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944A -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944A
KR20220014944A KR1020200094555A KR20200094555A KR20220014944A KR 20220014944 A KR20220014944 A KR 20220014944A KR 1020200094555 A KR1020200094555 A KR 1020200094555A KR 20200094555 A KR20200094555 A KR 20200094555A KR 20220014944 A KR20220014944 A KR 20220014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polymer
polymer nanocomposite
base film
dissipa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336B1 (ko
Inventor
이재철
이태호
채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씨콤
Priority to KR102020009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3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24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1/28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by depositing flowable material on an endless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42Removing articles from moulds, cores or other substrates
    • B29C41/44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3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1/46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6Alkyl ethers substituted with acid radicals, e.g. carboxymethyl cellulose [CM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26Cellulose ethers
    • C08J2301/28Alk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9/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ring member
    • C08J2439/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내열성, 열안정성, 방열성 및 접착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과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응집보조제가 구비되되 상기 고분자 용액 내의 카복시메틸셀룰로스와 상기 응집보조제 내의 폴리에틸렌이민이 중량비로 4.5~5.5:1 비율로 혼합 및 가교되어 고분자 베이스가 생성되되, 상기 고분자 베이스에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교반 분산되어 가교 결합된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이 준비되는 제1단계; 이송방향 전후단에 구비된 제1이송롤러 및 제2이송롤러를 통해 회전 이송되되 복수개의 텐션롤러에 의해 이송시 장력이 조절되는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이 도포되되, 상기 제1이송롤러와 상기 제2이송롤러 사이에 구비된 복합 경화챔버를 통과하면서 건조되어 고분자 나노복합체층으로 적층 경화되는 제2단계; 및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층이 상기 베이스필름으로부터 분리되어 방열시트로 제조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manufacturing method for polymer nanocomposite heat dissipation shee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열성, 열안정성, 방열성 및 접착성이 향상된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서 전자기기의 발전과 복잡한 기능이 요구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저중량화, 박판화,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인쇄회로의 배선이 더욱 복잡하고, 고밀도화, 고기능화되어 간다. 또한, 많은 사람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 등 가볍고, 얇고, 유연한 형태의 전자소자는 많은 기능들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집적화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고집적화에 따른 전자소자 내부의 발열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사용 효율 향상 및 이산화탄소 배출 축소 등을 위해 최근 백열전구의 사용이 전면 금지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LED 광원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때, 이러한 LED 광원의 경제성 향상을 위해 LED 칩의 개수를 줄이는 대신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높은 전류 구동이 요구되는데, 이 경우에도 방열 문제는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이처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기기, LED 뿐만 아니라 자동차기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경박단소화를 위해 이를 구성하는 소재가 작고 집적화됨과 동시에 높은 효율을 나타내어야 한다. 그러나,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오히려 소재의 특성, 더 나아가서는 전자기기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때문에, 우수한 방열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방열시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방열시트로 실리콘 고무에 산화베릴륨, 산화 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등의 분말을 배합한 방열시트가 일부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방열시트의 경우 배합된 금속 분말 자체의 열전도성이 금속보다 매우 낮다. 따라서, 200℃ 이상의 고온에서 사용하게 되면 열전도성 분말 중 불순물이 생성되거나 상기 분말의 충진 과정에서 구형 또는 불규칙한 입자 형태로 인해 입자간의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열전도도가 감소한다. 이로 인해 방열 효과가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방열시트의 탄력성이 저하되어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바인더 소재와 금속 소재 간의 물리적/화학적 부착력이 낮아 전자기기와 방열시트가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거나 방열시트 내부에 미세한 공기층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열전도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일부에서는 종래의 방열시트로 절연성, 열전도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그라파이트 시트가 사용되었다. 이때,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는 큰 열용량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큰 부피, 예컨대 두꺼운 시트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두꺼운 방열시트는 소형의 전자기기에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0997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열성, 열안정성, 방열성 및 접착성이 향상된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과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응집보조제가 구비되되 상기 고분자 용액 내의 카복시메틸셀룰로스와 상기 응집보조제 내의 폴리에틸렌이민이 중량비로 4.5~5.5:1 비율로 혼합 및 가교되어 고분자 베이스가 생성되되, 상기 고분자 베이스에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교반 분산되어 가교 결합된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이 준비되는 제1단계; 이송방향 전후단에 구비된 제1이송롤러 및 제2이송롤러를 통해 회전 이송되되 복수개의 텐션롤러에 의해 이송시 장력이 조절되는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이 도포되되, 상기 제1이송롤러와 상기 제2이송롤러 사이에 구비된 복합 경화챔버를 통과하면서 건조되어 고분자 나노복합체층으로 적층 경화되는 제2단계; 및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층이 