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825A -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825A
KR20220019825A KR1020227001529A KR20227001529A KR20220019825A KR 20220019825 A KR20220019825 A KR 20220019825A KR 1020227001529 A KR1020227001529 A KR 1020227001529A KR 20227001529 A KR20227001529 A KR 20227001529A KR 20220019825 A KR20220019825 A KR 20220019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ver
roller
display unit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훈
김재군
김재용
백만인
소현우
이보성
진관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1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롤러, 상기 롤러에 롤링(rolling)되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게 접합된 모듈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싱기 디스플레이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링크 어셈블리,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커버는 항복 변형률이 0.5% 이상인 모듈커버와, 상기 모듈커버에 접합(lamination)되고 상기 모듈커버의 연신율보다 높은 연신율을 갖는 필름부를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가 롤링(rolling)되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디스플레이를 사용시에는 폈다가 사용하지 않을 때는 말아 보관할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구현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모듈커버 및 이를 포함해 구성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모듈커버 및 이를 포함해 구성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얇은 두께의 디스플레이부에 위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되므로 심미감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디스플레이부가 롤링되는 롤러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슬림한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가 베젤을 포함하도록 구성해 충격에 취약한 디스플레이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모습을 단순화해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롤러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후면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링크 어셈블리가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벤딩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B-B'선에 따른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모듈커버를 구성하는 모듈커버의 평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12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모듈커버 중 절개부가 형성된 단부를 선택적으로 확대해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벤딩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벤딩 가공해 형성된 베젤부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디스플레이부와 롤러의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디스플레이부가 롤러에 감겼을 때와 펴졌을 때, 베젤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설명하기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은 선택에 따라 간략한 도시를 위해, 각 부의 구성이 도면에 따라 조금 다르게 표현될 수도 있으나, 동일한 도면 번호인 경우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중 휘어지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외관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모습을 단순화해 도시하며, 도 2는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20)와 하우징(30)를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영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모서리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바람직한 한 형태에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다양한 종류의 휘어지는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기와 같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보다 클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를 지지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롤링(rolling)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면대면으로 마주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바로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형태에서, 모듈커버(15)는 경화한 경우에 일정 강도 이상을 갖는 접착제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접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는 하나의 어셈블리(assembly)를 이뤄 하나의 몸체로 동작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부(20)를 위 아래로 승강시키며, 또한 방향에 따라서는 잘 접히거나 또는 접히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모듈커버(15)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하우징(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수납하는 한편, 또한 디스플레이부(20)를 승강시키기 위한 다수의 기계적 구성,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구동 회로들을 그 내부에 실장할 수 있다.
이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제1 상태는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이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이고, 제2 상태는 하우징(30) 외부에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제1 상태는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상태이고, 제2 상태는 디스플레이부(20)가 펴진 상태일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20)의 활성영역이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30)에 차폐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동작하지 않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에 화면을 표시하지 않을 때 제1 상태를 유지하고, 동작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에 화면을 표시할 때 제2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예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승강시키기 위한 롤러(143)를 더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롤러(143)는 하우징(30)의 내부에 시계방향의 회전 운동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 운동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일단은 롤러(143)에 연결되어 있으며, 롤러(143)의 회전 운동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가 승강하면서 하우징(30) 밖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하우징(30) 내부에 수납될 수가 있다.
