갭(9416)은 태그 리테이너(9400)로부터의 태그(30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당김 탭(9406)에 힘을 적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태그(300)가 통과하는 물체에 걸리게 되는 것과 비교하여) 사용자에 의한 더 고의적이고 의도적인 액션을 요구하기 때문에, 태그 리테이너(9400)는 원하는 경우 태그(300)를 부착 및 탈착시키기 위한 쉽고 간단한 방식을 제공하면서 정상 사용 동안 태그(300)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95a 및 도 95b는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95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9500)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9502), 및 스프링 부재들(9504, 950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체(예를 들어, 스프링 강, 중합체 등)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들(9504, 9506)은, 다른 스프링 부재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의 하우징 갭 내로 본체(9502)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들(9504, 9506)은 반원형 형상들을 가질 수 있고, 본체(9502) 내의 개구의 대향 측부들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들(9504, 9506)은 또한 하우징 갭 내로 연장되는 태그 리테이너(9500)의 부분들의 강성을 증가시켜서, 태그(300)가 단순히 본체(9502)를 경로 밖으로 변형시키거나 접히게 하고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9500)로부터 예기치 않게 탈착되게 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체(9502)는 당김 탭(9508)을 한정할 수 있다. 당김 탭(9508)에는 어떠한 스프링 부재들도 없을 수 있다. 도 9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당김 탭(9508)을 파지하여 당김 탭(9508)에 힘(9510)을 적용함으로써, 본체(9502)(및 선택적으로 스프링 부재들(9504, 950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변형시키고 태그(300)와 본체(9502) 사이의 갭(9512)의 크기를 도입 또는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태그(300)의 부착 또는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6a 및 도 96b는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96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9600)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9602), 및 스프링 부재(96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체(예를 들어, 스프링 강, 중합체 등)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9604)는, 다른 스프링 부재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의 하우징 갭 내로 본체(9602)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9604)는 클립 메커니즘(9608)을 사용하여 함께 선택적으로 고정(또는 해제)될 수 있는 2개의 스프링 아암들(9606)을 한정할 수 있다. 도 96a는, 스프링 아암들(9606)이 함께 고정되는 폐쇄 구성의 클립 메커니즘(9608)을 갖는 태그 리테이너(9600)를 도시한다. 이는, 태그(300)가 태그 리테이너(9600)에 단단히 부착되는 조여진 상태 또는 고정된 상태로 태그 리테이너(9600)를 보유할 수 있다. 도 96b는 개방 구성의 클립 메커니즘(9608)을 갖는 태그 리테이너(9600)를 도시한다. 클립 메커니즘(9608)이 개방될 때, 스프링 부재(9604)는, 스프링 아암들(9606)이 서로 멀어지게 당기는 이완 상태로 복귀하여, 일반적으로 스프링 부재(9604)를 확장시키고 태그(300)가 수용되는 개구를 확장시킨다. 이러한 확장은 태그 리테이너(9600) 및 태그(300)의 부착 및/또는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클립 메커니즘(9608)은, 예를 들어, 화살표(9605)로 예시된 바와 같이, 클립 메커니즘(9608)(또는 클립 메커니즘(9608)의 일부분 또는 컴포넌트)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비틀어서 개방될 수 있다. 다른 유형들 및/또는 구성들의 클립 메커니즘들은 다른 유형들의 조작들을 사용하여 개방 및/또는 폐쇄될 수 있다.
도 97은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97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9700)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9702), 및 스프링 부재(97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체(예를 들어, 스프링 강, 중합체 등)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9704)는, 다른 스프링 부재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의 하우징 갭 내로 본체(9702)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9704)는 8개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측부들을 갖는 팔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9700)에 보유하는 것을 돕기 위해 태그(300)의 하우징 갭 내로 연장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스프링 부재(9704)는 태그(300)의 부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 부재(9704)가 확장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결합되지 않은 단부들을 한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스프링 부재(9704)의 단부들은 연결(예를 들어, 용접)되고, 스프링 부재(9704)는 태그(300)의 부착 및/또는 탈착 동안에 변형된다(예를 들어, 직선 측들 중 하나 이상이 편향된다).
도 98a 및 도 98b는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98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9800)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는 본체(9802), 및 스프링 부재(98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체(9802)(예를 들어, 스프링 강, 중합체 등)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9804)는, 다른 스프링 부재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의 하우징 갭 내로 본체(9802)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9800)는 또한 태그를 위한 개구의 일부분을 따라 보강재(98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태그(300)를 부착/탈착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9804)의 조작 동안 태그 리테이너(9800)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하우징 갭 내로 연장되는 본체(9802)의 일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9804)는 맞물림 영역들(9805) 및 작동 영역(9806)을 한정할 수 있다. 맞물림 영역들(9805)은 태그(300)를 향해 편향될 수 있고, 하우징 갭에서 태그(300)와 맞물릴 수 있다. 작동 영역(9806)은 스프링 부재(9804)의 만곡된 부분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조작 탭(9808)(스프링 부재(9804)와 일체일 수 있거나 또는 스프링 부재(9804)에 부착된 별개의 컴포넌트일 수 있음)을 포함하거나 그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작 탭(9808)은 사용자에게 노출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액세스가능할 수 있고, 태그(300)의 부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 부재(9804)를 확장시키기 위해 작동 영역(9806)에 힘을 적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부재(9804)의 변형되지 않은 또는 응력이 없는 구성이 도 98a에 도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프링 부재(9804)는 (예를 들어, 하우징 갭에서) 태그(300)와 맞물리도록 편향되고,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9800)에 보유한다. 태그(300)를 편리하게 부착 또는 탈착하기 위해, 사용자는 조작 탭(9808)을 파지하고 (선택적으로 태그(300)를 파지하는 동안) 태그(300)로부터 멀어지게 힘을 적용할 수 있다. 도 98b에서 화살표(9812)로 표현된 힘은, 맞물림 영역들(9805)(및 본체(9802)의 인근 부분들)을 태그(300)로부터 멀어지게 당기고 태그(300)의 부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갭(9814)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스프링 부재(9804)를 변형시킨다.
도 99a 내지 도 99c는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예시적인 태그 커버(9900)를 예시한다. 태그 커버(9900)는 충격들, 스크래치들 또는 다른 손상으로부터 태그를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그 커버(9900)는 또한 태그(300)의 크기 및/또는 마찰 특성들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커버(9900)는 태그 자체보다 더 높은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고, 태그(300)를 취급하기에 더 용이하게 하거나,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질 가능성이 더 낮을 수 있거나, 기타 등등일 수 있다.
태그 커버(9900)는 제1 개구를 한정하는 맞물림 플랜지(9904), 및 제2 개구를 한정하는 측벽(9906)을 포함할 수 있다. 맞물림 플랜지(9904)는 (도 99a의 라인 99B-99B를 따라 본 도 99a의 태그 및 태그 커버의 부분 단면도들인) 도 99b 및 도 9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300)의 하우징 갭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벽(9906)은 태그 커버(9900)가 태그(300)에 부착될 때 2개의 안정적인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그것은 쌍안정적일 수 있음). 도 99b는 제1 구성의 태그 커버(9900)를 도시하며, 여기서 측벽(9906)은 태그(300)로부터 멀어지게 상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은 태그 커버(9900)의 부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맞물림 플랜지(9904)가 태그(300)의 하우징 갭 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측벽이 맞물림 플랜지(9904)의 경로 밖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9c는 제2 구성의 태그 커버(9900)를 도시하며, 여기서 측벽(9906)은 태그(300)에 대해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태그 커버(9900)의 정상 사용 구성에 대응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측벽(9906)이 태그(300)의 외측 주변부 측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선택적으로 그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이다.
도 100a 내지 도 100d는 태그(10000)(도 100a)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10010)(도 100b)를 예시한다. 태그(10000) 및 태그 리테이너(10010)는 태그 리테이너(10010)가 태그(10000)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상보적인 정합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100a를 참조하면, 태그(10000)는 맞물림 특징부들(10002)을 한정하는 배터리 도어(10001)(도 3의 태그(300)의 저부 하우징 부재(304) 또는 배터리 도어와 유사함)를 포함할 수 있다. 맞물림 특징부들(10002)은 각각 언더컷 슬롯들(10004)을 한정할 수 있으며, 이는 일 단부에서 개방되고 반대편 단부에서 차단될 수 있다.
도 100b를 참조하면, 태그 리테이너(10010)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로부터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하는 맞물림 특징부들(10012)은 본체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 재료(예를 들어, 스프링 강, 중합체 등)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10010)는 태그(10000)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10011), 및 태그(10000)의 맞물림 특징부들(10002)에 상보적인 대응하는 맞물림 특징부들(10012)을 한정한다. 대응하는 맞물림 특징부들(10012)은 탭들, 클립들, 플랜지들, 돌출부들, 또는 다른 적합한 특징부들일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태그(10000)의 맞물림 특징부들(10002)은 슬롯들을 한정하고, 대응하는 맞물림 특징부들(10012)은 슬롯들에 수용될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탭들을 한정하지만, 이는 단지 상보적인 맞물림 특징부들의 하나의 예시적인 세트일 뿐이고, 다른 것들이 또한 고려된다.
도 100c는 태그(10000)에 부착된 태그 리테이너(1001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10010)는 대응하는 맞물림 특징부들(10012)이 태그(10000)의 맞물림 특징부들(10002)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대응하는 맞물림 특징부들(10012)을 맞물림 특징부들(10002)에 의해 한정된 슬롯들과 정렬시키도록 위치된다. 태그 리테이너(10010)는, 화살표(10014)로 예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맞물림 특징부들(10012)을 맞물림 특징부들(10002) 내로 활주시키기 위해 회전된다. 결합 특징부들(10002, 10012)이 맞물리면, 도 10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리테이너(10010)가 태그(10000)에 부착된다.
맞물림 특징부들(10002, 10012)은 클립들, 래치들, 멈춤쇠들, 언더컷들, 및/또는 특징부들(10002, 10012)을 단단히 맞물리게 유지하는 것을 돕는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특징부들은, 예를 들어, 초기에 맞물림 특징부들(10002, 10012)을 맞물림해제시키기 위해 더 큰 힘을 요구하고, 이어서 맞물림 특징부들(10002, 10012)을 완전히 이격되게 활주시키기 위해 더 낮은 힘 요건을 요구할 수 있다.
도 101a 내지 도 101c는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101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10100)는 개구(10104)를 한정할 수 있는 본체(101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102)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로부터 형성될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 부재들, 보강재들 등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10104)는 태그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적으로 인클로징된 포켓에 대한 개구일 수 있다.
도 101b는 도 101a의 라인 101B-101B를 따라 본 도 101a의 태그 리테이너(10100)의 부분 단면도이다. 개구(10104)는 하우징 갭을 통해 태그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벽(예를 들어, 원형 벽)(10106)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도 101c는 태그(300)에 부착된 태그 리테이너(10100)를 도시하는, 도 101a의 라인 101B-101B를 따라 본 도 101a의 태그 리테이너(10100)의 다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인클로징된 포켓은 태그(300)의 배터리 도어의 외측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예를 들어, 직경, 용적부 등)를 가지며, 배터리 도어는 포켓에 실질적으로 포함되고/되거나 인클로징된다. 벽(10106)은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10100)에 보유하기 위해 태그(300)의 하우징 갭 내로 연장된다. 벽(10106)의 재료의 강성(본체(10102) 내에 또는 그에 부착된 임의의 보강재들을 포함함)은 벽(10106)을 하우징 갭 내로 편향시켜 단단한 부착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 도어에 부착됨으로써, 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302)은 노출되고 덮이지 않는다. 메인 본체 부분(302), 및 더 구체적으로는 태그의 상단 하우징 부재가 오디오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해 다이어프램-유사 부재를 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단 하우징 부재를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태그 리테이너(10100)를 태그(300)에 부착하는 것은 오디오 출력을 저하시키거나 음소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101a 내지 도 101c는 태그의 배터리 도어에 부착되는 태그 리테이너를 예시하지만, 도 101d는 배터리 도어(304) 대신에 태그(300)에 부착되는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예시한다. 도 101d는 저부 하우징 부재 또는 배터리 도어(304)가 메인 본체 부분(302)으로부터 제거된 태그(3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10110)는 태그 리테이너(10110)를 다른 물체에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스트랩(10112) 또는 부착 부분을 포함하거나 한정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10110)는 또한 플랜지(10114) 및 래칭 부재들(10116)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0114)는 배터리 도어(304)의 유사한 구조와 유사할 수 있고, 래칭 부재들(10116)은 배터리 도어(304)의 래칭 부재들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 형상 및 전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래칭 부재들(10116)은 배터리 도어(304)의 래칭 부재들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태그(300)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본체 부분(302)은 메인 본체 부분(302)의 동일한 맞물림 특징부들을 사용하여 배터리 도어(304) 또는 태그 리테이너(10110)에 상호교환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102a 내지 도 102c는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102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10200)는 개구(10204)를 한정할 수 있는 본체(102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202)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로부터 형성될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 부재들, 보강재들 등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10204)는 태그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적으로 인클로징된 포켓에 대한 개구일 수 있다.
도 102b는 도 102a의 라인 102B-102B를 따라 본 도 102a의 태그 리테이너(10200)의 부분 단면도이다. 개구(10204)는 하우징 갭을 통해 태그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벽(예를 들어, 원형 벽)(10206)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도 102c는 태그(300)에 부착된 태그 리테이너(10200)를 도시하는, 도 102a의 라인 102B-102B를 따라 본 도 102a의 태그 리테이너(10200)의 다른 부분 단면도이다. 태그 리테이너(10100)가 배터리 도어를 통해 태그(300)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반면, 태그 리테이너(10200)는 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302) 주위를 랩핑함으로써 태그(30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인클로징된 포켓은 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302)의 외측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예를 들어, 직경, 용적부 등)를 가지며, 메인 본체 부분(302)의 외측 부분은 포켓에 실질적으로 포함되고/되거나 인클로징된다. 벽(10206)은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10200)에 보유하기 위해 태그(300)의 하우징 갭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벽(10206)의 재료의 강성(본체(10202) 내에 또는 그에 부착된 임의의 보강재들을 포함함)은 벽(10206)을 하우징 갭 내로 편향시켜 단단한 부착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벽(10206)은 하우징 갭 내로 연장되지 않지만, 대신에, 벽(10206)이 태그(300)의 일부분 위로 연장되고 태그 리테이너(10200)의 포켓에 태그(300)를 트랩핑하는 것으로 인해 태그(300)에 단단히 부착된다.
도 103a 및 도 103b는 태그 리테이너에 대한 부착 및 그로부터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10300)를 예시한다. 특히, 태그(10300)는 메인 본체 부분(10302)(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302)과 유사함) 및 배터리 도어(10304)(태그(300)의 저부 하우징 부재(304) 또는 배터리 도어와 유사함)를 포함한다. 배터리 도어(10304)는 메인 본체 부분(10302)에 대해 활주, 병진 또는 달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03a는 메인 본체 부분(10302)에 대해 편향되지 않은 포지션에 있는 배터리 도어(10304)를 갖는 태그(10300)를 예시한다. 이러한 포지션에서, 배터리 도어(10304)는 메인 본체 부분(10302)의 샤프트(10306) 위에 실질적으로 중심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도어(10304)는 태그(10300)의 하우징 갭을 한정하기 위해 샤프트(10306)를 오버행할 수 있다. 도 103b는 편향된 포지션에 있는 배터리 도어(10304)를 갖는 태그(10300)를 예시한다. 이러한 포지션에서, 배터리 도어(10304)의 적어도 일 측부는 샤프트(10306)의 측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배터리 도어(10304)는 메인 본체 부분(10302)에 대해 고정된 거리만큼만 활주, 병진,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고, 모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메커니즘(예를 들어, 마찰 가이드들, 베어링들, 부싱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배터리 도어(10304) 및 샤프트(10306)가 원형 형상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장방형 형상들, 계란형들, 직사각형들, 타원형들 등을 포함하는 다른 형상들이 또한 고려된다.
도 104a 내지 도 104d는 태그 리테이너(10400)(도 76a의 태그 리테이너(7600)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 리테이너들과 유사할 수 있음)에 태그(10300)를 부착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단계들을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10400)는 태그 리테이너(10400)가 편향 또는 변형될 필요성을 감소시키면서, 배터리 도어(10304)의 이동이 부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태그 리테이너들보다 덜 유연할 수 있다.
도 10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리테이너(10400)는 배터리 도어(10304)가 편향되지 않은 포지션에 있는 동안 제1 위치(10404)에서 태그(10300)와 맞물릴 수 있다. 위치(10404)에서 맞물린 후에, 사용자는 배터리 도어(10304)를 편향된 포지션(화살표(10401))으로 활주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제2 위치(10406)에서 샤프트(10306)에 대한 배터리 도어(10304)의 오버행을 감소시킨다. 이는, 태그 리테이너(10400)가 화살표(1040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도어(10304) 위로 그리고 하우징 갭 내로 더 쉽게 활주할 수 있게 한다. 도 104b는 하우징 갭 내의 제자리에 있는 태그 리테이너(10400)를 도시한다. 배터리 도어(10304)를 편향되지 않은 포지션(도 104c의 화살표(10408))을 향해 다시 활주시키는 것은 하우징 갭에서 태그 리테이너(10400)를 캡처하고 (도 10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리테이너(10400)를 태그(10300)에 보유한다.
도 105a 내지 도 105d는 태그 리테이너에 대한 부착 및 그로부터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10500)를 예시한다. 특히, 태그(10500)는 (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302)과 유사한) 메인 본체 부분(10502), 및 하우징 갭을 형성(또는 제거)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쌍안정 후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배터리 도어(10504)를 포함한다. 도 105a는 연장된 구성의 배터리 도어(10504)를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 배터리 도어(10504)는 언더컷 또는 립을 한정하지 않으며, 따라서 하우징 갭을 한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연장된 배터리 도어(10504)는, 태그 리테이너가 변형되거나 편향될 것을 요구하지 않고서, 태그 리테이너가 연장된 배터리 도어(10504) 위로 활주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직선 측부들을 갖는다. 도 105b는 후퇴된 구성의 배터리 도어(10504)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배터리 도어(10504)는 내부에 태그 리테이너를 트랩핑할 수 있는 하우징 갭(10505)을 한정하도록 압축된다.
배터리 도어(10504)는 쌍안정 후퇴 메커니즘 및 유연성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쌍안정 후퇴 메커니즘은 후퇴가능한 펜과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쌍안정 후퇴 메커니즘이 후퇴될 때(도 105b) 배터리 도어(10504)를 누르는 것은 쌍안정 후퇴 메커니즘이 연장되게 할 것이고(도 105a),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유연성 커버는 쌍안정 후퇴 메커니즘의 내부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캠들, 아암들, 플레이트들, 스프링들 등을 인클로징할 수 있다. 유연성 커버는 패브릭, 중합체(예를 들어, 실리콘, TPU 등), 가죽, 기계적으로 링크된 강성 플레이트들 등일 수 있다.
도 105c 및 도 105d는 태그(10500)가 태그 리테이너(10506)에 어떻게 부착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도 10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도어(10504)는 태그 리테이너(10506)의 개구가 태그(10500)(예를 들어, 메인 본체 부분(10502))의 표면에 대해 안착되도록 연장된 배터리 도어(10504) 위로 통과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10506)가 제자리에 있으면, 화살표(10508)로 예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도어(10504)에 힘이 적용되어 배터리 도어(10504)를 후퇴된 위치로 강제할 수 있다. 도 105d는 후퇴된 구성의 배터리 도어(10504)를 도시하며, 태그 리테이너(10506)는 하우징 갭(10505)에 (예를 들어, 배터리 도어(10504)와 메인 본체 부분(10502) 사이에) 캡처된다. 태그(10500)로부터 태그 리테이너(10506)를 탈착시키는 것은 이러한 동작들을 반전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06a 및 도 106b는 태그 리테이너(10600)에 태그(300)를 부착하기 위한 다른 기술을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10600)는 태그(300)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10602)를 한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태그(300)의 배터리 도어(304)는 메인 본체 부분(302)으로부터 분리되고, 태그 리테이너(10600)는 배터리 도어(304)와 메인 본체 부분(302) 사이에 위치되어, 태그(300)의 일부분은 개구(10602) 내에 있고 태그 리테이너(10600)의 일부분은 배터리 도어(304)와 메인 본체 부분(302) 사이에 (예를 들어, 태그(300)의 하우징 갭 내에) 캡처된다. 도 106a는 리테이너(10600)에 부착될 포지션에 있는 태그(300)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106b는 태그 리테이너(10600)에 부착된 태그(300)를 도시하며, 배터리 도어(304)는 메인 본체 부분(302)에 부착되고 태그 리테이너(10600)는 하우징 갭 내에 캡처된다. 태그 리테이너(106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들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태그 리테이너일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10600)(및 특히 개구(10602))가 태그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확장 또는 변형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태그 리테이너(106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 리테이너들보다 더 강성이거나 견고할 수 있다. 이러한 강성은 더 강성인 재료들(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금속들, ABS 등)로부터 태그 리테이너(10600)를 형성하거나, 또는 태그 리테이너(10600)에 강성 재료들을 통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6a 내지 도 76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폐쇄 링 스프링 부재는 개구(10602) 주위에서 태그 리테이너(10600) 내에 통합될 수 있고, 태그 리테이너(10600)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유연성 재료에 의해 봉지될 수 있다. 그러나, 태그 리테이너(7600)와 비교하여, 개구(10602)(및 폐쇄 링 스프링 부재의 직경)는, 태그를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하기 위해 개구(10602)가 배터리 도어 위에 끼워맞춰질 필요가 없다는 사실로 인해 개구(7601)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0602)는 하우징 갭의 최소 직경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인 직경을 가질 수 있고, 개구(10602)가 내부에 태그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단지 작은 양의 간극만을 갖는다.
도 107a 및 도 107b는 태그 리테이너에 대한 부착 및 그로부터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10700)를 예시한다. 특히, 태그(10700)는 (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302)과 유사한) 메인 본체 부분(10702), 및 하우징 갭을 형성(또는 제거)하도록 조작될 수 있는 쌍안정 플랜지(10704)를 포함하는 배터리 도어를 포함한다. 도 107a는 연장된 구성의 쌍안정 플랜지(10704)를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 쌍안정 플랜지(10704)는 언더컷 또는 립을 한정하지 않으며, 따라서 하우징 갭을 한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연장된 쌍안정 플랜지(10704)는, 태그 리테이너가 변형되거나 편향될 것을 요구하지 않고서, 태그 리테이너가 연장된 쌍안정 플랜지(10704) 위로 활주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직선 측부들을 갖는다. 도 107b는 후퇴된 구성의 쌍안정 플랜지(10704)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쌍안정 플랜지(10704)는 내부에 태그 리테이너를 트랩핑할 수 있는 하우징 갭(10705)을 한정하도록 후퇴된 구성으로 강제되었다.
도 108a 및 도 108b는 태그(10700)가 태그 리테이너(10800)에 어떻게 부착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도 10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안정 플랜지(10704)는 태그 리테이너(10800)의 개구가 태그(10700)(예를 들어, 메인 본체 부분(10702))의 표면에 대해 안착되도록 연장된 쌍안정 플랜지(10704) 위로 통과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10800)가 제자리에 있으면, 화살표들(10802)로 예시된 바와 같이 쌍안정 플랜지(10704)에 힘이 적용되어 쌍안정 플랜지(10704)를 후퇴된 위치로 강제할 수 있다. 도 108b는 후퇴된 구성의 쌍안정 플랜지(10704)를 도시하며, 태그 리테이너(10800)는 하우징 갭(10705)에 (예를 들어, 쌍안정 플랜지(10704)와 메인 본체 부분(10702) 사이에) 캡처된다. 태그(10700)로부터 태그 리테이너(10800)를 탈착시키는 것은 이러한 동작들을 반전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쌍안정 플랜지(10704)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쌍안정 플랜지(10704)는 실리콘, TPU 등과 같은 중합체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쌍안정 플랜지(10704)는 단일 피스의 재료일 수 있거나, 또는 이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쌍안정 플랜지(10704)는 유연성 외측 덮개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 TPU 등)를 갖는 내부 쌍안정 부재(예를 들어, 쌍안정 구성을 생성하는 형상 및/또는 재료를 갖는 금속)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이 또한 고려된다.
도 109a 내지 도 109d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10900)(도 109a), 및 태그(10900)에 부착하기 위한 대응하는 태그 리테이너(10910)(도 109b)를 예시한다. 도 109a를 참조하면, 태그(10900)는 (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302)과 유사한) 메인 본체 부분(10902) 및 배터리 도어(10904)를 포함한다. 태그(10900)는 태그 리테이너(10910)(도 109b)의 래치 부재들(1091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도어(10904)에 형성될 수 있는 채널들(10906)을 한정할 수 있다. 채널들(10906)은 태그(10900)로부터 태그 리테이너(10910)를 결합해제할 때 태그 리테이너의 래치 부재들(10916)을 채널들(10906) 밖으로 안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램프 세그먼트들(10920)을 포함하거나 한정할 수 있다.
태그(10900)는 또한, 래치 부재들(10916)을 채널들(10906) 내로 끌어 당기고 이들을 채널들(10906)에 보유하는 것을 돕기 위해 래치 부재들(10916)을 자기적으로 끌어당기도록 구성된 선택적인 자기 컴포넌트들(10908)(예를 들어, 자석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10900)는 또한, 태그 리테이너(10910)가 회전될 때 채널들(10906) 밖으로 래치 부재들(10916)을 밀어내도록(그에 따라, 래치 부재들(10916)이 램프 세그먼트들(10920)을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된 선택적인 반발 자기 컴포넌트들(10922)(예를 들어, 자석들(10908)에 반대 극성을 갖는 자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세그먼트들(10920)과 반발 자기 컴포넌트들(10922)의 조합은 래치 부재들(10916)로 하여금 태그 리테이너(10910) 내의 후퇴된 포지션으로 다시 후퇴되게 하는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9b에 도시된 태그 리테이너(10910)는 태그(10900)(예를 들어, 배터리 도어(10904))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10914)를 한정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른 태그 리테이너들의 본체들과 유사한) 본체(10912)를 포함한다. 태그 리테이너(10910)는, 화살표들(10918)로 예시된 바와 같이, 태그(10900)의 채널들(10906)과 맞물리도록 태그 리테이너(10910) 내로 수축되고/되거나 그로부터 밖으로 연장될 수 있는 래치 부재들(10916)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부재들(10916)은, 태그 리테이너(10910)가 회전될 때(이는 래치 부재들(10916)이 램프 세그먼트들(10920)을 따라 활주하게 함), 래치 부재들(10916)과 채널들(10906)의 램프 세그먼트들(10920) 사이의 매끄러운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는 램프형 또는 윤곽 부분들(10926)을 한정할 수 있다.
래치 부재들(10916)은, 이들이 외향 또는 돌출 포지션으로 편향되도록 스프링-로딩될 수 있거나, 또는 편향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이들은 후퇴된 포지션으로 편향되고, 태그 리테이너(10910) 내의 래치 부재들(10916)과 자기 컴포넌트들(10908) 사이의 자기 인력으로 인해 채널들(10906) 내로 끌어당겨진다.
래치 부재들(10916)은, 래치 부재들(10916)이 채널들(10906) 내로 당겨지고 보유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성 재료들(예를 들어, 자기 컴포넌트들(10908)이 영구 자석들인 경우, 강자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10910)는 또한, 래치 부재들(10916)을 태그 리테이너(10910)의 본체 내로 편향시키거나 또는 래치 부재들(10916)을 수축된 또는 후퇴된 포지션에 보유하도록 구성된 자기 컴포넌트들(10924)(예를 들어, 자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부재들(10916)과 자석 컴포넌트들(10924) 사이의 자기 인력의 강도는 태그 내의 래치 부재들(10916)과 자기 컴포넌트들(10908) 사이의 인력의 강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래치 부재들(10916)은, 래치 부재들(10916)이 (예를 들어, 램프 세그먼트들(10920)에 의해 및/또는 자기 컴포넌트들(10922)을 밀어냄에 의해) 채널들(10906) 밖으로 강제될 때까지 자기 컴포넌트들(10908)에 의해 채널들(10906)에 단단히 보유될 수 있고, 이 때, 자기 컴포넌트들(10924)로부터의 더 약한 자기 인력은 자기 컴포넌트들(10908)로부터의 감소된 자기 인력을 극복할 수 있고, 이로써 래치 부재들(10916)을 태그 리테이너(10910) 내로 다시 끌어 당기고, 이들을 수축된 포지션에 보유할 수 있다. 태그(10900)를 태그 리테이너(10910)에 부착하기 위해, 태그 리테이너(19010)는 래치 부재들(10916)이 채널들(10906)과 정렬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에서, 래치 부재들(10916)과 자기 컴포넌트들(10908) 사이의 자기 인력은 래치 부재들(10916)과 자기 컴포넌트들(10924) 사이의 인력을 극복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태그(10900)를 태그 리테이너(10910)에 보유하기 위해 래치 부재들(10916)을 채널들 내로 끌어당길 수 있다.
도 109c는 태그 리테이너(10910)에 부착된 태그(1090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부재들(10916)은 채널들(10906) 내로 연장되고, 이로써 태그(10900)를 태그 리테이너(10910)에 부착한다. 선택적인 스프링 편향 및/또는 선택적인 자기 인력으로 인해, 래치 부재들(10916)은 배터리 도어(10904)가 태그 리테이너(10910)의 개구(10914)에 삽입되고 래치 부재들(10916)이 채널들(10906)과 정렬되자마자 채널들(10906)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도 109d는 태그 리테이너(10910)로부터 태그(10900)를 탈착시키기 위해 래치 부재들(10916)이 태그 리테이너(10910) 내로 어떻게 후퇴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10910)는 (도 109c에서 화살표(10928)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태그(109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는 래치 부재들(10916)이 램프 세그먼트들(10920)을 따라 활주하고 그에 의해 방출되게 한다(그리고 선택적으로는 반발 자기 컴포넌트들(10922)에 의해 반발되고 자기 컴포넌트들(10924)에 의해 추가로 후퇴됨).