상기 베이스필름으로부터 분리되어 방열시트로 제조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과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응집보조제가 구비되되 상기 고분자 용액 내의 카복시메틸셀룰로스와 상기 응집보조제 내의 폴리에틸렌이민이 중량비로 4.5~5.5:1 비율로 혼합 및 가교되어 생성된 고분자 베이스에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교반 분산되어 가교 결합된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이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도포되도록 상기 베이스필름의 양단이 권취되어 이송되는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도포되는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이 고분자 나노복합체층으로 경화되도록 상기 제1이송롤러와 상기 제2이송롤러 사이에 구비되되, 전측에 구비되어 적외선을 조사하는 간접경화부와 상기 간접경화부의 후측에 구비되되 열풍을 발산하는 직접경화부를 포함하는 복합 경화챔버; 및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이송롤러와 상기 복합 경화챔버의 전측 사이 및 상기 제2이송롤러와 상기 복합 경화챔버의 후측 사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베이스필름에 도포된 방열 조성물이 적외선을 조사하는 간접경화부를 먼저 통과하면서 수분 증발이 최소화되도록 선 경화처리됨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직접경화부를 통과하면서 열풍을 통해 단시간 내 건조반응이 후속진행되더라도 급격한 건조를 방지하여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roll to roll 방식의 제조공정을 통해 연속적인 제조가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고분자 용액 내의 카복시메틸셀룰로스와 응집보조제 내의 폴리에틸렌이민이 중량비로 4.5~5.5:1의 비율로 혼합되어 가교 결합이 강하게 이루어져 고열 및 휨 모멘트가 가해지는 환경에서도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므로 반도체, LED 및 고집적화된 전자기기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방열소재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셋째, 방열재료로서의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와 셀룰로스가 응집보조제를 통해 이종 소재 간 안정적인 가교 결합이 유도되어 열전도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결합내구성 및 유연성, 인장강도까지 개선되어 고기능성 방열시트를 양산 가능하므로 제조효율 및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롤타입으로 생산되는 방열시트를 대상물의 표면형상 및 면적에 맞게 후가공 후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베이스필름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접착 적용 가능하므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기존 설비의 변경없이도 방열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제품을 공급할 수 있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 제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방열시트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 제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방열시트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도이다.
한편,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는 후술되는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트(sheet) 형상으로 제조되며, 반도체, 모바일기기, 웨어러블기기 등의 소형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LED 및 자동차기기 등과 같은 방열기능을 필요로 하는 대상물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가 상기 대상물에 적층됨에 따라 대상물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으며, 발열로 인한 기기의 오작동 또는 고장 등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는 고도의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므로 휨 모멘트가 발생하더라도 내구성 및 방열효율이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곡선형 디스플레이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에도 안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을 대체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방열 조성물과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은 동일한 의미이고, 방열시트와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는 동일한 의미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열시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먼저, 고분자 용액과 응집보조제가 혼합 및 가교되어 고분자 베이스가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베이스에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교반 분산되어 가교 결합된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이 준비된다(s1).
상세히, 방열소재용 고분자는 내열성을 가지도록 벤젠고리를 가지거나 단량체 간의 결합 세기가 강한 것으로 선택됨이 바람직하며, 우레탄 계열의 고분자, 아마이드 계열의 고분자, 셀룰로스(cellulose), 키틴(chitin)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분자는 셀룰로스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스는 자연계에 풍부한 기능성 고분자로 재료 수득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글루코스 단량체 사슬(glucose monomer chain)로 이루어져 상기 방열 조성물에 점도를 부여하므로 상기 대상물에 대한 부착성(adhesive)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착성을 통해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최종 제조된 상기 방열시트가 상기 대상물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슬 간의 강한 수소 결합으로 인해 물 등의 일반적인 용매에 용해되지 않아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exafluoroisopropanol)과 같은 휘발성이 높은 용매를 사용함으로 인해 시트화가 어려운 키틴에 비해 상기 셀룰로스는 증류수 혹은 탈이온수(DI water)를 용매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방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방열시트가 균일한 두께의 시트 형태로 적층될 수 있으므로 생산품질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용액은 음이온성 작용기인 카복시기(-COOH)를 갖는 셀룰로스인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이하 CMC)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CMC가 탈이온수에 혼합되어 희석된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분자 용액은 CMC가 소정의 농도로 희석되어 준비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CMC는 표면에 카복시기를 갖도록 처리된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와 전기화학적 반발력이 실질적으로 없으며, 상기 응집보조제를 통해 상기 CMC 간의 가교 결합 및 상기 CMC와 상기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 간의 가교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MC는 5~15%의 농도로 희석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CMC 5~15 중량% 및 나머지 중량%의 탈이온수가 혼합되어 용액 형태로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고분자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CMC가 5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상기 방열 조성물의 최종 점도가 낮아져 흐름성이 커짐으로 인해 상기 방열시트가 요구되는 두께로 형성되지 못한다.
