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172A -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172A
KR20220019172A KR1020200099105A KR20200099105A KR20220019172A KR 20220019172 A KR20220019172 A KR 20220019172A KR 1020200099105 A KR1020200099105 A KR 1020200099105A KR 20200099105 A KR20200099105 A KR 20200099105A KR 20220019172 A KR20220019172 A KR 20220019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tractor
display
line
ga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279B1 (ko
Inventor
김창원
Original Assignee
김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원 filed Critical 김창원
Priority to KR102020009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2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Preparing f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4Tractor-trailers, i.e. combinations of a towing vehicle and one or more towed vehicles, e.g. caravans; Road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5Agricultural vehicles
    • B60W2300/152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4Vehicle s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91Preparing f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을 통하여 겐트리의 상대위치, 크레인의 상대위치, 컨테이너의 상대위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트랙터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을 통하여 트레일러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트랙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트레일러의 정차위치 및 상대위치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System of determining the position which landing and lifting of trailer}
본 발명은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을 통하여 겐트리의 상대위치, 크레인의 상대위치, 컨테이너의 상대위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을 통하여 트레일러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트랙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트레일러의 정차위치 및 상대위치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선박을 통하여 운반되는 컨테이너의 하역을 위해 항만의 육상에 마련되는 컨테이너 터미널은, 선박에 의한 해상운송과 트럭, 열차 등에의한 육상운송이 연결되는 거점으로서, 선박(컨테이너선) 접안시설, 컨테이너의 하역 및 운반 시설, 컨테이너야적 및 창고 시설 등을 유기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컨테이너 물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도로와 철도를 포함한 육상 운송과도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그리고, 항만에서 컨테이너 물류를 적체 없이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터미널 전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선박 접안시설, 컨테이너의 하역 및 운반 시설, 컨테이너 야적 및 창고 시설 등 관련 시설을 충분하게 확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하역(landing)/승역(lifting)과 관련해서, 컨테이너 터미널 등에 설치되는 갠트리 크레인은 П형상인 다리 형태의 항만용 크레인으로서, 트레일러에서 실려오는 컨테이너를 야적하거나, 혹은 야적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로 싣는데 사용되고, 상기 갠트리 크레인은 컨테이너 터미널 등에 설치된 레일 위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되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1347435호에 컨테이너의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수직방향 깃대 (13c)가 설치된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crane,13)이 레일(15) 상을이동토록 설치되고, 상기 레일(15)은 적재된 컨테이너(2)의 상부 층까지 설치되며,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창고영역(4c)과 선적 및 하역영역(8)은 창고경계 (21)에 의해 서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이 창고영역4(c)에서 선적 및 하역영역(8)으로 진입하도록 하고, 운전자가 상기 화물차(7)를 벗어나 대기영역에서 머물게 되면 창고 (4c)의 선적 및 하역영역의 게이트(12c)는 문을 닫는다.
또한, 상기 카메라(23)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의 트롤리(13b)의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화물차(7)의 플랫폼 상부의 고정점(anchoring point) 및/또는 화물차 상부에 위치하면서 짐이 내려진 컨테이너(2) 상부의 고정점은 상기 카메라(23)에 의해서 측정되어 창고행정컴퓨터의 정보처리 시스템에 인식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은, 화물을 적재하는 각각의 트레일러 정차상태에 따라 레일(15)을 따라 정위치에서 이동하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 구성으로 작업부하가 증가됨은 물론 변수가 항상 발생하여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어진 상황에 따라 트레일러의 정차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에 의한 트레일러의 정차위치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존의 후방카메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겐트리의 상대위치, 크레인의 상대위치, 컨테이너의 상대위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을 통하여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을 통하여 트레일러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트랙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복수의 감지수단을 통하여 확인되는 트레일러의 정차위치 및 상대위치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겐트리의 다리 