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877A - 스마트월 - Google Patents
스마트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9877A KR20210129877A KR1020200047939A KR20200047939A KR20210129877A KR 20210129877 A KR20210129877 A KR 20210129877A KR 1020200047939 A KR1020200047939 A KR 1020200047939A KR 20200047939 A KR20200047939 A KR 20200047939A KR 20210129877 A KR20210129877 A KR 202101298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duct
- filter
- disposed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863032 Trier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은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사이에 위치된 프레임어셈블리에 배치되고, 필터를 통해 제 1 공간의 공기 및 제 2 공간의 공기를 여과한 후, 토출덕트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다시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 각각 제공하기 때문에, 하나의 실내기를 통해 2개의 공간을 공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는 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실내에 공기조화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월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벽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설치된다.
벽은 내력벽의 형태로 건물이 시공될 때 함께 일체로 시공될 수도 있고, 건물의 시공 후에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건물의 시공 시 함께 설치되는 벽은 대부분 내력벽이고, 콘크리트구조를 가지며, 이를 습식벽라고 한다. 습식벽는 시멘트 철골을 사용하는 콘트리트 구조 및 벽돌을 쌓아서 벽을 세우는 구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달리 물을 사용하지 않고 제작할 수 있는 구조의 벽을 건식벽이라 하고,스틸 또는 경량철골을 사용하는 구조를 예로 들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335243호에는 건식벽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습식벽 또는 건식벽을 포함하는 벽은 실내공간을 구획하고, 방음 또는 단열을 제공할 뿐 거주자의 삶과 연관된 정보 또는 공기조화 등은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0764264호에는 벽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벽에 삽입되어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실내의 한쪽 공간에 대해서만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었다.
더불어, 실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에 설치하거나 바닥에 세워서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와 같이 디스플레이 또는 공기조화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경우, 실내공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의 벽 내부에 공기조화기가 배치된 스마트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실내의 벽에 설치된 공기조화기를 통해, 벽에 의해 구획된 2개의 공간에 공기조화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최소한의 구성부품을 사용하여, 2개의 공간을 공기조화할 수 있는 스마트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은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사이에 배치되고, 필터를 통해 제 1 공간의 공기 및 제 2 공간의 공기를 여과한 후, 토출덕트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다시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 각각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내기 또는 공기청정기가 프레임어셈블리 내부에 은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어셈블리; 상기 프레임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사이에 위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안내하는 토출덕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토출덕트로 유동시키는 실내팬;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의 일측은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필터의 타측은 상기 제 2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의 하단은 건물의 바닥에 지지되고, 상기 필터의 하단은 상기 바닥과 이격되어 필터이격거리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밑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전단은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필터의 후단은 상기 제 2 공간과 연통되기 때문에, 상기 밑면의 홀들을 통해 제 1 공간의 공기 및 제 2 공간의 공기를 각각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전면은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필터의 후면은 제 2 공간을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터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을 통해 제 1 공간의 공기 및 제 2 공간의 공기를 각각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바닥에 지지되는 로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전단은 상기 지지부보다 상기 제 1 공간 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필터의 후단은 상기 지지부보다 상기 제 2 공간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바닥에 지지되는 로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로어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전후 방향 두께는 상기 프레임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두께 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케이스에 조리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필터하우징; 및 상기 홀을 커버하도록 필터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덕트는, 내부에 덕트공간이 형성된 덕트바디; 상기 덕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덕트공간에 제공하는 덕트흡입구;상기 덕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을 향해 개구된 제 1 덕트토출구; 및 상기 덕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을 향해 개구된 제 2 덕트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덕트토출구는 상기 덕트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으로 토출하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는 상기 덕트공간의 공기를 제 2 공간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는,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토출덕트의 전면을 형성하는 덕트프론트; 및 상기 제 2 공간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토출덕트의 후면을 형성하는 덕트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덕트토출구는 상기 덕트프론트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는 상기 덕트리어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는, 상기 토출덕트의 저면을 형성하는 덕트바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덕트흡입구는 상기 덕트바텀을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흡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덕트토출구는 상기 덕트바디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는 상기 덕트바디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정면 또는 후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덕트토출구 및 제 2 덕트토출구 사이에 상기 덕트흡입구가 배치될 수 있다. ,
