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70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703A
KR20220018703A KR1020200099093A KR20200099093A KR20220018703A KR 20220018703 A KR20220018703 A KR 20220018703A KR 1020200099093 A KR1020200099093 A KR 1020200099093A KR 20200099093 A KR20200099093 A KR 20200099093A KR 20220018703 A KR20220018703 A KR 20220018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contact
bracket bod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균
이윤석
동용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9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703A/ko
Priority to US18/020,027 priority patent/US20230280085A1/en
Priority to PCT/KR2021/009559 priority patent/WO2022030834A1/ko
Priority to EP21852786.9A priority patent/EP4194782A4/en
Publication of KR2022001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힌지 브라켓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선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과 작용하여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작동하는 오토 클로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기 샤프트가 구비되는 브라켓 바디와, 상기 브라켓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는 캠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는, 주방이나 거실 등에 독립적으로 놓이거나, 주방의 가구장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는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도어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 저장부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도어 자체의 무게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저장부에 수납된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닫기 위하여 많은 힘이 요구된다.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도록, 근래의 냉장고는 도어가 일정 각도로 닫힌 상태에서 도어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힌지장치를 구비한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0874633호에는, 복원장치를 포함하는 분리형 자동복귀 힌지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힌지장치는, 몸통과, 몸통 내부에 장착되는 클러치장치와, 클러치장치를 관ㅌ오하여 체결되는 샤프트와, 도어가 닫힐 때 복원력을 샤프트에 전달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도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코일 스프링 형태의 제1스프링이 상기 샤프트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선행문헌의 경우, 복원장치가 도어의 회전 중심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도어 내에서 복원장치의 높이만큼 복원장치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복원장치의 설치에 제약이 있다.
또한, 도어의 두께 가변에 따라 도어의 회전 중심의 위치가 도어에서 가변될 수 있는데, 도어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에는 도어의 회전 중심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원장치를 설치하기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본 실시 예는, 도어의 두께와 무관하게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닫힘력을 제공하는 오토 클로징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오토 클로징 장치에 의해서 도어가 닫힐 때 도어의 닫힘력이 과도하여 도어가 닫힌 후 다시 열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는, 힌지 브라켓에서 레버가 접촉되는 접촉면의 마모 발생 시 접촉면을 포함하는 캠 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힌지 브라켓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선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과 작용하여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작동하는 오토 클로징 장치를 포함하므로, 도어의 두께와 무관하게 오토 클로징 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로 닫힘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기 샤프트가 구비되는 브라켓 바디와, 상기 브라켓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는 캠 부재를 포함하므로, 상기 접촉면의 마모 발생 시 접촉면을 포함하는 캠 부재의 교체가 용이하다.
상기 접촉면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기 레버의 접촉부가 상기 접촉면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가까워지고, 상기 접촉면의 다른 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멀어지도록 형성되므로, 오토 클로징 장치에 의해서 도어가 닫힐 때 도어의 닫힘력이 과도하여 도어가 닫힌 후 다시 열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선을 지나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수직한 선을 가상선이라 할때, 상기 접촉면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가상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1면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가상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2면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가상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는, 제1 캠 바디와, 상기 제1 캠 바디와 결합되는 제2 캠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캠 바디와 상기 제2 캠 바디 사이에 상기 브라켓 바디의 일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캠 바디, 상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2 캠 바디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캠 바디, 상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2 캠 바디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1 캠 바디, 상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2 캠 바디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캠 바디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브라켓 바디와 접촉하는 제1 결합 파트와, 상기 제1 결합 파트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캠 바디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다른 일측에서 상기 브라켓 바디와 접촉하는 제2 결합 파트와, 상기 제2결합 파트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 파트와 상기 제2 연장 파트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파트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체결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파트는 상기 체결 보스와 정렬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파트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2 결합 파트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하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 파트와 상기 제2 연장 파트가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파트 및 상기 제2 결합 파트 각각은 상기 제1면 내지 제3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접촉부는 상기 제3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가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 바디와 결합된 후에 체결부재가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캠 부재 및 상기 브라켓 바디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는, 수평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캠 바디는 상기 함몰부에 위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선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와,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작동하는 토 클로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선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선은 상기 도어의 후면 보다 상기 도어의 전면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선은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선 보다 상기 도어의 후면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접촉면 중에서 상기 레버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선 보다 상기 도어의 전면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샤프트가 구비되는 브라켓 바디와, 상기 브라켓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는 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오토 클로징 장치가 도어의 회전 중심선과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도어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도어가 닫힐 때 도어로 닫힘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오토 클로징 장치에 의해서 도어가 닫힐 때 도어의 닫힘력이 과도하여 도어가 닫힌 후 다시 열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레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캠 부재가 힌지 브라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접촉면의 마모 발생 시 캠 부재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캠 부재의 교체가 용이하고 서비스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실시 예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의 오토 클로징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은 본 실시 예의 오토 클로징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실시 예의 오토 클로징 장치의 저면도.
