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222A - 골프백용 컨버터블 스트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골프백용 컨버터블 스트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222A
KR20220016222A KR1020217043318A KR20217043318A KR20220016222A KR 20220016222 A KR20220016222 A KR 20220016222A KR 1020217043318 A KR1020217043318 A KR 1020217043318A KR 20217043318 A KR20217043318 A KR 20217043318A KR 20220016222 A KR20220016222 A KR 20220016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lit
puck
degrees
sid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디 마텔
Original Assignee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22001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2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one strap passing over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2003/007Sport 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4/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and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2004/023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articles covered by groups A45F3/00 - A45F3/15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408Releasably mounted accessories fitted outside the bag, e.g. straps or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골프백용 스트랩 어셈블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본원 명세서에 설명한다.  스트랩 어셈블리 시스템은 단일 스트랩 구성 또는 이중 스트랩 구성 간에 변환될 수 있다.  스트랩 어셈블리 시스템은 제1 스트랩, 제2 스트랩 및 백 퍽(back puck)을 포함한다.  백 퍽은 제1 스트랩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부착 개구를 포함한다.  백 퍽은 선형 경로를 규정하고 제2 스트랩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측면 개구를 더 포함한다.  제2 스트랩은 선형 경로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백용 컨버터블 스트랩 어셈블리
본 발명은 2019년 5월 31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855,747호 및 2020년 3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3/001,673호에 대한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골프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백용 스트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백은 캐리백과 카트백으로 분류된다.  캐리백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백의 무게를 그 어깨에 멜 수 있게 하는 스트랩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캐리백에 있어서, 스트랩 시스템은 사용자가 백을 바디의 한쪽에 멜 수 있게 하는 단일 스트랩 시스템이다.  다른 캐리백에 있어서, 스트랩 시스템은 사용자가 백팩처럼 가방을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이중 스트랩 시스템이다.
캐리백은 일반적으로 단일 스트랩 시스템 또는 이중 스트랩 시스템으로 설계된다.  단일 스트랩 시스템은 균일하지 않은 무게로 인하여 사용자의 상체와 어깨를 피로하게 하는 단점이 있어, 골프 라운딩에서의 퍼포먼스를 저해할 수 있다. 이중 스트랩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골프백의 무게를 양쪽 어깨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여, 전반적인 피로를 줄인다. 그러나 단거리 골퍼들은 때때로 단일 스트랩 시스템의 편리함을 선호한다. 또한, 2개의 백을 들고 다니는 캐디는 이중 스트랩 백의 양 스트랩을 모두 사용할 수는 없으며, 대신 각 백의 단일 스트랩을 양쪽 어깨에 매어 백을 들어야 한다.
이중 스트랩 시스템은 종종 백팩(backpack)과 유사하게 착용하는 십자형 스트랩을 포함한다.  일부 이중 스트랩 디자인에서는, 하나의 스트랩에 의해 백을 들어 올려 사용자의 신체의 오른쪽에 맬 수 있다.  그러나 이중 스트랩 디자인의 방향(orientation)은 사용자가 사용자 신체의 왼쪽에 단일 스트랩을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을 불편하게 한다.  스트랩은 사용자의 신체의 왼쪽에 백을 맬 때 백의 무게를 정확하게 분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백을 신체의 어느 쪽에 메는가에 상관없이, 이중 스트랩 시스템은 십자형 교차점에서 스트랩이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일 스트랩 휴대에 적합하지 않다.  사용자가 단일 스트랩에 의해 백을 들 때 교차점이 사용자의 팔꿈치에 부딪힐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관점에서, 이중 스트랩 시스템을 단일 스트랩 시스템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할 수 있는 스트랩 시스템이 당업계에 필요하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어셈블리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백 퍽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백 퍽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백 퍽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2의 백 퍽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2의 백 퍽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VII-VII 선을 따라 취한, 도 2의 백 퍽의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스트랩 어셈블리 시스템의 제1 및 제2 스트랩이 도시되어 있는 상태의 도 6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스트랩 어셈블리 시스템의 제1 및 제2 스트랩이 도시되어 있는 상태의 도 7의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2의 백 퍽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5의 XI-XI 선을 따라 취한, 도 2의 백 퍽의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스트랩 어셈블리 시스템의 제1 및 제2 스트랩이 도시되어 있는 상태의 도 1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스트랩 어셈블리 시스템의 제1 및 제2 스트랩이 도시되어 있는 상태의 도 11의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단일 스트랩 구성의 도 1의 스트랩 어셈블리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이중 스트랩 구성의 도 1의 스트랩 어셈블리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이중 스트랩 구성의 도 1의 스트랩 어셈블리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제2 스트랩이 제1 측면 개구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의 도 1의 스트랩 어셈블리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원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은 골프백용의 컨버터블 스트랩 시스템이다.  스트랩 시스템은 단일 스트랩 구성과 이중 스트랩 구성 간에 전환될 수 있다.  스트랩 시스템은 제1 스트랩(102), 제2 스트랩(108), 및 백 퍽(100)을 포함할 수 있다. 백 퍽(100)은 이중 스트랩 구성에서 제1 스트랩(102) 및 제2 스트랩(108)을 서로에 대해 배향시킬 수 있다.  제1 스트랩(102)은 백 퍽(100)과 영구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반면, 제2 스트랩(108)은 백 퍽(100)과 분리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단일 스트랩 구성에서, 제2 스트랩(108)은 백 퍽(100)과 분리될 수 있다.  이중 스트랩 구성에서, 제2 스트랩(108)은 백 퍽(100)과 병진이동식으로(translationally) 맞물릴 수 있다.