반면, 상기 고분자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CMC가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과도한 점도로 인해 도포 또는 적층된 표면이 불균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CMC는 상기 고분자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5~15 중량%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분자 용액은 상기 CMC 농도가 5%인 용액 형태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응집보조제는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이하 PEI)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PEI는 아민기(-NH2)를 가지는 양이온성 폴리머로, 카복시기 등의 음이온성 작용기를 갖는 재료와의 접합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PEI는 선형 및 분지형의 화학구조를 가지며 그 자체로는 내열성이 우수하지 않지만 음이온성 고분자와의 접합성이 뛰어나다. 이를 통해, 상기 CMC와 상기 PEI의 강한 가교 결합을 통해 상호 간의 열적 특성이 보완되므로 상기 방열 조성물의 내열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PEI는 농도가 0.8~1.2%인 용액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응집보조제는 상기 PEI 농도가 1%인 용액 형태로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용액 내의 카복시메틸셀룰로스와 상기 응집보조제 내의 폴리에틸렌이민이 중량비로 4.5~5.5:1 비율로 혼합 및 가교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CMC 및 상기 PEI가 중량비로 4.5:1 미만의 비율 즉, 상기 PEI가 중량비로 1의 비율로 혼합시 상기 CMC가 4.5 미만의 비율의 중량비로 혼합되면, 상기 CMC의 함량에 비해 상기 PEI의 함량이 높아 겔화되는 양이 증가한다. 또한, 상기 고분자 베이스를 단독으로 형성된 고분자 시트의 유연성,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 등의 내구성은 향상되지만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혼합시 유연성이 저하됨으로 인하여 최종 시트제품의 파쇄/파단이 발생한다.
반면, 상기 CMC 및 상기 PEI가 중량비로 5.5:1을 초과하는 비율 즉, 상기 PEI가 중량비로 1의 비율로 혼합시 상기 CMC가 5.5를 초과하는 비율의 중량비로 혼합되면, 상기 CMC에 비하여 상기 PEI의 함량이 과도하게 낮아진다. 이로 인해, 상기 CMC 간의 가교 결합 및 상기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와의 가교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내구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각 성분 간의 가교 반응이 향상되면서도 최종 제조된 방열시트의 내구성 및 방열성능이 향상되도록 상기 고분자 용액 내의 CMC와 상기 응집보조제 내의 PEI는 중량비로 4.5~5.5:1의 비율로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CMC와 상기 PEI는 중량비로 5: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즉, 상기 CMC가 5%인 용액으로 구비되고 상기 PEI가 1%인 용액으로 준비되어 동일 중량비로 혼합되면 상기 CMC와 상기 PEI가 중량비로 5:1 비율로 혼합된 상기 고분자 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용액은 25~35분간 초음파 처리되고 5.5~6.5시간 동안 교반되어 준비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45~55℃ 온도 범위에서 교반될 수 있다. 더불어, 교반과정에서 상기 고분자 용액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고분자 용액 및 상기 응집보조제를 혼합하고 50~70분 동안 교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고분자 용액 내에 포함된 상기 CMC와 상기 PEI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베이스에 중합촉매제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분자 베이스는 상기 CMC, 상기 PEI 및 상기 중합촉매제가 혼합되어 생성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중합촉매제는 과황화칼륨(potassium persulfate, 이하 KPS)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KPS는 상기 CMC와 상기 PEI의 가교 결합을 유도하도록 포함되며, 상기 고분자 베이스 내에 포함되는 상기 CMC와 상기 PEI의 중량%에 따라 혼합량이 조절되어 투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KPS이 상기 CMC와 상기 PEI의 중량%에 대하여 그 혼합량이 부족하면 가교 효율이 저하되며, 과도하게 혼합되면 상기 KPS가 이온성을 띄어 최종 생산물인 상기 방열시트의 결정성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상기 KPS는 상기 KPS 5~10 중량부에 증류수 90~95 중량부가 혼합된 희석액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농도의 수용액 상태로 상기 CMC와 상기 PEI의 혼합물에 투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KPS 농도 10%인 수용액은 50℃에서 30분간 교반되어 상기 KPS가 완전 용해된 상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CMC와 상기 PEI의 혼합물이 50ml로 준비되는 경우, 상기 KPS 농도 10%인 수용액이 5~8 방울 첨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KPS 농도 10%인 수용액이 첨가된 상기 CMC와 상기 PEI의 혼합물은 50~60℃ 범위에서 50~130분 간 교반 및 가교되어 상기 고분자 베이스가 획득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KPS가 수용액 상태로 희석되어 상기 CMC와 상기 PEI의 혼합물에 첨가되므로 상기 CMC와 상기 PEI의 혼합물에 용이하게 분산 혼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CMC와 상기 PEI의 가교 결합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CMC와 상기 