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384A -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설비 - Google Patents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384A
KR20220020384A KR1020227001499A KR20227001499A KR20220020384A KR 20220020384 A KR20220020384 A KR 20220020384A KR 1020227001499 A KR1020227001499 A KR 1020227001499A KR 20227001499 A KR20227001499 A KR 20227001499A KR 20220020384 A KR20220020384 A KR 20220020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lange
rotary kiln
drai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304B1 (ko
Inventor
슈청 주
시빈 왕
옌우 뤼이
진펑 리
팡 리
용싱 왕
Original Assignee
허난 롱청 코울 하이 이피션시 테크놀로지 어플리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난 롱청 코울 하이 이피션시 테크놀로지 어플리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허난 롱청 코울 하이 이피션시 테크놀로지 어플리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7/00Rotary-drum furnaces, i.e.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7B7/2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rotary-drum furnaces
    • F27B7/22Rotary drums; Supports therefor
    • F27B7/24Seals between rotary and stationary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5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 F16J15/5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by means of sealing bellows or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1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 F27D2009/0013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the fluid being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ffle Furnaces And Rotary Kilns (AREA)
  • Furnace Detail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설비를 제공한다.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은 제1 커버(3212) 및 제2 커버(3222)를 포함하고, 제2 커버(3222)는 공간적으로 제1 커버(3212) 외부를 둘러싸게 설치되며, 제1 커버(3212)와 제2 커버(3222) 사이에는 제1 간극이 남겨지고, 제2 커버 외부에는 탄성 보상 조인트(323)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설비
본 발명은 밀봉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rotary kiln equipment) 및 로터리 킬른 설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로터리 킬른은 가동 시작 시, 축선의 직진도(linearity)가 가장 나쁘고, 로터리 킬른의 진동(bounce)도 가장 크고, 로터리 킬른이 장기간 가동함에 따라 직진도가 점차 하나의 직선으로 되는 경향이 있으며, 로터리 킬른의 진동도 점차 작아지지만, 진동 현상이 항상 존재한다.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material-discharging cover)는 로터리 킬른의 회동(rotation)에 따라 상하, 좌우로 스윙하게 되고, 재료 배출구는 재료배출 커버의 상하, 좌우로의 스윙에 따라 스윙된다. 석탄 또는 오일 셰일(oil shale) 또는 바이오매스(biomass)의 저온 열분해에 있어서, 석탄가스는 독성도 있고 중대한 안전성 문제도 존재하기에 엄격한 밀봉을 필요로 하는데, 이로 하여 재료배출 커버와 로터리 킬른 테일 사이의 엄격한 밀봉이 요구되고, 또한 재료배출 커버의 재료 배출구와 리시빙 탱크 포트(receiving bin port) 사이의 재료배출 밀봉 기구(material-discharging sealing mechanism)의 상하, 좌우로의 스윙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밀봉에 대한 수요도 만족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료배출 밀봉 기구의 상하, 좌우로의 스윙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밀봉 수요도 만족시킬 수 있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상기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은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서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은 재료 배출구, 재료배출 밀봉 기구 및 리시빙 탱크(receiving bin)를 포함하며, 재료 배출구, 재료배출 밀봉 기구 및 리시빙 탱크는 순차적으로 연통되고;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은 기체 유출구, 석탄가스 밀봉 기구, 석탄가스 도관을 포함하며, 기체 유출구, 석탄가스 밀봉 기구 및 석탄가스 도관은 순차적으로 연통되고;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은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며, 제2 커버는 공간적으로 제1 커버 외부를 둘러싸게 설치되고, 제1 커버와 제2 커버 사이에는 제1 간극이 남겨지며, 제1 커버의 일단에는 제1 플랜지가 고정 연결되고, 제2 커버의 제1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는 제2 플랜지가 고정 연결되며, 제1 커버의 제1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는 타단은 제2 플랜지 내부에 위치하는 자유단이고, 제2 커버의 제1 플랜지에 근접한 일단과 제1 플랜지 사이에는 제2 간극이 남겨지며, 제2 커버 외부에는 탄성 보상 조인트가 설치되고, 탄성 보상 조인트의 양단은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와 각각 밀봉 연결되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신축 가능하도록 하도록, 탄성 보상 조인트,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는 둘러싸여 밀봉 캐비티를 형성하며;
제1 커버의 제2 플랜지에 근접한 단부면에는 제1 환형 플레이트가 고정 연결되며, 제1 커버, 제1 플랜지 및 제1 환형 플레이트는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고, 제2 커버의 제1 플랜지에 근접한 단부면에는 제2 환형 플레이트가 고정 연결되며, 제2 커버, 제2 플랜지 및 제2 환형 플레이트는 캐비티 구조를 형성한다.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가 로터리 킬른의 회동에 따라 상하, 좌우로 변위되는 경우,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에 연결됨으로써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의 변위에 대해 보상할 수 있고, 또한 재료 배출 시스템의 엄격한 밀봉을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가 로터리 킬른의 회동에 따라 상하, 좌우로 변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을 연결함으로써, 상하, 좌우로의 변위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의 탄성 보상 조인트를 통해 변위에 대한 완충을 실현할 수 있고, 제1 커버와 제2 커버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커버와 제2 커버 사이에 충분한 변위 공간이 보장되도록 제1 간극을 남겨둔다. 또한, 제2 커버의 단부면과 제1 플랜지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커버의 제1 플랜지에 근접한 일단과 제1 플랜지 사이에는 제2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이중층 커버(제1 커버와 제2 커버) 및 탄성 보상 조인트를 설치함으로써 로터리 킬른 밀봉 기구가 재료배출 커버와 함께 로터리 킬른 주변을 따라 회동할 경우, 변위가 한정받지 않고, 또한 밀봉 기구의 엄격한 밀봉을 만족시킬 수 있다.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은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서,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은 재료 배출구, 재료배출 밀봉 기구 및 리시빙 탱크를 포함하고, 재료 배출구, 재료배출 밀봉 기구 및 리시빙 탱크는 순차적으로 연통되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은 기체 유출구, 석탄가스 밀봉 기구, 석탄가스 도관을 포함하고, 기체 유출구, 석탄가스 밀봉 기구 및 석탄가스 도관은 순차적으로 연통된다.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제1 커버 및 제2 커버 내부에는 모두 수냉 캐비티(water-cooling sealed cavity)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커버의 외주벽에는 제1 입수구 및 제1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커버의 외주벽에는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입수구, 제1 배수구,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는 탄성 보상 조인트를 관통하며, 제1 입수구, 제1 배수구,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는 탄성 보상 조인트와 밀봉 연결된다.