도 1,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트랩(102)은 불연속적일 수 있다. 제1 스트랩(102)은 제1 섹션(104) 및 제2 섹션(106)을 포함할 수 있다. 백 퍽(100)은 제1 스트랩(102)의 제1 섹션(104)과 제2 섹션(106)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섹션(104)은 제1 단부 및 제1 부착 단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는 골프백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단부는 골프백의 우측을 향해 오프셋되어 골프백의 후면에 결합된다.  제1 부착 단부(110)는 백 퍽(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부착 단부(110)는 백 퍽(100) 상에 영구적으로 결합, 부착, 봉제되고 및/또는 스냅-핏(snap-fit) 또는 다른 탈착 가능한 결합 메커니즘으로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2 섹션(106)은 제2 단부 및 제2 부착 단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부는 골프백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착 단부(112)는 백 퍽(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부착 단부(112)는 백 퍽(100) 상에 영구적으로 결합, 부착, 봉제되고 및/또는 스냅-핏 또는 다른 탈착 가능한 결합 메커니즘으로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단부는 골프백의 좌측을 향해 오프셋되어 골프백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스트랩(102)의 제1 및 제2 단부는 골프백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스트랩(102)은 패딩 부분(padded portion)을 더 포함한다.
제1 스트랩(102)의 불연속성에 의해, 제1 스트랩(102)이 제2 스트랩(108)에 대해 문질러져 제2 스트랩(108)과 마찰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스트랩(108)은 백 퍽(100)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는 제1 스트랩(102)의 교차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백 퍽(100)을 관통해 자유로이 슬라이딩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도시 생략)에서는, 제2 스트랩(108)이 채널에서 제1 스트랩(102) 아래에 위치되어 제2 스트랩(108)이 제1 스트랩(102)과 접촉하지 않는 한, 제1 스트랩(102)이 연속적일 수 있다.
제2 스트랩(108)은 연속적일 수 있다.  제2 스트랩(108)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부는 골프백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트랩(108)의 제1 단부는 골프백의 좌측을 향해 오프셋되어 골프백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트랩(108)의 제2 단부는 골프백의 우측을 향해 오프셋되어 골프백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스트랩(108)의 제1 및 제2 단부는 골프백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스트랩(108)은 패딩 부분을 더 포함한다.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스트랩(102 , 108)은 스트랩 폭(180) 및 스트랩 두께(182)를 포함한다.
백 퍽(100)은 제1 및 제2 스트랩(102, 108)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퍽(100)은 중앙 본체(114), 제1 측면(120), 제2 측면(122),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본체(114)는 상부(116) 및 하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116)는 제1 스트랩(102)의 제1 부착 단부(11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부착 개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착 개구 (152)는, 제1 부착 개구(152)를 관통해 연장되는 평면이 중앙 본체(114)를 관통해 연장하는 평면에 직교할 수 있도록 중앙 본체(114)로부터 커팅될 수 있다.  하부(118)는 제1 스트랩(102)의 제2 부착 단부(112)를 수용하기 위한 제2 부착 개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착 개구(154)는, 제2 부착 개구(154)를 관통해 연장하는 평면이 중앙 본체(114)를 관통해 연장되는 평면에 직교할 수 있도록 중앙 본체(114)로부터 커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스트랩(102)의 제1 및/또는 제2 부착 단부(112)는 제1 및/또는 제2 부착 개구(154)를 통해 루프를 형성할 수 있고 스티칭에 의해 제1 스트랩(102) 상에 다시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 퍽(100)의 중앙 본체(114)는 로고 또는 엠블럼(190)을 포함할 수 있다.  로고 또는 엠블럼(190)은 중앙 본체(114)를 통해 엠보싱, 프린팅 또는 커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고(190)는 중앙 본체(114)를 관통해 커팅된다.  백 퍽(100)의 제1 및 제2 측면(120, 122)은 제2 스트랩(108)을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120)과 제2측면(122)은 중앙 본체(114)로부터 백 퍽의 후방을 향해 하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측면(122)은 중앙 본체(114)로부터 동일한 각도로 하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120)은 중앙 본체(114)로부터 10도 내지 90도의 제1 측면 각도(160)로 하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측면(122)은 중앙 본체(114)로부터 10도 내지 90도의 제2 측면 각도(160)로 하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측면 각도(160) 및/또는 제2 측면 각도(162)는 10도와 20도 사이, 20도와 30도 사이, 30도와 40도 사이, 40도와 50도 사이, 50도와 60도 사이, 60도와 70도 사이, 70도와 80도 사이, 80도와 90도 사이일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측면(120)은 제1 상부 코너(124), 제1 하부 코너(126), 및 제1 아암(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암(132)은 상부 제1 아암 부분(136) 및 하부 제1 아암 부분(1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암(132)은 상부 제1 아암 부분(136)과 하부 제1 아암 부분(138) 사이의 공간이 제1 슬릿(144)을 규정하도록 불연속적일 수 있다.  