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206A - 스마트월 - Google Patents

스마트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206A
KR20220018206A KR1020200098428A KR20200098428A KR20220018206A KR 20220018206 A KR20220018206 A KR 20220018206A KR 1020200098428 A KR1020200098428 A KR 1020200098428A KR 20200098428 A KR20200098428 A KR 20200098428A KR 20220018206 A KR20220018206 A KR 20220018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pace
disposed
fram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규
김윤주
노양환
심재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206A/ko
Publication of KR2022001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어셈블리; 상기 프레임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사이에 위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1 토출덕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토출덕트로 유동시키는 실내팬; 상기 실내팬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 공기를 상기 케이스 밖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덕트; 상기 바이패스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토출덕트 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덕트를 통해 안내된 공기를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2 토출덕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 1 토출덕트가 낮게 배치되고, 제 2 토출덕트가 높게 배치되기 때문에, 실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공조공기를 공급할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내의 근거리 및 원거리에 각각 공조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월{Smart wall}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는 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실내에 공기조화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월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벽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설치된다.
벽은 내력벽의 형태로 건물이 시공될 때 함께 일체로 시공될 수도 있고, 건물의 시공 후에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건물의 시공 시 함께 설치되는 벽은 대부분 내력벽이고, 콘크리트구조를 가지며, 이를 습식벽라고 한다. 습식벽는 시멘트 철골을 사용하는 콘트리트 구조 및 벽돌을 쌓아서 벽을 세우는 구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달리 물을 사용하지 않고 제작할 수 있는 구조의 벽을 건식벽이라 하고,스틸 또는 경량철골을 사용하는 구조를 예로 들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335243호에는 건식벽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습식벽 또는 건식벽을 포함하는 벽은 실내공간을 구획하고, 방음 또는 단열을 제공할 뿐 거주자의 삶과 연관된 정보 또는 공기조화 등은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0764264호에는 벽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벽에 삽입되어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실내의 한쪽 공간에 대해서만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었다.
더불어, 실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에 설치하거나 바닥에 세워서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와 같이 디스플레이 또는 공기조화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 실내공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335243호 한국 등록특허 10-0764264호
본 발명은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구획하는 스마트월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월 내부에 배치된 공기조화기를 통해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을 각각 공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실내의 벽에 설치된 공기조화기를 통해, 벽에 의해 구획된 2개의 공간에 공기조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의 상측에 공조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에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토출덕트 및 제 2 토출덕트 내부에 배치된 댐퍼의 회전을 통해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토출덕트 및 제 2 토출덕트 내부에 배치된 댐퍼의 회전을 통해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에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어셈블리; 상기 프레임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사이에 위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1 토출덕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토출덕트로 유동시키는 실내팬; 상기 실내팬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 공기를 상기 케이스 밖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덕트; 상기 바이패스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토출덕트 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덕트를 통해 안내된 공기를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2 토출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팬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팬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팬; 및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출덕트는 상기 팬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토출덕트는 상기 팬하우징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은, 상기 삽입공간이 형성된 팬하우징바디; 상기 팬하우징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덕트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드유로; 상기 팬하우징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의 공기를 상기 바이패스덕트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덕트는, 상기 제 2 가이드유로와 연결되는 수평덕트; 상기 수평덕트 및 제 2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수직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덕트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덕트는, 내부에 덕트공간이 형성된 덕트바디; 상기 덕트바디의 제 1 공간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을 향해 개구된 상기 제 1 덕트토출구; 상기 덕트바디의 제 2 공간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을 향해 개구된 상기 제 2 덕트토출구; 및 상기 덕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유로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 덕트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덕트는, 상기 바이패스덕트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덕트바디; 상기 덕트바디의 제 1 공간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을 향해 개구된 상기 제 1 덕트토출구; 및 상기 덕트바디의 제 2 공간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을 향해 개구된 상기 제 2 덕트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덕트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덕트에서 제 1 덕트토출구 및 제 2 덕트토출구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로어프레임; 상기 로어프레임과 이격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 상기 로어프레임 및 어퍼프레임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 사이드프레임; 상기 로어프레임 및 어퍼프레임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 및 제 2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로어프레임과의 사이에 제 1 설치공간을 형성시키는 제 1 횡방향프레임;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 및 제 2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어퍼프레임과의 사이에 제 3 설치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과의 사이에 제 2 설치공간을 형성시키는 제 2 횡방향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 1 설치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덕트는 상기 제 2 설치공간 또는 제 3 설치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덕트는, 상기 제 2 가이드유로와 연결되는 수평덕트; 상기 수평덕트 및 제 2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수직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덕트는 상기 제 1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덕트는 상기 제 1 설치공간, 제 2 설치공간 및 제 3 설치공간을 경유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월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제 1 토출덕트가 낮게 배치되고, 제 2 토출덕트가 높게 배치되기 때문에, 실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공조공기를 공급할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 1 토출덕트 및 제 2 토출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의 근거리 및 원거리에 각각 공조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토출덕트의 제 1 덕트토출구가 제 1 공간을 향해 공기를 제공하고, 제 2 덕트토출구가 제 2 공간을 향해 공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구분된 2개의 공간에 각각 공조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댐퍼가이드를 통해 댐퍼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가이더가 댐퍼가이드에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에 의해 댐퍼플레이트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댐퍼플레이트의 하단이 덕트흡입구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댐퍼플레이트의 회전 시 덕트흡입구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에 밀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으로 향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이 도시된 건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팬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제 1 토출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 1 토출덕트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댐퍼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작동 예시1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작동 예시2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댐퍼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작동 예시 1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작동 예시 2도이다.
