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959A -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959A
KR20220015959A KR1020210098045A KR20210098045A KR20220015959A KR 20220015959 A KR20220015959 A KR 20220015959A KR 1020210098045 A KR1020210098045 A KR 1020210098045A KR 20210098045 A KR20210098045 A KR 20210098045A KR 20220015959 A KR20220015959 A KR 20220015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rotation
antenna
bracket
integrat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383B1 (ko
Inventor
김인호
박대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EP21849773.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91784A1/en
Priority to PCT/KR2021/009689 priority patent/WO2022025582A1/ko
Priority to JP2023506085A priority patent/JP2023536134A/ja
Priority to CN202180057657.XA priority patent/CN116324218A/zh
Publication of KR2022001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959A/ko
Priority to US18/104,269 priority patent/US2023017887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16H1/16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with members rotating around axes on the worm or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를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조가 단순해지고 사이즈가 작아진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는,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는 틸팅 브라켓과, 지주에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를 향해 돌출 배치되는 베이스 브라켓과, 상기 틸팅 브라켓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합 하우징과, 상기 틸팅 브라켓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틸팅 구동 유닛과, 상기 통합 하우징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테이션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 구동 유닛 및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은 상기 통합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CLAMPING APPARATUS FOR ANTENNA}
본 발명은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집된 설치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안테나 기기를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 안테나 기기의 방향 조절이 용이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기술, 예를 들어,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기술로서, 송신기에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기에서는 적절한 신호처리를 통해 송신 데이터들을 구분해 내는 Spatial multiplexing 기법이다.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동시에 증가시킴에 따라 채널 용량이 증가하여 보다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 수를 10개로 증가시키면 현재의 단일 안테나 시스템에 비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10배의 채널 용량을 확보하게 된다.
4G LTE-advanced에서는 8개의 안테나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pre-5G 단계에서 64 또는 128개의 안테나를 장착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고, 5G에서는 훨씬 더 많은 수의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장비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Massive MIMO 기술이라고 한다. 현재의 Cell 운영이 2-Dimension인데 반해 Massive MIMO 기술이 도입되면 3D-Beamforming이 가능해지므로 FD-MIMO(Full Dimension)라고도 부른다.
Massive MIMO 기술에서는 ANT(안테나)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transmitter와 Filter의 숫자도 함께 증가한다. 그럼에도 설치장소의 리스비용이나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RF 부품(Antenna/Filter/Power Amplifier/Transceiver etc.)을 작고 가벼우며, 값싸게 만드는 것이 현실이고, Massive MIMO는 Coverage 확장을 위해서 고출력이 필요한데, 이러한 고출력으로 인한 소모전력과 발열량은 무게 및 사이즈를 줄이는데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RF 소자들과 디지털 소자들이 구현된 모듈들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MIMO 안테나를 한정된 공간에 설치 시, 설치 용이성이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에 대한 컴팩트화 및 소형화 설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하나의 지주(support pole)에 설치된 안테나 장치의 자유로운 방향 조절에 관한 필요성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요구에 대응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5871호(2020.04.02. 공고)(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안테나 기기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틸팅 유닛과, 상기 안테나 기기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로테이션 유닛을 구비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틸팅 유닛 및 상기 로테이션 유닛이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사이즈가 거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안테나 기기가 상기 지주에 설치된 상태일 때, 상기 안테나 기기가 상기 지주의 반경방향으로 과대하게 돌출 배치되므로, 바람에 의해 상기 안테나의 설치 위치 및 설치 방향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안테나 기기의 과대한 돌출 설치로 인한 혐오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5871호(2020.04.02.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안테나를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조가 단순해지고 사이즈가 작아진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안테나의 설치 위치 및 설치 방향이 바람에 의해 쉽게 변경되지 않고, 상기 안테나의 과대한 돌출 설치로 인한 혐오감을 줄일 수 있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는, 틸팅 브라켓, 베이스 브라켓, 통합 하우징, 틸팅 구동 유닛 및 로테이션 구동 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틸팅 브라켓은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를 지지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지주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상기 안테나를 향해 돌출 배치된다. 상기 통합 하우징에는 상기 틸팅 브라켓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통합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틸팅 구동 유닛은 상기 틸팅 브라켓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은 상기 통합 하우징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틸팅 구동 유닛 및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은 상기 통합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상기 틸팅 구동 유닛은, 틸팅 모터, 틸팅 감속기, 틸팅 웜축 및 틸팅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틸팅 감속기의 입력축은 상기 틸팅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틸팅 웜축은 상기 틸팅 감속기의 출력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틸팅 웜축의 외주면에는 틸팅 웜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틸팅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틸팅 웜기어에 치합되는 틸팅 웜휠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틸팅 회전축은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틸팅 브라켓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틸팅 모터의 회전축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틸팅 웜축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틸팅 브라켓은, 틸팅 브라켓 바디 및 틸팅 브라켓 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틸팅 브라켓 바디는 상기 안테나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틸팅 브라켓 윙은 상기 틸팅 브라켓 바디의 양측에 각각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틸팅 브라켓 윙은 상기 통합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된 틸팅 홀을 통해 상기 틸팅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은, 로테이션 모터, 로테이션 감속기, 로테이션 웜축, 로테이션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감속기의 입력축은 상기 로테이션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웜축은 상기 로테이션 감속기의 출력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웜축의 외주면에는 로테이션 웜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로테이션 웜기어에 치합되는 로테이션 웜휠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회전축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통합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모터의 회전축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웜축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주에는 설치 브라켓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 브라켓의 상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상기 설치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 브라켓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은 로테이션 고정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고정축의 외주에는 상기 로테이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고정축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 중심에는 센터돌기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돌기는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로테이션 홀로 삽입되어 상기 로테이션 고정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는 센터돌기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돌기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 중심에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돌기는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로테이션 홀로 삽입되어 상기 로테이션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틸팅 구동 유닛은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합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는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통합 하우징의 수평방향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는 