상부 제1 아암 부분(136)은 제1 상부 코너(124)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하부 제1 아암 부분(138)은 제1 하부 코너(138)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측면(122)은 제2 상부 코너(128), 제2 하부 코너(130), 및 제2 아암(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암(134)은 상부 제2 아암 부분(140) 및 하부 제2 아암 부분(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암(134)은 상부 제2 아암 부분(140)과 하부 제2 아암 부분(142) 사이의 공간이 제2 슬릿(146)을 규정하도록 불연속적일 수 있다.  상부 제2 아암 부분(140)은 제2 상부 코너(128)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하부 제2 아암 부분(142)은 제2 하부 코너(130)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슬릿(144) 및 제2 슬릿(146)에 의해, 제2 스트랩이 백 퍽(100)에 맞물리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 아암(132, 134) 각각의 제1 및 제2 슬릿(144, 146)에 의해, 스트랩 시스템이 단일 스트랩 구성과 이중 스트랩 구성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제1 측면(120)은 제2 스트랩(10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측면 개구(148)를 규정할 수 있다.  제1 상부 코너(124), 제1 하부 코너(126), 제1 아암(132), 및 백 퍽(100)의 중앙 본체(114)는 제1 측면 개구(148)에 대한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아암(132)은 제1 측면 개구(148)의 외부 에지를 규정할 수 있다.  제1 슬릿(144)은 제1 측면 개구(148) 내로 개방될 수 있다.  제2 측면(122)은 제2 스트랩(108)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측면 개구(150)를 규정할 수 있다.  제2 상부 코너(128), 제2 하부 코너(130), 제2 아암(134), 및 중앙 본체(114)는 제2 측면 개구(150)에 대한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아암(134)은 제2 측면 개구(150)의 외부 에지를 규정할 수 있고, 제2 슬릿(146)은 제2 측면 개구(150) 내로 개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측면 개구(148)는 제1 측면 개구 폭(164) 및 제1 측면 개구 높이(168)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측면 개구(150)는 제2 측면 개구 폭(166) 및 제2 측면 개구 높이(170)를 포함한다.  제1 측면 개구 폭(164)과 제2 측면 개구 폭(166)은 동일한 폭일 수 있다.  제1 측면 개구 높이(168)와 제2 측면 개구 높이(170)는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제1 측면 개구 폭(164) 및 제2 측면 개구 폭(166)은 20mm 내지 30mm의 범위에 있다. 제1 측면 개구 폭(164) 및 제2 측면 개구 폭(166)은 20mm와 22mm 사이, 22mm와 24mm 사이, 24mm와 26mm 사이, 26mm와 28mm 사이, 또는 28mm와 30mm 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측면 개구 폭(164, 166)은 20mm, 21mm, 22mm, 23mm, 24mm, 25mm, 26mm, 27mm, 28mm, 29mm, 또는 30mm일 수 있다. 제1 측면 개구 폭(164) 및 제2 측면 개구 폭(166)은 제2 스트랩 폭(180)보다 크다. 제1 측면 개구 높이(168) 및 제2 측면 개구 높이(170)는 2mm 내지 8mm의 범위에 있다.  제1 측면 개구 높이(168) 및 제2 측면 개구 높이(170)는 2mm와 3mm 사이, 3mm와 4mm 사이, 4mm와 5mm 사이, 5mm와 6mm 사이, 6mm와 7mm 사이, 또는 7mm와 8mm 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측면 개구 높이(168, 170)는 2mm, 3mm, 4mm, 5mm, 6mm, 7mm, 또는 8mm일 수 있다.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측면 개구(148) 및 제2 측면 개구(150)는 제2 스트랩(108)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제1 및 제2 측면 개구 폭(164, 166)은 제2 스트랩 폭(180)보다 크다.  제1 및 제2 측면 개구 높이(168, 170)는 제2 측면 스트랩 두께(182)보다 크다.  제1 및 제2 측면 개구 폭(164, 166) 및 높이(168, 170)는, 제2 스트랩(108)이 제1 및 제2 측면 개구(148, 150) 내에 편안하게 끼워지고 이들 개구를 통해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 측면 개구 폭(164, 166) 및 높이(168, 170)는, 제2 스트랩(108)이 제1 측면 개구(148)로부터 제2 측면 개구(150)로의 방향으로 방해 및 구속받지 않고  제1 및 제2 측면 개구(148, 150)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값을 갖는다.  제2 스트랩(108)의 이러한 자유로운 움직임에 의해, 스트랩 시스템이 이중 스트랩 구성으로 있을 때 골프백을 사용자의 자세에 대해 자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릿(144) 및 제2 슬릿(146)은 슬릿 폭(172)을 포함한다.  슬릿 폭(172)은 상부 아암 부분(136 또는 140)의 단부에 접하는 평면으로부터 하부 아암 부분(138 또는 142)의 단부에 각각 접하는 평면까지 수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슬릿 폭(172)은 0.5mm 내지 5mm의 범위에 있다.  