제1 입수구, 제1 배수구,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의 제1 커버 또는 제2 커버의 외주벽에서의 위치는 실제 수요에 따라 적응되게 조절할 수 있다.
제1 커버와 제2 커버 내부에는 열교환 매체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가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이중층 구조의 커버(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통해, 탄성 보상 조인트가 접촉하거나 받을 수 있는 석탄 열분해 복사열은 거의 모두 이중층 구조의 커버에 의해 흡수되도록 하였고, 이로써 외부의 탄성 보상 조인트 재료를 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외부에 밀접하게 인접된 캐비티에 의해 탄성 보상 조인트가 받는 내부의 복사열이 작도록 하여, 재료 선택이 비교적 용이하다.
탄성 보상 조인트는 탄성 고무 제품(elastic rubber product) 또는 금속 파형 보상 조인트(metal corrugated expansion joint)이다.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가 금속 파형 보상 조인트일 경우, 상기 제1 입수구, 제1 배수구,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는 모두 세 섹션의 연결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세 섹션의 연결 파이프는 순차적으로 연통된 제1 금속 강성 파이프, 제1 호스 및 제2 금속 강성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수구 및 상기 제1 배수구의 제1 금속 강성 파이프는 모두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의 제1 금속 강성 파이프는 모두 상기 제2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입수구, 상기 제1 배수구, 상기 제2 입수구 및 상기 제2 배수구의 제2 금속 강성 파이프는 모두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금속 파형 보상 조인트는 금속 팽창 조인트(metal expansion joint)이고,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이며, 두께는 1-2mm이다.
제1 호스는 로터리 킬른의 밀봉 기구의 변위를 보상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가 탄성 고무 제품일 경우, 상기 제1 입수구, 제1 배수구,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는 모두 두 섹션의 연결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두 섹션의 연결 파이프는 서로 연통된 제3 금속 강성 파이프 및 제2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수구 및 상기 제1 배수구의 제3 금속 강성 파이프는 모두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의 제3 금속 강성 파이프는 모두 상기 제2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입수구, 상기 제1 배수구, 상기 제2 입수구 및 상기 제2 배수구의 제2 호스는 모두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와 연결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커버 내부에는 제1 보온층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커버 내부에는 제2 보온층이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보온 구조를 통해 탄성 신축 조인트가 접촉 및/또는 받을 수 있는 석탄 열분해 복사열은 거의 모두 두 개의 보온 구조에 의해 단열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커버 및 제2 커버의 외주에는 모두 통기 홀이 개설되어 있다. 통기 홀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로, 커버 내부가 열팽창과 냉수축하는 경우에, 커버 내의 보온 구조에 존재하는 기체의 유통을 확보할 수 있어, 밀폐된 커버 내에 존재하는 기체로 인해 커버가 열팽창과 냉수축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커버와 제1 플랜지의 연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갭이 남겨지고, 상기 제2 커버와 제2 플랜지의 연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갭이 남겨진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커버와 제1 환형 플레이트의 연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갭이 남겨지고; 제2 커버와 제2 환형 플레이트의 연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갭이 남겨진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커버 내부에는 제1 보온층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커버 내부에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커버의 외주벽에는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는 탄성 보상 조인트를 관통하며,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는 모두 탄성 보상 조인트와 밀봉되어 연결된다.
제2 커버에는 수냉 캐비티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물 순환을 통해 커버 내부의 복사열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단열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는 환형이고, 제2 플랜지의 내주원 반경은 D이며, 제1 플랜지의 내주원 반경은 B이고, 제1 플랜지의 측벽 두께는 C이며, 제1 간극의 간격은 A이며, D>A+B+C이다.
제2 플랜지의 내주원 반경 D<A+B+C일 경우, 제1 커버와 제2 커버는 충돌할 수 있어 로터리 킬른의 밀봉 기구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준다.
