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161A - 습식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습식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161A
KR20220023161A KR1020200104719A KR20200104719A KR20220023161A KR 20220023161 A KR20220023161 A KR 20220023161A KR 1020200104719 A KR1020200104719 A KR 1020200104719A KR 20200104719 A KR20200104719 A KR 20200104719A KR 20220023161 A KR20220023161 A KR 20220023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cation
pollutants
unit
pur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561B1 (ko
Inventor
정문성
Original Assignee
정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성 filed Critical 정문성
Priority to KR1020200104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5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싸이클론방식을 이용한 오염물질의 흡착 정화와 음이온을 이용한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으며, 오염공기의 태워 오염도를 감소시키며 건조과정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배기가능한 습식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되거나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정화챔버내의 정화용 물속에 통과하시켜 공기내의 오염물질을 접촉정화부를 통해 정화하는 습식방식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염공기를 수분을 미스트 방식과 이온흡착방식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정화부, 상기 포집정화부에서 1차 정화된 공기를 싸이클론방식으로 회전 및 배기시키면서 잔여 오염물질을 거름하는 싸이클론정화부로 구성하여; 습식공기정화장치에 음이온과 미스트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동시에 싸이클론 방식으로 비중차에 의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습식공기정화장치{Wet air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습식방식을 이용한 공기정화방식에 싸이클론방식과 음이온을 이용한 포집력을 향상시켜 각종 가공관련 산업시설이나 오염물질 배출 업종, 분진 배출업종, 매연 배출업종에 적용가능한 습식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난방이나 냉방 또는 외기 조건에 의해 건조한 공기는 점막건조증, 안구건조증을 유발하게 되며, 감기, 천식, 비염 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신진대사 기능 저하에 의한 면역력 감소 및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부상 확산시켜 이에 편승한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공장 등의 작업장 내에서는 작업에 따른 미세먼지, 분진, 각종 유해가스,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기 중의 오염원은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대에는 작업하는 공장 또는 실내에 공기정화장치 및 가습기 등 다양한 장치들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재 공기정화장치의 방식은 기계식과 전기집진방식, 하이브리드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기계식은 유입된 유해물질 중 입자는 관성충돌에 의하여 가스는 흡착에 의하여 제거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전기집진방식은 음이온이 음이온이 인체 유익하다는 근거에 의하여 고안되어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방식으로 입자를 전기적인 하전시키고 이를 집진판에서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이브리드 방식은 기계식과 전기방식, 광촉매 방식, 가스흡착방식 등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하여 이들을 공기정화장치 내부에 모두 포함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정화장치에서 기계식은 압력 강하량이 커서 에너지 손실이 크고, 전기집진방식은 인체에 유해한 오존을 다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방식은 하이브리드 방식에 적용된 장치들의 장점을 모두 가지게 되지만 반대로 그 방식들이 갖는 모든 단점을 갖게 되는 난해한 문제점과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도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방식의 공기정화장치는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는 어느 정도 효과를 보고는 있으나 쾌적한 환경의 필수 요소인 습도 조건을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가습기의 원리를 적용하여 청정화된 공기에 가습조건을 부여하는 장치가 활용되고 있으나, 부피가 크고 혼합구조로 사용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한편, 필터나 전기집진 등의 방식은 건식의 방법으로 물을 이용한 집진처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습식의 공기정화장치는 흡입된 공기를2물에 접촉시켜 오염원을 물에 침전시키는 방식으로 소음이 적으며 가습기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습식형 공기정화장치는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는데 물과 직접 접촉하여 작동되는 방식으로 물때에 의한 작동불량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물을 양수함에 있어 일정한 양수량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분사된 물과 흡입된 오염공기의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케이스의 상부를 싸이클론 방식으로 오염공기를 회전시키면서 수분 미스트와 혼합시켜 이물질을 포집하여 중량이 무거워진 오염물이 하부쪽으로 낙하되어 저장된 물에 모아지게 되는 방식으로 개선된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2116381호 