정면 또는 후면에서 볼 때, 상기 덕트흡입구의 일측은 상기 제 2 덕트토출구와 오버랩되고, 상기 덕트흡입구의 타측은 상기 제 1 덕트흡입구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필터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토출덕트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열교환기 및 실내팬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및 후면은 측면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은 측면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하측면이 개구되어 제 1 개구면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제 1 개구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측면이 개구되어 제 2 개구면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제 2 개구면을 커버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월의 실내기는 구획된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서 각각 공기를 흡입한 후,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각각에 공조공기를 토출하기 때문에, 하나의 실내기를 통해 2개의 공간을 공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월의 실내기는 상기 필터를 통해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의 공기가 흡입되기 때문에, 하나의 실내기를 통해 구획된 2개의 공간에 공기청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월의 실내기는 상기 필터가 바닥과 근접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바닥에 가라앉은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여과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월의 실내기는 디스플레이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공조공기를 토출하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직접 공조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월의 실내기는 디스플레이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쇼파에 앉은 사용자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공조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이 도시된 건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팬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토출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토출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팬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토출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토출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이 도시된 건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월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월(100)은 비내력벽이고, 철거 또는 재설치가 가능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100)은 건물의 내부에 배치되고, 건물의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공간(101)은 거실이고, 상기 제 2 공간(102)은 룸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월(100)의 일측면은 제 1 공간(101)을 향하게 배치되고, 타측면은 제 2 공간(102)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마트월(100)은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을 구획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월(100)의 측부에 도어(103)가 배치된다. 상기 스마트월(100)은 상기 도어(103)와 함께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을 구획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월(100)은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통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제 1 공간(101)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마트월(100)은 상기 디스플레이(110)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커버(112, display co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가 전부 노출될 경우, 영화 또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가 일부 노출될 경우, 일상 정보(예를 들어 날씨, 온도 또는 뉴스 헤드라인 등) 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2)는 상기 스마트월(100) 내부에 은닉될 수 있고, 필요시에만 상기 디스플레이(11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2)는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작동 시,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상단부터 커버하고,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전체를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월(100)은 제 1 공간(101)을 향하여 스피커(114)가 배치된다. 상기 스피커(114)는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측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114)는 디스플레이(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월(100)은 내부에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조화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200)는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월(100)은 프레임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는 건물의 벽 또는 천장에 조립되고, 상기 벽 또는 천장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는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된다. 프레임어셈블리(300)는 상기 디스플레이(100), 공기조화기(200) 등의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는 아우터프레임 및 이너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은 스마트월(100)의 외골격을 제공하고, 상기 이너프레임은 스마트월(100)의 내골격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는, 건물의 바닥(121)에 설치되는 로어프레임(310)과, 상기 로어프레임(310)과 이격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320)과, 상기 로어프레임(310) 및 어퍼프레임(32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연결되는 제 1 사이드프레임(330)과, 상기 로어프레임(310) 및 어퍼프레임(320)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연결되는 제 2 사이드프레임(340)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프레임(310), 어퍼프레임(320),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로어프레임(310)은 상기 아우터프레임이다. 상기 로어프레임(310), 어퍼프레임(320),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로어프레임(310)은 스틸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의 내측에 설치공간(390)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390)은 이너프레임들에 의해 다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310)은 바닥(121)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은 상기 로어프레임(310)의 일측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프레임(310)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 사이드프레임(340)은 상기 로어프레임(310)의 타측에 조립되고, 상기 로어프레임(310)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로어프레임(310)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조립되고, 상기 제 2 사이드프레임(340) 및 로어프레임(310) 역시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조립된다.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제 2 사이드프레임(340)은 상기 로어프레임(310)에 지지된다.
상기 어퍼프레임(320)의 일측은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사이드프레임(34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어퍼프레임(320)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조립되고, 상기 제 2 사이드프레임(340) 및 어퍼프레임(320) 역시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조립된다.
상기 어퍼프레임(320)이 상기 건물의 천장벽(122)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물의 층고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프레임(320) 및 천장벽(122)을 연결하는 갭부재(350)가 더 배치된다.
상기 갭부재(350)의 하단은 상기 어퍼프레임(32)에 체결고정되고, 상단은 천장벽(122)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제 2 사이드프레임(340)의 높이를 균일하게 제작함으로써, 상기 설치공간(390)의 높이를 규격화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310)의 높이가 설치되는 건물마다 상이할 경우, 스마트월(1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10) 또는 공기조화기(200)의 크기를 규격화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어셈블리(300)의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의 크기를 규격화한 후, 상기 갭부재(350)가 프레임어셈블리(300 및 천장벽(122) 사이에 설치되고, 이를 통해 프레임어셈블리(300 및 천장벽(122) 사이의 이격을 메꿀수 있다.
상기 갭부재(350)의 하단은 상기 어퍼프레임(320)에 결합되고, 갭부재(350)의 상단은 천장벽(122)에 결합된다. 상기 갭부재(350)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어퍼프레임(320)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 이너프레임은 아우터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아우터프레임을 지지한다.