복수개의 롤러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롤러 삽입홀에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는 복수개의 롤러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롤러 커버에는 각각 롤러 돌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롤러 삽입홀에 각각 삽입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의 바디는 각각의 상기 롤러 돌출홀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설치 브라켓 및 상기 센터돌기에는 상기 틸팅 구동 유닛 및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방향제어 케이블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틸팅 구동 유닛 및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방향제어 케이블의 일단에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합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넥터가 연결되는 소켓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틸팅 구동 유닛은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합 하우징의 후방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합 하우징의 전방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보다 전방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볼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통합 하우징의 수평방향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는 링형의 볼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형의 볼 삽입홈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는 볼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 커버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 돌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 돌출홀에는 상기 볼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복수개의 볼이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는 상하로 통하는 호형상의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하측에는 볼 가이더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 가이더는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 가이더의 상면에는 회전 가능한 복수개의 볼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볼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볼 가이더는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 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의 하면에는 상기 볼 가이더의 상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볼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틸팅 브라켓은 제1 틸팅 브라켓 및 제2 틸팅 브라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틸팅 브라켓은 제1 안테나에 연결되어 제1 안테나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틸팅 브라켓은 상기 통합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틸팅 브라켓은 제2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안테나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틸팅 브라켓은 상기 통합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틸팅 브라켓은 제1 틸팅 브라켓 바디 및 제1 틸팅 브라켓 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틸팅 브라켓 바디는 상기 제1 안테나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틸팅 브라켓 윙은 상기 제1 틸팅 브라켓 바디의 일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틸팅 브라켓 윙은 상기 통합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틸팅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틸팅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틸팅 브라켓은 제2 틸팅 브라켓 바디 및 제2 틸팅 브라켓 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틸팅 브라켓 바디는 상기 제2 안테나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틸팅 브라켓 윙은 상기 제2 틸팅 브라켓 바디의 일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틸팅 브라켓 윙은 상기 통합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제2 틸팅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틸팅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에는 로테이션 고정축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고정축의 외주에는 상기 로테이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고정축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 중심에는 센터돌기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고정축은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로테이션 홀을 통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돌기는 상기 로테이션 홀을 통해 돌출 배치된 상기 로테이션 고정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는 센터돌기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돌기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회전축은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로테이션 홀을 통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돌기는 상기 로테이션 홀을 통해 돌출 배치된 상기 로테이션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에는 호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는 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볼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통합 하우징의 수평방향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는, 안테나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인 틸팅 구동 유닛과, 상기 안테나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인 로테이션 구동 유닛이 통합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즉, 상기 틸팅 구동 유닛 및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이, 하나의 상기 통합 하우징 내에 함께 설치되므로, 구조가 단순해지고 사이즈가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는, 상기 안테나를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통해 지주에 설치할 시, 상기 안테나를 상기 지주에 가깝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안테나의 설치 위치 및 설치 방향이 바람에 의해 쉽게 변경되지 않고, 상기 안테나의 과대한 돌출 설치로 인한 혐오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클램핑 장치는 전술한 MIMO 안테나 뿐 아니라, LED 조명장치, 고출력 스포츠 조명 등의 조명기구의 설치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통해 안테나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의 일부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4를 세부적으로 분해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8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통합 회전 구동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을 반대측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을 저면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틸팅 구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을 저면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로테이션 구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를 저면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통해 안테나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방향제어 케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포함되는 통합 회전 구동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를 저면에서 바라보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포함되는 통합 회전 구동 유닛 및 베이스 브라켓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분해 사시도,
도 23은 도 22를 상면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통해 안테나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배면 사시도,
도 26은 도 24의 분해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포함되는 통합 회전 구동 유닛, 베이스 브라켓 및 설치 브라켓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8은 도 27을 저면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통해 안테나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의 일부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4를 세부적으로 분해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클램핑 장치가 안테나에 적용된 것을 예시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클램핑 장치는 안테나 뿐 아니라, LED 조명장치, 고출력 스포츠 조명 등의 조명기구(미도시)를 지주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1)는, 안테나(2)를 지주(3)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안테나(2)가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1)를 통해 지주(3)에 설치된 상태일 때,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1)는 안테나(2)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도 회전시켜서 안테나(2)의 방향도 조절할 수 있다.
안테나(2)는 대략 6면체의 안테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테나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신호처리부(RU; Radio Unit)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상기 무선신호처리부는 상기 무선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하우징은 알루미늄과 같은 방열소재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안테나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주변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방열리브들이 형성될 수 있다.
지주(3)는 RC바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지주(3)는 상기 RC바로 한정되지 않고, 안테나(2)가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1)를 통해 외주면에 설치되는 모든 기둥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1)는 틸팅 브라켓(100)과, 베이스 브라켓(200),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틸팅 브라켓(100)은 안테나(2)에 설치될 수 있다. 틸팅 브라켓(100)은 안테나(2)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틸팅 브라켓(100)은 안테나(2)에 연결되어 안테나(2)를 지지할 수 있다. 틸팅 브라켓(100)은 안테나(2)에 설치된 상태일 때 지주(3)를 향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틸팅 브라켓(100)은 틸팅 브라켓 바디(110) 및 틸팅 브라켓 윙(120)을 포함할 수 있다.