도 110a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11000)를 예시한다. 태그(11000)는 (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302)과 유사한) 메인 본체 부분(11002) 및 배터리 도어(11004)를 포함한다. 태그(11000)는 배터리 도어(11004)와 통합된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보유 메커니즘들(11006)을 포함한다. 액세서리 보유 메커니즘들(11006)은 태그 리테이너와 같은 액세서리에 태그(11000)를 보유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0b는 도 110a의 라인 110B-110B를 따라 본 도 110a의 태그(110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0b는 액세서리 보유 메커니즘들(11006)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특히, 액세서리 보유 메커니즘들(11006)은 태그(11000)의 외측 또는 외부 표면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해 액세스가능한 플런저(11008), 및 플런저(11008)를 상향으로 편향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들(11012)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 보유 메커니즘들(11006)은 배터리 도어(11004)의 개구(11010) 내에 위치될 수 있고(그리고 그에 캡처됨), 개구는 액세서리를 제자리에 홀딩하고 태그(11000)에 부착되는 것을 돕기 위해 액세서리의 보유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1a 및 도 111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것들과 유사한 태그 리테이너일 수 있는 액세서리(11100)와 함께 사용되는 태그(11000)의 부분 단면도들을 예시한다. 액세서리(11100)는 스프링 부재(11104)에 의해 (액세서리(11100)의 인접한 부분들에 대해) 튀어나온 또는 돌출된 구성으로 편향되는 보유 부재(11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1b는 태그(11000)에 부착된 액세서리(11100)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보유 부재(11102)는, 보유 부재(11102)가 개구(11010)와 맞물리고 태그(11000)에 액세서리(11100)를 보유하도록 개구(11010) 내로 연장된다.
태그(11000)로부터 액세서리(11100)를 탈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액세서리 보유 메커니즘(11006)의 플런저(11008)(도 111b의 화살표(11106)로 나타냄)에 힘을 적용하여, 보유 부재(11102)의 편향력을 극복하고 보유 부재(11102)를 개구(11110) 밖으로 푸시하는 방식으로 플런저(11008)를 보유 부재(11102)에 대해 강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 1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11100)는 하우징 갭(11015) 밖으로 쉽게 활주되어, 액세서리(11100)를 태그(11000)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액세서리(11100)는,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7600)와 유사한 인클로징된(예를 들어, 원형)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액세서리 보유 메커니즘들(11006)은, 액세서리가 하우징 갭을 완전히 둘러싸지 않으면서 태그에 액세서리를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액세서리(11100)는 반드시 연속적인 개구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11100)는 태그(11000)의 폭(예를 들어, 직경)보다 더 좁고 액세서리 보유 메커니즘(11006)에 근접한 위치에서만 하우징 갭(11015) 내로 연장되는 자유 단부를 갖는 직선형 스트랩-유사 액세서리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추가적인 메커니즘 또는 보유 특징부는 또한, 밑면으로부터 액세서리(11100)를 보유하기 위해, 액세서리(11100)의 대향 측부 상의 태그(11000) 상에 위치된다.
도 112a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11200)를 예시한다. 태그(11200)는 (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302)과 유사한) 메인 본체 부분(11202) 및 배터리 도어(11204)를 포함한다. 태그(11200)는 태그(11200)와 통합된 액세서리 편향 메커니즘(11206)을 포함한다. 액세서리 편향 메커니즘들(11206)은 태그 리테이너와 같은 액세서리에 태그(11200)를 보유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고, 태그 리테이너와 같은 액세서리에 부착될 때 태그(11200)가 이동(예를 들어, 회전, 덜거덕거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액세서리 편향 메커니즘(11206)은 하우징 갭(11210)(도 112b)에 위치될 수 있고, 하우징 갭(11210)과 맞물리는 액세서리에 대해 푸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태그(11200)는 도 112b(도 112a의 라인 112B-112B를 따라 본 도 112a의 태그(11200)의 부분 단면도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구성으로 액세서리 편향 메커니즘(11206)을 편향시키는 스프링 부재(1120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7a 및 도 67b는 태그(11200) 및 액세서리 편향 메커니즘(11206)과 (태그 리테이너(7600)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 리테이너들과 유사한 태그 리테이너일 수 있는) 액세서리(11300)의 상호작용을 예시한다. 특히, 액세서리(11300)가 태그(11200)에 부착됨에 따라, 액세서리는 태그의 일 측부(11302)에서 하우징 갭에 진입함으로써 태그(11200)와 맞물릴 수 있다. 액세서리 편향 메커니즘(11206)에 대항하여 푸시하는 액세서리로부터의 힘은 태그(11200)의 리세스 내로의 액세서리 편향 메커니즘(11206)의 편향을 초래할 수 있다(그리고 액세서리 편향 메커니즘(11206)이 태그(11200)의 인접한 부분들과 같은 높이에 있게 할 수 있음). 이어서, 액세서리(11300)는 배터리 도어(11204) 위로 그리고 하우징 갭 내로(화살표(11304)로 표시됨) 액세서리(11300)를 연장시킴으로써 태그의 제2 측부(11306)와 맞물릴 수 있다. 도 113b는 액세서리(11300)가 하우징 갭(11210)에 부착되고 보유되는 태그(11200)를 도시한다. 스프링 부재(11208)에 의해 외향으로 강제되는 액세서리 편향 메커니즘(11206)은 액세서리(11300)에 힘을 적용한다. 이러한 힘은 몇몇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액세서리 편향 메커니즘(11206)에 대향하는 측부에서(예를 들어, 제2 측부(11306)에서) 태그(11200)와 액세서리(11300) 사이의 맞물림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는 태그(11200)와 액세서리(1130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액세서리(11300)에 대한 태그(11200)의 회전, 덜거덕거림, 또는 다른 모션을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도 114a는 태그에 부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114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11400)는 본체(114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로부터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11400)는 태그(예를 들어, 태그(30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1404)를 한정한다. 태그 리테이너(11400)는 또한, 개구(11404) 내로 연장되고 스프링 부재(11408)에 의해 외향으로 편향되는 래치 부재(11406)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부재(11406)는 태그 리테이너(11400)에 태그를 보유하는 것을 돕기 위해 태그(예를 들어, 태그의 하우징 갭)에 대해 강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4b는 태그(300)에 부착된 태그 리테이너(11400)를 도시하는, 도 114a의 라인 114B-114B를 따라 본 도 114a의 태그 리테이너(114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부재(11406)는 스프링 부재(11408)에 의해 하우징 갭 내의 태그(300)의 표면에 대해 강제된다. 래치 부재(11406)로부터의 힘은 전술된 액세서리 편향 메커니즘과 유사한 몇몇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치 부재(11406)로부터의 힘은 래치 부재(11406) 반대편 측부에서 태그(300)와 태그 리테이너(11400) 사이의 맞물림 힘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는 태그(300)와 태그 리테이너(1140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태그 리테이너(11400)에 대한 태그(300)의 회전, 덜거덕거림, 또는 다른 모션을 방지 또는 제한할 수 있다.
래치 부재(11406) 및 태그(300)는, 태그(300) 및 태그 리테이너(11400)가 사용자에 의해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래치 부재(11406)가 태그(300)의 배터리 도어 위로 활주할 수 있게 하는 상보적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11400)가 (도 114b에 도시된 배향에 대해) 상향으로 당겨지면, 래치 부재(11406)와 태그(300) 사이의 상호작용은 래치 부재(11406)를 태그 리테이너(11400) 내의 그의 개구 내로 강제하여, 태그 리테이너(11400)가 탈착되게 할 수 있다. 태그 리테이너(11400)가 태그(300)에 부착될 때 반대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15a는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하기 위해 나사형 특징부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태그(11500)를 예시한다. 태그(11500)는 (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302)과 유사한) 메인 본체 부분(11502), 및 나사형 특징부(11504)를 포함하는 배터리 도어를 포함한다. 나사형 특징부(11504)는 금속, 중합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나사형 특징부(11504) 및 배터리 도어는 동일한 일체형 재료 피스로부터 형성된다.
도 115b는 태그(11500)의 나사형 특징부(11504)와 맞물림으로써 태그(1150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1151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11510)는 태그(11500)의 나사형 특징부(11504)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나사산들을 갖는 개구(11512)를 한정할 수 있다. 도 115c는 태그 리테이너(11510)에 부착된 태그(11500)의 부분 단면도이다. 특히, 태그(11500)는 태그 리테이너(11510)로부터 태그(11500)를 나사로 조이거나 또는 풀림으로써 태그 리테이너(11510)에 부착되거나 그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도 1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 리테이너(11510)는 나사산들을 한정하는 삽입체(11514)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체(11514)는 금속, 중합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삽입체(11514)는 삽입체(11514)를 둘러싸고/싸거나 태그 리테이너(11510)의 본체를 한정하는 재료보다 더 강성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전체 태그 리테이너(11510)는 단일 피스의 재료로 형성되고, 스레드들은 단일 피스의 재료로 직접 형성된다.
도 115d는 태그(11500) 및 태그 리테이너(11510)와 유사한 나사형 결합 구성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태그(11520) 및 태그 리테이너(11522)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11510)가 태그(11500)(예를 들어, 태그(11500)의 배터리 도어)를 덮는 인클로징된 리세스를 제공한 반면, 태그 리테이너(11510)는, 태그(11520)가 태그 리테이너(11522)의 나사형 개구(11524) 내로 스레딩될 때 태그(11520)의 배터리 도어를 노출시키는 관통 구멍을 한정한다. 다른 점들에서, 태그(11520) 및 태그 리테이너(11522)는 태그(11500) 및 태그 리테이너(11510)와 유사할 수 있으며, 간략함을 위해 이들 세부 사항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6a는 태그 리테이너와 같은 액세서리에 부착하기 위해 스프링 로딩된 보유 특징부들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태그(11600)를 예시한다. 태그(11600)는 (태그(300)의 메인 본체 부분(302)과 유사한) 메인 본체 부분(11602) 및 배터리 도어(11604)를 포함한다. 배터리 도어(11604) 또는 태그(11600)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분은 스프링 로딩된 보유 특징부들(11606)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로딩된 보유 특징부들(11606)은 배터리 도어(11604)의 샤프트-형 부분의 주변부 주위에 배열된다.
도 116b는 태그 리테이너와 같은 액세서리(11610)에 부착될 때의 도 116a의 태그(11600)의 부분 단면도이다. 액세서리(11610)는 스프링 로딩된 보유 특징부들(1160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리세스들(11612)을 한정할 수 있다. 리세스들(11612)은 액세서리(11610)의 개구의 원주 주위로 연장되는 단일 연속 채널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스프링 로딩된 보유 특징부들(11606)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이산 리세스들(11612)이 있을 수 있다. 리세스들(116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의 다른 부분에 부착되거나 달리 그와 통합되는 삽입체 또는 다른 부재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액세서리는 단일 피스의 재료로 형성되고, 리세스들은 단일 피스의 재료에서 한정된다.
태그(11600)는 태그(11600)를 액세서리(11610)의 개구와 정렬시키고, 스프링 로딩된 보유 특징부들(11606)이 개구의 에지 위에서 액세서리(11610)의 리세스들(11612) 내로 활주하거나 롤링될 때까지 태그(11600) 및 액세서리(11610)를 함께 가압함으로써, 액세서리(11610)에 부착될 수 있다. 태그(11600)는 이러한 동작들을 반전시킴으로써 탈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스프링 로딩된 보유 특징부들(11606)이 리세스들(11612)로부터 활주하거나 롤링되어 태그(11600)를 탈착시킬 수 있다.
도 116a 및 도 116b는 스프링 로딩된 보유 특징부들이 태그 상에 위치되고 리세스들이 액세서리 상에 위치되는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이러한 포지션들은 반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로딩된 보유 특징부들은 액세서리와 통합될 수 있고, 태그는 태그 및 액세서리를 함께 보유하기 위해 스프링 로딩된 보유 특징부들과 맞물리는 리세스들을 한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태그 및 액세서리 각각은 리세스들 및 스프링 로딩된 보유 특징부들 둘 모두를 포함한다.
도 117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태그들과 상이한 폼 팩터를 갖는 예시적인 태그(11700)를 예시한다. 특히, 태그(11700)는 본체(11702)(이는 임의의 수의 상이한 하우징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하거나 그에 의해 한정될 수 있음)를 한정한다. 본체(11702)는 본체(11702)의 대향 측부들 상에 2개의 평행한 채널들(11704)을 한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들(11704)은 태그(11700)의 직경 치수를 따라 연장되지만, 채널들(11704)의 다른 포지션들 및/또는 배향들이 또한 가능하다. 일부 경우들에서, 채널들(1170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이지만, 다른 경우들에서, 채널들은 만곡되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태그(11700)는 도 1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들(11704)을 통해 태그 리테이너(117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7c는 도 117b의 라인 117C-117C를 따라 본 도 117b의 태그(11700) 및 태그 리테이너(11710)의 부분 단면도이다. 태그 리테이너(11710)는, 아암들(11712)의 맞물림 단부들(11714)이 채널들(11704) 내로 연장되고 맞물리도록 태그(11700)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연장되는 2개의 아암들(11712)을 포함한다. 아암들(11712)은, 맞물림 단부들(11714)을 채널들(11704) 내로 강제하고 태그(11700)를 태그 리테이너(11710)에 보유하는 것을 돕기 위해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11710) 내부의 스프링 부재를 이용하여) 서로를 향해 편향될 수 있다.
도 118a 내지 도 118c는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118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11800)는 본체(118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 코드 리테이너(11806) 및 코드(11808)로부터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802)는 태그(예를 들어, 태그(30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11804)를 한정할 수 있다. 코드(11808)는 태그 리테이너(11800)에 태그를 보유하기 위해 태그의 일부분 주위를 랩핑하도록 구성된다.
도 118b는 태그(300)에 부착된 태그 리테이너(11800)를 예시한다. 특히, 태그(300)는 개구(11804) 내에 위치되고, 코드(11808)는 태그(300) 주위에(예를 들어, 태그(300)의 하우징 갭에서) 랩핑된다. 코드(11808)는 또한 코드 리테이너(11806) 주위에 랩핑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18c는 도 118b의 라인 118C-118C를 따라 본, 태그(300)가 부착된 도 118b의 태그 리테이너(1180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8c는 코드(11808)가 (하우징 갭에서) 태그(300) 및 코드 리테이너(11806) 주위를 감아서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11800)에 보유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특히, 태그(300) 주위의 그리고 개구(11804)에 대한 코드(11808)의 크기 및/또는 위치는 태그(300)가 개구(11804)를 통해 (예를 들어, 도 118c에서 배향된 바와 같은 하향 방향으로) 다시 통과함으로써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코드 리테이너(11806)는 코드(11808)가 태그(300) 주위에 랩핑된 후에 코드(11808)의 자유 단부가 고정될 수 있는 클립, 체결구, 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코드(11808)는 클립, 체결구, 또는 다른 메커니즘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다른 방식들로 코드 리테이너(11806)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 리테이너(11806)는 언더컷 영역을 한정하는 플랜지를 가질 수 있고, 코드(11808)는 (예를 들어, 포락선 폐쇄 메커니즘과 유사하게) 코드(11808)가 태그(300) 주위에 랩핑될 때 코드(11808)가 언더컷 영역에서 압축되도록 하는 크기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코드(11808)는 코드 리테이너(11806)에 단단히 묶이고 그리고/또는 매듭지어질 수 있다.
도 119a 및 도 119b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119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11900)는 하우징 갭에서 태그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랩핑하도록 구성된 코드(11902), 및 하우징 갭에서 코드(11902)를 캡처 및 보유하도록 구성된 보유 링(11904)을 포함한다. 보유 링(11904)은, 코드(11902)를 보유 링(11904)에 보유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코드(11902)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11906)를 한정할 수 있다. 코드(11902)의 자유 단부들은, 예를 들어, 물체에 자유 단부들을 묶음으로써 다른 물체들에 태그를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19b는 태그(300)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된 도 119a의 태그 리테이너(11900)의 부분 단면도이다. 코드(11902)는 태그(300)의 하우징 갭에서 태그(300)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랩핑될 수 있다. 보유 링(11904)은, 코드(11902)를 태그(300)에 대항하여 강제하고 코드(11902)를 하우징 갭 내에 보유하도록 하우징 갭에 설치될 수 있다. 보유 링(11904) 및 코드(11902)는 이들 둘 모두가 하우징 갭 내에 있을 때, 이들이 함께 그리고 태그(300)에 대해 가압되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태그(300), 코드(11902) 및 보유 링(11904) 사이의 결과적인 마찰은 코드(11902) 및 보유 링(11904)을 제자리에 홀딩한다.
하우징 갭 내의 보유 링(11904)의 포지션은 코드(11902)가 태그(300)의 배터리 도어의 상단 위로 활주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보유 링(11904) 내의 개구(11906)는 코드(11902)가 태그(300) 주위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코드(11902)를 개구(11906)를 통과시키지 않으면서, 예를 들어, 코드(11902)에 대한 당김 또는 터깅(tugging) 모션은 하우징 갭에 보유 링(11904)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하우징 갭으로부터 코드(11902)를 당길 수 있다. 코드(11902)가 개구(11906)에 위치된 상태에서, 코드(11902)의 자유 단부들에 대한 당김 또는 터깅 힘은 하우징 갭으로부터 코드를 당기는 경향이 없을 것이다. 당기는 힘이 코드를 탈착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11906) 이외의 구조물들 또는 기술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120a 및 도 120b는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12000)를 예시한다. 태그 리테이너(12000)는 본체(120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로부터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2002)는 태그(30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2003), 및 본체(12002) 내의 코드 개구들(12004)을 통과하는 코드(12006)를 한정할 수 있다. 태그(300)를 태그 리테이너(12000)에 부착하기 위해, 코드(12006)가 풀려서, 개구(12003)가 확장될 수 있고 태그(300)가 개구(12003)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태그(3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코드(12006)는 도 1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2003)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태그(300)의 하우징 갭에 본체(12002)를 홀딩하도록 함께 묶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될 수 있다. 태그(300)는, 태그(300)의 용이한 제거를 위해 개구(12003)가 확장되게 하기 위해 코드(12006)를 풀거나 그렇지 않으면 자유롭게 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 121a 및 도 121b는, 본체의 자유 단부들을 함께 보유하기 위해 래칭 메커니즘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태그 리테이너(12000)와 유사한 다른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12100)를 예시한다. 특히, 태그 리테이너(12100)는 본체(12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유연성 재료(재료들의 조합들을 포함함)로부터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한다. 본체(12102), 및 특히 본체(12102)의 아암들(12104)은 태그(30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2103)를 한정한다. 아암들(12104)의 자유 단부들은 상보적인 래칭 특징부들(12106)을 한정한다. 도 121a의 라인 121B-121B를 따라 본 태그 리테이너(12100)의 단부도인 도 1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특징부들(12106)은 아암들(1210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암들(12104)을 태그의 하우징 갭에서 함께 그리고 제자리에 홀딩하기 위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아암들(1210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래칭 특징부들(12106)을 단단한 맞물림으로 강제하는 포지션으로 편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아암(12104-1)(도 121b)은 좌측 아암(12104-2)에 대해 화살표들(12108, 12110)에 의해 각각 표시된 바와 같이, 상향 및 우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편향 구성은 래칭 메커니즘들을 단단히 맞물리게 함으로써, 태그 리테이너(12100)에 태그를 보유하는 것을 돕기 위해 아암들(12104)을 폐쇄 및 래칭된 구성으로 유지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들 중 다수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들을 갖는 본체들(예를 들어, 평평한, 플레이트형 또는 시트형 구성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는 단지 본체들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구성이며, 일부 경우들에서, 본체들은 본체들의 상이한 부분들에서 상이한 두께들을 갖는 형상들을 포함하여 상이한 형상들 및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22는 가변 두께를 갖는 본체를 갖는 태그 리테이너의 예를 예시하는, 태그(300)에 부착된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12200)의 부분 단면도이다. 특히, 태그 리테이너(12200)는 태그(300)를 수용하는 개구에 근접한 증가된 두께의 영역(12202)을 한정한다(손잡이, 스트랩 등과 같은 태그 리테이너의 다른 영역에 비해 더 큰 두께를 가짐). 증가된 두께의 영역은 태그 리테이너(12200)와 태그(300) 사이의 조인트에 대한 액세스 및/또는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걸림돌 또는 다른 우발적인 접촉으로 인해 태그(300)가 탈착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증가된 두께 영역의 크기 및/또는 형상은 태그 리테이너(12200)의 외부 표면과 태그(300)의 외부 표면 사이의 전환이 (실질적인 갭들, 불연속부들 이음매들, 또는 옷들 또는 다른 물체들에 걸릴 수 있는 다른 영역들 없이) 연속적인 곡선 또는 라인이 되도록 구성된다. 도 1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증가된 두께 영역은 태그(300)와 태그 리테이너(12200) 사이의 상단 및 저부 인터페이스들(12204, 12206)에서 매끄럽고 연속적인 만곡된 전환들을 한정한다.
도 122는 (태그 리테이너의 우발적인 탈착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증가된 두께의 영역을 갖는 하나의 예시적인 태그 리테이너를 도시하지만, 동일한 그리고/또는 유사한 구성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임의의 다른 태그 리테이너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증가된 두께의 영역은 또한, 태그를 수용하는 개구 주위에서 태그 리테이너가 더 강성이 되게 하고, 이는 태그와 태그 리테이너 사이의 부착의 강도 및/또는 보안을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태그 리테이너들은 종종, 스트랩 또는 세장형 부착 부분(예를 들어, 도 70a의 부착 부분(7004), 도 74a의 스트랩(7411))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이는 단지 태그 리테이너들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일 뿐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 리테이너는 스트랩 또는 스트랩형 특징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 리테이너의 다른 물체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른 유형의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트랩 대신에, 태그 리테이너는, 태그 리테이너가 (예를 들어, 레이저 또는 초음파 용접을 통해) 다른 물체에 접착되거나, 재봉되거나, 융합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달리 부착될 수 있게 하는 평평한 원형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스트랩들은 도시된 것들 이외의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들은 원형 또는 다른 일반적으로 비-평탄 구성들을 가질 수 있고, 스트링들, 코드들, 케이블들 등과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도시된 태그 리테이너들 각각에 대해, 태그 리테이너를 태그에 부착하기 위한 메커니즘(예를 들어, 스프링들, 본체 재료들, 보강재들, 클립들, 코드들 등의 특정 구성들)은 태그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유형의 물체에 통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개구(10204)를 한정하는(그리고 태그를 수용하는) 본체(10202)의 부분(도 102a 내지 도 102c)은 지갑, 백팩, 여행 가방, 서류 가방 등의 재료에 직접 통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별개의 스트랩 또는 다른 부착 특징부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태그 리테이너들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가방들, 지갑들, 키들 등과 같은 다른 물체에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 리테이너들에는 그러한 물체들에 대한 간단하고 편리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클립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23a 내지 도 123c는 하나의 그러한 예시적인 클립(12300)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클립(12300)은, 클립(12300)의 중심 개구를 통해 부착 부분(6904)을 루프화함으로써 태그 리테이너(6900)(도 69a 내지 도 69c)의 부착 부분(6904)에 부착될 수 있다.
클립(12300)은 단일 피스의 금속과 같은 일체형 피스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12300)은 외측 부분(12302) 및 내측 부분(12304)을 한정할 수 있다. 외측 및 내측 부분들(12302, 12304)은 클립(12300)의 재료에 슬릿(12306)을 형성함으로써 한정될 수 있다. 슬릿(12306)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 예를 들어, 전기 방전 기계가공(EDM), 플라즈마 절단, 레이저 절단, 종래의 기계가공 또는 밀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12306)은 약 200 마이크로미터, 100 마이크로미터, 50 마이크로미터, 또는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와 같은 작은 갭을 한정할 수 있다. 클립(12300)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금속(예를 들어, 티타늄, 강철, 알루미늄, 합금 등), 중합체, 탄소 섬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부분(12304)은 개방력이 내측 부분(12304)에 적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외측 부분(12302)에 대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3c는 내측 부분(12304)의 작동 영역(12310)에 적용되는 개방력(12308)을 예시한다. 개방력(12308)은 내측 부분(12304)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게 하여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들(12304, 12302) 사이에 갭을 한정하게 하며, 그 갭은 클립(12300)이 다른 물체들(예를 들어, 가방 상의 루프들, 키들의 구멍들 등)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내측 부분(12304)은 폐쇄 포지션(도 123a 및 도 123b에 도시됨)을 향해 편향될 수 있어서, 개방력(12308)이 제거될 때, 내측 부분(12304)은 폐쇄 포지션으로 복귀하고, 이로써 클립(12300)을 다른 물체들에 보유한다(그리고/또는 물체들을 클립(12300)에 보유함).
도 124a 및 도 124b는 다른 예시적인 클립(12400)을 예시한다. 클립(12400)은 재료, 기능 및 제조에서 클립(12300)과 유사하지만,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하기 위한 개구(12408)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6900)(도 69a 내지 도 69c)의 부착 부분(6904)은 클립(12400)을 태그 리테이너(6900)에 부착하기 위해 개구(12408)를 통해 루프화될 수 있다.
클립(12400)은 외측 부분(12402) 및 내측 부분(12404)을 한정할 수 있다. 외측 및 내측 부분들(12402, 12404)은 클립(12400)의 재료에 슬릿(12406)을 형성함으로써 한정될 수 있다. 슬릿(12406)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 예를 들어, 전기 방전 기계가공(EDM), 플라즈마 절단, 레이저 절단, 종래의 기계가공 또는 밀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12406)은 약 200 마이크로미터, 100 마이크로미터, 50 마이크로미터, 또는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와 같은 작은 갭을 한정할 수 있다.
내측 부분(12404)은 개방력이 내측 부분(12404)에 적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외측 부분(12402)에 대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4b는, 내측 부분(12404)에 적용되는 개방력(12410)을 예시하며, 내측 부분(12404)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게 하여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들(12404, 12402) 사이에 갭을 한정하게 하며, 그 갭은 클립(12400)이 다른 물체들(예를 들어, 가방 상의 루프들, 키들의 구멍들 등)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내측 부분(12404)은 폐쇄 포지션(도 124a에 도시됨)을 향해 편향될 수 있어서, 개방력(12410)이 제거될 때, 내측 부분(12404)은 폐쇄 포지션으로 복귀하고, 이로써 클립(12400)을 다른 물체들에 보유한다(그리고/또는 물체들을 클립(12400)에 보유함).
도 125a 및 도 125b는 다른 예시적인 클립(12500)을 예시한다. 클립(12500)은 재료, 기능 및 제조에서 클립(12400)과 유사하고,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하기 위한 개구(125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6900)(도 69a 내지 도 69c)의 부착 부분(6904)은 클립(12500)을 태그 리테이너(6900)에 부착하기 위해 개구(12510)를 통해 루프화될 수 있다.
클립(12500)은 외측 부분(12502) 및 내측 부분(12504)을 한정할 수 있다. 외측 및 내측 부분들(12502, 12504)은 클립(12500)의 재료에 슬릿(12506)을 형성함으로써 한정될 수 있다. 슬릿(12506)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 예를 들어, 전기 방전 기계가공(EDM), 플라즈마 절단, 레이저 절단, 종래의 기계가공 또는 밀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12506)은 약 200 마이크로미터, 100 마이크로미터, 50 마이크로미터, 또는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와 같은 작은 갭을 한정할 수 있다.
내측 부분(12504)은 개방력이 내측 부분(12504)에 적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외측 부분(12502)에 대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측 부분(12504)은 폐쇄 포지션(도 125a에 도시됨)을 향해 편향될 수 있어서, 개방력이 제거될 때, 내측 부분(12504)은 폐쇄 포지션으로 복귀하고, 이로써 클립(12500)을 다른 물체들에 보유한다(그리고/또는 물체들을 클립(12500)에 보유함).
클립(12500)은 또한, 내측 부분(12504)이 클립(12500)의 인접한 부분들에 대해 측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억제하는 측방향 안내 특징부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5b는 도 125a의 영역(125B-125B)을 도시하는 클립(12500)의 상세도이다. 클립(12500)은 내측 부분(12504)이 화살표들(12514)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내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면서 화살표들(12516)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평면외 모션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측방향 가이드(125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가이드(12512)는 내측 부분(12504)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레일 및 레일에 대향하는 클립(12500)의 표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홈에 의해 한정된다. 다른 예들에서, 내측 부분(12504)은 홈을 포함할 수 있고, 레일은 홈이 도 125b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126a 내지 도 126c는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하기 위한 예시적인 클립(12600)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예시한다. 클립(12600)은 단일 피스의 금속과 같은 일체형 피스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12600)은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하기 위한 개구(12606)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6900)(도 69a 내지 도 69c)의 부착 부분(6904)은 클립(12600)을 태그 리테이너(6900)에 부착하기 위해 개구(12606)를 통해 루프화될 수 있다.
클립(12600)은 서로에 대해 편향될 수 있는 제1 링 부재(12602) 및 제2 링 부재(12604)를 한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링 부재들(12602, 12604)은 분할 링 또는 키 링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들, 스트랩들, 포브들 등과 같은 물체들은 제1 및 제2 링 부재들(12602, 12604)을 (예를 들어, 단부들(12608, 12610) 중 하나에서) 벌리고, 물체가 클립(12600)에 링크될 때까지 링 부재들 중 하나를 따라 물체를 스레딩함으로써 클립(12600)에 부착될 수 있다. 클립(12600)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금속(예를 들어, 티타늄, 강철, 알루미늄, 합금 등), 중합체, 탄소 섬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7a 내지 도 127c는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하기 위한 예시적인 클립(12700)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예시한다. 클립(12700)은 재료들 및 기능에서 클립(12600)과 유사할 수 있지만, 재료의 일체형 피스인 대신에, 클립(12700)은 2개의 부재들을 함께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재(12702)는 베이스 영역(12712)을 따라 제2 부재(12704)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재(12702)는 제1 개구(12708)를 한정할 수 있고, 제2 부재(12704)는 클립(12600)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클립(12700)이 분할 링 또는 키 링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2 개구(12710)를 한정할 수 있다. 클립(12700)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금속(예를 들어, 티타늄, 강철, 알루미늄, 합금 등), 중합체, 탄소 섬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재들(12702, 12704)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용접, 납땜, 브레이징, (예를 들어, 에폭시 또는 다른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등을 통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클립(12700)은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하기 위한 개구(12706)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6900)(도 69a 내지 도 69c)의 부착 부분(6904)은 클립(12700)을 태그 리테이너(6900)에 부착하기 위해 개구(12706)를 통해 루프화될 수 있다.
