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540A - 인조모피의 제조방법과 인조모피를 제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인조모피의 제조방법과 인조모피를 제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540A
KR20220017540A KR1020200097173A KR20200097173A KR20220017540A KR 20220017540 A KR20220017540 A KR 20220017540A KR 1020200097173 A KR1020200097173 A KR 1020200097173A KR 20200097173 A KR20200097173 A KR 20200097173A KR 20220017540 A KR20220017540 A KR 20220017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denier
artificial fur
fiber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이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희 filed Critical 이승희
Priority to KR1020200097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7540A/ko
Publication of KR2022001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540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7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 D06N3/0077Embossing; Pressing of the surface; Tumbling and crumbling; Cracking; Cooling; Heating, e.g. mirror finish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3/00Mixing, e.g. blending, fibres; Mixing non-fibrous materials with fib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29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3/00Shearing, clipping or cropping surfaces of textile fabrics; Pile cutting; Trimming seamed edg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9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knitted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모피와 가장 비슷한 파일로서 제조한 후에 파일사가 잘 빠지지 않고 내구성이 있으면서 표면에 물결무늬가 선명하게 나타나 따뜻한 질감을 얻게 하는 논루프(Non-Loop) 인조모피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와, 3~5D(denier)의 아크릴이나 폴리에스터, 실크 중 어느 하나로 된 섬유사(Staple fiber)나, 목화, 견면, 양모 중 어느 하나로 된 솜과,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를 각각 준비하는 제1공정인 파일 선택공정과 선택된 화이버를 혼합하여 뭉쳐진 상태에서 잘게 뜯어내는 제2공정인 혼합,파열공정과 파열한 화이버(fiber)에 대전방지제와 유연제를 배합한 가공액을 고르게 분사하여 충분히 흡수시키는 제3공정인 가공액 첨가공정과 가공액을 고르게 흡수한 화이버를 혼합과 동시에 타면 하면서 건조하는 제4공정인 혼타면공정과 타면과 동시에 건조한 화이버를 조합기에서 다시 잘게 찢어 개면과 동시에 고르게 혼합하는 제5공정인 개면혼합공정과 개면과 동시에 고르게 혼합한 화이버를 스테이플 카드머신(Staple card machine)에서 카딩(carding)하여 개면과 동시에 조직을 일률적으로 나란히 정렬하여서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구성하는 제6공정인 카딩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소재를 가공하는 소재가공단계와, 슬리버파일을, 화이버 원형편직기(Fabric sliver circular knitting machine)에서 백그라운드사(Back groundyarn)와 함께 일체로 편직하여 인조모피를 구성하는 제7공정인 편직공정인 인조모피생산단계와, 생산한 인조모피의 파일의 끝을 균일한 높이가 되도록 절단하는 제8공정인 샤링공정과 샤링가공한 인조모피를 100℃이하의 열간 챔버에서 15분 이내로 스팀가열 하는 제9공정인 텀블링공정과 텀블링 가공한 인조모피를 상온에서 냉각한 다음, 텐타머신(Dry & coating machine)으로 수지(Resin)를 일정하게 코팅하여 열풍으로 파일과 백그라운드를 결속시키는 제10공정인 코팅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후 가공 처리단계와, 상기한 공정으로 완성된 인조모피의 상태를 검사하여 불량품을 가려내고 완성품을 포장하는 제11공정인 검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인조모피 제조방법으로,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를 3~5D(denier)의 섬유사(Staple fiber)와,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와 혼합하여 타면한 슬리버파일(Sliverpile)을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 150D/48F(denier/filament)인 백그라운드사(Back ground yarn)로 편직기(Fabric sliver circular knitting machine)에서 일체로 편직하여 인조모피파일의 표면이 물결무늬 형태의 웨이브무늬를 표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조모피의 질감과 품격을 향상시키는 신규한 효과를 창출한다.