도 7은 본 실시 예의 오토 클로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캐비닛에 고정된 힌지 브라켓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오토 클로징 장치의 레버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제1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레버가 브라켓 바디의 제1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제1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레버가 제2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레버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 브라켓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힌지 브라켓의 평면도.
도 15는 도 13의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
도 16은 도 13의 힌지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3의 힌지 브라켓의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18-1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9는 캠 부재의 제1 캠 바디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독립적으로 주방에 설치되거나, 실내의 가구장 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실내의 가구장 내에 냉장고(1)가 설치될 때, 냉장고(1)는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다른 냉장고와 함께 좌우로 배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측의 제1공간과 하측의 제2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20)도 상기 제1공간을 개폐하는 제1도어(21)와 상기 제2공간을 개폐하는 제2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2공간은 냉동실이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저장공간이 좌우로 구분되는 제1공간과 제2공간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저장공간이 단일의 공간일 수 있고, 단일의 냉장고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21)와 상기 제2도어(22) 중 하나 이상은 회전 타입의 도어일 수 있다. 또는 단일의 냉장고 도어(20)가 회전 타입의 도어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회전 타입의 냉장고 도어(20)는 냉장고 도어(20)가 열린 후 일정 각도 닫힌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20)로 닫힘력을 제공하는 오토 클로징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일례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도어와 제2도어 중에서 제1도어에 오토 클로징 장치(40)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오토 클로징 장치(40)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1도어(21)와 상기 제2도어(22)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상기 제1도어(21)와 상기 제2도어(22)의 사이에 힌지 브라켓(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30)은,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도어(21)의 상측에도 힌지 브라켓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30)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와 상기 제2도어(22)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갭(G)이 형성된다. 상기 제1도어(21)와 상기 제2도어(22)가 서로 간섭 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브라켓(30)의 일부는 제1도어(21)와 상기 제2도어(2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도어(21)의 하면과 이격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도어(22)의 상면과 이격된다.
본 실시 예의 오토 클로징 장치(40)는 상기 힌지 브라켓(30)과 작용하면서 상기 제1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제1도어(21)로 닫힘력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가 상기 제2도어(22)로 닫힘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가 상기 제1도어(21)로 닫힘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는 상기 제1도어(2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는 상기 제1도어(21)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30)과 작용하기 위하여, 일부는 상기 제1도어(2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가 상기 제1도어(21)의 하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도어(21)의 개폐 과정에서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가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 후술할 바디가 상기 제1도어(21)의 하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1도어(21)의 외측으로 레버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가 상기 제2도어(22)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는, 상기 제2도어(22)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 예의 힌지 브라켓과 오토 클로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에는 일례로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오토 클로징 장치(40)와 힌지 브라켓의 상대 위치를 보여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브라켓(30)은,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10)와, 상기 결합부(31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 바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10)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312)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320)의 높이는 상기 결합부(310)의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320)는, 상기 결합부(310)의 상단과 하단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브라켓 바디(320)는 상기 결합부(310)의 중간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320)에는 샤프트(3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320)는 상기 브라켓 바디(32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354)는 상기 제1도어(21)와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을 제공한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는 상기 샤프트(354)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는 상기 샤프트(354)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도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는 상기 제1도어(21)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브라켓 바디(320)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제1도어(21)로 닫힘력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오토 클로징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실시 예의 오토 클로징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오토 클로징 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의 오토 클로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본 실시 예의 오토 클로징 장치(40)는, 바디(410)와, 상기 바디(410)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450)와, 상기 탄성 부재(450)와 연결되는 레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410)는, 오토 클로징 장치(4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레버(420)는 상기 바디(410)의 외측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바디(41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레버(4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과 상기 레버(420)의 회전 중심선은 나란하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바디(410)는, 상측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410)는 수용 공간(4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450)는 상기 상측 개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41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바디(410)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 연장부(4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연장부(413)에는 체결홀(4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체결 연장부(413)가 상기 바디(41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는, 상기 바디(410) 내에 수용되는 커넥터(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40)는, 상기 레버(420)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4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440)는 상기 탄성 부재(45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440)는 상기 탄성 부재(450)를 상기 레버(420)와 연결시킨다.