제1 간극인 A의 값은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가 로터리 킬른 테일 주변을 따라 회동할 때의 상하, 좌우로의 진동 최대값으로 취한다. A의 값이 너무 작으면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충돌하여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환형 플레이트의 두께는 F이고, 제2 간극의 간격은 E이며, E>A+F이다.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커버, 제2 플랜지 및 제2 환형 플레이트는 용접을 통해 캐비티 구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커버의 제2 플랜지에 근접한 단부면에는 제1 환형 플레이트가 고정 연결되며, 제1 커버, 제1 플랜지 및 제1 환형 플레이트는 캐비티 구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터리 킬른 설비를 더 제공하는데, 상기 로터리 킬른 설비는 로터리 킬른 테일(rotary kiln tail),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및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로터리 킬른 테일은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rotary-kiln-material-discharging-cover material-discharging sealing system) 및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rotary-kiln-material-discharging-cover outlet-gas sealing system)은 모두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에 장착된다.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이 로터리 킬른의 회동에 따라 상하, 좌우로의 변위가 발생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을 연결함으로써, 상하, 좌우로의 변위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탄성 보상 조인트을 통해 변위 완충을 실현할 수 있다.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의 기체 유출구는 재료배출 커버의 상부에 개설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의 기체 유출구는 재료배출 커버의 단부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터리 킬른 설비를 더 제공하는데,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은 순차적으로 연통된 재료 배출구, 재료배출 밀봉 기구 및 리시빙 탱크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은 기체 유출구 및 석탄가스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유출구의 일단은 상기 리시빙 탱크 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기체 유출구의 타단은 상기 석탄가스 도관과 연통되고, 상기 기체 유출구는 상기 리시빙 탱크 포트 내부의 기체를 상기 석탄가스 도관(coal gas pipeline) 내부로 유입되게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재료배출 밀봉 기구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공간적으로 상기 제1 커버 외부를 둘러싸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는 제1 간극이 남겨지고, 상기 제1 커버의 일단에는 제1 플랜지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2 커버의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는 제2 플랜지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는 타단은 상기 제2 플랜지 내부에 위치하는 자유단이며, 상기 제2 커버의 제1 플랜지에 근접한 일단과 상기 제1 플랜지 사이에는 제2 간극이 남겨지고, 상기 제2 커버 외부에는 탄성 보상 조인트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의 양단은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와 각각 밀봉 연결되고,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는 둘러싸여 밀봉 캐비티를 형성하여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의 간격을 신축시키며;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제2 플랜지에 근접한 단부면에는 제1 환형 플레이트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1 환형 플레이트는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커버의 상기 제1 플랜지에 근접한 단부면에는 제2 환형 플레이트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버, 상기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2 환형 플레이트는 캐비티 구조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기체와 고체 물질은 함께 로터리 킬른 재료 배출 시스템을 통과한 후, 리시빙 탱크에서 기체가 분리된다.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설비를 제공하는데, 제1 커버, 제2 커버 및 탄성 보상 조인트를 설치하여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외부의 엄격한 밀봉을 실현할 수 있고; 이중층 커버 구조는 상하, 좌우로 충분한 활동 조절 범위를 두어,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을 재료배출 커버에 장착할 때, 로터리 킬른에 따른 회동이 한정받지 않도록 한다. 탄성 보상 조인트는 스윙 변위에 대한 보상을 실현한다. 또한, 이중층 커버 구조는 외부의 밀봉된 탄성 보상 조인트 재료 선택이 더 용이하고 사용 수명이 더 길어지도록 석탄 열분해 복사열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구조도 외부 탄성 보상 조인트가 복사열을 받아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로터리 킬른 설비는 상하, 좌우로의 스윙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봉 수요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명백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에 사용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범위에 대한 한정이 아닌 것은 자명한 것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진보적인 노동 없이 이러한 도면에 의해 다른 관련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유형의 로터리 킬른 설비의 전체 개략도(general schematic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유형의 재료배출 밀봉 기구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유형의 석탄가스 밀봉 기구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유형의 재료배출 밀봉 기구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유형의 석탄가스 밀봉 기구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유형의 로터리 킬른 설비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3 유형의 석탄가스 밀봉 기구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4 유형의 석탄가스 밀봉 기구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5 유형의 석탄가스 밀봉 기구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3 유형의 재료배출 밀봉 기구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4 유형의 재료배출 밀봉 기구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5 유형의 재료배출 밀봉 기구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제3 유형의 로터리 킬른 설비의 전체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2020년 04월 01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2020102530332호, 발명 명칭이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설비"인 중국 특허 발명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발명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에 결부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명백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전체의 실시예가 아닌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면에 도시되고 도면에 의해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듈은 다양하고 상이한 배치방식으로 배열되고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의해 제공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단지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창조적 노동이 필요없이 본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얻어진 다른 실시예들도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 및 문자는 유사한 항목을 표시하므로, 하나의 도면에서 특정 항목이 정의되면 이후의 도면에서 더 이상 정의 및 설명하지 않아도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유의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설명에서 "중심",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내", "외", "순시침", "역시침" 등 용어가 표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 또는 본 발명의 제품을 사용할 때 통상적으로 배치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초한 것으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고, 특정된 방위 구조로 조작되는 것을 표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제3" 등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표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한, "수평", "수직", "현수(overhang)" 등 용어는 부재가 절대적으로 수평되거나 현수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 기울어질 수도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은 당해 구조가 완전히 수평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방향이 "수직"에 대해 더 수평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약간 기울어질 수도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되고 한정하지 않는 한, "설치", "장착", "서로 연결", "연결" 등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함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고정 연결될 수 있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본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로터리 킬른 설비를 제공하는데, 상기 로터리 킬른 설비는 로터리 킬른 테일(1),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 및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5)을 포함한다.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5)은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rotary-kiln-material-discharging-cover outlet-gas sealing system)(4) 및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rotary-kiln-material-discharging-cover material-discharging sealing system)(3)을 포함한다. 석탄가스(coal gas) 배출에는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4)이 사용되고, 고체 재료에는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3)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4)은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의 상단부(top)에 설치되고,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3)은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의 저부(bottom)에 설치된다.