도 128은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하기 위한 예시적인 링(12800)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링(12800)은 제1 개구(12804) 및 제2 개구(12806)를 한정하는 일체형 구조물일 수 있다. 제2 개구(12806)는 태그 리테이너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 리테이너(6900)(도 69a 내지 도 69c)의 부착 부분(6904)은 링(12800)을 태그 리테이너(6900)에 부착하기 위해 제2 개구(12806)를 통해 루프화될 수 있다. 제1 개구(12804)는 링(12800)을 다른 물체에 부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 클립, 카라비너, 집 타이, 로프, 벨크로(Velcro) 스트랩,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부재 또는 물체가 제1 개구(12804)를 통해 삽입되어 링(12800)을 다른 물체에 부착할 수 있다. 링(12800)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금속(예를 들어, 티타늄, 강철, 알루미늄, 합금 등), 중합체, 탄소 섬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다양한 액세서리들 또는 태그 리테이너들 중 하나에 부착되고/되거나 그 안에 홀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9a 내지 도 128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랜야드, 키 포브, 수하물 태그, 벨트, 밴드 또는 다른 액세서리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홀딩 또는 고정시키고 다른 물체 또는 물품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랜야드와 같은 액세서리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고정, 보유 또는 결합되도록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냅들 또는 다른 체결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냅 또는 버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체결구들이 또한, 수하물 피스, 의류 또는 다른 개인 물품과 같은 다른 물체에 랜야드 또는 액세서리를 고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을 위해, 용어 "스냅"은 2개 이상의 서브 조립체들 또는 모듈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스냅 조립체 또는 스냅 모듈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을 위해, 용어 "무선 태그"는 무선 위치 식별가능 태그 또는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 태그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29a 내지 도 129c는 스냅 또는 다른 유형의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액세서리를 도시한다. 특히, 도 129a 내지 도 129c는 무선 태그(12950)를 홀딩하도록 구성된 랜야드(12900)(태그 리테이너 또는 홀더로 또한 지칭됨)를 도시한다. 무선 태그(12950)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다른 실시예들 및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른 태그들과 유사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12950)를 수하물 피스, 백팩, 책가방, 또는 다른 개인 물품과 같은 물품에 부착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랜야드(12900)는, 금속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개인 물품의 스트랩 또는 다른 요소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부착 특징부 또는 부착 부분, 구체적으로는 부착 링(12904)을 포함한다. 랜야드(12900)는 또한, 무선 태그(12950)를 랜야드(12900) 내에 단단히 홀딩하도록 구성된 포켓(12906)(또한 리세스, 보유 부분 또는 태그 리셉터클 부분으로 지칭됨), 또는 다른 태그 보유 특징부를 포함하고, 이는 랜야드(12900) 및 무선 태그(12950)에 부착된 개인 물품의 무선 추적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12950)는 또한, 스냅(12902)을 해제함으로써 랜야드(12900)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이는 포켓(12906)이 개방될 수 있게 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냅 조립체로 또한 지칭되는 스냅(12902)은 사용자의 손가락들로 함께 가압될 때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2개의 조립체들 또는 모듈들(예를 들어, 수형 및 암형 조립체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스냅(12902)이 폐쇄되거나 맞물릴 때, 스냅(12902)은 랜야드(12900)의 요소들을 함께 고정시킴으로써, 포켓(12906)을 폐쇄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냅(12902)에 의해 함께 고정되거나 부착되는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제1 요소(12910) 및 제2 요소(12912)로 지칭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1 요소(12910) 및 제2 요소(12912)는 스냅(12902)에 의해 함께 고정되는 랜야드(12900)의 상이한 스트랩들 또는 영역들에 대응한다. 도 1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12902)은 손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요소(12912)로부터 제1 요소(12910)의 분리를 허용하게 하고, 포켓(12906)이 개방되는 것을 허용하게 하고, 무선 태그(12950)가 제거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30a 내지 도 130h, 도 131a 내지 도 131h, 도 132a 내지 도 132c, 및 도 133a 및 133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의 액세서리(예를 들어, 랜야드)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체결구들을 도시한다. 특히, 다음의 실시예들은 2개의 스냅 조립체들 또는 모듈들 사이의 기계적 맞물림을 사용하여 2개의 요소들을 함께 부착하도록 적응된 기계적 스냅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냅 체결구는 일반적으로 "스냅"으로 지칭될 수 있고, 수형 모듈/조립체 및 암형 모듈/조립체로 별개로 지칭될 수 있는 2개의 정합 스냅 조립체들 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냅의 암형 및 수형 모듈/조립체들은 통상적인 사용 동안 맞물림 상태로 남아있을 만큼 충분히 고정되는 기계적 연동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스냅의 암형 및 수형 조립체들/모듈들은 또한, 손으로 또는 특수 도구들의 사용 없이 맞물림해제될 수 있다.
도 130a 내지 도 130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냅 조립체로 또한 지칭되는 스냅(13000)은 제1 요소(13010) 및 제2 요소(13012)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2개의 액세서리 요소들을 함께 결합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1 요소(13010)는 스트랩의 제1 부분이고, 제2 요소(13012)는 동일한 스트랩 또는 액세서리의 다른 스트랩의 제2 부분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1 요소(13010) 및 제2 요소(13012)는 스냅(13000)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상이한 컴포넌트들의 별개의 피스들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제1 요소(13010) 및 제2 요소(13012)는 스냅(13000)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공통 컴포넌트의 상이한 부분들이다. 예시적인 제1 및 제2 요소들은 또한, 제1 요소(12910) 및 제2 요소(12912)를 갖는 도 129a 내지 도 129c의 랜야드(12900)에 대하여 전술되었다.
제1 요소(13010) 및 제2 요소(13012)는 일반적으로 "소프트 상품"으로 지칭될 수 있는 액세서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소프트 상품은, 랜야드, 키 포브, 수하물 태그, 벨트, 밴드, 또는 다른 액세서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유연한 또는 소프트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프트 상품은, 천연이든 합성이든, 섬유들의 망 또는 매트릭스로부터 제조된 직물 또는 다른 유형의 천을 포함하는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소프트 상품은 또한, 예를 들어, 천연 고무, 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실리콘, 플루오로엘라스토머, 또는 다양한 다른 중합체들을 포함하는 유연한 재료의 천연 또는 합성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소프트 상품은 다수의 상이한 재료들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비-유연성 또는 강성 재료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 상품은, 예를 들어, 클래스프(clasp)들, 링들, 버클들, 또는 다른 기계적 요소들을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금속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소프트 상품의 제1 요소(13010) 및 제2 요소(13012)는 함께 접합되는 다수의 층들을 갖는 라미네이트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외측 층들은 편안함 또는 특정 촉감을 제공하기 위해 더 연질의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내측 층들은 소프트 상품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더 높은 인장 또는 압축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내측 층들은 외측 층들보다 더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고강도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스냅(13000)의 캡처 및 보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30a 내지 도 130c의 스냅(13000)은, 낮은 프로파일이거나 또는 얇고 또한 실질적으로 덜거덕거리지 않도록 구성되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액세서리의 2개의 요소들 사이에 신뢰성 있고 일관된 기계적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설계는, 상당히 더 많은 공간을 요구할 수 있고 덜거덕거리거나 다른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사운드들을 생성할 수 있는 요소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 일부 종래의 스냅 구성들과 대조될 수 있다. 종래의 스냅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스냅 구성들의 원하는 기계적 상호연결부 및/또는 원하는 촉감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냅(13000)은 폐쇄될 때 스냅(13000)의 맞물림을 유지하기 위한 보유력을 제공하는 압축 링(13002)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 링(13002)의 설계 및/또는 통합은 덜거덕거림 및 기계적 채터(chatter)와 같은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잡음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압축 링(13002)은 하나 이상의 유연성 부재들(1300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약된다. 유연성 부재(13004)는, 덜거덕거림 또는 다른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음향 효과들을 방지하는 것을 또한 돕는 동시에, 압축 링(13002)을 위치식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유연성 부재(13004)는 또한, 부스러기 또는 다른 이물질의 유입 또는 수집이 스냅(13000)에 축적되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압축 링(13002)은 또한,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잡음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 비-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비틀릴 수 있다. 비틀린 또는 비-평면 형상의 예는 도 130f 내지 도 130h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압축 링(13002)은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 및 둥근 와이어 프로파일을 갖는 금속 링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압축 링(13002)은 원형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대향 단부들 사이에 갭을 갖는 와이어 부재로부터 형성된 개방-섹션 와이어 루프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압축 링(13002)은 스프링 강 또는 고탄소 강으로부터 형성되고, 압축 링(13002)의 확장 및/또는 압축을 허용하는 개방 단부 또는 섹션을 갖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의 실시예들을 위해, 용어 "압축 링들"은, 정합 컴포넌트들 또는 표면들 상에 외향 압축력 또는 보유력을 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압축 링(13002)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용어 "압축 링"은 또한, 스냅의 2개의 조립체들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내향 압축력, 보유력, 또는 다른 유형의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링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축 링들로 지칭되는 요소들은 또한, 확장 링들, 보유 링들, 또는 간단히 링들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30a 내지 도 130c는 실질적으로 덜거덕거림이 없는 저-프로파일 체결구로서 구성된 스냅(13000)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0a 및 도 1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13000)은 압축 링(13002) 및 유연성 부재(13004)를 갖는 수형 조립체(13020)를 포함한다. 도 130a 및 도 1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링(13002)은 수형 부분 또는 돌출 컴포넌트(13024) 내에 형성된 홈(13022) 내에 트랩핑되거나 홀딩된다. 홈(13022)은 또한 리세스, 포켓, 또는 보유 특징부로 지칭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압축 링(13002)을 물리적으로 제약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벽 또는 표면을 포함한다. 이 경우, 홈(13022)은 일반적으로 압축 링(13002)을 트랩핑 또는 제약하는 3개의 벽들에 의해 한정된다. 3개의 벽들은 2개의 대향 측벽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측 벽을 포함한다. 홈(13022)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홈(13022)은 또한 만곡된 또는 둥근 프로파일, V 프로파일, 또는 다른 유형의 프로파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13022)은 수형 부분 또는 돌출 컴포넌트(13024)의 원주 주위로 연장될 수 있고, 원주방향 홈으로 지칭될 수 있다.
압축 링(13002)은 암형 조립체 또는 모듈(13030) 상의 정합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130a 내지 도 130c의 예에서, 압축 링(13002)은 암형 조립체(13030)의 내측 보어를 따라 한정된 테이퍼 형성된 또는 램프형 표면(1303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램프형 표면(13032)은 수형 조립체(13020)와 암형 조립체(13030)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암형 조립체(13030)를 향해 또는 내향으로 압축 링(13002)(및 수형 조립체(13020))을 당기는 방식으로 각을 이룬다. 이러한 예에서, 테이퍼 형성된 또는 램프형 표면(13032)은 일반적으로 정합하는 수형 조립체(1302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되는 드래프트 각도를 갖는다. 드래프트 각도의 방향은 구현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테이퍼 형성된 또는 램프형 표면(13032)은 일반적으로, 스냅(13000)의 2개의 조립체들을 함께 끌어당기는 힘을 정합 조립체 상에 가하도록 구성된다. 도 130a 및 도 13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형 표면(13032)은 압축 링(13002)(및 수형 조립체(13020))을 하향으로 끌어당기도록 구성되며, 이는 제1 요소(13010)를 제2 요소(13012)를 향해 당기고 2개의 요소들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한다. 램프형 표면(13032)의 각도는, 필요에 따라 수형 및 암형 조립체들(13020, 13030)이 손으로 또한 맞물림해제될 수 있게 하면서, 압축 링(13002)의 스프링력과 함께 스냅의 2개의 조립체들 사이에 원하는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특별히 구성될 수 있다. 테이퍼 형성된 또는 램프형 표면(13032)의 각도는 0.5 도 내지 2 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램프형 표면(13032)의 각도는 0.5 내지 5 도의 범위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램프형 표면(13032)의 각도는 1 내지 5 도의 범위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압축 링(13002)과의 맞물림을 보유하는 것을 돕기 위해, 램프형 표면(13032)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국부적인 함몰부 또는 홈과 같은 멈춤쇠 특징부가 사용된다.
도 130a 및 도 1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부재(13004)는 압축 링(13002)을 이용하여 홈(1302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특정 구현에서, 유연성 부재(13004)는 압축 링(13002)과 홈(13022)의 내측 벽 사이의 내측 벽을 따라 위치된다. 이러한 포지션에서, 유연성 부재(13004)는 홈(13022)에 대해 외향 방향으로 압축 링(13002)을 편향시킬 수 있다. 이는, 이 경우, 램프형 표면(13032)인 암형 조립체(13030)의 정합 표면 또는 표면들과 압축 링(13002) 사이의 일관된 또는 균일한 맞물림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130a 및 도 1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부재(13004)는 또한, 유연성 부재(13004)에 국부적인 함몰부 또는 홈을 형성하기 위해 압축 링(13002)과 접촉하는 계면을 따라 국부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유연성 부재(13004)의 국부적인 편향은 압축 링(13002)을 안착시키는 것을 돕고, 홈(13022) 내의 압축 링(13002)의 포지션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이는 암형 조립체(13030)와의 수형 조립체(13020)의 신뢰성 있는 또는 일관된 삽입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특히, 유연성 부재(13004)는 스냅(130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대해 압축 링(13002)을 중심설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이는 스냅(13000)의 신뢰성 있고 일관된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링(13002)은 정합 암형 조립체(13030)의 중심 축에 대한 압축 링(13002)의 중심 축의 정렬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130a 내지 도 130c의 예시적인 스냅(13000)에서, 수형 조립체(13020)가 초기에 암형 조립체(13030)에 삽입될 때, 압축 링(13002)은 기계적 리드-인 또는 가이드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압축 링(13002)의 직경이 더 클수록, 리드-인이 더 커지고, 수형 및 암형 조립체들(13020, 13030)을 정렬시키는 것이 더 쉽다. 그러나, 유연성 부재(13004)를 사용하여 압축 링(13002)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은 동일한 리드-인 또는 정렬을 달성하기 위해 더 작은 직경의 압축 링(13002)을 허용한다. 더 작은 직경의 압축 링(13002)을 사용하는 것은 더 낮은 프로파일 또는 더 얇은 스냅(13000) 및 더 콤팩트한 설계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압축 링(13002)의 와이어의 직경은 0.5 mm 내지 1.5 mm의 범위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압축 링(13002)의 직경은 0.6 mm 내지 1.2 mm의 범위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압축 링(13002)의 직경은 0.6 mm 내지 1.0 mm의 범위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압축 링(13002)의 직경은 0.3 mm 내지 3 mm의 범위이다.
유연성 부재(13004)는 압축 링(13002)에 의해 국부적으로 변형될 정도로 충분히 부드럽지만 또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고 홈(13022) 내에 압축 링(13002)을 제약하는 것을 도울 정도로 충분히 강성인 유연성 또는 변형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유연성 부재(13004)는 탄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유연성 부재(13004)는, 예를 들어, 실리콘, 네오프렌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포론, 에틸렌 프로필렌(EPM) 고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플루오로실리콘 고무, 또는 다른 유사한 재료들을 포함하는 합성 또는 부분 합성 엘라스토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유연성 부재(13004)는 다수의 재료들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는 복합 구성을 갖는다.
도 130d 및 도 130e는 압축 링에 대한 유연성 부재의 대안적인 배열들을 도시한다. 도 130d에서, 유연성 부재(13004d)는 홈(13022d)의 후방 또는 내측 벽 및 일 측벽을 따라 위치된다. 이러한 예에서, 유연성 부재(13004d)는 도 13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 및 상향인 힘(예를 들어, 편향력)을 가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말하면, 유연성 부재(13004d)는 압축 링(13002d)을 홈(13022d)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또한 홈(13022d)의 대향 벽 또는 측벽을 향해 푸시하는 경향이 있는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유연성 부재(13004d) 및 결과적인 가해지는 힘은 홈(13022d) 내에서 압축 링(13002d)을 제약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연성 부재(13004d)는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잡음(예를 들어, 덜거덕거림)을 감소시키는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편향력이 스냅(13000)의 중심 축을 가로지르는 컴포넌트를 갖기 때문에, 유연성 부재(13004d)에 의해 제공되는 편향력은 압축 링(13002d)을 스냅(13000) 내에 중심설정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스냅(13000)의 중심 축에 대해 압축 링(13002d)의 중심 축의 정렬을 유지함).
도 130e에서, 유연성 부재(13004e)는 홈(13022e)의 일 측벽을 따라 위치된다. 이러한 예에서, 유연성 부재(13004e)는 압축 링(13002e)의 중심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예를 들어, 도 13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방향으로) (편향) 힘을 가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말하면, 유연성 부재(13004e)는 압축 링(13002e)을 홈(13022e)의 대향 벽 또는 측벽을 향해 푸시하는 경향이 있는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유연성 부재(13004e) 및 결과적인 가해지는 힘은 홈(13022e) 내에서 압축 링(13002e)을 제약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전의 예와 유사하게, 유연성 부재(13004e)는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덜거덕거림 또는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압축 링(130002e) 상에 편향력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유연성 부재(13004e)에 의해 제공되는 편향력이 스냅의 중심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기 때문에, 유연성 부재(13004e)는 압축 링(13002e)을 스냅 내에 중심설정하는 경향이 있는 편향력 컴포넌트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 각각에 설명된 유연성 부재들의 구성들 및 위치들은 예로서 제공되며,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구성들 및 장착 시나리오들을 망라하는 것은 아니다.
스냅(13000)은 스냅(13000)을 액세서리에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컴포넌트들 및 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130a 및 도 1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조립체(13020)는 제1 요소(13010)의 각자의 부분과 맞물리고 캡처하도록 구성된 외측 플랜지(13025) 및 내측 플랜지(13026)를 포함한다. 외측 플랜지(13025) 및 내측 플랜지(13026)는 제1 요소(13010)에 형성된 각자의 구멍 내에 수형 조립체(13020)를 고정시킨다. 외측 플랜지(13025) 또는 내측 플랜지(1302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제1 요소(13010)의 재료와 기계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리브들, 치형부들, 홈들, 또는 돌출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체결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맞물림 특징부들은 수형 조립체(13020)에 대한 바이트 또는 앵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요소(13010)의 재료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요소(13010)는 라미네이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개선된 인장 및/또는 압축 강도 또는 감소된 탄성 계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내부 층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수형 조립체(13020)의 외측 플랜지(13025) 및 내측 플랜지(13026)와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내측 재료들은 제1 요소(13020)에 형성된 리세스의 저부 표면을 형성하며, 이는 외측 플랜지(13025) 및/또는 내측 플랜지(13026)의 하나 이상의 맞물림 특징부들과 맞물릴 수 있다.
플랜지들(13025, 13026, 13035, 13036) 및/또는 제1 요소(13010) 및 제2 요소(13012)의 재료의 설계는 일부 종래의 설계들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스냅(13000)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 요소(13010)와 제2 요소(13012)의 각자의 부분들의 플랜지들(13025, 13026, 13035, 13036) 사이의 중첩의 양은 종래의 중첩의 대략 절반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첩은 3 mm 미만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첩은 2.5 mm 미만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첩은 2 mm 미만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첩은 대략 1.5 mm 이하이다.
도 130a 및 도 1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플랜지(13025)는 스냅(13000)의 외측 또는 외부 표면을 또한 한정하는 외측 컴포넌트(1302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플랜지(13026)는 수형 조립체(13020)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는 내측 컴포넌트(13028)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외측 컴포넌트(13027)는 접착제, 용접, 압입, 나사 연결, 또는 다른 구조적 결합 기법을 사용하여 내측 컴포넌트(13028)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외측 컴포넌트(13027)를 내측 컴포넌트(13028)에 결합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들 또는 컴포넌트들이 사용된다. 이 예에서, 돌출 컴포넌트(13024)는 가압 또는 간섭 끼워맞춤을 사용하여 외측 컴포넌트(13027)에 부착된다. 돌출 컴포넌트(13024)는 또한 접착제, 용접, 나사 연결, 또는 다른 부착 기술을 사용하여 외측 컴포넌트(13027)에 부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돌출 컴포넌트(13024) 및 외측 컴포넌트(13027)는 홈(13022)을 한정하도록 협력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홈(13022)은 전체적으로 돌출 컴포넌트(13024) 또는 외측 컴포넌트(13027)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130a 및 도 13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조립체(13030)는 다수의 컴포넌트들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암형 조립체(13030)는 제2 요소(13012)의 각자의 부분과 맞물리고 캡처하도록 구성된 외측 플랜지(13035) 및 내측 플랜지(13036)를 포함한다. 전술된 이전의 예와 유사하게, 외측 플랜지(13035) 및/또는 내측 플랜지(13036)는 각자의 플랜지를 제2 요소(13012)와 기계적으로 맞물리는 것을 돕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특징부들(예를 들어, 리브들, 치형부들, 홈들, 돌출 특징부들)을 가질 수 있다. 외측 플랜지(13035) 및 내측 플랜지(13036)는 제2 요소(13012)에 형성된 각자의 구멍 내에 암형 조립체(13030)를 고정시킨다. 도 130a 내지 도 13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플랜지(13035)는 스냅(13000)의 외측 또는 외부 표면을 또한 한정하는 외측 컴포넌트(1303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플랜지(13036)는 암형 조립체(13030)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는 내측 컴포넌트(13038)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외측 컴포넌트(13037)는 접착제, 용접, 압입, 나사 연결, 또는 다른 구조적 결합 기법을 사용하여 내측 컴포넌트(13038)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외측 컴포넌트(13037)를 내측 컴포넌트(13038)에 결합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들 또는 컴포넌트들이 사용된다.
이 예에서, 내측 컴포넌트(13038) 및 외측 컴포넌트(13037)는 수형 조립체(13020)의 돌출 컴포넌트(13024)를 수용하는 보어 또는 개구를 한정하기 위해 협력한다. 내측 컴포넌트(13038)는 또한 압축 링(1300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램프형 표면(13032)을 한정한다. 내측 컴포넌트(13038)는 또한 수형 조립체(13020)를 수용하는 보어 또는 개구에 대한 리드-인으로서 내측 표면을 따라 형성된 챔퍼(13039) 또는 리드-인 특징부를 포함한다. 챔퍼(13039)는 수형 조립체(13020)의 리딩 에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이는 또한, 함께 스냅되거나 결합될 때 2개의 조립체들(13020, 13030)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사한 챔퍼 또는 리드-인을 포함할 수 있다. 챔퍼(13039)는 또한, 2개의 조립체들(13020, 13030)이 함께 스냅되거나 결합되는 동안 압축 링(13002)과 맞물리고 압축 링(13002)을 내향으로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0a 내지 도 13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컴포넌트(13024)의 외측 표면은 스냅(13000)의 외부 표면을 따라 노출된다. 즉, 돌출 컴포넌트(13024)는 스냅(13000)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기 위해 암형 조립체(13030)에 의해 한정된 보어 또는 개구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컴포넌트(13024)의 노출된 또는 외부 표면은 암형 조립체(13030)의 외측 컴포넌트(13037)의 노출된 또는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예에서, 돌출 컴포넌트(13024)의 노출된 또는 외부 표면은 또한, 암형 조립체(13030)의 외측 컴포넌트(13037)의 노출된 또는 외부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암형 조립체(13030)의 돌출 컴포넌트(13024) 및 외측 컴포넌트(13037)는 만곡된 또는 비-평면형 프로파일을 한정하기 위해 협력한다.
스냅(13000)은 또한, 수형 조립체(13020)가 암형 조립체(13030)와 맞물릴 때, 제1 요소(13010)의 내측 표면이 제2 요소(13012)의 내측 표면에 접촉하여 안착하도록 구성된다. 도 1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조립체(13020)는 작은 갭 또는 공간에 의해 암형 조립체(13030)로부터 분리된다. 이는 2개의 조립체들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며, 이는 또한 사용 동안 덜거덕거림 또는 다른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요소들(13010, 13012)의 내측 표면들을 안착시킴으로써, 스냅(13000)은 (단단한 또는 날카로운 클릭보다는) 음소거된 또는 연화된 느낌으로 함께 스냅될 수 있다. 수형 조립체(13020)와 암형 조립체(13030) 사이의 작은 갭 또는 공간은 또한, 2개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또한 각자의 컴포넌트들에 대한 임의의 표면 마감 또는 표면 처리를 보존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스냅(130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내측 컴포넌트들(13028, 13038) 및 외측 컴포넌트들(13027, 13037)은 금속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금속 재료는 스테인리스 강, 탄소 강,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다른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외측 컴포넌트들(13027, 13037) 또는 외측 컴포넌트들(13027, 13037)의 노출된 표면들은, 스냅(13100)의 외부를 따라 매끄러운 마감을 제공하도록 연마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은 중합체 또는 다른 합성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은 스냅(13000)의 외관 및/또는 촉감을 개선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료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오버몰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은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도 130f 내지 도 130h는 실질적으로 덜거덕거림이 없을 수 있는, 스냅 조립체로 또한 지칭되는 다른 예시적인 스냅(1305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스냅(13050)의 컴포넌트들 및 요소들 중 다수는 전술된 예시적인 스냅(13000)과 유사하며, 그러한 유사한 요소들의 설명은 중복성을 감소시키고 명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생략된다. 이전의 예와 유사하게, 스냅(13050)은 암형 조립체(13080) 내에 삽입되고 그와 맞물리는 수형 조립체(13070)를 포함한다. 또한, 이전의 예와 유사하게, 수형 조립체(13070)는 압축 링(13052)을 보유하거나 캡처하는 홈(13082)을 포함한다.
도 130f 내지 도 130h의 예들에서, 압축 링(13052)은 비-평탄 또는 비-평면 형상을 한정하도록 비틀리거나 구부러진다. 구체적으로, 도 130g 및 도 130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링(13052)은 대향 단부들을 갖는 개방 섹션 링 또는 와이어 루프이다. 단부들은 갭에 의해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예에서, 링의 단부들은 오프셋(D1)을 한정하도록 변위된다. 압축 링(13052)은 부분적으로 나선형 형상, 비-평면 프로파일, 또는 그렇지 않으면 비-평탄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평면외 왜곡 또는 변위는 홈(13082) 내에서 압축 링(13052)을 제약하는 것을 돕고, 그에 따라, 압축 링(13052)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고,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덜거덕거림 또는 채터를 야기할 수 없다. 오프셋(D1)은 압축 링(13052)의 직경과 홈(13082)의 대향 벽들 사이의 간극보다 더 클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프셋(D1)은 0.5 mm 미만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프셋(D1)은 0.4 mm 미만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프셋(D1)은 0.3 mm 미만이다. 오프셋(D1)은 또한 개방 섹션 와이어 루프의 와이어 직경에 관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프셋(D1)은 와이어 직경의 10% 내지 50%의 범위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프셋(D1)은 와이어 직경의 15% 내지 40%의 범위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프셋(D1)은 와이어 직경의 20% 내지 30%의 범위이다. 도 13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또는 비-평탄 형상은 압축 링(13052)이 홈(13082)의 일 부분에 대해 홈(13082)의 상부 벽과 접촉하게 하고, 또한 홈(13082)의 다른 부분에 대해 홈(13082)의 하부 벽과 접촉하게 하며, 이는 (스냅(13050)의 중심 축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축 방향을 따라 압축 링(13052)을 제약하는 것을 돕는다.
압축 링(13052)은 홈(13082) 내에서 압축 링(13052)을 유사하게 제약하는 다른 비-평탄 또는 비-평면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링(13052)은, 축 방향을 따라 압축 링(13052)을 제약하고 잠재적인 덜거덕거림 또는 채터를 감소시키기 위해 압축 링(13052)이 홈(13082)의 대향하는 측벽들 둘 모두와 접촉하게 하는 물결 모양 형상, U-형상, 또는 다른 비-평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스냅들(13000, 13050)은 (도 130a 내지 도 130e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유연성 부재 및 (도 130f 내지 도 130h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비-평탄 형상 둘 모두를 포함한다.
도 131a 내지 도 131c는 저-프로파일 및 실질적으로 덜거덕거림 없는 설계를 갖는, 스냅 조립체로 또한 지칭되는 스냅(13100)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다. 스냅(13000)과 관련하여 전술된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들 중 다수는 또한 스냅(13100)에 적용되며, 중복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설명이 반복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스냅(13100)은, 예를 들어, 랜야드, 키 포브, 수하물 태그, 벨트, 밴드, 또는 다른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또는 소프트 상품과 일체화되거나 그에 통합될 수 있다. 스냅(13100)은 또한 유사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도 130a 내지 도 130c와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전의 예와 유사하게, 스냅(13100)은 수형 조립체(13120) 및 암형 조립체(13130)를 포함한다. 또한, 이전의 예와 유사하게, 스냅(13100)은 홈(1313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압축 링(13102) 및 유연성 부재(13104)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홈이 수형 조립체의 돌출 컴포넌트 내로 형성되는 대신에, 홈(13132)은 암형 조립체(13130)의 컴포넌트 내로 형성된다. 또한, 외향 힘을 가하는 대신에, 스냅(13100)의 압축 링(13102)은 수형 조립체(13120)의 돌출 컴포넌트(13124)의 표면을 따라 한정된 램프형 표면(13122)을 향해 내향 방향으로 (유지)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홈(13132)은 암형 조립체(13130)의 원주 주위로 연장될 수 있고, 원주방향 홈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31a 내지 도 131c의 예시적인 스냅(13100)에서, 압축 링(13102)은 유연성 부재(1310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약된다. 도 131a 및 도 1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부재(13104)는, 유연성 부재(13104)에 국부적인 함몰부 또는 홈을 형성하기 위해 압축 링(13102)과 접촉하는 계면을 따라 국부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유연성 부재(13104)의 국부적인 편향은 압축 링(13102)을 안착시키는 것을 돕고, 홈(13122) 내의 압축 링(13102)의 포지션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이는 암형 조립체(13130)와의 수형 조립체(13120)의 신뢰성 있는 또는 일관된 삽입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특히, 유연성 부재(13104)는 스냅(131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대해 압축 링(13102)을 중심설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이는 스냅(13100)의 신뢰성 있고 일관된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이전의 예와 유사하게, 수형 조립체(13120)가 초기에 암형 조립체(13130)에 삽입될 때, 압축 링(13102)은 기계적 리드-인 또는 가이드를 제공한다. 유연성 부재(13104)를 사용하여 압축 링(13102)의 위치를 유지하고 압축 링(13102)을 지지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더 작은 직경의 압축 링(13102)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31d 및 도 131e는 압축 링에 대한 유연성 부재의 대안적인 배열들을 도시한다. 도 131d에서, 유연성 부재(13104d)는 홈(13122d)의 후방 또는 내측 벽 및 일 측벽을 따라 위치된다. 이러한 예에서, 유연성 부재(13104d)는 도 13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 및 상향인 힘(예를 들어, 편향력)을 가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말하면, 유연성 부재(13104d)는 압축 링(13102d)을 홈(13122d)으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또한 홈(13122d)의 대향 벽 또는 측벽을 향해 푸시하는 경향이 있는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유연성 부재(13104d) 및 결과적인 가해지는 힘은 홈(13122d) 내에서 압축 링(13102d)을 제약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연성 부재(13104d)는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잡음(예를 들어, 덜거덕거림)을 감소시키는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편향력이 스냅의 중심 축을 가로지르는 컴포넌트를 갖기 때문에, 유연성 부재(13104d)에 의해 제공되는 편향력은 압축 링(13102d)을 스냅 내에 중심설정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도 131e에서, 유연성 부재(13104e)는 홈(13122e)의 일 측벽을 따라 위치된다. 이러한 예에서, 유연성 부재(13104e)는 도 13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인 (편향) 힘을 가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말하면, 유연성 부재(13104e)는 압축 링(13102e)을 홈(13122e)의 대향 벽 또는 측벽을 향해 푸시하는 경향이 있는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유연성 부재(13104e) 및 결과적인 가해지는 힘은 홈(13122e) 내에서 압축 링(13102e)을 제약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유연성 부재(13104e) 및 결과적인 가해지는 힘은 홈(13122e) 내에서 압축 링(13102e)을 제약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전의 예와 유사하게, 유연성 부재(13104e)는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덜거덕거림 또는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압축 링(131002e) 상에 편향력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유연성 부재(13104e)에 의해 제공되는 편향력이 스냅의 중심 축에 대략 평행하기 때문에, 유연성 부재(13104e)는 압축 링(13102e)을 스냅 내에 중심설정하는 경향이 있는 편향력 컴포넌트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 각각에 설명된 유연성 부재들의 구성들 및 위치들은 예로서 제공되며,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구성들 및 장착 시나리오들을 망라하는 것은 아니다.