도 20은 도 5의 제 2 토출덕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이 도시된 건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월(100)은 비내력벽이고, 철거 또는 재설치가 가능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100)은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고, 건물의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공간(101)은 거실이고, 상기 제 2 공간(102)은 룸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월(100)의 일측면은 제 1 공간(101)을 향하게 배치되고, 타측면은 제 2 공간(102)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마트월(100)은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을 구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월(100)의 측부에 도어(103)가 배치된다. 상기 스마트월(100)은 상기 도어(103)와 함께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을 구획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월(100)은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통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제 1 공간(101)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마트월(100)은 상기 디스플레이(110)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커버(112, display co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가 전부 노출될 경우, 영화 또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가 일부 노출될 경우, 일상 정보(예를 들어 날씨, 온도 또는 뉴스 헤드라인 등) 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2)는 상기 스마트월(100) 내부에 은닉될 수 있고, 필요시에만 상기 디스플레이(11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2)는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작동 시,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상단부터 커버하고,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전체를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월(100)은 제 1 공간(101)을 향하여 스피커(114)가 배치된다. 상기 스피커(114)는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측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114)는 디스플레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월(100)은 내부에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조화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200)는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월(100)은 프레임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는 건물의 벽 또는 천장에 조립되고, 상기 벽 또는 천장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는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된다. 프레임어셈블리(300)는 상기 디스플레이(100), 공기조화기(200) 등의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는 아우터프레임 및 이너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은 스마트월(100)의 외골격을 제공하고, 상기 이너프레임은 스마트월(100)의 내골격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는, 건물의 바닥(121)에 설치되는 로어프레임(310)과, 상기 로어프레임(310)과 이격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320)과, 상기 로어프레임(310) 및 어퍼프레임(32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연결되는 제 1 사이드프레임(330)과, 상기 로어프레임(310) 및 어퍼프레임(320)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연결되는 제 2 사이드프레임(3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프레임은 상기 로어프레임(310), 어퍼프레임(320),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로어프레임(310)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프레임(310), 어퍼프레임(320),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로어프레임(310)은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의 내측에 설치공간(390)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390)은 이너프레임들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310)은 바닥(121)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은 상기 로어프레임(310)의 일측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프레임(310)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 사이드프레임(340)은 상기 로어프레임(310)의 타측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프레임(310)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로어프레임(310)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조립되고, 상기 제 2 사이드프레임(340) 및 로어프레임(310) 역시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조립된다.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제 2 사이드프레임(340)은 상기 로어프레임(310)에 지지된다.
상기 어퍼프레임(320)의 일측은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사이드프레임(34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어퍼프레임(320)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조립되고, 상기 제 2 사이드프레임(340) 및 어퍼프레임(320) 역시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조립된다.
상기 어퍼프레임(320)이 상기 건물의 천장벽(122)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물의 층고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프레임(320) 및 천장벽(122)을 연결하는 갭부재(350)가 더 배치된다.
상기 갭부재(350)의 하단은 상기 어퍼프레임(32)에 체결고정되고, 상단은 천장벽(122)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제 2 사이드프레임(340)의 높이를 균일하게 제작함으로써, 상기 설치공간(390)의 높이를 규격화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310)의 높이가 설치되는 건물마다 상이할 경우, 스마트월(1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10) 또는 공기조화기(200)의 크기를 규격화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어셈블리(300)의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의 크기를 규격화한 후, 상기 갭부재(350)가 프레임어셈블리(300 및 천장벽(122) 사이에 설치되고, 이를 통해 프레임어셈블리(300 및 천장벽(122) 사이의 이격을 메꿀수 있다.
상기 갭부재(350)의 하단은 상기 어퍼프레임(320)에 결합되고, 갭부재(350)의 상단은 천장벽(122)에 결합된다. 상기 갭부재(350)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어퍼프레임(320)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 이너프레임은 아우터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아우터프레임을 지지한다.
상기 이너프레임은, 상기 설치공간(390)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프레임(360)과, 상기 설치공간(390)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프레임(370)을 포함한다.
상기 횡방향프레임(360) 및 종방향프레임(370)은 서로 체결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횡방향프레임(360)이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또는 제 2 사이드프레임(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종방향프레임(370)이 로어프레임(310) 또는 어퍼프레임(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횡방향프레임(360)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종방향프레임(370)도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횡방향프레임(360)은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제 2 사이드프레임(340)에 결합되는 제 1 횡방향프레임(361)과,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361)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횡방향프레임(36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종방향프레임(370)은 하단이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361)의 일측(좌측)에 결합되고 상단이 어퍼프레임(320)에 결합되는 제 1 종방향프레임(371)과, 하단이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361)의 타측(우측)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어퍼프레임(320)에 결합되는 제 2 종방향프레임(372)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횡방향프레임(362)은 상기 제 1 종방향프레임(371) 및 제 2 종방향프레임(37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종방향프레임(362)의 일단은 상기 제 1 종방향프레임(37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종방향프레임(372)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종방향프레임(371) 및 제 1 사이드프레임(330)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1 사이드이격공간(331)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종방향프레임(372) 및 제 2 사이드프레임(340)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2 사이드이격공간(34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사이드이격공간(331) 또는 제 2 사이드이격공간(3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 커버(112)의 작동을 위한 구성부품이 배치된다.
상기 종방향프레임(370)은,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361) 및 제 2 제 횡방향프레임(362)을 연결하는 제 3 종방향프레임(373) 및 제 4 종방향프레임(37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3 종방향프레임(373) 및 제 4 종방향프레임(374)은 제 2 횡방향프레임(362)을 지지한다. 상기 제 3 종방향프레임(373) 및 제 4 종방향프레임(374)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110)이 설치된다.