등록특허 제10-0542085호 등록특허 제10-19320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습식공기정화장치에 음이온과 미스트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동시에 싸이클론 방식으로 비중차에 의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습식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화를 위해 공급되는 공기를 우선적으로 태워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염공기를 정화용 물속에 통과시키는 정화방식과 물을 미세하게 분무하여 오염물질의 포집방식으로 1차 정화된 공기를 싸이클론 방식으로 회전시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추가적으로 2차 정화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화가 완료된 깨끗한 공기를 건조하여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식공기정화장치는 오염되거나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정화챔버내의 정화용 물속에 통과하시켜 공기내의 오염물질을 접촉정화부를 통해 정화하는 습식방식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정화부의 상부에는 공급되는 오염공기에서 오염물질을 미스트 방식과 이온방식으로 포집하여 낙하시키는 포집정화부, 상기 접촉정화부와 포집정화부를 거쳐 각각 1차적으로 오염물질이 정화된 정화공기를 사이클방식으로 흡기 및 유동시켜 입자가 큰 이물질을 부착낙하 방식으로 정화하여 배기하는 싸이클론정화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정화챔버는 하부에는 접촉정화부로 오염공기를 흡기하도록 연결하는 하부흡기관을 형성하며, 상기 흡기관의 반대편인 상부에는 포집정화부로 오염공기를 흡기하는 상부흡기관을 형성하고, 상기 정화챔버의 내부 중앙에는 포집정화부와 싸이클론정화부에서 포집된 오염물질이 모아져 낙하를 유도하는 원뿔 형태이며 상부 표면에 미끄럼 저항을 최소화하는 테프론코팅층을 형성한 호퍼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포집정화부는 정화챔버의 천장면에 다수개로 형성하되, 별도의 깨끗한 물을 공급받아 오염공기와 혼합될 수 있도록 미립자 형태로 분무하는 미스트분무기, 상기 미스트분무기의 일측에는 오염공기에 함유된 양전하 성질을 갖는 오염물질의 원활한 포집을 위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싸이클론정화부는 정화챔버의 천정면을 관통하여 호퍼의 상부로 위치하되 정화공기와 배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기단의 내부에 고속배기팬을 설치하는 기억자 원통 형상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벽면에는 오염물질이 침착 및 걸름되도록 형성하는 집진망, 상기 배기단의 고속배기팬 후방에는 습도가 높은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습부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하부흡입관과 상부흡입관에는 유동하는 오염공기를 태워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버닝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습식공기정화장치에 음이온과 미스트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동시에 싸이클론 방식으로 비중차에 의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정화를 위해 공급되는 공기를 우선적으로 태워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정화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오염공기를 정화용 물속에 통과시키는 정화방식과 물을 미세하게 분무하여 오염물질의 포집방식으로 1차 정화된 공기를 싸이클론 방식으로 회전시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추가적으로 2차 정화하여 오염물질의 함유비율과 상관없이 정화효율의 증대와 정화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정화가 완료된 깨끗한 공기를 건조하여 습기를 제거할 수 있어 정화된 상태로 쾌적하게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공기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공기정화장치의 하부 및 상부흡입관에 버닝부가 적용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공기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내부에 회전유도부가 설치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발생기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발생기의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공기정화장치를 이용한 오염공기 정화예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호퍼에 오염물질이 낙하되어 흘러내리는 부분 단면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오염공기의 오염물질이 집진망에 걸러지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오염되거나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정화챔버(10)내의 정화용 물속에 통과하시켜 공기내의 오염물질을 접촉정화부(20)를 통해 정화하는 습식방식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염공기를 수분을 미스트 방식과 이온흡착방식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정화부(30), 상기 포집정화부(30)에서 1차 정화된 공기를 싸이클론방식으로 회전 및 배기시키면서 잔여 오염물질을 거름하는 싸이클론정화부(40)로 공기정화장치(100)를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의 정화챔버(10)는 하부에는 접촉정화부(20)로 오염공기를 흡기하도록 연결하는 하부흡기관(11)을 형성하는데, 하부흡기관(11)에는 정화챔버(10)의 내부 바닥에 충진된 정화용 물속으로 오염공기를 공급하도록 에어펌프(11a)를 설치한다.
상기 정화챔버(10)의 일측에는 정화용물(21)을 충진 및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16)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흡기관(11)의 반대편인 정화챔버(10)의 상부에는 포집정화부(30)로 오염공기를 흡기하는 상부흡기관(12)을 형성하는데, 상부흡기관(12)에는 오염공기의 공급유속과 회전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고속이송팬(12a)을 설치한다.