PEI가 먼저 혼합되어 균일하게 분산된 후 상기 KPS가 혼합되므로 상기 고분자 베이스의 가교 결합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CMC와 상기 PEI의 가교를 통해 카복시기, 수산기 및 아미노기를 가지면서 강한 가교를 통해 분자 사슬 간의 결합력이 증가하여 내열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CMC만 포함하는 시편의 유리전이온도가 193.5℃로 측정된 것과 비교하여 상기 CMC와 상기 PEI가 혼합 및 가교된 상기 고분자 베이스 시편의 유리전이온도가 205.9℃로 200℃ 이상에서도 내열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MC와 상기 PEI의 고분자 사슬을 분해하기 위해 더 높은 에너지가 요구되므로 가교 결합을 통해 고열에서의 열적 특성이 향상되며, 비열 및 열확산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TGA를 통한 내열성 특성 측정 결과 약 250℃ 부근에서 무게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기기 및 소형기기에 본 발명에 따른 방열 조성물 또는 상기 방열시트가 적용되면 우수한 방열효과와 함께 경량화를 구현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고분자 재료 유리전이온도(Tg,℃) 열전도율(W/mK)
에폭시 140 0.300
실리콘 -123 0.150
아크릴 130 0.170
폴리스티렌 100 0.100
본발명의 고분자 베이스 204.2 0.433
Figure pat00001
표 1은 종래에 방열시트에 적용되던 고분자 재료의 유리전이온도 및 열전도율과 본 발명에 따라 조성된 고분자 베이스의 유리전이온도 및 열전도율을 비교한 표이다. 이때, 상기 표 1의 열전도율은 상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정의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학식 1에서 ρ는 밀도, cp는 비열, α는 열확산율을 의미한다. 그리고,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조성된 상기 고분자 베이스의 유리전이온도 및 열전도율이 종래에 방열시트에 적용되던 고분자 재료에 비하여 1.5~3배 높은 열전도율을 확보함으로써 그 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베이스에 상기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혼합 및 분산되고 가교 결합되어 상기 방열 조성물이 획득된다
여기서, 상기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는 은 분말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이하 MWCNT)가 혼합되되 상기 은 분말을 상기 MWCNT에 은 입자로 증착 및 성장시켜 획득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은 분말의 양이 3~10 중량%이고 상기 MWCNT의 양이 0.05~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MWCNT에 증착된 은 입자의 크기가 20~3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MWCNT에 상기 은 분말이 이온화되어 입자로 증착되도록 상기 MWCNT는 550~650℃에서 열처리되고, 질산(HNO3), 황산(H2SO4)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산 용액에 침전 및 교반되어 산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탄소 불순물이 열처리 과정에서 제거됨과 함께 상기 MWCNT의 표면에 카복시기가 형성되며, 상기 카복시기에 상기 은 분말이 이온화되어 증착 및 성장되어 20~30nm의 은 입자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는 유기바인더, 분산제 및 희석용매에 상기 은 분말 및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된 페이스트(이하, 나노복합체 페이스트로 설명) 형태로 준비되되 상기 고분자 베이스와 혼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유기바인더는 에틸셀룰로스(ethyl cellulose)로 구비되고 상기 희석용매는 α-테르피네올(α-terpineol)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바인더는 상기 나노복합체 페이스트의 점도 및 형태를 유지하도록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분산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 vinylpyrrolidone, 이하 PVP)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 간의 응집을 방지하여 상기 페이스트 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PVP는 금속나노입자의 분산제로 주로 사용되는 화합물로,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다양한 분자량별 화합물을 구하기 용이하여 경제적이다. 이때, 상기 분산제는 페이스트의 용매로 주로 사용되는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를 용매로 하여 혼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방열 조성물은 상기 고분자 베이스가 상기 CMC와 상기 PEI의 혼합되어 각각의 음이온성 작용기와 양이온성 작용기를 통한 강한 가교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방열 조성물을 통해 제조된 방열시트의 인장강도가 증가하고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지므로 고열의 환경에서 분자 사슬이 풀리지 않으면서 상기 대상물의 휨에 따라 용이하게 인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MC와 상기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동일한 카복시기 작용기를 가지도록 처리되므로 상호간의 가교 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방열 조성물 내에 상기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균일하게 분산되되 강하게 결합됨에 따라 열전도도가 우수한 방열시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CMC와 상기 PEI의 가교를 통해 상기 CMC를 단일의 조성물로 가교시켜 제조된 시트보다 고온의 열에서도 분해되지 않도록 강한 결합 사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소결 과정에서 상기 고분자 베이스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는 소결 과정을 통해 입자 간에 더 많은 네킹(necking)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네킹을 통해 열전달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베이스가 강한 가교를 통해 내열성이 부여되므로 상기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소결 과정에서도 상기 고분자 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시트 구조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분자 간의 결합이 열에 의해 깨지거나 약해짐으로 인한 불량률이 감소되므로 고품질의 방열 조성물, 방열시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 조성물이 방열시트 제조장치(100)를 통해 베이스필름(1)의 상면에 도포 및 적층 경화되어 고분자 나노복합체층(2)으로 형성된다(s2). 