상기 커넥터(440)의 회전 중심은 상기 레버(420)의 회전 중심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40)는 상기 바디(410)의 상측 개구를 통해서 상기 수용 공간(41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40)는, 커넥터 바디(442)와, 상기 커넥터 바디(4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레버 결합부(4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442)에는 상기 탄성 부재(4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450)의 하측부가 상기 커넥터 바디(44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442)의 상면에는 연결홈(4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443)은 상기 커넥터(440)의 회전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442)의 직경은 상기 수용 공간(41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바디(442)가 상기 수용 공간(411)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442)는 일례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바디(422)의 측면에는 돌기(4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444)는 상기 커넥터 바디(422)의 측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바디(411)에는 상기 돌기(444)가 수용되는 수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12)는 상기 커넥터 바디(442)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에서 상기 커넥터(440)가 상기 수용 공간(411)에 수용될 때, 상기 돌기(444)가 상기 바디(410)와 간섭되지 않고 상기 수용부(41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12)는 상기 수용 공간(411)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12)의 수평 방향 길이(또는 원주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돌기(444)의 수평 방향 길이(또는 원주 방향으로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444)가 상기 수용부(41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412)의 길이 범위 내에서 상기 커넥터(44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돌기(444) 및 상기 수용부(412)는 상기 커넥터(440)의 수평 방향 이동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444) 및 상기 수용부(412)의 길이 차이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440)는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40)에 상기 레버(420)가 연결되므로, 상기 레버(420)도 상기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결합부(445)는 상기 커넥터 바디(442)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결합부(445)는 상기 커넥터 바디(44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바디(411)는 하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결합부(445)는 상기 하측벽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하측벽을 관통한 상기 레버 결합부(445)는 상기 바디(41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결합부(445)에서 상기 바디(410)의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레버(4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결합부(445)의 상하 길이는 상기 커넥터 바디(410)의 상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레버 결합부(445)는 상기 레버(42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결합부(445)가 상기 레버(4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420)와 상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레버 결합부(445)의 수평 단면는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결합부(445)에는 핀 삽입홀(44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결합부(445)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레버(420)와 결합되고, 상기 핀 삽입홀(446)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레버(410)는, 상기 커넥터(440)와 결합되는 제1부분(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422)은 커넥터 결합부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422)은 상기 레버 결합부(445)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 슬롯(4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슬롯(423)은 상기 제1부분(422)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슬롯(423)의 수평 단면은 상기 레버 결합부(445)의 수평 단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결합부(445)는 일례로 상기 결합 슬롯(423)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슬롯(423)에 삽입된 상기 레버 결합부(445)와 상기 제1부분(422)은 결합 핀(427)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422)은 상기 결합 핀(427)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4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28)은 상기 제1부분(422)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 슬롯(423)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핀(427)이 상기 관통홀(428)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 결합부(445)의 핀 삽입홀(446)에 삽입되면, 상기 레버 결합부(445)와 상기 레버(41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레버(420)와 상기 레버 결합부(445)가 상기 결합 핀(427)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422)의 상면은 상기 바디(410)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레버(420)는,상기 제1부분(422)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4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424)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1부분(422)의 상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부분(424)의 상면은 상기 제1부분(422)의 상면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422)이 상기 제2부분(424) 보다 상하 길이가 큰 이유는 상기 레버 결합부(445)가 삽입되는 깊이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부분(424)은 상기 브라켓 바디(420)와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레버(420)는, 상기 제2부분(424)에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 바디(420)와 접촉하기 위한 롤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레버(420)에서 상기 브라켓 바디(420)와 접촉하는 부분을 접촉부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부분(424)이 접촉부이거나 상기 롤러(430)가 접촉부일 수 있다. 도 3에는 일례로 제2부분(424)에 롤러(430)가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롤러(430)는 상기 제2부분(4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동작하는 롤러(430)가 상기 브라켓 바디(420)에 접촉하는 것이 상기 제2부분(424)이 상기 브라켓 바디(420)와 접촉하는 것 보다 마찰력이 감소하며 마찰에 따른 마모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2부분(424)은 상기 롤러(430)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롤러 수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43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2부분(424)의 상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롤러 수용부(425)는 상기 제2부분(424)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 수용부(425)는 상기 제2부분(424)의 상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 및 상기 제2부분(424)의 하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430)는 상기 롤러 수용부(425)에 수용된 상태에서 롤러 결합 핀(432)이 상기 롤러(430)와 상기 제2부분(424)을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롤러(430)는 상기 롤러 결합 핀(43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레버(42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롤러(430)의 직경은 상기 롤러 수용부(425)의 함몰 깊이(도 5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의 깊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롤러(430)의 직경은 상기 제2부분(424)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430)가 상기 롤러 결합 핀(432)에 의해서 상기 레버(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430)가 상기 제2부분(424)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부재(450)는, 일례로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450)는, 와이어가 다수 회 권취되어 형성되는 바디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452)는 원통 또는 원뿔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450)는, 상기 바디부(452)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4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454)는 상기 바디부(452)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454)는 상기 커넥터(440)의 연결홈(443)에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연장부(454)는 상기 연결홈(443)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450)는, 상기 바디부(452)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부(4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456)는 상기 바디부(452)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는, 상기 바디(410)의 상측 개구를 커버하는 캡(4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470)은 상기 제2연장부(456)가 삽입되는 연결홈(4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홈(472)은 상기 캡(47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연장부(456)는 상기 연결홈(443)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캡(470)은 상기 바디(410)의 체결홀(414)과 정렬되는 제1체결홀(4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재는 상기 바디(410)의 체결홀(414)과 상기 제1체결홀(474)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캡(470)과 상기 바디(4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470)은 하나 이상의 제2체결홀(4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는 체결부재가 상기 제2체결홀(476)을 관통하여 상기 제1도어(2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캡(470)는 상기 바디(410)와 체결되므로, 상기 캡(470)은 위치가 고정된다. 반면, 상기 커넥터(440)는 상기 바디(410)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탄성 부재(450)의 제2연장단(456)은 상기 캡(470)에 연결되고, 상기 제1연장단(454)은 상기 커넥터(440)에 연결되므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연장부(456)는 고정단이고, 상기 제1연장부(454)는 가동단이다.