Description

인조모피의 제조방법과 인조모피를 제조하는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u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ur}
본 발명은 논루프(Non-Loop) 인조모피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피와 가장 비슷한 파일로서 제조한 후에 파일사가 잘 빠지지 않고 내구성이 있으면서 표면에 물결무늬 형태의 웨이브가 선명하게 나타나 따뜻한 질감을 얻게 하는 인조모피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피는 매끄럽고 부드러운 짐승의 털가죽을 말하는 것으로서, 보온용뿐만 아니라 장식용과 기타 다른 목적으로도 쓰이는 등 오랫동안 인류에게 매우 소중한 것이었다. 이러한 모피는 그라운드 헤어라고 부르는 빽빽한 솜털과, 솜털을 덮고 있는 긴 털인 가드 헤어의 두 요소로 구성되었을 때 진모피(眞毛皮)라고 하며, 솜털은 동물의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고, 긴 털은 밑층에 있는 솜털과 피부를 보호하며 비나 눈을 막아준다. 여러 동물 가운데 흑담비, 친칠라, 족제비, 밍크 등의 털이 특히 우수하고, 토끼와 다람쥐 털은 질이 좀 떨어지며, 그 밖에도 여우와 양, 표범, 시라소니, 오셀롯, 늑대, 비버, 담비, 너구리, 스컹크, 수달, 물개, 긴 털이없는 페르시아산 새끼양과 솜털이 없는 새끼염소, 조랑말 등이 모피를 얻기 위해서 쓰이는 동물로서, 주요 생산국은 러시아 연방, 미국, 캐나다, 스칸디나비아 반도국이다. 이와 같이 모피는 인류가 유용하게 사용하는 대신, 모피를 얻기 위해 동물을 남획하여 모피를 제공할 수 있는 동물들이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있고, 동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피는 한계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인조모피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인조모피를 제조하는 지금까지의 기술로는 아크릴사로 직조된 지사에 단순히 환편기로솜을 니팅하여 브레싱한 후 광택기로 광택을 내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질감이 떨어져 천연모피와는 확연히 상이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낮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여기서 발전한 것으로, 극세사 섬유(Micro fiber)로 만든 제품은 부드러운 터치와 품질의 우수한 특성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근래에 와서는 0.3 데니어 이하의 초극세 섬유를 개발하여 인조피혁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스웨이드를 이용한 제품의 경우 대부분 본딩공정을 거치고 해도사 인조피혁을 본딩한 가멘트(Garment), 산자용 자재, 침장류 등의 소재는 일반적으로 트리코트(Tricot) 혹은 직물 해도사 제품과 EF Velboa와 같은 극세사 파일원단을 각각 염색, 가공한 후 스폰지를 이용한 본딩 과정을 거쳐 제작되어 왔으나, 뒷면에 해도형 원사를 사용하여 감량하고, 극세사의 부드러운 감촉을 약간의 선 기모 공정으로 진행하고 후에 가공을 통하여 좀더 고급스런 외관을 창출하여, 0.3~0.5 데니어 급의 극세사를 표면과 이면에 동시에 편성하였다. 특히, 텐터(Tenter), 기모 설비라인, 샤링(Shearing)M/C, 폴리셔(Polisher), 염색기 등을 이용하고, 공정의 순서에 따른 기술 노하우(Know-how)를 활용하여 친환경성(Environment Friendly), 복잡한 공정의 단순화, 원가절감에 의한 경쟁력 강화와 기존의 제품에 대한 품질의 우수성을 위하여 원단의 앞면은 마이크로(Micro) 원사의 고감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소재로서 천연모피 이상의 부드러운 감촉의 파일을 형성하고, 뒷면은 다양한 포일의 종류와 패턴을 응용하여 기존의 천연모피와 인조모피의 고가의 부드러운 터치(touch)를 발현하면서, 보온성과 경량감에서 오는 장점을 적극적으로 살리고자 노력하고 있는 실정으로, 지금까지 개발된 선행기술의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인조모피는 특허출원 제10-2004-0054905호(2004.07.14)에서와 같이 파일사의 제직부위 내측에 상호간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제직공정이 이루어지기 전 접착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혼합액에 파일사를 침지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파일사가 쉽게 빠져나가지 아니하도록 하거나, 특허출원 제10-2006-0113306호(2006.11.16)에서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사로 직조된 지사에 아크릴과 폴리에스테르를 혼합한 솜을 형성시키는 솜형성공정과 아크릴과 폴리에스테르를 분리하는 가성소다 처리공정과 숙성공정과 물과 유연제로 