이어서,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층(2)이 상기 베이스필름(1)으로부터 분리되어 방열시트로 제조된다(s3). 즉,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층(2)이 상기 베이스필름(1)으로부터 분리된 것이 상기 방열시트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열시트는 상기 대상물에 적층되는 면적에 대응하도록 후성형/재단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방열시트 자체가 하나의 완제품으로 구성되되 상기 방열시트가 방열성능을 가지면서도 상기 대상물에 별도의 접착제 없이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다양한 대상물 형상에 따른 제조공정 및 제조장비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시트가 기설정된 면적의 시트 형상으로 규격화되어 제조되고 필요한 방열면적에 따라 재단하여 부착시키면 되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시트 제조장치(100)는 이송부, 복합 경화챔버(110) 및 장력조절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는 이송방향의 전후단에 각각 구비된 제1이송롤러(r1)와 제2이송롤러(r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필름(1)의 양단부가 상기 제1이송롤러(r1)와 상기 제2이송롤러(r2)에 권취되어 상기 이송방향에 대응하여 이송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필름(1)은 PET 필름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내열성, 강성, 전기적 성질이 우수하고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극한강도가 최소한으로 감소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필름(1)을 PET 필름으로 구비함에 따라 상기 제1이송롤러(r1)와 상기 제2이송롤러(r2)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복합 경화챔버(110)를 통과시 내부 온도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렬조절부를 통해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베이스필름(1)의 내구성이 우수하여 파단이 방지되며, 소재 자체가 저렴하므로 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ET 필름의 두께는 240mic 내지 260mic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PET 필름은 두께가 250mic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PET 필름의 두께가 240mic 미만이면 장력에 대한 내구성이 저하되며, 상기 PET 필름의 두께가 260mic을 초과하면 roll to roll 공정에 불리하고 상대적으로 제조단가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PET 필름의 두께는 roll to roll 공정에 적합하면서도 장력에 대한 내구도를 가지도록 240mic 내지 260mic, 바람직하게는 250mic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필름(1)의 상면에 도포 및 경화되어 형성되는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층(2)의 변형 또는 장력에 의한 휘어짐 또는 파단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필름(1)이 복수개의 텐션롤러(r3,r4)를 통해 평탄하게 펼쳐진 상태로 수평 지지되되, 상기 복합 경화챔버(110)의 전측으로 압출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출부(12)는 상기 베이스필름(1)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티다이스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방열 조성물을 상기 베이스필름(1)에 도포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압출부(12)는 압출팁이 상기 베이스필름(1)의 상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방열 조성물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압출팁을 통해 상기 방열 조성물이 상기 베이스필름(1)의 상면으로 압축되되 상기 베이스필름(1)이 상기 이송부의 구동에 의해 이송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필름(1)의 전체적인 상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복합 경화챔버(110)는 상기 제1이송롤러(r1)와 상기 제2이송롤러(r2) 사이에 구비되며, 전측에 구비되는 간접경화부(111) 및 상기 간접경화부(111)의 후측에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직접경화부(11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간접경화부(111)는 상기 복합 경화챔버(110)의 전측에 구비되며 적외선(Infrared Ray,IR)을 조사하며, 복사에너지를 통해 상기 베이스필름(1)의 상면데 도포된 상기 방열 조성물을 1차 건조시킨다. 즉, 상기 간접경화부(111)가 경화구간의 시작부에 구비되어 간접열을 통해 상기 방열 조성물의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접경화부(112)는 상기 간접경화부(111)의 후측에 구비되되 열풍을 발산하며, 직접적인 고온을 상기 방열 조성물에 전달하여 2차 건조시킨다.