따라서, 상기 제2연장부(456)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장부(454)는 상기 레버(420)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상기 탄성 부재(450)의 제2연장부(456)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장부(454)가 일 방향 회전되면 상기 탄성 부재(450)가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450)가 축적한 탄성력은 상기 레버(420)가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레버(420)로 작용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탄성 부재(450)가 축적한 탄성력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제1도어(21)로 작용하여 상기 제1도어(21)가 소정 위치에서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상기 커넥터 바디(442)와 상기 바디(410)의 하측벽 간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베어링(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460)은 상기 바디(410)의 하측벽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레버 결합부(445)가 상기 베어링(460)을 관통할 수 있다.
도 8은 캐비닛에 고정된 힌지 브라켓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브라켓(30)의 브라켓 바디(320)는, 상기 레버(420)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레버(420)의 롤러(430)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을 따라 상기 레버(42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42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제1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420)가 최초로 접촉하는 제1면(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1면(322)과 미접촉되고, 상기 제1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1면(322)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면(322)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과 경사지도록 배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을 지나면서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에 수직한 가상선(L1)과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면(322)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가상선(L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제1면(322)에서 연장되는 제2면(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면(323)은 상기 제1면(322)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면(323)의 길이는 상기 제1면(322)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2면(323)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과 경사지도록 배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상선(L1)과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면(323)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가상선(L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상기 제2면(323)에서 연장되는 제3면(3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면(324)은 상기 제2면(323)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면(324)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과 경사지도록 배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상선(L1)과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면(324)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가상선(L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브라켓 바디(320)는 상기 레버(420)의 롤러(43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3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430)가 상기 수용홈(327)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2면(323)에 접촉된 상기 롤러(430)가 상기 제3면(324)과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롤러(430)가 상기 수용홈(327)에 위치되고, 상기 제3면(324)과 접촉할 수 있다.
도 9는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오토 클로징 장치의 레버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는 오토 클로징 장치는 제1도어의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가 만약 가구장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도어(21)가 가구장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제1도어(21)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어(21)의 두께를 줄이는 경우 상기 제1도어(21)에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에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4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과 상기 레버(420)의 회전 중심선(C2)은 이격된다.
또한, 냉장고가 만약 가구장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1도어(21)가 가구장과 부딪히지 않으면서 개방 각도가 확보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은 상기 제1도어(21)의 전면 및 측면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은 상기 제1도어(21)의 배면(21b) 보다 전면(21a)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과 상기 제1도어(21)의 배면(21b) 간의 거리는,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과 상기 제1도어(21)의 전면(21a) 간의 거리는 2배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은 상기 제1도어(21)의 양측면 중에서 제1측면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과 상기 제1측면 간의 거리는,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과 상기 제1도어(21)의 배면(21b) 간의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은 상기 레버(420)의 회전 중심선(C2) 보다 상기 도어(21)의 전면(21a)에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은 상기 레버(420)의 회전 중심선(C2) 보다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에서 멀게 위치된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레버(420)의 롤러(430)는, 상기 가상선(L1)(제1가상선)과, 상기 레버(420)의 회전 중심선(C2)을 지나면서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에 수직한 가상선(L2)(제2가상선)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의 후면(21b)에는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과 접촉하는 가스켓(21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1c)이 상기 제1도어(21)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21)의 후면에는 상기 가스켓(21c)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레버(420)의 롤러(430)는,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 보다 상기 제1도어(21)의 후면(21b)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면(322)의 일부는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 보다 상기 제1도어(21)의 전면(21a)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면(322)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 보다 상기 제1도어(21)의 후면(21b)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면(323) 및 제3면(324)은 상기 제1도어(21)의 회전 중심선(C1) 보다 상기 제1도어(21)의 후면(21b)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면(323) 및 제3면(324)은 상기 레버(420)의 회전 중심선(C2) 보다 상기 제1도어(21)의 전면(21a)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420)의 롤러(430)는 상기 수용홈(327)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3면(324)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롤러(430)가 상기 제3면(324)과 접촉하므로,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0은 제1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레버가 브라켓 바디의 제1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제1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레버가 제2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제1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레버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21)가 개방된 이후 상기 제1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420)가 상기 브라켓 바디(210)와 이격되면, 상기 레버(420)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 제1도어(21)가 A 방향으로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21)가 대략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과 기준 각도를 이루게 되면 상기 레버(420)가 상기 브라켓 바디(210)의 제1면(322)과 접촉한다.