틸팅 브라켓 바디(110)는 안테나(2)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틸팅 브라켓 바디(110)는 안테나(2)의 배면에 정면이 접촉되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틸팅 브라켓 바디(110)에는 복수개의 볼트 및 복수개의 너트를 통해 안테나(2)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틸팅 브라켓 바디(110) 및 안테나(2)의 배면에는 각각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틸팅 브라켓 바디(110)가 안테나(2)의 배면에 결합되는 방식은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틸팅 브라켓 윙(120)은 틸팅 브라켓 바디(110)의 양측에 각각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틸팅 브라켓 윙(120)은 사각판형으로 형성되되, 후단이 볼록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틸팅 브라켓 윙(120)은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서,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양측의 틸팅 브라켓 윙(120)의 후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양측의 틸팅 브라켓 윙(120)의 후단에 수평방향으로 통하게 형성된 상기 홀은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과 결합되기 위한 홀일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200)은 지주(3)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1)는 설치 브라켓(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 브라켓(400)은 클램프를 통해 지주(3)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설치 브라켓(400)은 지주(3)에 설치된 상태일 때 지주(3)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설치 브라켓(400)은 지주(3)에 설치된 상태일 때 안테나(2)를 향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설치 브라켓(400)은 틸팅 브라켓(100)의 돌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설치 브라켓(400)의 상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설치 브라켓(400)은 수평한 상면부와, 수직한 후면부, 상기 상면부의 양측과 상기 후면부의 양측을 잇는 각각 잇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면부는 지주(3)의 둘레면에 대향 배치될 수 있고, 클램프를 통해 지주(3)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200)은 지주(3)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지주(3)에 설치 브라켓(400)이 더 설치되는 경우, 베이스 브라켓(200)은 설치 브라켓(400)에 결합되어 설치 브라켓(4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200)은 대략 사각형의 판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200)의 네 모서리는 각각 볼트(11) 및 너트를 통해 설치 브라켓(400)에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200)의 네 모서리와 설치 브라켓(400)에는 각각 볼트(11)가 체결되는 볼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200)의 상면 중심에는 센터돌기(210)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센터돌기(210)는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센터돌기(210)의 반대편인 베이스 브라켓(200)의 하면 중심에는 수용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215)은 후술하는 복수개의 볼트(12) 머리를 수용하여서, 베이스 브라켓(200)이 설치 브라켓(400)의 상면에 쉽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베이스 브라켓(200)이 설치 브라켓(400)이 쉽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은 안테나(2)의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실질적인 하나의 장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1)는 안테나(2)의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하나의 통합 하우징(3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은 틸팅 브라켓(100) 및 베이스 브라켓(2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에는 틸팅 브라켓(10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은 틸팅 브라켓(10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은 베이스 브라켓(20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은 베이스 브라켓(20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이 틸팅 브라켓(10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안테나(2)의 상하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안테나(2)의 수평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상하방향 회전은, 안테나(2)가 수평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틸팅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 회전은, 안테나(2)가 지주(3)의 둘레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로테이션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은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통합 하우징(310, 도 8 및 도 9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하우징(310)에는 틸팅 브라켓(10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에는 틸팅 브라켓(10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통합 하우징(310)은 베이스 브라켓(20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은 베이스 브라켓(20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브라켓(200)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20)는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과 접촉되어 통합 하우징(310)의 수평방향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20)는, 센터돌기(210)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센터돌기(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20)는 베이스 브라켓(200)에 6개가 설치되나,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20)는 개수는 6개로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가이드 롤러(220)이면 가능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200)에는 복수개의 롤러 삽입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롤러 삽입홀(221)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2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20)는, 원기둥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단면 중심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롤러 삽입홀(221)은 가이드 롤러(220)의 바디 및 축이 모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롤러 삽입홀(221)은, 베이스 브라켓(200)에 상하로 통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이 하측에 비해 더 크게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20)는 각각의 롤러 삽입홀(22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200)에는 복수개의 롤러 커버(222)가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롤러 커버(222) 각각은 롤러 삽입홀(221)의 상측에 결합되어서, 가이드 롤러(220)가 롤러 삽입홀(2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복수개의 롤러 커버(222)에는 각각 롤러 돌출홀(22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롤러 삽입홀(221)에 각각 삽입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20)의 상기 바디는 각각의 롤러 돌출홀(223)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220)의 상기 바디 중 롤러 돌출홀(223)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 접촉되어 통합 하우징(31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복수개의 롤러 커버(222)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 돌출홀(223)은 롤러 커버(222)의 중심에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롤러 커버(222) 각각의 네 모서리에는 스크류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224)가 상기 스크류 홀에 각각 삽입되어서 각각의 롤러 커버(222)를 베이스 브라켓(200)에 체결할 수 있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통합 회전 구동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은 통합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고, 통합 하우징(310)은 상부(311) 및 하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는 좌우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하우징(310)의 하부(312)는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전방이 오목하고 후방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통합 하우징(310)의 양측에는 틸팅 홀(317)이 형성될 수 있다. 틸팅 홀(317)은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틸팅 홀(317)은 틸팅 브라켓(100) 및 틸팅 구동 유닛(320, 도 10 내지 도 12 참조)이 연결되기 위한 홀일 수 있다.
즉, 틸팅 홀(317)은 틸팅 브라켓 윙(120)의 후단에 형성된 홀과 정렬된 후, 볼트가 틸팅 브라켓 윙(120)의 후단에 형성된 상기 홀과 틸팅 홀(317)로 삽입되어, 틸팅 구동 유닛(320)의 틸팅 회전축(325, 도 13 및 도 14 참조)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양측의 틸팅 브라켓 윙(120)의 후단에 형성된 상기 홀 주변에는 양측의 틸팅 홀(317)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양측의 삽입부의 끝단면과 틸팅 회전축(325)의 양단면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걸림돌기 및 상기 복수개의 걸림홈이 걸림되어 있기 때문에, 틸팅 회전축(325)의 회전력은 틸팅 브라켓(100)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는 로테이션 홀(318)이 형성될 수 있다. 로테이션 홀(318)은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로테이션 홀(318)은 베이스 브라켓(200) 및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 도 10 내지 도 12 참조)이 연결되기 위한 홀일 수 있다.
즉, 로테이션 홀(318)은 베이스 브라켓(200)의 중심에 형성된 센터돌기(210)가 삽입된 후, 복수개의 볼트(12)가 센터돌기(210)에 상하로 통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홀로 삽입되어,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의 로테이션 고정축(339, 도 15 참조)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센터돌기(210)의 상단면과 로테이션 고정축(339)의 하단면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걸림돌기 및 상기 복수개의 걸림홈이 걸림되어 있기 때문에, 로테이션 회전축(335)의 회전력에 의해 통합 하우징(310)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복수개의 볼트(12)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을 반대측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을 저면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통합 하우징(310) 내에는 틸팅 구동 유닛(320) 및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이 배치될 수 있다.