슬릿 폭(172)은 0.5mm와 0.7mm 사이, 0.7mm와 0.9mm 사이, 0.9mm와 1.1mm 사이, 1mm와 1.5mm 사이, 1.5mm와 2mm 사이, 2mm와 3mm 사이, 3mm와 4mm 사이, 또는 4mm와 5mm 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릿 폭(172)은 0.5mm, 0.6mm, 0.7mm, 0.8mm, 0.9mm, 또는 1.0mm일 수 있다.  슬릿 폭(172)은 제2 스트랩 두께(182)보다 크다. 제1 슬릿(144) 및 제2 슬릿(146)에 의해, 제2 스트랩(108)을 각각 제1 측면 개구(148) 및 제2 측면 개구(150) 내로 삽입하고 이들 개구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슬릿(144)은 백 퍽(100)의 하부(118)보다 상부(116)에 가까울 수 있고, 제2 슬릿(146)은 백퍽(100)의 상부(116)보다 하부(118)에 가까울 수 있다. 상부 제1 아암 부분(136)은 하부 제1 아암 부분(138)보다 짧을 수 있다.  상부 제2 아암 부분(140)은 하부 제2 아암 부분(142)보다 길 수 있다.  아암 부분의 길이에 의해 규정되는 제1 슬릿(144) 및 제2 슬릿(146)의 위치는 골프백이 이중 스트랩 구성으로 있을 때 제2 스트랩(108)을 미끄러져 나가지 않게 유지하는 백 퍽(100)의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백이 이중 스트랩 구성으로 있을 때 제2 스트랩(108)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 제2 스트랩(108)의 재료는 제1 측면 개구(148) 및 제2 측면 개구 (150) 내에서 수축할 수 있다.  제1 측면 개구(148) 내에서, 제2 스트랩(108)은 백 퍽(100)의 상부(116)에서 제1 상부 코너(124)를 향해 수축할 수 있다.  하부(118)(및 제1 하부 코너(126))보다 상부(116)(및 제1 상부 코너(124))에 더 가까운 제1 슬릿(144)의 위치에 의해, 제2 스트랩(108)이 위로 당겨질 때 제2 스트랩(108)의 에지가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측면 개구(150) 내에서, 제2 스트랩(108)은 백 퍽(100)의 하부(118)에서 제2 하부 코너(130)를 향해 수축할 수 있다.  상부(116)(및 제2 상부 코너(128))보다 하부(118)(및 제2 하부 코너(130))에 더 가까운 제2 슬릿(146)의 위치에 위해, 제2 스트랩(108)이 위로 당겨질 때 제2 스트랩(108)의 에지가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제1 아암 부분(136), 하부 제1 아암 부분(138), 상부 제2 아암 부분(140), 및 하부 제2 아암 부분(142)의 길이에 의해, 제2 스트랩(108)이 제1 및 제2 슬릿(144, 146)을 통해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보장하는 것은 백 퍽 내에 제2 스트랩(108)을 느슨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이에 따라 제2 스트랩(108)이 제1 스트랩(10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또는 제2 슬릿(144, 146)은 각각 제1 및/또는 제2 아암(132, 134)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슬릿(144, 146)은 백 퍽(100)의 제1 상부 코너(124)로부터 백 퍽(100)의 제2 하부 코너(130)까지 그려진 기준선(174)에 대략 평행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슬릿(144, 146)은 제2 스트랩(108)의 삽입 및 제거에 적합한 임의의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측면(120)으로부터 제2 측면(122)의 방향으로 종축(178)이 규정되고, 이 종축은, 후면도에서 볼 때, 백 퍽의 상부(116)와 하부(118) 사이에서 센터링되어 있다. 후면도에서 보아, 제1 슬릿 기준선(145)이 제1 슬릿을 통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후면도에서 보아, 제2 슬릿 기준선(147)이 제2 슬릿을 통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슬릿(144)은 종축(178)으로부터 제1 슬릿 기준선(145)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된 제1 슬릿 각도(θ1)로 기울어져 있다. 제2 슬릿(146)은 종축(178)으로부터 제2 슬릿 기준선(147)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된 제2 슬릿 각도(θ2)로 기울어져 있다. 제1 슬릿 각도(θ1)는 제2 슬릿 각도(θ2)와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슬릿 각도(θ1) 및/또는 제2 슬릿 각도(θ2)는 0도와 80도 사이의 값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슬릿 각도(θ1) 및/또는 제2 슬릿 각도(θ2)는 0도와 10도 사이, 10도와 20도 사이, 20도와 30도 사이, 30도와 40도 사이, 40도와 50도 사이, 50도와 60도 사이, 60도와 70도 사이, 또는 70도와 80도 사이이다.  제1 및 제2 슬릿(144, 146)의 기울어짐(angulation)은 제2 스트랩이 이중 스트랩 구성에서 백 퍽에서 우발적으로 떨어지는(제1 및/또는 제2 슬릿(144, 146)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동시에 제2 스트랩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어 스트랩 시스템을 단일 스트랩 구성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슬릿(144, 146)의 디자인에 의해, 스트랩 시스템의 빠르고 다양한 변환 및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측면 개구(148) 및 제2 측면 개구(150)는 골프백의 제2 스트랩(108)을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 개구(148) 및 제2 측면 개구(150)를 통해 선형 경로(158)가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선형 경로는 직접적으로 제1 측면 개구(148)와 제2 측면 개구(150) 사이의 공간을 포함한다.  백 퍽(100)의 어떤 부분도 선형 경로와 교차하지 않는다. 선형 경로는 제1 측면 개구 폭(164) 및 제2 측면 개구 폭(166)과 동일한 폭을 갖는 경로 폭을 포함한다.
