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024A -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 Google Patents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024A
KR20220022024A KR1020200102807A KR20200102807A KR20220022024A KR 20220022024 A KR20220022024 A KR 20220022024A KR 1020200102807 A KR1020200102807 A KR 1020200102807A KR 20200102807 A KR20200102807 A KR 20200102807A KR 20220022024 A KR20220022024 A KR 20220022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ain body
polisher
hea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351B1 (ko
Inventor
이근상
정영복
Original Assignee
산전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전정밀(주) filed Critical 산전정밀(주)
Priority to KR102020010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3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18Chiselling sca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61C17/2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는 중심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후방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배터리;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고정되고 삽입홀이 형성된 캡; 상기 캡의 삽입홀에 후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전, 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방측 내부에 배치공간이 형성된 헤드;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축이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모터; 상기 본체 및 헤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 상기 헤드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치아표면의 얼룩을 제거하는 폴리셔팁; 상기 본체의 전방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정회전, 역회전 및 정지순으로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조종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Polisher for removing tooth stains}
본 발명은 치아에 사용되는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에 관한 것이다.
구강건강은 전신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수적 건강요소 중 하나이며, 구강건강을 위협하는 질환으로는 치아우식증과 치주병 등이 있다. 이러한 병은 구강내 세균이 치아주위에 부착되어 증식함으로써 발생한다. 그리고, 구강내 세균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합병증으로 흡인성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세균성 치태에 의해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구강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구강내 세균과 치면세균막의 관리가 중요하며, 구강내 세균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치아표면의 플라그(plaque), 세균막(biofilm), 얼룩(stains), 치구(acquired pellicle) 등을 제거하여야 한다. 여기서, 치아표면의 얼룩 제거는 전문가 또는 개인이 수행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 및 두 가지를 혼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먼저, 화학적인 방법은 치아표면 얼룩제거제(미백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주로 과산화수소(H2O2), 과붕산나트륨(sodium perborate) 등의 약품을 이용하여 치아표면에 이온들을 생성함으로써, 치아표면을 산화시켜 얼룩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물리적인 방법은 폴리셔를 사용하여 치아표면 얼룩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폴리셔의 경우, 폴리셔팁이 한방향으로만 회전되므로, 치아표면 위치에 따라 얼룩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폴리셔의 경우, 사용자가 치아표면 얼룩을 제거하기 위해 많은 힘을 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치아표면 위치에 상관없이 얼룩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도 치아표면 얼룩을 제거할 수 있는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는 중심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후방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배터리;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고정되고 삽입홀이 형성된 캡; 상기 캡의 삽입홀에 후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전, 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방측 내부에 배치공간이 형성된 헤드;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축이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모터; 상기 본체 및 헤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 상기 헤드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치아표면의 얼룩을 제거하는 폴리셔팁; 상기 본체의 전방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정회전, 역회전 및 정지순으로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조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일측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감속부; 상기 감속부의 타측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감속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 기어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캡의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헤드 내부에 배치는 동력전달축; 상기 동력전달축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동력전달축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헤드의 배치공간에 배치되는 제1 베벨기어; 상기 제1 베벨기어의 중심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베벨기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2 베벨기어; 상기 제2 베벨기어의 중심부에 일측부가 고정되어 상기 제2 베벨기어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헤드의 전방측 내부에 타측부가 접촉되며 상기 헤드에 형성된 관통홀에 연통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회전체; 및 상기 헤드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체의 끼움홈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폴리셔팁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부는 상기 제1 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제2 기어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설치공간에는 상기 감속부가 고정되는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감속부는, 서로 이격되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 2 고정축; 및 전단부에 전단기어가 마련되고 후단부에 상기 