스냅(13100)은 스냅(13000)을 액세서리에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컴포넌트들 및 요소들을 포함한다. 특히, 스냅(13100)은 또한 수형 및 암형 조립체들(13120, 13130)을 각자의 제1 및 제2 요소들(13110, 13112)에 결합하는 장착 플랜지들을 포함한다. 도 131a 및 도 1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조립체(13120)는 제1 요소(13110)의 각자의 부분과 맞물리고 캡처하도록 구성된 외측 플랜지(13125) 및 내측 플랜지(13126)를 포함한다. 외측 플랜지(13125) 및 내측 플랜지(13126)는 제1 요소(13110)에 형성된 각자의 구멍 내에 수형 조립체(13120)를 고정시킨다. 전술된 이전의 예들과 유사하게, 외측 플랜지(13125) 및/또는 내측 플랜지(13126)는 각자의 플랜지들을 제1 요소(13110)와 기계적으로 맞물리는 것을 돕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특징부들(예를 들어, 리브들, 치형부들, 홈들, 돌출 특징부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31a 및 도 1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플랜지(13125)는 스냅(13100)의 외측 또는 외부 표면을 또한 한정하는 돌출 컴포넌트(13124)의 일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플랜지(13126)는 수형 조립체(13120)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는 내측 컴포넌트(13128)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돌출 컴포넌트(13124)는 접착제, 용접, 압입, 나사 연결, 또는 다른 구조적 결합 기법을 사용하여 내측 컴포넌트(13128)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돌출 컴포넌트(13124)를 내측 컴포넌트(13128)에 결합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들 또는 컴포넌트들이 사용된다.
도 131a 및 도 1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조립체(13130)는 다수의 컴포넌트들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암형 조립체(13130)는 제2 요소(13112)의 각자의 부분과 맞물리고 캡처하도록 구성된 외측 플랜지(13135) 및 내측 플랜지(13136)를 포함한다. 외측 플랜지(13135) 및 내측 플랜지(13136)는 제2 요소(13112)에 형성된 각자의 구멍 내에 암형 조립체(13130)를 고정시킨다. 전술된 이전의 예들과 유사하게, 외측 플랜지(13135) 및/또는 내측 플랜지(13136)는 각자의 플랜지를 제2 요소(13112)와 기계적으로 맞물리는 것을 돕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특징부들(예를 들어, 리브들, 치형부들, 홈들, 돌출 특징부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31a 내지 도 1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플랜지(13135)는 스냅(13100)의 외측 또는 외부 표면을 또한 한정하는 외측 컴포넌트(1313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플랜지(13136)는 암형 조립체(13130)의 내측 표면을 형성하는 내측 컴포넌트(13138)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외측 컴포넌트(13137)는 접착제, 용접, 압입, 나사 연결, 또는 다른 구조적 결합 기법을 사용하여 내측 컴포넌트(13138)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외측 컴포넌트(13137)를 내측 컴포넌트(13138)에 결합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들 또는 컴포넌트들이 사용된다.
이 예에서, 내측 컴포넌트(13138) 및 외측 컴포넌트(13137)는 수형 조립체(13120)의 돌출 컴포넌트(13124)를 수용하는 보어 또는 개구를 한정하기 위해 협력한다. 도 131a 및 도 1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컴포넌트(13124)는 암형 조립체(13130) 내로의 수형 조립체(13120)의 정렬 및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챔퍼(13129)를 포함한다. 챔퍼(13139)는 암형 조립체(13130)의 리딩 에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이는 또한, 함께 스냅되거나 결합될 때 2개의 조립체들(13120, 13130)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사한 챔퍼 또는 리드-인을 포함할 수 있다. 챔퍼(13139)는 또한, 2개의 조립체들(13120, 13130)이 함께 스냅되거나 결합되는 동안 압축 링(13102)과 맞물리고 압축 링(13102)을 내향으로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 컴포넌트(13124)는 또한, 압축 링(13102)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암형 조립체(13130) 내로의 수형 조립체(13120) 사이의 맞물림을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램프형 표면(13122)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램프형 표면(13122)은 수형 조립체(13120)와 암형 조립체(13130)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수형 조립체(13130)를 향해 또는 내향으로 압축 링(13102)(및 암형 조립체(13130))을 당기는 방식으로 각을 이룬다. 이러한 예에서, 테이퍼 형성된 또는 램프형 표면(13122)은 일반적으로 수형 조립체(13120)의 돌출 컴포넌트(13124)의 베이스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되는 드래프트 각도를 갖는다. 드래프트 각도의 방향은 구현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테이퍼 형성된 또는 램프형 표면(13122)은 일반적으로, 스냅(13100)의 2개의 조립체들을 함께 끌어당기는 힘을 정합 조립체 상에 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압축 링(13102)과의 맞물림을 보유하는 것을 돕기 위해, 램프형 표면(13122)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하여, 국부적인 함몰부 또는 홈과 같은 멈춤쇠 특징부가 사용된다.
도 1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컴포넌트(13124)의 외측 표면은 스냅(13100)의 외부 표면을 따라 노출된다. 즉, 돌출 컴포넌트(13124)는 스냅(13100)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기 위해 암형 조립체(13130)에 의해 한정된 보어 또는 개구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컴포넌트(13124)의 노출된 또는 외부 표면은 암형 조립체(13130)의 외측 컴포넌트(13137)의 노출된 또는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예에서, 돌출 컴포넌트(13124)의 노출된 또는 외부 표면은 암형 조립체(13130)의 외측 컴포넌트(13137)의 노출된 또는 외부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암형 조립체(13130)의 돌출 컴포넌트(13124) 및 외측 컴포넌트(13137)는 만곡된 또는 비-평면형 프로파일을 한정하기 위해 협력한다.
스냅(13100)은 또한, 수형 조립체(13120)가 암형 조립체(13130)와 맞물릴 때, 제1 요소(13110)의 내측 표면이 제2 요소(13112)의 내측 표면에 접촉하여 안착하도록 구성된다. 도 1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조립체(13120)는 작은 갭 또는 공간에 의해 암형 조립체(13130)로부터 분리된다. 이는 2개의 조립체들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며, 이는 또한 사용 동안 덜거덕거림 또는 다른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요소들(13110, 13112)의 내측 표면들을 안착시킴으로써, 스냅(13100)은 (단단한 또는 날카로운 클릭보다는) 음소거된 또는 연화된 느낌으로 함께 스냅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수형 조립체(13120)와 암형 조립체(13130) 사이의 작은 갭 또는 공간은 또한, 2개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또한 각자의 컴포넌트들에 대한 임의의 표면 마감 또는 표면 처리를 보존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131f 내지 도 131h는 실질적으로 덜거덕거림이 없을 수 있는, 스냅 조립체로 또한 지칭되는 다른 예시적인 스냅(1315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스냅(13150)의 컴포넌트들 및 요소들 중 다수는 전술된 예시적인 스냅(13100)과 유사하며, 그러한 유사한 요소들의 설명은 중복성을 감소시키고 명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생략된다. 이전의 예와 유사하게, 스냅(13150)은 암형 조립체(13180) 내에 삽입되고 그와 맞물리는 수형 조립체(13170)를 포함한다. 또한, 이전의 예와 유사하게, 수형 조립체(13170)는 압축 링(13152)을 보유하거나 캡처하는 홈(13182)을 포함한다.
도 131f 내지 도 131h의 예들에서, 압축 링(13152)은 비-평탄 또는 비-평면 형상을 한정하도록 비틀리거나 구부러진다. 구체적으로, 도 131g 및 도 13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링(13152)은 대향 단부들을 갖는 개방 섹션 링 또는 와이어 루프이다. 단부들은 갭에 의해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예에서, 링의 단부들은 오프셋(D1)을 한정하도록 변위된다. 압축 링(13152)은 부분적으로 나선형 형상, 비-평면 프로파일, 또는 그렇지 않으면 비-평탄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평면외 왜곡 또는 변위는 홈(13182) 내에서 압축 링(13152)을 제약하는 것을 돕고, 그에 따라, 압축 링(13152)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고,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덜거덕거림 또는 채터를 야기할 수 없다. 오프셋(D1)은 압축 링(13152)의 직경과 홈(13182)의 대향 벽들 사이의 간극보다 더 클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프셋(D1)은 0.5 mm 미만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프셋(D1)은 0.4 mm 미만이다. 오프셋(D1)은 또한 개방 섹션 와이어 루프의 와이어 직경에 관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프셋(D1)은 와이어 직경의 10% 내지 50%의 범위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프셋(D1)은 와이어 직경의 15% 내지 40%의 범위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프셋(D1)은 와이어 직경의 20% 내지 30%의 범위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오프셋(D1)은 0.3 mm 미만이다. 도 13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또는 비-평탄 형상은 압축 링(13152)이 홈(13182)의 일 부분에 대해 홈(13182)의 상부 벽과 접촉하게 하고, 또한 홈(13182)의 다른 부분에 대해 홈(13182)의 하부 벽과 접촉하게 하며, 이는 (스냅(13150)의 중심 축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축 방향을 따라 압축 링(13152)을 제약하는 것을 돕는다.
압축 링(13152)은 홈(13182) 내에서 압축 링(13152)을 유사하게 제약하는 다른 비-평탄 또는 비-평면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링(13152)은, 축 방향을 따라 압축 링(13152)을 제약하고 잠재적인 덜거덕거림 또는 채터를 감소시키기 위해 압축 링(13152)이 홈(13182)의 대향하는 측벽들 둘 모두와 접촉하게 하는 물결 모양 형상, U-형상, 또는 다른 비-평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스냅들(13100, 13150)은 (도 131a 내지 도 131e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유연성 부재 및 (도 131f 내지 도 131h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비-평탄 형상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스냅 조립체들로 또한 지칭되는 도 130a 내지 도 130h 및 도 131a 내지 도 131h의 스냅들(13000, 13050, 13100, 및 13150)은 스냅 조립체의 전체적으로 감소된 크기 또는 풋프린트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스냅들(13000, 13050, 13100, 및 13150)의 전체 높이 또는 두께는 6 mm 미만의 두께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스냅들(13000, 13050, 13100, 및 13150)의 전체 높이 또는 두께는 5 mm 미만의 두께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스냅들(13000, 13050, 13100, 및 13150)의 전체 높이 또는 두께는 4 mm 미만의 두께일 수 있다. 스냅들(13000, 13050, 13100, 및 13150)의 전체 직경 또는 프로파일은 또한 일부 종래의 설계들과 비교하여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스냅들의 전체 직경(13000, 13050, 13100, 13150)은 15 mm 미만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스냅들의 전체 직경(13000, 13050, 13100, 13150)은 12 mm 미만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스냅(13000, 13050, 13100, 13150)의 전체 직경은 10 mm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각자의 스냅 플랜지와 소프트 상품 재료의 부분 사이의 중첩은 또한 일부 종래의 스냅 설계들과 비교하여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플랜지와 소프트 상품 재료 사이의 중첩의 양은 종래의 중첩의 대략 절반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첩은 3 mm 미만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첩은 2.5 mm 미만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첩은 2 mm 미만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중첩은 대략 1.5 mm 이하이다.
도 132a 내지 도 132c 및 도 133a 및 133b는 무선 탭의 액세서리에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스냅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특히, 도 132a 및 도 132b는 압축 링(13202)을 갖는, 스냅 조립체로 또한 지칭되는 예시적인 스냅(13200)을 도시한다. 스냅(13200)은 단일 피스 또는 일체로 형성된 수형 조립체(13220) 및 단일 피스 또는 일체로 형성된 암형 조립체(13230)를 포함한다. 수형 조립체(13220) 및 암형 조립체(1323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스탬핑된 시트 금속 부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스냅(13200)은 또한, 스냅(13200)의 외부 표면들을 한정하고 수형 조립체(13220) 및 암형 조립체(13230)에 각각 부착되는 부분적으로 성형된 단부 캡들(13240 및 13250)을 포함한다. 전술된 예들과 유사하게, 스냅(132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의 2개의 요소들 또는 영역들일 수 있는 제2 요소(13212)에 제1 요소(13210)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132a 및 도 1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조립체(13220)는 다른 스냅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암형 조립체(13230) 및 압축 링(1320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특히, 수형 조립체(13220)는, 스냅(13200)이 폐쇄되고 수형 및 암형 조립체들(13220, 13230)이 결합될 때 압축 링(1320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램프형 표면(13222) 또는 다른 특징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램프형 표면(13222)이 사용되지만, 수형 조립체(13220)는 또한, 스냅(13200)의 수형과 암형 조립체들(13220, 13230) 사이의 맞물림을 보유하는 것을 돕기 위해 압축 링(1320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홈, 멈춤쇠, 리세스 또는 다른 유사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냅은 단일의 일체형 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된 수형 조립체(13220)를 포함한다. 일체형 요소는, 램프형 표면(13222)을 한정하는 돌출 부분, 및 수형 조립체(13220)를 제1 요소(13210)에 보유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 내측 플랜지(13224)를 포함한다. 수형 조립체(13220)는 단일 모놀리식 금속 시트로 스탬핑될 수 있고, 스테인리스 강, 탄소강, 황동, 또는 도 132a 및 도 132b에 도시된 수형 조립체(13220)의 기하학적 구조 내로 형성될 수 있는 다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수형 조립체(13220)는 알루미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또한 도 132a 및 도 132b에 도시된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해 기계가공될 수 있다.
수형 조립체(13220)는 또한, 스냅(13200)의 외부 장식용 표면을 한정하는 단부 캡(13240)에 부착된다. 수형 조립체(13220)는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압입, 간섭 끼워맞춤,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 기법을 사용하여 단부 캡의 리브(13244)에 부착될 수 있다. 캡 상단(13242)은 리브(13244) 위에 오버몰딩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캡 상단(13242)은 스냅(13200)의 장식용 및 촉각 요건들에 적합한 표면 마감 및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캡 상단(13242)은 또한 수형 조립체(13220)를 제1 요소(13210)에 보유하는 것을 돕는 상부 플랜지(13246)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이전의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제1 요소(13210)의 일부분은 수형 조립체(13220)를 보유하기 위해 내측 플랜지(13224)와 외측 플랜지(13246) 사이에 위치되거나 그에 의해 개재된다.
스냅(13200)은 또한 단일의 일체형 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된 암형 조립체(13230)를 포함한다. 암형 조립체(13230)의 일체형 요소는 수형 조립체(13220)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 또는 포켓 부분을 포함한다. 암형 조립체(13230)의 일체형 요소는 또한, 암형 조립체(13230)를 제2 요소(13212)에 보유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 내측 플랜지(13234)를 형성한다. 암형 조립체(13230)는 단일 모놀리식 금속 시트로 스탬핑될 수 있고, 스테인리스 강, 탄소강, 황동, 또는 도 132a 및 도 132b에 도시된 암형 조립체(13230)의 기하학적 구조 내로 형성될 수 있는 다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암형 조립체(13230)는 알루미늄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또한 도 132a 및 도 132b에 도시된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을 형성하기 위해 기계가공될 수 있다.
암형 조립체(13230)는 또한, 스냅(13200)의 외부 장식용 표면을 한정하는 단부 캡(13250)에 부착된다. 암형 조립체(13230)는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압입, 간섭 끼워맞춤,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 기법을 사용하여 단부 캡의 리브(13254)에 부착될 수 있다. 캡 상단(13252)은 리브(13254) 위에 오버몰딩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캡 상단(13252)은 스냅(13200)의 장식용 및 촉각 요건들에 적합한 표면 마감 및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캡 상단(13252)은 또한 암형 조립체(13230)를 제2 요소(13212)에 보유하는 것을 돕는 상부 플랜지(13256)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이전의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제2 요소(13212)의 일부분은 암형 조립체(13230)를 보유하기 위해 내측 플랜지(13234)와 외측 플랜지(13256) 사이에 위치되거나 그에 의해 개재된다.
이러한 예에서, 암형 조립체(13230)는 압축 링(13202)을 수용하는 리세스(13232)를 포함한다. 홈으로 또한 지칭되는 리세스(13232)는 암형 조립체(13230)의 구부러진 또는 스탬핑된 영역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13232)는 또한 다른 적합한 제조 기법을 사용하여 기계가공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도 132a 및 도 132b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냅(13200)은 또한 리세스(13232) 내에 위치된 유연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압축 링(13202)의 포지션을 위치식별 또는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유연성 부재는 스냅 덜거덕거림을 감소시킬 수 있고, 구성에 따라 또한 압축 링(13202)을 중심설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중복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132a 및 도 132b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30a 내지 도 130e 및 도 131a 내지 도 131e와 관련하여 전술된 유연성 부재 구성들 중 임의의 것이 또한 도 132a 및 도 132b에 도시된 스냅(13200)에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압축 링(13202)은, 덜거덕거림, 채터, 또는 다른 잠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잡음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 비틀린, 부분적으로 나선형인, 비-평탄, 또는 비-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압축 링의 설명은 도 130f 내지 도 130h와 관련하여 전술되었고 도 131f 내지 도 131h 및 유사한 압축 링 구성이 또한 도 132a 및 도 132b에 도시된 스냅(132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2a 및 도 1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소(13210) 및 제2 요소(13212)는 각각 포켓(13214, 13216)을 포함한다. 포켓들(13214, 13216)은 성형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요소들(13210, 13212)로 각각 기계가공될 수 있다. 포켓들(13214, 13216)은 각자의 내측 플랜지들(13224, 13234)보다 더 큰 깊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스냅(13200)이 맞물리거나 폐쇄될 때 제1 요소(13210)가 제2 요소(13212) 상에 직접 안착되거나 접촉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수형 조립체(13220)와 암형 조립체(13230) 사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수형 및 암형 조립체들(13220, 13230)과 맞물릴 때, 원하지 않는 잡음들을 감소시키고 스냅의 느낌을 개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132c는 스냅 조립체로 또한 지칭되는 스냅(1326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2c의 스냅(13260)은, 스냅(13260)이 암형 조립체(13280)를 통해 연장되고 스냅(13260)의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돌출 컴포넌트 또는 요소(13276)를 특징으로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32a 및 도 132b와 관련하여 전술된 스탬핑된 스냅 예와 유사하다. 도 1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컴포넌트 또는 요소(13276)는 암형 조립체(13280)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이거나 그와 정렬된 외부 표면을 한정한다. 이는 원하는 미적 외관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스냅(13260)의 얇은 또는 저-프로파일 폼 팩터를 유지하면서 수형 조립체(13270)와 암형 조립체(13280) 사이의 맞물림을 개선할 수 있다.
이전의 예들과 유사하게, 스냅(13260)은 암형 조립체(13280) 내에 삽입되고 그와 맞물리는 수형 조립체(13270)를 포함한다. 수형 조립체(13270)와 암형 조립체(13280)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압축 링(13262)이 돌출 컴포넌트 또는 요소(13276) 상의 램프형 또는 테이퍼 형성된 표면과 맞물린다. 이전의 예들과 유사하게, 압축 링(13262)은 홈 또는 리세스 내에 보유될 수 있고, 비틀린 또는 비-평탄 형상을 갖는 유연성 부재 또는 압축 링을 사용함으로써 덜거덕거림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한 특징들의 유사한 설명이 전술되었으며, 중복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도 1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13260)은 내부 부재(13274) 위에 삽입 성형되는 성형된 캡(13272)을 포함한다. 내부 부재(13274)는 하나 이상의 홀들 또는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안으로 삽입 성형된 캡(13272)이 유입되어 2개의 컴포넌트들 사이에 더 견고한 맞물림을 제공할 수 있다. 성형된 캡(13272)은 소프트 상품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플랜지의 일부분을 한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른 예들과 유사하게, 플랜지는, 소프트 상품의 각자의 부분과 스냅(13260)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 예를 들어, 리브들, 치형부들, 홈들 또는 돌출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맞물림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냅(13260)은 또한, 소프트 상품의 각자의 부분과 스냅(13260)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하나 이상의 결합 특징부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 다른 플랜지들(13284, 13286)을 포함한다.
도 133a 및 도 133b는 무선 태그의 액세서리에 사용될 수 있는, 스냅 조립체로 또한 지칭되는 스냅(13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133a 및 도 133b는 스냅(13300)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압축 링 맞물림보다는 자기 결합을 포함하는 스냅(13300)을 도시한다. 스냅(13300)의 요소들 및 특징부들 중 많은 것은 도 132a 및 도 132b의 스냅(13200)과 관련하여 전술된 것들과 유사하다. 중복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유사한 요소들 및 특징들 중 일부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133a 및 도 1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13300)은 단일 피스 또는 일체로 형성된 수형 조립체(13320) 및 단일 피스 또는 일체로 형성된 암형 조립체(13330)를 포함한다. 스냅(13300)은 또한, 스냅(13300)의 외부 표면들을 한정하고 수형 조립체(13320) 및 암형 조립체(13330)에 각각 부착되는 부분적으로 성형된 단부 캡들(13340 및 13350)을 포함한다. 전술된 예들과 유사하게, 스냅(133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의 2개의 요소들 또는 영역들일 수 있는 제2 요소(13312)에 제1 요소(13310)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133a 및 도 1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조립체(13320)는 제1 자기 요소(13322)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포켓 또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1 자기 요소(13322)는 수형 조립체(13320)의 돌출부 또는 돌출 부분 내에 위치된다. 유사하게, 암형 조립체(13330)는 암형 조립체(13330)의 리세스의 저부를 한정하는 표면 아래에 위치된 제2 자기 요소(13332)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포켓 또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제1 자기 요소(13322) 및 제2 자기 요소(13332)는, 제1 및 제2 자기 요소들(13322, 13332)이 서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도록 서로 대면하는 대향 극들을 갖도록 배열된다. 도 13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자기 요소들(13322, 13332)은, 자기 인력들이 스냅(13300)의 수형 조립체와 암형 조립체(13320, 13330) 사이의 맞물림을 유지하기에 충분히 강할 정도로 충분히 가깝게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자기 요소들(13322, 13332)은 제1 요소(13310)를 제2 요소(13312)에 결합시키기 위해 스냅(13300)을 폐쇄 포지션에 홀딩하는 맞물림력을 제공한다.
스냅은 또한, 덜거덕거림 또는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자의 자기 요소들(13322, 13332) 뒤에 위치되는 유연성 부재들(13324 및 13334)을 포함한다. 도 133a 및 도 1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부재(13324)는 제1 자기 요소(13322)와 제1 캡(13340)의 내측 표면 사이에 위치된다. 유연성 부재(13324)는 압축가능한 발포체 또는 다른 유사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유연성 부재(13324)는 약간 압축되어 제1 자기 요소(13322)에 보유력을 가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자기 요소(13322)의 포지션을 유지하고 원하지 않는 덜거덕거림 또는 진동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유연성 부재(13334)는 제2 자기 요소(13332)와 제1 캡(13350)의 내측 표면 사이에 위치된다. 다른 유연성 부재(13334)는 또한 압축가능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약간 압축되어 제2 자기 요소(13332) 상에 보유력을 가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유연성 부재들(13324, 13334) 및/또는 자기 요소들(13322, 13332)은 진동 또는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냅(13300)의 내측 표면에 접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스냅(13300)의 재료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다른 예와 유사할 수 있다. 특히, 수형 조립체(13320) 및 암형 조립체(13330)를 형성하는 일체형 피스들은 제1 및 제2 자기 요소들(13322, 13332) 사이의 자기 결합을 허용하는 스탬핑된 스테인리스 강 재료 또는 다른 금속 합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는 광범위한 적용가능성 및 많은 수의 사용 사례들을 갖는 다양한 특징들 및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도 69a 내지 도 128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무선 모듈로 또한 지칭되는 무선 태그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 베이스 디바이스로 또한 지칭되는 다른 디바이스의 액세서리와 물리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특히, 무선 모듈은 베이스 디바이스와의 무선 연결을 확립하고, 무선 연결을 통해 무선 모듈의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들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함으로써 그 디바이스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는 베이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를 수정하거나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그 디바이스의 기능을 확장시키고 확장된 특징 세트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태그의 양상들이 베이스 디바이스와 통합될 수 있게 한다.
도 134a 내지 도 134c 및 도 135a 내지 도 135c는 베이스 디바이스의 액세서리와 통합된 예시적인 무선 태그들 또는 무선 모듈들을 도시한다. 특히, 도 134a 내지 도 134c 및 도 135a 내지 도 135c는 스마트 시계 또는 다른 손목-착용 디바이스의 밴드 액세서리에 통합되는 무선 모듈을 도시한다. 다음의 예들은 밴드 액세서리와 통합되는 무선 모듈에 대해 제공되지만, 동일한 또는 유사한 무선 모듈은 케이스, 커버, 랜야드, 프레임, 도킹 스테이션 등과 같은 다른 액세서리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추가로, 다음의 예들은 시계 또는 다른 손목-착용 디바이스에 대해 제공되지만, 설명된 기능들 및 원리들 중 다수는 또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건강 모니터링 디바이스, 랩톱 컴퓨팅 시스템, 데스크톱 컴퓨팅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베이스 디바이스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4a 내지 도 134c는 스마트 시계 또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에 통합되는 예시적인 무선 모듈 또는 무선 태그를 도시한다. 특히, 도 134a 내지 도 134c는 시계(13405)의 밴드(13402)와 부착되거나 달리 통합되는 무선 모듈(13400)로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되는 무선 태그를 도시한다. 논의의 용이함을 위해, 다음의 예들에서, 시계(13405)는 밴드(13402)와 별개일 수 있는 시계 본체(13404)를 포함한다. 밴드가 없는 시계 본체(13404)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계 베이스 또는 단순히 시계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시계(13405)는, 시계 본체(13404) 및 밴드(13402)를 포함하는 완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이어서 무선 모듈(13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베이스 디바이스로 또한 지칭되는 (스마트) 시계(13405)의 시계 본체(13404)는 그래픽 출력을 생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3406), 및 예를 들어 프로세서, 무선 통신 회로, 입력 디바이스, 배터리, 하나 이상의 센서들, 및 다른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내부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시계 본체(13404)의 무선 통신 회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406)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요소,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요소,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406)는 또한, 디스플레이(13406) 위의 커버에 적용되는 터치 및/또는 힘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및/또는 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또는 힘 감응형 디스플레이는 또한 터치 스크린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본체(13404)는 또한 하나 이상의 버튼들, 다이얼들, 크라운들, 스위치들, 또는 다른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설명을 위해, 이러한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입력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버튼(13408)으로 지칭된다.
예시적인 베이스 디바이스로서, 시계 본체(13404)는 또한 다양한 다른 요소들, 컴포넌트들 및 서브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베이스 디바이스의 설명은 도 140의 전자 디바이스(14000)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제공된다. 다음의 예들에서, 베이스 디바이스는 시계(13405) 또는 시계 본체(13404)이고, 액세서리는 밴드(13402)이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베이스 디바이스는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건강 모니터링 디바이스 또는 다른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구현들에서, 액세서리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커버,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보호 케이스,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충전 스테이션, 또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다른 유형의 액세서리일 수 있다. 밴드(13402)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유사하게, 무선 모듈(13400)은 구멍, 리세스, 또는 각자의 액세서리의 개구에 무선 모듈(13400)을 설치함으로써 액세서리(예를 들어, 커버, 보호 케이스, 충전 스테이션)에 설치되거나 달리 통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모듈(13400)은 성형 기술, 기계적 체결 기술, 용접 기술, 또는 다른 통합 기술을 통해 액세서리 내에 통합된다.