또는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143)에 감겨진 상태이고, 제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143)에서 풀어져 외부로 노출된 상롤러와 디스플레이부(20)의 자세한 구조 및 작동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처럼 일 실시예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할 때만 디스플레이부(20)를 하우징(30)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4를 참조로, 디스플레이부(20)와 롤러(143)의 배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롤러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일 단에 롤러(143)가 연결될 수 있다. 롤러(143)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 1 상태에 또는 제2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을 권취(winding and unwinding)할 수 있다. 롤러(143)는 화살표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디스플레이부(20)를 승강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디스플레이부(20)를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롤러(143)가 이처럼 동작할 때, 디스플레이부(20)는 전면(front)이 -z축을 향하는 방향이고, 후면이 +z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전면이 롤러(143)에 바깥을 향하도록(outward) 권취될 수가 있다. 디스플레이부(20)를 이처럼 권취하면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30) 밖으로 승강할 때 하우징(30)의 모서리에 가깝게 위치해 디스플레이부(20)가 승강되므로, 디스플레이부(20) 화면 앞쪽의 하우징(30) 위로 물건을 수납할 만한 공간을 없애, 화면 앞쪽의 하우징 위로 배치된 물건 때문에 화면이 가려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20)는 전면(front)이 +z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후면이 -z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롤러에 권취될 때 안쪽)의 적어도 일부에 소스 PCB(120)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PCB(120)는 이웃한 것과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120)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과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120)는 소스 COF(Chip On Film, 123)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PCB(120)의 일측과 연결된 소스 COF(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활성 영역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부(20)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될 수 있다.
롤러(143)의 외주에는 안착부(379)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79)는 롤러(143) 외주의 일부가 단차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롤러(143) 안쪽으로 수용공간(B)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79)는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 권취될 때 소스 PCB(120)가 롤러(143)에 접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가 감길 때 소스 PCB(120)는 안착부(379)가 형성하는 수용공간(B)로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143)가 감겨도 소스 PCB(120)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143) 내부로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와 소스 PCB(120)는 FFC 케이블(11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롤러(143)는 하나의 몸체보다는 2개의 몸체로 구성되어, 상부 롤러(331)와 하부 롤러(3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롤러(331)와 하부 롤러(337)는 제한없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둘 사이가 조립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둘 사이는 스크류 체결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상부 롤러(331)와 하부 롤러(337)의 사이에 실장될 수 있다. FFC 케이블(117)은 상부 롤러(331)에 위치한 홀(331a)을 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 및 소스 PCB(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되는 경우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롤러(143)와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FFC 케이블(117)이 꼬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롤러(143) 내부에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가 실장되므로 공간 역시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0)의 구동을 위한 메인 보드와 파워 서플라이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이들은 하우징의 내부 벽면에 마운트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105)는 메인 보드 및 파워 서플라이와 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디스플레이부(2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후면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20)를 승강시키는 링크 어셈블리(LA)를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LA)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제1 상태에서 하우징(30)의 내부에 접어진 상태로 위치해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 감겨진 상태로 하우징(3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가 전개되어 하우징(30)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30)은 링크 어셈블리(LA) 및 모터 어셈블리(137)가 설치되는 마운팅으로 기능해, 링크 어셈블리(LA) 및 모터 어셈블리(137)를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30)은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3)를 포함하며,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3)는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서는 롤러(143)가 보여지도록 제1 베이스(31)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롤러(143)는 제1 베이스(31)와 제2 베이스(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양 단이 하우징(30)에 축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143)는 롤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가 있다.
링크 어셈블리(LA)는 제1 베이스(31) 위로 배치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LA)는 디스플레이부(2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LA)는 디스플레이부(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서포터(75)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상단이 서포터(75)에 고정되고, 하단은 롤러(143)에 고정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LA)는 전개되었을 때(또는 펴졌을 때), 디스플레이부(20)가 굴곡없이 반듯하게 펴지도록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LA)가 하우징(30)에 연결되는 부분에 모터 어셈블리(137)가 위치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는 링크 어셈블리(LA)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는 전기신호를 받아 물리적 힘으로 전환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는 링크 어셈블리(LA)에 회전 에너지를 전달하여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LA)는 서포터(75) 및 이 서포터(75)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링크(73)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75)는 디스플레이부(20)의 끝을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는 서포터(75)의 승강 동작에 맞춰 동일하게 승강될 수 있다.