여기서,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는 횡방향 통체(transverse cylinder)(21) 및 단부면(22)으로 구성되고, 횡방향 통체(21) 및 단부면(22)은 고정되게 용접되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는 로터리 킬른 테일(1)의 외주에 설치되고, 사용 시,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는 로터리 킬른 테일(1)의 회동에 따라 상하, 좌우로 진동될 수 있으며, 진동 최대 진폭은 A인 바, A는 50mm보다 작다.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3)은 재료 배출구(31), 재료배출 밀봉 기구(32) 및 리시빙 탱크 포트(33)를 포함하고, 재료 배출구(31)의 일단은 횡방향 통체(21)의 하단부(bottom end)와 밀봉 연결되며, 재료 배출구(31)의 내부 캐비티와 횡방향 통체(21)의 내부 캐비티는 관통되고, 재료 배출구(31)의 타단은 재료배출 밀봉 기구(32)를 통해 리시빙 탱크 포트(33)와 연결된다. 재료 배출구(31),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와 리시빙 탱크 포트(33)는 플랜지 플레이트(flange)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사용 시, 재료는 재료 배출구(31)에서 재료배출 밀봉 기구(32)로 전달되고, 리시빙 탱크 포트(3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재료배출 밀봉 기구(32)는 제1 커버(3212) 및 제2 커버(3222)를 포함하고, 제2 커버(3222)는 공간적으로 제1 커버(3212) 외부를 둘러싸게(surround) 설치되며, 탄성 보상 조인트(elastic expansion joint)(323)은 제2 커버(3222)의 외부에 위치하고, 제1 커버(3212)의 일단에는 제1 플랜지(3211)가 고정 연결되며, 제1 커버(3212)의 제1 플랜지(3211)로부터 멀어지는 타단은 제2 플랜지(3221) 내부에 위치하는 자유단이고, 상기 자유단은 제1 커버(3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변위될 수 있으며, 제1 간극 내에서 좌우로 변위될 수도 있다. 제2 커버(3222)의 제1 플랜지(32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는 제2 플랜지(3221)가 고정 연결되고, 탄성 보상 조인트(323)의 양단은 제1 플랜지(3211)와 제2 플랜지(3221)의 간격이 자유롭게 신축되도록 제1 플랜지(3211) 및 제2 플랜지(3221)와 각각 밀봉 연결되며, 제1 커버(3212)와 제2 커버(3222) 사이에는 제1 간극이 남겨지고, 제2 커버(3222)의 제1 플랜지(3211)에 근접한 일단과 제1 플랜지(3211) 사이에는 제2 간극이 남겨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간극의 간격은 A이다. 상기 제1 간극의 최대값은 제1 커버(3212)의 외벽과 제2 커버(3222)의 내벽 사이의 최대 간격값이다.
제2 플랜지(3221)의 내주원(inner circle) 직경은 제1 플랜지(3211)의 내주원 직경보다 크고, 제1 플랜지(3211)의 내주원 반경값은 B이며, 제1 플랜지(3211)의 내주원을 따라 하단부면에 제1 커버(3212)를 설치하되, 하부로 제2 플랜지(3221)의 단부면까지 연장되고, 제1 커버(3212)의 하단부면에 제1 환형 플레이트(annular plate)(3213)가 밀봉 용접되며, 제1 커버(3212), 제1 플랜지(3211) 및 제1 환형 플레이트(3213)는 용접된 밀봉 구조를 형성하고, 제1 커버(3212)의 측벽 두께는 C이며, 제2 플랜지(3221)의 내주원 반경 D>A+B+C이다.
제2 플랜지(3221)의 내주원을 따라 제2 커버(3222)를 설치하되, 제1 플랜지의 하단부면까지의 간격(제2 간극)이 E가 되는 위치까지 상부로 연장되고, 제2 커버(3222)의 상단부면에 제2 환형 플레이트(3223)가 밀봉 용접되며, 제2 환형 플레이트(3223)의 두께는 F이되, E>A+F이다. 제2 커버(3222), 제2 플랜지(3221) 및 제2 환형 플레이트(3223)는 용접된 밀봉 구조를 형성한다.
제1 커버(3212)의 외주벽에는 제1 입수구(3214) 및 제1 배수구(3215)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입수구(3214)와 제1 배수구(3215)는 연통되며, 제2 커버(3222)의 외주벽에는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입수구(3224)와 제2 배수구(3225)는 연통된다.
제1 입수구(3214), 제1 배수구(3215),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는 모두 탄성 보상 조인트(323)을 관통한다.
제1 플랜지(3211)와 제2 플랜지(3221) 사이에서 제2 커버(3222)의 외주에는 탄성 보상 조인트(323)가 설치되어 있고, 탄성 보상 조인트(323)의 상단 및 하단은 제1 플랜지(3211) 및 제2 플랜지(3221)와 각각 밀봉 연결된다. 탄성 보상 조인트(323), 제1 플랜지(3211) 및 제2 플랜지(3221)는 둘러싸여 밀봉 캐비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보상 조인트(323)의 재질은 금속 파형 보상 조인트(metal corrugated expansion joint)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보상 조인트(323)의 재질은 고무 제품일 수도 있고, 탄성 보상 기능을 만족시킬 수만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입수구(3214) 및 제1 배수구(3215)는 모두 제1 커버(3212)의 상단부(top)에 설치되고,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는 모두 제2 커버(3222)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사용 시, 열교환 매체(물)를 통해 밀봉 기구 중의 재료의 온도를 낮추어 외부로 방출되는 열 복사량을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입수구(3214), 제1 배수구(3215),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는 모두 세 섹션의 연결 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세 섹션의 연결 파이프는 순차적으로 연통된 제1 금속 강성 파이프(metal hard pipe), 제1 호스 및 제2 금속 강성 파이프를 포함하고, 제1 입수구(3214) 및 제1 배수구(3215)의 제1 금속 강성 파이프는 제1 커버(3212)와 연결되며,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의 제1 금속 강성 파이프는 제2 커버(3222)와 연결되고, 제1 입수구(3214), 제1 배수구(3215),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의 제2 금속 강성 파이프는 모두 탄성 보상 조인트(323)와 연결된다. 도 1을 결부하여 보면,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4)은 순차적으로 연통된 기체 유출구(41), 석탄가스 밀봉 기구(42) 및 석탄가스 도관(43)을 포함하고, 기체 유출구(41)의 내부 캐비티는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의 상단부와 연통되며, 사용 시, 석탄가스는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의 상단부를 통해 도출되고, 석탄가스 밀봉 기구(42)를 통과하며, 석탄가스 도관(43)을 통해 도출된다. 석탄가스 도관(43)은 외부로 석탄가스 수집 장치 또는 정화 장치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의 구조는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의 화살표 X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플랜지를 통해 석탄가스 밀봉 기구(42)는 도 1의 기체 유출구(41)와 연결되고,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의 제1 플랜지(3211)는 도 1의 기체 유출구(41)와 연결된다.