무선 모듈(13400)은 별개의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들을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회로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무선 모듈(13400)은, 이 경우, 스마트 시계(13405) 또는 시계 베이스(13404)인 베이스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동작가능하게 연결 또는 결합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무선 모듈(13400)과 시계 본체(13404) 사이의 무선 링크는 밴드(13402)가 시계 본체(13404)에 설치되거나 물리적으로 부착될 때 자동으로 확립될 수 있다. 무선 링크는 시계 본체(13404) 내의 센서가 밴드(13402)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그리고/또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는 수동 설정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모듈(13400) 및 시계 본체(13404)의 각자의 내부 센서들 중 하나 이상이, 무선 모듈(13400)이 밴드(13402)에 의해 시계 본체(13404)에 결합됨을 나타내는 출력을 제공하고 있다고 결정함으로써, 무선 링크가 확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 출력, 자이로 센서 출력, UWB 감지 시스템 출력, GPS 출력 또는 다른 감지 시스템 출력은, 디바이스들이 물리적으로 결합됨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무선 모듈(13400)의 이동이 시계 본체(13404)의 이동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모듈(13400)로부터의 센서 신호들 또는 데이터가 시계 본체(13404)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13400)로부터의 센서 신호들 또는 데이터는 무선 입력 신호로서 시계 본체(13404)에 송신될 수 있으며, 이는 시계 본체(13404)의 대응하는 무선 회로에 의해 수신된다. 시계 본체(13404)의 디스플레이(13406)는 무선 모듈(13400)로부터 수신된 무선 입력 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예로서, 무선 모듈(13400)은 사용자 터치 또는 손가락 누름에 응답하여 작동될 수 있는 버튼 또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모듈(13400)은 전기기계 스위치, 용량성 터치 센서, 힘 센서, 또는 다른 유사한 유형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모듈(13400)은 터치의 위치, 제스처 입력, 및/또는 무선 모듈(13400)의 표면 상의 터치의 이동 방향 또는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용량성 노드들 또는 전극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시계 본체(13404)는 다양한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모듈(13400) 상의 입력 디바이스의 작동에 응답할 수 있다. 예로서, 시계 본체(13404)는, 시계 본체(13404)를 웨이크하고, 시계 본체(13404)를 수면 또는 동면 모드에 배치하고, 착신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응답하고, 시계 본체(13404)의 알람 또는 다른 출력을 침묵시키고, 전자 거래에 대한 지불을 개시하고, 시계 본체(13404) 상의 연락처들 또는 주소록의 리스트에 액세스하고, 시계 본체(13404)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 또는 앱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시계 본체(13404)의 디스플레이(13406)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전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에 액세스하고, 시계(13404)의 스톱워치 또는 다른 타이밍 기능을 시작 또는 정지시키고, 시계 본체(13404)의 달리기 또는 활동 추적 프로그램 또는 기능을 개시하고, 시계 본체(13404)의 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에 대한 노래 또는 다른 미디어를 재생하는 것을 개시 또는 시작하고 그리고/또는 시계 본체(13404) 상에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 디바이스에 응답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모듈(13400) 및/또는 시계 본체(13404)는 시계 본체(13404)의 하나 이상의 버튼들(13408)의 기능을 복제하도록 프로그래밍가능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모듈(13400) 및/또는 시계 본체(13404)는 디스플레이(13406)(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의 터치 및/또는 힘 감응형 표면의 기능을 복제하도록 프로그래밍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모듈(13400)에 제공되는 입력은 디스플레이(13406) 상의 터치 및/또는 힘 입력에 대한 보충 또는 대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은, 예를 들어, 노드들 또는 전극들의 용량성 어레이를 사용하여 제스처 또는 다른 동적 터치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스처 및/또는 동적 입력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제공될 수 있는 터치 및 제스처 입력을 복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에 대한 터치, 제스처 및/또는 힘 입력은 디스플레이(13406) 상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물체를 선택하거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13406)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버튼을 작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 상의 항목들의 리스트를 통해 스크롤하거나, 디스플레이 상에서 줌 기능을 수행하거나, 패스코드 또는 서명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또는 시계 본체(13404) 상에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시계 본체(13404)로부터의 신호들 및/또는 데이터는 또한 무선 입력 신호, 무선 출력 신호, 또는 다른 유형의 무선 신호를 사용하여 무선 모듈(13400)에 전달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은 시계 본체(13404)로부터의 이러한 신호들 및/또는 데이터에 응답할 수 있고, 시계 본체(13404) 상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에 응답하여 다양한 기능들 또는 출력들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무선 모듈(13400)은 사용자가 촉각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 햅틱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햅틱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모듈(13400)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무선 모듈(13400)의 외부 표면을 따라 진동 또는 다른 햅틱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자기 또는 압전 햅틱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무선 모듈(13400)은 사용자의 손목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무선 모듈(13400)의 내측 표면을 따라 햅틱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은 또한, 시계 본체(13404)로부터 수신된 신호들 및/또는 데이터에 응답하여 스피커 또는 다른 음향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음향 또는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은 또한, 시계 본체(13404)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또는 내부적으로 생성된 커맨드 또는 명령어에 응답하여 시각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발광 요소(예를 들어, LED), 또는 다른 시각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모듈(13400)은 시계 본체(13404)로부터 수신된 신호 및/또는 내부적으로 생성된 커맨드 또는 명령어에 응답하는 LED, LED들의 어레이, 및/또는 세그먼트화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은 시계 본체(13404) 상의 활동에 응답할 수 있고, 다양한 동작 시나리오들 중 하나 이상에 응답하여 음향 및/또는 햅틱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모듈(13400)은 시계 본체(13404)에 의해 개시되는 경고 또는 알람, 시계 본체(13404)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 또는 시계 본체(13404)의 디스플레이(13406) 또는 터치스크린 상의 그래픽 물체의 선택에 응답하여, 햅틱 출력, 음향 출력, 및/또는 시각적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은 또한, 시계 본체(13404)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시스템들과 협력하여 동작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모듈(13400)은 시계 본체(13404)에 대한 무선 수신기로서의 기능 또는 보충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은 또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등과 같은 위치 결정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모듈(13400)은 사용자의 위치 및/또는 시계 본체(13404)에 통합되는 보충 위치-결정 하드웨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시계 본체(13404)에 중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모듈(13400)은 또한, 다른 예시적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무선 모듈(13400)의 상대적 및/또는 절대적 위치를 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무선 위치식별 시스템(예를 들어, UWB 무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무선 모듈(13400)은 시계 본체(13404)의 위치 결정 기능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시계 본체(13404)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과 협력하여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위치식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모듈(13400)은 또한, 디바이스 위치, 디바이스 배향, 사용자 활동, 사용자 자세 또는 다른 유사한 기능들의 결정을 개선하기 위해 시계 본체(13404)에 통합된 하나 이상의 유사한 센서들과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들, 자이로 센서들, 자력계들 또는 다른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들의 일례가 도 144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13400)은 밴드(13402)의 구멍 또는 개구(13403) 내에 위치된다. 도 1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13400)은 하부 하우징(13424)에 결합된 상부 하우징(13422)에 의해 한정되는 인클로저(13420)를 포함한다. 인클로저(13420)는 회로 조립체(13426) 및 회로 조립체(13426)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배터리(13428)를 인클로징한다.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다른 무선 태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과 유사할 수 있다. 다양한 공유 컴포넌트들의 중복 설명은 중복성을 감소시키고 명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생략된다.
도 134c는 도 134a의 섹션 134C-134C를 따라 취해진 무선 모듈(13400)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은 한 쌍의 플랜지들에 의해 밴드(13402)의 개구(13403) 내에 보유된다. 상부 플랜지(13440)는 상부 하우징(13422)의 주변부를 따라 한정되고, 하부 플랜지는 하부 하우징(13424)의 주변부를 따라 유사하게 한정된다. 밴드(13402)의 일부분이 상부 플랜지(13440)와 하부 플랜지(13442) 사이에 트랩핑됨으로써, 밴드(13402)의 개구(13403) 내에 무선 모듈(13400)을 보유한다. 도 1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3402)의 개구(13403)는 밴드(13402)의 프로파일 내에 각각의 플랜지들(13440, 13442)을 네스팅하는 것을 돕기 위해 양측에 카운터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하부 하우징(13424)에 의해 한정된 저부 표면은 밴드(13402)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동일 평면이며, 이는 시계(13405)가 착용되고 있을 때 사용자에 의한 무선 모듈(13400)의 촉각 지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예에서, 상부 하우징(13422)에 의해 한정된 외측 표면은 무선 모듈(13400)의 주변부를 따라 밴드(13402)의 외측 표면과 정렬되지만, 주변부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또는 중간 부분을 따라 밴드(13402)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튀어나온다. 이는, 사용자가 터치에 의해 또는 최소의 시각적 단서들로 무선 모듈(13400)의 버튼을 위치식별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밴드(13402)는, 예를 들어, 실리콘, 플루오로폴리머, 나일론, 또는 다른 유형의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다양한 재료들 중 임의의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부 하우징(13422) 또는 하부 하우징(1342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균일한 외관 및/또는 촉감을 제공하기 위해 밴드(13402)의 재료와 공통인 하나 이상의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424) 및 상부 하우징(13422)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른 무선 태그 실시예들과 유사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부 하우징(13424)은 금속, 중합체 및/또는 복합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상부 하우징(13422)의 각자의 정합 특징부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래치들 또는 캐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하부 하우징(13424)은 배터리(13428) 또는 다른 내부 컴포넌트들을 교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제거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제거가능 도어들 및 하우징 컴포넌트들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며, 중복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러한 예와 관련하여 반복되지 않는다.
도 1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13400)은 인클로저(13420)의 외부를 따라 손가락 누름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전기기계 스위치(13430)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스위치(13430)는, 전기 접촉을 폐쇄하거나 다른 전기적 응답을 생성하기 위해 외부 누름 또는 힘에 응답하여 좌굴되거나 접히는 압축가능한 촉각 돔이다. 압축가능한 촉각 돔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촉각 돔 스위치"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용량성 터치 센서, 힘 센서, 또는 다른 유형의 센서가 손가락의 누름 또는 터치를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3422)은 손가락에 의한 터치 또는 누름에 응답하여 국부적으로 편향되거나 변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부 하우징(13422)의 외측 부분은 중간 또는 중심 부분이 터치 또는 프레스에 응답하여 편향 또는 변위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유연성 또는 가요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의 부분들은 실리콘 재료, 합성 고무, 또는 터치에 응답하여 상부 하우징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유연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부 하우징(13422)의 이동 및/또는 스위치(13430)의 압축가능한 촉각 돔의 이동은 스위치(13430)가 작동되었음을 나타내는 햅틱 또는 촉각 출력을 제공한다. 햅틱 또는 촉각 출력은 클릭 또는 다른 유사한 촉각 응답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모듈(13400)은 터치 또는 누름에 응답하여 햅틱 또는 촉각 피드백을 생성하는 별개의 햅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모듈(13400)은 시계(13405)에 대한 원격 버튼 또는 추가 입력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시계 본체(13404)는 스위치(13430)의 작동에 응답하여 전술된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의 사용에 대한 하나의 이점은, 추가 버튼들 또는 입력 디바이스들이 시계 본체(13404)에 추가될 수 있고, 이는 추가 버튼들 또는 입력 디바이스들에 대해 제한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13400)은 또한, 시계 본체(13404)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결정하는 것을 돕고/돕거나 사용자 활동 또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추가 기능은 시계 본체(13404)의 하드웨어를 실질적으로 수정 또는 변경시킬 필요 없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34a 내지 도 134c의 실시예에서, 무선 모듈(13400)은 시계 본체(13404)에 대한 전도성 전기 연결을 포함하지 않고, 대신에, 무선 통신 링크에 의해 시계 본체(13404)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는, 시계 본체(13404)에 부착된 밴드를 단순히 스와핑함으로써 무선 모듈(13400)의 기능이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밴드는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 및/또는 센서들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무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4a 및 도 1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13405)는 밴드(13402)의 상이한 영역들을 따라 위치된 다수의 무선 모듈들(13400, 13401)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무선 모듈(13401)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고, 무선 모듈(13400)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사한 요소들 및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모듈들(13400 및 13401)은 상이하게 구성되거나 상이한 하드웨어 배열들을 갖는다. 2개의 무선 모듈들(13400, 13401)만이 도 134a 및 도 134b에 도시되지만, 다른 구현들은 2개 초과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3개 이상의 모듈들의 어레이는 밴드(13402)의 길이를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각각의 모듈은 무선 모듈(13400)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성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도 1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13400)은 시계 본체(13404)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고, 전원을 위한 별개의 배터리(13428)를 포함한다. 배터리(13428)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교체가능하고/하거나 재충전가능할 수 있다. 현재 구현에서, 무선 모듈(13400)은 별개의 충전 도크 또는 충전 디바이스의 외부 충전 코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무선 충전 코일(13436)을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외부 충전 코일은 충전 코일(13436)에 전류를 유도하는 전자기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무선 모듈(13400)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고 배터리(13428)를 충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13400)은 또한, 무선 모듈(13400)이 외부 충전 디바이스에 도킹되는 동안 자기 요소(13432)와 자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정합 자기 요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는 외부 충전 디바이스에 대해 무선 모듈(13400)을 고정시키거나 위치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134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부 하우징(13422)의 돌출 형상 또는 볼록 프로파일은 또한 외부 충전 디바이스에 대해 무선 모듈(13400)을 위치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외부 충전 디바이스는, 공통 도크 인클로저 또는 하우징에 의해 하우징되거나 인클로징될 수 있는 무선 모듈(13400) 및 시계 본체(13404) 둘 모두에 대해 외부 무선 충전 코일들을 포함하는 공통 도크 내의 무선 모듈(13400) 및 시계 본체(13404) 둘 모두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134b 및 도 1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은 배터리(13428) 및 스위치(13430)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회로 조립체(13426)를 포함한다. 회로 조립체(13426)는 안테나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회로(무선 회로)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회로는 시계 본체(13404)와 무선 통신 링크를 확립 및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BLE, WiFi, 또는 다른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확립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는 무선 모듈(13400) 및 밴드(13402)가 시계 본체(13404)에 부착된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확립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는 또한 동일한 프로토콜 또는 다른 별개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13400)은 무선 모듈(13400)을 위치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회로를 가질 수 있다(그리고 이에 따라 또한 베이스 디바이스 - 시계(13405) 또는 시계 본체(13404)를 위치식별함).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통신 회로는 디바이스들의 메시 또는 애드-혹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위치 데이터를 생성 또는 중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유사하게, 무선 모듈(13400)은 디지털 키 또는 다른 인증 기술을 사용하여 자신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관한 위치 정보를 안전하게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기능은 무선 모듈(13400)을 디바이스의 액세서리에 통합함으로써 디바이스에 추가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이 별개의 전원 장치(배터리(13428)) 및 회로 조립체(13426)를 포함하기 때문에, 무선 모듈(1340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베이스 또는 호스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시계(13405) 또는 시계 본체(13404))를 위치식별하기 위해 또한 사용되면서, 베이스 또는 호스트 디바이스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회로 조립체(13426)는 또한, 무선 모듈(13400)의 위치, 배향, 및/또는 이동을 추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계, 자이로 센서, 자력계, GPS 센서, 또는 다른 유사한 유형의 센서를 제한 없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조립체(13426)는 또한,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고/하거나 오디오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스피커, 또는 다른 오디오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회로 조립체(13426)는 또한, UWB, 비행 시간 또는 다른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및/또는 위치식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회로 조립체(13426)는 또한, 명령어들, 소프트웨어, 펌웨어, 코드 또는 다른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는 프로세싱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조립체(13426)는 또한, 무선 모듈(13400)에 근접한 다른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결합하기 위한 근접장 통신(NFC) 회로 및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NFC 안테나는 무선 충전 코일(13436)과 통합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NFC 안테나는 회로 조립체(13426)와 전기적으로 그리고/또는 구조적으로 결합되는 별개의 요소 또는 컴포넌트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NFC 안테나는 회로 조립체(13426) 상에 형성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그에 통합된다.
무선 모듈(13400)은 또한 디스플레이 요소 및/또는 다른 시각적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요소는 세그먼트화된 디스플레이, LCD, OLED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회로 조립체(13426)는 무선 모듈(13400)의 표면을 따라 시각적 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LED들 또는 다른 시각적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무선 모듈들(13400)은 하나 이상의 커버들, 도광체들, 광 파이프들, 또는 디스플레이 요소 및/또는 다른 시각적 출력 디바이스의 시각적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4a 내지 도 1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13400)은 시계(13405)의 밴드(13402)에 통합된다. 그러나, 무선 모듈(13400)은 또한, 시계와 페어링될 수 있는 다른 액세서리 또는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액세서리 또는 디바이스는 제3자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특정 세트의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듈(13400)은 제3자 또는 외부 디바이스와 베이스 디바이스(시계 본체(13404)) 사이의 무선 연결 또는 브리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3자 또는 외부 디바이스는 진보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또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신호들 및/또는 데이터를 무선 모듈(13400)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모듈(13400)에 송신된 신호들 및/또는 데이터는 무선 모듈(13400)과 베이스 디바이스(시계 본체(13404)) 사이에 설정된 무선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베이스 디바이스(시계 본체(13404))에 전달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 사이의 중재자로서 무선 모듈(13400)을 사용하는 것은, 액세서리들, 제3자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들이 무선 모듈(13400)과 하나의 균일한 인터페이스를 확립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무선 모듈(13400)은 액세서리, 제3자 디바이스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를 재프로그래밍하거나 재구성할 필요 없이 일 범위의 또는 다양한 베이스 디바이스들과 함께 작동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는 무선 모듈(예를 들어, 무선 모듈(13400))을 사용하여 신호들 및/또는 데이터를 제1 베이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시계 본체(13404))에 액세스하거나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무선 모듈(13400)과 유사한 API 또는 다른 프로토콜을 갖는 다른 무선 모듈을 사용하여 제2 베이스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화 또는 태블릿)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은, 심박수와 같은 사용자의 생물학적 기능 또는 바이오메트릭을 추적 및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착용되거나 달리 결합될 수 있는 별개의 심박수 모니터의 통합을 수반할 수 있다. 심박수 모니터는 센서, 프로세서, 및 무선 모듈(무선 모듈(13400)과 유사함)과 무선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적응되거나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의 목적들을 위해, 심박수 모니터는 액세서리, 제3자 디바이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서 특성화될 수 있고, 측정된 바이오메트릭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심박수)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또는 데이터(제1 신호 또는 제1 데이터)는 제1 무선 통신 링크(제1 프로토콜 또는 API들의 세트를 구현할 수 있음)를 사용하여 심박수 모니터로부터 무선 모듈로 송신될 수 있다. 이어서, 무선 모듈은 제2 무선 통신 링크(제2 프로토콜 또는 API들의 세트를 구현할 수 있음)를 사용하여 제2 신호 또는 제2 데이터(제1 신호 또는 제1 데이터에 기초함)를 베이스 디바이스에 중계할 수 있다. 베이스 디바이스는 건강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로서 생체 데이터의 측정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모듈은 베이스 디바이스로부터 심박수 모니터로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측정을 개시하거나, 측정을 중지하거나, 지정된 전력 상태에 진입하기 위한 커맨드들, 또는 다른 유형의 커맨드 또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듈을 사용하여, 심박수 모니터는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프로토콜을 실질적으로 변경할 필요 없이, 각각의 무선 모듈을 통해 다양한 베이스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시계,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팅 시스템)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그 결과, 적합하게 결합된 무선 모듈을 갖는 임의의 베이스 디바이스가 심박수 모니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을 사용하여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들을 베이스 디바이스와 결합하기 위해 유사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외부 디바이스들은 무선 스피커들, 무선 헤드셋들, 바코드 스캐너들, 내비게이션 시스템들, 자동차들, 홈 보안 시스템들, 도어벨 시스템들, 서모스탯들, 기기들, 홈 자동화 시스템들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도 135a 내지 도 135c는 디바이스의 액세서리와 통합되는 무선 태그 또는 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135a 내지 도 135c는 시계(13504)의 시계 밴드(13502)와 통합되는 무선 모듈(13500)로 또한 지칭되는 무선 태그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전 예와 유사하게, 시계(13504)는 밴드(13502)와 별개로 지칭된다. 그러나, 시계(13504)는 또한 밴드(13502) 및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모듈(135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베이스 디바이스로 또한 지칭되는 스마트 시계 또는 단순히 시계(13504)는 그래픽 출력을 생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3506), 및 예를 들어 프로세서, 무선 통신 모듈, 입력 디바이스, 배터리, 하나 이상의 센서들, 및 다른 전자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내부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3506)는 전술된 디스플레이(13406)와 유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요소들, 터치 센서, 힘 센서, 및 다른 유사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계(13504)는 또한 도 135a에 도시된 버튼(13508)에 의해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들, 다이얼들, 크라운들 또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계(13504)는 예시적인 베이스 디바이스이고, 도 135a 내지 도 135c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모듈(13500)은 도 134a 내지 도 134c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시계(13504)에 무선으로 페어링 또는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이전의 예와 유사하게, 무선 모듈(13500)은 시계(13504)의 하드웨어를 실질적으로 수정 또는 변경하지 않으면서 시계(13504)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모듈(13500)은 전술된 무선 모듈(134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공유된 특징들 및 기능성에 대한 설명은 중복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명으로부터 생략된다.
무선 모듈(13500)은 무선 모듈(13400)과 관련하여 전술된 것과 동일한 컴포넌트들 및 기능 요소들 중 다수를 포함한다. 무선 모듈(135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들의 일례가 도 144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도 1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13500)은 가요성 회로(13532)에 의해 회로 조립체(13526)에 동작가능하게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원격 스위치(13530)를 제공한다. 가요성 회로(13532)는, 밴드(13502)의 정상적인 사용으로 신뢰성있게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유전체 재료 상에 형성되는 전도성 트레이스들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는 단일 스위치(13530)를 도시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는 밴드(13502)의 길이를 따라 위치될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3530)를 무선 모듈(13500)의 다른 요소들로부터 결합해제함으로써, 무선 모듈(13500)의 주요 컴포넌트들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으면서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이는 특정 사용 사례 또는 기능에 대해 적응된 특수화된 또는 전용 버튼들을 갖는 다양한 시계 밴드 구성들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모듈(13500)은 스포츠 밴드와 통합될 수 있고, 다수의 스위치들 또는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스위치 또는 버튼은 스톱워치 기능, 건강 추적 기능, 또는 다른 유사한 스포츠 관련 기능에 전용된다. 추가의 예로서, 무선 모듈(13500)은 수중 사용을 위해 또는 수영하는 동안의 사용을 위해 적응될 수 있다. 물의 존재로 인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3506)의 터치 기능은 일관되게 동작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장갑이 용량성 터치 센서의 동작을 방해할 수 있다. 시계(13504)의 키 기능 또는 동작들은, 디바이스가 젖을 때 또는 용량성 터치 센서가 동작가능하지 않을 수 있을 때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무선 모듈(13500)의 하나 이상의 스위치들에 맵핑될 수 있다.
도 1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조립체(13526)는 무선 모듈(13500)의 인클로저(13520)를 함께 한정하는 컴포넌트들의 세트를 사용하여 인클로징 및 밀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클로저(13520)는 무선 모듈(13500)의 외측 또는 상부 표면을 한정하는 상부 하우징(13522)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상부 하우징(13522)은 밴드(13502)에 대한 클래스프 또는 체결구로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롱(13523) 또는 다른 유사한 특징부를 포함한다. 프롱(13523)은 밴드(13502)를 사용자에게 고정시키기 위한 클래스프 또는 고정 체결구를 형성하기 위해 밴드(13502)의 스트랩 내의 대응하는 구멍에 삽입되고 그에 의해 보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프롱(13523)은 상부 하우징(13522)과 일체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목 주위에 밴드(13502)를 고정시키기 위해 밴드(13502)의 스트랩 또는 다른 요소 내의 구멍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프롱(13523)의 단부에 캐치 또는 로브를 포함한다. 인클로저는 또한 무선 모듈(13500)의 내측 또는 하부 표면을 한정하는 하부 하우징(13524)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3524)은 배터리(13528)의 교체 또는 서비스를 허용하기 위해 제거가능할 수 있다. O-링(13562) 또는 다른 유형의 밀봉은 하부 하우징(13524)과 인클로저(13520)의 나머지 사이에 방수 또는 내수 밀봉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인클로저(13520)는 또한 상부 하우징(13522)과 하부 하우징(13524) 사이에 위치된 중심 링(13550)을 포함한다. 중심 링(13550)은 회로 조립체(13526)를 장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무선 모듈(13500)을 밴드(13502)에 고정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1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저(13520)는 중심 링(13550)과 하부 하우징(13524) 및 상부 하우징(13522) 사이에 밀봉을 각각 형성하는 접착제 링들(13564, 1356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접착제 링들(13564, 13566)은 열-활성화 접착제 층, 감압 접착제 층, 또는 다른 유형의 접착제 층 또는 밀봉으로부터 형성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중심 링(13550)은 하부 하우징(13524) 및 상부 하우징(1352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나사형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도 135c는 도 135a의 섹션 135C-135C를 따른 무선 모듈(135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13500)은 보유 링(13552)에 의해 밴드(13502) 내에 보유된다. 보유 링(13552)은 밴드(13502)의 개구 내의 홈 내로 삽입되는 중합체 또는 금속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밴드(13502)는 보유 링(13552) 주위에 성형된다. 다른 경우들에서, 보유 링(13552)은 밴드(13502)가 성형된 또는 달리 형성된 후에 홈 내에 설치된다. 도 13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모듈의 인클로저(13520)는 상부 하우징(13522) 및 중심 링(13550) 내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13540)에 의해 보유 링(13552)과 맞물린다. 하부 하우징(13524)은 또한, 중심 링(13550)의 표면에 안착되거나 접촉하도록 구성된 하부 플랜지(13542)를 포함한다.