링크(73)는 상부 링크(73a)과 하부 링크(73b)를 포함하며, 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링크(73a)은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 링크(73b)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링크(73a)과 하부 링크(73b)은 조인트(15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링크(73a)의 일 단은 서포터(75)와 체결될 수 있고, 상부 링크(73a)의 타 단은 조인트(152)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링크(73b)의 일 단은 모터 어셈블리(137)에 회전 가능하게 축 연결될 수 있고, 하부 링크(73b)의 타 단은 조인트(152)에 체결될 수 있다.
조인트(512)는 상부 링크(73a) 및 하부 링크(73b)에 각각 설치된 기어(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부 링크(73a)의 기어와 하부 링크(73b)의 기어는 서로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73)는 조인트(512)를 중심으로 대칭하는 움직임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같은 링크(73)는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고, 쌍을 이뤄 동작할 수 있다. 즉, 왼쪽 링크와 오른쪽 링크가 동일한 운동량을 갖도록 제어되어야지만 디스플레이부(20)가 기울지거나 구겨지지 않고 똑바로 직립한 상태로 승강될 수가 있다.
이 점을 고려해 일 예에서는 링크 어셈블리(LA)는 링크(73)를 지지하는 쇼바(72)를 더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쇼바(72)의 일단은 링크(73), 보다 정확히는 하부 링크(73b)에 회전 가능하게 축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베이스(31)에 회전 가능하게 축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쇼바(72)는 유압실린더(oil hydraulic cylinder), 공압실린더(에어실린더, pneumatic cylinder 또는 air cylinder) 또는 액츄에이터(actuator)일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른 쇼바는 피스톤과 실린더를 포함하며, 실린더 내부는 유압이나 기체로 채워질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링크 어셈블리(L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링크 어셈블리가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일 실시예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터 어셈블리(137)의 동작에 의해 링크(73)가 회전/피봇 동작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서포트(75)가 승강되게 동작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의 회전 운동은 모터 어셈블리(137)와 하부 링크(73b) 사이에 배치된 기어 구성(미도시)에 의해 링크(73)가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봇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 예로, 모터 어셈블리(137)의 축이 회전함에 따라 조인트(152)를 중심으로 연결된 상부 링크((73a)과 하부 링크(73b)이 이루는 각도는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처럼 상부 링크((73a)과 하부 링크(73b)이 접었다 펴지면서 조인트를 중심으로 한 상부 링크((73a)과 하부 링크(73b)이 이루는 각도를 줄이거나 커지도록 하는 동작을 피봇 동작이라 할 수 있다.
링크(73)가 피봇되어짐에 따라서, 탑 케이스(950)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 케이스(950)에 일단이 연결된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143)에서 풀리면서 위쪽으로 승강될 수 있다.
링크(73)가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으로 피봇됨에 따라, 쇼바(72)의 길이는 가변되어진다. 링크(73)가 전개되는 경우에, 하부 링크(73b)에 일단이 연결된 쇼바(72)는 그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면서, 유압이 커져 링크(73)가 기립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37)가 하부 링크(73b)를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시계 방향)으로 피봇시키게 되면, 하부링크(73b)와 상부링크(73a)가 이루는 각도는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서포터(75)는 -y축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디스플레이부(20)의 일부는 롤러(143)에 감길 수 있다. 그리고, 모터 어셈블리(137)가 하부링크(73b)를 베이스(31)에 대해 기립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피봇시킴에 따라, 쇼바(72)의 길이는 줄어들 수 있다.