도 3에서, 석탄가스 밀봉 기구(42)는 제1 커버(3212) 및 제2 커버(3222)를 포함하고, 제2 커버(3222)는 공간적으로 제1 커버(3212) 외부를 둘러싸게 설치되고, 탄성 보상 조인트(323)은 제2 커버(3222)의 외부에 위치한다.
제1 커버(3212)의 저부단에는 제1 플랜지(3211)가 고정 연결되고, 제2 커버(3222)는 상단부에는 제2 플랜지(3221)가 고정 연결되며, 탄성 보상 조인트(323)의 양단은 제1 플랜지(3211)와 제2 플랜지(3221)의 간격이 자유롭게 신축되도록 제1 플랜지(3211) 및 제2 플랜지(3221)와 각각 밀봉 연결되고, 제1 커버(3212)와 제2 커버(3222) 사이에는 제1 간극이 남겨지며, 제2 커버(3222)의 제1 플랜지(3211)에 근접한 일단과 제1 플랜지(3211) 사이에는 제2 간극이 남겨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커버(3212)의 하부에는 제1 입수구(3214)가 설치되어 있고, 물은 제1 입수구(3214)를 통해 제1 커버(3212)에 진입한다. 제1 커버(3212) 내부에는 오버플로 파이프(overflow pipe)(32121)가 매립되어 있고, 오버플로 파이프(32121)는 L자형이며, 오버플로 파이프(32121)의 일단은 제1 커버(3212)의 챔버 상단부까지 연장되고, 오버플로 파이프(32121)의 타단은 제1 커버(3212) 외부에 위치하는 제1 배수구(3215)와 연통된다.
사용 시, 냉각수는 제1 커버(3212)의 하부의 제1 입수구(3214)를 통해 제1 커버(3212)의 챔버에 진입하고, 점차 상승하며, 냉각수의 액면이 오버플로 파이프(32121)의 진입구(inlet) 높이까지 상승되면, 물은 오버플로 파이프(32121)로 유입되고, 제1 커버(3212) 하부의 제1 배수구(3215)를 통해 유출된다. 이로써 냉각 및 단열의 열교환이 실현된다.
가스 밀봉 기구(42)의 제2 커버(3222) 내부에도 수냉 캐비티(water cooling cavity)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커버(3222)의 대향되는 양측에는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의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는 모두 제2 커버(3222)의 상부에 설치된다. 사용 시, 도 3의 제2 커버(3222) 좌측의 제2 입수구(3224)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액면 높이가 제2 배수구(3225)의 높이를 초과하면, 물은 제2 커버(3222) 외부로 넘쳐 흐른다.
본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의 이중층 수냉 커버 구조를 통해 재료와 석탄가스의 복사열을 흡수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와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의 탄성 보상 조인트(323)의 재질은 모두 탄성 고무 제품이고; 도 2 및 도 3에서,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와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의 탄성 보상 조인트(323)의 재질은 모두 금속 파형 보상 조인트가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와 도 2에 도시된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의 제2 입수구(3224)는 제2 커버(3222)의 저부에 설치되고,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의 제2 배수구(3225)는 제2 커버(3222)의 상단부에 설치되나; 도 2에서,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의 제2 입수구(3224)와 제2 배수구(3225)는 모두 제2 커버(3222)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도 4에서,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의 제1 입수구(3214), 제1 배수구(3215),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는 모두 두 섹션의 연결 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두 섹션의 연결 파이프는 서로 연통된 제3 금속 강성 파이프 및 제2 호스를 포함하고, 제1 입수구(3214) 및 제1 배수구(3215)의 제3 금속 강성 파이프는 제1 커버(3212)와 연결되며,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의 제3 금속 강성 파이프는 제2 커버(3222)와 연결되고, 제1 입수구(3214), 제1 배수구(3215),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의 제2 호스는 모두 탄성 보상 조인트(323)를 관통하며, 탄성 보상 조인트(323)와 밀봉 연결된다. 제2 호스는 재료 배출 기구의 변위를 보상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와 비교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의 제2 커버(3222)의 제2 입수구(3224)는 제2 커버(3222)의 저부에 설치된다.
도 5에서, 석탄가스 밀봉 기구(42)가 가스 열교환을 진행할 때, 냉수는 제2 커버(3222) 저부의 제2 입수구(3224)로 진입하고, 제2 커버(3222)의 액면이 제2 배수구(3225) 높이까지 상승하면, 수류는 제2 배수구(3225)를 따라 넘쳐 흐른다. 제1 커버에서, 냉각수는 제1 커버(3212)의 하부 제1 입수구(3214)를 통해 제1 커버(3212)의 챔버에 진입하고, 액면이 오버플로 파이프(32121) 높이까지 상승하면, 오버플로 파이프(32121)로 유입되며, 제1 커버(3212) 하부의 제1 배수구(3215)를 통해 유출된다. 이로써 냉각 및 단열을 위한 열교환이 실현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로터리 킬른 설비와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킬른 설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4)은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의 단부면(end face)에 위치하고,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3)은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의 저부면에 위치하나, 도 1의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4)은 모두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7을 참조하면, 도 3의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와 비교할 경우, 도 7의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이중층 커버는 제1 입수구(3214), 제1 배수구(3215),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중층 커버 내부에는 모두 보온층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3212) 내부에는 제1 보온층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커버(3222) 내부에는 제2 보온층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3211) 및 제1 환형 플레이트(3213)의 용접 연결부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갭(ventilation gap)을 남기고, 제2 커버(3222)와 제2 플랜지(3221) 및 제2 환형 플레이트(3223)는 용접 연결 구조를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갭을 남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의 제1 커버(3212)의 외층 커버에 두 개의 통기 홀(gas hole)을 남기고, 제2 커버(3222)의 외층 커버에 두 개의 통기 홀을 남겼다.