세척하는 세척공정과 2차 건조공정과 폴리싱하는 광택공정과 나염하는 나염공정으로 이루어지거나, 특허출원 제10-2007-0099593호(2007.10.04)에서와 같이 파일(Pile)사가 식모 된 원단과 파일사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원단으로 부터 파일(Pile)사의 탈모를 방지하거나, 특허출원 제10-2008-0073348호(2008.07.28)는 경편성물을 편성하는 공정과, 원단을 직접 고열 세팅하는 공정과, 편성물의 앞면 및 뒷면을 기모하는 공정과, 샤링 공정과, 염색공정과, 염색 후 탈수 작업에 따른 유제가공과 폭 가공 공정과, 샌드와싱과 피치(peach) 가공 공정 및 타이 프린트 또는 포일 처리의 후가공을 포함하거나, 특허출원 제10-2008-0073350호(2008.07.28)에서는 파일부분과 이면 부분을 발염효과를 주기 위해서 기능성 CDP(cationic dyeablepolyester) 섬유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DTY(Draw Textured Yarn) 원사를 사용하여 혼합편직한 니트 생지를 열세팅하는 단계, 카치온 염색을 실행하는 단계, 유제가공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완성된 모피의 문양이 단순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지금까지의 인조모피의 단순한 문양을 해결하고자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micro fiber)와 3~5D(denier)의 아크릴이나 폴리에스터, 실크 등의 섬유사(Staple fiber)나, 목화, 견면, 양모 등 솜을 타면, 혼합하여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구성하고, 상기 슬리버파일을 폴리에스터, 견면, 실크, 양모 등으로 된 백그라운드사(Back ground yarn)로 편직기(Fabric sliver circular knitting machine)에서 일체로 편직하여 인조모피파일의 표면에 물결무늬 형태의 웨이브가 나타내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와, 3~5D(denier)의 아크릴이나 폴리에스터, 실크 등의 섬유사(Staple fiber)나, 목화, 견면, 양모 등 솜과,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를 각각 준비하는 제1공정인 파일 선택공정과 선택된 화이버를 혼합하여 뭉쳐진 상태에서 잘게 뜯어내는 제2공정인 혼합,파열공정과 파열한 화이버(fiber)에 대전방지제와 유연제를 배합한 가공액을 고르게 분사하여 충분히 흡수시키는 제3공정인 가공액 첨가공정과 가공액을 고르게 흡수한 화이버를 혼합과 동시에 타면 하면서 건조하는 제4공정인 혼타면공정과 타면과 동시에 건조한 화이버를 조합기에서 다시 잘게 찢어 개면과 동시에 고르게 혼합하는 제5공정인 개면혼합공정과 개면과 동시에 고르게 혼합한 화이버를 스테이플 카드머신(Staple card machine)에서 카딩(carding)하여 개면과 동시에 조직을 일률적으로 나란히 정렬하여서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구성하는 제6공정인 카딩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소재를 가공하는 소재가공단계와, 슬리버파일을, 화이버 원형편직기(Fabric sliver circular knitting machine)에서 백그라운드사(Back groundyarn)와 함께 일체로 편직하여 인조모피를 구성하는 제7공정인 편직공정;인 인조모피생산단계와, 생산한 인조모피의 파일의 끝을 균일한 높이가 되도록 절단하는 제8공정인 샤링공정과; 샤링가공한 인조모피를 100℃이하의 열간 챔버에서 15분 이내로 스팀가열 하는 제9공정인 텀블링공정과 텀블링 가공한 인조모피를 상온에서 냉각한 다음, 텐타머신(Dry & coating machine)으로 수지(Resin)를 일정하게 코팅하여 열풍으로 파일과 백그라운드를 결속시키는 제10공정인 코팅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후 가공 처리단계와, 상기한 공정으로 완성된 인조모피의 상태를 검사하여 불량품을 가려내고 완성품을 포장하는 제11공정인 검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인조모피 제조방법으로,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를 3~5D(denier)의 섬유사(Staple fiber)와,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와 혼합하여 타면한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 150D/48F(denier/filament)인 백그라운드사(Back groundyarn)로 편직기(Fabric sliver circular knitting machine)에서 일체로 편직하여 인조모피파일의 표면에 물결무늬 형태의 웨이브가 표현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를 이용하여 인조모피파일의 표면에 물결무늬 형태의 웨이브가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인조모피의 질감과 품격을 향상시키는 신규한 효과를 창출한다.