상기 이너프레임은, 상기 설치공간(390)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횡방향프레임(360)과, 상기 설치공간(390)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종방향프레임(370)을 포함한다.
상기 횡방향프레임(360) 및 종방향프레임(370)은 서로 체결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횡방향프레임(360)이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또는 제 2 사이드프레임(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종방향프레임(370)이 로어프레임(310) 또는 어퍼프레임(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횡방향프레임(360)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종방향프레임(370)도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횡방향프레임(360)은 제 1 사이드프레임(330) 및 제 2 사이드프레임(340)에 결합되는 제 1 횡방향프레임(361)과,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361)의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횡방향프레임(36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종방향프레임(370)은 하단이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361)의 일측(좌측)에 결합되고 상단이 어퍼프레임(320)에 결합되는 제 1 종방향프레임(371)과, 하단이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361)의 타측(우측)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어퍼프레임(320)에 결합되는 제 2 종방향프레임(372)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횡방향프레임(362)은 상기 제 1 종방향프레임(371) 및 제 2 종방향프레임(37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종방향프레임(362)의 일단은 상기 제 1 종방향프레임(37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종방향프레임(372)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종방향프레임(371) 및 제 1 사이드프레임(330)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1 사이드이격공간(331)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종방향프레임(372) 및 제 2 사이드프레임(340)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2 사이드이격공간(34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사이드이격공간(331) 또는 제 2 사이드이격공간(3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 커버(112)의 작동을 위한 구성부품이 배치된다.
상기 종방향프레임(370)은,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361) 및 제 2 제 횡방향프레임(362)을 연결하는 제 3 종방향프레임(373) 및 제 4 종방향프레임(37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3 종방향프레임(373) 및 제 4 종방향프레임(374)은 제 2 횡방향프레임(362)을 지지한다. 상기 제 3 종방향프레임(373) 및 제 4 종방향프레임(374)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110)이 설치된다.
상기 제 3 종방향프레임(373) 및 제 1 종방향프레임(371) 사이에 좌측 스피커(114)를 설치하기 위한 제 1 스피커설치공간(394)이 형성된다.
상기 제 4 종방향프레임(374) 및 제 2 종방향프레임(372) 사이에 우측 스피커(114)를 설치하기 위한 제 2 스피커설치공간(39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방향프레임(370)은, 상기 제 2 제 횡방향프레임(362) 및 어퍼프레임(320)을 연결하는 제 5 종방향프레임(375) 및 제 6 종방향프레임(376)을 더 포함한다. 제 5 종방향프레임(375)은 좌측에 배치되고, 제 6 종방향프레임(376)은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종방향프레임(373) 및 제 5 종방향프레임(375)은 일렬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4 종방향프레임(374) 및 제 6 종방향프레임(376)도 일렬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설치공간(390)은 상기 횡방향프레임(360) 및 종방향프레임(370)에 의해 다수개로 구획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361)의 하측의 설치공간을 제 1 설치구역(391)이라 하고, 상기 제 1 횡방향프레임(361) 및 제 2 횡방향프레임(362) 사이의 설치공간을 제 2 설치구역(392)이라 하며, 상기 제 2 횡방향프레임(362) 및 어퍼프레임(320) 사이의 설치공간을 제 3 설치구역(393)이라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200)는 상기 제 1 설치구역(391)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10)는 제 2 설치구역(392)에 배치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공기조화기(200)는 제 1 설치구역(391)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조화기(200)는 로어프레임(310) 상측에 배치되고, 바닥(121)과 이격된다. 상기 공기조화기(200)는 상기 이격된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조화기(200)는 실내기(210) 및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210) 및 실외기(220)는 냉매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설치구역(391)에는 상기 공기조화기(200) 중 실내기(21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일체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210) 옆에 실내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청정기(23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청정기(230)는 상기 실내기(210)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210)는,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에 설치되는 케이스(410)와, 상기 케이스(410)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4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420)와,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430)와, 상기 케이스(410)에 배치되고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으로 안내하는 토출덕트(440)와,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410)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토출덕트(440)로 유동시키는 실내팬(460)과,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43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일시 저장하는 드레인팬(45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410)는 제 1 설치구역(391)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프레임(310)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10)의 하측에 상기 필터(420)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420)는 바닥(121)과 이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410)는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부분에 상기 필터(42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4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면이 개구된 제 1 개구면(411)과, 측면 중 일부가 개구된 배관설치홈(412)과, 상측면이 개구된 제 2 개구면(4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월(100)의 내부에 설치되기 위해, 상기 케이스(410)의 전면 및 후면은 측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410)는 프론트월(410a), 좌우 사이드월(410b)(410c) 및 리어월(410d)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개구면(411)은 프론트월(410a), 좌우 사이드월(410b)(410c) 및 리어월(410d)의 하측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개구면(413)은 프론트월(410a), 좌우 사이드월(410b)(410c) 및 리어월(410d)의 상측단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설치홈(412)은 상기 좌우 사이드월(410b)(410c)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410)는 로어프레임(310)에 거치되기 때문에, 필터(420)의 중간 부분은 상기 로어프레임(310)에 지지된다. 그래서 상기 필터(420)의 전방 측은 제 1 공간(101)에 노출되고, 후방 측은 제 2 공간(102)에 노출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420)는 상기 케이스(410)의 개구면(411)을 커버하고, 상기 케이스(410)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410)의 4 모서리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420)를 감싸 지지한다.