상기 제 3 종방향프레임(373) 및 제 1 종방향프레임(371) 사이에 좌측 스피커(114)를 설치하기 위한 제 1 스피커설치공간(394)이 형성된다.
상기 제 4 종방향프레임(374) 및 제 2 종방향프레임(372) 사이에 우측 스피커(114)를 설치하기 위한 제 2 스피커설치공간(39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방향프레임(370)은, 상기 제 2 제 횡방향프레임(362) 및 어퍼프레임(320)을 연결하는 제 5 종방향프레임(375) 및 제 6 종방향프레임(376)을 더 포함한다. 제 5 종방향프레임(375)은 좌측에 배치되고, 제 6 종방향프레임(376)은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종방향프레임(373) 및 제 5 종방향프레임(375)은 일렬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4 종방향프레임(374) 및 제 6 종방향프레임(376)도 일렬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설치공간(390)은 상기 횡방향프레임(360) 및 종방향프레임(370)에 의해 다수개로 구획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361)의 하측의 설치공간을 제 1 설치구역(391)이라 하고,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361) 및 제 2 횡방향프레임(362) 사이의 설치공간을 제 2 설치구역(392)이라 하며, 상기 제 2 횡방향프레임(362) 및 어퍼프레임(320) 사이의 설치공간을 제 3 설치구역(393)이라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200)는 상기 제 1 설치구역(391)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제 2 설치구역(392)에 배치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기(200)는 제 1 설치구역(391)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조화기(200)는 로어프레임(310) 상측에 배치되고, 바닥(121)과 이격된다. 상기 공기조화기(200)는 상기 이격된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조화기(200)는 실내기(210) 및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210) 및 실외기(220)는 냉매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설치구역(391)에는 상기 공기조화기(200) 중 실내기(21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일체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210)는,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에 설치되는 케이스(410)와, 상기 케이스(410)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4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420)와,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430)와, 상기 케이스(410)에 배치되고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으로 안내하는 제 1 토출덕트(440)와,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410)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덕트(440)로 유동시키는 실내팬(460)과,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43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일시 저장하는 드레인팬(45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410)는 제 1 설치구역(391)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프레임(310)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10)의 하측에 상기 필터(420)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420)는 바닥(121)과 이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410)는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부분에 상기 필터(42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4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면이 개구된 제 1 개구면(411)과, 측면 중 일부가 개구된 배관설치홈(412)과, 상측면이 개구된 제 2 개구면(4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월(100)의 내부에 설치되기 위해, 상기 케이스(410)의 전면 및 후면은 측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410)는 프론트월(410a), 좌우 사이드월(410b)(410c) 및 리어월(410d)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개구면(411)은 프론트월(410a), 좌우 사이드월(410b)(410c) 및 리어월(410d)의 하측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개구면(413)은 프론트월(410a), 좌우 사이드월(410b)(410c) 및 리어월(410d)의 상측단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설치홈(412)은 상기 좌측 사이드월(410b) 또는 우측 사이드월(410c)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10)는 로어프레임(310)에 거치되기 때문에, 필터(420)의 중간 부분은 상기 로어프레임(310)에 지지된다. 그래서 상기 필터(420)의 전방 측은 제 1 공간(101)에 노출되고, 후방 측은 제 2 공간(102)에 노출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420)는 상기 케이스(410)의 개구면(411)을 커버하고, 상기 케이스(410)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410)의 4 모서리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420)를 감싸 지지한다.
상기 필터(420)는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월(410a), 좌우 사이드월(410b)(410c) 및 리어월(410d)에 감싸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420)는 상기 케이스(4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필터(420)를 통해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의 공기가 흡입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의 실내기는 구획된 2개의 공간에 대해 공기청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420)는 바닥(121)과 근접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바닥에 가라앉은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여과할 수 있다.
상기 필터(420)는 필터하우징(422)과, 상기 필터하우징(422)에 배치되는 필터부재(42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의 로어프레임(310)은 건물의 바닥(121)에 지지되고, 상기 필터(420)의 하단(422c)은 상기 바닥(121)과 이격되어 필터이격거리(421)를 형성한다.
상기 필터하우징(422)은 적어도 상기 제 1 개구면(411)을 통해 토출되는 면에 다수개의 홀(42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하우징(422)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면에 다수개의 홀(423)이 형성되며, 상측면이 개구된다.
상기 필터하우징(422)의 개구된 상측면을 통해 필터부재(424)가 거치된다. 상기 필터부재(424)는 상기 필터하우징(422)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422) 및 필터부재(424)는 상기 케이스(410)에서 일체로 분리될 수 있다.
실내공기는 "제 1 개구면(411) -> 홀(423) -> 필터부재(424)" 순으로 통과되고, 상기 케이스(41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실내공기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필터하우징(422)의 밑면 전단(422a, front end)은 상기 제 1 공간(101)에 노출되고, 밑면 후단(422b, rear end)은 제 2 공간(102)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하우징(422)의 하단(422c)은 바닥(121)과 이격되어 필터이격거리(421)을 형성한다.
즉, 상기 실내팬(460)의 작동 시, 상기 필터(420)에는 제 1 공간(101)의 실내공기 및 제 2 공간(102)의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고, 상기 필터(420)는 제 1 공간(101)의 실내공기 및 제 2 공간(102)의 실내공기를 동시에 여과할 수 있다.