상기 상부흡기관(12)은 공급되는 오염공기가 정화챔버(10)내부에서 소용돌이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정화챔버(1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상기 하부흡기관(11)과 상부흡기관(12)에는 유동하는 오염공기를 태워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버닝부(15)를 형성한다.
상기 버닝부(15)는 불꽃을 이용하거나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화챔버(10)의 내부 중앙에는 포집정화부(30)와 싸이클론정화부(40)에서 포집된 오염물질이 모아져 낙하를 유도하는 원뿔 형태이며 상부 표면에 미끄럼 저항을 최소화하는 테프론코팅층(13)을 형성한 호퍼(14)를 형성한다.
상기 호퍼(14)는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경사각도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는데 상부면에 테프론코팅층(13)을 형성하여 오염물질의 종류가 유분이나 겔(Gel)형태라도 부착이나 침착되지 않고 흘러 내릴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호퍼(14)는 상부흡기관(12)을 통해 빠르게 유입되는 오염공기가 싸이클론정화부(40)를 통해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깔대기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공기정화장치(100)의 포집정화부(30)는 상부측에서 공급되는 오염공기에서 오염물질을 미스트 방식과 이온방식으로 포집하여 낙하시킨다.
상기 포집정화부(30)는 정화챔버(10)의 천장면에 다수개로 형성하되, 별도의 깨끗한 물을 공급받아 오염공기와 혼합될 수 있도록 미립자 형태로 분무하는 미스트분무기(31)를 형성한다.
상기 미스트분무기(31)는 별도로 공급되는 깨끗한 물이 정화챔버(10)의 천정에 설치되는 분무기몸체(31a)의 내부로 유입되면, 분무기몸체(31a)의 하부에 위치하여 고속회전하는 회전체(31b)로 공급되어 회전체(31b)에 형성된 분사노즐(31c)을 통해 미스트 방식으로 분사하여 오염공기 속에 함유된 오염물질에 원활히 흡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미스트분무기(31)의 일측에는 오염공기에 함유된 양전하 성질을 갖는 오염물질의 원활한 포집을 위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32)를 형성한다.
상기 이온발생기(32)는 정화챔버(10)의 천정 일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 이온발생기(32)는 질소를 예로 들어 음이온 발생원리를 설명하면, 질소원자는 핵(양자7개를 가진)과 그 주위를 선회하는 7개의 전자로 기본구성이 되어있는데 이 질소 원자는 전자 5개를 더 얻거나 빼앗겨도 기본성질이 변하지 않고 다만 전기적으로 양이온이 되거나 음이온이 되거나 중성(안정)이 된다.
상기 이온발생기(32)의 질소 원자는 전자를 더 얻고 또는 잃음에 따라서 음(-) 또는 양(+)으로 강하게 이온화되며, 이온발생기(32)의 발생기몸체(32a)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방출침(32b)의 끝에 걸린 높은(-)전압은 방출침(32b)의 하부에 발생기몸체(32a)와 간격바(32c)에 의해 이격 고정된 방출판(32d)와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게 되고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면 자유전자는 방출침(32b) 끝에서 어마어마한 속도로 가속되고, 이때 초고속으로 가속된 전자는 쉽게 대기의 질소나 산소 분자 속으로 주입되는데, 이런 과정을 통하여 부족한 전자를 보충하고, 가외로 더 얻은 전자에 의하여 산소나 질소 등이 음이온화 하게 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이온발생기(32)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은 공기중의 오염된 양이온의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정화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접촉정화부(20)와 포집정화부(30)를 거쳐 각각 1차적으로 오염물질이 정화된 정화공기를 사이클방식으로 흡기 및 유동시켜 입자가 큰 이물질을 부착낙하 방식으로 정화하여 배기하는 싸이클론정화부(40)를 형성한다.
상기 싸이클론정화부(40)는 정화챔버(10)의 천정면을 관통하여 호퍼(14)의 상부로 위치하되 정화공기와 배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기단(41)의 내부에 고속배기팬(42)을 설치하는 기억자 원통 형상의 실린더(43)를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43)는 단면의 형상은 기억자 형태로써 정화챔버(10)의 내부이며 호퍼(14)의 상부에 위치하는 실린더몸체(43a)의 상부에는 내부로 유입된 정화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단(41)이 정화챔버(10)의 상부로 노출시켜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43)의 내벽면에는 오염물질이 침착 및 걸름되도록 형성하는 집진망(44)을 형성한다.