상기 필터(420)는 상기 실내팬(430)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덕트(440)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본 실시의 경우 상기 필터(420)는 실내팬(430)의 하측에 배치되고, 토출덕트(440)는 실내팬(440)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필터(420)가 실내팬(430)의 상측에 배치되고, 토출덕트(440)가 실내팬(4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420)는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월(410a), 좌우 사이드월(410b)(410c) 및 리어월(410d)에 감싸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420)는 상기 케이스(4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필터(420)를 통해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의 공기가 흡입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의 실내기는 구획된 2개의 공간에 대해 공기청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420)는 바닥(121)과 근접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바닥에 가라앉은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여과할 수 있다.
상기 필터(420)는 필터하우징(422)과, 상기 필터하우징(422)에 배치되는 필터부재(42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300)의 로어프레임(310)은 건물의 바닥(121)에 지지되고, 상기 필터(420)의 하단(422c)은 상기 바닥(121)과 이격되어 필터이격거리(421)를 형성한다.
상기 필터하우징(422)은 적어도 상기 제 1 개구면(411)을 통해 토출되는 면에 다수개의 홀(42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하우징(422)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면에 다수개의 홀(423)이 형성되며, 상측면이 개구된다.
상기 필터하우징(422)의 개구된 상측면을 통해 필터부재(424)가 거치된다. 상기 필터부재(424)는 상기 필터하우징(422)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422) 및 필터부재(424)는 상기 케이스(410)에서 일체로 분리될 수 있다.
실내공기는 "제 1 개구면(411) -> 홀(423) -> 필터부재(424)" 순으로 통과되고, 상기 케이스(41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실내공기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필터하우징(422)의 밑면 전단(422a, front end)은 상기 제 1 공간(101)에 노출되고, 밑면 후단(422b, rear end)은 제 2 공간(102)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하우징(422)의 하단(422c)은 바닥(121)과 이격되어 필터이격거리(421)을 형성한다.
즉, 상기 실내팬(460)의 작동 시, 상기 필터(420)에는 제 1 공간(101)의 실내공기 및 제 2 공간(102)의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고, 상기 필터(420)는 제 1 공간(101)의 실내공기 및 제 2 공간(102)의 실내공기를 동시에 여과할 수 있다.
상기 필터(420)는 상기 제 1 개구면(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420)의 인출방향은 설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420)의 밑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필터(420)의 전면 또는 후면을 통해 각 공간(101)(102)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430)는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기(43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면이 제 1 공간(101)을 향하게 배치되고, 타측면이 제 2 공간(102)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430)의 전면 및 후면은 측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430)는 좌우 방향 폭이 전후 방향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430)의 전면 및 후면이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 두께가 좁은 구조에서 넓은 열교환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430) 및 팬(460)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이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거리를 최소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기(430)는 드레인팬(450)에 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430)는 핀-튜브 열교환기 또는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430)는 필터(42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430) 및 필터(420) 사이에 상기 드레인팬(450)이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팬(450)은 필터(420)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430)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필터(420)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열교환기(430) 및 실내팬(460)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430) 및 실내팬(460) 중 어느 하나가 제 1 공간(101) 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제 2 공간(102) 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기(430)는 실내팬(460) 보다 제 1 공간(101) 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팬(460)은 팬(470), 팬모터(471) 및 팬하우징(48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470)은 원심팬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팬은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팬(470)은 축 중심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팬하우징(480)은 상기 팬(470)에서 토출된 공기를 토출덕트(440)로 안내한다. 상기 팬모터(471)는 상기 팬하우징(480)에 배치되고, 상기 팬(470)과 모터축(472)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팬(470)을 회전시킨다.
상기 팬하우징(480)은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팬하우징(480)은 상기 열교환기(430)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팬(470)은 상기 팬하우징(480) 내측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팬모터(471)는 상기 팬(470) 및 팬하우징(48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471)는 상기 팬하우징(480)에 결합되고, 상기 팬(470)과 모터축(47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팬(470)의 전방에 상기 열교환기(430)가 배치된다. 상기 팬(470)의 흡입구와 열교환기(430)는 서로 대향된다.