도 4, 도 5,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중앙 본체(114) 내로 채널(156)이 커팅될 수 있다.  채널(156)은 선형 경로(158)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형 경로(158)는 채널(156)을 통해 연장된다. 채널(156)은 제1 측면 개구(148)로부터 제2 측면 개구(15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채널(156)은 제1 측면 개구(148) 및 제2 측면 개구(150)만큼 넓을 수 있다.  채널(156)은, 채널(156)의 평면이 중앙 본체(114)의 평면에 평행하도록 중앙 본체(114)의 면 내로 커팅되거나 리세스될 수 있다. 채널(156)은 특정 깊이(176)를 가질 수 있다. 채널(156)의 깊이(176)는 중앙 본체(114)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깊이(176)는 0mm와 3mm 사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깊이(176)는 0mm와 0.5mm 사이, 0.5mm와 1mm 사이, 1mm와 1.5mm 사이, 1.5mm와 2mm 사이, 2mm와 2.5mm 사이, 또는 2.5mm와 3mm 사이일 수 있다.  제1 측면 개구(148), 제2 측면 개구(150), 및 백 퍽(100)의 채널(156)은 선형 경로(158)를 따른 제2 스트랩(108)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단일 스트랩 구성에서, 제1 스트랩(102)은 제2 스트랩(108)과 독립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스트랩(108)은 백 퍽(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백 퍽(100)은 제1 스트랩(102)의 제1 섹션(104)과 제2 섹션(106) 사이에 유지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중 스트랩 구성에서, 제2 스트랩(108)은 백 퍽(100)과 맞물릴 수 있다. 제2 스트랩(108)은, 중앙 본체(114)를 관통해 커팅되고 백 퍽(100)의 제1 측면 개구(148) 및 제2 측면 개구(15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채널(156) 및/또는 선형 경로(158)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스트랩(108)은, 제2 스트랩(108)이 제1 측면 개구(148)와 제2 측면 개구(150) 사이의 선형 경로(158)를 따라 백 퍽(100)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지 않도록 굴곡, 접힘 또는 터언(turn)이 없고 저항 또는 클램핑 없이 채널(156)을 따라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제2 스트랩(108)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사용자가 스트랩 중 하나의 길이를 조정하지 않고도 골프백의 무게를 제1 및 제2 스트랩(102, 108) 사이에서 자동으로 분산(자체 조정)시킬 수 있다.  이중 스트랩 구성에서, 백 퍽(100)은 제2 스트랩(108)을 채널(156)의 방향 이외의 모든 방향으로 어느 정도 구속한다.  제2 스트랩(108)을 제1 스트랩(102)에 인접하게 유지함으로써, 백 퍽(100)은 스트랩을 (1) 양쪽 어깨에 걸쳐 착용될 수 있고 (2) 골프백의 무게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구성으로 배향된 상태로 유지한다.
이중 스트랩 구성에서, 제1 스트랩(102) 및 제2 스트랩(108)은 백 퍽(100)에 의해 서로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백 퍽(100)에 의해 연결된 제1 스트랩(102)과 제2 스트랩(108)의 이러한 십자형 셋업(crisscrossing setup)에 의해, 사용자가 골프백을 등에 쉽게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트랩(102, 108)을 엉키게 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걷거나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랩 어셈블리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스트랩 구성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중 스트랩 구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스트랩 어셈블리를 단일 스트랩 구성으로부터 이중 스트랩 구성으로 변환하기 위해, 제2 스트랩(108)이 백 퍽(100)과 맞물린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스트랩(108)을 백 퍽(100)과 맞물리게 하는 것은, 제2 스트랩(108)의 에지를 백 퍽(100)의 제1 측면(120)의 제1 슬릿(144) 내로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다음, 제2 스트랩(108)은 제1 슬릿(144)을 완전히 관통하여 제1 측면 개구(148) 내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스트랩(108) 재료의 일부 일시적인 접힘(bunching)을 필요로 한다. 그 다음, 제2 스트랩(108)은 제1 측면 개구(148) 내로 퍼지는 것이 허용될 수 있으며, 제1 아암(132)은 제2 스트랩(108)을 제1 측면 개구(148) 내에 유지한다. 다음으로, 제2 스트랩(108)의 다른 부분이 백 퍽(100)의 제2 측면(122)의 제2 슬릿(146)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 다음, 제2 스트랩(108)이 제2 슬릿(146)을 완전히 관통하여 이송될 수 있고, 제2 스트랩(108)을 제1 측면 개구(148) 내로 삽입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측면 개구(1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아암(134)은 제2 스트랩(108)을 제2 측면 개구(150) 내에 유지한다. 제1 및 제2 측면 개구(148, 150) 내로의 제2 스트랩(108)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2 스트랩(108)은 선형 경로(158)를 따라 놓일 수 있고, 선형 경로(158)를 따른 운동에 대한 저항을 겪지 않을 수 있다.