도 8에서,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의 제1 커버(3212) 내부에는 제1 보온층이 설치되어 있고, 제1 커버(3212)의 구조는 도 7의 제1 커버(3212)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8에서, 제2 커버(3222) 내부에는 수냉 캐비티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커버(3222)의 양측에는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8에서, 제2 입수구(3224) 및 제2 배수구(3225)는 모두 제2 커버(3222)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사용 시, 제2 입수구(3224)를 통해 물이 진입하고, 수냉 캐비티 내부의 액면 높이가 제2 배수구(3225)보다 높으면, 순환수는 제2 배수구(3225)를 통해 넘쳐 흐른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8의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와 비교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즉, 도 8에서, 제2 커버(3222)의 제2 입수구(3224)는 제2 커버(3222)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의 재료배출 밀봉 기구(32)는 로터리 킬른 테일(1),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 및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5)을 포함한다.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5)은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4) 및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3)을 포함한다.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3)은 재료 배출구(31), 재료배출 밀봉 기구(32) 및 리시빙 탱크 포트(33)를 포함한다.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의 구조는 도 10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커버(3212) 내부에는 제1 보온층이 설치되어 있고, 수냉 캐비티, 제1 입수구(3214), 제1 배수구(3215)를 포함하지 않는다.
제1 커버(3212)의 외층과 제1 환형 플레이트(3213)의 연결부에는 하나의 통기성 갭이 남겨진다.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4)은 순차적으로 연통된 기체 유출구(41), 석탄가스 밀봉 기구(42) 및 석탄가스 도관(43)을 포함한다.
가스 밀봉 기구(42)의 구조는 실시예1의 도 3을 참조할 수 있는바, 도 3의 화살표 X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플랜지를 통해 석탄가스 밀봉 기구(42)는 도 1의 기체 유출구(41)와 연결되고, 석탄가스 밀봉 기구(42)의 제1 플랜지(3211)는 도 1의 기체 유출구(41)와 연결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의 제2 커버(3222) 외부의 제2 입수구(3224)는 제2 커버(3222)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2 배수구(3225)는 제2 커버(3222)의 상부에 설치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의 재료배출 밀봉 기구의 구조와 비교할 경우, 도 12의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의 구조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제2 커버(3222) 내부에는 제2 보온층으로 채워지고, 제2 커버(3222) 외측에는 하나의 통기 홀(미도시)이 설치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도 1과 비교할 경우, 도 13의 상이한 점은 다음과 같다: 도 1의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4)은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3)은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2)의 저부에 위치하지만, 도 13의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4)과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3)은 재료배출 밀봉 기구(32)를 공유한다. 리시빙 탱크 포트(33)의 저부에는 재료배출 탱크(material-discharging bin)(34)가 연결되고, 재료 배출 탱크(34)의 옆에는 기체 유출구(41)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체 유출구(41)는 석탄가스 도관(43)과 연통된다.
사용 시, 연기와 재료는 동시에 재료배출 밀봉 기구(32)에서 재료 배출 탱크(34)로 진입하고, 기체가 분리된 후, 재료배출 탱크(34) 상단부의 기체 유출구(41)를 통해 배출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며,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은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지는 임의의 수정, 균등 교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된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은 상이한 방향으로의 스윙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봉 수요도 만족시킬 수 있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1-로터리 킬른 테일; 2-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3-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 4-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 5-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21-횡방향 통체; 22-단부면; 31-재료 배출구; 32-재료배출 밀봉 기구; 33-리시빙 탱크 포트; 34-재료배출 탱크; 3211-제1 플랜지; 3221-제2 플랜지; 3212-제1 커버; 32121-오버플로 파이프; 3213-제1 환형 플레이트; 3214-제1 입수구; 3215-제1 배수구; 3222-제2 커버; 3223-제2 환형 플레이트; 3224-제2 입수구; 3225-제2 배수구; 323-탄성 보상 조인트; 41-기체 유출구; 42-가스 밀봉 기구; 43-석탄가스 도관.