상기 필터(420)는 상기 제 1 개구면(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420)의 인출방향은 설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420)의 밑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필터(420)의 전면 또는 후면을 통해 각 공간(101)(102)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430)는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기(43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면이 제 1 공간(101)을 향하게 배치되고, 타측면이 제 2 공간(102)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430)의 전면 및 후면은 측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430)는 좌우 방향 폭이 전후 방향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430)의 전면 및 후면이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 두께가 좁은 구조에서 넓은 열교환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430) 및 팬(460)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이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거리를 최소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기(430)는 드레인팬(450)에 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430)는 핀-튜브 열교환기 또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430)는 필터(42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430) 및 필터(420) 사이에 상기 드레인팬(450)이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팬(450)은 필터(420)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430)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필터(420)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열교환기(430) 및 실내팬(460)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430) 및 실내팬(460) 중 어느 하나가 제 1 공간(101) 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 2 공간(102) 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기(430)는 실내팬(460) 보다 제 1 공간(101) 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팬(460)은 팬(470), 팬모터(471) 및 팬하우징(4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470)은 원심팬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팬은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팬(470)은 축 중심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팬하우징(480)은 상기 팬(470)에서 토출된 공기를 제 1 토출덕트(440)로 안내한다. 상기 팬모터(471)는 상기 팬하우징(480)에 배치되고, 상기 팬(470)과 모터축(472)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팬(470)을 회전시킨다.
상기 팬하우징(480)은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팬하우징(480)은 상기 열교환기(430)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팬(470)은 상기 팬하우징(480) 내측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팬모터(471)는 상기 팬(470) 및 팬하우징(48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471)는 상기 팬하우징(480)에 결합되고, 상기 팬(470)과 모터축(47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팬(470)의 전방에 상기 열교환기(430)가 배치된다. 상기 팬(470)의 흡입구와 열교환기(430)는 서로 대향된다.
상기 제 1 토출덕트(440)는 상기 팬하우징(48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토출덕트(440)는 상기 팬하우징(480)을 통해 안내된 공기를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팬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 도 8 또는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팬하우징(480)은, 내측에 팬(4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481)이 형성된 팬하우징바디(482)와, 상기 팬하우징바디(482)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310)의 제 2 개구면(413)을 차폐하는 가이드바디(484)와, 상기 가이드바디(484)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간(481)의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덕트(440)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드유로(486)와, 상기 팬하우징바디(482)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간(481)의 공기를 바이패스덕트(600)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유로(491)(492)를 포함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팬하우징바디(482)는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팬하우징바디(482)의 내측에 상기 삽입공간(48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48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팬하우징바디(482)의 내측에 가이드월(483)이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월(483)의 내측에 상기 삽입공간(48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공간(481)은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481)은 정면이 개방되고, 후면은 폐쇄된다. 상기 삽입공간(481)의 측면은 상기 가이드월(483)에 의해 폐쇄되고, 후면은 상기 팬하우징바디(482)의 리어월(482d)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삽입공간(481)의 정면은 개구된 삽입개구면(481a)이 형성된다.
상기 팬하우징바디(482)는 프론트월(482a), 좌우 사이드월(482b)(482c), 리어월(482d) 및 바텀월(482e)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탑월이 추가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하우징바디(482)의 상측에 가이드바디(484)가 배치되기 때문에, 탑월을 별도로 배치하지 않았다.
상기 팬모터(471)는 상기 설치공간(481)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디(482)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월(483)은 상기 프론트월(482a) 및 리어월(482d)를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월(483)의 상측 일부는 개방되어 가이드개구부(483a)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는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월(483)은 일단 및 타단이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월(483)을 관통하는 홀 형태로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는 상기 가이드바디(484)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는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의 입구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는 삽입공간(481)과 연통된다.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는 상기 삽입공간(481)의 상측에 배치되고, 이를 통해 가이드유로(484)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484)는 제 1 토출덕트(44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는 상기 가이드바디(484)를 거쳐 상기 제 1 토출덕트(440)에 공기를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바디(484)는 상기 가이드월(483) 및 설치공간(481)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바디(484)는 케이스(410)의 제 2 개구면(413) 전체를 차폐한다. 상기 가이드바디(484)가 상기 제 2 개구면(413)을 폐쇄하고,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410) 내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이는 상기 케이스(4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로 유동되기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개구면(413)의 틈으로 인해 공기의 누설이 발생될 경우,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 저하가 발생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실내팬(460)이 고속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상기 가이드바디(484)는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410)와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바디(484)의 측면 중 일부는 프론트월(410a), 좌우 사이드월(410b)(410c) 및 리어월(410d)에 의해 감싸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는 상기 가이드바디(484)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는 상기 가이드바디(484)를 관통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바디(484)의 측부에 별도의 덕트구조를 설치하여 제 1 가이드유로(486)를 배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는 상기 가이드바디(484)를 관통하는 덕트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바디(484)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를 형성시키는 프론트가이드(486a), 좌우 사이드가이드(486b)(486c) 및 리어가이드(486d)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의 흡입측 및 토출측은 개구된다.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의 흡입측을 가이드흡입구(487)라 하고,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의 토출측을 가이드토출구(489)라 한다.
상기 가이드흡입구(487)는 제 1 가이드유로(486)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공간(481)과 연통된다. 상기 가이드흡입구(487)는 가이드월(483)의 가이드개구부(483a)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흡입구(487)는 가이드개구부(483a)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토출구(489)는 제 1 가이드유로(486)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토출덕트(440)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토출덕트(440)의 하측에 상기 가이드토출구(489)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토출구(489)의 하측에 상기 가이드흡입구(487)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흡입구(487)의 면적보다 상기 가이드토출구(489)의 면적이 더 넓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 토출덕트(440)에서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론트가이드(486a)는 전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가이드(486a)는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가이드(486a)의 후단은 낮게 배치되고, 전단은 높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가이드(486a)의 전단은 가이드흡입구(487)를 형성하고, 후단은 상기 가이드토출구(489)를 형성한다.