상기 토출덕트(440)는 상기 팬하우징(48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토출덕트(440)는 상기 팬하우징(480)을 통해 안내된 공기를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팬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 또는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팬하우징(480)은, 내측에 팬(4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간(481)이 형성된 팬하우징바디(482)와, 상기 팬하우징바디(482)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310)의 제 2 개구면(413)을 차폐하는 가이드바디(484)와, 상기 가이드바디(484)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간(481)의 공기를 상기 토출덕트(440)로 안내하는 가이드유로(486)를 포함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팬하우징바디(482)는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팬하우징바디(482)의 내측에 상기 삽입공간(48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481)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팬하우징바디(482)의 내측에 가이드월(483)이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월(483)의 내측에 상기 삽입공간(48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공간(481)은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481)은 정면이 개방되고, 후면은 폐쇄된다. 상기 삽입공간(481)의 측면은 상기 가이드월(483)에 의해 폐쇄되고, 후면은 상기 팬하우징바디(482)의 리어월(482d)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삽입공간(481)의 정면은 개구된 삽입개구면(481a)이 형성된다.
상기 팬하우징바디(482)는 프론트월(482a), 좌우 사이드월(482b)(482c), 리어월(482d) 및 바텀월(482e)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탑월이 추가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하우징바디(482)의 상측에 가이드바디(484)가 배치되기 때문에, 탑월을 별도로 배치하지 않았다.
상기 팬모터(471)는 상기 설치공간(481)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디(482)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월(483)은 상기 프론트월(482a) 및 리어월(482d)를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월(483)의 상측 일부는 개방되어 가이드개구부(483a)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는 상기 가이드유로(486)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월(483)은 일단 및 타단이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월(483)을 관통하는 홀 형태로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는 상기 가이드바디(484)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는 상기 가이드유로(486)의 입구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는 삽입공간(481)과 연통된다. 상기 가이드개구부(483a)는 상기 삽입공간(481)의 상측에 배치되고, 이를 통해 가이드유로(484)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디(484)는 토출덕트(44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유로(486)는 상기 가이드바디(484)를 거쳐 상기 토출덕트(440)에 공기를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바디(484)는 상기 가이드월(483) 및 설치공간(481)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바디(484)는 케이스(410)의 제 2 개구면(413) 전체를 차폐한다. 상기 가이드바디(484)가 상기 제 2 개구면(413)을 폐쇄하고,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410) 내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이는 상기 케이스(4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가이드유로(486)로 유동되기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개구면(413)의 틈으로 인해 공기의 누설이 발생될 경우,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 저하가 발생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실내팬(460)이 고속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상기 가이드바디(484)는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410)와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바디(484)의 측면 중 일부는 프론트월(410a), 좌우 사이드월(410b)(410c) 및 리어월(410d)에 의해 감싸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로(486)는 상기 가이드바디(484)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유로(486)는 상기 가이드바디(484)를 관통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이드바디(484)의 측부에 별도의 덕트구조를 설치하여 가이드유로(486)를 배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유로(486)는 상기 가이드바디(484)를 관통하는 덕트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바디(484)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유로(486)를 형성시키는 프론트가이드(486a), 좌우 사이드가이드(486b)(486c) 및 리어가이드(486d)가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유로(486)의 흡입측 및 토출측은 개구된다. 상기 가이드유로(486)의 흡입측을 가이드흡입구(487)라 하고, 상기 가이드유로(486)의 토출측을 가이드토출구(489)라 한다.
상기 가이드흡입구(487)는 가이드유로(486)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공간(481)과 연통된다. 상기 가이드흡입구(487)는 가이드월(483)의 가이드개구부(483a)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흡입구(487)는 가이드개구부(483a)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토출구(489)는 가이드유로(486)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덕트(440)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덕트(440)의 하측에 상기 가이드토출구(489)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토출구(489)의 하측에 상기 가이드흡입구(487)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흡입구(487)의 면적보다 상기 가이드토출구(489)의 면적이 더 넓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토출덕트(440)에서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론트가이드(486a)는 전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가이드(486a)는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가이드(486a)의 후단은 낮게 배치되고, 전단은 높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가이드(486a)의 전단은 가이드흡입구(487)를 형성하고, 후단은 상기 가이드토출구(489)를 형성한다.