이처럼 하부링크(73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또는 링크(73)가 피봇하게 됨에 따라, 왼쪽 링크의 조인트와 오른쪽 링크의 조인 사이의 거리는 작아지고, 최소값을 가질 때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다. 반대로, 왼쪽 링크의 조인트와 오른쪽 링크의 조인 사이의 거리가 최대 값을 가질 때, 링크(73)는 완전히 기립(링크가 베이스와 90도를 이루는 상태)해 디스플레이부(20)를 완전히 펼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2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롤링(rolling)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20)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B-B'선에 따른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평판의 디스플레이 패널(10)가 면대면(face to face)으로 모듈커버(15)에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일 예로, 도면의 x축 방향을 축으로 회전해 롤러에 말리고 또한 롤러에서 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형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휘어지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휘어지고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10)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모듈커버(15)는 얇은 모듈커버(plate)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약 0.1(mm) ~ 0.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기에 맞춰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모듈커버(15)의 두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고, 반대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크기가 커지면 그에 맞춰 커질 수 있다. 또한 모듈커버(15)는 구조 강성의 크기에 따라 그 두께가 조정될 수 있다. 구조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두께가 커질 수 있고, 반대로 구조 강성을 줄이는 경우에는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모듈커버(15)의 두께는 롤러(137)의 크기, 보다 정확히는 원기둥 형상인 롤러(137)의 지름 크기에 의존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롤러(137)의 지름이 커지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20)에 요구되는 곡률 반경은 그만큼 커지므로 모듈커버(15)의 두께는 커질 수 있다. 반대로 롤러(137)의 지름이 작아지는 경우는 디스플레이부(20)에 요구되는 곡률 반경은 비례해서 작아지므로 모듈커버(15)의 두께는 작아져야 한다.
일 실시예의 모듈커버(15)는 얇은 두께의 탄성 복원력이 뛰어난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항복 변형률이 0.5% 이상인 금속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모듈커버(15)는 티타늄(Ti)일 수 있다. 모듈커버(15)가 티타늄으로 구성되면, 얇은 박판으로 모듈커버(15)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식성이 뛰어나 오염으로부터 모듈커버(1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항복 변형률(y)은 항복 강도(yield strength)를 탄성 계수로 나눈 값(항복강도/탄성계수)으로 정의되는 물리량이다.
여기서, 항복 강도는 제조 과정에서 조정이 가능하나, 탄성 계수는 물질마다 정해진 고유한 물리량이기 때문에 탄성 계수가 낮은 티타늄을 가지고 모듈커버(15)를 구성하면, 항복 변형률을 쉽게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20)는 롤러(143)에 감기거나 또는 롤러(143)에서 풀려 디스플레이로 기능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부(20)를 감거나 펼치기 위해서는 롤러(143)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필요한데 모듈커버(15)의 항복 변형률이 0.5%보다 작은 경우 모듈커버(15)에 내재되는 변형력으로 인해 영구 변형이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롤러(143)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과도하게 필요해 제 기능을 발휘하기가 힘들다. 때문에, 모듈커버(15)의 항복 변형률은 적어도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항복 변형률은 모든 소재의 탄력 특성(Flexibiliy)을 정의할 수 있는 정량적 수치(또는, 비율)로, 소재의 두께가 두꺼우면 탄성력이 떨어지고, 두께가 얇을수록 탄성력은 좋아진다.
소재가 티타늄인 경우, 모듈커버(15)의 두께는 0.1(mm)~0.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두께가 0.1(mm)보다 작으면, 구조 강도 및 강성을 원하는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두께가 0.2(mm)보다 크게 되면 소재의 탄성력이 떨어져 디스플레이부를 펼쳤을 때 제대로 형태 유지가 되지 않아 디스플레이로 기능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모듈커버(15)를 0.1(mm)~0.2(mm)의 두께를 갖는 티타늄으로 형성하면, 롤러(143)의 지름을 60(mm) 이하로 구성하더라도 영구 변형없이 디스플레이부(20)를 안정적으로 롤러(142)에 권취할 수가 있다.