스트랩 어셈블리를 이중 스트랩 구성으로부터 단일 스트랩 구성으로 변환하기 위해, 제2 스트랩(108)은 위에서 언급한 삽입 프로세스를 반대로 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제2 스트랩(108)은 제1 측면 개구(148) 및/또는 제2 측면 개구(150)로부터 제2 스트랩을 제거하기 위해 제1 및/또는 제2 슬릿(144, 146)을 통해 측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컨버터블 스트랩 시스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스트랩(108)은 골프백으로부터 완전히 제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사용자는 골프백을 단일 스트랩 구성으로 보다 영구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제2 스트랩(108)은 백을 단순화하고, 백을 가볍게 하며, 미학을 개선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컨버터블 스트랩 시스템은 사용자가 골프백을 운반하는 방법에 있어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컨버터블 스트랩 시스템은 사용자가 스트랩 시스템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골프백을 들고 다니는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컨버터블 스트랩 시스템은 각 숄더에 각 백의 단일 스트랩을 배치하여 골프백을 들고 다니고자 하는 캐디들에게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컨버터블 스트랩 시스템은 단순하여, 단일 스트랩과 이중 스트랩 구성 간의 변환 프로세스를 위한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  제2 스트랩(108)을 백 퍽(100)과 맞물리게 하거나 또는 분리하는 방법은 상세한 설명 없이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특징은 컨버터블 스트랩 시스템을 컨버터블 스트랩 시스템에 대한 기술 분야의 요구에 대한 효과적인 솔루션으로 되게 한다.

Claims (20)

  1. 골프백용 스트랩 시스템으로서,
    제1 단부 및 제1 부착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단부가 골프백에 결합된 제1 섹션과, 제2 부착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제2 단부가 골프백에 결합된 제2 섹션을 포함하는 제1 스트랩:
    골프백에 모두 결합된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제2 스트랩; 및
    백 퍽을 포함하며,
    상기 백 퍽은,
    제1 부착 개구를 포함하는 상부,
    제2 부착 개구를 포함하는 하부,
    제1 슬릿을 갖는 제1 아암을 포함하는 제1 측면; 및
    제2 슬릿을 갖는 제2 아암을 포함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은 백 퍽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기울어져 있고,
    상기 제1 측면은 제1 측면 개구를 규정하고,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제1 측면 개구의 에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측면은 제2 측면 개구를 규정하고,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제2 측면 개구의 에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스트랩의 제1 부착 단부는 상기 제1 부착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트랩의 제2 부착 단부는 상기 제2 부착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제1 측면 개구 및 제2 측면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선형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측면 개구 및 제2 측면 개구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선형 경로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골프백은 단일 스트랩 구성 또는 이중 스트랩 구성으로 휴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스트랩은 단일 스트랩 구성에서 상기 백 퍽과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2 스트랩은 이중 스트랩 구성에서 상기 백 퍽과 맞물려 있고,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제2 스트랩이 상기 선형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측면 개구 및 제2 측면 개구를 통해 연장될 때 상기 백 퍽과 맞물리는 것인 골프백용 스트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퍽은 중앙 본체, 전면, 및 전면과 반대측의 후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경로에 평행하게 상기 제1 측면 개구로부터 상기 제2 측면 개구까지 채널이 연장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백 퍽의 후면을 따라 중앙 몸체 내로 커팅되며,
    이중 스트랩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제2 스트랩은 채널을 따라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고,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터언(turn)하지 않고, 저항이나 클램핑이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스트랩이 상기 백 퍽에 대해 위치 고정되지 않는 것인 스트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의 상기 제1 부착 단부는 상기 제1 부착 개구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트랩의 상기 제2 부착 단부는 상기 제2 부착 개구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인 스트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개구는 제2 측면 개구 폭을 갖고;
    상기 제2 스트랩은 스트랩 폭을 가지며; 
    상기 제2 측면 개구 폭은 상기 스트랩 폭보다 큰 것인 스트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개구는 제2 측면 개구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 스트랩은 스트랩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측면 개구 높이는 스트랩 두께보다 큰 것인 스트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퍽은 중앙 본체, 전면 및 후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상기 중앙 본체로부터 상기 후면을 향해 하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인 스트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상기 중앙 본체로부터 동일한 각도로 하향으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중앙 본체 사이의 평면도에서 측정된 제1 측면 각도로 하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중앙 본체 사이의 평면도에서 측정된 제2 측면 각도로 하향으로 기울어진 것인 스트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각도와 제2 측면 각도는, 10도와 20도, 20도와 30도, 30도와 40도, 40도와 50도, 50도와 60도, 60도와 70도, 70도와 80도, 그리고 80도와 90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각도 범위 내의 값을 갖는 것인 스트랩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제2 슬릿보다 상기 백 퍽의 상부에 더 가까운 것인 스트랩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 시스템을 이중 스트랩 구성으로부터 단일 스트랩 구성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제1 슬릿 및 제2 슬릿을 통해 제거 가능하고;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 시스템을 상기 단일 스트랩 구성으로부터 이중 스트랩 구성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을 통해 삽입 가능한 것인 스트랩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랩은, 상기 스트랩 시스템이 단일 스트랩 구성으로 있을 때 골프백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는 것인 스트랩 시스템.