상기 레버(420)가 상기 브라켓 바디(210)의 제1면(322)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1)가 A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면(322)의 경사에 의해서 상기 레버(420)가 A 방향과 반대 방향인 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레버(420)가 B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저항력을 상기 제1면(322)이 상기 레버(420)로 가한다.
상기 레버(420)가 B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탄성 부재(450)의 제1연장부(454)도 B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탄성 부재(450)가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상기 제2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420)가 제2면(323)과 가까워지면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이 증가된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2면(323)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레버(420)는 B 방향으로 추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레버(420)가 B 방향으로 추가 회전되면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2면(323)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최대가 된다. 상기 레버(420)가 제2면(324)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상기 레버(420)가 제1면(322)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 보다 크다.
상기 제2면(323)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2면(323)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420)가 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레버(420)가 A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1면(322)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최대가 된다. 상기 레버(420)는 A 방향으로 관성 회전되며 상기 레버(420)의 A 방향 회전 각도가 상기 레버(420)의 B 방향 회전 각도 보다 작으므로, 상기 레버(420)의 토크 손실이 줄어들거나 또는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된 탄성력의 감소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면(323)의 각도에 따라서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2면(323)의 일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420)가 B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면(323)의 다른 일부가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420)가 A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2면(323)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최대가 된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2면(323)에서 벗어나게 되면, 상기 레버(420)로 가해지는 저항력이 제거되어,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된 탄성력이 상기 레버(420)로 작용하여 상기 레버(420)의 A 방향 회전 각도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도어(21)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즉,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3면(324)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줄어들게 된다. 줄어드는 탄성력은 상기 제1도어(21)의 닫힘력으로 작용한다.
이때, 상기 레버(420)의 롤러(430)가 상기 수용홈(327)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420)는 회전 동작하므로, 롤러(430)가 상기 제3면(324)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의 탄성력이 상기 제3면(324)과 교차되는 방향 또는 법선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3면(324)의 특정 지점에서 상기 탄성력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탄성력의 상기 제3면(324)으로 전달되는 효율이 큰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450)의 탄성력이 상기 제3면(324)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면, 상기 제1도어(21)가 닫히는 시점에서 상기 탄성력이 과도하게 작용함에 따른 상기 제1도어(21)의 덜컹거림 또는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후 다시 열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1도어(21)의 열림 각도(도어가 닫힐 때 도어와 캐비닛의 전면이 이루는 각도임)가 대략 10도 이하일 때 상기 레버(420)의 토크가 최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좌측 도어 또는 우측 도어 중 어느 하나에 필러가 구비될 수 있다. 필러는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 사이로 저장공간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필러는 일례로 좌측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좌측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필러가 자동으로 펼쳐진다. 상기 필러가 펼쳐지는 각도는 대략 좌측 도어의 열림 각도가 10도 이하인 경우이며, 상기 필러가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좌측 도어의 열림 각도가 대략 10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레버의 토크가 최대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도 12와 같이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레버(420)의 롤러(430)는 상기 제3면(324)과 접촉한다.