상기 집진망(44)은 실린더(43)의 실린더몸체(43a) 내벽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싸이클론방식으로 회전하는 오염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물질의 자체 중량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집진망(44)에 걸림되면서 흡착 및 침착되어 배기되지 못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배기단(41)의 고속배기팬(42) 후방에는 습도가 높은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습부(45)를 형성한다.
상기 고속배기팬(42)은 실린더몸체(43a)를 통과하는 정화공기의 싸이클론방식으로 회전을 유도하며 배기단(41)을 통해 유동하며 제습부(45)는 이송되는 정화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43)의 실린더몸체(43)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보다 빠르고 회전시키기 위하여 프레임(46a)에 설치되는 모터(46b)의 구동에 의해 오염공기를 외측으로 밀어 내는 동시에 회전시키는 한 쌍의 날개(46c)로 회전유도부(4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정화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장치(100)를 사용하여 오염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정화챔버(10)에 연결된 하부흡기관(11)과 상부흡기관(12)은 통해 도면상 도시되지 않은 오염공기를 모아서 공급하는 덕트에 연결한다.
상기 하부흡기관(11)과 상부흡기관(12)을 통해 오염공기가 공급되는데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100)를 이용하여 포집정화부(30)나 싸이클론정화부(40)를 선택적으로 오염공기를 정화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포집정화부(30)나 싸이클론정화부(40)를 모두 이용하여 동시에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하부흡기관(11)에서는 오염공기를 에어펌프(11a)를 이용하여 흡입하면 오염공기를 버닝부(15)에 의해 오염물질을 태우는 방식으로 제거한 후, 정화챔버(10)의 내부 하부에 충진된 정화용물(21)을 통과하면서 순수한 공기보다 중량이 큰 이물질 및 버닝부(15)에 의한 오염물질의 부산물인 재가 정화용물(21)에 침전 방식으로 정화과정을 거친 후 정화용물(21)의 수면위로 상승하여 호퍼(14)를 통해 싸이클론정화부(40)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상부흡기관(12)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공기는 하부흡기관(11)과 연결된 상태에서 유입되는 것으로 이동시 버닝부(15)에 의해 오염물질을 태우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고속이송팬(12a)의 작동으로 정화챔버(10)의 상부 내부 벽면에 분사한다.
이렇게, 상기 버닝부(15)를 이용하여 오염공기를 고온으로 태움으로써 오염공기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우선적으로 태워 제거하여 오염공기에 함유된 유분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상부흡기관(12)을 통해 분사되는 오염공기에 미스트분무기(31)의 작동으로 분사되는 깨끗한 미스트를 분사하여 오염공기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에 부착된다.
동시에, 상기 미스트분무기(31)에 의해 깨끗한 물이 미스트 방식으로 분사되는 동시에 음이온발생기(32)에서 음이온을 발생시켜 미스트를 음전하 성질을 갖도록 하여 오염공기속에 함유된 양이온 성분을 갖는 오염물질에 미스트가 원활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후, 상기 음이온발생기(32)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이 미스트분무기(31)의 미스트를 음이온화시켜 오염공기 내의 양이온을 갖는 오염물질과 버닝부(15)에 의한 오염물질의 부산물인 재에 부착되어 중량을 증가시켜 호퍼(14)에 낙하되도록 한 후 정화챔버(10)에 내부 하부에 충진된 정화용물(21)에 혼합시켜 오염물질을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호퍼(14)에 낙하되는 중량 오염물질은 호퍼(14)의 테프론코팅층(13)에 의해 유분이나 점성을 갖는 오염물질이라 하더라도 부착되지 않고 쉽게 미끄러져 이동함으로써 잔여 오염물이 달라 붙지 않고 정화용물(21)로 낙하되어 수집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흡기관(12)으로 통해 유입된 오염공기는 정화챔버(10)의 내부공간을 회전하여 호퍼(14)의 중앙에 모아져 싸이클론정화부(40)의 실린더(43) 내부로 회전하면서 흡입된다.