제1공정: 파일 선택공정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기본요소인,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와, 아크릴이나 폴리에스터, 실크 등의 섬유사(Staple fiber)나, 목화, 견면, 양모 등 솜과,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를 각각 준비한다. 이때, 아크릴이나 폴리에스터,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는 3~5D(denier)로 선택하는 것이 무방하며,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는 1.4~3D(denier)를 선택하는 것이 무방하다. 제2공정: 혼합,파열공정 상기 제1공정인 파일 선택공정에서 선택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기본요소인,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와, 3D(denier)의 아크릴사, 폴리에스터사,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나 목화, 견면, 양모 중 어느 하나인 솜과,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shrinkage poly ester fiber)를 혼합하여 뭉쳐진 상태에서 잘게 뜯어낸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와, 섬유사(Staple fiber)나, 솜과,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shrinkage poly ester fiber)의 혼합비는 다양할 것으로 그 혼합방법에 특별히 구애받지 않을 것이며, 이들 화이버가 이미 나염 된 유색화이버일 때는 각기 다른 색상을 적층,혼합하여 하여 파열하면 다양한 무늬를 연출할 수 있을 것으로, 몇 가지 실시예와 이에 따른 최적의 혼합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 40~60%에 3~5D(denier)의 아크릴사, 폴리에스터사,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 40~60%를 혼합하여 파열한다. 실시예 2 :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 40~60%에 목화, 견면, 양모 중 어느 하나인 솜 40~60%를 혼합하여 파열한다. 실시예 3 :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 40~60%에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shrinkage poly ester fiber)를 40~60%를 혼합하여 파열한다. 실시예 4 :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 40~60%에 3~5D(denier)의 아크릴사, 폴리에스터사,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 20~30%와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ester fiber)를 20~30%를 혼합하여 파열한다. 실시예 5 :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 20~40%에 3D(denier)의 아크릴사, 폴리에스터사,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 30~40%와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ester fiber)를 30~40%를 혼합하여 파열한다. 실시예 6 :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 40~60%에 3D(denier)의 아크릴사, 폴리에스터사,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 30~40%와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ester fiber)를 10~20%를 혼합하여 파열한다. 실시예 7 :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 40~60%에 목화, 견면, 양모, 중 어느 하나인 솜 20~30%와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를 20~30%를 혼합하여 파열한다. 실시예 8 :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 40~60%에 3~5D(denier)의 아크릴사, 폴리에스터사,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 20~30%와 목화, 견면, 양모 중 어느 하나인 솜 20~30%를 혼합하여 파열한다. 실시예 9 :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 30~50%에 3~5D(denier)의 아크릴사, 폴리에스터사,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 10~30%와,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poly ester fiber) 10~30%와, 목화, 견면, 양모 중 어느 하나인 솜 10~30%를 혼합하여 파열한다. 