한편, 이처럼 구성되는 모듈커버(15)는 접착제(13)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접착제(13)를 통해 면대면 접합될 수가 있다. 이때, 접착제(13)의 점착력은 1,000(gf/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접착제(13)의 점착력이 1,000(gf/25mm)보다 작으면, 디스플레이부(20)를 롤러(143)에 권취할 때 기계적 접합력이 부족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 사이가 들뜨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모듈커버(15)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모서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보다 더 높게 형성된 베젤부(17a, 17b)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듈커버(15)는 회전축(도면의 x축 방향)의 양 단부에 제1 및 제2 베젤부(17a, 17b)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베젤부(17a, 17b)는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z축 방향)을 따라 모듈커버(15)의 단부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형태에서, 베젤부(17a, 17b)의 두께(t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두께(t2)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베젤부(17a, 17b)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모서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가 있다.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0)의 두께는 0.3(mm)일 수 있고, 베젤부(17a, 17b)의 두께는 1(mm) 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단부는 베젤부(17a, 17b)로부터 일정 거리(d1)만큼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일정 거리(d1)는 보더 갭(boarder gap)을 형성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응력이 발생해 변형할 때 베젤부(17a, 17b)와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롤링에 권취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에 응력이 내재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변형될 수가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동작하거나 또는 주변 온도에 의해 열팽창 또는 열수축할 수 있는데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베젤부(17a, 17b)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모듈커버(15)는 티타늄으로 구성될 수 있는 모듈커버(151)와 이 모듈커버(151)에 라미네이션(lamination)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는 필름부(15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름부(152)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모듈커버(151)의 연신율보다 큰 연신율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는 모듈커버(151)는 소재 자체가 딱딱해 롤러에 권취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충격을 줄 수가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모듈커버(151)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부(152)의 연신율이 모듈커버(151)보다 더 좋다면,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 권취될 때 모듈커버(151)보다 더 늘어나면서 모듈커버(15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로 전달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보호할 수가 있다.
한편, 모듈커버(151)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향하는 제1 면(151a)과, 상기 제1 면(15a)의 반대 면인 제2 면(151b)을 포함한다고 하면, 필름부(152)는 상기 제1 면(151a)에 형성되는 제1 부분(152a)과 상기 제2 면(151b)에 형성되는 제2 부분(152b)을 포함하고, 제1 부분(152a)의 두께(S1)는 상기 제2 부분(152b)의 두께(S2)와 같거나 두꺼울 수 있다. 제1 부분(152a)의 두께(S1)가 제2 부분(152b)의 두께(S2)보다 두꺼우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고, 또한 제1 부분(152a)과 제2 부분(152b)의 두께를 다르게 구성해 필름부(152)의 전체 두께를 슬림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모듈커버(15)를 구성하는 모듈커버의 평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일 예에서, 모듈커버(151)는 이음새가 없는 1장으로 구성(도 11)되거나, 또는 이음새(Me)를 갖는 복수의 판재(1511 ~ 15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모듈커버(151)는 가로폭이 1500(mm), 세로폭이 650(mm)의 대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모듈커버(151)의 평탄도가 원하는 범위 내로 형성되지 않으면, 모듈커버(15)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합하게 되면, 얇은 두께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모듈커버(15)를 따라 울게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부착될 수가 있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해, 모듈커버(151)는 복수개의 판재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모듈커버(151)가 복수 개의 판재(1511 ~ 1514)를 포함하는 경우에, 판재끼리는 맞대기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맞대기 용접은 도 13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모재(1512, 1513)를 동일한 평면에 배치해 서로 맞대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맞댄 부분(Me)을 용접해 두 모재를 접합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일 예의 모듈커버(151)는 판재들(1511 ~ 1514)이 이처럼 맞대기 용접을 통해 이웃한 것과 연결되므로, 모듈커버(151)가 대면적을 갖더라도 판재들(1511 ~ 1514)이 동일 평면에 배치가 되어 원하는 평탄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모듈커버(151)가 롤링될 때 각 판재에 동일한 변형력이 발생하도록 판재들(1511 ~ 1514)의 크기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일한 크기라 함은 각 판재들(1511 ~ 1514)이 사각 형상이라고 할 때, 가로*세로*두께가 모두 동일해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판재와 판재를 맞대기 용접할 때 이음새(Me)를 전체적으로 용접하는 것보다는 스팟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팟(spot) 용접은 용접 부위(WP)가 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음새(Me)를 스팟 용접함에 따라 이음새(Me)는 이음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용접 부위(WP)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용접 부위(WP)는 이음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웃한 것과 일정한 거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음새(Me)는 용접된 부분과 용접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처럼 구성하는 이유는 모듈커버(15)를 롤링할 때 롤링에 위해 모듈커버(151)에 내재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그 응력이 이음새(Me)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예에서, 모듈커버(151)는 중심축(도면의 x축 방향)을 중심으로 말리게 되는데, 모듈커버(151)가 말림에 따라 모듈커버(151)에 변형력이 응축되는데 그 변형력은 모듈커버(151)에서 가장 취약한 이음새(Me)에 집중되는데, 이음새의 일부는 용접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곳을 통해 변형력이 분산될 수가 있다.