상기 리어가이드(486d)는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어가이드(486d)는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가이드(486d)의 후단은 낮게 배치되고, 전단은 높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가이드(486a)은 상기 리어가이드(486d) 보다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리어가이드(486d)는 상기 프론트가이드(486a)보다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가이드(486a) 및 리어가이드(486d)는 설치공간(481)의 공기를 케이스(410)의 전후방향 중간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상기 팬하우징(480)이 후방측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팬하우징(480)이 팬(470)보다 후방 측에 배치되고, 팬(470)의 전방에 열교환기(430)가 배치되기 때문에, 팬하우징(480)은 구조적으로 후방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팬하우징(480)이 케이스(410)의 전후 방향 중간에 배치될 경우, 케이스(410)의 전후방향 두께가 증가되어야 한다. 이는 스마트월(100)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실내공간을 많이 점유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제 1 가이드유로(486)는 스마트월(100)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공조된 공기를 케이스(410)의 중간으로 이동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좌우 사이드가이드(486b)(486c)는 프론트가이드(486a) 및 리어가이드(486d)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 제 2 가이드유로(491)(492)는 상기 팬하우징바디(482)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가이드유로(491)(492)는 상기 삽입공간(481)과 상기 팬하우징바디(482)의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제 2 가이드유로(491)(492)는 상기 삽입공간(481)과 연통되어 노출된 흡입구(493)와, 상기 팬하우징바디(482)의 외부에 노출된 토출구(49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가이드유로(491)(492)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정면을 기준으로 삽입공간(481)의 좌측에 배치된 것을 좌측 제 2 가이드유로(491)라 하고, 삽입공간(481)의 우측에 배치된 것을 우측 제 2 가이드유로(492)라 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좌측 제 2 가이드유로(491) 또는 우측 제 2 가이드유로(492) 중 어느 하나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과 상기 제 2 가이드유로(491)(492)는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좌측 제 2 가이드유로(491) 또는 우측 제 2 가이드유로(49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공조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좌측 제 2 가이드유로(491) 또는 우측 제 2 가이드유로(492)로 공급된 공기는 바이패스덕트(600)를 통해 제 1 공간(101) 또는 제 2 공간(102)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덕트(600)는, 제 2 가이드유로(492)와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공기를 제 1 공간(101) 또는 제 2 공간(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이패스덕트(600)는 좌측 제 2 가이드유로(491)에 연결되는 좌측 바이패스덕트(610)와, 우측 제 2 가이드유로(492)에 연결되는 우측 바이패스덕트(620)와, 상기 좌측 바이패스덕트(610)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 바이패스덕트(610)에서 공급된 토출공기를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에 선택하여 공급하는 좌측 제 2 토출덕트(630)와, 상기 우측 바이패스덕트(620)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우측 바이패스덕트(620)에서 공급된 토출공기를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에 선택하여 공급하는 우측 제 2 토출덕트(6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 바이패스덕트(610) 및 우측 바이패스덕트(620)는 좌우 대칭이다. 상기 좌측 바이패스덕트(61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좌측 바이패스덕트(610)는 제 1 설치구역(391)에 배치되는 수평덕트(612)와, 상기 수평덕트(612)와 연결되고 제 2 설치구역(392) 또는 제 3 설치구역(393)으로 연장된 수직덕트(614)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덕트(612)는 로어프레임(310) 및 제 1 횡방향프레임(36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수평덕트(612)는 좌측 제 2 가이드유로(492)에서 토출된 토출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수직덕트(614)는 제 1 횡방향프레임(361) 및 제 2 횡방향프레임(362)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직덕트(714)는 제 1 횡방향프레임(361) 및 제 2 횡방향프레임(3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덕트(614)는 스피커설치공간(394)(395)를 경유하여 제 3 설치구역(393)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수직덕트(614)의 상단에 좌측 제 2 토출덕트(630)가 배치되고, 우측 수직덕트(614)의 상단에 우측 제 2 토출덕트(640)가 배치된다.
상기 좌측 제 2 토출덕트(630) 및 우측 제 2 토출덕트(640)는 동일한 구조이다.
상기 좌측 제 2 토출덕트(63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좌측 제 2 토출덕트(630)의 일측면은 제 1 공간(101)을 향해 개구되고, 좌측 제 2 토출덕트(630)의 타측면은 제 2 공간(102)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좌측 제 2 토출덕트(630)는, 내부에 덕트공간이 형성된 덕트바디(635)와, 상기 덕트바디(635)의 제 1 공간(101)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01)을 향해 개구된 상기 제 1 덕트토출구(631)과, 상기 덕트바디(635)의 제 2 공간(102)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102)을 향해 개구된 상기 제 2 덕트토출구(632)를포함한다.
상기 수평덕트(612) 및 수직덕트(614)를 통해 안내된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덕트(630)(640)에서 제 1 공간(101) 또는 제 2 공간(102)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제 2 토출덕트(630) 및 우측 제 2 토출덕트(640)의 내부에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댐퍼(500)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토출댐퍼(630)(640)에 배치되는 댐퍼(500)는 제 1 토출댐퍼(440)에 배치되는 댐퍼(500)와 동일한 구조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제 1 토출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토출덕트(440)는 제 1 가이드유로(486)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공기는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에 공급된다.