도 135c는 또한, 밴드(13502)의 외측 또는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막, 커버 층 또는 외측 층(13503) 아래에 위치되는 스위치(1353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외측 층(13503)은 밴드(13502)의 메인 스트랩과 유사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외측 층(13503)은 실리콘, 플루오로폴리머, 나일론, 또는 다른 유형의 중합체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이전 예와 유사하게, 스위치는,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적용된 힘 또는 터치에 응답하여 폐쇄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기적 응답을 제공하는 전기 스위치를 형성하는 촉각 돔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3530)의 촉각 돔("촉각 돔 스위치"로 또한 지칭됨)은, 스위치(13530)를 회로 조립체(13526)에 동작가능하게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가요성 회로(13532)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 유용할 수 있다. 도 136a 내지 도 136c, 도 137a 및 도 137b, 도 138a 및 도 138b 및 도 139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태그들의 어레이는 사용자의 자세를 추적 및/또는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불량한 자세는 만성 요통 및 다른 근골격 문제들에 대한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성인의 2/3가 생활의 어느 시점에서 요통을 경험하며, 잘못된 자세가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요통은 또한 작업장 관련 장애들의 중요한 원인일 수 있고, 감소된 생산성 및 삶의 질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요통 및 다른 근골격 문제들은 일관된 자세 모니터링 및 자세 교정을 통해 개선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도 136a 내지 도 136c, 도 137a 및 도 137b, 도 138a 및 도 138b 및 도 139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태그들은 사용자의 신체를 따라 전략적으로 위치되고, 고질적인 신체 질병들을 회피하는 것을 돕기 위해 잠재적으로 문제가 되는 자세 문제들을 모니터링하고 교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으로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의 어레이(본 명세서에서 "무선 태그들" 또는 간단히 "태그들"로 또한 지칭됨)는 사용자의 자세를 추적 및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를 따라 다양한 영역들에 대해 위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도 13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은 사용자의 등의 다양한 위치들을 따라 위치된 무선 태그들(13600a-13600f)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의 위치는 예를 들어, 비행 시간(ToF), 도달 시간(AoA), 도달 시간 차이(TDOA) 수신 신호 강도 표시(RSSI), 삼각측량, 합성 애퍼처 및/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술들을 포함하는 무선 위치 추적 기술들을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무선 태그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 또는 무선 태그에 대한 상대적 위치 또는 거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태그는, 무선 태그와 통합된 또는 별개의 디바이스와 통합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다른 위치식별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절대적 위치 또는 포지션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3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은, 사용자(13605)에게 직접 부착되거나, 의류에 통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의 신체를 따른 다양한 포지션들에서 사용자(13605)에 결합된 무선 태그들(13600a-13600f)의 어레이 및 전자 디바이스(13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3610)는 모바일 전화, 휴대용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또는 다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3610)는 또한 사용자에게 부착될 수 있고, 시계, 스마트 시계, 손목 착용 건강 모니터링 디바이스, 또는 다른 유형의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3610)는 또한 노트북 또는 랩톱 컴퓨터 시스템, 데스크톱 컴퓨터 시스템, 건강 모니터 디바이스 또는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14300)가 도 143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며, 전자 디바이스(13610)에 대해 완전한 설명이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일부 경우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3610)는 룸 또는 위치에 고정된 기기 또는 다른 디바이스이다. 도 136a의 예시적인 시스템(13601)에는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13610)만이 도시되지만, 다른 구현들 또는 시스템들은 자세 추적 시스템의 정확도 및/또는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다수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무선 태그(13600a-13600f)는 사용자(13605)의 신체를 따라 상이한 위치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태그들(13600a 및 13600b)은 사용자(13605)의 어깨 영역들을 따라 위치되고, 무선 태그(13600c)는 사용자(13605)의 등 중간 영역을 따라 위치되고, 무선 태그(13600d)는 사용자(13605)의 요추 영역을 따라 위치되고, 태그들(13600e 및 13600f)은 사용자(13605)의 다리(예를 들어, 무릎 영역)를 따라 위치된다. 무선 태그들(13600a-13600f)의 구성 및 포지션은 예시적인 예시의 방식으로 제공되며, 다양한 무선 태그들의 수 및 위치들은 구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은 다른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무선 위치 기술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에서,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베이스 디바이스, 호스트 디바이스, 또는 기준 디바이스로 또한 지칭되는 전자 디바이스(13610)에 대한 각자의 무선 태그(13600a-13600f)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각자의 UWB 신호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은 비행 시간(ToF), 도달 각도(AoA), 도달 시간 차이(TDOA) 수신 신호 강도 표시(RSSI), 삼각측량, 합성 애퍼처, 및/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13610)에 대한 상대적 거리를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은 UWB 무선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위치식별 신호로 지칭될 수 있는,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을 사용하여 결정된 위치 및/또는 포지션 정보는 전자 디바이스(13610)에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 신호는 각자의 무선 태그(13600a-13600f)와 전자 디바이스(13610) 또는 다른 기준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위치식별 신호는 전술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대적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UWB 무선 펄스를 포함한다. 다른 경우들에서, 무선 위치식별 신호는 태그들 또는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대적 위치 또는 거리를 포함하는 위치식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위치식별 신호는 상대적 위치 또는 거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UWB 펄스와 상이한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위치식별 데이터는 블루투스, WiFi, 또는 다른 무선 송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3610)는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무선 위치식별 신호들을 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3610)는 GPS 신호 또는 다른 절대 위치 결정 기술을 사용하여 절대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의 절대적 및/또는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3610)의 자력계 및/또는 가속도계는 무선 태그들(13600a-13600f)의 상대적 및/또는 절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태그들(13600a-13600f)은 외부 전자 디바이스(13610)의 사용 없이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 사이의 추정된 거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은 한 쌍의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비행 시간 또는 다른 무선 측정 방식에서 송신기 또는 수신기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무선 위치식별 신호는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사이의 거리의 추정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은,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가속도계, 자력계, 또는 다른 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가속도계, 자력계, 또는 다른 요소는 몸통 또는 어깨 비틀림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포지션에 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태그들(13600a-13600f)은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13605)에 부착되지 않은 다른 무선 태그들의 그리드 또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들(13600a-13600f)은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다수의 (외부) 전자 디바이스들을 사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전자 디바이스들은 다수의 UWB 신호들을 "삼각측량"하고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13605)의 포지션 및/또는 자세는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의 상대적 또는 절대적 위치를 사용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다. 도 136b에서의 사용자(13605)의 포지션은 공칭 또는 이상적인 자세 포지션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의 이상적인 목표 위치는, 여기서 도 136b에 도시된 기준 평면(13604)에 의해 표현되는 데이터 또는 기준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기준 평면(13604)의 위치는 사용자(13605)의 어깨 영역들을 따라 위치식별된 무선 태그들(13600a, 13600b)에 대해 위치된 수직 평면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무선 태그들(13600c-13600f) 각각의 공칭 포지션은 기준 평면(13604)에 대한 기준 오프셋 또는 델타의 관점에서 특정될 수 있다.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의 기준 오프셋은 사용자별로 결정될 수 있는데, 이는, 각각의 사용자의 신체가 고유하고 무선 태그들(13600a-13600f)의 공칭, 정상 또는 이상적인 포지션이 근육량, 체지방 함량, 및 다른 물리적 신체 특징부들에 따라 사용자마다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원점에 대한 로컬 좌표 값들, 작동 포락선들, 또는 다른 공간 제약 기술들을 포함하는 다른 기술들이 무선 태그들(13600a-13600f)의 기준 또는 이상적인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기준 또는 이상적인 포지션 데이터는 자세 측정 시스템(13601)에 의한 사용을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은, 규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측정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1361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결과들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실제 자세를 측정함으로써 편차 또는 잠재적으로 문제가 되는 자세 조건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6c는 도 136b의 이상적인 자세로부터 벗어나고 또한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잠재적으로 문제가 되는 자세 조건을 표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자세를 도시한다. 도 13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각각의 위치는 기준 평면(13604)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특정 무선 태그들(13600a-13600f)의 위치 오프셋이 범위 밖에 속하거나 허용오차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시스템(13601)은 사용자의 현재 자세가 잠재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결정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에 대한 자세 이벤트를 플래그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태그들(13600a-13600f) 중 특정 무선 태그들의 상대적 위치는 작동 포락선 또는 다른 용적부 제약과 관련하여 모니터링되고, 기준 작동 포락선 또는 용적부 제약을 위반하는 편차들이 플래그된다.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은 무선 태그들(13600a-13600f)의 어레이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위치식별 신호들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6c의 예에서,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은 사용자의 몸통이 앞으로 쏠리거나 숙인 기울어진 자세를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편차는 현재의 상대적 포지션과 공칭 또는 이상적인 포지션 사이의 비교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현재 포지션과 공칭 포지션 사이의 비교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는 측정된 경사 평면(13606)은 무선 태그들(13600a-13600d)의 포지션에 기초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자세의 각도 편차를 표현할 수 있다. 경사 평면(13606)은 단지 구현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이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는 편차의 양을 입증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경사 평면(13606)을 포함하는 측정된 편차의 시각적 표현은 다른 컴퓨터 생성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1361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자세들은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은, 만성 요통 또는 다른 건강 문제들과 연관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통 정적 자세들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정적 자세들은 사용자의 등의 요추 영역이 사용자의 신체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되거나 왜곡되는 과전만(hollow back) 자세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정적 자세들은 사용자의 요추 영역의 곡률이 이상적인 또는 공칭 자세와 비교하여 곧게 펴지거나 평평해지는 평평한 골반을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자세들은, 사용자의 신체의 측면으로부터 사용자의 등의 포지션 또는 곡률을 통해 관찰될 수 있는 쏠린 자세들, 군사 자세들, 둥근 어깨 자세들 및 다른 유사한 자세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세들은 일반적으로 굽힘 메트릭들로 지칭될 수 있다.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은 또한, 예를 들어, 높거나 변위된 어깨들, 높거나 변위된 엉덩이들, 머리 경사들, 및 측만증 및 다른 척추 결함들을 포함하는 척추 비틀림들을 포함하는 경사 또는 비틀림 메트릭들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는 다양한 자세들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자세-모니터링 시스템(13601)은 또한, 사용자의 보행, 달리기 보폭, 굽힘 모션, 앉기 모션 또는 다른 비-정적 시나리오들에서 명백할 수 있는 다양한 비-정적 자세 결함들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자세는 시간에 걸쳐 모니터링되고/되거나 규칙적인 간격으로 측정될 수 있다. 규칙적인 간격이 충분히 작으면(예를 들어, 약 1초 미만), 자세 측정은 연속적이거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것으로 특성화될 수 있다. 자세 측정들은 데이터 로그에 저장되고, 요청될 때 전자 디바이스(1361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결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일련의 또는 일 세트의 신체 측정들은 아바타 또는 다른 컴퓨터 생성 모델의 애니메이션을 컴퓨팅하는 데 사용된다. 컴퓨팅된 아바타 또는 다른 컴퓨터 생성 모델은 전자 디바이스(13610)의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13605)가 정적 포지션에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신체 포지션 또는 자세 측정들이 기록된다. 정적 포지션은 서있는 정적 포지션, 앉은 정적 포지션, 엎드린 정적 포지션, 또는 다른 정적 포지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무선 위치식별 신호들(예를 들어, UWB 비콘 신호들) 모션 감지 시스템, 가속도계들, 자력계들, 또는 다른 센서들 및 감지 시스템들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13605)가 임계 시간량 초과(예를 들어, 대략 1 초 초과) 동안 가만히 있으면, 시스템(13601)은 사용자의 포지션이 적어도 순간적으로 정적이라고 결정할 수 있고, 자세 측정 또는 포지션 측정이 결정되고 로그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위치 센서들, 특히 다리 센서들(13600e 및 13600f)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13605)가 정적 포지션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자세 측정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다수의 자세 측정들이 취해지고, 시간 평균 또는 복합 자세 측정이 결정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사용자의 포지션 또는 자세는 최소 4 시간 동안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의 자세는 최소 8 시간 동안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의 자세는 대략 24 시간 동안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의 자세는 수일 내지 1 주일 동안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의 자세는 일주일 이상 동안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13601)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사용자의 자세는 연속적으로 또는 사용자가 정적 자세에 있다고 예측되는 기간들 동안 모니터링될 수 있다. 정적 자세는 정적 조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는 서기, 앉기, 엎드리기, 수면, 또는 다른 사용자 포지션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자세 측정 시스템(13601)은 사용자(13605)에 의한 고통 또는 불편함의 순간들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입력을 사용자(13605)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의 고통 또는 불편함과 연관된 이벤트들 또는 시간 기간들은 (연속적인 또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미 취해진 자세 측정을 트리거링하거나 또는 자세 측정을 플래그하는 데 사용된다. 고통 또는 불편함 이벤트와 연관된 구간 동안 취해진 자세 측정(들)은 사용자 또는 의료 인력에게 디스플레이되고 잠재적으로 문제가 되는 자세 상태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자세 측정 시스템(13601)은 다수의 상이한 자세 조건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37a 및 도 1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조건은 무선 태그들(13700a 및 13700b)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비틀림 조건은 무선 태그들(13700a 및 13700b)과 다른 무선 태그들(예를 들어, 13600c-13600f, 전자 디바이스(13610) 또는 도 136a 내지 도 136c의 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측정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들(13700a 및 13700b)은 또한, 각자의 무선 태그들(13700a, 13700b)의 상대적 각도 포지션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어깨 비틀림 측정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계, 자력계 또는 다른 센서와 같은 배향 검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7a 및 도 137b에 도시된 어깨 비틀림이 예시적인 예로서 제공되지만, 다른 예시적인 측정들은 또한, 자세 측정 시스템(예를 들어, 도 136a 내지 도 136c의 13601)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측정들은 일반적으로 회전 자유도들: 사용자의 척추 길이를 따라 대략적으로 연장되는 수직 또는 종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량에 대응하는 비틀림; 흉부로부터 사용자의 등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량에 대응하는 경사; 및 사용자의 일 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량에 대응하는 굽힘으로서 측정될 수 있는 다양한 자세 또는 척추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자세 측정 시스템(13601)은 목 비틀림, 상부 등 비틀림, 하부 등 비틀림, 엉덩이 비틀림 및 다른 유사한 측정들을 측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자세 측정 시스템(13601)은, 예를 들어, 목 경사, 상부 등 경사, 하부 등 경사, 및 다른 유사한 측정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경사 조건들을 측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자세 측정 시스템(13601)은 또한, 예를 들어, 목 굽힘, 상부 등 굽힘, 하부 등 굽힘, 및 다른 유사한 측정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경사 조건들을 측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무선 태그들의 수 및 위치는 구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138a는 5개의 무선 태그들을 사용하는 무선 태그들(13800a-13800e)의 하나의 대안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도 1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측정 시스템(13801)은 사용자(13805)의 어깨 영역을 따라 위치된 한 쌍의 무선 태그들(13800a 및 13800b), 사용자(13805)의 중간 등 영역을 따라 위치된 무선 태그(13800d), 및 사용자(13805)의 요추 영역을 따라 위치된 무선 태그(13800e)를 포함한다. 도 1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측정 시스템(13801)은 또한 사용자(13805)의 머리를 따라 위치된 무선 태그(13800c)를 포함한다. 무선 태그(13800c)는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13805)에 의해 착용된 헤드셋, 안경, 또는 다른 머리 장착 디바이스 또는 물품과 통합될 수 있다.
도 138a에 도시된 무선 태그들(13800a-13800e)의 구성은 사용자의 자세의 다양한 특성들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태그들(13800a-13800e)은 목 경사, 목 굽힘, 상부 등 경사, 상부 등 굽힘, 하부 등 경사 및 하부 등 굽힘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숄더 딥(shoulder dip), 어깨 비틀림, 및 다른 신체 측정들을 포함하는 도 138a에 도시된 무선 태그들(13800a-13800e)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자세의 다른 특성들 또는 측정들이 또한 측정 또는 모니터링될 수 있다.
도 138b는 4개의 무선 태그들을 사용하는 무선 태그들(13850a-13850d)의 하나의 대안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도 1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측정 시스템(13851)은 사용자(13855)의 어깨들 사이에 위치된 무선 태그(13850b), 사용자(13855)의 중간 등 영역을 따라 위치된 무선 태그(13850c), 및 사용자(13855)의 요추 영역을 따라 위치된 무선 태그(13850d)를 포함한다. 도 1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측정 시스템(13851)은 또한 사용자(13855)의 머리를 따라 위치된 무선 태그(13850a)를 포함한다. 무선 태그(13850a)는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13855)에 의해 착용된 헤드셋, 안경, 또는 다른 머리 장착 디바이스 또는 물품과 통합될 수 있다.
도 138b에 도시된 무선 태그들(13850a-13850d)의 구성은 사용자의 자세의 다양한 특성들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태그들(13850a-13850d)은 상부 등 경사, 하부 등 경사 및 하부 등 굽힘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숄더 딥, 어깨 비틀림, 및 다른 신체 측정들을 포함하는 도 138b에 도시된 무선 태그들(13850a-13850d)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자세의 다른 특성들 또는 측정들이 또한 측정 또는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13855)의 머리를 따라 위치된 무선 태그(13850a)는 목 경사, 목 굽힘, 상부 등 굽힘, 및 다른 신체 측정들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태그들의 어레이는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 및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태그들의 어레이는 사용자의 신체의 다양한 위치들에 위치되고, 다른 사용자 활동을 측정 및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또한, 더 일반적인 포지션 모니터링 시스템들 또는 단순히 모니터링 시스템들로 지칭될 수 있다. 포지션 모니터링 시스템은 활동 유형을 식별하기 위해 일정 시간 기간에 걸쳐 하나 이상의 무선 태그들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활동 유형들은, 예를 들어, 역도 활동, 달리기 활동, 바이킹 활동, 스포츠 활동(예를 들어, 농구, 풋볼, 축구), 요가 활동, 조정 활동, 또는 다른 유형의 신체 활동을 포함한다. 포지션 모니터링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이두근 컬(bicep curl), 달리기 스텝 또는 보폭, 보행 스텝, 및 야구 던지기, 풋볼 던지기, 조정 스트로크, 또는 다른 유형의 운동 움직임을 포함하는 운동 움직임을 식별하기 위해 일정 시간 기간에 걸쳐 하나 이상의 무선 태그들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지션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동 움직임들의 수를 카운트하고, 일부 경우들에서, 운동 움직임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열량 소비 또는 활동 레벨을 추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무선 태그들의 어레이는 운동 또는 스포츠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된 열량 또는 전력 출력과 같은 건강 메트릭을 컴퓨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태그들은 또한 달리기 보폭, 수영 스트로크, 야구 피치, 골프 스윙, 또는 다른 유사한 운동학적 모션, 운동 움직임 또는 활동과 같은 사용자의 활동의 운동학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태그들의 어레이는 운동 또는 스포츠 활동 동안 반복들(reps) 또는 다른 모션들을 카운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수행된 운동의 정도 또는 소모된 열량의 더 정확한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해 반복 또는 모션 카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태그들의 어레이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모션 추적 정보는 또한, 소모된 열량의 수 또는 수행된 운동의 정도/양의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해, 심박수 또는 거리 추정치와 같은 다른 건강 모니터링 데이터와 조합될 수 있다.
다양한 무선 태그들은 다양한 기술들에 의해 사용자에게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태그들 중 하나 이상은 셔츠 또는 바지와 같은 의류 물품에 통합된다. 예를 들어, 무선 태그들은 특정 위치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각각의 무선 태그를 홀딩하도록 구성된 의류 물품의 하나 이상의 포켓들 또는 파우치들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모니터링되고 있는 사용자의 신체의 부분에 대한 무선 태그의 독립적인 이동의 양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의복의 일부 부분이 사용자의 신체에 대해 단단히 또는 꼭 맞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태그들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의 신체 부분 주위로 연장되는 탄성 밴드 또는 랩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부착된다. 예를 들어, 무선 태그들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의 몸통 주위로 연장되는 신축성 또는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몸통 랩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태그들 중 하나 이상은 접착제에 의해 또는 운동 테이프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직접 부착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태그들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 영역을 추적하도록 사전 프로그래밍되거나 달리 구성된다. 예를 들어, 무선 태그는 사용자의 좌측 어깨 영역을 따라 위치되도록 사전 프로그래밍되거나 또는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태그는 사용자의 중간 등, 요추, 다리, 팔, 머리,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다른 영역을 따라 위치되도록 사전 프로그래밍되거나 또는 달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태그의 사전 프로그래밍 또는 구성은 특정 신체 포지션에서의 무선 태그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교정 또는 다른 세트의 코딩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에서, 사용자의 어깨를 따라 위치되도록 구성된 무선 태그는 사용자의 대향하는 어깨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상보적 무선 태그에 대한 상대적인 비틀림을 측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도 136a 내지 도 138b와 관련하여 설명된 무선 태그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하드웨어 요소들 및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태그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하드웨어 요소들의 일례가 도 144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태그들은 사용자의 자세 또는 검출된 신체 포지션에 관한 실시간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태그들 중 하나 이상은 햅틱 출력, 오디오 출력, 시각적 출력, 또는 타겟 또는 목표 자세 또는 신체 포지션에 대한 사용자의 준수 또는 비-준수를 시그널링하는 다른 출력을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태그들은 또한, 분리된 디스플레이 또는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사용자의 검출된 신체 자세 또는 포지션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 또는 컴퓨터 생성 모델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39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세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13900)를 도시한다. 도 139의 프로세스(13900)는 도 136a 내지 도 136c, 도 137a 및 도 137b 및 도 138a 및 도 138b와 관련하여 전술된 자세 측정 시스템들 중 임의의 하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13900)는, 예를 들어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시스템, 시계, 노트북 컴퓨터 시스템, 또는 프로세서 및 컴퓨터 메모리를 갖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동작(13902)에서, 사용자의 자세가 검출된다. 도 136a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의 다양한 영역들의 상대적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태그들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측정들은 UWB 또는 다른 무선 측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된 무선 비행 시간 측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무선 태그들 중 하나 이상의 배향은 또한 무선 측정 시스템, 가속도계, 자력계 및/또는 다른 유형의 센서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무선 태그들 각각은 다른 무선 태그 및/또는 모바일 폰, 스마트 시계 또는 다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별개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각각의 태그의 상대적 포지션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위치식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별개의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태그들의 세트로부터 무선 위치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위치식별 신호는 각자의 무선 태그와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나타내거나 또는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무선 위치식별 신호는 2개의 무선 태그들 또는 무선 태그와 다른 디바이스 또는 물체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나타내거나 또는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동작(13904)에서, 시스템은 측정된 자세가 조건 또는 기준들을 위반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136b 및 136c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유사하게,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상적인 또는 공칭 자세 포지션에 대한 사용자의 자세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평면 또는 데이터 원점에 대한 다양한 무선 태그들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는 포지션 오프셋들의 세트에 대한 편차를 측정 또는 검출할 수 있다. 포지션 오프셋이 임계치 또는 다른 제약을 초과하면, 포지션은 조건 또는 기준들을 위반하는 것으로 플래그될 수 있다.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은 또한 작동 포락선 또는 용적부 제약을 사용하여 편차를 측정 또는 검출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무선 태그들 중 하나 이상이 작동 포락선 또는 용적부 제약을 위반하면, 포지션은 조건 또는 기준들을 위반하는 것으로 플래그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자세 조건 또는 활동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이상적인 또는 공칭 자세에 대해 측정되지 않는 정적 자세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동작(13906)에서 사용자에게 보고되거나 제시될 수 있는 자세의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정적 자세가 분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시스템은 활동 또는 운동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는 일련의 신체 포지션들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시스템은 일련의 시간 구간들에서 무선 태그들을 사용하여 취해진 일련의 포지션 측정들을 사용하여, 골프 스윙, 야구 스윙, 테니스 스윙, 또는 다른 유사한 운동 움직임 동안 어깨, 팔, 및/또는 몸통 이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스템은 달리기 보폭 또는 보행 걸음걸이 동안 사용자의 엉덩이 및 다리 포지션(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일정 시간 기간 또는 시간 구간에 걸쳐 무선 태그들을 사용하여 취해진 일련의 측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을 사용하여 모니터링되는 자세 및/또는 활동은 동작(13906)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래픽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작(13906)에서,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자세를 시그널링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편차 또는 자세 이벤트의 표시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에서, 자세 측정의 결과들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유사한 기술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경사 평면 또는 다른 유사한 기준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는 편차의 유형 및 정도 또는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의 신체의 해부학적 표현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의 신체의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은 이상적인 또는 공칭 자세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식별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문제의 설명 및 교정 액션들 또는 다른 진단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의 무선 태그들을 사용하여 획득된 위치 또는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애니메이션이 생성된다. 애니메이션은 사용자의 아바타 또는 다른 컴퓨터 생성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아바타에 의해 시뮬레이션된 포지션 및/또는 모션은 무선 태그들로 추적되고 있는 사용자의 포지션 또는 모션에 대응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또는 컴퓨터 시뮬레이션된 아바타는 사용자의 자세에 대한 잠재적인 문제들을 진단하거나 식별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태그들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는 또한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다른 그래픽 피드백 또는 정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위치 정보는 공칭 또는 이상적인 자세로부터의 편차의 양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편차의 양은 사용자의 자세가 공칭 또는 이상적인 자세에 대한 임계치를 초과한 시간의 양 또는 편차들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편차 또는 다른 측정 메트릭은 히스토그램, 막대 그래프, 차트 또는 다른 그래픽 표현 상에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유사하게, 정적 자세 및/또는 사용자 활동은 다양한 그래픽 기술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의 아바타 또는 다른 컴퓨터 생성 표현은 시스템의 무선 태그들을 사용하여 모니터링되는 포지션 및/또는 자세에 대응하는 포지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아바타의 애니메이션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다른 표현은 일정 시간 기간 또는 다수의 시간 구간들에 걸쳐 무선 태그들을 사용하여 캡처된 일련의 포지션들을 사용하여 컴퓨팅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의 활동 또는 자세의 애니메이션 및/또는 정적 표현은 조건을 진단하거나, 운동 움직임을 개선하거나, 달리기 보폭을 진단하거나, 보행 걸음걸이를 진단하거나, 또는 다른 추가 분석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햅틱 출력, 오디오 출력 및/또는 시각적 출력은, 사용자의 자세 또는 포지션이 목표 또는 타겟 포지션 또는 자세를 준수하지 않는 것으로 및/또는 준수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개별 무선 태그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태그들 중 하나 이상은, 포지션에서 벗어나거나 목표 또는 타겟 포지션 또는 자세의 작동 포락선 또는 기준들을 달리 위반하는 사용자의 신체의 대응하는 영역을 따라 인지가능한 햅틱 출력을 생성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포지션 또는 자세를 실시간으로 교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무선 태그들에 의해 제공되는 출력은 별개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그리고/또는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별개의 디스플레이와 협력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은 분실된 및/또는 잘못 배치된 아이템들을 찾고 검색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폰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인 사용 사례이며, 태그들의 공간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포지션, 위치, 배향)이 높은 정확도로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태그들(또는 태그들의 특징부들 및/또는 시스템들을 통합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은 무수한 새로운 또는 개선된 위치 기반 기능들 및 사용 사례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몇몇 추가 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용도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태그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또는 태그들을 포함하거나 태그들의 기능을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의 위치식별 특징부들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자신들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지리적 및/또는 위치 기반 규칙들을 확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의 태그(사용자의 월렛에 있을 수 있음) 및 전화가 임계 거리만큼 분리되면, 사용자에게 경고되어야 한다는 규칙을 확립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규칙은, 사용자의 전화가 집에서 떨어져(예를 들어, 100피트 떨어져) 있는 동안, 사용자의 태그가 사용자의 집 근처에 남아있으면, 사용자에게 경고되어야 한다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지리적 및/또는 위치 기반 규칙은 분실된 태그들의 거짓 보고들을 피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태그의 소유자와 연관되지 않은 디바이스들)이 태그의 위치를 보고하지 않도록 태그가 자신을 "분실된" 것으로 보고하지 않을 위치들 또는 지리적 영역들을 확립할 수 있다.
지리적 및/또는 위치 기반 규칙들은 태그 자체 이외의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 랩톱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키들 및 사용자의 월렛(이들 각각은 태그에 부착될 수 있음)의 위치들을 모니터링하고, 키들과 월렛 사이의 임계 거리에 도달될 때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통지는 (사용자의 전화 또는 시계를 통해) 텍스트 메시지, 이메일, 푸시 통지, 햅틱 통지를 전송하는 것,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통지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예시적인 디바이스들 사이의(태그들 사이를 포함함) 거리들은 (스마트폰 또는 사용자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고, 디바이스들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를 초과하면(또는 임의의 다른 거리 조건이 충족되면) 사용자는 통지받을 수 있다.
특히, UWB 신호들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에 의해 용이하게 되는 위치식별 기술들은 태그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위치가 높은 정확도(예를 들어, 약 3 피트 미만, 약 1 피트 미만, 약 3 인치 미만, 또는 훨씬 더 큰 정확도)로 결정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디바이스-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이전 기술들보다 더 세분화된 지리적 및/또는 위치-기반 규칙들을 확립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자동차 키들이 카운터톱 대신에 서랍에 배치된 경우 통지를 받기를 원한다는 규칙을 확립할 수 있다. 개선된 위치 발견 정확도의 결과로서, 다른 유형들의 고해상도 위치 기반 규칙들 및 측정들이 또한 실현가능하다.
지리적 및/또는 위치 기반 규칙들은 사용자의 정보의 보안을 보장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그리고/또는 사용자의 소유로) 제어되는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리적 및/또는 위치 기반 규칙 세트들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자의 태그들의 위치들에 액세스하는 원격 서버 시스템 대신에, 사용자의 폰은 사용자의 태그들의 위치 보고들을 수신하거나 액세스할 수 있고, 전화는 특정 규칙들이 충족될 때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지리적 및/또는 위치 기반 규칙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수의 신뢰된 디바이스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랩탑 컴퓨터, 전화, 태블릿, 데스크톱 컴퓨터, 홈 자동화 시스템 등은 모두 사용자의 태그들의 위치 보고들에 액세스하도록(또는 태그로부터 직접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태그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인가되고, 규칙 조건이 충족될 때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것들에서, 태그의 공간 파라미터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디바이스(심지어 태그의 소유자와 연관되지 않은 디바이스들)가 태그로부터 신호를 검출하고, 태그의 위치를 결정 또는 추정하고,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의 서버에 위치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태그의 소유자는 언제든지 그러한 위치 보고들에 액세스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사용자 자신의 디바이스(들)는 사용자의 인근 태그들의 포지션 및/또는 위치를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인근 태그들의 위치를 알기를 원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또는 다른 디바이스)가 인근 태그들과 직접 통신하게 하여 이들의 위치들 또는 적어도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한 이들의 포지션들을 결정할 수 있다. 태그와의 직접 통신들(예를 들어, 태그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해 UWB를 사용함)은 위치 보고들을 검색하는 것보다 더 빠른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모든 위치 정보가 원격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디바이스들에 제공되었다면 덜 실용적이었을 추가 사용 사례들 및 특징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참조의 용이함을 위해,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이 액세스되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 자신의 디바이스들만이 로컬 통신들(예를 들어, 직접적인 태그-전화 통신들)을 통해 태그들의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이러한 기술들 둘 모두가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것의 높은 정확도로 인해,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태그들 사이의 정확한 거리 측정들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물체들이 그것들에 결합된 태그들을 갖는 경우,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UWB 위치 찾기 기술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태그의 위치를 결정하고, 태그들의 절대적 위치들에 기초하여 물체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2개의 물체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2개의 물체들 사이의 상대적인 포지션들 또는 거리들에 의존하는 지오펜싱(geofencing) 규칙들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월렛과 키들이 10 피트 초과로 떨어져 있으면 통지를 수신하기를 원한다는 규칙을 확립할 수 있다.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그러한 물체들 사이의 거리를 모니터링하고, 거리 조건이 충족될 때 통지들을 트리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홈 오디오 시스템의 스피커들은 각각 부착된 태그들을 가질 수 있고(또는 태그의 컴포넌트들을 통합할 수 있고),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태그들 사이의 거리, 서로에 대한 태그들의 포지션 및/또는 태그들(및 그에 따른 스피커들)의 배향을 측정하여, 그들의 홈 환경에서 사용자 포지션을 돕고/돕거나 스피커들을 정렬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차량 범퍼 상에 태그를 배치하고 차고 벽 상에 다른 태그를 배치할 수 있다.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이러한 태그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관되고 안전한 위치에 자신의 자동차를 주차시키고 차고 벽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이들이 임계 거리 내에 있을 때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태그들 사이의 거리는 태그-대-태그 통신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태그들의 배향들은 자력계들, 가속도계들 등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태그들은 또한, 사용자가 그들 자신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들이 하이킹하거나, 걷거나, 환경 주위를 이동할 때 태그들을 남겨 둘 수 있다.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자신들의 경로를 재추적하기 위해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을 통해 공급될 수 있는) 태그들의 위치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전화는 다음 태그에 도달하기 위해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나타내는 나침반-형 방향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거나, 또는 태그들의 위치들(및 태그 위치들에 의해 한정된 선택적인 경로)을 보여주는 맵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화들 및 다른 디바이스들이 국부적으로 (예를 들어, 원격 서버 또는 호스트 시스템에 액세스하지 않고) 태그에 대한 방향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로 찾기 기술은 셀룰러 또는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원격 위치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허용될 때, 태그들은 또한 탐색 및 구조 또는 다른 비상사태 동작들을 위해 개인들의 위치들을 추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키어, 하이커, 사이클리스트, 산악인 또는 다른 개인은 눈사태, 눈보라, 사고 등과 같은 비상사태의 경우 구조자들이 개인을 찾을 수 있도록 자신에게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레크레이션 사례 이외에서도, 태그들은 구조자들 또는 다른 비상 요원들이 곤경에 처한 개인들을 위치식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진, 허리케인, 화재, 의료 이벤트, 또는 임의의 다른 시간 후에, 개인이 다른 사람들에 의해 쉽게 위치식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개인은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가 그들의 위치에 액세스하고 다른 사용자들에게 보고하도록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그들의 사람 상에 또는 그 근처에 태그를 갖는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또는 다른 디바이스)을 사용하여 "보조를 필요로 하는" 또는 다른 그러한 지정으로서 자신을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에 보고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가 사용자의 태그의 위치를 의료진, 소방관들, 경찰, 가족 또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보고하게 허용하여, 사용자가 더 쉽게 발견되고 보조될 수 있게 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가 공개되게 할 특정 트리거링 이벤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은, 자신의 위치가 30 분 간격 동안 변하지 않으면, 그들은 "보조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에 보고되어야 한다는 규칙을 확립할 수 있으며, 그 시간에 사용자의 태그(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위치 보고들은 비상 요원들 또는 미리 결정된 연락처들에 액세스가능할 수 있다. 그러한 규칙들은, (예를 들어, 레크레이션 활동 동안의 부상, 낙상, 폭풍 또는 화재 등으로 인해) 보조 요청을 수동으로 개시할 수 없게 된 사용자가 여전히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의 위치 찾기 능력들을 이용하면서 또한 그들의 개인 위치 정보에 대한 제어를 또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또한, 하나 이상의 태그들 또는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3차원 공간들을 맵핑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들이 하루를 보낼 때 그 개인 상의 태그를 휴대하거나, 자신의 환경 주위에서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태그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다양한 표면들 또는 물체들 상에 자신의 키들 또는 전화를 배치함).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태그들의 위치를 안전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고, 시간 경과에 따라 사용자의 집 또는 작업 환경의 3차원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태그들의 위치들은 사용자의 환경에서 테이블들, 가구들, 벽들 및 다른 물리적 물체들 및 장애물들의 위치들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자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가 종종 지면으로부터 약 3 피트 위의 그리고 약 3 피트 x 6 피트의 영역 내에 있는 위치에 있다는 것을, 시간 경과에 따른 태그의 위치의 맵이 나타내면, 사용자의 디바이스(들)는 그 위치가 테이블에 대응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디바이스들은 하나 이상의 태그들의 위치 이력에 기초하여 영역의 3차원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물체들을 위치식별하거나, 장애물들을 회피하거나, 거동 및/또는 모션의 패턴들을 식별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월렛을 분실하고 이를 찾는 것을 돕기 위해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테이블의 위치를 수동으로 확립하거나 입력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그것이 "주방 테이블" 상에 있을 수 있다는 자동 생성된 제안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들은 태그를 물체에 터치하고 그 위치를 특정 물체와 연관시킴으로써 자신들의 환경에서 물리적 물체들의 위치들을 수동으로 확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예를 들어, 태그에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입력을 적용함으로써) 위치 학습 모드를 개시하고, 이어서, 테이블 상에 태그를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태그의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전화 또는 컴퓨터 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위치를 물체 "테이블"과 연관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벽들, 책상들, 문들, 침대들, 옷장들, 풀장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물체와 같은 다른 물체들에 대해서도 유사한 액션을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환경의 맵들이 생성되는 경우, 이들은 안전하게 저장되고 사용자에게만 액세스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사용자 자신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 상에 국부적으로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암호화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보안되고 원격으로(예를 들어,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와 연관된 서버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태그들은 또한, 사용자들이 정지된 물체들을 찾고 상호작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가 건물의 비상구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될 수 있어서,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들을 출구를 향해 안내하기 위해 이들의 전화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 방향 표시 화살표를 보여줌으로써) 개인들이 자신의 전화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비상구를 위치식별하고 내비게이팅할 수 있다. 유사하게, 태그들은 출구 경로를 따라 다수의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어서, 사용자들의 폰들은 태그들을 위치식별하고 출구 루트를 따라 사용자를 안내할 수 있다. 태그들은 심지어, 태그들이 연관된 물리적 구조 또는 물체의 식별자들과 같은 정보를 디바이스들에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또는 태블릿이 태그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태그와 통신할 때, 태그는 전화 또는 태블릿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정보는, 예를 들어, 연관된 물체의 이름(예를 들어, 화재 출구, 소화기, 제세동기 등), 물체의 물리적 위치(예를 들어, 1층, 앞 통로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태그들에 의해 저장될 수 있고, 위치 발견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다른 디바이스들에 제공될 수 있거나, 정보가 명시적으로 요청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도 140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과 연관된 물체들을 갖는 예시적인 환경, 및 물체들의 위치로 사용자를 지향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도 140은 자동 전기 제세동기(AED)(14002) 및 소화기(14004)를 갖는 건물에서 사용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예시적인 사용자 디바이스(14000)를 예시한다. AED(14002) 및 소화기(14004) 각각은 각자의 태그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는 각각의 물체 상에 또는 그 근처에 장착될 수 있다. 태그들은 도 61a의 장착 베이스(6108)와 같은 장착 베이스에 부착될 수 있어서, 태그들은 배터리들이 변경될 것을 요구하지 않고 무기한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디바이스(14000)는 각각의 태그와 통신함으로써 각각의 물체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들은 블루투스 및/또는 UWB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고, 디바이스(14000)는, 디바이스(14000)에 대한 태그들의 포지션들을 결정하기 위해 비행 시간(ToF), 도달 각도(AoA), 도달 시간 차이(TDOA) 수신 신호 강도 표시(RSSI), 삼각측량, 합성 애퍼처,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과 같은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태그들의 검출된 포지션(그리고 선택적으로, 가속도계들, 자력계들, 자이로스코프들, GPS 시스템들 등과 같은 온보드 센서들로부터의 디바이스(14000)의 공간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디바이스(14000)는 태그들을 향하는 방향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400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상에, AED(14002)를 향하는 제1 방향 표시자(14008)(예를 들어, 화살표), 및 소화기를 향하는 제2 방향 표시자(14010)(예를 들어, 화살표)를 디스플레이한다. 디바이스(14000)는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태그들 자체로부터 디바이스(14000)에 제공되었을 수 있는 각각의 디바이스의 이름(또는 다른 정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도 140에 도시된 물체들 및 표시자들은 단지 예들일 뿐이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술들이 또한 사용자들을 다른 물체들로 안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물관은 방문자들이 전시관들을 찾는 것을 돕기 위해 전시관들에 또는 그 근처에 태그들을 배치할 수 있거나, 상점들은 사용자들이 제품들을 찾거나 상점을 내비게이팅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품 디스플레이들에 또는 그 근처에 태그들을 배치할 수 있거나, 또는 건물들은 사용자가 건물을 내비게이팅하는 것을 돕기 위해 입구들에 또는 그 근처에 또는 복도를 따라 태그들을 배치할 수 있다. 이들 태그들은 유사하게, 이들이 연관된 위치 또는 물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나리자 근처에 배치된 태그는 사용자의 전화가 유명한 초상화에 대한 거리 및 방향을 찾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또한 초상화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전화에 직접 제공할 수 있다.