이렇게, 상기 상부흡기관(12)을 통해 정화챔버(10)의 내부로 공급되어 회전하는 오염공기는 싸이클론정화부(40)의 실린더(43) 하부를 통해 회전되면서 유입되는데, 유입된 오염공기는 실린더(43)의 내벽면에 형성된 집진망(44)에 충돌하면서 입자가 큰 오염물질은 집진망(44)에 부착 및 거름되어 다시한번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배기단(41)에 형성된 고속배기팬(42)에 의해 이송력과 속도가 향상된 상태로 실린더(43)의 내부를 거친 정화된 정화공기는 배기관(43b)을 통해 배기될때, 배기관(43b)에 설치된 제습부(45)에 의해 정화공기 내에 함유된 수분을 제건한다.
상기 정화공기에는 정화용물(21)을 통과하거나 미스트분무기(31)에 의한 수분 분무로 인하여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배기관(43b)을 통해 직접 배기될 경우 정화공기를 공급받는 실내나 실외의 습도가 상승되어 제습부(45)에 의해 정화공기내에 수분을 감소시켜 쾌적함을 증대시키는 특징이 있다.
즉, 본원 발명 공기정화장치(100)는 물을 이용하여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은 버닝부(15)를 이용한 태움 방식을 이용한 정화, 정화용물(21)을 이용하여 침적방식과 미스트분무기(31)의 분무작용으로 오염공기내의 오염물질 포집, 음이온발생기(32)의 음이온과 분무 수분의 결합으로 양이온 오염물질의 포집, 싸이클론 방식으로 오염물질을 집진망(44)에 포집하는 여러 방식과 단계를 거쳐 오염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정화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공기정화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정화챔버 11 : 하부흡기관
11a : 에어펌프 12 : 상부흡기관
12a : 고속이송팬 13 : 테프론코팅층
14 : 호퍼 15 : 버닝부
20 : 접촉정화부 21 : 정화용물
30 : 포집정화부 31 : 미스트분무기
31a : 분무기몸체 31b : 회전체
31c : 분사노즐 32 : 이온발생기
40 : 싸이클론정화부 41 : 배기단
42 : 고속배기팬 43 : 실린더
43a : 실린더몸체 44 : 집진망
45 : 제습부 46 : 회전유도부
46a : 프레임 46b : 모터
46c : 날개 100 : 공기정화장치

Claims (5)

  1. 오염되거나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정화챔버(10)내의 정화용 물속에 통과하시켜 공기내의 오염물질을 접촉정화부(20)를 통해 정화하는 습식방식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정화부(20)의 상부에는 공급되는 오염공기에서 오염물질을 미스트 방식과 이온방식으로 포집하여 낙하시키는 포집정화부(30),
    상기 접촉정화부(20)와 포집정화부(30)를 거쳐 각각 1차적으로 오염물질이 정화된 정화공기를 사이클방식으로 흡기 및 유동시켜 입자가 큰 이물질을 부착낙하 방식으로 정화하여 배기하는 싸이클론정화부(4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공기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챔버(10)는 하부에는 접촉정화부(20)로 오염공기를 흡기하도록 연결하는 하부흡기관(11)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흡기관(11)의 반대편인 상부에는 포집정화부(30)로 오염공기를 흡기하는 상부흡기관(12)을 형성하고,
    상기 정화챔버(10)의 내부 중앙에는 포집정화부(30)와 싸이클론정화부(40)에서 포집된 오염물질이 모아져 낙하를 유도하는 원뿔 형태이며 상부 표면에 미끄럼 저항을 최소화하는 테프론코팅층(13)을 형성한 호퍼(14)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공기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정화부(30)는 정화챔버(10)의 천장면에 다수개로 형성하되, 별도의 깨끗한 물을 공급받아 오염공기와 혼합될 수 있도록 미립자 형태로 분무하는 미스트분무기(31),
    상기 미스트분무기(31)의 일측에는 오염공기에 함유된 양전하 성질을 갖는 오염물질의 원활한 포집을 위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3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공기정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싸이클론정화부(40)는 정화챔버(10)의 천정면을 관통하여 호퍼(14)의 상부로 위치하되 정화공기와 배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기단(41)의 내부에 고속배기팬(42)을 설치하는 기억자 원통 형상의 실린더(43),
    상기 실린더(43)의 내벽면에는 오염물질이 침착 및 걸름되도록 형성하는 집진망(44),
    상기 배기단(41)의 고속배기팬(42) 후방에는 습도가 높은 공기를 건조시키는 제습부(45)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공기정화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흡기관(11)과 상부흡기관(12)에는 유동하는 오염공기를 태워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버닝부(15)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공기정화장치.