중심을 연결하는 정차위치선, 크레인의 홀더 중심을 연결하는 정차선위치, 트레일러의 콘홀을 연결하는 정차선위치중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표시토록 하면서 트레일러의 콘중심이 그리는 실제차량위치선이 동시에 표시토록 설치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겐트리의 규격에 따라 거리등이 미리 저장토록 하고, 상기 정차위치선과 실제차량위치선이 일치될 경우 알람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감지수단은, 물체의 형상을 감지토록 서로 다른 각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레이더, 트레일러의 후방 및 측방을 감지하는 복수의 카메라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감지수단은 거리센서와 연동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감지수단은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성, 트레일러의 측방 또는 후방에 부착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면서 트랙터의 디스플레이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는, 정차위치선과 실제차량위치선이 동시에 표시토록 설치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겐트리 또는 크레인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정차위치선을 표시토록 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어진 상황에 따라 트레일러의 정차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운전자에 의한 정차위치 조정작업이 용이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기존의 후방카메라에 용이하게 적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컨테이너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위치결정 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위치결정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위치결정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출력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트랙터 및 트레일러의 카메라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위치결정시스템(100)은, 겐트리(110)의 상대위치, 상기 겐트리에서 가로 또는 세로중 한 방향으로 이동토록 연결되는 크레인(111)의 상대위치, 상기 크레인(111)에 의해 결합되는 컨테이너(200)의 상대위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트랙터(510) 또는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는 트레일러(530)의 감지수단(700)을 통하여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530)에 설치되는 감지수단(700)을 통하여 트레일러의 상대 위치를 감지할 때 그 상대위치는 트랙터(51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570)를 통하여 출력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570)는, 겐트리의 다리중심을 연결하는 4각형상의 정차위치선, 크레인(111)의 홀더 중심을 연결하는 4각형상의 정차위치선, 컨테이너(200)의 콘홀을 연결하는 4각형상의 정차위치선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정차위치선(571) 표시토록 하면서 트레일러(530)에 설치되는 4개의 콘중심이 그리는 4각 형상의 실제차량위치선(575)이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에는 후방카메라가 더 설치되어 감지수단에 연동토록 설치되어도 좋으며, 상기 후방카메라는 주행 및 정차를 위한 주변확인 기능을 수행토록 하고, 상기 정차위치선과 실제차량위치선은 후방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화면상에 동시에 표시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111)에는 컨테이너(200)의 콘홀(201)과 결합되는 홀더(111a)가 구비되고, 상기 트레일러(530)에는 콘(53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트레일러와 컨테이너는 콘홀과 콘의 조합으로 견고하게 지지토록 되고, 상기 콘은 그 일부가 회전될 때 콘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승,하역을 위한 겐트리(110)의 규격에 따라 다리(117) 사이의 거리등이 컨트롤러(900)에 미리 저장토록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900)는, 정차위치선(571)과 실제차량위치선(575)이 일치될 경우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알람기능을 수행토록 설치된다.
즉, 도5의 경우 정차위치선(571)이 실제차량위치선의 후방에 위치하여 트랙터를 후진시키면 실제차량위치선(575)이 정지되는 정차위치선(571)측으로 이동하여 실제차량위치선(575)과 일치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700)은, 물체의 형상을 감지토록 서로 다른 각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레이더(710), 트레일러의 후방 및 측방을 감지하는 복수의 카메라(730)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감지수단(700)은, 거리센서(770)와 연동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감지수단(700)은, 트랙터(510)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성, 트레일러(530)의 측방 또는 후방에 부착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면서 트랙터의 디스플레이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부착수단은, 탈착이 용이하도록 클램프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570)는, 컨트롤러와 연동되어 정차위치선과 실제차량위치선이 동시에 표시토록 설치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컨트롤러(900)는, 겐트리 또는 크레인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정차위치선을 표시토록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겐트리 또는 크레인에 구비되는 콘홀(201) 및 홀더(111a)의 각 거리와 각도별 촬영사진이 미리 저장되어 트레일러의 승,하역위치 정차시 감지수단으로 촬영되는 영상과 대비하여 상대위치를 감지토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감지수단(700)은, IR-UWB용 레이더(710)가 사용되어도 좋으며, 카메라(730)가 사용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레이더(710)는, 미리 설정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전파를 송신하라는 명령이 시작되면 송신 안테나를 통해 IR-UWB Radar 신호를 방사를 시작하고, 사물에 반사된 전파는 다시 수신안테나로 수신되어 입체 형상을 감지토록 한다.