상기한 실시를 반복해서 얻어진 결과로 가장 아름다운 무늬를 표현함은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 60%에 3D(denier)의 아크릴사, 폴리에스터사,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 40%를 혼합하면 가장 아름다운 무늬를 연출하나 파일이 일부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 50~60%에 3D(denier)의 아크릴사, 폴리에스터사,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 30~40%와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를 10~20%를 혼합하여 파열하였을 때 파일이 빠지는 현상이 없었다. 제3공정: 가공액 첨가공정 상기 제2공정인 혼합, 파열공정에서 혼합하여 파열한 화이버(fiber)에 대전방지제와 유연제를 배합한 가공액을 고르게 분사하여 적어도 8~24시간 정도 자연 상태로 충분히 흡수시킨다. 이때 상기 대전방지제(A-100), 유연제는 시중에 유통되는 것으로 그 종류에는 구애됨이 없이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단지 대전방지제 75중량%에 유연제 25중량%로 배합하여 얻어진 가공액을 화이버 전체중량비의 8중량%를 사용한다. 제4공정: 혼타면공정 상기 제3공정인 가공액 첨가공정에서 대전방지제와 유연제를 배합한 가공액을 고르게 흡수한 화이버를 적어도 2회에 걸쳐 혼합과 동시에 타면 하면서 건조한다. 제5공정: 개면혼합공정 상기 제4공정인 혼타면공정에서 대전방지제와 유연제를 배합한 가공액을 고르게 흡수한 화이버를 타면과 동시에 건조한 화이버를 조합기에서 다시 잘게 찢어 개면과 동시에 고르게 혼합한다. 제6공정: 카딩공정 상기 제5공정인 개면혼합공정에서 잘게 찢어 개면과 동시에 고르게 혼합한 화이버를 스테이플 카드머신(Staplecard machine)에서 카딩(carding)하여 개면과 동시에 조직을 일률적으로 나란히 정렬하여서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구성한다. 본 공정은 본 발명을 이루는데 중요한 공정의 하나로 본 공정을 실시하는데 따른 스테이플 카드머신(Staplecard machine)의 구성과 작업조건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테이플 카드머신(Staple card machine)은 파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위한 한 쌍의 스파이크컨베이어를 구성한 호퍼와 호퍼에서 공급되는 화이버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와, 2차례에 걸쳐서 카딩이 이루어지도록 실린더와 스트리퍼(Stripper), 도퍼(Doffer)와 워커(Worker)를 각각 별도의 메탈릭와이어(Metalic Wire)로 감아서 구성하는 카딩기(Carding Machine)를 연속하여 한 쌍으로 구성하여 1,2차에 걸쳐 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과, 카딩기에서 카딩된 화이버를 슬리버파일로 형성하는 트럼펫과, 코일러로 구성된다. 상기한 스테이플 카드머신(Staple card machine)에서 화이버를 카딩(carding)하여 개면과 동시에 조직을 일률적으로 나란히 정렬하여서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구성하는 실시예를 살펴보면, 1차와 2차에 걸쳐 호퍼에 투입되면서 얇게 분리된 화이버는 이송컨베이어에 의하여 카딩기의 실린더측으로 공급되면 실린더에 감겨있는 메탈릭와이어가 화이버를 끌고 들어가 빗질과 동시에 도퍼에 감겨있는 메탈릭와이어로 전달하면서 서로 다른 표면속도에 의하여 개면과 카딩이 1,2차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개면과 카딩이 완료된 화이버는 트럼펫에서 모아져 코일러에서 슬리버파일을 구성한다. 지금까지 실시한 제1공정인 파일 선택공정과, 제2공정인 혼합, 파열공정과, 제3공정인 가공액 첨가공정과, 제4공정인 혼타면공정과, 제5공정인 개면혼합공정과, 제6공정인 카딩공정은 파일을 구성하는 소재를 가공하는 소재가공단계이다. 제7공정: 편직공정 상기 제6공정인 카딩공정에서 카딩되어 구성된 슬리버파일을, 화이버 원형편직기(Fabric sliver circularknitting machine)에서 콘 홀더(Con holder)로부터 공급되는 백그라운드사(Back ground yarn)와 함께 일체로 편직하여 인조모피를 구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화이버원형편직기(Fabric sliver circular knitting machine)는 원통형으로 된 메인드럼에 실린더에 의하여 상하운동하는 바늘과 전후운동을 하는 바늘 및 싱커(sinker)를 방사선 형으로 배열하고, 그 위의 베드에 롤러그로스와이어(Roller gross wire)를 방사선형으로 등 간격을 이루도록 16세트를 설치하여 상기 바늘에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공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드의 상측에는 각각의 바늘에 백그라운드사(Back ground yarn)를 공급하는 콘 홀더(Conholder)를 구성하고 중앙의 홀에는 내부의 분진을 배출하는 석션후드(suction hood)를 설치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롤러그로스와이어(Roller gross wire)와 인접하게 에어를 불어주는 에어건을 구성하여, 에어건의 에어공으로부터 분사된 에어가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공급할 때 롤러그로스 와이어(Roller gross wire)에 발생하는 먼지나 화이버 보프라기를 날려보내 이들이 롤러그로스와이어(Roller gross wire)에 