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855A -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855A
KR19990034855A KR1019970056564A KR19970056564A KR19990034855A KR 19990034855 A KR19990034855 A KR 19990034855A KR 1019970056564 A KR1019970056564 A KR 1019970056564A KR 19970056564 A KR19970056564 A KR 19970056564A KR 19990034855 A KR19990034855 A KR 19990034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row
closing devic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6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855A/ko
Publication of KR1999003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855A/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를 회전가능케 지지하도록 일측에 힌지축이 형성된 힌지로우와, 상기 도어가 상기 힌지로우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힌지로우 및 상기 도어의 밑판에 끼워지는 힌지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심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도록 도어닫침부가 형성된 도어서포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어서포트를 힌지심부 및 도어닫힘부를 일체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도어닫힘부의 힘받는 부분인 유동부를 원형으로 길게 형성시켜 개폐시에 상기 유동부에 가해지는 힘의 분포를 균일하게 함에 따라 탄력부족에 의한 마모 및 파손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부품수를 줄이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고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서포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대형 냉장고의 닫힘동작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서포트가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예에 의한 냉장고의 닫힘장치는 도 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냉장실 또는 냉도실을 형성하는 본체(10)가 있고,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도어(2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하단 내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가 냉각작용을 행하는 동안 생성된 제상수를 집수하여 증발가능케 하는 증발접시(3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하단 전면측에는 상기 증발접시(30)가 배설된 부분을 커버하는 증발접시커버플레이트(4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증발접시커버플레이트(40)의 일단측에는 상기 도어(20)를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힌지로우(50)가 체결나사(60)를 매개로 배설되어 있고, 상기 도어(20)의 도어밑판(21)에는 상기 힌지로우(50)와 맞물려 자동으로 상기 도어(20)를 폐문가능토록 지지하는 도어서포트(70)가 체결나사(80)를 매개로 배설되어 있고, 상기 도어서포트(70)가 배설된 도어밑판(21)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로우(50) 및 도어밑판(21)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도어(20)의 회전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힌지심(HINGE SHIM)(90)이 체결나사(100)를 매개로 배설되어 있다.
상기 도어서포트(70)는 도어밑판(21)에 고정되는 고정부(71)와, 도어(20)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로우(50)의 일단측에 형성된 오목부(51) 및 볼록부(52)에 접하게 되는 걸림부(72)와, 상기 걸림부(72)가 상기 오목부(51) 및 볼록부(52)에 접하게 됨에 따라 소정각도로 회전운동하는 유동부(7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힌지로우(50)의 일측에는 도어(20)를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힌지축(53)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심(90)은 상기 도어밑판(21)에 고정되는 고정부(91)와, 상기 힌지축(53)을 내삽시킨 후, 상기 도어밑판(2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힌지홈(21a)에 내삽되어 상기 도어(20)가 원활하게 회전가능토록 하는 힌지축내삽기둥(9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로우(50)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도어서포트(70) 및 힌지심(90)은 P0M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예에 의한 도어닫힘장치는 도어(20)의 개문시에는 도 3의 점선표시상태와 같이 도어밑판(21)이 소정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밑판(21)에 배설된 도어서포트(70)가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도어서포트(7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서포트(70)의 걸림부(72)가 힌지로우(50)의 볼록부(52)에 접하게 되어 유동부(73)가 소정각도로 회전하여 탄성력을 지니게 된다.
한편, 폐문시에는 도어서포트(70)의 걸림부(72)가 힌지로우(50)의 오목부(51)에 삽입되어 원위치되는 동안 탄력적으로 회전 지지된 유동부(73)의 복원력에 의해 그 이동이 가속되어 약한 힘으로 도어(20)를 밀어도 도어(20)가 자동으로 닫혀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동작되는 도어닫힘장치는 도어서포트(70)의 유동부(73)의 유동반경이 적으며, 상기 유동부(73)의 길이가 짧아 한부분에 집중적으로 힘을 받게 되어 파손의 위험성이 큼은 물론 대용량 도어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밑판(21)의 일측에 힌지로우(50)의 오목부(51) 및 볼록부(52)에 접하게 되어 좌우측으로 직선이동하는 유동원판(110)을 체결나사(120)를 매개로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유동원판(110)을 직선이동가능케 하도록 상기 유동원판(110)의 일측에 스프링지지대(130)를 매개로 스프링(140)을 배설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지지대(130) 및 스프링(14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스프링커버(150)를 체결나사(160)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상기 스프링커버(150)에는 상기 유동원판(110)이 이동가능토록 슬롯홀(151)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있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른예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는 도어의 개문동작에 따라 도어(20)가 소정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유동원판(110)이 힌지로우(50)의 볼록부(52)에 접하게 됨에 따라 상기 유동원판(110)은 좌측으로 직선이동하고, 상기 유동원판(110)이 좌측으로 직선이동함에 따라 스프링지지대(130)가 좌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지지대(130)에 외감된 스프링(140)이 압축된다.