전단기어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후단기어가 마련되며,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2 고정축에 각각 끼워지고 전단기어와 후단기어가 맞물리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감속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어 중 최후단에 배치되는 감속기어는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감속기어 중 최전방에 배치되는 감속기어는 상기 제2 기어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부는 상기 제1 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제2 기어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설치공간을 폐쇄하며 상기 모터 및 감속부를 보호하는 본체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본체 커버를 고정시키는 연결고정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및 본체 커버를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캡 및 헤드를 감싸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는 제어부에 의해 모터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수 있어, 폴리셔팁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수 있으므로, 치아표면 위치에 상관없이 얼룩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는 감속부를 통해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 중 회전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힘을 증가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도 치아표면 얼룩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동력은 힘과 속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속도가 낮아지면 힘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는 감속부를 통해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 중 힘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10)는 본체(11), 배터리(B), 캡(13), 헤드(15), 모터(M), 동력전달부(Dt), 폴리셔팁(23), 제어부(25), 스위치(27), 본체 커버(12), 연결고정링, 케이스(29), 뚜껑(3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는 중심부에 상부가 개방된 설치공간(11a)이 형성되고 후방부에 상부가 개방된 삽입공간(1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의 설치공간(11a) 측에는 브라켓 고정턱(11p)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고정턱(11p)에는 브라켓(11q)이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11q)에는 감속부(G)가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B)는 삽입공간(11b)에 삽입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체(11)의 삽입공간(11b) 측에는 배터리(B)를 고정시키며 배터리(B)의 전원을 전달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은 시중에 유통되는 것으로, 배터리(B) 접촉 스프링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캡(13)은 본체(11)의 전방측에 고정되고 삽입홀(13a)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3a)에는 헤드(15)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헤드(15)는 전, 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캡(13)의 삽입홀(13a)에 후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15)는 전방측 내부에 배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15)는 후단부가 개방되고, 후단부로부터 배치공간으로 이어지는 연결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15)는 전방측 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15)는 상부 헤드(15a)와 하부 헤드(15b)로 분리될 수 있다.
모터(M)는 설치공간(11a)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M)는 본체(11)의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축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모터(M)는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Dt)는 본체(11) 및 헤드(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부(Dt)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Dt)는 폴리셔팁(23)에 연결되어 폴리셔팁(23)에 모터(M)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부(Dt)는 제1 기어(F1), 감속부(G), 제2 기어(F2), 동력전달축(17), 제1 베벨기어(I1), 제2 베벨기어(I2), 회전체(19), 연결로드(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F1)는 회전축에 고정되고 모터(M)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어(F1)에는 같은 간격의 돌기(기어의 이)가 형성될 수 있다.
감속부(G)는 제1 기어(F1)에 일측부가 접촉되도록 설치공간(11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감속부(G)는 제1 기어(F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감속부(G)는 제1 기어(F1)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제2 기어(F2)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감속부(G)는 제1, 2 고정축(Gp1, Gp2) 및 감속기어(G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2 고정축(Gp1, Gp2)은 서로 이격되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브라켓(11q)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2 고정축(Gp1, Gp2)에는 감속기어(Gn)가 끼워질 수 있다. 감속기어(Gn)는 전단부에 전단기어(Gn1)가 마련되고 후단부에 전단기어(Gn1)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후단기어(Gn2)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감속기어(Gn)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고, 제1, 2 고정축(Gp1, Gp2)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또한, 감속기어(Gn)는 전단기어(Gn1)와 후단기어(Gn2)가 맞물리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동력은 힘과 속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속도가 낮아지면 힘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어(Gn)들은 지름이 큰 후단기어(Gn2)와 지름이 작은 전단기어(Gn1)가 맞물림에 따라 전방측의 감속기어(Gn)로 갈수록 회전속도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힘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부(Dt)를 통해 모터(M)의 동력을 폴리셔팁(23)으로 전달할 때, 모터(M)측보다 폴리셔팁(23)에서 큰 힘이 표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도 치아표면 얼룩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감속기어(Gn) 중 최후단에 배치되는 감속기어(G1)는 제1 기어(F1)에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감속기어(Gn) 중 최전방에 배치되는 감속기어(Gn)는 제2 기어(F2)에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동력전달축(17)은 제2 기어(F2)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제2 