상기 리어가이드(486d)는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어가이드(486d)는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가이드(486d)의 후단은 낮게 배치되고, 전단은 높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가이드(486a)은 상기 리어가이드(486d) 보다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리어가이드(486d)는 상기 프론트가이드(486a)보다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가이드(486a) 및 리어가이드(486d)는 설치공간(481)의 공기를 케이스(410)의 전후방향 중간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상기 팬하우징(480)이 후방측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팬하우징(480)이 팬(470)보다 후방 측에 배치되고, 팬(470)의 전방에 열교환기(430)가 배치되기 때문에, 팬하우징(480)은 구조적으로 후방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팬하우징(480)이 케이스(410)의 전후 방향 중간에 배치될 경우, 케이스(410)의 전후방향 두께가 증가되어야 한다. 이는 스마트월(100)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실내공간을 많이 점유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가이드유로(486)는 스마트월(100)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공조된 공기를 케이스(410)의 중간으로 이동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좌우 사이드가이드(486b)(486c)는 프론트가이드(486a) 및 리어가이드(486d)를 연결한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토출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토출덕트(440)는 가이드유로(486)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공기는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에 공급된다.
상기 토출덕트(440)는 가이드바디(484)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덕트(440)는 상기 제 2 개구면(413)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개구면(413)을 커버하고, 상기 제 2 개구면(413)을 밀폐시킨다. 상기 토출덕트(440)는 상기 제 2 개구면(413)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덕트(440)는 상기 가이드바디(484)의 상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케이스(410)의 상단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덕트(44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토출덕트(440)는, 내부에 덕트공간(446)이 형성된 덕트바디(445)와, 상기 덕트바디(4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101)을 향해 개구된 제 1 덕트토출구(441)와, 상기 덕트바디(4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102)을 향해 개구된 제 2 덕트토출구(442)와, 상기 덕트바디(445)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유로(486)과 연통되어 공기를 공급받는 덕트흡입구(44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덕트바디(445)는 덕트프론트(445a), 제 1 덕트사이드(445b), 제 2 덕트사이드(445c), 덕트리어(445d), 덕트탑(445e) 및 덕트바텀(445f)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바디(445)는 전후 방향 폭보다 좌우 방향 폭이 더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덕트사이드(445b)는 좌측벽이고, 제 2 덕트사이드(445c)는 우측벽이다.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는 덕트프론트(445a)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442)는 덕트리어(445d)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 및 제 2 덕트토출구(442)는 다수개의 홀 또는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덕트공간(446)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특히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는 상기 덕트공간(446) 및 제 1 공간(101)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442)는 상기 덕트공간(446) 및 제 2 공간(102)을 연통시킨다.
상기 덕트흡입구(443)는 덕트바텀(445f)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공간(446)과 가이드유로(486)를 연통시킨다.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 및 제 2 덕트토출구(442)는 각각 다른 쪽에 치우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덕트토출구(441)는 제 2 덕트사이드(445c) 측에 치우쳐 배치되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442)는 제 1 덕트사이드(445b) 측에 치우쳐 배치된다.
반면에, 상기 덕트흡입구(443)는 토출덕트(440)의 좌우 중간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정면에서 볼 때, 상기 덕트흡입구(443)의 일측(좌측)은 제 2 덕트토출구(442)와 오버랩되어 제 2 오버랩길이(OL2)을 형성하고, 상기 덕트흡입구(443)의 타측(우측)은 제 1 덕트흡입구(441)와 오버랩되어 제 1 오버랩길이(OL1)을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덕트흡입구(443)의 일측 가장자리(443a)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덕트토출구(442)로 바로 유동될 수 있고, 타측 가장자리(443b)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로 바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오버랩길이(OL1) 및 제 2 오버랩길이(OL2)를 같게 형성시켜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에 공급되는 공기 유량을 균등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작동에 따른 공기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420)는 로어프레임(310)에 지지되어 바닥(121)과 이격되고, 상기 필터(420)를 통해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의 공기가 동시에 흡입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310)은 상기 필터(420)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지부(312)가 더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422)은 지지부(312)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312)의 전방 측은 상기 제 1 공간(101)과 연통되고, 상기 지지부(312)의 후방 측은 상기 제 2 공간(102)과 연통된다.
팬(470)이 작동되면, 상기 제 1 공간(101)의 공기는 상기 필터(420)의 전방측을 통해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제 2 공간(102)의 공기는 상기 필터(420)의 후방측을 통해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의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422) 및 필터부재(424)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상기 여과된 공기는 열교환기(430) 및 프론트월(410a)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관통하면서 열교환기(430)와 열교환된다.
상기 열교환기(430) 및 여과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제습, 쿨링 또는 히팅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43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공조공기라 정의한다.