  12. 골프백용 스트랩 시스템으로서,
    제1 섹션과 제2 섹션으로 불연속적으로 분할된 제1 스트랩;
    제2 스트랩; 및
    백 퍽을 포함하며,
    상기 백 퍽은, 중앙 본체, 상부, 상부와 반대측의 하부, 제1 측면, 제1 측면과 반대측의 제2 측면, 전면, 그리고 전면과 반대측의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본체는 상기 상부, 상기 하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을 연결하고;
    평면도에서 볼 때, 상기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이 아래로 구부러져 상기 중앙 본체의 후면과 예각을 형성하고;
    상기 백 퍽의 상부를 관통해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제1 부착 개구가 연장되고;
    상기 백 퍽의 하부을 관통해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제2 부착 개구가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면을 관통해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제1 측면 개구가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면을 관통해 상기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제2 측면 개구가 연장되고;
    상기 제1 스트랩의 제1 섹션은 상기 제1 부착 개구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스트랩의 제2 섹션은 상기 제2 부착 개구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측면 개구 및 제2 측면 개구는 상기 제2 스트랩이 제1 측면 개구로부터 제2 측면 개구까지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 제한 없이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인 스트랩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백 퍽의 제1 측면은 제1 상부 코너, 제1 하부 코너, 및 상기 제1 측면 개구의 경계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측면 개구의 외부 에지를 규정하는 제1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은 불연속적이고,
    상기 제1 아암은 제1 슬릿에 의해 분리되는 상부 제1 아암 부분 및 하부 제1 아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1 아암 부분은 상기 제1 상부 코너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제1 아암 부분은 상기 제1 하부 코너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백 퍽의 제2 측면은 제2 상부 코너, 제2 하부 코너, 및 상기 제2 측면 개구의 경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측면 개구의 외부 에지를 규정하는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아암은 불연속적이고;
    상기 제2 아암은 제2 슬릿에 의해 분리되는 상부 제2 아암 부분 및 하부 제2 아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스트랩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슬릿은 상기 제2 스트랩이 상기 제1 측면 개구와 상기 제2 측면 개구 사이의 경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인 스트랩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 아암 부분은 상기 하부 제1 아암 부분보다 짧아서, 상기 제1 슬릿이 상기 백 퍽의 하부보다 상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게 하고;
    상기 상부 제2 아암 부분은 상기 하부 제2 아암 부분보다 길어서, 상기 제2 슬릿이 상기 백 퍽의 상부보다 하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게 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릿의 위치는 상기 제2 스트랩을 상기 경로 내에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인 스트랩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상부 제1 아암 부분의 단부에 접하는 평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제1 아암 부분의 단부에 접하는 평면에 수직으로 측정된 제1 슬릿 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상부 제2 아암 부분의 단부에 접하는 평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제2 아암 부분의 단부에 접하는 평면에 수직으로 측정된 제2 슬릿 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슬릿 폭은 상기 제1 슬릿 폭과 동일하고;
    상기 제2 스트랩은 두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슬릿 폭은 상기 제2 스트랩의 두께보다 큰 것인 스트랩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슬릿 폭은 0.5mm와 0.7mm 사이, 0.7mm와 0.9mm 사이, 0.9mm와 1.1mm 사이, 1mm와 1.5mm 사이, 1.5mm와 2mm 사이, 2mm와 3mm 사이, 3mm와 4mm 사이, 그리고 4mm와 5mm 사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값을 갖는 것인 스트랩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백 퍽의 제1 상부 모서리로부터 제2 하부 모서리까지 대각선으로 기준선이 규정되고,
    상기 제1 슬릿과 제2 슬릿은 모두 상기 기준선에 대략 평행하게 기울어져 있는 것인 스트랩 시스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의 방향으로 종축이 규정되며, 이 종축은, 후면도에서 볼 때, 상기 백 퍽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센터링되어 있으며;
    후면도에서 볼 때, 제1 슬릿 기준선이 상기 제1 슬릿을 통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후면도에서 볼 때, 제2 슬릿 기준선이 상기 제2 슬릿을 통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종축으로부터 제1 슬릿 기준선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된 제1 슬릿 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종축으로부터 제2 슬릿 기준선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된 제2 슬릿 각도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제1 슬릿 각도는 제2 슬릿 각도와 동일한 것인 스트랩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 각도 및 제2 슬릿 각도는 모두 0도와 10도 사이, 10도와 20도 사이, 20도와 30도 사이, 30도와 40도 사이, 40도와 50도 사이, 50도와 60도 사이, 60도와 70도 사이, 그리고 70도와 80도 사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값을 갖는 것인 스트랩 시스템.