한편, 폐문시에는 상기 볼록부(52)에 접하고 있던 유동원판(110)이 오목부(51)로 이동하능동안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는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른예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닫힘장치는 종래의 일례에서 발생했던 도어스토퍼의 일부분에 힘이 가해져 파괴 또는 마모되는 문제점은 해소시켰으나, 원가가 상승됨과 동시에 그 조립성이 저하되며, 또한 스프링동작에 따른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서포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도어서포트가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닫힘장치가 배설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예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닫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2의 냉장고용 도어닫힘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도,
도 4는 종래의 다른예예 의하 냉장고용 도어닫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냉장고용 도어닫힘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닫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폐문시에 도어닫힘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개문시에 도어닫힘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도어 50 : 힌지로우
51 : 오목부 52 : 볼록부
53 : 힌지축 200 : 도어서포트
210 : 힌지심부 211 : 고정부
212 : 힌지축내삽기둥 220 : 도어닫힘부
221 : 걸림부 222 : 유동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는 도어를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힌지로우와, 상기 도어가 상기 힌지로우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힌지로우 및 상기 도어의 밑판에 끼워지는 힌지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심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도록 도어닫침부가 형성된 도어서포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도면 도 6내지 도 8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도 6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접시(미도시)가 배설된 부분을 커버하는 증발접시커버플레이트(40)가 있고, 상기 증발접시커버플레이트(40)의 일단측에는 상기 도어(20)를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힌지로우(50)가 체결나사(60)를 매개로 배설되어 있고, 상기 도어(20)의 도어밑판(21)에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힌지로우(50)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힌지로우(50) 및 상기 도어밑판(21)에 끼워지는 힌지심부(210)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심부(210)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도어(20)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도록 도어닫침부(220)가 형성된 도어서포트(200)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힌지로우(50)의 일측면에는 오목부(51) 및 볼록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51) 및 볼록부(52)가 형성된 타측에는 상기 오목부(51) 및 볼록부(52)가 형성된 타측에는 상기 도어(20)를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힌지축(53)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어서포트(200)의 힌지심부(210)는 체결나사(190)를 매개로 상기 도어밑판(21)에 고정되는 고정부(211)와, 상기 힌지로우(50)의 힌지축(53)이 내삽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21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힌지축내삽기둥(21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도어서포트(200)의 도어닫힘부(220)는 상기 힌지로우(50)의 일측에 접하는 걸림부(221)와, 상기 걸림부(221)가 힌지로우(50)의 일측면에 접할때에 힘의 분포도를 균일하게 하도록 상기 걸림부(221)의 일측에 원형으로 길게 형성된 유동부(2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힌지로우(50)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도어서포트(200)는 P0M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어(20)의 폐문시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서포트(200)의 걸림부(221)가 힌지로우(50)의 오목부(51)에 내삽되어 있다가 도어(20)를 오픈시키기 위하여 도어(2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밑판(21)의 하단측에 고정되어 있던 도어서포트(200)가 힌지로우(50)의 힌지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51)에 내삽되어 있던 걸림부(221)가 상기 힌지로우(50)의 볼록부(52)에 접하게 되고, 유동부(222)는 탄력에 의해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부(222)는 원형으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힘의 분포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국부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을 해소시킴에 따라 파손되거나 마모되지 않고 원활하게 개문동작을 행하도록 한다.
한편, 도어(20)의 개문된 도어(20)를 닫게되면 힌지로우(50)의 볼록부(52)에 접하고 있던 도어서포트(200)의 걸림부(221)가 미끄러지면서 오목부(51)로 이동되어 접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걸림부(221)가 미끄러지는 동안 탄력적으로 벌어져 있던 유동부(222)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221)의 미끄러짐이 가속되어 도어(20)를 약한 힘으로 밀어도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도어서포트(200)는 그 두께 조절로서 대용량의 냉장고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에 의하면, 도어서포트를 힌지심부 및 도어닫힘부를 일체로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도어닫힘부의 힘받는 부분인 유동부를 원형으로 길게 형성시켜 개폐시에 상기 유동부에 가해지는 힘의 분포를 균일하게 함에 따라 탄력부족에 의한 마모 및 파손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부품수를 줄이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도어를 회전가능케 지지하도록 일측에 힌지축이 형성된 힌지로우와,
    상기 도어가 상기 힌지로우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힌지로우 및 상기 도어의 밑판에 끼워지는 힌지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심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도록 도어닫침부가 형성된 도어서포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서포트의 도어닫힘부는 상기 힌지로우의 일측에 접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힌지로우의 일측면에 접할때에 힘의 분포도를 균일하게 하도록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 원형으로 길게 형성된 유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KR1019970056564A 1997-10-30 1997-10-30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KR19990034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564A KR19990034855A (ko) 1997-10-30 1997-10-30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564A KR19990034855A (ko) 1997-10-30 1997-10-30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55A true KR19990034855A (ko) 1999-05-15

Family

ID=6604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564A KR19990034855A (ko) 1997-10-30 1997-10-30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8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871B1 (ko) * 2006-06-0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30834A1 (ko) * 2020-08-07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871B1 (ko) * 2006-06-0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2030834A1 (ko) * 2020-08-07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37990Y2 (ko)
KR19990034855A (ko) 냉장고용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US6100479A (en) Actuator for a safety switch
JPS6327630B2 (ko)
KR200148390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20090074930A (ko) 도어용 하부힌지 구조
JP2523866B2 (ja) 開閉ドア構造
KR200151221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200160563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19990038579A (ko) 냉장고 디스펜서의 이슬맺힘 방지구조
KR0134157Y1 (ko)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KR920003087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 조작장치
KR20010026265A (ko) 냉장고용 힌지캠
KR100253224B1 (ko) 냉장고용 도어힌지
KR0163303B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
KR100407308B1 (ko) 냉장고의 도어힌지
KR19990049516A (ko) 냉장고의 도어록킹장치
KR200220726Y1 (ko) 냉장고의 도어 스토퍼
KR200158216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HU220049B (hu) Ajtózár jobb és bal oldali alkalmazásra
KR860001303Y1 (ko) 덮개 개폐용 브라켓
KR200198151Y1 (ko) 냉장고용 도어 스토퍼와 라이저 결합 구조
KR20220085384A (ko) 냉장고
US20040100175A1 (en) Tray for refrigerator
KR100245926B1 (ko) 다단계 자동 닫힘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