이와 비교해서, 만약 이음새(Me)가 전체 용접되었다면, 이음새(Me)로 전파되는 변형력에 의해 용접 부위가 파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또는 이음새 부분이 울 수가 있다.
이처럼 모듈커버(151)를 복수 개의 판재들로 구성하면 대면적의 모듈커버를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모듈커버(151)가 장변(도면의 x축 방향의 변)과 단변(도면의 y축 방향의 변)을 갖는 직사각형일 때, 단변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절개부(notch, 21)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21)는 모듈커버(151)가 롤링되는 방향(도면의 x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의 양 단부 전체에 복수 개로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면을 달리해 자세히 설명한다. 절개부(21)가 형성된 부분은 이후에 벤딩 가공을 통해서 벤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절개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모듈커버 중 절개부가 형성된 단부를 선택적으로 확대해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벤딩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 16은 벤딩 가공해 형성된 베젤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필름부를 도시하지 않았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모듈커버(151)는 단부에 형성된 절개부(21)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절개부(21)는 모듈커버(151)가 롤러에 벤딩될 때 베젤부(17a, 17b)가 쉽게 벤딩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일 예에서, 절개부(21)는 모듈커버(151)의 롤링 방향(도면의 z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da1)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개부(21)의 길이(da1)는 벤딩부(17a)의 폭(da2)에 의존해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형태에서, 절개부(21)의 길이(da1)는 벤딩부(17a)의 폭(da2)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21)가 형성된 모듈커버(151)의 단부는 모듈커버(151)의 중심을 향해 벤딩 가공해 베젤부(17a)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절개부(21)의 길이(da1)가 벤딩부(17a)의 폭(da2)보다 크게 형성되면, 절개부(21)가 베젤부(17a)를 지나 모듈커버(151)의 안쪽에 까지 더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절개부(21)가 시각적으로 시인될 수 가 있고, 또한 얇은 두께를 갖는 모듈커버(151)의 구조적 강성을 떨어트릴 수 있다. 이와 비교해서, 절개부(21)의 길이(da1)가 벤딩부(17a)의 폭(da2)보다 작으면, 모듈커버(151)의 후면에서 절개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절개부(21)가 베젤부(17a)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절개부(21)는 제1 방향으로 이웃한 것과 일정한 거리 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웃한 것과 떨어지는 거리(dt)는 롤러(143)의 크기, 즉 원통형 형상인 롤러의 지름에 의존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롤러(143)의 직경이 커지면, 곡률 반경이 그에 비례해 커지므로 모듈커버(151)가 롤러(143)에 감길 때 작용하는 응력이 줄어든다. 따라서, 절개부(21) 사이의 거리(dt) 역시 커질 수 있다. 반대로, 롤러(143)의 직경이 작아지면 그에 비례해서 롤러(143)에 권취되는 모듈커버(151)에 작용하는 응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절개부(21) 사이의 거리(dt)를 줄여 벤딩이 보다 쉽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절개부(21)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없이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절개부(21)는 일자 모양이거나, 또는 V자 홈과 같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형태에서, 베젤부(17a, 17b)는 모듈커버(151)의 양 단부를 벤딩 가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로 자세히 설명한다.