상기 제3면(324)은 상기 레버(420)로 저항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레버(420)는 실질적으로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존재하여 상기 탄성 부재(450)가 소정 크기의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가 상기 제1도어(21)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므로,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혀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3면(324)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상기 제1도어(21)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어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1면(322)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1도어(21)가 닫힐 때,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접촉면의 일부 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탄성력이 축적되어 최대가 되고, 접촉면의 다른 구간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의 탄성력이 상기 레버(420)로 작용하여 상기 제1도어(21)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을 기준으로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접촉면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롤러(430)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과 가까워지고, 상기 접촉면의 다른 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롤러(430)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과 멀어지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320)의 접촉면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제1도어(21)의 후면(21b)을 기준으로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접촉면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롤러(430)가 상기 후면(21b)과 가까워지고, 상기 접촉면의 다른 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롤러(430)가 상기 후면(21b)과 멀어지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320)의 접촉면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레버(420)의 접촉부가 상기 제1면(322) 및 상기 제2면(323)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도어(21)의 후면(21b)과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레버(420)의 접촉부가 상기 제3면(324)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도어(21)의 후면(21b)과 멀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레버(420)의 접촉부가 상기 제1면(32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도어(21)의 후면(21b)과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레버(420)의 접촉부가 상기 제2면(323)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도어(21)의 후면(21b)과 가까워지고, 상기 레버(420)의 접촉부가 상기 제2면(323)의 나머지 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1도어(21)의 후면(21b)과 멀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420)의 접촉부가 상기 제3면(324)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도어(21)의 후면(21b)과 멀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어(21)가 개방되는 경우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1)가 개방되는 초기에는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3면(32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3면(324)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1도어(21)의 개방 각도가 증가되면,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3면(324)에서 제2면(323)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면(32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2면(323)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다소 감소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2면(323)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의 개방 각도가 더 증가되면,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2면(323)에서 제1면(322)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면(32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1면(32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감소하게 된다. 상기 레버(420)가 상기 제1면(322)과 이격되면 상기 탄성 부재(450)에 축적되는 탄성력은 최소가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힌지 브라켓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힌지 브라켓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힌지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3의 힌지 브라켓의 정면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18-1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캠 부재의 제1 캠 바디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힌지 브라켓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2에서 힌지 브라켓 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 예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하에서는 힌지 브라켓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힌지 브라켓(60)은, 상기 레버(420)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캠 부재(630)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상기 힌지 브라켓(60)은,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610)와, 상기 결합부(61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 바디(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610)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612)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612)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높이는 상기 결합부(610)의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620)는, 상기 결합부(610)의 상단과 하단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60)은 상기 브라켓 바디(6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 부재(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630)는 상기 레버(420)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면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면의 마모 시 상기 캠 부재(630)를 상기 브라켓 바디(620)에서 분리시킨 후에 새로운 캠 부재(630)를 상기 브라켓 바디(6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캠 부재(630)가 상기 브라켓 바디(6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힌지 브라켓(6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상기 캠 부재(630) 만을 교체하면 서비스를 위한 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캠 부재(630)가 상기 브라켓 바디(6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제1도어(21)와 상기 제2도어(2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캠 부재(630)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서비스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도어 들을 분리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캠 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620)는, 상기 제1도어(21)가 결합되기 위한 샤프트(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620)는, 상기 캠 부재(630)와의 체결을 위한 하나 이상의 관통홀(6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624)은 상기 샤프트(622)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622)와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캠 부재(630)가 상기 브라켓 바디(620)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624)은 상기 샤프트(622)와 상기 결합부(6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620)와 상기 캠 부재(63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브라켓 바디(620)에는 복수의 관통홀(6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624)은 상기 샤프트(622)와 상기 결합부(610)의 이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630)는, 제1 캠 바디(640)와, 상기 제1 캠 바디(640)와 결합되는 제2 캠 바디(6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캠 바디(640)와 상기 제2캠 바디(660)는 상기 브라켓 바디(620)를 매개로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캠 바디(640)는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캠 바디(660)는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캠 바디(640)와 상기 제2캠 바디(660)가 결합될 수 있다.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1 캠 바디(640)와 상기 제2 캠 바디(660)가 배열된 상태에서 두 캠 바디가 상기 브라켓 바디(620)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샤프트(622)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캠 바디(640)와 상기 브라켓 바디(620) 및 상기 제2 캠 바디(660)를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캠 바디(640)는, 상기 브라켓 바디(620)에 안착되는 제1 결합 파트(642)와, 상기 제1결합 파트(642)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파트(6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파트(642)는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일측에서 상기 브라켓 바디(62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파트(642)는 상기 관통홀(624)에 삽입되는 체결 보스(6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보스(643)는 상기 제1 결합 파트(64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624)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상기 체결 보스(643)가 상기 제1 결합 파트(642)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 보스(643)가 상기 복수의 관통홀(624)에 삽입되면, 상기 레버(420)가 상기 캠 부재(630)와 접촉할 때 상기 제1 캠 바디(640)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 파트(644)의 두께(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제1 결합 파트(642)의 두께(상하 방향 길이)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연장 파트(644)의 상면은 상기 제1결합 파트(642)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 파트(644)의 하면은 상기 제1 결합 파트(642)의 하면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 