상기 공조공기는 팬(470)에 의해 가압된 후, 팬하우징(480)으로 유동된다. 상기 팬하우징(480)은 상기 팬(470)에 의해 가압된 공조공기를 가이드유로(486)로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유로(486)에 공급된 공조공기는 가이드바디(484)를 관통하여 토출덕트(440)로 유동한다.
상기 공조공기는 덕트흡입구(443)를 통해 덕트공간(446)으로 유동된다.
공기는 전체적으로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토출덕트(440)로 유동되고, 공기의 유동방향 전환을 최소화한다. 공기의 유동방향 전환각이 클 경우, 공기저항이 커지고 팬(470)의 부하 역시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된 후 수평방향으로 토출됨으로서 공기의 유동방향 전환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공기가 180도 방향전환되는 구조를 배제함으로써 공기저항 및 팬(470)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덕트흡입구(443)에 공급된 공조공기는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된다. 상기 덕트공간(446)의 공기 중 일부는 제 1 덕트토출구(441)를 통해 제 1 공간(101)에 토출되고, 나머지는 제 2 덕트토출구(442)를 통해 제 2 공간(102)에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의 실내기는 구획된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에서 각각 공기를 흡입한 후, 제 1 공간(101) 및 제 2 공간(102) 각각에 공조공기를 토출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월의 실내기는 하나의 실내기를 통해 2개의 공간을 공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토출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토출덕트(440')는 제 1 덕트토출구(441)가 덕트바디(445)의 전면 전체에 배치되고, 제 2 토출덕트(442)가 덕트바디(445)의 후면 전체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덕트토출구(441)는 덕트프론트(445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릿이 배열되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442)는 덕트리어(445d)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릿이 배열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필터(1420)는 제 1 필터(1421) 및 제 2 필터(142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필터(1421)는 제 1 공간(101)과 연통되고, 상기 제 1 공간(101)의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제 2 필터(1422)는 제 2 공간(102)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공간(102)의 공기를 여과한다.
즉, 상기 제 1 필터(1421)는 제 1 공간(101)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공간(101)에서 분리한다. 상기 제 2 필터(1422)는 제 2 공간(102)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공간(10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1421)는 제 1 필터하우징(422')과, 상기 제 1 필터하우징(422')에 배치되는 제 1 필터부재(4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필터(1422)는 제 2 필터하우징(422")과, 상기 제 2 필터하우징(422")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부재(4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필터(1421)를 통해 여과된 공기와 상기 제 2 필터(1422)를 통해 여과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서 믹스되고,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작동된다.
상기 제 1 필터(1421) 및 제 2 필터(1422)는 각각의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서비스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 1 필터하우징(422') 및 제 2 필터하우징(422")은 밑면 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다수개의 홀(423)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필터하우징(422') 및 제 2 필터하우징(422")의 밑면에 형성된 홀을 저면홀(423a)이라 하고, 측면에 형성된 홀을 측면홀(432b)라 정의한다.
상기 케이스(410)에 설치될 때, 상기 제 1 필터하우징(422')의 후면과 제 2 필터하우징(422")의 전면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310)은 제 1 필터하우징(422') 및 제 2 필터하우징(422")의 중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필터하우징(422') 및 제 2 필터하우징(422")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않될 것이다.
100 : 스마트월
110 : 디스플레이
200 : 공기조화기 210 : 실내기
300 : 프레임어셈블리 410 : 케이스
420 : 필터 430 : 열교환기
440 : 토출덕트 450 : 드레인팬
460 : 실내팬 470 : 팬
480 : 팬하우징
200 : 공기조화기 210 : 실내기
300 : 프레임어셈블리 410 : 케이스
420 : 필터 430 : 열교환기
440 : 토출덕트 450 : 드레인팬
460 : 실내팬 470 : 팬
480 : 팬하우징
Claims (24)
-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어셈블리;
상기 프레임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사이에 위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안내하는 토출덕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토출덕트로 유동시키는 실내팬;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팬을 기준으로 상기 토출덕트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일측은 상기 제 1 공간에 노출되어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필터의 타측은 상기 제 2 공간에 노출되어 상기 제 2 공간과 연통된 스마트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어셈블리의 하단은 건물의 바닥에 지지되고,
상기 필터의 하단은 상기 바닥과 이격되어 필터이격거리를 형성하는 스마트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밑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스마트월.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전단은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필터의 후단은 상기 제 2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밑면의 홀들은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 각각 노출되고, 상기 밑면의 홀들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스마트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전면은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필터의 후면은 제 2 공간을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터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스마트월.