Claims (16)

  1.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은,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은 재료 배출구, 재료배출 밀봉 기구 및 리시빙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재료 배출구, 상기 재료배출 밀봉 기구 및 상기 리시빙 탱크는 순차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은 기체 유출구, 석탄가스 밀봉 기구, 석탄가스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기체 유출구, 상기 석탄가스 밀봉 기구 및 상기 석탄가스 도관은 순차적으로 연통되며;
    상기 재료배출 밀봉 기구 및 상기 석탄가스 밀봉 기구는 모두 제1 커버와 제2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버는 공간적으로 상기 제1 커버 외부를 둘러싸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는 제1 간극이 남겨지며, 상기 제1 커버의 일단에는 제1 플랜지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버의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는 제2 플랜지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는 타단은 상기 제2 플랜지 내부에 위치하는 자유단이고, 상기 제2 커버의 제1 플랜지에 근접한 일단과 상기 제1 플랜지 사이에는 제2 간극이 남겨지며,
    상기 제2 커버 외부에는 탄성 보상 조인트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의 양단은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와 각각 밀봉 연결되며,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의 간격이 신축 가능하도록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는 둘러싸여 밀봉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제2 플랜지에 근접한 단부면에는 제1 환형 플레이트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1 커버,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1 환형 플레이트는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커버의 상기 제1 플랜지에 근접한 단부면에는 제2 환형 플레이트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2 커버, 상기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2 환형 플레이트는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은 제1 입수구, 제1 배수구,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내부에는 모두 수냉식 밀봉 캐비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입수구 및 상기 제1 배수구는 상기 제1 커버 외주벽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입수구 및 상기 제1 배수구는 모두 상기 제1 커버의 수냉식 밀봉 캐비티와 연통되며,
    상기 제2 입수구 및 상기 제2 배수구는 상기 제2 커버의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입수구 및 상기 제2 배수구는 모두 상기 제2 커버의 수냉식 밀봉 캐비티와 연통되며,
    상기 제1 입수구, 제1 배수구,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는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를 관통하고, 상기 제1 입수구, 제1 배수구,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는 모두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와 밀봉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는 탄성 고무 제품 또는 금속 파형 보상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가 금속 파형 보상 조인트일 경우, 상기 제1 입수구, 제1 배수구,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는 모두 세 섹션의 연결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세 섹션의 연결 파이프는 순차적으로 연통된 제1 금속 강성 파이프, 제1 호스 및 제2 금속 강성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수구 및 상기 제1 배수구의 제1 금속 강성 파이프는 모두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의 제1 금속 강성 파이프는 모두 상기 제2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입수구, 상기 제1 배수구, 상기 제2 입수구 및 상기 제2 배수구의 제2 금속 강성 파이프는 모두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가 탄성 고무 제품일 경우, 상기 제1 입수구, 제1 배수구,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는 모두 두 섹션의 연결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두 섹션의 연결 파이프는 서로 연통된 제3 금속 강성 파이프 및 제2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수구 및 상기 제1 배수구의 제3 금속 강성 파이프는 모두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의 제3 금속 강성 파이프는 모두 상기 제2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입수구, 상기 제1 배수구, 상기 제2 입수구 및 상기 제2 배수구의 제2 호스는 모두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내부에는 제1 보온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커버 내부에는 제2 보온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외주에는 모두 통기 홀이 개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와 제1 플랜지의 연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갭이 남겨지고,
    상기 제2 커버와 제2 플랜지의 연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갭이 남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9. 제6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1 환형 플레이트의 연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갭이 남겨지고;
    상기 제2 커버와 상기 제2 환형 플레이트의 연결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성 갭이 남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내부에는 제1 보온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커버 내부에는 수냉 캐비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은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수구 및 상기 제2 배수구는 상기 제2 커버의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입수구 및 상기 제2 배수구는 모두 상기 수냉 캐비티와 연통되고,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는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를 관통하며, 상기 제2 입수구 및 제2 배수구는 모두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와 밀봉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는 환형이고, 상기 제2 플랜지의 내주원 반경은 D이며, 상기 제1 플랜지의 내주원 반경은 B이고, 상기 제1 플랜지의 측벽 두께는 C이며, 상기 제1 간극의 간격은 A이며, D>A+B+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환형 플레이트의 두께는 F이고, 제2 간극의 간격은 E이며, E>A+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13.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수구 및 상기 제1 배수구는 모두 상기 제1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은 오버플로 파이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버플로 파이프는 상기 제1 커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버플로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제1 커버의 상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오버플로 파이프의 타단은 상기 제1 배수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14. 로터리 킬른 설비에 있어서,
    로터리 킬른 테일,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및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킬른 테일은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 및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은 모두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설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의 기체 유출구는 상기 재료배출 커버의 단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설비.
  16. 로터리 킬른 설비에 있어서,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재료배출 밀봉 시스템은 순차적으로 연통된 재료 배출구, 재료배출 밀봉 기구 및 리시빙 탱크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 킬른 재료배출 커버 기체 유출 밀봉 시스템은 기체 유출구 및 석탄가스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유출구의 일단은 상기 리시빙 탱크 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기체 유출구의 타단은 상기 석탄가스 도관과 연통되고, 상기 기체 유출구는 상기 리시빙 탱크 포트 내부의 기체를 상기 석탄가스 도관 내부로 유입되게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재료배출 밀봉 기구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공간적으로 상기 제1 커버 외부를 둘러싸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는 제1 간극이 남겨지고, 상기 제1 커버의 일단에는 제1 플랜지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2 커버의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는 제2 플랜지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멀어지는 타단은 상기 제2 플랜지 내부에 위치하는 자유단이며, 상기 제2 커버의 제1 플랜지에 근접한 일단과 상기 제1 플랜지 사이에는 제2 간극이 남겨지며,
    상기 제2 커버 외부에는 탄성 보상 조인트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의 양단은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와 각각 밀봉 연결되며,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의 간격이 신축 가능하도록 상기 탄성 보상 조인트,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는 둘러싸여 밀봉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제2 플랜지에 근접한 단부면에는 제1 환형 플레이트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1 환형 플레이트는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커버의 상기 제1 플랜지에 근접한 단부면에는 제2 환형 플레이트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버, 상기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2 환형 플레이트는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 설비.