상기 제 1 토출덕트(440)는 가이드바디(484)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토출덕트(440)는 상기 제 2 개구면(413)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개구면(413)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개구면(413)을 밀폐시킨다. 상기 제 1 토출덕트(440)는 상기 제 2 개구면(413)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토출덕트(440)는 상기 가이드바디(484)의 상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케이스(410)의 상단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토출덕트(44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덕트(440)는, 내부에 덕트공간(446)이 형성된 덕트바디(445)와, 상기 덕트바디(4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01)을 향해 개구된 제 1 덕트토출구(441)와, 상기 덕트바디(4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102)을 향해 개구된 제 2 덕트토출구(442)와, 상기 덕트바디(4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과 연통되어 공기를 공급받는 덕트흡입구(44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덕트바디(445)는 덕트프론트(445a), 제 1 덕트사이드(445b), 제 2 덕트사이드(445c), 덕트리어(445d), 덕트탑(445e) 및 덕트바텀(445f)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바디(445)는 전후 방향 폭보다 좌우 방향 폭이 더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덕트사이드(445b)는 좌측벽이고, 제 2 덕트사이드(445c)는 우측벽이다.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는 덕트프론트(445a)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442)는 덕트리어(445d)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 및 제 2 덕트토출구(442)는 다수개의 홀 또는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덕트공간(446)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특히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는 상기 덕트공간(446) 및 제 1 공간(101)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442)는 상기 덕트공간(446) 및 제 2 공간(102)을 연통시킨다.
상기 덕트흡입구(443)는 덕트바텀(445f)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공간(446)과 제 1 가이드유로(486)를 연통시킨다.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 및 제 2 덕트토출구(442)는 각각 다른 쪽에 치우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덕트토출구(441)는 제 2 덕트사이드(445c) 측에 치우쳐 배치되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442)는 제 1 덕트사이드(445b) 측에 치우쳐 배치된다.
반면에, 상기 덕트흡입구(443)는 제 1 토출덕트(440)의 좌우 중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토출덕트(440)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 및 제 2 덕트토출구(412)의 공기유량을 제어하는 댐퍼(500)가 배치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토출덕트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댐퍼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작동 예시1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작동 예시2도이다.
상기 댐퍼(500)는 제 1 토출덕트(44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댐퍼(500)는 제 1 덕트토출구(441) 및 제 2 덕트토출구(44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댐퍼(500)는 상기 덕트흡입구(443)에서 유동된 공기를 안내하고,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 또는 제 2 덕트토출구(442)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500)는 제 1 덕트토출구(441) 또는 제 2 덕트토출구(442)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비율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 보다 제 2 덕트토출구(442)로 더 많은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제 2 덕트토출구(442) 보다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에 더 많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댐퍼(500)는,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 및 제 2 덕트토출구(442) 사이에 배치된 댐퍼플레이트(510)와, 상기 댐퍼플레이트(510)에 결합되고, 상기 댐퍼플레이트(510)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댐퍼축(520)과, 상기 댐퍼축(5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댐퍼모터(530)와, 상기 댐퍼모터(530)의 회전력을 상기 댐퍼축(520)에 전달하는 기어어셈블리(540)와, 상기 댐퍼플레이트(510)의 회전을 안내하는 댐퍼가이드(5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플레이트(510)는 상기 제 1 토출덕트(440)의 높이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플레이트(510)는 제 1 공간(101)에서 제 2 공간(10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댐퍼플레이트(510)의 일측에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가 배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 2 덕트토출구(442)가 배치된다.
상기 댐퍼플레이트(510)는 상기 덕트흡입구(443)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댐퍼플레이트(510)의 하단(511)은 상기 덕트흡입구(443)의 일측 가장자리(443a) 또는 타측 가장자리(443b)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댐퍼플레이트(510)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덕트흡입구(443)의 전후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5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덕트흡입구(443)에서 공급된 공기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플레이트(510)는 댐퍼축(52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댐퍼축(520)은 댐퍼플레이트(5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댐퍼축(520)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댐퍼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배치된 댐퍼축(520)을 기준으로 하단이 원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댐퍼축(520)은 상기 댐퍼플레이트(51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토출덕트(440)에 조립된다. 상기 댐퍼축(520)은 상기 댐퍼플레이트(510)의 제 1 공간(101) 측 및 상기 제 2 공간(102) 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댐퍼모터(530)는 상기 댐퍼축(520)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토출덕트(44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모터(530)는 상기 댐퍼축(520)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모터(530)는 기어어셈블리(540)를 통해 상기 댐퍼축(52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모터(530)는 제 1 토출덕트(440)의 외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댐퍼모터(530)가 상기 제 1 토출덕트(440)에 내부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기어어셈블리(540)는, 상기 댐퍼모터(530)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541)와, 상기 구동기어(541)와 치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댐퍼축(520)에 결합된 종동기어(5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기어(541) 및 종동기어(542)는 피니언기어가 사용된다. 상기 구동기어(541) 및 종동기어(542)는 제 1 토출덕트(440)의 외부에 배치되고, 이를 통해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다.