틸팅 구동 유닛(320)은 틸팅 브라켓(10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은 통합 하우징(31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틸팅 구동 유닛(320)은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은 틸팅 구동 유닛(320)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틸팅 구동 유닛(320)은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은 통합 하우징(310)의 하부(3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틸팅 구동 유닛(320) 및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이 상하로 배치되기 때문에, 통합 하우징(310)은 대체로 상하로 긴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하우징(310)은 베이스 브라켓(2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이 베이스 브라켓(200)의 상면에 안착되어, 통합 하우징(310)은 베이스 브라켓(200)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는 일측이 개구될 수 있다. 통합 하우징(310)의 개구된 상부(311) 일측은 상부 커버(313)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상부 커버(313)는 통합 하우징(310)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커버(313)는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커버(313)는 복수개의 스크류(315)를 통해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에 체결될 수 있다. 상부 커버(313)에는 복수개의 스크류(315)가 각각 삽입되는 스크류 홀이 형성될 수 있고,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 일측에는 복수개의 스크류(315)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스크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양측의 틸팅 홀(317) 중, 어느 하나는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 중 개구되지 않은 타측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부 커버(313)에 형성될 수 있다.
통합 하우징(310)의 하부(312)는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통합 하우징(310)의 개구된 하부(312) 하측은 하부 커버(314)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하부 커버(314)는 통합 하우징(310)의 하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커버(314)는 통합 하우징(310)의 하부(312) 하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커버(314)는 복수개의 스크류(316)를 통해 통합 하우징(310)의 하부(312)에 체결될 수 있다. 하부 커버(314)에는 복수개의 스크류(316)가 각각 삽입되는 스크류 홀이 형성될 수 있고, 통합 하우징(310)의 하부(312) 하측에는 복수개의 스크류(316)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스크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로테이션 홀(318)은 하부 커버(314)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틸팅 구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을 저면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틸팅 구동 유닛(320)은, 틸팅 모터(321), 틸팅 감속기(322), 틸팅 웜축(323) 및 틸팅 회전축(325)을 포함할 수 있다.
틸팅 모터(321)는 틸팅 감속기(322)와 함께 틸팅 구동 유닛(320)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다. 틸팅 모터(321)의 회전축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틸팅 감속기(322)는 틸팅 모터(321)의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입력축(미도시)을 통해 입력받아서 변환한 후 출력축(322A)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틸팅 감속기(322)는, 사각형상의 틸팅 감속기 하우징과, 상기 틸팅 감속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 감속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기어 중, 어느 하나의 중심에는 틸팅 감속기(322)의 상기 입력축이 구비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중심에는 틸팅 감속기(322)의 출력축(322A)이 구비될 수 있다.
틸팅 모터(321)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틸팅 감속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돈 홀을 통해 상기 틸팅 감속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틸팅 감속기(322)의 출력축(322A)은 상기 틸팅 감속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틸팅 감속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틸팅 모터(321)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틸팅 감속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서, 상기 틸팅 감속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틸팅 감속기(322)의 상기 입력축과 결합될 수 있다. 즉, 틸팅 감속기(322)의 상기 입력축은 틸팅 모터(321)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틸팅 구동 유닛(320)은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틸팅 구동 브라켓(3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틸팅 구동 브라켓(327)은 틸팅 감속기(322)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틸팅 구동 브라켓(327)은 복수개의 판형 브라켓이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틸팅 웜축(323)은 틸팅 구동 브라켓(32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틸팅 웜축(323)은 틸팅 구동 브라켓(327)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틸팅 웜축(323)을 틸팅 구동 브라켓(32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기 베어링은, 틸팅 웜축(323)의 상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틸팅 웜축(323)의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틸팅 웜축(323)은 틸팅 감속기(322)의 출력축(322A)에 결합될 수 있다. 틸팅 웜축(323)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고, 틸팅 감속기(322)의 출력축(322A)은 틸팅 웜축(323)의 상기 중공으로 삽입될 수 있다. 틸팅 웜축(323)은 틸팅 감속기(322)의 출력축(322A)이 회전되는 경우, 틸팅 감속기(322)의 출력축(322A)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틸팅 웜축(323)의 외주면에는 틸팅 웜기어(324)가 구비될 수 있다.
틸팅 회전축(325)의 외주면에는 틸팅 웜기어(324)에 치합되는 틸팅 웜휠기어(32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틸팅 웜축(323)이 회전되는 경우, 틸팅 회전축(325)은 틸팅 웜축(323)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틸팅 회전축(325)은 외주면에 설치된 베어링(325A, 325B)을 통해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325A, 325B)은, 틸팅 회전축(325)의 일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 베어링(325A)과, 틸팅 회전축(325)의 타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2 베어링(325B)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 타측 내측면에는 제1 베어링(325A)이 삽입 장착되는 제1 베어링 장착부(31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어링 장착부(311A)는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 타측에 형성된 틸팅 홀(317)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313)의 내측면에는 제2 베어링(325B)이 삽입 장착되는 제2 베어링 장착부(31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어링 장착부(313A)는 상부 커버(313)에 형성된 틸팅 홀(317)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틸팅 회전축(325)은 수평하게 배치되어 틸팅 브라켓(10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틸팅 브라켓 윙(120)은 통합 하우징(310)의 양측에 형성된 틸팅 홀(317)을 통해 틸팅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틸팅 회전축(325)의 양단 각각은 통합 하우징(310)의 상부(311) 양측에 형성된 틸팅 홀(317)과 틸팅 브라켓(100)의 양측 틸팅 브라켓 윙(120) 후단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는 볼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틸팅 구동 브라켓(327)에는 틸팅 회전축(325)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틸팅 엔코더(328)가 설치될 수 있다. 틸팅 엔코더(328)는 틸팅 웜휠기어(326)의 일면과 대향 배치될 수 있고, 틸팅 웜휠기어(326)의 상기 일면에는 틸팅 엔코더(328)에 의해 검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틸팅 마그네틱이 구비될 수 있다. 틸팅 회전축(325)이 회전될 시, 틸팅 엔코더(328)가 상기 틸팅 마그네틱을 검출하여서, 틸팅 회전축(325)의 회전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로테이션 구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를 저면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은 틸팅 구동 유닛(320)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은 틸팅 구동 유닛(320)에 비해 로테이션 고정축(3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은, 로테이션 모터(331), 로테이션 감속기(332), 로테이션 웜축(333), 로테이션 회전축(335) 및 로테이션 고정축(339)을 포함할 수 있다.