건물들 및 다른 구조물들의 태그들은 또한, 시력 장애를 갖는 개인들이 건물들 또는 구조물들을 내비게이팅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디바이스들은 소정 영역에 위치된 다양한 태그들에 대한 거리 및/또는 위치를 결정하고, 그들이 영역을 내비게이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출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로서, 사용자 개인 상의 보조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와 인근 태그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벽들 또는 다른 장애물들 상의 인근 태그들과 통신할 수 있다. 보조 디바이스는 태그들(또는 태그들을 회피하는 경로)에 대한 거리 및/또는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그러한 영역들을 회피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보조 디바이스로부터의 하나의 예시적인 출력은 디바이스와 태그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주파수를 갖는 미묘한 진동일 수 있다.
태그들이 장애물들 또는 벽들 상에 장착되는 경우들에서, 태그들은 디바이스(예를 들어, 보조 디바이스, 스마트폰)가 사용자를 지향시켜야 하는 곳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로 하여금 장애물을 향해 사용자를 지향시키게 하는 태그 대신에, 태그는 그 대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장애물을 회피하는 경로를 따라 또는 위치로 사용자를 지향시키게 한다. 오프셋 정보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고, 이어서, 사용자의 디바이스는 태그의 검출된 위치, 오프셋 및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어디로 지향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태그들은 또한, 사용자들을 안내하는 것을 돕기 위해 경로들, 트레일들, 스키 런들 또는 다른 실외 환경들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태그들은 또한 증강 현실 환경에서 물체들의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하거나 트리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를 스키 런 상의 태그에 올려 놓아서, 스키 런의 이름이 사용자의 전화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되게 할 수 있다.
태그들은 또한 증강 현실(AR)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태그의 공간 파라미터들이 높은 정확도로(예를 들어, 실제 위치의 1 피트 내에서 또는 그 미만으로)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전화, 태블릿,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디바이스가 태그에 대해 어떻게 배향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온보드 센서들(예를 들어, 자력계들, 가속도계들, 관성 위치결정 시스템들, GPS)을 사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태그를 가리키고 있음을 검출한 결과로서, 일부 액션을 취하거나 또는 일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가 광 스위치 옆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 카메라를 태그를 향해 지향시킬 수 있으며, 이는 그녀의 전화의 디스플레이가 광 스위치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그것이 제어하는 광을 자동으로 보여주게 할 수 있다. 정보는 사용자의 폰 상에 보여지는 실시간 이미지 프리뷰에 통합되어, AR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모나리자 옆에 있는 태그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에서, 모나리자 자체 옆에, 유명한 그림의 설명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룸 또는 환경 주위에서 전화의 카메라를 스캔할 수 있고, 검출가능한 태그들의 위치들 및/또는 설명들은 (예를 들어, 태그를 가리키는 화살표 및 아이템 설명 버블로) 이미지 프리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환경에서 다양한 상이한 태그들의 위치를 쉽게 시각화할 수 있다.
도 141a 및 도 141b는 사용자가 증강 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태그로 지향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예시된 예에서, 사용자는 디바이스(14100)(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사용하여 태그(14102)를 위치식별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태그(14102)는 키들의 세트, 월렛, 스마트시계, 지갑, 또는 다른 물체에 부착될 수 있지만, 간략화를 위해 태그(14102)만이 도면들에 예시된다.
디바이스(14100)는 디스플레이 상에 AR 인터페이스(1410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R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14100)의 카메라로부터의 환경의 라이브 프리뷰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41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을 사용하여(예를 들어, 태그(14102)로부터의 UWB 신호에 대한 비행 시간 분석을 사용하여) 태그(14102)의 포지션 및/또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태그의 포지션 및 태그에 대한 디바이스(14100)의 배향(예를 들어, 디바이스(14100)의 카메라가 태그(14102)의 포지션에 대해 포인팅하고 있는 방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는 태그(14102)를 카메라의 시야 내로 가져오기 위해 디바이스의 배향이 어떻게 변경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디바이스는 태그(14102)를 위치식별하기 위해 디바이스(14100)를 포인팅하거나 재배향할 위치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은 방향 표시자(14106)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1a는 태그(14102)를 도시하지 않는 방향으로 배향된 디바이스(14100)를 도시한다. 따라서, AR 인터페이스(14104)는 디바이스의 카메라로부터의 라이브 프리뷰뿐만 아니라 방향 표시자(14106)를 도시한다. 도 141b는 사용자가 방향 표시자(14106)에 의해 표시된 방향에 따라 디바이스를 재배향한 후의 디바이스(14100)를 도시한다. AR 인터페이스(14104)는 환경의 새로운 부분의 라이브 프리뷰를 보여주기 위해 업데이트되었고, 태그(14102)뿐만 아니라 태그(14102)의 검출된 포지션 또는 위치를 보여주는 업데이트된 방향 표시자(14108)를 보여준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이한 유형의 그래픽 물체는 태그(14102)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예를 들어, 풍선, 별, 플래싱 광 등)가 태그(14102) 위 또는 근처에서 선회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그래픽 물체는 태그(14102)가 가려지거나 폐색될 때, 예를 들어, 태그(14102)가 서랍장 내에 있거나, 종이 더미 아래에 있거나 또는 달리 가시적이 아닌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R 인터페이스(14104) 내의 방향 표시자들은 디바이스(14100)에 대한 태그(14102)의 포지션(및 선택적으로 디바이스(14100)의 배향)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AR 인터페이스(14104)를 보는 동안 디바이스(14100)를 이동시키고/시키거나 재배향시킴에 따라, 방향 표시자들은 사용자를 하나 이상의 태그들을 향하게 하도록 연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궁극적으로 사용자를 태그로 안내하는 나침반-형 가이드로서 방향 표시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방향 표시자의 다수의 특성들은 태그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변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화살표의 길이는 디바이스(14100)와 태그(14102)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예를 들어, 더 긴 화살표는 더 큰 거리를 표시함), 화살표의 방향은 디바이스(14100)에 대한 태그의 포지션을 나타낸다. 물체까지의 거리의 수치 표시자(예를 들어, 피트 또는 미터 단위), 디바이스(14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안된 방향(예를 들어, 위, 아래, 좌측, 우측) 등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정보가 또한 AR 인터페이스(14104)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태그들 이외의, 그러나 태그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들이 또한 AR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에게 위치식별되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스마트폰들, WiFi 라우터들 등은 태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디바이스에 의해 위치식별되고 AR 인터페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자기 자신의 디바이스들 또는 상호작용하기를 원하는 디바이스들을 찾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카메라를 통해) 환경의 라이브 프리뷰를 보여주는 AR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다. AR 인터페이스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들을 향해 사용자를 지향시킬 수 있고, 그러한 물체들이 라이브 프리뷰 내에 있을 때,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설명을 보여줄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사용자는, WiFi 라우터를 찾기 위해 룸을 스캔하거나 또는 보기 위해 AR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어서,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라우터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전화 카메라를 WiFi 라우터를 향해 가리킬 때, 물체가 WiFi 라우터임을 나타내는 그래픽 물체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연관된 네트워크 이름, 비밀번호, 무선 프로토콜 등과 같은 라우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태그들은 또한 게이밍 또는 다른 엔터테인먼트 목적들을 위해 증강 현실을 용이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들은 게임 피스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이 높은 정확도로 태그들의 위치들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들은 증강 현실 환경에서의 태그들을 컴퓨터 생성 그래픽들로 시각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로서, 체스 게임은 체스 피스들 중 하나를 표현하는 각각의 피스로 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헤드셋(또는 다른 디바이스)을 통해 태그들을 볼 수 있고, 헤드셋은 캐릭터들 사이의 애니메이션화된 배틀 등을 포함하는 체스 캐릭터들의 애니메이션들로 태그들의 이미지들을 대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태그들은, 컴퓨터 시스템이 태그들의 포지션을 추적하고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텔레비전,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등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바타를 제어하기 위해 태그들의 포지션 및 포지션(예를 들어, 모션)에서의 변화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42는 다수의 태그들(14202)이 그의 신체 또는 옷들에 부착된 예시적인 사용자(14200)를 예시한다. 컴퓨터 시스템(14205)은 (서로에 대한 각각의 태그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포함하는) 태그들(14202)의 포지션 및/또는 위치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14204) 상에 디스플레이된 아바타(14206)(또는 다른 그래픽 물체)의 외관 및/또는 모션을 제어하기 위해 검출된 공간 파라미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4205)은 (UWB 신호들의 ToF 분석과 같은 전술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태그들(14202)의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는 단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4205)은 데스크톱 컴퓨터, 게이밍 콘솔, 모바일 폰, 홈 자동화 시스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도 142에 도시된 컴퓨터 시스템(14205)은 태그들(14202)의 모션들 및/또는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협력하여 작동하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컴퓨터들, 게이밍 콘솔들, 폰들, 태블릿들 등이 협력하여 태그들(14202)의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하거나 디스플레이된 아바타를 생성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모션들이 추적되고 디스플레이 상의 아바타 또는 다른 캐릭터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도 142에 도시된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또는 물리 치료 프로그램은 수행될 모션의 예를 디스플레이하고, 이어서 사용자의 실제 모션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실제 움직임들은, 이들이 디스플레이된 제안된 이동들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선택적으로, 운동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모션은 또한 운동의 반복들을 카운트하는 것, 사용자의 유연성을 평가하는 것 등을 위해 평가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모션들은 또한 게임 또는 증강 또는 가상 현실 환경에서 아바타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 이동들은 추적될 수 있고, 게임-내 또는 환경-내 아바타의 이동들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다른 게임-내 또는 환경-내 물체들 또는 캐릭터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또한, 반드시 사용자에게 분명할 필요는 없는 특징들에 대해 매우 정확한 거리- 및/또는 포지션-찾기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거리 무선 충전 시스템은 자신의 범위 내에 있는 디바이스들의 정확한 포지션 추정치들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동작을 개선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장거리 무선 충전 시스템은 높은 지향성, 조준가능한 전자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전화들, 태블릿들, 노트북 컴퓨터들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 충전 시스템은 충전 시스템에 대한, 충전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피어-투-피어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 시스템은 (예를 들어, 빔형성 기술들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해 자신의 전자기 신호들을 그 포지션으로 지향시키거나 조준할 수 있다. 충전 시스템은 또한, 충전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업데이트함으로써, 자신의 전자기 신호들로 이동 디바이스를 추적할 수 있다. 유사한 기술들이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고 지향성 무선 신호들(예를 들어, 광 통신들, 무선 통신 신호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태그들 및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포지션 측정들의 정확도는 또한, 스포츠 및 다른 레크레이션 활동들에서 고유한 애플리케이션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모션들을 추적 및 분석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체 상에 태그들이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태그들은 사용자의 팔들, 등, 머리, 다리들, 몸통, 또는 (골프 클럽들, 농구 공들, 야구 배트들 등과 같은 스포츠 장비를 포함하여)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위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디바이스들은 3차원 공간에서 태그들 각각의 포지션을 추적하고 사용자의 모션들의 바이오메트릭 모델들 및/또는 애니메이션들을 개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석 및 트레이닝 목적들을 위해, 골프 스윙들, 야구 스윙들, 농구 샷들, 배구 스트라이크들,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스포츠 또는 레크레이션 모션이 기록될 수 있다. 복잡한 다차원 신체 움직임들, 자세, 형태 등을 추적 및/또는 기록하기 위해 다수의 태그들이 사용자에게 부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들은, 그들의 모션 또는 형태가 타겟으로부터 벗어나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피드백 시스템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농구 샷 동안 자신의 무릎을 너무 많이 구부리면, 다리 기반 태그들 상의 햅틱 출력 시스템들은 편차 또는 에러를 표시하는 햅틱 통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태그들(또는 태그들로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시스템들)은 또한, (예를 들어, 궤적 및 속도를 모니터링하고, 분실된 공 회수를 보조하기 위해) 골프 공들, 골프 클럽들, 배구 공들, 야구 공들, 야구 배트들 등과 같은 스포츠 장비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들은 가속도계들, 자이로스코프들,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스포츠 및 레크레이션 상황들에서 태그들에 의해 캡처된 바이오메트릭 데이터를 개선 또는 확장시킬 수 있다. 스포츠 또는 레크레이션의 맥락 이외에도, 태그들은 물체 추적과 같은 다른 목적들을 위해 사용자들의 모션들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렛 상의 태그가 포켓으로부터의 제거를 표시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밝혀지면, 그 이벤트의 위치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기록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월렛이 포켓으로부터 제거된 추후에 상기될 수 있다.
태그들은 또한, 공유 리소스들의 위치들 및 사용자들을 추적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들 또는 회사들은, 다수의 개인들에 의해 일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리소스들, 예를 들어, 자동차들, 자전거들, 스쿠터들, 또는 다른 장비(예를 들어, 도구들, 컴퓨터들, 도서관 서적들 등)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리소스들은 그들에 부착된 태그들을 가질 수 있고, 태그들은 누가 리소스를 사용하고 있거나 또는 리소스를 사용했는지, 그리고 리소스가 어디에 위치되는지의 기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사용자는 공유가능한 차량에 접근하고, 차량 상의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에 자신의 폰을 터치할 수 있다. 전화를 태그에 터치하는 동작은 태그 및 전화의 NFC 통신 시스템이 통신하게 할 수 있고(그 자체 및/또는 차량의 고유 식별자를 전화에 제공하는 태그를 포함함), 사용자가 차량에 대한 액세스를 얻는 체크아웃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차량의 위치는 사용자의 전화(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 내의 다른 개인들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이 태그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공유 리소스들의 위치들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된 스쿠터가 제1 사용자에 의해 다른 위치로 구동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는 스쿠터의 위치 보고들에 액세스함으로써 (제1 사용자에 의해 또는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해 업데이트된 바와 같이) 스쿠터의 위치를 발견할 수 있다. 다수의 개인들이 태그의 위치 보고들에 액세스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들(예를 들어, 공유 리소스들의 경우)에서, 각각의 적용된 개인은 특정 태그에 대한 개인 키의 사본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인가된 개인이 안전한 방식으로 위치 보고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다른 적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 사례들의 전술한 예들은 단지 일부 예시적인 사용 사례들이며, 제한적이지 않다. 실제로, 임의의 태그들은 거리, 포지션, 위치 및/또는 모션 추적을 용이하게 하고, 증강 현실 물체들을 개시하고, 내비게이션 큐들을 제공하는 것 등을 위해 임의의 적합한 물체와 연관되거나 그에 부착될 수 있다. 태그들과 연관될 수 있는 추가적인 물체들은, 예를 들어, 보석, 자전거들, 모터사이클들, 자동차들, 스쿠터들, 차량들, 의류들, 안경류, (예를 들어, 도난 방지 및 회수를 위한) 소매 재고들, (예를 들어, 조립체 라인을 따라 제품들을 추적하고, 공급 체인을 통해 재료들을 추적하고, 거리들을 측정하거나 구성 장비 또는 재료들을 추적하는 것 등을 위한) 산업 애플리케이션들, 악기들, 플래시라이트들, 구급 상자들, 자동 전자 제세동기들, 우편물, 패키지들, 신발들, 헬멧들, 약품 용기들, 애완 동물들, (예를 들어, 이주를 연구하고, 밀렵을 방지하는 것 등을 위한) 동물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들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태그들과 통신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태그들의 위치 보고들을 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은 인근 태그들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태그-찾기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근 태그들의 리스트는 사용자와 연관된 임의의 및 모든 태그들(예를 들어, 사용자 자신의 태그들)뿐만 아니라, 임의의 공개적으로 액세스가능한 태그들 및 사용자가 보도록 인가된 태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태그-찾기 애플리케이션을 열 때, 사용자는 태그들의 리스트를 볼 수 있고, 리스트는 태그가 연관된 위치 또는 물체의 식별자를 각각 갖는다(예를 들어, "월렛", "자동차 키들", "모나리자", 등). 이어서, 사용자는 태그의 위치, 태그에 대한 방향들, 태그의 상태 등과 같은 태그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원하는 태그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또한 관련 태그들의 그룹들을 다운로드하거나 달리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구겐하임 박물관에서 공개적으로 액세스가능한 태그들의 리스트를 다운로드하거나 액세스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사용자가 태그들과 연관된 위치들 및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태그-찾기 애플리케이션에 나타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태그들의 위치가 맵 뷰에 도시되어, 사용자가 지리적 환경에서 태그들의 위치를 시각화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는 이들은 "레이더 뷰"로 도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태그들의 상대적 포지션들은 지리적 맵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사용자를 표현하는 중심 포인트 주위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위치들은 또한 디지털 어시스턴트로부터의 태그에 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보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성 기반 디지털 어시스턴트에 "where are my keys"를 물어볼 수 있고, 이는 디지털 어시스턴트로 하여금 키들의 위치(예를 들어, "in the kitchen" 또는 "I'll show you on your phone")로 응답하게 할 수 있다.
태그-찾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태그들(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열릴 때 사용자 근처에 있는 태그들), 및 디바이스로부터 원격인 태그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들에서, 태그에 대한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와 태그 사이의 직접적인 피어-투-피어 통신을 통해 생성되지 않을 수 있지만, 클라우드-기반 시스템에 제공된 위치 보고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그-찾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원격인 태그들을 위치식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태그-찾기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와의 직접 피어-투-피어 통신에서) 로컬인 태그들과 원격인 태그들(예를 들어, 디바이스와 직접 피어-투-피어 통신에 있지 않지만 클라우드-기반 시스템으로부터의 위치 보고들 및/또는 마지막으로 공지된 위치들과 연관된 태그들) 사이를 시각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태그-찾기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사용자들이 다른 개인들을 위치식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들은 자신의 태그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의 위치가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놀이 공원에 참석하는 가족 모두는 그들의 위치들이 그들의 가족의 다른 구성원들에 의해 보여지게 허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는,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태그들 또는 디바이스들이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이들과 직접 피어-투-피어 통신들을 사용하여, 또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기반 서비스로부터 수신된) 원격 제공된 위치 보고들을 통해 가족 구성원의 디바이스가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위치들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한다.
도 143은 전자 디바이스(14300)의 예시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전자 디바이스(14300)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를 결정하거나, 또는 무선으로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기능을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2d 내지 도 2f의 수신 디바이스(206))를 표현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14300)는 모바일 폰(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표현하지만, 이는 또한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시계(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또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무선 라우터 또는 다른 네트워크 인프라구조 디바이스, 텔레비전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표현할 수 있다.
디바이스(14300)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14302)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14301)을 포함한다.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동작들 또는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14308),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들(14303), 하나 이상의 힘 센서들(14305),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들(14304), 하나 이상의 오디오 입력 시스템들(14309), 하나 이상의 오디오 출력 시스템들(14310),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 시스템들(14311), 하나 이상의 센서들(14312), 및/또는 하나 이상의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들(14306)의 동작을 제어 또는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3의 프로세싱 유닛들(14301)은 데이터 또는 명령어들을 프로세싱,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들(14301)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어 "프로세서"는 단일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유닛, 다수의 프로세서들, 다수의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다른 적합하게 구성된 컴퓨팅 요소 또는 요소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메모리(14302)는 디바이스(143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전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예를 들어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들, 이미지, 문서 및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 설정 및 사용자 선호도, 프로그램, 명령어, 다양한 모듈, 데이터 구조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타이밍 및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등과 같은 전기 데이터 또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302)는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오직 예로서,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착탈가능한 메모리, 또는 다른 유형들의 저장 요소들 또는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들(14303)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기반 입력들을 검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센서들(14303)은 임의의 적합한 컴포넌트들을 사용할 수 있고, 물리적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현상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들(14303)은 용량성 터치 센서들, 저항성 터치 센서들, 음파 센서들 등일 수 있다. 터치 센서들(14303)은 터치-기반 입력들을 검출하고, 프로세서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컴포넌트들은 전극들(예를 들어, 전극 층들), 물리적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기판들, 이격 층들, 구조적 지지부들, 압축성 요소들 등), 프로세서들, 회로부, 펌웨어 등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들(14303)은 디바이스(14300)의 임의의 부분에 적용된 터치 입력들을 검출하도록 통합되거나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들(14303)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그리고 디스플레이와 통합될 수 있는) 디바이스(14300)의 임의의 부분에 적용된 터치 입력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들(14303)은 터치 입력들에 응답하여 신호들 또는 데이터들을 생성하기 위해 힘 센서들(14305)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표면 위에 위치되거나 달리 디스플레이와 통합되는 터치 센서 또는 힘 센서는 본 명세서에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힘 감응형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지칭될 수 있다.
힘 센서들(14305)은 다양한 유형의 힘 기반 입력들을 검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힘 센서들(14305)은 임의의 적합한 컴포넌트들을 사용할 수 있고, 물리적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현상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 센서들(14305)은 변형률 기반 센서들, 압전 기반 센서들, 압전저항 기반 센서들, 용량성 센서들, 저항성 센서들 등일 수 있다. 힘 센서들(14305)은 힘 기반 입력들을 검출하고, 프로세서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컴포넌트들은 전극들(예를 들어, 전극 층들), 물리적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기판들, 이격 층들, 구조적 지지부들, 압축성 요소들 등), 프로세서들, 회로부, 펌웨어 등을 포함한다. 힘 센서들(14305)은 다양한 유형들의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입력 메커니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 센서들(14305)은 (표준 "터치" 입력에 대해 전형적인 것보다 더 강력한 입력을 표현할 수 있는) 힘 임계치를 충족시키는 누름들 또는 다른 힘 입력들을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들(14303)과 마찬가지로, 힘 센서들(14305)은 디바이스(14300)의 임의의 부분에 적용된 힘 입력을 검출하도록 통합되거나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 센서들(14305)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그리고 디스플레이와 통합될 수 있는) 디바이스(14300)의 임의의 부분에 적용된 힘 입력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힘 센서들(14305)은 터치 기반 및/또는 힘 기반 입력들에 응답하여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터치 센서들(14303)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디바이스(143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햅틱 디바이스들(14306)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디바이스(14306)는, 회전식 햅틱 디바이스들, 선형 액추에이터들, 압전 디바이스들, 진동 요소들 등과 같은,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햅틱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햅틱 디바이스(14306)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중단되고 구별되는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햅틱 디바이스(14306)는 노크 또는 탭 감각 및/또는 진동 감각을 생성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그러한 햅틱 출력들은 터치 및/또는 힘 입력들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공될 수 있고, 디바이스(14300)의 외부 표면을 통해(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및/또는 힘 감응형 디스플레이 또는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유리 또는 다른 표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부여될 수 있다. 햅틱 출력들은 또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검출에 응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의 위치에 관한 규칙이 충족되면(예를 들어, 태그가 특정 영역의 외부에서 검출되거나 사용자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특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디바이스(14300)는 햅틱 디바이스들(14306)을 사용하여 햅틱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들(14304)은 프로세싱 유닛(들)(14301)과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들(14304)은 안테나들, 통신 회로부,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예를 들어, 그러한 기능을 포함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또는 디바이스를 갖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들(14304)은 프로세싱 유닛들(14301)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들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외부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이다. 대체적으로, 무선 인터페이스는, 제한 없이, 무선 주파수, 광학, 음향, 및/또는 자기 신호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고,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프로토콜을 통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무선 인터페이스들은 무선 주파수 셀룰러 인터페이스들, 광섬유 인터페이스들, 음향 인터페이스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들, 적외선 인터페이스들, USB 인터페이스들, Wi-Fi 인터페이스들, TCP/IP 인터페이스들,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들 또는 임의의 종래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들(14304)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통신 회로부, 명령어들, 및 적합한 UWB 안테나들의 수 및 위치를 포함할 수 있는 초광대역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4300)는, 전력을 저장하고 그를 디바이스(143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배터리(14307)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4307)는 디바이스(14300)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재충전가능한 전원 장치일 수 있다.