상기 종동기어(542)는 상기 댐퍼축(520)과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어(541)는 상기 종동기어(542)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기어(541) 및 종동기어(542)는 상기 제 1 토출덕트(440)의 높이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가이드(550)는 상기 댐퍼플레이트(51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부품이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댐퍼가이드(550)를 삭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댐퍼가이드(550)는 상기 댐퍼플레이트(510)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플레이트(510)의 하측에 가이더(551)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더(551) 및 상기 댐퍼플레이트(51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551)는 상기 댐퍼가이드(550)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댐퍼가이드(550)는 상기 댐퍼플레이트(510)를 기준으로 제 1 공간(101) 측 및 제 2 공간(102) 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가이드(550)의 개수와 상기 가이더(551)의 개수가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가이드(550)는 상기 댐퍼플레이트(510)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댐퍼가이드(550)는 제 1 토출덕트(4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가이드(550)는 상기 제 1 토출덕트(440)의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가이드(550)는 덕트프론트(445a) 및 덕트리어(445d)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댐퍼가이드(550)는 덕트프론트(445a) 및 덕트리어(445d)와 각각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댐퍼가이드(550)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댐퍼가이드(55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가이드바디(552)와, 상기 댐퍼가이드바디(552)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호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롯(55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더(551)는 상기 가이드슬롯(553)을 관통한다. 상기 가이더(551)는 상기 가이드슬롯(55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댐퍼가이드바디(552)는 상기 가이더(551)이 상기 가이드슬롯(55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댐퍼가이드바디(552)는, 아우터가이드바디(554), 이너가이드바디(555) 및 연결가이드바디(556)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더(551)는 상기 아우터가이드바디(55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551)가 댐퍼가이드(552)에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에 의해 댐퍼플레이트(510)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가이드바디(554)는 가이더(551)의 회전반경을 기준으로 바깥쪽에 배치되고, 제 1 곡률반경(R1)을 형성한다. 상기 이너가이드바디(555)는 가이더(551)의 회전반경을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되고, 제 2 곡률반경(R2)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곡률반경(R1)이 상기 제 2 곡률반경(R2)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작동에 따른 공기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420)는 로어프레임(310)에 지지되어 바닥(121)과 이격되고, 상기 필터(420)를 통해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의 공기가 동시에 흡입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310)은 상기 필터(420)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지부(312)가 더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422)은 지지부(312)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312)의 전방 측은 상기 제 1 공간(101)과 연통되고, 상기 지지부(312)의 후방 측은 상기 제 2 공간(102)과 연통된다.
팬(470)이 작동되면, 상기 제 1 공간(101)의 공기는 상기 필터(420)의 전방측을 통해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제 2 공간(102)의 공기는 상기 필터(420)의 후방측을 통해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의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422) 및 필터부재(424)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상기 여과된 공기는 열교환기(430) 및 프론트월(410a)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관통하면서 열교환기(430)와 열교환된다.
상기 열교환기(430) 및 여과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제습, 쿨링 또는 히팅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43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공조공기라 정의한다.
상기 공조공기는 팬(470)에 의해 가압된 후, 팬하우징(480)으로 유동된다. 상기 팬하우징(480)은 상기 팬(470)에 의해 가압된 공조공기를 제 1 가이드유로(486)로 안내한다. 상기 제 1 가이드유로(486)에 공급된 공조공기는 가이드바디(484)를 관통하여 제 1 토출덕트(440)로 유동한다.
상기 공조공기는 덕트흡입구(443)를 통해 덕트공간(446)으로 유동된다.
공기는 전체적으로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제 1 토출덕트(440)로 유동되고, 공기의 유동방향 전환을 최소화한다. 공기의 유동방향 전환각이 클 경우, 공기저항이 커지고 팬(470)의 부하 역시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된 후 수평방향으로 토출됨으로서 공기의 유동방향 전환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공기가 180도 방향전환되는 구조를 배제함으로써 공기저항 및 팬(470)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덕트흡입구(443)에 공급된 공조공기는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된다. 상기 덕트공간(446)의 공기 중 일부는 제 1 덕트토출구(441)를 통해 제 1 공간(101)에 토출되고, 나머지는 제 2 덕트토출구(442)를 통해 제 2 공간(102)에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의 실내기는 구획된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에서 각각 공기를 흡입한 후,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각각에 공조공기를 토출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의 실내기는 하나의 실내기를 통해 2개의 공간을 공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댐퍼플레이트(510)가 상기 가이드슬롯(553)의 하단(553a)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면, 제 1 덕트토출구(441) 측으로 유동되는 유량이 증가되고, 상기 제 1 공간(101)에 더 많은 공기가 공급된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댐퍼플레이트(510)가 상기 가이드슬롯(553)의 하단(553a)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되면, 제 2 덕트토출구(442) 측으로 유동되는 유량이 증가되고, 상기 제 2 공간(102)에 더 많은 공기가 공급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댐퍼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작동 예시 1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작동 예시 2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500)는 제 1 덕트토출구(441) 또는 제 2 덕트토출구(442)로 유동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댐퍼(500)는 댐퍼플레이트(1510)의 길이가 제 1 실시예 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댐퍼플레이트(1510)가 덕트흡입구(443) 일측 가장자리(443a) 또는 타측 가장자리(443b)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댐퍼플레이트의 회전 시, 상기 댐퍼플레이트(510)는 상기 덕트흡입구의 일측 가장자리(443a) 또는 상기 덕트흡입구의 타측 가장자리(443b)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댐퍼플레이트(1510)의 길이는 제 1 토출덕트(440)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축(520)에서 댐퍼플레이트(1510) 하단(511)까지의 길이는 댐퍼축(520)에서 덕트흡입구(443) 일측 가장자리(443a) 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댐퍼축(520)에서 댐퍼플레이트(1510) 하단(511)까지의 길이는 댐퍼축(520)에서 덕트흡입구(443) 타측 가장자리(443b) 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된다.