로테이션 모터(331)는 로테이션 감속기(332)와 함께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의 일측을 구성할 수 있다. 로테이션 모터(331)의 회전축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로테이션 감속기(332)는 로테이션 모터(331)의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입력축(미도시)을 통해 입력받아서 변환한 후 출력축(332A)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로테이션 감속기(332)는, 사각형상의 로테이션 감속기 하우징과, 상기 로테이션 감속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감속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기어 중, 어느 하나의 중심에는 로테이션 감속기(332)의 상기 입력축이 구비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중심에는 로테이션 감속기(332)의 출력축(332A)이 구비될 수 있다.
로테이션 모터(331)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로테이션 감속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돈 홀을 통해 상기 로테이션 감속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로테이션 감속기(332)의 출력축(332A)은 상기 로테이션 감속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로테이션 감속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로테이션 모터(331)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로테이션 감속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서, 상기 로테이션 감속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로테이션 감속기(322)의 상기 입력축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로테이션 감속기(332)의 상기 입력축은 로테이션 모터(331)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은 통합 하우징(310)의 하부(312)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로테이션 구동 브라켓(3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테이션 구동 브라켓(337)은 로테이션 감속기(332)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로테이션 구동 브라켓(337)은 복수개의 판형 브라켓이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로테이션 웜축(333)은 로테이션 구동 브라켓(33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로테이션 웜축(333)은 로테이션 구동 브라켓(337)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테이션 웜축(333)을 로테이션 구동 브라켓(33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기 베어링은, 로테이션 웜축(333)의 일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로테이션 웜축(333)의 타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로테이션 웜축(333)은 로테이션 감속기(332)의 출력축(332A)에 결합될 수 있다. 로테이션 웜축(333)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로테이션 감속기(332)의 출력축(332A)은 로테이션 웜축(333)의 상기 중공으로 삽입될 수 있다. 로테이션 웜축(333)은 로테이션 감속기(332)의 출력축(332A)이 회전되는 경우, 로테이션 감속기(332)의 출력축(332A)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로테이션 웜축(333)의 외주면에는 로테이션 웜기어(334)가 구비될 수 있다.
로테이션 회전축(335)의 외주면에는 로테이션 웜기어(334)에 치합되는 로테이션 웜휠기어(33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로테이션 웜축(333)이 회전되는 경우, 로테이션 회전축(335)은 로테이션 웜축(333)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로테이션 회전축(335)은 외주면에 설치된 베어링(335A, 335B)을 통해 로테이션 하우징(310)의 하부(31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335A, 335B)은, 로테이션 회전축(335)의 상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3 베어링(335A)과, 로테이션 회전축(335)의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4 베어링(335B)을 포함할 수 있다.
로테이션 하우징(310)의 하부(312) 상측 내측면에는 제3 베어링(335A)이 삽입 장착되는 제3 베어링 장착부(312A)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314)의 내측면인 상측면에는 제4 베어링(335B)이 삽입 장착되는 제4 베어링 장착부(314A)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베어링 장착부(314A)는 하부 커버(314)에 형성된 로테이션 홀(318)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로테이션 회전축(335)은 수직하게 배치되어 통합 하우징(31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로테이션 회전축(335)은 통합 하우징(310)의 하부(312) 내측에 설치되어서, 회전될 시 통합 하우징(3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로테이션 고정축(339)은 로테이션 회전축(33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로테이션 고정축(339)의 외주에는 로테이션 회전축(33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로테이션 고정축(339)은 수평하게 배치되어 베이스 브라켓(2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베이스 브라켓(200)에 형성된 센터돌기(210)는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 형성된 로테이션 홀(318)을 통해 로테이션 고정축(339)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브라켓(200)의 상면에 형성된 센터돌기(210)는 통합 하우징(310)의 하부(312) 하면에 형성된 로테이션 홀(318)로 삽입될 수 있고, 로테이션 고정축(339)의 하단은 센터돌기(2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볼트 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볼트(12, 도 5 내지 도 7 참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센터돌기(210)가 베이스 브라켓(200)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로테이션 고정축(339)은 필요치 않으며 로테이션 회전축(335)의 하단이 센터돌기(2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로테이션 구동 브라켓(337)에는 로테이션 회전축(335)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로테이션 엔코더(338)가 설치될 수 있다. 로테이션 엔코더(338)는 로테이션 웜휠기어(336)의 상면과 대향 배치될 수 있고, 로테이션 웜휠기어(336)의 상면에는 로테이션 엔코더(338)에 의해 검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테이션 마그네틱이 구비될 수 있다. 로테이션 회전축(335)이 회전될 시, 로테이션 엔코더(338)가 상기 로테이션 마그네틱을 검출하여서, 로테이션 회전축(335)의 회전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통해 안테나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17을 참조하면, 설치 브라켓(400) 및 센터돌기(210)에는 각각 방향제어 케이블(C)이 관통하는 홀(410, 213)이 형성될 수 있다. 방향제어 케이블(C)은 틸팅 구동 유닛(320) 및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을 제어하여 안테나(2)의 방향을 제어하는 케이블일 수 있다.
즉, 방향제어 케이블(C)의 상단은 설치 브라켓(400)에 형성된 홀(410)과 센터돌기(210)에 형성된 홀(213)을 관통한 후, 통합 하우징(310) 내로 삽입되어 틸팅 모터(321) 및 로테이션 모터(331)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제어 케이블(C)의 상단은 통합 하우징(310) 내에서 로테이션 고정축(339)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로테이션 고정축(339)의 상단을 통해 통합 하우징(310)의 내부공간으로 빠져나오거나, 로테이션 고정축(339)의 외주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통합 하우징(310)의 내부공간으로 빠져나와서, 틸팅 모터(321) 및 로테이션 모터(33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방향제어 케이블(C)의 하단에는 안테나(2)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안테나 방향 제어기(미도시)와 연결되는 커넥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2)가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1)를 통해 지주(3)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안테나(2)의 방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방향제어 케이블(C)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커넥터를 상기 안테나 방향 제어기에 연결한 후, 상기 안테나 방향 제어기를 조작하여 틸팅 모터(321) 및 로테이션 모터(331)를 제어함으로써, 안테나(2)의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방향제어 케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방향제어 케이블(C)은 설치 브라켓(400) 및 베이스 브라켓(200)을 거치지 않고,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의 통합 하우징(3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틸팅 구동 유닛(320) 및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을 제어하는 방향제어 케이블(C)의 일단에는 커넥터(500)가 구비될 수 있고, 통합 하우징(310)의 외주면에는 커넥터(500)가 연결되는 소켓(301)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켓(301)은 통합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된 틸팅 모터(321) 및 로테이션 모터(3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포함되는 통합 회전 구동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를 저면에서 바라보는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포함되는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1)에 포함되는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과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의 통합 하우징(310)은 상부(311) 및 하부(312)로 구성되고, 상부(311)의 내부에 틸팅 구동 유닛(320)이 배치되고, 하부(312)의 내부에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이 배치되어서, 틸팅 구동 유닛(320)은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보다 상측에 배치되었다.