끼어서 고장을 유발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때의 에어건은 롤러그로스와이어(Roller gross wire)에 고르게 에어를 불어 주도록 선단이 막힌 파이프에 다수의 에어공을 뚫어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드 중앙의 홀에 구성하는 석션후드는 빨아들이는 후드의 흡입구를 양 방향으로 분할하여 2개의 흡입구에서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석션후드의 흡입력이 백그라운드사(Back ground yarn)와 함께 편직되는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부분적으로 세워서 완성되는 모피의 표면에 물결무늬 형태의 웨이브가 더욱 뚜렷하게 형성되는 것을 도와준다. 상기한 제7공정인 편직공정은 실질적으로 인조모피를 편직생산하는 인조모피생산단계이다. 제8공정: 샤링공정 상기 제7공정인 편직공정에서 백그라운드사(Back ground yarn)와 함께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편직하여 생산한 인조모피의 파일의 끝을 균일한 높이가 되도록 절단한다. 제9공정: 텀블링공정 상기 제8공정인 샤링공정에서 파일의 끝을 균일한 높이가 되도록 절단한 인조모피를 100℃이하의 열간 챔버에서 15분 이내로 스팀가열 한다. 제10공정: 코팅공정 상기 제9공정인 텀블링공정에서 100℃이하의 열간 챔버에서 15분 이내로 스팀가열 한 인조모피를 상온에서 냉각한 다음, 텐타머신(Dry & coating machine)으로 수지(Resin)를 일정하게 코팅하여 열풍으로 파일과 백그라운드를 결속시킨다. 지금까지 실시한 제8공정인 샤링공정과, 제9공정인 텀블링공정과, 제10공정인 코팅공정은 생산한 인조모피를 후 가공 처리하는 후 가공 처리단계이다. 제11공정:검사공정 상기한 공정으로 완성된 인조모피의 상태를 검사하여 불량품을 가려내고 완성품을 포장한다. 상기한 제1공정에서 제11공정까지 순차로 수행함으로써,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를 아크릴사, 폴리에스터사,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와,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를 혼합하여 타면한 슬리버파일(Sliver pile)이나,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를 3~5D(denier)의 아크릴사, 폴리에스터사,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와, 혼합하여 타면한 슬리버파일(Sliver pile)이나,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를 1.4~3D(denier)의 고수축 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와, 혼합하여 타면한 슬리버파일(Sliver pile)이나,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를 섬유사(Staple fiber)와, 목화, 견면, 양모 중 어느 하나인 솜을 혼합하여 타면한 슬리버파일(Sliver pile)이나,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fiber)를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와, 목화, 견면, 양모, 중어느 하나인 솜을 혼합하여 타면한 슬리버파일(Sliver pile)이나,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micro fiber)를 3~5D(denier)의 아크릴사, 폴리에스터사,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와, 1.4~3D(denier)의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와, 목화, 견면, 양모, 중 어느 하나인 솜을 혼합하여 타면한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 150D이하/48F(denier/filament)인 백그라운드사(Back ground yarn)로 원형편직기(Fabric sliver circular knittingmachine)에서 일체로 편직하여 인조모피파일의 표면이 물결무늬 형상을 표현하도록 인조모피를 구성한다.

Claims (1)

  1.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와, 아크릴이나 폴리에스터, 실크 중 어느 하나의 섬유사(Staple fiber)나, 목화, 견면, 양모 중 어느 하나로 된 솜과, 고수축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fiber)를 각각 준비하는 제1공정인 파일 선택공정과 상기 제1공정인 파일 선택공정에서 선택된 0.9D(denier) 이하의 아크릴극세사(Acryl micro fiber)와, 아크릴이나 폴리에스터, 실크 중 어느 하나인 섬유사(Staple fiber)나, 목화, 견면, 양모 중 어느 하나인 솜과, 고수축 폴리에스터사(High shrinkage poly ester fiber)를 혼합하여 뭉쳐진 상태에서 잘게 뜯어내는 제2공정인 혼합, 파열공정과 상기 제2공정인 혼합, 파열공정에서 혼합하여 파열한 화이버(fiber)에 대전방지제와 유연제를 배합한 가공액을 고르게 분사하여 적어도 8~24시간 정도 자연 상태로 충분히 흡수시키는 제3공정인 가공액 첨가공정과 상기 제3공정인 가공액 첨가공정에서 대전방지제와 유연제를 배합한 가공액을 고르게 흡수한 화이버를 적어도 2회에 걸쳐 혼합과 동시에 타면 하면서 건조하는 제4공정인 