보스(643)가 상기 관통홀(624)에 삽입되면, 상기 제1 결합 파트(642)는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연장 파트(644)는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파트(642)가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장 파트(644)의 하면은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하면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 파트(644)에는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6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캠 바디(640)와 상기 제2 캠 바디(66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연장 파트(644)에는 복수의 제1체결홀(6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체결홀(645)의 배열 방향은 상기 복수의 체결 보스(643)의 배열 방향과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 파트(644)는 상기 접촉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 파트(644)는, 제1면(651), 제2면(652) 및 제3면(6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의 형태 및 배치는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브라켓 바디(620)에는 수평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함몰부(628)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캠 바디(640)는 상기 함몰부(628)에 위치되는 돌출부(6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646)는 상기 제1 결합 파트(64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646)는 상기 제1 결합 파트(642)와 상기 제1 연장 파트(644)의 경계 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646)는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646)가 상기 함몰부(628)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628)와 접촉함에 따라서, 상기 제1 캠 바디(64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 캠 바디(660)는, 제2 결합 파트(662)와, 상기 제2 결합 파트(662)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파트(6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 파트(662)는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다른 일측에서 상기 브라켓 바디(62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 파트(662)는 상기 관통홀(624)에 삽입된 체결 보스(643)와 정렬되는 홀(6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624)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상기 홀(6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663)과 상기 체결 보스(643)가 정렬된 상태에서 체결부재가 상기 홀(663)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 보스(643)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파트(642)와 상기 제2 결합 파트(662)는 상기 브라켓 바디(620)에서 상기 결합부(610)와 샤프트(622) 사이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하면에는 상기 제2 결합 파트(662)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6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626)는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하면이 상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626)에 상기 제2 결합 파트(662)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결합 파트(662)의 하면은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 파트(662)가 상기 수용부(626)에 수용되면, 상기 제2 연장 파트(664)는 상기 제1 연장 파트(644)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 파트(664)에는 상기 제1체결홀(645)과 정렬되는 제2체결홀(665)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체결홀(665)이 상기 제2 연장 파트(66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체결홀(665)의 배열 방향은 상기 복수의 체결 보스(643)의 배열 방향과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홀(645)과 상기 제2체결홀(665)이 정렬된 상태에서 체결부재가 상기 제1체결홀(645) 및 상기 제2체결홀(665)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 파트(644)의 하면은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캠 바디(640)와 상기 제2캠 바디(6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캠 바디(660)가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제2 캠 바디(660)가 상기 제2도어(22)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 파트(664)는 상기 제1 연장 파트(644)의 제1면 내지 제3면(651, 652, 65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면 내지 제3면(671, 672, 6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 파트(664)의 제1면 내지 제3면(671, 672, 673)은, 상기 제1 연장 파트(644)의 제1면 내지 제3면(651, 652, 653)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2 연장 파트(664)의 제1면 내지 제3면(661, 662, 663)이 상기 접촉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420)의 접촉부(일례로 롤러)는 상기 제1 연장 파트(644)의 제1면 내지 제3면(651, 652, 653)에 접촉하거나, 상기 제2 연장 파트(664)의 제1면 내지 제3면(671, 672, 673)에 접촉하거나, 상기 제1 연장 파트(644)의 제1면 내지 제3면(651, 652, 653) 및 상기 제2 연장 파트(664)의 제1면 내지 제3면(671, 672, 673)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연장 파트(664)의 제1면 내지 제3면(651, 652, 653) 만이 상기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캠 바디(640)와 상기 제2 캡 바디(660)가 상하 방향(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 바디(620)와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캠 부재(6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캠 부재(630)가 상기 브라켓 바디(620)에 수평 방향(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캠 부재(630)가 상기 브라켓 바디(620)와 일차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결합된 후에 2차적으로 체결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캠 부재(630)와 상기 브라켓 바디(620)를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캠 부재(630)가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에 상기 브라켓 바디(620)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캠 부재(630)와 상기 브라켓 바디(620)를 체결할 수 있다.
1: 냉장고 10: 캐비닛
21: 도어 30, 60: 힌지 브라켓
40: 오토 클로징 장치 410: 바디
420: 레버 430: 롤러
450: 탄성 부재 630: 캠 부재

Claims (15)

  1.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힌지 브라켓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선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과 작용하여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작동하는 오토 클로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토 클로징 장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기 샤프트가 구비되는 브라켓 바디와,
    상기 브라켓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는 캠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기 레버의 접촉부가 상기 접촉면의 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가까워지고, 상기 접촉면의 다른 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제1 캠 바디와, 상기 제1 캠 바디와 결합되는 제2 캠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캠 바디와 상기 제2 캠 바디 사이에 상기 브라켓 바디의 일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캠 바디, 상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2 캠 바디가 체결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바디, 상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2 캠 바디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1 캠 바디, 상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2 캠 바디에 체결되는 냉장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바디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브라켓 바디와 접촉하는 제1 결합 파트와, 상기 제1 결합 파트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캠 바디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다른 일측에서 상기 브라켓 바디와 접촉하는 제2 결합 파트와, 상기 제2결합 파트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 파트와 상기 제2 연장 파트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접촉면을 형성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파트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체결 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파트는 상기 체결 보스와 정렬되는 홀을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파트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2 결합 파트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하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되는 냉장고.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파트와 상기 제2 연장 파트가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는 냉장고.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선을 지나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수직한 선을 가상선이라 할때,
    상기 접촉면은,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가상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1면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가상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2면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가상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파트 및 상기 제2 결합 파트 각각은 상기 제1면 내지 제3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접촉부는 상기 제3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냉장고.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가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브라켓 바디와 결합된 후에 체결부재가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캠 부재 및 상기 브라켓 바디에 체결되는 냉장고.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는, 수평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캠 바디는 상기 함몰부에 위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선과 이격되는 회전 중심선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냉장고.