이때, 상기 방열 조성물은 상기 간접경화부(111)를 통과하면서 1차로 경화되되, 간접열에 의해 경화됨에 따라 조성물 내에 포함된 수분의 급격한 증발이 방지된다. 따라서, 건조시 우그러짐이나 수축, 파쇄 등의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시트 형상으로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조성물이 일정 수준의 시트 형상을 유지하도록 특히 표면측이 선 경화처리된 후 상기 직접경화부(112)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2차 건조되되 열풍을 통해 빠른시간에 건조되므로 생산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열 조성물 내에 수분이 상기 직접경화부(112)를 통과하면서 일정 수준으로 증발되므로 상기 방열시트의 두께가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 조성물은 상기 복합 경화챔버(110)를 통과하면서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는 정도의 수분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간접열을 통한 1차 경화/건조 후 직접열을 통한 경화/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최종 제조되는 방열시트의 유연성 및 치수 안정성 등의 품질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경화챔버(110)에서 조사 및 발산되는 간접열 및 직접열은 45~55℃ 온도범위이고, 상기 베이스필름(1)의 상면에 도포 및 경화되는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층(2) 1m당 3~5분 간 건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복합 경화챔버(110)에서 가해지는 열이 45℃ 미만이면 최종 방열시트의 두께 및 형상은 양호하게 형성되지만, 건조속도가 과도하게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 반면, 상기 복합 경화챔버(110)에서 가해지는 열이 55℃를 초과하면 건조속도는 단축되지만 급격한 내부 수분이 급격하게 증발된다. 이로 인해, 수분이 빠져나간 빈 공간을 고분자 베이스가 메워주지 못하여 유연성이 감소하며 이로 인한 수축현상이 발생하여 파쇄되거나 부서지는 등과 같은 품질저하 문제 및 불량률이 증가한다.
여기서, 상기 복합 경화챔버(110)에 복수개의 배기홀(11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 경화챔버(110)의 내부에 기화된 수분이 외부에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층(2)의 표면 및 내부에 물방울이 응결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응결된 물방울이 기화되면서 상기 방열시트의 표면이 불균일하거나 상기 방열시트의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 인한 열전도율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필름(1)으로부터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층(2)을 분리하여 상기 방열시트가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시트는 상기 베이스필름(1)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층(2)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방열시트는 내열성, 전기비저항성, 열전도도, 치수안정성, 고온환경에서의 안정성, 열충격시험 및 항온항습 시험과 같은 물성 평가를 통해 방열소재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평가항목 평가방법/조건 결과 비고
내열성 KS M ISO 11358 270℃ TGA 분석
전기비저항 비저항측정 8μΩㆍ㎝ 전기전도도측정기
(CMT-SR1000N)
열전도도 ASTM E1461 26.6W/mK 열전도도 측정기(LFA)
치수안정성 ASTM E831 5.54ppm/K TMA 분석
고온방치 안정성 온도:100℃, 1000시간 방치 양호 외관 상 파손이
확인되지 않을 것
열충격시험 온도:-45℃~85℃,2000사이클 양호
항온항습 시험 온도/습도:85℃/85%R.H.,
1000시간 방치
양호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방열 조성물에 포함된 각 소재 간의 강한 가교 결합을 통해 고열 및 휨 모멘트가 가해지는 환경에서도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도록 조성되므로, 이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방열시트의 내열성, 유연성 및 인장강도가 종래의 실리콘, 에폭시 등으로 제조된 방열시트보다 개선된다. 따라서, 상기 방열시트가 상기의 방열시트 제조장치(100)와 같은 roll to roll 방식으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대상물에 적층 적용시 파단, 파손 및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속적인 제조가 가능해짐으로써 생산 및 제조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작업공간에서 최대한의 제품이 제조되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으며, 롤 형태로 제조된 방열시트를 상기 대상물의 사이즈 및 형상에 따라 펀칭 또는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필름에 도포된 상기 방열 조성물이 적외선을 조사하는 상기 간접경화부를 먼저 통과하면서 수분의 급격한 증발이 방지되도록 1차 건조된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배치된 상기 직접경화부를 통과하면서 열풍에 의해 단시간 내 건조공정이 진행되더라도 최종 제조된 상기 방열시트의 유연성이 유지되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용액 내의 카복시메틸셀룰로스와 상기 응집보조제 내의 폴리에틸렌이민이 중량비로 4.5~5.5:1의 비율로 혼합되어 가교 결합이 강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열 및 휨 모멘트가 가해지는 환경에서도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므로 반도체, LED 및 고집적화된 전자기기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방열소재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방열재료로서의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와 