베젤부(17a, 17b)를 형성하는 제1 공정(S11)은 모듈커버(151)의 양 단부를 프레스 가공해서 절개부(21)를 형성하는 노칭 공정일 수 있다. 노칭(notching)은 금형을 이용해 판재의 일부를 전단하는 프레스 가공을 말한다. 금형의 형태에 따라 절개부(21)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라미네이션 공정(S12)을 실시해서 노칭된 모듈커버(151)에 필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노칭 공정 후에 필름을 라미네이션하기 때문에 노칭 공정을 통해 형성된 절개부(21)가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구성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이 설명에서는 노칭 공정 후에 필름을 라미네이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름을 모듈커버(151)에 라미네이션한 후에 노칭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노칭된 모듈커버(151)의 양 단부를 모듈커버(151)의 안쪽으로 벤딩 가공해서 베젤부(17a, 17b)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베젤부(17a, 17b)에 형성된 절개부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구성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조로, 베젤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디스플레이부(20)와 롤러 만을 선택적을 도시하며, 도 18은 디스플레이부가 롤러에 감길 때, 베젤부에 형성된 절개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에서 실제로 절개부는 필름부에 의해 외부로 보여지지 않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7에서는 보여지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 어셈블리의 동작에 의해 롤러(143)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는 상하로 승강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한 형태에서,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의 전면이 롤러(143)에 권취될 때 바깥을 향하도록 롤러(143)에 권취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20)가 바깥을 향하도록 권취되면, 베젤부(17a, 17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 보다 쉽사리 벤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롤러(143)가 반시게 방향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는 상하(도면의 y축 방향)로 승강하도록 동작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승강 방향으로 길게 디스플레이부(20)의 양 단부에 베젤부(17a, 17b)가 더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부(20)의 양 단부에 베젤부(17a, 17b)가 형성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를 롤러(143)에 권취할 때 응력의 불균형이 발생해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 감기거나 펼쳐질 때 울거나 구겨질 수가 있다.
그런데, 베젤부(17a, 17b)에 롤러의 회전축 방향(도면의 z축 방향), 즉 디스플레이부(20)의 롤링 방향을 따라 절개부(21)가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20)가 쉽게 접힐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0)가 바깥을 향하도록 권취되기 때문에, 베젤부(17a, 17b) 역시 바깥을 향하도록 벤딩될 수가 있다. 이때, 베젤부(17a, 17b)에 형성된 절개부(21)는 디스플레이부(20)가 펼쳐졌을 때 (A)와 같은 상태로 존재하나, 롤러(143)에 감길 때 베젤부(17a, 17b) 는 롤러(143)의 표면(143a), 즉 롤러의 곡률 반경에 맞춰 휘어지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0)가 바깥을 향하도록 벤딩되므로, 베젤부(17a, 17b)가 롤러(143)를 향하는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베젤부(17a, 17b)의 외부는 연신되는 반면에 내부는 수축하게 된다. 그런데 베젤부(17a, 17b)에 형성된 절개부(21)가 베젤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어, 절개부(21)가 연신되는 방향(도면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벌어지면서 베젤부(17a, 187b)의 외부가 아무런 저항없이 연신될 수가 있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부(20)가 양 단부에 베젤부(17a, 17b)를 포함하더라도 롤러(143)에 쉽게 벤딩될 수가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가 바깥을 향하도록(outward) 벤딩되므로, 디스플레이부(20)가 펼쳐졌을 때 절개부(21)의 폭(nw1)은 디스플레이부(20)가 롤러(143)에 감겼을 때의 절개부 폭(nw2)보다 작을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롤러;
    상기 롤러에 롤링(rolling)되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게 접합된 모듈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싱기 디스플레이부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링크 어셈블리; 및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커버는,
    항복 변형률이 0.5% 이상인 모듈커버와,
    상기 모듈커버에 접합(lamination)되고, 상기 모듈커버의 연신율보다 높은 연신율을 갖는 필름부
    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지름이 60(mm)이하의 원기둥 형상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의 두께는 0.1(mm)~0.2(mm)이고, 티타늄(ti)으로 구성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는 이음새가 없는 1장이거나, 또는 복수 개의 판재를 이어 붙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가 복수 개의 판재로 구성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1 방향으로 롤링될 때, 상기 복수 개의 판재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웃한 것과 부분적으로 맞대기 용접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부는, 상기 제1 면에 형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2 면에 형성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2 부분의 두께와 같거나 두꺼운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는 접착제의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합되고,