디바이스(14300)는, 또한, 그래픽 출력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14308)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들(14308)은 액정 디스플레이들(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OLED),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들(AMOLED) 등을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들(14308)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포지션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를 가리키거나 달리 사용자를 지향시키는 그래픽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바이스(143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입력 시스템들(14309)을 통해 오디오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시스템들(14309)은 음성 통화들, 영상 통화들, 오디오 녹음들, 비디오 녹화들, 음성 커맨드들 등을 위한 사운드를 캡처하는 마이크로폰들, 트랜스듀서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43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출력 시스템들(예를 들어, 스피커들)(14310)을 통해 오디오 출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시스템(14310)은 음성 통화들, 영상 통화들, 스트리밍 또는 로컬 오디오 콘텐츠, 스트리밍 또는 로컬 비디오 콘텐츠 등으로부터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시스템들(14310)은 또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검출에 응답하여 가청 출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4300)는 또한, 위치결정 시스템(14311)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결정 시스템(14311)은 디바이스(14300)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결정 시스템(14311)은 자력계들, 자이로스코프들, 가속도계들, 광학 센서들, 카메라들, 글로벌 위치결정 시스템(GPS) 수신기들, 관성 위치결정 시스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결정 시스템(14311)은, 디바이스(14300)의 위치(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지리적 좌표), 디바이스(14300)의 물리적 이동의 측정치들 또는 추정치들, 디바이스(14300)의 배향 등과 같은, 디바이스(14300)의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위치결정 시스템(14311)은 또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의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위치결정 시스템(14311)은 프로세싱 유닛들(14301), 메모리(14302), 통신 채널들(14304)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에 관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디바이스(1430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통신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결정 시스템(14311)은 도 2d 내지 도 2f에 대해 설명된 위치식별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4300)는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 시스템, 네트워크 등으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하거나 디바이스의 임의의 적합한 속성 또는 파라미터,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또는 디바이스 인근의) 사람들 또는 물건들 등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센서들(143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온도 센서, 생체인식 센서(예컨대, 지문 센서, 광용적맥파, 혈액 산소 센서, 혈당 센서 등), 눈 추적 센서, 망막 스캐너, 습도 센서, 버튼, 스위치, 뚜껑 폐쇄(lid-closure)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3을 참조하여 설명된 다수의 기능들, 동작들, 및 구조들이 디바이스(14300)의 일부로서 개시되거나 그 내에 통합되거나 그에 의해 수행되는 범위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은 임의의 또는 모든 그러한 설명된 기능들, 동작들, 및 구조들을 생략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디바이스(14300)의 상이한 실시예들은 본원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능력들, 장치들, 물리적 특징부들, 모드들 및 동작 파라미터들 중 일부, 전부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전혀 갖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4300) 내에 포함된 시스템들은 배타적이지 않으며, 디바이스(143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 필요하거나 유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또는 추가의 시스템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프로그램들, 명령어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4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14400)의 예시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144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들, 무선 태그들, 또는 무선 모듈들 중 임의의 것을 표현할 수 있고,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14400)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4300))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14400)는 작은 퍽-형 디바이스를 표현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들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14400)의 컴포넌트들,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144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된 컴포넌트들,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및 연관된 프로그램들, 동작들 및/또는 명령어들)은 또한 모바일 폰들(예를 들어, 스마트폰들),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데스크톱 컴퓨터들,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트들, 시계들(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들) 또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무선 라우터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 인프라구조 디바이스들, 텔레비전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포함될 수 있다.
태그(14400)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14402)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14401)을 포함한다. 명령어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태그들에 대하여 설명된 동작들 또는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들(14404), 하나 이상의 오디오 입력 시스템들(14409),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14303), 하나 이상의 오디오 출력 시스템들(14410),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 시스템들(14411), 하나 이상의 센서들(14412), 하나 이상의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들(144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선택적인 디스플레이들(14408)의 동작을 제어 또는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4의 프로세싱 유닛들(14401)은 데이터 또는 명령어들을 프로세싱,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들(14401)은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어 "프로세서"는 단일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유닛, 다수의 프로세서들, 다수의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다른 적합하게 구성된 컴퓨팅 요소 또는 요소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메모리(14402)는 태그(144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전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설정들 및 사용자 선호도들, 타이밍 및 제어 신호들 또는 다양한 모듈들에 대한 데이터, 데이터 구조들 또는 데이터베이스들, 프로그램들, 명령어들,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들, 이미지들, 문서들 및 애플리케이션들 등과 같은 전기 데이터 또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402)는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오직 예로서,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착탈가능한 메모리, 또는 다른 유형들의 저장 요소들 또는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들(14403)은 다양한 유형의 입력들을 검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들(14403)은 임의의 적합한 컴포넌트들을 사용할 수 있고, 물리적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현상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14403)는 코일이 자기장 내에서 이동한 결과로서 코일 내의 전기 신호(예를 들어, 전압,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입력들을 검출하는 오디오 시스템(예를 들어, 오디오 시스템(404))일 수 있다. 다른 유형들의 입력 디바이스들(14403)은 돔 스위치들, 용량성 센서들, 저항성 센서들, 음향파 센서들, 스트레인-기반 센서들, 압전-기반 센서들, 압전-기반 센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들(14403)은, 사용자가 외부 하우징 표면에 입력 힘을 가한 결과로서 하우징의 편향 또는 변형이 입력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태그가 액션(예를 들어, 동작 모드 변경, 비콘 주파수 변경 등)을 수행하게 하는 검출가능한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태그의 하우징과 통합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들(14403)은, 터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이어서, 터치-기반 입력들을 검출하고, 프로세서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컴포넌트들은 전극들(예를 들어, 전극 층들 및/또는 용량성 전극들의 어레이), 물리적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기판들, 이격 층들, 구조적 지지부들, 압축성 요소들 등), 프로세서들, 회로부, 펌웨어 등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들은 태그(14400)의 임의의 부분에 적용된 터치 입력들을 검출하도록 통합되거나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들은 선택적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태그(14400)의 임의의 부분에 적용된 터치 입력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터치 입력들은 순간적인 터치들, 탭들, 스와이프들, 및 다른 제스처 및 비-제스처 입력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들은 입력 디바이스(14403)에 제공되는 제스처 유형 또는 터치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는 터치 입력들에 응답하여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힘 센서들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표면 위에 위치되거나 달리 디스플레이와 통합되는 터치 센서 또는 힘 센서는 본 명세서에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힘 감응형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지칭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14403)는 또한 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이어서, 다양한 유형의 힘 기반 입력들을 검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힘 센서들은 임의의 적합한 컴포넌트들을 사용할 수 있고, 힘 기반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현상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 센서들은 변형률 기반 센서들, 압전 기반 센서들, 압전저항 기반 센서들, 용량성 센서들, 저항성 센서들 등일 수 있다. 힘 센서들은 힘 기반 입력들을 검출하고, 힘 기반 입력의 정도 또는 크기에 대응하며 프로세서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컴포넌트들은 전극들(예를 들어, 전극 층들), 물리적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기판들, 이격 층들, 구조적 지지부들, 압축성 요소들 등), 프로세서들, 회로부, 펌웨어 등을 포함한다. 힘 센서들은 다양한 유형들의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입력 메커니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 센서들은 손가락 누름, 물체 누름, 또는 (표준 "터치" 입력에 대해 전형적인 것보다 더 강력한 입력을 표현할 수 있는) 힘 임계치를 충족시키는 힘 센서 출력을 초래하는 다른 힘 입력들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들과 마찬가지로, 힘 센서들은 태그(14400)의 임의의 적합한 부분에 적용된 힘 입력을 검출하도록 통합되거나 달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 센서들은 선택적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그리고 디스플레이와 통합될 수 있는) 태그(14400)의 임의의 부분에 적용된 힘 입력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힘 센서들은 터치 기반 및/또는 힘 기반 입력들에 응답하여 신호들 또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터치 센서들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태그(144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출력 시스템들(14410)을 통해 오디오 출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시스템들(144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 부재를 다이어프램으로서 사용하여 사운드를 생성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시스템들(14410)은 또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검출 또는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디바이스(14300))로부터의 신호 또는 명령어 등에 응답하여 가청 출력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가청 출력은 (예를 들어, 태그가 모드들을 변경할 때를 나타내기 위해) 태그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 (예를 들어, 비프 또는 톤을 청취함으로써) 사용자가 태그를 위치식별하는 것 등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태그(144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햅틱 디바이스들(14406)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디바이스(14406)는, 회전식 햅틱 디바이스들, 선형 액추에이터들, 압전 디바이스들, 진동 요소들 등과 같은,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햅틱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햅틱 디바이스(14406)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중단되고 구별되는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햅틱 디바이스(14406)는 노크 또는 탭 감각 및/또는 진동 감각을 생성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그러한 햅틱 출력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태그를 위치식별하는 것을 돕기 위해) 출력을 생성하도록 태그에 명령하는 무선 신호의 수신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조건에 응답하여 제공될 수 있다. 햅틱 디바이스(14406)로부터의 햅틱 출력들은 태그(14400)의 외부 표면을 통해 (예를 들어, 태그의 상부 또는 상단 표면을 한정하고 또한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작용하는 하우징 부재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여될 수 있다. 햅틱 출력들은 또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검출에 응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그의 위치에 관한 규칙이 충족되면(예를 들어, 태그가 특정 영역의 외부에서 검출되거나 사용자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특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태그(14400)는 햅틱 디바이스들(14406)을 사용하여 햅틱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햅틱 디바이스(14406)는 하우징 부재를 스피커 다이어프램으로서 사용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 있어서, 선형 공진 액추에이터, 압전 액추에이터 등과 같은 전용 햅틱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들(14404)은 프로세싱 유닛(들)(14401)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4300))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들(14404)은 안테나들(예를 들어, 도 8a 내지 도 8e와 관련하여 설명된 안테나들), 통신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디바이스(14300)와 같은 태그(14400)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디바이스들)과의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들(14404)은 프로세싱 유닛들(14401)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들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데이터 및/또는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외부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이다. 대체적으로, 무선 인터페이스는, 제한 없이, 무선 주파수, 광학, 음향, 및/또는 자기 신호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고,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프로토콜을 통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무선 인터페이스들은 무선 주파수 셀룰러 인터페이스들, 광섬유 인터페이스들, 음향 인터페이스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들, 적외선 인터페이스들, USB 인터페이스들, Wi-Fi 인터페이스들, TCP/IP 인터페이스들,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들 또는 임의의 종래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들(14404)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태그(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다른 태그들 또는 디바이스들)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통신 회로부, 명령어들, 및 적합한 UWB 안테나들의 수 및 위치를 포함할 수 있는 초광대역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채널들(14404)은 도 2d 내지 도 2f에 대해 설명된 위치식별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또는 그렇지 않으면 위치식별 프로세스들 또는 동작들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WB 안테나들은 태그(14400)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무선 비콘 신호들을 다른 디바이스들로 전송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도 1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14400)는, 전력을 저장하고 그를 태그(144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배터리(14407)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4407)는 배터리(514), 또는 전술된 임의의 다른 배터리를 표현할 수 있다. 배터리(14407)는 버튼 셀 배터리,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14407)는 비-재충전가능일 수 있거나, 또는 태그(14400)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 또는 다른 전원 장치일 수 있다.
태그(14400)는 또한, 위치결정 시스템(14411)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결정 시스템(14411)은 태그(14400)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결정 시스템(14411)은 도 2d 내지 도 2f에 대해 설명된 것들과 같은 위치식별 동작들을 수행, 관리, 제어 또는 달리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위치결정 시스템(14411)은 선택적으로, 자력계들, 자이로스코프들, 가속도계들, 광학 센서들, 카메라들, 글로벌 위치결정 시스템(GPS) 수신기들, 관성 위치결정 시스템들 등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은, 태그(14400)의 위치(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지리적 좌표), 태그(14400)의 물리적 이동의 측정치들 또는 추정치들, 태그(14400)의 배향 등과 같은, 태그(14400)의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위치결정 시스템(14411)은 또한 다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스마트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하게 구성된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의 공간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위치결정 시스템은 이러한 기능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싱 유닛들(14401), 메모리(14402) 및 통신 채널들(14404)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태그(1440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통신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태그(14400)는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다른 컴퓨터, 디바이스, 시스템, 네트워크 등으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하거나 디바이스의 임의의 적합한 속성 또는 파라미터, 디바이스를 둘러싸는 환경,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또는 디바이스 인근의) 사람들 또는 물건들 등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센서들(144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온도 센서들, 기압 센서들, 바이오메트릭 센서들(예를 들어, 지문 센서들, 광용적맥파들, 혈액 산소 센서들, 혈당 센서들 등), 눈 추적 센서들, 망막 스캐너들, 습도 센서들, 전기장 센서들, 자기장 센서들, 버튼들, 스위치들, 뚜껑 폐쇄 센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태그(14400)는, 선택적으로 그래픽 출력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1440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경우들에서, 태그들(14400)에는 디스플레이들 또는 다른 시각적 출력 디바이스들이 없을 수 있다.) 선택적 디스플레이들(14408)은 액정 디스플레이들(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들(OLED),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들(AMOLED), 세그먼트화된 LED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 디스플레이들(14408)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동작들, 모드들, 기능들, 설정들, 또는 상태들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태그가 "분실된" 모드 또는 상태에 있는 경우 "분실", 또는 "분실되지 않은" 모드 또는 상태에 있는 경우 "분실되지 않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선택적 디스플레이(14400)는 표시등들(예를 들어, 광의 단일 포인트 또는 픽셀을 제공하는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등은 LED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광원일 수 있고, 상단 외부 표면, 저부 외부 표면, 주변 외부 표면, 또는 임의의 다른 표면 상(또는 그를 따라 가시적)과 같이 사용자에게 가시적인 위치에서 태그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LED 또는 다른 광원은 태그의 하우징 내에 그리고 하우징의 광학적 투과성 부분(예를 들어, 유리, 결정, 또는 플라스틱 하우징 부재 또는 윈도우)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어서, LED 또는 다른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하우징 내에서 보호되고 또한 태그의 외부로부터 가시적이다. 표시등들은 전력 상태, 배터리 충전 레벨, 동작 모드, 분실/분실되지 않은 상태 등과 같은 디바이스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표시등들은 태그가 분실된 것으로 보고된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등들은 태그의 존재 및 태그가 분실된 상태를 인근 사람들에게 경고하기 위해 플래시할 수 있다(또는 계속해서 조명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표시등들은 또한 다른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태그(14400)는, 또한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입력 시스템들(14409)을 통해 오디오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시스템들(14409)은 사운드 콘텐츠(예를 들어, 태그에 의해 재생될 음성 기록들)를 녹음하는 것, 태그의 제어 동작을 위한 음성 커맨드들을 수신하는 것 등을 위해 사운드를 캡처하는 마이크로폰들, 트랜스듀서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4를 참조하여 설명된 다수의 기능들, 동작들, 및 구조들이 태그(14400)의 일부로서 개시되거나 그 내에 통합되거나 그에 의해 수행되는 범위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은 임의의 또는 모든 그러한 설명된 기능들, 동작들, 및 구조들을 생략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태그(14400)의 상이한 실시예들은 본원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능력들, 장치들, 물리적 특징부들, 모드들 및 동작 파라미터들 중 일부, 전부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전혀 갖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태그(14400) 내에 포함된 시스템들은 배타적이지 않으며, 태그(144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 필요하거나 유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또는 추가의 시스템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프로그램들, 명령어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 태양은 물체들을 추적하고 찾는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적이고 적법한 소스들로부터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수집 및 사용이다. 본 개시내용은, 일부 예시들에서, 이러한 수집된 데이터가 특정 사람을 고유하게 식별하거나 또는 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개인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는 인구통계 데이터, 위치 기반 데이터(예를 들어, 개인 및/또는 개인의 소유물들, 디바이스들, 홈 환경들 등의 위치들, 이동들, 포지션들, 경로들 등), 온라인 식별자,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집 주소, 사용자의 건강 또는 피트니스 레벨에 관한 데이터 또는 기록(예컨대, 바이탈 사인(vital sign) 측정치, 투약 정보, 운동 정보), 생년월일, 또는 임의의 다른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본 기술에서의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이용이 사용자들에게 이득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이 그들의 분실된 소유물들을 찾도록 허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태그들의 위치가 기록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에게 이득을 주는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다른 이용들이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건강 및 피트니스 데이터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웰니스(wellness)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웰니스 목표를 추구하기 위한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들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공개, 전송, 저장, 또는 다른 이용을 책임지고 있는 엔티티들이 잘 확립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또는 프라이버시 관례들을 준수할 것이라는 것을 고려한다. 특히, 그러한 엔티티들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산업 또는 행정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거나 능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관례들을 구현하고 일관되게 적용할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개인 데이터의 사용에 관한 그러한 정보는 눈에 잘 띄고 사용자들에 의해 쉽게 액세스가능해야 하며, 데이터의 수집 및/또는 사용이 변화함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사용자들로부터의 개인 정보는 적법한 사용들을 위해서만 수집되어야 한다. 또한, 그러한 수집/공유는 사용자들의 동의 또는 적용가능한 법률에 특정된 다른 적법한 근거를 수신한 후에만 발생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그러한 엔티티들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하며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절차들을 고수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임의의 필요한 단계들을 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추가로, 그러한 엔티티들은 널리 인정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에 대한 그들의 고수를 증명하기 위해 제3자들에 의해 그들 자신들이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정책들 및 관례들은 수집되고 그리고/또는 액세스되는 특정 유형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해 적응되어야 하고, 상위 표준을 부과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관할구역 특정 고려사항들을 포함한, 적용가능한 법률들 및 표준들에 적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소정 건강 데이터의 수집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는 연방법 및/또는 주의 법, 예컨대 미국 건강 보험 양도 및 책임 법령(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국가들에서의 건강 데이터는 다른 규정들 및 정책들의 적용을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취급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가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실시예들을 고려한다. 즉,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방지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은,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태그들 또는 다른 위치 인에이블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보거나 액세스할 수 있는 그리고 보거나 액세스할 수 없는 사람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외부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소유 또는 제어되지 않은 디바이스들)이 위치 보고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태그들과 통신할 수 있는 때를 제어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자들은 위치 정보가 다른 사람들에게 액세스가능한 시간의 길이를 제한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자들은 태그들과 같은 위치 인에이블 디바이스들을 수신하거나, 그에 응답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와 상호작용하지 않도록 그들의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모바일 폰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위치 보고들을 전송하라는 태그들로부터의 명령어들을 무시하도록 모바일 폰을 구성하고, 태그들 등을 대신하여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의" 및 "동의하지 않음" 옵션들을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본 개시내용은 개인 정보의 액세스 또는 사용에 관한 통지들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가 그들의 위치 또는 그들의 디바이스들 또는 태그들의 위치에 액세스하거나 액세스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통지받을 수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이용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개인 정보 데이터가 관리되고 처리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의도이다. 데이터의 수집을 제한하고 데이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그리고 소정의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가능한 것을 포함하여 적용가능할 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데이터 식별해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식별자들을 제거하는 것, 저장된 데이터의 양 또는 특이성(specificity)을 제어하는 것(예컨대, 주소 레벨에서보다는 도시 레벨에서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법을 제어하는 것(예컨대, 사용자들에 걸쳐 데이터를 집계하는 것), 그리고/또는 차등 프라이버시(differential privacy)와 같은 다른 방법들에 의해, 비식별화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을 광범위하게 커버하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이 또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액세스할 필요 없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고려한다. 즉, 본 기술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의 결여로 인해 동작불가능하게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사용자의 디바이스 상에서만 다루어지는 콘텐츠 또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들에 이용가능한 다른 비-개인 정보와 같은 수집된 비-개인 정보 데이터 또는 최소량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고 사용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설명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명명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특정 상세사항들은 기술된 실시예들을 실시하기 위해 요구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의 전술한 설명들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제시된다. 이들은 총망라하고자 하거나 실시예들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제한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교시 내용에 비추어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컴포넌트의 위치를 언급하는 데 사용될 때, 용어 위, 아래, 위쪽, 아래쪽, 좌측, 또는 우측(또는 다른 유사한 상대 위치 용어)은 반드시 외부 기준에 대한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며, 대신에, 참조되는 도면 내에서의 컴포넌트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언급한다.
다른 물체들 또는 재료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거나 그에 의해 봉지되는 것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는 물체들 또는 컴포넌트들은 삽입 성형, 다중 재료 사출 성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성형에서, 물체가 몰드에 배치될 수 있고, 이어서, 성형가능한 재료가 몰드에 도입되어 성형가능한 재료에 물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할 수 있다. 다중 재료 사출 성형에서, 제1 성형가능한 재료가 몰드에 도입(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 또는 강화됨)되고, 이어서 제2 성형가능한 재료가 뒤따를 수 있다. 물체를 다른 재료로 재봉하는 것, 라미네이트 층들 사이에 물체를 위치시키는 것 등에 의한 것과 같은 다른 기술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기능들 및 사용 사례들의 많은 예들이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를 특정하게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태그들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디바이스에 의해 동일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랩톱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은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와 유사하거나 그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회로 및 다른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태그에 의해 수행되거나 용이하게 되는 임의의 기능이 또한 랩톱에 의해 수행되거나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로서, 랩톱 컴퓨터가 분실되거나 잘못 배치된 경우, 디바이스 위치 중계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UWB를 통해) 랩톱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위치 보고들을 서버 또는 호스트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Claims (22)

  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로서,
    상기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1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2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 및
    안테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조립체는,
    상단 표면 및 주변 측부 표면을 한정하는 안테나 프레임;
    상기 주변 측부 표면을 따라 상기 안테나 프레임 상에 있고 제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
    상기 주변 측부 표면을 따라 상기 안테나 프레임 상에 있고 상기 제1 무선 프로토콜과는 상이한 제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위치식별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및
    상기 상단 표면을 따라 상기 안테나 프레임 상에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무선 프로토콜들과는 상이한 제3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3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공개 암호화 키를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위치식별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공개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위치 보고를 준비하고 - 상기 암호화된 위치 보고는 상기 무선 모듈의 위치를 포함함 -;
    상기 암호화된 위치 보고를 원격 서버에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프레임은 상기 상단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저부 표면을 한정하고;
    상기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상기 안테나 프레임의 상기 저부 표면을 따라 상기 안테나 프레임에 결합되고 전도성 트레이스를 갖는 회로 기판; 및
    상기 전도성 트레이스에 전도성으로 결합되는 무선 통신 회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프레임은 상기 안테나 프레임을 통해 연장되는 절두원추형 개구를 한정하고, 상기 절두원추형 개구는 상기 안테나 프레임의 상기 상단 표면에서의 제1 직경으로부터 상기 안테나 프레임의 상기 저부 표면에서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으로 테이퍼 형성되고;
    상기 절두원추형 개구를 한정하는 벽의 표면이 전도성 재료로 도금되고;
    상기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상기 절두원추형 개구 내에 있고 상기 전도성 재료 및 상기 전도성 트레이스에 접합되는 솔더 볼을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재료는 상기 제1 안테나에 전도성으로 결합되고;
    상기 솔더 볼은 상기 전도성 트레이스에 상기 제1 안테나를 전도성으로 결합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안테나들은 상기 안테나 프레임 내의 각자의 제1, 제2 및 제3 리세스들에 위치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안테나들은 전기도금된 금속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프레임은 금속 재료로 도핑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2 무선 프로토콜은 초광대역 프로토콜이고;
    상기 제3 무선 프로토콜은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10.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로서,
    상단 벽 및 측벽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부재 - 상기 상단 벽 및 측벽은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내의 공동을 한정함 -;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부재; 및
    상기 공동 내의 안테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조립체는,
    안테나 프레임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상기 상단 벽과 접촉하는 일부분을 갖는 상단 표면; 및
    상기 측벽에 대면하는 주변 측부 표면을 한정하는, 상기 안테나 프레임;
    상기 주변 측부 표면을 따라 상기 안테나 프레임 상에 있고 제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
    상기 주변 측부 표면을 따라 상기 안테나 프레임 상에 있고 상기 제1 무선 프로토콜과는 상이한 제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2 안테나; 및
    상기 상단 표면을 따라 상기 안테나 프레임 상에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무선 프로토콜들과는 상이한 제3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3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높이 치수 및 상기 높이 치수보다 큰 길이 치수를 한정하고;
    상기 높이 치수는 상기 주변 측부 표면의 높이의 적어도 90%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주변 측부 표면 상의 제1 안테나 요소; 및
    상기 주변 측부 표면 상에 있고 상기 제1 안테나 요소로부터 이격된 제2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요소는 피드 라인 및 전기 접지 평면에 전도성으로 결합되고;
    제2 안테나 요소는 전기 접지 평면에 전도성으로 결합되고, 상기 피드 라인에 전도성으로 결합되지 않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는 회로 기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프레임은,
    상기 회로 기판에 전도성으로 결합되고, 상기 안테나 프레임을 통해 연장되는 제1 테이퍼 형성된 개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제1 비아; 및
    상기 회로 기판에 전도성으로 결합되고, 상기 안테나 프레임을 통해 연장되는 제2 테이퍼 형성된 개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제2 비아를 한정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요소는 상기 제1 비아 및 상기 제2 비아에 전도성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안테나 요소는 상기 제2 비아에 전도성으로 결합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측부 표면은 만곡된 표면을 한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들은 상기 만곡된 표면 주위에 정반대로(antipodally) 위치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디바이스.
  17.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로서,
    상기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1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1 하우징 부재;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의 제2 외부 표면을 한정하는 제2 하우징 부재;
    안테나 조립체; 및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조립체는,
    안테나 프레임으로서,
    상단 벽; 및
    상기 상단 벽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되는 주변 지지 플랜지 - 상기 주변 지지 플랜지 및 상기 상단 벽은 회로 기판 공동을 한정함 - 를 한정하는, 상기 안테나 프레임;
    상기 주변 지지 플랜지 상의 제1 안테나;
    상기 주변 지지 플랜지 상의 제2 안테나; 및
    상기 상단 벽 상의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회로 기판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벽은 개구를 한정하고;
    오디오 시스템이 상기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제1 역 F 안테나이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제2 역 F 안테나이고;
    상기 제3 안테나는 루프 안테나인,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초광대역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안테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역 F 안테나는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역 F 안테나는 상기 제1 길이와는 상이한 제2 길이를 갖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프레임은 상기 안테나 프레임을 통해 연장되는 개구를 추가로 한정하고;
    상기 개구의 표면은 전도성 재료로 코팅되고;
    상기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는, 상기 개구 내에 있고 상기 전도성 재료 및 상기 회로 기판에 접합되는 솔더 볼을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KR1020217039426A 2019-04-17 2020-04-16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KR102635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35469P 2019-04-17 2019-04-17
US62/835,469 2019-04-17
US201962855768P 2019-05-31 2019-05-31
US62/855,768 2019-05-31
US201962894640P 2019-08-30 2019-08-30
US62/894,640 2019-08-30
US201962922250P 2019-09-26 2019-09-26
US201962922249P 2019-09-26 2019-09-26
US201962922248P 2019-09-26 2019-09-26
US201963101212P 2019-09-26 2019-09-26
US201963101179P 2019-09-26 2019-09-26
US201963101180P 2019-09-26 2019-09-26
US201916584817A 2019-09-26 2019-09-26
US62/922,250 2019-09-26
US62/922,249 2019-09-26
US62/922,248 2019-09-26
US16/584,805 US20200333421A1 (en) 2019-04-17 2019-09-26 Fastener with a constrained retention ring
US63/101,179 2019-09-26
US63/101,180 2019-09-26
US16/584,762 2019-09-26
US16/584,805 2019-09-26
US16/584,762 US20200337162A1 (en) 2019-04-17 2019-09-26 Mounting base for a wirelessly locatable tag
US16/584,817 2019-09-26
US63/101,212 2019-09-26
KR1020217033609A KR102634770B1 (ko) 2019-04-17 2020-04-16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PCT/US2020/028424 WO2020214758A1 (en) 2019-04-17 2020-04-16 Wirelessly locatable ta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609A Division KR102634770B1 (ko) 2019-04-17 2020-04-16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345A true KR20220023345A (ko) 2022-03-02
KR102635323B1 KR102635323B1 (ko) 2024-02-08

Family

ID=7283843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418A KR20220023344A (ko) 2019-04-17 2020-04-16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KR1020217039426A KR102635323B1 (ko) 2019-04-17 2020-04-16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KR1020217033609A KR102634770B1 (ko) 2019-04-17 2020-04-16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418A KR20220023344A (ko) 2019-04-17 2020-04-16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609A KR102634770B1 (ko) 2019-04-17 2020-04-16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3979410A1 (ko)
KR (3) KR20220023344A (ko)
WO (1) WO2020214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3204B (zh) * 2020-11-10 2022-05-31 山东鼎目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独立止停机构的道路检测雷达车
CN112821043B (zh) * 2020-12-31 2023-09-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组件及电子设备
CN114838701B (zh) * 2021-01-30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获取姿态信息的方法及电子设备
EP4070726A1 (en) * 2021-04-05 2022-10-12 Nxp B.V. Posture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220414639A1 (en) * 2021-06-25 2022-12-29 Verif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receipt transfer using ultrawideband radio technology
KR20230001451A (ko) * 2021-06-28 2023-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15706309A (zh) * 2021-08-05 2023-02-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558626A (zh) * 2021-08-06 2021-10-29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用于智能服装的信号处理装置、穿戴衣
CN113784281B (zh) * 2021-08-18 2022-09-30 江苏辰科慧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定位物联网传感模块
CN113720303A (zh) * 2021-09-03 2021-11-30 重庆灿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uwb的施工升降机高度检测方法
WO2023153597A1 (ko) * 2022-02-08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식 공간을 기반으로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40070428A1 (en) * 2022-08-25 2024-02-29 X Development Llc Tracking tag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26341A1 (en) * 2016-07-22 2018-01-2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illimeter Wave Antennas on Printed Circui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3043B2 (ja) * 1998-01-20 2004-04-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腕時計型通信機およびそのアンテナ
US7911324B2 (en) * 2001-02-16 2011-03-22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RFID-equipped objects
US8269632B2 (en) * 2009-06-03 2012-09-18 Sensomatic Electron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breach of an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tag
US8483617B2 (en) * 2010-09-30 2013-07-09 Broadcom Corporation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US9355537B2 (en) * 2014-08-21 2016-05-31 Dubois Limited Optical security tag
US9913045B2 (en) * 2016-04-18 2018-03-06 Apple Inc. Piezoelectric speaker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80025126A (ko) * 2016-08-31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663618B1 (ko) * 2017-02-23 2024-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대역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91282B2 (en) * 2017-09-20 2022-11-08 Verily Life Sciences Llc Electronic assembly including an ultrasonic transduc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26341A1 (en) * 2016-07-22 2018-01-2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illimeter Wave Antennas on Printed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6941B1 (en) 2023-11-08
EP3956941A1 (en) 2022-02-23
WO2020214758A1 (en) 2020-10-22
KR20220023344A (ko) 2022-03-02
KR20220030207A (ko) 2022-03-10
KR102634770B1 (ko) 2024-02-07
EP3979410A1 (en) 2022-04-06
KR102635323B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3421A1 (en) Fastener with a constrained retention ring
JP7194292B2 (ja) 無線位置特定可能タグ
KR102635323B1 (ko) 무선 위치식별가능 태그
US9836083B2 (en) Complete wearable ecosystem
US20170086017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05388820A (zh) 智能监测设备及其监测方法、监测系统
US20220100148A1 (en)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s
CN107801154A (zh) 移动装置提醒系统、管理系统以及对象管理方法
US11992116B2 (en) Wirelessly coupled accessory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CN216569907U (zh) 可穿戴标签和具有可穿戴标签的系统
Kunze Compensating for on-body placement effects in activity recognition
WO2022203697A1 (en) Split architecture for a wristband system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