셀룰로스가 응집보조제를 통해 이종 소재 간 안정적인 가교 결합이 유도되어 열전도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결합내구성 및 유연성, 인장강도까지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roll to roll 방식을 통해 고기능성 방열시트를 양산 가능하므로 제조효율 및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롤타입으로 생산되는 상기 방열시트를 대상물의 표면형상 및 면적에 맞게 후가공 후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베이스필름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접착 적용 가능하므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기존 설비의 변경없이도 방열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제품을 공급할 수 있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도체, LED 및 고집적화된 전자기기, 엔진커버, 헤드램프 하우징,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하우징, 디스플레이장치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방열소재로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최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부상 중인 폴더블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접철부에 상기 방열시트가 적층되더라도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들뜸없이 균일한 표면조도를 유지하면서 방열기능이 부여되므로 산업분야에서의 활용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베이스필름 2: 고분자 나노복합체층
100: 방열시트 제조장치 110: 복합 경화챔버
111: 간접경화부 112: 직접경화부

Claims (5)

  1.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과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응집보조제가 구비되되 상기 고분자 용액 내의 카복시메틸셀룰로스와 상기 응집보조제 내의 폴리에틸렌이민이 중량비로 4.5~5.5:1 비율로 혼합 및 가교되어 고분자 베이스가 생성되되, 상기 고분자 베이스에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교반 분산되어 가교 결합된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이 준비되는 제1단계;
    이송방향 전후단에 구비된 제1이송롤러 및 제2이송롤러를 통해 회전 이송되되 복수개의 텐션롤러에 의해 이송시 장력이 조절되는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이 도포되되, 상기 제1이송롤러와 상기 제2이송롤러 사이에 구비된 복합 경화챔버를 통과하면서 건조되어 고분자 나노복합체층으로 적층 경화되는 제2단계; 및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층이 상기 베이스필름으로부터 분리되어 방열시트로 제조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층은
    상기 복합 경화챔버의 전측에 구비되되 적외선을 조사하는 간접경화부를 통과하면서 1차 건조되고, 상기 간접경화부의 후측에 구비되되 열풍을 발산하는 직접경화부를 통과하면서 2차 건조되어 경화되되,
    상기 복합 경화챔버에서 조사 및 발산되는 간접열 및 직접열은 45~55℃ 온도범위이고, 1m 당 3~5분간 건조되어 경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고분자 베이스에는 과황화칼륨 5~10 중량부에 증류수 90~95 중량부를 희석한 중합촉매제가 더 첨가되며,
    상기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는 은 분말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되되 상기 은 분말을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에 20~30nm 크기의 은 입자로 증착 및 성장시켜 획득되되 에틸셀룰로스로 구비되는 유기바인더와,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구비되는 분산제와, α-테르피네올로 구비되는 희석용매를 포함하여 혼합된 페이스트 형태로 상기 고분자 베이스와 혼합됨을 특징으로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베이스필름은 PET 필름으로 구비되되, 상기 PET 필름의 두께가 240~260m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5.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과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응집보조제가 구비되되 상기 고분자 용액 내의 카복시메틸셀룰로스와 상기 응집보조제 내의 폴리에틸렌이민이 중량비로 4.5~5.5:1 비율로 혼합 및 가교되어 생성된 고분자 베이스에 은-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교반 분산되어 가교 결합된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이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도포되도록 상기 베이스필름의 양단이 권취되어 이송되는 제1이송롤러와 제2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도포되는 상기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이 고분자 나노복합체층으로 경화되도록 상기 제1이송롤러와 상기 제2이송롤러 사이에 구비되되, 전측에 구비되어 적외선을 조사하는 간접경화부와 상기 간접경화부의 후측에 구비되되 열풍을 발산하는 직접경화부를 포함하는 복합 경화챔버; 및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베이스필름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제1이송롤러와 상기 복합 경화챔버의 전측 사이 및 상기 제2이송롤러와 상기 복합 경화챔버의 후측 사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텐션롤러를 포함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 제조장치.