기어(F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동력전달축(17)은 캡(13)의 삽입홀(13a)을 관통하여 헤드(15)의 연결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로, 동력전달축(17)은 후단부에 고정너트(R)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너트(R)는 제2 기어(F2)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 기어(F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F2)의 내부에는 고정너트(R)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와셔(17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벨기어(I1)는 동력전달축(17)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동력전달축(17)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벨기어(I1)는 헤드(15)의 배치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벨기어(I2)는 제1 베벨기어(I1)의 중심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베벨기어(I1)에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2 베벨기어(I2)는 제1 베벨기어(I1)의 중심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후, 제1 베벨기어(I1)의 중심축에 60도 내지 120도 중 어느 한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헤드(15)의 배치공간 내에서 제1 베벨기어(I1) 및 제2 베벨기어(I2)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의 방향이 전후방향에서 좌우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회전체(19)는 제2 베벨기어(I2)의 중심부에 일측부가 고정되어 제2 베벨기어(I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체(19)는 헤드(15)의 전방측 내부에 타측부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19)는 헤드(15)에 형성된 관통홀에 연통되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로드(21)는 헤드(15)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회전체(19)의 끼움홈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로드(21)는 회전체(19)와 함께 회전되며 폴리셔팁(23)에 타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폴리셔팁(23)은 헤드(15)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동력전달부(Dt)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폴리셔팁(23)은 연결로드(2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셔팁(23)은 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치아표면의 얼룩을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본체(11)의 전방측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는 모터(M)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27)는 본체(11)의 외측부에 설치되고 제어부(25)에 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는 스위치(27)로부터 입력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모터(M)를 정회전, 역회전 및 정지순으로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조종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어부(25)는 입력신호가 첫번째로 전달되면, 모터(M)를 정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는 입력신호가 두번째로 전달되면, 모터(M)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는 입력신호가 세번째로 전달되면, 모터(M)를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에 네번째 입력신호가 전달될 때는, 제어부(25)에 첫번째 입력신호가 전달될 때와 동일하게 모터(M)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부(25)는 모터(M)를 정회전, 역회전 및 정지순으로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5)에 의해 모터(M)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수 있어, 폴리셔팁(23)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수 있으므로, 치아표면 위치에 상관없이 얼룩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 커버(12)는 본체(11)에 연결되고 본체(11)의 설치공간(11a)을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 커버(12)는 모터(M) 및 감속부(G)를 보호할 수 있다. 연결고정링은 본체(11)와 본체 커버(12)의 외주면에 위치되고, 본체(11)와 본체 커버(1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케이스(29)는 본체(11) 및 본체 커버(12)를 감쌀 수 있다. 다시 말해, 본체(11) 및 본체 커버(12)는 케이스(29) 내부로 인입되어 케이스(29)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29)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잡을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뚜껑(31)은 캡(13) 및 헤드(15)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뚜껑(31)은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10) 보관 시, 폴리셔팁(23)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10)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은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10) 및 중앙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10)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10)의 제어부(25)는 모터(M)의 정회전 시간 및 역회전 시간에 대한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는 블루투스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10)의 본체(11) 외주면에는 제어부(25)에 송출 신호를 전달하는 송출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어부(25)는 송출 스위치로부터 송출 신호를 전달받고, 통신부를 통해 사용 정보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중앙서버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는 사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앱 등을 통해 중앙서버에 접속하여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10)를 사용하여 구강관리를 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10)는 제어부(25)에 의해 모터(M)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수 있어, 폴리셔팁(23)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수 있으므로, 치아표면 위치에 상관없이 얼룩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10)는 감속부(G)를 통해 모터(M)로부터 전달되는 동력 중 회전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힘을 증가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도 치아표면 얼룩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11 : 본체 11a : 설치공간
11b : 삽입공간 11p : 브라켓 고정턱
11q : 브라켓 12 : 본체 커버
B : 배터리 13 : 캡
15 : 헤드 M : 모터
Dt : 동력전달부 F1 : 제1 기어
G : 감속부 Gp1, Gp2 : 제1, 2 고정축
Gn : 감속기어 Gn1 : 전단기어
Gn2 : 후단기어 F2 : 제2 기어