KR1020200104719A 2020-08-20 2020-08-20 습식공기정화장치 KR102526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19A KR102526561B1 (ko) 2020-08-20 2020-08-20 습식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19A KR102526561B1 (ko) 2020-08-20 2020-08-20 습식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61A true KR20220023161A (ko) 2022-03-02
KR102526561B1 KR102526561B1 (ko) 2023-04-28

Family

ID=8081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719A KR102526561B1 (ko) 2020-08-20 2020-08-20 습식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56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324A (ja) * 2002-03-15 2002-10-15 Yms:Kk 集塵装置
KR100542085B1 (ko) 2004-03-19 2006-01-10 코아텍주식회사 오존과 유해가스 분해촉매제가 포함된 세정액을 이용한 습식공기정화장치
KR20070048563A (ko) * 2005-12-14 2007-05-09 배수호 공기 정화 장치
KR20140088347A (ko) * 2013-01-02 2014-07-10 이인섭 복수의 세정구간을 구비하는 습식정화장치
KR20170094676A (ko) * 2016-02-11 2017-08-21 주식회사 에이런 수막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932037B1 (ko) 2018-03-26 2018-12-27 주식회사 와우시스템 물입자 충돌 확산 구조를 가지는 습식형 집진 공기정화장치
KR102116381B1 (ko) 2019-04-29 2020-05-28 (주)클린에어스 다중이용시설용 습식공기정화장치
KR102124245B1 (ko) * 2018-05-09 2020-06-17 이경석 수막형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324A (ja) * 2002-03-15 2002-10-15 Yms:Kk 集塵装置
KR100542085B1 (ko) 2004-03-19 2006-01-10 코아텍주식회사 오존과 유해가스 분해촉매제가 포함된 세정액을 이용한 습식공기정화장치
KR20070048563A (ko) * 2005-12-14 2007-05-09 배수호 공기 정화 장치
KR20140088347A (ko) * 2013-01-02 2014-07-10 이인섭 복수의 세정구간을 구비하는 습식정화장치
KR20170094676A (ko) * 2016-02-11 2017-08-21 주식회사 에이런 수막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932037B1 (ko) 2018-03-26 2018-12-27 주식회사 와우시스템 물입자 충돌 확산 구조를 가지는 습식형 집진 공기정화장치
KR102124245B1 (ko) * 2018-05-09 2020-06-17 이경석 수막형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KR102116381B1 (ko) 2019-04-29 2020-05-28 (주)클린에어스 다중이용시설용 습식공기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561B1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329B1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JP6204493B2 (ja) 水イオンの空気清浄機
WO2011019170A2 (ko) 원심분리 형식의 세정식 공기 청정기
KR101932037B1 (ko) 물입자 충돌 확산 구조를 가지는 습식형 집진 공기정화장치
JP2016507274A5 (ko)
MXPA06008922A (es) Aparato para purificacion de aire tipo humedo que utiliza un compresor centrifugo.
KR20180004665A (ko) 공기 청정을 위한 샤워필터
JP2006280698A (ja) 空気浄化装置
KR101568103B1 (ko) 습도조절 및 살균 기능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150052707A (ko) 원심분리형식의 습식 공기정화기
JP2910946B2 (ja) 空気浄化調和装置
JP2023524311A (ja) 静電気集塵機能を有する空気処理装置
KR20150086658A (ko)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JP3372602B2 (ja) 空気中不純物の除去装置及び除去方法
KR102526561B1 (ko) 습식공기정화장치
WO2016147792A1 (ja) 空気清浄機
KR20130020164A (ko) 푸시팬과 풀팬 혼합형 공기청정시스템
KR102389530B1 (ko) 복합형 집진장치
KR20180076960A (ko) 수분 제거기를 구비하는 전기 집진장치
CN116697512A (zh) 水雾洗装置
JP3946325B2 (ja) 空気清浄装置
KR102159546B1 (ko) 필터 없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CN208154555U (zh) 一种等离子油烟净化器
KR20210006233A (ko) 공기 청정기
KR20210059501A (ko) 공기 살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