KR1020200094555A 2020-07-29 2020-07-29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40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555A KR102405336B1 (ko) 2020-07-29 2020-07-29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555A KR102405336B1 (ko) 2020-07-29 2020-07-29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944A true KR20220014944A (ko) 2022-02-08
KR102405336B1 KR102405336B1 (ko) 2022-06-08

Family

ID=8025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555A KR102405336B1 (ko) 2020-07-29 2020-07-29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3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972B1 (ko) 2003-07-12 2005-08-25 윤경섭 Millable 실리콘 고무 발포체 방열시트 및 그제조방법
KR20110051063A (ko) * 2009-11-09 2011-05-17 주식회사모나미 C―CNT―Ag를 포함한 방열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를 이용한 방열 테이프 및 그 사용방법
KR20150013721A (ko) * 2012-05-21 2015-02-05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이 변형성 응집체와 그 제조 방법, 열 전도성 수지 조성물, 열 전도성 부재와 그 제조 방법 및 열 전도성 접착 시트
KR20180039004A (ko) * 2016-10-07 2018-04-1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복합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3329A (ko) * 2018-11-08 2020-05-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박막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972B1 (ko) 2003-07-12 2005-08-25 윤경섭 Millable 실리콘 고무 발포체 방열시트 및 그제조방법
KR20110051063A (ko) * 2009-11-09 2011-05-17 주식회사모나미 C―CNT―Ag를 포함한 방열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를 이용한 방열 테이프 및 그 사용방법
KR20150013721A (ko) * 2012-05-21 2015-02-05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이 변형성 응집체와 그 제조 방법, 열 전도성 수지 조성물, 열 전도성 부재와 그 제조 방법 및 열 전도성 접착 시트
KR20180039004A (ko) * 2016-10-07 2018-04-1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복합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3329A (ko) * 2018-11-08 2020-05-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박막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336B1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Dielectric properties and thermal conductivity of epoxy composites using quantum-sized silver decorated core/shell structured alumina/polydopamine
CN106029561B (zh) 氮化硼凝集颗粒、氮化硼凝集颗粒的制造方法、含该氮化硼凝集颗粒的树脂组合物、成型体、和片
TWI718560B (zh) 六方晶氮化硼粉末及其製造方法以及使用其之組成物及散熱材料
Seol et al. Nanocomposites of reduced graphene oxide nanosheets and conducting polymer for stretchable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Zeng et al. Encapsulating carbon nanotubes with SiO 2: a strategy for applying them in polymer nanocomposites with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electrical insulation
KR20200031140A (ko) 육방정 질화붕소 분말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조성물 및 방열재
US20120277360A1 (en) Graphene Compositions
TW201722848A (zh) 六方晶體氮化硼粉末、其製造方法、樹脂組成物及樹脂薄片
TW201733907A (zh) 六方晶氮化硼粉末、其製造方法、樹脂組成物及樹脂薄片
TW201634547A (zh) 樹脂組成物及其製備方法
EP3761355B1 (en) Insulating heat dissipation sheet
US20120286194A1 (en) Thermal conductive sheet, insulating sheet, and heat dissipating member
KR101401574B1 (ko) 하이브리드 필러를 이용한 전도성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000522A (ja) コア‐シェル構造の銀コーティングされた銅ナノワイヤを含むエポキシペースト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導電性フィルム
US20120285674A1 (en) Thermal conductive sheet, insulating sheet, and heat dissipating member
EP3875428A1 (en) Boron nitride nanomaterial and resin composition
KR102111551B1 (ko) 방열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6565A (ko) 그래핀층을 포함하는 방열 및 차폐용 복합시트
KR20150034380A (ko) 수직 배열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방열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hmad et al. Exfoliated graphene reinforced polybenzimidazole nanocomposites with high dielectric permittivity at low percolation threshold
Ding et al. Promoting healing progress in polymer composites based on Diels‐Alder reaction by constructing silver bridges
Yuan et al. Non-covalently modified graphene@ poly (ionic liquid) nanocomposite with high-temperature resistance and enhanced dielectric properties
KR102405336B1 (ko)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2344270B1 (ko) 고분자 나노복합체 방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이 적용된 방열시트의 제조방법
Polícia et al. Influence of polymer matrix on the luminescence of phosphor based printable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