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밑면에 다수개의 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전단은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필터의 후단은 상기 제 2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밑면의 홀들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스마트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바닥에 지지되는 로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의 전단은 상기 지지부보다 상기 제 1 공간 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필터의 후단은 상기 지지부보다 상기 제 2 공간 측으로 더 돌출된 스마트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바닥에 지지되는 로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로어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된 스마트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전후 방향 두께는 상기 프레임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두께 내로 배치되는 스마트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케이스에 조리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필터하우징; 및 상기 홀을 커버하도록 필터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홀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스마트월.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필터하우징의 전면, 후면 및 밑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스마트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덕트는,
내부에 덕트공간이 형성된 덕트바디;
상기 덕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덕트공간에 제공하는 덕트흡입구;
상기 덕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간을 향해 개구된 제 1 덕트토출구;
상기 덕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을 향해 개구된 제 2 덕트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덕트토출구는 상기 덕트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으로 토출하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는 상기 덕트공간의 공기를 제 2 공간으로 토출하는 스마트월.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덕트바디는, 상기 제 1 공간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토출덕트의 전면을 형성하는 덕트프론트; 및 상기 제 2 공간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토출덕트의 후면을 형성하는 덕트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덕트토출구는 상기 덕트프론트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는 상기 덕트리어를 관통하게 형성된 스마트월.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덕트바디는, 상기 토출덕트의 저면을 형성하는 덕트바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덕트흡입구는 상기 덕트바텀을 관통하게 형성된 스마트월.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덕트흡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덕트토출구는 상기 덕트바디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덕트토출구는 상기 덕트바디의 타측에 배치된 스마트월. - 청구항 13에 있어서,
정면 또는 후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덕트토출구 및 제 2 덕트토출구 사이에 상기 덕트흡입구가 배치되는 스마트월. - 청구항 13에 있어서,
정면 또는 후면에서 볼 때,
상기 덕트흡입구의 일측은 상기 제 2 덕트토출구와 오버랩되고, 상기 덕트흡입구의 타측은 상기 제 1 덕트흡입구와 오버랩되는 스마트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필터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마트월.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토출덕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스마트월.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및 실내팬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스마트월.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및 후면은 측면보다 넓게 형성된 스마트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은 측면보다 넓게 형성된 스마트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측면이 개구되어 제 1 개구면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제 1 개구면을 커버하는 스마트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측면이 개구되어 제 2 개구면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제 2 개구면을 커버하는 스마트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7939A KR20210129877A (ko) | 2020-04-21 | 2020-04-21 | 스마트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7939A KR20210129877A (ko) | 2020-04-21 | 2020-04-21 | 스마트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9877A true KR20210129877A (ko) | 2021-10-29 |
Family
ID=7823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7939A KR20210129877A (ko) | 2020-04-21 | 2020-04-21 | 스마트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29877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4264B1 (ko) | 2006-11-14 | 2007-10-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
KR101335243B1 (ko) | 2012-06-26 | 2013-11-29 | 김기태 | 열교 방지와 고기밀성을 가지는 건식 벽체의 시공 방법 |
-
2020
- 2020-04-21 KR KR1020200047939A patent/KR20210129877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4264B1 (ko) | 2006-11-14 | 2007-10-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
KR101335243B1 (ko) | 2012-06-26 | 2013-11-29 | 김기태 | 열교 방지와 고기밀성을 가지는 건식 벽체의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1562B1 (ko)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
US9410716B2 (en) | Ventilation apparatus | |
KR102105127B1 (ko) |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 |
KR100826020B1 (ko) | 공기조화기 | |
KR102118621B1 (ko) | 바닥형 공기순환기 | |
JP7412149B2 (ja) | 空調制御室 | |
CN112714846B (zh) | 通风装置用热交换单元 | |
KR20210129877A (ko) | 스마트월 | |
KR20210129878A (ko) | 스마트월 | |
KR20210129879A (ko) | 스마트월 | |
KR20210129880A (ko) | 스마트월 | |
KR20220018206A (ko) | 스마트월 | |
JP2023516641A (ja) | 空気調和機の天井型室内機 | |
KR20180044650A (ko) | 공기조화기 | |
JP4016887B2 (ja) | 同時給排換気装置 | |
JPH07190415A (ja) | 空気調和機 | |
KR20210073022A (ko) | 공기관리장치 | |
KR20150122393A (ko) | 실내공기를 이용한 실내바닥 매립형 패리미터 팬유니트장치 | |
JP2002276992A (ja) |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 |
KR102417603B1 (ko) |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 |
JP4387680B2 (ja)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
KR101834347B1 (ko) | 환기장치 | |
KR20040013678A (ko) | 이중 덕트에 의한 열회수 방식을 이용한 환기 장치 | |
US20240060677A1 (en) | Ventilation apparatus | |
JP7191557B2 (ja) | 全館空調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