    상기 접착제의 점착력은 1,000(gf/25mm) 이상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롤링되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모듈커버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두께와 같거나 더 큰 높이로 구성된 베젤부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상기 모듈커버의 단부를 상기 모듈커버의 중심을 향해 벤딩 가공해 형성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버는 상기 벤딩 가공된 부분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롤러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웃한 것과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형성된 복수 개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절개부의 길이는 상기 베절부의 폭과 같거나 작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롤러에 감겼을 때 절개부의 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롤러에서 풀렸을 때 절개부의 폭보다 큰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상기 절개부를 형성한 후에 상기 모듈커버에 라미네이팅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베젤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단부에 고정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링크, 상기 상부 링크와 조인트로 연결된 하부 링크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7001529A 2019-07-26 2019-07-26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20019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9321 WO2021020595A1 (ko) 2019-07-26 2019-07-26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825A true KR20220019825A (ko) 2022-02-17

Family

ID=7422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529A KR20220019825A (ko) 2019-07-26 2019-07-26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64755A1 (ko)
EP (1) EP4006883A4 (ko)
KR (1) KR20220019825A (ko)
WO (1) WO2021020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34669B (zh) * 2023-06-12 2023-10-03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1329B2 (ja) * 2007-08-14 2013-11-13 株式会社カナイ 換気口スクリーンとこれを用いた軒裏換気口構造
US8961713B2 (en) * 2008-05-16 2015-02-24 Nippon Steel Materials Co, Ltd. Stainless steel foil for flexible display use
KR102346955B1 (ko) * 2015-01-30 2022-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378758B1 (ko) * 2015-06-19 2022-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0198040B2 (en) * 2016-05-20 2019-02-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KR102019509B1 (ko) *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05289B1 (ko) * 2016-09-05 2023-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9318B1 (ko) * 2017-08-30 2022-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6200B1 (ko) * 2017-12-22 2022-09-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010001B (zh) * 2017-12-28 2021-06-15 乐金显示有限公司 柔性显示器和包括该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KR101945985B1 (ko) * 2018-06-28 2019-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75188B1 (ko) * 2018-06-28 2019-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43084A (ko) * 2019-06-14 2020-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4755A1 (en) 2022-08-18
WO2021020595A1 (ko) 2021-02-04
EP4006883A4 (en) 2023-04-26
EP4006883A1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6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687428B2 (en) Display device
TWI773113B (zh) 顯示裝置
EP3657766B1 (en) Display device
US20200084897A1 (en) Display device
EP2977980B1 (en) Rollable display device
CN109461381B (zh)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KR20210029428A (ko) 표시 장치
KR1025788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0970465A (zh) 显示装置
CN113971905B (zh) 显示装置
TWI747498B (zh) 顯示裝置
CN112530278A (zh) 显示装置
US20220206537A1 (en) Substrate for display
TW202105007A (zh) 顯示器裝置
US20220346249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CN114078394B (zh) 显示模组及可折叠显示装置
KR20220019825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5810311A (zh) 显示装置
CN116168606A (zh) 显示装置
KR10267591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238626A1 (en) Display device
KR2024008662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75578B1 (ko) 멀티 디스플레이
KR20220117374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