KR1020200099093A 2020-08-07 2020-08-07 냉장고 KR20220018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093A KR20220018703A (ko) 2020-08-07 2020-08-07 냉장고
US18/020,027 US20230280085A1 (en) 2020-08-07 2021-07-23 Refrigerator
PCT/KR2021/009559 WO2022030834A1 (ko) 2020-08-07 2021-07-23 냉장고
EP21852786.9A EP4194782A4 (en) 2020-08-07 2021-07-23 F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093A KR20220018703A (ko) 2020-08-07 2020-08-07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703A true KR20220018703A (ko) 2022-02-15

Family

ID=8011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093A KR20220018703A (ko) 2020-08-07 2020-08-07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80085A1 (ko)
EP (1) EP4194782A4 (ko)
KR (1) KR20220018703A (ko)
WO (1) WO20220308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246A1 (ko) * 2022-06-21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3708B (zh) * 2022-06-30 2023-11-10 东芝家用电器制造(南海)有限公司 箱体装置及制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6619A (en) * 1997-08-29 1999-04-27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door hinge and closure mechanism
KR19990034855A (ko) * 1997-10-30 1999-05-15 윤종용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JP4283401B2 (ja) * 1999-12-15 2009-06-24 福島工業株式会社 扉オートクローザー
US6845545B2 (en) * 2002-09-04 2005-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to close a door of a refrigerator
JP4521293B2 (ja) * 2004-08-23 2010-08-1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扉開閉補助装置
KR100707450B1 (ko) * 2005-04-16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1266871B1 (ko) * 2006-06-0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874633B1 (ko) 2008-04-01 2008-12-17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분리형 자동복귀 힌지장치
US20130154464A1 (en) * 2011-12-15 2013-06-20 Whirlpool Corporation Cam plate for a door hinge assembly of a domestic refrigerator
KR101910655B1 (ko) * 2012-04-10 2018-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미 오토 클로징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860718B1 (ko) * 2013-02-21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DE102014214635A1 (de) * 2014-07-25 2016-01-2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Schließnocken, der eine Koppelnase mit einer Mulde aufweist
CN106766595A (zh) * 2016-12-30 2017-05-31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冰箱门体的闭门和限位功能整合结构
KR102516827B1 (ko) * 2018-02-23 2023-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978452B1 (ko) * 2018-09-10 2019-05-14 (주) 대륭 도어의 닫힘 유지 장치
US11913271B2 (en) * 2020-05-20 2024-02-27 Kason Industries, Inc. Pivot hinge
KR20220085384A (ko) * 2020-12-15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131628A (ko) * 2021-03-22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246A1 (ko) * 2022-06-21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0834A1 (ko) 2022-02-10
EP4194782A4 (en) 2024-08-14
US20230280085A1 (en) 2023-09-07
EP4194782A1 (en)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9394B2 (en) Refrigerator
US9134062B2 (en) Refrigerator
KR20220018703A (ko) 냉장고
EP2370765B1 (en) Hinge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7350664B2 (en) Hinge device for storage container and storage container having the same
US7980644B2 (en) Damper and home-bar door apparatus for refrigerator using the same
CN113790567A (zh) 冰箱
US20040093799A1 (en) Cam mechanism and door opening/closing mechanism
JP2006322700A (ja) 貯蔵庫用ヒンジ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EP4317871A1 (en) Refrigerator
KR102516827B1 (ko) 냉장고
CN101283229B (zh) 阻尼器和使用该阻尼器的冰箱家用酒吧门装置
CN112282544A (zh) 冰箱
KR20220018704A (ko) 냉장고
KR20220018705A (ko) 냉장고
JP2009228994A (ja) 冷蔵庫
KR20190086844A (ko) 냉장고
KR20220018702A (ko) 냉장고
KR200169564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20220085384A (ko) 냉장고
KR20230174440A (ko) 냉장고
AU2021245131A1 (en) Refrigerator
KR102004434B1 (ko) 냉장고
US20240353165A1 (en) Refrigerator
KR20230174439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