17 : 동력전달축 I1 : 제1 베벨기어
I2 : 제2 베벨기어 19 : 회전체
21 : 연결로드 23 : 폴리셔팁
25 : 제어부 27 : 스위치
29 : 케이스 31 : 뚜껑
R : 고정너트 17a : 와셔

Claims (6)

  1. 중심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후방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배터리;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고정되고 삽입홀이 형성된 캡;
    상기 캡의 삽입홀에 후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전, 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방측 내부에 배치공간이 형성된 헤드;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축이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모터;
    상기 본체 및 헤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
    상기 헤드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치아표면의 얼룩을 제거하는 폴리셔팁;
    상기 본체의 전방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신호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정회전, 역회전 및 정지순으로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조종하는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일측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감속부;
    상기 감속부의 타측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감속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 기어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캡의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헤드 내부에 배치는 동력전달축;
    상기 동력전달축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동력전달축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헤드의 배치공간에 배치되는 제1 베벨기어;
    상기 제1 베벨기어의 중심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베벨기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2 베벨기어;
    상기 제2 베벨기어의 중심부에 일측부가 고정되어 상기 제2 베벨기어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헤드의 전방측 내부에 타측부가 접촉되며 상기 헤드에 형성된 관통홀에 연통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회전체; 및
    상기 헤드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체의 끼움홈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폴리셔팁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부는 상기 제1 기어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제2 기어로 전달하는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설치공간에는 상기 감속부가 고정되는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감속부는,
    서로 이격되며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 2 고정축; 및
    전단부에 전단기어가 마련되고 후단부에 상기 전단기어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후단기어가 마련되며,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2 고정축에 각각 끼워지고 전단기어와 후단기어가 맞물리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감속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어 중 최후단에 배치되는 감속기어는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감속기어 중 최전방에 배치되는 감속기어는 상기 제2 기어에 맞물리는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는 상기 제1 기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제2 기어로 전달하는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설치공간을 폐쇄하며 상기 모터 및 감속부를 보호하는 본체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본체 커버를 고정시키는 연결고정링을 포함하는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본체 커버를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캡 및 헤드를 감싸는 뚜껑을 포함하는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KR1020200102807A 2020-08-14 2020-08-14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KR102438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807A KR102438351B1 (ko) 2020-08-14 2020-08-14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807A KR102438351B1 (ko) 2020-08-14 2020-08-14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024A true KR20220022024A (ko) 2022-02-23
KR102438351B1 KR102438351B1 (ko) 2022-09-01

Family

ID=8049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807A KR102438351B1 (ko) 2020-08-14 2020-08-14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3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31U (ja) * 1992-06-22 1994-04-05 株式会社ビーム技研 電動歯ブラシ
KR20060087196A (ko) * 2005-01-28 2006-08-02 정충현 전동칫솔
KR20100075473A (ko) 2007-09-14 2010-07-02 디스커스 덴탈, 엘엘씨 치과용 치면세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31U (ja) * 1992-06-22 1994-04-05 株式会社ビーム技研 電動歯ブラシ
KR20060087196A (ko) * 2005-01-28 2006-08-02 정충현 전동칫솔
KR20100075473A (ko) 2007-09-14 2010-07-02 디스커스 덴탈, 엘엘씨 치과용 치면세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351B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2589A (en) Treatment appliance for teeth and the like
TWI256895B (en) Strip for whitening tooth surfaces
MY125840A (en) Strip for whitening tooth surfaces
CA2497712A1 (en) Disposable toothbrush
US8579629B2 (en) Dental handpiece
KR102438351B1 (ko) 치아 스테인 제거용 폴리셔
US5500973A (en) Hydro powered plaque remover
US8397605B1 (en) Ratchet wrench
WO2005010389A1 (ja) 走行装置、及び動力制限機構
CA3050810A1 (en) A handheld device drive system
KR200443581Y1 (ko) 전동 마사지 겸용 치간 칫솔
JP2006000948A (ja) 携帯式動力工具
JP3129665U (ja) 歯ブラシ
CN211217777U (zh) 一种牙科钻针的预处理清洗装置
KR20120073061A (ko) 치아의 정, 후면을 동시에 세정하는 전동 칫솔
CN214908484U (zh) 一种双显可视化的多用途便捷式洁牙器具
JP7203030B2 (ja) 動的ブラシヘッドを有する電動式ユーティリティブラシ
CN219516085U (zh) 一种可更换刷头的旋转式洁面仪
CN217337728U (zh) 一种电动驱动件及电动工具
JPS61293402A (ja) 回転型電気歯ブラシ
KR20220138142A (ko) 전동 칫솔
KR100860090B1 (ko) 칫솔
KR200466494Y1 (ko) 휴대가 용이한 전동 칫솔
CN114848202A (zh) 激光辅助牙齿抛光手柄及其设备
JP3197248U (ja) 複合型口腔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