KR1020227001499A 2020-04-01 2020-08-06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설비 KR102652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53033.2 2020-04-01
CN202010253033.2A CN111322413A (zh) 2020-04-01 2020-04-01 一种回转窑密封系统和回转窑设备
PCT/CN2020/107522 WO2021196484A1 (zh) 2020-04-01 2020-08-06 一种回转窑密封系统和回转窑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384A true KR20220020384A (ko) 2022-02-18
KR102652304B1 KR102652304B1 (ko) 2024-03-27

Family

ID=7116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499A KR102652304B1 (ko) 2020-04-01 2020-08-06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설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381511A1 (ko)
EP (1) EP3951300B1 (ko)
JP (1) JP7387762B2 (ko)
KR (1) KR102652304B1 (ko)
CN (1) CN111322413A (ko)
AU (1) AU2020440028B2 (ko)
CA (1) CA3139231C (ko)
WO (1) WO2021196484A1 (ko)
ZA (1) ZA2021089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2413A (zh) * 2020-04-01 2020-06-23 河南龙成煤高效技术应用有限公司 一种回转窑密封系统和回转窑设备
CN114485150B (zh) * 2022-02-10 2023-05-26 常州市东工自动化装备有限公司 真空回转窑进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5198A (ja) * 2003-12-27 2005-07-21 Shin Nihonkai Jukogyo Kk ロータリーキルンのシール構造
EP2110631A1 (en) * 2008-04-14 2009-10-21 Danieli Corus BV Rotary kiln with infrared heating means
CN106523833A (zh) * 2015-09-12 2017-03-22 江苏百事得波纹管有限公司 一种落渣管补偿器
CN110762317A (zh) * 2018-07-28 2020-02-07 江苏百事得波纹管有限公司 一种在线监测免维护落渣管补偿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7621A1 (de) * 1985-08-01 1987-02-05 Metallgesellschaft Ag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rberkorn aus dem heissen austragsmaterial eines drehrohrofens bei der direktreduktion von eisenoxidhaltigen materialien zu eisenschwamm
JP4750973B2 (ja) * 2001-07-09 2011-08-17 高砂工業株式会社 外熱式ロータリーキルンの出口部分または入口部分のシール構造
CN105526797A (zh) * 2014-10-20 2016-04-27 四川绿冶科技有限责任公司 回转窑密封装置
CN207562852U (zh) * 2017-11-14 2018-07-03 湖南昌迅科技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卧式旋转压力反应炉的进出料装置
CN207688630U (zh) * 2017-12-07 2018-08-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八研究所 一种气氛回转炉密封装置
CN110762315A (zh) * 2018-07-28 2020-02-07 江苏百事得波纹管有限公司 一种设置报警装置的落渣管补偿器
CN110762320A (zh) * 2018-07-28 2020-02-07 江苏百事得波纹管有限公司 一种免维护落渣管补偿器
CN111322413A (zh) * 2020-04-01 2020-06-23 河南龙成煤高效技术应用有限公司 一种回转窑密封系统和回转窑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5198A (ja) * 2003-12-27 2005-07-21 Shin Nihonkai Jukogyo Kk ロータリーキルンのシール構造
EP2110631A1 (en) * 2008-04-14 2009-10-21 Danieli Corus BV Rotary kiln with infrared heating means
CN106523833A (zh) * 2015-09-12 2017-03-22 江苏百事得波纹管有限公司 一种落渣管补偿器
CN110762317A (zh) * 2018-07-28 2020-02-07 江苏百事得波纹管有限公司 一种在线监测免维护落渣管补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22413A (zh) 2020-06-23
CA3139231A1 (en) 2021-10-07
ZA202108968B (en) 2023-01-25
AU2020440028B2 (en) 2023-03-02
JP7387762B2 (ja) 2023-11-28
EP3951300A4 (en) 2022-10-12
US20220381511A1 (en) 2022-12-01
WO2021196484A1 (zh) 2021-10-07
CA3139231C (en) 2024-01-23
EP3951300A8 (en) 2022-03-23
KR102652304B1 (ko) 2024-03-27
EP3951300A1 (en) 2022-02-09
AU2020440028A1 (en) 2021-12-09
JP2022533164A (ja) 2022-07-21
EP3951300B1 (en)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0384A (ko) 로터리 킬른 밀봉 시스템 및 로터리 킬른 설비
US10012443B2 (en) Molten metal leakage confinement and thermal optimization in vessels used for containing molten metals
RU2358831C2 (ru) Нагреваемый желоб для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еталла
RU2014112235A (ru)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и изолированный резервуар, установленный на опорном устройстве
NO784243L (no) Kjoelet mantel for lysbueovn.
US4245696A (en) Apparatus for cooling hot gas
CN212360785U (zh) 一种回转窑密封系统和回转窑设备
RU2787765C1 (ru) Система герметизации вращающейся обжиговой печи и оборудование вращающейся обжиговой печи
US3995918A (en) System for bearing a nuclear reactor vessel cooled by liquid metal
KR101013150B1 (ko) 폐열 회수 장치 및 방법
US20150170772A1 (en) Component cooling water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CN101566434A (zh) 转炉活动烟罩柔性圈机械密封装置及密封方法
KR101853953B1 (ko) 폐기 가스 파이프의 관통관 설치 구조 및 방법
CN216337464U (zh) 一种防止气化炉环隙故障的密封设备
CN114104202B (zh) 液货舱的薄膜式导流装置、压力报警系统和液化气体船
JP3170131B2 (ja) クリンカーホッパ
CN209726627U (zh) 一种用于深冷空分系统的防爆换热设备
JP2691726B2 (ja) 息抜き装置を設けた二重殻式低温タンクと該タンクに使用する息抜き装置
CN101644541B (zh) 一种环形风道隔断
RU2020125268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SU1188298A1 (ru) Корпус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
RU2024100698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хранения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JP2649247B2 (ja) 息抜き装置を内蔵した二重壁式低温タンクおよび該二重壁式低温タンクに改造する構築方法。
JPS58172588A (ja) 高速炉のル−フスラブ
RU2382275C1 (ru) Компенс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