하지만, 본 제2 실시예의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0)의 통합 하우징(3100)은, 양측에 틸팅 홀(3170)이 형성된 전방부(3110)와, 하면에 로테이션 홀(3180)이 형성된 후방부(3120)로 구성되고, 전방부(3110)의 내부에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틸팅 구동 유닛(320)이 배치되고, 후방부(3120)의 내부에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이 배치되어서, 틸팅 구동 유닛(320)은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하우징(3100)의 후방부(312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베이스 브라켓(2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통합 하우징(3100)의 전방부(31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베이스 브라켓(200)보다 전방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와 같이 통합 하우징(3100)을 전방부(3110) 및 후방부(3120)로 구성하여서, 전방부(3110)의 내부에 틸팅 구동 유닛(320)을 배치하고, 후방부(3120)의 내부에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을 배치하여,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0)을 구성하는 경우, 전방부(3110) 및 후방부(3120)의 전후 위치를 서로 바꾸어 전방부(3110)를 후방부(3120)보다 후방에 위치시킨 후,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0)을 90도로 눕혀 전방부(3110)를 베이스 브라켓(200)의 상면에 설치할 수 있고, 후방부(3120)의 양측에는 틸팅 브라켓(10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와 같이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0)을 구성하는 경우, 틸팅 구동 유닛(320)이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의 기능을 하게 할 수 있고,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이 틸팅 구동 유닛(320)의 기능을 하게 할 수 있다.
본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나머지 구성들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포함되는 통합 회전 구동 유닛 및 베이스 브라켓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분해 사시도, 도 23은 도 22를 상면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통합 하우징(310)의 수평방향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해, 베이스 브라켓(200)에 복수개의 롤러(220, 도 4 및 도 7 참조)가 설치되었다.
하지만, 본 제3 실시예에서는 통합 하우징(310)의 수평방향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해,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볼(6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볼(610)은 베이스 브라켓(200)의 상면과 접촉되어 통합 하우징(310)의 수평방향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볼(610)이 삽입되는 링형의 볼 삽입홈(319)이 형성될 수 있다. 볼 삽입홈(319)은 하부 커버(314)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는 볼 커버(620)가 결합될 수 있다. 볼 커버(620)는 복수개의 스크류(13)를 통해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볼 커버(620)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스크류(13)가 각각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볼 커버(620)는 하부 커버(314)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볼 커버(6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 돌출홀(6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 돌출홀(621)에는 볼 삽입홈(319)에 삽입된 복수개의 볼(610)이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볼 돌출홀(621)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제3 실시예에서 볼 돌출홀(621)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브라켓(200)에는 상하로 통하는 호형상의 가이드 홀(250)이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브라켓(200)의 하측에는 볼 가이더(700)가 배치될 수 있다. 볼 가이더(700)는 가이드 홀(250)을 통해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는 결합보스(314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보스(314B)는 하부 커버(314)의 하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볼트(720)가 볼 가이더(700)의 중심에 형성된 홀과 가이드 홀(250)을 통과한 후 결합보스(314B)와 체결되어서, 볼 가이더(700)는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볼 가이더(700)의 상면에는 회전 가능한 복수개의 볼(710)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볼(710)은 베이스 브라켓(20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통합 하우징(31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시, 볼 가이더(700)는 베이스 브라켓(200)에 복수개의 볼(710)이 접촉된 채로 통합 하우징(310)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통합 하우징(310)의 수평방향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 가이더(700)는 가이드 홀(250)에 삽입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 홀(250) 내에는 가이드 홀(250)의 길이를 따라 단차(255)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255)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볼(710)이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단차(255)는 가이드 홀(250)의 상측이 하측보다 적게 개구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하우징(310)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시, 볼 가이더(700)가 가이드 홀(250)의 내벽에 접촉되더라도 볼 가이더(700)가 가이드 홀(250)의 길이를 따라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볼 가이더(70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통해 안테나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배면 사시도, 도 26은 도 24의 분해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포함되는 통합 회전 구동 유닛, 베이스 브라켓 및 설치 브라켓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8은 도 27을 저면에서 바라보는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틸팅 브라켓(100)이 하나만 구비되어 하나의 틸팅 브라켓(100)에 하나의 안테나(2)가 결합되었으나, 본 제4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틸팅 브라켓(100-1, 100-2)이 구비되어 한 쌍의 틸팅 브라켓(100-1, 100-2)에 한 쌍의 안테나(2-1, 2-2)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에 하나의 안테나(2)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었으나, 본 제4 실시예에서는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에 한 쌍의 안테나(2-1, 2-2)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틸팅 브라켓(100-1, 100-2)은 제1 틸팅 브라켓(100-1) 및 제2 틸팅 브라켓(10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틸팅 브라켓(100-1)은 제1 안테나(2-1)에 연결되어 제1 안테나(2-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틸팅 브라켓(100-1)은 통합 하우징(3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틸팅 브라켓(100-2)은 제2 안테나(2-2)에 연결되어 제2 안테나(2-2)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틸팅 브라켓(100-2)은 통합 하우징(3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틸팅 브라켓(100-1) 및 제2 틸팅 브라켓(100-2)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틸팅 브라켓(100-1)은 제1 틸팅 브라켓 바디(110-1) 및 제1 틸팅 브라켓 윙(120-1)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틸팅 브라켓(100-2)은 제2 틸팅 브라켓 바디(110-2) 및 제2 틸팅 브라켓 윙(1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틸팅 브라켓 바디(110-1)는 제1 안테나(2-1)의 배면에 복수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제2 틸팅 브라켓 바디(110-2)는 제2 안테나(2-2)의 배면에 복수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틸팅 브라켓 바디(110-1)의 후면 및 제2 틸팅 브라켓 바디(110-2)의 후면 각각에는 복수개의 강성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틸팅 브라켓 윙(120-1)은 제1 틸팅 브라켓 바디(110-1)의 일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 틸팅 브라켓 윙(120-2)은 제2 틸팅 브라켓 바디(110-2)의 일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틸팅 브라켓 윙(120-1)은 제1 틸팅 브라켓 바디(110-1)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고, 제2 틸팅 브라켓 윙(120-2)은 제2 틸팅 브라켓 