이때, 상기 레이더(710)는, 하나의 하우징 내측에서 3차원 위치(거리,각도)가 상이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레이더 조합으로 이루어져 측정을 원하는 사물의 3차원적 위치가 정확하게 측정토록 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700)으로 사용되는 카메라(730)는 트레일러 또는 트랙터의 후방 위치를 감지하는 카메라로 이루어진 감지수단(700)과 겐트리등의 상태위치를 감지하는 카메라(730)로 이루어진 감지수단(700)이 동시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감지수단(700)은 레이더(710)와 카메라(730) 및 거리센서(770)가 동시에 장착되어 겐트리등의 상대위치를 감지토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700)은, 상대위치 파악용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되는 컨트롤러(900)에 연결되어 상대위치 및 트레일러의 위치를 디스플레이(570)에 동시에 출력토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위치결정시스템(100)은 트레일러(530)가 컨테이너(200)를 하역하는 겐트리(110) 내에 위치할 때 겐트리의 크레인(111)이 그리는 가상선의 위치선이 트레일러가 그리는 가상의 위치선과 디스플레이(570)에 동시에 표현되어 트레일러의 진입시 상기 트레일러와 크레인의 가상위치선을 일치시키면 크레인을 통하여 트레일러의 하역시 크레인으로 이동하는 컨테이너가 트레일러의 상측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위치결정시스템(100)은, 겐트리(110)의 상대위치, 상기 겐트리에서 가로 또는 세로중 한 방향으로 이동토록 연결되는 크레인(111)의 상대위치, 상기 크레인(111)에 의해 결합되는 컨테이너(200)의 상대위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트랙터(510) 또는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는 트레일러(530)의 감지수단(700)을 통하여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겐트리의 상대위치는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의 소정위치에 감지수단(700)이 결합된 후 상기 감지수단을 동작시키면 레이더(710) 또는 거리센서(770) 및 카메라(730)에 의해 위치와 거리 및 각 방향별 형상을 촬영하게 되고, 상기 촬영된 거리와 위치 및 형상은 컨트롤러(900)에 입력될 때 미리 저장되는 측정되는 거리별 겐트리와 트레일러의 상대위치, 촬영영상에 대응되는 트레일러의 상대위치등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토록 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은 각 방향 및 거리별 표준영상이 미리저장되어 실제 촬영되는 영상과 대비함으로써 상대위치의 출력이 가능토록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530)에 설치되는 감지수단(700)을 통하여 트레일러의 상대 위치를 감지할 때 그 상대위치는 트랙터(51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570)를 통하여 출력토록 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자석등을 통하여 부착하여도 좋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570)는, 겐트리의 다리를 연결하는 트레일러의 후방정차위치선, 크레인(111)의 홀더 중심을 연결하는 트레일러의 후방정차위치선, 컨테이너(200)의 콘홀을 연결하는 트레일러의 후방정차위치선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정차위치선(571) 표시토록 하면서 트레일러(530)의 콘중심이 그리는 실제차량위치선(575)이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토록 설치되어 상기 정차위치선과 실제차량위치선을 서로 일치시킬 경우 트레일러(530)에 컨테이너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정차위치에 위치한 후 크레인(111)에 홀더(111a)를 통하여 지지되는 컨테이너(200)를 하향시키면 상기 컨테이너의 콘홀(201)이 트레일러(530)의 콘(531)에 정확하게 일치되어 겐트리의 이동없이 정확한 하역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승,하역을 위한 겐트리(110)의 규격에 따라 다리(117) 사이의 거리등이 컨트롤러(900)에 미리 저장토록 되어 거리센서나 레이더등을 사용시 연동토록 한다.
이때, 상기 정차위치선(571)과 실제차량위치선(575)이 일치될 경우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알람기능을 수행하면 더욱 신속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감지수단(700)은, 트랙터(510)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성, 트레일러(530)의 측방 또는 후방에 부착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면서 트랙터의 디스플레이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원하는 위치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570)는, 컨트롤러와 연동되어 정차위치선과 실제차량위치선이 동시에 표시토록 되어 사용자가 정차위치선에 실제차량위치선을 정렬시키고, 차량의 폭방향에 정렬은 다른 감지수단을 통하여 동시에 수행토록 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컨트롤러(900)는, 겐트리 또는 크레인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정차위치선을 표시토록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겐트리 또는 크레인에 구비되는 콘홀(201) 및 홀더(111a)의 각 거리와 각도별 촬영사진이 미리 저장되어 트레일러의 승,하역위치 정차시 감지수단으로 촬영되는 영상과 대비하여 상대위치를 감지토록 하여도 좋다.