그래서 댐퍼플레이트(1510)가 일측(좌측)으로 회전될 때, 하단(511)은 덕트흡입구(443) 일측 가장자리(443a)에 밀착되고, 상기 댐퍼플레이트(1510)는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로 유동되는 유로를 차단하며, 공기는 상기 제 2 덕트토출구(442)로 유동된다. (도 18 참조)
반대로, 댐퍼플레이트(1510)가 타측(우측)으로 회전될 때, 하단(511)은 덕트흡입구(443) 타측 가장자리(443b)에 밀착되고, 상기 댐퍼플레이트(1510)는 상기 제 2 덕트토출구(442)로 유동되는 유로가 차단하며, 공기는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로 유동된다. (도 19 참조)
댐퍼플레이트(1510)가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 공기를 공급할 경우, 상기 댐퍼플레이트(1510)의 하단은 덕트흡입구(443) 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일측 가장자리(443a) 또는 타측 가장자리(443b)와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 공급되는 공기 비율을 조절할 경우, 상기 댐퍼플레이트(1510)의 하단(511)이 상기 일측 가장자리(443a) 또는 타측 가장자리(443b)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댐퍼플레이트(1510)의 회전각을 조절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않될 것이다.
100 : 스마트월 110 : 디스플레이
200 : 공기조화기 210 : 실내기
300 : 프레임어셈블리 410 : 케이스
420 : 필터 430 : 열교환기
440 : 토출덕트 450 : 드레인팬
460 : 실내팬 470 : 팬
480 : 팬하우징

Claims (10)

  1.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어셈블리;
    상기 프레임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사이에 위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1 토출덕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토출덕트로 유동시키는 실내팬;
    상기 실내팬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 공기를 상기 케이스 밖으로 안내하는 바이패스덕트;
    상기 바이패스덕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토출덕트 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바이패스덕트를 통해 안내된 공기를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 2 토출덕트;를 포함하는 스마트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팬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팬하우징;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팬; 및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토출덕트는 상기 팬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토출덕트는 상기 팬하우징의 측부에 배치되는 스마트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은, 상기 삽입공간이 형성된 팬하우징바디; 상기 팬하우징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덕트로 안내하는 제 1 가이드유로; 상기 팬하우징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간의 공기를 상기 바이패스덕트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유로;를 포함하는 스마트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덕트는,
    상기 제 2 가이드유로와 연결되는 수평덕트; 상기 수평덕트 및 제 2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수직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덕트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스마트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출덕트는,
    내부에 덕트공간이 형성된 덕트바디;
    상기 덕트바디의 제 1 공간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을 향해 개구된 상기 제 1 덕트토출구;
    상기 덕트바디의 제 2 공간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을 향해 개구된 상기 제 2 덕트토출구; 및
    상기 덕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가이드유로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 덕트흡입구;를 포함하는 스마트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출덕트는,
    상기 바이패스덕트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덕트바디;
    상기 덕트바디의 제 1 공간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을 향해 개구된 상기 제 1 덕트토출구; 및
    상기 덕트바디의 제 2 공간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을 향해 개구된 상기 제 2 덕트토출구;를 포함하는 스마트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출덕트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덕트에서 제 1 덕트토출구 및 제 2 덕트토출구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로어프레임;
    상기 로어프레임과 이격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
    상기 로어프레임 및 어퍼프레임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1 사이드프레임;
    상기 로어프레임 및 어퍼프레임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 및 제 2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로어프레임과의 사이에 제 1 설치공간을 형성시키는 제 1 횡방향프레임;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 및 제 2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어퍼프레임과의 사이에 제 3 설치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과의 사이에 제 2 설치공간을 형성시키는 제 2 횡방향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 1 설치공간에 배치된 스마트월.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출덕트는 상기 제 2 설치공간 또는 제 3 설치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스마트월.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덕트는,
    상기 제 2 가이드유로와 연결되는 수평덕트; 상기 수평덕트 및 제 2 토출덕트를 연결하는 수직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덕트는 상기 제 1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덕트는 상기 제 1 설치공간, 제 2 설치공간 및 제 3 설치공간을 경유하게 배치된 스마트월.
KR1020200098428A 2020-08-06 2020-08-06 스마트월 KR20220018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428A KR20220018206A (ko) 2020-08-06 2020-08-06 스마트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428A KR20220018206A (ko) 2020-08-06 2020-08-06 스마트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206A true KR20220018206A (ko) 2022-02-15

Family

ID=8032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428A KR20220018206A (ko) 2020-08-06 2020-08-06 스마트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820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264B1 (ko) 2006-11-14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KR101335243B1 (ko) 2012-06-26 2013-11-29 김기태 열교 방지와 고기밀성을 가지는 건식 벽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264B1 (ko) 2006-11-14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KR101335243B1 (ko) 2012-06-26 2013-11-29 김기태 열교 방지와 고기밀성을 가지는 건식 벽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30131B2 (en)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9410716B2 (en) Ventilation apparatus
KR101295311B1 (ko) 빌트업 항온기
CN108679705B (zh) 空气调节器
KR20070060501A (ko) 공기조화기
KR20090115257A (ko) 환기장치
KR100826020B1 (ko) 공기조화기
KR102118621B1 (ko) 바닥형 공기순환기
KR20190052388A (ko) 공기조화기
KR20220018206A (ko) 스마트월
KR20210129879A (ko) 스마트월
KR102356237B1 (ko) 입형 듀얼 환기장치
KR20210129878A (ko) 스마트월
KR20210129880A (ko) 스마트월
KR20210129877A (ko) 스마트월
JPH1078245A (ja) 空気調和装置
KR100672602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내 열교환유닛
KR102362387B1 (ko) 공기조화기
KR10239295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115256A (ko) 환기장치
CN101086351B (zh) 空调器的室内机
KR102445464B1 (ko) 공기정화 시스템
CN215909223U (zh) 出风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JP438768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211730B1 (ko) 공기조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