바디(110-2)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1 틸팅 브라켓 윙(120-1)은 통합 하우징(3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틸팅 결합부재(351)를 통해 틸팅 회전축(325)과 결합될 수 있고, 제2 틸팅 브라켓 윙(120-2)은 통합 하우징(31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틸팅 결합부재(352)를 통해 틸팅 회전축(325)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틸팅 회전축(325)의 양단은 통합 하우징(310)의 양측에 형성된 틸팅 홀(317)을 통해 통합 하우징(310)의 양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제1 틸팅 결합부재(351)는 틸팅 회전축(325)이 일단 외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틸팅 결합부재(352)는 틸팅 회전축(325)의 타단 외주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틸팅 브라켓 윙(120-1)은 제1 틸팅 결합부재(351)에 복수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틸팅 브라켓 윙(120-2)은 제2 틸팅 결합부재(352)에 복수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통합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된 로테이션 고정축(339)은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 형성된 로테이션 홀(318)을 통해 통합 하우징(310)의 하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200)의 상면 중심에 형성된 센터돌기(210)는 로테이션 홀(318)을 통해 통합 하우징(310)의 하측으로 돌출 배치된 로테이션 고정축(339)과 볼수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로테이션 고정축(339)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로테이션 고정축(339) 대신에 로테이션 회전축(335)이 로테이션 홀(318)을 통해 통합 하우징(310)의 하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센터돌기(210)는 로테이션 홀(318)을 통해 통합 하우징(310)의 하측으로 돌출 배치된 로테이션 회전축(335)과 복수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200)의 상면에는 호형상의 가이드 홈(27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는 볼(8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볼(810)은 가이드 홈(270)에 삽입되어 통합 하우징(310)의 수평방향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볼(810)은 볼(810)이 하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홀이 형성된 볼커버에 의해 통합 하우징(31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는, 안테나(2)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인 틸팅 구동 유닛(320)과, 안테나(2)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인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이 통합 하우징(310, 3100) 내에 배치된다. 즉, 틸팅 구동 유닛(320) 및 로테이션 구동 유닛(330)이, 하나의 통합 하우징(310, 3100) 내에 함께 설치되어서, 하나의 통합 회전 구동 유닛(300, 3000)을 구성하게 되므로, 구조가 단순해지고 사이즈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는, 안테나(2)를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통해 지주(3)에 설치할 시, 안테나(2)를 지주(3)에 가깝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2)의 설치 위치 및 설치 방향이 바람에 의해 쉽게 변경되지 않고, 안테나(2)의 과대한 돌출 설치로 인한 혐오감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2 : 안테나
2-1 : 제1 안테나 2-2 : 제2 안테나
3 : 지주 100 : 틸팅 브라켓
100-1 : 제1 틸팅 브라켓 100-2 : 제2 틸팅 브라켓
110 : 틸팅 브라켓 바디 110-1 : 제1 틸팅 브라켓 바디
110-2 : 제2 틸팅 브라켓바디 120 : 틸팅 브라켓 윙
120-1 : 제1 틸팅 브라켓 윙 120-2 : 제2 틸팅 브라켓 윙
200 : 베이스 브라켓 210 : 센터돌기
220 : 가이드 롤러 221 : 롤러 삽입홀
222 : 롤러 커버 223 : 롤러 돌출홀
250 : 가이드 홀 255 : 단차
270 : 가이드 홈 301 : 소켓
310, 3100 : 통합 하우징 317, 3170 : 틸팅 홀
318, 3180 : 로테이션 홀 319 : 볼 삽입홈
320 : 틸팅 구동 유닛 321 : 틸팅 모터
322 : 틸팅 감속기 323 : 틸팅 웜축
324 : 틸팅 웜기어 325 : 틸팅 회전축
326 : 틸팅 웜휠기어 330 : 로테이션 구동 유닛
331 : 로테이션 모터 332 : 로테이션 감속기
333 : 로테이션 웜축 334 : 로테이션 웜기어
335 : 로테이션 회전축 336 : 로테이션 웜휠기어
339 : 로테이션 고정축 351 : 제1 틸팅 결합부재
352 : 제2 틸팅 결합부재 400 : 설치 브라켓
500 : 커넥터 610, 710, 810 : 볼
620 : 볼 커버 621 : 볼 돌출홀
700 : 볼 가이더 C : 방향제어 케이블

Claims (26)

  1.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는 틸팅 브라켓;
    지주에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를 향해 돌출 배치되는 베이스 브라켓;
    상기 틸팅 브라켓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합 하우징;
    상기 틸팅 브라켓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틸팅 구동 유닛; 및
    상기 통합 하우징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로테이션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 구동 유닛 및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은 상기 통합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 구동 유닛은,
    틸팅 모터와,
    상기 틸팅 모터의 회전축에 입력축이 결합된 틸팅 감속기와,
    상기 틸팅 감속기의 출력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틸팅 웜기어가 구비된 틸팅 웜축과,
    상기 틸팅 웜기어에 치합되는 틸팅 웜휠기어가 외주면에 구비되고,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틸팅 브라켓과 결합되는 틸팅 회전축을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틸팅 모터의 회전축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틸팅 웜축은 수직하게 배치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틸팅 브라켓은,
    상기 안테나의 배면에 결합되는 틸팅 브라켓 바디와,
    상기 틸팅 브라켓 바디의 양측에 각각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된 틸팅 홀을 통해 상기 틸팅 회전축과 결합되는 틸팅 브라켓 윙을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은,
    로테이션 모터와,
    상기 로테이션 모터의 회전축에 입력축이 결합된 로테이션 감속기와,
    상기 로테이션 감속기의 출력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로테이션 웜기어가 구비된 로테이션 웜축과,
    상기 로테이션 웜기어에 치합되는 로테이션 웜휠기어가 외주면에 구비되고,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통합 하우징과 결합되는 로테이션 회전축을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모터의 회전축은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테이션 웜축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설치되고, 상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설치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상기 설치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 브라켓의 상면에 배치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은 상기 로테이션 회전축이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로테이션 고정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 중심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로테이션 홀로 삽입되어 상기 로테이션 고정축과 결합되는 센터돌기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 중심에 상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로테이션 홀로 삽입되어 상기 로테이션 회전축과 결합되는 센터돌기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 구동 유닛은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통합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에 배치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통합 하우징의 수평방향 회전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개의 롤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 삽입홀에 각각 삽입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의 바디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롤러 돌출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롤러 커버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4.