110...겐트리 111...크레인
200...컨테이너 510...크랙터
530...트레일러 570...디스플레이
571...정차위치선 575...실제차량위치선
900...컨트럴러

Claims (5)

  1. 겐트리의 상대위치, 크레인의 상대위치, 컨테이너의 상대위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을 통하여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트랙터에 설치되는 감지수단을 통하여 트레일러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트랙터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트레일러의 위치 및 상대위치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겐트리의 다리 중심을 연결하는 정차위치선, 크레인의 홀더 중심을 연결하는 정차선위치, 트레일러의 콘홀을 연결하는 정차선위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표시토록 하면서 트레일러의 콘중심이 그리는 실제차량위치선이 동시에 표시토록 설치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겐트리의 규격에 따라 거리등이 미리 저장토록 하고, 상기 정차위치선과 실제차량위치선이 일치될 경우 알람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물체의 형상을 감지토록 서로 다른 각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레이더, 트레일러의 후방 및 측방을 감지하는 복수의 카메라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감지수단은, 거리센서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성, 트레일러의 측방 또는 후방에 부착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면서 트랙터의 디스플레이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겐트리 또는 크레인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정차위치선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토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정차위치선과 실제차량위치선이 동시에 표시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
KR1020200099105A 2020-08-07 2020-08-07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 KR102499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105A KR102499279B1 (ko) 2020-08-07 2020-08-07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105A KR102499279B1 (ko) 2020-08-07 2020-08-07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172A true KR20220019172A (ko) 2022-02-16
KR102499279B1 KR102499279B1 (ko) 2023-02-15

Family

ID=8047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105A KR102499279B1 (ko) 2020-08-07 2020-08-07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2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1011A (ja) * 1994-09-29 1996-04-16 Asia Marine Kk 車両の位置決め装置
KR20060117165A (ko) * 2005-05-13 2006-11-16 서호전기주식회사 정지위치 유도 방법 및 장치 및 그를 갖는 크레인 시스템
KR20070038042A (ko) * 2004-05-14 2007-04-09 파세코 코퍼레이션 컨테이너 핸들러들을 위한 상황 보고 디바이스들을 만드는장치 및 방법
KR20100011376A (ko) * 2008-07-25 2010-02-03 서호전기주식회사 컨테이너 이송 차량의 자가 위치 확인 시스템, 방법 및 그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20015916A (ko) * 2010-08-13 2012-02-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을 위한 위치 인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1011A (ja) * 1994-09-29 1996-04-16 Asia Marine Kk 車両の位置決め装置
KR20070038042A (ko) * 2004-05-14 2007-04-09 파세코 코퍼레이션 컨테이너 핸들러들을 위한 상황 보고 디바이스들을 만드는장치 및 방법
KR20060117165A (ko) * 2005-05-13 2006-11-16 서호전기주식회사 정지위치 유도 방법 및 장치 및 그를 갖는 크레인 시스템
KR20100011376A (ko) * 2008-07-25 2010-02-03 서호전기주식회사 컨테이너 이송 차량의 자가 위치 확인 시스템, 방법 및 그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20015916A (ko) * 2010-08-13 2012-02-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을 위한 위치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279B1 (ko)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2189B2 (en) Monitoring container transfer device on lowering container onto transport platform or lifting away from transport platform
US10408945B2 (en) Techniques for positioning a vehicle
US9150389B2 (en) System for the identification and/or location determination of a container handling machine
KR100658649B1 (ko)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광학 장치
CN106794971B (zh) 通过负载处理装备的负载运输
EP2531434B1 (en) Container handler alignment system and method
CN105431370B (zh) 用于使用集装箱起重机将集装箱自动地卸货在卸货目标上的方法和系统
CN116540739A (zh) 实现车辆自动装卸货的方法及系统、相关设备
US9221655B2 (en) System used with a crane for indicating and measuring the position of a container in a vehicle and/or trailer loaded with containers
JP6513544B2 (ja) 荷役クレーンの衝突防止装置
JP2018188299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EP1337454B1 (en) Chassis alignment system
KR20220019172A (ko) 트레일러의 승,하역 위치결정 시스템
CN110493866B (zh) 定位系统、装卸设备定位系统和车辆定位系统
JP7339532B2 (ja) 荷積降システム
KR102363148B1 (ko) 선박 화물 램프 위치 결정 시스템
JP2016193778A (ja) クレーンの運転支援方法及びクレーンの運転支援装置
CN115003617A (zh) 集装箱装载设施及用于其中的运行监控的方法
US202203012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rea wide object dimensioning
CN110488321B (zh) 定位系统、舱盖板定位系统和自动驾驶控制系统
JP2022144133A (ja) 荷役システム
CA32136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board dimensioning
CN114671350A (zh) 集装箱整车装载状态检测方法及信息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