KR1020217043318A 2019-05-31 2020-05-29 골프백용 컨버터블 스트랩 어셈블리 KR202200162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55747P 2019-05-31 2019-05-31
US62/855,747 2019-05-31
US202063001673P 2020-03-30 2020-03-30
US63/001,673 2020-03-30
PCT/US2020/035400 WO2020243624A1 (en) 2019-05-31 2020-05-29 Golf bag convertible strap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222A true KR20220016222A (ko) 2022-02-08

Family

ID=7355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3318A KR20220016222A (ko) 2019-05-31 2020-05-29 골프백용 컨버터블 스트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1192008B2 (ko)
EP (1) EP3975794A4 (ko)
JP (1) JP2022534246A (ko)
KR (1) KR20220016222A (ko)
WO (1) WO2020243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4927B (zh) 2008-03-17 2016-08-11 愛爾康研究有限公司 具有低濃度的表面活性劑以促進治療劑之生物可利用性的藥學組成物
KR20220016222A (ko) * 2019-05-31 2022-02-08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골프백용 컨버터블 스트랩 어셈블리
US11944184B2 (en) * 2020-06-10 2024-04-02 Crosier Product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ttaching patches to equipment
US20220088447A1 (en) * 2020-09-23 2022-03-24 Kun-lin Shiao Golf bag and fixing device for stand of the golf bag
CN114788626A (zh) * 2021-01-26 2022-07-26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背带
USD942841S1 (en) 2021-08-11 2022-02-08 Hoch Brands, LLC. Secure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927A (en) * 1985-05-10 1988-07-19 The Stanley Works Holder for suspending rule clip or the like
US6131783A (en) 1996-08-23 2000-10-17 Maeng; Seop Carrier belt for golf bag with adjustable shoulder loop
DE29615828U1 (de) * 1996-09-11 1996-12-12 Creative Pool Trendscouting Gm Rucksack
US6152342A (en) * 1998-07-20 2000-11-28 Suk; Young J. Golf bag with double strap and buckle
US6168060B1 (en) 1998-09-16 2001-01-02 Edward Mayers Nested, two-layer golf bag strap for one-shoulder or two-shoulder carrying
US6006974A (en) * 1998-11-05 1999-12-28 Morris Rosenbloom & Co., Inc. Golf bag carrying straps
US6283350B1 (en) * 2000-03-07 2001-09-04 Mario Gottmeier Backpack
US6457620B1 (en) 2001-01-10 2002-10-01 Ya Fang Tang Golf bags and golf bag carrying systems
US6460747B1 (en) * 2001-05-04 2002-10-08 Karsten Manufacturing Corp. Dual strap apparatus for golf bags
US6530129B1 (en) * 2002-01-23 2003-03-11 Ching-Feng Cheng Golf bag carrying structure
JP2006334213A (ja) * 2005-06-03 2006-12-14 Nifco Inc リュックサック用バックル、および、リュックサック
USD591200S1 (en) * 2008-03-10 2009-04-28 James Marty Freeman Strap end retainer with open slots
KR101016882B1 (ko) * 2009-01-08 2011-02-22 백지숙 스트랩 조절구
US20100293758A1 (en) 2009-05-22 2010-11-25 Shiao Kun-Lin Auto-adjusting harness connector for shoulder straps of golf bag
US8322585B2 (en) 2009-05-28 2012-12-04 Nike, Inc. Golf bag or other shoulder-borne device having double strap to single strap convertibility
US11771206B2 (en) * 2011-04-22 2023-10-03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elf-adjustable carrying strap system and methods to manufacture self-adjustable carrying strap system
US20120267410A1 (en) * 2011-04-22 2012-10-25 Loudenslager John H Self-adjustable carrying strap system and methods to manufacture self-adjustable carrying strap system
USD688977S1 (en) * 2011-06-08 2013-09-03 Paul Mohr Locking four-tab
US8764360B2 (en) 2012-11-19 2014-07-01 Southern Bracing Systems Enterprises, Llc Strap connector
US10245486B2 (en) 2016-03-18 2019-04-02 Acushnet Company Golf bag having hub shoulder strap connector for converting from two straps to single strap
US10449429B2 (en) * 2016-10-03 2019-10-22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djustable strap system for a golf bag
US10610002B2 (en) 2017-07-27 2020-04-07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bag strap system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bag strap systems
KR20220016222A (ko) * 2019-05-31 2022-02-08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골프백용 컨버터블 스트랩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4246A (ja) 2022-07-28
WO2020243624A1 (en) 2020-12-03
US11559728B2 (en) 2023-01-24
EP3975794A1 (en) 2022-04-06
US11857853B2 (en) 2024-01-02
EP3975794A4 (en) 2023-06-28
US20230106051A1 (en) 2023-04-06
US20220096903A1 (en) 2022-03-31
US20240115915A1 (en) 2024-04-11
US20200376354A1 (en) 2020-12-03
US11192008B2 (en)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6222A (ko) 골프백용 컨버터블 스트랩 어셈블리
KR101811501B1 (ko) 배낭의 가슴멜방용 버클
US7559123B1 (en) Side release buckle
US20140367397A1 (en) Basket
EP3723556B1 (en) Baby carrier with adjustable head support
EP3171949B1 (en) Carrying device for ski equipment
US5459910A (en) Helmet strap buckle assembly
RU2301694C2 (ru)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ыхательной защитной маски для ее соединения с защитным шлемом
US7865971B1 (en) Child bib neck strap extension assembly
US6049948A (en) Handle for carrying a bag
US10315081B2 (en) Golf club holster
US20120284972A1 (en) Belt Buckle Accessory
US10064479B2 (en) Scabbard holder for a hand saw
JP5999991B2 (ja) 自己調整式持ち運び用ストラップシステムおよび自己調整式持ち運び用ストラップシステムの製造方法
US20060000858A1 (en) Non-slip shoulder pad and strap
EP2802391B1 (en) A hand strap for a skiing pole or similar
JP2013013714A5 (ko)
US9610485B2 (en) Golf bag clamping apparatus
KR200479899Y1 (ko)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CN209769425U (zh) 一种三用背包
JP4712250B2 (ja) ベルト挿通用腰当て
JP3098518U (ja) リュックサック
JP3115739U (ja) 買い物袋等の袋持ち運び補助ベルト
KR200403376Y1 (ko) 가방용 멜빵
KR20130001471U (ko) 가방용 인형 부착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