혼타면공정과 상기 제4공정인 혼타면공정에서 대전방지제와 유연제를 배합한 가공액을 고르게 흡수한 화이버를 타면과 동시에 건조한 화이버를 조합기에서 다시 잘게 찢어 개면과 동시에 고르게 혼합하는 제5공정인 개면혼합공정과 상기 제5공정인 개면혼합공정에서 잘게 찢어 개면과 동시에 고르게 혼합한 화이버를 스테이플 카드머신(Staplecard machine)에서 카딩(carding)하여 개면과 동시에 조직을 일률적으로 나란히 정렬하여서 코일러에서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구성하는 제6공정인 카딩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소재를 가공하는 소재가공단계와, 상기 제6공정인 카딩공정에서 카딩되어 구성된 슬리버파일을, 화이버 원형편직기(Fabric sliver circular knitting machine)서 콘 홀더(Con holder)로부터 공급되는 백그라운드사(Back ground yarn)와 함께 일체로 편직하여 인조모피를 구성하는 제7공정인 편직공정인 인조모피생산단계와, 상기 제7공정인 편직공정에서 백그라운드사(Back ground yarn)와 함께 슬리버파일(Sliver pile)을 편직하여 생산한 인조모피의 파일의 끝을 균일한 높이가 되도록 절단하는 제8공정인 샤링공정과 상기 제8공정인 샤링공정에서 파일의 끝을 균일한 높이가 되도록 절단한 인조모피를 100℃이하의 열간 챔버에서 15분 이내로 스팀가열 하는 제9공정인 텀블링공정과 상기 제9공정인 텀블링공정에서 100℃이하의 열간 챔버에서 15분 이내로 스팀가열 한 인조모피를 상온에서 냉각한 다음, 텐타머신(Dry & coating machine)으로 수지(Resin)를 일정하게 코팅하여 열풍으로 파일과 백그라운드를 결속시키는 제10공정인 코팅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후 가공 처리단계와, 상기한 공정으로 완성된 인조모피의 상태를 검사하여 불량품을 가려내고 완성품을 포장하는 제11공정인 검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인조모피 제조방법.
KR1020200097173A 2020-08-04 2020-08-04 인조모피의 제조방법과 인조모피를 제조하는 장치 KR20220017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73A KR20220017540A (ko) 2020-08-04 2020-08-04 인조모피의 제조방법과 인조모피를 제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73A KR20220017540A (ko) 2020-08-04 2020-08-04 인조모피의 제조방법과 인조모피를 제조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540A true KR20220017540A (ko) 2022-02-14

Family

ID=8025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173A KR20220017540A (ko) 2020-08-04 2020-08-04 인조모피의 제조방법과 인조모피를 제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75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417B1 (ko) 인조모피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장치
CN102619095B (zh) 一种束状海岛环保阻燃汽车麂皮革的制造方法
Gries et al. Textile technology: an introduction
CN101517157B (zh) 皮革样片材及其制造方法
US2630619A (en) Knitted pile fabrics and process of manufacture
CN107326536B (zh) 异型涤纶纤维与木浆纤维复合水刺湿巾布及其制备方法
CN109972275A (zh) 具有单向导湿、双面异性、吸湿快干功能的针织面料及制备方法
CN109082763A (zh) 一种胶原纤维束形成网状结构的新型织物及全新皮革产品
CN103266400A (zh) 一种仿梭织织物的毛涤针织面料及其制造方法
CN108688264A (zh) 一种多层复合水刺无纺布及其生产工艺
CN105908369A (zh) 一种双面定型无胶棉絮片及其制造方法
CN101736478A (zh) 一种复合纤维生成的织物及制法
KR19980023954A (ko) 부직 합성포,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non-woven composite, a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KR20040086505A (ko) 마이크로 데니어 파이버 충전 절연 재료
CN104420074A (zh) 非织造纸巾及其制备方法
CN111206333A (zh) 一种环保纤维絮片及其制造方法
CN108691095A (zh) 一种真皮纤维复合超纤合成革的生产方法
CN1139682C (zh) 一种可纺绒丝、羽丝混纺材料及其加工方法
CN107326515A (zh) 一种粗细针仿羊毛衫针织面料的制备方法
KR20220017540A (ko) 인조모피의 제조방법과 인조모피를 제조하는 장치
CN103767198A (zh) 一种波浪形缝丝衬的制备工艺
Macarthur et al. Fibres, yarns and fabrics: an introduction to production, structure and properties
KR20220048154A (ko) 방수 및 방풍 기능이 구비된 인조모피 제조방법
CN108149417A (zh) 一种羊毛针织成衣的缩绒方法及包括该方法的羊毛强缩绒针织物的制作工艺及其制品
CN108570777A (zh) 一种毛呢针刺面料的生产工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