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설치 브라켓 및 상기 센터돌기에는 상기 틸팅 구동 유닛 및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방향제어 케이블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 구동 유닛 및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방향제어 케이블의 일단에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넥터가 연결되는 소켓이 구비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 구동 유닛은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통합 하우징의 후방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전방부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보다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통합 하우징의 수평방향 회전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볼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볼이 삽입되는 링형의 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볼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복수개의 볼이 하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볼 돌출홀이 형성된 볼 커버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는 상하로 통하는 호형상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하면에 접촉되는 회전 가능한 복수개의 볼이 돌출 배치된 볼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볼 가이더는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홀 내에는 상기 볼 가이더의 상면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볼이 하면에 접촉되는 단차가 형성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2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틸팅 브라켓은,
    제1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안테나를 지지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틸팅 브라켓과,
    제2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안테나를 지지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틸팅 브라켓을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1 틸팅 브라켓은,
    상기 제1 안테나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 틸팅 브라켓 바디와,
    상기 제1 틸팅 브라켓 바디의 일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틸팅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틸팅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1 틸팅 브라켓 윙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틸팅 브라켓은,
    상기 제2 안테나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2 틸팅 브라켓 바디와,
    상기 제2 틸팅 브라켓 바디의 일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제2 틸팅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틸팅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2 틸팅 브라켓 윙을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2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구동 유닛은 상기 로테이션 회전축이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로테이션 고정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 중심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로테이션 홀을 통해 돌출 배치된 상기 로테이션 고정축과 결합되는 센터돌기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2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 중심에 상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형성된 로테이션 홀을 통해 돌출 배치된 상기 로테이션 회전축과 결합되는 센터돌기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상면에는 호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통합 하우징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통합 하우징의 수평방향 회전을 가이드하는 볼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1020210098045A 2020-07-31 2021-07-26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10258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49773.3A EP4191784A1 (en) 2020-07-31 2021-07-27 Clamping apparatus for antenna
PCT/KR2021/009689 WO2022025582A1 (ko) 2020-07-31 2021-07-27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JP2023506085A JP2023536134A (ja) 2020-07-31 2021-07-27 アンテナ用クランピング装置
CN202180057657.XA CN116324218A (zh) 2020-07-31 2021-07-27 天线用夹紧装置
US18/104,269 US20230178874A1 (en) 2020-07-31 2023-01-31 Clamping apparatus for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53 2020-07-31
KR20200095953 2020-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959A true KR20220015959A (ko) 2022-02-08
KR102588383B1 KR102588383B1 (ko) 2023-10-13

Family

ID=8025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045A KR102588383B1 (ko) 2020-07-31 2021-07-26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3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3676A (zh) * 2023-07-19 2023-08-18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乡供电公司 一种电线电缆安装用调紧装置
WO2023234588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WO2023234589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WO2023249394A1 (ko) * 2022-06-24 2023-12-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소형 기지국 안테나 장치용 멀티펑션 링크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8720A (en) * 1975-08-05 1977-02-12 Kubota Ltd Glass fiber reinforced cement plate and its production method
KR101209387B1 (ko) * 2012-05-31 2012-12-06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팬틸트 드라이버
KR102095871B1 (ko) 2019-04-22 2020-04-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8720A (en) * 1975-08-05 1977-02-12 Kubota Ltd Glass fiber reinforced cement plate and its production method
KR101209387B1 (ko) * 2012-05-31 2012-12-06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팬틸트 드라이버
KR102095871B1 (ko) 2019-04-22 2020-04-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588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WO2023234589A1 (ko) * 2022-06-03 2023-12-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WO2023249394A1 (ko) * 2022-06-24 2023-12-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소형 기지국 안테나 장치용 멀티펑션 링크 어셈블리
CN116613676A (zh) * 2023-07-19 2023-08-18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乡供电公司 一种电线电缆安装用调紧装置
CN116613676B (zh) * 2023-07-19 2023-09-29 国网河南省电力公司新乡供电公司 一种电线电缆安装用调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383B1 (ko)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5959A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JP7285334B2 (ja) アンテナ用クランピング装置
JP7321301B2 (ja) アンテナ用クランピング装置
JP7348955B2 (ja) アンテナ用クランピング装置
US7690851B2 (en) Imaging apparatus
CN108008741B (zh) 无人飞行器跟踪天线,遥控器套件以及无人飞行器套件
US20230178874A1 (en) Clamping apparatus for antenna
US20220140466A1 (en) Clamping apparatus for antenna
WO2022121318A1 (zh) 摄像机
KR102515619B1 (ko) 안테나 장치
KR20230064551A (ko) 안테나 기기용 클램핑 장치
KR102293341B1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US20010045991A1 (en) Drive mechanism for surveillance camera pan and tilt
KR20210010287A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JP7433452B2 (ja) アンテナ装置
KR20210020746A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20585506U (zh) 天线用夹紧装置
CN220652361U (zh) 天线用夹紧装置
CN218824748U (zh) 一种上下扫描旋转座
WO2022062204A1 (zh) 云台组件
KR102666066B1 (ko)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
KR20230109583A (ko) 안테나 장치
JP2516141B2 (ja) 室内無線lan用アンテナ装置
CN113873346A (zh) 网络设备
JP2002281694A (ja) 空間安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